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7535A - 투수포장 시스템의 침투 및 증발 특성 평가장비 - Google Patents

투수포장 시스템의 침투 및 증발 특성 평가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7535A
KR20170027535A KR1020150124295A KR20150124295A KR20170027535A KR 20170027535 A KR20170027535 A KR 20170027535A KR 1020150124295 A KR1020150124295 A KR 1020150124295A KR 20150124295 A KR20150124295 A KR 20150124295A KR 20170027535 A KR20170027535 A KR 201700275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meable
casing
lower casing
sample
l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4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34988B1 (ko
Inventor
안재훈
신현석
김형원
Original Assignee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242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4988B1/ko
Publication of KR20170027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75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4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49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2Road-making materi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8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 area of porous materi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8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 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82Investigating permeability by forcing a fluid through a samp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38Concrete; Lime; Mortar; Gypsum; Bricks; Ceramics; Glass
    • G01N33/383Concrete or ce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7/00Analysing materials by measuring the pressure or volume of a gas or vapou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수포장 시스템의 침투 및 증발 특성 평가장비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투수 콘크리트 또는 투수 아스팔트 등의 투수포장시료(1)에 실험수가 침투되도록 상기 투수포장시료(1)를 수용하는 상부케이싱(100)과, 혼합골재로 이루어진 골재시료(2)를 수용하여 상기 상부케이싱(100)에 선택결합되며, 상기 실험수에 의해 적셔지는 상기 투수포장시료(1)와 상기 골재시료(2)의 다짐도, 높이에 따른 침투성 및 증발산 실험이 선택적으로 수행되는 하부케이싱(200)과, 상기 하부케이싱(200)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하부케이싱(200)의 하중을 측정하는 하중측정기(300)와, 상기 하부케이싱(200)에 연통되게 마련되어 상기 하부케이싱(200)으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실험수의 유량을 측정하는 티핑버킷(400) 및, 상기 하중측정기(300)와 상기 티핑버킷(400)에 연결되어 상기 하중측정기(300) 및 상기 티핑버킷(400)의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수집장치(5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투수포장 시스템의 침투 및 증발 특성 평가장비{Equipment to Evaluate Infiltration and Evaporation Characteristics of Permeable Pavement Systems}
본 발명은 투수포장 시스템의 침투 및 증발 특성 평가장비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노반층, 투수포장층, 혹은 노반층과 투수포장층으로 구성된 투수포장 시스템의 지표유출, 지하유출, 증발산 등의 강우 시 물순환과 관련된 특성을 보다 간편하고 정확하게 동시에 측정 가능하게 하는 투수포장 시스템의 침투 및 증발 특성 평가장비에 관한 것이다.
도시 홍수의 원인 중 하나로 도시화의 진행, 즉 건물과 포장면의 증가에 따른 도심 불투수면의 지속적인 증가를 들 수 있다. LID(저영향개발 : Low Impact Development)는 이러한 도시화에 따른 물순환의 왜곡을 해소하기 위한 대책 중 하나로서, 수문순환 상태를 도심 개발 이전에 가깝게 되도록 개발로 인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설계 기법 및 장치를 나타낸다.
투수성 포장시스템은 LID 기법 중 하나로서, 도심 면적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차로, 자전거도로, 주차장 등에 투수를 허용하는 효과적인 도심 물순환 및 방재를 위한 것으로, 투수성 포장시스템의 적용은 점차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투수성 포장시스템은 포장층과 하부 침투, 저류층으로 구성되며 그 예는 투수성 포장시스템의 단면예를 보여주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하지만, 이 같은 현실에 반해, 투수성 포장시스템의 수문학적 성능을 측정하기 위한 효과적인 시험방법의 부재로, 투수성 포장의 유출저감효과, 침투성, 증발 특성 등을 설계 시에 적절하게 평가,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기존의 투수성 포장의 투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시험방법으로, 한국등록특허 제10-1131767호 "투수포장재의 투수성능 지속성 검증 시험장치 및 방법"을 들 수 있다. 상기 문헌에 기술된 시험절차로는 투수성 포장재에 협잡물을 도포하고 진동을 가해 협잡물이 투수성 포장재 내부의 공극 내에 유입되게 한 뒤, 협잡물로 폐색된 투수성 포장재의 투수계수를 측정한다.
하지만, 상기 문헌의 시험장비 및 절차를 통해, 투수성 포장재 자체의 투수계수를 측정할 수 있으나, 실험 대상이 투수성 포장재에 한정되고 하부 침투, 저류층 혹은 투수성 포장재와 하부 침투, 저류층으로 구성된 투수성 포장시스템의 침투성을 측정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상기 문헌의 장비는 물순환 해석을 위한 입력변수의 하나인 투수계수를 산정하는데 쓰이며, 본 장비를 통해 투수성 포장시스템의 침투, 유출, 증발 특성 등을 직접적으로 평가할 수 없다.
이에 따라, 포장층과 하부 침투, 저류층으로 구성된 투수성 포장시스템의 침투, 유출, 증발 특성을 평가하고 이를 투수성 포장시스템의 설계에 반열할 수 있기 위해서는, 기존의 투수성 포장재의 투수계수 산정 시험 등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투수성 포장시스템의 침투 및 증발 특성을 효과적으로 산정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필요하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131767호 "투수포장재의 투수성능 지속성 검증 시험장치 및 방법"
(특허문헌 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905090호 "변수위 투수시험기"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지표유출, 지하유출, 증발산 등의 강우 시 물순환과 관련된 특성을 실험을 통해 직접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투수 투수포장 시스템의 침투 및 증발 특성 평가장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투수성 아스팔트 또는 투수성 콘크리트와 같은 다양한 포장층, 혹은 다양한 하부 침투층, 혹은 투수포장층과 하부 침투층으로 구성된 투수포장 시스템에 적용이 가능하고, 하부구조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투수포장 시스템의 침투 및 증발 특성 평가장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다양한 포장층과 하부구조의 침투량을 동시 측정가능하고, 다양한 포장층과 노반층의 다짐도 및 높이에 따른 다양한 강우강도와 유량을 적용한 침투량 및 증발량 측정이 가능한 투수포장 시스템의 침투 및 증발 특성 평가장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노반층의 침투성, 노반층과 투수포장층의 침투성 실험, 노반층과 투수포장층의 증발산 실험 등의 다양한 실험을 통해 투수포장에 대한 설계기준 및 시공에 대한 기준의 확립을 위한 실질적 실험을 기반으로 한 데이터의 구축이 가능한 투수포장 시스템의 침투 및 증발 특성 평가장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외부환경 변화조건을 고려한 증발량의 측정이 가능한 투수포장 시스템의 침투 및 증발 특성 평가장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비교적으로 간단한 구성으로 인해 실험을 위한 준비 및 실험방법이 용이하고 그에 따른 시간의 절감이 가능한 투수포장 시스템의 침투 및 증발 특성 평가장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및 기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투수 콘크리트 또는 투수 아스팔트 등의 투수포장시료(1)에 실험수가 침투되도록 상기 투수포장시료(1)를 수용하는 상부케이싱(100)과, 혼합골재로 이루어진 골재시료(2)를 수용하여 상기 상부케이싱(100)에 선택결합되며, 상기 실험수에 의해 적셔지는 상기 투수포장시료(1)와 상기 골재시료(2)의 다짐도, 높이에 따른 침투성 및 증발산 실험이 선택적으로 수행되는 하부케이싱(200)과, 상기 하부케이싱(200)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하부케이싱(200)의 하중을 측정하는 하중측정기(300)와, 상기 하부케이싱(200)에 연통되게 마련되어 상기 하부케이싱(200)으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실험수의 유량을 측정하는 티핑버킷(400) 및, 상기 하중측정기(300)와 상기 티핑버킷(400)에 연결되어 상기 하중측정기(300) 및 상기 티핑버킷(400)의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수집장치(5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수포장 시스템의 침투 및 증발 특성 평가장비를 제공한다.
상기 상부케이싱(100) 및 상기 하부케이싱(200)은 각각 셀구조로 마련되되, 상기 하부케이싱(200)은 상기 실험수의 투과 여부에 따른 투수셀(200a) 또는 불투수셀(200b) 구조로 각각 마련되어 상기 상부케이싱(100)의 선택적인 결합을 통해 상기 침투성 및 증발산 실험이 선택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케이싱(200)은 상기 투수셀(200a)의 독립된 단층구조시 상기 골재시료(2)에 침투성 실험을 행하여 노반층에 대한 침투성 측정이 가능하고, 상기 투수셀(200a) 또는 불투수셀(200b)의 선택된 하나에 상기 상부케이싱(100)이 결합된 복층구조시 상기 투수포장시료(1)와 상기 골재시료(2)에 침투성 또는 증발성 실험을 행하여 노반층과 투수포장층에 대한 침투량 또는 증발량 측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케이싱(200)은, 상기 골재시료(1)가 수용되는 케이싱(210)과, 상기 케이싱(210)에 결합되어 상기 케이싱(210)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높이조절구(220)와, 상기 케이싱(210)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실험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2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케이싱(200)은 내부에 수용되는 높이조절대(2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높이조절대(240)는 상기 하부케이싱(200)에 수용되는 상기 골재시료(2)를 상기 하부케이싱(200)의 높이방향으로 설정지점이 이동되도록 하여 상기 투수포장시료(1)와 상기 골재시료(2)간 높이에 따른 상기 침투량 측정이 조절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높이조절대(240)는 상기 케이싱(210)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골재시료(2)가 상부면에 안착되는 시료지지플레이트(242)와, 상기 시료지지플레이트(242)가 상기 케이싱(210)의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시료지지플레이트(242)를 지지하는 다리(244)로 이루어지되, 상기 다리(244)는 복수개로 마련된 소켓(246)이 선택결합되어 상기 시료지지플레이트(242)가 상기 케이싱(210)의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는 거리가 달라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중측정기(300)는, 상기 하부케이싱(20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케이싱(200)의 하중을 측정하는 하중계(310)와, 상기 하중계(310)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상기 하중계(310)에 결합되어 상기 하중계(310)을 설치위치로부터 이격되게 하는 승강조절구(320)와, 상기 하중계(310)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실험수와 같은 유체로부터 상기 하중계(310)가 보호되도록 하는 커버(3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케이싱(100)과 상기 하부케이싱(200)의 측면에는 상기 투수포장시료(1) 및 상기 골재시료(2)에 대한 상기 실험수의 유출량을 측정하는 지표유출량측정밸브(105, 205)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투수포장 시스템의 침투 및 증발 특성 평가장비는, 지표유출, 지하유출, 증발산 등의 강우 시 물순환과 관련된 특성을 실험을 통해 직접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투수성 아스팔트 또는 투수성 콘크리트와 같은 다양한 포장층, 혹은 다양한 하부 침투층, 혹은 투수포장층과 하부 침투층으로 구성된 투수포장 시스템에 적용이 가능하고, 하부구조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다양한 포장층과 하부구조의 침투량을 동시 측정가능하고, 다양한 포장층과 노반층의 다짐도 및 높이에 따른 다양한 강우강도와 유량을 적용한 침투량 및 증발량 측정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노반층의 침투성, 노반층과 투수포장층의 침투성 실험, 노반층과 투수포장층의 증발산 실험 등의 다양한 실험을 통해 투수포장에 대한 설계기준 및 시공에 대한 기준의 확립을 위한 실질적 실험을 기반으로 한 데이터의 구축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외부환경 변화조건을 고려한 증발량의 측정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아울러, 비교적으로 간단한 구성으로 인해 실험을 위한 준비 및 실험방법이 용이하고 그에 따른 시간의 절감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투수성 포장시스템의 단면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수포장 시스템의 침투 및 증발 특성 평가장비의 상부케이싱 도면 (a), 투수셀 구조의 하부케이싱 도면 (b), 불투수셀 구조의 하부케이싱 도면 (c)를 정면도로 함께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도면 (a)와 (b) 및 (c)를 사시도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수포장 시스템의 침투 및 증발 특성 평가장비의 사용시 상부케이싱과 투수셀 구조의 하부케이싱을 결합시킨 예를 도 2에 도시된 도면 (a)와 (b)의 결합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수포장 시스템의 침투 및 증발 특성 평가장비의 사용시 상부케이싱과 불투수셀 구조의 하부케이싱을 결합시킨 예를 도 2에 도시된 도면 (a)와 (c)의 결합으로 나타낸 도면.
도 6은 노반층의 침투성 측정을 위한 실험의 실시예를 도 2에 도시된 투수셀 구조의 하부케이싱 도면 (b)를 이용하여 단면도로 나타낸 도면.
도 7은 노반층과 투수포장층의 침투성 측정을 위한 실험의 실시예를 도 4에 도시된 도면을 이용하여 단면도로 나타낸 도면.
도 8은 노반층과 투수포장층의 증발산 측정을 위한 실험의 실시예를 도 5에 도시된 도면을 이용하여 단면도로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수포장 시스템의 침투 및 증발 특성 평가장비에 마련된 높이조절대의 상부방향의 사시도와 하부방향의 사시도를 함께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높이조절대의 승강이동을 위해 사용되는 복수개의 소켓이 높이조절대에 결합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수포장 시스템의 침투 및 증발 특성 평가장비에 설치된 하중측정기를 커버의 씌움상태와 분리상태로 함께 도시한 도면.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하중측정기의 분리상태를 사시도로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수포장 시스템의 침투 및 증발 특성 평가장비의 사용에 따른 설치예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수포장 시스템의 침투 및 증발 특성 평가장비의 상부케이싱 도면 (a), 투수셀 구조의 하부케이싱 도면 (b), 불투수셀 구조의 하부케이싱 도면 (c)를 정면도로 함께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도면 (a)와 (b) 및 (c)를 사시도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수포장 시스템의 침투 및 증발 특성 평가장비의 사용시 상부케이싱과 투수셀 구조의 하부케이싱을 결합시킨 예를 도 2에 도시된 도면 (a)와 (b)의 결합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수포장 시스템의 침투 및 증발 특성 평가장비의 사용시 상부케이싱과 불투수셀 구조의 하부케이싱을 결합시킨 예를 도 2에 도시된 도면 (a)와 (c)의 결합으로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수포장 시스템의 침투 및 증발 특성 평가장비의 사용에 따른 설치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수포장 시스템의 침투 및 증발 특성 평가장비(10)는 LID 투수포장층과 노반층의 침투성 및 증발산을 측정하는 장치로서, 상부케이싱(100), 하부케이싱(200), 하중측정기(300), 티핑버킷(400) 및, 데이터수집장치(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부케이싱(100)은 투수 콘크리트 또는 투수 아스팔트 등의 투수포장시료(1)에 실험수가 침투되도록 투수포장시료(1)를 수용한다. 이러한, 상부케이싱(100)은 도 2에 도시된 도면 (a)와 도 3에 도시된 도면 (a)를 참조하면, 상부와 하부가 개구된 "ㅁ"자 형상의 통상으로 마련되고, 강우모사기(미도시)를 통해 배출되는 실험수가 뿌려지게 되는 투수 콘크리트 또는 투수 아스팔트 등의 투수포장시료(1)가 내부의 공간에 수용된다. 이 상부케이싱(100)은 규격이 다른 복수개로 마련되어 내부에 수용된 투수포장시료(1)가 높이를 달리하여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게 바람직하며, 투수포장시료(1)가 높이를 달리하여 수용될 수 있는 구조이면 하나의 규격으로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부케이싱(100)은 일체형으로 마련되나 볼팅을 통한 착탈 조립의 분할된 구조로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며, 하부쪽 가장자리가 내측을 향하도록 단부접기되어 단부접기된 내측면에 투수포장시료(1)의 하부면이 안착되어 수용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단부접기외 별도의 타공판(미도시)을 하부에 결합시킨 후 투수포장시료(1)를 안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상부케이싱(100)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수포장시료(1)의 둘레면이 맞닿는 내측면에 수밀패드(102)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케이싱(200)은 혼합골재로 이루어진 골재시료(2)를 수용하여 상부케이싱(100)에 선택결합되며, 실험수에 의해 적셔지는 투수포장시료(1)와 골재시료(2)의 다짐도, 높이에 따른 침투성 및 증발산 실험이 선택적으로 수행된다. 하부케이싱(200)은 상부케이싱(100)에 대응되는 통상으로 마련되고, 내부에 혼합골재로 이루어진 골재시료(2)를 수용하여 상부케이싱(100)에 선택결합된다. 여기서, 하부케이싱(200)은 설정된 양으로 수용되는 골재시료(2)가 래머(lammer)(미도시)를 통해 다짐되어 내부에 수용된다. 또한, 하부케이싱(200)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케이싱(100)의 하부면이 맞닿는 상부면의 결합라인에 실링패드(202)에 의한 결합으로 방수가 가능하다. 이러한, 하부케이싱(200)은 스테인리스 재질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적당한 강도가 있는 플라스틱 재질로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하부케이싱(200)의 측면에는 내부의 상태가 식별되도록 투명창(204)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하부케이싱(200)은 도 2에 도시된 도면 (b)와 (c) 및 도 3에 도시된 도면 (b)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투량 측정용과 증발량 측정용으로 구분되어 상부케이싱(100)과 선택적인 결합이 이루어진다.
하부케이싱(200)은 케이싱(210), 높이조절구(220), 배출구(230)로 구성되며,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하부케이싱(200)은 도 2의 도면 (b)와 도 3의 도면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투량 측정용에 해당된다.
케이싱(210)은 직사각의 통상으로 마련되어 내부에 혼합골재로 이루어진 골재시료(2)가 수용되며, 상부는 개방되어 상부케이싱(100)이 결합되고 하부는 소정의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실험수가 일측으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때, 실험수가 배출되는 케이싱(210)의 배출측에는 배출구(230)가 마련된다. 이러한, 케이싱(210)은 설치지점의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상부에 위치될 수 있도록 측면의 가장자리로부터 설치지점의 지면까지 연장되는 프레임(212)에 결합되어 마련된다.
높이조절구(220)는 케이싱(210)에 결합되어 케이싱(210)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한다. 이러한, 높이조절구(220)는 설치지점의 지면에 단부가 지지되도록 프레임(212)의 지면측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회전을 통해 프레임(212)을 상하로 위치이동되도록 함으로써 후술될 하중측정기(300)의 상부에 하부케이싱(200)을 올릴 때 설치지점의 지면에 닿지 않도록 한다. 즉, 높이조절구(220)는 하부케이싱(200)의 하부와 설치지점의 지면간 사이의 간격이 멀어지게 회전됨으로써 하부케이싱(200)의 하부에 위치되는 하중측정기(300)가 용이하게 배치되도록 하거나, 하부케이싱(200)의 하부와 설치지점의 지면간 사이의 간격이 좁혀지게 반대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하중측정기(300)의 상부면에 케이싱(210)이 안착되어 하부케이싱(200)이 지면에 닿지 않고 하중측정기(300)의 상부면에 위치되도록 한다.
배출구(230)는 케이싱(210)의 일측에 결합되어 실험수가 외부로 배출된다. 즉, 배출구(230)는 실험수가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케이싱(210)의 하부에 소정의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된 케이싱(210)의 배출측 일측면에 마련되며, 이 배출구(230)에는 개폐를 통해 실험수의 배출을 조절하는 밸브(미도시)가 마련된다.
여기서,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수포장 시스템의 침투 및 증발 특성 평가장비에 마련된 높이조절대의 상부방향의 사시도와 하부방향의 사시도를 함께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높이조절대의 승강이동을 위해 사용되는 복수개의 소켓이 높이조절대에 결합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하부케이싱(200)은 내부에 수용되는 높이조절대(2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높이조절대(240)는 하부케이싱(200)에 수용되는 골재시료(2)를 하부케이싱(200)의 높이방향으로 설정지점이 이동되도록 하여 투수포장시료(1)와 골재시료(2)간 높이에 따른 침투성 측정이 조절되도록 한다.
높이조절대(240)는 도 4 및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료지지플레이트(242), 다리(244)로 이루어진다.
시료지지플레이트(242)는 케이싱(210)의 내부에 수용되어 골재시료(2)가 상부면에 안착된다. 이 시료지지플레이트(242)는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ㅁ"자 형상의 판체로 마련되되, 내부는 실험수가 통과될 수 있도록 그물망 구조 즉, 메시(mesh)형태로 형성되어 케이싱(210)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된다. 이 시료지지플레이트(242)는 실험시에 시료(1, 2)들이 실험수에 배출되는 공간에 들어가지 않도록 토목섬유(미도시)가 상부면에 설치된 후 골재시료(2)가 안착되는 것이 바람직한다. 따라서, 시료지지플레이트(242)는 토목섬유(미도시)에 의해 실험수의 배출에는 영향이 없고, 시료(1, 2)의 굵은 입자들은 토목섬유(미도시) 위에 잔여하게 된다.
다리(244)는 시료지지플레이트(242)가 케이싱(210)의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시료지지플레이트(242)를 지지한다. 다리(244)는 토목섬유(미도시)와 골재시료(2)가 안착되는 상부면의 반대인 하부면의 중심 및 가장자리에 각각 결합된다. 이러한, 다리(244)는 봉상으로 마련되어 일단이 케이싱(210)의 내부 바닥면에 지지되도록 시료지지플레이트(242)의 하부면에 결합된다. 이때, 도 4 및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케이싱(210)의 내부에는 시료지지플레이트(242)에 대응되는 형상의 플레이트지지대(214)가 마련되어 시료지지플레이트(242)에 결합된 복수개의 다리(244)가 지지됨으로써 경사진 하부를 갖는 케이싱(210)에 안정적으로 시료지지플레이트(242)가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리(244)는 복수개로 마련된 소켓(246)이 선택결합되어 시료지지플레이트(242)가 케이싱(210)의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는 거리가 달라지도록 한다. 즉, 봉상으로 마련된 각각의 다리(244)에 길이를 달리하여 마련된 각파이프 형태의 소켓(246)이 선택결합됨으로써 시료지지플레이트(242)가 위치되는 설정지점의 위치를 달리하도록 한다. 이는, 시료지지플레이트(242)의 설정지점을 변경되도록 함으로써 투수포장시료(1)와 골재시료(2)간 높이의 설정에 따른 침투성 측정이 다양한 환경에서 측정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바를 통해 본 발명의 투수포장 시스템의 침투 및 증발 특성 평가장비(10)는 다양한 포장층과 하부구조의 침투량을 동시 측정가능하고, 다양한 포장층과 노반층의 다짐도 및 높이에 따른 다양한 강우강도와 유량을 적용한 침투량 측정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하부케이싱(200)은 도 2의 도면 (c)와 도 3의 도면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210)과 높이조절구(220)로만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하부케이싱(200)은 증발량 측정용에 해당된다.
하부케이싱(200)은 전술된 침투량 측정용의 구성중 실험수가 배출되는 배출구(230) 및 높이조절대(240)가 제외되며, 소정의 경사를 이루는 하부가 설치지점의 지면에 평행하도록 마련된 케이싱(210)과 높이조절구(220)로 구성된다. 여기서, 증발량 측정용 하부케이싱(200)은 내부에 투입시킨 골재시료(2)를 평평하게 형성된 내부의 바닥면에 래머(rammer)로써 용이하게 다짐되도록 하여 보다 빠른 증발산 실험이 가능하게 한다. 이때, 실험은 골재시료(2)를 다진 후 강우모사기(미도시)로 설정된 양의 비(실험수)를 뿌린 후 증발량을 측정하게 된다. 이러한, 하부케이싱(200)은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나 상부케이싱(100)을 상부에 층상으로 결합시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증발산 실험을 위한 하부케이싱(200)을 대신하여 침투량 측정용 하부케이싱(200)의 배출구(230)를 개방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높이조절대(240)에 골재시료(2)를 안착시켜 증발량을 측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의 결합방식을 토대로 상부케이싱(100)과 하부케이싱(200)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노반층의 침투성 측정을 위한 실험의 실시예를 도 2에 도시된 투수셀 구조의 하부케이싱 도면 (b)를 이용하여 단면도로 나타낸 도면, 도 7은 노반층과 투수포장층의 침투성 측정을 위한 실험의 실시예를 도 4에 도시된 도면을 이용하여 단면도로 나타낸 도면, 도 8은 노반층과 투수포장층의 증발산 측정을 위한 실험의 실시예를 도 5에 도시된 도면을 이용하여 단면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상부케이싱(100) 및 하부케이싱(200)은 각각 셀구조로 마련되되, 하부케이싱(200)은 실험수의 투과 여부에 따른 투수셀(200a) 또는 불투수셀(200b) 구조로 각각 마련되어 상부케이싱(100)의 선택적인 결합을 통해 침투성 및 증발산 실험이 선택적으로 수행된다. 즉,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케이싱(100)은 투수식의 셀구조로 마련되고, 하부케이싱(200)은 침투성 및 증발산 실험이 가능한 투수셀(200a) 구조 및 증발산 실험만 가능한 불투수셀(200b) 구조로 각각 구분되는 셀구조로 마련된다. 이러한, 하부케이싱(200)은 투수셀(200a)의 독립된 단층구조시 골재시료(2)에 침투성 실험을 행하여 노반층에 대한 침투성 측정이 가능하고, 투수셀(200a) 또는 불투수셀(200b)의 선택된 하나에 상부케이싱(100)이 결합된 복층구조시 투수포장시료(1)와 골재시료(2)에 침투성 또는 증발산 실험을 행하여 노반층과 투수포장층에 대한 침투량 또는 증발량 측정이 가능하다. 전술한 바를 통해 본 발명의 투수포장 시스템의 침투 및 증발 특성 평가장비(10)는 다양한 포장층, 혹은 다양한 하부 침투층, 혹은 투수포장층과 하부 침투층으로 구성된 투수포장 시스템에 적용이 가능하고, 하부구조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따라서, 노반층의 침투성, 노반층과 투수포장층의 침투성 실험, 노반층과 투수포장층의 증발산 실험 등의 다양한 실험을 통해 투수포장에 대한 설계기준 및 시공에 대한 기준의 확립을 위한 실질적 실험을 기반으로 한 데이터의 구축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외부환경 변화조건을 고려한 증발계수의 측정이 가능하게 된다. 이를 통해, 지표유출, 지하유출, 증발산 등의 강우 시 물순환과 관련된 특성을 실험을 통해 직접적으로 평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상부케이싱(100)과 하부케이싱(200)의 측면에는 투수포장시료(1) 및 골재시료(2)에 대한 실험수의 유출량을 측정하는 지표유출량측정밸브(105, 205)가 더 구비된다. 지표유출량측정밸브(105, 205)는 도 2 내지 도 8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케이싱(100)과 하부케이싱(200)의 각각의 상부에서 대략 5cm 아래의 측면에 마련되는데, 이는 하부케이싱(200)에서 하부구조만 측정할 때 골재시료(2)에 대한 실험수의 유출량을 측정함으로써 지표의 유출량을 측정되도록 한다. 또한, 하부케이싱(200)의 상부구조에서 투수포장시료(1)에 대한 실험수의 유출량을 측정함으로써 투수포장층에 대한 지표 유출량 측정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러한, 지표유출량측정밸브(105, 205)는 상부케이싱(100)과 하부케이싱(200)의 상부에 대략 5cm 가량의 여유공간을 두도록 함으로써 상부를 통해 실험수가 외부로 쏟아져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지표유출량측정밸브(105, 205)는 상부에서 대략 5cm 아래의 측면에 마련된 것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이에 국한되진 않는다.
한편,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수포장 시스템의 침투 및 증발 특성 평가장비에 설치된 하중측정기를 커버의 씌움상태와 분리상태로 함께 도시한 도면,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하중측정기의 분리상태를 사시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하중측정기(300)는 하부케이싱(200)의 하부에 위치되어 하부케이싱(200)의 하중을 측정한다. 즉, 하중측정기(300)는 상부면에 프레임(212)을 통해 안착된 하부케이싱(200)의 하중을 측정한다. 여기서, 하중측정기(300)는 하부케이싱(200)만의 하중을 측정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각각의 시료(1, 2)가 수용된 하부케이싱(200) 및 상부케이싱(100)이 결합된 하부케이싱(200)의 모든 측정을 포함한다.
이러한, 하중측정기(300)는 도 11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중계(310), 승강조절구(320), 커버(330)로 이루어진다.
하중계(310)는 하부케이싱(200)의 하부에 설치되어 하부케이싱(200)의 하중을 측정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하중계(310)는 하중(힘)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로드셀(load cell)로 마련된다.
승강조절구(320)는 하중계(310)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하중계(310)에 결합되어 하중계(310)를 설치위치로부터 이격되게 한다. 즉, 승강조절구(320)는 하부케이싱(200)이 지면에 닿지 않도록 회전을 통해 프레임(212)을 상하로 위치이동시키는 높이조절구(220)처럼 하중계(310)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한다. 즉, 승강조절구(320)는 설치지점의 지면에 단부가 지지되도록 하중계(310)의 지면측 하부면 가장자리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을 통하여 하중계(310)와 설치지점의 지면간 사이 간격이 멀어지거나 좁혀지도록 함으로써, 설치지점에 존재하는 실험수 등의 유체로부터 하중계(310)를 보호한다. 또한, 승강조절구(320)는 하부케이싱(200)의 하부에 초기 설치된 하중계(310)의 상부면이 프레임(212)의 하부면에 밀착되도록 높이를 조절됨으로써 하부케이싱(200)이 하중계(310)의 상부에 보다 편리하게 안착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승강조절구(320)는 각각의 회전을 통해 수평조절을 위해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커버(330)는 하중계(310)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실험수와 같은 유체로부터 하중계(310)가 보호되도록 한다. 즉, 커버(33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중계(310)의 외부를 감싸도록 마련되어 유체에 약한 로드셀 즉, 하중계(310)가 실험수와 같은 유체로부터 보호되도록 한다.
티핑버킷(400)은 하부케이싱(200)에 연통되게 마련되어 하부케이싱(200)으로 부터 배출되는 실험수의 유량을 측정한다. 이러한, 티핑버킷(400)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케이싱(200)에 마련된 배출구(230)에 호스(도면부호 미기재) 등으로 연결되어 설치지점에 마련되며, 배출구(230)를 통해 배출되는 실험수의 배출량을 측정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티핑버킷(400)은 강우모사기(미도시)의 강우량, 상부 및 하부케이싱(100, 200)의 규격에 대응되도록 100ml, 300ml, 500ml의 3가지 측정용량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데이터수집장치(500)는 하중측정기(300)와 티핑버킷(400)에 연결되어 하중측정기(300) 및 티핑버킷(400)의 데이터를 수집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데이터수집장치(500)는 데이터로거(dater logger)로 마련되며, PC에 의해 하중측정기(300) 및 티핑버킷(400)의 데이터가 분석되도록 하중측정기(300) 및 티핑버킷(400)의 데이터 신호를 수집하여 PC로 보낸다.
전술된 바를 통해 본 발명의 투수포장 시스쳄의 침투 및 증발 특성 평가장비는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인해 실험을 위한 준비 및 실험방법이 용이하고 그에 따른 시간의 절감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전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투수포장 시스템의 침투 및 증발 특성 평가장비를 이용해 노반층 침투성 실험, 노반층과 투수포장층 침투성 실험 및, 노반층과 투수포장층의 증발산 실험의 방법을 도 6 내지 도 8 및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노반층 침투성 실험방법을 도 6을 참조하여 설면하면,
1단계, 혼합골재로 이루어진 골재시료(2)를 실험을 위한 설정양으로 준비한다. 이때, 시료의 최적함수비와 최대건조밀도를 측정하고, 다짐도와 시료무게를 산정한다.
2단계, 골재시료(2)를 투수셀(200a) 구조의 하부케이싱(200)에 넣고 래머(미도시)를 이용하여 다진다. 이때, 총 높이의 2층으로 분할하여 다진다.
3단계, 강우모사기(미도시)를 이용하여 강우강도를 측정하고, 골재시료(2)가 수용된 투수셀(200a) 구조의 하부케이싱(200)을 하중측정기(300)의 상부에 배치한다. 또한, 하중측정기(300)와 티핑버겟(400)을 데이터수집장치(500)에 연결한다.
4단계, 투수셀(200a) 구조의 하부케이싱(200) 위에 강우모사기(미도시)를 이용하여 비(실험수)를 뿌린다. 이때, 지표유출량과 투수셀(200a) 하부의 투수량을 측정한다. 이후, 결과값을 분석한다.
한편, 노반층과 투수포장층 침투성 실험을 도 7 및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1단계, 전술된 노반층 침투성 실험방법의 1단계를 실행한다.
2단계, 투수셀(200a) 구조의 하부케이싱(200)에 골재시료(2)를 넣고 래머(미도시)를 이용하여 다진다. 이때, 총 높이의 2층으로 분할하여 다진다. 또한, 투수셀 구조의 상부케이싱(100)에 투수 아스팔트 또는 투수 콘크리트의 투수포장시료(1)를 설치한다.
3단계 및 4단계, 전술된 노반층 침투설 실험방법의 3단계와 4단계를 순차적으로 실행한다.
끝으로, 노반층과 투수포장층 증발산 실험을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전술된 노반층과 투수포장층 침투성 실험과 동일한 방법으로 1단계, 2단계, 3단계의 실험을 수행한다.
이후, 4단계에서 투수셀 구조의 상부케이싱(100) 및 불투수셀(200b) 구조의 하부케이싱(200) 위에 강우모사기(미도시)를 이용하여 비(실험수)를 뿌린다. 이때, 같은 양의 비(실험수)를 뿌린 후 증발량을 측정하고, 그 결과값을 분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투수포장 시스템의 침투 및 증발 특성 평가장비는 지표유출, 지하유출, 증발산 등의 강우 시 물순환과 관련된 특성을 실험을 통해 직접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투수성 아스팔트 또는 투수성 콘크리트와 같은 다양한 포장층, 혹은 다양한 하부 침투층, 혹은 투수포장층과 하부 침투층으로 구성된 투수포장 시스템에 적용이 가능하고, 하부구조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다양한 포장층과 하부구조의 침투량을 동시 측정가능하고, 다양한 포장층과 노반층의 다짐도 및 높이에 따른 다양한 강우강도와 유량을 적용한 침투량 및 증발량 측정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노반층의 침투성, 노반층과 투수포장층의 침투성 실험, 노반층과 투수포장층의 증발산 실험 등의 다양한 실험을 통해 투수포장에 대한 설계기준 및 시공에 대한 기준의 확립을 위한 실질적 실험을 기반으로 한 데이터의 구축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외부환경 변화조건을 고려한 증발량의 측정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아울러, 비교적으로 간단한 구성으로 인해 실험을 위한 준비 및 실험방법이 용이하고 그에 따른 시간의 절감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은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1: 투수포장시료 2: 골재시료
10: 투수포장 시스템의 침투 및 증발 특성 평가장비
100: 상부케이싱 102: 수밀패드 105: 지표유출량측정밸브
200: 하부케이싱 202: 실링패드 204: 투명창
200a: 투수셀 200b: 불투수셀 205: 지표유출량측정밸브
210: 케이싱 212: 프레임 214: 플레이트지지대
220: 높이조절구 230: 배출구 232: 밸브
240: 높이조절대 242: 시료지지플레이트 244: 다리
246: 소켓 300: 하중측정기 310: 하중계
320: 승강조절구 330: 커버 400: 티핑버킷
500: 데이터수집장치

Claims (8)

  1. 투수 콘크리트 또는 투수 아스팔트 등의 투수포장시료(1)에 실험수가 침투되도록 상기 투수포장시료(1)를 수용하는 상부케이싱(100);
    혼합골재로 이루어진 골재시료(2)를 수용하여 상기 상부케이싱(100)에 선택결합되며, 상기 실험수에 의해 적셔지는 상기 투수포장시료(1)와 상기 골재시료(2)의 다짐도, 높이에 따른 침투성 및 증발산 실험이 선택적으로 수행되는 하부케이싱(200);
    상기 하부케이싱(200)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하부케이싱(200)의 하중을 측정하는 하중측정기(300);
    상기 하부케이싱(200)에 연통되게 마련되어 상기 하부케이싱(200)으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실험수의 유량을 측정하는 티핑버킷(400); 및,
    상기 하중측정기(300)와 상기 티핑버킷(400)에 연결되어 상기 하중측정기(300) 및 상기 티핑버킷(400)의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수집장치(5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수포장 시스템의 침투 및 증발 특성 평가장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싱(100) 및 상기 하부케이싱(200)은 각각 셀구조로 마련되되,
    상기 하부케이싱(200)은 상기 실험수의 투과 여부에 따른 투수셀(200a) 또는 불투수셀(200b) 구조로 각각 마련되어 상기 상부케이싱(100)의 선택적인 결합을 통해 상기 침투성 및 증발산 실험이 선택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수포장 시스템의 침투 및 증발 특성 평가장비.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싱(200)은 상기 투수셀(200a)의 독립된 단층구조시 상기 골재시료(2)에 침투성 실험을 행하여 노반층에 대한 침투성 측정이 가능하고, 상기 투수셀(200a) 또는 불투수셀(200b)의 선택된 하나에 상기 상부케이싱(100)이 결합된 복층구조시 상기 투수포장시료(1)와 상기 골재시료(2)에 침투성 또는 증발성 실험을 행하여 노반층과 투수포장층에 대한 침투량 또는 증발량 측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수포장 시스템의 침투 및 증발 특성 평가장비.
  4.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싱(200)은,
    상기 골재시료(1)가 수용되는 케이싱(210)과, 상기 케이싱(210)에 결합되어 상기 케이싱(210)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높이조절구(220)와, 상기 케이싱(210)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실험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2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수포장 시스템의 침투 및 증발 특성 평가장비.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싱(200)은 내부에 수용되는 높이조절대(2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높이조절대(240)는 상기 하부케이싱(200)에 수용되는 상기 골재시료(2)를 상기 하부케이싱(200)의 높이방향으로 설정지점이 이동되도록 하여 상기 투수포장시료(1)와 상기 골재시료(2)간 높이에 따른 상기 침투량 측정이 조절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수포장 시스템의 침투 및 증발 특성 평가장비.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대(240)는 상기 케이싱(210)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골재시료(2)가 상부면에 안착되는 시료지지플레이트(242)와, 상기 시료지지플레이트(242)가 상기 케이싱(210)의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시료지지플레이트(242)를 지지하는 다리(244)로 이루어지되,
    상기 다리(244)는 복수개로 마련된 소켓(246)이 선택결합되어 상기 시료지지플레이트(242)가 상기 케이싱(210)의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는 거리가 달라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수포장 시스템의 침투 및 증발 특성 평가장비.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중측정기(300)는,
    상기 하부케이싱(20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케이싱(200)의 하중을 측정하는 하중계(310)와, 상기 하중계(310)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상기 하중계(310)에 결합되어 상기 하중계(310)을 설치위치로부터 이격되게 하는 승강조절구(320)와, 상기 하중계(310)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실험수와 같은 유체로부터 상기 하중계(310)가 보호되도록 하는 커버(3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수포장 시스템의 침투 및 증발 특성 평가장비.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싱(100)과 상기 하부케이싱(200)의 측면에는 상기 투수포장시료(1) 및 상기 골재시료(2)에 대한 상기 실험수의 유출량을 측정하는 지표유출량측정밸브(105, 205)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수포장 시스템의 침투 및 증발 특성 평가장비.
KR1020150124295A 2015-09-02 2015-09-02 투수포장 시스템의 침투 및 증발 특성 평가장비 KR1017349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4295A KR101734988B1 (ko) 2015-09-02 2015-09-02 투수포장 시스템의 침투 및 증발 특성 평가장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4295A KR101734988B1 (ko) 2015-09-02 2015-09-02 투수포장 시스템의 침투 및 증발 특성 평가장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7535A true KR20170027535A (ko) 2017-03-10
KR101734988B1 KR101734988B1 (ko) 2017-05-24

Family

ID=58410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4295A KR101734988B1 (ko) 2015-09-02 2015-09-02 투수포장 시스템의 침투 및 증발 특성 평가장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4988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89497A (zh) * 2017-08-30 2017-11-24 中铁十六局集团置业投资有限公司 一种测定透水混凝土路面蒸发速率的装置和方法
KR20200001079A (ko) * 2018-06-26 2020-01-06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동수경사가 조절 가능한 다공성 포장 수평방향 투수계수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측정방법
KR102084589B1 (ko) * 2018-10-05 2020-03-04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현장 투수성 포장재의 효율적인 표면침투율 측정장치
CN111337403A (zh) * 2020-01-06 2020-06-26 四川大学 测量透水材料斜坡透水能力与水石/砂分离特性的实验装置
CN112285000A (zh) * 2018-01-18 2021-01-29 中国建筑材料科学研究总院有限公司 一种适用透水路面较大的透水系数测试装置
CN113203672A (zh) * 2021-04-30 2021-08-03 长安大学 一种评价和表征透水路面渗透特性方法
CN113758837A (zh) * 2021-09-03 2021-12-07 中交投资南京有限公司 透层乳化沥青渗透效果实验装置及实验方法
KR102338143B1 (ko) * 2020-11-12 2021-12-10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투수성 포장시스템의 미세입자 여과성능 및 투수계수 평가를 위한 모듈형 시험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110015A1 (en) 2018-10-04 2020-04-09 Saudi Arabian Oil Company Vugular Loss Simulating Vug Tester for Screening and Evaluation of LCM Products
KR102101034B1 (ko) * 2019-11-13 2020-04-21 주식회사 에이치큐테크 라이시미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5090B1 (ko) 2007-08-23 2009-06-30 곽정민 변수위 투수시험기
KR101131767B1 (ko) 2011-11-22 2012-04-05 서울특별시 투수포장재의 투수성능 지속성 검증 시험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1212B1 (ko) 2007-04-02 2008-04-1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터널 라이닝 콘크리트의 투수시험 장치
KR101523067B1 (ko) 2014-12-05 2015-05-27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투수계수 시험기 및 이를 이용한 투수시험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5090B1 (ko) 2007-08-23 2009-06-30 곽정민 변수위 투수시험기
KR101131767B1 (ko) 2011-11-22 2012-04-05 서울특별시 투수포장재의 투수성능 지속성 검증 시험장치 및 방법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89497A (zh) * 2017-08-30 2017-11-24 中铁十六局集团置业投资有限公司 一种测定透水混凝土路面蒸发速率的装置和方法
CN112285000B (zh) * 2018-01-18 2024-01-30 中国建筑材料科学研究总院有限公司 一种适用透水路面较大的透水系数测试装置
CN112285000A (zh) * 2018-01-18 2021-01-29 中国建筑材料科学研究总院有限公司 一种适用透水路面较大的透水系数测试装置
CN112326531A (zh) * 2018-01-18 2021-02-05 中国建筑材料科学研究总院有限公司 一种提高密封性的透水路面透水系数测试装置
CN112378831A (zh) * 2018-01-18 2021-02-19 中国建筑材料科学研究总院有限公司 一种减少冲击的透水路面透水系数测试装置
CN112326531B (zh) * 2018-01-18 2024-01-30 中国建筑材料科学研究总院有限公司 一种提高密封性的透水路面透水系数测试装置
CN112378831B (zh) * 2018-01-18 2024-01-30 中国建筑材料科学研究总院有限公司 一种减少冲击的透水路面透水系数测试装置
KR20200001079A (ko) * 2018-06-26 2020-01-06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동수경사가 조절 가능한 다공성 포장 수평방향 투수계수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측정방법
KR102084589B1 (ko) * 2018-10-05 2020-03-04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현장 투수성 포장재의 효율적인 표면침투율 측정장치
CN111337403A (zh) * 2020-01-06 2020-06-26 四川大学 测量透水材料斜坡透水能力与水石/砂分离特性的实验装置
CN111337403B (zh) * 2020-01-06 2021-07-02 四川大学 测量透水材料斜坡透水能力与水石/砂分离特性的实验装置
KR102338143B1 (ko) * 2020-11-12 2021-12-10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투수성 포장시스템의 미세입자 여과성능 및 투수계수 평가를 위한 모듈형 시험장치
CN113203672B (zh) * 2021-04-30 2023-09-12 长安大学 一种评价和表征透水路面渗透特性方法
CN113203672A (zh) * 2021-04-30 2021-08-03 长安大学 一种评价和表征透水路面渗透特性方法
CN113758837A (zh) * 2021-09-03 2021-12-07 中交投资南京有限公司 透层乳化沥青渗透效果实验装置及实验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4988B1 (ko) 2017-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4988B1 (ko) 투수포장 시스템의 침투 및 증발 특성 평가장비
KR101796629B1 (ko) 투수성 포장-지반 시스템의 폐색 및 오염물질 여과성능 시험장치
Sang et al. Determination of organic and inorganic hydrocarbon saturations and effective porosities in shale using vacuum-imbibition method
DK1982047T3 (en) VADOSE ZONE PROBE, PROCEDURE AND SYSTEM FOR MONITORING OF SOIL PROPERTIES
Lee et al. Performances of two instrumented laboratory models for the study of rainfall infiltration into unsaturated soils
CN103234840B (zh) 负孔隙水压控制吸力的非饱和土直剪试验装置
CN106769774A (zh) 一种防侧渗的恒压变水头的沥青路面渗水检测装置及方法
Egeli et al. Mechanism and modelling of shallow soil slope stability during high intensity and short duration rainfall
Ghavam-Nasiri et al. Water retention of geosynthetics clay liners: Dependence on void ratio and temperature
JP3861149B2 (ja) 地質構造及び水理のモデリング装置
Duong et al. Development of a large-scale infiltration column for studying the hydraulic conductivity of unsaturated fouled ballast
CN107421872A (zh) 一种评估不同因素对沥青路面透水性能影响的装置
CN102095674A (zh) 一种透水性铺装材料渗透性测试方法及其专用测试仪
Trautwein IN-SITU HYDRAULIC CONDUCTIVITY TESTS FOR COMPACTED SOIL LINERS AND CAPS REFERENCE: Trautwein, SJ, and Boutwell, GP," In Situ Hydraulic Conductivity Tests for Compacted Soil Liners and Caps," Hydraulic Conductivity and Waste Contaminant Transport in Soil. ASTM STP 1142
CN101963571A (zh) 水泥土屏障隔离法处置效果的室内检测方法
Logsdon et al. Macropore characterization by indirect methods
Pitanga et al. Measurement of gas permeability in geosynthetic clay liners in transient flow mode
CN206410977U (zh) 一种防侧渗的恒压变水头的沥青路面渗水检测装置
Andraski Properties and variability of soil and trench fill at an arid waste‐burial site
Nahlawi et al. Characterisation of geotextiles water retention using a modified capillary pressure cell
CN104359800A (zh) 检测防渗幕墙阻挡离子扩散效果的室内试验装置
CN203365432U (zh) 适于特殊粗粒土的土水特征曲线测试仪
Mendes et al. Characterisation of permeability to gas of geosynthetic clay liners in unsaturated conditions
CN201955291U (zh) 一种透水性铺装材料渗透性测试仪
Egloffstein et al. Multi-component geosynthetic clay liners: A product with new possibili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