KR20170028026A - 배선용 케이블 베어가 구비된 스마트 창호 - Google Patents

배선용 케이블 베어가 구비된 스마트 창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8026A
KR20170028026A KR1020150124780A KR20150124780A KR20170028026A KR 20170028026 A KR20170028026 A KR 20170028026A KR 1020150124780 A KR1020150124780 A KR 1020150124780A KR 20150124780 A KR20150124780 A KR 20150124780A KR 20170028026 A KR20170028026 A KR 201700280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cable
windowpane
automatic opening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4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1000B1 (ko
Inventor
이승중
김차남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50124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1000B1/ko
Publication of KR20170028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80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1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10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3/00Chains
    • F16G13/12Hauling- or hoisting-chains so called ornamental chains
    • F16G13/16Hauling- or hoisting-chains so called ornamental chains with arrangements for holding electric cables, hose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65Power or signal transmission
    • E05Y2400/654Power or signal transmission by electrical cables
    • E05Y2800/11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창호의 자동개폐, 자연환기, 창유리의 채광조절, 강제개폐 알림(방범) 등의 작동에 필요한 전원공급을 위해 연결되는 전선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배선용 케이블 베어가 구비된 스마트 창호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창틀프레임(10)에 슬라이딩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적어도 한 쌍의 창짝(20)을 포함하는 창호에 있어서, 상기 창짝(20) 중 어느 하나의 창짝(21)에 설치되는 구동모듈의 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창짝(21)을 슬라이딩 개폐시켜주는 자동개폐부(100); 및 상기 자동개폐부(100)에 전원을 공급해주기 위해 상기 창틀프레임(10)과 창짝(21)에 연결되되, 상기 전선의 꼬임이나 단선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창짝(21)의 상부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케이블 베어(25);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배선용 케이블 베어가 구비된 스마트 창호{Smart window having a cableveyor apparatus}
본 발명은 케이블 베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 창호의 자동개폐, 자연환기, 창유리의 채광조절, 강제개폐 알림(방범) 등의 작동에 필요한 전원공급을 위해 연결되는 전선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배선용 케이블 베어가 구비된 스마트 창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호는 실내와 실외를 격리시키는 벽체의 역할을 함과 동시에, 햇빛과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유입시켜 실내 환기를 가능하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창호는 재질에 따라 혹은 열림 방식에 따라 여러 종류로 구분될 수 있는데, 열림 방식에 따라서는 창짝을 안쪽으로 활짝 여닫을 수 있는 틸트 앤 턴(Tilt & Turn) 방식과, 리프트 기능의 하드웨어를 사용하여 개폐 시 창짝이 레일 위로 들어 올려져 움직이는 리프트 슬라이딩(Lift Sliding) 방식 등이 있다.
이 중 리프트 슬라이딩 방식은 고정창을 두고, 고정창의 일측 또는 양측이 열리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리프트 슬라이딩 창호에 대하여 종래에 공개특허 제10-2006-0025389호로 선출원된 바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리프트 슬라이딩 창호는 창틀에 설치되는 고정창과, 창틀의 상, 하부에 형성된 레일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면서 개폐되는 창짝으로 이루어진 기본적인 구성 이외에도 잠금 및 창짝을 상하 또는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켜 기밀성을 확보하는 하드웨어가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의 리프트 슬라이딩(Lift slinding) 창호는, 창짝을 개방하기 위해 손잡이를 돌리는 경우 승강 수단을 포함한 하드웨어의 동작을 통해 창짝이 레일로부터 일정높이 들어 올려지게 되고, 이러한 상태로 창짝이 수평 이동됨에 따라 조용하고 부드럽게 열리게 된다. 그리고 창짝이 닫힌 상태에서는 창짝과 레일이 밀착되어 기밀성 및 수밀성, 단열성 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창호는 거실이나 발코니 창문 등 비교적 대형 창호에 적용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그 크기에 비해 수동으로 작동해야 함에 따라 개폐시에 많은 힘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창짝을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되는 스크류축을 타고 창짝을 슬라이딩 개폐시킬 수 있는 자동개폐장치가 종래 등록특허 제10-0915952호로 선출원된 바 있다.
한편, 최근에는 창호의 단순한 개폐 기능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창짝의 자동개폐, 환기, 방범 시스템 등을 접목시킨 창호 시스템이 제안되고 있다.
이상과 같이 다양한 기능이 구비된 스마트 창호의 구동을 위해서는 전원공급이 필요하고, 이러한 전원공급을 위해 복수의 전선이 연결되어야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창짝이 자동으로 개폐되는 창호에 전선의 배열이 허술하게 되면 단선 및 합선의 위험이 있다.
또한 상기 전선을 설치하기 위한 배선 통로가 외부로 노출되는 경우 창짝의 슬라이딩 구동 시 전선의 꼬임이나 끊어짐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스마트 창호의 자동개폐, 자연환기, 창유리의 채광조절, 강제개폐 알림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전원공급을 위해 연결되는 전선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배선용 케이블 베어가 구비된 스마트 창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배선용 케이블 베어가 구비된 스마트 창호는, 창틀프레임에 슬라이딩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적어도 한 쌍의 창짝을 포함하는 창호에 있어서, 상기 창짝 중 어느 하나의 창짝에 설치되는 구동모듈의 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창짝을 슬라이딩 개폐시켜주는 자동개폐부; 및 상기 자동개폐부에 전원을 공급해주기 위해 상기 창틀프레임과 창짝에 연결되되, 상기 전선의 꼬임이나 단선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창짝의 상부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케이블 베어;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자동개폐부는, 상기 한 쌍의 창짝이 서로 여미어지는 여밈대 내의 상부나 하부, 또는 상·하부 모두에 설치된 것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자동개폐부의 구동모듈은, 상기 창짝 중 어느 하나의 창짝에 설치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되, 인접 설치된 고정 창짝의 일면에 외주면이 맞닿게 설치되어 상기 창짝을 슬라이딩 개폐시켜주는 구동롤러; 및 상기 창짝의 수동 개폐조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구동모터의 샤프트 상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롤러에 전달되는 동력을 선택적으로 끊어주는 전자클러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케이블 베어는, 상기 창짝의 레일홈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케이블 베어는, 일단이 상기 창틀프레임의 상측 내주면에 구비된 가공홀과 인접하게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창짝이 닫히는 방향의 선단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선의 양끝단은, 연결 및 분리 가능하도록 단자화된 것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스마트 창호는 리프트 슬라이딩(Lift sliding) 방식이고, 상기 창짝의 핸들 부위에는, 상기 창짝의 개방 시 창짝이 레일로부터 일정높이 들어 올려지도록 모터의 동력에 의해 작동되는 리프팅 장치가 구비되며, 상기 리프팅 장치와 상기 자동개폐부는 연동 작동을 위해 상기 케이블 베어 내에 삽입된 전선을 매개로 서로 연결된 것을 더 포함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배선용 케이블 베어가 구비된 스마트 창호는, 창짝의 자동개폐, 자연환기, 창유리의 채광조절, 강제개폐 알림 등의 다양한 기능 수행을 위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 개폐되는 창짝의 상부에 전선 수납용 배선용 케이블 베어를 구비해줌으로써 전선의 꼬임 및 단선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창호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창호의 실내측 입면도,
도 3은 도 2의 I-I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베어의 설치구조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베어가 설치된 창짝이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실내측 입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창짝에 적용된 리프팅 장치를 보여주는 실내측 입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창호의 전체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창호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창호의 실내측 입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I-I선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창틀프레임(10)에 슬라이딩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적어도 한 쌍의 창짝(20)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창호(1)는, 상기 창짝(20) 중 어느 하나의 창짝(21)에 설치되는 구동모듈의 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창짝(21)을 슬라이딩 개폐시켜주는 자동개폐부(100)와, 상기 자동개폐부(100)에 전원을 공급해주기 위해 창틀프레임(10)과 창짝(21)에 연결되되 상기 전선의 꼬임이나 단선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창짝(21)의 상부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케이블 베어(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자동개폐부(100)는 적어도 한 쌍의 창짝(20) 중 슬라이딩 개폐되는 어느 하나의 창짝(21)에 설치되어 창짝(21)을 자동으로 개폐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자동개폐부(100)는 한 쌍의 창짝(20)이 서로 여미어지는 여밈대(21a) 내의 상부나 하부, 또는 상·하부 모두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자동개폐부(100)가 여밈대(21a) 내의 상·하부에 각각 설치된 경우의 일례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자동개폐부(100)는 슬라이딩 개폐되는 창짝(21)의 여밈대(21a) 내에 설치되는 구동모터(110)와, 상기 구동모터(110)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되 인접설치된 고정 창짝(23)의 일면(23a)에 외주면이 맞닿게 설치되어 창짝(21)을 슬라이딩 개폐시켜주는 구동롤러(120)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자동개폐부(100)는 창짝(21)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전환해주는 전자클러치(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자클러치(130)는 구동모터(110)와 구동롤러(120)를 연결해주는 샤프트(111) 상에 설치되어 구동롤러(120)에 전달되는 동력을 선택적으로 끊어주는 것으로, 정전이나 기기의 고장 시 언제든지 창짝(21)을 수동으로 전환하여 개방할 수 있다.
전자클러치(130)의 작동원리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해보면, 구동모터(110)의 회전축에 일체로 결합된 제1기어(113)가 구비되고, 제1기어(113)는 제2기어(115)와 치합되어 샤프트(111)를 회전시켜주는 방식으로 구동롤러(120)를 구동시켜준다. 이때 상기 제2기어(115)는 샤프트(111) 상에 공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이다. 그리고 샤프트(111)의 동일 축 선상에는 전자클러치(130)가 제2기어(115)와 나란하게 결합된다. 전자클러치(130)는 샤프트(111)와 일체로 결합되어 회전되는 것으로, 내부에는 전자석(미도시)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전자클러치(130)의 전자석에 전류를 인가하면 자력에 의해 인접하게 설치된 제2기어(115)가 전자클러치(130)에 붙어 일체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구동모터(110)의 동력을 구동롤러(120)에 전달하여 창짝(21)을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전자석에 흐르던 전류를 차단해주면 전자클러치(130)와 제2기어(115)가 떨어지게 되면서 구동롤러(120)에 전달되던 구동모터(110)의 동력이 차단된다. 따라서, 정전 또는 자동개폐부(100)의 고장 시 창짝(21)의 원활한 수동개폐가 가능해지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케이블 베어(25)는 창짝(21)의 레일홈(21b) 내부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케이블 베어(25)는 일단(25a)이 창틀프레임(10)의 상측 중심부 내주면에 구비된 가공홀과 인접하게 고정되고, 타단(25b)은 상기 창짝(21)이 닫히는 방향의 선단에 고정된다.
이 경우 상기 케이블 베어(25)에 삽입 설치된 전선의 양끝단은 연결 및 분리 가능하도록 단자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의 케이블 베어(25)는 창틀프레임(10) 및 창짝(21)에 양끝단만 고정된 상태임에 따라 도 5에서와 같이 창짝(21)이 개방되더라도 그 중심부가 플랙서블 하게 접힘 이동되고, 이에 따라 그 내부에 삽입된 복수 가닥의 전선이 꼬이거나 끊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창호는 리프트 슬라이딩(Lift sliding)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창짝(21)에는 개방 시 창짝(21)이 레일로부터 일정높이 자동으로 들어 올려지도록 모터의 동력에 의해 작동되는 리프팅 장치(600)가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리프팅 장치(600)는 구동부(610)와, 상기 구동부(610)의 동력을 기어모듈을 매개로 전달받아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작동로드(620)와, 상기 작동로드(620)에 연결되되 창짝(21)의 하부 모서리부에 설치되어 수직운동을 수평운동으로 전환해주는 연결링크(630)와, 상기 연결링크(630)와 연결됨과 아울러 창짝(21)의 저면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구동부(610)의 작동시 내부에 구비된 안내축(641)이 승강블록(643)의 경사진 안내장공(643a)을 밀어올리거나 내리는 동작에 의해 창짝(21)을 레일 위로 승강시켜주는 슬라이더(640)와, 상기 슬라이더(640)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레일 상에 놓이는 롤러(6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리프팅 장치(600)와 자동개폐부(100)는 연동 작동을 위해 케이블 베어(25) 내에 삽입 연결된 전선을 매개로 서로 연결된다. 따라서 다소 복잡하게 연결될 수 있는 복수 가닥의 전선을 말끔하게 정리할 수 있음은 물론, 전선의 꼬임이나 단선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창호(1)는 자동개폐부(100) 이외에도 자연환기부(200), 빛조절부(300), 개폐알림부(400) 및 제 구성요소(100, 200, 300, 400)를 제어해주는 제어부(5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자연환기부(200)는 창짝(20)에 설치되어 실내 공기를 환기시켜주는 것으로, 이러한 자연환기부(200)는 적어도 한 쌍의 창짝(20) 중 개폐되지 않는 고정 창짝(23)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자연환기부(200)는 실내 공기 중에 포함된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해주는 이산화탄소 센서(2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이산화탄소 센서(210)에서 측정된 측정치가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자연환기부(200)를 자동으로 작동시켜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자연환기부(200)에 사용되는 창호용 환기장치에 대해서는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74838호, 등록특허 제10-1259671호, 등록특허 제10-1260564호, 등록특허 제10-1301811호, 등록특허 제10-1293852호, 등록특허 제10-1307645호, 등록특허 제10-1433437호, 등록특허 제10-1293846호, 등록특허 제10-1292365호, 등록특허 제10-1330447호, 등록특허 제10-1252906호, 등록특허 제10-1272994호, 등록특허 제10-1338547호, 등록특허 제10-1273019호, 등록특허 제10-293802호, 등록특허 제10-1263991호, 등록특허 제10-1254413호 중 어느 하나를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적으로 창호에 사용되는 환기장치를 적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창호용 환기장치에 대한 자세한 작동원리 등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빛조절부(300)는 창짝(20)에 구비된 유리의 일부 또는 전체에 설치되어 유리의 광투과율을 투명 또는 불투명 상태로 전환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통상적으로 '매직글라스(magic glass)'라고도 불린다.
빛조절부(300)에 사용되는 매직글라스는 두 장의 유리 사이에 ITO필름과 액정을 함께 넣어 압착한 접합유리 구조이다. 이러한 빛조절부(300)는 매직글라스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ITO필름 사이에 분자의 배열이 변화하여 순간적으로 불투명 상태에서 투명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으며, 전압의 변화에 따라 투명도의 변화를 자유롭게 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압이 인가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막대모양의 분자로 나타나는 액정은 캅셀의 내벽을 따라서 정렬한다. 이 상태에서 매직글라스에 입사된 빛은 고분자와 액정의 굴절률의 차이 및 액정의 복굴절성에 의해서 캅셀표면이나 내부에서 굴절한다. 그 결과 빛은 직진하지 못하고 산란하여 불투명하게 보인다.
반대로, 전압이 인가되면 액정 분자가 전압을 인가한 방향과 평행해지려는 특성 때문에 전극에 대해서 수직방향으로 배열된다. 이와 같은 배열 상태로 굴절률이 고분자의 굴절률과 일치하는 액정이면 캅셀의 계면이 없는 것과 동일하게 되어 빛은 산란하지 않고 직진하게 된다. 따라서 매직글라스는 투명하게 보인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빛조절부(300)는 창짝(20) 유리의 전체에 적용되거나, 또는 상기 창짝(20) 유리의 상하, 좌우 방향을 따라 복수로 분할되어 투명/불투명 상태로 선택적인 제어가 가능하다.
개폐알림부(400)는 창호(1)에 설치되어 창짝(21)의 개폐 여부를 실시간으로 감지해주는 감지센서(410)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감지센서(410)는 슬라이딩 개폐되는 창짝(21)과 창틀프레임(10)에 서로 대응되게 부착되어 상기 창짝(21)의 개폐 여부를 감지해주는 적어도 한 쌍의 자석식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감지센서(410)는 개폐되는 창짝(21)의 상부와, 그에 대응되는 창틀프레임(10)의 대향면에 매립되는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창짝(21)의 강제 개폐 여부를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는 위치라면 다양하게 변경 적용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상기 제 구성요소(100, 200, 300, 400)를 사용자의 무선 통신 단말기(510)를 이용하여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각 기능을 개별/통합 제어해줌과 아울러, 무선 통신 단말기(510)의 디스플레이 창 상에 상기 제 구성요소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표시해준다.
구체적으로, 제어부(500)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고, 무선 신호가 게이트웨이(gateway)에 전달된 후 인터넷을 통해 단말기(510)의 애플리케이션과 연결되는 방식이다.
이 경우 상기 무선 통신은 RF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근거리통신을 지원하는 지그비(zigbee) 무선 통신을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참고로, 지그비 무선 통신은 근거리 통신을 지원하는 IEEE 802.15.4 표준 중 하나를 말한다. 가정, 사무실 등의 무선 네트워킹 분야에서 10 ~ 20m 내외의 근거리 통신과 유비쿼터스 컴퓨팅을 위한 기술이다. 즉 지그비는 휴대전화나 무선LAN의 개념으로, 기존의 기술과 다른 특징은 전력소모를 최소화하는 대신 소량의 정보를 소통시키는 개념이다.
이 경우 본 발명에서는 무선 통신을 RF통신(RF 447Mhz 통신 방식)이나, 지그비 무선 통신을 적용한 경우의 일례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무선 통신은 블루투스, Z-wave,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단말기(510)는 휴대가 간편하고,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설치가 간편한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마트폰 이외에 태블릿PC, 휴대폰, 데스크탑, 노트북, 탭북, PDA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구성의 제어부(500)는 단말기(510)의 디스플레이 창을 통해 다양한 기능이 구비된 창호(1)의 현재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단말기(510)의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창호(1)의 개폐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창호(1)는, 자동개폐부(100)에 의해 슬라이딩 개폐되는 창짝(21)의 상부 일측에 전선 수납용 배선용 케이블 베어(25)를 구비해줌으로써, 자동개폐부(100)는 물론 상기 제 구성요소(200, 300, 400, 600)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해주는 전선의 꼬임 및 단선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 창호 10 : 창틀프레임
20 : 창짝 21 : 슬라이딩 창짝
21a : 여밈대 23 : 고정 창짝
25 : 케이블베어 25a : 일단
100 : 자동개폐부 110 : 구동모터
111 : 샤프트 113 : 제1기어
115 : 제2기어 120 : 구동롤러
121 : 요철홈 130 : 전자클러치
140 : 안전센서 200 : 자연환기부
300 : 빛조절부 400 : 개폐알림부
410 : 감지센서 500 : 제어부
600 : 리프팅 장치

Claims (7)

  1. 창틀프레임(10)에 슬라이딩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적어도 한 쌍의 창짝(20)을 포함하는 창호에 있어서,
    상기 창짝(20) 중 어느 하나의 창짝(21)에 설치되는 구동모듈의 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창짝(21)을 슬라이딩 개폐시켜주는 자동개폐부(100); 및
    상기 자동개폐부(100)에 전원을 공급해주기 위해 상기 창틀프레임(10)과 창짝(21)에 연결되되, 상기 전선의 꼬임이나 단선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창짝(21)의 상부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케이블 베어(25);를 포함하는 배선용 케이블 베어가 구비된 스마트 창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개폐부(100)는,
    상기 한 쌍의 창짝(20)이 서로 여미어지는 여밈대(21a) 내의 상부나 하부, 또는 상·하부 모두에 설치된 것을 더 포함하는 배선용 케이블 베어가 구비된 스마트 창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개폐부(100)의 구동모듈은,
    상기 창짝(20) 중 어느 하나의 창짝(21)에 설치되는 구동모터(110);
    상기 구동모터(110)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되, 인접 설치된 고정 창짝(23)의 일면에 외주면이 맞닿게 설치되어 상기 창짝(21)을 슬라이딩 개폐시켜주는 구동롤러(120); 및
    상기 창짝(21)의 수동 개폐조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구동모터(110)의 샤프트(111) 상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롤러(120)에 전달되는 동력을 선택적으로 끊어주는 전자클러치(130);를 포함하는 배선용 케이블 베어가 구비된 스마트 창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베어(25)는,
    상기 창짝(21)의 레일홈(21b)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배선용 케이블 베어가 구비된 스마트 창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베어(25)는,
    일단(25a)이 상기 창틀프레임(10)의 상측 내주면에 구비된 가공홀과 인접하게 고정되고,
    타단(25b)은 상기 창짝(21)이 닫히는 방향의 선단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케이블 베어가 구비된 스마트 창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의 양끝단은,
    연결 및 분리 가능하도록 단자화된 것을 더 포함하는 배선용 케이블 베어가 구비된 스마트 창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창호는 리프트 슬라이딩(Lift sliding) 방식이고,
    상기 창짝(21)의 핸들 부위에는, 상기 창짝(21)의 개방 시 창짝(21)이 레일로부터 일정높이 들어 올려지도록 모터의 동력에 의해 작동되는 리프팅 장치가 구비되며,
    상기 리프팅 장치와 상기 자동개폐부(100)는 연동 작동을 위해 상기 케이블 베어(25) 내에 삽입된 전선을 매개로 서로 연결된 것을 더 포함하는 배선용 케이블 베어가 구비된 스마트 창호.
KR1020150124780A 2015-09-03 2015-09-03 배선용 케이블 베어가 구비된 스마트 창호 KR1020410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4780A KR102041000B1 (ko) 2015-09-03 2015-09-03 배선용 케이블 베어가 구비된 스마트 창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4780A KR102041000B1 (ko) 2015-09-03 2015-09-03 배선용 케이블 베어가 구비된 스마트 창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8026A true KR20170028026A (ko) 2017-03-13
KR102041000B1 KR102041000B1 (ko) 2019-11-05

Family

ID=58411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4780A KR102041000B1 (ko) 2015-09-03 2015-09-03 배선용 케이블 베어가 구비된 스마트 창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100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9437B1 (ko) 2018-12-26 2019-05-17 주식회사 윈글라스 유리 창호용 전원 공급 단자 구조체의 작동장치
KR20220013197A (ko) * 2020-07-24 2022-02-04 유경완 커튼 타입의 태양광 발전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93321A (ja) * 1994-09-21 1996-04-09 Lumitter Ind Corp Ltd サッシの自動開閉装置
JP2000008707A (ja) * 1998-06-26 2000-01-11 Tescon Co Ltd 引違い窓の開閉装置
KR20060025389A (ko) * 2004-09-16 2006-03-21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리프트 슬라이딩 창호 개폐 시스템
KR20100092548A (ko) * 2009-02-13 2010-08-23 (주)엘지하우시스 시스템 창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93321A (ja) * 1994-09-21 1996-04-09 Lumitter Ind Corp Ltd サッシの自動開閉装置
JP2000008707A (ja) * 1998-06-26 2000-01-11 Tescon Co Ltd 引違い窓の開閉装置
KR20060025389A (ko) * 2004-09-16 2006-03-21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리프트 슬라이딩 창호 개폐 시스템
KR20100092548A (ko) * 2009-02-13 2010-08-23 (주)엘지하우시스 시스템 창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9437B1 (ko) 2018-12-26 2019-05-17 주식회사 윈글라스 유리 창호용 전원 공급 단자 구조체의 작동장치
KR20220013197A (ko) * 2020-07-24 2022-02-04 유경완 커튼 타입의 태양광 발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1000B1 (ko) 2019-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5982B1 (ko) 자동/수동 전환구조가 구비된 리프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창호
KR101951981B1 (ko) 창짝 자동개폐장치 및 이를 포함한 스마트 창호
KR102003101B1 (ko)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스마트 창호 제어시스템
KR101935981B1 (ko) 구동롤러 위치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한 창짝 자동개폐장치
KR101847687B1 (ko) 스마트 창호용 방범 시스템
KR101935980B1 (ko) 주거 환경 개선을 위한 기능이 구비된 창호
US9019588B2 (en) Connectors for smart windows
KR102113171B1 (ko) 창유리의 투명/불투명 제어가 가능한 스마트 창호
EP3650625A1 (en) Access control apparatus
KR20170028026A (ko) 배선용 케이블 베어가 구비된 스마트 창호
KR20170022019A (ko) 스마트 창호용 자연환기시스템
KR101162274B1 (ko) 건축물의 투입구 겸용 자연채광이 가능한 도어
KR102003100B1 (ko) 소음방지구조가 적용된 창짝 자동개폐장치
CN105604451A (zh) 可移动型智能多向旋转窗
CN210105602U (zh) 一种基于智能手机的电动门窗控制装置
KR101370396B1 (ko) 통풍과 채광이 가능한 건축물의 현관문
CN205591750U (zh) 内藏式电动直顶升降活门
CN203655066U (zh) 一种遥控透视门
EP3650626A1 (en) Access control device
KR20210004498A (ko) 미닫이형 창호용 자동개폐장치 및 이를 이용한 미닫이형 창호
KR20230106282A (ko) 스마트 창호
KR101876811B1 (ko) 외부로 여닫이 개방과 하측 틸팅이 가능한 창호
US11822166B2 (en) Power transfer hinge for privacy glazing structure
CN205955541U (zh) 一种可内外翻转的门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