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0902A - Lte 비허가 대역 동작을 위해 송신 전력 제어 및 스케줄링을 사용하는 디바이스들 및 방법 - Google Patents

Lte 비허가 대역 동작을 위해 송신 전력 제어 및 스케줄링을 사용하는 디바이스들 및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0902A
KR20170020902A KR1020177001868A KR20177001868A KR20170020902A KR 20170020902 A KR20170020902 A KR 20170020902A KR 1020177001868 A KR1020177001868 A KR 1020177001868A KR 20177001868 A KR20177001868 A KR 20177001868A KR 20170020902 A KR20170020902 A KR 201700209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b
power level
interference power
feedback
u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1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2241B1 (ko
Inventor
정호 전
화닝 뉴
승희 한
환-준 권
Original Assignee
인텔 아이피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텔 아이피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인텔 아이피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70020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09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22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22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3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inter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45Interference val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4Separate analysis of uplink or downlink
    • H04W52/143Downlink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2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path lo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 transmission
    • H04W52/283Power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mobi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73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the resource being transmission power
    • H04W72/123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terminal or device proper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2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measured or perceived qu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14Spectrum sharing arrangements between different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6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transmission rate or quality of service QoS [Quality of Service]
    • H04W52/262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transmission rate or quality of service QoS [Quality of Service] taking into account 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AMC] sche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6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transmission rate or quality of service QoS [Quality of Service]
    • H04W52/267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transmission rate or quality of service QoS [Quality of Service] taking into account the information r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 transmission
    • H04W52/281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 transmission taking into account user or data type prio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4TPC management, i.e. sharing limited amount of power among users or channels or data types, e.g. cell loa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6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with a discrete range or set of values, e.g. step size, ramping or offsets
    • H04W52/367Power values between minimum and maximum limits, e.g. dynamic r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비허가 대역의 비허가 채널을 사용하는 eNB(enhanced NodeB), 사용자 장비(UE), 및 그 사이의 통신 방법들이 일반적으로 설명된다. eNB는 eNB에서 비허가 채널의 간섭 전력 레벨(IPL)을 측정하고, IPL에 기초하여 다운링크 송신을 위한 송신 전력 레벨(TPL)을 결정하며, TPL은 IPL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한다. UE에 의해 측정된 비허가 채널 조건들을 포함하는 피드백이 UE-eNB 근접성을 결정하기 위해 eNB에 의해 사용된다. eNB는 IPL 및 근접성에 기초하여 다운링크 송신을 UE에 송신할지를 결정하고; IPL이 증가함에 따라, eNB는, IPL이 미리 결정된 임계치를 초과할 때, eNB가 비허가 채널을 사용하여 임의의 UE를 서비스하지 않을 때까지 점점 더 근접한 UE들을 서비스한다. eNB는 송신 전력 레벨을 사용하여 다운링크 송신을 스케줄링하고 송신한다.

Description

LTE 비허가 대역 동작을 위해 송신 전력 제어 및 스케줄링을 사용하는 디바이스들 및 방법{DEVICES AND METHOD USING TRANSMIT POWER CONTROL AND SCHEDULING FOR LTE UNLICENSED BAND OPERATION}
우선권 주장
본 출원은 "TRANSMIT POWER CONTROL AND SCHEDULING FOR LTE IN UNLICENSED BANDS"란 명칭으로 2014년 8월 21일 출원되고, 그 전체가 참조에 의해 본원에 포함되는 미국 가특허 출원 제62/040,319호에 대한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한다.
기술분야
실시예들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들에 관한 것이다. 일부 실시예들은 비허가 대역들에서 롱 텀 에볼루션(LTE) 송신에 관한 것이다.
롱 텀 에볼루션(LTE) 네트워크들은 다수의 특정 주파수 대역들에서 동작하고, 광범위한 정보를 계속 증가하는 수 및 타입의 사용자 장비(UE)에 전달한다. 통상적으로, 상이한 통신 기술들의 사용은 연방 정부에 의해 규제된 허가 대역들에 제한된다. 그러나, 데이터 사용의 성장은 LTE 스펙트럼에서 대역폭의 가용성을 능가하고 있고, 그에 따라, 허가 대역들을 넘어 UE들 및 진화된 노드 B(evolved node B)(eNB)들에 의한 LTE 사용을 확대하는 소망을 초래하고 있다. 이것은, LTE 시스템들만이 LTE 대역들에서 합법적으로 동작할 수 있어서 통신의 타이밍 및 스케줄링이 타이트하게 제어될 수 있는 동안, LTE 시스템들이 비허가 스펙트럼에서 다른 시스템들과 공존하기 때문에, LTE 디바이스들이 비허가 대역들(LTE-비허가(LTE-U) 동작)을 사용할 때 추가의 복잡성을 발생시킬 수 있다. 특히, LTE 시스템들은 5GHz 비허가 국가 정보 기반 구조(U-NII) 대역들의 사용을 원할 수 있고, 여기서, IEEE 802.11a/n/ac 기술들을 사용하는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WLAN) 시스템들이 다양한 목적들을 위해 개인들 및 오퍼레이터들 양자에 의한 광범위한 사용을 즐기고 있다.
비허가 대역에서의 다중 타입의 통신 및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LTE-U/LTE-U UE들 및 WLAN-기반 통신/WLAN 스테이션들(STAs))의 공존으로 인해, 이종의 시스템들 사이의 간섭이 도입될 수 있다. 따라서, LTE-U 송신에 의해 초래된 WLAN 송신에 대한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 LTE-U 통신의 송신기 전력 및 스케줄링의 강화된 제어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일정한 비율로 반드시 도시되지 않는 도면들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들은 상이한 도면들에서 유사한 컴포넌트들을 설명할 수 있다. 상이한 문자 접미사들을 갖는 동일한 참조부호들은 유사한 컴포넌트들의 상이한 경우들을 나타낼 수 있다. 도면들은 본 문헌에서 논의하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한이 아닌 예로서 일반적으로 예시한다.
도 1은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의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갖는 LTE 네트워크의 단 대 단(end-to-end) 네트워크 아키텍처의 일부분의 예를 도시한다.
도 2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통신 디바이스의 기능 블록도를 예시한다.
도 3은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스케줄링 라운드 동안 동작하는 LTE eNB의 방법의 흐름도를 예시한다.
도 4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피드백 메커니즘을 예시한다.
아래의 설명 및 도면들은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특정한 실시예들을 실시할 수 있게 하기 위해 특정한 실시예들을 충분히 예시한다. 다른 실시예들이 구조적, 논리적, 전기적, 프로세스, 및 다른 변경들을 통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의 부분들 및 특징들이 다른 실시예들의 부분들 및 특징들에 포함될 수 있거나 다른 실시예들의 부분들 및 특징들로 대체될 수 있다. 청구항들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이들 청구항들의 모든 이용가능한 등가물들을 포함한다.
도 1은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의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갖는 롱 텀 에볼루션(LTE) 네트워크의 단 대 단(end-to-end) 네트워크 아키텍처의 일부분의 예를 도시한다. 네트워크(100)는 S1 인터페이스(115)를 통해 함께 결합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E-UTRAN(또는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101) 및 코어 네트워크(120)(예를 들어, EPC(evolved packet core)로서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편의 및 간결성 위해, RAN(101) 뿐만 아니라 코어 네트워크(120)의 일부만이 예에 도시되어 있다.
코어 네트워크(120)는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122), 서빙 게이트웨이(서빙 GW)(124), 및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PDN GW)(126)를 포함할 수 있다. RAN은 사용자 장비(UE)(102)와 통신하는 (기지국들로서 동작할 수 있는) 향상된 nodeB들(eNB들)(104)을 포함한다. eNB들(104)은 매크로 eNB들 및 저전력(LP) eNB들을 포함할 수 있다.
MME(122)는 레거시 서빙 GPRS 지원 노드들(Serving GPRS Support Nodes)(SGSN)의 제어 평면에 대해 기능에서 유사할 수 있다. MME는 게이트웨이 선택 및 트랙킹 영역 리스트 관리와 같은 액세스에서의 이동성 양태들을 관리할 수 있다. 서빙 GW(124)는 RAN(101)을 향한 인터페이스를 종료할 수 있으며, RAN(101)과 코어 네트워크(120) 사이에서 데이터 패킷들을 라우팅할 수 있다. 또한, 서빙 GW(124)는 인터-eNB 핸드오버들을 위한 로컬 이동성 앵커 포인트일 수 있고, 인터-3GPP 이동성을 위한 앵커를 또한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책임들이 합법적인 인터셉트, 과금, 및 일부 정책 시행을 포함할 수 있다. 서빙 GW(124) 및 MME(122)는 하나의 물리적 노드 또는 개별 물리적 노드들에서 구현될 수 있다. PDN GW(126)는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PDN)를 향한 SGi 인터페이스를 종료할 수 있다. PDN GW(126)는 EPC(120)와 외부 PDN 사이에서 데이터 패킷들을 라우팅할 수 있으며, 정책 시행 및 과금 데이터 수집을 위한 키 모드일 수 있다. PDN GW(126)는 이동성을 위한 앵커 포인트에 넌-LTE 액세스들을 또한 제공할 수 있다. 외부 PDN은 IP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MS) 도메인뿐만 아니라 임의의 종류의 IP 네트워크일 수 있다. PDN GW(126) 및 서빙 GW(124)는 하나의 물리적 노드 또는 개별 물리적 노드들에서 구현될 수 있다.
eNB들(104)(매크로 및 마이크로)은 공중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을 종료할 수 있고 UE(102)에 대한 제1 접점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eNB(104)는 무선 베어러 관리, 업링크 및 다운링크 동적 무선 자원 관리 및 데이터 패킷 스케줄링, 및 이동성 관리와 같은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 기능들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RAN(101)에 대한 다양한 논리적 기능들을 충족시킬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UE들(102)은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OFDMA) 통신 기술에 따라 멀티캐리어 통신 채널을 통해 eNB(104)와 OFDM 통신 신호들을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OFDM 신호들은 복수의 직교 서브캐리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S1 인터페이스(115)는 RAN(101)과 EPC(120)를 분리시키는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S1 인터페이스(115)는 2개의 부분: eNB들(104)과 서빙 GW(124) 사이에서 트래픽 데이터를 반송하는 S1-U, 및 eNB들(104)과 MME(122) 사이의 시그널링 인터페이스인 S1-MME로 분할될 수 있다. X2 인터페이스는 eNB들(104) 사이의 인터페이스이다. X2 인터페이스는 2개의 부분, X2-C 및 X2-U를 포함할 수 있다. X2-C는 eNB들(104) 사이의 제어 평면 인터페이스일 수 있는 반면에, X2-U는 eNB들(104) 사이의 사용자 평면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셀룰러 네트워크들에 관하여, LP 셀들은 실외 신호들이 잘 도달하지 않는 실내 영역들로 커버리지를 확대하거나, 기차역들과 같은, 매우 밀집된 전화 사용의 영역들에서 네트워크 용량을 추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저전력(LP) eNB는 펨토셀, 피코셀, 또는 마이크로셀과 같은 (매크로 셀보다 협소한) 더 협소한 셀을 구현하는 임의의 적합한 상대적으로 저전력의 eNB를 지칭할 수 있다. 펨토셀 eNB들은 모바일 네트워크 오퍼레이터에 의해 그것의 주택 또는 기업 고객들에게 통상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펨토셀은 통상적으로 주택 게이트웨이 이하의 사이즈일 수 있고, 사용자의 광대역 라인에 일반적으로 연결된다. 플러그 인되면, 펨토셀은 모바일 오퍼레이터의 모바일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으며, 주택 펨토셀들에 대해 통상적으로 30 내지 50미터 범위내의 추가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LP eNB는, PDN GW(126)를 통해 결합되기 때문에 펨토셀 eNB일 수 있다. 유사하게는, 피코셀은 건물 내(사무실들, 쇼핑몰들, 기차역들 등), 또는 더욱 최근에는 항공기 내와 같은, 작은 영역을 통상적으로 커버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일 수 있다. 피코셀 eNB는 그것의 기지국 제어기(BSC) 기능을 통해 매크로 eNB와 같은 다른 eNB에 X2 링크를 통해 일반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LP eNB는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매크로 eNB에 결합되기 때문에 피코셀 eNB로 구현될 수 있다. 피코셀 eNB들 또는 다른 LP eNB들은 매크로 eNB의 일부 또는 모든 기능을 통합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이것은 액세스 포인트 기지국 또는 엔터프라이즈 펨토셀로 지칭될 수 있다.
다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이 RAN(101)과 동일한 지리적 영역에 존재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들(APs)(103) 및 하나 이상의 스테이션들(STAs)(105)을 포함하는 WLAN 디바이스들은 AP(103)와 통신한다. WLAN 디바이스들은 IEEE 802.11a/b/g/n/ac 프로토콜들과 같은 하나 이상의 IEEE 802.11 프로토콜들을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eNB들(104)과 비교하여, WLAN 디바이스들(103, 105)의 전력이 상당히 제한될 수 있기 때문에, WLAN 디바이스들(103, 105)은 지리적으로 로컬화될 수 있다.
LTE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은 10ms 프레임들로 분할될 수 있고, 이 프레임들 각각은 10개의 1ms 서브프레임들을 포함한다. 차례로, 각각의 서브프레임들은 0.5ms의 2개의 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슬롯은 사용된 시스템에 따라, 6 내지 7개의 심볼을 포함할 수 있다. 자원 블록(RB)(물리적 자원 블록(PRB)이라고도 함)이 UE에 할당될 수 있는 자원들의 최소 단위일 수 있다. 자원 블록은 180kHz 주파수 범위 및 1 슬롯 시간 길이일 수 있다. 주파수에서, 자원 블록들은 12×15kHz 서브캐리어들 또는 24×7.5kHz 서브캐리어들 범위일 수 있다. 대부분의 채널들 및 신호들에 대해, 12개의 서브캐리어가 자원 블록마다 사용될 수 있다. 주파수 분할 듀플렉싱(FDD) 모드에서, 업링크 및 다운링크 프레임들 모두는 10ms일 수 있으며, 주파수(풀-듀플렉스) 또는 시간(하프-듀플렉스) 분리될 수 있다. 시간 분할 듀플렉싱(TDD)에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은 동일한 주파수상에 송신될 수 있으며, 시간 도메인에서 멀티플렉싱될 수 있다. 다운링크 자원 그리드가 eNB로부터 UE로의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그리드는 각각의 슬롯에서의 다운링크에서 물리적 자원인 시간-주파수 그리드일 수 있다. 자원 그리드의 각각의 열 및 각각의 행은 하나의 OFDM 심볼 및 하나의 OFDM 서브캐리어 각각에 대응할 수 있다. 시간 도메인에서 자원 그리드의 지속기간은 하나의 슬롯에 대응할 수 있다. 자원 그리드에서의 최소의 시간-주파수 단위는 자원 엘리먼트로서 표기될 수 있다. 각각의 자원 그리드는 자원 엘리먼트들에 대한 특정 물리적 채널들의 매핑을 설명하는 다수의 상기 자원 블록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자원 블록은 12(서브캐리어들)*14(심볼들)=168개의 자원 엘리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자원 블록들을 사용하여 전달되는 여러 상이한 물리적 다운링크 채널들이 존재할 수 있다. 이들 물리적 다운링크 채널들 중 2개가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 및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일 수 있다. 각각의 서브프레임은 PDCCH 및 PDSCH로 파티셔닝될 수 있다. PDCCH는 각각의 서브프레임의 처음 2개의 심볼을 일반적으로 점유할 수 있으며, 무엇보다도, 업링크 공유 채널에 관한 H-ARQ 정보뿐만 아니라, PDSCH 채널에 관한 전송 포맷 및 자원 할당들에 관한 정보를 반송할 수 있다. PDSCH는 사용자 데이터 및 상위층 시그널링을 UE에 반송할 수 있으며, 서브프레임의 나머지를 점유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셀 내의 UE들에 제어 및 공유 채널 자원 블록들을 할당하는) 다운링크 스케줄링이 UE들로부터 eNB로 제공된 채널 품질 정보에 기초하여 eNB에서 수행될 수 있고, 그 후, 다운링크 자원 할당 정보가 UE에 사용된(UE에 할당된) PDCCH 상에서 각각의 UE에 전송될 수 있다. PDCCH는 자원 그리드로부터 동일한 서브프레임에서 PDSCH 상에서 송신된 데이터를 어떻게 찾고 디코딩하는지를 UE에 나타내는 다수의 포맷 중 하나에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를 포함할 수 있다. DCI 포맷은 자원 블록들의 수, 자원 할당 타입, 변조 방식, 전송 블록, 리던던시 버전, 코딩 레이트 등과 같은 상세사항들을 제공할 수 있다. 각각의 DCI 포맷은 사이클릭 리던던시 코드(CRC)를 가질 수 있으며, PDSCH가 의도되는 타겟 UE를 식별하는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NTI)와 스크램블링될 수 있다. UE-특정 RNTI의 사용은 DCI 포맷(및 그에 따라 대응하는 PDSCH)의 디코딩을 의도된 UE로만 제한할 수 있다.
도 2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통신 디바이스(예를 들어, UE 또는 eNB)의 기능 블록도를 예시한다. 통신 디바이스(200)는 물리층(PHY) 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201)을 사용하여 통신 디바이스, 다른 eNB들, 다른 UE들 또는 다른 디바이스들로/로부터 무선 주파수 전기 신호들을 송신하고 수신하는 물리층(PHY) 회로(202)를 포함할 수 있다. PHY 회로(202)는 변조/복조, 상향변환/하향변환, 필터링, 증폭 등을 위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디바이스(200)는 무선 매체에 대한 액세스를 제어하고 무선 매체를 통해 통신하는 프레임들 또는 패킷들을 구성하는 매체 액세스 제어층(MAC) 회로(204)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디바이스(200)는 본원에 설명한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해 셀룰러 디바이스의 다양한 엘리먼트들을 구성하도록 되어 있는 프로세싱 회로(206) 및 메모리(208)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08)는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해 프로세싱 회로(206)를 구성하는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싱 회로(206)는 PHY 회로(202) 및/또는 MAC 회로(204)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eNB에서의 프로세싱 회로(206)는 하나 이상의 UE들로의 다운링크 송신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스케줄러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통신 디바이스(200)는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DA), 무선 통신 능력을 갖는 랩톱 또는 휴대용 컴퓨터, 웹 태블릿, 무선 전화, 스마트폰, 무선 헤드셋, 페이저, 인스턴트 메시징 디바이스, 디지털 카메라, 액세스 포인트, 텔레비전, 의료 디바이스(예를 들어, 심박수 모니터, 혈압 모니터 등), 센서, 또는 정보를 무선으로 수신하고 그리고/또는 송신할 수 있는 다른 디바이스와 같은 휴대용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일부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통신 디바이스(200)는 키보드, 디스플레이, 비휘발성 메모리 포트, 다중 안테나들, 그래픽 프로세서,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스피커들, 및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 엘리먼트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LCD 스크린일 수 있다.
통신 디바이스(200)에 의해 활용된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201)은, 예를 들어, 다이폴 안테나들, 모노폴 안테나들, 패치 안테나들, 루프 안테나들,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들 또는 RF 신호들의 송신에 적합한 다른 타입의 안테나들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방향성 또는 전방향성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2개 이상의 안테나들 대신에, 다중의 애퍼처(aperture)들을 갖는 단일 안테나가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실시예들에서, 각각의 애퍼처는 개별 안테나로서 고려될 수 있다. 일부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 실시예들에서, 안테나들은 수신국의 안테나들 각각과 송신국의 안테나들 각각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공간 다이버시티 및 상이한 채널 특징들을 이용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일부 MIMO 실시예들에서, 안테나들은 파장의 1/10 이상까지 만큼 분리될 수 있다.
통신 디바이스(200)가 여러 개별 기능 엘리먼트들을 갖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지만, 기능 엘리먼트들 중 하나 이상은 조합될 수 있으며,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들(DSPs)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엘리먼트와 같은 소프트웨어-구성 엘리먼트들, 및/또는 다른 하드웨어 엘리먼트들의 조합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엘리먼트들은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들, 응용 주문형 집적 회로들(ASICs) 무선-주파수 집적 회로들(RFICs), 및 본원에 설명된 기능들을 적어도 수행하는 다양한 하드웨어 및 로직 회로의 조합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기능 엘리먼트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엘리먼트들상에서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들을 지칭할 수 있다.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펌웨어, 및 소프트웨어 중 하나 또는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들은 본원에 설명된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판독되고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상에 저장된 명령어들로서 또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머신(예를 들어,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한 형태로 정보를 저장하는 임의의 비일시적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판독 전용 메모리(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자기 디스크 저장 매체, 광학 저장 매체,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들, 및 다른 저장 디바이스들 및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실시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이 본원에 설명된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해 명령어들로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싱 회로(206)는 OFDMA 통신 기술에 따라 멀티캐리어 통신 채널을 통해 OFDM 통신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OFDM 신호들은 복수의 직교 서브캐리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광대역 멀티캐리어 실시예들에서, 셀룰러 디바이스(200)는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통신 네트워크 또는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GPP) UTRAN(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또는 롱-텀 에볼루션(LTE) 통신 네트워크 또는 LTE-어드밴스드 통신 네트워크 또는 4세대 또는 5세대(4G 또는 5G) LTE 통신 네트워크 또는 고속 다운링크/업링크 액세스(HSDPA/HSUPA) 통신 네트워크와 같은 광대역 무선 액세스(BWA) 네트워크 통신 네트워크의 일부로서 동작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관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통신 데이터(예를 들어, 음성 및 비디오)에 대한 요구가 계속 증가함에 따라, LTE 네트워크들은 점점 더 무거운 통신 트래픽을 경험할 수 있고, 이는 감소된 데이터 레이트, 증가된 지연, 및 증가된 간섭과 같은 불리한 네트워크 효과를 초래한다. LTE 허가 스펙트럼상의 네트워크 트래픽을 완화하기 위해, 네트워크 용량을 증가시키는 일 방식이 셀룰러 디바이스들(UE들 및 eNB들)에 의한 사용을 위해 허가되지 않은 통신 스펙트럼을 사용하여 통신 능력을 증가시키는 것일 수 있다. 네트워크 사용의 증가로, 통신 피크들이 로컬하게 발생할 수 있으며, 위치를 서빙하는 LTE 네트워크가 하루 또는 일주일 중 특정한 시간들에, 또는 스포츠 이벤트들 또는 콘서트들과 같은 특수한 이벤트들이 발생할 때 피크 요구를 경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위치는 WiFi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IEEE 802.11 네트워크와 같은 WLAN 네트워크에 의해 또한 서비스될 수 있다. 그러나, WLAN 네트워크가 비허가 대역에서 동작하기 때문에, 이 대역에서 동작하는 채널들의 가용성 및 특징들이 문제일 수 있다. 허가 LTE 대역 이외에 비허가 대역에서 동작하는 UE들 및 eNB들은 LAA(License Assisted Access) UE들 및 LAA eNB들일 수 있고, 이들은 본원에서 단지 UE들 및 eNB들로 일반적으로 지칭된다.
LTE 시스템들에서, 다양한 타입의 측정들이 동작 조건들을 획득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수행되고 다운링크 동작을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어, 채널 상태 정보(CSI) 측정들이 채널 품질을 추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CSI 측정들은 측정 목적을 위해 eNB에 의해 송신된 셀-특정 기준 신호들(CRS), CSI 기준 신호들(CSI-RS) 또는 다른 채널 상태 정보-간섭 측정(CSI-IM) 신호들을 측정할 수 있다. 측정들로부터, 채널 품질의 계산들이 그 후에 결정되어 eNB에 보고될 수 있다. CSI 보고는 채널 품질 표시자(CQI)를 포함할 수 있으며, UE와의 통신을 위한 적합한 다운링크 송신 데이터 레이트, 즉, 변조 및 코딩 방식(MCS) 값을 나타내기 위해 UE로부터 eNB로 전송될 수 있다. CQI에 의해 제공된 정보는 채널 품질 및 원하는 전송 블록 사이즈 양자를 포함할 수 있다. CQI는 UE에서의 관측된 신호 대 간섭 플러스 잡음비(signal-to-interference-plus-noise ratio)(SINR)에 기초할 수 있다. CQI는 검출을 위해 사용되고, 그 후, 다운링크 스케줄링 및 데이터 송신을 위한 최적의 MCS 레벨을 선택하기 위해 eNB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안테나들의 수 및 수신기의 타입과 같은 UE 능력을 고려할 수 있다.
공교롭게도, 허가 대역에서의 UE들에 의한 (그리고 서빙 eNB에 송신된) 채널 조건들의 감지 및 결정이 LTE 네트워크에 유익할 수 있지만, 비허가 대역 및 WLAN 네트워크에서의 채널 조건들의 결정이 LTE 통신에 대해 더 문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레거시 Wi-Fi/블루투스 디바이스들은 WLAN 표준들에 따르지 않는 디바이스들과 통신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eNB는 WLAN 디바이스들로부터 정보를 직접 획득할 수 없을 수 있다. 이것은, eNB에서 이용가능한 정보가 일부 환경들에서 다소 제한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eNB에서 측정된 비허가 대역 간섭 레벨 및 eNB에 의해 서빙된 분산 UE들에서 측정된 비허가 대역 간섭 레벨은 WLAN 디바이스들의 존재로 인해 반비례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eNB에서의 측정된 간섭 레벨은 동일한 비허가 대역상에서 동작하는 현재 WLAN 시스템에 대해 eNB에 의해 유발된 간섭량의 결정을 허용할 수 있다.
간섭 전력 레벨의 추정에 기초하는 eNB에서의 송신 전력의 제어가 현재 시스템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실시예들에서, 측정된 간섭 레벨은 eNB에서만 오로지 송신 전력을 조정하여 현재 시스템에 대한 그 영향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추정은, 결정된 간섭 전력 레벨이 수신 포인트들에서 수신되는 것보다는 송신 포인트들로부터 방출되는 전력의 총량에 기초할 수 있기 때문에, 근사값일 수 있다. 이것은, Wi-Fi 및 블루투스와 같은 비허가 대역 무선 액세스 기술들이 낮은 디바이스 출력 전력으로 인해 단거리 통신에 제한되고, 또한 비허가 대역 규제 요건들로 인해, 송신 및 수신 포인트들이 일반적으로 매우 근접한다는 사실에 의해 다소 완화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eNB에서 송신 전력을 조정하는 것에 부가하여 또는 그 대신에, 측정된 간섭 레벨은 eNB에 의해 서빙된 UE들의 송신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특정한 실시예에서, 채널-인지 스케줄링 알고리즘이 UE들에서 순간 달성가능한 레이트에 대한 피드백에 기초하여 적합한 스케줄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순간 달성가능한 레이트는 eNB와 UE들 사이의 채널 품질 및 UE들에서 측정된 간섭 전력 레벨에 의존할 수 있다. UE들에는 순간 달성가능한 레이트에 의존하는 우선순위가 제공될 수 있으며, 우선순위는 다운링크 송신을 스케줄링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인접한 WLAN 네트워크로부터 높은 간섭을 경험하는 특정한 UE들은 낮은 순간 달성가능한 레이트로 인해 스케줄링하는데 있어서 역우선순위화(deprioritize)될 수 있다. 채널-인지 스케줄링 알고리즘의 일 예가 비례 페어 스케줄러(Proportional Fair Scheduler)일 수 있다. UE들은 eNB에서 채널-인지 스케줄러에 의해 선택될 수 있으며 비허가 대역을 통해 서빙될 수 있다. 또한, 다루기 어려운 간섭 환경을 초래하는 비허가 대역들에서 정부 및 표준체 규정에 의해 부과된 송신 전력에 대한 제한들로 인해, eNB 및 UE에 의한 비허가 대역의 사용은 장거리 송신에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다시 말해, eNB로부터의 임계 거리보다 큰 eNB와 UE들 사이의 통신들이 허가 대역만을 사용하도록 eNB는 후보 UE들에 대한 근접성에 기초하여 비허가 캐리어를 통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송신을 결정할 수 있다. eNB가 그것의 송신 전력을 조정함에 따라, 스케줄링을 위해 고려될 UE들의 범위가 그에 따라 또한 변경될 수 있다. 채널-인지 스케줄링 알고리즘의 패밀리가 순간 달성가능한 레이트에 기초하여 후보 UE들의 범위를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셀 호흡(cell breathing)이 더욱 로컬화된 UE-eNB 관계를 또한 발생시킬 수 있다. 셀 호흡에서, 셀에 대한 로딩이 증가하여 결국 오버로딩됨에 따라, 셀 서비스 영역의 지리적 사이즈가 감소될 수 있다. 가입자 트래픽이, 오버로딩된 셀의 서비스 영역 감소의 감소를 보상하기 위해 서비스 영역 사이즈를 증가시키는 하나 이상의 이웃하는 셀들에 부수적으로 오프로딩될 수 있다. 이것은, 통신 트래픽의 일부가 오버로딩된 셀로부터 하나 이상의 이웃하는 셀들로 핸드오프될 수 있기 때문에 부하 밸런싱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러나, 엄격하게는 트래픽(및 구체적으로는 허가 대역에 대한 트래픽)의 기능이고 추가로 사용될 수 있는 셀 호흡과 달리, 본원에 설명하는 메커니즘은 동일한 eNB에 의해 서빙되어 유지되는 모든 UE들에 걸쳐 전력 제어 및 스케줄링을 제공할 수 있어서, 허가 및 비허가 대역 중 어느 것이 UE들에 의해 사용될지 결정한다. 더욱이 전력 제어는 특정한 비허가 대역상의 측정된 간섭 레벨에 응답하여 구체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이한 비허가 대역 컴포넌트 캐리어들 및 채널들상의 전력 제어는 개별적으로 또는 공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eNB는 동일한 비허가 채널 또는 상이한 비허가 채널들을 사용하여 UE와 통신할 수 있다.
도 3은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스케줄링 라운드 동안 동작하는 LTE eNB의 방법의 흐름도를 예시한다. 도 3에서, 동작(302)에서, eNB는 현재 사용 중이고 그리고/또는 eNB 또는 eNB에 의해 서빙된 UE들 중 하나에 의해 잠재적으로 사용될 비허가 대역에서 하나 이상의 비허가 채널들 상에서 캐리어 감지를 수행할 수 있다. eNB는 비허가 채널의 잠재적 사용 이전에 미리 결정된 시간량 동안 잠재적 사용을 위한 상이한 가용 비허가 채널들을 검사할 수 있다. 캐리어 감지는 전력 제어를 확립하기 이전에 미리 결정된 시간량 동안 수행될 수 있다. eNB는 에너지 검출 또는 신호 프리앰블 검출 중 하나 또는 양자에 의해 캐리어 감지를 수행할 수 있다. 신호 프리앰블 검출은 유효 WLAN OFDM 파형들을 검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eNB는 특정한 비허가 채널 상에서 간섭 전력 레벨을 측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신호 검출이 간섭 전력 레벨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될 때, 간섭 전력 레벨의 에너지는 특정 신호만의 에너지일 수 있거나 eNB에 의해 검출된 모든 신호들 또는 그 서브세트의 총 에너지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eNB가 다중 신호들의 중첩으로부터 개별 신호들을 구별할 수 있다면, 특정 신호의 측정된 전력 레벨은 eNB에 의해 검출된 가장 강한 신호의 전력 레벨일 수 있다. eNB가 이웃하는 eNB들의 오퍼레이터와 별도로, 이웃하는 eNB들의 액티비티의 지식을 갖는다면, eNB는 검출된 에너지를 이웃하는 eNB들의 에너지로부터 감산할 수 있다.
동작(304)에서, eNB는 전력 제어를 확립할 수 있다. 즉, eNB는 UE들 중 하나 이상에 대해 비허가 대역 상에서 추후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될 송신 전력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송신 전력 레벨은 동작(302)에서 결정된 측정된 간섭 전력 레벨에 의존할 수 있다. 송신 전력 제어는 채널 상호관계(reciprocity)를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작(302)에서 비허가 채널에 대해 측정된 간섭 전력 레벨이 상대적으로 높은 경우에, eNB는 근접하게 진행중인 송신이 존재한다는 것을 추론할 수 있다. 그 후, eNB는 다운링크 송신이 채널 상호관계에 기초하여 진행중인 WLAN 송신에 반대로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추론할 수 있다. 이에 응답하여, eNB는 다운링크 송신 전력을 그에 따라 조정하여 WLAN 디바이스들에 대해 초래된 간섭량을 제한할 수 있다.
eNB는 송신 전력을 결정하기 위해 선형 또는 비선형 함수를 이용할 수 있다. 측정된 간섭 레벨은 함수에 대한 입력들 중 하나로서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제한하지 않는 예에서, I가 측정된 간섭 전력 레벨인 경우에, eNB의 송신 전력은 예를 들어, P = max(Pmax - cI, 0)로서 설정될 수 있고, 여기서, Pmax는 eNB에서의 최대 지원 송신 전력이고, c는 양의 상수이다. 다른 제한하지 않는 예에서, 송신 전력 제어는 P = min(Pmax/cI, Pmax)로서 설정될 수 있고, 여기서, Pmax는 eNB에서의 최대 지원 송신 전력이고, c는 양의 상수이다. 상기에서, 송신 전력 레벨은, 측정된 간섭 레벨이 최대 간섭 전력 레벨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에 제로로 설정될 수 있고, 이는 LBT(Listen-Before-Talk) 방식에 본질적으로 참여하는 UE들과 eNB들을 초래한다. 최대 간섭 전력 레벨 임계치는 예를 들어, 간섭에 대해 로컬인 UE들의 수와 타입에 기초하여 eNB에 의해 고정되거나 조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전력 제어는 단일 비허가 채널만을 통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전력 제어는 예를 들어, 캐리어 집성이 사용될 때 미리 결정된 수의 채널들을 통할 수 있다. 멀티-캐리어(집성) 시나리오에서, eNB에 의해 송신된 총 전력이 균일하게 또는 비균일하게 캐리어들 각각을 통해 분배될 수 있어서, 특정한 캐리어(또는 캐리어를 사용하는 UE)에 의존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캐리어 집성에서의 캐리어들은 허가 대역 및 하나 이상의 상이한 비허가 대역들을 포함하는 상이한 대역들을 통해 확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이한 최대 전력들(Pmax)이 다운링크 송신들을 위해 eNB에 의해 사용된 비허가 캐리어들 중 상이한 비허가 캐리어들에 할당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eNB에 의해 비허가 캐리어들 각각에 할당된 최대 전력은 고정될 수 있고, 채널 사용 및 조건들과 같은 외부 조건들에 독립적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eNB에 의해 비허가 캐리어들 각각에 할당된 최대 전력은 동적으로 할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캐리어들 중 하나 이상에 대한 동적 최대 전력 할당은 eNB 또는 WLAN STA들로부터의 상대적 지리적 거리, 간섭 레벨, 및 속도의 레이트와 같은 채널 및/또는 UE-특정 특징들에 기초할 뿐만 아니라 다운링크 송신 동안 사용되는 캐리어들의 수에 기초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최대 전력은 본원에 설명하는 정보를 사용하여 eNB에 의해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으며, UE 및/또는 eNB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동작(306)에서, eNB는 비허가 채널 상에서 UE들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피드백을 수신할 수 있다. eNB는 eNB와 대응하는 UE 사이의 채널 품질에 관한 피드백을 eNB에 전송할 것을 각각의 UE에 요청할 수 있다. 피드백은 원하는 대역폭내의 셀-특정 기준 신호들을 반송하는 자원 엘리먼트들을 통해 평균 수신 전력을 측정하는 기준 심볼 수신 전력(RSRP)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UE로부터의 피드백은 예를 들어, 보고된 RSRP 값에 비례하여, UE와 대응하는 eNB 사이의 근접성을 추론하기 위해 eNB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피드백은 eNB에 주기적으로 또는 비주기적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피드백의 보고는 eNB로부터의 특정 요청에 의해 트리거링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피드백의 보고는, 직전에 측정된 채널 품질로부터 측정된 채널 품질(예를 들어, RSRP)에서의 변화가 미리 결정된 임계치를 초과한다는 것을 UE가 결정할 때와 같이 자동일 수 있다. 임계치는 UE-특정 시그널링 또는 eNB에 의해 송신된 시스템 정보 블록을 통해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임계치는 예를 들어, 검출되는 측정된 품질의 타입 및/또는 검출되고 있는 특정한 대역 또는 채널에 의존할 수 있다.
도 4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피드백 메커니즘을 예시한다. 동작(401)에서, eNB는 RSRP 보고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채널 품질 보고를 개시하도록 UE 또는 UE들의 그룹에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요청 메시지는 예를 들어, L1/L2 (PDCCH), MAC CE, 무선 자원 제어(RRC) 시그널링, 또는 임의의 다른 상위층 시그널링을 통해 UE들에 시그널링될 수 있다. 요청 메시지는 주기적으로 또는 UE(또는 미리 결정된 수의 UE들)가 eNB로 또는 eNB로부터 핸드오프되는 것과 같은 이벤트에 기초하여 UE들에 송신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에, eNB는 예를 들어, (간섭 레벨에서의 실질적인 변화와 함께일 수도 있는) UE들의 수 또는 위치에서의 변화가 발생하면, eNB가 UE들 중 하나 이상에 대해 전력을 조정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핸드오버 검출에 의존하여 그에 따라 증분되거나 감분될 수 있는 UE 변화의 카운터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초기 보고는 주기적일 수 있고, 비주기적일수 있거나, 이벤트-트리거링될 수 있다.
동작(402)에서, UE는 보고에서 초기 RSRP 값을 송신할 수 있다. eNB는 미리 결정된 시간량 내의 보고를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eNB가 UE들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보고를 수신하지 않는 환경들에서, eNB는 요청 메시지를 재전송할 수 없다. eNB는 요청 메시지를 모든 UE들로 또는 eNB가 보고를 수신하지 못한 UE들로만 재전송할 수 있다. eNB는 결과적인 응답들을 집성하기 이전에 요청 메시지의 재송신을 미리 결정된 횟수로 제한할 수 있다. 보고된 초기(RSRP) 값은 3GPP 기술 사양 36.133에서 테이블 9.1.4-1에 따른 측정치들 또는 양자화 값의 실제 값일 수 있다.
동작(403)에서, UE들 중 하나 이상이 업데이트를 eNB에 송신할 수 있다. eNB는 동작(401)에서의 초기 요청 이전에 또는 그동안 어느 UE들이 업데이트들을 제공할지를 나타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모든 UE들이 업데이트를 제공할 수 있고; 다른 실시예들에서, UE들의 미리 결정된 세트만이 업데이트를 제공할 수 있다(예를 들어, 초기 보고 및/또는 업데이트를 서로로부터 미리 결정된 거리내의 UE들의 세트 퍼센티지로 제한한다). 상이한 UE들이 예를 들어, 무엇보다도, eNB로부터의 그들의 상대적인 지리적 거리, 간섭 레벨, 속도의 레이트, 및/또는 서비스 품질(QoS)에 의존하여 상이한 레이트들로 업데이트들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업데이트는, 측정된 RSRP 값에서의 변화가 존재할 때에만 송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UE는 RSRP 값이 그것의 이전의 보고로부터 양(positive) 또는 음(negative)인 ΔdBm만큼 벗어나는 경우에 업데이트를 송신할 수 있다. UE는 새로운 RSRP 값 또는 이전에 보고된 값으로부터의 차이를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UE는 3GPP TS 36.133에서의 테이블 9.1.4-1에 따른 양자화된 RSRP 값이 그것의 이전의 보고로부터 양 또는 음인 K 스텝들을 벗어나면 업데이트를 송신할 수 있다. UE는 새로운 양자화 레벨 또는 이전의 보고로부터 양자화 레벨에 관한 차이만을 전송할 수 있다. 변화는 UE에 의해 감지된 채널 품질의 타입, eNB로부터의 상대적인 지리적 거리, 다중-경로 페이딩 환경의 풍부함(richness), 또는 이동하는 UE들의 속도 등에 의존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피드백은 UE에서 측정된 간섭 전력 레벨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보고된 피드백은 측정이 수행되었을 때의 기준 신호 수신 품질(RSRQ) 및/또는 수신 신호 강도 표시자(RSSI)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보고된 RSRQ는 3GPP TS 36.133에서 테이블 9.1.7-1에 따른 측정치들 또는 양자화 값의 실제 값일 수 있다. 일부 환경들에서, UE에는 신호 프리앰블 검출기가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신호 프리앰블 검출기는 WLAN OFDM 파형들을 검출하고, 검출된 프리앰블들로부터 간섭 레벨을 결정하며, 프리앰블이 측정되는 WLAN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BSS의 기본 서비스 세트 식별자(BSSID) 및 측정된 간섭 레벨을 송신할 수 있다.
피드백에 포함된 정보에 관계없이, 피드백은 전체적으로 개별 메시지에서 송신될 수 있거나 다른 스케줄에 따라 전송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에, 피드백은 채널 품질 표시(CQI)/채널 상태 정보(CSI), 프리코더 매트릭스 표시(PMI) 및/또는 랭크 표시(RI) 보고에 따라 PUCCH(또는 PDSCH)에서 송신될 수 있다.
동작(404)에서, eNB는 UE들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피드백의 추가의 업데이트들이 요구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UE들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의 추가의 피드백 업데이트들이 더 이상 요구되지 않는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eNB는 피드백의 송신을 종료하기 위해 적어도 초기 피드백이 수신되는 하나 이상의 UE들에 종료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eNB는 종료 요청을 UE들 모두에 동시에 송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eNB는 예를 들어, UE, UE의 물리적 환경(예를 들어, 지리적 위치) 및/또는 채널 조건들에 의존하여 UE들 중 일부에만 종료 요청을 송신할 수 있고; UE들로부터의 업데이트들의 종료는 그에 따라 eNB에 의해 스태거(stagger)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eNB가 종료 요청을 송신하기보다는, 종료는 자동일 수 있고; 즉, 미리 결정된 수의 업데이트들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각각의 UE에 의해 전송될 수 있고, 이는 무엇보다도 UE, 물리적 환경 및/또는 채널 조건들에 다시 의존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자동 종료에 부가하여, eNB는 종료 요청을 송신함으로써 업데이트들의 수를 단축할 수 있다. eNB는 UE와 WLAN 송신기들 사이의 거리를 추론하기 위해 피드백을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UE들 중 하나 이상은 WLAN 송신기들에 대한 그것의 상대적 거리를 결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를 상기 피드백에 부가하여 또는 그 대신에 eNB에 피드백으로서 제공할 수 있어서, 거리 계산들 중 적어도 일부를 개별 UE들에 오프로딩한다. 디바이스-투-디바이스(D2D) 통신이 eNB에 의해 사용되고 스케줄링되는 실시예들에서, 다중의 UE들로부터의 피드백은 특정한 UE에 의해 수집되어 eNB에 송신될 수 있고, 아마도 계산들은 특정한 UE에 의해 수행된다.
도 3으로 돌아가서, UE와 WLAN 송신기들 사이의 거리가 eNB에 의해 결정되었으면, 동작(308)에서, eNB는 후속 다운링크 송신에서 서빙될 UE들 중 하나 이상을 스케줄링할 수 있다. UE 선택은 동작(304)에서 결정된 송신 전력 레벨, 동작(306)에서 획득된 UE 피드백, 및 버터 상태(특정한 UE 또는 일반적으로 UE들에 대해 eNB에서 버퍼링된 정보의 양)와 같은 다른 정보에 기초할 수 있다. eNB는, 스케줄링된 UE들의 거리가 간섭 전력 레벨에 반비례하도록 다운링크 송신을 스케줄링할 수 있다. 스케줄링되면, eNB는 송신 전력 레벨을 사용하여 스케줄링된 시간에 UE들 중 하나 이상에 송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eNB는 연관된 UE들의 위치 정보에 관하여 E-SMLC(Enhanced Serving Mobile Location Center)/SUPL(Secure User Plane Location) SLP(Location Platform)에 문의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개별 UE들이 eNB에 얼마나 근접한지를 결정하기 위해 eNB에서 스케줄러에 대한 추가의 입력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스케줄링 알고리즘이 구현 의존적일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eNB는 범위가 측정된 WLAN 간섭 전력에 반비례하는 영역으로부터 다운링크 송신을 위한 UE들을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eNB는 eNB가 상대적으로 낮은 송신 전력 레벨을 선택하도록 eNB에서의 측정된 WLAN 간섭 전력이 높을 때 근처의 UE 또는 UE들을 선택할 수 있다. 유사하게, eNB는 eNB가 상대적으로 높은 송신 전력 레벨을 선택하도록 측정된 WLAN 간섭이 낮을 때 상대적으로 먼 UE 또는 UE들, 즉, 셀-에지 UE 또는 UE들을 선택할 수 있다. eNB에 대한 UE들의 근접성은, 동작(306)에서 획득된 PvSRP 피드백 또는 이용가능하면, 위치 서버로부터의 추가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추론될 수 있다.
eNB는 현재 송신중인 WLAN STA들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UE를 또한 선택할 수 있다. WLAN STA들로부터 UE의 거리는 동작(306) 동안 UE들로부터 수신된 RSRQ 또는 RSSI 피드백으로부터 추론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eNB는 동작(308)에서의 스케줄링에서 고려될 후보 UE들의 세트를 그 채널 품질이 결정된 송신 전력 레벨에서 최소 MCS 레벨을 지원할 수 있는 UE들로 제한할 수 있다. 이것은, eNB가 그것의 스케줄링 고려사항을 송신 전력 레벨에 의존하여 (eNB에 대한) 지리적으로 적절한 UE들로 한정할 수 있다는 것을 보장한다. 즉, eNB는, 낮은 송신 전력 레벨이 사용될 것을 eNB가 결정할 때 eNB에 근접한 UE들에 스케줄링을 제한할 수 있고, 높은 전력 레벨이 사용될 때 eNB에 대해 더욱 멀리 있는 점점 큰 수의 UE들에 스케줄링을 개방할 수 있다. 낮고 높은 송신 전력들이 본원에서 지칭되지만, 일부 실시예들에서, eNB는 UE들에 대한 다운링크 송신들을 위해 별개의 송신 전력 레벨들 및 각각의 전력 레벨과 연관된 UE와 eNB 사이의 별개의 거리를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송신 전력 레벨들 및 연관된 거리들은 연속적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eNB는 UE 위치에 관하여 E-SMLC/SLP에 문의하는 대신에 UE들에서 순간 달성가능한 레이트를 추정할 수 있다. 순간 달성가능한 레이트는, eNB와 UE 사이의 채널 품질 및 현재 WLAN 송신들로부터의 UE에서의 간섭 전력 레벨을 나타내는 UE들로부터의 피드백에 기초할 수 있다. 순간 달성가능한 레이트 추정의 추정은 예를 들어, Shannon의 용량 공식, 그 변형들, 또는 적절한 매핑 함수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더 높은 순간 달성가능한 레이트를 갖는 UE를 선택함으로써, eNB는 다운링크 송신들의 스케줄링을 위해 eNB에 비교적 근접하고 WLAN 간섭의 소스로부터 비교적 먼 하나 이상의 UE들을 선택할 수 있다. 대안으로, 또는 순간 달성가능한 레이트에 부가하여, eNB는 UE들 중에서 다운링크 송신들을 스케줄링하는데 있어서 신호 대 간섭 플러스 잡음비(SINR)를 사용할 수 있다.
스케줄링 판정은 예를 들어, 페어니스(fairness)와 같은 추가 메트릭스와 조합될 수 있다. eNB는 순간 달성가능한 레이트들을 정규화하는데 이들 메트릭스를 포함할 수 있다. 그 후, 정규화된 순간 달성가능한 레이트들은 비례 페어 스케줄링(모든 사용자들에게 적어도 최소 서비스 레벨을 허용하면서 총 쓰루풋을 최대화하는 것 사이의 밸런스를 유지하는 것에 기초한 스케줄링)에서 사용을 위해 각각의 UE의 평균 쓰루풋에 관한 정규화를 결정하기 위해 eNB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eNB 및 UE들 양자에는 유효 WLAN OFDM 파형들을 검출할 수 있는 신호 프리앰블 검출기가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eNB 및 UE들은 프리앰블 측정들이 동일한 타켓 간섭에 대해 수행되었다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 측정된 간섭의 BSSID를 매칭할 수 있다.
그에 따라, eNB는 UE로부터 피드백을 자동으로 또는 요청에 응답하여 수신할 수 있다. 피드백은 RSRP 또는 RSRQ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될 수 있다. eNB는 비허가 대역의 비허가 채널 상의 간섭 레벨을 검출할 수 있다. eNB는 검출된 간섭 레벨에 기초하여 적절한 송신 전력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eNB는 피드백, WLAN STA들에 대한 UE들 각각의 추론된 근접성, eNB에 대한 UE들 각각의 근접성, 및 송신 전력 레벨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서빙할 하나 이상의 UE들을 선택할 수 있다.
유사하게, UE는 피드백에 대한 요청을 서빙 eNB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UE는 RSRP 또는 RSRQ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피드백을 결정할 수 있다. UE는 피드백의 표시를 요청에 기초하여 eNB에 송신할 수 있다. UE는 미리 결정된 시간 또는 수의 업데이트들이 도달되거나 종료 요청이 eNB로부터 수신될 때까지 피드백의 하나 이상의 업데이트들을 eNB에 자동으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eNB는 결정된 전력 레벨 및 근접성 정보에 기초하여 다운링크 송신을 스케줄링할 수 있다. 이것은 공간 자원 재사용 이득을 최대화하기 위해 현재 시스템들에 의한 송신과 함께 LTE-U 송신기들에 의한 동시 송신의 eNB에 의한 적응형 스케줄링을 허용할 수 있다. 또한, eNB는 다운링크 송신 전력의 제어에 의해 현재 시스템에 대한 간섭의 레벨을 동시에 관리할 수 있다. 따라서, eNB는 측정된 간섭 레벨이 높을 때 (허가 및 비허가 대역들 중 하나 또는 양자를 사용하여) 송신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고 그리고/또는 서빙된 UE들을 근접 UE들에 제한할 수 있으며, 측정된 간섭 레벨이 감소될 때 송신 전력 및/또는 UE들에 대한 서비스의 지리적 범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예들이 아래에 제공된다. 이들 예들은 본원의 개시내용을 임의의 방식으로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예 1에서, eNB(enhanced NodeB)의 장치는: 비허가 대역에서 비허가 채널을 통해 사용자 장비(UE)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트랜시버; 및 비허가 채널 내의 간섭 전력 레벨을 측정하고, eNB에 대한 UE의 근접성을 결정하고, 간섭 전력 레벨에 기초하여 eNB로부터 UE로의 비허가 채널을 사용한 다운링크 송신을 위한 송신 전력 레벨을 결정하고, 근접성에 따라 UE로의 다운링크 송신을 스케줄링하며, 스케줄에 따라 송신 전력 레벨을 사용하여 UE로 다운링크 송신을 송신하기 위해 트랜시버를 구성하도록 되어 있는 프로세싱 회로를 포함한다.
예 2에서, 예 1의 주제는, 송신 전력 레벨이 간섭 전력 레벨에 반비례하며, 송신 전력 레벨이 간섭 전력 레벨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고 간섭 전력 레벨이 감소함에 따라 증가한다는 것을 임의로 포함할 수 있다.
예 3에서, 예들 1 및 2 중 하나 또는 임의의 조합의 주제는, 송신 전력 레벨이 P = max(Pmax - cI, 0)에 의해 결정되고, 여기서, Pmax는 최대 지원 송신 전력이고, I는 간섭 전력 레벨이고, c는 양의 상수이며, 송신 전력은 P = min(Pmax/cI, Pmax)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을 임의로 포함할 수 있다.
예 4에서, 예들 1 내지 3 중 하나 또는 임의의 조합의 주제는, 상이한 최대 지원 송신 전력들이 다운링크 송신들을 위해 eNB에 의해 사용된 상이한 비허가 캐리어들에 할당되는 것을 임의로 포함할 수 있다.
예 5에서, 예들 1 내지 4 중 하나 또는 임의의 조합의 주제는, 송신 전력은 간섭 전력 레벨이 최대 간섭 전력 레벨 임계치를 초과할 때 제로로 설정되는 것을 임의로 포함할 수 있다.
예 6에서, 예들 1 내지 5 중 하나 또는 임의의 조합의 주제는, 프로세싱 회로가 비허가 채널의 에너지 검출로부터 간섭 전력 레벨을 측정하도록 더 구성된다는 것을 임의로 포함할 수 있다.
예 7에서, 예들 1 내지 6 중 하나 또는 임의의 조합의 주제는, 프로세싱 회로가 비허가 채널의 유효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WLAN) 직교 주파수-분할 멀티플렉싱(OFDM) 파형들의 신호 프리앰블 검출로부터 간섭 전력 레벨을 측정하도록 더 구성된다는 것을 임의로 포함할 수 있다.
예 8에서, 예들 1 내지 7 중 하나 또는 임의의 조합의 주제는, 프로세싱 회로가 다수의 신호들의 중첩으로부터 개별 신호들을 구별하도록 더 구성되고, 간섭 전력 레벨은 비허가 채널의 가장 강한 신호의 간섭 전력 레벨이라는 것을 임의로 포함할 수 있다.
예 9에서, 예들 1 내지 8 중 하나 또는 임의의 조합의 주제는, 간섭 전력 레벨은 eNB에 의해 검출된 모든 신호의 서브세트의 총 에너지이라는 것을 임의로 포함할 수 있다.
예 10에서, 예들 1 내지 9 중 하나 또는 임의의 조합의 주제는, 트랜시버가 비허가 채널 상에서 UE로부터 피드백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프로세싱 회로가 피드백에 기초하여 UE와 eNB 사이의 근접성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을 임의로 포함할 수 있다.
예 11에서, 예들 1 내지 10 중 하나 또는 임의의 조합의 주제는, 트랜시버는 피드백이 이전에 수신된 피드백으로부터 미리 결정된 양만큼 벗어나면 업데이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을 임의로 포함할 수 있다.
예 12에서, 예들 1 내지 11 중 하나 또는 임의의 조합의 주제는, 트랜시버는 비허가 대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비허가 채널을 통해 복수의 UE와 통신하도록 구성되고, 각각의 UE에 대해, 프로세싱 회로는 UE와 연관된 비허가 채널의 간섭 전력 레벨을 측정하고, UE와 연관된 간섭 전력 레벨에 기초하여 eNB로부터 UE로의 다운링크 송신들을 위해 송신 전력 레벨을 결정하고, 비허가 채널 상에서 UE로부터의 피드백에 기초하여 UE와 eNB 사이의 근접성을 결정하며, 송신 전력 레벨을 사용하고 근접성에 따라 UE로의 다운링크 송신을 스케줄링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을 임의로 포함할 수 있다.
예 13에서, 예들 1 내지 12 중 하나 또는 임의의 조합의 주제는, 복수의 UE로의 다운링크 송신들의 스케줄링 및 송신은, 간섭 전력 레벨과 eNB에 대한 근접성 사이의 비례 관계가 채택되어, 간섭 전력 레벨이 증가함에 따라 다운링크 송신들이 eNB에 대한 근접성이 증가하는 UE들로 제한되는 것을 임의로 포함할 수 있다.
예 14에서, 예들 1 내지 13 중 하나 또는 임의의 조합의 주제는, 복수의 UE로의 다운링크 송신들의 스케줄링 및 송신은 송신 전력 레벨에서 최소 변조 및 코딩 방식(MCS) 레벨을 지원하는 채널 품질을 갖는 UE들로 제한된다는 것을 임의로 포함할 수 있다.
예 15에서, 예들 1 내지 14 중 하나 또는 임의의 조합의 주제는, 프로세싱 회로가 eNB와 UE 사이의 채널 품질에 대한 UE로부터의 피드백 및 UE에서의 간섭 전력 레벨에 기초하여 UE들 각각에서 순간 달성가능한 레이트를 추정하며, 복수의 UE들의 순간 달성가능한 레이트에 따라 복수의 UE로의 다운링크 송신들을 스케줄링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을 임의로 포함할 수 있다.
예 16에서, 예들 1 내지 15 중 하나 또는 임의의 조합의 주제는, 트랜시버와 UE 사이에서 통신을 송신하도록 구성된 안테나를 임의로 포함할 수 있다.
예 17에서, 사용자 장비(UE)의 장치는: 비허가 대역의 비허가 채널을 사용하여 eNB(enhanced NodeB)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트랜시버; 및 eNB로부터 피드백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고, 요청에 응답하여, 비허가 채널의 채널 품질을 측정하여 채널 품질을 나타내는 피드백을 UE에 송신하도록 트랜시버를 구성하며, 피드백에 의존하여, eNB로부터 다운링크 송신을 수신하기 위해 트랜시버를 구성하도록 되어 있는 프로세싱 회로를 포함하고, 다운링크 송신은 eNB에서 비허가 채널 내의 간섭 전력 레벨에 의존하는 송신 전력 레벨을 갖는다.
예 18에서, 예 17의 주제는, 피드백이 eNB에 대한 UE의 근접성을 결정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며, UE가 다운링크 송신을 수신하는지 여부는, 간섭 전력 레벨 및 eNB에 대한 근접성에 따르며, 간섭 전력 레벨의 감소 및 eNB에 대한 근접성의 감소에 따라 다운링크 송신의 수신의 가능성이 점점 더 증가하는 것을 임의로 포함할 수 있다.
예 19에서, 예들 17 내지 18 중 하나 또는 임의의 조합의 주제는, 송신 전력 레벨은 간섭 전력 레벨에 반비례하며, 송신 전력 레벨이 간섭 전력 레벨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고 간섭 전력 레벨이 감소함에 따라 증가하는 것을 임의로 포함할 수 있다.
예 20에서, 예들 17 내지 19 중 하나 또는 임의의 조합의 주제는, 트랜시버는 측정된 채널 품질이 직전에 측정된 채널 품질로부터 미리 결정된 양만큼 벗어나면 피드백 업데이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을 임의로 포함할 수 있다.
예 21에서, 예들 17 내지 20 중 하나 또는 임의의 조합의 주제는, 트랜시버는 피드백 종료 요청이 eNB로부터 수신되지 않으면 피드백 업데이트들을 자동으로 계속 송신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을 임의로 포함할 수 있다.
예 22에서, 예들 17 내지 21 중 하나 또는 임의의 조합의 주제는, 채널 품질이 기준 신호 수신 전력(RSRP) 또는 기준 신호 수신 품질(RSRQ)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는 것을 임의로 포함할 수 있다.
예 23에서, 비허가 대역의 비허가 채널을 사용하여 사용자 장비(UE)와 트랜시버를 통해 통신하도록 eNB(enhanced NodeB)를 구성하기 위한 eNB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한 실행을 위한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은 eNB에서 비허가 채널 내의 간섭 전력 레벨에 기초하여 eNB로부터 UE로의 다운링크 송신을 위한 송신 전력 레벨을 결정하고, UE로부터 수신된 채널 품질 피드백을 사용하여 eNB로부터 UE의 근접성을 결정하고, 간섭 전력 레벨 및 근접성에 기초하여 UE에 다운링크 송신을 송신할지 여부를 결정하며, 다운링크 송신을 송신하는 결정에 응답하여, 다운링크 송신을 송신 전력 레벨을 사용하여 UE에 송신하도록 eNB를 구성한다.
예 24에서, 예 23의 주제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이 UE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피드백 업데이트를 자동으로 수신하고 - 적어도 하나의 피드백 업데이트는 UE로부터 수신된 직전의 피드백의 채널 품질로부터 미리 결정된 양만큼 벗어나는 채널 품질을 포함함 -, 연속 피드백 업데이트들이 UE로부터 요구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며, 연속 피드백 업데이트들이 더 이상 요구되지 않는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피드백 종료 요청을 UE에 송신하도록 eNB를 구성한다는 것을 임의로 포함할 수 있다.
예 25에서, 예들 23 내지 25 중 하나 또는 임의의 조합의 주제는, 송신 전력 레벨이 간섭 전력 레벨에 반비례하며, 송신 전력 레벨이 간섭 전력 레벨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고 간섭 전력 레벨이 감소함에 따라 증가하는 것을 임의로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가 특정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형들 및 변경들이 본 개시내용의 더 넓은 사상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이들 실시예들에 대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그에 따라, 명세서 및 도면들은 제한적인 관점보다는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될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를 형성하는 첨부한 도면들은 주제가 실시될 수 있는 특정한 실시예들을 제한이 아닌 예시로서 도시한다. 예시된 실시예들은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본원에 개시된 교시들을 실시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충분하게 상세히 설명된다. 다른 실시예들이 이로부터 활용되고 유도될 수 있어서, 구조적 및 논리적 치환들이 본 개시내용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세한 설명은 제한하는 관점으로 취해지지 않으며, 다양한 실시예들의 범위는 청구항들의 권리가 부여되는 등가물들의 모든 범위와 함께, 첨부한 청구항들에 의해서만 정의된다.
발명의 주제의 이러한 실시예들은, 실제로 둘 이상이 개시되는 경우에 본 출원의 범위를 임의의 단일 발명 또는 발명의 개념으로 자발적으로 제한하고자 함이 없이 단지 편의를 위해, 본 명세서에서 개별적으로 및/또는 집합적으로 "발명"이라는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따라서, 특정한 실시예들이 본원이 예시되고 설명되지만, 동일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계산된 임의의 구성이 도시된 특정한 실시예들을 대신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개시내용은 다양한 실시예들의 임의의 그리고 모든 적응물들 또는 변동물들을 커버하도록 의도된다. 상기 실시예들의 조합들, 및 본원에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은 다른 실시예들이 상기 설명을 리뷰할 때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본 문헌에서, 단수형 용어들("a" 또는 "an")은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임의의 다른 경우들 또는 사용들과 독립적으로,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하도록, 특허 문헌들에서 일반적인 것과 같이, 사용된다. 본 문헌에서, 용어 "또는"은 비배타적 또는(nonexclusive or)을 지칭하도록 사용되어, "A 또는 B"는 다르게 나타내지 않으면, "A이지만 B는 아닌", "B이지만 A는 아닌", 그리고 "A 및 B"를 포함한다. 본 문헌에서, 용어들 "포함하는" 및 "여기서(in which)"는 각각의 용어들 "구비하는" 및 "여기서(wherein)"의 평이한 영문 등가물로서 사용된다. 또한, 아래의 청구항들에서, 용어들 "포함하는" 및 "구비하는"은 개방형(open-ended)이고, 즉, 청구항에서 이러한 용어 이후에 열거된 것들 이외의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시스템, UE, 관사, 조성, 공식, 또는 프로세스가 그 청구항의 범위내에 있는 것으로 여전히 여겨진다. 더욱이, 아래의 청구항들에서, 용어들 "제1", "제2", 및 "제3" 등은 단지 라벨들로서 사용되며, 그들의 오브젝트들에 수치적 요건들을 부과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개시내용의 요약은, 독자가 기술적 개시내용의 본질을 빠르게 확인하게 하는 요약을 요구하는, 37 C.F.R.§1.72(b)에 따라 제공된다. 이것은 청구항들의 범위 또는 의미를 해석하거나 제한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는다는 것을 포함하여 제출된다. 또한, 상술한 상세한 설명에서, 다양한 특징들이 본 개시내용을 간소화하기 위해 단일 실시예로 함께 그룹화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개시내용의 이러한 방법은 청구된 실시예들이 각각의 청구항에 명백하게 인용되는 것보다 많은 특징을 요구한다는 의도를 반영하는 것으로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오히려, 아래의 청구항들을 반영할 때, 발명의 주제는 단일의 개시된 실시예의 모든 특징들 미만에 있다. 따라서, 아래의 청구항들은 각각의 청구항이 개별 실시예로서 그 자체에 기초하는, 상세한 설명에 포함된다.

Claims (25)

  1. eNB(enhanced NodeB)의 장치로서,
    비허가 대역(unlicensed band)에서 비허가 채널을 통해 사용자 장비(UE)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트랜시버; 및
    프로세싱 회로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싱 회로는,
    상기 비허가 채널 내의 간섭 전력 레벨을 측정하고;
    상기 eNB에 대한 상기 UE의 근접성(proximity)을 결정하고;
    상기 간섭 전력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eNB로부터 상기 UE로의 상기 비허가 채널을 사용한 다운링크 송신을 위한 송신 전력 레벨을 결정하고;
    상기 근접성에 따라 상기 UE로의 상기 다운링크 송신을 스케줄링하며;
    스케줄에 따라 상기 송신 전력 레벨을 사용하여 상기 UE에 상기 다운링크 송신을 송신하도록 상기 트랜시버를 구성
    하도록 되어 있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전력 레벨은 상기 간섭 전력 레벨에 반비례하며, 상기 송신 전력 레벨은 상기 간섭 전력 레벨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고 상기 간섭 전력 레벨이 감소함에 따라 증가하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전력 레벨은 P = max(Pmax - cI, 0)에 의해 결정되는 것 - Pmax는 최대 지원 송신 전력이고, I는 상기 간섭 전력 레벨이고, c는 양의 상수임 - , 및
    상기 송신 전력은 P = min(Pmax/cI, Pmax)에 의해 결정되는 것 - Pmax는 상기 최대 지원 송신 전력이고, I는 상기 간섭 전력 레벨이고, c는 양의 상수임 -
    중 적어도 하나인,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이한 최대 지원 송신 전력들이 다운링크 송신들을 위해 상기 eNB에 의해 사용된 상이한 비허가 캐리어들(unlicensed carriers)에 할당되는,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송신 전력은 상기 간섭 전력 레벨이 최대 간섭 전력 레벨 임계치를 초과할 때 제로로 설정되는,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회로는 또한, 상기 비허가 채널의 에너지 검출로부터 상기 간섭 전력 레벨을 측정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회로는 또한, 상기 비허가 채널의 유효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WLAN) 직교 주파수-분할 멀티플렉싱(OFDM) 파형들의 신호 프리앰블 검출로부터 상기 간섭 전력 레벨을 측정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회로는 또한, 다수의 신호의 중첩(superposition)으로부터 개별 신호들을 구별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간섭 전력 레벨은 상기 비허가 채널의 가장 강한 신호의 간섭 전력 레벨인, 장치.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 전력 레벨은 상기 eNB에 의해 검출된 모든 신호의 서브세트의 총 에너지(aggregate energy)인, 장치.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시버는 상기 비허가 채널 상에서 상기 UE로부터 피드백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로세싱 회로는 상기 피드백에 기초하여 상기 UE와 eNB 사이의 상기 근접성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시버는 상기 피드백이 이전에 수신된 피드백으로부터 미리 결정된 양만큼 벗어나면 업데이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트랜시버는 상기 비허가 대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비허가 채널을 통해 복수의 UE와 통신하도록 구성되고,
    각각의 UE에 대해, 상기 프로세싱 회로는 상기 UE와 연관된 비허가 채널의 간섭 전력 레벨을 측정하고, 상기 UE와 연관된 상기 간섭 전력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eNB로부터 상기 UE로의 다운링크 송신들을 위해 송신 전력 레벨을 결정하고, 상기 비허가 채널 상에서 상기 UE로부터의 피드백에 기초하여 상기 UE와 eNB 사이의 근접성을 결정하며, 상기 송신 전력 레벨을 사용하고 상기 근접성에 따라 상기 UE로의 다운링크 송신을 스케줄링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UE로의 다운링크 송신들의 스케줄링 및 송신에, 상기 간섭 전력 레벨과 상기 eNB에 대한 근접성 사이의 비례 관계가 채택되어, 상기 간섭 전력 레벨이 증가함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송신들이 상기 eNB에 대한 근접성이 증가하는 UE들로 제한되는,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UE로의 다운링크 송신들의 스케줄링 및 송신은 상기 송신 전력 레벨에서 최소 변조 및 코딩 방식(MCS) 레벨을 지원하는 채널 품질을 갖는 UE들로 제한되는,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회로는:
    상기 eNB와 상기 UE 사이의 채널 품질에 대한 상기 UE로부터의 피드백 및 상기 UE에서의 상기 간섭 전력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UE들 각각에서 순간 달성가능한 레이트(instantaneous achievable rate)를 추정하고,
    상기 복수의 UE들의 상기 순간 달성가능한 레이트에 따라 상기 복수의 UE로의 다운링크 송신들을 스케줄링
    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시버와 상기 UE 사이에서 통신을 송신하도록 구성된 안테나를 더 포함하는, 장치.
  17. 사용자 장비(UE)의 장치로서,
    비허가 대역의 비허가 채널을 사용하여 eNB(enhanced NodeB)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트랜시버; 및
    프로세싱 회로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싱 회로는,
    상기 eNB로부터 피드백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비허가 채널의 채널 품질을 측정하고, 상기 채널 품질을 나타내는 상기 피드백을 상기 UE에 송신하도록 상기 트랜시버를 구성하며;
    상기 피드백에 의존하여, 상기 eNB로부터 다운링크 송신을 수신하도록 상기 트랜시버를 구성
    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다운링크 송신은 상기 eNB에서 상기 비허가 채널 내의 간섭 전력 레벨에 의존하는 송신 전력 레벨을 갖는,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은 상기 eNB에 대한 상기 UE의 근접성을 결정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UE가 상기 다운링크 송신을 수신하는지 여부는, 상기 간섭 전력 레벨 및 상기 eNB에 대한 근접성에 따르며, 상기 간섭 전력 레벨의 감소 및 상기 eNB에 대한 근접성의 감소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송신의 수신 가능성이 점점 더 증가하는, 장치.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전력 레벨은 상기 간섭 전력 레벨에 반비례하며, 상기 송신 전력 레벨은 상기 간섭 전력 레벨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고 상기 간섭 전력 레벨이 감소함에 따라 증가하는, 장치.
  20.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시버는 상기 측정된 채널 품질이 직전에 측정된 채널 품질로부터 미리 결정된 양만큼 벗어나면 피드백 업데이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21.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시버는 피드백 종료 요청(feedback termination request)이 상기 eNB로부터 수신되지 않으면 피드백 업데이트들을 자동으로 계속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22.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품질은 기준 신호 수신 전력(RSRP) 또는 기준 신호 수신 품질(RSRQ)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장치.
  23. 비허가 대역의 비허가 채널을 사용하여 사용자 장비(UE)와 트랜시버를 통해 통신하도록 eNB(enhanced NodeB)를 구성하기 위한 eNB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한 실행을 위한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은:
    상기 비허가 채널 내의 상기 eNB에서의 간섭 전력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eNB로부터 상기 UE로의 다운링크 송신을 위한 송신 전력 레벨을 결정하고;
    상기 UE로부터 수신된 채널 품질 피드백을 사용하여 상기 eNB로부터 상기 UE의 근접성을 결정하고;
    상기 간섭 전력 레벨 및 상기 근접성에 기초하여 상기 UE에 상기 다운링크 송신을 송신할지 여부를 결정하며;
    상기 다운링크 송신을 송신하는 결정에 응답하여, 상기 송신 전력 레벨을 사용하여 상기 UE에 상기 다운링크 송신을 송신하도록 상기 eNB를 구성하는,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은:
    상기 UE로부터 자동으로 적어도 하나의 피드백 업데이트를 수신하고 -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드백 업데이트는 상기 UE로부터 수신된 직전의 피드백의 채널 품질로부터 미리 결정된 양만큼 벗어나는 채널 품질을 포함함 -,
    연속 피드백 업데이트들이 상기 UE로부터 요구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며,
    연속 피드백 업데이트들이 더 이상 요구되지 않는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피드백 종료 요청을 상기 UE에 송신하도록 상기 eNB를 구성하는,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25. 제23항 또는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전력 레벨은 상기 간섭 전력 레벨에 반비례하며, 상기 송신 전력 레벨은 상기 간섭 전력 레벨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고 상기 간섭 전력 레벨이 감소함에 따라 증가하는,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KR1020177001868A 2014-08-21 2015-08-21 Lte 비허가 대역 동작을 위해 송신 전력 제어 및 스케줄링을 사용하는 디바이스들 및 방법 KR1022722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2040319P 2014-08-21 2014-08-21
US62/040,319 2014-08-21
PCT/US2015/046323 WO2016029132A1 (en) 2014-08-21 2015-08-21 Devices and method using transmit power control and scheduling for lte unlicensed band oper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0902A true KR20170020902A (ko) 2017-02-24
KR102272241B1 KR102272241B1 (ko) 2021-07-05

Family

ID=55351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1868A KR102272241B1 (ko) 2014-08-21 2015-08-21 Lte 비허가 대역 동작을 위해 송신 전력 제어 및 스케줄링을 사용하는 디바이스들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961646B2 (ko)
EP (1) EP3183916A4 (ko)
KR (1) KR102272241B1 (ko)
CN (1) CN107079407B (ko)
WO (1) WO201602913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7011A (ko) * 2018-03-06 2020-10-13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전송 전력 제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9792B1 (ko) * 2014-12-01 2021-09-09 소니그룹주식회사 전송 보호
US11218261B2 (en) * 2015-06-01 2022-01-04 Qualcomm Incorporated 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s in contention-based spectrum
US11089600B2 (en) * 2015-08-11 2021-08-10 Kyocera Corporation Base station and radio terminal
CN107925531B (zh) * 2015-08-13 2020-11-1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无线通信系统的干扰检测器
US11716187B2 (en) * 2015-08-14 2023-08-01 Apple Inc. Methods for CQI feedback and RRM measurements with dynamic power sharing among multiple LAA SCells for DL-only transmission
WO2017146765A1 (en) * 2016-02-25 2017-08-31 Intel IP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hannel quality reporting
WO2017171502A1 (en) 2016-03-31 2017-10-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for performing multi-subframe scheduling in enhanced laa
US10080105B2 (en) * 2016-06-09 2018-09-18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mobile virtual machine type communication devices
US10517021B2 (en) 2016-06-30 2019-12-24 Evolve Cellular Inc. Long term evolution-primary WiFi (LTE-PW)
WO2018089911A1 (en) * 2016-11-14 2018-05-17 Intel IP Corporation Interference coordination in unlicensed spectrum
US10848255B2 (en) * 2018-07-10 2020-11-24 FG Innovation Company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reporting RSRP
US10827444B2 (en) * 2018-08-13 2020-11-03 Commscope Technologies Llc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move lists for shared access systems including a time domain duplexing system
EP3611981A1 (en) * 2018-08-17 2020-02-19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Apparatuse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s for a mobile transceiver and for a network entity, mobile transceiver, network entity,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O2020056775A1 (zh) * 2018-09-21 2020-03-2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反馈信息、接收信息的方法和设备
CN112868196A (zh) 2018-10-19 2021-05-28 瑞典爱立信有限公司 调度装置和方法
US10880750B2 (en) * 2018-12-10 2020-12-29 Semiconductor Components Industries, Llc Adaptive spatial reuse
CN111866719B (zh) * 2019-04-28 2022-04-22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距离确定方法及装置
US11696239B1 (en) * 2020-08-28 2023-07-04 T-Mobile Innovations Llc Reference signal enhance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11533634B2 (en) 2020-12-17 2022-12-20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Base station and method for optimizing coverage of self-defined network
CN113316155B (zh) * 2021-05-26 2022-04-12 重庆邮电大学 一种基于未授权频谱共享的共存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9424A (ko) * 2010-04-13 2013-02-26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강화된 간섭 조정을 위한 자원 분할 정보
US20130343288A1 (en) * 2012-06-21 2013-12-26 Nokia Corporation Power Control For LTE Deployment In Unlicensed Band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4682B1 (ko) * 2007-01-12 2010-02-26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조인트 전력제어 장치 및 방법
US8509160B2 (en) * 2008-02-11 2013-08-13 Apple Inc. Method for efficient CQI feedback
CN101384066B (zh) * 2008-10-31 2012-02-22 华为技术有限公司 资源分配的方法、系统和设备
US8958795B2 (en) * 2009-05-04 2015-02-17 Qualcomm Incorporated Proximity based access control
CN101888690B (zh) * 2009-05-13 2012-10-31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下行功率控制方法及装置
US8995331B2 (en) 2010-09-21 2015-03-3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Relaying in mixed licensed and unlicensed carrier aggregation
CN102685865A (zh) * 2011-03-17 2012-09-19 上海贝尔股份有限公司 通信网络中的功率控制方法及基站
US9271246B2 (en) * 2011-04-13 2016-02-23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Method and base station for power allocation in wireless system
US10791451B2 (en) * 2012-07-27 2020-09-29 Sharp Kabushiki Kaisha Proximity service discovery using a licensed frequency spectrum
US9184886B2 (en) * 2012-08-10 2015-11-10 Blackberry Limited TD LTE secondary component carrier in unlicensed bands
WO2014123356A1 (en) * 2013-02-06 2014-08-14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stricting frequenc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924368B2 (en) * 2013-12-11 2018-03-20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s for cellular communications over unused unlicenced spectru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9424A (ko) * 2010-04-13 2013-02-26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강화된 간섭 조정을 위한 자원 분할 정보
US20130343288A1 (en) * 2012-06-21 2013-12-26 Nokia Corporation Power Control For LTE Deployment In Unlicensed Ban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7011A (ko) * 2018-03-06 2020-10-13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전송 전력 제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164301A1 (en) 2017-06-08
CN107079407A (zh) 2017-08-18
WO2016029132A1 (en) 2016-02-25
CN107079407B (zh) 2020-06-30
KR102272241B1 (ko) 2021-07-05
EP3183916A1 (en) 2017-06-28
EP3183916A4 (en) 2018-02-21
US9961646B2 (en) 2018-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2241B1 (ko) Lte 비허가 대역 동작을 위해 송신 전력 제어 및 스케줄링을 사용하는 디바이스들 및 방법
EP3149993B1 (en) Devices and method for retrieving and utilizing neighboring wlan information for lte laa operation
US10327282B2 (en) Network node, a wireless device and methods therein for selecting a communication mode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KR20190038555A (ko) 채널 리소스 이용에 따라 우선순위화된 트래픽을 위한 lte-v2v 에서의 혼잡 제어
WO2016047513A1 (ja) 基地局及びユーザ端末
US10743261B2 (en) Arrangement for choosing transceiver nodes in a mobile telecommunications network
CA3021856A1 (en) A radio network node, a wireless device and methods therein for reference signal configuration
US11991554B2 (en) Congestion control for power savings in user equipment for direct link communications
US11438829B2 (en) Adaptive discovery channel measurement time configurations
US20240107423A1 (en) Contention-free ris handover via barring
CN114503645A (zh) 用于媒体接入的动态能量检测阈值
WO2023142020A1 (en) Congestion control for multi-carrier v2x communication
WO2023044702A1 (en) Rssi measurement for cbr calculation
US20240129864A1 (en) Radio network node and method performed in a communication network
KR20240074773A (ko) Prs 리소스 세트 및 trp들의 우선순위화들을 위한 ue 구현
CN117157933A (zh) 定义prs与srs关联以在处理能力受限场景中改进多rtt定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