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4589B1 - 현장 투수성 포장재의 효율적인 표면침투율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현장 투수성 포장재의 효율적인 표면침투율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4589B1
KR102084589B1 KR1020180119020A KR20180119020A KR102084589B1 KR 102084589 B1 KR102084589 B1 KR 102084589B1 KR 1020180119020 A KR1020180119020 A KR 1020180119020A KR 20180119020 A KR20180119020 A KR 20180119020A KR 102084589 B1 KR102084589 B1 KR 1020845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single ring
packaging material
permeable packaging
fo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9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재훈
이은구
신현석
Original Assignee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19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45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45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45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8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 area of porous materi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2Road-making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And Reinforcement Of Foundation Soil By Compacting Or Drain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싱글링과 가이드링과 프레스링 및 합성수지제 발포체로 이루어진 구조의 현장 투수성 포장재의 효율적인 표면침투율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현장 투수성 포장재의 효율적인 표면침투율 측정장치에 의하면, 싱글링 내부의 실험수가 외부로 누수되지 않도록 합성수지제 발포체를 장착시켜 간단히 설치하고, 현장 투수성 포장재의 공극을 오염시키지 아니하여 종래의 측정장치와는 달리 투수성 포장재의 공극을 폐색시키지 아니하여 정확하게 표면침투율을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표면침투율 측정장치의 싱글링은 ASTM C 1701에서 규정하고 있는 표면침투율 측정장치의 싱글링의 구조와 동일한 구조이므로 ASTM C 1701 대체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현장 투수성 포장재의 효율적인 표면침투율 측정장치{Efficient test device for surface infiltration rate of in place permeable pavement material}
본 발명은 현장 투수성 포장재의 효율적인 표면침투율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싱글링과 싱글링을 감싸는 가이드링 사이에 합성수지제 발포체를 장착시킨 후 프레스링으로 발포체를 압착하여 싱글링 내부의 실험수가 외부로 새지 않도록 한 구조의 표면침투율 측정장치로서, 종래의 표면침투율 측정장치와는 달리 현장에서 현장 투수성 포장재의 표면에 간단하게 설치가 가능하고, 싱글링 내부의 실험수가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합성수지제 발포체를 사용함으로서 종래의 측정장치와는 달리 투수성 포장재의 공극을 폐색시키지 아니하여 동일지점에서 반복실험을 하더라도 정확하게 표면침투율을 측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 투수성 포장재의 효율적인 표면침투율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투수성 포장 재료는 투수성을 확보하기 위해 높은 공극률을 가지고 있으므로 투수성 포장 재료를 시공한 다음 시간이 흐름에 따라 장마 또는 집중 호우 등에 의해 포장 재료의 공극 내에 이물질 등이 침투하여 공극 폐색에 의한 물의 침투속도가 저하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투수성 포장 재료는 시공 후 시간 경과에 따른 투수성 변화를 년 단위를 주기로 하여 동일 지점에서 반복적으로 측정하면서 침투 성능을 검증하고 지속적인 유지 관리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대단히 중요하다.
이와 같이 투수성 포장 재료가 시공된 현장의 투수성 포장 재료에 대한 투수성 포장의 표면 침투율 측정은 일반적으로 비특허문헌 1인 ASTM C 1701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ASTM C 1701(현장 콘크리트의 침투율에 대한 표준 시험 방법)은 현장에 시공된 투수성 콘크리트의 침투율을 측정하기 위하여 개발된 방법으로 도면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경 30 cm의 링 내부에 수두 1 cm를 유지하도록 물을 부어 표면 침투율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도면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싱글링을 투수성 포장 재료의 포장면과 밀착시킨 후 싱글링 내부로부터 외부로 실험수가 새어나가지 않도록 도면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싱글링과 바닥면이 접하는 부분에 지점토 또는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고정시킨 다음 물을 사용하여 사전 습윤(pre-wetting)을 실시한다. 이후, 다시 물을 싱글링 내부로 부어 본 실험을 실시하며, 투수성 포장 재료가 시공된 현장의 표면 침투율을 산정한다.
참고로 비특허문헌 2에도 싱글링 내부로부터 외부로 실험수가 새어나가지 않도록 도면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점토를 사용하여 싱글링을 투수성 포장 재료의 표면에 고정시킨 다음 물을 싱글링 내부로 부어 투수성 포장 재료가 시공된 현장의 표면 침투율을 측정하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그런데 투수성 포장 재료를 시공한 다음 시간이 흐름에 따라 장마 또는 집중 호우 등에 의해 투수성 포장 재료가 시공된 현장에서의 표면 침투율 변화를 측정하고자 할 경우, 현장의 일정 지점을 선택하여 투수성 포장 재료의 표면 침투율 변화를 측정하는 과정에서 도면 2 및 도면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점토를 사용하여 싱글링을 투수성 포장 재료의 표면에 고정시킬 경우, 싱글링의 고정방법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지점토가 투수성 포장 재료 내에 형성된 공극 내에 침투함으로써, 측정의 횟수가 증가할수록 공극의 폐색율이 높아지게 되므로 투수성 포장 재료의 표면 침투율 변화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다양한 종류의 표면침투율 측정장치들이 개발되어 특허출원되고 있다. 특허문헌 1은 도면 4의 (a) 및 (b)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케이싱(11)과 누수방지부(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투수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나 상기 누수방지부(13)가 고무튜브로서 상기 고무튜브가 팽창되도록 하는 내용물을 공급해주는 펌프(17)와, 상기 펌프(17)와 고무튜브를 연결하며, 상기 펌프로부터 공급되는 내용물을 상기 고무튜브로 전달해주는 호스(15)가 구비되어야 하는 복잡한 구조인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특허문헌 2는 도면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단이 개방된 관 형상의 시험기본체(100)와 상기 시험기본체(100)의 하단부 개방단면에 대응하는 크기의 제1개구부(210)가 형성된 플랜지부(200) 및, 상기 시험기본체(100)의 하단부 개방단면에 대응하는 크기의 제2개구부(310)가 형성된 고무패드(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투수시험장치가 알려져 있지만 상기 장치의 경우 하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단계적으로 증가하는 다단계 원통관 형상의 시험기본체(100)를 설치하여야 하는 복잡한 구조인 문제점이 있다.
특히, 상기 특허문헌 1, 2에 알려진 현장투수측정장치들은 복잡한 구조인 문제점이외에도 측정장치의 구조가 ASTM C 1701(현장 콘크리트의 침투율에 대한 표준 시험 방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표면침투율 측정장치인 도면 1에 도시된 싱글링의 구조와는 상이하여 ASTM C 1701에서 규정하고 있는 표면침투율 측정장치를 대체하기에는 많은 논란이 있을 여지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ASTM C 1701에서 규정하고 있는 표면침투율 측정장치와 동일한 장치를 이용하여 측정장치를 간단히 설치하여 효율적이고 정확하게 표면침투율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특허문헌 1 :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64914호(2011년 06월 15일 공개) 현장투수측정장치 특허문헌 2 :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5180호(2011년 08월 23일 공고) 현장투수시험장치
비특허문헌 1 : ASTM C1701 / C1701M - 17a Standard Test Method for Infiltration Rate of In Place Pervious Concrete(2017) 비특허문헌 2 : Potential Application of ASTM C 1701 for Evaluating Surface Infiltration of Permeable Interlocking Concrete Pavements(콘크리트 블록 포장 국제 회의, 상하이, 중국, David R. Smith 등 3명, 2012. 11. 24~26)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개발되었으며, 현장 투수성 포장재의 효율적인 표면침투율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싱글링과 싱글링을 감싸는 가이드링 사이에 합성수지제 발포체를 장착시킨 후 프레스링으로 발포체를 압착하여 싱글링 내부의 실험수가 외부로 새지 않도록 한 구조의 표면침투율 측정장치이다. 종래의 싱글링을 바닥면에 밀착시키기 위해 지점토 또는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싱글링을 고정시키는 표면침투율 측정장치와는 달리 표면침투율 측정장치의 설치가 간편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 투수성 포장재의 효율적인 표면침투율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종래의 표면침투율 측정장치의 경우 싱글링을 바닥면에 밀착시키기 위해 지점토 또는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싱글링을 고정시킴으로써, 지점토의 미립자가 투수성 포장 재료의 공극 내에 침투하여 공극 폐색 현상이 일어나므로 일정 시간 경과 후 표면침투율의 측정시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는 것과는 달리, 싱글링과 싱글링을 감싸는 가이드링 사이에 합성수지제 발포체를 장착시킨 후 프레스링으로 발포체를 압착하여 싱글링 내부의 실험수가 외부로 새지 않도록 한 구조의 표면침투율 측정장치이므로 현장 투수성 포장재의 공극을 폐색시키는 현상이 발생하지 아니하여 정확한 표면침투율을 측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 투수성 포장재의 효율적인 표면침투율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현장투수측정장치들은 복잡한 구조인 문제점이외에도 측정장치의 구조가 ASTM C 1701에서 규정하고 있는 표면침투율 측정장치의 싱글링의 구조와는 상이하여 ASTM C 1701에서 규정하고 있는 표면침투율 측정장치를 대체하기에는 많은 논란이 있을 여지가 있는데 반해, 본 발명에 따른 표면침투율 측정장치의 싱글링은 ASTM C 1701에서 규정하고 있는 표면침투율 측정장치의 싱글링의 구조와 동일한 구조이므로 ASTM C 1701 대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 투수성 포장재의 효율적인 표면침투율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과제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내부에 실험수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공간(21)을 갖는 싱글링(20)과; 상기 싱글링(20)의 직경에 비해 큰 직경을 갖고, 상기 싱글링(20)과 이격되어 이격공간(31)을 형성하여 상기 싱글링(20)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가이드링(30)과; 상기 싱글링(20)과 가이드링(30) 사이의 이격공간(31)에 삽입되고, 상기 싱글링(20)의 내부에 수용된 실험수가 바닥면을 통해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발포체(40)와; 상기 발포체(40)의 상부에 위치되고, 상기 발포체(40)에 하중을 가하기 위한 프레스링(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현장 투수성 포장재의 효율적인 표면침투율 측정장치에서 상기 싱글링(20), 가이드링(30) 및 프레스링(50)은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발포체(40)는 합성수지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현장 투수성 포장재의 효율적인 표면침투율 측정장치에서 상기 프레스링(50)의 내경은 상기 싱글링(20)의 외경보다 크고, 외경은 상기 가이드링(30)의 내경보다 작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현장 투수성 포장재의 효율적인 표면침투율 측정장치에서 상기 프레스링(50)은 내주면의 상측에 내측으로 손잡이(5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현장 투수성 포장재의 효율적인 표면침투율 측정장치에 의하면, 싱글링 내부의 실험수가 외부로 누수되지 않도록 합성수지제 발포체를 장착시켜 간단히 설치하고, 현장 투수성 포장재의 공극을 오염시키지 아니하여 종래의 측정장치와는 달리 투수성 포장재의 공극을 폐색시키지 아니하여 정확하게 표면침투율을 측정할 수 있고,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표면침투율 측정장치의 싱글링은 ASTM C 1701에서 규정하고 있는 표면침투율 측정장치의 싱글링의 구조와 동일한 구조이므로 대체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ASTM C 1701에서 규정하는 현장 투수성 포장재의 표면침투율을 측정하기 위한 싱글링을 나타낸 도면.
도 2 및 도 3은 ASTM C 1701에서 규정하는 싱글링을 사용하여 현장 투수성 포장재의 표면침투율을 측정하는 방법을 찍은 사진.
도 4 및 도 5는 종래의 현장 투수성 포장재의 표면침투율을 측정하는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현장 투수성 포장재의 효율적인 표면침투율 측정장치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현장 투수성 포장재의 효율적인 표면침투율 측정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현장 투수성 포장재의 효율적인 표면침투율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투수성 포장재의 표면 침투율을 측정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도 6 내지 도 8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병기한다. 한편,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도 6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현장 투수성 포장재의 효율적인 표면침투율 측정장치(10)는 싱글링(20), 가이드링(30), 발포체(40) 및 프레스링(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싱글링(20), 가이드링(30), 프레스링(50)은 소정의 높이를 갖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싱글링(20)은 내부에 실험수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공간(21)을 갖고, 가이드링(30)은 싱글링(20)을 감싸도록 외측에 위치되어 싱글링(20)과 가이드링(30) 사이에는 이격공간(31)이 형성되어 진다.
발포체(40)는 싱글링(20)과 가이드링(30) 사이의 이격공간(31)에 삽입되고, 싱글링(20)의 내부에 수용된 실험수가 바닥면을 통해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즉, 실험수는 투수성 포장재로 침투되도록 하고, 싱글링(20)의 외측으로는 누수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발포체(40)는 싱글링(20)과 가이드링(30) 사이의 이격공간(31)에 삽입시 억지끼움되어 삽입되도록 한다. 이는 발포체(40)가 이격공간(31) 상에서 공간을 형성하면 형성된 공간만큼 싱글링(20)이 움직이게 되어 싱글링(20)의 내부공간(21)에 수용된 실험수는 외부로 누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프레스링(50)은 발포체(40)의 상부에 위치되고, 발포체(40)에 하중을 가하여 발포체(40)가 투수성 포장재와 밀착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싱글링(20)과 가이드링(30) 사이의 이격공간(31) 상에서 자유롭게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즉, 프레스링(50)의 내경은 싱글링(20)의 외경보다 크고, 외경은 가이드링(30)의 내경보다 작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프레스링(50)은 내주면의 상측에 내측으로 손잡이(51)가 형성되어 발포체(40)의 상부에 위치될 시 이동이 용이하도록 한다. 또한, 프레스링(50)은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발포체(40)에 하중을 추가하여 누수방지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때, 추가로 하중을 가하기 위한 프레스링(50)의 직경은 내측으로 형성된 손잡이(51)에 안치될 수 있을 정도의 직경을 가져도 무방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현장 투수성 포장재의 효율적인 표면침투율 측정장치(10)에서 싱글링(20), 가이드링(30), 프레스링(50)은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지고, 발포체(40)는 합성수지제 재질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현장 투수성 포장재의 효율적인 표면침투율 측정장치(10)에 의하면, 싱글링(20) 내부의 실험수가 외부로 누수되지 않도록 합성수지제 발포체(40)를 장착시켜 간단히 설치하고, 현장 투수성 포장재의 공극을 오염시키지 아니하여 종래의 측정장치와는 달리 투수성 포장재의 공극을 폐색시키지 아니하여 정확하게 표면침투율을 측정할 수 있고,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표면침투율 측정장치(10)의 싱글링(20)은 ASTM C 1701에서 규정하고 있는 표면침투율 측정장치의 싱글링의 구조와 동일한 구조이므로 대체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현장 투수성 포장재의 효율적인 표면침투율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투수성 포장재의 표면 침투율을 측정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여 투수성 포장재의 표면 침투율을 측정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싱글링(20)을 측정하고자 하는 투수성 포장재에 위치시키고, 싱글링(20)을 감싸도록 가이드링(30)을 위치시킨다. 이후, 싱글링(20)과 가이드링(30) 사이의 이격공간(31)에 합성수지제 재질의 발포체(40)를 삽입한다. 그리고, 프레스링(50)을 발포체(40)의 상부에 위치시켜 하중을 가하게 된다. 이때, 필요에 따라 프레스링(50)은 추가로 적층시킬 수 있을 것이다. 프레스링(50)이 발포체(40)의 상부에 위치되면 싱글링(20)의 내부공간(21)에 실험수를 부어 실험수가 투수성 포장재로 침투되어 사라질때까지의 침투시간을 측정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현장 투수성 포장재의 효율적인 표면침투율 측정장치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현장 투수성 포장재의 효율적인 표면침투율 측정장치
20 : 싱글링 21 : 내부공간
30 : 가이드링 31 : 이격공간
40 : 발포체 50 : 프레스링
51 : 손잡이

Claims (4)

  1. 내부에 실험수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공간(21)을 갖는 싱글링(20)과;
    상기 싱글링(20)의 직경에 비해 큰 직경을 갖고, 상기 싱글링(20)과 이격되어 이격공간(31)을 형성하여 상기 싱글링(20)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가이드링(30)과;
    상기 싱글링(20)과 가이드링(30) 사이의 이격공간(31)에 삽입되고, 상기 싱글링(20)의 내부에 수용된 실험수가 바닥면을 통해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발포체(40)와;
    상기 발포체(40)의 상부에 위치되고, 상기 발포체(40)에 하중을 가하기 위한 프레스링(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 투수성 포장재의 효율적인 표면침투율 측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싱글링(20), 가이드링(30) 및 프레스링(50)은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발포체(40)는 합성수지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 투수성 포장재의 효율적인 표면침투율 측정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링(50)의 내경은 상기 싱글링(20)의 외경보다 크고, 외경은 상기 가이드링(30)의 내경보다 작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 투수성 포장재의 효율적인 표면침투율 측정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링(50)은 내주면의 상측에 내측으로 손잡이(5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 투수성 포장재의 효율적인 표면침투율 측정장치.
KR1020180119020A 2018-10-05 2018-10-05 현장 투수성 포장재의 효율적인 표면침투율 측정장치 KR1020845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9020A KR102084589B1 (ko) 2018-10-05 2018-10-05 현장 투수성 포장재의 효율적인 표면침투율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9020A KR102084589B1 (ko) 2018-10-05 2018-10-05 현장 투수성 포장재의 효율적인 표면침투율 측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4589B1 true KR102084589B1 (ko) 2020-03-04

Family

ID=69783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9020A KR102084589B1 (ko) 2018-10-05 2018-10-05 현장 투수성 포장재의 효율적인 표면침투율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45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297099A (zh) * 2023-03-20 2023-06-23 无锡江炟建设工程质量检测有限公司 一种海绵城市雨水渗透检测装置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8375A (ja) * 1993-12-08 1995-06-20 Arata Kawachino 現場透水試験装置
KR100821212B1 (ko) * 2007-04-02 2008-04-1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터널 라이닝 콘크리트의 투수시험 장치
KR20110064914A (ko) 2009-12-09 2011-06-15 주식회사 진토이엔씨 현장투수측정장치
KR200455180Y1 (ko) 2010-02-22 2011-08-2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현장투수시험장치
JP2012127673A (ja) * 2010-12-13 2012-07-05 Yonden Gijutsu Consultant:Kk 透水試験装置
CN105951704A (zh) * 2016-05-19 2016-09-21 中国电建集团成都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现场钻孔标准注水试验装置及试验方法
KR20170027535A (ko) * 2015-09-02 2017-03-10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투수포장 시스템의 침투 및 증발 특성 평가장비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8375A (ja) * 1993-12-08 1995-06-20 Arata Kawachino 現場透水試験装置
KR100821212B1 (ko) * 2007-04-02 2008-04-1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터널 라이닝 콘크리트의 투수시험 장치
KR20110064914A (ko) 2009-12-09 2011-06-15 주식회사 진토이엔씨 현장투수측정장치
KR200455180Y1 (ko) 2010-02-22 2011-08-2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현장투수시험장치
JP2012127673A (ja) * 2010-12-13 2012-07-05 Yonden Gijutsu Consultant:Kk 透水試験装置
KR20170027535A (ko) * 2015-09-02 2017-03-10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투수포장 시스템의 침투 및 증발 특성 평가장비
CN105951704A (zh) * 2016-05-19 2016-09-21 中国电建集团成都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现场钻孔标准注水试验装置及试验方法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비특허문헌 1 : ASTM C1701 / C1701M - 17a Standard Test Method for Infiltration Rate of In Place Pervious Concrete(2017)
비특허문헌 2 : Potential Application of ASTM C 1701 for Evaluating Surface Infiltration of Permeable Interlocking Concrete Pavements(콘크리트 블록 포장 국제 회의, 상하이, 중국, David R. Smith 등 3명, 2012. 11. 24~26)
줄눈 채움재 크기에 따른 투수 블록 포장의 표면 침투율 (J. Korean Soc. Hazard Mitig., 2017,17, 1, 227-233)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297099A (zh) * 2023-03-20 2023-06-23 无锡江炟建设工程质量检测有限公司 一种海绵城市雨水渗透检测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1690B1 (ko) 투수계수 측정장치
JP6274656B2 (ja) 透水試験方法及び透水試験装置
CN204188490U (zh) 一种碾压混凝土层间抗渗性能测试装置
KR20160144292A (ko) 콘크리트 투수성 시험 방법
JP2007198027A (ja) 原位置透水試験方法及びその装置
KR101796629B1 (ko) 투수성 포장-지반 시스템의 폐색 및 오염물질 여과성능 시험장치
KR101900706B1 (ko) 폐색을 고려한 투수성 포장재 및 기층재료의 비선형 투수특성 시험장비
KR102084589B1 (ko) 현장 투수성 포장재의 효율적인 표면침투율 측정장치
CN108152103A (zh) 一种饱和重塑黏性土环刀试样的制备装置及其使用方法
KR20070000122U (ko) 다공성 아스팔트 포장용 실내 정수위 투수시험 장치
CN105136645A (zh) 一种排水沥青混合料透水性能测试装置及其测试方法
CN102095643B (zh) 隧道接缝堵漏试验方法
CN105651674A (zh) 一种防水卷材的防窜水性能的检测方法
CN110296930A (zh) 一种现场测定透水路面渗透系数的装置及测试方法
CN202869937U (zh) 透层乳化沥青渗透试验仪
CN214374157U (zh) 一种水泥土渗透系数测定装置
KR20200001079A (ko) 동수경사가 조절 가능한 다공성 포장 수평방향 투수계수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측정방법
Daniel¹ et al. Measurement of hydraulic properties of geosynthetic clay liners using a flow box
KR100908314B1 (ko) 연직배수재의 통수능력 시험장치
JP2001214427A (ja) 地盤の透水試験方法
CN207379889U (zh) 一种可击实的透水测试装置
CN104458576B (zh) 一种防水卷材的防窜水性能的检测方法
CN206740600U (zh) 一种路面渗水测定仪
CN106769761A (zh) 一种现场测量透水混凝土渗透系数的方法及装置
CN207408281U (zh) 马歇尔变水头渗透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