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6041A - 금연 보조용 흡입 장치 및 카트리지 - Google Patents

금연 보조용 흡입 장치 및 카트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6041A
KR20170026041A KR1020150159877A KR20150159877A KR20170026041A KR 20170026041 A KR20170026041 A KR 20170026041A KR 1020150159877 A KR1020150159877 A KR 1020150159877A KR 20150159877 A KR20150159877 A KR 20150159877A KR 20170026041 A KR20170026041 A KR 201700260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onductor
battery
cartridg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9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24063B1 (ko
Inventor
황유안
황재용
Original Assignee
황유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유안 filed Critical 황유안
Publication of KR20170026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60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4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40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24F47/008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0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14Tobacco cartridges for pi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6Inhaling appliances shaped like cigars, cigarettes or pip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ulmo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e Of Tobacco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연 보조를 위한 흡입 장치에 있어서, 외기가 유입되는 제1 공극이 하단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내부에 배터리가 구비된 본체; 및 배터리로부터 공급된 전류로 발열하는 기화 모듈과, 기화 모듈의 외측 둘레를 감싸도록 마련되며 금연 보조를 위한 액상이 흡수된 섬유 소재의 액 저장 부재가 구비되어 본체의 하단에 결합되는 카트리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카트리지의 내부 전체를 연무량의 배출 통로로 사용하고, 제1, 2 전도체 및 고정 부재, 직물 부재는 제조가 용이한 중공형으로 외기의 유입 및 연무량의 배출을 간단한 구조로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화 모듈을 섬유 직물 및 실리콘의 소재로 제공하여 무게가 가볍고 제조 단가가 저렴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금연 보조용 흡입 장치 및 카트리지{SUCTION DEVICE AND CARTRIDGE FOR NON-SMOKING}
본 발명은 전자식 흡연욕구저하제인 금연 보조용 흡입 장치 및 카트리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저렴한 단가로 제조가 가능하면서 높은 연무량이 발생되는 금연 보조용 흡입 장치 및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담배는 니코틴, 타르, 일산화탄소, 탄화수소, 니트로아민, 아조염료 등의 인체에 유해한 각종 발암 유발 물질들을 많이 포함하고 있다. 이에 따라, 담배는 흡연자들로 하여금 폐암이나 후두암, 혈관 수축에 의한 버거씨 병 등과 같은 순환기 질환을 야기하여 높은 사망의 원인이 되고 있다.
최근, 금연운동이 사회적으로 널리 전개되고 있으나, 담배 연기의 성분 중 하나인 니코틴이 알칼리성으로 중독성이 심하고, 습관성 때문에 흡연자들은 담배를 쉽사리 끊지 못하고 있어서 실효를 거두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금연을 시도하는 흡연자들이 사용하는 제품으로 니코틴 껌, 패치, 사탕 또는 금연초와 전자 담배 등이 있다. 그러나 니코틴 껌, 패치, 사탕과 같은 제품은 흡연 습관에 따른 욕구를 억누르기 쉽지 않고, 금연초는 담배 특유의 향취가 상실되게 하는 것으로 맛이 쓰게 제조 되어 금연을 원하는 흡연자들이 선호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니코틴 껌, 패치, 사탕, 전자 담배는 모두 니코틴이 함유되어 있다.
이와 같이 니코틴이 함유된 전자 담배 및 시중의 제품들은 니코틴의 중독성을 완화시킬 순 있으나, 궁극적으로 흡연 억제에 도움이 미약한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또한, 일각에서는 니코틴이 함유된 전자담배가 사실상 더 큰 위험이 존재한다고 주장되고 있으며, 한국금연연구소에 따르면 전자담배를 사용하다가 머리가 어지럽고 속이 미식거리며 토하는 부작용 증세가 보고된바 있다. 또한, 2008년 세계보건기구(WHO)는 "전자 담배에 니코틴 이외에 무엇이 들어 있는지 알 수 없고, 티코틴에 열을 가해 분무 형태로 흡입하는 것이 건강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려진 바가 없다"라며 우려를 표명했으며, 호주, 캐나다, 홍콩 등 일부 국가에서는 사용을 금지한 상태이다.
전자 담배와 전자식 흡연욕구저하제는 니코틴 농축액이 함유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구분된다. 보다 상세하게, 전자식 흡연욕구저하제는 디바이스상 전자 담배와 유사하지만, 담배의 흡연욕구를 저하시키거나 충족시킬 금연 보조 목적으로 사용되는 니코틴 미함유 제품을 말한다. 이 경우, 전자식 흡연욕구저하제는 전자 담배와 달리 약사법상 의약 외품으로 분류되어 니코틴을 함유한 담배 대용품인 전자 담배 및 기타 보조 제품과 구분된다.
전자식 흡연욕구저하제는 담배를 만드는 연초잎에서 유해성분을 제거한 추출물인 '타바논' 함유량이 90% 이상으로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의약외품으로 허가를 받아야 한다.
2010년 식품의약품안전청은 흡연욕구저하제로 광고되는 또는 시판되는 전자식 흡연 장치는 실제로 타바논 함유량이 미달되어 흡연욕구저하제로 허가된 10개 제품 중 9개에 대한 부적합 판정을 내힌 바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은, 식품의약품안전청이 제시하는 기준으로 타바논을 제공할 경우, 타바논이 비교적 고가여서 전자식 흡입 장치의 제조 단가가 높아지기 때문이다.
전자담배 관련, 종래기술로는 한국등록특허 제0918785호가 있다. 상기 특허문헌에 개시된 전자담배는 신호 지시등 뚜껑, 신호 지시등, 전지, 회로기판, 미세형 기체 작동 스위치 및 제1 연결도체를 포함하는 컨트롤러와, 제2 연결도체, 기압보압실, 습기 억제부, 2차 액체 저장실, 가열기, 액체 유도기, 1차 액체 저장실 및 노즐을 포함하는 연기 발생기를 포함하여, 상기 제2 연결도체의 측면에는 공기 진입 구멍이 설치되고, 상기 제1 연결도체 및 상기 제2 연결도체를 통해 상기 컨트롤러와 접촉되는 상기 연기 발생기의 접촉면에 홈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종래기술은, 측면에 유입된 외기가 발생시키는 부압으로 스위치가 이동되어 접촉된다. 이 경우, 스위치에 연결되는 스프링, 플라스틱 막대, 이동 접촉부, 고정 접촉부의 구성 및 복잡한 벨브의 구조가 요구된다. 또한, 가열선의 작용에 의해 연기화된 액체는 1차 액체 저장실의 외측면의 공기 통로로 유출되는데, 기화된 연기가 충분히 발생되기에 공간이 협소하여 연무량이 높지 않은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의 종래기술은 스위칭부 및 회로기판이 컨트롤러의 하부에 마련됨에 따라 무게가 무거운 배터리가 컨트롤러의 상부에 배치되어 무게 중심이 앞으로 쏠리게 되고, 후단의 연기 발생기 부분을 손가락만으로 파지하는 사용자에게는 무겁게 느껴지는 문제점이 있다.
헤아려보면, 종래의 전자 담배 디바이스는 충분한 연무량을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구조가 복잡해져야 한다. 즉, 종래의 전자담배는 구조가 복잡하거나 다수의 구성을 구비해야 함에 따라 제조 단가가 상승하고, 이는 타바논을 고농도로 함유해야 하는 전자식 흡연욕구저하제로 제공되기에 적합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18785호
본 발명은 저렴한 단가로 제조가 가능한 간단한 구조의 금연 보조용 흡입 장치 및 카트리지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카트리지의 구조를 개선하여 많은 연무량을 배출할 수 있는 금연 보조용 흡입 장치 및 카트리지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흡입시 흡기가 용이하고 액상의 역류가 방지된 금연 보조용 흡입 장치 및 카트리지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무게 중심이 안정된 금연 보조용 흡입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금연 보조를 위한 흡입 장치에 있어서, 외기가 유입되는 제1 공극이 하단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내부에 배터리가 구비된 본체; 및 배터리로부터 공급된 전류로 발열하는 기화 모듈과, 기화 모듈의 외측 둘레를 감싸도록 마련되며 금연 보조를 위한 액상이 흡수된 섬유 소재의 액 저장 부재가 구비되어 본체의 하단에 결합되는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본체는, 배터리의 상부에 마련되고 사용자의 흡기로 발생된 부압을 감지하여 배터리의 전류를 도통시키는 스위치를 포함한 제어 모듈; 및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제2 공극이 형성되어 제어 모듈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 캡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본체는 내측에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본체의 하단에 삽입되는 연결구; 및 배터리의 하부에 마련되고 연결구를 일부 관통하여 하단이 노출되며, 상단은 제어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중공형의 제1 전도체를 더 구비하고, 제1 공극은 삽입된 연결구의 하단에 형성되며, 제1 전도체는 둘레에 실리콘이 패킹되어 상단 및 하단을 제외하고 절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는 본체와의 결합시 제1 공극으로부터 유입된 외기를 내측으로 통공시키기 위한 관통공이 형성된 몸체를 갖고 몸체의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되어 연결구에 스크류 결합되는 연결 단자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는 본체와의 결합시 제1 전도체와 접촉되는 중공형의 제2 전도체를 더 구비하고, 제2 전도체는 연결 단자에 삽입되어 연결 단자의 내측에 노출되는 돌출된 헤드와, 실리콘이 패킹되어 절연되는 바디와, 바디의 아래쪽으로 신장되어 기화 모듈에 삽입되는 레그 구조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제2 전도체는 연결 단자의 관통공으로 통공된 외기가 제2 전도체의 중공으로 유입되어 레그의 하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헤드에 홈이 패여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기화 모듈은 삽입공이 형성된 고정 부재; 고정 부재의 하부에 결합된 튜브 형상의 직물 부재; 직물 부재를 횡방향으로 관통하여 고정되고, 직물 부재의 외부로 노출된 부분이 액 저장 부재와 접촉되어 액 저장 부재에 흡수된 액상이 전달되는 액 유도 섬유; 및 고정 부재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걸림 고정되는 고리 형상으로, 액 유도 섬유의 노출된 부분에 감겨지는 열선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열선은 배터리로부터 공급된 전류로 발열하여 액 유도 섬유에 전달된 액상을 기화시키고, 액상이 기화되어 생성된 연기는 직물 부재의 내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직물 부재는 튜브가 절단되지 않을 정도로 튜브의 일부분이 상방향으로 슬라이스 커팅되고, 액 유도 섬유는 슬라이스 커팅된 골에 끼움 고정되며, 직물 부재는 내부의 공기 팽창에 따라 튜브의 일부가 개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연 보조용 흡입 장치.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금연 보조용 흡입 장치는 카트리지의 하단에 결합되고 흡입공이 형성된 하부 캡을 더 구비하고, 하부 캡은 카트리지의 내부에서 액 저장 부재와 이격되도록 결합되어 카트리지의 내측 하부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하부 캡은 내측에 흡입공의 주위로 융기된 둔덕이 형성되어 액상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금연 보조를 위한 액상에는 타바논 오일이 90%이상 함유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금연 보조를 위한 흡입 장치용 카트리지에 있어서, 배터리로부터 공급된 전류로 발열하는 기화 모듈; 및 기화 모듈의 외측 둘레를 감싸도록 마련되며 금연 보조를 위한 액상이 흡수된 섬유 소재의 액 저장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카트리지의 내부 전체를 연무량의 배출 통로로 사용하고, 제1, 2 전도체 및 고정 부재, 직물 부재는 제조가 용이한 중공형으로 외기의 유입 및 연무량의 배출을 간단한 구조로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화 모듈을 섬유 직물 및 실리콘의 소재로 제공하여 무게가 가볍고 제조 단가가 저렴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2 전도체는 기화 모듈 내로 외기를 유입하여 가열 효율을 높이고 고정 부재에 삽입되는 레그 구조로 배터리의 전류를 도통시키면서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기화 모듈 및 전도체의 구성이 간단해지며 제조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화 모듈의 직물 부재를 상방향으로 슬라이스 커팅함으로써 제조시 액 유도 섬유를 쉽게 끼워넣을 수 있다. 또한, 절단되지 않는 정도로만 슬라이스 커팅된 직물 부재는 흡기 시에는 튜브형의 모양을 유지하되, 열선의 가열에 따라 발생되는 내부 공기의 미소량의 팽창에 따라 적정 수준으로만 개구되어 튜브 내의 기화 연기가 액 저장 부재를 통과하여 카트리지 내부 전체에 퍼지게끔 함으로써 보다 풍부한 연무량을 발생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상방향으로 슬라이스 커팅된 직물 부재는 흡기시 액 유도 섬유가 빠지지 않을 정도로만 개구되어 안정적으로 기화가 일어남과 동시에 연무량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위치를 동작시키는 상부 캡의 제2 공극 외에 본체 하단 추가적인 제2 공극이 형성되어 사용자의 흡기가 용이하게 함으로써 장시간 흡입하여도 어지러움증과 같은 증상을 유발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이 경우, 제2 전도체의 헤드는 본체와 결합시 제1 전도체와 접촉되면서도 제1 공극으로 유입된 공기를 기화 모듈의 내측으로 공급시킬 수 있는 구조로 제공되어 기화된 연기를 쉽게 배출시킬 수 있고, 열선의 가열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흡기로 작동되는 스위치로 부압 센서를 사용하기 때문에, 제어 모듈이 본체의 상부에 자연스럽게 마련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체의 중하단에 비교적 무거운 배터리가 배치되어 무게 중심이 안정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연 보조용 흡입 장치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연 보조용 흡입 장치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화 모듈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화 모듈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후방 모습을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예시적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 참조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이해되거나 보다 분명해 질 수 있으며, 하기의 기재만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연 보조용 흡입 장치(1)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금연 보조용 흡입 장치(1)는 본체(10)와 카트리지(50)의 체결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본체(10)는 흡연 억제용 액상을 기화하기 위한 전력을 제공하는 부분이고, 카트리지(50)는 액상의 담지 및 기화가 이루어지는 부분이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흡입 장치(1)는 본체(10)를 카트리지(50)와 분리한 후 본체(10)의 하단을 별도의 충전 단자와 연결하여 본체(10)를 반 영구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카트리지(50)의 경우 액상의 소모가 완료되면 교체되는 일회용으로 제공될 수 있다. 카트리지(50)에 담지된 금연 보조를 위한 액상에는 타바논 오일이 90%이상 함유되어야 한다. 교체용인 카트리지(50)는 약 1mg의 액상이 담지됨이 바람직하다.
타바논 오일은 흡입시 한약 같은 향이 나며 멘톨 등의 천연향의 맛이 나고, 담배 냄새처럼 역하지 않다. 종래의 전자 담배에는 타바논의 비중이 적고, 니코틴과 같은 혼합 물질이 첨가되어 장시간 사용시 역한 향이 나게 된다. 따라서, 전자 담배를 사용하는 대부분의 흡연자들은 이질적인 맛의 이유로 사용을 그만두고 금연에 실패하게 된다. 혼합 물질이 거의 첨가되지 않는 90% 이상의 타바논은 담배 원액으로서 실제 흡연의 욕구를 충족시킬 뿐만 아니라, 기화시 느껴지는 맛 또한 역하지가 않아 금연 억제의 효과가 있다. 이러한 점을 이유로 식품의약품안전처 또한 타바논을 90% 이상 함유한 제품을 흡연욕구저하제의 기준으로 제시하고 있다.
타바논 원액은 고가라는 비용상 부담이 있으므로, 타바논 오일을 90%이상 함유한 흡입 장치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저렴한 제조 단가로 제조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금연을 위한 습관을 점진적으로 교정할 수 있도록, 흡입 장치는 풍부한 연무량을 발생시켜 흡연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어야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50)는 일회용의 목적으로 제공되어 별도의 액상 충전을 위한 구성을 요하지 않아 간단한 기화 구조로 제조가 가능하다. 일회성의 카트리지(50)는 액상을 혼합해 사용하는 제품이 아닌 제조된 상태로 공급되기 때문에 중간 소비자가 자의적으로 니코틴을 추가할 수 없어 그 품질이 보증될 수 있다.
또한, 후술하게 되는 카트리지(50)의 구조에 의하면 기화를 위한 구성요소로 제조 단가가 낮은 소재를 이용하게 된다. 특히, 기화를 위한 구성은 모두 인체에는 무해하면서, 액상의 기화시 높은 연무량을 발생시킬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사용자는 카트리지(50)의 교체 및 본체(1)의 충전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금연 보조용 흡입 장치(1)를 반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연 보조용 흡입 장치(1)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금연 보조용 흡입 장치(1)는 본체(10)에 상부 캡(11), 제어 모듈(105), 배터리(103), 제1 전도체(107), 및 연결구(101)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외기가 유입되는 제1 공극(1011)이 하단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고, 배터리(103)는 내부의 중하단에 구비될 수 있다. 카트리지(50)는 제2 전도체(503), 연결 단자(501), 기화 모듈(505), 액 저장 부재(507), 및 하부 캡(51)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체(10) 내에 구비되거나 결합되는 구성 및 특징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어 모듈(105)은 배터리(103)의 상부에 마련되고, 사용자의 흡기로 발생된 부압을 감지하여 배터리(103)의 전류를 도통시키는 스위치(미도시)와 전류의 도통시 발광되는 LED(1051)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로, 스위치로는 부압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부압 센서는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의 압력으로 ON 동작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본 실시예에 따른 흡입 장치(1)를 입에 물고 흡기하게 될 경우, 스위치는 제2 공극(111)으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감지하여 ON 동작되며, 배터리(103)의 전류가 통전되고 LED(1051)가 발광된다. 사용자의 흡기가 끝나면 공기압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스위치 및 LED(1051)는 자동으로 OFF 동작된다.
제어 모듈(105)은 배터리(103)의 상부 측으로 배치되어 본체(10)의 최상단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체(10)의 중하단에 비교적 무거운 배터리(103)가 배치되며, 전도체를 제외한 별도의 구성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무게 중심이 보다 안정될 수 있다.
제어 모듈(1051)은 도전체를 통해 배터리(103) 및 제1 전도체(107)와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로, 도전체는 3가닥의 전선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1 전선은 제어 모듈(105)과 배터리(103)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제2 전선은 접지된다. 제3 전선은 제어 모듈(105)과 제1 전도체(107)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이에 따라 배터리(103)의 전류는 제어 모듈(105) 및 제1 전도체(107)로 공급된다.
상부 캡(11)은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제2 공극(111)이 형성되어 제어 모듈(105)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외부의 공기는 사용자의 흡기시 상부 캡(11)의 제2 공극(111)으로 유입되어 스위치를 동작시킨다.
연결구(101)는 내측에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본체(10)의 하단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공극(1011)은 연결구(101)의 하단에 마련될 수 있다. 연결구(101)에는 제1 전도체(107)가 삽입 고정되며, 카트리지(50)는 연결구(101)를 통해 본체(10)와 결합된다. 연결구(101)는 본체(10)의 내측으로 요입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1 전도체(107)는 배터리(103)의 하부에 마련되고, 연결구(101)를 일부 관통하여 하단(1073)이 노출되며, 상단(1072)은 제어 모듈(105)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전도체(107)는 제1 공극(111)으로부터 유입된 외기를 카트리지(50)로 전달할 수 있도록 중공형으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제1 전도체(107)의 상단은 제3 전선을 통해 제어 모듈(105)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전도체(107)의 중단은 둘레에 실리콘(1072)이 패킹된다. 제1 전도체(107)는 상단(1071) 및 하단(1073)을 제외하고 절연될 수 있다.
이하, 카트리지(50) 내에 구비되거나 결합되는 구성 및 특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50)는 실제 담배와 같이 말랑하게 깨물어지는 필터의 유연성을 모사하기 위하여 PE(Polyethylene) 소재로 제공될 수 있다. PE 폼은 반경질의 독립기포를 포함하여 역학적 성질이 좋고 유연성이 있으며, 충격흡수성이 대단히 우수하여 건축용 소재로 이용되고 있다. PE 소재는 흡수성이 없으며 내약품성, 내후성이 우수하고 전기 절연성이 좋으며 무독, 무취이고 단가 또한 저렴하다.
종래에는 PE 폼을 건축 토목, 차량, 선박, 포장 분야에서 벽간틈새, 단열, 방음, 완충을 위하여 주로 사용되었으나, 이와 같은 PE 소재의 특성은 실제 담배의 필터를 모사하기에 특히 적합하다. 사용자가 깨물 수 있는 본 카트리지(50) 부분은 인체에 무해한 소재를 사용해야 하며 지나치게 물렁하면(ex. 실리콘) 이(teeth)의 가압력을 견디지 못하여 찢어질 수 있다. 즉, 카트리지(50)의 소재는 카트리지(50) 내부에 결합되는 전도체나 기화 모듈을 고정할 수 있어야 하며, 지나치게 물렁하지 않고 인체에 무해해야 한다. 이를 고려하여 선택한 PE 소재는 사용자가 금연 보조용 흡입 장치(1)를 이로 물었을시 거부감 없이 충격을 완화하여 실제 담배와 유사한 느낌을 줄 수 있다.
연결 단자(501)는 본체(10)와의 결합시 제1 공극(111)으로부터 유입된 외기를 내측으로 통공시키기 위한 관통공(5013)이 형성된 몸체(5011)를 갖고, 몸체(5011)의 상부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되어 연결구(101)에 스크류 결합될 수 있다. 연결 단자(501)는 카트리지(50)의 상부에 결합되어 위측으로 볼록한 돌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카트리지(50) 측 연결 단자(501)가 돌출된 형상으로 제공되는 경우, 연결 단자가 요입된 구조의 카트리지 보다 카트리지(50)의 내부 체적(공간)이 돌출된 부분 만큼 증가된다. 본체(10)의 후단에 결합되는 카트리지(50) 내부에서는 기화가 일어나기 때문에, 카트리지(50)의 체적이 높아질수록 기화된 연기가 많이 담지될 수 있으므로 연무량의 발생이 많아질 수 있다.
제2 전도체(503)는 카트리지(50)의 상부에 마련되며, 본체(10)와의 결합시 제1 전도체(107)와 접촉되는 중공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2 전도체(503)는 제1 전도체(107)와 접촉되어 제1 전도체(107)의 전류를 하기의 열선(5057)으로 공급한다.
제2 전도체(503)는 연결 단자(501)에 삽입되어 연결 단자(501)의 내측에 노출되는 돌출된 헤드(5031)와 실리콘이 패킹되어 절연되는 바디(5033)와, 바디(5033)의 아래쪽으로 신장되어 기화 모듈(505)에 삽입되는 레그(5035) 구조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2 전도체(503)의 헤드(5031)는 돌출되어 제1 전도체(107)와 접촉된다. 이 경우, 제2 전도체(503)는 연결 단자(501)의 관통공(5013)으로 통공된 외기가 제2 전도체(503)의 중공으로 유입되어 레그(5035)의 하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헤드(5031)에 홈(50311)이 패여질 수 있다.
레그(5035)는 신장된 구조로 기화 모듈(505)의 고정 부재(5051)에 삽입 고정된다. 이 경우, 고정 부재(5051)의 내측으로 삽입된 고리 형상의 열선(5057)이 걸려있기 때문에 레그(5035)는 삽입만으로 열선(5057)과 접촉 및 고정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화 모듈(505)을 나타낸다. 기화 모듈(505)은 배터리(103)로부터 공급된 전류로 발열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기화 모듈(505)은 고정 부재(5051), 직물 부재(5053), 액 유도 섬유(5055), 및 열선(5057)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부재(5051)는 상부의 직경이 하부의 직경보다 큰 삽입공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 부재(5051)는 실리콘의 소재로 제공될 수 있다. 고정 부재(5051)는 하부의 직물 부재(5053) 및 열선(5051)을 고정한다. 고정 부재(5051)의 하단은 직물 부재(5053)의 내경과 대응되는 직경으로 신장 형성되어 직물 부재(5053)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직물 부재(5053)는 고정 부재(5051)의 하부에 결합된 튜브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직물 부재(5053)는 촘촘히 얽혀진 직물로, 튜브 내측을 완전히 밀폐하지 않으면서 신장된 튜브 형상을 유지한다.
직물 부재(5053)는 튜브가 절단되지 않을 정도로 튜브의 일부분이 상방향으로 슬라이스 커팅(50531)될 수 있다. 슬라이스 커팅(50531)에 따라 직물 부재(5053)는 내부의 공기 팽창에 따라 튜브의 일부가 개구될 수 있다. 제1 공극(111) 및 제2 공극(1011)으로부터 유입된 공기는 제2 전도체(503)의 내측을 통과하여 직물 부재(5053)의 튜브 내측으로 통공된다. 따라서, 기화된 연기의 대다수는 직물 부재(5053)의 내측을 통해 하부 캡(51)으로 배출된다.
이 경우, 카트리지(50)의 내부는 연무량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기화된 연기가 머무를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확보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직물 부재(5053)의 튜브 내측에서 발생된 기화된 연기를 튜브 외측으로 배출시켜 액 저장 부재(507)를 통해 카트리지 내부 전체에 머무르게 할 경우, 카트리지(50)의 체적에서 최대한의 연무량을 발생시킬 수 있다.
직물 부재(5053)를 절단되지 않을 정도로만 커팅(50531)할 경우, 직물 부재(5053)의 튜브 내측 및 외측의 공기 순환을 상승시켜 전술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직물 부재(5053)의 커팅은 고정 부재(5051)와 결합되는 상부 방향으로 슬라이스 커팅됨이 바람직하다. 커팅이 직물 부재(5053)의 하부 방향으로 이루어질 경우, 사용자의 흡기로 직물 부재(5053)가 과도하게 개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팅된 골에 고정되는 액 유도 섬유(5055)가 흐트러짐으로써 기화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직물 부재(5053)의 커팅은 밑에서 위쪽 방향으로 슬라이스 되어, 사용자의 흡기시 튜브의 형상은 유지되면서 과도하지 않게 개구되는 효과가 있다.
액 유도 섬유(5055)는 직물 부재(5053)를 횡방향으로 관통하여 고정될 수 있다. 액 유도 섬유(5055)는 슬라이스 커팅(50531)된 골에 끼움 고정될 수 있다. 직물 부재(5053)의 커팅은 제조시 액 유도 섬유(5055)를 쉽게 고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로, 액 유도 섬유(5055)는 아크릴 소재의 유연한 섬유로 제공될 수 있다. 액 유도 섬유(5055)처럼 플렉서블한 소재를 직물 부재(5053)를 관통시켜 고정하는 것은 제조상 용이하지 않다. 하지만, 본 실시예와 같이 직물 부재(5053) 튜브의 중단부에 내측으로 절반 정도만 슬라이스로 커팅시킬 경우, 제조시 커팅(50531) 된 골에 유연한 액 유도 섬유(5055)를 쉽게 끼워 고정시킬 수 있다.
액 유도 섬유(5055)는 직물 부재(5053)의 외부로 노출된 부분이 액 저장 부재(507)와 접촉되어 액 저장 부재(507)에 흡수된 액상이 전달될 수 있다. 액 유도 섬유(5055)는 직물 부재(5053)의 커팅부(50531)의 내측에서 열선(5057)에 감겨질 수 있다. 또는, 액 유도 섬유(5055)는 커팅부(50531)의 외부로 노출된 양측 원위부에 열선(5057)이 감겨질 수 있다.
액 저장 부재(507)는 기화 모듈(505)의 외측 둘레를 감싸도록 마련되며 금연 보조를 위한 액상이 흡수된 섬유 소재로 제공될 수 있다. 금연 보조를 위한 액상으로는 전술한 바와 같이 타바논 오일이 90%이상 함유됨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로 액 저장 부재(507)는 부직포 소재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흡입 장치(1)는 카트리지(50)가 일회용으로 제공된다. 카트리지(50)에는 액상 약 1mg 정도만 담지되기 때문에 부직포 섬유의 소재로 액상을 저장하여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다. 섬유에 흡수된 형태로 액을 저장할 경우, 액상의 누출 및 역류를 방지하기 용이하다. 또한, 추가적으로 액을 주입할 수 없으므로 제3 자가 니코틴 등 저렴한 혼합 액상을 첨가할 수 없어 제조시의 품질을 담보할 수 있다.
액 저장 부재(507)는 직물 부재(5053)의 외측 둘레를 감싸도록 제조된다. 이에 따라 액 저장 부재(507)와 액 유도 섬유(5055)는 자연스럽게 접촉되어 액상이 전달 될 수 있으며, 별도의 고정 부재가 요구되지 않는다.
액 저장 부재(507)는 부직포 소재의 섬유이므로 내부에 공극이 존재한다. 따라서, 카트리지(50) 내체 구비되어도 기화된 연기가 머무를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됨과 동시에 액을 저장할 수 있는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열선(5057)은 배터리(103)로부터 공급된 전류로 발열하여 액 유도 섬유(5055)에 전달된 액상을 기화시킬 수 있다. 액상이 기화되어 생성된 연기는 전술한 바와 같이 직물 부재(5053)의 내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열선(5057)은 고정 부재(5051)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걸림 고정되는 고리 형상일 수 있다. 열선(5057)의 절곡된 고리 부분은 고정 부재(5051)의 상측에 걸리고, 열선(5057)의 하부는 필라멘트 소재로 액 유도 섬유(5055)의 노출된 부분에 감겨질 수 있다. 액 유도 섬유(5055)에 감겨진 열선(5057)의 하부는 전류의 도통으로 빛과 열을 방출한다. 열선(5057)의 몸체는 전류가 도통되는 주지의 전도체 소자로 제공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화 모듈(505)을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고정 부재(5051)에는 길이 방향으로 관통된 핀홀(50511)이 형성될 수 있다. 핀홀(50511)에는 열선(5057)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로, 핀홀(50511)은 열선(5057)이 고정 부재(5051)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도록 삽입되어 직물 부재(5053)의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 때, 본 실시예에서는 열선(5057)이 걸림 고정되는 고리형상이 아닌 바(bar) 형상으로 고정 부재(5051) 상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리형상으로 열선(5057)을 고정할 경우, 열선(5057) 자체가 매우 가늘기 때문에 만곡된 부분이 제2 전도체(503)의 가압으로 끊어질 수 있어 접촉불량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
반면, 핀홀(50511)에 삽입되는 열선(5057)은 바(bar) 형상으로 고정될 수 있어 끊어질 우려가 없는 이점이 있으며, 열선(5057)을 별도로 구부려서 고정시켜야 하는 제작상 번거로움 없게 된다. 또한, 바(bar) 형상의 열선(5057)은 접촉 구조상 배터리(103)의 전력을 보다 효율적으로 전달하여 액상의 기화량을 상승시킴으로써 연무량을 높일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2 전도체(503)는 전도율이 우수한 은(Ag) 소재로 제공될 수 있는데, 그 중 배터리(103) 또는 제1 전도체(107)와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헤드(5031)가 전도성이 가장 우수하다. 따라서, 헤드(5031)에 직접적으로 열선(5057)이 접촉되는 것이 배터리(103)의 전력을 최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기화 모듈(503)의 구조인 것이다. 도 3과 같이 고리 형상의 열선(5057) 구조는 제2 전도체(503)의 바디(5033) 또는 레그(5035)에 접촉되는 구조이다. 반면, 도 4와 같이 바(bar) 형상의 열선(5057)으로 기화 모듈(503)이 제공되면, 열선(5057)이 헤드(5031)의 저면에 직접적으로 접촉되기 때문에 전력 전달이 우수하고,기화량이 상승하여 보다 많은 연무의 발생을 가능하게 한다.
하부 캡(51)은 사용자가 흡입하기 위한 흡입공이 형성되고, 카트리지(50)의 하단에 결합된다. 도 5는 하부 캡(51)이 결합되는 카트리지(50) 후방 모습을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카트리지(50)의 내측 하부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이 경우, 하부 캡(51)은 카트리지(50)의 내부에서 액 저장 부재(507)와 이격되도록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액 저장 부재(507)와 하부 캡(51)이 접촉될 경우, 액 저장 부재(507)에 흡수된 용액이 하부 캡(51)을 통해 역류할 가능성이 있다. 본 실시예로, 하부 캡(51)은 내측에 흡입공의 주위로 융기된 둔덕(511)이 형성되어 액상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다.
다만, 바람직한 실시예로 하부 캡(51)이 액 저장 부재(507)와 이격되어 카트리지(50)의 후단에 결합될 경우, 액의 누출이 차단됨과 동시에 카트리지(50) 내부에 기화된 연기가 머무를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어 연무량이 증가된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1: 금연 보조용 흡입 장치 10: 본체
101: 연결구 1011: 제1 공극
103: 배터리 105: 제어 모듈
1051: LED 107: 제1 전도체
1071: 제1 전도체 상단 1072: 실리콘
1073: 제1 전도체 하단 11: 상부 캡
111: 제2 공극 50: 카트리지
501: 연결 단자 5011: 연결 단자의 몸체
5013: 관통공 503: 제2 전도체
5031: 헤드 50311: 홈
5033: 바디 5035: 레그
505: 기화 모듈 5051: 고정 부재
50511: 핀홀 5053: 직물 부재
50531: 슬라이스 커팅부 5055: 액 유도 섬유
5057: 열선 507: 액 전달 부재
51: 하부 캡 511: 융기된 둔덕

Claims (13)

  1. 금연 보조를 위한 흡입 장치에 있어서,
    외기가 유입되는 제1 공극이 하단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내부에 배터리가 구비된 본체; 및
    상기 배터리로부터 공급된 전류로 발열하는 기화 모듈과, 상기 기화 모듈의 외측 둘레를 감싸도록 마련되며 금연 보조를 위한 액상이 흡수된 섬유 소재의 액 저장 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본체의 하단에 결합되는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연 보조용 흡입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배터리의 상부에 마련되고, 사용자의 흡기로 발생된 부압을 감지하여 상기 배터리의 전류를 도통시키는 스위치를 포함한 제어 모듈; 및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제2 공극이 형성되어 상기 제어 모듈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 캡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연 보조용 흡입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내측에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하단에 삽입되는 연결구; 및
    상기 배터리의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연결구를 일부 관통하여 하단이 노출되며, 상단은 상기 제어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중공형의 제1 전도체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공극은 삽입된 상기 연결구의 하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전도체는 둘레에 실리콘이 패킹되어 상단 및 하단을 제외하고 절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연 보조용 흡입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본체와의 결합시 상기 제1 공극으로부터 유입된 외기를 내측으로 통공시키기 위한 관통공이 형성된 몸체를 갖고 상기 몸체의 상부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구에 스크류 결합되는 연결 단자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연 보조용 흡입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본체와의 결합시 상기 제1 전도체와 접촉되는 중공형의 제2 전도체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 전도체는 상기 연결 단자에 삽입되어 상기 연결 단자의 내측에 노출되는 돌출된 헤드와, 실리콘이 패킹되어 절연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아래쪽으로 신장되어 상기 기화 모듈에 삽입되는 레그 구조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연 보조용 흡입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도체는,
    상기 연결 단자의 관통공으로 통공된 외기가 상기 제2 전도체의 중공으로 유입되어 상기 레그의 하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헤드에 홈이 패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연 보조용 흡입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화 모듈은,
    핀홀이 형성된 고정 부재;
    상기 고정 부재의 하부에 결합된 튜브 형상의 직물 부재;
    상기 직물 부재를 횡방향으로 관통하여 고정되고, 상기 직물 부재의 외부로 노출된 부분이 상기 액 저장 부재와 접촉되어 상기 액 저장 부재에 흡수된 액상이 전달되는 액 유도 섬유; 및
    상기 핀홀에 관통삽입되어 일단은 바(bar) 형상으로 노출되어 고정되며, 타단은 상기 액 유도 섬유의 노출된 부분에 감겨지는 열선을 포함하고,
    상기 열선은 상기 배터리로부터 공급된 전류로 발열하여 상기 액 유도 섬유에 전달된 액상을 기화시키고, 상기 액상이 기화되어 생성된 연기는 상기 직물 부재의 내측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연 보조용 흡입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 부재는,
    튜브가 절단되지 않을 정도로 튜브의 일부분이 상방향으로 슬라이스 커팅되고,
    상기 액 유도 섬유는 상기 슬라이스 커팅된 골에 끼움 고정되며,
    상기 직물 부재는 내부의 공기 팽창에 따라 튜브의 일부가 개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연 보조용 흡입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의 하단에 결합되고 흡입공이 형성된 하부 캡을 더 구비하고,
    상기 하부 캡은 상기 카트리지의 내부에서 상기 액 저장 부재와 이격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카트리지의 내측 하부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연 보조용 흡입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캡은,
    내측에 흡입공의 주위로 융기된 둔덕이 형성되어 액상의 역류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연 보조용 흡입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연 보조를 위한 액상에는 타바논 오일이 90%이상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연 보조용 흡입 장치.
  12. 금연 보조를 위한 흡입 장치용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로부터 공급된 전류로 발열하는 기화 모듈; 및
    상기 기화 모듈의 외측 둘레를 감싸도록 마련되며 금연 보조를 위한 액상이 흡수된 섬유 소재의 액 저장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기화 모듈은,
    핀홀이 형성된 고정 부재;
    상기 고정 부재의 하부에 결합된 튜브 형상의 직물 부재;
    상기 직물 부재를 횡방향으로 관통하여 고정되고, 상기 직물 부재의 외부로 노출된 부분이 상기 액 저장 부재와 접촉되어 상기 액 저장 부재에 흡수된 액상이 전달되는 액 유도 섬유; 및
    상기 핀홀에 관통삽입되어 일단은 바(bar) 형상으로 노출되어 고정되며, 타단은 상기 액 유도 섬유의 노출된 부분에 감겨지는 열선을 구비하고,
    상기 열선은 상기 배터리로부터 공급된 전류로 발열하여 상기 액 유도 섬유에 전달된 액상을 기화시키고, 상기 액상이 기화되어 생성된 연기는 상기 직물 부재의 내측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 부재는,
    튜브가 절단되지 않을 정도로 튜브의 일부분이 상방향으로 슬라이스 커팅되고,
    상기 액 유도 섬유는 상기 슬라이스 커팅된 골에 끼움 고정되며,
    상기 직물 부재는 내부의 공기 팽창에 따라 튜브의 일부가 개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KR1020150159877A 2015-08-27 2015-11-13 금연 보조용 흡입 장치 및 카트리지 KR1018240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121198 2015-08-27
KR1020150121198 2015-08-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6041A true KR20170026041A (ko) 2017-03-08
KR101824063B1 KR101824063B1 (ko) 2018-03-14

Family

ID=58403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9877A KR101824063B1 (ko) 2015-08-27 2015-11-13 금연 보조용 흡입 장치 및 카트리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406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4034A (ko) * 2018-02-02 2019-08-12 주식회사 시코코리아 니들 히터 구조의 흡입 장치
KR20190118303A (ko) * 2018-04-10 2019-10-18 주식회사 이엠텍 전기 가열식 흡연기의 히터 연결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5704B1 (ko) * 2018-05-10 2020-11-06 최경수 흡연습관 교정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8785B1 (ko) 2008-06-26 2009-09-23 주식회사 에바코 비가연성 연기 전자담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8785B1 (ko) 2008-06-26 2009-09-23 주식회사 에바코 비가연성 연기 전자담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4034A (ko) * 2018-02-02 2019-08-12 주식회사 시코코리아 니들 히터 구조의 흡입 장치
KR20190118303A (ko) * 2018-04-10 2019-10-18 주식회사 이엠텍 전기 가열식 흡연기의 히터 연결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4063B1 (ko) 2018-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122000U1 (ru) Электронная сигарета с изменяемым вкусом
US10874146B2 (en) Electronic device for tobacco
KR102384502B1 (ko) 가열형 향미 흡인기
KR102492505B1 (ko) 에어로졸 공급 시스템
CN105636467B (zh) 用于电子烟制品的碳传导衬底
US20210244098A1 (en) Aerosol delivery devices including a selector and related methods
RU103281U1 (ru) Электронная сигарета
KR101022546B1 (ko) 금연보조 흡입장치
US20130319431A1 (en) Electronic cigarette
KR200465795Y1 (ko) 복수개의 니코틴액 카트리지가 장착될 수 있는 전자식 흡연장치
KR200448259Y1 (ko) 전자 담배
KR20120098343A (ko) 전자 담배
US20150272214A1 (en) Adapter for connecting automatic electronic vaporizer to a traditional shisha
WO2014020539A1 (en) Combustion free and tobacco free smoking device
KR101069342B1 (ko) 흡입식 금연보조제
CA2780104A1 (en) Combined multifunctional electronic simulated cigarette
JP2012005412A (ja) 霧化装置に用いる薬液、及び霧化装置
KR200452359Y1 (ko) 전자담배
CN107772535B (zh) 一种针状加热式电子烟
KR101824063B1 (ko) 금연 보조용 흡입 장치 및 카트리지
KR100860566B1 (ko) 전자 금연 담배
KR20100008811A (ko) 금연보조 전자흡연기
KR200454619Y1 (ko) 전자담배용 카트리지
KR20120034933A (ko) 전자 담배
RU111765U1 (ru) Персональный ингалято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