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5743A - 플라이백 컨버터의 전류 제한 회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플라이백 컨버터의 전류 제한 회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5743A
KR20170025743A KR1020150122645A KR20150122645A KR20170025743A KR 20170025743 A KR20170025743 A KR 20170025743A KR 1020150122645 A KR1020150122645 A KR 1020150122645A KR 20150122645 A KR20150122645 A KR 20150122645A KR 20170025743 A KR20170025743 A KR 201700257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erence voltage
current
voltage
external terminal
switching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2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우
김기현
서길수
이경호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1226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25743A/ko
Publication of KR20170025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57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2001/000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로그래밍 가능한 전류 제한 회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1차측 권선 및 1차측 보조권선과, 상기 1차측 권선 및 상기 1차측 보조권선에 유도 결합되는 2차측 권선을 포함하는 플라이백 컨버터의 전류 제한 회로에 있어서, 상기 2차측 권선의 일단으로부터 전달받은 피드백 전압과 기설정된 참고전압에 기초하여 소정의 기준전압을 생성하되, 상기 기준전압은 외부단자에 인가되는 전류에 따라 조정되도록 하는 기준전압 생성부와, 상기 기준전압과 상기 1차측 권선의 일단에 연결된 스위칭 소자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한 값을 비교하여 소정의 전류 제한 신호를 생성하는 전류 제어부와, 상기 전류 제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스위칭 소자의 구동을 위한 게이트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구동신호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플라이백 컨버터 1차 측에 연결된 스위칭 소자의 전류를 일정 수준 이상이 되지 않도록 제한해 주기 때문에 플라이백 컨버터의 출력을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고, 별도의 부가 회로 없이 프로그래밍 단자에 연결된 저항값을 변경하는 것만으로도 컨버터의 최대 출력 부하량을 원하는 값으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회로를 원하는 부하량의 범위 내에서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플라이백 컨버터의 전류 제한 회로 및 그 방법{CIRCUIT AND METHOD FOR LIMITING CURRENT OF FLYBACK CONVERTER}
본 발명은 외부에서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전류 제한 회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플라이백 컨버터의 1차측에 연결되어 있는 스위칭 소자의 전류를 일정한 값 이내가 되도록 제한하고 전류 제한을 위한 기준전압을 외부에서 조절 가능한 전류 제한 회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에 가전 및 사무기기용 전원장치 제어에 사용되던 플라이백 컨버터 제어기의 경우 내부에 일정한 기준전압을 가지는 전류 제한 회로를 사용하여 컨버터의 출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을 사용할 경우 컨버터의 출력을 안정적으로 제어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제어기 내부에서 설정된 기준전압의 변경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컨버터의 최대 출력 부하량을 임의의 값으로 변경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컨버터의 최대 출력 부하량을 임의의 값으로 변경하기 위해서는 출력부에 부가적인 회로를 추가하면 되지만, 회로의 구성이 복잡해지고 회로의 규모가 커지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디지털 제어 방식을 이용해 출력 부하량을 조정하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전압 참조 신호 발생기를 가지는 회로가 개발되었으나, 이 방법 또한 회로의 구성이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다.
KR 10-2014-0078481 A KR 10-2014-0090104 A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플라이백 컨버터의 1차측에 연결되어 있는 스위칭 소자의 전류를 일정한 값 이내가 되도록 제한하고 전류 제한을 위한 기준전압을 외부에서 조절 가능한 전류 제한 회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플라이백 컨버터의 전류 제한 회로는, 1차측 권선 및 1차측 보조권선과, 상기 1차측 권선 및 상기 1차측 보조권선에 유도 결합되는 2차측 권선을 포함하는 플라이백 컨버터의 전류 제한 회로에 있어서, 상기 2차측 권선의 일단으로부터 전달받은 피드백 전압과 기설정된 참고전압에 기초하여 소정의 기준전압을 생성하되, 상기 기준전압은 외부단자에 인가되는 전류에 따라 조정되도록 하는 기준전압 생성부와, 상기 기준전압과 상기 1차측 권선의 일단에 연결된 스위칭 소자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한 값을 비교하여 소정의 전류 제한 신호를 생성하는 전류 제어부와, 상기 전류 제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스위칭 소자의 구동을 위한 게이트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구동신호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른 플라이백 컨버터의 전류 제한 방법은, 1차측 권선 및 1차측 보조권선과, 상기 1차측 권선 및 상기 1차측 보조권선에 유도 결합되는 2차측 권선을 포함하는 플라이백 컨버터의 전류 제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2차측 권선의 일단으로부터 전달받은 피드백 전압과 기설정된 참고전압에 기초하여 소정의 기준전압을 생성하되, 상기 기준전압은 외부단자에 인가되는 전류에 따라 조정하는 단계와, 상기 기준전압과 상기 1차측 권선의 일단에 연결된 스위칭 소자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한 값을 비교하여 소정의 전류 제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전류 제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스위칭 소자의 구동을 위한 게이트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플라이백 컨버터 1차 측에 연결된 스위칭 소자의 전류를 플라이백 컨버터 2차 측의 출력 전압 정보를 피드백 받아 일정 수준 이상이 되지 않도록 제한해 주기 때문에 플라이백 컨버터의 출력을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고, 전류 제한값을 집적회로 외부에서 프로그래밍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플라이백 컨버터의 최대 출력 부하량을 원하는 값으로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부가 회로 없이 프로그래밍 단자에 연결된 저항값을 변경하는 것만으로도 컨버터의 최대 출력 부하량을 원하는 값으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회로를 원하는 부하량의 범위 내에서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이백 컨버터의 회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이백 컨버터의 전류 제한 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2의 기준전압 생성부의 내부 회로도이고,
도 4는 도 2의 전류 제어부의 내부 회로도이고,
도 5는 도 2의 구동신호 생성부의 내부 회로도이고,
도 6은 도 3에서 외부단자에 연결되는 저항값에 따라 결정되는 전류 및 기준전압의 파형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7은 도 4의 신호별 동작 파형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8은 도 5의 신호별 동작 파형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려는 과제, 과제의 해결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이백 컨버터의 회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이백 컨버터의 전류 제한 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2의 기준전압 생성부의 내부 회로도이고, 도 4는 도 2의 전류 제어부의 내부 회로도이고, 도 5는 도 2의 구동신호 생성부의 내부 회로도이고, 도 6은 도 3에서 외부단자에 연결되는 저항값에 따라 결정되는 전류 및 기준전압의 파형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7은 도 4의 신호별 동작 파형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8은 도 5의 신호별 동작 파형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이백 컨버터의 전류 제한 회로 및 그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이백 컨버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측 권선(10) 및 1차측 보조권선(30)과, 상기 1차측 권선(10) 및 상기 1차측 보조권선(30)에 유도 결합되는 2차측 권선(20)과, 상기 1차측 권선(10)의 전류 흐름을 제어하는 스위칭 소자(SW)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위칭 소자(SW)는 상기 1차측 권선(10)의 일단에 연결된 상태이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플라이백 컨버터 내부의 전류를 제한하기 위한 회로는, 기준전압 생성부(100), 전류 제어부(200) 및 구동신호 생성부(300)를 포함한다.
먼저, 기준전압 생성부(100)는, 상기 2차측 권선(20)의 일단으로부터 전달받은 피드백 전압(VFB)과 기설정된 참고전압(VSET)에 기초하여 소정의 기준전압(VREF)을 생성하기 위한 것으로, 외부단자에 인가되는 전류에 따라 상기 기준전압(VREF)이 조정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준전압 생성부(100)는, 상기 외부단자가 접지되는 경우에는 상기 피드백 전압(VFB)과 상기 참고전압(VSET)의 차이값에 기초하여 기준전압(VREF)을 생성하고, 상기 외부단자에 소정의 저항 또는 가변 전류원이 연결되는 경우에는, 상기 피드백 전압(VFB)과 상기 참고전압(VSET)의 차이값과, 상기 외부단자에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형성된 전압과 상기 참고전압(VSET)의 차이값의 합에 기초하여 기준전압(VREF)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준전압 생성부(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참고전압(VSET)과 상기 피드백 전압(VFB)을 입력받아 두 전압의 차이값을 증폭시켜 출력하는 제1증폭기(OP1)와, 게이트는 상기 제1증폭기(OP1)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소스는 상기 외부단자에 연결되는 제1스위치(M1)와, 일단은 상기 제1스위치(M1)의 드레인에 연결되고 타단은 출력단에 연결되는 전류미러회로(M3,M4)와, 상기 참고전압(VSET)과 상기 외부단자에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형성된 전압을 입력받아 두 전압의 차이값을 증폭시켜 출력하는 제2증폭기(OP2)와, 게이트는 상기 제2 증폭기(OP2)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소스는 상기 외부단자에 연결되며 드레인은 상기 전류미러회로(M3,M4)의 일단에 연결되는 제2스위치(M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류미러회로(M3,M4)는 같은 구조의 트랜지스터 두 개의 게이트단자가 연결되어 마주 보는 형태로 배치되고, 일단에 흐르는 전류와 동일한 전류 또는 트랜지스터의 사이즈비에 따른 전류가 타단에도 흐르게 되는 회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준전압 생성부(100)는, 일단은 참고전압(VSET)이 인가되는 제1단자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1증폭기(OP1)의 제1입력단에 연결되는 제1저항(R1)과, 일단은 상기 제1입력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1증폭기(OP1)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제2저항(R2)과, 일단은 피드백 전압(VFB)이 인가되는 제2단자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1증폭기(OP1)의 제2 입력단에 연결되는 제3저항(R3)과, 일단은 상기 제2단자에 연결되고 타단은 접지 연결되는 제4저항(R4)과, 일단은 상기 출력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접지 연결되는 제5저항(R5)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6을 참조하면, 참고전압(VSET)은 1.25V로 일정하고 피드백 전압(VFB)은 소정의 기울기로 점차 증가할 때, 상기 외부단자에 연결되는 저항의 크기가 20kΩ, 60kΩ, 100kΩ, 140kΩ이면 각각의 저항에 흐르는 전류값은 115㎂, 46㎂, 28㎂, 20㎂이 되고, 상기 기준전압 생성부(100)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제5저항(R5)의 크기가 20Ω, 60Ω, 100Ω, 140Ω이면 상기 출력단에서 출력되는 기준전압(VREF)의 크기는 1.43V, 0.6V, 0.36V, 0.27V이 된다.
즉, 상기 외부단자에 연결되는 저항의 크기가 클수록 각 저항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가 작아지고, 상기 출력단에 연결되는 저항의 크기가 클수록 기준전압의 크기가 작아짐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별도의 부가 회로 없이 프로그래밍 단자에 연결된 저항값을 변경하는 것만으로도 컨버터의 최대 출력 부하량을 원하는 값으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회로를 원하는 부하량의 범위 내에서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전류 제어부(200)는, 상기 기준전압 생성부(100)에서 생성된 기준전압(VREF)과, 상기 1차측 권선의 일단에 연결된 스위칭 소자(SW)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한 값(ISEN)을 비교하여 소정의 전류 제한 신호(VLIMIT)를 생성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전류 제어부(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위칭 소자(SW)에 흐르는 전류값(ISEN)에 대응하는 전압(VSEN)과 상기 기준전압(VREF)을 비교하여 상기 전류값(ISEN)에 대응하는 전압(VSEN)이 상기 기준전압(VREF) 이상이 될 때까지 소정 시간 지연시킨 후 출력하는 비교기(COMP)와, 후술할 구동신호 생성부(300)의 출력 시 상기 전류 제어부(200)로 피드백되는 게이트 구동신호(VGATE _ ON)를 입력받아 일정 시간 지연시킨 후 출력하는 지연회로(LEB)와, 상기 비교기(COMP)로부터 출력된 신호와 상기 지연회로(LEB)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입력받아 논리곱하여 전류 제한 신호(VLIMIT)를 출력하는 AND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지연회로(LEB)로 구형파 형태의 소정의 게이트 전압 신호(VGS)가 입력되고, 상기 비교기(COMP)의 두 입력단에 상기 스위칭 소자(SW)에 흐르는 전류(ISEN)에 대응하는 전압(VSEN)과 소정의 기준전압(VREF _1 또는 VREF_2)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비교기(COMP)는 상기 스위칭 소자(SW)에 흐르는 전류(ISEN)에 대응하는 전압(VSEN)에서 상기 기준전압(VREF _1 또는 VREF _2) 이상인 전압 구간만을 출력하고, 상기 AND 소자는 상기 비교기(COMP)의 출력신호와 상기 지연회로(LEB)의 출력신호가 중첩되는 구간에 해당하는 부분을 전류 제한 신호(VLIMIT)로서 출력하게 된다.
다음으로, 구동신호 생성부(300)는, 상기 전류 제어부(200)에서 생성된 전류 제한 신호(VLIMIT)에 기초하여 상기 스위칭 소자(SW)의 구동을 위한 게이트 구동 신호(VGATE_ON)를 출력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구동신호 생성부(3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클록 신호(clock)와 최대 듀티 사이클 신호(Dmax)를 생성하는 오실레이터(OSC)와, 상기 전류 제어부(200)에서 출력되는 전류 제한 신호(VLIMIT)와 상기 최대 듀티 사이클 신호(Dmax)를 반전시킨 신호를 입력받아 논리합하여 출력하는 OR 소자와, 상기 클록 신호(clock)에 의해 동기화되고 상기 OR 신호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이전 상태값과 현재 상태값을 입력받아 상기 스위칭 소자(SW)의 게이트 구동 신호(VGATE _ ON)를 출력하는 RS 플립플롭(RS FF)과, 상기 RS 플립플롭(RS FF)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게이트 구동 신호(VGATE _ ON)에 기초하여 상기 스위칭 소자(SW)를 구동하는 게이트 드라이버(Gate Drv)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클록 신호(clock) 및 최대 듀티 사이클 신호(Dmax)는 상기 피드백 전압(VFB)에 의해 변동되는 주파수를 가진다.
예컨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오실레이터(OSC)에서 상기 클록 신호(clock) 및 상기 최대 듀티 사이클 신호(Dmax)를 출력하여, 상기 OR 소자의 두 입력단에 상기 최대 듀티 사이클 소자(Dmax)를 반전시킨 신호(
Figure pat00001
)와 상기 전류 제한 신호(VLIMIT)가 입력되고, 상기 RS 플립플롭(RS FF)의 입력단자 S(set)에 상기 OR 소자로부터 출력되는 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RS 플립플롭(RS FF)의 입력단자 R(reset)에 상기 클록 신호(clock)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OR 소자는 상기 최대 듀티 사이클 소자(Dmax)를 반전시킨 신호(
Figure pat00002
)와 상기 전류 제한 신호(VLIMIT) 중 어느 하나가 온 상태이면 온 상태로 출력하고, 상기 RS 플립플롭(RS FF)은 복수의 NOR 게이트로 구성되어 아래의 표 1(진리표)에 기초한 출력값(Q')으로 상기 스위칭 소자(SW)의 구동을 위한 게이트 구동 신호(VGATE _ ON)를 출력하게 된다.
S(set) R(reset) Q Q'
1 0 1 0
0 0 1 0 (after S=1, R=0)
0 1 0 1
0 0 0 1 (after S=0, R=1)
1 1 0 0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플라이백 컨버터 1차 측에 연결된 스위칭 소자의 전류를 플라이백 컨버터 2차 측의 출력 전압 정보를 피드백 받아 일정 수준 이상이 되지 않도록 제한해 주기 때문에 플라이백 컨버터의 출력을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고, 전류 제한값을 집적회로 외부에서 프로그래밍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플라이백 컨버터의 최대 출력 부하량을 원하는 값으로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10: 1차측 권선 20: 2차측 권선
30: 1차측 보조권선 100: 기준전압 생성부
200: 전류 제어부 300: 구동신호 생성부

Claims (8)

1차측 권선 및 1차측 보조권선과, 상기 1차측 권선 및 상기 1차측 보조권선에 유도 결합되는 2차측 권선을 포함하는 플라이백 컨버터의 전류 제한 회로에 있어서,
상기 2차측 권선의 일단으로부터 전달받은 피드백 전압과 기설정된 참고전압에 기초하여 소정의 기준전압을 생성하되, 상기 기준전압은 외부단자에 인가되는 전류에 따라 조정되도록 하는 기준전압 생성부;
상기 기준전압과 상기 1차측 권선의 일단에 연결된 스위칭 소자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한 값을 비교하여 소정의 전류 제한 신호를 생성하는 전류 제어부; 및
상기 전류 제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스위칭 소자의 구동을 위한 게이트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구동신호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이백 컨버터의 전류 제한 회로.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전압 생성부는,
상기 외부단자가 접지되는 경우, 상기 피드백 전압과 상기 참고전압의 차이값에 기초하여 기준전압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이백 컨버터의 전류 제한 회로.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전압 생성부는,
상기 외부단자에 소정의 저항 또는 가변 전류원이 연결되는 경우, 상기 피드백 전압과 상기 참고전압의 차이값과, 상기 외부단자에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형성된 전압과 상기 참고전압의 차이값의 합에 기초하여 기준전압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이백 컨버터의 전류 제한 회로.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전압 생성부는,
상기 참고전압과 상기 피드백 전압을 입력받아 두 전압의 차이값을 증폭시켜 출력하는 제1증폭기;
게이트는 상기 제1증폭기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소스는 상기 외부단자에 연결되는 제1 스위치; 및
일단은 상기 제1스위치의 드레인에 연결되고 타단은 출력단에 연결되는 전류미러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이백 컨버터의 전류 제한 회로.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전압 생성부는,
상기 참고전압과 상기 외부단자에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형성된 전압을 입력받아 두 전압의 차이값을 증폭시켜 출력하는 제2 증폭기; 및
게이트는 상기 제2 증폭기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소스는 상기 외부단자에 연결되며 드레인은 상기 전류미러회로의 일단에 연결되는 제2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이백 컨버터의 전류 제한 회로.
1차측 권선 및 1차측 보조권선과, 상기 1차측 권선 및 상기 1차측 보조권선에 유도 결합되는 2차측 권선을 포함하는 플라이백 컨버터의 전류 제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2차측 권선의 일단으로부터 전달받은 피드백 전압과 기설정된 참고전압에 기초하여 소정의 기준전압을 생성하되, 상기 기준전압은 외부단자에 인가되는 전류에 따라 조정하는 단계;
상기 기준전압과 상기 1차측 권선의 일단에 연결된 스위칭 소자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한 값을 비교하여 소정의 전류 제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전류 제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스위칭 소자의 구동을 위한 게이트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이백 컨버터의 전류 제한 방법.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단자가 접지되는 경우, 상기 피드백 전압과 상기 참고전압의 차이값에 기초하여 기준전압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이백 컨버터의 전류 제한 방법.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단자에 소정의 저항 또는 가변 전류원이 연결되는 경우, 상기 피드백 전압과 상기 참고전압의 차이값과, 상기 외부단자에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형성된 전압과 상기 참고전압의 차이값의 합에 기초하여 기준전압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이백 컨버터의 전류 제한 방법.
KR1020150122645A 2015-08-31 2015-08-31 플라이백 컨버터의 전류 제한 회로 및 그 방법 KR201700257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2645A KR20170025743A (ko) 2015-08-31 2015-08-31 플라이백 컨버터의 전류 제한 회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2645A KR20170025743A (ko) 2015-08-31 2015-08-31 플라이백 컨버터의 전류 제한 회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5743A true KR20170025743A (ko) 2017-03-08

Family

ID=58404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2645A KR20170025743A (ko) 2015-08-31 2015-08-31 플라이백 컨버터의 전류 제한 회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25743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8481A (ko) 2012-12-17 2014-06-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Dc-dc컨버터의 전류제한 방법
KR20140090104A (ko) 2013-01-08 2014-07-16 시스템 제너럴 코퍼레이션 1차 측이 제어된 프로그래밍 가능한 전력 변환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8481A (ko) 2012-12-17 2014-06-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Dc-dc컨버터의 전류제한 방법
KR20140090104A (ko) 2013-01-08 2014-07-16 시스템 제너럴 코퍼레이션 1차 측이 제어된 프로그래밍 가능한 전력 변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0406B1 (ko) 전압 레귤레이터
US9529373B2 (en) Switching regulator and control circuit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9525342B2 (en) Power converter with pseudo-constant-on-time control and the control circuit and method thereof
US10566901B2 (en) Constant-frequency control method with fast transient
US20160259355A1 (en) Dynamic Current-Limit Circuit
US9698681B2 (en) Circuit and method for maximum duty cycle limitation in step up converters
US10826392B2 (en) Voltage regulator with an adaptive off-time generator
JP2011155777A (ja) 昇降圧dc−dcコンバータおよびスイッチング制御回路
KR102538433B1 (ko) 스위칭 레귤레이터
JP6601211B2 (ja) Dc−dcコンバータおよび負荷駆動用半導体集積回路
US1010372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buck converter with pulse width modulation and pulse frequency modulation mode
US7952335B2 (en) Power converter and method for power conversion
KR102336095B1 (ko) Dc/dc 컨버터
EP3468022A1 (en) Switch-mode power converter
KR101774601B1 (ko) 스위칭 레귤레이터 제어 회로 및 스위칭 레귤레이터
JP2019071715A (ja) スイッチングレギュレータ
US6552579B1 (en) Fuel gauge power switch with current sense
JP2016092957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US10418896B2 (en) Switching regulator including an offset enabled comparison circuit
KR20170025743A (ko) 플라이백 컨버터의 전류 제한 회로 및 그 방법
JP2013198253A (ja) Dc/dcコンバータ
US9654074B2 (en) Variable gain amplifier circuit, controller of main amplifier and associated control method
KR101271420B1 (ko) 데드존 상태를 갖는 디씨디씨 컨버터
KR20060039802A (ko) 자동 전압 조절 기능을 갖는 스위치 모드 전원 공급장치
KR102079400B1 (ko) 오류 증폭기의 출력신호 제어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