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1462A - 육상양식장에서 배출된 고형오물을 이용한 양식용 사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육상양식장에서 배출된 고형오물을 이용한 양식용 사료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21462A KR20170021462A KR1020150115838A KR20150115838A KR20170021462A KR 20170021462 A KR20170021462 A KR 20170021462A KR 1020150115838 A KR1020150115838 A KR 1020150115838A KR 20150115838 A KR20150115838 A KR 20150115838A KR 20170021462 A KR20170021462 A KR 2017002146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eed
- solid
- fermentation
- fermented
- sea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9000002910 solid wast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44000144974 aquaculture Specie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09360 aquaculture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20
- 241000251511 Holothuroide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0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3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2
- 238000000855 ferment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0
- 230000004151 ferment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JVTAAEKCZFNVCJ-UHFFFAOYSA-N lactic acid Chemical compound CC(O)C(O)=O JVTAAEKCZFNVCJ-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5000014469 Bacillus subtili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5000019764 Soybean Meal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13049 sedim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04455 soybean me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44000063299 Bacillus subtili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4310 lactic ac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5000014655 lactic acid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5000019645 odor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10802 sludg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40000006439 Aspergillus oryzae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41000258955 Echinodermat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44000057717 Streptococcus lacti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4332 deodoriz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1081 inocu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8188 pelle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5000002247 Aspergillus oryza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41000257465 Echinoide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41000258957 Asteroide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41000238424 Crustace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41000545744 Hirudine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41000234435 Lilium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41000233671 Schizochytrium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1 oni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15170 shellfish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claims 2
- 241000361919 Metaphire sieboldi Species 0.000 claims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9313 farm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41000243818 Annelida Species 0.000 abstract 1
- 241000277275 Oncorhynchus mykiss Species 0.000 description 19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8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29940024606 amino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3
- 235000001014 amino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3
- 150000001413 amino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3
- 235000019750 Crude prote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2
- MBMBGCFOFBJSGT-KUBAVDMBSA-N all-cis-docosa-4,7,10,13,16,19-hexaeno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C/CCC(O)=O MBMBGCFOFBJSGT-KUBAVDMBSA-N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4083 surviv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41000209094 Oryza Specie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9395 bree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1488 bree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5000014113 dietary fatty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8
- 229930195729 fatty acid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0194 fatty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150000004665 fatty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5000005911 diet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30000037213 die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150000002632 lip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29940090949 docosahexaeno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5
- 235000020669 docosahexaeno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4584 weight gai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5000019786 weight ga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41000965254 Apostichopus japonicus Species 0.000 description 4
- ROHFNLRQFUQHCH-YFKPBYRVSA-N L-leucine Chemical compound CC(C)C[C@H](N)C(O)=O ROHFNLRQFUQHCH-YFKPBYRVSA-N 0.000 description 4
- OUYCCCASQSFEME-QMMMGPOBSA-N L-tyrosine Chemical compound OC(=O)[C@@H](N)CC1=CC=C(O)C=C1 OUYCCCASQSFEME-QMMMGPOBSA-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956 as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9624 protein cont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5000018102 protei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4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4
- 241000208340 Arali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3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WHUUTDBJXJRKMK-VKHMYHEASA-N L-glutam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H](N)CCC(O)=O WHUUTDBJXJRKMK-VKHMYHEASA-N 0.000 description 3
- 235000005035 Panax pseudoginseng ssp. pseudoginseng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5000003140 Panax quinquefoli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872 buff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9784 crude f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5000021050 feed intak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5000008434 ginseng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6709 nutriti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895 organic ferti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5416 organic mat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6228 superna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MTCFGRXMJLQNBG-REOHCLBHSA-N (2S)-2-Amino-3-hydroxypropansäure Chemical compound OC[C@H](N)C(O)=O MTCFGRXMJLQNBG-REOHCLBHSA-N 0.000 description 2
- QGZKDVFQNNGYKY-UHFFFAOYSA-N Ammonia Chemical compound N QGZKDVFQNNGYK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40000008067 Cucumis sativu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799 Cucumis sativus var sativ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4000133098 Echinacea angustifoli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DHMQDGOQFOQNFH-UHFFFAOYSA-N Glycine Chemical compound NCC(O)=O DHMQDGOQFOQNF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NHTMVDHEPJAVLT-UHFFFAOYSA-N Isooctane Chemical compound CC(C)CC(C)(C)C NHTMVDHEPJAVL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FFEARJCKVFRZRR-UHFFFAOYSA-N L-Methionine Natural products CSCCC(N)C(O)=O FFEARJCKVFRZR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ODKSFYDXXFIFQN-BYPYZUCNSA-N L-arginine Chemical compound OC(=O)[C@@H](N)CCCN=C(N)N ODKSFYDXXFIFQN-BYPYZUCNSA-N 0.000 description 2
- 229930064664 L-arginin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4852 L-argini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DCXYFEDJOCDNAF-REOHCLBHSA-N L-asparagine Chemical compound OC(=O)[C@@H](N)CC(N)=O DCXYFEDJOCDNAF-REOHCLBHSA-N 0.000 description 2
- HNDVDQJCIGZPNO-YFKPBYRVSA-N L-histidine Chemical compound OC(=O)[C@@H](N)CC1=CN=CN1 HNDVDQJCIGZPNO-YFKPBYRVSA-N 0.000 description 2
- AGPKZVBTJJNPAG-WHFBIAKZSA-N L-isoleucine Chemical compound CC[C@H](C)[C@H](N)C(O)=O AGPKZVBTJJNPAG-WHFBIAKZSA-N 0.000 description 2
- 229930182844 L-isoleucin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395 L-leuc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454 L-leuci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FFEARJCKVFRZRR-BYPYZUCNSA-N L-methionine Chemical compound CSCC[C@H](N)C(O)=O FFEARJCKVFRZRR-BYPYZUCNSA-N 0.000 description 2
- 229930195722 L-methionin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
- AYFVYJQAPQTCCC-GBXIJSLDSA-N L-threonine Chemical compound C[C@@H](O)[C@H](N)C(O)=O AYFVYJQAPQTCCC-GBXIJSLDSA-N 0.000 description 2
- KZSNJWFQEVHDMF-BYPYZUCNSA-N L-valine Chemical compound CC(C)[C@H](N)C(O)=O KZSNJWFQEVHDMF-BYPYZUCNSA-N 0.000 description 2
- WHXSMMKQMYFTQS-UHFFFAOYSA-N Lithium Chemical compound [Li] WHXSMMKQMYFTQ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41000237502 Ostre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598397 Schizochytrium sp.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396 body weigh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1720 carbohydrat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29940060799 clarus Drugs 0.000 description 2
- JVSWJIKNEAIKJW-UHFFFAOYSA-N dimethyl-hexane Natural products CCCCCC(C)C JVSWJIKNEAIKJ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4134 echinac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387 fatty acid methyl es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21107 fermented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60002989 glutam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60000310 isoleucine Drugs 0.000 description 2
- 229960003136 leucine Drug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44 lith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60004452 methionine Drugs 0.000 description 2
- 235000020636 oys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151 polyglycol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695 polyglyc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20777 polyunsaturated fatty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384 rear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60004441 tyrosine Drugs 0.000 description 2
- UCTWMZQNUQWSLP-VIFPVBQESA-N (R)-adrenaline Chemical compound CNC[C@H](O)C1=CC=C(O)C(O)=C1 UCTWMZQNUQWSLP-VIFPVBQESA-N 0.000 description 1
- 229930182837 (R)-adrenalin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PZNPLUBHRSSFHT-RRHRGVEJSA-N 1-hexadecanoyl-2-octadecanoyl-sn-glycero-3-phosphocholine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O)O[C@@H](COP([O-])(=O)OCC[N+](C)(C)C)COC(=O)CCCCCCCCCCCCCCC PZNPLUBHRSSFHT-RRHRGVEJ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965253 Apostichop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39290 Aran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341438 Aurantiochytrium mangrove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28 Biom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73930 Brevoortia tyrann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VTYYLEPIZMXCLO-UHFFFAOYSA-L Calcium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a+2].[O-]C([O-])=O VTYYLEPIZMXCLO-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567 Chondroit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CKLJMWTZIZZHCS-UHFFFAOYSA-N D-OH-Asp Natural products OC(=O)C(N)CC(O)=O CKLJMWTZIZZHC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QNAYBMKLOCPYGJ-UHFFFAOYSA-N D-alpha-Ala Natural products CC([NH3+])C([O-])=O QNAYBMKLOCPYG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238557 Decapod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733 Fish mea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918 Fraxinus excelsio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WHUUTDBJXJRKMK-UHFFFAOYSA-N Glutamic acid Natural products OC(=O)C(N)CCC(O)=O WHUUTDBJXJRKM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71 Glyc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69 Glycine max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068988 Glycine max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96 Kjeldah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QNAYBMKLOCPYGJ-UWTATZPHSA-N L-Alanine Natural products C[C@@H](N)C(O)=O QNAYBMKLOCPYGJ-UWTATZPHSA-N 0.000 description 1
- CKLJMWTZIZZHCS-UWTATZPHSA-N L-Aspartic acid Natural products OC(=O)[C@H](N)CC(O)=O CKLJMWTZIZZHCS-UWTATZPHSA-N 0.000 description 1
- ONIBWKKTOPOVIA-BYPYZUCNSA-N L-Proline Chemical compound OC(=O)[C@@H]1CCCN1 ONIBWKKTOPOVIA-BYPYZUCNSA-N 0.000 description 1
- QNAYBMKLOCPYGJ-REOHCLBHSA-N L-alanine Chemical compound C[C@H](N)C(O)=O QNAYBMKLOCPYGJ-REOHCLBHSA-N 0.000 description 1
- CKLJMWTZIZZHCS-REOHCLBHSA-N L-aspart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H](N)CC(O)=O CKLJMWTZIZZHCS-REOHCLBHSA-N 0.000 description 1
- LEVWYRKDKASIDU-IMJSIDKUSA-N L-cystine Chemical compound [O-]C(=O)[C@@H]([NH3+])CSSC[C@H]([NH3+])C([O-])=O LEVWYRKDKASIDU-IMJSIDKU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158 L-cyst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393 L-cysti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30182821 L-prolin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41000186660 Lactobacill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108091005804 Peptidas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65 Prote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02100037486 Reverse transcriptase/ribonuclease H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897 Streptococcus lact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73 Threon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1001123263 Zoster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80 active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73 a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767 alan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529 ammonia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45 anti-microb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864 aqueous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80 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1230 asparag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5261 aspart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59 carrier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ARQRPTNYUOLOGH-UHFFFAOYSA-N chcl3 chloroform Chemical compound ClC(Cl)Cl.ClC(Cl)Cl ARQRPTNYUOLOG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DLGJWSVWTWEWBJ-HGGSSLSASA-N chondroitin Chemical compound CC(O)=N[C@@H]1[C@H](O)O[C@H](CO)[C@H](O)[C@@H]1OC1[C@H](O)[C@H](O)C=C(C(O)=O)O1 DLGJWSVWTWEWBJ-HGGSSLSA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067 cyst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731 degra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9 depend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212 derivati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84 detox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882 dietary compositi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29087 diges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53 distill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1001233061 earthworm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5139 epinephr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60 explo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37 ferti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67 fishme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12 flou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07 flux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81 fly as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06 food intak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631 food intak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290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0 gas--liquid chromat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220 glutam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922 glutam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73 ground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307 hel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4 hel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SWQJXJOGLNCZEY-UHFFFAOYSA-N helium atom Chemical compound [He] SWQJXJOGLNCZE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885 histid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40039696 lactobacillus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277 landfa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WJSIUCDMWSDDCE-UHFFFAOYSA-K lithium citrate (anhydrous) Chemical compound [Li+].[Li+].[Li+].[O-]C(=O)CC(O)(CC([O-])=O)C([O-])=O WJSIUCDMWSDDCE-UHFFFAOYSA-K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60 loading buff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COTNUBDHGSIOTA-UHFFFAOYSA-N meoh methanol Chemical compound OC.OC COTNUBDHGSIOT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60 me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JBXYCUKPDAAYAS-UHFFFAOYSA-N methanol;trifluoroborane Chemical compound OC.FB(F)F JBXYCUKPDAAYA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702 methyl ester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13 microb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FEMOMIGRRWSMCU-UHFFFAOYSA-N ninhydrin Chemical compound C1=CC=C2C(=O)C(O)(O)C(=O)C2=C1 FEMOMIGRRWSMC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049 nutrient cont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43 one-way ANOVA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4 precipit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429 prol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397 quillaja saponaria molina bar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34 recircul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19 refractory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30182490 saponi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7949 saponi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35 sea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1153 ser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GRONZTPUWOOUFQ-UHFFFAOYSA-M sodium;methanol;hydroxide Chemical compound [OH-].[Na+].OC GRONZTPUWOOUFQ-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3 solid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347 soybean phospholip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1000894007 speci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898 threon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331 toxic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88 tox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419 toxicity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88 tox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4295 val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65 wastewater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2—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by fermentation of natural products, e.g. of vegetable material, animal waste material or biomas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6—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8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aquatic animals, e.g. fish, crustaceans or mollusc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Phys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Bird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eed For Specific Animal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육상양식장에서 배출된 생물의 고형오물을 포함하는 극피동물문 또는 환형동물문 생물의 양식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양식용 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육상양식장에서 배출된 고형오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양식용 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해양어업을 통한 수산물의 생산은 연간 9,000만 톤 수준에서 정체되고 있으나 수산물에 대한 수요는 꾸준히 증가하여 그 부족부분 4,000만톤은 수산양식 생산으로 충족시키고 있다. 현재의 수산양식 방법은 가두리를 이용한 외해양식과 순환여과방식을 이용한 육상양식이 주를 이루고 있다. 외해양식은 자연의존적인 방식인데 반하여 육상양식장은 자연환경의 영향을 받지 않는 독립적인 방식이다. 육상양식장은 기후적 지리적 조건을 극복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중요성이 점차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전 세계적으로 육상양식장에서 배출되는 고형오물에 의한 환경오염 문제는 날로 그 정도가 심각해지고 있기 때문에 근본적인 해결책이 요구되고 있고 이를 처리하기 위해 바이오 가스화, 식물환경복원화(phytoremediation), 유기질비료화 등 여러 가지 실용화 방안이 시도되었지만 고염류로 인한 유지질 비료화의 어려움과 고농도의 유기물 함량 때문에 도시폐수처리장에서 처리가 곤란하여 실용화 되지 못하였으며 2013년부터 해양투기가 전면 금지되어 이에 대한 대책이 시급하다.
해삼은 최근 전 세계 해삼 생산량의 90%를 소비하는 중국의 경제 성장으로 그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중국을 중심으로 아시아지역에서 새로운 양식 대상 종으로 각광받고 있다. 해삼(Apostichopus japonicus)은 주로 한국 전 연안과 중국 발해만 그리고 일본과 러시아의 태평양연안에서 한대 해역까지 북동 태평양전역에 분포하고 있는 냉수성 수산양식 생물이다.
해삼의 식성은 독특하여 바다 저층의 뻘을 섭취하는 부식성식성(deposit feeder)으로 바다의 청소부로 불리어지고 있다. 해삼의 이러한 식성을 이용하여 굴 양식장에서 발생된 굴 배설물을 이용하여 해삼을 양식하는 복합양식을 시도하여 좋은 성적을 얻고 있다.
해삼의 이러한 식성 때문에 해삼양식용 사료 조성물에는 뻘이 사료전체의 20%를 차지한다. 현재 해삼사료는 거의 전량 중국으로부터 고가로 수입하고 있기 때문에 저가의 해삼사료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366394호는 양식장 오염 퇴적물의 살균화 방법을 이용한 유기질 비료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의 경우, 퇴적물을 처리하는 공정이 복잡하여 이를 자원화하는데 한계가 존재할 뿐만 아니라 해수육상양식장에서 배출되는 고형오물은 염을 다량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유기질 비료로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다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극피동물 또는 환형동물문 생물의 양식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육상양식장에서 배출된 생물의 고형오물을 포함하는 극피동물문 또는 환형동물문 생물의 양식용 사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에 따르면, 육상양식장으로부터 배출된 고형오물에 미강을 첨가하여 악취를 제거하는 탈취단계;
상기 고형오물에 대두박을 첨가 후 미생물을 접종하여 발효시키는 발효단계; 및
상기 발효 고형오물을 건조기로 건조하는 건조단계를 포함하는 극피동물문 또는 환형동물문 생물의 양식용 사료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육상양식장에서 배출된 고형오물을 이용하여 효율적인 해삼사료 생산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육상양식장에서 배출된 고형오물을 채취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으로 육상순환양식시스템의 퇴적물 탱크(A), 양식장의 고형오물(B), 고형오물 채취(C) 및 고형오물 시료를 봉투에 담아 운반하는 과정(D)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고형오물의 유기물을 태운 후 회분 입자를 현미경으로 관찰한 것으로 뱀장어 양식장에서 채취한 고형오물의 입자(A)이고 상품사료의 뻘 입자(B)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뱀장어 양식장 고형오물(EF), 무지개송어 고형오물(RF) 및 상품사료(CF)를 해삼에게 급여하고 상기 해삼의 생존율(survival rate)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뱀장어 양식장 고형오물(EF), 무지개송어 고형오물(RF) 및 상품사료(CF)를 해삼에게 급여하고 상기 해삼의 먹이섭식율(feed intake)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뱀장어 양식장 고형오물(EF), 무지개송어 고형오물(RF) 및 상품사료(CF)를 해삼에게 급여하고 상기 해삼의 비성장속도(specific growth rate)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뱀장어 양식장 고형오물(EF), 무지개송어 고형오물(RF) 및 상품사료(CF)를 해삼에게 급여하고 상기 해삼의 총 증중량(total weight gain)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미생물을 이용하여 발효공정을 거쳐 발효한 고형오물사료를 제조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발효사료(FF) 실험군, 미발효사료(UF) 실험군 및 상품사료(CF) 실험군 해삼의 생존율(survival rate)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발효사료(FF) 실험군, 미발효사료(UF) 실험군 및 상품사료(CF) 실험군 해삼의 먹이섭식율(feed intake)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발효사료(FF) 실험군, 미발효사료(UF) 실험군 및 상품사료(CF) 실험군 해삼의 비성장속도(specific growth rate)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발효사료(FF) 실험군, 미발효사료(UF) 실험군 및 상품사료(CF) 실험군 해삼의 총 증중량(total weight gain)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고형오물의 유기물을 태운 후 회분 입자를 현미경으로 관찰한 것으로 뱀장어 양식장에서 채취한 고형오물의 입자(A)이고 상품사료의 뻘 입자(B)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뱀장어 양식장 고형오물(EF), 무지개송어 고형오물(RF) 및 상품사료(CF)를 해삼에게 급여하고 상기 해삼의 생존율(survival rate)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뱀장어 양식장 고형오물(EF), 무지개송어 고형오물(RF) 및 상품사료(CF)를 해삼에게 급여하고 상기 해삼의 먹이섭식율(feed intake)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뱀장어 양식장 고형오물(EF), 무지개송어 고형오물(RF) 및 상품사료(CF)를 해삼에게 급여하고 상기 해삼의 비성장속도(specific growth rate)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뱀장어 양식장 고형오물(EF), 무지개송어 고형오물(RF) 및 상품사료(CF)를 해삼에게 급여하고 상기 해삼의 총 증중량(total weight gain)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미생물을 이용하여 발효공정을 거쳐 발효한 고형오물사료를 제조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발효사료(FF) 실험군, 미발효사료(UF) 실험군 및 상품사료(CF) 실험군 해삼의 생존율(survival rate)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발효사료(FF) 실험군, 미발효사료(UF) 실험군 및 상품사료(CF) 실험군 해삼의 먹이섭식율(feed intake)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발효사료(FF) 실험군, 미발효사료(UF) 실험군 및 상품사료(CF) 실험군 해삼의 비성장속도(specific growth rate)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발효사료(FF) 실험군, 미발효사료(UF) 실험군 및 상품사료(CF) 실험군 해삼의 총 증중량(total weight gain)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용어의 정의:
본 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육상순환양식시스템(recirculating aquaculture systems, RAS)"은 양식생물의 대사와 성장과정에서 일어나는 노폐물에 의해 오염된 물을 정화 처리하면서 한 번 사용한 물을 계속 사용하는 양식 방법으로 물이 적은 곳에서도 양식할 수 있고, 단위면적당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설비 및 전력 등의 비용문제와 고형오물의 처리는 아직 미비한 상태이다.
본 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해삼(Apostichopus japonicus)"은 돌기해삼이라고 불리고 있으며 생물학적 분류체계에 따르면 극피동물문(Echinodermata), 해삼강(Holothuroidea), 해삼과(Stichopodiae) 여자삼속(Apostichopus)에 속한다. 건강 기능성물질인 사포닌과 콘드로이친을 다량 함유하고 있으므로 예로부터 바다의 인삼이라 부른다.
본 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고형오물(solid waste)"은 수산양식에서 발생하는 오염 등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도입된 육상양식장으로부터 배출되는 고형 퇴적물로 어류의 배설물과 일부 잔여사료로 구성되어 있다. 어류 1 kg을 생산하기 위하여 사료 1-3 kg을 급여해야 하고 그 중에서 약 36%는 고형오물형태로 배출된다(Naylor et al., Nature. 405: 1017-1024. 2000).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육상양식장에서 배출된 생물의 고형오물을 포함하는 극피동물문 또는 환형동물문 생물의 양식용 사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양식용 사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양식생물은 어류, 패류, 갑각류 또는 무척추동물일 수 있다. 상기 극피동물문 생물은 해삼, 성게, 불가사리 또는 바다나리일 수 있고 상기 환형동물문 생물은 지렁이, 갯지렁이 또는 거머리일 수 있다.
상기 양식용 사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고형오물은 미발효 고형오물 또는 미생물로 발효시켜 제조된 발효 고형오물(fermented solid waste)일 수 있는데, 발효 고형오물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극피동물문 생물은 해삼(Apostichopus japonicus) 또는 성게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고형오물은 어류 배설물, 잔여사료, 노폐물, 퇴적물, 슬러지(sludge), 오니(oni), 뻘(mud) 또는 저질(sediments)일 수 있고 상기 미생물은 유산균(L. lacti), 황국균(Aspergillus oryzae), 고초균(Bacillus subtilis) 또는 원시해양미세조류일 수 있으며, 상기 원시해양미세조류는 Schizochytrium 속의 미세조류일 수 있다.
상기 발효공정은 고형오물에 미강을 첨가 후 악취를 제거하는 탈취단계; 대두박을 첨가하여 발효원료 기질을 제조하는 발효원료 기질 제조단계; 상기 발효원료 기질에 유산균을 접종하는 유산균 처리단계; 황국균을 접종하는 황국균 처리단계; 고초균을 접종하는 고초균 처리단계; 및 원시해양미세조류를 첨가하는 원시해양미세조류 처리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식사료는 펠렛(pellet), 크럼블(crumble), 반죽 또는 분말 사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에 따르면, 육상양식장으로부터 배출된 고형오물에 미강을 첨가하여 악취를 제거하는 탈취단계; 상기 고형오물에 대두박을 첨가 후 미생물을 접종하여 발효시키는 발효단계; 및 상기 발효 고형오물을 건조기로 건조하는 건조단계를 포함하는 극피동물문 또는 환형동물문 생물의 양식용 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제조방법은, 상기 건조된 발효 고형오물을 분쇄기로 분쇄 후 펠렛제조기로 압출성형 후 크럼블화(crumble)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효단계는 상기 고형오물에 대두박을 첨가 후 수분을 조절하여 발효원료 기질을 제조하는 발효원료 기질 제조단계; 상기 발효원료 기질에 유산균을 접종하는 유산균 처리단계; 상기 발효원료 기질에 황국균을 접종하는 황국균 처리단계; 상기 발효원료 기질에 고초균을 접종하는 고초균 처리단계; 및 상기 발효원료 기질에 원시해양미세조류를 첨가하는 원시해양미세조류 처리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효단계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 처리단계 및 고초균 처리단계는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기존의 해삼사료는 모두 분말형태로 가공되어 적정량의 물을 첨가하여 반죽형태로 해삼에게 급여하고 사료가 바닥에 침전될 때까지 사육수 교환과 에어레이션을 중지시켰다. 상기 급여 방법은 수질을 오염시키고 수온, 용존산소, pH의 변화를 유발할 수 있다(Xia et al., Aquaculture. 384-387, 2013). 또한 순환여과시스템에서 반죽사료를 사용하면 사료로부터 대량의 유기물질이 사육소로 용출되어 스키머와 여과조의 부담을 가중시키며 미세한 사료입자가 생물학적여과조로 유입되면 대량의 산소를 소모하여 혐기성 환경이 만들어져 여과기능이 파괴된다(Han et al., The 9th Asian Fisheries & Aquaculture Forum, 165. 2011). 본 발명은 해삼육상양식장의 최대 난제인 사료문제에 있어 크럼블사료를 해삼에게 공급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였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고형오물의 채취와 일반성분 분석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충청북도 충주에 소재하는 뱀장어 양식장과 무지개 송어 양식장에서 채취한 고형오물과 해삼사료의 일반성분을 분석하였다(도 1).
구체적으로, 육상양식장에서 채취한 고형오물과 시판중인 해삼 상품사료(DL Co., Ltd)의 일반성분 분석은 AOAC(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AOAC. Official method of analysis. 16th ed. U.S.A., 1-43, 1995)방법, 조단백질은 Kjeldahl법으로 분석하였으며, 조지방은 클로로포름(choloroform)과 메탄올(methanol)을 2:1 비율로 혼합한 용액을 용매로 한 Bligh and Dyer추출법(1959)에 준하였다. 수분은 상압가열 건조법으로 105℃의 드라이오븐(dry oven)에서 6시간 동안 건조 후 측정하였고, 조회분은 직접회화법(Dry ashing)으로 600℃ 회화로에서 4시간 동안 태운 후 정량하였으며 탄수화물 함량도 AOAC에 따라 계산하였다. 고형오물의 경우는 분말형태가 아닌 액상형태이므로, 우선 시료 내 침전물을 고르게 하기 위하여 수차례 흔들어 샘플을 채취하였고, 건조물의 형태로 전환하여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조섬유는 자동분석장치(Fibertec, Tecato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뱀장어 양식장에서 채취한 고형오물의 경우 수분함량은 72.2%, 수분을 제외한 건물질의 단백질은 10.9%, 지질은 1.2%, 그리고 조회분은 85.8%였으며, 무지개송어 양식장에서 채취한 고형오물의 경우 수분함량은 87.0%, 수분을 제외한 건물질의 조 단백질은 20.5%, 지질은 3.2% 그리고 조회분은 70.9%로 나타났다. 상품사료의 수분함량은 5.4%, 수분을 제외한 건물질의 조 단백질은 21.0%, 지질은 1.7%, 그리고 조회분은 41.0%였다. 특히 해삼사료로 사용되는 상품사료의 경우 조단백질 함량이 21% 전후로 제조 판매되고 있는데 무지개송어 양식장에서 채취한 고형오물의 경우 조단백질 함량이 20.5%로 해삼사료로서 단백질 함량 측면에서 볼 때 상당히 높은 함량이었다. 이러한 차이는 두 어종의 소화흡수나 생리적 차이보다는 급이하는 사료의 형태에서 기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무지개송어 양식장에서는 펠렛형 침강사료를 급이하고 있었으나, 뱀장어양식장에서는 반죽사료를 급이하고 있었다. 무지개송어 양식장의 고형오물 속에는 먹다 남은 침강사료의 일부가 포함되었기 때문에 두 양식장에서 채집한 고형오물의 단백질 함량이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생각된다. 무지개송어 양식장 고형오물의 단백질함량이 시판용 해삼 상품사료와 비슷한 수준인 점은 사료자원화가치와 가능성을 더욱 높여주었다. 또한 뱀장어 양식장에서 채취한 고형오물의 경우 회분함량이 85.8%로 높게 측정되어 현미경으로 자세히 관찰한 결과 지하수로부터 유입된 토양입자에서 기인된 것으로 판단되고 그 토양입자의 크기와 정도는 시판용 뻘(mud)과 거의 유사한 형태로 나타나 해삼사료로서 상기 고형오물의 이용가능성을 더욱 높여 주었다(도 2). 상기 고형오물의 일반성분 분석 결과를 하기 표 1에 표시하였다.
샘플 | 수분(%) | 영양성분(%) | |||
조 단백질 | 조 지질 | 탄수화물 | 회분 | ||
고형오물(뱀장어 양식장) | 72.2±0.6b | 10.9±0.2 b | 1.2±0.1b | 2.1±0.2b | 85.8±3.1a |
고형오물(무지개 송어 양식장) | 87.0±2.7a | 20.5±0.8a | 3.2±0.2a | 5.4±0.5b | 70.9±0.8b |
해삼 사료 | 5.4±0.2c | 21.0±0.1a | 1.7±0.1b | 36.3±0.1a | 41.0±0.2c |
실시예 2: 실험 사료(feed stuff)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실험에 사용한 사료는 뱀장어 고형오물과 무지개송어 고형오물로 제조한 2종류 사료와 중국으로부터 수입한 해삼배합사료 총 3종류의 사료를 사용하였다. 고형오물사료의 제조는 육상양식장에서 채집한 고형오물을 건조기에 넣어 65℃에서 48시간 건조시키고 볼밀을 이용하여 충분히 분쇄시킨 후 펠렛제조기로 압출성형 하였으며, 표준체(sieve)로 고르게 친후 입자크기가 120 ㎛인 크럼블(crumble)사료로 제조하여 사용하였다.
실시예 3: 실험해삼 사육관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실험에 사용될 해삼을 분양받아 사육실험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 사용한 돌기해삼 치삼(Apostichopus japonicus)은 경남 통영시 산양면의 종묘생산업체에서 분양받아 실험실로 운반하여 1,000 L 수조에 입식한 후, 실험환경에 적응할 수 있도록 17℃, 32 psu의 해수에서 기초사료를 공급하면서 5주간 예비사육을 실시하였다. 그 후 평균체중 1.5±0.2 g인 치삼을 96 L의 4각 수조에 각각 20개체씩 수용하여 해삼사육을 위하여 설계한 순환여과시스템(RAS)에서 각 실험군당 사육실험을 3회 반복하였다. 각 실험수조의 사육수 순환율은 20 주기/일로 조절하였고 실험기간동안의 사육환경은 수온 16.5-17.5℃, 염분 32 psu, pH 7.9-8.2, 용존산소 5.2-7.1 mg/L 및 총 암모니아 0.3-10.2 ppm의 범위로 유지하였으며 1일 사료공급량은 해삼체중의 5%를 1일 1회(17:00) 충분하게 공급하면서 8주간 사육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뱀장어 고형오물(EF) 실험군 해삼의 생체량은 95.1±4.5 g, 무지개송어 고형오물(RF) 실험군은 92.5±2.0 g 및 상품사료(CF) 실험군은 120.9±2.8 g으로 나타났다. 상기 사육실험 분석 결과를 하기 표 2에 표시하였다.
뱀장어 고형오물 | 무지개송어 고형오물 | 상품사료 | ||
최초 |
총 중량(g) | 30.0±0.5a | 30.0±0.7a | 30.0±.0.7a |
개수 | 20 | 20 | 20 | |
개별 중량(g) | 1.5±0.2a | 1.5±0.2a | 1.5±0.2a | |
최종 |
총 중량(g) | 95.1±4.5ga | 92.5±2.0ga | 120.9±2.8gb |
개수 | 20 | 20 | 20 | |
개별 중량(g) | 4.8±0.2ga | 4.2±0.2ga | 6.0±0.1gb |
실시예 4: 육상양식장 고형 오물 포함 사료의 성능 분석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뱀장어 고형오물(EF) 실험군, 무지개송어 고형오물(RF) 실험군 및 상품사료(CF) 실험군의 생존율(survival rate), 먹이섭식율(feed intake), 비성장속도(specific growth rate) 및 총 증중량(total weight gain)은 하기와 같은 공식으로 계산하였다.
생존률(SR):
상기 식에서 N2는 최종생존개체수, N1은 최초개체수를 나타낸다.
먹이섭식율(FI):
비성장속도(SGR):
상기 식에서 W 1 은 최초무게, W 2 는 최종무게, I는 섭식한 사료량 및 T는 사육기간을 나타낸다.
총 증중량(TWG):
상기 식에서 W I 는 수조당 수용한 해삼의 최초 총 중량, W F 는 최종 총 중량을 나타낸다.
모든 통계분석은 SPSS 16.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One-way ANOVA test를 실시한 후 Duncan smultiple rang test(Duncan, 1995)로 평균간의 유의성(P<0.05)을 검정하였다.
그 결과, 뱀장어 고형오물(EF) 실험군, 무지개송어 고형오물(RF) 실험군 및 상품사료(CF) 실험군 모두 100% 생존율을 나타내어 고형오물로 제조된 사료가 해삼에 대하여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다는 것을 증명하였다(도 3).
먹이섭식율(feed intake)을 비교해본 결과 뱀장어 고형오물(EF) 실험군에서 최고의 섭식율을 나타냈으나, 무지개송어 고형오물(RF) 실험군과 비교했을때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상품사료(CF) 실험군보다 현저하게 높은 결과를 관찰하였다(도 4). 현재까지 중국의 해삼 사육현장에서는 반드시 사료 내 뻘(mud)을 첨가시키는 것과 해삼의 섭이생태가 데트라이터스(detritus) 식성인 점으로 미루어 보아 뱀장어 고형오물에 월등히 많이 함유되어 있는 입자가 이러한 현상과 관련이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이어 고형오물 실험군의 비성장속도를 비교해본 결과 뱀장어 고형오물(EF)와 무지개송어 고형오물(RF) 사이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상품사료(CF) 실험군과 비교할 때는 현저히 낮은 결과를 나타내었다(도 5). 뱀장어 고형오물의 단백질 수준(10.9%)이 무지개송어 고형오물(20.5%)의 절반 밖에 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성장도와 비성장속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해삼의 사료가치를 평가할 때 단순히 단백질 함량만으로 비교평가하는 것은 곤란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상기 3개 실험군의 총 증중량을 비교한 결과 상품사료 > 뱀장어 고형오물 > 무지개송어 고형오물 순으로 나타났는데, 상품사료와 고형오물 실험군에서 현저한 차이를 나타내었다(도 6). 따라서 뱀장어 고형오물과 무지개송어 고형오물로 제조한 사료를 급여한 실험군은 상품사료 실험군과 비교하여 더 많은 먹이섭식율을 나타내었으나 성장이 많이 떨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5: 발효 사료(fermented feedstuff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성장률이 떨어지는 고형오물 사료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해삼의 고형오물에 대한 이용성을 개선하는 목적으로 4단 발효공정을 거친 고형오물 사료를 해삼에게 공급하고 사육실험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실험사료 디자인은 3종류 실험군으로 발효사료(fermented feed, FF) 실험군, 미발효사료(unfermented feed, UF) 실험군 및 시판중인 해삼배합사료(commercial feed, CF) 실험군을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사료조성은 발효사료에서 수분고정을 위하여 미강(rice bran)을 첨가하였고 단백질 질(quality)을 개선하기 위하여 탈지 대두박(defatted soybean)을 첨가하였다(표 3 참조).
상기 발효사료와 미발효사료의 원료배합은 고형오물, 미강 및 대두박을 2:1:1 비율로 혼합하였다(표 4 참조). 무지개 송어양식장에서 채집한 고형오물에 대두박과 미강을 첨가 후 수분을 75%로 조절하여 발효원료 기질을 제조하였다. 제1단 발효는 미생물 증식에 필요한 영양원 즉 기질을 살균하기 위한 목적으로 발효원료에 항균물질 생산능력이 있는 유산균(L. lacti IFO 12007)을 이용하였고 제2단과 제3단 발효과정은 고형오물 중 고분자 물질과 난 분해성 물질을 분해하는 단계로서 제2단 황국균(Aspergillus oryzae)과 제3단 고초균(Bacillus subtilis KFCC 11293)을 이용하였으며, 제4단 발효는 고도불포화지방산 DHA(docosa hexaenoic acid) 함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대두박을 기질로 한 Schizochytrium sp. GNU226 (KCTC12487BP)을 첨가하였다.
제조공정은 발효원료에 Lactococcus lactis IFO 12007의 배양액(106 CFU/g)과 A. oryzae(106 spores/g)를 발효원료에 분무접종하여 30℃에서 48시간동안 1단과 2단 발효를 연속으로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증류수를 첨가하여 수분을 90%로 조절하고 B. subtilis GSK3580(106 CFU/g)를 다시 접종해서 43℃에서, 24시간동안 제3단 발효를 실시하였으며 마지막으로 대두박을 기질로 한 원시해양미세조류 Schizochytrium sp. GNU 226 발효공정을 완료하였다(도 7). 모든 실험사료는 입자크기가 350 ㎛인 크럼블 사료로 가공하였고 건조기에 건조시켜 수분함량을 5.4%로 조절하였으며 냉장고에 보관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상기 발효공정에 사용된 원료의 일반성분을 하기 표 3에, 발효사료와 미발효사료의 원료배합비율을 하기 표 4에 표시하였다.
샘플
|
수분(%)
|
영양 성분 | |||
조단백질(%) | 조지질(%) | 조섬유(%) | 회분(%) | ||
고형오물(RF) | 87.0 | 20.5 | 3.2 | 2.1 | 70.9 |
미강 | 5.6 | 12.5 | 15.2 | 45.32 | 6.6 |
대두박 | 8.27 | 47.0 | 1.86 | 4.19 | 7.37 |
성분 | UF | FF | CF |
고형오물 | 60.00 | 60.00 | - |
미강 | 20.00 | 20.00 | - |
대두박 | 20.00 | 20.00 | 15.00 |
L. lactis IFO 12007 | 0.3 | - | |
A. oryzae | 0.15 | - | |
B. subtilis GSK 3580 | 0.05 | - | |
S. mangrovei GNU 226 | 1.00 | ||
건조갯뻘 | 20.00 | ||
대형조류 분말 | - | - | 35.00 |
밀가루 | - | - | 13.00 |
페루 어분 | - | - | 15.00 |
굴 껍질 분말 | - | - | 1.00 |
대두 레시틴 | - | - | 1.00 |
총량 | 100.00 | 100.00 | 100.00 |
일반조성 | |||
조단백질 | 20.5±0.40a | 20.5±0.40a | 21.8±0.43a |
조지질 | 4.7±0.04a | 4.7±0.04a | 1.7±0.03b |
조회분 | 50.6±0.50a | 50.6±0.50a | 50.0±0.85a |
수분 | 17.8±0.26a | 17.7±0.26a | 5.2±0.17b |
실시예 6: 발효 사료의 분석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조한 발효사료의 기능성을 검토하고자 4단 발효전과 후 사료의 일반성분 분석, 유리아미노산 함량 및 지방산조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구체적으로, 일반성분 분석은 상기 실시예 2의 방법으로 분석하였고 발효사료의 유리 아미노산 분석은 동결 건조한 발효전후의 사료 각각 1 g에 70% 에탄올 10 mL 첨가하여 24시간 동안 추출과정을 거친 후 3,000 rpm에서 20분간 원심분리 하고 상등액을 취하였다. 상기 상등액을 감압 농축 후 아미노산 분석용 시트르산 리튬 로딩 버퍼로 용해시키고, 0.22 μm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하여 아미노산 자동 분석기(Biochrom 30+ amino acid analyzer, Biochrom, Cambridge, UK)로 분석하였다(표 5 참조).
또한 발효사료의 지방산 조성 분석은 Bligh and Dyer(1959) 방법에 준하여 추출된 지방을 사용하였고 지방산 Methyl Ester 유도체화는 시료 일정량과 내부 표준물질(C23:0 메틸 에스테르) 1 mL(1 mg C23:0)를 캡 튜브에 취하고, 0.5 N NaOH-메탄올 용액 1.5 mL를 첨가하여 100℃에서 8분간 가열하고 검화(saponification)하였다. 방냉 후 12% BF3-메탄올 2 mL를 넣고, 다시 100℃에서 11분간 가열하여 메틸화(methylation) 한 후 약 30-40℃로 냉각하여 이소옥탄(iso-octane) 층이 분리되도록 하였다. 상기 이소옥탄층을 시료 병(4 mL)에 옮기고 이를 지방산 메틸에스테르(methylester) 시료로 사용하였다(표 5 참조).
가스 액체 크로마토그래피(gas liquid chromatography)를 이용한 지방산 분석은 OmegawaxTM-320(bonded polyglycol phase) 모세관 컬럼(30 m × 0.32 mm × 0.25 μm, i.d., SUPELCO, Supelco Park, PA, USA)을 장착한 Clarus 600(Perkin Elmer, USA)를 이용하였고 지방산의 분석은 동일 조건에서 분석한 표준품의 ECL과 비교하여 동정하였으며, 지방산 표준품은 14:0, 16:0, 18:1, 18:2, 18:3, 20:0, 22:1 및 24:0(D-104 Doosan Serdary Research Lab., Kyungkido, Korea)과 GC-MS로 동정된 멘헤이덴유(menhaden oil)를 사용하였다. 상기 유리아미노산 분석 조건을 하기 표 5에, 지방산의 분석 조건은 표 6에 표시하였다.
항목 | 조건 |
아미노산 분석기 | Biochrom 30+ |
컬럼 | Biochrom Lithium Column u-2299 |
버퍼 수용액 | 스트리산 리튬 버퍼(pH 2.80, 3.00, 3.15, 3.50, 3.55) |
유량 | 버퍼 유량 20 mL/hr, 닌하이드린 유량 20 mL/hr |
샘플 주입량 | 40 ㎕ |
컬럼 온도 | 35-80℃ |
항목 | 조건 |
장비 | Clarus 600 (Perkin Elmer, USA) |
컬럼 | Omegawax-320 (bonded polyglycol phase) capillary Column (30 m × 0.32 mm × 0.25μm, i.d, SUPELCO, Supelo Park, PA, USA) |
측정기 | Flame Ionization Detector (FID) |
운반 기체 | 헬륨 가스(1.0 kg/cm2) |
컬럼 온도 | 185℃(10 min) to 230℃(8 min) at 3℃/min |
주입 온도 | 250℃ |
측정 온도 | 270℃ |
분할 비율(split ratio) | 1 : 100 |
상기 분석결과, 일반성분의 경우, 조단백질은 20.5%에서 23.0%로 증가하였으며 조회분은 50.6%에서 52.3%로 증가하였다. 조지방의 경우 4.7%에서 4.6%5으로 거의 차이가 없었고 조섬유는 17.7%에서 5.4%로 낮아졌다. 해삼은 조섬유를 거의 이용하지 못하기에 조섬유 함량이 높으면 단위동물 사료원료로서 적합하지 않다. 그러나 발효과정을 통하여 조섬유가 분해되는 동시에 단백질을 포함한 대부분의 영양소가 소실되지 않아 사료로서의 영양적 가치가 개선되었음을 확인하였다(표 7 참조). 또한 미발효사료와 발효사료의 유리아미노산 분석결과, 총 유리아미노산은 발효전에 172.66 mg/100 g에서 발효 후에 784.21 mg/100 g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발효과정을 통해 발효된 사료의 유리아미노산 글루탐산(glutamic acid) 함량은 22.95%에서 4.44%로 낮아 졌고 L-타이로신(L-Tyrosine) 함량은 18.6%에서 8.37%로 낮아 졌으며 L-이소류신(L-Isoleucine) 함량이 15.59%에서 10.87%로 낮아진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에 L-아르기닌(L-Arginine)은 0.02%에서 1.9%로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고 L-류신(L-Leucine)은 1.41%에서 6.8%로, L-메치오닌(L-Methionine) 함량은 0%에서 3.13%로 높아진 것을 관찰하였다(표 8 참조). 이러한 결과는 발효균주의 프로테아제(protease) 활성에 의하여 원료에 함유하고 있는 단백질이 분해된 것으로 생각된다.
아울러 발효전후 사료의 지방산 조성을 분석한 결과 발효과정을 통해 발효된 사료의 20:5n-3(EPA)는 0.23에서 1.75로 증가하였고 22:6n-3(DHA)는 0.89%에서 3.36%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표 9 참조). 상기 발효한 고형오물 사료의 일반성분, 유리아미노산 및 지방산 조성 분석 결과를 하기 표 7, 8 및 9에 표시하였다.
샘플 | 수분(%) | 영양 성분(%, 건조량 기준) | |||
조단백질 | 조지방 | 조섬유 | 회분 | ||
미발효 사료(UF) | 5.5±0.23a | 20.5±0.23a | 4.7±0.02a | 17.7±0.26c | 50.6±0.28a |
발효 사료(FF) | 5.5±0.14a | 23.0±0.24b | 4.6±0.02b | 5.4±0.5b | 52.3±0.14b |
상품 사료(CF) | 5.4±0.17a | 21.8±0.25a | 1.7±0.01c | 5.2±0.17a | 50.9±0.49a |
유리 아미노산(%) | UF | FF |
L-Aspartic Acid | 3.38 | 4.92 |
L-Threonine | 2.29 | 6.78 |
L-Serine | 0.41 | 5.79 |
L-Asparagine | 0.02 | 0.61 |
L-Glutamic acid | 22.95 | 4.44 |
L-Proline | 14.57 | 18.16 |
Glycine | 5.23 | 2.35 |
L-Alanine | 11.4 | 12.23 |
L-Valine | 3.87 | 10.45 |
L-Cystine | 0.21 | 1.20 |
L-Methionine | ND | 3.13 |
L-Isoleucine | 15.59 | 10.87 |
L-Leucine | 1.41 | 6.80 |
L-Tyrosine | 18.6 | 8.37 |
L-Histidine | 0.05 | 2.00 |
L-Arginine | 0.02 | 1.90 |
총 아미노산 | 172.66 | 784.21 |
* ND: Not detected.
지방산 | UF | FF |
14:0 | 6.53±0.03 | 6.64±0.03 |
15:0 | 0.59±0.02 | 0.64±0.01 |
16:0 | 34.13±0.15 | 34.44±0.19 |
16:1n-9 | 0.49±0.02 | 0.51±0.01 |
16:1n-7 | 1.01±0.01 | 1.02±0.01 |
17:0 | 0.74±0.02 | 0.77±0.02 |
18:0 | 9.38±0.13 | 9.54±0.09 |
18:1n-9 | 16.01±0.11 | 15.33±0.07 |
18:1n-7 | 1.31±0.02 | 1.39±0.01 |
18:2n-6 | 23.00±0.14 | 19.09±0.11 |
18:3n-3 | 1.77±0.01 | 1.57±0.02 |
20:0 | 1.09±0.01 | 1.23±0.01 |
20:1n-11 | 0.12±0.03 | 0.12±0.01 |
20:1n-9 | 0.22±0.02 | 0.3±0.00 |
20:4n-6 | 0.07±0.03 | 0.07±0.01 |
20:5n-3(EPA) | 0.23±0.03 | 1.75±0.02 |
22:0 | 0.93±0.01 | 0.53±0.02 |
22:1n-9 | 0.12±0.02 | 0.12±0.01 |
22:5n-6 | 0.04±0.01 | 0.25±0.01 |
22:5n-3 | 1.31±0.01 | 1.31±0.01 |
22:6n-3(DHA) | 0.89±0.01 | 3.36±0.03 |
∑ SFA | 52.39 | 53.79 |
∑ MUFA | 19.16 | 18.67 |
∑ PUFA | 27.33 | 27.42 |
∑ n-3 HUFA | 2.43 | 6.42 |
∑ n-6 HUFA | 0.11 | 0.32 |
실시예 7: 생존율, 섭식율 및 비성장속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발효사료(FF) 실험군, 미발효사료(UF) 실험군 및 상품사료(CF) 실험군의 생존율을 분석한 결과 상기 3개의 실험군 모두 100%의 생존율을 나타내었다(도 8). 이 결과를 통하여 고형오물이 해삼에 대해 독성이 없는 것을 재확인 하였으며 고형오물 발효과정에 사용한 미생물도 해삼의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을 증명하였다. 또한 섭식율을 분석한 결과 발효사료(FF) 실험군 해삼의 섭식률은 8.57 mgㅇg-1ㅇh-1이고 상품사료(CF) 실험군 해삼의 섭식률 8.04 mgㅇg-1ㅇh-1로 서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미발효사료(UF) 실험군의 15.81 mgㅇg-1ㅇh-1보다 현저하게 낮은 섭식율을 나타냈다(도 9). 이러한 결과는 발효공정 처리를 통한 해산의 고형오물에 대한 이용성이 개선되었음을 의미하므로 해삼사육에 있어 사료비용 절감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사료된다.
아울러 비성장속도를 분석한 결과, 발효사료(FF) 실험군과 상품사료(CF) 실험군의 생체중량 230 g씩 수용하여 90일 동안 사육하여 1,000 g 이상 성장한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초기 11.5 g의 치삼의 평균체중은 실험 후 발효사료(FF) 실험군 56.0 g, 미발효사료(UF) 실험군 25.3 g 및 상품사료(CF) 실험군 55.4 g으로 성장하였다.
발효사료(FF) 실험군의 비성장속도는 상품사료(CF) 실험군과 비교하여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미발효사료(UF) 실험군보다 현저히 높은 성장률을 나타내었다(도 10). 또한 발효사료(FF) 실험군의 총 증중량은 미발효사료(UF) 실험군과 비교하여 현저히 높은 총 증중량을 나타내었으나 상품사료(CF) 실험군과는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도 11).
따라서 발효전후의 사료를 각각 섭식한 해삼은 성장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발효공정을 통하여 해삼의 사료 이용성이 개선된 것을 증명하였다. 상기 실험군에 대한 사육결과를 하기 표 10에 표시하였다.
미발효사료(UF) 실험군 | 발효사료(FF) 실험군 | 상품사료(CF) 실험군 | ||
초기 |
총중량(g) | 230±3.7a | 230±3.5a | 230±2.1a |
개수 | 20 | 20 | 20 | |
개별 중량(g) | 11.5±1.2a | 11.5±1.2a | 11.5±1.2a | |
최종 |
총 중량(g) | 506.4±63.7gb | 1,121.8±102.5a | 1,108.3±113.7a |
개수 | 20 | 20 | 20 | |
개별 중량(g) | 25.3±6.2b | 56.0±7.5a | 55.4±5.7a |
결론적으로 육상순환 여과시스템(RAS)에서 대량으로 배출되는 고형오물을 본 연구의 발효공정을 통하여 처리하면 EPA와 DHA 함량이 높아지는 등 영양학적 가치가 개선되고 생존율과 성장률 또한 상품사료의 품질과 비교하여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므로 해삼을 비롯한 다양한 수산생물 양식의 급여사료로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1)
- 육상양식장에서 배출된 생물의 고형오물을 포함하는 극피동물문 또는 환형동물문 생물의 양식용 사료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식생물은 어류, 패류, 갑각류 또는 무척추동물인 양식용 사료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극피동물문 생물은 해삼, 성게, 불가사리 또는 바다나리인, 양식용 사료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동물문 생물은 지렁이, 갯지렁이 또는 거머리인, 양식용 사료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형오물은 미발효 고형오물 또는 상기 미발효 고형오물을 미생물로 발효시켜 제조된 발효 고형오물(fermented solid waste)인, 양식용 사료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형오물은 어류 배설물, 잔여사료, 노폐물, 퇴적물, 슬러지(sludge), 오니(oni), 뻘(mud) 또는 저질(sediments)인, 양식용 사료 조성물.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은 유산균(L. lacti), 황국균(Aspergillus oryzae), 고초균(Bacillus subtilis) 또는 원시해양미세조류인, 양식용 사료 조성물.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원시해양미세조류는 Schizochytrium 속의 미세조류인, 양식용 사료 조성물.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공정은 고형오물에 미강을 첨가 후 악취를 제거하는 탈취단계;
대두박을 첨가하여 발효원료 기질을 제조하는 발효원료 기질 제조단계;
상기 발효원료 기질에 유산균을 접종하는 유산균 처리단계;
황국균을 접종하는 황국균 처리단계;
고초균을 접종하는 고초균 처리단계; 및
원시해양미세조류를 첨가하는 원시해양미세조류 처리단계를 포함하는, 양식용 사료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식사료는 펠렛(pellet), 크럼블(crumble), 반죽 또는 분말 사료인, 양식용 사료 조성물. - 육상양식장으로부터 배출된 고형오물에 미강을 첨가하여 악취를 제거하는 탈취단계;
상기 고형오물에 대두박을 첨가 후 미생물을 접종하여 발효시키는 발효단계; 및
상기 발효 고형오물을 건조기로 건조하는 건조단계를 포함하는 극피동물문 또는 환형동물문 생물의 양식용 사료조성물의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15838A KR20170021462A (ko) | 2015-08-18 | 2015-08-18 | 육상양식장에서 배출된 고형오물을 이용한 양식용 사료 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15838A KR20170021462A (ko) | 2015-08-18 | 2015-08-18 | 육상양식장에서 배출된 고형오물을 이용한 양식용 사료 조성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21462A true KR20170021462A (ko) | 2017-02-28 |
Family
ID=58543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15838A KR20170021462A (ko) | 2015-08-18 | 2015-08-18 | 육상양식장에서 배출된 고형오물을 이용한 양식용 사료 조성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70021462A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373031A (zh) * | 2017-08-17 | 2017-11-24 | 大连理工大学 | 一种裂殖壶菌在刺参养殖上的应用 |
KR20200001408A (ko) * | 2018-06-27 | 2020-01-06 |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 천식 개선물질을 포함하는 해삼사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KR20210001245A (ko) | 2019-06-27 | 2021-01-06 | 신우특수건설 (주) | 에너지 융합형 복합양식 시스템 |
-
2015
- 2015-08-18 KR KR1020150115838A patent/KR20170021462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373031A (zh) * | 2017-08-17 | 2017-11-24 | 大连理工大学 | 一种裂殖壶菌在刺参养殖上的应用 |
KR20200001408A (ko) * | 2018-06-27 | 2020-01-06 |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 천식 개선물질을 포함하는 해삼사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KR20210001245A (ko) | 2019-06-27 | 2021-01-06 | 신우특수건설 (주) | 에너지 융합형 복합양식 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hakrabarti et al. | Mass production of Lemna minor and its amino acid and fatty acid profiles | |
Wei et al. | The effect of different carbon sources on the nutritional composition, microbial community and structure of bioflocs | |
Ulloa Walker et al. | Biofloc technology: principles focused on potential species and the case study of Chilean river shrimp Cryphiops caementarius | |
Musyoka et al. | Utilization of the earthworm, Eisenia fetida (Savigny, 1826) as an alternative protein source in fish feeds processing: A review | |
Conceição et al. | Live feeds for early stages of fish rearing | |
Baloi et al. | Performance of Pacific white shrimp Litopenaeus vannamei raised in biofloc systems with varying levels of light exposure | |
Ekasari et al. | Primary nutritional content of bio-flocs cultured with different organic carbon sources and salinity | |
Khanjani et al. | Study on nursery growth performance of Pacific white shrimp (Litopenaeus vannamei Boone, 1931) under different feeding levels in zero water exchange system | |
Apandi et al. | Microalgal biomass production through phycoremediation of fresh market wastewater and potential applications as aquaculture feeds | |
Dinesh Kumar et al. | Evaluation of suitability of wastewater-grown microalgae (Picochlorum maculatum) and copepod (Oithona rigida) as live feed for white leg shrimp Litopenaeus vannamei post-larvae | |
Negrini et al. | Stocking density for freshwater prawn Macrobrachium rosenbergii (Decapoda, Palaemonidae) in biofloc system | |
Habib et al. | Growth and nutritional values of Moina micrura fed on Chlorella vulgaris grown in digested palm oil mill effluent | |
JP2018504887A (ja) | 水産養殖試料における使用のための試料添加材料 | |
KR101857327B1 (ko) | 바이오 플락 양식과정에서 생산되는 유용유기물을 원료로 포함하는 사료 및 사료제조방법 | |
Villar-Navarro et al. | Microalgae biotechnology for simultaneous water treatment and feed ingredient production in aquaculture | |
CN109310108A (zh) | 包含裂解的微生物细胞的饲料成分 | |
KR101854016B1 (ko) | 바이오플락 유용유기물을 포함하는 사료첨가제와 그 생산방법 | |
KR20170021462A (ko) | 육상양식장에서 배출된 고형오물을 이용한 양식용 사료 조성물 | |
Harlina et al. | Digestibility of fermented copra meal for fish as plant protein source in the Saline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Seeds | |
KR101889895B1 (ko) | 어류용 친환경 사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1822736B1 (ko) | 바이오플락 유용유기물을 포함하는 해삼 사료와 그 생산방법 | |
Herawati et al. | Nutritional value content, biomass production and growth performance of Daphnia magna cultured with different animal wastes resulted from probiotic bacteria fermentation | |
Jin et al. | Effects of fermented fecal solid diets on growth of the sea cucumber Apostichopus japonicus | |
Herawati et al. | The effect of fermentation time with probiotic bacteria on organic fertilizer as Daphnia magna cultured medium towards nutrient quality, biomass production and growth performance enhancement | |
KR20210155682A (ko) | 은편모조류를 이용한 물벼룩 대량배양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