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5571A -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5571A
KR20170025571A KR1020150122161A KR20150122161A KR20170025571A KR 20170025571 A KR20170025571 A KR 20170025571A KR 1020150122161 A KR1020150122161 A KR 1020150122161A KR 20150122161 A KR20150122161 A KR 20150122161A KR 20170025571 A KR20170025571 A KR 201700255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aker
mobile terminal
case
display unit
front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2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민철
이우석
윤만근
이봉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221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25571A/ko
Publication of KR20170025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55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3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e.g. telephone hand-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윈도우; 상기 윈도우의 후방에 구비되며, 영상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후방에 배치되며, 전방에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윈도우가 안착되는 프론트 케이스; 상기 프론트 케이스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프론트 케이스와 결합에 의해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리어 케이스; 상기 내부공간에 구비되어 제어 명령에 따라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스피커 모듈은, 상기 프론트 케이스의 배면에 접촉되며, 배면에 전방으로 함몰 형성되는 수용홈을 구비하는 커버; 및 상기 수용홈 상에 안착되어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ed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기능은 다양화 되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와 음성통신, 카메라를 통한 사진촬영 및 비디오 촬영, 음성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파일 재생 그리고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나 비디오를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전자게임 플레이 기능이 추가되거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최근의 이동 단말기는 방송과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시각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 단말기 내부 중 스피커의 배치 구조를 보인 단면도 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는, 외형을 이루는 케이스(2, 4)의 내부에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 모듈이 구비된다. 일 예로, 상기 케이스(2, 4)는, 이동 단말기의 전면을 형성하는 프론트 케이스(4)와, 상기 프론트 케이스(4)의 배면에 결합되는 리어 케이스(2)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프론트 케이스(4)와 상기 리어 케이스(2)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1)에 상기 스피커 모듈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피커 모듈은, 음향이 출력되는 스피커(6)와, 상기 스피커(6)를 둘러싸는 외부 케이스(3, 5)를 포함한다. 상기 외부 케이스(3, 5)는 상기 스피커(6)의 일측을 감싸는 제 1 케이스(3)와, 상기 스피커(6)의 타측을 감싸는 제 2 케이스(5)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상기 제 1 케이스(3)와 상기 제 2 케이스(5)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 즉 상기 스피커(6)가 배치된 공간에는 상기 스피커(6)에서 발생되는 음향을 강화시켜 울리게 만드는 공간인 공명 공간(9)이 형성된다. 상기 공명 공간(9)은 상기 외부 케이스(3, 5)에 형성된 홀(7, 9)을 통해 외부와 연통되어 소리가 보다 풍부하게 울릴 뿐 만 아니라, 상기 이동 단말기의 외부로 상기 스피커(6)의 출력음이 송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케이스(3, 5)는 상기 스피커(6)를 상기 이동 단말기 내부에서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나, 이동 단말기의 내부에는 스피커 모듈 외에도 다수의 전자부품이 배치되므로, 소리 강화를 위한 공명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점 있다. 또한, 공명 공간의 확보가 상기 스피커(6)의 고정을 위한 외부 케이스(3, 5)가 별도로 구비되므로, 부품 수가 증가하고 제조 단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충분한 공명 공간을 확보하고 스피커 모듈의 구조가 컴팩트하게 구현될 수 있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윈도우; 상기 윈도우의 후방에 구비되며, 영상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후방에 배치되며, 전방에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윈도우가 안착되는 프론트 케이스; 상기 프론트 케이스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프론트 케이스와 결합에 의해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리어 케이스; 상기 내부공간에 구비되어 제어 명령에 따라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스피커 모듈은, 상기 프론트 케이스의 배면에 접촉되며, 배면에 전방으로 함몰 형성되는 수용홈을 구비하는 커버; 및 상기 수용홈 상에 안착되어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 의하면 소리 강화를 위한 공명 공간을 적은 수의 부품으로 구성하여, 제작이 쉽고 제조 단가가 저렴해 지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 단말기 내부 중 스피커의 배치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배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피커 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피커 모듈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내부에서 스피커 모듈의 결합 모습을 보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2 및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센싱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이동 단말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 사이, 또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상기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170)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메모리(170)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상기 이동 단말기(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이동 단말기(100) 상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2에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부(190)는 상기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상기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3 및 4를 참조하면, 개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와치 타입, 클립 타입, 글래스 타입 또는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더 타입, 플립 타입, 슬라이드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특정 유형에 관련될 것이나, 이동 단말기의 특정유형에 관한 설명은 다른 타입의 이동 단말기에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단말기 바디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를 적어도 하나의 집합체로 보아 이를 지칭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예를 들면, 프레임,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케이스(101)와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배치된다. 상기 프론트 케이스(101)와 상기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미들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프론트 케이스(101)와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 집합체를 단말기 본체라 정의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단말기 본체(100a)에 도면 부호를 부여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100) 중 후면 케이스(103)를 제외한 구성을 지칭하기로 한다.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151)가 배치되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151a)는 상기 프론트 케이스(101)에 장착되어 상기 프론트 케이스(101)와 함께 단말기 바디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리어 케이스(102)에도 전자부품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리어 케이스(102)에 장착 가능한 전자부품은 착탈 가능한 배터리, 식별 모듈, 메모리 카드 등이 있다. 이 경우, 상기 리어 케이스(102)에는 장착된 전자부품을 덮기 위한 후면케이스(103)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후면케이스(103)가 상기 리어 케이스(102)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리어 케이스(102)에 장착된 전자부품은 외부로 노출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후면케이스(103)는 상기 프론트 케이스(101)와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단말기 본체의 배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단말기 본체의 배면을 커버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면케이스(103)가 상기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면,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후면케이스(130)의 결합 시 상기 리어 케이스(102)는 상기 후면케이스(103)에 의해 완전히 가려질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후면케이스(103)에는 상기 카메라(121b)나 상기 음향 출력부(152b)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들(101, 102, 103)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알루미늄(Al), 티타늄(Ti)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복수의 케이스가 각종 전자부품들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마련하는 위의 예와 달리, 하나의 케이스가 상기 내부 공간을 마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합성수지 또는 금속이 측면에서 후면으로 이어지는 유니 바디의 이동 단말기(100)가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단말기 바디 내부로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하는 방수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수부는 상기 윈도우(151a)와 상기 프론트 케이스(101) 사이, 상기 프론트 케이스(101)와 상기 리어 케이스(102) 사이 또는 상기 리어 케이스(102)와 상기 후면케이스(103) 사이에 구비되어, 이들의 결합 시 내부 공간을 밀폐하는 방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154), 제1 및 제2 카메라(121a, 121b), 제1 내지 제3 조작유닛(123a, 123b, 123c), 마이크로폰(122), 인터페이스부(160)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상기 제1 음향 출력부(152a), 상기 근접 센서(141), 상기 조도 센서(142), 상기 광 출력부(154), 상기 제1 카메라(121a) 및 제1 조작유닛(123a)이 배치되고,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상기 제2 조작유닛(123b), 상기 마이크로폰(122) 및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이 배치되며,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상기 제2 음향 출력부(152b), 상기 제2 카메라(121b), 상기 제3 조작유닛(123c), 플래시(124)가 배치된 상기 이동 단말기(100)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다만, 이들 구성은 이러한 배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구성은 필요에 따라 제외 또는 대체되거나, 다른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상기 제1 조작유닛(123a)이 구비되지 않을 수 있으며, 상기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이 아닌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방식에 의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센서는 상기 터치를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180)는 이에 근거하여 상기 터치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 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
한편, 터치센서는, 터치패턴을 구비하는 필름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윈도우(151a)와 상기 윈도우(151a)의 배면 상의 디스플레이(미도시) 사이에 배치되거나, 상기 윈도우(151a)의 배면에 직접 패터닝되는 메탈 와이어가 될 수도 있다. 또는,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의 기판 상에 배치되거나, 디스플레이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센서와 함께 터치 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 입력부(123, 도 3 참조)로 기능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터치 스크린은 상기 제1조작유닛(123a)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할 수 있다.
상기 제1 음향 출력부(152a)는 통화음을 사용자의 귀에 전달시키는 리시버(receiver)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각종 알람음이나 멀티미디어의 재생음을 출력하는 라우드 스피커(loud 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151a)에는 상기 제1 음향 출력부(152a)로부터 발생되는 사운드의 방출을 위한 음향홀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사운드는 구조물 간의 조립틈(예를 들어, 상기 윈도우(151a)와 상기 프론트 케이스(101) 간의 틈)을 따라 방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외관상 음향 출력을 위하여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홀이 보이지 않거나 숨겨져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외관이 보다 심플해질 수 있다.
상기 광 출력부(154)는 이벤트의 발생시 이를 알리기 위한 빛을 출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이 감지되면, 빛의 출력이 종료되도록 상기 광 출력부(154)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 카메라(121a)는 촬영 모드 또는 화상통화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으며,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123)의 일 예로서,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터치, 푸시, 스크롤 등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받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근접 터치(proximity touch), 호버링(hovering) 터치 등을 통해서 사용자의 촉각적인 느낌이 없이 조작하게 되는 방식으로도 채용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상기 제1 조작유닛(123a)이 터치키(touch key)인 것으로 예시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조작유닛(123a)은 푸시키(mechanical key)가 되거나, 터치키와 푸시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조작유닛(123a)은 메뉴, 홈키, 취소, 검색 등의 명령을 입력 받고, 상기 제2 조작유닛(123b)은 상기 제1 또는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의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한편,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사용자 입력부(123)의 다른 일 예로서, 제3조작유닛(123c)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3 조작유닛(123c)은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의 온/오프,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 상기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상기 제3 조작유닛(123c)은 터치입력, 푸시입력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한 입력이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3 조작유닛(123c)은 단말기 바디의 두께방향으로 전면의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와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단말기 바디를 한 손으로 쥐었을 때 검지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조작 가능하도록, 상기 제3 조작유닛(123c)은 단말기 바디의 후면 상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3 조작유닛(123c)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이처럼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상기 제3 조작유닛(123c)이 구비되는 경우, 이를 이용한 새로운 형태의 유저 인터페이스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터치 스크린 또는 후면 입력부가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구비되는 상기 제1 조작유닛(123a)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하여,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상기 제1 조작유닛(123a)이 미배치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51)가 보다 대화면(大畵面)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는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인식센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어부(180)는 지문인식센서를 통하여 감지되는 지문정보를 인증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지문인식센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123)에 내장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폰(122)은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도록 이루어진다. 마이크로폰(122)은 복수의 개소에 구비되어 스테레오 음향을 입력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를 외부기기와 연결시킬 수 있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는 다른 장치(예를 들어, 이어폰, 외장 스피커)와의 연결을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 등], 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단자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소켓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상기 제2카메라(121b)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카메라(121b)는 상기 제1카메라(121a)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게 된다.
상기 제2카메라(121b)는 적어도 하나의 라인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렌즈는 행렬(matrix) 형식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이러한 카메라는, '어레이(array) 카메라'로 명명될 수 있다. 상기 제2카메라(121b)가 어레이 카메라로 구성되는 경우, 복수의 렌즈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보다 나은 품질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플래시(124)는 상기 제2카메라(121b)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플래시(124)는 상기 제2카메라(121b)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하여 빛을 비추게 된다.
단말기 바디에는 제2 음향 출력부(152b)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상기 제1 음향 출력부(152a)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무선 통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구비될 수 있다.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케이스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수신 모듈(111, 도 2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안테나는 필름 타입으로 형성되어 상기 후면케이스(103)의 내측면에 부착될 수도 있고, 도전성 재질을 포함하는 케이스가 안테나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190, 도 2 참조)가 구비된다. 상기 전원 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배터리(19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191)는 인터페이스부(160)에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을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191)는 무선충전기기를 통하여 무선충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무선충전은 자기유도방식 또는 공진방식(자기공명방식)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도면에서는 상기 후면케이스(103)가 상기 배터리(191)를 덮도록 상기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어 상기 배터리(191)의 이탈을 제한하고, 상기 배터리(191)를 외부 충격과 이물질로부터 보호하도록 구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상기 배터리(191)가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경우, 상기 후면케이스(103)는 상기 리어 케이스(10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는 외관을 보호하거나,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보조 또는 확장시키는 액세서리가 추가될 수 있다. 이러한 액세서리의 일 예로,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적어도 일면을 덮거나 수용하는 커버 또는 파우치를 들 수 있다. 커버 또는 파우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와 연동되어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확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액세서리의 다른 일 예로,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입력을 보조 또는 확장하기 위한 터치펜을 들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 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는, 전면에 배치되어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에 배치되어 전면에 상기 디스플레이부(110)가 장착되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상기 프론트 케이스(101)와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구동에 필요한 전자부품이 실장되는 기판부(181)와, 전면에 상기 기판부(181)가 안착되며 몸체에 상기 배터리(191)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102a)이 형성되는 리어 케이스와(102)와,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후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이동 단말기(100) 내부에 장착된 전자부품을 덮기 위한 후면 커버(103)가 포함된다.
상기 후면 커버(103)에는 상기 제3 조작유닛(123c), 음향 출력부(152) 및 플래쉬(124)를 상기 후면 커버(103)의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노출홀(103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는 나사를 통하여 상호 나사결합될 수 있고, 상기 프론트 케이스(101)와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되는 영역에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구동을 위한 전자 부품이 배치된다.
한편, 상기 후면 커버(103)는 상기 프론트 케이스(101) 또는 상기 리어 케이스(102) 중 어느 일 케이스에 대하여, 리브 및 홈으로 구성되는 착탈식 구조를 이용하여, 탈부착 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상기 배터리(191)의 교체 시 상기 후면 커버(103)를 상기 리어 케이스(102)와 분리시킴으로써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배면을 외부에 노출시킬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내부, 즉 상기 케이스들(101, 102, 103)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 상에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각종 알림음이나 멀티미디어의 재생음을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 모듈(200)이 구비된다. 일 예로, 상기 스피커 모듈(200)은 상기 프론트 케이스(101)와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상기 스피커 모듈(200)의 위치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내부에서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피커 모듈(200)와 마주하는 상기 후면 커버(103)와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영역에는, 전면으로부터 배면을 관통하는 음향홀(103b)이 형성된다. 상기 음향홀(103b)은 상기 후면 커버(103)에서 복수의 홀로 천공 형성되어, 상기 스피커 모듈(200)에서 출력되는 소리가 사용자에게 청취되도록 상기 스피커 모듈(200)의 일부를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외부로 노출시킨다.
이하에서는, 상기 스피커 모듈(200)에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피커 모듈의 분해 사시도 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피커 모듈의 사시도 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피커 모듈(200)은, 소리가 출력되는 스피커(230)와, 상기 스피커(230)의 외면 중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커버(210)와, 상기 커버(210)의 외면 상에 접촉되어 상기 스피커(230)에서 출력되는 소리가 외부로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패킹부(250)를 포함한다.
상기 스피커 모듈(200)은 상기 프론트 케이스(101)와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배치된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리어 케이스(102)가 구비되지 않을 경우, 상기 스피커 모듈(200)은 상기 프론트 케이스(101)와 상기 후면 커버(103)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이 때, 상기 스피커 모듈(200)은 전면이 상기 프론트 케이스(101)의 배면에 접촉되고, 후면이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전면에 접촉되어,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내부에서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커버(210)에는, 일면으로부터 내부를 향해 함몰 형성되어 상기 스피커(230)를 수용하는 수용홈(214)이 형성된다. 상기 수용홈(214)은 단면이 상기 스피커(230)의 단면보다 넓게 형성되어, 상기 스피커(230)가 상기 커버(210)에 결합 시 상기 수용홈(214)은 상기 스피커(230)에서 출력되는 소리를 강화시키는 공명 공간으로서 기능한다.
한편, 상기 커버(210)의 타면은 상기 스피커(230)의 외면 중 일부를 커버한다. 상기 커버(210)의 배면에 상기 스피커(230)가 결합되는 것으로 보면, 상기 스피커(230)의 전면이 상기 커버(210)의 전면에 의해 커버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210)의 타면에는, 상기 스피커(230)에서 출력되는 소리를 외부로 송출하기 위한 송출홀(212)이 형성된다. 상기 송출홀(212)은 상기 커버(210)의 외면으로부터 내면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상기 커버(210)의 수용홈(214)과 외부측을 상호 연통시킨다.
상기 스피커(230)는 상기 기판부(18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8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수신한다. 일 예로, 상기 스피커(230)에는 몸체(231)와, 상기 몸체(231)부터 외측을 향해 연장되는 연성 기판(232)이 포함되고, 상기 연성 기판(232)이 상기 기판부(181)의 일면 상에 접촉됨으로써 상기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타 구성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패킹부(250)는 상기 커버(210)와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배치된다. 상세히, 상기 커버(210)의 외면 중 상기 리어 케이스(102)를 마주하는 영역에는 상기 영역과 단면이 동일한 형상의 상기 패킹부(250)가 결합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패킹부(250)는 상기 수용홈(214)의 내주면을 형성하는 둘레 측 측벽(218)의 상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피커 모듈(200)의 배면이 상기 리어 케이스(102)에 접촉 시, 상기 스피커(230)로부터 출력된 소리가 상기 패킹부(250)에 의해 외부로 새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패킹부(250)의 재질은 차음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리어 케이스(102) 상에서 상기 스피커 모듈(200)과 마주하는 면에는 상기 스피커(230)로부터 출력된 소리를 외부로 전달하기 위한 소리홀(102a)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출력된 소리는 상기 소리홀(102a)을 통해 사용자에게 청취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내부에서 스피커 모듈의 결합 모습을 보인 단면도 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스피커 모듈(200)은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내부에서 상기 프론트 케이스(101)와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서 양면이 각각 케이스들에 접촉되어 배치된다.
이 때, 상기 스피커(230)에서 출력된 소리는 상기 수용홈(214)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서 강화된다. 또한, 상기 패킹부(250)에 의해 소리가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내부 중 다른 영역으로 새어나가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스피커(230)의 공명 공간을 적은 수의 부품으로 형성할 수 있으므로, 제조 단가가 저렴해지는 장점이 있다.

Claims (8)

  1. 윈도우;
    상기 윈도우의 후방에 구비되며, 영상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후방에 배치되며, 전방에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윈도우가 안착되는 프론트 케이스;
    상기 프론트 케이스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프론트 케이스와 결합에 의해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리어 케이스;
    상기 내부공간에 구비되어 제어 명령에 따라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스피커 모듈은,
    상기 프론트 케이스의 배면에 접촉되며, 배면에 전방으로 함몰 형성되는 수용홈을 구비하는 커버; 및
    상기 수용홈 상에 안착되어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공간 중 상기 스피커 모듈과 이격되어 배치되며, 구동을 위한 각종 전자부품이 실장되는 기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피커는,
    몸체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연성기판을 통해 상기 기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이동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의 단면 넓이는 상기 스피커의 단면 넓이 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모듈은,
    상기 수용홈의 내주면을 형성하는 둘레 측 측벽 상에 결합되어, 상기 스피커에서 출력된 소리가 상기 내부 공간의 타영역으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패킹부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부는 차음재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모듈은,
    전면이 상기 프론트 케이스에 접촉되고, 배면이 상기 리어 케이스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상에는, 상기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소리를 외부로 송출하기 위한 송출홀이 형성되는 이동 단말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케이스에서 상기 스피커와 마주하는 영역에는, 상기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소리를 외부로 전달하기 위한 홀이 형성되는 이동 단말기.

KR1020150122161A 2015-08-28 2015-08-28 이동 단말기 KR201700255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2161A KR20170025571A (ko) 2015-08-28 2015-08-28 이동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2161A KR20170025571A (ko) 2015-08-28 2015-08-28 이동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5571A true KR20170025571A (ko) 2017-03-08

Family

ID=58404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2161A KR20170025571A (ko) 2015-08-28 2015-08-28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2557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5651B1 (ko) 이동 단말기
KR102206242B1 (ko) 이동 단말기
KR101759950B1 (ko) 이동 단말기
KR20160003499A (ko) 근접조도센서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KR20150124710A (ko) 폴리오 케이스 및 이동 단말기
KR20160123113A (ko) 이동 단말기
KR101951677B1 (ko) 커넥터 방수 하우징 및 이동 단말기
KR20170028164A (ko) 이동 단말기
KR20170006075A (ko) 이동 단말기
KR20170021147A (ko) 이동 단말기
KR20170017081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조립방법
KR20160054777A (ko)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KR20170017204A (ko)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KR20170084444A (ko) 이동 단말기
KR20160047180A (ko) 이동 단말기
KR20150132994A (ko) 이동 단말기
KR20160028126A (ko) 이동 단말기
KR101575503B1 (ko) 이동 단말기
KR20160150543A (ko) 이동 단말기
KR20170022143A (ko) 이동 단말기
KR20170025571A (ko) 이동 단말기
KR20160128680A (ko) 이동 단말기
KR20170006957A (ko) 이동 단말기
KR101578013B1 (ko) 이동 단말기
KR20170078431A (ko) 이동 단말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