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4310A - Communication network, vehicle includ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 Google Patents

Communication network, vehicle includ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4310A
KR20170024310A KR1020150119410A KR20150119410A KR20170024310A KR 20170024310 A KR20170024310 A KR 20170024310A KR 1020150119410 A KR1020150119410 A KR 1020150119410A KR 20150119410 A KR20150119410 A KR 20150119410A KR 20170024310 A KR20170024310 A KR 201700243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message frame
transceiver
vehicle
communication b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941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714481B1 (en
Inventor
김수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194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4481B1/en
Publication of KR20170024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431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44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448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169Flexible bus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54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 H04L41/0659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by isolating or reconfiguring faulty ent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05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by checking availability
    • H04L43/0811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by checking availability by checking connectiv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2012/40208Bus networks characterized by the use of a particular bus standard
    • H04L2012/40215Controller Area Network CA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2012/40267Bus for use in transportation systems
    • H04L2012/40273Bus for use in transportation systems the transportation system being a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Provided are a communication network configured to interrupt connection between a communication device and a communication bus when an error of the corresponding communication device occurs, a vehicle including the sam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Th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devices; and a communication bus configured to relay communica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devices, wherei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devices may include: a transceiver configured to output a communication signal having voltage corresponding to an input message frame to the communication bus;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input a first message frame to the transceiver and interrupt the connection between the transceiver and the communication bus when the communication signal output from the transceiver does not have the volta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message frame. In the disclosed communication network, the disclosed vehicle including the same and the disclose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communication device in which an error occurs is interrupted from the communication bus, so that an environment in which normal communication between the communication devices in which there is no error may be provided.

Description

통신 네트워크,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COMMUNICATION NETWORK, VEHICLE INCLUD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munication network, a vehicle including the communication network,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복수의 통신 디바이스간의 통신을 중계하는 통신 네트워크,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발명이다.A communication network for relaying communication between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devices, a vehicle including the communication network,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차량에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복수의 차량 모듈이 마련될 수 있다. 이 때, 각각의 차량 모듈은 서로 다른 독립된 통신 방식을 채택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은 복수의 차량 모듈 간의 통신을 중계하기 위한 통신 네트워크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The vehicle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vehicle modules that perform various functions. At this time, each vehicle module can adopt a different independent communication method. Therefore, the vehicle needs to establish a communication network for relaying communication between a plurality of vehicle modules.

이를 위해, 차량은 캔(CAN; 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 또는 린(LIN; Local Interconnect Network) 통신을 채택함으로써, 복수의 차량 모듈을 직렬 통신 네트워크로 연결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vehicle employs CAN (Controller Area Network) communication or LIN (Local Interconnect Network) communication to connect a plurality of vehicle modules to a serial communication network.

이렇게 구현되는 통신 네트워크는 복수의 차량 모듈이 공통되는 하나의 통신 버스에 접속되므로, 어느 하나의 차량 모듈에서 발생된 문제로 인해 통신 버스가 단락(Short)되면 통신 네트워크의 정상적인 동작이 불가할 수 있다.Since the communication network thus constructed is connected to one communication bus common to a plurality of vehicle modules, if the communication bus is short-circuited due to a problem generated in any of the vehicle modules, normal operation of the communication network may be impossible .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디바이스의 에러 발생 시 해당 통신 디바이스와 통신 버스의 연결을 차단하는 통신 네트워크,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mmunication network for blocking a connection between a communication device and a communication bus when an error occurs in the communication device, a vehicle including the communication network,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네트워크는, 복수의 통신 디바이스; 및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 간 통신을 중계하는 통신 버스;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통신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는, 입력되는 메시지 프레임에 대응되는 전압을 가지는 통신 신호를 상기 통신 버스로 출력하는 트랜시버(Transceiver); 및 상기 트랜시버에 제 1 메시지 프레임을 입력하고, 상기 트랜시버에서 출력되는 통신 신호가 상기 제 1 메시지 프레임에 대응되는 전압을 가지지 않으면, 상기 트랜시버와 상기 통신 버스의 연결을 차단하는 제어부; 를 포함할 수 있다.A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devices; And a communication bus for relaying communica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devices;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devices including: a transceiver for outputting a communication signal having a voltage corresponding to an input message frame to the communication bus; And a control unit for inputting a first message frame to the transceiver and disconnecting the transceiver from the communication bus if the communication signal output from the transceiver does not have a volta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message frame; . ≪ / RTI >

또한, 상기 복수의 통신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트랜시버 및 상기 통신 버스 사이에 마련되는 스위치;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트랜시버와 상기 통신 버스의 연결을 차단하도록 상기 스위치를 오프(Off)시킬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devices further comprises: a switch provided between the transceiver and the communication bus; And the control unit may turn off the switch to disconnect the connection between the transceiver and the communication bus.

또한, 상기 복수의 통신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트랜시버에서 출력되는 통신 신호를 제 2 메시지 프레임으로 변환하는 컨버터; 를 더 포함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devices may further include: a converter for converting a communication signal output from the transceiver into a second message frame; As shown in FIG.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메시지 프레임과 상기 제 2 메시지 프레임이 상이하면, 상기 트랜시버와 상기 통신 버스의 연결을 차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may block the connection between the transceiver and the communication bus when the first message frame and the second message frame are different.

또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수신되는 메시지 프레임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트랜시버와 상기 통신 버스의 연결을 차단한 후, 상기 트랜시버에 상기 제 1 메시지 프레임을 입력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block the connection between the transceiver and the communication bus and input the first message frame to the transceiver if a message frame receiv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does not exist.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메시지 프레임이 입력된 상기 트랜시버에서 출력되는 통신 신호가 상기 제 1 메시지 프레임에 대응되는 전압을 가지지 않으면, 상기 통신 버스로부터 차단된 상기 트랜시버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may maintain the state of the transceiver blocked from the communication bus if the communication signal output from the transceiver to which the first message frame is input does not have a volta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message frame.

또한, 상기 복수의 통신 디바이스는, 하나의 마스터(Master) 통신 디바이스 및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Slave) 통신 디바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통신 디바이스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트랜시버에 Wakeup 프레임을 포함하는 상기 제 1 메시지 프레임을 입력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devices may also include on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and at least one slave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control unit of the at least one slave communication device may input the first message frame including a Wakeup frame to the transceiver.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통신 디바이스 중 상기 통신 버스와 연결이 차단되는 통신 디바이스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monitor a communication device of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devices that is disconnected from the communication bus.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통신 버스에 의해 복수의 차량 모듈 간 통신을 중계하는 통신 네트워크; 를 포함하는 차량에 있어서, 상기 통신 네트워크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차량 모듈 중 적어도 하나는, 입력되는 메시지 프레임에 대응되는 전압을 가지는 통신 신호를 상기 통신 버스로 출력하는 트랜시버(Transceiver); 및 상기 트랜시버에 제 1 메시지 프레임을 입력하고, 상기 트랜시버에서 출력되는 통신 신호가 상기 제 1 메시지 프레임에 대응되는 전압을 가지지 않으면, 상기 트랜시버와 상기 통신 버스의 연결을 차단하는 제어부; 를 포함할 수 있다.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communication network for relaying communication between a plurality of vehicle modules by a communication bus; Wherei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vehicle modules included in the communication network includes: a transceiver for outputting a communication signal having a voltage corresponding to an input message frame to the communication bus; And a control unit for inputting a first message frame to the transceiver and disconnecting the transceiver from the communication bus if the communication signal output from the transceiver does not have a volta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message frame; . ≪ / RTI >

또한, 상기 복수의 차량 모듈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트랜시버 및 상기 통신 버스 사이에 마련되는 스위치;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트랜시버와 상기 통신 버스의 연결을 차단하도록 상기 스위치를 오프(Off)시킬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vehicle modules further includes: a switch provided between the transceiver and the communication bus; And the control unit may turn off the switch to disconnect the connection between the transceiver and the communication bus.

또한, 상기 복수의 차량 모듈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트랜시버에서 출력되는 통신 신호를 제 2 메시지 프레임으로 변환하는 컨버터; 를 더 포함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vehicle modules further includes: a converter for converting a communication signal output from the transceiver into a second message frame; As shown in FIG.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메시지 프레임과 상기 제 2 메시지 프레임이 상이하면, 상기 트랜시버와 상기 통신 버스의 연결을 차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may block the connection between the transceiver and the communication bus when the first message frame and the second message frame are different.

또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수신되는 메시지 프레임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트랜시버와 상기 통신 버스의 연결을 차단한 후, 상기 트랜시버에 상기 제 1 메시지 프레임을 입력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block the connection between the transceiver and the communication bus and input the first message frame to the transceiver if a message frame receiv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does not exist.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메시지 프레임이 입력된 상기 트랜시버에서 출력되는 통신 신호가 상기 제 1 메시지 프레임에 대응되는 전압을 가지지 않으면, 상기 통신 버스로부터 차단된 상기 트랜시버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may maintain the state of the transceiver blocked from the communication bus if the communication signal output from the transceiver to which the first message frame is input does not have a volta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message frame.

또한, 상기 복수의 차량 모듈은, 하나의 마스터(Master) 차량 모듈 및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Slave) 차량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차량 모듈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트랜시버에 Wakeup 프레임을 포함하는 상기 제 1 메시지 프레임을 입력할 수 있다.Further, the plurality of vehicle modules may include one master vehicle module and at least one slave vehicle module; Wherein the controller of the at least one slave vehicle module is able to input the first message frame including a Wakeup frame to the transceiver.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차량 모듈 중 상기 통신 버스와 연결이 차단되는 차량 모듈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monitor a vehicle module of the plurality of vehicle modules that is disconnected from the communication bus.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방법은, 통신 버스에 의해 복수의 차량 모듈 간 통신을 중계하는 통신 네트워크; 를 포함하는 차량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차량 모듈 중 적어도 하나에서 제 1 메시지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메시지 프레임을 생성한 차량 모듈에서 상기 제 1 메시지 프레임에 대응되는 전압을 가지는 통신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통신 신호가 상기 제 1 메시지 프레임에 대응되는 전압을 가지지 않으면, 상기 제 1 메시지 프레임을 생성한 차량 모듈과 상기 통신 버스의 연결을 차단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A control method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communication network for relaying communication between a plurality of vehicle modules by a communication bus; The method comprising: generating a first message frame i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vehicle modules; Generating a communication signal having a volta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message frame in the vehicle module that has generated the first message frame; And disconnecting the communication bus from the vehicle module that has generated the first message frame if the generated communication signal does not have a volta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message frame. . ≪ / RTI >

또한, 상기 제 1 메시지 프레임을 생성한 차량 모듈과 상기 통신 버스의 연결을 차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메시지 프레임을 생성한 차량 모듈과 상기 통신 버스 사이에 마련되는 스위치를 오프(Off)시킬 수 있다.The blocking of the connection between the vehicle module and the communication bus that generated the first message frame may include turning off a switch provided between the vehicle module that generated the first message frame and the communication bus have.

또한, 상기 제 1 메시지 프레임을 생성한 차량 모듈과 상기 통신 버스의 연결을 차단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된 통신 신호로부터 변환되는 제 2 메시지 프레임을 기초로 상기 제 1 메시지 프레임을 생성한 차량 모듈과 상기 통신 버스의 연결을 차단할 수 있다.The step of interrupt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vehicle module and the communication bus generating the first message frame may further comprise the steps of: generating a first message frame based on the second message frame converted from the generated communication signal; The connection of the communication bus can be blocked.

또한, 상기 제 1 메시지 프레임을 생성한 차량 모듈과 상기 통신 버스의 연결을 차단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된 통신 신호를 상기 제 2 메시지 프레임으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메시지 프레임과 상기 제 2 메시지 프레임이 상이하면, 상기 제 1 메시지 프레임을 생성한 차량 모듈과 상기 통신 버스의 연결을 차단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p of disconnect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vehicle module and the communication bus that generated the first message frame may include converting the generated communication signal into the second message frame, And blocking a connection between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vehicle module that has generated the first message frame if the first message frame and the second message frame are different; . ≪ / RTI >

또한,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메시지 프레임을 수신하지 못한 차량 모듈과 상기 통신 버스의 연결을 차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Blocking a connection of the communication bus with a vehicle module that has not received a message frame for a predetermined time; As shown in FIG.

또한, 상기 제 1 메시지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통신 버스와 연결이 차단된 차량 모듈에서 상기 제 1 메시지 프레임을 생성하고, 상기 제 1 메시지 프레임을 생성한 차량 모듈과 상기 통신 버스의 연결을 차단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된 통신 신호가 상기 제 1 메시지 프레임에 대응되는 전압을 가지지 않으면, 상기 제 1 메시지 프레임을 생성한 차량 모듈이 상기 통신 버스와 차단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The generating of the first message frame may further include generating the first message frame in the vehicle module that is disconnected from the communication bus and transmitting the connection of the vehicle module and the communication bus, The blocking step may be such that if the generated communication signal does not have a volta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message frame, the vehicle module that generated the first message frame may remain blocked from the communication bus.

또한, 상기 복수의 차량 모듈은, 하나의 마스터(Master) 차량 모듈 및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Slave) 차량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메시지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차량 모듈에서 Wakeup 프레임을 포함하는 상기 제 1 메시지 프레임을 생성할 수 있다.Further, the plurality of vehicle modules may include one master vehicle module and at least one slave vehicle module; Wherein generating the first message frame may generate the first message frame comprising a Wakeup frame in the at least one slave vehicle module.

또한, 상기 통신 버스와 연결이 차단되는 차량 모듈을 모니터링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Monitoring a vehicle module that is disconnected from the communication bus; As shown in FIG.

개시된 통신 네트워크,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의 일 실시에 따르면, 에러가 발생한 통신 디바이스를 통신 버스로부터 차단함으로써, 에러가 발생하지 않은 통신 디바이스 간의 정상적인 통신이 가능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disclosed communication network, the vehicle including th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an error-prone communication device is disconnected from the communication bus, thereby providing an environment capable of normal communication between communication devices that did not generate an error.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네트워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네트워크의 제 1 통신 디바이스의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한 제어 블록도이다.
도 5a 및 5b는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네트워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통신 네트워크가 캔 통신을 채택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도 6a 및 6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 네트워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통신 네트워크가 린 통신을 채택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 view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4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one embodiment.
5 is a control block diagram showing in detail the configuration of a first communication device of a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5A and 5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a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which a communication network adopts a can communication.
Figs. 6A and 6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a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 which the communication network adopts lean communication. Fig.
7 is a flowchart of a vehicl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통신 네트워크,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communication network, a vehicle including the sam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과 같이, 차량의 일 실시예는 차량(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 차량(100)을 이동시키는 차륜(21, 22), 차량(100)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키는 도어(14), 차량(100) 내부의 운전자에게 차량(100) 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전면 유리(17), 운전자에게 차량(100) 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사이드 미러(18, 19)를 포함한다. 1, an embodiment of a vehicle includes a body 10 forming an outer appearance of the vehicle 100, wheels 21 and 22 for moving the vehicle 100, doors for shielding the inside of the vehicle 100 from the outside, A front glass 17 that provides the driver 100 with a field of view ahead of the vehicle 100 and a side mirror 18 and 19 that provides the driver with a field of view behind the vehicle 100 .

차륜(21, 22)은 차량의 전방에 마련되는 전륜(21), 차량의 후방에 마련되는 후륜(22)을 포함하며, 전륜(21) 또는 후륜(22)은 후술할 구동장치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아 본체(10)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The wheels 21 and 22 include a front wheel 21 provided at the front of the vehicle and a rear wheel 22 provided at the rear of the vehicle and the front wheel 21 or the rear wheel 22 is provided with a rotational force And can move the main body 10 forward or backward.

도어(14)는 본체(10)의 좌측 및 우측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개방 시에 운전자가 차량(100)의 내부에 탑승할 수 있도록 하며, 폐쇄 시에 차량(100)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킨다.The door 14 is rotatably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ain body 10 so that the driver can ride inside the vehicle 100 at the time of opening and shields the inside of the vehicle 100 from the outside at the time of closing .

전면 유리(17)는 본체(10)의 전방 상측에 마련되어 차량(100) 내부의 운전자가 차량(100) 전방의 시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윈드쉴드 글라스(Windshield Glass)라고도 한다. The front glass 17 is provided on the front upper side of the main body 10 so that a driver inside the vehicle 100 can obtain time information in front of the vehicle 100. The windshield glass is also called a windshield glass.

또한, 사이드 미러(18, 19)는 본체(1)의 좌측에 마련되는 좌측 사이드 미러(18) 및 우측에 마련되는 우측 사이드 미러(19)를 포함하며, 차량(100) 내부의 운전자가 차량(100) 측면 및 후방의 시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The side mirrors 18 and 19 include a left side mirror 18 provided on the left side of the main body 1 and a right side mirror 19 provided on the right side. 100) side information and the rear-side time information.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00)은 운전자 등이 탑승하는 시트(110)와, 기어 박스(120), 센터페시아(130) 및 스티어링 휠(140) 등이 마련된 대시보드(150)(dashboard), 및 스피커(160)를 포함할 수 있다.2, the vehicle 100 includes a seat 110 on which a driver or the like is mounted, a dashboard 150 (see FIG. 2) provided with a gear box 120, a center pedestal 130, and a steering wheel 140 a dashboard, and a speaker 160.

기어 박스(120)에는 차량(100) 변속을 위한 변속 레버(121)와, 차량(100)의 기능 수행을 제어하기 위한 다이얼 조작부(122)가 설치될 수 있다.The gear box 120 may be provided with a shift lever 121 for shifting the vehicle 100 and a dial operating section 122 for controlling the performance of the vehicle 100. [

대시보드(150)에 마련된 스티어링 휠(140)은 차량(100)의 주행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로, 운전자에 의해 파지되는 림(141) 및 후술할 차량(100)의 조향 장치와 연결되고 림(141)과 조향을 위한 회전축의 허브를 연결하는 스포크(142)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 스포크(142)에는 차량(100) 내의 각종 장치, 일례로 오디오 장치 등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 장치(142a, 142b)가 형성될 수 있다. The steering wheel 140 provided on the dashboard 150 is a device for adjusting the running direction of the vehicle 100. The steering wheel 140 is connected to a rim 141 gripped by a driver and a steering device of a vehicle 100 And a spoke 142 connecting the hub 141 of the rotary shaft and the hub of the rotary shaft for steering.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spokes 142 may be provided with operating devices 142a and 142b for controlling various devices in the vehicle 100, for example, an audio device and the like.

대시보드(150)에 마련된 센터페시아(130)에는 공조 장치(131), 시계(132), 오디오 장치(133) 및 디스플레이 등이 설치될 수 있다. The center fascia 130 provided on the dashboard 150 may include an air conditioner 131, a clock 132, an audio device 133 and a display.

공조 장치(131)는 차량(100) 내부의 온도, 습도, 공기의 청정도, 공기의 흐름을 조절하여 차량(100)의 내부를 쾌적하게 유지한다. 공조 장치(131)는 센터페시아(130)에 설치되고 공기를 토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131a)를 포함할 수 있다. 센터페시아(130)에는 공조 장치(131) 등을 제어하기 위한 버튼이나 다이얼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운전자 등의 탑승자는 센터페시아(130)에 배치된 버튼을 이용하여 공조 장치(131)를 제어할 수 있다. The air conditioner 131 adjusts the temperature, humidity, air cleanliness, and air flow inside the vehicle 100 to comfortably maintain the interior of the vehicle 100. The air conditioner 131 may include at least one discharge port 131a provided in the center fascia 130 and discharging air. The center fascia 130 may be provided with buttons or dials for controlling the air conditioner 131 and the like. A passenger such as a driver can control the air conditioner 131 by using a button disposed on the center pacea 130. [

시계(132)는 공조 장치(131)를 제어하기 위한 버튼이나 다이얼 주위에 마련될 수 있다.The clock 132 may be provided around a button or a dial for controlling the air conditioner 131. [

오디오 장치(133)는 오디오 장치(133)의 기능 수행을 위한 다수의 버튼들이 마련된 조작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장치(133)는 라디오 기능을 제공하는 라디오 모드와 오디오 파일이 담긴 다양한 저장매체의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는 미디어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The audio device 133 may include an operation panel having a plurality of buttons for performing functions of the audio device 133. The audio device 133 may provide a radio mode for providing a radio function and a media mode for reproducing an audio file of various storage media containing the audio file.

디스플레이(134)는 차량(100)과 관련된 정보를 이미지, 또는 텍스트의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100)이 권장 주행경로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출력신호를 수신하면, 디스플레이(134)는 해당 출력신호에 대응되는 권장 주행경로를 이미지, 또는 텍스트를 통해 출력하여 탑승자에게 알릴 수 있다.The display 134 may output information relating to the vehicle 100 in the form of an image or text. For example, when receiving the output signal for controlling the vehicle 100 to output the recommended driving route, the display 134 outputs the recommended driving route corresponding to the output signal through an image or text to notify the occupant have.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134)는 센터페시아(130)에 매립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디스플레이의 설치 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디스플레이는 차량(100)의 센터페시아(130)와 분리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For this, the display 134 may be embedded in the center fascia 130.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display may be detachable from the center fascia 130 of the vehicle 100.

이 때, 디스플레이(134)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PDP(Plasma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CRT(Cathode Ray Tube)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At this time, the display 134 may be implemented a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light emitting diode (LED), a plasma display panel (PDP),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or a cathode ray tube (CRT)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대시보드(150)는 차량(100)의 주행 속도, 엔진 회전 수 또는 연료 잔량 등을 표시할 수 있는 각종 계기판 및 각종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글로브 박스(globe box)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The dashboard 150 may further include various instrument panels capable of displaying the traveling speed of the vehicle 100, the engine speed or the remaining amount of fuel, and a globe box capable of storing various items have.

차량(100)의 내부에는 음향을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160)가 마련될 수 있다. 스피커는 차량(100)과 관련된 정보를 음향으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100)이 권장 주행경로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출력신호를 수신하면, 스피커(160)는 해당 출력신호에 대응되는 권장 경로를 음향을 통해 출력하여 탑승자에게 알릴 수 있다.Inside the vehicle 100, a speaker 160 capable of outputting sound may be provided. The speaker can acoustically output information related to the vehicle 100. [ For example, when receiving the output signal for controlling the vehicle 100 to output the recommended traveling route, the speaker 160 outputs the recommended route corresponding to the output signal through the sound to inform the occupant.

한편, 차량(100)은 주행과 직, 간접적으로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전자적으로 제어되는 복수의 차량(100)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차량(100) 모듈 간의 통신을 위해 각각의 차량(100) 모듈을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할 경우, 배선이 차량(100) 내에서 차지하는 공간 및 무게가 증가할 뿐만 아니라, 제조 비용이 증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vehicle 1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electronically controlled vehicle 100 modules for performing a function directly or indirectly related to driving. When the respective modules 10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vehicle 100 modules, not only space and weight occupied by the wiring in the vehicle 100 but also manufacturing cost can be increased have.

이를 해결하기 위해, 차량(100)은 복수의 차량(100) 모듈을 하나의 통신 버스(300)와 연결하고, 통신 버스(300)가 복수의 차량(100) 모듈간의 통신을 중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서, 차량(100)은 캔(CAN; 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 또는 린(LIN; Local Interconnect Network) 통신을 채택함으로써 복수의 차량(100) 모듈 간의 통신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다. To solve this problem, the vehicle 100 may connect a plurality of vehicle 100 modules with one communication bus 300, and the communication bus 300 may be arranged to relay communication between a plurality of vehicle 100 modules have. For example, the vehicle 100 can establish a communication network between a plurality of vehicle 100 modules by adopting CAN (Controller Area Network) communication or LIN (Local Interconnect Network) communication.

이 때, 통신 버스(300)에 연결되는 복수의 차량(100) 모듈 중 적어도 하나에 에러가 발생할 수 있다. 에러가 발생한 차량(100) 모듈은 통신 버스(300)를 단락(Short)시킬 수 있고, 그 결과 통신 네트워크 전체의 정상 동작이 어려워질 수 있다.At this time, an error may occur i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vehicle 100 module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bus 300. The vehicle 100 module in which an error has occurred can short-circuit the communication bus 300, and as a result, normal operation of the entire communication network may become difficult.

따라서, 통신 네트워크는 에러가 발생한 차량(100) 모듈을 통신 버스(300)로부터 차단시킴으로써, 나머지 차량(100) 모듈 간 통신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Therefore, the communication network needs to provide an environment in which communications between the remaining vehicle 100 modules can be smoothly performed by blocking the vehicle 100 module from which the error has occurred, from the communication bus 300.

이하에서는, 도 3 및 4를 참조하여, 통신 디바이스(200)의 에러 발생 시 해당 통신 디바이스(200)와 통신 버스(300)의 연결을 차단하는 통신 네트워크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communication network that disconnects the communication device 200 from the communication bus 300 when an error occurs in the communication device 2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FIG.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네트워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네트워크의 제 1 통신 디바이스의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한 제어 블록도이다.4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nd Fig. 5 is a control block diagram illustrating in detail the configuration of a first communication device of a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네트워크는, 복수의 통신 디바이스(200); 및 복수의 디바이스 간 통신을 중계하는 통신 버스(300); 를 포함할 수 있다.4, a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cludes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devices 200; And a communication bus (300) for relaying communica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devices; . ≪ / RTI >

통신 네트워크가 린 통신을 채택하는 경우, 복수의 통신 디바이스(200)는 하나의 마스터(Master) 통신 디바이스(200)와 슬레이브(Slave) 통신 디바이스(200)로 구분될 수 있다. 마스터 통신 디바이스(200)는 통신을 시작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는 통신 디바이스(200)이고, 슬레이브 통신 디바이스(200)는 마스터 통신 디바이스(200)가 통신을 요청하기 전까지는 스스로 통신을 할 수 없다. 즉, 마스터 통신 디바이스(200)로부터 통신을 요청하는 트리거 신호를 수신한 후, 통신하고자 하는 메시지 프레임을 생성하여 통신할 수 있다.When the communication network adopts lean communication,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devices 200 can be divided into on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200 and a slave communication device 200.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200 is a communication device 200 having authority to start communication and the slave communication device 200 can not communicate by itself until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200 requests communication. That is, after receiving the trigger signal requesting communication from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200, a message frame to be communicated can be generated and communicated.

이 때, 통신 버스(300)는 송수신 라인의 구분이 없는 하나의 라인을 사용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즉 통신 버스(300)는 반이중방식(Half Duplex)을 채택하여 복수의 통신 디바이스(200) 간 통신을 중계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mmunication bus 300 can be implemented to use one line without distinction of transmission / reception lines. That is, the communication bus 300 can relay communica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devices 200 by employing a half duplex scheme.

반면, 통신 네트워크가 캔 통신을 채택하는 경우, 복수의 통신 디바이스(200) 각각은 마스터와 슬레이브의 구분이 없이 서로 동등한 상태에서 상호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복수의 통신 디바이스(200) 각각은 통신을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할 필요 없이, 통신하고자 하는 메시지 프레임을 생성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communication network adopts the can communication, each of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devices 200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 the state where they are equal to each other without distinction between the master and the slave. That is, each of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devices 200 can perform communication by generating a message frame to communicate without receiving a signal requesting communication.

이 경우, 통신 버스(300)는 두 개의 라인을 사용하며, 각각의 라인은 위상만 상이한 동일한 신호를 가질 수 있다. In this case, the communication bus 300 uses two lines, and each line may have the same signal that is different in phase only.

통신 네트워크가 포함하는 복수의 통신 디바이스(200)는 통신 버스(300)에 의해 통신할 수 있는 모든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통신 네트워크가 차량(100)에 적용되는 경우, 복수의 통신 디바이스(200)는 상술한 차량(100)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A plurality of communication devices 200 included in a communication network may refer to any device capable of communicating by the communication bus 300. When the communication network is applied to the vehicle 100,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devices 200 may be implemented as the vehicle 100 module described above.

도 3에서는 하나의 통신 버스(300)에 세 개의 통신 디바이스(200)가 연결되는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통신 버스(300)에 연결되는 복수의 통신 디바이스(200)의 수에는 제한이 없다.3 illustrates a case where three communication devices 200 are connected to one communication bus 300. However, there is no limitation on the number of communication devices 200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bus 300. [

도 4는 도 3의 통신 네트워크를 보다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으로, 하나의 통신 버스(300)에 제 1 통신 디바이스(200a) 및 제 2 통신 디바이스(200b)가 연결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설명의 편의상, 제 1 통신 디바이스(200a)가 통신 버스(300)를 통해 제 2 통신 디바이스(200b)로 메시지 프레임을 전송하는 경우를 전제로 설명한다. FIG. 4 is a view showing a communication network of FIG. 3 in a simpler manner, illustrating a case where a first communication device 200a and a second communication device 200b are connected to one communication bus 300. FIG.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is assumed that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200a transmits a message frame to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200b via the communication bus 300. FIG.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통신 디바이스(200a)는, 제 1 메시지 프레임을 생성하여 후술할 트랜시버(220)에 입력하는 제어부(210); 및 입력되는 제 1 메시지 프레임에 대응되는 전압을 가지는 통신 신호를 통신 버스(300)로 출력하는 트랜시버(220)(Transceiver); 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a first communication device 200a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includes a controller 210 for generating a first message frame and inputting the first message frame to a transceiver 2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a transceiver 220 (Transceiver) for outputting a communication signal having a voltage corresponding to the inputted first message frame to the communication bus 300; . ≪ / RTI >

제어부(210)는 전달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메시지 프레임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네트워크가 캔 통신을 채택하는 경우, 일 실시에에 따른 메시지 프레임은 메시지의 시작을 의미하는 SOF(Start Of Frame), 메시지를 식별하고 메시지의 우선 순위를 지정하는데 이용되는 식별자(Identifier), 원격 프레임과 메시지 프레임을 구분하는데 이용되는 RTR(Remote Transmission Request), 표준 프레임과 확장 프레임을 구분하는데 이용되는 IDE(Identifier Extension), 향후 사용되기 위해 예약된 비트 값을 가지는 r0와 데이터 필드의 바이트 수를 나타내는 DLC(Data Length Code)로 구성되는 제어 필드(Control Field), 전달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0~8 Byte로 구성되는 데이터 필드(Data Field), 데이터 필드의 끝을 알리는 비트 값을 가지는 CRC(Cyclil Redundancy Check), 메시지의 성공적 수신 여부를 나타내는 ACK 필드(Acknowledge Field), 프레임의 종료를 알리는 EOF(End Of Frame)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메시지 프레임의 식별자는 11 비트로 정의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10 may generate a message frame including data to be transmitted. When a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adopts can communication, a message fram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cludes a Start Of Frame (SOF), which means the start of a message, an identifier used to specify a message, (Remote Transmission Request) used to distinguish a remote frame from a message frame, an Identifier Extension (IDE) used to distinguish between a standard frame and an extended frame, r0 having a bit value reserved for future use, A control field including a data length code (DLC) indicating the number of bytes of a field, a data field consisting of 0 to 8 bytes including data to be transmitted, a bit indicating the end of a data field, A Cyclic Redundancy Check (CRC) value, an ACK field (Acknowledge Field) indicating whether the message is successfully received, an EOF (End Of Frame). In this case, the identifier of the message frame may be defined as 11 bits.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네트워크가 캔 통신을 채택하는 경우,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프레임은 식별자가 SRR, 및 IDE에 의해 두 개로 구분되어 있다. 여기서 SRR(Substitute Remote Request)는 표준 메시지 프레임과 확장 메시지 프레임을 중재하는 경우에 이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메시지 프레임의 식별자는 29 비트로 정의될 수 있다.When a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adopts can communication, the message fram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s divided into two by an SRR and an IDE. Here, the SRR (Substitute Remote Request) can be used in the case of arbitrating the standard message frame and the extended message frame. In this case, the identifier of the message frame may be defined as 29 bits.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 네트워크가 린 통신을 채택하는 경우,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프레임은 린 통신의 구현을 위한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이루어지는 비트 스트림의 형태로 정의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employs lean communication, the message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defined in the form of a bit stream which is perform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rule for implementing lean communication.

트랜시버(220)는 제어부(210)에서 생성된 메시지 프레임을 입력 받아 통신 버스(300)에 의해 전송 가능한 통신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메시지 프레임이 미리 정해진 프레임 단위로 구분되는 비트 스트림의 형태였다면, 통신 신호란 비트 스트림에 대응되는 전압 또는 전류를 가지는 전기적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The transceiver 220 receives the message frame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210 and can output a communication signal that can be transmitted by the communication bus 300. If the message frame is in the form of a bit stream divided by a predetermined frame unit, the communication signal may mean an electric signal having a voltage or current corresponding to the bit stream.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네트워크가 캔 통신을 채택하는 경우, 통신 신호는 메시지 프레임을 구성하는 비트 스트림에 대응되는 전위 차가 통신 버스(300)의 두 개의 라인 양단에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 네트워크가 린 통신을 채택하는 경우, 통신 신호는 메시지 프레임을 구성하는 비트 스트림에 대응되는 전위 차가 통신 버스(300)의 한 개의 라인과 접지 사이에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When th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dopts the can communication, the communication signal can be made such that a potential difference corresponding to the bit stream constituting the message frame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communication bus 300. [ When th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employs lean communication, the communication signal may be such that a potential difference corresponding to the bit stream constituting the message frame is formed between one line of the communication bus 300 and the ground.

통신 버스(300)는 트랜시버(220) 출력되는 통신 신호를 통신 버스(300)에 연결되는 제 2 통신 디바이스(200b)로 전달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통해 통신 버스(300)에 연결되는 복수의 통신 디바이스(200) 간의 통신이 가능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bus 300 may transmit the communication signal output from the transceiver 220 to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200b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bus 300. [ Communication between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devices 200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bus 300 may be possible through the series of processes.

이 때, 통신 버스(300)에 연결되는 복수의 통신 디바이스(200) 중 적어도 하나, 즉 제 1 통신 디바이스(200a)는 스스로 에러 발생 여부를 검출하고, 그 결과에 따라 통신 버스(300)와의 연결을 차단할 수 있다. At this time,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devices 200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bus 300, that is,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200a detects whether or not an error has occurred on its own, and the connection with the communication bus 300 Lt; / RTI >

이를 위해,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통신 디바이스(200a)는, 트랜시버(220) 및 통신 버스(300) 사이에 마련되는 스위치(240); 트랜시버(220)에서 출력되는 통신 신호를 메시지 프레임으로 변환하는 컨버터(230); 를 더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200a according to one embodiment comprises a switch 240 provided between the transceiver 220 and the communication bus 300; A converter 230 for converting a communication signal output from the transceiver 220 into a message frame; As shown in FIG.

스위치(240)는 통신 버스(300)의 라인 중 적어도 하나와 트랜시버(220)의 출력 단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될 수 있다. 그 결과, 스위치(240)가 온(On) 되면, 트랜시버(220)에서 출력되는 통신 신호가 통신 버스(300)를 거쳐 제 2 통신 디바이스(200b)로 전달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스위치(240)가 오프(Off) 되면, 트랜시버(220)의 출력 단과 통신 버스(300) 간의 연결이 차단되므로, 통신 신호가 통신 버스(300)로 전달되지 못한다.The switch 240 may be coupled to at least one of the lines of the communication bus 300 and the output stage of the transceiver 220. As a result, when the switch 240 is turned on, a communication signal output from the transceiver 220 can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200b via the communication bus 300. [ However, when the switch 240 is turned off, the connection between the output terminal of the transceiver 220 and the communication bus 300 is cut off, so that the communication signal can not be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bus 300.

이와 같은 스위치(240)는 인가되는 바이어스(Bias) 방향에 따라 온/오프 제어 되는 다이오드(Diode)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switch 240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diode that is on / off controlled according to a bias direc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스위치(240)는 제어부(210)의 제어에 의해 동작할 수 있다. The switch 240 can be operat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210. [

컨버터(230)는 트랜시버(220)에서 출력되는 통신 신호를 다시 메시지 프레임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이렇게 변환된 메시지 프레임은 제어부(210)로 전달되고, 제어부(210)는 이를 기초로 통신 디바이스(200)의 에러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그 결과에 따라 스위치(240)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verter 230 may convert the communication signal output from the transceiver 220 back into a message frame. The converted message frame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210. The control unit 210 determines whether an error has occurred in the communication device 200 based on the received message frame, and controls the switch 240 according to the result.

이하에서는, 도 5a, 5b, 및 도 6a 및 6b를 참조하여, 제어부(210)가 스위치(240)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witch 240 by the control unit 21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5A, 5B and FIGS. 6A and 6B.

도 5a 및 5b는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네트워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통신 네트워크가 캔 통신을 채택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5a 및 5b의 통신 네트워크가 제 1 통신 디바이스(200a)와 제 2 통신 디바이스(200b)가 직접 연결되는 것처럼 도시하였으나, 개시된 발명의 통신 네트워크에서 제 1 통신 디바이스(200a)와 제 2 통신 디바이스(200b)는 통신 버스(300)를 통해 연결된다.5A and 5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a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which a communication network adopts a can communication. 5a and 5b are shown as being directly connected to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200a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200b,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200a in the communication network of the disclosed invention,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200b are connec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bus 300. [

먼저, 제어부(210)는 통신 네트워크 상에 에러가 발생된 것으로 의심되면, 제 1 통신 디바이스(200a)와 통신 버스(300)의 연결을 차단하도록 스위치(240)를 오프 시킬 수 있다. 여기서, 에러가 발생된 것으로 의심된다는 것은 통신 버스(300)에 의한 정상적인 통신 중계가 이루어지지 않음을 의미할 수 있다. First, if the controller 210 suspects that an error has occurred on the communication network, the controller 210 may turn off the switch 240 to shut down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200a and the communication bus 300. [ Here, suspicion of an error may mean that normal communication relay by the communication bus 300 is not performed.

예를 들어, 제 1 통신 디바이스(200a)가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통신 버스(300)를 통해 수신되는 메시지 프레임이 존재하지 않으면, 즉, Timeout이 발생하면, 제어부(210)는 통신 네트워크 상에 에러가 발생된 것으로 의심되므로 스위치(240)를 오프 시킬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200a does not have a message frame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bus 300 for a predetermined time, i.e., a timeout occurs, the control unit 210 determines that an error The switch 240 can be turned off because it is suspected that it has occurred.

그 결과, 도 5a와 같이 제 1 통신 디바이스(200a)와 제 2 통신 디바이스(200b)의 통신 버스(300)를 통한 연결이 차단될 수 있다. As a result,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200a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200b through the communication bus 300 can be blocked as shown in FIG. 5A.

그 다음, 제어부(210)는 트랜시버(220)에 제 1 메시지 프레임 Tx1을 입력할 수 있다. 캔 통신의 경우, 통신 디바이스(200) 간에 마스터/슬레이브 의 구분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제어부(210)는 원하는 시점에 제 1 메시지 프레임 Tx1을 생성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10 may then input the first message frame T x1 to the transceiver 220. Can communication, the controller 210 can generate the first message frame T x1 at a desired time because there is no master / slave distinction between the communication devices 200.

제어부(210)에서 생성된 제 1 메시지 프레임 Tx1이 입력되면, 트랜시버(220)는 제 1 메시지 프레임 Tx1을 전기적 신호인 통신 신호 CAN_H 및 CAN_L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출력되는 통신 신호 CAN_H 및 CAN_L 는 제 1 메시지 프레임 Tx1에 대응되는 전위차를 가질 수 있다.When the first message frame T x1 generated by the controller 210 is input, the transceiver 220 converts the first message frame T x1 into communication signals CAN_H and CAN_L, which are electrical signals, and outputs the communication signals. At this time, the outputted communication signals CAN_H and CAN_L may have a potential difference corresponding to the first message frame T x1 .

도 5a를 참조하면, 스위치(240)가 제어부(210)에 의해 오프 되므로, 트랜시버(220)에서 출력되는 통신 신호 CAN_H는 통신 버스(300)를 통해 제 2 통신 디바이스(200b)로 전달될 수 없다. 다만, 통신 신호 CAN_H는 컨버터(230)로 입력될 수 있고, 컨버터(230)는 통신 신호 CAN_H를 제 2 메시지 프레임 Tx2 로 변환할 수 있다. 이 때, 컨버터(230)의 동작은 트랜시버(220)에서 메시지 프레임을 통신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의 역과 같을 수 있다.5A, since the switch 240 is turned off by the control unit 210, the communication signal CAN_H output from the transceiver 220 can not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200b via the communication bus 300 . However, the communication signal CAN_H may be input to the converter 230, and the converter 230 may convert the communication signal CAN_H to the second message frame T x2 . At this time, the operation of the converter 230 may be the same as the process of converting the message frame to the communication signal in the transceiver 220.

통신 신호 CAN_H가 제 2 메시지 프레임 Tx2로 변환되면, 제어부(210)는 제 1 메시지 프레임 Tx1과 제 2 메시지 프레임 Tx2를 비교할 수 있다. 제 1 메시지 프레임 Tx1은 제 1 통신 디바이스(200a)가 전송하고자 하는 메시지 프레임이고, 제 2 메시지 프레임 Tx2는 제 1 메시지 프레임 Tx1을 통신 신호로 변환한 결과에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메시지 프레임 Tx1과 제 2 메시지 프레임 Tx2가 상이하다는 것은 트랜시버(220)의 동작이 비정상적임을 의미할 수 있다. When the communication signal CAN_H is converted into the second message frame T x2 , the control unit 210 can compare the first message frame T x1 and the second message frame T x2 . The first message frame T x1 may correspond to a message frame to be transmitted by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200a and the second message frame T x2 may correspond to a result of converting the first message frame T x1 into a communication signal. Thus, the fact that the first message frame T x1 and the second message frame T x2 are different may mean that the operation of the transceiver 220 is abnormal.

이를 전제로, 제 1 메시지 프레임 Tx1과 제 2 메시지 프레임 Tx2가 상이하면, 제어부(210)는 스위치(240)의 오프 상태를 유지하여 제 1 통신 디바이스(200a)와 통신 버스(300)의 연결을 계속하여 차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 1 통신 디바이스(200a)를 제외한 다른 통신 디바이스(200)의 정상적인 통신을 가능하게 하고, 제 1 통신 디바이스(200a)는 자체적인 에러 복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If the first message frame T x1 and the second message frame T x2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control unit 210 maintains the off state of the switch 240 so that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200a and the communication bus 300 You can continue to block the connection. This enables normal communication of the communication device 200 other than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200a, and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200a can perform its own error recovery operation.

반면, 제 1 메시지 프레임 Tx1과 제 2 메시지 프레임 Tx2가 상이하면, 제어부(210)는 트랜시버(220)의 동작에 문제가 없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 결과, 도 5b와 같이, 제어부(210)는 스위치(240)를 온 시켜 정상적인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first message frame T x1 and the second message frame T x2 are different, the controller 210 can determine that there is no problem in the operation of the transceiver 220. As a result, as shown in FIG. 5B, the control unit 210 can turn on the switch 240 to perform normal communication.

도 5a 및 5b와는 달리, 통신 네트워크가 린 통신을 채택하는 경우에도, 제어부(210)는 유사하게 제 1 통신 디바이스(200a)를 통신 버스(300)로부터 차단할 수 있다. 5A and 5B, the control unit 210 can similarly block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200a from the communication bus 300 even when the communication network employs lean communication.

도 6a 및 6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 네트워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통신 네트워크가 린 통신을 채택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6a 및 6b의 통신 네트워크가 제 1 통신 디바이스(200a)와 제 2 통신 디바이스(200b)가 직접 연결되는 것처럼 도시하였으나, 개시된 발명의 통신 네트워크에서 제 1 통신 디바이스(200a)와 제 2 통신 디바이스(200b)는 통신 버스(300)를 통해 연결된다.Figs. 6A and 6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a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 which the communication network adopts lean communication. Fig. 6a and 6b are shown as being directly connected to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200a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200b,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200a in the communication network of the disclosed invention,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200b are connec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bus 300. [

먼저, 제어부(210)는 통신 네트워크 상에 에러가 발생된 것으로 의심되면, 제 1 통신 디바이스(200a)와 통신 버스(300)의 연결을 차단하도록 스위치(240)를 오프 시킬 수 있다. 여기서, 에러가 발생된 것으로 의심된다는 것은 통신 버스(300)에 의한 정상적인 통신 중계가 이루어지지 않음을 의미할 수 있다. First, if the controller 210 suspects that an error has occurred on the communication network, the controller 210 may turn off the switch 240 to shut down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200a and the communication bus 300. [ Here, suspicion of an error may mean that normal communication relay by the communication bus 300 is not performed.

예를 들어, 통신 버스(300)의 라인이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우성(Dominant) 또는 열성(Recessive) 상태를 유지하면, 제어부(210)는 통신 네트워크 상에 에러가 발생된 것으로 의심되므로 스위치(240)를 오프 시킬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line of the communication bus 300 maintains a dominant or recessive state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the controller 210 suspends an error on the communication network, Can be turned off.

그 결과, 도 6a와 같이 제 1 통신 디바이스(200a)와 제 2 통신 디바이스(200b)의 통신 버스(300)를 통한 연결이 차단될 수 있다. As a result,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200a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200b via the communication bus 300 can be blocked as shown in FIG. 6A.

그 다음, 제어부(210)는 트랜시버(220)에 제 1 메시지 프레임 Tx1을 입력할 수 있다. 린 통신의 경우, 원칙적으로 슬레이브 통신 디바이스(200)는 마스터 통신 디바이스(200)의 통신 요청 없이는 메시지 프레임을 생성할 수 없다. 다만, 슬레이브 통신 디바이스(200)라도 Wakeup 프레임의 경우는 마스터 통신 디바이스(200)의 통신 요청과 무관하게 생성할 수 있으므로, 제 1 메시지 프레임 Tx1은 Wakeup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10 may then input the first message frame T x1 to the transceiver 220. In the case of lean communication, in principle, the slave communication device 200 can not generate a message frame without the communication request of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200. However, the slave communication device 200 can generate the wakeup frame irrespective of the communication request of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200, so that the first message frame T x1 may include a wakeup frame.

제어부(210)에서 생성된 제 1 메시지 프레임 Tx1이 입력되면, 트랜시버(220)는 제 1 메시지 프레임 Tx1을 전기적 신호인 통신 신호 LIN 으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출력되는 통신 신호 LIN은 제 1 메시지 프레임 Tx1에 대응되는 전압을 가질 수 있다.When the first message frame T x1 generated by the controller 210 is input, the transceiver 220 converts the first message frame T x1 into a communication signal LIN, which is an electrical signal, and outputs the communication signal. At this time, the output communication signal LIN may have a volta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message frame T x1 .

도 6a를 참조하면, 스위치(240)가 제어부(210)에 의해 오프 되므로, 트랜시버(220)에서 출력되는 통신 신호 LIN은 통신 버스(300)를 통해 제 2 통신 디바이스(200b)로 전달될 수 없다. 다만, 통신 신호 LIN은 컨버터(230)로 입력될 수 있고, 컨버터(230)는 통신 신호 LIN을 제 2 메시지 프레임 Tx2 로 변환할 수 있다. 이 때, 컨버터(230)의 동작은 트랜시버(220)에서 메시지 프레임을 통신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의 역과 같을 수 있다.6A, since the switch 240 is turned off by the control unit 210, the communication signal LIN output from the transceiver 220 can not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200b via the communication bus 300 . However, the communication signal LIN can be input to the converter 230, and the converter 230 can convert the communication signal LIN into the second message frame T x2 . At this time, the operation of the converter 230 may be the same as the process of converting the message frame to the communication signal in the transceiver 220.

통신 신호 LIN이 제 2 메시지 프레임 Tx2로 변환되면, 제어부(210)는 제 1 메시지 프레임 Tx1과 제 2 메시지 프레임 Tx2를 비교할 수 있다. 제 1 메시지 프레임 Tx1은 제 1 통신 디바이스(200a)가 전송하고자 하는 메시지 프레임이고, 제 2 메시지 프레임 Tx2는 제 1 메시지 프레임 Tx1을 통신 신호로 변환한 결과에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메시지 프레임 Tx1과 제 2 메시지 프레임 Tx2가 상이하다는 것은 트랜시버(220)의 동작이 비정상적임을 의미할 수 있다. When the communication signal LIN is converted into the second message frame T x2 , the controller 210 can compare the first message frame T x1 and the second message frame T x2 . The first message frame T x1 may correspond to a message frame to be transmitted by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200a and the second message frame T x2 may correspond to a result of converting the first message frame T x1 into a communication signal. Thus, the fact that the first message frame T x1 and the second message frame T x2 are different may mean that the operation of the transceiver 220 is abnormal.

이를 전제로, 제 1 메시지 프레임 Tx1과 제 2 메시지 프레임 Tx2가 상이하면, 제어부(210)는 스위치(240)의 오프 상태를 유지하여 제 1 통신 디바이스(200a)와 통신 버스(300)의 연결을 계속하여 차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 1 통신 디바이스(200a)를 제외한 다른 통신 디바이스(200)의 정상적인 통신을 가능하게 하고, 제 1 통신 디바이스(200a)는 자체적인 에러 복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If the first message frame T x1 and the second message frame T x2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control unit 210 maintains the off state of the switch 240 so that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200a and the communication bus 300 You can continue to block the connection. This enables normal communication of the communication device 200 other than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200a, and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200a can perform its own error recovery operation.

반면, 제 1 메시지 프레임 Tx1과 제 2 메시지 프레임 Tx2가 상이하면, 제어부(210)는 트랜시버(220)의 동작에 문제가 없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 결과, 도 6b와 같이, 제어부(210)는 스위치(240)를 온 시켜 정상적인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first message frame T x1 and the second message frame T x2 are different, the controller 210 can determine that there is no problem in the operation of the transceiver 220. As a result, as shown in FIG. 6B, the control unit 210 can turn on the switch 240 to perform normal communication.

또한, 제어부(210)는 통신 버스(300)와 연결이 차단되는 통신 디바이스(200)를 모니터링 할 수도 있다. 통신 버스(300)에 연결되는 복수의 통신 디바이스(200) 중 적어도 하나가 네트워크 관리(Network Management) 권한을 가지는 경우, 이러한 권한을 가지는 통신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10)는 복수의 통신 디바이스(200)의 상태, 통신 버스(300)의 상태, 및 이들의 연결관계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따라서, 에러가 발생한 것으로 감지되는 통신 디바이스(200)가 통신 버스(300)로부터 차단되면, 네트워크 관리 권한을 가지는 통신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10)는 통신 버스(300)로부터 차단되는 통신 디바이스(200)를 확인하고, 그 상태를 계속하여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네트워크 관리 권한을 가지는 통신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10)는 나머지 통신 디바이스(200)에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 마다 미리 정해진 통신 신호를 전송하고, 그 결과에 따라 통신 버스(300)와 통신 디바이스(200)의 연결관계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210 may monitor the communication device 200 that is disconnected from the communication bus 300. Whe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devices 200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bus 300 has a network management right, the control unit 210 of the communication device 200 having the right has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devices 200, the status of the communication bus 300, and their connection relationship. The control unit 210 of the communication device 200 having the network management authority is notified of the communication device 200 that is blocked from the communication bus 300 200), and can continuously monitor the state. To this end, the control unit 210 of the communication device 200 having the network management authority transmits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signal to the remaining communication devices 200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and communicates with the communication bus 300 The connection relationship of the device 200 can be monitored.

지금까지 설명한 통신 네트워크는 복수의 통신 디바이스(200) 간의 통신을 중계할 필요가 있는 모든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특히, 개시된 발명의 통신 네트워크는 도 1 및 2에서 설명한 차량(100)에 적용 가능하고, 이 경우 통신 네트워크의 복수의 통신 디바이스(200)는 상술한 차량(100)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통신 네트워크가 린 통신을 채택하는 경우, 마스터 통신 디바이스(200)는 마스터 차량(100) 모듈로, 슬레이브 통신 디바이스(200)는 슬레이브 차량(100)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network described so far can be applied to all devices that need to relay communication between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devices 200. [ In particular, the communication network of the disclosed invention is applicable to the vehicle 100 described in Figures 1 and 2, in which case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devices 200 of the communication network may be implemented as the vehicle 100 module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when the communication network employs lean communication,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200 may be implemented as a module of the master vehicle 100, and the slave communication device 200 may be implemented as a module of the slave vehicle 100. [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7 is a flowchart of a vehicl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먼저, 통신 네트워크 상의 통신 디바이스(200) 중 적어도 하나에서 제 1 메시지 프레임을 생성할 수 있다.(400) 통신 네트워크가 캔 통신을 채택하는 경우, 통신 디바이스(200)는 아무런 제한 없이 제 1 메시지 프레임을 생성할 수 있다. 반면, 통신 네트워크가 린 통신을 채택하는 경우, 슬레이브 통신 디바이스(200)는 제 1 메시지 프레임으로서 Wakeup 프레임을 생성할 수 있다.First, a first message frame may be generated in at least one of the communication devices 200 on the communication network. (400) When the communication network adopts can communication, the communication device 200 may send a first message frame Can be generat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mmunication network employs lean communication, the slave communication device 200 can generate a Wakeup frame as the first message frame.

제 1 메시지 프레임이 생성되면, 통신 디바이스(200)는 제 1 메시지 프레임에 대응되는 통신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410) 여기서, 통신 신호는 통신 버스(300)를 통해 전송하기 위하여 변환된 제 1 메시지 프레임의 전기적 신호 형태를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통신 신호의 전압 또는 전류가 제 1 메시지 프레임에 대응될 수 있다.When the first message frame is generated, the communication device 200 may output a communica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irst message frame. (410) Here, the communicatio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device 300, 1 < / RTI > message frame. Thus, the voltage or current of the communication signal may correspond to the first message frame.

그 다음, 통신 디바이스(200)는 출력된 통신 신호를 제 2 메시지 프레임으로 변환할 수 있다.(420) 통신 신호를 제 2 메시지 프레임으로 변환하는 과정은 상술한 제 1 메시지 프레임을 통신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의 역과 유사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device 200 may then convert the output communication signal into a second message frame 420. The process of converting the communication signal into a second message frame may be performed by converting the first message frame described above into a communication signal May be similar to the inverse of the process.

제 2 메시지 프레임이 생성되면, 통신 디바이스(200)는 제 1 메시지 프레임과 제 2 메시지 프레임이 동일한지 비교할 수 있다.(430) 제 1 메시지 프레임 은 통신 디바이스(200)가 전송하고자 하는 메시지 프레임이고, 제 2 메시지 프레임은 제 1 메시지 프레임을 통신 신호로 변환한 결과에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메시지 프레임과 제 2 메시지 프레임이 상이하다는 것은 통신 디바이스(200)의 동작이 비정상적임을 의미할 수 있다. When the second message frame is generated, the communication device 200 can compare whether the first message frame and the second message frame are the same (430). The first message frame is a message frame to be transmitted by the communication device 200 , And the second message frame may correspond to a result of converting the first message frame into a communication signal. Thus, the fact that the first message frame and the second message frame are different may mean that the operation of the communication device 200 is abnormal.

만약, 제 1 메시지 프레임과 제 2 메시지 프레임이 동일하면, 통신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10)는 통신 디바이스(200)의 트랜시버(220)와 통신 버스(300) 사이의 스위치(240)를 온(On) 시킬 수 있다.(440) 그 결과, 통신 디바이스(200)는 스위치(240)를 경유하여 제 1 메시지 프레임을 통신 버스(300)로 전송할 수 있다.(450)If the first message frame and the second message frame are the same, the control unit 210 of the communication device 200 turns on the switch 240 between the transceiver 220 of the communication device 200 and the communication bus 300 The communication device 200 may transmit the first message frame to the communication bus 300 via the switch 240. In operation 450,

반면, 제 1 메시지 프레임과 제 2 메시지 프레임이 상이하면, 통신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10)는 통신 디바이스(200)의 트랜시버(220)와 통신 버스(300) 사이의 스위치(240)를 오프(Off) 시킬 수 있다.(460) 이를 통해, 에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는 통신 디바이스(200)를 제외한 다른 통신 디바이스(200)의 정상적인 통신을 가능하게 하고, 에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는 통신 디바이스(200)는 자체적인 에러 복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first message frame and the second message frame differ, the control unit 210 of the communication device 200 turns off the switch 240 between the transceiver 220 of the communication device 200 and the communication bus 300 (460). This allows normal communication of the communication device (200) other than the communication device (200) judged as an error to occur, and enables the communication device The controller 200 can perform its own error recovery operation.

100: 차량
200: 통신 디바이스
210: 제어부
220: 트랜시버
230: 컨버터
240: 스위치
300: 통신 버스
100: vehicle
200: communication device
210:
220: Transceiver
230: Converter
240: Switch
300: Communication bus

Claims (24)

복수의 통신 디바이스; 및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 간 통신을 중계하는 통신 버스;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통신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는,
입력되는 메시지 프레임에 대응되는 전압을 가지는 통신 신호를 상기 통신 버스로 출력하는 트랜시버(Transceiver); 및
상기 트랜시버에 제 1 메시지 프레임을 입력하고, 상기 트랜시버에서 출력되는 통신 신호가 상기 제 1 메시지 프레임에 대응되는 전압을 가지지 않으면, 상기 트랜시버와 상기 통신 버스의 연결을 차단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devices; And
A communication bus for relaying communica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devices; Lt; / RTI >
Wherei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devices comprises:
A transceiver for outputting a communication signal having a voltage corresponding to an input message frame to the communication bus; And
A control unit for inputting a first message frame to the transceiver and disconnecting the transceiver from the communication bus if the communication signal output from the transceiver does not have a volta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message frame; ≪ / RTI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통신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트랜시버 및 상기 통신 버스 사이에 마련되는 스위치;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트랜시버와 상기 통신 버스의 연결을 차단하도록 상기 스위치를 오프(Off)시키는 통신 네트워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devices comprises:
A switch provided between the transceiver and the communication bus; Further comprising:
Wherein,
Wherein the switch is turned off to disconnect the transceiver from the communication bu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통신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트랜시버에서 출력되는 통신 신호를 제 2 메시지 프레임으로 변환하는 컨버터; 를 더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devices comprises:
A converter for converting a communication signal output from the transceiver into a second message frame; Further comprising: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메시지 프레임과 상기 제 2 메시지 프레임이 상이하면, 상기 트랜시버와 상기 통신 버스의 연결을 차단하는 통신 네트워크.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nd disconnects the transceiver from the communication bus if the first message frame and the second message frame diff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수신되는 메시지 프레임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트랜시버와 상기 통신 버스의 연결을 차단한 후, 상기 트랜시버에 상기 제 1 메시지 프레임을 입력하는 통신 네트워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d if the message frame received for a predetermined time does not exist, disconnect the connection of the transceiver and the communication bus and then input the first message frame to the transceiver.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메시지 프레임이 입력된 상기 트랜시버에서 출력되는 통신 신호가 상기 제 1 메시지 프레임에 대응되는 전압을 가지지 않으면, 상기 통신 버스로부터 차단된 상기 트랜시버의 상태를 유지하는 통신 네트워크.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Wherein the state of the transceiver blocked from the communication bus is maintained if the communication signal output from the transceiver to which the first message frame is input does not have a volta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message fram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통신 디바이스는,
하나의 마스터(Master) 통신 디바이스 및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Slave) 통신 디바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통신 디바이스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트랜시버에 Wakeup 프레임을 포함하는 상기 제 1 메시지 프레임을 입력하는 통신 네트워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devices comprising:
On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and at least one slave communication device; Lt; / RTI >
Wherein the control of the at least one slave communication device comprises:
And the first message frame including a Wakeup frame is input to the transceiv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통신 디바이스 중 상기 통신 버스와 연결이 차단되는 통신 디바이스를 모니터링 하는 통신 네트워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rein the communication device is disconnected from the communication bus among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devices.
통신 버스에 의해 복수의 차량 모듈 간 통신을 중계하는 통신 네트워크; 를 포함하는 차량에 있어서,
상기 통신 네트워크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차량 모듈 중 적어도 하나는,
입력되는 메시지 프레임에 대응되는 전압을 가지는 통신 신호를 상기 통신 버스로 출력하는 트랜시버(Transceiver); 및
상기 트랜시버에 제 1 메시지 프레임을 입력하고, 상기 트랜시버에서 출력되는 통신 신호가 상기 제 1 메시지 프레임에 대응되는 전압을 가지지 않으면, 상기 트랜시버와 상기 통신 버스의 연결을 차단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차량.
A communication network for relaying communication between a plurality of vehicle modules by a communication bus; In the vehicle,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vehicle modules included in the communication network,
A transceiver for outputting a communication signal having a voltage corresponding to an input message frame to the communication bus; And
A control unit for inputting a first message frame to the transceiver and disconnecting the transceiver from the communication bus if the communication signal output from the transceiver does not have a volta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message frame; ≪ / RTI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차량 모듈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트랜시버 및 상기 통신 버스 사이에 마련되는 스위치;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트랜시버와 상기 통신 버스의 연결을 차단하도록 상기 스위치를 오프(Off)시키는 차량.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vehicle modules comprises:
A switch provided between the transceiver and the communication bus; Further comprising:
Wherein,
And turning off the switch to disconnect the transceiver from the communication bus.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차량 모듈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트랜시버에서 출력되는 통신 신호를 제 2 메시지 프레임으로 변환하는 컨버터; 를 더 포함하는 차량.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vehicle modules comprises:
A converter for converting a communication signal output from the transceiver into a second message frame; . ≪ / RTI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메시지 프레임과 상기 제 2 메시지 프레임이 상이하면, 상기 트랜시버와 상기 통신 버스의 연결을 차단하는 차량.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And disconnects the communication bus from the transceiver if the first message frame and the second message frame differ.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수신되는 메시지 프레임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트랜시버와 상기 통신 버스의 연결을 차단한 후, 상기 트랜시버에 상기 제 1 메시지 프레임을 입력하는 차량.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And if the message frame receiv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does not exist, disconnect the connection of the transceiver and the communication bus, and then input the first message frame to the transceiver.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메시지 프레임이 입력된 상기 트랜시버에서 출력되는 통신 신호가 상기 제 1 메시지 프레임에 대응되는 전압을 가지지 않으면, 상기 통신 버스로부터 차단된 상기 트랜시버의 상태를 유지하는 차량.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And maintains the state of the transceiver blocked from the communication bus if the communication signal output from the transceiver to which the first message frame is input does not have a volta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message frame.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차량 모듈은,
하나의 마스터(Master) 차량 모듈 및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Slave) 차량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차량 모듈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트랜시버에 Wakeup 프레임을 포함하는 상기 제 1 메시지 프레임을 입력하는 차량.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plurality of vehicle modules include:
One master vehicle module and at least one slave vehicle module; / RTI >
Wherein the control unit of the at least one slave vehicle module comprises:
And inputting the first message frame including the Wakeup frame to the transceiver.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차량 모듈 중 상기 통신 버스와 연결이 차단되는 차량 모듈을 모니터링 하는 차량.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And wherein the vehicle module is disconnected from the communication bus among the plurality of vehicle modules.
통신 버스에 의해 복수의 차량 모듈 간 통신을 중계하는 통신 네트워크; 를 포함하는 차량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차량 모듈 중 적어도 하나에서 제 1 메시지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메시지 프레임을 생성한 차량 모듈에서 상기 제 1 메시지 프레임에 대응되는 전압을 가지는 통신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통신 신호가 상기 제 1 메시지 프레임에 대응되는 전압을 가지지 않으면, 상기 제 1 메시지 프레임을 생성한 차량 모듈과 상기 통신 버스의 연결을 차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A communication network for relaying communication between a plurality of vehicle modules by a communication bus; In the vehicle,
Generating a first message frame i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vehicle modules;
Generating a communication signal having a volta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message frame in the vehicle module that has generated the first message frame; And
Blocking the connection of the communication bus with the vehicle module that generated the first message frame if the generated communication signal does not have a volta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message frame; And controlling the vehicle.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시지 프레임을 생성한 차량 모듈과 상기 통신 버스의 연결을 차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메시지 프레임을 생성한 차량 모듈과 상기 통신 버스 사이에 마련되는 스위치를 오프(Off)시키는 차량의 제어방법.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step of disconnecting the communication bus with the vehicle module that has generated the first message frame comprises:
And turning off a switch provided between the vehicle module that has generated the first message frame and the communication bus.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시지 프레임을 생성한 차량 모듈과 상기 통신 버스의 연결을 차단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된 통신 신호로부터 변환되는 제 2 메시지 프레임을 기초로 상기 제 1 메시지 프레임을 생성한 차량 모듈과 상기 통신 버스의 연결을 차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step of disconnecting the communication bus with the vehicle module that has generated the first message frame comprises:
And disconnecting the communication bus from the vehicle module that has generated the first message frame based on the second message frame converted from the generated communication signal.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시지 프레임을 생성한 차량 모듈과 상기 통신 버스의 연결을 차단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된 통신 신호를 상기 제 2 메시지 프레임으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메시지 프레임과 상기 제 2 메시지 프레임이 상이하면, 상기 제 1 메시지 프레임을 생성한 차량 모듈과 상기 통신 버스의 연결을 차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20. The method of claim 19,
Wherein the step of disconnecting the communication bus with the vehicle module that has generated the first message frame comprises:
Converting the generated communication signal into the second message frame; And
Blocking a connection between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vehicle module that generated the first message frame if the first message frame and the second message frame are different; And controlling the vehicle.
제 17 항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메시지 프레임을 수신하지 못한 차량 모듈과 상기 통신 버스의 연결을 차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8. The method of claim 17,
Blocking the connection of the communication bus with the vehicle module that has not received the message frame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Further comprising the steps of: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시지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통신 버스와 연결이 차단된 차량 모듈에서 상기 제 1 메시지 프레임을 생성하고,
상기 제 1 메시지 프레임을 생성한 차량 모듈과 상기 통신 버스의 연결을 차단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된 통신 신호가 상기 제 1 메시지 프레임에 대응되는 전압을 가지지 않으면, 상기 제 1 메시지 프레임을 생성한 차량 모듈이 상기 통신 버스와 차단된 상태를 유지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22. The method of claim 21,
Wherein the generating of the first message frame comprises:
Generating the first message frame in a vehicle module that is disconnected from the communication bus,
Wherein the step of disconnecting the communication bus with the vehicle module that has generated the first message frame comprises:
And if the generated communication signal does not have a volta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message frame, the vehicle module that generated the first message frame remains blocked from the communication bus.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차량 모듈은,
하나의 마스터(Master) 차량 모듈 및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Slave) 차량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메시지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차량 모듈에서 Wakeup 프레임을 포함하는 상기 제 1 메시지 프레임을 생성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plurality of vehicle modules include:
One master vehicle module and at least one slave vehicle module; / RTI >
Wherein the generating of the first message frame comprises:
Wherein the at least one slave vehicle module generates the first message frame including a Wakeup frame.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차량 모듈 중 상기 통신 버스와 연결이 차단되는 차량 모듈을 모니터링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8. The method of claim 17,
Monitoring a vehicle module of the plurality of vehicle modules that is disconnected from the communication bus; Further comprising the steps of:
KR1020150119410A 2015-08-25 2015-08-25 Communication network, vehicle includ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10171448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9410A KR101714481B1 (en) 2015-08-25 2015-08-25 Communication network, vehicle includ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9410A KR101714481B1 (en) 2015-08-25 2015-08-25 Communication network, vehicle includ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4310A true KR20170024310A (en) 2017-03-07
KR101714481B1 KR101714481B1 (en) 2017-03-09

Family

ID=58402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9410A KR101714481B1 (en) 2015-08-25 2015-08-25 Communication network, vehicle includ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4481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7144B1 (en) * 2018-09-13 2019-04-09 자동차부품연구원 Apparatus for communication security for vehicle
US11831463B2 (en) 2019-01-21 2023-11-28 Lg Energy Solution, Ltd. BMS, ECU, and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BMS and ECU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21114A (en) * 2010-11-05 2013-11-05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Device and method for serial data transmission at a high data rate
KR101524143B1 (en) * 2013-12-13 2015-05-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n electronic control unit and a movement control method for partial communication networki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21114A (en) * 2010-11-05 2013-11-05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Device and method for serial data transmission at a high data rate
KR101524143B1 (en) * 2013-12-13 2015-05-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n electronic control unit and a movement control method for partial communication networking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7144B1 (en) * 2018-09-13 2019-04-09 자동차부품연구원 Apparatus for communication security for vehicle
US11831463B2 (en) 2019-01-21 2023-11-28 Lg Energy Solution, Ltd. BMS, ECU, and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BMS and ECU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4481B1 (en) 2017-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0054B1 (en) Gateway device, vehicle includ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JP6494567B2 (en) Communication management apparatus and communication system
US20120099427A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enabling link status propagation
CN103685457A (en) Automotive neural network
EP3250417A1 (en) Controlling vehicle systems with mobile devices
KR20190012674A (en) Vehicle status monitoring system and vehicle
CN110562171A (en) Automobile electric control system and automobile
CN110971453B (en) Network topology determination method and device, vehicle network topology structure and vehicle
KR102464430B1 (en) Control method of electronic device in vehicle and vehicle having the same
KR101714481B1 (en) Communication network, vehicle includ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US11765016B2 (en) Diagnostic system and vehicle
KR101678096B1 (en) Communication Module,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90021054A (en) Head unit of vehicle, vehicle hav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for the vehicle
CN105467976A (en) Controller applied to automobile tire pressure monitoring and body control
CN104184815B (en) A kind of topological network
KR102090061B1 (en) Appatarus testing bcm integrated with can
US20190359154A1 (en)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3216182A (en) In-vehicle system
KR101866725B1 (en) Communication method of electronic device in vehicle and vehicle having the same
JP2014162286A (en) On-vehicle-apparatus control device, and on-vehicle-apparatus control program
KR102027922B1 (en) Cluster Fail Safe System and the Method Using Wire and Wireless Gateway
JP2017216558A (en) Transmission device and communication system
JP2020039077A (en) Vehicle communication device
US20050210298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plurality of units networked to give a network, and network comprising a plurality of networked units
JP7416779B2 (en) Transmitting device, receiving device, 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