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1606A -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무효 전력 보상 방법 - Google Patents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무효 전력 보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1606A
KR20170021606A KR1020150116208A KR20150116208A KR20170021606A KR 20170021606 A KR20170021606 A KR 20170021606A KR 1020150116208 A KR1020150116208 A KR 1020150116208A KR 20150116208 A KR20150116208 A KR 20150116208A KR 20170021606 A KR20170021606 A KR 201700216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battery
voltage
reactive power
energy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6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현철
강정수
김진만
윤성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50116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21606A/ko
Publication of KR20170021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16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18Arrangements for adjusting, eliminating or compensating reactive power in network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02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a reserve is maintained in an energy source by disconnecting non-critical loads, e.g. maintaining a reserve of charge in a vehicle battery for starting an engi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10Flexible AC transmission systems [FA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은 배터리 관리 장치 및 전력 변환 장치를 포함하는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관리 장치는 배터리의 충방전 여부를 결정하는 충방전 판단부와, 상기 결정된 충방전 여부에 따라 계통의 전력 보상을 위한 명령을 생성하는 전력 보상 명령 생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력 변환 장치는 상기 전력 보상 명령 생성부로부터 전송받은 전력 보상 명령에 따라 유효 전력량을 유지하면서 계통에 무효 전력을 보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무효 전력 보상 방법{The battery energy storage system and reactive power compensation method using thereof}
본 발명은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무효 전력 보상 방법 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효 전력 출력량을 유지하면서 무효 전력 보상 기능을 갖는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무효 전력 보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력사업규제의 완화와 전력시장의 자유화, 그리고 산업계를 중심으로 한 저비용 전력의 필요성, 지구환경문제에 대한 사회적인 관심이 고조되면서 재생가능 에너지원의 적극적인 도입 등을 이유로 전력기술의 새로운 영역으로 분산전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분산전원이란 기존의 전력회사를 통한 대규모 집중형 전원과는 달리 소규모로서 소비지 근방에 분산배치가 가능한 전원을 포괄하여 지칭하는 것으로, 현재 태양광 발전(Photovoltatic Generation), 전지전력저장시스템(Battery Energy Storage System), 연료전지발전(Fuel Cell Generation), 소형열병합발전(Small Cogeneration), 풍력발전(Wind Power Generation) 등 소용량의 분산 배치가 가능한 발전설비가 배전 계통에 도입되고 있다.
분산전원의 증가와 급격한 부하 변동량은 전력 품질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그래서 각국의 계통 운영자는 계통 연계 규정(Grid Code)을 제정하여 전력 안정화를 위한 규정들을 필수적으로 전력 변환 시스템에 요구하고 있다.
그 중에 엄격한 LVRT(Low Voltage Ride Through) 규정은 계통 전압의 50% 이상 하락으로 인한 전원사고에 대비하기 위함이다. 고정된 시스템 용량에서 무효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유효 전력을 불가피하게 줄여야 하는데, 이는 과도한 전류상승 및 계통 주파수 불안정 등의 악영향으로 LVRT 제어가 실패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정격 유효 전력의 출력량을 유지하면서 계통 연계 규정(Grid Code)이 요구하는 LVRT(Low Voltage Ride Through) 규정을 만족시키는 기술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은 배터리 관리 장치 및 전력 변환 장치를 포함하는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관리 장치는 배터리의 충방전 여부를 결정하는 충방전 판단부와, 상기 결정된 충방전 여부에 따라 계통의 전력 보상을 위한 명령을 생성하는 전력 보상 명령 생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력 변환 장치는 상기 전력 보상 명령 생성부로부터 전송받은 전력 보상 명령에 따라 유효 전력량을 유지하면서 계통에 무효 전력을 보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충방전 판단부는 상기 계통의 전압이 계통 기준 전압 이상인 경우 발전 시스템에서 생산되는 잉여 전력을 배터리에 충전하는 충전 모드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충방전 판단부는 상기 계통의 전압이 계통 기준 전압 이하인 경우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방전하는 방전모드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충방전 판단부에서 상기 배터리가 방전모드로 결정되면, 상기 배터리에 충전된 전력을 방전하여 상기 계통에 무효 전력을 보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계통에 무효 전력을 보상하는 것은 상기 배터리로부터 방전되는 전력의 주파수 및 위상을 변환하여 계통의 무효 전력을 보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이용한 무효 전력 보상 방법은 계통의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와, 측정된 계통의 전압이 저전압 인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계통에서 저전압이 발생한 경우 계통에 공급해야하는 무효 전력 보상 값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계통으로 전달되는 유효 전력량을 유지하면서 상기 산출된 무효 전력 보상 값을 기반으로 상기 계통에 무효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측정된 계통의 전압이 저전압 인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계통의 전압과 계통 기준 전압을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계통의 전압이 상기 계통 기준 전압 이하인 경우 저전압 상황으로 판단하고, 상기 계통의 전압이 상기 계통 기준 전압 이상인 경우 정상 상황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측정된 계통의 전압이 정상 상황으로 판단되면, 발전 시스템에서 생산되는 잉여 전력을 배터리에 충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효 전력 보상 값을 산출하는 단계 이후, 상기 산출된 무효 전력 보상 값을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전력 변환 장치에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전력 변환 장치를 통해 상기 배터리로부터 방전되는 전력의 주파수 및 위상을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계통에 보상되는 무효 전력 보상 값은 계통의 전압 강하율의 두 배의 정격 전류 크기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계통의 저전압 또는 전원 사고 시 정격 유효 출력량을 유지하면서 배터리로부터 방전되는 무효 전력을 계통에 공급함으로써, 계통 연계 규정(Grid Code)이 요구하는 LVRT(Low Voltage Ride Through) 규정을 만족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효 전력을 보상하기 위한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LVRT 상황이 발생하지 않은 정상 상태에서 잉여 전력의 충전을 구현하는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LVRT 상황이 발생한 상태에서 무효전력 보상방법을 구현하는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LVRT 상황 발생 시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이용한 무효 전력 보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계통 저전압 보상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100)은 풍력, 태양광 등의 분산 발전에서 발전된 잉여 전력을 계통으로부터 제공받아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100)에 포함된 배터리에 충전하였다가 계통에 저전압 상황이 발생하면 배터리에 충전되어 있던 전력을 계통으로 방전하여 계통에 전력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100)은 배터리 관리 장치(Battery Management System; BMS, 200) 및 전력 변환 장치(Power Conversion System; PCS, 300)을 포함한다.
먼저, 배터리 관리 장치(200)는 계통으로부터 제공되는 전력을 전력 변환 장치(300)로부터 공급받아 내부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배터리들을 충전하거나, 하나 이상의 배터리들에 충전되어 있는 전력을 방전하여 전력 변환 장치(300)를 통해 적절한 전력으로 변환하여 계통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배터리 관리 장치(200)에는 배터리의 동작모드를 결정하는 충방전 판단부(210) 및 전력 보상 명령 생성부(220)를 포함한다.
충방전 판단부(210)는 배터리 상태 정보 및 계통에서 요구되는 전력량을 이용하여 배터리 관리 장치(200)에 포함된 배터리의 충방전 여부를 결정한다.
예컨대, 정전 사고 발생 시 또는 계통의 저전압 상황 시에는 배터리에 저장되어 있는 전력을 부하 및 계통으로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전력 보상 명령 생성부(220)는 충방전 판단부(210)에 의해 배터리의 방전이 결정되면, 배터리로부터 방전되는 전력으로 계통의 무효 전력을 보상하는 하기 위한 명령을 생성한다.
전력 보상 명령 생성부(220)에서 생성된 명령을 전력 변환 장치(300)로 전송함으로써, 배터리 관리 장치(200)에 포함된 배터리에서 방전된 전력의 주파수 및 위상을 변경하여 계통에 무효 전력을 보상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전력 변환 장치(300)는 배터리의 동작 모드에 대한 정보에 따라, 계통으로부터 제공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배터리 관리 장치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배터리를 충전시키거나, 하나 이상의 배터리에 충전되어 있는 전력을 방전시켜 계통에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전력 변환 장치(300)는 배터리 관리 장치(200)와 연결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100)이 하나의 배터리 관리 장치(200)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는 하나의 예일 뿐 변형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100)이 복수개의 배터리 관리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전력 관리 장치(300)에 복수개의 배터리 관리 장치(200)가 연결될 수 있다. 하나의 전력 관리 장치(300)에 복수개의 배터리 관리 장치(200)가 연결되면, 계통에 장시간에 걸쳐 전력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VRT 상황이 발생하지 않은 정상 상태에서 잉여 전력의 충전을 구현하는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발전 시스템(400)을 통해 전력이 생성된다. 여기서, 발전 시스템(400)은 태양광 발전 시스템, 풍력 발전 시스템, 조력 발전 시스템 등일 수 있으며, 그 밖에 태양열이나 지열 등을 이용하는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 시스템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발전 시스템(400)은 분산전원을 포함할 수 있다. 분산전원이란 기존의 전력회사를 통한 대규모 집중형 전원과는 달리 소규모로서 소비지 근방에 분산배치가 가능한 전원을 포괄하여 지칭하는 것으로, 현재 태양광 발전(Photovoltatic Generation), 전지전력저장시스템(Battery Energy Storage System), 연료전지발전(Fuel Cell Generation), 소형열병합발전(Small Cogeneration), 풍력발전(Wind Power Generation) 등 소용량의 분산 배치가 가능한 발전설비가 배전 계통에 도입되고 있다.
이러한 발전 시스템(400)을 통해 생성된 전력은 인버터(410)에 전달된다.
인버터(410)는 발전 시스템(400)으로부터 출력된 직류 전압을 교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교류 전압으로 변환된 전력은 도 2의 (a)와 같이 유효 전력으로 출력되어 부하(430) 및 계통망(440)으로 전달된다. 이때, 부하(430) 및 계통망(440)에서 소비되는 전력이 발전 시스템(400)에서 생성된 전력을 모두 필요로 하지 않는다면, 도 2의 (b)와 같이 발전 시스템(400)에서 생산되는 잉여 전력을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420)에 포함된 배터리에 충전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VRT 상황이 발생한 상태에서 무효전력 보상방법을 구현하는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발전 시스템(500)을 통해 전력을 생성한다.
발전 시스템(500)을 통해 생성된 전력은 인버터(510)에 전달된다.
인버터(510)는 발전 시스템(500) 또는 배터리로부터 출력된 직류 전압을 교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교류 전압으로 변환된 전력은 도 3의 (a)와 같이 유효 전력으로 출력되어 부하(530) 및 계통망(540)으로 전달된다. 이 유효 전력은 부하(530) 및 계통망(540)의 전력원으로 작용한다.
이때, 계통망(540)에 전원 사고가 발생하거나 저전압 상황이 발생하면 도 2의 (b)의 단계에서 배터리에 충전된 잉여 전력을 배터리로부터 방전하여 계통망(540)에 무효 전력을 공급한다(도 3의 (c)). 이는 계통망(540)의 전압이 순간적으로 저하되는 저전압 발생 시 또는 계통망(540)의 전원 사고 시에 유효 전력뿐만 아니라 무효 전력도 전력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전력 변환 장치(300)에서 유효 전력 및 무효 전력의 제어는 DQ 변환으로 진행할 수 있으며, DQ 변환이란 3상의 시변상태인 계통 전압 및 전류를 쉽게 제어하기 위해 DC 좌표축을 변환하는 기술을 나타낸다.
전력 변환 장치(300)의 직류단에는 배터리가 연결되어 있는데, 전력 변환 장치(300)에는 직류 전압을 통해서 유효 전력과 무효 전력을 나누어 공급할 수 있는 기능이 있다. 이때, 직류단의 용량을 설계하는데 있어서 계통에 공급해야하는 무효 전력의 양이 매우 중요하다.
피상 전력으로 용량을 결정하고 일부는 계통 전압과 동상인 유효 전류, 일부는 계통 전압과 90도의 위상차를 갖는 무효 전류를 공급한다. 이렇게 되면, 정해진 피상전력으로 일부는 계통 주파수 조정, 일부는 계통 전압 보상을 동시에 제어 가능하게 되어 정격 유효 출력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계통 연계 규정(Gird Code)가 요구하는 LVRT 규정을 만족시킬 수 있다.
도 3의 (c)와 같이 배터리로부터 방전된 전력으로 계통망(540)의 무효 전력을 보상하기 위해서는 도 1의 전력 보상 명령 생성부(220)에서 전력 보상을 위한 명령을 생성하고, 생성된 전력 보상 명령을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100)의 전력 변환 장치(300)로 전송한다.
전력 보상 명령을 전달받은 전력 변환 장치(300)는 배터리 관리 장치(200)에 포함된 배터리로부터 방전되는 전력의 주파수 및 위상을 변경하여 계통의 무효 전력을 보상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VRT 상황 발생 시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이용한 무효 전력 보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무효 전력 보상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계통의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를 진행한다(단계 S10).
이후, 측정된 계통의 전압이 저전압인지 판단하는 단계를 진행한다(단계 S20).
계통의 저전압을 판단하는 단계는 측정된 계통의 전압과 미리 설정된 계통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측정된 전압이 계통 기준 전압 미만인지 판단하여 진행할 수 있다.
단계 S20의 판단결과, 계통의 전압이 계통 기준 전압 이상인 경우 발전 시스템(도 2의 '400')에서 생산되는 잉여 전력을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도 2의 '420')에 포함된 배터리에 충전한다(도 2의 (b) 참조.).
반면, 단계 S20의 판단결과, 계통의 전압이 계통 기준 전압 미만인 경우, 즉 계통에서 저전압이 발생한 경우 계통에 공급해야하는 무효 전력 보상 값을 산출한다(단계 S30).
무효 전력 보상 값을 산출하는 단계는 전압 강하율의 2배에 해당하는 비율을 정격전류에 적용한 무효 전력 보상 값으로 결정한다.
계통의 전압이 10 ~ 50% 강하된다고 하면, 이 전압 강하율의 두 배의 정격 전류 크기에 해당하는 무효 전력을 출력하도록 한다. 예컨대, 50 % 이상의 전압 강하는 100%의 정격 전류 크기에 해당하는 무효 전력을 출력하도록 한다.
산출된 무효 전력 보상 값을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도 1의 '100')의 전력 변환 장치(도 1의 '300')에 전달한다.
이후, 전력 변환 장치(300)는 전달받은 무효 전력 보상 값을 기반으로 배터리로부터 방전되는 전력의 주파수 및 위상을 변경하여 계통에 무효 전력을 공급한다(단계 S40).
이때, 정해진 피상 전력으로 일부는 계통 주파수 조정, 일부는 계통 전압 보상을 동시에 제어 가능하게 되어 정격 유효 전력의 출력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그리드 코드(Grid Code)가 요구하는 LVRT 규정을 만족시킬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출원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출원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출원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출원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출원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
200 : 배터리 관리 장치
210 : 충방전 판단부
220 : 전력 보상 명령 생성부
300 : 전력 변환 장치
400, 500 : 발전 시스템
410, 510 : 인버터
420, 520,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
430, 430 : 부하
440, 540 : 계통망

Claims (12)

  1. 배터리 관리 장치 및 전력 변환 장치를 포함하는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관리 장치는
    배터리의 충방전 여부를 결정하는 충방전 판단부; 및
    상기 배터리의 충방전 여부에 따라 계통의 전력 보상을 위한 명령을 생성하는 전력 보상 명령 생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력 변환 장치는 상기 전력 보상 명령 생성부로부터 전송받은 전력 보상 명령에 따라 유효 전력량을 유지하면서 계통에 무효 전력을 보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충방전 판단부는 상기 계통의 전압이 계통 기준 전압 이상인 경우 배터리의 충전 모드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충전 모드 시 발전 시스템에서 생산되는 잉여 전력을 배터리에 충전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충방전 판단부는 상기 계통의 전압이 계통 기준 전압 이하인 경우 배터리의 방전 모드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방전 모드 시 기 충전된 전력을 배터리로부터 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로부터 방전된 전력을 변환하여 상기 계통에 무효 전력을 보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계통에 무효 전력을 보상하는 것은 상기 배터리로부터 방전되는 전력의 주파수 및 위상을 변환하여 계통의 무효 전력을 보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
  8. 계통의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
    측정된 계통의 전압이 저전압 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계통에서 저전압이 발생한 경우 계통에 공급해야하는 무효 전력 보상 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계통으로 전달되는 유효 전력량을 유지하면서 상기 산출된 무효 전력 보상 값을 기반으로 상기 계통에 무효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이용한 무효 전력 보상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측정된 계통의 전압이 저전압 인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계통의 전압과 계통 기준 전압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계통의 전압이 상기 계통 기준 전압 이하인 경우 저전압 상황으로 판단하고, 상기 계통의 전압이 상기 계통 기준 전압 이상인 경우 정상 상황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이용한 무효 전력 보상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측정된 계통의 전압이 정상 상황으로 판단되면, 발전 시스템에서 생산되는 잉여 전력을 배터리에 충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이용한 무효 전력 보상 방법.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무효 전력 보상 값을 산출하는 단계 이후,
    상기 산출된 무효 전력 보상 값을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전력 변환 장치에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전력 변환 장치를 통해 상기 배터리로부터 방전되는 전력의 주파수 및 위상을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이용한 무효 전력 보상 방법.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계통에 보상되는 무효 전력 보상 값은 계통의 전압 강하율의 두 배의 정격 전류 크기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이용한 무효 전력 보상 방법.
KR1020150116208A 2015-08-18 2015-08-18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무효 전력 보상 방법 KR201700216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6208A KR20170021606A (ko) 2015-08-18 2015-08-18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무효 전력 보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6208A KR20170021606A (ko) 2015-08-18 2015-08-18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무효 전력 보상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1606A true KR20170021606A (ko) 2017-02-28

Family

ID=58543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6208A KR20170021606A (ko) 2015-08-18 2015-08-18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무효 전력 보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2160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5483A (ko) 2019-04-25 2020-11-04 (주)지필로스 입력전압 안정화를 위한 유효 및 무효전력 조정기능을 갖는 수전해 시스템
KR20210030124A (ko) * 2019-09-09 2021-03-1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태양광 ess 일체형 시스템의 스마트 인버터 기반 능동형 배전 ems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210043848A (ko) * 2019-10-14 2021-04-22 주식회사 케이티 신재생 발전 시스템을 통해 배전 계통의 전력 품질 유지 방법 및 서버
KR102256434B1 (ko) * 2020-08-14 2021-05-25 목포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수의 분산 에너지저장시스템 통합제어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5483A (ko) 2019-04-25 2020-11-04 (주)지필로스 입력전압 안정화를 위한 유효 및 무효전력 조정기능을 갖는 수전해 시스템
KR20210030124A (ko) * 2019-09-09 2021-03-1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태양광 ess 일체형 시스템의 스마트 인버터 기반 능동형 배전 ems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210043848A (ko) * 2019-10-14 2021-04-22 주식회사 케이티 신재생 발전 시스템을 통해 배전 계통의 전력 품질 유지 방법 및 서버
KR102256434B1 (ko) * 2020-08-14 2021-05-25 목포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수의 분산 에너지저장시스템 통합제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horsandi et al. A decentralized control method for a low-voltage DC microgrid
US10355487B2 (en) Photovoltaic system
US20110106322A1 (en) Network connection manner of microgrid energy storage backup power source, and method for dispatching the same
WO2011114422A1 (ja) 電力供給システム、電力供給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及び電力供給制御装置
US20150314696A1 (en) A coordinated control method for a distribution network with der and ev and control system thereof
WO2011122681A1 (ja) 系統安定化システム、電力供給システム、集中管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集中管理装置のプログラム
KR101785825B1 (ko) 독립형 마이크로그리드의 안정적인 운영을 위한 충전 상태 기반의 드룹 제어 방법 및 장치
JP2015192566A (ja) 電力システム及び直流送電方法
JP2017051083A (ja) 発電システム、発電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Heidary et al. Stability enhancement and energy management of AC-DC microgrid based on active disturbance rejection control
JP2010178495A (ja) 電力変換装置、及び電力変換システム
CN111512513A (zh) 用于混合功率装置的功率控制
KR20170021606A (ko)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무효 전력 보상 방법
CN105790287A (zh) 电力系统事故备用容量配置方法
EP2330677B1 (en) Method for controlling sodium-sulfur battery
JP5104991B1 (ja) 電力安定化制御装置、電力安定化プログラム
KR102264862B1 (ko) 에너지 저장장치의 관성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JP2018085862A (ja) 電力供給安定化システムおよび再生エネルギ発電システム
US8723359B2 (en) Method for controlling sodium-sulfur battery
Khederzadeh et al. Coordinating storage devices, distributed energy sources, responsive loads and electric vehicles for microgrid autonomous operation
KR20130003409A (ko) 신재생에너지 출력 안정화 시스템
KR20150085227A (ko) 에너지 저장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JP6705319B2 (ja) 統括制御装置、統括制御システム、統括制御方法および統括制御プログラム
JPWO2014167830A1 (ja) 電力制御システム
JP2018007323A (ja) 電力変動制御装置及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