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3428A - 태양전지 pid 특성 시험방법 - Google Patents

태양전지 pid 특성 시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3428A
KR20170023428A KR1020150118531A KR20150118531A KR20170023428A KR 20170023428 A KR20170023428 A KR 20170023428A KR 1020150118531 A KR1020150118531 A KR 1020150118531A KR 20150118531 A KR20150118531 A KR 20150118531A KR 20170023428 A KR20170023428 A KR 201700234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ar cell
pid
conductive film
deposited
contamina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8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성일
박노창
오원욱
김동환
배수현
손유승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118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23428A/ko
Priority to CN201610341737.9A priority patent/CN106486389A/zh
Publication of KR20170023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34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50/00Monitoring or testing of PV systems, e.g. load balancing or fault identification
    • H02S50/10Testing of PV devices, e.g. of PV modules or single PV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acetate or vinyl alcohol (co)polym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40Testing power suppl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48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 H01L31/036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crystalline structure or particular orientation of the crystalline planes
    • H01L31/0392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crystalline structure or particular orientation of the crystalline planes including thin films deposited on metallic or insulating substrates ; characterised by specific substrate materials or substrate features or by the presence of intermediate layers, e.g. barrier layers, on the substr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48Encapsulation of modu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18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thes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1/00Metals, their alloys or their compounds
    • B32B2311/12Co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12Photovoltaic modu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전지 PID 특성 시험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태양전지에 PID(Potential Induced Degradation)를 추정하기 위한 오염 물질을 증착하여 상기 태양전지를 열화시키는 태양전지 열화단계, 상기 오염 물질이 증착되어 있는 태양전지의 일면에 제1 도전막을 형성하는 제1 도전막 형성단계, 상기 오염 물질이 증착되어 있는 태양전지의 타면에 제2 도전막을 형성하는 제2 도전막 형성단계 및 상기 제1 도전막과 상기 제2 도전막을 매개로 상기 오염 물질이 증착되어 있는 태양전지에 시험 전압을 인가하여 PID 특성을 추출하는 PID 특성 추출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태양전지 모듈이 아닌 태양전지 자체에 대하여 PID 특성을 시험함으로써 PID 시험 과정을 간략화할 수 있고 비용 측면에서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PID 특성 시험을 위해 소요되는 시간을 크게 단축하면서도 PID 특성을 신뢰성 있게 시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태양전지 PID 특성 시험방법{TEST METHOD OF POTENTIAL INDUCED DEGRADATION OF SOLAR CELL}
본 발명은 태양전지 PID 특성 시험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태양전지 모듈이 아닌 태양전지 자체에 대하여 PID 특성을 시험함으로써 PID 시험 과정을 간략화할 수 있고 비용 측면에서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PID 특성 시험을 위해 소요되는 시간을 크게 단축하면서도 PID 특성을 신뢰성 있게 시험할 수 있는 태양전지 PID 특성 시험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외부에 설치된 태양전지 모듈에서 출력이 급격히 줄어드는 현상이 보고되고 있다. 이런 형태의 출력 감소는 모듈이 서로 직렬로 연결된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서 일어난다. 고 전압을 발생하는 시스템에서 기존의 열화현상으로 설명되지 않는 새로운 형태의 급격한 출력 저하를 고 전압 스트레스(high voltage stress) 또는 PID(Potential Induced Degradation)라고 한다.
태양전지 모듈이 직렬로 연결될 경우, 태양광 시스템의 발전 전압은 태양전지 모듈의 개수에 비례하게 된다. 한편, 태양전지 모듈을 외부에 설치할 때 작업 안정성과 발전 과정에서의 사고 예방을 위하여 태양전지 모듈의 프레임은 접지된다. 태양광 발전을 통해 발생한 전압은 태양전지에 유지되어 있고, 태양전지 모듈의 외부를 지탱하고 있는 프레임은 접지가 되어 상대적 준위가 항상 그라운드 레벨로 고정이 되어 있기 때문에 태양전지와 프레임 간의 전위 차이가 발생한다. 결국 여러 개의 태양전지 모듈이 직렬로 연결된 어레이(array)의 끝으로 갈수록 태양전지와 접지되어 있는 모듈 프레임 간의 전압 차는 점차 증가하게 되며, 마지막 모듈의 경우, 시스템 발전 전압만큼 전압 차가 벌어진다. 접지된 프레임과 태양전지 사이의 전위차는 PID를 발생시키는 가장 주요한 원인이며, PID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이 설치되어 있는 장소의 온도, 습도 등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태양전지 모듈에서 발생하는 PID(Potential Induced Degradation) 진행 과정을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태양전지 모듈들로 이루어진 태양광 발전 시스템이 설치된 장소의 온도 및 습도가 높아짐에 따라 봉지재(encapsulant)의 체적 저항이 낮아지고, 태양전지 셀과 프레임 간의 전위차가 발생한다. 또한, 유리에 수분이 부착되어 절연성이 저하되고, 유리의 성분인 Na+ 또는 K+ 등의 양이온이 분리되어 태양전지 셀 표면으로 이동하여 부착된다. 이때, 봉지재의 체적 저항이 낮을수록 양이온 이동은 가속화된다. 이동된 양이온이 태양전지 셀 표면에 부착되면, 태양전지 셀 내부의 전자와 양이온 간의 재결합이 고착화되어 태양전지 셀 내부의 정공이 감소한다. 정공이 감소하면, 태양전지 셀 내부의 전자 이동이 줄어들게 되기 때문에, 태양광 발전량이 감소하게 된다. 이와 같이, 태양전지 모듈이 설치된 장소의 온도와 습도에 따라, 태양전지 모듈의 PID는 필연적으로 발생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현재 모듈 제조사 등은 제품 출시 이전에 태양전지 모듈이 일정 수준 이상의 PID 특성을 충족시키는 지 여부를 테스트하고 있다.
도 2는 태양전지 모듈에 대한 PID를 시험하는 종래의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태양전지 모듈을 테스트 챔버 내에 투입한 상태에서, 소정의 테스트 조건에서 PID 특성에 대한 테스트가 실시된다. 테스트 조건으로는 2012년 6월 1일 NREL의 Hacke에 의해 발의된 IEC 62804 Ed. 1이 표준으로 승인되어 있으며, 그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 표 1과 같다.
챔버 내부 온도 60 ℃± 2 ℃
챔버 내주 상대 습도 85 % ± 5 % R.H.
테스트 시간 96 h
테스트 전압 module rated system voltage and polarities
전압조건은 미국의 경우 600 V, 유럽은 1000 V의 규격으로 되어있고, ±전압 인가를 모두 시행한다. 96시간 후 태양전지 모듈의 출력 저하가 5 % 이하인 경우, 통과되는 방식이다
그러나 종래의 이러한 태양전지 모듈에 대한 PID 특성 테스트 방식에 따르면, PID 특성을 테스트하기 위한 샘플을 제작하기 위해서 대면적 모듈화 과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비용 측면에서의 비효율적이라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PID 특성을 테스트하기 위해서는, 정해진 테스트 온도와 습도를 유지하는 테스트 챔버 내에 대면적의 태양전지 모듈을 투입한 상태에서 정해진 테스트 시간 동안 테스트 전압을 인가하여야 하기 때문에, PID 테스트에 소요되는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07337호(공개일자: 2013년 01월 18일, 명칭: 태양전지 열화가속장치, 그의 최대 부하점 추적 장치, 태양전지 열화가속방법 및 그의 최대 부하점 추적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81053호(등록일자: 2013년 06월 26일, 명칭: 태양전지 열화 테스트 챔버 및 이를 이용한 테스트 방법)
본 발명은 태양전지 모듈이 아닌 태양전지 자체에 대하여 PID 특성을 시험함으로써 PID 시험 과정을 간략화할 수 있고 비용 측면에서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태양전지 PID 특성 시험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PID 특성 시험을 위해 소요되는 시간을 크게 단축하면서도 PID 특성을 신뢰성 있게 시험할 수 있는 태양전지 PID 특성 시험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 PID 특성 시험방법은 태양전지에 PID(Potential Induced Degradation)를 추정하기 위한 오염 물질을 증착하여 상기 태양전지를 열화시키는 태양전지 열화단계와, 상기 오염 물질이 증착되어 있는 태양전지의 일면에 제1 도전막을 형성하는 제1 도전막 형성단계와, 상기 오염 물질이 증착되어 있는 태양전지의 타면에 제2 도전막을 형성하는 제2 도전막 형성단계 및 상기 제1 도전막과 상기 제2 도전막을 매개로 상기 오염 물질이 증착되어 있는 태양전지에 시험 전압을 인가하여 PID 특성을 추출하는 PID 특성 추출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 PID 특성 시험방법에 있어서, 상기 오염 물질은 나트륨 이온(Na+) 또는 칼륨 이온(K+)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 PID 특성 시험방법은 상기 태양전지 열화단계 이후 상기 제1 도전막 형성단계 이전에, 상기 오염 물질이 증착되어 있는 태양전지의 일면에 봉지재(encapsulant)를 형성하는 봉지재 형성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 PID 특성 시험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막과 상기 제2 도전막을 구리(Cu) 포일을 적층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 PID 특성 시험방법에 있어서, 상기 봉지재는 EVA(Ethylene Vinyl Acetat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 PID 특성 시험방법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는 결정질 실리콘계 태양전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태양전지 모듈이 아닌 태양전지 자체에 대하여 PID 특성을 시험함으로써 PID 시험 과정을 간략화할 수 있고 비용 측면에서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태양전지 PID 특성 시험방법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PID 특성 시험을 위해 소요되는 시간을 크게 단축하면서도 PID 특성을 신뢰성 있게 시험할 수 있는 태양전지 PID 특성 시험방법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태양전지 모듈에서 발생하는 PID(Potential Induced Degradation) 진행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태양전지 모듈에 대한 PID를 시험하는 종래의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PID 특성 시험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오염 물질이 증착되어 있는 태양전지에 시험 전압을 인가하여 PID 특성을 추출하는 방법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PID 특성 시험방법의 특징을 종래 방식과 비교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은 채,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 요소는 제1구성 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PID 특성 시험방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오염 물질이 증착되어 있는 태양전지에 시험 전압을 인가하여 PID 특성을 추출하는 방법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PID 특성 시험방법은 태양전지 열화단계(S20), 봉지재 형성단계(S30), 제1 도전막 형성단계(S40), 제2 도전막 형성단계(S50) 및 PID 특성 추출단계(S6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태양전지 모듈이 아닌 태양전지(10) 자체에 대하여 PID 특성을 시험함으로써 PID 시험 과정을 간략화하고, 비용 측면에서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PID 특성 시험을 위해 소요되는 시간을 크게 단축하면서도 PID 특성을 신뢰성 있게 시험할 수 있는 태양전지 PID 특성 시험방법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태양전지(10)에 나트륨 이온(Na+) 또는 칼륨 이온(K+)을 인위적으로 증착한 이후, PID 특성을 시험함으로써, 종래 방식과 같이 특정한 온도, 습도, 테스트 시간, 테스트 전압 조건 하에서 태양전지 모듈에 발생하는 PID 특성을 모사할 수 있다.
먼저, 단계 S10에서는, 태양전지(10)를 진공 챔버에 투입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이 진공 챔버는 태양전지(10)의 표면에 후술하는 오염 물질을 증착하기 위한 것이다.
태양전지 열화단계(S20)에서는, 태양전지(10)에 PID(Potential Induced Degradation)를 추정하기 위한 오염 물질을 증착하여 태양전지(10)를 인위적으로 열화시키는 과정이 수행된다. 예를 들어, 태양전지(10)는 결정질 실리콘계 태양전지일 수 있으며, 오염 물질은 나트륨 이온(Na+) 또는 칼륨 이온(K+)을 포함할 수 있다.
태양전지(10)의 표면에 나트륨 이온(Na+) 또는 칼륨 이온(K+)을 포함하는 오염 물질을 인위적으로 증착하는 이유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실리콘 태양전지 모듈의 전면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유리는 유리 제조 공정 시 첨가되는 Na2O에 의해 다량의 나트륨 이온(Na+)을 함유하고 있다. 예를 들어, P-type 결정질 실리콘 태양전지 모듈의 PID는 모듈 프레임이 상대적으로 양의 전위를 갖는 경우에 발생되고, 누설 전류의 방향과 나트륨 이온(Na+)의 이동 방향이 동일해지기 때문에, 누설 전류에 의하여 나트륨 이온(Na+)이 태양전지의 표면으로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현상을 모사하기 위하여, 태양전지 모듈을 제작하기 이전 단계인 태양전지 레벨에서 태양전지(10)의 표면에 나트륨 이온(Na+) 또는 칼륨 이온(K+)을 포함하는 오염 물질을 인위적으로 증착한다.
예를 들어, 오염 물질에 대한 증착 방식은 물리 증착 방식이 이용될 수 있으며, 증착 시간을 포함하는 진공 챔버 내부의 증착 환경을 조절함으로써, 오염 물질의 증착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봉지재 형성단계(S30)에서는, 오염 물질이 증착되어 있는 태양전지(10)의 일면에 봉지재(encapsulant, 20)를 형성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예를 들어, 봉지재(20)는 EVA(Ethylene Vinyl Acetate)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도전막 형성단계(S40)에서는, 봉지재(20) 상에 제1 도전막(30)을 형성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제2 도전막 형성단계(S50)에서는, 오염 물질이 증착되어 있는 태양전지(10)의 타면에 제2 도전막(40)을 형성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예를 들어, 제1 도전막(30)과 제2 도전막(40)은 구리(Cu) 포일을 적층하는 방식으로 간편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 태양전지(10)에 봉지재(20), 제1 도전막(30) 및 제2 도전막(40)이 형성된 구조에 대한 간략한 단면도가 개시되어 있다. 도면상, 태양전지(10)를 구성하는 전극들과 제1 도전막(30) 및 제2 도전막(40)과의 전기적 연결 구조는 개시되어 있지 않으나, 태양전지(10)의 상부 전극과 제1 도전막(30)과의 전기적 연결 및 태양전지(10)의 하부 전극과 제2 도전막(40)과의 전기적 연결은 당연하다.
오염 물질이 증착되어 있는 태양전지(10)에 시험 전압을 인가하여 PID 특성을 추출하는 방법의 예를 나타낸 도면인 도 4를 추가적으로 참조하면, PID 특성 추출단계(S60)에서는, 제1 도전막(30)과 제2 도전막(40)을 매개로 오염 물질이 증착되어 있는 태양전지(10)에 시험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오염 물질이 증착되어 있는 태양전지(10)의 PID 특성을 추출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예를 들어, PID 특성 추출단계(S60)에서 인가되는 시험 전압의 크기와 인가 시간과 같은 시험 조건은 시험자에 의해 조정될 수 있으며, 특정 시험 조건하에서의 시험이 완료된 이후에 태양전지(10)에서 발생하는 출력 저하량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태양전지(10)의 PID 특성을 추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PID 특성 시험방법의 특징을 종래 방식과 비교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의 (a)에는 종래 방식에 따라 나트륨 이온(Na+)이 태양전지 모듈을 구성하는 유리로부터 태양전지의 표면으로 이동하는 상태가 개시되어 있고, 도 5의 (b)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나트륨 이온(Na+)이 태양전지의 표면에 인위적으로 증착된 상태가 개시되어 있다.
도 5에도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유리로부터 전압에 의해 나트륨 이온(Na+)의 이동이 아닌, 태양전지 표면에 증착된 나트륨 이온(Na+)에서 태양전지로 전압에 의해 드리프트(drfit)가 용이하여 단시간 내에 셀의 PID 취약 특성 판별이 가능하고, 봉지재를 라미네이션(lamination) 하지 않고 적층 형태로 형성한 후 전압을 인가하는 방식으로 PID 시험 후 셀 측정 장비(L-IV, Suns-Voc, D-IV 등)로 정량 분석이 가능해진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태양전지 모듈이 아닌 태양전지 자체에 대하여 PID 특성을 시험함으로써 PID 시험 과정을 간략화할 수 있고 비용 측면에서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태양전지 PID 특성 시험방법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PID 특성 시험을 위해 소요되는 시간을 크게 단축하면서도 PID 특성을 신뢰성 있게 시험할 수 있는 태양전지 PID 특성 시험방법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10: 태양전지
20: 봉지재
30: 제1 도전막
40: 제2 도전막
S20: 태양전지 열화단계
S30: 봉지재 형성단계
S40: 제1 도전막 형성단계
S50: 제2 도전막 형성단계
S60: PID 특성 추출단계

Claims (6)

  1. 태양전지에 PID(Potential Induced Degradation)를 추정하기 위한 오염 물질을 증착하여 상기 태양전지를 열화시키는 태양전지 열화단계;
    상기 오염 물질이 증착되어 있는 태양전지의 일면에 제1 도전막을 형성하는 제1 도전막 형성단계;
    상기 오염 물질이 증착되어 있는 태양전지의 타면에 제2 도전막을 형성하는 제2 도전막 형성단계; 및
    상기 제1 도전막과 상기 제2 도전막을 매개로 상기 오염 물질이 증착되어 있는 태양전지에 시험 전압을 인가하여 PID 특성을 추출하는 PID 특성 추출단계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PID 특성 시험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 물질은 나트륨 이온(Na+) 또는 칼륨 이온(K+)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PID 특성 시험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 열화단계 이후 상기 제1 도전막 형성단계 이전에,
    상기 오염 물질이 증착되어 있는 태양전지의 일면에 봉지재(encapsulant)를 형성하는 봉지재 형성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PID 특성 시험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막과 상기 제2 도전막을 구리(Cu) 포일을 적층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PID 특성 시험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재는 EVA(Ethylene Vinyl Acetat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PID 특성 시험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는 결정질 실리콘계 태양전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PID 특성 시험방법.
KR1020150118531A 2015-08-24 2015-08-24 태양전지 pid 특성 시험방법 KR2017002342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8531A KR20170023428A (ko) 2015-08-24 2015-08-24 태양전지 pid 특성 시험방법
CN201610341737.9A CN106486389A (zh) 2015-08-24 2016-05-20 太阳能电池的pid特性测试方法、测试用薄片及其制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8531A KR20170023428A (ko) 2015-08-24 2015-08-24 태양전지 pid 특성 시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3428A true KR20170023428A (ko) 2017-03-06

Family

ID=58398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8531A KR20170023428A (ko) 2015-08-24 2015-08-24 태양전지 pid 특성 시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2342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1151A (ko) * 2018-11-23 2020-06-02 전자부품연구원 태양전지 pid특성측정장치
KR20220145503A (ko) * 2021-04-22 2022-10-3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Cigs 박막 태양전지에 대한 pid 발생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7337A (ko) 2011-07-01 2013-01-18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태양전지 열화가속장치, 그의 최대 부하점 추적 장치, 태양전지 열화가속방법 및 그의 최대 부하점 추적방법
KR101281053B1 (ko) 2012-05-23 2013-07-09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태양전지 열화 테스트 챔버 및 이를 이용한 테스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7337A (ko) 2011-07-01 2013-01-18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태양전지 열화가속장치, 그의 최대 부하점 추적 장치, 태양전지 열화가속방법 및 그의 최대 부하점 추적방법
KR101281053B1 (ko) 2012-05-23 2013-07-09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태양전지 열화 테스트 챔버 및 이를 이용한 테스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1151A (ko) * 2018-11-23 2020-06-02 전자부품연구원 태양전지 pid특성측정장치
KR20220145503A (ko) * 2021-04-22 2022-10-3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Cigs 박막 태양전지에 대한 pid 발생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ópez-Escalante et al. Polyolefin as PID-resistant encapsulant material in PV modules
KR101791371B1 (ko) 태양 전지 분극에 대한 모듈 레벨의 솔루션
US20110308602A1 (en) Solar cell, solar cell manufacturing method and testing method
CN103137730B (zh) 避免或降低晶体硅光伏组件电位诱发衰减的方法和结构
Xiong et al. PV module durability testing under high voltage biased damp heat conditions
WO2013152965A3 (de) Photovoltaische dünnschichtsolarmodule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solcher dünnschichtsolarmodule
US20140340110A1 (en)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Ability of Anti PID Effect of Solar Cell
EP2701204B1 (en) Solar cell module
CN103199153B (zh) 一种晶体硅太阳电池的制备方法
KR101405018B1 (ko) 박막형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CN106098830A (zh) 一种同侧互联的太阳能电池串及制备方法和组件及系统
KR20170023428A (ko) 태양전지 pid 특성 시험방법
US11211508B2 (en) Thin-film solar module with improved shunt resistance
KR101831048B1 (ko) 태양전지 pid 특성 시험용 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CN203086380U (zh) 避免或降低晶体硅光伏组件电位诱发衰减的结构
KR20160116851A (ko) 태양전지 모듈
AU2011291158B2 (en) Solar cell module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Irias et al. Degradation of photovoltaic panels induced by electric potential: Theoretical survey and computational study on the inverter operation influence
CN111446923B (zh) 一种太阳电池的电势感应衰减快速测试方法及系统
CN104681669A (zh) 一种光电转换层压件的制备方法及其电性能测试方法
CN109168322B (zh) 太阳能电池组件以及太阳光发电系统
CN113243051A (zh) 用具有旁路二极管的串联连接的太阳能电池发电的电路布置
CN113383430A (zh) 太阳能电池单体及其制造方法以及太阳能电池组件
Chiriac et al. Analysis of hot-spots effects on the performances of a photovoltaic system used in Romania
Virtuani et al. Preventing potential-induced degradation in crystalline silicon PV modules: Relationship between degradation and bill of mate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