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2831A - 다기능 부착형 농기계 자동화 운영 시스템 - Google Patents

다기능 부착형 농기계 자동화 운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2831A
KR20170022831A KR1020150178448A KR20150178448A KR20170022831A KR 20170022831 A KR20170022831 A KR 20170022831A KR 1020150178448 A KR1020150178448 A KR 1020150178448A KR 20150178448 A KR20150178448 A KR 20150178448A KR 20170022831 A KR20170022831 A KR 201700228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agricultural
fastening
guide rai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8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08686B1 (ko
Inventor
연해정
Original Assignee
연해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해정 filed Critical 연해정
Priority to PCT/KR2016/008999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7030350A1/ko
Publication of KR20170022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28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8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86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5/00Other machines for working soil not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49/00Combined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23/00Distribu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liquid manure or other fertilising liquid, including ammonia, e.g. transport tanks or sprinkling wag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uiding Agricultural Machines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약분무기, 파종기, 수확기, 농토작업기(굴토기, 배토기, 로타리기 등) 등의 다양한 부착형 농기계를 본체에 결합 후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시켜 농사 작업을 자동화한 다기능 부착형 농기계 자동화 운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형화 및 경량화하여 시설하우스 등의 농지에서 사용하기 적합하고, 다양한 종류의 농기계를 간편하게 교체하여 시기에 따른 농사 작업이 자동화 되도록 한 다기능 부착형 농기계 자동화 운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부착형 농기계 자동화 운영 시스템은 농지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동력을 이용하여 농지에 농사작업을 하는 농기계; 상기 농기계를 상기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시키는 체결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다기능 부착형 농기계 자동화 운영 시스템{Automatic operating system of agricultural machines}
본 발명은 농약분무기, 파종기, 수확기, 농토작업기(굴토기, 배토기, 로타리기 등) 등의 다양한 부착형 농기계를 본체에 결합 후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시켜 농사 작업을 자동화한 다기능 부착형 농기계 자동화 운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형화 및 경량화하여 시설하우스 등의 농지에서 사용하기 적합하고, 다양한 종류의 농기계를 간편하게 교체하여 시기에 따른 농사 작업이 자동화 되도록 한 다기능 부착형 농기계 자동화 운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농촌은 인구가 줄고 고령화되고 있어서 농사 작업의 인력난이 심각하다.
그래서 트랙터, 이양기, 농양분무기 등의 각종 농기계가 개발되고 보급되고 있다.
한편, 농작물을 제철이 아닌 시기에 수확하거나, 특수 작물을 농사짓거나, 파종에서 수확까지의 기간을 단축시키는 등의 목적으로 시설하우스가 설치되기도 한다.
시설하우스는 통상 내부가 그리 넓지 않아서 각종 농기계가 투입되어 농사 작업을 하기가 쉽지 않다. 그리고 트랙터 같은 농기계는 크고 무거워서 시설하우스 내를 이동하면서 밭고량을 뭉게고 토양을 단단하게 다지는 등의 피해를 주기 쉽다.
참고로, 공개특허 제2002-0030989호 "농업용 다목적 이동대차의 활주 이동장치"의 종래기술이 개시되었는데, 상기 공개특허 제2002-0030989호는 구조가 복잡하고, 부피가 커서 시설하우스에 사용하기 적합하지 않다.
본 발명은 소형화 및 경량화되고, 각종 농기계를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어서 시설하우스 등의 농지에서의 농사 작업에 최적화된 다기능 부착형 농기계 자동화 운영 시스템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부착형 농기계 자동화 운영 시스템은
농지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동력을 이용하여 농지에 농사작업을 하는 농기계;
상기 농기계를 상기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시키는 체결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본체가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안내유닛;을 더 포함하되,
상기 안내유닛은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롤러가 구비되는 가이드블럭과,
상기 가이드블럭에 좌우방향으로 인출입 가능하게 결합되는 인출입블럭과,
상기 인출입블럭에 상바방향으로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승하강로드와,
상기 승하강로드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본체가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는 부착구와,
상기 인출입블럭의 상기 가이드블럭에의 인출입을 감지하는 인출입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가이드레일은 농지의 길이방향 양측으로 설치되고,
상기 본체가 장착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유닛;을 더 포함하되,
상기 이동유닛은
양측의 상기 가이드레일에 각각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두 수직프레임과,
상기 두 수직프레임을 연결하고, 상기 본체이 장착되는 수평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수평프레임을 따라 이동과 회전이 가능하고,
상기 수평프레임은 상기 수직프레임을 따라 이동하여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체결유닛은
삽입홀과, 상기 삽입홀을 형성하는 내면에서 돌출된 걸림돌기를 갖고, 상기 본체에 연결되는 제1체결구와,
하부에 삼각형 모양의 걸림턱이 형성되는 복수의 체결분체와, 상기 체결분체들을 내측에서 탄성지지하여 직경이 가변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체결분체가 상기 삽입홀로 삽입되도록 하며 상기 걸림턱이 상기 걸림돌기에 걸림결합되도록 하는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농기계에 연결되는 제2체결구와,
상기 복수의 체결분체가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걸림돌기의 내부로 삽입관통되는 분해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부착형 농기계 자동화 운영 시스템은 소형화 및 경량화된 제품으로 좁은 시설하우스 내에서 길이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하고, 로터리기, 파종기, 출하기 등의 각종 농기계를 간편하게 교체하여 시기에 따른 농사 작업을 자동으로 편리하게 하도록 하여, 인력난을 겪고 있는 농촌에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부착형 농기계 자동화 운영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 는 이동유닛의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
도 3 은 본체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4 는 체결유닛의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
도 5 는 보관유닛의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
도 6 은 농기계들의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부착형 농기계 자동화 운영 시스템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1 내지 도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부착형 농기계 자동화 운영 시스템은 가이드레일(10), 이동유닛(20), 체결유닛(40), 본체(30), 보관유닛(50)의 구성요소로 대별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은 시설하우스에서 운영되는 것을 주안점으로 하여 창안되었고, 그래서 이하에서도 시설하우스에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을 하지만, 본 발명은 노지, 과수원, 수중농지 등에서도 운영될 수 있다.
먼저,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부착형 농기계 자동화 운영 시스템은 시설하우스(1)의 내부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레일(10)이 설치되고, 이동유닛(20)은 가이드레일(10)을 따라 시설하우스(1) 내부를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본체(30)는 이동유닛(20)에 장착되고, 이동유닛(20)의 이동을 위한 동력과 농기계(F)의 구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한다.
상기 가이드레일(10)은 시설하우스(1)를 이루는 골격파이프(1)들을 하부측에서 길이방향으로 연결하도록 설치되고, 이동유닛(20)이 시설하우스 내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한다.
상기 가이드레일(10)은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롤러가 수용되어 안착되는 가이드홈(11)이 형성된 'ㄷ'자 구조의 파이프가 사용될 수 있고, 이외에도 원형파이프, 사각형파이프 등의 다양한 구조의 파이프가 가이드레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이동유닛(20)은 도1과 도2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이동유닛(20)은 시설하우스(1)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상기 가이드레일(10)을 따라 이동하여, 이동유닛(20)에 장착된 본체(30)과 농기계(F)가 시설하우 내부를 이동하며 농사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이동유닛(20)은 시설하우스(1)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두 수직프레임(21)과, 상기 두 수직프레임(21)을 연결하는 수평프레임(23)을 포함한다.
상기 수직프레임(21)의 하부에는 바퀴(22)가 구비되어서 농지 위를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수직프레임(21)의 외측으로는 연결로드(24)가 연결되고, 상기 연결로드(24)의 단부에는 롤러(25)가 구비된다.
상기 롤러(25)는 가이드레일(10)의 가이드홈(11)에 안착되어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한다.
상기 연결로드(24)는 상기 수직프레임(21)과 상기 가이드레일(10)을 연결하여, 수직프레임(21)이 가이드레일(10)을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농사를 짓는 토지 표면은 고르지 못하다. 즉, 토지는 편평하기 어렵다. 그래서 상기 연결로드(24)는 상기 수직프레임(21)을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고, 길이의 신축이 가능하도록 하여, 고르지 못한 토지 위를 아무런 장애 없이 지나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수평프레임(23)은 양측의 두 수직프레임(21)을 연결하고, 농기계(F)에 동력을 제공하는 본체(30)가 장착된다.
상기 수평프레임(23)은 상기 수직프레임(21)에서의 상하 높이가 조절된다.
수평프레임(23)의 높이 조절을 위해 상기 수직프레임(21) 내부에는 피스톤(26)이 내장되고, 상기 피스톤(26)의 단부에 수평프레임(23)이 연결되어서, 피스톤(26)의 인출입에 따라 수평프레임(23)의 높낮이가 조절된다.
농경지에는 통상 여러 동의 시설하우스가 설치된다. 각 동의 시설하우스에는 가이드레일(10)이 설치되고, 상기 이동유닛(20)은 시설하우스들을 이동해 다니면서 그 동의 시설하우스에 설치된 가이드레일(10)에 결합되어 농사 작업을 하게 된다.
이동유닛(20)이 다른 시설하우스로 편리하게 이동해 갈 수 있도록, 가이드레일(10)의 단부에는 이동형레일(미도시)이 연결되고, 이동형레일에는 선반이 구비된다. 그 동에서 농사 작업을 끝낸 이동유닛(20)은 이동형레일에 구비된 선반에 올려진 후에 이동형레일이 다른 시설하우스로 이동하여 그곳의 가이드레일에 연결되어 이동유닛(20)이 새로운 시설하우스 내로 투입되도록 한다.
상기 본체(30)는 농기계에 구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고, 이동유닛(20)이 가이드레일(1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동력을 제공한다.
상기 본체(30)는 장착부재(32)를 통해 상기 수평프레임(23)을 따라 좌우로 이동 가능하고, 회전이 가능하도록 수평프레임(23)에 장착된다.
그래서 시설하우스 내의 토지를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농기계로 농사작업을 한 후에는 본체(30)과 농기계(F)를 피스톤(26)을 이용해 승강시킨 후에 회전시켜 농기계가 반대방향으로 전환되도록 하여서, 별다른 추가 조치 없이 농기계가 시설하우스 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농사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시설하우스는 보통 내부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통로가 형성되고, 통로의 양측이 농경지가 된다. 그래서 상기 본체(30)(이에 연결되는 농기계(F) 포함)는 시설하우스의 양측 농경지를 오갈 수 있도록 상기 수평프레임(23)을 따라 좌우로 이동 가능한 장착부재(32)에 장착된다.
그리고 일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농사 작업을 하다가 시설하우스의 끝에 도착한 후에는 상기 장착부재(32)를 회전하여 본체(30)과 농기계(F)가 180도 방향이 전환되도록 하면 다른 조치(예; 본체의 구동방향을 역방향으로 변환시키거나, 농기계의 앞뒤를 바꾸어서 본체에 장착시키는 등의 조치) 없이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농사 작업을 계속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본체(30)는 동력을 생성하는 모터, 엔진 등의 동력기와, 상기 동력기에서 발생된 동력을 농기계에 전달하는 기어, 체인 등의 전달부재와, 동력기에 구동에 따른 운동 형태(예; 직선운동, 회전운동, 캠운동)를 변환시키는 변환기 등을 포함한다.
도3은 상기 본체(30)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도3을 참조하면, 먼지나 물기 등으로부터 보호를 위해 케이스(37) 내부에 동력을 생성하는 동력기(31)가 내장되고, 케이스의 양측에는 동력기(31)의 동력으로 회전하여 시설하우스를 따라 이동하도록 하는 바퀴(35)가 구비되고, 케이스(37)에 중간부위에는 농기계(F)에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전달부재(33)가 돌출되어 구비된다.
그리고 도2를 참조하면 상기 본체(30)는 외부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는 케이블이 권취되는 권취롤(34)이 구비되고, 내부에는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가 내장된다.
상기 체결유닛(40)은 농기계(F)를 상기 이동유닛(20) 또는 본체(30)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시킨다.
상기 체결유닛(40)은 본체(또는 이동유닛)과 농기계에 각각 연결되는 제1체결구(41)와 제2체결구(43), 그리고 분해구(4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4를 참조하면, 상기 제1체결구(41)는 삽입홀(411)과 걸림돌기(413)을 포함하고, 상기 제2체결구(43)는 삼각형 모양의 걸림턱(432)이 형성된 복수의 체결분체(431)와 탄성체(4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래서 제2체결구(43)를 제1체결구(41)의 삽입홀(411)로 삽입시키면 체결분체(431)들의 직경이 줄어들면서 삽입되고, 삽입된 이후에는 직경이 늘어나면서 걸림턱(432)이 걸림돌기(413)에 걸려서 제1체결구(41)와 제2체결구(43)가 체결된다.
상기 분해구(45)는 내부로 상기 제2체결구(43)의 체결분체(431)들이 사입되고, 상기 제1체결구(41)의 걸림돌기(413) 내측으로 삽입관통되어서, 상기 제2체결구(43)의 체결분체(431)들이 상기 제1체결구(41)의 걸림돌기(413)에 걸리지 않고 간편하게 분리이탈되도록 한다.
상기 보관유닛(50)은 각종 농기계를 보관하며, 보관된 용기가 상기 체결유닛을 통해 간편하게 교체되어 본체(30)에 체결되도록 한다.
도5를 참조하면, 상기 보관유닛(50)은 보관박스(51)와, 보관박스(51) 내에서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순환식으로 이동하는 복수와 순환부재(53)와, 상기 순환부재(53)를 순환식으로 이동시키는 순환동력부재(55)와, 순환부재(53)에서 전후진 가능하게 구비되고, 그 위에 농기계가 올려져 수납되는 전후진판(57)을 포함한다.
상기 순환동력부재(55)는 체인(553)과 체인(553)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틀(551)를 포함한다. 상기 체인(553)에는 상기 순환부재(53)가 고정연결되어 체인과 함께 순환식으로 이동한다.
상기 보관박스(51)의 도어를 열고, 교체할 농기계가 수납된 순환부재(53)가 보관박스(51)의 도어 상부측으로 이동하도록 하고, 전후진판을 전진시켜 농기계가 보관박스(51) 외부로 나오도록 하고, 외부로 나온 농기계에 구비된 제2체결구(43)와 본체에 연결된 제1체결구(41)의 위치를 맞춘 후에, 순환부재(53)를 하강시키면 제2체결구(43)가 제1체결구(41)로 삽입되어 체결이 된다.
도6에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부착형 농기계 자동화 운영 시스템에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는 농기계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농기계(F)는 본 발명에 사용되도록 제작된 전용 농기계일 수 있고, 기존에 사용하던 농기계일 수도 있다.
농기계(F)는 본체(30)와의 탈부착이 간편하도록 탈부착 구조를 표준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고, 자체 동력을 갖는 기존 농기계를 사용하는 때에 구비된 동력기는 제거하고 본체(30)의 동력기(31)에 의해 구동되도록 개조한다.
도6a에는 씨앗을 토지에 파종하는 파종기(f1)가 도시되어 있고, 도6b에는 토지의 농작물이 잘 자라도록 농작물 주변의 토지를 김매기하여 잡초를 제거하는 잡초제거기(f2)가 도시되고 있고, 도6c에는 농작물을 토지에서 뽑아 출하하는 출하기(f3)가 도시되어 있고, 도6d에는 토지를 갈아엎는 로터리기(f4)가 농기계(F)의 일례로 도시되고 있다.
파종기(f1)는 이동유닛(20)과 본체(30)에 의해 가이드레일(10)을 따라 시설하우스(1)의 토지 위를 이동하면서 씨앗을 일정한 간격으로 토지에 파종을 하고,
종기(f1)가 씨앗을 일정한 위치에 파종하여 농작물의 위치가 일정하게 되므로 파종기(f1)가 이동한 위치를 따라 잡초제거기(f2)가 이동하면서 농작물은 건드리지 않으면서 주변의 잡초만을 제거하고 되고, 출하기(f3)는 이동하면서 농작물을 토지에서 뽑아 출하하게 된다.
로터리기(f4)의 경우 상기 본체(30)의 동력을 이용해 로터리날(f41)을 회전시킬 수도 있지만, 도면처럼 엔진(f43)과 동력전달톱니(f45)를 구비하여 자체적으로 동력으로 구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이동유닛(20)은 부피도 크고 그 비용도 부담이 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이동유닛(20)을 생략하고, 상기 본체(30A)가 가이드레일(10)을 따라 스스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고,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가 도7 및 도8에 도시되어 있다.
도7을 보면, 본체(300)가 시설하우스(1)의 골격파이프(7)의 일측에 구비되 가이드레일(10)을 따라 이동하면서 농기계(F)를 끄는 모습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8에는 스스로 이동 가능한 본체(300)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본체(300)의 하부 후방에는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한 쌍의 동력바퀴(310)가 구비되고, 하부 전방에는 본체의 이동에 따라 자연스럽게 회전하는 한 쌍의 무동력바퀴(320)가 구비된다. 본체(300)가 가이드레일(10)과 일정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두 동력바퀴(310), 즉, 한 쌍의 동력바퀴(310)는 각자 개별적으로 구동되어서 본체(300)가 가이드레일(10)에서 멀어지면 외측의 동력바퀴는 구동시키고 내측의 동력바퀴는 정지시켜 본체가 가이드레일 측으로 이동하고, 가이드레일에 근접되면 외측을 동력바퀴는 정지시키고 내측의 동력바퀴는 구동시켜서 가이드레일에서 멀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동력바퀴(310)는 농사 작업용과 이동용의 두 종류가 구비되어서, 용도에 따라 교체되는 것이 바람할 수 있다. 농사 작업에는 직경이 크고, 폭은 좁고, 농지와의 마착력이 높은 철제바퀴가 유리할 수 있고, 도로를 이용한 원거리 이동시에는 타이어 바퀴가 유리할 수 있다.
상기 무동력바퀴(320)는 좌우로 방향전환이 가능하여 본체의 이동방향을 제어한다.
상기 본체(300)의 상부 전방에는 본체의 전후진, 속력, 이동방향 등을 조작하는 조작부(330)가 구비되고, 후방에는 모터, 엔진, 배터리 등이 내장되어 본체(300)의 이동을 위한 동력과, 전달부재(33)에 연결된 농기계(F)를 구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기(31)가 구비된다.
동력기(31)의 무게로 본체의 무게중심은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동력바퀴(320)는 무게중심선 상에 배치된다. 이처럼 무게중심이 후방에 위치하면 농기계가 전진하면서 옆으로 틀어지려는 힘은 앞바퀴가 가이드레일을 따라 앞으로 전진하는 힘으로 변형이 된다.
손수레의 원리처럼 무게중심을 뒷바퀴(즉, 동력바퀴)에 두면 앞바퀴(즉, 무동력바퀴)에 전달되는 힘이 최소화되어서, 울퉁불퉁한 지면의 영향으로 앞바퀴의 방향이 틀어지는 것을 억제하게 되고, 그래서 농지 위를 이동하는 본체(300)는 최대한 직선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동력기(31)는 본체(300)의 이동을 위한 동력과, 농기계(F)의 구동을 위한 동력이 분리되도록 설계하여, 각자 독립적으로 본체를 이동시키고 농기계를 구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두 동력을 분리하지 않으면, 탈부착 시스템이 복잡해지고, 두 동력을 연동시키는 연동장치로 인해 부피가 커지고, 다른 용도로 동력을 활용하기 어렵게 되는 등의 단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 본체(300)가 스스로 가이드레일(10)을 따라 이동하는 경우, 평탄하지 못한 농지의 환경으로 진행방향이 멋대로 전환되어 가이드레일(10)을 따라 이동하지 못하고 이탈될 소지가 있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안내유닛(60)을 구비한다.
도9를 참조하면, 상기 안내유닛(60)은 상기 가이드레일(10)을 따라 이동하는 롤러(25)가 구비되는 가이드블럭(61)과, 상기 가이드블럭(61)에 좌우방향으로 인출입 가능하게 결합되는 인출입블럭(62)과, 상기 인출입블럭(62)에 상바방향으로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승하강로드(63)와, 상기 승하강로드(63)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본체(300)가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는 부착구(64)와, 상기 인출입블럭(62)의 상기 가이드블럭(61)에의 인출입을 감지하는 인출입감지센서(65)를 포함한다.
본체(300)가 가이드레일(1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인출입블럭(62)이 가이드블럭(61)에서 인출되면서 충격을 완화시키고 인출입감지센서(65)가 이를 감지하여 상기 조작부(330)로 전송하여 본체(300)가 가이드레일(10)측으로 이동을 하도록 하고(도9의 상부 좌측 참조), 반대로 본체(300)가 가이드레일(10)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인출입블럭(62)이 가이드블럭(61)으로 인입되면서 충격을 완화시키고 인출입감지센서(65)가 이를 감지하여 상기 조작부(330)로 전송하여 본체(300)가 가이드레일(1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을 하도록 하고(도9의 상부 우측 참조), 농지의 높낮이 차이로 본체가 위아래로 요동치면 그에 맞춰 상기 승하강로드(63)가 인출입블럭(62)에서 승하강하여 충격을 완화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부착형 농기계 자동화 운영 시스템은 IOT(사물 인터넷) 기술을 접목하여 원격지에서의 모니터링과 원격제어에 의해 농사 작업이 행해질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가이드레일(10)을 따라 이동하여 시설하우스(1) 내를 촬영하는 카메라를 설치하고, 관리자는 카메라가 촬영하는 영상은 PC나 스마트폰 등의 기기를 원해 원격에서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고, 또한 관리자는 PC나 스마트폰 등의 기기를 통해 카메라가 가이드레일(10)을 따라 이동하고 촬영방향을 조절하여 시설하우스 내의 이곳저곳을 모니터링할 수 있고, PC나 스마트폰 등의 기기를 통해 본체(30/300)를 제어하여 농사 작업(에, 김매기, 물공급, 채소 뽑기 등)이 필요한 위치로 농기계(F)를 보내 농사 작업을 하게한다 카메라와 본체(30/300)를 원격제어할 수 있도록 위치를 특정하는 위치코드 부여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여러 동의 시설하우스가 있고, 시설하우스 내에는 좌우측에 각각 농지가 있는 경우에, 위치코드를 3개의 파트로 구성하여서, 제1파트는 시설하우스를 식별하고, 제2파트는 시설하우스 내의 농지를 식별하고, 제3파트는 시설하우스를 구성하는 골격파이프(7)들을 식별하도록 하여 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 식별코드가 '3-1-07'의 세파트로 구성되는 경우 시설하우스 3번 동의 농지 1번으로 골격파이프 7번를 의미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다기능 부착형 농기계 자동화 운영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시설하우스 10 : 가이드레일
20 : 이동유닛 21 : 수직프레임
23 : 수평프레임 26 : 피스톤
30 : 본체 31 : 동력기
33 : 전달부재 37 : 케이스
40 : 체결유닛 41 : 제1체결구
43 : 제2체결구 45 : 분해구
50 : 보관유닛 51 : 보관박스
53 : 순환부재 55 : 순환동력부재
57 : 전후진판
60 : 가이드유닛 61 : 가이드블럭
62 : 인출입블럭 63 : 승하강로드
64 : 부착구 65 : 인출입 감지 센서

Claims (4)

  1. 농지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동력을 이용하여 농지에 농사작업을 하는 농기계;
    상기 농기계를 상기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시키는 체결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다기능 부착형 농기계 자동화 운영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가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안내유닛;을 더 포함하되,

    상기 안내유닛은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롤러가 구비되는 가이드블럭과,
    상기 가이드블럭에 좌우방향으로 인출입 가능하게 결합되는 인출입블럭과,
    상기 인출입블럭에 상바방향으로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승하강로드와,
    상기 승하강로드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본체가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는 부착구와,
    상기 인출입블럭의 상기 가이드블럭에의 인출입을 감지하는 인출입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부착형 농기계 자동화 운영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은 농지의 길이방향 양측으로 설치되고,
    상기 본체가 장착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유닛;을 더 포함하되,

    상기 이동유닛은
    양측의 상기 가이드레일에 각각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두 수직프레임과,
    상기 두 수직프레임을 연결하고, 상기 본체이 장착되는 수평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수평프레임을 따라 이동과 회전이 가능하고,
    상기 수평프레임은 상기 수직프레임을 따라 이동하여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부착형 농기계 자동화 운영 시스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유닛은
    삽입홀과, 상기 삽입홀을 형성하는 내면에서 돌출된 걸림돌기를 갖고, 상기 본체에 연결되는 제1체결구와,
    하부에 삼각형 모양의 걸림턱이 형성되는 복수의 체결분체와, 상기 체결분체들을 내측에서 탄성지지하여 직경이 가변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체결분체가 상기 삽입홀로 삽입되도록 하며 상기 걸림턱이 상기 걸림돌기에 걸림결합되도록 하는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농기계에 연결되는 제2체결구와,
    상기 복수의 체결분체가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걸림돌기의 내부로 삽입관통되는 분해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부착형 농기계 자동화 운영 시스템.
KR1020150178448A 2015-08-18 2015-12-14 다기능 부착형 농기계 자동화 운영 시스템 KR1018086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6/008999 WO2017030350A1 (ko) 2015-08-18 2016-08-17 다기능 부착형 농기계 자동화 운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116300 2015-08-18
KR1020150116300 2015-08-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2831A true KR20170022831A (ko) 2017-03-02
KR101808686B1 KR101808686B1 (ko) 2017-12-15

Family

ID=58427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8448A KR101808686B1 (ko) 2015-08-18 2015-12-14 다기능 부착형 농기계 자동화 운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8686B1 (ko)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77229A (zh) * 2018-02-26 2018-05-29 蚌埠市刘兴桃种植农民专业合作社 一种方便喷洒农药的蔬菜大棚
CN108402010A (zh) * 2018-02-26 2018-08-17 蚌埠市刘兴桃种植农民专业合作社 一种用于蔬菜大棚的农药喷洒装置
CN108738421A (zh) * 2018-07-20 2018-11-06 北京市地质工程勘察院 大棚机机架
CN108738577A (zh) * 2018-07-20 2018-11-06 北京市地质工程勘察院 大棚施肥机
CN108738403A (zh) * 2018-07-20 2018-11-06 北京市地质工程勘察院 大棚起垄机
CN108738389A (zh) * 2018-07-20 2018-11-06 北京市地质工程勘察院 大棚耕地机
CN108811602A (zh) * 2018-07-20 2018-11-16 北京市地质工程勘察院 大棚打孔机
KR20190005561A (ko) 2017-07-07 2019-01-16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농사 작업용 케이블 로봇
KR20190059340A (ko) * 2017-11-22 2019-05-31 연해정 가이드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농기계 자동견인대차용 연결암
KR20190059339A (ko) * 2017-11-22 2019-05-31 연해정 비닐하우스용 농기계 자동 견인장치
KR20190064705A (ko) 2017-11-30 2019-06-11 연해정 농기계 자동 견인장치의 가이드레일 안착 방법
KR20190064704A (ko) * 2017-11-30 2019-06-11 연해정 농기계 견인장치용 가이드레일 장치
CN110249734A (zh) * 2019-07-02 2019-09-20 南京长营机械有限责任公司 一种大型农田作业智能系统
CN113064427A (zh) * 2021-03-17 2021-07-02 辽宁工程技术大学 一种基于物联网的社区智慧农业系统
CN113273352A (zh) * 2021-06-30 2021-08-20 蔡建萍 一种茶叶种植用螺旋式培土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2011B1 (ko) 2018-06-15 2020-09-04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비닐하우스 작물 관리용 케이블 로봇
CA3167221A1 (en) 2020-02-09 2021-08-12 Jeffrey L. Antle Smart tool arm for precision agriculture
US11521382B2 (en) 2020-02-09 2022-12-06 Stout Industrial Technology, Inc. Machine vision plant tracking system for precision agricultur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6707Y1 (ko) * 1997-01-08 1999-06-15 어미숙 비닐하우스의 통풍구 개폐문용 고정구
KR100337434B1 (ko) * 1999-07-28 2002-05-21 오태한 시설원예용 레일 시스템
KR101143870B1 (ko) * 2010-04-07 2012-05-09 이선학 비닐하우스용 이송장치
KR101528162B1 (ko) 2013-09-26 2015-06-16 조관준 X y z축에 대한 이동수단이 구비된 작목 시설하우스용 이송장치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5561A (ko) 2017-07-07 2019-01-16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농사 작업용 케이블 로봇
KR20190059339A (ko) * 2017-11-22 2019-05-31 연해정 비닐하우스용 농기계 자동 견인장치
KR20190059340A (ko) * 2017-11-22 2019-05-31 연해정 가이드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농기계 자동견인대차용 연결암
KR20190064704A (ko) * 2017-11-30 2019-06-11 연해정 농기계 견인장치용 가이드레일 장치
KR20190064705A (ko) 2017-11-30 2019-06-11 연해정 농기계 자동 견인장치의 가이드레일 안착 방법
CN108402010A (zh) * 2018-02-26 2018-08-17 蚌埠市刘兴桃种植农民专业合作社 一种用于蔬菜大棚的农药喷洒装置
CN108077229A (zh) * 2018-02-26 2018-05-29 蚌埠市刘兴桃种植农民专业合作社 一种方便喷洒农药的蔬菜大棚
CN108738577A (zh) * 2018-07-20 2018-11-06 北京市地质工程勘察院 大棚施肥机
CN108811602A (zh) * 2018-07-20 2018-11-16 北京市地质工程勘察院 大棚打孔机
CN108738389A (zh) * 2018-07-20 2018-11-06 北京市地质工程勘察院 大棚耕地机
CN108738403A (zh) * 2018-07-20 2018-11-06 北京市地质工程勘察院 大棚起垄机
CN108738421A (zh) * 2018-07-20 2018-11-06 北京市地质工程勘察院 大棚机机架
CN110249734A (zh) * 2019-07-02 2019-09-20 南京长营机械有限责任公司 一种大型农田作业智能系统
CN113064427A (zh) * 2021-03-17 2021-07-02 辽宁工程技术大学 一种基于物联网的社区智慧农业系统
CN113273352A (zh) * 2021-06-30 2021-08-20 蔡建萍 一种茶叶种植用螺旋式培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8686B1 (ko) 2017-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8686B1 (ko) 다기능 부착형 농기계 자동화 운영 시스템
US10721857B2 (en) Autonomous integrated farming system
EP3434092B1 (de) Im aussenbereich selbsttätig verfahrbares arbeitsgerät
DE102017201425A1 (de) Autonome landwirtschaftliche Robotermaschine und System davon
JP6641191B2 (ja) 作業車両
KR102001517B1 (ko) 농업생산 무인자동화를 위한 주행 로봇
EP3659416B1 (en) Radio-controlled seed planter
IT201900001789A1 (ko)
Nithin et al. Multi purpose agricultural robot
EP3389351B1 (en) Autonomous integrated farming system
WO2017030350A1 (ko) 다기능 부착형 농기계 자동화 운영 시스템
JP2020048585A (ja) 作業車両
Kushwaha Robotic and mechatronic application in agriculture
Raval et al. Development and automation of robot with spraying mechanism for agricultural applications
JP2017063707A (ja) 移植作業機の移植ユニット
CN114158543A (zh) 一种履带式山地果园行间株间混合式除草机器人
CN207927198U (zh) 一种自走式秧田育秧摆盘机
JP2017063704A (ja) 移植作業機
KR101740237B1 (ko) 고설재배장치용 전동경운기
CN214757947U (zh) 一种模块化除草装置
KR102475463B1 (ko) 농업용 이동 로봇 및 그 제어 방법
US20240172592A1 (en) Device and method for cultivating an agricultural area
KR20230050682A (ko) 제초매트 자동 커버 및 고정 장치
Bashir et al. Solar Powered 4-Wheel Drive Autonomous Seed Sowing Robot or Rough Terrain f
Naseer et al. Solar Powered 4-Wheel Drive Autonomous Seed Sowing Robot for Rough Terra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