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1267A - Pile coupler - Google Patents
Pile coupl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21267A KR20170021267A KR1020170016706A KR20170016706A KR20170021267A KR 20170021267 A KR20170021267 A KR 20170021267A KR 1020170016706 A KR1020170016706 A KR 1020170016706A KR 20170016706 A KR20170016706 A KR 20170016706A KR 20170021267 A KR20170021267 A KR 2017002126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le
- file
- semicircular plate
- coupler
- plate unit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0248 power gener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679 cervix uteri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788 cri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49 embo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2—Piles composed of separable parts, e.g. telescopic tubes ; Piles composed of segments
- E02D5/523—Piles composed of separable parts, e.g. telescopic tubes ; Piles composed of segments composed of segments
- E02D5/526—Connection means between pile seg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파일커플러 및 이를 이용한 파일 체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태양광발전시설 장치와 같은 구조물을 떠받치기 위하여 지반에 박히도록 설치되는 파일(pile)에 있어서, 그 상부파일과 하부파일의 연결부위를 신속하게 조인팅 작업을 실시하고, 부지 평탄작업을 할 수 없는 지형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지주의 높이와 경사를 간편하게 조절하여 할 수 있는, 파일커플러 및 이를 이용한 파일의 높이조절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le coupler and a file concatenation method using the sam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le installed on a ground to support a structure such as a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facility, and a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upper pile and the lower pile is rapidly joined, And more particularly, to a file coupler and a height adjustment method of a file using the same, which can easily adjust height and inclination of a plurality of supports provided on a terrain where operation is not possible.
태양광발전시설은 평탄한 지형에도 설치되지만 경제적인 이유로 많은 경우에 있어서, 평평하지 못하거나 경사진 지형 예컨대 비탈진 농작지, 야산, 나대지, 법면 등에 설치되고 있다. 이때, 토목공사를 한 다음 지형을 평탄화한 시킨 뒤에 태양광발전시설을 설치하려는 경우에는 발전장치에 직접 투입되는 비용외로 많은 추가비용이 들어감은 물론이거니와 공사기간도 많이 소요된다. 따라서 경사진 지형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도록 시공함이 바람직하다.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facilities are installed on flat terrain, but for economic reasons, in many cases, they are installed on uneven or inclined terrain, such as sloped agricultural land, hillsides, meadows, and terraces. At this time, if the solar power generation facility is to be installed after the terrain is flattened after the civil engineering work, there is a lot of additional cost in addition to the direct input to the power generation equipment, and the construction period is also long.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construct the slope so that the inclined terrain can be used as it is.
그런데 태양광발전시설은 그 하부를 파일(지주)이 받쳐주어야 하므로, 파일을 고정시키기 위해서 파일의 하단을 지반에 설치한 기초콘크리트에 고정시키는 것이 보통의 방법이었다. 그러나 이런 방법은 많은 공정을 거치는 토목작업이 선행되어야 해서 공사기간, 인력 및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환경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단점이 있다.In order to fix the file, it is usual to fix the bottom of the file to the foundation concrete installed in the ground because the solar power generation facility should support the lower part of the file (landing). However, this method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requires a long period of civil works to be carried out through a lot of processes, so that it takes a long period of time, manpower and cost, and can cause environmental problems.
상술한 문제와 관련하여 등록특허 제1563159호(2015.10.20.)가 개시되어 있는 바 도 1의 예시와 함께 살펴보면,Regard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 the registered patent No. 1563159 (Oct. 20, 2015) is disclosed, and together with the example of FIG. 1,
파일커플러 단면이 반원 형상인 라운드부와, 상기 라운드부의 반원 형상 양단 외측방향으로 각각 돌출 형성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볼트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평판부가 일체로 구성되고, 상기 라운드부는, 일정 길이로 형성된 대경부; 일정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대경부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소경부; 상기 대경부와 소경부를 일체로 연결시키는 경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대경부와 소경부에는, 파일커플러를 체결했을 때 파일의 외주면을 압착하여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압착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압착부는 대경부와 소경부의 벽의 반원 형상을 따라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부로 형성되며, 상기 파일커플러는 한쌍이 구비되어 각 평판부에 형성된 볼트구멍을 통해 체결수단을 체결하여 서로 결합시켜 파일을 연결하도록 구성되고,A round portion having a semicircular cross section of the pile coupler and a flat plate portion protruding from both ends of the semicircular shape of the round portion and formed with bolt hol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integrally formed, cervix; A small diameter portion formed to a predetermined length and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at of the large diameter portion; And a tapered portion integrally connecting the large-diameter portion and the small-diameter portion. The large-diameter portion and the small-diameter portion are each formed with a compression portion for compress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ile when the pile coupler is fastened, Wherein the pile coupler is provided with a pair of fasteners which are fastened to each other through bolt holes formed in the flat plate portions and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connect the pile Lt; / RTI >
파일커플러를 이용한 파일의 높이조절 방법은, 하부파일을 지반에 박아서 위치를 고정시키는 단계; 파일커플러의 라운드부 중 대경부 내주면이 상부파일의 하단부분 외주면에 접하도록 위치시켜 한쌍의 파일커플러의 대경부끼리를 체결수단으로 체결시키는 단계; 파일커플러의 대경부끼리를 체결시킨 상부파일을 하부파일 상부에 위치시키고, 파일커플러의 소경부에 하부파일 상단부분을 삽입하여 파일커플러의 소경부끼리를 체결수단으로 체결시키는 단계를 거쳐서 직경이 서로 다른 상부파일과 하부파일을 체결시키며, 소경부끼리를 체결시키면서 하부파일의 상단 위치를 조절하여 파일의 전체 높이를 조절하도록 제공된다.A method of adjusting a height of a file using a file coupler includes the steps of fixing a position by putting a lower file on a ground; Placing the large-diameter portio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und portion of the file coupler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upper file to fasten the large-diameter portions of the pair of pile couplers with the fastening means;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pile coupler is fasten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portion of the pile coupler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portion of the pile is inserted into the smaller portion of the pile coupler, Another upper file and a lower file are fastened to each other and the upper end of the lower file is adjusted while fastening the smaller parts together to adjust the overall height of the file.
그러나, 이러한 방법에 의해 제공되는 파일커플러의 문제점은 상부파일에 대한 하부파일의 결합이 파일커플러내에서 압착부의 압착력에 의해서만 이루어지는 바, 태양광발전시설에 강한 하중이나 진동이 가해지거나, 지속적인 수직방향 하중에 장시간 노출되어 경우 압착력이 약해지고 느슨해지면 종국에는, 파일커플러를 통해 결속된 상부파일이 하부파일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미끄러져 내리는 슬립 현상이 발생할 수 있어서 구조물 전체를 훼손할 수 있으며, 최초에 설정한 높이가 반연되지 못 할 수 있다. 만일,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체결수단 예컨대 볼트 등을 과도하게 조이게 되면 결국은 파일커플러의 부재가 망가지거나 헐거워질 수 있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However, the problem of the file coupler provided by this method is that the coupling of the lower file to the upper file is made only by the compression force of the crimping portion in the file coupler, so that a strong load or vibration is applied to the solar power generation facility, If the compression force is weakened and loosened when the load is exposed to the load for a long time, the slip phenomenon that the upper pile bound through the pile coupler slides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lower pile may occur, One height may not be complimented. If the fastening means such as a bolt or the like is excessively tightened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member of the pile coupler may eventually be broken or loosened.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제안된 것이다. 아울러 태양광발전시설의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파일(pile)을 시공시에, 기초를 다지기 위한 콘크리트의 사용 없이, 하부파일을 지반에 설치하고 여기에 하부파일을 매우 편리하고 신속하게 체결하는 연결부위 조인팅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파일커플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n addition, at the time of constructing a pile for supporting the structure of a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facility, a lower file is installed on the ground without using concrete for foundation, and a connection part And to provide a file coupler for performing the joining operation.
또한, 본 발명은 경사진 부지의 평탄작업을 할 수 없는 지형에 태양광발전시설을 시공시에, 상부파일과 하부파일을 서로 연결하여 다수의 지주를 설치하고 지주의 상단에 구조물을 설치할 경우, 파일커플러로 체결되는 파일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파일커플러를 이용한 파일의 높이조절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when a solar power generation facility is installed on a terrain where a sloping site can not be flattened, when a plurality of struts are installed by connecting an upper file and a lower file to each other and a structure is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stru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adjusting a height of a file using a file coupler that can easily adjust a height of a file coupled by a file coupler.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상하 수직방향으로 일렬 배치되는 두 개의 파일을 연결시키기 위한 파일커플러에 있어서,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le coupler for connecting two files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in a vertical direction,
상기 파일커플러는, 횡단면이 반원 형상인 반원판부와; 상기 반원판부의 외측방향으로 각각 돌출 형성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체결홈이 형성되어 있는 체결평판을; 포함하여 한 쌍 구비되고,Wherein the pile coupler comprises: a semicircular plate portion having a semicircular cross section; A fastening plate protruding outwardly of the semicircular plate portion and having a plurality of fastening grooves formed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And a pair of electrodes,
상기 반원판부는, 일정 길이로 형성된 상부반원판부와; 상기 상부반원판부로부터 길이 방향 아래로 연장되며, 일정 길이로 형성되는 하부반원판부와; 상기 상부반원판부와 하부반원판부를 가르도록 상기 반원판부의 내벽 반원의 중심으로 돌출하여 수평하게 형성되는 지지평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Wherein the semicircular plate portion comprises: an upper semicircular plate portion formed with a predetermined length; A lower semicircular plate portion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upper semicircular plate portion and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A supporting flat plate protruding from the center of the half-circle of the inner wall of the semicircular plate portion to horizontally guide the upper semicircular plate portion and the lower semicircular plate portion; ≪ / RTI >
상기 상부반원판부와 하부반원판부에는,The upper semicircular plate portion and the lower semicircular plate portion are provided,
파일커플러를 체결했을 때 파일의 외주면을 압착하여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압착돌기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압착돌기는 상부반원판부와 하부반원판부의 벽의 반원 형상을 따라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부로 형성되며,The compression protrusions are formed as protrusions protruding inwardly along the semicircular shape of the upper semicircular plate portion and the lower semicircular plate por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coupling force when the outer surface of the file is compressed when the file coupler is fastened, ,
상기 파일커플러는 한 쌍이 구비되어 각 체결평판에 형성된 체결홈을 통해 체결수단을 체결하여 서로 결합시켜 파일을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파일커플러를 제공한다.The pile coupler is provided with a pair, and the pile fastener is fastened through fastening grooves formed in the respective fastening flat plates and coupled to each other to connect the pile.
또한, 상기 파일커플러를 이용하여 상하 수직으로 일렬 배치된 상부파일과 하부파일을 일체로 결합하는 파일 체결방법을 제공한다.Als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le concatenation method for integrating an upper file and a lower file, which are vertically arranged vertically and vertically, using the file coupler.
본 발명의 파일커플러에 따르면, 태양광발전시설의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파일 시공시에, 지반에 설치되는 하부파일과 구조물을 떠받치는 상부파일을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고,According to the file coupler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file for supporting a structure of a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facility is constructed, the lower file installed on the ground and the upper file supporting the structure can be easily fastened,
또한, 본 발명은 경사진 부지의 평탄작업을 할 수 없는 지형에 태양광발전시설을 시공시에, 상부파일과 하부파일을 서로 연결하여 다수의 지주를 설치하고 지주의 상단에 구조물을 설치할 경우, 파일커플러로 체결되는 파일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면서,In addition, when a solar power generation facility is installed on a terrain where a sloping site can not be flattened, when a plurality of struts are installed by connecting an upper file and a lower file to each other and a structure is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strut, The height of the file fastened by the file coupler can be easily adjusted,
장시간 지속적인 하중에 노출되거나, 큰 충격이나 진동을 받는 상황에서도 최초 설정한 파일의 높이, 길이가 변하지 않고 유지될 수 있다.The height and length of the first set file can be maintained unchanged even in the case of being exposed to a long-term continuous load or receiving a large shock or vibration.
도 1은 파일커플러를 체결한 지주의 상단에 구조물을 설치한 상태도; 및 파일커플러에 의해 지주의 높이를 조절한 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파일커플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파일커플러에 상부파일 및 하부파일이 안착된 예시를 보인 상태도이다.
도 4는 각각 높이를 다르게 설정하여 상부파일과 하부파일을 파일커플러로 체결한 경우를 예시한 예시도이다.
도 5는 각각 도 4 B의 절단라인(e0)를 따라 컷팅한 절단면도를 보인 예시도이다.FIG. 1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a structure is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a pillar secured with a pile coupler; And a state in which the height of the support is adjusted by the file coupler.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ile coupler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tate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upper file and the lower file are seated in the file coupler.
FIG. 4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case where upper and lower files are fastened with a file coupler by setting different heights, respectively.
Fig. 5 is a sectional view cut along the cutting line e0 in Fig. 4B. Fig.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첨부된 도면의 도 2 이하에 예시된 바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llustrated in FIG.
도 1 및 도 2에서, 파일(지주)은 구조물을 직접 떠받치는 상부파일(15)과 지반에 박혀서 지탱하는 하부파일(10)의 결합으로 제공된다. 상기 하부파일(10)은 스파이럴날개가 형성되어서 회전하면서 땅속 지반에 파고들어가 자리를 잡는다. 그 후, 상기 상부파일(15) 및 상기 하부파일(10)의 단부끼리를 맞대어 본 발명의 파일커플러(200)로 감싸서 안착되게 한 후, 체결수단(b1)을 통하여 연결부위 조인팅 작업을 실시하는 것이다. 상기 파일의 단면에 있어서는 원형을 중심으로 설명하지만, 다각형이나 H빔 형태 따위의 경우도 포함된다.In Figures 1 and 2, the file (stanchion) is provided by a combination of an
만일, 상부파일(15)과 하부파일(10)의 형상(직경 포함)이 다른 경우에는 도 2 및 도 3에서, 상기 파일커플러(200)의 상하부에 각각 상기 형상에 대응하도록 돌출시키거나, 상기 직경에 대응하는 돌출의 정도를 다르게 형성한 압착돌기(240)를 구비할 수 있다. 직경이 다른 경우를 예를 들면, 상기 압착돌기(240)의 돌출 크기의 차이로 인한 직경 차이가 상부파일(15)과 하부파일(10)에 접촉하는 파일커플러(200) 각 부위의 직경이 다른 효과를 발생시키므로, 조인팅 작업시 직경이 작은 소직경 파일 및 직경이 큰 대직경 파일을 함께 조인팅 가능하게 실시할 수 있다. 상기 파일커플러(200)는 평면에서(위에서) 보아 반원 형태를 취하여 한 쌍으로 만들어진 후 현장에서 서로 조립되도록 하는데 이때, 도 4와 같이 파일커플러(200) 한 쌍의 각 높낮이를 다르게 배치하여 조인팅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를 통하여 파일 전체의 높이 및 경사 조절을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If the shape of the
파일커플러(200)는 동일한 형상의 한 쌍의 반쪽짜리 파일커플러(200)가 체결수단(b1)에 의해 서로 마주보면서 합체되어 완성도록 설치된다. 이를 제1 파일커플러(200a) 및 제2 파일커플러(200b)라고 하며 이들로 이루어진 상태로 각각 파일을 감싸고 결합되는 것이다. 각 반쪽의 파일커플러(200)는 횡단면이 반원의 라운드 형상을 취하는 반원판부(210)와, 상기 반원판부(210)의 길이를 따라 형성되며 체결홈(221)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반원판부의 측단(21)의, 좌우 양단의, 외측방향으로 각각 돌출 형성된 체결평판(220)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체결평판(220)끼리 서로 맞대어져 각 체결평판(220)에 형성된 체결홈(221)을 통해 볼트/너트 따위의 체결수단(b1)으로 체결, 고정되게 된다. 상기 체결평판(220)의 체결홈(221)은 가능한 촘촘하게 다수로 천공되는 것이 파일커플러(200)를 통한 파일의 높낮이 조절시에 보다 좁은 간격씩 이동하면서 섬세(세밀)하게 실시할 수 있다.The
상기 반원판부(210)는 상부반원판부(211), 하부반원판부(212) 및 이들을 상하로 구획하며 상부파일(15)과 하부파일(10)이 하중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슬립(미끄러짐)이 되는 것을 막도록(방지하도록) 지탱하는 지지평판(250)을 기본적으로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상기 지지평판(250)은 상기 반원판부의 내주면으로부터 소정 돌출하여 반원 상태의 고리 형태로 제공되거나 도면의 예시처럼, 반원의 중심부까지 전부 돌출하여 반원의 디스크 형태를 취하여 수평하게 배치되는 평판으로서 상기 반원판부(210)의 길이 중간 위치에서 반원의 중심 내부로 향하여 돌출(연장)되어 형성된다. 이때, 별도로 제작한 후 상기 반원판부(210)의 내주면에 체결하여 구성할 수도 있는 바, 상기 반원판부(210)의 내주면으로부터 반원의 중심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과 동일 개념으로 생각하기로 한다. 상기 지지평판(250)의 상면에는 상부파일(15)의 맨 아래 하단이 접촉하여 얹힌다. 따라서, 상기 지지평판(250)은 상기 상부파일(15)의 아래로 향하는 하중을 막아서서 지탱하는 차단막의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평판(250)의 저면은 상기 하부파일(10)의 맨 윗 상단과 접촉하여서 지지받으면서 상기 상부파일(15) 및 상기 파일커플러(200)의 아래로 향하는 하중을 막아 지탱한다. 즉, 상기 지지평판(250)은 윗 쪽의 상기 상부파일(15) 및 파일커플러(200) 전체의 하중을 아랫 쪽의 하부파일(10)에 직접 전달함으로써, 전체 하중에 대하여 강력하게 맞설 수 있고 전혀 미끄러짐 현상이 없이 최초 설정한 상태로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The
상기 상부반원판부(211)는 횡단면이 반원, 호 형상이며 일정 길이를 갖고, 이로부터 길이방향으로 하부반원판부(212)가 연장되며, 상기 하부반원판부(212)도 횡단면이 반원, 호 형상이며 일정 길이로 형성된다. 상부반원판부(211)와 하부반원판부(212)의 구분은 설치시에 배치되는 상하위치에 따른 것으로서, 상부반원판부(211) 또는 하부반원판부(212)가 각자 구비하는 압착돌기(240)의 직경이 큰가 작은가에 따라 상대적인 구분될 수도 있다. 상부반원판부(211)와 하부반원판부(212)의 직경은 동일할 수도 있다. 만일, 파일을 수직으로 배치할 때, 상부파일(15)이나 하부파일(10)의 직경이 같은 경우 상하 구분 없이 배치할 수 있고, 상부파일(15)이나 하부파일(10)의 직경이 어느 한 쪽이 크거나 작은 경우 이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직경을 제공하도록 상부반원판부(211)와 하부반원판부(212)의 상하 위치를 변경하여 배치할 수 있다.The upper half-
상기 압착돌기(240)는 파일커플러(200)로 파일을 체결했을 때 반원판부(210)가 파일의 외주면을 압착하여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형성되는 바, 상기 압착돌기(240)는 상부반원판부(211)와 하부반원판부(212)의 각 반원 형상의 벽(내주면)을 따라 내측으로(반원의 중심으로) 소정 돌출하여 반원의 고리형태를 취하도록 각각 형성된다. 이때, 상기 압착돌기(240)의 돌출된 부분의 정점을 따라 슬롯(Slot)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압착돌기(240)는 특정한 호의 길이를 갖지 않고 점 형상으로 복수개를 형성할 수도 있다.The
도 2, 도 3 및 도 5의 예시와 같이, 압착돌기(240)는 파일을 체결시에 특히, 옆쪽으로 유격이 없도록 수평방향 주변으로부터 압착하여 지지하며 동시에, 수직방향의 하중에 대하여서도 지지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상기 압착돌기(240)는 상기 상부반원판부(211)의 입구측 단부 즉, 상부반원판부(211)의 상단에 구비되는 상부반원판부압착돌기(241)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반원판부(212)의 입구측 단부 즉, 하부반원판부(212)의 하단에 구성되는 하부반원판부압착돌기(242)를 포함한다. 더하여, 적어도 상부파일(15) 및 하부파일(10) 그 각각의 위 아래 두 곳에서 잡아주는 지지점이 발생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상기 압착돌기(240)는 파일커플러(200)/반원판부(210)의 수직방향 길이를 따라 다층, 다단의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도면에는, 상기 지지평판(250)의 상부와 저부의 양면에 압착돌기(240)를 각각 구비시켜서 상기 각 입구측 단부의 것과는 가장 멀리 이격된 거리 상태에서 효과적으로 수평방향의 흔들림을 유발하는 유격을 없애도록(지지하도록) 예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격 거리를 보다 촘촘한 간격으로 설정하여 다단 구비하는 것이 옆방향은 물론 수직방향 지지력에 있어서도 보다 유리하다.As shown in FIGS. 2, 3 and 5, the
다시 설명하면, 상기 상부반원판부압착돌기(241)의 형상과 지지평판(250)의 상면/상부반원판부(211)의 하단의 압착돌기(240) 형상(직경 포함)을 동일하게 취해서, 상부파일(15)의 길이(높이)를 따라 상하로 이격되는 적어도 두 곳에서 잡아주어 지지하게 한다. 또한 하부반원판부압착돌기(242)의 형상(직경 포함)과 지지평판(250)의 저면/하부반원판부(212)의 상단의 압착돌기(240) 형상을 동일하게 취해서 하부파일(10)의 길이(높이)를 따라 위아래로 이격된 두 곳에서 접촉하여 지지하게 한다.The shape of the upper half plate
한편, 도면에는 예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압착돌기(240)는 상기 반원판부(210)/상부 반원판부(211) 및 하부 반원판부(212)의 내주면의 길이방향(수직방향)을 따라 길이를 갖는 막대 형상을 취해서 수직방향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여러개 복수 형성하여 상기 파일의 내주면에 두루 분포시킬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상기 반원판부의 측단(21)과 체결평판(220)이 연결된 연결부는 절곡되어 형성된 것이기 때문에 비록, 금속재의 강판으로 만들어져 있다고 하더라도, 강도면에서 취약할 수 있어서 파일커플러(200)를 체결 압착하면서 큰 힘이 가해지면 절곡된 부분이 변형되거나 크랙 발생 또는 파괴될 수 있으므로 보강처리를 하여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처리는 파일커플러(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엠보싱 형상을 등간격으로 형성하는 것이 한 방법이 될 수 있다.Since the coupling portion connecting the side end 21 of the semicircular plate and the
다음은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을 다른 방법으로 표현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ll be expressed by another method.
본 발명의 파일커플러(200)는 세워진 원통이 수직방향으로 절반 절단되어 만들어 지는 반 원통 형태의 두 개가 각각 제1 파일커플러(200a)와 제2 파일커플러(200b)를 이루어서 분리된 한 쌍으로 보관된 후 시공설치 시에 분리된 한 쌍이 한 몸통으로 서로 체결되도록 제공된다. 즉, 거울반사 형태로 대응되는 제1 파일커플러와 제2 파일커플러로 이루어진다.In the
상기 제1 파일커플러(200a)와 제2 파일커플러(200b)는 각각,The
횡단면(평단면)이 반원 형상을 취하고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반원판부(210)와;A
상기 반원판부의 측단(21)(좌우 양단)으로부터 방사형으로 각각 연장(돌출)되어서 상기 반원판부(210)의 길이를 따라 형성(구성)되며, 상기 수직방향의 길이를 따라 적어도 3개 이상 복수로 천공된(구멍이 뚫린) 체결홈(221)을 갖는 체결평판(220)과;(Projected) radially from the side ends 21 (left and right ends) of the semicircular plate portion and formed (configured) along the length of the
강한 하중을 이겨낼 수직방향 두께를 가지며, 상기 반원판부(210)의 수직방향 중간에서 내주면으로부터 반원의 중심을 향하여 연장(돌출) 형성(구성)되는 지지평판(250)과;A
소정의 수직방향 두께를 가지며, 상기 반원판부(210)의 상단 및 상기 반원판부(210)의 하단의 각 내주면으로부터 반원의 중심을 향하여 소정부분 연장(돌출) 형성(구성)되는 압착돌기(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
상술한 파일커플러(200)를 통한 파일의 고정 및 높이조절 설치방법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알아보기로 한다.The file fixing and height adjustment installation method through the above-described
도 1의 예시와 같이 하부파일(10)을 지반에 박아서 위치를 고정시키는 단계를 거치고 난 후에 도 3 및 도 4의 예시에서,In the example of FIGS. 3 and 4, after taking steps to place the
파일커플러(200)/제1 파일커플러(200a) 및 제2 파일커플러(200b)의 각 반원판부(210) 중 어느 하나는, 그 하부반원판부(212) 내주면에 하부파일(10)의 상단부분 외주면이 접하여 개재되도록 위치시키고 동시에, 지지평판(250)의 저면에 하부파일(10) 상단면이 접하게 하여서 파일커플러(200)가 얹히도록 하고,One of the half-
상기 제1 파일커플러(200a) 및 상기 제2 파일커플러(200b)의 각 반원판부(210) 중 다른 하나는, 그 상부반원판부(211)의 내주면에 상부파일(15)의 하단부분 외주면이 접하여 개재되도록 위치시키면서 동시에, 지지평판(250)의 상면에 상부파일(15) 하단면이 접하여 얹히게 한다.The other one of the
단, 파일이 반원판부(210)의 내주면에 접한다는 말은 엄밀하게는, 파일/상부파일(15) 및 하부파일(10)의 외주면이 압착돌기(240)에 접하여 지지받고 있는 것을 내포하고 있음을 알아야 한다.However, the fact that the file contacts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다음은 파일의 길이조절을 위한 높낮이를 결정하는 단계인 바, 상기 제1 파일커플러(200a)의 체결평판(220)과 상기 제2 파일커플러(200b)의 체결평판(220)을 맞대어 접촉시키고, 이에 따른 상기 제1 파일커플러의 체결평판(220)의 체결홈(221)과 상기 제2 파일커플러의 체결평판(220)의 체결홈(221)의 위치를 서로 맞추어 일치시키고, 상기 체결홈(221)에 체결수단(b1)으로 체결시키는 단계를 거친다.The following is a step of determining the height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file. The clamping
이상에 있어서 그 설치되는 순서는 바꾸어서 실시 가능하다.In the above, the installation order can be changed.
파일커플러(200)에서 파일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도 4 B, 도 4 C 및 도 5의 예시처럼, 제1 파일커플러(200a)와 제2 파일커플러(200b)의 높낮이가 서로 다르게 체결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파일커플러(200a)의 지지평판(250) 또는 상기 제2 파일커플러(200b)의 지지평판(250)에 접하는 각각의 상부파일(15)의 하단면 또는 하부파일(10)의 상단면 그 하단면/상단면의 일부(절반)만 상기 지지평판(250)에 접촉하여 수직방향으로 걸치게되는 것이다.In order to adjust the length of the file in the
도 3 내지 도 5의 도면과 함께 보충설명을 하면,3 and Fig. 5,
상부파일(15)은, 그 몸체가 파일커플러(200)의 내주면에 감싸이게 되면서 접촉하는 압착돌기(240)(241)에 의해 옆방향의 외력(하중)에 대항하는 지지력을 받고 이때, 강한 압착력의 마찰작용에 의해 수직방향의 하중에도 대항하는 지지력을 상당부분 받는다. 그리고 상기 상부파일은, 그 하단면이 지지평판(250)의 상면에 접촉하여 수직방향의 하중에 완벽하게 대항하는 지지력을 받으며 이때, 상기 상부파일(15) 하단면과 상기 지지평판(250) 상면의 상호 마찰력으로 옆방향의 외력에도 대항할 수 있는 지지력을 받는다.The
하부파일(10)은, 그 몸체가 파일커플러(200)의 내주면에 감싸이게 되면서 접촉하는 압착돌기(240)(242)에 의해 옆방향의 외력에 대항하는 지지력을 받고 이때, 강한 압착력의 마찰작용으로 수직방향의 하중에도 대항하는 지지력을 상당부분 받는다. 그리고 상기 하부파일은, 그 상단면이 상기 지지평판(250)의 저면(하면)에 접촉하여 수직방향 하중에 완전히 대항하는 지지력을 받으며 이때, 상기 하부파일(10) 상단면과 상기 지지평판(250) 저면의 상호 마찰력으로 옆방향의 외력에도 대항할 수 있는 지지력을 받는다The
이때, 도 4 A처럼 제1 파일커플러(200a)와 제2 파일커플러(200b)의 수직방향 높이가 동일하도록 체결되면, 도 3을 참조할 때, 상기 제1 파일커플러(200a)의 지지평판(250a)과 상기 제2 파일커플러(200b)의 지지평판(250b)은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상부파일(15) 하단면 전체 및 상기 하부파일(10)의 상단면 전체가 상기 지지평판(250)에 접촉하여 각각 지지받는다.Referring to FIG. 3, when the
그런데, 도 4 B 및 도 4 C처럼 제1 파일커플러(200a)와 제2 파일커플러(200b)의 수직방향 높이가 어느 한 쪽이 더 높거나 낮게 다른 높이로 체결되면 이에 따라서, 도 3을 참조할 때, 제1 파일커플러(200a)의 지지평판(250a)과 제2 파일커플러(200b)의 지지평판(250b)은 그 높이가 서로 다르게 제공되게 되어서, 상부파일 하단면의 한 쪽 절반과 하부파일 상단면의 한 쪽 절반만 상기 제1 파일커플러(200a)의 지지평판(250a) 또는 상기 제2 파일커플러(200b)의 지지평판(250b)에 선택적으로 접촉할 수 밖에 없게 된다. 하지만 비록 어느 한 쪽의 지지평판(250a)/(250b)에만 접하여서 파일의 단면(상부파일의 하단면, 하부파일의 상단면)이 각각 그 반쪽만 지지를 받는다고 하더라도 파일커플러의 반원판부(210)에 동시에 접하여 전혀 움직이지 못 하도록 유격 없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전체적인 수직방향 지지력에는 별 차이가 없는 것이다.4B and 4C, when the vertical height of the first and
길이조절을 위해 이러한 방법으로 제1 파일커플러(200a)와 제2 파일커플러(200b)의 서로 높낮이를 다르게 대응시켜 체결한 경우,When the first and
상부파일(15)은 그 하단면의 절반이 제1 파일커플러(200a)의 지지평판(250a) 또는 제2 파일커플러(200b)의 지지평판(250b) 중 높은 쪽에 배치된 것의 상면에 얹혀 접촉하고, 이에 의해 상부파일(15)의 수직방향 하중이 상기 높은 쪽에 배치된 지지평판에 전달되어서 그 하중이 지지된다. 이때, 상기 높은 쪽에 배치된 지지평판에 걸리는 상기 하중은 그 지지평판이 형성된 파일커플러에 바로 전달되고 이어서, 함께 체결된 다른 낮은 쪽에 배치된 파일커플러 몸체에 상기 하중이 전가되어서, 상기 낮은 쪽에 배치된 파일커플러로부터 형성되는 지지평판으로 상기 하중은 다시 전달된다.Half of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이때, 하부파일(10)은 그 상단면의 절반이 상기 제1 파일커플러(200a)의 지지평판(250a) 또는 상기 제2 파일커플러(200b)의 지지평판(250b) 중 낮은 쪽에 배치된 것의 저면에 눌리도록 접촉되므로, 애초에 상기 상부파일로부터 시작된 일련의 상기 하중이 최종적으로 상기 하부파일에 전달되어 종국에는 그 하중을 지반에 전달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체결평판에 있어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예를 들면, 체결수단(b1)이 체결되는 체결평판(220)의 체결홈(221)의 위치가 제1 파일커플러(200a)와 제2 파일커플러(200b)의 수직방향 높이가 동일하면, 도 4 A처럼 제 1 파일커플러의 체결평판 체결홈(221a)에 대응하는 제2 파일커플러의 체결평한 체결홈(221b)의 위로부터의 순서가 동일하게 대응하여 체결된다. (a1, a1)(b1, b1)(c1, c1)...3 to 5, the position of the
그러나 상기 높이가 동일하지 않아서 어느 한 쪽이 높거나 낮은 경우 가령, 도 4 B의 경우처럼 체결홈이 서로 두 칸 씩 비껴나도록 차이가 난 때에는 제1 파일커플러(200a)의 체결홈(221a)에 대응하는 제2 파일커플러(200b)의 체결홈(221b)의 대응은 서로 다르게 대응하여 체결이 된다. (a3, a1)(a4, a2)(a5, a3)...However, when the height is not the same and either one is higher or lower, for example, when the coupling groove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two spaces as in the case of FIG. 4B, the
체결된 파일커플러를 도 4 B 예시의 절단라인(s0)을 따라 절단한 후의 절단된 어느 한 쪽의 면을 보인 것이 도 5 A이고, 양 쪽을 보인 것이 도 5 B이다.FIG. 5A shows one side cut after cutting the fastened file coupler along the cutting line s0 in FIG. 4B, and FIG. 5B shows both sides.
하부파일(10); 상부파일(15);
파일커플러(200); 제1 파일커플러(200a); 제2 파일커플러(200b);
반원판부(210); 상부반원판부(211); 하부반원판부(212);
체결평판(220); 체결홈(221); 체결수단(b1);
압착돌기(240);
지지평판(250);A lower file (10); An
A
A
A
A
A
Claims (2)
상기 파일커플러는, 횡단면이 반원 형상인 반원판부와; 상기 반원판부의 외측방향으로 각각 돌출 형성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체결홈이 형성되어 있는 체결평판으로; 구성되어 한 쌍 구비되고,
상기 반원판부는, 일정 길이로 형성된 상부반원판부와; 상기 상부반원판부로부터 길이 방향 아래로 연장되며, 일정 길이로 형성되는 하부반원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부반원판부와 하부반원판부에는,
파일커플러를 체결했을 때 파일의 외주면을 압착하여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압착돌기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압착돌기는 상부반원판부와 하부반원판부의 벽의 반원 형상을 따라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부로 형성되며,
상기 파일커플러는 한 쌍이 구비되어 각 체결평판에 형성된 체결홈을 통해 체결수단을 체결하여 서로 결합시켜 파일을 연결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커플러.A file coupler for connecting an upper file and a lower file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Wherein the pile coupler comprises: a semicircular plate portion having a semicircular cross section; A fastening plate protruding from the semicircular plate in the outer direction and having a plurality of fastening grooves formed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Respectively,
Wherein the semicircular plate portion comprises: an upper semicircular plate portion formed with a predetermined length; A lower semicircular plate portion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upper semicircular plate portion and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 / RTI >
The upper semicircular plate portion and the lower semicircular plate portion are provided,
The compression protrusions are formed as protrusions protruding inwardly along the semicircular shape of the upper semicircular plate portion and the lower semicircular plate por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coupling force when the outer surface of the file is compressed when the file coupler is fastened, ,
Wherein the pair of pile couplers are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a fastening groove formed in each fastening plate, and fasten the fastening means to each other to connect the piles.
상하 수직으로 일렬 배치된 상부파일과 하부파일을 일체로 결합하는 파일 체결방법.Using the file coupler of claim 1,
A file fastening method for integrally joining an upper file and a lower file arranged in a line up and down vertically.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16706A KR20170021267A (en) | 2017-02-07 | 2017-02-07 | Pile coupler |
KR1020170162346A KR101898853B1 (en) | 2017-02-07 | 2017-11-30 | Pile coupl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16706A KR20170021267A (en) | 2017-02-07 | 2017-02-07 | Pile coupl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21267A true KR20170021267A (en) | 2017-02-27 |
Family
ID=5831575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16706A KR20170021267A (en) | 2017-02-07 | 2017-02-07 | Pile coupler |
KR1020170162346A KR101898853B1 (en) | 2017-02-07 | 2017-11-30 | Pile coupler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62346A KR101898853B1 (en) | 2017-02-07 | 2017-11-30 | Pile coupl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2) | KR20170021267A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45009A (en) * | 2017-10-23 | 2019-05-02 | 주식회사 신화 | Pile coupler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03485B1 (en) * | 2019-08-14 | 2020-04-22 | 김성식 | Temporary soundproof wall, temporary fenc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KR102237551B1 (en) * | 2020-08-14 | 2021-04-07 | 주식회사 양일테크 | Support structure of solar power generation apparatus |
KR102329161B1 (en) * | 2020-09-23 | 2021-11-22 | 주식회사 거원 | Support structure for road signs that can be adjusted in height |
KR102491817B1 (en) * | 2020-11-16 | 2023-01-26 | 주식회사 태림 | The extended connection device for a fence post |
KR102485370B1 (en) * | 2020-12-09 | 2023-01-06 | 대진휀스(주) | Fence for fly ball preventing |
KR102481775B1 (en) | 2021-10-22 | 2022-12-26 | 홍찬윤 | Steel bar coupler and coupling method thereof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39535B1 (en) | 2006-03-09 | 2007-07-16 | 금창준 | Structure foundation using pile |
KR101563159B1 (en) | 2015-01-13 | 2015-10-26 | 주식회사 신화 | Pile coupler |
-
2017
- 2017-02-07 KR KR1020170016706A patent/KR20170021267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7-11-30 KR KR1020170162346A patent/KR101898853B1/en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45009A (en) * | 2017-10-23 | 2019-05-02 | 주식회사 신화 | Pile coupl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98853B1 (en) | 2018-09-13 |
KR20180091693A (en) | 2018-08-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98853B1 (en) | Pile coupler | |
US11578492B2 (en) | Concrete anchor | |
US5133164A (en) | Pole anchoring system | |
KR101563159B1 (en) | Pile coupler | |
KR100835777B1 (en) | Joint apparatus of concrete pile and steel pipe pile | |
US20160362863A1 (en) | Stabilizer Anchor Assembly For Manufactured Buildings | |
KR101418978B1 (en) | Structure of pile coupling | |
KR101510158B1 (en) | Scaffolding system with a curve type extended length structure | |
US12037761B2 (en) | Strut connector | |
CN104947940A (en) | Apparatus for connecting deformed bar | |
JP2006070472A (en) | Slope stabilizing device | |
KR101773434B1 (en) | Coupling device for concrete and steel File | |
KR20170139186A (en) | Connecting structure between column and footing structure | |
KR101577727B1 (en) | PHC pile joint and jointing method using the same | |
KR20200092577A (en) | Steel pipes for lifting settlement structur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
KR101748129B1 (en) | Support structure of Scaffolding pillar | |
KR101994467B1 (en) | Connecting apparatus for concrete pole | |
KR101861920B1 (en) | Pile connector | |
KR102172885B1 (en) | Connecting apparatus for concrete pole | |
KR101502772B1 (en) | Connector Between Struts | |
KR102062152B1 (en) | One-touch Coupler for Connecting Reinforcing Rods | |
AU2006203541B2 (en) | Composite steel joist & concrete construction system | |
JP4038803B2 (en) | Overhang sidewalk structure | |
KR20120131618A (en) | Pile head reinforcement structure | |
AU2003208187B2 (en) | Connector assembl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