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1076A -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lant clutivation - Google Patents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lant clutiv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1076A
KR20170021076A KR1020150115426A KR20150115426A KR20170021076A KR 20170021076 A KR20170021076 A KR 20170021076A KR 1020150115426 A KR1020150115426 A KR 1020150115426A KR 20150115426 A KR20150115426 A KR 20150115426A KR 20170021076 A KR20170021076 A KR 201700210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t
pipe
water
water tank
plan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54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하유신
김준년
김상민
김길민
정경훈
박승욱
반길환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15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21076A/en
Publication of KR20170021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107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01G31/06Hydroponic culture on racks or in stacked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4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 A01G7/045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with electric ligh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otan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Provided are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comprises: a water tank; a flooding pipe which has a circular or polygonal cylinder shape with the perforated inside, of which one side is connected with the water tank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with a water storage box including a spray nozzle of spraying water, and which transfers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through an underwater pump; and a plant pipe formed in a pillar shape with the perforated insid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tank and having at least one cultivation hole in which plants can grow on sid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lants can be cultivated in the minimum indoor space.

Description

식물재배장치 및 식물재배장치의 제어방법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LANT CLUTIVATION}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for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식물재배장치 및 식물재배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최소한의 공간을 사용하는 식물재배장치 및 식물재배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using a minimum space and a control method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식물공장이란 “채소나 묘를 중심으로 하는 작물을 통제된 일정한 시설 내에서 빛,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 농도 및 배양액 등의 환경조건을 인공적으로 제어하여 계절이나 장소에 관계없이 자동적으로 연속 생산하는 시스템을 말한다.Plant plant "is a system that automatically controls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such as light, temperature, humidity,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and culture liquid in a controlled facility to automatically produce crops and seedlings, regardless of season or place .

식물공장이 갖추어야 할 요소로는 시설 및 건조물, 조명 장치, 공기조화 장치, 가스조절 장치, 수경재배 시스템, 이송 장치, 자동화 설비 등이 있으며, 이들 각 요소는 개별적으로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다.Factors that the plant should have include facilities and buildings, lighting systems, air conditioning systems, gas control systems, hydroponic cultivation systems, transport systems, and automation systems. These elements are being researched and developed individually.

근래에 제안되는 식물공장들은 광원으로 작용할 수 있는 LED 조명등을 설치하고 다수의 화분을 수납할 수 있는 물통을 다층구조로 설치한 후, 펌프에서 각 물통에 이르도록 연장되어 있는 다수의 배관파이프에 의해 물이 공급되는 구성을 제공한다. Recently, proposed plant factories have installed a LED lighting lamp which can act as a light source, installed a water tank capable of storing a large number of flower pots in a multi-layer structure, and then a plurality of pipe pipes extending from the pump to each water tank Provides a configuration in which water is supplied.

이와 같이 협소한 공간에서 많은 식물을 재배할 수 있도록 다단구조로 이루어진 식물공장들은, 다단구조로 이루어진 각 층에 빛을 고르게 공급할 뿐만 아니라, 물을 적절히 공급하기 위한 다수의 배관파이프를 설치해야 한다.In order to cultivate a large number of plants in such a narrow space, the multi-stage plant factories are required not only to uniformly supply light to each multi-layered structure but also to install a plurality of piping pipes for supplying water properly.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식물공장은 양 측부에서만 지지구조물에 연결되어 있는 물통에 길이 방향으로 다수의 화분을 설치하여야 하므로, 다수의 화분을 설치하고 물을 흘릴 경우 중력에 의해 물통이 휘어지거나 결합부위가 손상되는 등 내구성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such a conventional plant plant requires a large number of flower pots to be installed in the water pot connected to the support structure on both sides on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n a large number of flower pots are installed and the water is flowed, There is a problem that durability such as damage is reduced.

특히, 이러한 종래의 식물공장은 식물의 생장을 위해 뿌리를 보호하면서도 수분을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도록 화분에 소량의 흙을 담고 그 흙에 모종을 심도록 구성되지만, 이 경우 흙의 무게로 인해 물통에 가해지는 중력이 증가하게 되어 식물 재배 장치의 내구성 약화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Particularly, such a conventional plant plant is constructed so that a small amount of soil is contained in a pot and the seedlings are planted in the soil so that the root can be easily absorbed while protecting roots for plant growth. In this case, The gravity applied to the plant growing apparatus is increased and the durability of the plant growing apparatus is weakened.

한편, 최근에는 예상치 못한 기후변화나 계절 또는 병충해에 크게 구애받지 않을 수 있는 건물 내부에 다수의 식물공장을 설치하고 이러한 식물공장들에서 식물을 대량으로 재배하고 이를 판매할 수 있도록, 토지가 아닌 건물 내부에서 식물을 생산할 수 있게 한 식물공장이 농업 기술의 새로운 분야로서 대두되 있으며, 한정된 공간에서 식물을 재배할 수 있다는 장점을 살려 실내조경 시스템으로도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Meanwhile, in recent years, a number of plant factories have been installed inside a building which may not be subject to unexpected climate change or seasonal or pest insufficiency, and in order to massively grow and sell plants in such plant factories, Plant factories that can produce plants from the inside are emerging as new fields of agricultural technology and research is being conducted as an indoor landscape system by taking advantage of the ability to grow plants in a limited space.

본 발명의 일측면은 한정된 공간에 보다 많은 식물을 재배할 수 있도록 파이프 측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재배구멍 및 식물이 흡수하지 못한 물을 물탱크로 가이드 할 수 있는 배수구멍이 형성된 식물파이프를 포함하는 식물재배장치를 제공한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lant including a plant pipe in which a plurality of cultivation holes formed on the side of the pipe and a drainage hole capable of guiding the water not absorbed by the plant to the water tank are formed so that more plants can be cultivated in a limited space Thereby providing a cultivation apparatus.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사용자가 원격으로 식물을 재배할 수 있도록 이동 단말을 이용하여 식물재배장치를 제어하는 식물재배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trol method of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that controls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using a mobile terminal so that a user can remotely plant the plan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장치는 물탱크, 내부가 관통된 기둥의 형상을 가지며, 일측은 상기 물탱크와 연결되며, 타측은 물을 분사시키는 수조와 연결되며, 상기 물탱크 내부에 마련된 수중펌프를 통하여 전달되는 물을 이동시키는 관수파이프, 상기 물탱크 상면에 내부가 관통된 기둥형태로 형성되며, 측면에 식물이 자랄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재배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식물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ter tank having a shape of a column through which the inside thereof penetrates, one side connected to the water tank, the other side connected to a water tank for spraying water, And a plant pipe which is formed in the form of a column penetrating the in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tank and at least one cultivation hole is formed at a side surface of the water pipe for moving the water conveyed through the provided underwater pump .

상기 관수파이프 측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조명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 lighting member formed spirally along the side of the water pipe.

상기 조명부재로부터 나오는 빛이 상기 식물파이프의 모든 면에 모두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식물파이프의 수직중앙을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식물파이프를 회전시키는 회전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nd a rotating member for rotating the plant pipe with the vertical center of the plant pipe as a rotation axis so that light emitted from the lighting member can be transmitted to all the surfaces of the plant pipe.

상기 식물파이프는 단수 또는 복수 개 형성되며, 상기 식물파이프가 복수 개 형성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식물파이프는 상기 관수파이프를 기준으로 하여 주변에 형성되며, 상기 관수파이프와 떨어진 거리는 식물파이프 별로 상이하거나 동일한 것일 수 있다. When a plurality of plant pipes are formed, the plurality of plant pipes are formed in the periphery with respect to the water pipe, and distances from the water pipe are different for each plant pipe It may be the same.

상기 식물파이프는, 상기 물탱크와 연결되는 면에 적어도 하나의 배수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The plant pipe may include at least one drain hole on a surface connected to the water tank.

상기 식물파이프는, 상기 식물파이프의 내부에 높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물탱크로부터 전달받은 물을 상기 식물파이프의 측벽으로 분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분사구가 형성된 분사관을 포함할 수 있다.The plant pipe may include a spray pipe formed inside the plant pipe in a height direction and having at least one injection port for spraying the water delivered from the water tank to the side wall of the plant pipe.

상기 식물파이프는 적어도 하나의 파이프단으로 분리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이프단은 각각 탈부착이 가능한 것일 수 있다.The plant pipe may be separated into at least one pipe end, and the at least one pipe end may be detachab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장치의 제어방법은 이동 단말로부터 사용자가 입력한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수신된 제어신호에 따라 조명 및 급수를 제어할 수 있다.A control method of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ceive a control signal input by a user from a mobile terminal and control illumination and water supply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식물재배장치는 식물파이프 측면에 형성된 재배구멍에서 식물이 재배됨으로써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탱크가 연결되는 부분에 구멍을 통해 식물파이프로부터 나오는 물이 물탱크로 회수될 수 있어 식물재배에 사용되는 물을 절약할 수 있고, 또한 많은 물이 필요하지 않아 물탱크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iciently utilize the space by cultivating the plant in the cultivation hole formed on the side of the plant pipe and the water coming out from the plant pipe through the hole in the part where the tank is connected is collected into the water tank It is possible to save water used for plant cultivation, and also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size of the water tank by not needing much water.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사용자가 원격으로 식물재배장치를 제어할 수 있게 하여, 식물재배장치와 멀리 떨어진 곳에서도 식물을 관리 할 수 있다.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user to remotely control the plant cultivation device, thereby allowing the plant to be managed remotely from the plant cultivation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식물재배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식물파이프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식물파이프를 보여주는 투시도이다.
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흐름방해장치를 포함한 식물파이프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a, 3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물탱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관수파이프 및 수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식물재배장치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명제어의 개념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lant pi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lant pi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C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lant pipe including a flow obstru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and 3B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water t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rrigation pipe and a water t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onceptual diagram of lighting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refers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by way of illustration, specific embodiments in which the invention may be practiced. Thes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sufficient detail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but need not be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certain featur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n connection with an embodiment.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position or arrangement of the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disclosed embodiment may be var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s, therefore, not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limit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along with the full scope of equivalents to which such claims are entitled, if properly explained. In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throughout the several view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식물재배장치(1)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식물재배장치(1)는 식물파이프(100), 물탱크(200), 관수파이프(300) 및 수조(400)를 포함할 수 있다.1,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may include a plant pipe 100, a water tank 200, an irrigation pipe 300, and a water tank 400.

식물파이프(100)는 다양한 모양의 파이프를 통하여 식물을 재배할 수 있다. 식물이 재배되는 공간은 파이프 측면을 이용하는 것이며 이로 인해, 제한된 공간에서 효율적인 식물재배를 할 수 있다. 한편, 식물파이프(100)는 물탱크(20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물탱크(200)와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식물파이프(100)는 물탱크(200) 상부에 단수 또는 복수개를 설치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식물파이프(100)가 설치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식물파이프(100)는 상기 관수파이프(300)를 기준으로 하여 주변에 형성되며, 상기 관수파이프와 떨어진 거리가 식물파이프(100) 별로 상이하거나 동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plant pipe 100 can grow plants through pipes of various shapes. The space in which the plant is grown uses the side of the pipe, which allows efficient plant cultivation in a limited space. On the other hand, the plant pipe 100 may be located above the water tank 200, and may be installed apart from the water tank 200 as occasion demands. In this case, the plant pipe 100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water tank 200, and when a plurality of plant pipes 100 are installed, the plurality of plant pipes 100 are connected to the water pipe 200,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water pipe and the water pipe may be different or equal to each other.

물탱크(200)는 식물파이프(100)에 공급할 물을 저장할 수 있다. 물탱크(200)는 관수파이프(200)로 물을 전달하기 위한 수중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The water tank 200 can store water to be supplied to the plant pipe 100. The water tank 200 may include an underwater pump for delivering water to the irrigation pipe 200.

관수파이프(300)는 물탱크(200)와 수조(400)을 이어주어 물탱크(200)에서 수조(400)로 물이 이동할 수 있는 길을 제공할 수 있다. 관수파이프(300)는 식물파이프(100)로 광을 제공할 LED(301)를 포함할 수 있으며, 모든 식물파이프(100)에게 광을 공급하기 좋은 위치인 물탱크(200)의 상부 중앙에 설치될 수 있으며, 높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water pipe 300 may connect the water tank 200 and the water tank 400 to provide a path through which the water can move from the water tank 200 to the water tank 400. The irrigation pipe 300 may include an LED 301 to provide light to the plant pipe 100 and may be installed at the upper center of the water tank 200, And may be formed in the height direction.

수조(400)는 식물파이프(100)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저장장소로, 관수파이프(300) 상단에 위치할 수 있으며, 식물파이프(100)에 관 또는 호스를 이용하여 물을 공급할 수 있다.The water tank 400 is a storage place for supplying water to the plant pipe 100 and may be located at the top of the water pipe 300 and may supply water to the plant pipe 100 using a pipe or a hose.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식물파이프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식물파이프를 보여주는 투시도이며, 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흐름방해장치를 포함한 식물파이프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FIG. 2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lant pi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lant pi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C is a perspective view of a plant including a flow- It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ipe.

도 2a를 참조하면, 식물파이프(100)는 식물파이프 프레임(101), 식물파이프 지지대(102), 식물파이프 배수구(103) 및 식물파이프 회전 부재(104)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A, a plant pipe 100 may include a plant pipe frame 101, a plant pipe support 102, a plant pipe drain 103, and a plant pipe rotating member 104. As shown in FIG.

식물파이프 프레임(101)은 속이 비어있는 수직 원통형 파이프일 수 있으며, 식물이 자랄 수 있도록 외벽에 일정한 간격으로 재배구멍(108)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식물파이프 프레임(101)의 비어있는 내부는 자갈, 모래, 돌 또는 식물이 자랄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주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식물파이프 프레임(101)은 복수개의 파이프단의 결합된 형태일 수 있으며, 각각의 파이프 단은 부착 또는 탈착 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식물파이프(101)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식물파이프 프레임(101)은 일정한 규격과 일정한 높이를 가진 일체형 식물파이프 프레임(101)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plant pipe frame 101 may be a hollow vertical cylindrical pipe, and the planting hole 108 may b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outer wall so that the plant can grow. At this time, the empty interior of the plant pipe frame 101 may include gravel, sand, stone, or a material that provides an environment in which the plant can grow. The plant pipe frame 101 may be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pipe ends, and each pipe end can be attached or detached, and the height of the plant pipe 101 can be adjusted by using the same. In another embodiment, the plant pipe frame 101 may be formed as an integral plant pipe frame 101 having a constant size and a constant height.

한편, 식물파이프 프레임(101)의 하단은 식물 파이프 프레임(101)내부에 넣은 내용물이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망 또는 판으로 막혀있을 수 있다. 이때의 조밀한 망 또는 구멍은 식물파이프 프레임(101)의 내부에 포함되어 있는 물질이 식물파이프 프레임(100) 밖으로 배출되지 않는 정도의 조밀함 정도 또는 구멍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형성 되어있는 공간을 통하여 식물이 흡수하지 못한 공급된 물이 배수될 수 있다. 물이 배수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위치는 각 식물파이프 프레임(101)의 하단부가 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lower end of the plant pipe frame 101 may be clogged with a net or a plate to prevent the contents contained in the plant pipe frame 101 from being poured. At this time, the dense mesh or hole may have a degree of denseness or hole size such that the substance contained in the plant pipe frame 101 is not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plant pipe frame 100, Supplied water that is not absorbed by plants can be drained. The position where the water draining space is formed can be the lower end of each plant pipe frame 101.

식물파이프 지지대(102)는 식물파이프 프레임(101)을 지지해줄 수 있다. 식물파이프 지지대(102)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대로 구성되어 있으며, 식물파이프 프레임(101)의 외벽에 식물 구멍을 가리지 않는 위치에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식물파이프 지지대(102)는 식물파이프 프레임(101)의 파이프단의 길이에 맞추어 복수개로 분리될 수 있으며, 각각의 식물파이프 지지대(102)는 복수개의 식물파이프지지대(102)를 결합하여 길이 조절을 할 수 있다. The plant pipe support 102 can support the plant pipe frame 101. The plant pipe support 102 is composed of at least one support, and may be attached to an outer wall of the plant pipe frame 101 at a position not covering the plant hole. The plant pipe supports 102 can be separated into a plurality of lengths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pipe ends of the plant pipe frame 101. Each plant pipe support 102 can be combined with a plurality of plant pipe supports 102 to adjust the length can do.

식물파이프 지지대(102)는 식물파이프 프레임(101)과 일부가 결합되어 있는 일체형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물파이프 프레임(101)은 식물파이프 프레임(101)의 측벽에 형성된 식물파이프 지지대(102) 고정 홈에 식물파이프 지지대(102)를 고정시키는 것으로 식물파이프 프레임(101)과 결합할 수 있다. The plant pipe support 102 may be integral with a part of the plant pipe frame 101. The plant pipe frame 10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s configured to fix the plant pipe support 102 to the plant pipe support 102 fixing groove formed on the side wall of the plant pipe frame 101, .

식물파이프 배수구(103)는 급수 시스템에 의해 공급되었던 물이 흡수되지 않고 남은 경우, 남은 물을 물탱크로 보낼 수 있다. 식물파이프 배수구(103)는 식물파이프 프레임(101)의 지름크기의 구멍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식물파이프 배수구(103)는 흡수되지 않은 물을 모으기 쉬운 구조를 가진 물 수집용기를 포함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물 수집용기는 가운데 부분 또는 바깥 부분으로 경사가 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가장 낮은 용기바닥은 물을 배출할 수 있는 배수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The plant pipe drain 103 can send the remaining water to the water tank if the water supplied by the water supply system remains unabsorbed. The plant pipe drain port (103) may have a diameter-sized hole of the plant pipe frame (101). In another embodiment, the plant pipe drain 103 may include a water collection vessel having a structure that facilitates collecting unabsorbed water. More specifically, the water collecting container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to the center portion or the outer portion, and the lowest container bottom may be formed with a drain hole through which water can be discharged.

식물파이프 회전 부재(104)는 식물파이프(100)와 물탱크(200)가 접합되는 부분에 형성되어, 식물파이프(100)의 측벽에서 재배되는 식물이 중앙의 관수파이프(300)에 설치된 LED(301)의 빛을 전 방향에서 받을 수 있도록 식물파이프를 회전시킬 수 있다. 식물파이프 회전 부재(104)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포함된 모터를 이용하여 동력을 전달받아 식물파이프(1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The plant pipe rotating member 104 is formed at a portion where the plant pipe 100 and the water tank 200 are joined so that the plant cultivated on the side wall of the plant pipe 100 is connected to the LED 301) can be rotated in all directions. The plant pipe rotating member 104 may include a motor, and may receive the power using the motor included therein to rotate the plant pipe 100.

식물파이프(100)는 식물파이프(100)에서 재배되는 식물에게 효율적으로 물을 공급해 주기 위한 급수 장치를 설치할 수 있으며, 도 2b 및 도 2c는 급수 장치의 일 실시예를 제공한다. The plant pipe 100 may be provided with a water supply device for efficiently supplying water to the plants cultivated in the plant pipe 100, and FIGS. 2B and 2C provide an embodiment of the water supply device.

도 2b를 참조하면, 식물파이프(100)는 식물파이프 중앙에 위치하며 식물파이프 프레임(101)의 측벽을 향하여 공급받은 물을 분사하는 분사관(105)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분사관(105)은 수조(400)로부터 관 또는 호스를 통하여 분사관(105)의 상단으로 물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분사관(105)은 공급받은 물을 식물파이프의 내벽을 향하여 분사하기 위한 복수개의 분사구(107)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B, the plant pipe 100 may include a spray pipe 105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plant pipe and spraying the supplied water toward the side wall of the plant pipe frame 101. At this time, the spray tube 105 can receive water from the water tank 400 through the tube or hose to the top of the spray tube 105. The jetting pipe 105 may include a plurality of jetting ports 107 for jetting the supplied water toward the inner wall of the plant pipe.

도 2c를 참조하면, 식물파이프(100)는 식물파이프 프레임(101)의 상단에 형성되는 흐름방해장치(106)(106`)를 포함할 수 있다. 흐름방해장치(106) (106`)는 수조(400)로부터 연결된 관 또는 호스로부터 물을 공급받을 때 관 또는 호스 바로 아래에 위치하여 공급된 물의 길을 방해하여 식물파이프(100)내부에 고르게 뿌려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흐름방해장치(106) (106`)은 뒤집어 놓은 반구형, 원뿔형, 삼각뿔형, 사각뿔형 등이 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C, the plant pipe 100 may include a flow obstruction device 106 (106 ')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plant pipe frame 101. When the water is supplied from the pipe or the hose connected from the water tank 400, the flow obstructing devices 106 and 106 'are positioned directly below the pipe or hose so that the flow obstructing devices 106 and 106' are scattered evenly inside the plant pipe 100 . At this time, the flow disturbing apparatuses 106 and 106 'may be an inverted hemisphere, a cone, a triangular-pyramid, a quadrangular-pyramid, or the like.

도 3a, 3b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물탱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3A and 3B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water t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식물파이프(100)의 하부에 접합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물탱크(200)는 식물파이프(100)에 공급하기 위한 물을 저장할 수 있다. 물탱크(200)는 물탱크(200) 내부의 수중 펌프를 이용하여 관수파이프(300)를 통하여 식물파이프(100)와 관 또는 호스로 연결된 수조(400)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물탱크(200)는 도 3a 또는 도3b의 경우처럼 정육면체의 형태를 가질 수 있지만 그 형태 및 모양이 정해져 있는 것은 아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원기둥형, 오각기둥형, 별기둥형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물탱크(200)가 물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물의 충원이 필요하며, 식물파이프(100)에서 사용된 물의 회수 및 새로운 물의 공급을 통해 물의 충원할 수 있다. The water tank 200 disposed at a position to be joined to the lower part of the plant pipe 100 may store water to be supplied to the plant pipe 100. The water tank 200 can supply water to the water tub 400 connected to the plant pipe 100 through a pipe or hose through an irrigation pipe 300 by using an underwater pump inside the water tank 200. The water tank 200 may have the shape of a cube as in the case of FIG. 3A or 3B, but the shape and shape thereof are not fixed. In some cases, it may have various shapes such as a cylindrical shape, a pentagonal prism shape, and a star prism shape. In order for the water tank 200 to supply water, it is necessary to replenish the water, and the water can be replenished through the recovery of the water used in the plant pipe 100 and the supply of new water.

더 자세하게는, 물탱크(200)는 식물파이프(100)에서 재배하고 있는 식물에게 흡수되지 못하고 흘러나온 물을 배수 구멍을 이용하여 물탱크(200)로 회수할 수 있다. 식물파이프(100)에서 흘러나온 물을 모으는 방법은 도 3a 또는 도 3b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물탱크(200)는 식물파이프(100)와 접하는 부위에 식물파이프(100)에 형성되어 있는 배수 구멍과 동일한 크기기의 회수 구멍(201)을 형성할 수 있다. 식물파이프(100)의 하단으로부터 흘러나온 물은 다른 곳으로 새지 않고 식물파이프(100)의 배수구멍과 연결되어 있는 물탱크(200)의 회수 구멍(201)으로 모일 수 있다. 이때, 배수 구멍과 회수 구멍(201)은 관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물탱크(200)는 중앙으로 갈수록 경사가 낮아지며, 가장 낮은 지점에 회수 구멍(201)이 뚫린 물탱크(200)의 상부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식물파이프(100)의 배수 구멍으로부터 흘러나온 물은 물탱크(200)의 상단으로 떨어지고, 떨어진 물은 물탱크(200)의 상부면 경사에 따라 회수 구멍(201)으로 흘러 들어갈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water tank 200 can not be absorbed by the plants cultivated in the plant pipe 100, and the flowing water can be recovered to the water tank 200 using a drainage hole. A method of collecting the water flowing out from the plant pipe 100 can be confirmed through FIG. 3A or FIG. 3B. 3A, a water tank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recovery hole 201 having the same size as the drain hole formed in the plant pipe 100 at a portion contacting the plant pipe 100 . The water flow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plant pipe 100 can be collected in the recovery hole 201 of the water tank 200 connected to the drain hole of the plant pipe 100 without leaking to another place. At this time, the drain hole and the recovery hole 201 can be connected by a pipe. Referring to FIG. 3B, the water tank 2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may include an upper surface of the water tank 200 having a lower inclination toward the center and a recovery hole 201 at the lowest point. At this time, the water flowing out of the drain hole of the plant pipe 100 falls to the upper end of the water tank 200, and the dropped water can flow into the recovery hole 201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tank 200.

한편, 물탱크(200)는 식물파이프(100)에서 흘러나온 물의 양으로 충분하지 않을 때에는 외부로부터 새로운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amount of water flowing from the plant pipe 100 is not sufficient, the water tank 200 can receive fresh water from the outsid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수파이프 및 수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rrigation pipe and a water t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관수파이프(300)는 내부가 관통된 원통형 또는 정다각 기둥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일측은 물탱크(200)와 관통하여 연결되고, 타측은 수조(4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관수파이프(300)가 물탱크(200)에서 수중펌프를 통하여 공급한 물을 관수파이프(300)상단에 연결되어 있는 수조(400)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관수파이프(300)는 물탱크(200) 상부면의 중앙에 높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의 관수파이프(300)는 물탱크(200) 상부면의 수직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기울어진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관수파이프(300)는 물탱크(200)내부에 설치된 수중펌프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수파이프(300)는 물탱크(200) 내부에 고정프레임을 이용하여 쓰러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것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water pipe 300 may have a cylindrical or regular polygonal column shape with an inside thereof penetrating, one side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water tank 200 and the other side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water tank 400 have. Such a structure allows th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pipe 300 through the water pump in the water tank 200 to the water tank 400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water pipe 300. The water pipe 300 may be formed in a height direction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tank 200. The water pipe 300 at this time may be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tank 200, and may be formed in an inclined state in some cases. The water pipe 300 may be connected to an underwater pump installed inside the water tank 200. An irrigation pipe 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ixed inside the water tank 200 so as not to collapse using a fixed frame.

한편, 관수파이프(300)는 식물파이프(100)에 광을 제공할 LED(301)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한 LED는 관수파이프(300)에 나선형으로 감겨있는 구조로 설치되었으나, 이 구조로 국한되어 LED(301)를 설치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수파이프(300)는 관수파이프(300) 모든 둘레에 LED(301)가 설치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일정한 패턴 모양으로 LED(301)가 설치될 수 있다.Meanwhile, the irrigation pipe 300 may include an LED 301 to provide light to the plant pipe 100. The L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s installed in a spirally wound structure on the irrigation pipe 300, but the LED 301 is not installed in the structure. The irrigation pipe 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may have the LED 301 installed around the irrigation pipe 300, and the LED 301 may be installed in a predetermined pattern.

수조(400)는 관수파이프(300)의 상단과 접합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관수파이프(300)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수조(400)는 관 또는 호스를 이용하여 식물파이프(100)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수조(400)는 수조의 측면에 관을 뚫어 식물파이프(100)까지 연결하여 물을 공급하는 수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관에는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수조(400)는 일정량의 물이 수조에 차면 마개가 열리는 구조의 관을 식물파이프(100)까지 연결하여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수조(400)는 관수파이프(300)로부터 물을 공급받을 때 심미성을 위하여 우산분수 형태로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The water tank 400 may be formed by joining to the upper end of the water pipe 300 and temporarily store th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pipe 300. The water tank 400 can supply water to the plant pipe 100 using a pipe or a hose. More specifically, the water tank 400 can form a channel for supplying water by connecting a pipe to the plant pipe 100 by piercing the pipe on the side of the water tank. At this time, the pipe may be provided with a valve capable of controlling the amount of water to be supplied. In another embodiment, the water tank 400 can supply water by connecting a pipe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cap is opened to a plant pipe 100 when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is filled in the water tank. The water tank 400 may receive water in the form of an umbrella fountain for aesthetics when water is supplied from the water pipe 300.

한편, 식물재배장치(1)는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급수와 조명을 무선으로 제어할 수 있다. 식물재배장치의 시스템의 제어방법의 일 실시예는 도 5를 통해 살펴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can wirelessly control water supply and illumination through a user terminal. One embodiment of a control method of a system of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can be seen from FIG.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장치 시스템은 식물재배 통신부(510), 식물재배 메모리부(520), 식물재배 조명제어수단(530), 식물재배 급수제어수단(540) 및 식물재배 제어부(55)을 포함할 수 있다. 5,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ant cultivation communication unit 510, a plant cultivation memory unit 520, a plant cultivation lighting control means 530, a plant cultivation water supply control means 540 And a plant growth control unit 55. [

식물재배 통신부(510)는 이동 단말로부터 제어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으며, 전달받은 제어신호를 식물재배 제어부(550)로 전달할 수 있다. 식물재배 통신부(510)이 이동 단말로부터 제어신호를 전달받는 것은, 무선 네트워크, 무선 인터넷, 근거리 통신망 등 다양한 통신 수단을 이용하는 것일 수 있다. 식물재배 통신부(510)가 전달받는 제어신호는 조명제어신호정보 및 급수제어신호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식물재배 통신부(510)는 식물재배 제어부(550)에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이동 단말로 전달할 수 있다. 식물재배 통신부(510)부가 이동 단말로 전달하는 정보는 현재 조명의 제어상태, 및 현재 급수의 제어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lant growing / communicating unit 510 can receive the control signal from the mobile terminal and can transmit the received control signal to the plant cultivation controller 550. The plant growing / communicating unit 510 may receive a control signal from the mobile terminal by using various communication means such as a wireless network, a wireless Internet, and a local area network. The control signal received by the plant growing / communicating unit 510 may include illumination control signal information and water supply control signal information. The plant cultivation / communication unit 510 can forward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lant cultivation control unit 550 to the mobile terminal. The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plant cultivation / communication unit 510 to the mobile terminal may include a current state of the illumination, and a control state of the current water supply.

식물재배 메모리부(520)는 식물재배 제어부(550)가 동작하기 위한 필요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식물재배 메모리부(520)는 식물재배 통신부(510)가 이동 단말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으며, 전원장비 조명제어수단(530) 및 식물재배 급수제어수단(540)으로부터 전달받은 현재 조명의 제어상태 및 현재 급수의 제어상태를 저장할 수 있다. The plant cultivation memory unit 520 may store programs necessary for the plant cultivation control unit 550 to operate. The plant cultivation and storage unit 520 may temporarily store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by the plant cultivation and communication unit 510. The plant cultivation and communication unit 510 may stor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ower source lighting control unit 530 and the plant cultivation feed control unit 540, And the control state of the current water supply.

식물재배 조명제어수단(530)은 LED 조명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동 단말을 통하여 입력된 후 통합 운영수단을 통하여 전송되는 조명제어신호나, 통합운영수단에서 식물의 재배기간에 따라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자동으로 생성되어 전송되는 조명제어신호에 해당 LED 조명의 조도와 광 노출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조명제어수단(530)은 다수의 식물공장에 구비된 다수의 LED 조명에 연결되어 일괄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재배되는 식물들의 특성에 따라 개별적인 조명제어가 가능하도록 각 식물공장마다 설치될 수 있다. The plant cultivation lighting control means 530 may include an illumination control sig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ED lighting unit and input through the mobile terminal and then transmitted through the integrated operating means, The illuminance of the LED illumination and the light exposure time can be adjusted to the illumination control signal automatically generated and transmitted. At this time, the lighting control means 530 may b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LED lights provided in a plurality of plant factories, and may be configured to be able to be controlled at one time. In some cases, It can be installed for each plant.

식물재배 급수제어수단(540)은 물탱크(200)에 구비되어 있는 수중 펌프를 통하여 식물파이프(100)로 공급하는 물의 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식물재배 급수제어수단(540)은 물의 부족을 감지할 수 있도록 물탱크(200)에 저장되어 있는 물의 양을 인식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물의 부족을 경보음을 알려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식물재배 급수제어수단(540)은 수조(400)와 식물파이프(100)를 연결하는 관이 구비하고 있는 밸브를 조절하여 식물파이프(100)에 공급하는 물의 양을 제어할 수 있다.The plant cultivating water supply control means 540 can control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o the plant pipe 100 through a submerged pump provided in the water tank 200. At this time, the plant cultivating water supply control means 540 may include a sensor capable of recognizing the amount of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200 so as to detect the lack of water, Can be informed. The plant cultivation feed control unit 540 controls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o the plant pipe 100 by adjusting the valve provided in the pipe connecting the water tub 400 and the plant pipe 100.

식물재배 제어부(550)는 식물재배장치 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식물재배 제어부(550)는 식물재배 조명제어수단(530) 및 식물재배 급수제어수단(540)에서 전달받은 현재 조명의 제어상태 및 현재 급수의 제어상태를 식물재배 메모리부(520)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메모리부(520)에 저장되어있는 정보를 식물재배 통신부(510)에서 이동 단말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에서부터 전달받은 제어신호를 식물재배 메모리부(520)에 저장하고 전달받은 제어신호에 따라 식물재배 조명제어수단(530) 및 식물재배 급수제어수단(540)를 제어할 수 있다. 식물재배 제어부(550)는 조명 제어부(551) 및 급수 제어부(552)를 포함할 수 있다.The plant cultivation control unit 550 can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system. The plant cultivation control unit 550 controls the plant cultivation memory unit 520 to store the control state of the current illumination and the control state of the current water supply received from the plant cultivation lighting control unit 530 and the plant cultivation feed control unit 540 And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unit 520 may be transmitted from the plant cultivation / communication unit 510 to the mobile terminal. In addition, the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may be stored in the plant cultivation memory unit 520, and the plant cultivation lighting control unit 530 and the plant cultivation feed control unit 540 may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received control signal. The plant growth control unit 550 may include an illumination control unit 551 and a water supply control unit 552.

조명 제어부(551)는 식물재배 조명제어수단(530)으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처리할 수 있으며, 이동 단말로부터 전달받은 제어신호를 처리하여 식물재배 조명제어수단(530)을 제어할 수 있다. 조명 제어부(551)가 식물재배 조명제어수단(530)을 제어하는 것은 각 식물파이프(100)가 회전하는 속도 또는 시간을 조절하는 것일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부(551)는 회전 부재(104)를 이용하여 회전 속도를 제어하여, 각 식물파이프(100)의 식물이 빛에 노출되는 시간을 제어하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부(551)는 회전부재(104)를 이용하여 정해진 시간에 정해진 각도를 회전하도록 제어하여 각 식물파이프(100)의 재배되는 식물이 빛에 노출되는 시간을 제어하는 것일 수 있다.The lighting control unit 551 can process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lant cultivation lighting control unit 530 and can control the plant cultivation lighting control unit 530 by processing the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The lighting control unit 551 may control the plant cultivation lighting control means 530 to adjust the speed or time at which each plant pipe 100 rotates. More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6, the lighting control unit 55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controls the rotational speed using the rotating member 104 to measure the time for which the plants of the plant pipe 100 are exposed to light It can be controlled. The illumination control unit 55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controls the rotation of the plant pipes 100 in a predetermined angle by controlling the rotation time of the plant being irradiated to the light by using the rotary member 104 have.

급수 제어부(552)는 식물재배 급수제어수단(54)으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처리할 수 있으며, 이동 단말로부터 전달받은 제어신호를 처리하여 식물재배 급수제어수단(530)을 제어하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급수제어수단(530)은 물탱크(200)에 설치된 수중펌프 및 수조(400)와 식물파이프(100)를 연결하는 관에 설치된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The water supply control unit 552 can process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lant cultivation feedwater control means 54 and process the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to generate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plant recharge water control means 530 have. The water supply control means 530 may include a submerged pump installed in the water tank 200 and a valve installed in the pipe connecting the water tank 400 and the plant pipe 100.

식물재배장치 시스템은 단수개 또는 복수개의 식물재배장치(1)를 동시에 관리할 수 있다.The plant cultivation equipment system can manage a single plant or a plurality of plant cultivation apparatuses 1 at the same time.

상술한 기술들은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거나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The techniques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in an application or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may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component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program command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니와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ones that ar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known and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 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recording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magneto-optical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 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machine language code such as those generated by a compiler, as well as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for performing the proces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possible.

1: 식물재배장치
100: 식물파이프
200: 물탱크
300: 관수파이프
400: 수조
1: plant cultivation equipment
100: plant pipe
200: Water tank
300: water pipe
400: aquarium

Claims (8)

내부에 수중 펌프를 구비하여, 외부로 물을 공급하는 물탱크;
내부가 관통된 기둥의 형상을 가지며, 일측은 상기 물탱크와 연결되며, 타측은 물을 분사시키는 수조와 연결되며, 상기 수중 펌프를 통하여 전달되는 물을 이동시키는 관수파이프;
상기 물탱크 상면에 내부가 관통된 기둥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수조와 연결된 관을 통하여 물을 공급받고, 측면에 식물이 자랄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재배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식물파이프를 포함하는 식물재배장치.
A water tank provided with an underwater pump therein for supplying water to the outside;
An irrigation pipe connected to the water tank for spraying water and having a shape of a column through which the water is sprayed, one end connected to the water tank,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a water tank for spraying water;
A plant pipe which is formed in the form of a column through which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penetrates and which receives water through a pipe connected to the water tank and has at least one cultivation hole formed on a side surface thereof,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수파이프 측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조명부재를 더 포함하는 식물재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lighting member formed in a spiral shape along a side surface of the water pip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재로부터 나오는 빛이 상기 식물파이프의 모든 면에 모두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식물파이프의 수직중앙을 회전축으로하여 상기 식물파이프를 회전시키는 회전 부재를 더 포함하는 식물재배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rotating member for rotating the plant pipe with the vertical center of the plant pipe as a rotation axis so that light emitted from the lighting member can be transmitted to all the surfaces of the plant pip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파이프는 단수 또는 복수 개 형성되며,
상기 식물파이프가 복수 개 형성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식물파이프는 상기 관수파이프를 기준으로 하여 주변에 형성되며, 상기 관수파이프와 떨어진 거리는 식물파이프 별로 상이하거나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lant pipes may be single or plural,
Wherein when the plurality of plant pipes are formed, the plurality of plant pipes are formed around the water pipe, and distances from the water pipe are different or identical for each plant pip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파이프는,
상기 물탱크와 연결되는 면에 적어도 하나의 배수구멍을 포함하는 식물재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ant pipe comprises:
And at least one drainage hole on a surface connected to the water tan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파이프는,
상기 식물파이프의 내부에 높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물탱크로부터 전달받은 물을 상기 식물파이프의 측벽으로 분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분사구가 형성된 분사관을 포함하는 식물재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ant pipe comprises:
And a spray pipe formed in the interior of the plant pipe in a height direction and having at least one injection port for spraying the water delivered from the water tank to the side wall of the plant pi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파이프는 적어도 하나의 파이프단으로 분리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이프단은 각각 탈부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ant pipe is separated into at least one pipe end,
Wherein the at least one pipe end is removably attachable to each other.
이동 단말로부터 사용자가 입력한 조명 제어신호 및 급수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수신된 조명 제어신호에 따라 조명의 밝기, 조명의 작동시간을 제어하고, 급수 제어신호에 따라 급수량 및 급수 시간을 제어하는 식물재배장치의 제어방법.
Receives a lighting control signal and a water supply control signal input by a user from a mobile terminal,
Controlling the brightness of the illumination and the operation time of the illumination according to the illumination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the water supply amount and the water supply time according to the water supply control signal.
KR1020150115426A 2015-08-17 2015-08-17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lant clutivation KR2017002107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5426A KR20170021076A (en) 2015-08-17 2015-08-17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lant clutiv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5426A KR20170021076A (en) 2015-08-17 2015-08-17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lant clutiv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1076A true KR20170021076A (en) 2017-02-27

Family

ID=58315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5426A KR20170021076A (en) 2015-08-17 2015-08-17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lant clutiv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21076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6686A (en) * 2020-09-16 2022-03-23 이호재 System for plant cultivation
CN114804369A (en) * 2022-05-24 2022-07-29 杭州钟意农产品有限公司 Emission-reducing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ecological pond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6686A (en) * 2020-09-16 2022-03-23 이호재 System for plant cultivation
CN114804369A (en) * 2022-05-24 2022-07-29 杭州钟意农产品有限公司 Emission-reducing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ecological pond
CN114804369B (en) * 2022-05-24 2024-02-27 杭州钟意农产品有限公司 Emission reduction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ecological pon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84890B2 (en) Apparatus for aeroponically growing and developing plants
US11206774B2 (en) Vertical hydroponic growing system and method
US11457578B2 (en) Grow system
US10757877B2 (en) Vertical growing system
US10477786B1 (en) Two-stage aeroponic growing system and method
US20130145690A1 (en) Horticultural apparatus and method
US8776432B2 (en) Integrated trellis machine
JP2015053904A (en) Hydroponic apparatus and hydroponic method
US20190297803A1 (en) Hydroponics system
US20170049062A1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root development
KR102079443B1 (en) Irrigation management appratus using pressure difference
KR101510463B1 (en) Multi layer flowerpot
KR20170021076A (en)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lant clutivation
EP3890472A1 (en) Vertical hydroponically plant-growing tower system
KR20150052529A (en) Auto water supply flowerpot
US20220354076A1 (en) Hydroponic cultivation system & lighting system
CN108834871A (en) A kind of Intelligent supplemental lighting spiral soilless cultivation Landscape Facilities
US20220330500A1 (en) Modular Hydroponics Gardening Apparatus
US7823325B2 (en) Water-saving watering and fertilizing device and method
CA3153098A1 (en) Technologies for aeroponics
JP2005110515A (en) Shelf type rooftop greening equipment
RU2784076C1 (en) Plant growing device
US20230065706A1 (en) Hydroponic vertical farming
US20210127607A1 (en) Drainable Aerating Hydroponics System
JP2018110542A (en) Automatic irrigation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