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0274A - 주기적으로 csi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는 단말 - Google Patents

주기적으로 csi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는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0274A
KR20170020274A KR1020160102757A KR20160102757A KR20170020274A KR 20170020274 A KR20170020274 A KR 20170020274A KR 1020160102757 A KR1020160102757 A KR 1020160102757A KR 20160102757 A KR20160102757 A KR 20160102757A KR 20170020274 A KR20170020274 A KR 201700202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mi
feedback
cqi
csi
s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2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7868B1 (ko
Inventor
김철순
문성현
박기윤
신우람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US15/236,158 priority Critical patent/US10110290B2/en
Priority to CN201610922499.0A priority patent/CN106506131B/zh
Publication of KR20170020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0274A/ko
Priority to KR1020230042057A priority patent/KR1026199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7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78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04L5/0057Physical resource allocation for CQ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26Channel coefficients, e.g. 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17Feedback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17Feedback systems
    • H04B7/0421Feedback systems utilizing implicit feedback, e.g. steered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56Selection of precoding matrices or codebooks, e.g. using matrices antenna weigh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3Parameters other than those covered in groups H04B7/0623 - H04B7/0634, e.g. channel matrix rank or transmit mode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32Channel quality parameters, e.g. channel quality indicator [CQ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36Feedback forma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36Feedback format
    • H04B7/0639Using selective indices, e.g. of a codebook, e.g. pre-distortion matrix index [PMI] or for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58Feedback reduction
    • H04B7/066Combined feedback for a number of channels, e.g. over several subcarriers like i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6Transmission of channel quality ind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57Block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72Error control for data other than payload data, e.g. control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72Error control for data other than payload data, e.g. control data
    • H04L1/0073Special arrangements for feedback chan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기지국으로부터 CSI-RS를 수신하는 단계, CSI-RS를 바탕으로 RI, PTI, BI 등의 지시자와 더블 코드북의 원소인 제1 PMI 및 제2 PMI를 포함하는, CSI 피드백 정보를 생성하여, 미리 결정된 피드백 주기에 대응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통해 상기 CSI 피드백 정보를 기지국에게 전송하는 단말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주기적으로 CSI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는 단말{terminal for transmitting periodical CSI feedback information}
본 기재는 기지국에게 주기적으로 CSI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는 단말에 관한 것이다.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1 장치(예를 들어, 기지국)는 주기적으로 참조 신호(reference signal, RS)를 전송하고, 제2 장치(예를 들어, 단말)는 참조 신호를 수신하여 채널 상태 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리포트를 생성한다. 단말은 기지국의 설정에 따라서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CSI 리포트를 기지국에게 피드백한다. CSI 리포트는, 무선 채널의 랭크 지시(rank indication, RI), 채널 품질 정보(channel quality information, CQI), 그리고 프리코딩 매트릭스 지시자(precoding matrix indicator, PMI)로 구성된다. CSI 리포트는 암시적 피드백(implicit feedback)으로 수행될 수 있다. RI, CQI 및 PMI는 각각 다른 상관 시간(coherence time)을 갖기 때문에, 무선통신 시스템에서는 일반적으로 RI, CQI 및 PMI가 독립적으로 부호화되고 별개의 주기(period)로 피드백된다.
기지국이 수직 빔포밍(elevation beamforming)을 수행하는 경우, 단말은 참조 신호를 이용해서 수평 도메인(horizontal domain) CSI(hCSI) 뿐만 아니라 수직 도메인(vertical domain) CSI(vCSI)도 기지국으로 피드백 한다. 이때, 기지국은 hCSI와 vCSI를 인식할 수 있는 PMI 코드북 정보를 단말에게 미리 전달한다. 단말에서 생성하는 CSI 리포트는, hCSI 및 vCSI가 모두 계산된 2차원 협력 CSI(2-dimensional joint CSI)이거나, 또는 별도로 도출된 hCSI 및 vCSI일 수 있다.
단말이 주기적으로 CSI 리포트를 전송하는 경우, 단말은 단위 피드백 채널(feedback channel)(예를 들어, 물리 상향링크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을 사용한다. 하나의 단위 피드백 채널 전송은, 상향링크 커버리지(uplink coverage)의 확보를 위해 미리 결정된 비트 수 이하의 페이로드(payload)로 결정될 수 있다.
한 실시예는, 빔의 지시 정보 또는 참조 자원의 지시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말을 제공한다.
다른 실시예는, 기지국이 수직 빔포밍을 수행할 수 있도록 더블 코드북의 PMI 컴포넌트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말을 제공한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 메모리, 그리고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기지국으로부터 CSI-RS 자원을 수신하는 단계, CSI-RS 자원을 바탕으로, RI, BI, 적어도 하나의 WB CQI, WB 제1 PMI, 그리고 WB 제2 PMI를 포함하는 CSI 피드백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제1 피드백 서브프레임 주기에 대응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RI 및 BI를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제2 피드백 서브프레임 주기에 대응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적어도 하나의 WB CQI, WB 제1 PMI, 그리고 WB 제2 PMI를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단말이 제공된다.
상기 단말에서, BI는, CSI-RS 자원을 전송하는 빔의 지시 정보 또는 CSI-RS 자원에 해당하는 자원의 지시 정보를 기지국에게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CSI 피드백 정보일 수 있다.
상기 단말에서, 프로세서는 제1 피드백 서브프레임 주기에 대응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RI 및 BI를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할 때, BI를 RI와 별개로 부호화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단말에서, 프로세서는 제1 피드백 서브프레임 주기에 대응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RI 및 BI를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할 때, BI 및 RI를 공동으로 부호화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단말에서, 프로세서는 제1 피드백 서브프레임 주기에 대응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RI 및 BI를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할 때, BI를 RI와 연접하고, (20, k)블록 코드를 사용하여 부호화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단말에서, 적어도 하나의 WB CQI는, WB CQI 및 2개의 WB CQI 간의 차이를 나타내는 3비트의 WB 스파셜 디퍼렌셜 CQI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에서, WB 제1 PMI 및 WB 제2 PMI는, 더블 코드북의 원소이고, 더블 코드북의 PMI는 WB 제1 PMI 및 WB 제2 PMI의 행렬곱 또는 크로네커 곱, 또는 WB 제1 PMI 및 제2 PMI를 지시하는 인덱스의 순서쌍으로 표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 메모리, 그리고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기지국으로부터 CSI-RS 자원을 수신하는 단계, CSI-RS 자원을 바탕으로, RI, BI, 적어도 하나의 WB CQI, WB 제1 PMI, 그리고 WB 제2 PMI를 포함하는 CSI 피드백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제1 피드백 서브프레임 주기에 대응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RI, WB 제1 PMI, 그리고 BI를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제2 피드백 서브프레임 주기에 대응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적어도 하나의 WB CQI 및 WB 제2 PMI를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단말이 제공된다.
상기 단말에서, BI는, CSI-RS 자원을 전송하는 빔의 지시 정보 또는 CSI-RS 자원에 해당하는 자원의 지시 정보를 기지국에게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CSI 피드백 정보일 수 있다.
상기 단말에서, 프로세서는 제1 피드백 서브프레임 주기에 대응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RI, WB 제1 PMI, 그리고 BI를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할 때, RI, WB 제1 PMI, 그리고 BI를 공동으로 부호화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단말에서, 적어도 하나의 WB CQI는, WB CQI 및 2개의 WB CQI 간의 차이를 나타내는 3비트의 WB 스파셜 디퍼렌셜 CQI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에서, WB 제1 PMI 및 WB 제2 PMI는, 더블 코드북의 원소이고, 더블 코드북의 PMI는 WB 제1 PMI 및 WB 제2 PMI의 행렬곱 또는 크로네커 곱, 또는 WB 제1 PMI 와 WB 제2 PMI를 지시하는 인덱스를 지시하는 인덱스의 순서쌍으로 표현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 메모리, 그리고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기지국으로부터 CSI-RS 자원을 수신하는 단계, CSI-RS 자원을 바탕으로, RI, BI, PTI, 적어도 하나의 WB CQI, WB 제1 PMI, 그리고 WB 제2 PMI를 포함하는 CSI 피드백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제1 피드백 서브프레임 주기에 대응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RI, PTI, 그리고 BI를 전송하는 단계, PTI가 제1 값을 나타내면, 제2 피드백 서브프레임 주기에 대응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WB 제1 PMI를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제3 피드백 서브프레임 주기에 대응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적어도 하나의 WB CQI 및 WB 제2 PMI를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단말이 제공된다.
상기 단말에서, 프로세서는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CSI-RS 자원을 바탕으로, 적어도 하나의 SB CQI, SB 제2 PMI, 그리고 SB 인덱스를 포함하는 CSI 피드백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PTI가 제2 값을 나타내면, 제2 피드백 서브프레임 주기에 대응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적어도 하나의 WB CQI 및 WB 제2 PMI를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제3 피드백 서브프레임 주기에 대응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적어도 하나의 SB CQI, SB 제2 PMI, 그리고 SB 인덱스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단말에서, BI는, CSI-RS 자원을 전송하는 빔의 지시 정보 또는 CSI-RS 자원에 해당하는 자원의 지시 정보를 기지국에게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CSI 피드백 정보일 수 있다.
상기 단말에서, 프로세서는 제1 피드백 서브프레임 주기에 대응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RI, PTI, 그리고 BI를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할 때, RI, PTI, 그리고 BI를 공동으로 부호화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단말에서, 프로세서는 제1 피드백 서브프레임 주기에 대응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RI, PTI, 그리고 BI를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할 때, BI 및 RI를 공동으로 부호화하고, BI 및 RI에, PTI를 표현하는 비트를 연접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단말에서, 프로세서는 제1 피드백 서브프레임 주기에 대응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RI, PTI, 그리고 BI를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할 때, RI 및 PTI를 공동으로 부호화하고, RI 및 PTI에, BI를 표현하는 비트를 연접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단말에서, 적어도 하나의 WB CQI는, WB CQI 및 2개의 WB CQI 간의 차이를 나타내는 3비트의 WB 스파셜 디퍼렌셜(spatial differential) CQI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에서, 적어도 하나의 SB CQI는, SB CQI 및 2개의 SB CQI 간의 차이를 나타내는 3비트의 SB 스파셜 디퍼렌셜(spatial differential) CQI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이 효율적으로 수직 빔포밍을 수행할 수 있도록 빔의 지시 정보 또는 참조 자원의 지시 정보를 제공하고, 더블 코드북의 PMI 컴포넌트를 CSI 피드백 정보로서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한 실시예에 따른 더블 2차원 CB가 사용된 CSI 리포트를 전송하는 피드백 서브프레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더블 2차원 CB가 사용된 CSI 리포트를 전송하는 피드백 서브프레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더블 2차원 CB가 사용된 CSI 리포트를 전송하는 피드백 서브프레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한 실시예에 따른 RE 매핑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RE 매핑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RE 매핑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기재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기재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기재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단말(terminal)은, 이동국(mobile station, MS),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MT), 진보된 이동국(advanced mobile station, AMS), 고신뢰성 이동국(high reliability mobile station, HR-MS),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SS), 휴대 가입자국(portable subscriber station, PSS), 접근 단말(access terminal, AT),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기계형 통신 장비(machine type communication device, MTC device)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MT, MS, AMS, HR-MS, SS, PSS, AT, UE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기지국(base station, BS)은 진보된 기지국(advanced base station, ABS), 고신뢰성 기지국(high reliability base station, HR-BS), 노드B(node B), 고도화 노드B(evolved node B, eNodeB), 접근점(access point, AP), 무선 접근국(radio access station, RAS), 송수신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 MMR(mobile multihop relay)-BS, 기지국 역할을 수행하는 중계기(relay station, RS), 기지국 역할을 수행하는 중계 노드(relay node, RN), 기지국 역할을 수행하는 진보된 중계기(advanced relay station, ARS), 기지국 역할을 수행하는 고신뢰성 중계기(high reliability relay station, HR-RS), 소형 기지국[펨토 기지국(femto BS), 홈 노드B(home node B, HNB), 홈 eNodeB(HeNB), 피코 기지국(pico BS), 매크로 기지국(macro BS), 마이크로 기지국(micro BS) 등]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ABS, 노드B, eNodeB, AP, RAS, BTS, MMR-BS, RS, RN, ARS, HR-RS, 소형 기지국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기재에서 코드북(codebook, CB)은 더블 CB(double codebook)을 지칭한다. 일반적으로 더블 CB의 PMI는 1st PMI(W1) 및 2nd PMI(W2)의 행렬곱(matrix multiplication)(또는 크로네커 곱(Kronecker product)) 또는 1st PMI 및 2nd PMI를 지시하는 인덱스의 순서쌍으로 표현될 수 있다. 본 기재에서 더블 CB을 구성하는 1st PMI 및 2nd PMI는 수평 도메인 PMI(horizontal domain PMI, hPMI) 및 수직 도메인 PMI(vertical domain PMI, vPMI)을 의미하거나, 또는 hPMI만을 포함하는 2차원 CB의 PMI 컴포넌트를 의미할 수 있다. 본 기재에서 수직 도메인의 CSI는 수직 도메인의 PMI가 아닌 BI를 이용해서 표현될 수 있으며, 더블 CB을 구성하는 1st PMI 및 2nd PMI는 hPMI만을 포함하는 1차원 CB의 PMI 컴포넌트를 의미할 수 있다. 1st PMI는 hPMI 및 vPMI에 무관하게 와이드밴드(wideband, WB)로 정의되고, 2nd PMI는 기지국의 설정에 따라 와이드밴드 또는 서브밴드(subband, SB)로 정의될 수 있다.
본 기재에서, 기지국이 하나의 빔을 형성하고, 단말이 하나의 빔에 대한 피드백을 수행하는 방식(클래스 A)과, 기지국이 복수의 빔을 형성하고, 단말이 복수의 빔 중 하나 또는 일부 빔에 대한 피드백을 수행하는 방식(클래스 B)이 모두 고려된다. 클래스 B의 경우, 단말은, 단말에 의해 선택된, CSI-RS를 전송하는 빔의 지시 정보 또는 단말에 의해 선택된, CSI-RS 자원의 지시 정보를 기지국에게 전달하기 위해서, 단말은 빔 선택 지시자(beam selection indicator), 빔 인덱스(Beam index, BI), 또는 CSI-RS 자원 지시자(CSI-RS resource indicator, CRI)를 사용할 수 있다. BI 및 CRI는 파일럿(pilot) 자원(즉, CSI-RS(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을 구성하는 안테나 포트를 지칭하거나, 한 그룹의 파일럿 자원을 송신하기 위한 빔을 지칭하거나, 또는 CSI-RS 자원 그룹 중 특정 CSI-RS 자원을 지칭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한 그룹의 CSI-RS는 동일한 빔을 통해 전송될 수 있으므로, 아래에서는 BI 및 CRI를 동일한 의미로 사용한다.
본 기재에서, 단말은 기지국에게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피드백 채널에 CSI-RS를 바탕으로 생성된 CSI 피드백 정보(feedback information)의 일부를 실을 수 있다. 이때, CSI 피드백 정보는 CSI 리포트를 포함한다. 단말은 복수에 걸쳐 피드백 채널을 전송하고, 하나의 CSI 리포트를 전송하기 위한 마지막 피드백 채널을 통해 CQI를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은 복수에 걸쳐 수신된 단말의 피드백 채널을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기지국은 저장된 피드백 채널로부터 단말이 CQI 도출에 사용한 RI 및 PMI를 도출할 수 있다. 단말은 미리 결정된 규칙에 따라 PMI를 분할(partitioning) 하고, 분할된 PMI를 피드백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PMI 분할(partitioning) 방법은 아래와 같다. 이때, 분할은 기능적 분할을 의미하며, 분할된 PMI는 부호화(channel encoding)의 단위나 PMI 피드백(PMI feedback)의 단위가 아닐 수 있다. 기지국의 설정에 따라서 단말은 분할된 복수의 PMI를 하나의 PMI 단위로 간주하여 부호화하고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은 분할된 PMI만으로 프리코딩을 수행할 수 없다.
본 기재에서 PMI는 PMI_1 및 PMI_2로 구분되고, PMI_1은 PMI_1-1 및 PMI_1-2로 구분되며, PMI_2는 구분되지 않거나, 필요한 경우, PMI_2-1 및 PMI_2-2로 구분될 수 있다. PMI_1, PMI_1-1, PMI_1-2, PMI_2, PMI_2-1, 그리고 PMI_2-2는 행렬로 표현되거나, 또는 미리 결정된 PMI 테이블의 행렬을 표시하는 코드북 인덱스(codebook index)로 표현될 수 있다.
방법 100: PMI_1이 WB PMI에 해당하고, PMI_2가 SB PMI에 해당하는 방법.
방법 100에서, PMI는 더블 CB으로 구성되므로, PMI_1 및 PMI_2의 행렬곱(matrix multiplication)으로 표현되거나 또는 순서쌍 (PMI_1, PMI_2)으로 표현될 수 있다. PMI_1 및 PMI_2는 각각 2차원 CB의 원소이고, 프리코딩을 통해 개별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2차원 CB에 포함될 수 있다. PMI_1이 수직 CSI 및 수평 CSI로 구분되는 경우, PMI_1-1은 수직 PMI를 나타내고 PMI_1-2는 수평 PMI를 나타낼 수 있다. PMI_1-1 및 PMI_1-2는 각각 PMI의 성분이기 때문에 개별적으로 프리코딩에 사용될 수 없고, PMI_1-1 및 PMI_1-2를 별도의 연산을 통해 합성하거나, 또는 (PMI_1-1, PMI_1-2) 등 PMI를 지시하는 인덱스의 순서쌍으로 PMI_1가 구성되는 경우 PMI로서 사용될 수 있다.
방법 100-1: PMI_1-1이 와이드밴드 수직 PMI 성분으로 할당되고, PMI_1-2가 와이드밴드 수평 PMI 성분으로 할당된다.
방법 100-1에서, PMI_1은 PMI_1-1 및 PMI_1-2의 연산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PMI_1은 PMI_1-1 및 PMI_1-2의 크로네커 곱(Kronecker product)을 통해 정의되거나, 또는 (PMI_1-1, PMI_1-2) 등의 순서쌍으로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PMI_2는 아래 방법 100-1-1, 100-1-2 및 100-1-3으로 구분될 수 있다. PMI_2는 PMI_2 단독으로 정의될 수도 있고, PMI_2-1 및 PMI_2-2의 연산 또는 (PMI_2-1, PMI_2-2) 등 PMI를 지시하는 인덱스의 순서쌍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PMI_2가 PMI_2-1 및 PMI_2-2의 연산으로 정의되는 경우, PMI_2-1 과 PMI_2-2 의 행렬곱으로 정의될 수 있다.
방법 100-1-1: PMI_2-1이 서브밴드 수직 PMI 성분으로 할당되고, PMI_2-2가 서브밴드 수평 PMI 성분으로 할당된다.
방법 100-1-1에서, PMI_2도 PMI_1과 동일하게, PMI_2-1 및 PMI_2-2의 연산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때, PMI_2-1에는 코-페이즈(cophase) 성분이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방법 100-1-2: PMI_2-1이 빔 선택(beam selection) 성분으로 할당되고, PMI_2-2가 코-페이즈 성분으로 할당된다.
방법 100-1-2에서, PMI_2는 PMI_1을 통해 형성된 빔 공간에서 적어도 하나의 빔을 선택하는데 사용되고, 교차 편파(cross polarization) 간의 코-페이즈를 규정하는데 사용된다. PMI_2-1은 빔 선택 성분을 포함하고, PMI_2-2는 코-페이즈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방법 100-1-3: PMI_2-1은 빔 선택 성분으로 할당되고, PMI_2-2는 빔 선택 성분 및 코-페이즈 성분으로 할당된다.
방법 100-1-3에서, 빔 선택 성분의 일부가 PMI_2-2에 할당된다. 예를 들어, PMI_2-1은 수직 빔 선택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고, PMI_2-2는 수평 빔 선택 및 코-페이즈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방법 101: PMI_1에서 PMI_1-1은 BI로 해석되고, PMI_1-2는 1st hPMI로 해석된다. 앞서 서술한 방법 100, 방법 100-1, 방법 100-2, 방법 100-1-1, 방법 100-1-2, 방법 100-1-3에서 단말은, 하나의 빔에 대해서 RI를 도출하고 그에 대한 PMI를 도출한다. 이에 반해 방법 101에서 단말은, 하나 또는 복수 개의 빔을 측정하고 그 중 하나의 빔을 선택한다. 방법 101에서 단말은 BI 또는 PMI_1-1을 이용해서 선택된 빔에 대한 RI를 도출하고, PMI를 도출할 수 있다. 이때 나머지 PMI는 PMI_1-2 및 PMI_2, 또는 PMI_1-2, PMI_2-1, 그리고 PMI_2-2를 포함할 수 있다.
방법 101에서, PMI_2는 2nd hPMI로 해석되고, PMI_2가 분할되는 경우, PMI_2-1은 빔 선택 성분으로 할당되며, PMI_2-2는 코-페이즈 성분으로 해석된다.
방법 110: PMI_1는 vPMI로 해석되고, PMI_2는 hPMI로 해석된다.
방법 110에서, PMI는 2차원 CB로 구성되므로, PMI_1 및 PMI_2를 통해 각 방향이 표현될 수 있다. 따라서, PMI_1 및 PMI_2는 개별적으로 프리코딩에 사용될 수 없다.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PMI_1 및 PMI_2를 수신한 후 이를 PMI로 재구성할 수 있다. 이때 PMI의 재구성 방식은 크로네커 곱을 포함하고, (PMI_1, PMI_2)와 같은 순서쌍을 매핑하는 방식을 포함한다. 이때, PMI_1은 더블 CB의 원소로 해석될 수 있고, 와이드밴드 성분 및 서브밴드 성분으로 구분될 수 있고, 와이드밴드 성분 및 서브밴드 성분은 각각 PMI_1-1 및 PMI_1-2에 할당될 수 있다. PMI_2도 PMI_1과 유사하게 분할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와이드밴드 CQI/단일 PMI 리포트(WB CQI/single PMI report) 및 단말 선택 서브밴드 CQI/단일 PMI 리포트(UE-selected SB CQI/single PMI report)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단말이 와이드밴드 CQI 및 단일 PMI 리포트를 포함하는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복수의 피드백 서브프레임(feedback subframe) 중에서 피드백 서브프레임 1은 적어도 RI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피드백 서브프레임 1은, 기지국이 단말에게 설정하는 CSI 피드백 모드(CSI feedback mode)에 따라서 vPMI 또는 hPMI를 포함하거나 또는 분할된 PMI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피드백 서브프레임 1의 주기(periodicity) 및 서브프레임 오프셋(subframe offset)은 LTE 규격에 따를 수 있다. 피드백 서브프레임 1을 제외한 나머지 피드백 서브프레임은 별도의 주기 및 서브프레임 오프셋을 가질 수 있다.
RI를 포함하지 않는 피드백 서브프레임이 복수인 경우, RI를 포함하지 않는 피드백 서브프레임 간에 우선 순위가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드백 서브프레임 2가 피드백 서브프레임 3보다 우선하는 경우, 피드백 서브프레임 3의 주기는 CQI/PMI 서브프레임의 주기로 설정되고, 피드백 서브프레임 2의 주기는 피드백 서브프레임 3의 주기보다 길게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피드백 서브프레임 2의 주기는 피드백 서브프레임 3의 주기의 n배일 수 있고(n은 자연수), n은 기지국이 단말에게 설정할 수 있다. 각 피드백 서브프레임 간에 서브프레임 오프셋을 공유하는 경우, 우선 순위가 높은 피드백 서브프레임은 전송되고, 우선 순위가 낮은 피드백 서브프레임은 전송되지 않을 수 있다.
무선 채널의 상관 시간을 고려하여, 하나의 CSI 리포트는 2개 또는 3개의 피드백 서브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아래 방법 200 및 방법 210에서, CQI는 3번째 피드백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된다. 그리고 피드백 서브프레임의 우선 순위의 순서는, 피드백 서브프레임 1 > 피드백 서브프레임 2 > 피드백 서브프레임 3이다. 그리고, 3개의 피드백 서브프레임이 각각 서로 다른 주기를 갖는다. 단말은 하나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통해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 하나의 피드백 서브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각 피드백 서브프레임은 아래 방법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CSI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단말이 하나의 빔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생성하는 클래스 A의 경우를 아래 방법 200, 방법 205, 방법 205-1, 방법 205-2, 방법 206, 방법 210, 방법 215, 그리고 방법 216을 바탕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방법 200: 클래스 A
방법 200에서, 피드백 서브프레임 1은 RI를 포함하고, 피드백 서브프레임 2는 'WB PMI_1'와 'WB PMI_2-1'을 포함하며, 피드백 서브프레임 3은 'WB CQI(s)'와 'WB PMI_2-2'를 포함한다. 아래에서 'WB CQI(s)' 괄호 안의 's'는 복수 형을 나타내는 기호이고, 따라서 'WB CQI(s)'는 '복수의 WB CQI'를 의미한다. 복수의 WB CQI 중 하나는 WB CQI이고, 또 하나는 WB 스파셜 디퍼렌셜(spatial differential) CQI가 될 수 있다. WB 스파셜 디퍼렌셜 CQI는 2개의 WB CQI 간의 차이를 나타내며, 3비트이다.
방법 200에서, 기지국이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에 적용하는 PMI는, PMI 컴포넌트(component) 1(즉, PMI_1) 및 PMI 컴포넌트 2(즉, PMI_2)로부터 도출될 수 있다. 하나의 PMI 컴포넌트는 2차원 프리코딩을 표현하는 요소일 수도 있고, 또는 개별적으로 포함된 1차원 CB에서 선택된 요소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PMI 성분이 2차원 프리코딩을 표현하는 요소인 경우, 2차원 CB이 더블 CB 구조라면, PMI는 PMI_1 및 PMI_2의 행렬곱으로 주어질 수 있다. 이때, PMI_1을 포함하는 CB 및 PMI_2를 포함하는 CB는 서로 다를 수 있다. 또는 PMI 성분이 1차원 CB에서 선택된 요소인 경우, 2차원 CB는 두 개의 1차원 CB의 연산으로 결정될 수 있고, 2차원 프리코딩이 PMI_1 및 PMI_2의 크로네커 곱으로 주어질 수 있다. 이때, PMI_1을 포함하는 CB 및 PMI_2를 포함하는 CB는 서로 다를 수 있다.
방법 200에서, 피드백 서브프레임 2의 CSI 페이로드를 고려하여, WB PMI_2가 2개의 세그먼트(segment)(WB PMI_2-1 및 WB PMI_2-2)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WB PMI_2-1 및 WB PMI_2-2는 WB PMI_2와 일대일 대응이다. 예를 들어, WB PMI 컴포넌트는 빔 인덱스를 포함하는 세그먼트 및 코-페이즈를 포함하는 세그먼트로 구분될 수 있다. 하나의 PMI 컴포넌트를 표현하는 PMI 비트 필드(bit field)가 큰 경우, 비트 필드가 큰 PMI 성분은 최상위 비트(most significant bit, MSB)를 포함하는 세그먼트 및 최하위 비트(least significant bit, LSB)를 포함하는 세그먼트로 구분될 수 있다. 또는, 하나의 WB PMI 성분은 수평 CSI를 포함하는 세그먼트 및 수직 CSI를 포함하는 세그먼트로 구분할 수 있다. 단말은 서로 다른 피드백 서브프레임에 서로 다른 세그먼트를 할당할 수 있다.
방법 200에서, 단말이 전송하는 피드백 서브프레임 2는 PMI_1 및 PMI_2-1을 포함하고, 피드백 서브프레임 3은 CQI 및 PMI_2-2를 포함한다. 이때, WB PMI_2-2는 WB PMI_2-1보다 상대적으로 상관 시간이 짧을 수 있다. 예를 들어, PMI_2가 2차원 CB의 빔 인덱스 및 코-페이즈로 구성되는 경우, 빔 인덱스는 PMI_2-1에 할당되고, 코-페이즈는 PMI_2-2에 할당될 수 있다.
방법 200에서, 2차원 CB는, 수직 CB 및 수평 CB로 분해(decompose)될 수 있다. 이때, PMI_1 및 PMI_2는 각각 vPMI 및 hPMI에 대응될 수 있다. 수직 CB 및 수평 CB가 더블 CB 구조일 때, PMI 세그먼트가 1st PMI 또는 2nd PMI로 표현될 수 있다.
방법 205: 클래스 A
방법 205에서, 피드백 서브프레임 1은 RI를 포함하고, 피드백 서브프레임 2는 'WB V1', 'WB V2', 그리고 'WB H1'을 포함하며, 피드백 서브프레임 3은 'WB CQI(s)'와 'WB H2'를 포함한다.
방법 205에서, 피드백 서브프레임 1은 RI만을 포함할 수 있다. 피드백 서브프레임 2는 피드백 서브프레임 3보다 더 높은 우선 순위를 갖고 더 긴 주기를 갖는다. 이때, WB V2는 코-페이즈 성분을 포함하지 않고 빔 선택 성분을 포함한다. WB H2는 빔 선택 성분을 포함하지 않고 코-페이즈 성분을 포함하거나, 또는 빔 선택 성분 및 코-페이즈 성분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방법 205에서, WB V1 및 WB V2는 WB H1과 별도로 부호화(encoding) 될 수 있다. WB V1 및 WB V2의 CSI 비트수는 아래에 설명된 방법 205-1 및 방법 205-2를 통해 관리될 수 있다. CSI 비트수는 구체적으로, CSI-RS 포트의 개수 및 CSI-RS 포트의 2차원 배열 형태(array configuration)의 함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방법 205-1: WB V1 및 WB V2를 개별적으로 서브샘플링(subsampling)하는 방법이다.
방법 205-1에서, WB V1 및 WB V2는 각각 미리 정해진 비트수에 따라서 서브샘플링된다. 단말은 WB V1을 나타내는 인덱스 및 WB V2를 나타내는 인덱스를 별도로 도출한다.
방법 205-2: WB V1 및 WB V2를 협력 부호화(joint encoding)하는 방법이다.
방법 205-2에서는 하나의 인덱스에 하나의 순서쌍(WB V1, WB V2)이 일대일로 대응한다. V1 및 V2가 독립적이지 않고, V1 및 V2는 각각 vPMI에 포함되는 세그먼트이기 때문에, 방법 205-1의 서브샘플링에 비해 더 적은 비트로 'WB V1'와 'WB V2'를 표현할 수 있다. 단말은 'WB V1'와 'WB V2'에 관한 하나의 인덱스를 도출하고, 기지국은 단말에서 도출된 하나의 인덱스로부터 WB V1 및 WB V2를 복호할 수 있다.
방법 205에서, 피드백 서브프레임 3을 수신한 기지국은, 단말이 가장 최근 전송한 RI, WB V1, WB V2, 그리고 WB H1을 바탕으로, WB H2 및 WB CQI(s)를 계산할 수 있다. RI가 1보다 큰 경우(RI>1), 단말은 WB CQI를 2개 생성할 수 있다. WB 스파셜 디퍼렌셜(spatial differential) CQI는 2개의 WB CQI의 차이이며, 3비트이다.
방법 206: 클래스 A
방법 206에서, 피드백 서브프레임 1은 RI를 포함하고, 피드백 서브프레임 2는 'WB H1'와 'WB V1'을 포함하며, 피드백 서브프레임 3은 'WB CQI(s)'과 'WB W2'를 포함한다. 즉, 방법 206은 방법 205와 달리, 피드백 서브프레임 2에서 WB V2가 생략되어 있다. 단말은 수직 및 수평 방향을 구분하지 않고 빔을 선택하고, 다른 편파(polarized wave 또는 polarization) 간의 합성(cophase)을 수행한다. 방법 206에서 단말은 총 3회의 피드백 서브프레임을 사용한다. 필요한 경우, 단말은 PMI 를 서브샘플링하여 CSI 페이로드를 줄일 수 있다. 이때, 서브샘플링의 구체적인 방법은 CB의 종류마다 다를 수 있다.
방법 210: 클래스 A
방법 210에서, 피드백 서브프레임 1은 'RI'와 'WB PMI_1-1'을 포함하고, 피드백 서브프레임 2는 'WB PMI_1-2'와 'WB PMI_2-1'을 포함하며, 피드백 서브프레임 3은 'WB CQI(s)'와 'WB PMI_2-2'를 포함한다. 방법 210에서, 2차원 프리코딩은 2개의 PMI 컴포넌트로 구성되고, 각 PMI 컴포넌트는 다시 최대 2개 이하의 PMI 세그먼트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PMI_1 및 PMI_2를 가리키는 2개의 PMI 세그먼트는 서로 다른 피드백 서브프레임에 실릴 수 있다. 따라서, 피드백 서브프레임 1에 RI뿐만 아니라 WB PMI_1-1로 포함되고, 피드백 서브프레임 2에는 WB PMI_1-2 및 WB PMI_2-1이 함께 포함된다. PMI 컴포넌트는 방법 200과 동일한 방식으로 활용될 수 있다. 방법 210에서, PMI_1-1의 상관 시간은 PMI_1-2의 상관 시간보다 길 수 있고, PMI_2-1의 상관 시간은 PMI_2-2의 상관 시간보다 길 수 있다.
PMI 세그먼트(즉, PMI_1-1, PMI_1-2, PMI_2-1, PMI_2-2)를 포함하는 피드백 서브프레임은, 물리 상향링크 제어 채널 포맷 2(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format 2, PUCCH format 2)으로 전달될 수 있다.
방법 210에서, 2차원 CB는 수직 CB(vertical CB, V CB) 및 수평 CB(horizontal CB)로 분해(decompose)될 수 있다. 이때, PMI_1 및 PMI_2는 각각 vPMI 및 hPMI에 대응될 수 있다. 더블 CB 구조를 갖는 V CB 및 H CB를 고려하면, PMI_1 또는 PMI_2가 2개의 PMI 세그먼트로 분할되는 경우, PMI 세그먼트는 1st PMI 또는 2nd PMI에 대응될 수 있고, PMI_1 또는 PMI_2가 1개의 PMI 세그먼트를 갖는 경우 PMI 세그먼트는 1st PMI에 대응될 수 있다.
방법 215: 클래스 A
방법 215에서, 피드백 서브프레임 1은 'RI'와 'WB V1'을 포함하고, 피드백 서브프레임 2는 'WB V2'와 'WB H1'을 포함하며, 피드백 서브프레임 3은 'WB CQI(s)'와 'WB H2'를 포함한다. 방법 215에서 RI 및 WB V1은 협력 부호화되어 피드백 서브프레임 1에 포함된다. 피드백 서브프레임 2는 피드백 서브프레임 3보다 높은 우선 순위를 갖고 더 긴 주기를 갖는다. 피드백 서브프레임 2에서 WB V2 및 WB H1은 서로 독립적으로 PMI 정보를 표현하므로, 별개로 부호화될 수 있다. 피드백 서브프레임 3에 포함되는 WB H2는 빔 선택 성분 및 코-페이즈 성분을 모두 포함하거나 또는 코-페이즈 성분만을 포함할 수 있다. 반면 WB V2는 코-페이즈를 포함하지 않고 빔 선택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방법 216: 클래스 A
방법 216에서, 피드백 서브프레임 1은 'RI'와 'WB V1'을 포함하고, 피드백 서브프레임 2는 'WB H1'을 포함하며, 피드백 서브프레임 3은 'WB CQI(s)'와 'WB H2'를 포함한다. 즉, 방법 216에서는, 방법 215의 WB V2가 생략되어 있다. 방법 216에서 단말은, H2에서 수직과 수평 방향을 구분하지 않고 빔을 선택하고 다른 편파 간의 합성(cophase)을 도출할 수 있다. 즉, H2는, W1 과 W2로 구성된 PMI로 이루어진 더블 CB에서, W2의 역할과 동등하다. 단말은 3회의 피드백 서브프레임을 이용하여 CSI 리포트를 송신하고, 피드백 서브프레임 1에 포함된 'RI'와 'WB V1'을 제외하면, 종래 단말도, LTE 규격에 따르는 피드백 서브프레임 2 및 피드백 서브프레임 3을 송신할 수 있다.
도 1은 한 실시예에 따른 더블 2차원 CB가 사용된 CSI 리포트를 전송하는 피드백 서브프레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CSI 리포트는 와이드밴드 CQI 및 단일 PMI를 포함하고, 3가지 유형의 피드백 서브프레임을 통해 주기적으로 송신된다. 각 피드백 서브프레임은 서로 다른 주기 및 서로 다른 우선 순위로 송신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피드백 서브프레임 1은 가장 긴 주기 및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다. 피드백 서브프레임 2의 주기는 10 서브프레임이고, 피드백 서브프레임 3의 주기는 5 서브프레임이다. 피드백 서브프레임 2 및 피드백 서브프레임 3이 겹치면, 피드백 서브프레임 2의 우선 순위가 피드백 서브프레임 3의 우선 순위보다 높기 때문에 피드백 서브프레임 2가 송신된다. 도 1에 도시된 피드백 서브프레임 1, 피드백 서브프레임 2, 피드백 서브프레임 3은 방법 200, 방법 205, 방법 205-1, 방법 205-2, 방법 206, 방법 210, 방법 215, 그리고 방법 216에서 사용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단말이 복수의 빔 중 적어도 하나의 빔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생성하는 클래스 B의 경우를 아래 방법 231, 방법 232, 그리고 방법 233을 바탕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방법 231: 클래스 B, K>1
방법 231에서, 피드백 서브프레임 1은 RI 및 BI, 또는 RI를 포함한다. BI의 피드백 주기가 RI의 피드백 주기의 정수 배인 경우, 피드백 서브프레임 1은 RI만을 포함할 수 있다. 피드백 서브프레임 2는 WB CQI(s), WB W1 및 WB W2를 포함한다. 이때, WB W1 및 WB W2는 더블 CB의 WB PMI의 컴포넌트로서, 더블 CB의 WB PMI는 WB W1 및 WB W2의 행렬곱(또는 크로네커 곱)으로 표현되거나 또는 (WB W1, WB W2) 등 PMI를 지시하는 인덱스의 순서쌍으로 표현될 수 있다.
LTE 규격의 CSI 피드백 모드 1-1 서브모드 2의 피드백 서브프레임들과 비교하면, 방법 231의 피드백 서브프레임 1에서는 BI가 추가적으로 송신된다. 단말은 아래 방법 610, 방법 620, 그리고 방법 630을 이용하여 RI 및 BI를 부호화함으로써, 피드백 서브프레임 1을 생성할 수 있다. RI 및 BI의 부호화 방법은 아래와 같다.
기지국은 클래스 B의 경우, BI의 피드백을 단말에게 설정할 수 있다. BI 및 RI는 공동으로 부호화될 수도 있고, 또는 각각 별도로 부호화될 수도 있다.
BI는 최대 3비트이고, LTE 규격에서 RI에 적용하는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부호화될 수 있다.
방법 610: 데이터 또는 CSI 트리거가 있는 경우, BI를 RI와 별개로 부호화하는 방법(BI를 RI에 대해 독립적으로 부호화하는 방법).
방법 610은, 기지국이 단말에게 데이터 전송을 지시한 경우, 또는 기지국이 단말에게 CSI 리포트를 지시한 경우에, 단말이 BI 피드백을 데이터 전송 또는 CSI 리포트와 동시에 수행하는 경우이다. 여기서 CSI 리포트는 BI를 제외한 RI, PMI, 그리고 CQI(s)를 의미한다. 단말은 아래의 방법을 사용하여 페이로드를 부호화한다. 방법 610은 PUSCH 리포팅에 적용될 수 있다.
BI 피드백이 1비트(즉,
Figure pat00001
)인 경우, 단말은 아래 표 1 및 표 2에 따라서 BI를 부호화한다. 표 1은
Figure pat00002
와 BI의 매핑 관계를 나타내고, 표 2는 변조 차수(modulation order)에 따른 부호화된 BI를 나타낸다.
Figure pat00003
BI
0 1
1 2
변조 차수 부호화된 BI
2
Figure pat00004
4
Figure pat00005
6
Figure pat00006
표 2에서 x 및 y는 복조된 심볼의 유클리드 거리를 최대화하기 위해서 비트를 유지하는 표시(place holder)이다.
기지국은 단말에서 설정한 변수에 따라서 QBI 비트를 알고 있다고 가정된다. 단말은 부호화한 비트 시퀀스(bit sequence)
Figure pat00007
를 얻는다. 예를 들어, 64 직교 진폭 변조(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QAM) 방식이 적용되는 경우,
Figure pat00008
는 아래 수학식 1과 같다.
Figure pat00009
이때, 마지막 비트 시퀀스는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BI 피드백이 2비트(즉,
Figure pat00010
)인 경우, 단말은 표 3 및 표 4에 따라서 BI를 부호화하여 3비트를 얻는다(즉,
Figure pat00011
)). 이때,
Figure pat00012
는 아래 수학식 2와 같이 결정될 수 있다.
Figure pat00013
표 3은
Figure pat00014
Figure pat00015
과, BI의 매핑 관계를 나타내고, 표 4는 변조 차수(modulation order)에 따른 부호화된 BI를 나타낸다.
Figure pat00016
Figure pat00017
BI
0 0 1
1 2
1 0 3
1 4
변조 차수 (Qm) 부호화된 BI
2
Figure pat00018
4
Figure pat00019
6
Figure pat00020
단말은 부호화한 비트 시퀀스
Figure pat00021
를 얻는다. 기지국은 단말에서 설정한 변수에 따라서 QBI 비트를 알고 있다고 가정된다. 예를 들어, 64 QAM 방식이 적용되는 경우,
Figure pat00022
는 아래 수학식 3과 같다.
Figure pat00023
이때, 마지막 비트 시퀀스는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BI 피드백이 3비트(즉,
Figure pat00024
)인 경우, 단말은 표 5에 따라서 BI를 부호화한다. 표 5는
Figure pat00025
와, BI의 매핑 관계를 나타낸다.
Figure pat00026
Figure pat00027
Figure pat00028
BI
0 0 0 1
1 2
1 0 3
1 4
1 0 0 5
1 6
1 0 7
1 8
예를 들어, LTE 규격에서 정의한 (32, 3) 선형 블록 코드(block code)가 적용되는 경우, 단말은 BI를
Figure pat00029
으로 변환한다. 이후, 단말은 원형 반복(circular repetition)을 수행하여 아래 수학식 4를 연산한다. 기지국은 단말에서 설정한 변수에 따라서 QBI 비트를 알고 있다고 가정된다. 이때, 마지막 비트 시퀀스는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Figure pat00030
단말은,
Figure pat00031
,
Figure pat00032
,
Figure pat00033
을 정의한다. 이때, NL은 단말의 상향링크 데이터를 위해 사용되는 안테나 포트의 개수를 의미한다. 이후, 단말은 채널 인터리버(channel interleaver)를 사용하여
Figure pat00034
를 데이터와 다중화(multiplex)한다.
방법 620: 피드백 서브프레임을 통해 부호화된 BI 및 RI만 전송하는 경우, BI를 RI와 별개로 부호화하는 방법(BI를 RI에 대해 독립적으로 부호화하는 방법).
방법 620에서, BI는 LTE 규격의 RI의 부호화 방법과 동일하게 부호화될 수 있다. BI 가 n 비트(n=1, 2, 3, ...)인 경우(즉,
Figure pat00035
), 단말은 표 1, 표 3 및 표 5에 따라서 BI를 부호화한다. 방법 620은 PUCCH 리포팅에 적용될 수 있다.
BI와 RI가 동일한 피드백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되고 BI와 RI가 모두 n 비트로 표현되는 경우, 단말은 독립적으로 부호화한 BI와 RI를 서로 연접하여 n 비트열을 생성한다. BI만이 피드백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되는 경우, 단말은 BI를 이용해서 비트열을 생성한다. 기지국에서 일반 순환 전치(Normal cyclic prefix)를 사용하는 경우, 단말은 생성한 비트열에 (20, n) 블록 코드를 적용한 이후에 만일 동일한 서브프레임에 HARQ-ACK이 존재하는 경우 HARQ-ACK을 다중화한다. 기지국이 확장 순환 전치(extended cyclic prefix)를 사용하는 경우, 단말은 만일 동일한 서브프레임에서 HARQ-ACK 이 존재하는 경우 HARQ-ACK(k비트, k=1 또는 2)를 다중화한 후 (20, n+k) 블록 코드를 적용한다. 만일 단말이 BI 및 RI와, HARQ-ACK를 동일한 서브프레임에서 전송하지 않는 경우, 단말은 RI 및 BI에 (20, n) 블록 코드를 적용한다. 이후 단말은 부호화된 20개의 비트(coded bit)를 피드백 서브프레임에 싣는다.
방법 630: BI 및 RI를 공동으로 부호화(joint encoding)하는 방법.
BI 및 RI가 차지하는 비트 크기는 단말에게 설정된 안테나 포트의 개수에 따라 다르다. (BI, RI) 의 경우의 수를 미리 정해진 순서대로 나열하고 비트 스트림(bit stream)으로 표현할 수 있다. 또는 BI 및 RI를 비트 시퀀스로 변환하고, 두 비트 시퀀스를 연접할 수 있다. 또는 단말은 규격에서 미리 결정된 규칙에 따라 (BI, RI)을 순서대로 나열하고, 1부터 K 까지(K 는 (BI, RI)의 모든 경우의 수) 번호를 매긴다. 표 6, 표 7, 표 8, 표 9, 그리고 표 10은 각각 안테나 포트 개수 및 (BI, RI)의 관계를 나타낸다.
Figure pat00036
(BI,RI)
0 1
1 2
Figure pat00037
Figure pat00038
(BI,RI)
0 0 1
1 2
1 0 3
1 4
Figure pat00039
Figure pat00040
Figure pat00041
(BI,RI)
0 0 0 1
1 2
1 0 3
1 4
1 0 0 5
1 6
1 0 7
1 8
Figure pat00042
Figure pat00043
Figure pat00044
Figure pat00045
(BI,RI)
0 0 0 0 1
1 2
1 0 3
1 4
1 0 0 5
1 6
1 0 7
1 8
1 0 0 0 9
1 10
1 0 11
1 12
Figure pat00046
Figure pat00047
Figure pat00048
Figure pat00049
(BI,RI)
0 0 0 0 1
1 2
1 0 3
1 4
1 0 0 5
1 6
1 0 7
1 8
1 0 0 0 9
1 10
1 0 11
1 12
1 0 0 13
1 14
1 0 15
1 16
한편, 단말이 피드백 서브프레임이 아닌 데이터 서브프레임을 이용하여 상향링크 데이터와 함께 CSI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예를 들어, PUSCH 리포팅), 단말은 LTE 규격에서 제시하는 (32, k) 블록 코드(k=1, 2, 3, ...)를 사용하여 BI를 CQI 및 PMI와 함께 부호화(방법 400)할 수 있다. 또는 단말이 피드백 서브프레임을 이용하여 CSI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예를 들어, PUCCH 리포팅), 단말은 LTE 규격에서 제시하는 (20, k) 블록 코드(k=1, 2, 3, ...)를 사용하여 BI를 RI와 동일하게 부호화(방법 410)할 수 있다.
방법 232: 클래스 B, K>1
방법 232에서, 피드백 서브프레임 1은 RI, WB W1, 그리고 BI를 포함한다. BI의 피드백 주기가 RI 피드백 주기의 정수 배인 경우, 피드백 서브프레임 1은 RI 및 WB W1만을 포함할 수 있다. 피드백 서브프레임 2는 WB CQI(s) 및 WB W2를 포함한다.
LTE 규격의 CSI 피드백 모드 1-1 서브모드 1의 피드백 서브프레임들과 방법 232에서 기술하는 피드백 서브프레임들을 비교하면, 방법 232의 피드백 서브프레임 1에서는 BI가 추가적으로 송신된다.
단말은 아래 방법 710을 이용하여 RI, WB W1, 그리고 BI를 부호화함으로써, 피드백 서브프레임 1을 생성할 수 있다.
방법 710: RI, WB W1, 그리고 BI의 부호화방법.
방법 710에서, RI 및 WB W1에 대해 안테나 포트 8개가 설정된 경우, 단말은 LTE 규격에 따라 5비트를 사용하여 RI 및 WB W1을 공동 부호화한다. RI 및 WB W1에 대해 안테나 포트 4개가 설정된 경우, 단말은 LTE 규격에 따라 5비트를 사용해서 RI 및 WB W1을 공동 부호화한다.
이때 방법 710에서, 단말은 BI를 비트 스트림으로 변환하여, 부호화된 RI 및 WB W1와 비트 스트림으로 변환된 BI를 연이어 붙일 수 있다. 예를 들어,
Figure pat00050
Figure pat00051
를 연이어 붙이면,
Figure pat00052
또는
Figure pat00053
가 획득될 수 있다. 또는 단말은 RI, WB W1, 그리고 BI를 공동으로 부호화할 수 있다. 이때, RI, WB W1, 그리고 BI의 순서가 유지될 수 있다. RI에 따라서, QBI는 다르다. 단말은 (20, 5+QBI)의 선형 블록 코드(linear block code)를 적용하여 부호화된 RI, WB W1 및 BI를 피드백 서브프레임에 실을 수 있다.
방법 233: 클래스 B, K=1
방법 233에서, 피드백 서브프레임 1은 RI를 포함하고, 피드백 서브프레임 2는 WB CQI(s) 및 WB W2를 포함한다. 방법 233은, 기지국이, 채널의 상호동등성(channel reciprocity)에 근거하여 단말이 기지국에게 WB W1를 피드백으로 전송하지 않도록 단말에게 설정한 경우, 적용될 수 있다. K는 1이기 때문에 단말은 BI를 피드백을 전송하지 않으며, 와이드밴드 2nd 프리코딩인 W2 및 WB CQI만 피드백 서브프레임 2를 통해 기지국에게 전달될 수 있다. 이때, 단말이 피드백 서브프레임 1에서 보고한 RI의 값이 1인 경우, WB CQI는 4비트로 표현되고, RI의 값이 1보다 큰 경우, WB CQI는 7비트로 표현될 수 있다.
도 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더블 2차원 CB가 사용된 CSI 리포트를 전송하는 피드백 서브프레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CSI 리포트는 와이드밴드 CQI 및 단일 PMI를 포함하고, 2가지 유형의 피드백 서브프레임을 통해 주기적으로 송신된다. 각 피드백 서브프레임은 서로 다른 주기 및 서로 다른 우선 순위로 송신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피드백 서브프레임 1은 가장 긴 주기 및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지며, 피드백 서브프레임 2의 주기는 5 서브프레임이다. 도 2에 도시된 피드백 서브프레임 1 및 피드백 서브프레임 2는 방법 231, 방법 232, 그리고 방법 233에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기재에서 기지국은 단말에게 2개의 CSI 리포트를 설정할 수 있다. 단말이 단말과 제1 기지국 사이, 그리고 단말과 제2 기지국 사이의 무선 채널을 관찰하는 경우, 단말은 제1 기지국에게 CSI 리포트를 전송한다. 이때, 제1 CSI 프로세스는 제1 기지국과 단말 사이의 무선 채널에 대응하고, 제2 CSI 프로세스는 제2 기지국과 단말 사이의 무선 채널에 대응한다. 기준 CSI 프로세스(reference CSI process)는 제1 CSI 프로세스 및 제2 CSI 프로세스의 관계를 나타낸다. 아래에서는 기지국이, 제1 CSI 프로세스가 제2 CSI 프로세스의 기준 CSI 프로세스인 것으로 단말에게 설정한 경우, 단말의 동작을 설명한다.
단말이 방법 200을 사용하여 기지국에게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단말은 제1 CSI 프로세스 및 제2 CSI 프로세스가 갖는 피드백 서브프레임 1에 포함된 CSI 컴포넌트(즉, RI)가 동일하다면, LTE 규격의 RI-기준 CSI 프로세스가 적용될 수 있다.
제1 CSI 프로세스의 피드백 서브프레임 1 및 피드백 서브프레임 2에 포함된 CSI 컴포넌트(즉, RI, WB PMI_1, WB PMI_2-1)와, 제2 CSI 프로세스의 피드백 서브프레임 1 및 피드백 서브프레임 2에 포함된 CSI 컴포넌트가 동일하다면, 단말은 피드백 서브프레임 3에 포함된 CSI 컴포넌트(즉, CQI, WB PMI_2-2)를 이용하여 두 개의 CSI 프로세스를 구분할 수 있다. 이때, RI, WB PMI_1, 그리고 WB PMI_2-1이 동일하므로, CSI 프로세스를 할당한 제1 기지국 및 제2 기지국이 거의 동일한 위치에 존재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 배치(network deployment)는 커버리지(coverage) 측면에서 비효율적이므로, 방법 200이 적용되는 단말은 LTE 규격의 RI-기준 CSI 프로세스를 고려할 수 있다. 방법 205에 대해서도 방법 200의 경우와 유사한 이유로 RI-기준 CSI 프로세스가 고려될 수 있다.
방법 210을 사용하는 단말에서, 제1 CSI 프로세스 및 제2 CSI 프로세스가 각각 갖는 피드백 서브프레임 1에 포함된 CSI 컴포넌트(즉, RI 및 WB PMI_1-1)가 서로 동일하다면, 단말은 (RI+WB PMI_1-1)-기준 CSI 프로세스를 갖는다. 즉, 이 경우 단말에 적용되는 기준 CSI 프로세스는 LTE 규격의 RI-기준 CSI 프로세스가 아니다. 단말에 피드백 서브프레임 1 및 피드백 서브프레임 2가 각각 동일한 2개의 CSI 프로세스(즉, 제1 CSI 프로세스 및 제2 CSI 프로세스)가 적용되는 것은, 커버리지 측면에서 불리한 네트워크 배치에 한정된다. 따라서, 방법 210에 대해서는 (RI+WB PMI_1-1)-기준 CSI 프로세스가 고려될 수 있다. 방법 215에 대해서도 방법 210과 유사한 이유로 (RI+WB V1)-기준 CSI 프로세스가 고려될 수 있다. 그리고 방법 231에 대해서도 방법 210 및 방법 215와 유사한 이유로, 피드백 서브프레임 1이 포함하는 RI+BI를 참조하는 관계를 갖는, (RI+BI)-기준 CSI 프로세스가 고려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단말이, 단말 선택 서브밴드 CQI 및 단일 PMI 리포트를 포함하는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기재에서 단말은 WB CQI 및 SB CQI를 생성한다. WB CQI 및 SB CQI를 구분하기 위해서 1비트로 정의된 프리코딩 유형 지시자(precoding type indicator, PTI)가 사용된다. PTI가 1인 경우(PTI=1), 단말은 SB CSI 리포트 및 WB CSI 리포트를 모두 포함하는 피드백 정보를 기지국에게 전송하고, PTI가 0인 경우(PTI=0), 단말은 WB CSI 리포트만 포함된 피드백 정보를 기지국에게 전송한다. 단말은 PTI 및 RI를 다중화하여(Multiplexing) 동일한 피드백 서브프레임에 실을 수 있다. 단말은 WB CSI의 변화를 감지하면, RI 및 PTI가 포함된 피드백 서브프레임을 생성할 때, PTI의 값을 바꾸어서 PTI를 부호화한다. 단말은 특정 피드백 서브프레임에 포함될 CSI 컴포넌트(예를 들어, PMI 세그먼트)를 결정할 때, 특정 피드백 서브프레임의 이전에 전송된 복수의 PTI 중 가장 최근의 PTI에 따를 수 있다.
아래에서, 하나의 PMI는 2개의 PMI 컴포넌트를 갖고(더블 CB), 각 PMI 컴포넌트는 각각 최대 2개의 PMI 세그먼트(2차원 CB)를 갖는다. 즉, 단말은 적어도 3개의 피드백 서브프레임을 사용하여 최대 4개의 PMI 세그먼트에 관한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는 하나의 CSI 리포트를 구성한다.
복수의 피드백 서브프레임이 하나의 CSI 리포트를 구성하는 경우, 각 피드백 서브프레임은 우선 순위에 따라서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3개의 피드백 서브프레임이 사용되는 경우, 각 피드백 서브프레임의 우선 순위는 "피드백 서브프레임 1 > 피드백 서브프레임 2 > 피드백 서브프레임 3"일 수 있다. 이때, 상대적으로 더 높은 우선 순위의 피드백 서브프레임은 더 긴 주기를 갖는 PMI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더 낮은 우선 순위의 피드백 서브프레임은 더 짧은 주기를 갖는 PMI 세그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가장 낮은 우선 순위의 피드백 서브프레임은 CQI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가장 높은 우선 순위의 피드백 서브프레임은 RI 또는 PMI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기지국은 서로 다른 우선 순위를 갖는 피드백 서브프레임의 주기 및 서브프레임 오프셋을 단말에게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단말이 3번의 피드백 서브프레임 전송을 통해 CQI를 기지국에게 전달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아래에서 대역폭 파트(bandwidth part, BP)는 전체 시스템 대역폭(system bandwidth)이 미리 결정된 규칙에 따라 나누어진 주파수 부분으로서, 서브밴드의 집합이다. 하나의 서브밴드는 하나의 BP에만 포함되고, 모든 서브밴드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BP에 포함된다. 아래에서 서브밴드는 적어도 하나의 자원블록(resource block, RB)으로 구성된 집합을 의미한다.
아래에서, 단말은 각 BP에 대해서 SB CSI 리포트를 생성하고, 피드백 채널을 이용하여 기지국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때, SB CSI 리포트의 생성 순서는 LTE 규격에 의해 정해질 수 있다. 그리고, 3가지 유형의 피드백 서브프레임은 서로 다른 주기 및 서로 다른 우선 순위를 갖는다. 단말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하나의 피드백 서브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각 피드백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CSI 컴포넌트는 아래 방법 300, 방법 310, 방법 320, 그리고 방법 321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방법 300: 클래스 A
방법 300에서, 피드백 서브프레임 1은 RI, PTI, 그리고 WB PMI_1-1을 포함한다. 피드백 서브프레임 1에 포함된 PTI가 1인 경우(PTI=1), 피드백 서브프레임 1-2는 WB PMI_1-2 및 WB PMI_2-1을 포함하고, 피드백 서브프레임 1-3은 SB CQI(s), SB PMI_2-2, 그리고 SB 인덱스를 포함한다. 피드백 서브프레임 1에 포함된 PTI가 0인 경우(PTI=0), 피드백 서브프레임 0-2는 WB PMI_1-2 및 WB PMI_2-1을 포함하고, 피드백 서브프레임 0-3은 WB CQI(s) 및 WB PMI_2-2를 포함한다. 즉, 방법 300에서, 피드백 서브프레임 2 및 3은 피드백 서브프레임 1의 PTI에 따라서 포함하는 CSI 컴포넌트가 변경될 수 있다.
방법 300에서, 피드백 서브프레임 1은 RI 및 PTI에 추가하여 하나의 PMI 세그먼트(예를 들어, WB PMI_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이 WB PMI_1-1을 4비트 이하로 생성하는 경우, 피드백 서브프레임 1에서는 최대 8비트(RI로 3비트+ PTI로 1비트+WB PMI_1-1로 4비트)가 전송될 수 있다.
단말이 보고하는 PTI에 따라서 이후 피드백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CSI 컴포넌트가 달라질 수 있다. PTI가 1인 경우, 단말은 WB PMI_1-2 및 WB PMI_2-1을 포함하는 피드백 서브프레임 1-2를 생성하고, WB PMI_2-2 및 SB CQI(s)를 포함하는 피드백 서브프레임 1-3을 생성한다. 이때, 피드백 서브프레임 1-2에 포함되는 WB PMI_1-2 및 WB PMI_2-1은 4비트 이하일 수 있다. 따라서 피드백 서브프레임 1-2는 최대 8비트(즉, 4비트+4비트)를 전달할 수 있다. 피드백 서브프레임 1-2는 피드백 서브프레임 1-3보다 높은 우선 순위로 전송될 수 있고 더 긴 주기를 가질 수 있다. 피드백 서브프레임 1-2의 주기 및 피드백 서브프레임 1-3의 주기의 상대적인 비율은 기지국이 단말에게 설정할 수 있다. 피드백 서브프레임 1-3 중에서, PTI가 1인 경우, 최초로 전송되는 피드백 서브프레임 1-3은, BP에 포함된 규격에서 미리 결정된 하나의 SB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장 낮은 인덱스를 갖는 SB에 대응할 수 있다. 단말은 BP에서 CQI가 가장 큰 SB를 선택함으로써, 하향링크 전송량 측면에서 이점을 가질 수 있다. 단말이 선택한 SB의 인덱스(SB index)도 피드백 서브프레임 1-3에 포함될 수 있다. SB CQI(s)는 RI가 1인 경우(RI=1), 4비트이고, RI가 1보다 큰 경우(RI>1), 7비트이다. SB 인덱스는 시스템 대역폭에 따라서 최대 2비트로 표현될 수 있다. 따라서, SB PMI_2-2에게 할당될 수 있는 비트는, PUCCH 포맷 2가 사용되는 경우, RI가 1일 때 "PUCCH 포맷 2에서 전달되는 최대 CSI 비트"에서 6 비트(즉, 4비트+2비트) 만큼 부족한 양이고, RI가 1보다 클 때(RI>2), "PUCCH 포맷 2에서 전달되는 최대 CSI 비트"에서 9 비트(즉, 7비트+2비트) 만큼 부족한 양이다. PUCCH 포맷 2에서 전달되는 최대 CSI 비트를 11비트라고 하면, RI=1인 경우 단말은 SB PMI_2-2를 5비트 이하로 서브샘플링하고, RI>1인 경우 단말은 SB PMI_2-2를 2비트 이하로 서브샘플링할 수 있다.
PTI가 0인 경우(PTI=0), 단말은 WB CQI(s) 및 WB PMI(s)를 기지국에게 전달한다. PTI=0일 때 전송되는 피드백 서브프레임 0-2는 4비트 이하의 WB PMI_1-2 및 WB PMI_2-1을 포함한다. 따라서, 피드백 서브프레임 0-2에서 전송되는 비트는 최대 8비트(4비트+4비트)일 수 있다. PTI=0일 때 전송되는 피드백 서브프레임 0-2는 피드백 서브프레임 0-3 보다 더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다. 그리고, 피드백 서브프레임 0-2의 주기 및 피드백 서브프레임 0-3의 주기의 상대적 비율은 기지국이 단말에게 설정한 값에 따른다. 피드백 서브프레임 0-3에서 WB CQI(s)는 RI에 따라서 최대 7비트가 될 수 있고, WB PMI_2-2는 RI에 따라서 최대 4비트가 될 수 있다. 따라서 피드백 서브프레임 0-3은 최대 11비트(7비트+4비트)가 될 수 있다.
방법 300에서 2차원 CB의 한 가지 예로서, 2차원 CB가 수직 CB 및 수평 CB로 분해(decompose)될 수 있다. 이때, PMI_1 및 PMI_2는 각각 vPMI 및 hPMI에 대응될 수 있고, 수직 CB 및 수평 CB는 더블 CB이므로 PMI 세그먼트는 1st PMI 또는 2nd PMI에 대응할 수 있다. 또는 PMI_1은 1st PMI 에 해당하고, PMI_2는 2nd PMI에 각각 대응할 수 있다. 이 때, PMI_1은 PMI_1-1 과 PMI_1-2로 분할될 수 있고, 분할된 PMI는 각각 vPMI 및 hPMI 또는 hPMI 및 vPMI 에 대응할 수 있다. PMI_2는 빔 선택 성분과 코-페이즈 기능을 가지며, 필요한 경우 PMI_2-1 및 PMI_2-2로 분할되어 빔 선택 성분과 코-페이즈 성분이 나누어 할당될 수 있다. 이때, PMI_2-1은 코-페이즈 성분을 갖지 않는다. 아래 방법 310에서 WB H2 및 SB H2는 각각 빔 선택 성분 및 코-페이즈 성분을 모두 포함하거나, 또는 코-페이즈 성분만을 포함할 수 있고, WB V2는 코-페이즈 성분 없이 빔 선택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방법 310: 클래스 A
방법 310에서, 피드백 서브프레임 1은 RI, PTI, 그리고 WB V1을 포함한다. 피드백 서브프레임 1의 PTI가 1인 경우(PTI=1), 피드백 서브프레임 1-2는 WB H1 와 SB V2를 포함할 수 있고, 피드백 서브프레임 1-3은 SB CQI(s), SB H2, 그리고 SB 인덱스를 포함할 수 있다. 피드백 서브프레임 1의 PTI가 0인 경우(PTI=0), 피드백 서브프레임 0-2는 WB H1 및 WB V2 또는 WB H1 및 BP V2를 포함할 수 있고, 피드백 서브프레임 0-3은 WB CQI(s) 및 WB H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BP V2는 단말이 고려하는 BP(bandwidth part)에서 도출된 V2를 의미한다.
피드백 서브프레임 1이 RI 및 PTI를 포함하는 경우, V1, V2, H1, 그리고 H2를 전송하기 위하여 2개 이상의 피드백 서브프레임이 필요하다. 이 경우 피드백 서브프레임이 3개 이상이 되고, 이것은 채널 상관 시간에 따라서 CSI 피드백 동작에 제약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방법 310에서 피드백 서브프레임 1은 WB V1를 더 포함한다. WB V1이 변하는 경우는 단말이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이고, 실내에 위치한 단말은 수직 방향의 이동성이 매우 적고 실외에 위치한 단말도 실질적으로는 수직 방향의 이동성이 적다. RI는 단말이 8개 이하의 계층(layer)를 수신하는 경우 3비트가 될 수 있고, PTI는 1비트이다. WB V1의 비트는, 단말에 설정된 2차원 CB에서 표현되는 V1의 개수로 결정될 수 있고, 이때 개수는 RI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WB V1가 4비트로 결정되는 경우, 피드백 서브프레임 1에서 전달되는 최대 CSI 비트는 8비트(3비트+1비트+4비트)이고, LTE 규격의 PUCCH 포맷 2가 사용될 수 있다.
피드백 서브프레임 1-2에 포함되는 WB H1 및 WB V2의 비트는 단말에 설정된 2차원 CB 및 안테나 포트의 최대 개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WB H1 및 WB V2가 최대 4비트로 제한되는 경우, 피드백 서브프레임 1-2에서 전달되는 최대 CSI 비트는 8비트이고, LTE 규격의 PUCCH 포맷 2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피드백 서브프레임 1-3이, 단말이 SB CQI(s)를 도출하기 위해 가정한 SB H2 및 SB V2를 포함하는 경우, CSI 비트의 수는 LTE 규격의 PUCCH 포맷 2의 한계를 초과할 수 있다. 따라서, SB V2는 피드백 서브프레임 1-2에 포함되고, 이 경우 피드백 서브프레임 1-2는 WB H1, WB V2, 그리고 SB V2(또는 BP V2)를 포함할 수 있다.
피드백 서브프레임 1-3은 SB CQI를 포함하고, RI=1일 때 SB CQI는 4비트이고 RI>1일 때 SB CQIs는 7비트이다. RI>1일 때 피드백 서브프레임 1-3은 4비트의 SB CQI 및 3비트의 SB 스파셜 디퍼렌셜(spatial differential) CQI를 포함한다. 따라서, RI>1인 경우 SB CQIs(SB CQI 및 SB spatial differential CQI)는 7비트로 할당된다. SB 인덱스는 BP 내에서 단말이 선택한 SB를 지칭하기 위한 로컬 인덱스이며, 시스템 대역폭에 따라 다르지만 최대 2비트가 사용될 수 있다. SB H2에 할당될 수 있는 비트는 PUCCH 포맷 2에서 전달되는 최대 CSI 비트에서, 6비트(4비트+2비트)(RI=1인 경우) 또는 9비트(7비트+2비트)(RI>1인 경우)를 제외한 나머지 비트이다. LTE 규격의 PUCCH 포맷 2의 최대 비트는 11비트이지만, 일반적으로 더 많은 안테나를 사용하는, 수직 빔포밍(elevation beamforming, EBF)을 지원하는 기지국은 피드백 정보의 수신 능력이 더 좋으므로, 이 경우 단말은 블록 에러율(block error rate, BER)에 따른 피드백 커버리지(feedback coverage)에 큰 영향 없이 12 비트 또는 13비트의 피드백 정보를 기지국에게 전송할 수 있다.
한편, 피드백 서브프레임 1-3에서 SB H2는 4비트가 아닐 수 있다. RI=1인 경우 피드백 서브프레임 1-3은 SB 스파셜 디퍼렌셜 CQI를 포함하지 않고 4비트의 SB 2nd PMI를 포함하지만, RI>1인 경우 피드백 서브프레임 1-3은 SB 스파셜 디퍼렌셜 CQI를 포함하고 2비트의 서브샘플링된 SB 2nd PMI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피드백 서브프레임 1-3에서 11 비트 이내가 전송되는 경우, SB H2은 2비트로 표현될 수 있다.
피드백 서브프레임 0-2는 피드백 서브프레임 1에도 포함되지 않고 WB CQI(s)와 동일한 피드백 서브프레임을 통해 전송되지 않아도 되는 CSI 컴포넌트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피드백 서브프레임 0-2는 WB H1 및 WB V2를 포함한다. WB H1 및 WB V2는 최대 4비트 일 수 있으며, 단말이 기지국에게 전달한 RI 및 기지국이 단말에게 설정한 2차원 CB에 따라 정확한 값은 변경될 수 있다. WB H1 및 WB V2가 각각 4비트로 제한되는 경우, 피드백 서브프레임 0-2는 최대 8비트(4비트+4비트)이므로, LTE 규격의 PUCCH 포맷 2가 사용될 수 있다.
피드백 서브프레임 0-3은 WB CQI(s) 및 WB H2를 포함한다. WB CQI(s)는 RI=1인 경우 최대 4비트, RI>1인 경우 최대 7비트이며, 단말이 기지국에게 전달한 RI 및 기지국이 단말에게 설정한 2차원 CB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피드백 서브프레임 0-3를 위해 LTE 규격의 PUCCH 포맷 2가 사용되기 위해서, 피드백 서브프레임 0-3의 CSI 비트는 11비트 이내로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RI=1인 경우 WB H2에 최대 7비트가 할당될 수 있고, RI>1인 경우 WB H2로 최대 4비트가 할당될 수 있다.
방법 311: 클래스 A
방법 311에서, 피드백 서브프레임 1은 RI, PTI, 그리고 WB V1을 포함한다. 피드백 서브프레임 1의 PTI가 1인 경우(PTI=1), 피드백 서브프레임 1-2는 WB H1을 포함하고, 피드백 서브프레임 1-3은 SB CQI(s), SB H2, 그리고 SB 인덱스를 포함할 수 있다. 피드백 서브프레임 1의 PTI가 0인 경우(PTI=0), 피드백 서브프레임 0-2는 WB H1을 포함하고, 피드백 서브프레임 0-3은 WB CQI(s) 및 WB H2를 포함할 수 있다. 방법 311에서, 방법 310의 V2가 생략되어 있다. 방법 311에서는, WB H2를 바탕으로 수직 및 수평 방향의 빔 선택과 다른 편파 간의 합성(cophase)이 수행될 수 있다.
방법 315: 클래스 A
방법 315에서, 피드백 서브프레임 1-1에 포함된 PTI가 1인 경우(PTI=1), 피드백 서브프레임 1-1은 RI, PTI, 그리고 WB V1을 포함하고, 피드백 서브프레임 1-2는 WB CQI(s), WB H1, 그리고 WB H2를 포함한다. 피드백 서브프레임 0-1에 포함된 PTI가 0인 경우(PTI=0), 피드백 서브프레임 0-1은 RI, PTI, 그리고 WB H1을 포함하고, 피드백 서브프레임 0-2는 WB CQI(s) 및 WB W2를 포함하며, 피드백 서브프레임 3은 SB CQI(s), SB W2, 그리고 SB 인덱스를 포함한다. 방법 315에서, PTI는 vPMI 및 hPMI를 조절하는 변수로 사용된다. 기지국은 PTI에 따라서 수신된 피드백 서브프레임이 피드백 서브프레임 1-1인지 피드백 서브프레임 0-1인지 구분할 수 있다. 기지국이 PTI를 1로 인식한 경우, 기지국은 이후에 수신된 피드백 서브프레임을 피드백 서브프레임 1-2 및 피드백 서브프레임 3으로 판단한다. 기지국이 PTI를 0으로 인식한 경우, 기지국은 이후에 수신된 피드백 서브프레임을 피드백 서브프레임 0-2 및 피드백 서브프레임 3으로 판단한다. 방법 315에서 단말은 SB CQI를 항상 기지국에게 전송할 수 있다. W2는 빔 선택과 코-페이즈를 수행할 수 있다.
방법 316: 클래스 A
방법 316에서, 피드백 서브프레임 1은 RI 및 PTI를 포함한다. 피드백 서브프레임 1에 포함된 PTI가 1인 경우(PTI=1), 피드백 서브프레임 1-2는 WB CQI(s) 및 WB W2를 포함하고, 피드백 서브프레임 1-3은 SB CQI(s), SB W2, 그리고 SB 인덱스를 포함한다. 방법 316에서 PTI가 0인 경우(PTI=0), 피드백 서브프레임 0-1은 WB V1 및 WB H1을 포함하고, 피드백 서브프레임 0-2는 WB CQI(s) 및 WB W2를 포함한다. 방법 316에서, 단말은 PTI=1인 경우 WB CQI 및 SB CQI를 기지국에게 보고하고, PTI=0인 경우 WB CQI만 기지국에게 보고할 수 있다. 피드백 서브프레임 0-1에서 WB V1 및 WB H1을 11비트 이내로 생성하기 위해서, 적절한 CB 서브샘플링(codebook subsampling)이 적용될 수 있다. W2는 수평 및 수직 차원과 무관하게, 빔 선택 및 코-페이즈를 수행할 수 있다.
방법 320: 클래스 B, K>1
방법 320에서, 피드백 서브프레임 1은 RI, PTI, 그리고 BI를 포함한다. 또는 BI의 피드백 주기가 RI 피드백 주기의 정수배인 경우, 피드백 서브프레임 1은 RI 및 PTI만 포함할 수 있다. 피드백 서브프레임 1에 포함된 PTI가 1인 경우(PTI=1), 피드백 서브프레임 1-2는 WB CQI(s) 및 WB H2를 포함하고, 피드백 서브프레임 1-3는 SB CQI(s), SB H2, 그리고 SB 인덱스를 포함한다. PTI가 0인 경우(PTI=0), 피드백 서브프레임 0-2는 WB H1을 포함하고, 피드백 서브프레임 0-3은 WB CQI(s) 및 WB H2를 포함한다. 방법 320에서, 피드백 서브프레임 1-2를 통해 CQI가 전달될 수 있다. PTI=0인 경우, 피드백 서브프레임 0-2 및 피드백 서브프레임 0-3은 각각 하나의 PMI 세그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피드백 서브프레임 1에 포함되는 RI, PTI, 그리고 BI의 부호화를 위해서, 아래에서 설명하는 방법 510 또는 방법 520이 적용될 수 있다.
방법 321: 클래스 B, K=1
방법 321에서, 피드백 서브프레임 1은 RI를 포함하고, 피드백 서브프레임 2는 WB CQI(s) 및 WB W2를 포함하며, 피드백 서브프레임 3은 SB CQI(s) 및 SB W2를 포함하고 SB 인덱스를 포함한다.
방법 321은 K=1인 경우를 나타내므로 BI 를 포함하지 않는다. 단말은 WB 프리코딩을 기지국에게 전달하지 않는다. 방법 321는, 기지국이 채널의 상호동등성(channel reciprocity)에 근거하여 단말로 하여금 기지국에게 WB W1를 피드백으로 전송하지 않도록 설정한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기지국은, 채널 상호동등성(channel reciprocity)에 따라 단말의 상향링크 신호를 사용하여 WB W1를 도출할 수 있다.
K=1 에서는 단말이 WB 프리코딩(precoding)을 기지국에게 전달하지 않으므로, 피드백 프로세스는 마치 기지국이 PTI없이 동작될 수 있다. 즉, 단말을 위한 프리코딩은 단말이 선택한 BI 에 대하여 RI 및 W2로 결정될 수 있다. 단말은 SB 프리코딩과 WB 프리코딩을 번갈아가며 기지국에게 전달한다.
아래에서는, 기지국이, 제1-1 CSI 프로세스가 제1-2 CSI 프로세스의 기준 CSI 프로세스인 것으로 단말에게 설정한 경우, 단말의 동작을 설명한다.
방법 300에 따르는 단말이 전송하는 피드백 서브프레임 1에 포함된 CSI 컴포넌트(즉, RI)가 제1-1 CSI 프로세스 및 제1-2 CSI 프로세스에서 동일하다면, LTE 규격의 RI-기준 CSI 프로세스가 적용될 수 있다.
단말이 제1-1 CSI 프로세스에서 전송하는 피드백 서브프레임 1 및 피드백 서브프레임 2에 포함된 CSI 컴포넌트(즉, RI, PTI, WB PMI_1-1, WB PMI_1-2, WB PMI_2-1)와, 단말이 제1-2 CSI 프로세스에서 전송하는 피드백 서브프레임 1 및 피드백 서브프레임 2에 포함된 CSI 컴포넌트가 동일하다면, 단말은 피드백 서브프레임 3에 포함된 CSI 컴포넌트(예를 들어, CQI, PMI_2-2)를 사용하여 제1-1 CSI 프로세스 및 제1-2 CSI 프로세스를 구분할 수 있다. "RI + WB PMI_1-1 + WB PMI_1-2 + WB PMI_2-1"가 동일하다고 여겨지려면, CSI 프로세스르 할당한 제1 기지국 및 제2 기지국이 거의 동일한 위치에 존재해야 한다. 이것은 비현실적이므로, 방법 300에서는 (RI + PTI + WB PMI_1-1)-기준 CSI 프로세스가 고려될 수 있다. 또는 (RI + WB PMI_1-1)-기준 CSI 프로세스가 고려될 수 있다.
방법 310에도 방법 300에 적용된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 제1-1 CSI 프로세스 및 제1-2 CSI 프로세스의 피드백 서브프레임 1에 포함된 CSI 컴포넌트(즉, RI, PTI, WB V1)가 서로 동일하다면, LTE 규격의 RI-기준 CSI 프로세스가 아닌, (RI + PTI + WB V1)-기준 CSI 프로세스가 고려될 수 있다. 동일한 CSI 컴포넌트를 갖는 피드백 서브프레임 1 및 피드백 서브프레임 2에 대한 두 개의 CSI 프로세스(즉, 제1-1 CSI 프로세스 및 제1-2 CSI 프로세스)가 단말에 적용되는 것은, 커버리지 측면에서 불리한 네트워크 배치이다. 따라서, 방법 310에서는 (RI + PTI + WB V1)-기준 CSI 프로세스가 고려될 수 있다. 또는 (RI + WB V1)-기준 CSI 프로세스가 고려될 수도 있다.
방법 320 및 방법 321에도 상술한 설명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며, (RI + PTI + BI)-기준 CSI 프로세스 또는 (RI + BI)-기준 CSI 프로세스가 고려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더블 2차원 CB가 사용된 CSI 리포트를 전송하는 피드백 서브프레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을 참조하면, 피드백 서브프레임 1의 PTI가 1일 때는 피드백 서브프레임 1-2 및 피드백 서브프레임 1-3이 전송되고, 피드백 서브프레임 1의 PTI가 0일 때는 피드백 서브프레임 0-2 및 피드백 서브프레임 0-3이 전송된다. 피드백 서브프레임 1-2의 주기는 20 서브프레임이고, 피드백 서브프레임 1-3의 주기는 5 서브프레임이다. 피드백 서브프레임 1-2의 우선 순위는 피드백 서브프레임 1-3의 우선 순위보다 높기 때문에, 두 피드백 서브프레임이 동시에 발생하는 경우 피드백 서브프레임 1-2가 전송된다. 피드백 서브프레임 0-2의 주기는 15 서브프레임이고, 피드백 서브프레임 0-3의 주기는 5 서브프레임이며, 피드백 서브프레임 0-2의 우선 순위가 피드백 서브프레임의 0-3의 우선 순위보다 높다. 도 3에 도시된 피드백 서브프레임 1, 피드백 서브프레임 1-2, 피드백 서브프레임 1-3, 피드백 서브프레임 0-2, 그리고 피드백 서브프레임 0-3은 방법 300, 방법 310, 그리고 방법 320에서 사용될 수 있다.
기지국이 단말에게 더블 CB를 설정하고 주기적 서브밴드 피드백 모드(periodic subband feedback mode)를 설정하는 경우, 단말은 와이드밴드 피드백 및 서브밴드 피드백을 번갈아가며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이 서브밴드 PMI를 피드백 하는 경우, 단말은 RI, PTI, 그리고 BI를 부호화하여 피드백 서브프레임을 통해 기지국에게 전달한다. 이 경우, LTE 규격의 periodic CSI reporting 모드 2-1이 적용될 수 있다.
방법 510: BI와 RI(공동으로 부호화된 BI 및 RI) 및 PTI의 부호화 방법.
방법 510에서, 단말은 RI 및 BI의 공동부호화를 통해
Figure pat00054
로 표현된 비트 스트림을 획득하고, PTI를 표현하는 1비트를 연접함으로써,
Figure pat00055
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RI 및 BI의 공동부호화 방법 610, 방법 620, 방법 630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이후, 단말은 LTE 규격에서 정의하는 (20, Q+1) 선형 블록 코드를 사용하여, 20비트의 부호화된 비트를 생성하고, 변조한다.
방법 520: BI, PTI, 그리고 RI의 부호화 방법.
방법 520에서, 단말은 RI 및 PTI가 연접된 비트 스트림을 공동부호화하고, BI를 공동으로 부호화된 RI 및 PTI에 연접함으로써, BI, PTI, 그리고 RI의 공동 부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RI, PTI, 그리고 BI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고, RI 비트 스트림 및 BI 비트 스트림은 내부적으로 순서가 보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법 520에 따르면, 단말이
Figure pat00056
에 BI를 뒷 부분으로 연접하여,
Figure pat00057
가 생성될 수 있고, 또는 BI 를 앞 부분으로 연접하여
Figure pat00058
로 생성할 수 있다. 이후, 단말은 (20, QRI+1+QBI) 선형 블록 코드를 사용하여 20 비트의 부호화된 비트를 생성하고, 변조한다. 여기서, 선형 블록 코드는 LTE 규격에 따른다.
한편, CSI 리포트는 상향링크 데이터(예를 들어, 물리 상향링크 공유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와 다중화될 수 있다. 와이드밴드 CQI 및 단일 PMI 리포트, 또는 단말 선택 서브밴드 CQI 및 단일 PMI 리포트가 LTE 규격에 따라 수행되는 경우, 단말은 아래 동작을 지시 또는 수행할 수 있다.
제1 경우: 단말이 주기적 CSI 피드백을 수행하는 경우
제2 경우: 기지국이 단말에게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지시하는 경우
제3 경우: 기지국이 단말에게 CSI 피드백을 지시하는 경우
제4 경우: 단말이 기지국에게 HARQ ACK를 전송하는 경우
제1 경우는 단말이 기지국에게 와이드밴드 CQI 및 단일 PMI 리포트, 또는 단말 선택 서브밴드 CQI 및 단일 PMI 리포트를 송신하는 경우이다. 제1 경우 및 제2 경우가 동시에 발생하면, 단말은 CSI 피드백 정보 및 데이터를 독립적으로 부호화하고(channel encoding), 부호화된 CSI 피드백 정보 및 데이터를 서로 다른 RE에 할당한다. 이때 단말에서 수행되는 부호화 프로세스 및 RE 매핑(mapping)은 LTE 규격에 따를 수 있다. 제1 경우 및 제3 경우가 동시에 발생하면, 단말은 HARQ ACK만을 전송하고, PUCCH 포맷 1, PUCCH 포맷 1a, 또는 PUCCH 포맷 1b를 이용할 수 있다. 제1 경우, 제2 경우 및 제3 경우가 동시에 발생하면, 단말은 CSI, HARQ ACK, 그리고 데이터를 독립적으로 부호화하여 전송한다.
단말이 BI를 기지국에 전달하는 경우(예를 들어, 클래스 B CSI 프로세스 등), 와이드밴드 CQI 및 단일 PMI 리포트와, 단말 선택 서브밴드 CQI 및 단일 PMI 리포트를 통해 단일 BI(single BI)가 피드백 정보로서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단일 BI는 와이드밴드에 적용된다. 아래에서는 BI를 전송하는 방법을 방법 400, 방법 410, 그리고 방법 420을 통해 설명한다.
방법 400: BI를 CQI 및 PMI와 함께 부호화하는 방법.
방법 400에서, BI는 CQI 및 PMI와 유사하게 부호화되고, 부호화된 BI는 부호화된 CQI 및 PMI가 매핑된 RE의 근처에 위치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CQI 및 PMI는 자원 블록의 위쪽 두 개의 서브캐리어에 해당하는 RE에 매핑되어 있다(변조 참조 신호(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M-RS)가 매핑된 RE 제외). 이때 BI는 CQI 및 PMI 보다 더 중요한 정보이므로, BI는 CQI 및 PMI 보다 더 낮은 부호화율로 부호화된 후 CQI 및 PMI에 연접될 수 있다. 단말은 LTE 규격에 따르는, 연접된 부호화된 비트(concatenated coded bit)를 사용하여 RE 매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BI에 대한 변조 및 코딩 방식(Modulation and coding scheme, MCS) 오프셋은 RI에 대한 MCS 오프셋과 동일한 값을 사용할 수 있다.
방법 410: 부호화된 BI를 RI와 유사하게 부호화하는 방법.
방법 410에서, BI 및 RI는 동일하게 부호화되고, 도 5를 참조하면, 부호화된 BI 및 부호화된 RI는 동일한 심볼의 다른 서브캐리어에 매핑되어 있다. 도 5에서 RI는 BI보다 아래쪽에 위치하지만, RI 및 BI의 위치가 변경되어도 BER 성능에는 무관하다. 다만 LTE 규격의 RI에 대한 RE 매핑이 LTE 규격에서와 같이 사용되는 경우, BI는 서브캐리어 인덱스 관점에서 RI의 위쪽에 위치할 수 있다. 아래 방법 410-1 및 방법 410-2를 통해 부호화된 BI의 RE 매핑 방법을 설명한다.
방법 410-1: 부호화된 BI를 PUSCH RE 매핑 이전에 매핑시키는 방법(PUSCH 레이트 매칭(rate matching)).
방법 410-1에서는, 부호화된 BI가 먼저 매핑되므로, PUSCH는 부호화된 BI가 매핑되지 않은 RE에 매핑된다. 이때, PUSCH의 부호화율이 증가할 수 있다.
방법 410-2: 부호화된 BI를 PUSCH RE 매핑 이후에 매핑시키는 방법(PUSCH 펑쳐링(puncturing)).
방법 410-2에서, PUSCH의 RE 매핑이 완료된 이후 부호화된 BI가 PUSCH에 덮어 씌워진다. 기지국은 PUSCH를 복호할 때, 부호화된 BI가 매핑된 RE를 PUSCH 복호에 사용하지 않는다.
방법 420: BI를 HARQ-ACK와 유사하게 부호화하는 방법.
방법 420에서, BI 및 RI는 동일하게 부호화되고,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부호화된 BI와 부호화된 HARQ-ACK는 동일한 심볼의 다른 서브캐리어에 매핑된다. BI 및 HARQ-ACK의 매핑 위치에 관한 서브캐리어 인덱스는 BER 성능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방법 420은 아래 방법 420-1 및 방법 420-2로 구분될 수 있다.
방법 420-1: 부호화된 BI가 아래(스케줄링 자원에서 더 낮은 서브캐리어 인덱스), 부호화된 HARQ-ACK가 위(스케줄링 자원에서 더 높은 서브캐리어 인덱스)에 매핑되는 경우.
BI는 주기적 CSI 피드백의 한 요소로서, 단말은 BI를 전송할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미리 결정할 수 있지만, HARQ-ACK의 존재는 기지국으로부터의 하향링크 스케줄링 할당(downlink scheduling assignment)을 받기 이전, 즉, 4ms 시점에 알 수 없다. 따라서, 방법 420-1에서, 도 6를 참조하면, 부호화된 BI가 먼저 매핑되고, 이후 부호화된 HARQ-ACK는 부호화된 BI과 동일한 심볼의 다른 서브캐리어 인덱스에 매핑될 수 있다. 방법 420-1에는, PUSCH 레이트 매칭(방법 410-1) 및 PUSCH 펑쳐링(방법 410-2)이 각각 적용될 수 있다. PUSCH 레이트 매칭이 적용되는 경우, 부호화된 BI가 PUSCH보다 먼저 매핑되고, 이후 PUSCH RE 매핑 시 부호화된 BI에 의해 점유된 RE는 사용되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부호화된 HARQ-ACK의 RE 매핑이 부호화된 BI에 의해 점유된 RE를 피해서 수행될 수 있다. PUSCH 펑쳐링이 적용되는 경우, PUSCH RE 매핑이 수행된 이후, 부호화된 BI의 RE 매핑이 수행되므로, PUSCH가 할당된 RE에 부호화된 BI가 재할당된다. 마지막으로 부호화된 HARQ-ACK의 RE 매핑이 부호화된 BI에 의해 점유된 RE를 피해서 수행될 수 있다.
방법 420-2: 부호화된 BI가 위(스케줄링 자원에서 더 낮은 서브캐리어 인덱스), 부호화된 HARQ-ACK가 아래(스케줄링 자원에서 더 높은 서브캐리어 인덱스)에 매핑되는 경우.
방법 420-2의 경우, LTE 규격의 HARQ-ACK RE 매핑이 활용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부호화된 HARQ-ACK가 부호화된 BI와 동일한 심볼의 다른 서브캐리어 인덱스에 위치한다. 방법 420-2에서 부호화된 RI의 RE 매핑을 위해 방법 410-1 및 방법 410-2가 고려될 수 있다. 방법 420-2에서 단말은 하향링크 스케줄링 할당을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여 HARQ-ACK의 전송을 결정한 이후 부호화된 BI의 RE 매핑을 수행한다. PUSCH의 RE 매핑이 먼저 수행되고, 이후 부호화된 HARQ-ACK 및 부호화된 BI가 PUSCH에 의해 점유된 RE에 재할당된다.
방법 430: BI가 HARQ-ACK 및 RI와 다른 심볼에 매핑되는 경우.
방법 430에서, 부호화된 BI는 부호화된 HARQ-ACK 및 부호화된 RI와 다른 심볼에 할당될 수 있다. 즉, 부호화된 BI는 RI, PUSCH, DM-RS, HARQ-ACK가 잠재적으로 점유할 수 있는 심볼 인덱스가 아닌 다른 심볼 인덱스에 할당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부호화된 BI는 각 슬롯의 0번째 및 6번째 심볼에 할당된다. 이때 부호화된 BI를 피해서 PUSCH RE 매핑이 수행될 수 있다. 단말이 사운딩(sounding) RS를 전송하는 경우, 첫 번째 슬롯의 6번째 심볼에서는 부호화된 BI 및 PUSCH가 전송되지 않는다. 따라서, 부호화된 BI의 RE 매핑은 사운딩 RS의 유무에 따라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이 사운딩 RS를 전송하는 경우, 부호화된 BI는 첫 번째 슬롯의 6번째 심볼에 매핑되지 않고 0번째 슬롯의 0번째 심볼에 매핑될 수 있다.
방법 440: BI 및 RI를 공동 부호화(jointly encoding)하는 경우.
단말은 방법 610 또는 방법 620 또는 방법630을 적용하여 BI 및 RI를 공동부호화할 수 있다. 공동부호화로 획득된 비트 스트림은 변조된 후 동일한 RE에 매핑될 수 있다. 즉, BI 및 RI가 동일한 RE에 할당될 수 있다.
도 9는 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은, 기지국(910)과 단말(920)을 포함한다. 기지국(910)은, 프로세서(processor)(911), 메모리(memory)(912), 그리고 무선 통신부(radio frequency unit, RF unit)(913)를 포함한다. 메모리(912)는 프로세서(911)와 연결되어 프로세서(911)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 또는 프로세서(911)에 의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913)는 프로세서(911)와 연결되어 무선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다. 프로세서(911)는 본 기재의 실시예에서 제안한 기능, 과정, 또는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이때, 본 기재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 계층은 프로세서(911)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910)의 동작은 프로세서(911)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단말(920)은, 프로세서(921), 메모리(922), 그리고 무선 통신부(923)를 포함한다. 메모리(922)는 프로세서(921)와 연결되어 프로세서(921)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 또는 프로세서(921)에 의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923)는 프로세서(921)와 연결되어 무선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다. 프로세서(921)는 본 기재의 실시예에서 제안한 기능, 단계, 또는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이때, 본 기재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 계층은 프로세서(921)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920)의 동작은 프로세서(921)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기재의 실시예에서 메모리는 프로세서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고, 메모리는 이미 알려진 다양한 수단을 통해 프로세서와 연결될 수 있다. 메모리는 다양한 형태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매체이며, 예를 들어, 메모리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또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20)

  1. 프로세서, 메모리, 그리고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기지국으로부터 채널 상태 정보-참조 신호(channel state information-reference signal, CSI-RS)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CSI-RS를 바탕으로, 랭크 지시(rank indication, RI), 빔 인덱스(beam index, BI), 적어도 하나의 와이드밴드 채널 품질 지시자(wideband channel quality indicator, WB CQI), WB 제1 프리코딩 매트릭스 지시자(precoding matrix indicator, PMI), 그리고 WB 제2 PMI를 포함하는 CSI 피드백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제1 피드백 서브프레임 주기에 대응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RI 및 상기 BI를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제2 피드백 서브프레임 주기에 대응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WB CQI, 상기 WB 제1 PMI, 그리고 상기 WB 제2 PMI를 전송하는 단계
    를 수행하는 단말.
  2. 제1항에서,
    상기 BI는, 상기 CSI-RS를 전송하는 빔의 지시 정보 또는 상기 CSI-RS에 해당하는 자원의 지시 정보를 상기 기지국에게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CSI 피드백 정보인, 단말.
  3. 제1항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피드백 서브프레임 주기에 대응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RI 및 상기 BI를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할 때,
    상기 BI를 상기 RI와 별개로 부호화하는 단계
    를 수행하는, 단말.
  4. 제1항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피드백 서브프레임 주기에 대응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RI 및 상기 BI를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할 때,
    상기 BI 및 상기 RI를 공동으로 부호화하는 단계
    를 수행하는, 단말.
  5. 제1항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피드백 서브프레임 주기에 대응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RI 및 상기 BI를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할 때,
    상기 BI를 상기 RI와 연접하고, (20, k)블록 코드를 사용하여 부호화하는 단계
    를 수행하는, 단말.
  6. 제1항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WB CQI는, WB CQI 및 2개의 WB CQI 간의 차이를 나타내는 3비트의 WB 스파셜 디퍼렌셜(spatial differential) CQI를 포함하는, 단말.
  7. 제1항에서,
    상기 WB 제1 PMI 및 상기 WB 제2 PMI는, 더블 코드북(double codebook)의 원소이고, 상기 더블 코드북의 PMI는 상기 WB 제1 PMI 및 상기 WB 제2 PMI의 행렬곱 또는 크로네커 곱(kronecker product), 또는 상기 WB 제1 PMI 및 상기 제2 PMI를 지시하는 인덱스의 순서쌍으로 표현되는, 단말.
  8. 프로세서, 메모리, 그리고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기지국으로부터 채널 상태 정보-참조 신호(channel state information-reference signal, CSI-RS)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CSI-RS를 바탕으로, 랭크 지시(rank indication, RI), 빔 인덱스(beam index, BI), 적어도 하나의 와이드밴드 채널 품질 지시자(wideband channel quality indicator, WB CQI), WB 제1 프리코딩 매트릭스 지시자(precoding matrix indicator, PMI), 그리고 WB 제2 PMI를 포함하는 CSI 피드백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제1 피드백 서브프레임 주기에 대응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RI, 상기 WB 제1 PMI, 그리고 상기 BI를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제2 피드백 서브프레임 주기에 대응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WB CQI 및 상기 WB 제2 PMI를 전송하는 단계
    를 수행하는 단말.
  9. 제8항에서,
    상기 BI는, 상기 CSI-RS를 전송하는 빔의 지시 정보 또는 상기 CSI-RS에 해당하는 자원의 지시 정보를 상기 기지국에게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CSI 피드백 정보인, 단말.
  10. 제8항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피드백 서브프레임 주기에 대응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RI, 상기 WB 제1 PMI, 그리고 상기 BI를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할 때,
    상기 RI, 상기 WB 제1 PMI, 그리고 상기 BI를 공동으로 부호화하는 단계
    를 수행하는, 단말.
  11. 제8항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WB CQI는, WB CQI 및 2개의 WB CQI 간의 차이를 나타내는 3비트의 WB 스파셜 디퍼렌셜(spatial differential) CQI를 포함하는, 단말.
  12. 제8항에서,
    상기 WB 제1 PMI 및 상기 WB 제2 PMI는, 더블 코드북(double codebook)의 원소이고, 상기 더블 코드북의 PMI는 상기 WB 제1 PMI 및 상기 WB 제2 PMI의 행렬곱 또는 크로네커 곱(kronecker product), 또는 WB 제1 PMI 와 WB 제2 PMI를 지시하는 인덱스의 순서쌍으로 표현되는, 단말.
  13. 프로세서, 메모리, 그리고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기지국으로부터 채널 상태 정보-참조 신호(channel state information-reference signal, CSI-RS)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CSI-RS를 바탕으로, 랭크 지시(rank indication, RI), 빔 인덱스(beam index, BI), 프리코딩 유형 지시자(precoding type indicator, PTI), 적어도 하나의 와이드밴드 채널 품질 지시자(wideband channel quality indicator, WB CQI), WB 제1 프리코딩 매트릭스 지시자(precoding matrix indicator, PMI), 그리고 WB 제2 PMI를 포함하는 CSI 피드백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제1 피드백 서브프레임 주기에 대응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RI, 상기 PTI, 그리고 상기 BI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PTI가 제1 값을 나타내면,
    제2 피드백 서브프레임 주기에 대응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WB 제1 PMI를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제3 피드백 서브프레임 주기에 대응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WB CQI 및 상기 WB 제2 PMI를 전송하는 단계
    를 수행하는 단말.
  14. 제13항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CSI-RS를 바탕으로, 적어도 하나의 서브밴드 채널 품질 지시자(subband channel quality indicator, SB CQI), SB 제2 PMI, 그리고 SB 인덱스(index)를 포함하는 CSI 피드백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PTI가 제2 값을 나타내면,
    제2 피드백 서브프레임 주기에 대응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WB CQI 및 WB 제2 PMI를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제3 피드백 서브프레임 주기에 대응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SB CQI, 상기 SB 제2 PMI, 그리고 상기 SB 인덱스를 전송하는 단계
    를 더 수행하는 단말.
  15. 제13항에서,
    상기 BI는, 상기 CSI-RS를 전송하는 빔의 지시 정보 또는 상기 CSI-RS에 해당하는 자원의 지시 정보를 상기 기지국에게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CSI 피드백 정보인, 단말.
  16. 제13항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피드백 서브프레임 주기에 대응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RI, 상기 PTI, 그리고 상기 BI를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할 때,
    상기 RI, 상기 PTI, 그리고 상기 BI를 공동으로 부호화하는 단계
    를 수행하는, 단말.
  17. 제13항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피드백 서브프레임 주기에 대응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RI, 상기 PTI, 그리고 상기 BI를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할 때,
    상기 BI 및 상기 RI를 공동으로 부호화하고, 상기 BI 및 RI에, 상기 PTI를 표현하는 비트를 연접하는 단계
    를 수행하는, 단말.
  18. 제13항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피드백 서브프레임 주기에 대응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RI, 상기 PTI, 그리고 상기 BI를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할 때,
    상기 RI 및 상기 PTI를 공동으로 부호화하고, 상기 RI 및 PTI에, 상기 BI를 표현하는 비트를 연접하는 단계
    를 수행하는, 단말.
  19. 제13항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WB CQI는, WB CQI 및 2개의 WB CQI 간의 차이를 나타내는 3비트의 WB 스파셜 디퍼렌셜(spatial differential) CQI를 포함하는, 단말.
  20. 제13항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SB CQI는, SB CQI 및 2개의 SB CQI 간의 차이를 나타내는 3비트의 SB 스파셜 디퍼렌셜(spatial differential) CQI를 포함하는, 단말.
KR1020160102757A 2015-08-13 2016-08-12 주기적으로 csi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는 단말 KR1025178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236,158 US10110290B2 (en) 2015-08-13 2016-08-12 Terminal for periodically transmitting CSI feedback information
CN201610922499.0A CN106506131B (zh) 2015-08-13 2016-08-15 用于周期性传送信道状态信息反馈信息的终端
KR1020230042057A KR102619977B1 (ko) 2015-08-13 2023-03-30 주기적으로 csi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는 단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114926 2015-08-13
KR1020150114926 2015-08-13
KR20150120416 2015-08-26
KR1020150120416 2015-08-26
KR20150133330 2015-09-21
KR1020150133330 2015-09-21
KR1020150136360 2015-09-25
KR20150136360 2015-09-25
KR1020150143059 2015-10-13
KR20150143059 2015-10-13
KR1020150160417 2015-11-16
KR20150160417 2015-11-16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2057A Division KR102619977B1 (ko) 2015-08-13 2023-03-30 주기적으로 csi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는 단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0274A true KR20170020274A (ko) 2017-02-22
KR102517868B1 KR102517868B1 (ko) 2023-04-04

Family

ID=5668384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2757A KR102517868B1 (ko) 2015-08-13 2016-08-12 주기적으로 csi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는 단말
KR1020230042057A KR102619977B1 (ko) 2015-08-13 2023-03-30 주기적으로 csi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는 단말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2057A KR102619977B1 (ko) 2015-08-13 2023-03-30 주기적으로 csi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는 단말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3131213B1 (ko)
KR (2) KR102517868B1 (ko)
CN (1) CN106506131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7511A (ko) * 2017-06-16 2020-02-18 지티이 코포레이션 채널 상태 정보 피드백을 위한 방법, 장치, 및 저장 매체
KR20210064280A (ko) * 2018-09-28 2021-06-02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전송 처리 방법, 단말 및 제어 노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10175B (zh) * 2017-06-08 2022-04-01 高通股份有限公司 用于pmi反馈的方法和装置
CN108880644B (zh) * 2017-07-26 2019-06-11 华为技术有限公司 用于数据传输的方法、装置和系统
CN109391312B (zh) * 2017-08-11 2022-11-25 华为技术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和装置
CN109391305B (zh) * 2017-08-11 2020-11-1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处理方法及装置
CN110958040B (zh) * 2018-09-27 2021-05-25 电信科学技术研究院有限公司 信道状态信息的接收方法、反馈方法、网络侧设备及终端
US10594380B1 (en) 2018-09-28 2020-03-17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Channel state information determination using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s in advanced networks
CN110213832B (zh) * 2019-05-29 2022-05-24 成都中科微信息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结合pucch周期的调度基站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29584A2 (ko) * 2010-04-12 2011-10-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안테나 지원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효율적인 피드백 방법 및 장치
CN102448113B (zh) * 2010-09-30 2014-11-0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周期性信道状态信息的发送方法及系统
CN102291228B (zh) * 2011-08-16 2014-08-06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信道状态信息的反馈、接收方法和设备
CN103828276A (zh) * 2012-06-28 2014-05-28 华为技术有限公司 信道状态信息处理方法及终端
US9225478B2 (en) * 2012-07-02 2015-12-29 Intel Corporation Supporting measurments and feedback for 3D MIMO with data transmission optimization
US9912430B2 (en) * 2012-07-06 2018-03-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nel state information feedback reporting
US8971437B2 (en) * 2012-12-20 2015-03-03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antenna array channel feedback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52425* *
3GPP TS36.212 v12.5.0* *
3GPP TS36.213 v12.3.0* *
3GPP TS36.331 v12.6.0* *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7511A (ko) * 2017-06-16 2020-02-18 지티이 코포레이션 채널 상태 정보 피드백을 위한 방법, 장치, 및 저장 매체
US11539418B2 (en) 2017-06-16 2022-12-27 Zte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for channel state information feedback and storage medium
KR20210064280A (ko) * 2018-09-28 2021-06-02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전송 처리 방법, 단말 및 제어 노드
US11800400B2 (en) 2018-09-28 2023-10-24 Vivo Mobile Communication Co., Ltd. Transmission collision processing method, terminal, and control no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1135A (ko) 2023-04-17
CN106506131B (zh) 2020-03-03
KR102517868B1 (ko) 2023-04-04
KR102619977B1 (ko) 2024-01-02
EP3131213A1 (en) 2017-02-15
EP3131213B1 (en) 2020-01-15
CN106506131A (zh) 2017-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19977B1 (ko) 주기적으로 csi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는 단말
US10110290B2 (en) Terminal for periodically transmitting CSI feedback information
KR102270375B1 (ko) 개선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선형 조합 pmi 코드북 기반 csi 보고
US1044840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ordinating multi-point transmission in advanced wireless systems
KR102436802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비주기적 채널 상태 보고 시점 지시 방법 및 장치
EP333536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si reporting on pucch
KR102414527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다이버시티 기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1996680B1 (ko) 단말 장치, 송신 방법 및 기지국 장치
KR102064939B1 (ko) 다수의 이차원 배열 안테나를 사용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피드백 송수신 방법 및 장치
WO2018186652A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다이버시티 기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JP2020058035A (ja) 減少されたフィードバックfd−mimo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20170113015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채널 상태 정보 보고 모드 설정 방법 및 장치
US11219006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uplink channe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WO2014178648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분할 빔포밍을 위하여 단말이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50135002A (ko) 다수의 이차원 배열 안테나를 사용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피드백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180008567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정보 보고 방법 및 장치
KR20150134736A (ko) 이차원 배열 안테나를 사용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채널 피드백의 생성 및 전송 방법 및 장치
EP3340487A1 (en) Channel state information feedback method and de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90051732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 송수신 방법
KR20170113464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자원 할당 방법 및 이에 기반한 데이터 수신 방법과 이를 위한 장치
US20220311452A1 (en) Device and method for reducing feedback overhead associated with bitmap reporting
Gorokhov et al. Multiple Antenna Techniques for LTE‐Advanc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