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5634A - 인터넷을 이용한 음악 창작 방법 - Google Patents

인터넷을 이용한 음악 창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5634A
KR20170025634A KR1020150122384A KR20150122384A KR20170025634A KR 20170025634 A KR20170025634 A KR 20170025634A KR 1020150122384 A KR1020150122384 A KR 1020150122384A KR 20150122384 A KR20150122384 A KR 20150122384A KR 20170025634 A KR20170025634 A KR 201700256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lody
lyrics
internet
main server
clien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2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영훈
Original Assignee
차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영훈 filed Critical 차영훈
Priority to KR1020150122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25634A/ko
Publication of KR20170025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56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인터넷을 이용한 음악 창작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음악 창작 방법은, (A) 선행 가사가 인터넷에 연결된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통해 메인 서버에 입력되는 단계; 및 (B) 상기 선행 가사에 대응되는 후행 멜로디가 인터넷에 연결된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통해 메인 서버에 입력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인터넷을 이용한 음악 창작 방법{METHOD FOR CREATING MUSIC OVER THE INTERNET}
본 발명은, 인터넷을 이용한 음악 창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서로 모르는 복수의 창작자들이 인터넷을 이용해 서로 협력하는 방식으로 보다 완성도 높은 음악을 창작할 수 있는 인터넷을 이용한 음악 창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악은 인간이 들을 수 있는 영역의 음을 소재로 하여 박자, 선율, 화성 또는 음색 등을 일정한 법칙과 형식으로 종합해서 사상과 감정을 나타내는 예술을 의미한다.
전통적인 음악 창작 방식은, 한 명의 창작자가 작사와 작곡을 모두 수행하는 방식이거나, 또는, 서로 알고 있는 작곡가와 작사가가 오프-라인(Off-Line) 상에서 함께 작업하여 음악을 완성하는 방식이었다.
하지만, 컴퓨터 통신과 인터넷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인해 전 세계 인류간 상호 소통이 가능해진 현대 사회에서, 컴퓨터 통신과 인터넷을 이용하여 서로 모르는 사람들, 나아가, 세계 각국의 음악인이 상호 협력을 통해 보다 나은, 그리고, 보다 완성도 높은 음악의 창작을 위한 기술의 요청이 필요한 실정이다.
없음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서로 모르는 복수의 창작자들이 인터넷을 이용해 서로 협력하는 방식으로 보다 완성도 높은 음악을 창작할 수 있는 인터넷을 이용한 음악 창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A) 선행 가사가 인터넷에 연결된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통해 메인 서버에 입력되는 단계; 및 (B) 상기 선행 가사에 대응되는 후행 멜로디가 인터넷에 연결된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통해 메인 서버에 입력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음악 창작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행 가사가 입력되는 제1클라이언트 단말기와, 상기 후행 멜로디가 입력되는 제2클라이언트 단말기는 서로 다른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행 멜로디는, 멜로디 악보, 멜로디 발성 및 멜로디 연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C) 상기 후행 멜로디가 복수로 마련되어 상기 메인 서버에 입력되는 경우 최적 후행 멜로디가 선정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복수의 후행 멜로디들 중 인터넷 투표에 의해 최적 후행 멜로디가 선정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D) 상기 선행 가사와 상기 후행 멜로디에 대응되는 편곡, 노래 및 연주 중 적어도 하나가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통해 상기 메인 서버에 입력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E) 선행 멜로디가 인터넷에 연결된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통해 메인 서버에 입력되는 단계; 및 (F) 상기 선행 멜로디에 대응되는 후행 가사가 인터넷에 연결된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통해 메인 서버에 입력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음악 창작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행 멜로디가 입력되는 제3클라이언트 단말기와, 상기 후행 가사가 입력되는 제4클라이언트 단말기는 서로 다른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선행 멜로디는, 멜로디 악보, 멜로디 발성 및 멜로디 연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G) 상기 후행 가사가 복수로 마련되어 상기 메인 서버에 입력되는 경우 최적 후행 가사가 선정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G) 단계는, 상기 복수의 후행 가사들 중 인터넷 투표에 의해 최적 후행 가사가 선정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H) 상기 선행 멜로디와 상기 후행 가사에 대응되는 편곡, 노래 및 연주 중 적어도 하나가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통해 상기 메인 서버에 입력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서로 모르는 복수의 창작자들이 인터넷을 이용해 서로 협력하는 방식으로 보다 완성도 높은 음악을 창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음악 창작 방법의 구성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음악 창작 방법에서 선행 가사에 후행 멜로디를 결합하여 음악을 창작하는 것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음악 창작 방법에서, 제1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의해 메인 서버에 입력되는 하나의 선행 가사에 대해 복수의 제2클라이언트 단말기에서 후행 멜로디를 각각 입력하여 음악을 창작하는 것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음악 창작 방법의 구성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음악 창작 방법에서 선행 멜로디에 후행 가사를 결합하여 음악을 창작하는 것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음악 창작 방법에서, 제3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의해 메인 서버에 입력되는 하나의 선행 멜로디에 대해 복수의 제4클라이언트 단말기에서 후행 가사를 각각 입력하여 음악을 창작하는 것에 대한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음악 창작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러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인터넷은 유선 내지 무선의 통신망을 통해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모든 매체를 의미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컴퓨터 통신 내지 이동단말기를 통한 통신뿐만 아니라, LAN(Local Area Network)과 WAN(Wide Area Network)을 포함하는 각종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음악 창작 방법의 구성에 대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음악 창작 방법에서 선행 가사에 후행 멜로디를 결합하여 음악을 창작하는 것에 대한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음악 창작 방법에서, 제1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의해 메인 서버에 입력되는 하나의 선행 가사에 대해 복수의 제2클라이언트 단말기에서 후행 멜로디를 각각 입력하여 음악을 창작하는 것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음악 창작 방법은, 선행 가사가 인터넷에 연결된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통해 메인 서버에 입력되는 단계와, 선행 가사에 대응되는 후행 멜로디가 인터넷에 연결된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통해 메인 서버에 입력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통적인 음악 창작 방식은, 한 명의 창작자가 작사와 작곡을 모두 수행하는 방식이거나, 또는, 서로 알고 있는 작곡가와 작사가가 오프-라인(Off-Line) 상에서 함께 작업하여 음악을 완성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이러한 음악 창작 방식은 작사와 작곡에 대한 창작의 다양성을 제한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경우 음악의 창작에 있어 인터넷을 직접 이용하지 않았으므로, 서로 모르는 사람들, 나아가, 문화와 언어, 시간대가 다른 세계 각국의 음악인들이 상호 협력을 통해 보다 나은, 그리고, 보다 완성도 높은 음악의 창작을 실현한다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세계 각국의 서로 모르는 타인들이 인터넷을 통해 상호 협력하여 작사, 작곡, 편곡, 연주 내지 반주 및 노래를 완성하며, 이에 의해, 보다 완성도 높은 음악의 창작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클라이언트 단말기는 인터넷을 통해 선행 가사를 메인 서버에 입력하도록 마련된다. 즉, 제1클라이언트 단말기는 창작자에 의해 창작된 가사가 메인 서버에 입력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창작자에 의해 창작된 가사는 작곡, 편곡, 연주 등의 다른 음악적 요소들보다 가장 먼저 메인 서버에 입력되므로, 상기 창작 가사는 선행 가사로 지칭된다. 창작자에 의해 창작된 선행 가사가 메인 서버에 입력되면, 선행 가사를 창작한 창작자를 제외한 다른 창작자는 제2클라이언트 단말기를 통해 메인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선행 가사를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다른 창작자에 의해 상기 선행 가사에 대응되는, 즉, 상기 선행 가사에 적합한 멜로디가 창작되어져 메인 서버에 입력된다. 여기서, 상기 멜로디는 선행 가사에 비해 늦게 메인 서버에 입력되므로 후행 멜로디로 지칭된다.
본 명세서에서 멜로디는 음의 높낮이의 변화가 리듬과 연결되어 하나의 음악적 통합으로 형성되는 음의 흐름을 의미하는 것으로, 멜로디의 창작은 작곡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도 2를 참조하면, 선행 가사가 제1클라이언트 단말기를 통해 메인 서버에 입력되면 다른 창작자에 의해 선행 가사에 대응되는 작곡이 이루어지며, 작곡에 의해 완성된 후행 멜로디는 제2클라이언트 단말기를 통해 메인 서버에 입력된다. 이에 의해, 선행 가사에 후행 멜로디가 결합된 창작물이 생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선행 가사가 입력되는 제1클라이언트 단말기와, 후행 멜로디가 입력되는 제2클라이언트 단말기는 서로 다른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마련될 수 있는데, 이에 의하면, 제1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사용자와 제2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사용자는 서로 동일하지 않으며, 또한, 상호간 개인적인 친분이 없는 타인간일 수 있다. 즉, 선행 가사의 창작자와 후행 멜로디의 창작자가 동일하지도 않고 서로 모르는 타인일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세계 각국의 창작들은 인터넷을 통해 공동으로 협력하여 가사와 멜로디를 창작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경우, 동일한 창작자가 선행 가사와 후행 멜로디에 대해 순차적으로 입력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님을 밝혀 둔다.
한편, 후행 멜로디는, 멜로디 악보, 멜로디 발성 또는 멜로디 연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후행 멜로디를 작곡하는 창작자는 전문적인 음악 교육을 받은 작곡가일 수도 있지만, 작곡에 대한 열의를 가지고 있되 전문적인 음악 교육을 받지 못한 사람이 포함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전문적인 음악 교육을 받지 못한 사람은 멜로디 악보를 작성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후행 멜로디는 멜로디를 표현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행 가사가 입력된 경우 상기 선행 가사에 대응되는 멜로디 악보가 메인 서버에 입력될 수도 있고, 선행 가사에 대응되는 멜로디를 육성(肉聲)으로 직접 부른 멜로디 발성이 메인 서버에 입력될 수도 있으며, 예컨대, 피아노, 기타와 같은 다양한 악기를 통해 선행 가사에 대응되는 멜로디가 연주된 멜로디 연주가 메인 서버에 입력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2클라이언트 단말기는 복수(제2클라이언트 단말기 A, 제2클라이언트 단말기 B, 제2클라이언트 단말기 C)로 마련될 수 있으며, 하나의 선행 가사에 대해 복수의 제2클라이언트 단말기 각각을 통해 복수의 후행 멜로디가 메인 서버에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클라이언트 단말기를 통해 하나의 선행 가사가 메인 서버에 입력되면 수많은 멜로디 창작 예정자는 제2클라이언트 단말기를 통해 각각 메인 서버에 접속하여 각자 선행 가사를 확인하게 되고, 복수의 창작 예정자에 의해 선행 가사에 대응되는 후행 멜로디가 각각 창작되어 복수의 제2클라이언트 단말기 각각을 통해 메인 서버에 입력될 수 있다.
즉, 하나의 가사에 대해 서로 다른 복수의 멜로디가 존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복수의 후행 멜로디는 복수의 제2클라이언트 단말기 각각을 통해 메인 서버에 입력될 수 있는데, 이 경우, 메인 서버에 입력된 복수의 후행 멜로디들이 메인 서버에 접속되어 있는 다양한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의해 출력될 수 있다. 여기서, 클라이언트 단말기는 창작자에 의해 사용되어지는 단말기일 수 있고, 또는, 단순 접속자, 청취자 등 창작자가 아닌 사람에 의해 사용되어지는 단말기일 수 있다.
그리고,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통해 복수의 후행 멜로디들 중 최적 후행 멜로디가 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최적 후행 멜로디의 선정은 인터넷 투표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후행 멜로디가 입력된 제2클라이언트 단말기를 제외한 다른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통해 인터넷 투표가 이루어지고, 득표수에 따라 후행 멜로디의 순위가 정해지며, 최다 득표 후행 멜로디가 최적 후행 멜로디에 선정될 수 있다. 다만, 최적 후행 멜로디의 선정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반드시 최적 후행 멜로디를 선정할 필요는 없으며, 하나의 선행 가사에 대해 다양한 버젼의 후행 멜로디가 결합된 복수의 음악이 존재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복수의 창작 음악 각각에 대해 편곡, 연주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선행 가사에 후행 멜로디가 결합되면, 이에 대응되는 편곡, 노래 또는 연주가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편곡, 노래 또는 연주가 결합된 음악은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통해 메인 서버에 입력될 수 있다. 여기서, 편곡, 노래 또는 연주 역시 복수의 다양한 버젼이 존재할 수 있으며, 복수의 제2클라이언트 단말기 각각을 통해 메인 서버에 입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완성된 음악이 창작될 수 있다. 즉, 언어, 문화, 시간대 등이 다른 전 세계의 사람들이 인터넷을 통해 협동하여 음악의 창작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이 완성된 음악은 또한, 인터넷을 통해 대중이 참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은 방식에 의해 타인간 서로 협력하여 완성된 음악은, 인터넷을 통해 메인 서버에 접속되는 다양한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의해 음악의 순위를 위한 투표, 댓글 등의 다양한 형태의 대중 참여가 가능하다. 그리고, 이와 같이 완성된 음악은 또한, 인터넷을 통해 대중이 소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창작이 완료된 음악은 인터넷을 통해 메인 서버에 접속되는 다양한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의해 실시간 청취 뿐만 아니라 음원의 다운로드, 음원의 구입 등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음악 창작 방법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선행 가사가 인터넷에 연결된 제1클라이언트 단말기를 통해 메인 서버에 입력되면, 선행 가사에 대응되는 후행 멜로디가 인터넷에 연결된 제2클라이언트 단말기를 통해 메인 서버에 입력될 수 있다. 즉, 선행 가사가 메인 서버에 먼저 입력된 후 선행 가사의 창작자와 동일하지 않은 창작자에 의해 선행 가사에 적합한 형태의 후행 멜로디가 창작되어져 메인 서버에 입력될 수 있다.
여기서, 하나의 선행 가사가 메인 서버에 입력되면, 복수의 멜로디 창작 예정자에 의해 복수의 후행 멜로디가 창작되어 메인 서버에 입력될 수 있으므로, 하나의 선행 가사에 대해 후행 멜로디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다.
그리고, 선행 가사와 후행 멜로디가 결합된 복수의 창작물에 대해 다양한 형태의 편곡이 결합될 수 있고, 또한, 선행 가사와 후행 멜로디가 결합된 복수의 창작물에 대해 각종 악기를 사용하는 다양한 연주 내지 반주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하나의 선행 가사에 대해 다양한 버젼의 후행 멜로디, 편곡, 반주 등이 존재할 수 있으며, 각각의 창작물에 대해 다양한 사람들에 의해 불려진 노래가 메인 서버에 입력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다양한 버젼의 창작물에 대해 인터넷 투표를 통해 최적 후행 멜로디가 선정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음악 창작 방법의 구성에 대한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음악 창작 방법에서 선행 멜로디에 후행 가사를 결합하여 음악을 창작하는 것에 대한 블록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음악 창작 방법에서, 제3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의해 메인 서버에 입력되는 하나의 선행 멜로디에 대해 복수의 제4클라이언트 단말기에서 후행 가사를 각각 입력하여 음악을 창작하는 것에 대한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음악 창작 방법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음악 창작 방법에서 설명한 내용과 공통되는 부분은 전술한 설명으로 대체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선행 멜로디가 인터넷에 연결된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통해 메인 서버에 입력되면, 선행 멜로디에 대응되는 후행 가사가 인터넷에 연결된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통해 메인 서버에 입력된다는 점에서 제1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음악 창작 방법은, 선행 멜로디가 인터넷에 연결된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통해 메인 서버에 입력되는 단계와, 선행 멜로디에 대응되는 후행 가사가 인터넷에 연결된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통해 메인 서버에 입력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3클라이언트 단말기는 인터넷을 통해 선행 멜로디를 메인 서버에 입력하도록 마련된다. 즉, 제3클라이언트 단말기는 창작자에 의해 창작된 멜로디가 메인 서버에 입력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창작자에 의해 창작된 멜로디는 작곡, 편곡, 연주 등의 다른 음악적 요소들보다 가장 먼저 메인 서버에 입력되므로, 상기 창작 멜로디는 선행 멜로디로 지칭된다. 창작자에 의해 창작된 선행 멜로디가 메인 서버에 입력되면, 선행 멜로디를 창작한 창작자를 제외한 다른 창작자는 제4클라이언트 단말기를 통해 메인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선행 멜로디를 확인할 수 있는데, 이에 의해, 상기 선행 멜로디에 대응되는, 즉, 상기 선행 멜로디에 적합한 가사가 창작되어져 메인 서버에 입력된다. 여기서, 상기 가사는 선행 멜로디에 비해 늦게 메인 서버에 입력되므로 후행 가사로 지칭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선행 멜로디가 제3클라이언트 단말기를 통해 메인 서버에 입력되면 다른 창작자에 의해 선행 멜로디에 대응되는 작사가 이루어지며, 작사에 의해 완성된 후행 가사는 제4클라이언트 단말기를 통해 메인 서버에 입력된다. 이에 의해, 선행 멜로디에 후행 가사가 결합된 창작물이 생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선행 멜로디가 입력되는 제3클라이언트 단말기와, 후행 가사가 입력되는 제4클라이언트 단말기는 서로 다른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마련될 수 있는데, 이에 의하면, 제3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사용자와 제4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사용자는 서로 동일하지 않으며, 또한, 상호간 개인적인 친분이 없는 타인간일 수 있다. 즉, 선행 멜로디의 창작자와 후행 가사의 창작자가 동일하지도 않고 서로 모르는 타인일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세계 각국의 창작들은 인터넷을 통해 공동으로 협력하여 멜로디와 가사를 창작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경우, 동일한 창작자가 선행 멜로디와 후행 가사에 대해 순차적으로 입력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님을 밝혀 둔다.
한편, 선행 멜로디는, 멜로디 악보, 멜로디 발성 또는 멜로디 연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제1실시예에서의 후행 멜로디에 대한 설명으로 대체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4클라이언트 단말기는 복수(제4클라이언트 단말기 A, 제4클라이언트 단말기 B, 제4클라이언트 단말기 C)로 마련될 수 있으며, 하나의 선행 멜로디에 대해 복수의 제4클라이언트 단말기 각각을 통해 복수의 후행 가사가 메인 서버에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클라이언트 단말기를 통해 하나의 선행 멜로디가 메인 서버에 입력되면 수많은 가사 창작 예정자는 제4클라이언트 단말기를 통해 각각 메인 서버에 접속하여 각자 선행 멜로디를 확인하게 되고, 복수의 창작 예정자에 의해 선행 멜로디에 대응되는 후행 가사가 각각 창작되어 복수의 제4클라이언트 단말기 각각을 통해 메인 서버에 입력될 수 있다.
즉, 하나의 멜로디에 대해 서로 다른 복수의 가사가 존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복수의 후행 가사는 복수의 제4클라이언트 단말기 각각을 통해 메인 서버에 입력될 수 있는데, 이 경우, 메인 서버에 입력된 복수의 후행 가사들이 메인 서버에 접속되어 있는 다양한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출력될 수 있다. 여기서, 클라이언트 단말기는 창작자에 의해 사용되어지는 단말기일 수 있고, 또는, 단순 접속자, 청취자 등 창작자가 아닌 사람에 의해 사용되어지는 단말기일 수 있다.
그리고,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통해 복수의 후행 가사들 중 최적 후행 가사가 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최적 후행 가사의 선정은 인터넷 투표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후행 가사가 입력된 제4클라이언트 단말기를 제외한 다른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통해 인터넷 투표가 이루어지고, 득표수에 따라 후행 가사의 순위가 정해지며, 최다 득표 후행 가사가 최적 후행 가사에 선정될 수 있다. 다만, 최적 후행 가사의 선정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반드시 최적 후행 가사를 선정할 필요는 없으며, 하나의 선행 멜로디에 대해 다양한 버젼의 후행 가사가 결합된 복수의 음악이 존재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복수의 창작 음악 각각에 대해 편곡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선행 멜로디에 후행 가사가 결합되면, 이에 대응되는 편곡, 노래 또는 연주가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편곡, 노래 또는 연주가 결합된 음악은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통해 메인 서버에 입력될 수 있다. 여기서, 편곡, 노래 또는 연주 역시 복수의 다양한 버젼이 존재할 수 있으며, 복수의 제4클라이언트 단말기 각각을 통해 메인 서버에 입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완성된 음악이 창작될 수 있다. 즉, 언어, 문화, 시간대 등이 다른 전 세계의 사람들이 인터넷을 통해 협동하여 음악의 창작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이 완성된 음악에 대해 대중 참여와, 대중의 소비가 가능한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제1실시예에서의 설명으로 대체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음악 창작 방법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선행 멜로디가 인터넷에 연결된 제3클라이언트 단말기를 통해 메인 서버에 입력되면, 선행 멜로디에 대응되는 후행 가사가 인터넷에 연결된 제4클라이언트 단말기를 통해 메인 서버에 입력될 수 있다. 즉, 선행 멜로디가 메인 서버에 먼저 입력된 후 선행 멜로디의 창작자와 동일하지 않은 창작자에 의해 선행 멜로디에 적합한 형태의 후행 가사가 창작되어져 메인 서버에 입력될 수 있다.
여기서, 하나의 선행 멜로디가 메인 서버에 입력되면, 복수의 가사 창작 예정자에 의해 복수의 후행 가사가 창작되어 메인 서버에 입력될 수 있으므로, 하나의 선행 멜로디에 대해 후행 가사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다.
그리고, 선행 멜로디와 후행 가사가 결합된 복수의 창작물에 대해 다양한 형태의 편곡이 결합될 수 있고, 또한, 선행 멜로디와 후행 가사가 결합된 복수의 창작물에 대해 각종 악기를 사용하는 다양한 연주 내지 반주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하나의 선행 멜로디에 대해 다양한 버젼의 후행 가사, 편곡, 반주 등이 존재할 수 있으며, 각각의 창작물에 대해 다양한 사람들에 의해 불려진 노래가 메인 서버에 입력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다양한 버젼의 창작물에 대해 인터넷 투표를 통해 최적 후행 가사가 선정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12)

  1. (A) 선행 가사가 인터넷에 연결된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통해 메인 서버에 입력되는 단계; 및
    (B) 상기 선행 가사에 대응되는 후행 멜로디가 인터넷에 연결된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통해 메인 서버에 입력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음악 창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행 가사가 입력되는 제1클라이언트 단말기와, 상기 후행 멜로디가 입력되는 제2클라이언트 단말기는 서로 다른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음악 창작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행 멜로디는, 멜로디 악보, 멜로디 발성 및 멜로디 연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음악 창작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C) 상기 후행 멜로디가 복수로 마련되어 상기 메인 서버에 입력되는 경우 최적 후행 멜로디가 선정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음악 창작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복수의 후행 멜로디들 중 인터넷 투표에 의해 최적 후행 멜로디가 선정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음악 창작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D) 상기 선행 가사와 상기 후행 멜로디에 대응되는 편곡, 노래 및 연주 중 적어도 하나가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통해 상기 메인 서버에 입력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음악 창작 방법.
  7. (E) 선행 멜로디가 인터넷에 연결된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통해 메인 서버에 입력되는 단계; 및
    (F) 상기 선행 멜로디에 대응되는 후행 가사가 인터넷에 연결된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통해 메인 서버에 입력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음악 창작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선행 멜로디가 입력되는 제3클라이언트 단말기와, 상기 후행 가사가 입력되는 제4클라이언트 단말기는 서로 다른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음악 창작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선행 멜로디는, 멜로디 악보, 멜로디 발성 및 멜로디 연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음악 창작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G) 상기 후행 가사가 복수로 마련되어 상기 메인 서버에 입력되는 경우 최적 후행 가사가 선정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음악 창작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G) 단계는,
    상기 복수의 후행 가사들 중 인터넷 투표에 의해 최적 후행 가사가 선정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음악 창작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H) 상기 선행 멜로디와 상기 후행 가사에 대응되는 편곡, 노래 및 연주 중 적어도 하나가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통해 상기 메인 서버에 입력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음악 창작 방법.
KR1020150122384A 2015-08-31 2015-08-31 인터넷을 이용한 음악 창작 방법 KR201700256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2384A KR20170025634A (ko) 2015-08-31 2015-08-31 인터넷을 이용한 음악 창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2384A KR20170025634A (ko) 2015-08-31 2015-08-31 인터넷을 이용한 음악 창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5634A true KR20170025634A (ko) 2017-03-08

Family

ID=58404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2384A KR20170025634A (ko) 2015-08-31 2015-08-31 인터넷을 이용한 음악 창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2563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3131769A (ja) * 2022-03-10 2023-09-22 一郎 岩井 データ生成方法、システム、または装置および大衆評価予測aiモデル訓練方法、学習済みモデル、あるいは、大衆評価予測aiシステム、プログラム、またはコンピューティングデバイス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없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3131769A (ja) * 2022-03-10 2023-09-22 一郎 岩井 データ生成方法、システム、または装置および大衆評価予測aiモデル訓練方法、学習済みモデル、あるいは、大衆評価予測aiシステム、プログラム、またはコンピューティングデバイス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000751A1 (zh) 自动作曲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Lawson et al. The Cambridge companion to the orchestra
Duinker Diversification and Post-Regionalism in North American Hip-Hop Flow
Pegg Folk music
Valnes Janelle Monáe and Afro‐Sonic Feminist Funk
Bartlett Sing out loud, sing out long: A profile of professional contemporary gig singers in the Australian context
Collins A funny thing happened on the way to the formula: Algorithmic composition for musical theater
Smialek et al. Unending eruptions: White-collar metal appropriations of classical complexity, experimentation, elitism, and cultural legitimization
Klein Feigning Humanity: Virtual Instruments, Simulation and Performativity
KR20170025634A (ko) 인터넷을 이용한 음악 창작 방법
JP2006178104A (ja) 楽曲生成方法,その装置,そのシステム
Braasch A cybernetic model approach for free jazz improvisations
Treimane The clash of opinions regarding innovation in a tradition: the case of the repertoire of Latvian Nationwide Song and Dance Celebration
KR20220050038A (ko) 상호협업 기반 음악 콘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시스템
Pinch et al. Instruments and innovation
Shelemay 'Traveling Music:'Mulatu Astatke and the Genesis of Ethiopian Jazz
Ying Twelve girls band and the representation of Chinese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s through virtual perspectives
Eyre Sona Jobarteh: A Singular Figure among Today's African Artists
Emura et al. A modular system generating Jazz-style arrangement for a given set of a melody and its chord name sequence
Liebhaber The Ḥumaynī Pulse Moves East: Yemeni Nationalism Meets Mahri Sung-Poetry
Harding " Very Beautiful and Very American": A Multicultural Analysis of Florence B. Price's Quintet in A Minor for Piano and Strings
Chen Twelve girls band and the representation of Chinese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s through virtual perspectives/Chen Pei Ying
Blackburn The Pipe Organ and Real-time Digital Signal Processing (DSP): A Performer's Perspective
Lind Developing Variation in Gilles Tremblay’s Croissant: Transformation and Identity
Lundberg Motivic cohesion and parsimony in three songs from Gentle Giant's Acquiring the Taste (1971)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