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3235A - 솔라셀을 이용한 해수 담수화 장치 - Google Patents

솔라셀을 이용한 해수 담수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3235A
KR20170023235A KR1020150116581A KR20150116581A KR20170023235A KR 20170023235 A KR20170023235 A KR 20170023235A KR 1020150116581 A KR1020150116581 A KR 1020150116581A KR 20150116581 A KR20150116581 A KR 20150116581A KR 20170023235 A KR20170023235 A KR 201700232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water
solar cell
flow path
main body
fresh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6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용
Original Assignee
김재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용 filed Critical 김재용
Priority to KR10201501165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23235A/ko
Publication of KR20170023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32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 C02F1/0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by distillation or evaporation
    • C02F1/1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by distillation or evaporation using solar energ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40Thermal components
    • H02S40/44Means to utilise heat energy, e.g. hybrid systems producing warm water and electricity at the same tim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er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05B3/12Heater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8Seawater, e.g. for desalin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24Water desalin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24Water desalination
    • Y02A20/131Reverse-osmosi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24Water desalination
    • Y02A20/138Water desalination using renewable energy
    • Y02A20/142Solar thermal; Photovoltaic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20Controlling water pollution; Waste water treatment
    • Y02A20/208Off-grid powered water treatment
    • Y02A20/212Solar-powered wastewater sewage treatment, e.g. spray evapo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20Solar therm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70Hybrid systems, e.g. uninterruptible or back-up power supplies integrating renewable energ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60Thermal-PV hybrids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솔라셀의 하면을 해수가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솔라셀의 하면으로 차가운 해수가 유입되면 솔라셀과 열교환하여 솔라셀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 담수저장공간과의 열교환을 통해 담수의 응축효율을 향상시키며, 이러한 과정에서 열을 얻어 프리히팅과 같은 효과를 통해 해수의 증발이 더욱 활성화될 수 있게 한 솔라셀을 이용한 해수 담수화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솔라셀을 이용한 해수 담수화 장치{sea water desalination device use solar energy}
본 발명은 솔라셀을 이용한 해수 담수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솔라셀의 하면을 이동되도록 해수의 유로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해수의 유로에 차가운 해수가 유입되면 솔라셀과 열교환하여 솔라셀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 담수저장공간과의 열교환을 통해 담수의 응축효율을 향상시키며, 이러한 과정에서 열을 얻어 프리히팅과 같은 효과를 통해 해수의 증발이 더욱 활성화될 수 있게 한 솔라셀을 이용한 해수 담수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세계적으로 물 부족 문제가 대두 되고 있으며 이러한 물 부족은 더욱 심각해질 전망이다.
이와 같은 물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댐 건설, 지하수 개발 등이 있으나, 댐 건설의 경우에는 자연환경의 훼손뿐만 아니라 막대한 비용이 소요되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지하수 개발의 경우에도 무분별한 개발로 인해 지하수가 고갈되어 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지하수의 오염이 심각하므로 수자원의 확보가 쉽지 않고 장기적으로는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지 못한다.
지구에는 약 14억 ㎦의 물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는데, 이 중에서 해수가 약 97.5%로서 대부분의 물은 해수로서 존재하고, 담수는 2.5%인 3500만㎦ 정도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담수(淡水)는 극지방의 빙하와 빙산이 1.75%(담수의 70%), 지하수(매우 깊은 곳에 있는 것)가 약 0.73%(담수의 29%), 강, 호수, 늪……등에 존재하는 물은 약 0.02%로, 이 중에서 인간은 하천의 물을 제일 많이 이용하고 있으며, 우리가 사용할 수 있는 물은 대략 0.01%에 지나지 않는다.
세계에서 물 부족의 문제는 점차 심각하게 대두 되는 상황이며, 우리나라에서도 농업용수의 부족으로 인하여 지표면 수백 미터 아래로부터 상당량의 지하수를 채취하여 사용하는 실정이다.
우리나라의 지하수 이용량은 37.5억㎥(연간 지하수 개발 가능량의 약 32%)이며, 이용 지하수의 대부분은 생활용수(49%)와 농업용수(44%)이다.
UN에서 국제인구행동연구소(PAI)의 분류를 인용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짐바브웨, 레바논, 소말리아, 남아프리카공화국, 체코, 폴란드, 덴마크 등과 더불어 연간 1인당 가용수량이 1천㎥이상 1천700㎥이하인 물부족(Water stressed) 국가로 분류되어 있다.
우리나라의 연평균 강수량은 세계평균보다 1.3배 정도 많은 1283㎜이지만, 인구밀도가 높아 1인당 강수량은 세계평균의 10분의1 수준이며, 게다가 이 가운데 45%는 증발하거나 지하로 침투해 55%만이 하천으로 흘러든다.
특히, 우기인 6월∼9월에 전체 강수량의 64.5%가 집중되는데, 이 시기의 강우는 대부분 홍수로 유실되며, 따라서 효율적인 수자원 관리 대책을 수립하지 않는 한 물부족 사태는 점점 악화 될 것이다.
우리나라의 장래 물 수급전망은 다양한 물 절약에 의한 수요관리와 댐 연계 운영 등 기존시설의 효율적인 활용을 감안하더라도 2011년이면 약 12억㎥의 물이 부족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전 세계는 인구증가, 도시화 및 산업화 등으로 인하여 물 부족, 수질오염, 홍수 등의 문제가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농업용수, 공업용수, 및 생활용수의 부족으로 인하여 지하수 사용량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따라서 물 문제에 적절히 대응해 나가려면, 물에 관한 기술지원이나 물 문제 해결을 위한 과학기술의 조사 및 연구를 진행시켜 나가는 것이 필요하다.
물 부족에 대한 방안으로써 일반적으로, 중동지역, 무인도, 낙도 및 해상 기지 등과 같이 담수가 부족한 지역에서는 별도의 담수화 설비를 건설하여 해수를 담수화 하여 용수로 사용하고 있다.
해수 담수화란 염분을 포함하고 있는 해수에서 염분을 제거하여 담수를 얻는 것을 일컫는 것으로서, 해수 담수화를 처리하는 방법으로는 크게 물의 증발 현상을 이용하는 증발법, 막의 차별성과 선택적 통과 능력을 이용하는 막여과법 등이 있으며, 막여과법은 세부적으로 역삼투법(reverse osmosis)과 전기투석법(electrodialysis) 등으로 구분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담수화 설비는 건설에 막대한 자금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많은 에너지를 필요로 하는 문제가 있고, 육상의 특정 지역에 건설된 담수화 설비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으로 담수를 공급하는 것 또한 쉽지 않아 담수화 설비를 통해서 용수를 공급할 수 있는 지역이 한정되어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장치의 크기가 작고, 에너지 소모가 적은 해수 담수화 장치의 필요성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겠다.
한편, 태양광을 이용하여 해수를 가열함으로써 담수를 얻기 위한 장치로서, 태양광을 이용한 해수 담수화 기술이 개시되어 있는데, 이는 평판형의 집열판을 이용하여 히트파이프를 가열시킴으로써, 해수를 가열하고, 가열된 해수를 증발시킴으로써 담수를 생산하는 증발법을 이용한다.
그러나 태양광을 이용한 해수 담수화 기술의 문제점은, 태양의 불균일한 일사량으로 인하여 제조되는 담수량이 불규칙하고, 일사량이 적은 경우 열량의 부족으로 생산량이 크게 감소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는 시스템 내에 별도의 전원장치를 더 구비해야만 하는 더 큰 문제점을 야기시켜, 시설비 및 구동 비용 등이 증가되는 부가적인 단점이 발생하였다.
이에, 태양 에너지만으로 용이하게 가동시킬 수 있는 혁신적인 담수화 시스템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 특허 공개번호 제10-2011-0015305호, 태양 에너지를 이용한 증발식 해수담수화 시스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솔라셀의 하면을 해수가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솔라셀의 하면으로 차가운 해수가 유입되면 솔라셀과 열교환하여 솔라셀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 담수저장공간과의 열교환을 통해 담수의 응축효율을 향상시키며, 이러한 과정에서 열을 얻어 프리히팅과 같은 효과를 통해 해수의 증발이 더욱 활성화될 수 있게 한 솔라셀을 이용한 해수 담수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솔라셀을 이용한 해수 담수화 장치로서, 상부에 해수의 유로가 형성됨과 아울러 하부에 담수 저장부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된 솔라셀; 상기 솔라셀에서 생산된 전력으로 작동하도록 상기 본체의 중간부위에 설치되어 해수를 가열함과 아울러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을 상부에 해수 유로 및 하부에 담수 저장부로 구획할 수 있는 카본 히터; 및 상기 카본 히터의 상부에 소정 간격을 이루게 설치되어 상기 카본 히터에 의해 가열되는 해수로부터 증발된 증기가 통과되어 담수될 수 있는 멤브레인;을 포함하고, 상기 해수의 유로는: 상기 솔라셀의 하부를 통과하면서 솔라셀의 하부를 냉각시킴에 의해 솔라셀의 발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상기 솔라셀의 하면을 경유하도록 형성된 제1 유로; 및 상기 제1 유로를 경유하면서 솔라셀과 열교환 되어 데워진 해수가 상기 카본 히터에 의해 가열되어 상기 멤브레인을 통과하여 담수되도록 상기 카본 히터의 상부를 경유하도록 형성된 제2 유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해수의 유로는: 상기 제1 유로와 상기 제2 유로의 사이에 컨트롤 밸브가 설치되어, 상기 컨트롤 밸브에 의해 상기 제1 유로로부터 제2 유로를 경유하도록 이동되는 해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의 상부 일측에는 해수 저장부가 구비되어 상기 해수 저장부에 저장된 해수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해수 공급구가 제1 유로와 연락되게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제1 유로의 하부에 상기 제2 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유로의 일측에 해수 배출구가 형성됨에 의해 해수 저장부에 저장된 해수가 제1, 제2 유로를 경유하고, 상기 본체의 하측에는 담수 배출구가 구비되되, 상기 담수 배출구에는 배수밸브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멤브레인은 담수조의 하부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담수조는 담수된 물이 본체의 담수 저장부에 저장될 수 있도록 담수조와 연결관을 통해 연결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유로와 제2 유로는 상기 멤브레인이 설치된 담수조에 의해 상하로 구분되도록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의 일측에는 풍력발전기가 설치되어, 상기 풍력발전기에서 생산된 전력으로 상기 카본 히터를 작동시킬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솔라셀을 이용한 해수 담수화 장치에 의하면, 솔라셀로부터 생산된 전력이 카본 히터에 인가되어 카본 히터를 통해 해수를 증발(표면증발포함)시키고, 멤브레인을 통해 위쪽으로 증기가 빠져나오게 하여 담수화 하는 장치에서, 솔라셀의 하면을 해수가 이동하도록 해수의 유로를 형성함으로써, 차가운 해수가 유입되면 솔라셀과 열교환하여 솔라셀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또 담수저장공간과의 열교환을 통해 담수의 응축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열을 얻어 프리히팅과 같은 효과를 통해 해수의 증발이 더욱 활성화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솔라셀을 이용한 해수 담수화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표시에서 풍력발전기가 더 설치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솔라셀을 이용한 해수 담수화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표시에서 풍력발전기가 더 설치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솔라셀을 이용한 해수 담수화 장치에는 본체(11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본체(110)는 함체형으로 내부에 상측에는 해수의 유로(200)가 구비되고, 하측에는 담수 저장부(112)가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본체(110)의 상부에 솔라셀(120)이 설치된다. 이와 같은 솔라셀(120)은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것으로, 통상의 솔라셀을 이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본체(110)의 일측에는 풍력발전기(122)가 설치되어, 상기 풍력발전기(122)에서 생산된 전력을 이용하여 카본 히터(130)를 작동시킬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은 솔라셀(120)만을 설치하여 구성되거나 혹은 풍력발전기(122)가 같이 설치되어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솔라셀을 이용한 해수 담수화 장치에는 카본 히터(13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카본 히터(130)는 나노 카본 히터(nano carbon heater)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카본 히터(130)는 솔라셀(120)에서 생산된 전력으로 작동된다. 즉, 상기 카본 히터(130)는 태양에너지 만으로 작동된다.
이와 같은 상기 카본 히터(130)는 본체(110)의 중간부위에 설치되어 해수를 가열함과 아울러 상기 본체(110)의 내부 공간을 상부에 해수 유로(200) 및 하부에 담수 저장부(112)로 구획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본 히터(130)의 상부에는 소정 간격을 이루게 멤브레인(140)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멤브레인(140)은 카본 히터(130)에 의해 가열되는 해수로부터 증발된 증기가 통과되어 담수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은 멤브레인(140)은 담수조(142)의 하부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담수조(142)는 본체(110)의 담수 저장부(112)에 저장될 수 있도록 연결관(144)을 통해 연결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멤브레인(140)은 표면 여과 기능을 수행하는 불소계 수지 중에서 불소와 탄소의 강력한 화학적 결합으로 인해 매우 안정된 화합물인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이하 'PTFE'라 함) 멤브레인이나 폴리아미드(PA), 폴리프로필렌(PP),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VDF), 폴리술폰(PSF), 셀룰로스 아세테이드(CA) 계의 멤브레인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 상기 PTFE 멤브레인은 거의 완벽한 화학적 비활성, 내열성, 비점착성, 우수한 절연 안정성 및 낮은 마찰계수 등의 특성을 가진다.
이와 같은 멤브레인(140)의 공경(pore size)은 담수화 장치의 특성에 따라 수십 ㎛ 내지 0.001 ㎛ 사이의 크기를 갖으며, 멤브레인(140)의 두께는 약 10㎛인 것이 바람직하ㅁ며, 이러한 멤브레인(140)을 통과하여 물이 담수화 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솔라셀을 이용한 해수 담수화 장치에서 가장 큰 특징을 이루는 부분으로는 상기 해수의 유로(200)이며, 이러한 해수의 유로(200)는 제1 유로(202)와 제2 유로(20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제1 유로(202)와 제2 유로(204)는 상기 멤브레인(140)이 설치된 담수조(142)에 의해 상하로 구획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 유로(202)는 솔라셀(120)의 하부를 통과하면서 솔라셀(120)의 하부를 냉각시킴에 의해 솔라셀(120)의 발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상기 솔라셀(120)의 하면을 경유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솔라셀(120)의 하면을 경유하도록 형성되는 제1 유로(202)가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을 이루는 부분이다.
또한, 상기 제2 유로(204)는 제1 유로(202)를 경유하면서 솔라셀(120)과 열교환 되어 데워진 해수가 상기 카본 히터(130)에 의해 가열되어 상기 멤브레인(140)을 통해 담수되도록 상기 카본 히터(130)의 상부를 경유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 유로(204)를 경유하면서 상기 카본 히터(130)에 의해 가열되는 해수는 상기 제1 유로(202)를 경유하면서 솔라셀(120)의 하면과 열교환 되기 때문에 어느 정도 가열된 상태임으로서 해수가 보다 빨리 가열되어 증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가운 해수가 제1 유로(202)로 유입되면, 솔라셀과 열교환하여 솔라셀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 담수저장공간과의 열교환을 통해 담수의 응축효율을 향상시키며, 이러한 과정에서 열을 얻어 프리히팅과 같은 효과를 통해 해수의 증발이 더욱 활성화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솔라셀(120)의 하면을 경우하도록 형성된 제1 유로(202)를 통과하면서 솔라셀(120)을 냉각시켜 솔라셀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또 솔라셀과 열교환되면서 해수가 어느 정도 가열됨에 의해 상기 카본 히터(130)에 의해 가열되어 빠른 증발이 일어날 수 있음으로서, 별도의 동력원 없이 솔라셀 만으로 해수를 가열 증발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솔라셀을 이용한 해수 담수화 장치에 구비되는 해수의 유로(200)는 상기 제1 유로(202)와 상기 제2 유로(204)의 사이에 컨트롤 밸브(15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컨트롤 밸브(150)에 의해 상기 제1 유로(202)로부터 제2 유로(204)를 경유하도록 이동되는 해수 양을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서, 해수 담수량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본체(110)의 상부 일측에 해수 저장부(111)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해수 저장부(111)에 저장된 해수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해수 공급구(114)가 제1 유로(202)와 연락되게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제1 유로(202)의 하부에 상기 제2 유로(204)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유로(204)의 일측에 해수 배출구(116)가 형성되어, 상기 해수 저장부(111)에 저장된 해수가 제1, 제2 유로(202,204)를 경유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본체(110)의 하측에는 담수 배출구(118)가 구비되되, 상기 담수 배출구(118)에는 배수밸브(119)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배수밸브(119)를 통해 담수된 물을 배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해수의 유로(200)를 솔라셀(120)의 하면으로 경유하도록 이동시킴에 의해, 즉 솔라셀(120)의 하부를 통과하도록 함에 의해 쏠라셀(120)의 하부를 냉각시켜 솔라셀(120)의 발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음으로서, 솔라셀에서 얻어지는 전력으로 카본 히터(130)의 작동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솔라셀(120)의 하부를 경유하는 해수가 솔라셀과 열교환되면서 어느 정도 더워진 상태에서 카본 히터(130)의 상부를 경유하기 때문에 카본 히터에 의한 응축 효율을 높여 해수를 담수화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해수의 유로가 솔라셀(120)의 하면을 통과하는 제1 유로(202)와 솔라셀의 하면을 통과하여 열교환된 해수가 카본 히터(130)의 상부를 통과하는 제2 유로(204)를 구비함에 의해, 해수의 응축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솔라셀(120)로부터 생산된 전력이 카본 히터(130)에 인가되어 카본 히터(130)를 작동시킴에 의해, 상기 카본 히터(130)를 통해 해수를 증발(이때, 표면증발도 포함됨)시키고, 멤브레인(140)을 통해 위쪽으로 증기가 빠져나와 담수되고, 또 멤브레인 아래쪽으로의 수분 통과 방지(소수성)되어 담수 성능을 가져올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기술적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가 달성되는 것이며,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110 - 본체 120 - 솔라셀
130 - 카본 히터 140 - 멤브레인
150 - 컨트롤 밸브 200 - 해수의 유로
202 - 제1 유로 204 - 제2 유로

Claims (6)

  1. 솔라셀을 이용한 해수 담수화 장치에 있어서,
    상부에 해수의 유로(200)가 형성됨과 아울러 하부에 담수 저장부(112)를 구비하는 본체(110);
    상기 본체(110)의 상부에 설치된 솔라셀(120);
    상기 솔라셀(120)에서 생산된 전력으로 작동하도록 상기 본체(110)의 중간부위에 설치되어 해수를 가열함과 아울러 상기 본체(110)의 내부 공간을 상부에 해수 유로 및 하부에 담수 저장부로 구획할 수 있는 카본 히터(130); 및
    상기 카본 히터(130)의 상부에 소정 간격을 이루게 설치되어 상기 카본 히터(130)에 의해 가열되는 해수로부터 증발된 증기가 통과되어 담수될 수 있는 멤브레인(140);을 포함하고,
    상기 해수의 유로(200)는:
    차가운 해수가 유입되면 솔라셀(120)과 열교환하여 솔라셀(120)의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상기 솔라셀(120)의 하부를 해수가 통과할 수 있게 상기 솔라셀(120)의 하면을 경유하도록 형성된 제1 유로(202); 및
    상기 제1 유로(202)를 경유하면서 솔라셀(120)과 열교환 되어 데워진 해수가 상기 카본 히터(130)에 의해 가열되어 상기 멤브레인(140)을 통과되어 담수되되, 담수저장공간과의 열교환을 통해 담수의 응축효율을 향상시키며, 이러한 과정에서 열을 얻어 프리히팅과 같은 효과를 통해 해수의 증발이 더욱 활성화될 수 있게 상기 카본 히터(130)의 상부를 경유하도록 형성된 제2 유로(20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라셀을 이용한 해수 담수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수의 유로(200)는:
    상기 제1 유로(202)와 상기 제2 유로(204)의 사이에 컨트롤 밸브(150)가 설치되어, 상기 컨트롤 밸브(150)에 의해 상기 제1 유로(202)로부터 제2 유로(204)를 경유하도록 이동되는 해수 양을 조절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라셀을 이용한 해수 담수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10)의 상부 일측에는 해수 저장부(111)가 구비되어 상기 해수 저장부(111)에 저장된 해수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해수 공급구(114)가 제1 유로(202)와 연락되게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제1 유로(202)의 하부에 상기 제2 유로(206)가 형성되되, 상기 제2 유로(204)의 일측에 해수 배출구(116)가 형성됨에 의해 해수 저장부(111)에 저장된 해수가 제1, 제2 유로(202,204)를 경유하고, 상기 본체(110)의 하측에는 담수 배출구(118)가 구비되되, 상기 담수 배출구(118)에는 배수밸브(119)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라셀을 이용한 해수 담수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140)은 담수조(142)의 하부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담수조(142)는 담수된 물이 본체(110)의 담수 저장부에 저장될 수 있도록 담수 저장부와 연결관(144)을 통해 연결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라셀을 이용한 해수 담수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로(202)와 제2 유로(204)는 상기 멤브레인(140)이 설치된 담수조(142)에 의해 상하로 구분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라셀을 이용한 해수 담수화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10)의 일측에는 풍력발전기(122)가 설치되어, 상기 풍력발전기(122)에서 생산된 전력으로 상기 카본 히터(130)를 작동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라셀을 이용한 해수 담수화 장치.
KR1020150116581A 2015-08-19 2015-08-19 솔라셀을 이용한 해수 담수화 장치 KR201700232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6581A KR20170023235A (ko) 2015-08-19 2015-08-19 솔라셀을 이용한 해수 담수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6581A KR20170023235A (ko) 2015-08-19 2015-08-19 솔라셀을 이용한 해수 담수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3235A true KR20170023235A (ko) 2017-03-03

Family

ID=58410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6581A KR20170023235A (ko) 2015-08-19 2015-08-19 솔라셀을 이용한 해수 담수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2323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16947A (zh) * 2017-07-21 2017-12-01 张英华 石墨烯或纳米碳管热膜盐水处理设备及控制方法
CN110357195A (zh) * 2018-03-26 2019-10-22 钱家振 一种利用太阳能的海水淡化装置
KR20230014987A (ko) * 2021-07-22 2023-01-31 송철민 태양에너지를 이용한 그린수소 생산 및 해수 담수화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5305A (ko) 2009-08-07 2011-02-15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태양 에너지를 이용한 증발식 해수담수화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5305A (ko) 2009-08-07 2011-02-15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태양 에너지를 이용한 증발식 해수담수화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16947A (zh) * 2017-07-21 2017-12-01 张英华 石墨烯或纳米碳管热膜盐水处理设备及控制方法
CN107416947B (zh) * 2017-07-21 2020-05-19 张英华 石墨烯或纳米碳管热膜盐水处理设备及控制方法
CN110357195A (zh) * 2018-03-26 2019-10-22 钱家振 一种利用太阳能的海水淡化装置
KR20230014987A (ko) * 2021-07-22 2023-01-31 송철민 태양에너지를 이용한 그린수소 생산 및 해수 담수화 시스템
WO2023003293A3 (ko) * 2021-07-22 2023-10-12 송철민 태양에너지를 이용한 그린수소 생산 및 해수 담수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ee et al. Hybrid desalination processes for beneficial use of reverse osmosis brine: Current status and future prospects
Belessiotis et al. Thermal solar desalination: methods and systems
Mohan et al. A review on solar still: a simple desalination technology to obtain potable water
Bouguecha et al. Small scale desalination pilots powered by renewable energy sources: case studies
Bhattacharyya Solar stills for desalination of water in rural households
KR101022367B1 (ko) 태양광 해수 담수화 장치
Asadi et al. Solar desalination of Gas Refinery wastewater using membrane distillation process
Pourkiaei et al. Status of direct and indirect solar desalination methods: comprehensive review
KR20170023235A (ko) 솔라셀을 이용한 해수 담수화 장치
Albloushi et al. Renewable energy-powered membrane systems for water desalination
Kargari et al. Water desalination: Solar-assisted membrane distillation
CN103626249A (zh) 一种太阳能光伏半导体制冷海水淡化装置和方法
JP2015020163A (ja) ナノファイバー膜蒸留装置
Abutayeh et al. Solar desalination
Ullah et al. An overview of solar thermal desalination technologies
WO2014172859A1 (zh) 太阳能海水淡化装置
KR101500627B1 (ko) 액막 해수 공급구조를 가지는 태양열 해수담수화 장치
KR101218730B1 (ko) 태양열을 이용한 이동형 증발 담수화 장치
Ahmed et al. A review of vacuum solar desalination powered by renewable energy: Recent trends
KR102621504B1 (ko) Tepg를 이용한 발전 및 담수화 장치
US20170166455A1 (en) Solar powered thermal distillation with zero liquid discharge
US11855306B1 (en) Methods of production and storage of electric power
Kamble et al. A Review on Solar Powered Desalination Systems
Kahandage et al. Purification of Agricultural Polluted Water Using Solar Distillation and Hot Water Producing with Continuous Monitoring Based on IoT
US2022037926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urifying aqueous solu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3885;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0629

Effective date: 20171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