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9643A - 가상현실 기반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가상현실 기반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9643A
KR20170019643A KR1020150113716A KR20150113716A KR20170019643A KR 20170019643 A KR20170019643 A KR 20170019643A KR 1020150113716 A KR1020150113716 A KR 1020150113716A KR 20150113716 A KR20150113716 A KR 20150113716A KR 20170019643 A KR20170019643 A KR 201700196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virtual reality
interior
providing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3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2723B1 (ko
Inventor
강필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필굿하우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필굿하우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필굿하우징
Priority to KR1020150113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2723B1/ko
Publication of KR20170019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96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27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27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06F17/5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ometry (AREA)
  • Architectu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상(virtual) 현실의 3D로 모델링된 인테리어 콘텐츠를 통해 수요자 및 공급자 상호 간 최적화된 인테리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비자 혹은 건자재 생산 기업이 무선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다수의 인테리어 서비스 서버와 연동하여 인테리어 설계 시 실제와 흡사한 3D 모델링된 이미지와 상기 이미지 내 건자재들을 선정하고 단말을 이용하여 선정하고, 결과에 대한 견적을 상기 이미지가 표시된 단일 화면 내에서 확인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이를 기반으로 건자재의 마케팅을 수요자와 공급자 간 투명하고, 저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가상현실 기반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RIOR SERVICE BASED VIRTUAL REALITY}
본 발명은 가상(virtual) 현실의 3D로 모델링된 인테리어 콘텐츠를 통해 수요자 및 공급자 상호 간 최적화된 인테리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건축기술이 발달하고, 새로운 건축물들이 지어지고, 또한 오래된 건축물이 늘어나면서, 인테리어에 대한 수요자 및 공급자 각각의 개성에 맞는 인테리어를 디자인하여 연출한다.
이러한, 인테리어 공사는 복잡하고, 다양한 추가요소와, 변경사항이 있을 뿐만 아니라, 인테리어 공사에 필요한 총 소요비용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시공자가 인테리어 공사를 하고자하는 장소에 가서 직접 현장을 검토하고, 각각의 공사에 따른 공사내역과 비용을 산출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인테리어 시장은 자재와 노무비로 책정되는 견적의 경우 자재의 도매가에 대한 정보가 현저히 부족할 뿐만 아니라 업체별 시공비가 비공개로 제공되는 업계의 특성상 소자의 입장에서 객관적인 견적을 얻는데 어려움이 크다. 이에 따른 소비자의 혼란과 소비재에 대한 신뢰성 또한 문제가 생기고 결과적으로 소비자뿐만 아니라 자재를 생산하는 기업체의 성장을 저해하는 요소로 자리 잡게 된다.
자재의 홍보에 관해서도 전통적 방식의 홍보와 더불어 최근 트랜드에 맞춘 웹/모바일/SNS 마케팅을 이용하지만 이는 기업에서 자체 생산한 컨텐츠를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1차원적인 마케팅 수단이었으나, 기업에서 제공한 데이터를 토대로 대리점, 디자인 사무소, 일반 소비자까지 개별적으로 자재 정보를 이용한 컨텐츠 생간이 가능하다면 기존의 방식보다 저렴하고 효율적인 마케팅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가상(virtual) 현실의 3D로 모델링된 인테리어 콘텐츠를 통해 수요자 및 공급자 상호 간 최적화된 인테리어 서비스가 가능한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견지에 따르면, 사용자 입력을 통해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과 동시에 가상현실 기반 콘텐츠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정보 제공 서비스 지원 모드를 실행하여 대응하는 가상현실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페이지를 표시하는 과정과, 표시된 상기 가상현실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페이지 내 기설정된 메뉴 인터페이스 활성화를 통해 네트워크를 통해 연동된 인테리어 서비스 서버로부터 제공된 오브젝트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설정된 가상현실 기반 콘텐츠 서비스 정책을 기반으로 인터렉션 서비스를 동적으로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따르면, 사용자 입력을 통해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과 동시에 가상현실 기반 콘텐츠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정보 제공 서비스 지원 모드를 실행하여 대응하는 가상현실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페이지를 표시하고, 표시된 상기 가상현실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페이지 내 기설정된 메뉴 인터페이스 활성화를 통해 네트워크를 통해 연동된 인테리어 서비스 서버로부터 제공된 오브젝트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설정된 가상현실 기반 콘텐츠 서비스 정책을 기반으로 상기 인테리어 서비스 서버 제어 하에 인터렉션 서비스가 동적으로 수행되는 단말과, 다수의 인테리어 콘텐츠 제작 서버와 연동되어 각 인테리어 제작 서버에서 제공되는 오브젝트를 관리하고, 가상현실 기반 콘텐츠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정보 제공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가이드하며, 단말로부터 가상현실 기반 콘텐츠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정보 제공 서비스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각 인테리어 제작 서버를 통해 획득된 오브젝트를 연계하여 제공하는 인테리어 서비스 서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수의 인테리어 시공 견적을 신속하고 투명하게 제공 가능하고, 3D 모델링을 통해 시공 전후의 영상을 표시하여 실제 인테리어에 대한 접근성에 더 수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평균 인테리어 비용과 자재 정보를 제공하여 수요자가 보다 합리적이면서 간편하게 인테리어 서비스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전체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인테리어 서비스 서버의 동작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시공 견적 서비스 지원 모드에 관한 동작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마케팅 수행 모드에 관한 동작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구성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소정의 변형이나 혹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은 가상(virtual) 현실의 3D로 모델링된 인테리어 콘텐츠를 통해 수요자 및 공급자 상호 간 최적화된 인테리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비자 혹은 건자재 생산 기업이 무선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다수의 인테리어 서비스 서버와 연동하여 인테리어 설계 시 실제와 흡사한 3D 모델링된 이미지와 상기 이미지 내 건자재들을 선정하고 단말을 이용하여 선정하고, 결과에 대한 견적을 상기 이미지가 표시된 단일 화면 내에서 확인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이를 기반으로 건자재의 마케팅을 수요자와 공급자 간 투명하고, 저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단말을 통해 가상현실 기반 콘텐츠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정보 제공 서비스 지원 모드를 실행하여 대응하는 가상현실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페이지를 표시하고, 기설정된 메뉴 인터페이스 활성화를 통해 네트워크를 통해 연동된 인테리어 서비스 서버로부터 제공된 오브젝트 데이터(예컨대, 건축 자재)를 이용하여 기설정된 가상현실 기반 콘텐츠 서비스 정책을 기반으로 상기 인테리어 서비스 서버 제어 하에 인터렉션 서비스를 동적으로 수행하고, 다수의 인테리어 콘텐츠 제작 서버와 연동되어 각 인테리어 제작 서버에서 제공되는 오브젝트를 관리하고, 단말로부터 가상현실 기반 콘텐츠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정보 제공 서비스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각 인테리어 제작 서버를 통해 획득된 오브젝트를 연계하여 제공하는 인테리어 서비스 서버를 이용하여 가상현실 기반 콘텐츠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정보 제공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가이드함으로써 다수의 인테리어 시공 견적을 신속하고 투명하게 제공 가능하고, 3D 모델링을 통해 시공 전후의 영상을 표시하여 실제 인테리어에 대한 접근성에 더 수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평균 인테리어 비용과 자재 정보를 제공하여 수요자가 보다 합리적이면서 간편하게 인테리어 서비스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사용자 단말 노드는 디지털 방송 단말기, 개인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PC, 아이패드(Ipad), 3G, 4G LTE(Long Term Evolution) 단말기 예를 들면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단말기,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단말기, GSM/GPRS(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Packet Radio Service) 및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단말기 그리고, 위성을 사용하는 GPS등과 같은 모든 정보통신기기 및 멀티미디어 기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서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휴대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 도 1을 참조하여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전체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먼저 110 과정에서는 사용자 입력을 통해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되어 구동된다.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은 가상현실 기반 인테리어 서비스 정보 제공으로 특화된 어플리케이션으로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사용자 단말에서 인테리어 서비스 수요자 및 공급자 간 상호 작용을 통해 3D로 모델링된 콘텐츠를 기반으로 공간별 원하는 인테리어 관련 오브젝트를 동적으로 배치하고 이에 따른 견적 비용을 확인하고 다수와 공유되도록 하여 인테리어 서비스 수요자 및 공급자 상호 간 합리적인 시공을 통해 서비스의 질이 높아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112 과정에서는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과 동시에 가상현실 기반 콘텐츠 서비스 제공을 위해 기설정된 지원 모드에서 원하는 인테리어 서비스에 대응하는 모드를 스위칭하고, 114 과정에서는 기설정된 지원 모드에서 정보 제공 서비스 지원 모드 스위칭 여부를 체크하여 상기 정보 제공 서비스 지원 모드인 경우 116 과정으로 이동하여 해당 모드에 대응되게 매칭되어 제공되는 가상현실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페이지를 표시한다.
이때, 상기 기설정된 지원 모드는,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정보 제공 서비스 지원 모드를 기준으로 수행되는 가상현실 인테리어 콘텐츠별 시공 견적 산출과, 가상현실 인테리어 콘텐츠별 배치된 건축 자재에 관한 마케팅에 대응하는 서브 모드를 포함하는 것으로 단말에 입력된 사용자 인터럽트를 통해 각 모드별 스위칭이 가능하다.
상기 정보 제공 서비스 지원 모드는, 상기 인테리어 서비스 서버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연동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테리어 콘텐츠 제작 서버로부터 수집된 혹은 제공된 오브젝트를 DB화하고, 상기 기설정된 가상현실 기반 콘텐츠 서비스 정책을 기반으로 요청된 테마별로 렌더링된 오브젝트를 인테리어 관련 콘텐츠에 정합하여 3D 모델링을 수행하는 모드이다.
또한, 상기 가상현실 인테리어 콘텐츠는 가상현실 서비스 방식으로 단말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제공되는 것으로, 원하는 테마(주거 공간, 회의 공간, 업무 공간 등을 포함하는 인테리어 주제)별 혹은 시나리오(소비자가 원하는 인테리어 사양, 환경)별 인테리어의 포트폴리오(portfolio)형태로, 상기 포토폴리오가 제공되는 터치 화면상에서 인테리어 서비스 인터페이스 툴을 통해 원하는 건축 자재를 호출하여 동적으로 사용자 인터럽트를 통해 배치함으로써 해당 인테리어 서비스를 가상현실상에서 실제와 흡사하게 재현 가능하다. 이는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MD: Head Mount Display)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가상현실 인테리어 콘텐츠 영상과 더불어 추가적인 정보(예컨대, 공간에 배치되는 개체 타입별 오브젝트의 건축자재 데이터)가 3D 형태로 중첩되어 표시되거나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가상현실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페이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3차원 공간 혹은 소정 시나리오 기반 가상현실 공간이 테마별로 해당 오브젝트와 함께 표시되고, 사용자 인터럽트를 통해 오브젝트가 활성화되어 활성화된 오브젝트별 발생된 제스처(gesture) 타입에 따라 상기 오브젝트가 가상현실 공간에서 동적으로 재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오브젝트는 인테리어 서비스에 대응하는 건축 자재를 포함하고, 상기 건축 자재(벽지, 장판, 기타 장식재 등)별 기설정된 카테고리별 정보가 연관범위 내에서 다수의 인테리어 콘텐츠 제작 서버를 통해 제공된다. 이는 건축 자재 생산 기업으로부터 그래픽 데이터 형태로 네트워크를 통해 연동된 인테리어 서비스 서버로 업로드되어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인테리어 서비스 서버가 다수의 인테리어 콘텐츠 제작 서버(건축 자재 생산 기업)로부터 수집하거나 필요한 데이터를 브로드캐스팅하여 획득할 수도 있다.
한편, 114 과정의 체크 결과, 스위칭되어 선택된 모드가 정보 제공 서비스 지원 모드가 아닌 경우 A로 이동한다. A 과정의 동작은 본 발명이 적용된 단말에서 인테리어 서비스 서버로부터 제어되어 수행되는 모드로, 시공 견적 서비스 지원 모드 및 마케팅 수행 모드를 포함하며, 사용자 선택에 의해 각 모드별 스위칭이 가능하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스위칭되는 모드별 구동되는 동작을 흐름을 도 3 내지 4를 참조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시공 견적 서비스 지원 모드에 관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된 시공 견적 서비스 지원 모드의 구동을 위해서는 견적의 산출을 위해서 기본적으로 시공을 위해 필요한 자재들의 가격 정보 입력이 수행되어야 하며, VR 구축(벽지, 바닥재 선택, 가구 선택 및 배치 등) 콘텐츠 하에 배치된 자재의 사용량에 따른 가격 산정(자재 내역 관련)이 수행되고, 자재를 포함한 기본적 시공 일수 산정 및 노임 단가 정보 입력 후 부가적 견적(설계/디자인/업체수수료/추가 시공비 등)을 제외한 기초견적 제공과 기초 견적을 기반으로 역경매 방식의 업체가 선정되게 하기 위하여 310 과정에서는 시공 견적 서비스 지원 모드가 사용자 입력을 통해 모드 전환된다. 312 과정에서는 시공 견적 산출을 위한 인터렉션 서비스에 대응하는 VR 인테리어 콘텐츠를 구축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단말의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통해 수요자에게 인테리어 서비스 서버로부터 요청된 원하는 테마 혹은 시나리오에 대응하는 VR 기반 인테리어를 시공할 인테리어 콘텐츠가 전달되면 해당 콘텐츠를 단말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시공할 인테리어 콘텐츠 내에서 배치될 오브젝트(예컨대, 건축 자재에 대한 상세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인테리어 서비스 서버와 연동된 다수의 인테리어 콘텐츠 제작 서버로부터 수집하여 제공한다.
다시 말해, 상기 단말의 디스플레이부에서는 인테리어 견적이 필요한 공간, 예를 들면 방, 화장실, 거실, 주방, 베란다, 현관과 같은 인테리어 개체의 실내의 공간에서 각 개체별 오브젝트 즉, 개체별 건축 자재에 대한 견적 비용 산출을 위해 VR 콘텐츠가 디스플레이된 화면상에서 인터럽트(interrupt) 기반 개체별 활성화( 316 과정으로 이동하여 입력되는 노임 단가 및 기초 시공 일수를 네트워크를 통해 인테리어 서비스 서버로 보고하여 상기 인테리어 서비스 서버로부터 입력된 노임 단가 및 기초 시공 일수 기반으로 개체별 오브젝트에 대한 견적 비용이 산출된다(318 과정).
이때, 상기 인테리어 서비스 서버는 다수의 연동된 인테리어 콘텐츠 제작 서버(예컨대, 건축자재 생산기업)로부터 해당 데이터를 수집하거나 제공받아 3D 인테리어 개체가 위치하는 실내의 공간이 디스플레이된 사용자 단말에 사용자 인터럽트를 기준으로 표시한다.
이어서, 320 과정에서는 상술한 310 과정 내지 318 과정의 동작을 통해 인테리어 서비스 서버로부터 산출된 VR 기반 인테리어 콘텐츠 서비스 영상 내 인테리어 개체별 오브젝트에 대한 견적 비용에 대한 선택 여부를 체크한다.
체크 결과, 산정된 견적 비용이 선택된 경우 322 과정으로 이동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연동된 인테리어 서비스 서버를 통해 해당 VR 인테리어 콘텐츠에 대한 견적 비용으로 DB화되도록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인테리어 서비스 서버로 상향보고되고, 선택되지 않은 경우 312 과정으로 돌아가서 인터렉션 서비스에 대응하는 VR 인테리어 콘텐츠를 재구축한다.
여기서, 상기 인터렉션 서비스는 VR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페이지 내 오브젝트를 사용자 입력을 통해 제어하고, 제어된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VR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페이지를 시공 견적 서비스 지원 모드에 연계하여 상기 VR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페이지의 인테리어 상태에 대응하는 견적을 산출하는 서비스이거나, 견적 산출을 위한 자재 생산 기업에서 제공받은 건축 자재에 대한 마케팅 수행 모드를 수행함이다.
324 과정에서는 상기 인테리어 서비스 서버로 상향 보고된 해당 VR 인테리어 콘텐츠에 대한 견적 비용에 대한 시공업체별 개산 견적 산정이 수행되고, 수행 결과는 326 과정을 통해 해당 단말로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하향 보고된다.
328 과정에서는 상기 하향 보고의 결과에 대한 사용자 선택 여부를 체크하여, 체크 결과에 따라 시공 업체에 대한 선정이 수행된다.
계속해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마케팅 수행 모드에 관한 동작 흐름도이다.
본 발명이 적용된 마케팅 수행 모드의 구동은 VR 서비스를 위한 인테리어 서비스 서버 구축 시 건축자재 생산 업체는 관련 정보를 즉각적으로 자체 서버(인테리어 콘텐츠 제작 서비스 서버)에 업로드하여 상기 인테리어 서비스 서버와 연동하여 시간적ㆍ공간적 비효율성을 제거하고, 특정 타겟을 위한 정보 공개를 통해 마케팅에 이용하기 위한 것으로, 생산된 건축 자재의 실시간 정보공유가 가능하다.
인테리어 서비스를 위한 대리점/디자인 사무소는 건축 자재 업체에서 제공한 모델링 소스와 더불어 설명 자료를 서비스 서버를 통해 다운로드 가능하고, 인테리어 서비스 서버 내 별도 업체별 카테고리 제공이 가능하며, 건축 자재 생산 업체(일반 3D 모델링)의 이름이 표시된 파일명의 소스를 제공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이 적용된 단말에 디스플레이되는 VR 인테리어 서비스 콘텐츠 내 주요 자제에 대한 업체 명 표시가 지원되며 VR 인테리어 서비스 콘텐츠에 대한 견적 서비스 내 기업명이 표시된 자재의 내역 표시가 가능하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마케팅 수행 모드는 410 과정의 동작을 통해 구동되면 412 과정에서는 인테리어 서비스 서버를 기준으로 네트워크를 통해 연동된 다수의 인테리어 콘텐츠 제작 서버로부터의 오브젝트 데이터를 수집하여 오브젝트 통합 관리가 수행된다. 통합 관리는 기설정된 항목별로 DB화되어 수행되며, 상기 항목에는 인테리어 서비스 시 전반적으로 수행되는 인테리어 자재 정보, 공간 설계 정보, 인테리어 정보, 인테리어 사양 정보 등의 데이터가 포함된다.
414 과정에서는 인테리어 콘텐츠 서비스 타입별 오브젝트를 수집하고, 416 과정에서는 수집된 오브젝트에 식별 정보에 매칭된 파일명의 소스를 제공한다.
이후, 418 과정에서는 표시된 VR 인테리어 콘텐츠 이미지 내에서 인터럽트 발생 여부에 따라 해당 개체별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노출하여 420 과정에서 디스플레이 관련 오브젝트별 기설정된 데이터 소팅을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각 모드별 스위칭에 따른 구동을 기반으로 다시 도 1의 흐름도로 돌아가서, 118 과정에서는 표시된 VR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페이지 내 기설정된 메뉴 인터페이스 활성화를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기설정된 메뉴 인터페이스 활성화는 기설정된 가상현실 기반 콘텐츠 서비스 정책을 기반으로 수행되는 모드별 해당 아이템 관련 인터페이스 툴이 표시되어 사용자 인터럽트에 따라 선택된 아이템에 대응하는 툴이 호출되어 가상현실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페이지를 적응적으로 표시하는 것으로, 이는 120 과정에서 인테리어 공간이 디스플레이된 VR 인테리어 콘텐츠 이미지 내 개체별 오브젝트 제어를 위한 인테리어 아이템 관련 인터페이스 툴을 호출하여 122 과정을 통해 동적 인터렉션(interaction) 서비스 수행을 통해 구동된다.
한편,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인테리어 서비스 서버의 동작을 흐름을 보인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인테리어 서비스 서버는 210 과정을 통해 인테리어 서비스 콘텐츠 제공을 위한 공간별 배치되는 인테리어 개체별 복수의 오브젝트 타입의 데이터를 연동된 인테리어 콘텐츠 제작 서버를 통해 수집하여 DB화하여 저장하고, 212 과정을 통해 타입별 3D 모델링 공간을 구축하여 저장한다. 즉, 210 내지 212 과정의 동작을 기반으로 214 과정의 수집ㆍDB화를 통해 서비스 지원 모드별 인터페이스 툴 제공을 통해 단말로부터 호출된 서비스를 지원한다. 218 과정의 3D 모델링을 통해 원하는 오브젝트 데이터를 선별 적용하여 VR 인테리어 콘텐츠 이미지를 완성하고, 220 과정을 통해 완성된 VR 인테리어 콘텐츠 이미지에 대응하는 견적을 산출하고, 222 과정에서 시공완료된 인테리어 콘텐츠 서비스를 DB화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테리어 콘텐츠 서비스 서버는, 인테리어 서비스 수요자 및 공급자간 단말을 통해 인터렉션 서비스를 동적으로 수행 가능하도록 소정 시나리오 혹은 테마별로 가상현실 기반 콘텐츠 서비스 제공에 대한 시공 완료 여부를 체크하고, 체크 결과 시공 완료된 해당 콘텐츠 서비스에 대해 기설정된 데이터 항목과 연계하여 저장하고, 또한 기설정된 콘텐츠 서비스 룰에 부합하는 저장된 콘텐츠 서비스별 완성도 임계치를 분석하여 분석 결과 완성도 임계치를 초과하는 콘텐츠 서비스 제작자에게 기설정된 레벨에 따른 베네핏(benefit)이 제공되도록 다수의 인테리어 콘텐츠 제작 서버에 상기 제작자 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한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해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해 도 5를 참조하여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적용된 시스템은 다수의 단말(510, 512, 514...), 인테리어 서비스 서버(516) 및 다수의 인테리어 콘텐츠 서비스 서버(518. 520...)을 포함한다.
상기 다수의 단말(510, 512, 514...)은 사용자 입력을 통해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과 동시에 가상현실 기반 콘텐츠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정보 제공 서비스 지원 모드를 실행하여 대응하는 가상현실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페이지를 표시하고, 표시된 상기 가상현실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페이지 내 기설정된 메뉴 인터페이스 활성화를 통해 네트워크를 통해 연동된 인테리어 서비스 서버(516)로부터 제공된 오브젝트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설정된 가상현실 기반 콘텐츠 서비스 정책을 기반으로 상기 인테리어 서비스 서버(516) 제어 하에 인터렉션 서비스가 동적으로 수행된다.
여기서, 상기 기설정된 메뉴 인터페이스 활성화는, 상기 기설정된 가상현실 기반 콘텐츠 서비스 정책을 기반으로 수행되는 모드별 해당 아이템 관련 인터페이스 툴이 표시되어 사용자 인터럽트에 따라 선택된 아이템에 대응하는 툴이 호출되어 가상현실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페이지를 적응적으로 표시한다.
상기 인테리어 서비스 서버(516)는 다수의 인테리어 콘텐츠 제작 서버(518, 519...)와 연동되어 각 인테리어 제작 서버에서 제공되는 오브젝트를 관리하고, 가상현실 기반 콘텐츠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정보 제공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가이드하며, 단말(510, 512, 514...)로부터 가상현실 기반 콘텐츠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정보 제공 서비스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각 인테리어 제작 서버를 통해 획득된 오브젝트를 연계하여 제공한다.
이때, 상기 인테리어 서비스 서버(516)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동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테리어 콘텐츠 제작 서버(518, 520...)로부터 수집된 혹은 제공된 오브젝트를 DB화하고, 상기 기설정된 가상현실 기반 콘텐츠 서비스 정책을 기반으로 요청된 테마별로 렌더링된 오브젝트를 인테리어 관련 콘텐츠에 정합하여 3D 모델링을 수행하여 정보 제공 서비스 지원 모드로 스위칭된 해당 단말을 지원한다.
상기 가상현실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페이지는 인테리어 서비스 서버(516)를 통해 3차원 공간 혹은 소정 시나리오 기반 가상현실 공간이 테마별로 해당 오브젝트와 함께 단말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고, 사용자 인터럽트를 통해 오브젝트가 활성화되어 활성화된 오브젝트별 발생된 제스처(gesture) 타입에 따라 상기 오브젝트가 가상현실 공간에서 동적으로 재배치된다.
또한, 상기 인테리어 서비스 서버(516)는, 상기 인터렉션 서비스를 동적으로 수행하여 소정 시나리오 혹은 테마별로 가상현실 기반 콘텐츠 서비스 제공에 대한 시공 완료 여부를 체크하고, 체크결과 시공 완료된 해당 콘텐츠 서비스에 대해 기설정된 데이터 항목과 연계하여 저장하고, 기설정된 콘텐츠 서비스 룰에 부합하는 저장된 콘텐츠 서비스별 완성도 임계치를 분석하여 분석 결과 완성도 임계치를 초과하는 콘텐츠 서비스 제작자에게 기설정된 레벨에 따른 베네핏(benefit)이 제공되도록 다수의 인테리어 콘텐츠 제작 서버(518, 520...)에 상기 제작자 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한다.
상기 단말(510, 512, 514...)은, 상기 인테리어 서비스 서버(516) 기반하에 상기 가상현실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페이지 내 오브젝트를 사용자 입력을 통해 제어하고, 제어된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가상현실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페이지를 시공견적 서비스 지원 모드에 연계하여 상기 가상현실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페이지의 인테리어 상태에 대응하는 견적을 상기 인테리어 서비스 서버(516)로부터 제공받아 출력하여 상기 인터렉션 서비스를 동적으로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510, 512, 514: 사용자 단말 516: 인테리어 서비스 서버
518, 520: 인테리어 콘텐츠 제작 서버

Claims (15)

  1. 사용자 입력을 통해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과 동시에 가상현실 기반 콘텐츠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정보 제공 서비스 지원 모드를 실행하여 대응하는 가상현실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페이지를 표시하는 과정과,
    표시된 상기 가상현실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페이지 내 기설정된 메뉴 인터페이스 활성화를 통해 네트워크를 통해 연동된 인테리어 서비스 서버로부터 제공된 오브젝트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설정된 가상현실 기반 콘텐츠 서비스 정책을 기반으로 인터렉션 서비스를 동적으로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기반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 서비스 지원 모드는,
    상기 인테리어 서비스 서버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연동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테리어 콘텐츠 제작 서버로부터 수집된 혹은 제공된 오브젝트를 DB화하고, 상기 기설정된 가상현실 기반 콘텐츠 서비스 정책을 기반으로 요청된 테마별로 렌더링된 오브젝트를 인테리어 관련 콘텐츠에 정합하여 3D 모델링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기반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현실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페이지는,
    3차원 공간 혹은 소정 시나리오 기반 가상현실 공간이 테마별로 해당 오브젝트와 함께 표시되고, 사용자 인터럽트를 통해 오브젝트가 활성화되어 활성화된 오브젝트별 발생된 제스처(gesture) 타입에 따라 상기 오브젝트가 가상현실 공간에서 동적으로 재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기반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렉션 서비스를 동적으로 수행하는 과정은,
    상기 가상현실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페이지 내 오브젝트를 사용자 입력을 통해 제어하고, 제어된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가상현실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페이지를 시공견적 서비스 지원 모드에 연계하여 상기 가상현실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페이지의 인테리어 상태에 대응하는 견적을 산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기반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테리어 서비스 서버는,
    상기 인터렉션 서비스를 동적으로 수행하여 소정 시나리오 혹은 테마별로 가상현실 기반 콘텐츠 서비스 제공에 대한 시공 완료 여부를 체크하고, 체크결과 시공 완료된 해당 콘텐츠 서비스에 대해 기설정된 데이터 항목과 연계하여 저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기반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테리어 서비스 서버는,
    기설정된 콘텐츠 서비스 룰에 부합하는 저장된 콘텐츠 서비스별 완성도 임계치를 분석하여 분석 결과 완성도 임계치를 초과하는 콘텐츠 서비스 제작자에게 기설정된 레벨에 따른 베네핏(benefit)이 제공되도록 다수의 인테리어 콘텐츠 제작 서버에 상기 제작자 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기반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 데이터는,
    인테리어 서비스에 대응하는 건축 자재를 포함하고, 상기 건축 자재별 기설정된 카테고리별 정보가 연관범위 내에서 다수의 인테리어 콘텐츠 제작 서버를 통해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기반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메뉴 인터페이스 활성화는,
    상기 기설정된 가상현실 기반 콘텐츠 서비스 정책을 기반으로 수행되는 모드별 해당 아이템 관련 인터페이스 툴이 표시되어 사용자 인터럽트에 따라 선택된 아이템에 대응하는 툴이 호출되어 가상현실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페이지를 적응적으로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기반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방법.
  9. 사용자 입력을 통해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과 동시에 가상현실 기반 콘텐츠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정보 제공 서비스 지원 모드를 실행하여 대응하는 가상현실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페이지를 표시하고, 표시된 상기 가상현실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페이지 내 기설정된 메뉴 인터페이스 활성화를 통해 네트워크를 통해 연동된 인테리어 서비스 서버로부터 제공된 오브젝트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설정된 가상현실 기반 콘텐츠 서비스 정책을 기반으로 상기 인테리어 서비스 서버 제어 하에 인터렉션 서비스가 동적으로 수행되는 단말과,
    다수의 인테리어 콘텐츠 제작 서버와 연동되어 각 인테리어 제작 서버에서 제공되는 오브젝트를 관리하고, 가상현실 기반 콘텐츠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정보 제공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가이드하며, 단말로부터 가상현실 기반 콘텐츠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정보 제공 서비스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각 인테리어 제작 서버를 통해 획득된 오브젝트를 연계하여 제공하는 인테리어 서비스 서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기반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인테리어 서비스 서버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동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테리어 콘텐츠 제작 서버로부터 수집된 혹은 제공된 오브젝트를 DB화하고, 상기 기설정된 가상현실 기반 콘텐츠 서비스 정책을 기반으로 요청된 테마별로 렌더링된 오브젝트를 인테리어 관련 콘텐츠에 정합하여 3D 모델링을 수행하여 정보 제공 서비스 지원 모드로 스위칭된 해당 단말을 지원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기반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현실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페이지는,
    상기 인테리어 서비스 서버를 통해 3차원 공간 혹은 소정 시나리오 기반 가상현실 공간이 테마별로 해당 오브젝트와 함께 단말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고, 사용자 인터럽트를 통해 오브젝트가 활성화되어 활성화된 오브젝트별 발생된 제스처(gesture) 타입에 따라 상기 오브젝트가 가상현실 공간에서 동적으로 재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기반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인테리어 서비스 서버 기반 하에 상기 가상현실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페이지 내 오브젝트를 사용자 입력을 통해 제어하고,
    제어된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가상현실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페이지를 시공견적 서비스 지원 모드에 연계하여 상기 가상현실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페이지의 인테리어 상태에 대응하는 견적을 상기 인테리어 서비스 서버로부터 제공받아 출력하여 상기 인터렉션 서비스를 동적으로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기반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인테리어 서비스 서버는,
    상기 인터렉션 서비스를 동적으로 수행하여 소정 시나리오 혹은 테마별로 가상현실 기반 콘텐츠 서비스 제공에 대한 시공 완료 여부를 체크하고, 체크결과 시공 완료된 해당 콘텐츠 서비스에 대해 기설정된 데이터 항목과 연계하여 저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기반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인테리어 서비스 서버는,
    기설정된 콘텐츠 서비스 룰에 부합하는 저장된 콘텐츠 서비스별 완성도 임계치를 분석하여 분석 결과 완성도 임계치를 초과하는 콘텐츠 서비스 제작자에게 기설정된 레벨에 따른 베네핏(benefit)이 제공되도록 다수의 인테리어 콘텐츠 제작 서버에 상기 제작자 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기반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메뉴 인터페이스 활성화는,
    상기 기설정된 가상현실 기반 콘텐츠 서비스 정책을 기반으로 수행되는 모드별 해당 아이템 관련 인터페이스 툴이 표시되어 사용자 인터럽트에 따라 선택된 아이템에 대응하는 툴이 호출되어 가상현실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페이지를 적응적으로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기반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150113716A 2015-08-12 2015-08-12 가상현실 기반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7227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3716A KR101722723B1 (ko) 2015-08-12 2015-08-12 가상현실 기반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3716A KR101722723B1 (ko) 2015-08-12 2015-08-12 가상현실 기반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9643A true KR20170019643A (ko) 2017-02-22
KR101722723B1 KR101722723B1 (ko) 2017-04-18

Family

ID=58314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3716A KR101722723B1 (ko) 2015-08-12 2015-08-12 가상현실 기반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272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7597A (ko) * 2019-08-09 2021-02-17 황은기 실패 비용 방지를 위한 vr 비젼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KR20210150828A (ko) * 2020-06-04 2021-12-13 황은기 전문가 시스템을 이용한 ar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KR102556610B1 (ko) * 2022-01-19 2023-07-19 주식회사 에스씨컴퍼니 3d 기반 인테리어 커스터마이징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3092B1 (ko) 2019-11-05 2022-05-03 (주)일리드 실내 인테리어 디자인 생성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4540B1 (ko) * 2013-03-23 2013-11-28 한문희 가상 셀프인테리어 서비스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7597A (ko) * 2019-08-09 2021-02-17 황은기 실패 비용 방지를 위한 vr 비젼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KR20210150828A (ko) * 2020-06-04 2021-12-13 황은기 전문가 시스템을 이용한 ar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KR102556610B1 (ko) * 2022-01-19 2023-07-19 주식회사 에스씨컴퍼니 3d 기반 인테리어 커스터마이징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2723B1 (ko) 2017-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4763B1 (ko) 가상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US20140095122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customizing a building via a virtual environment
US10067635B2 (en) Three dimensional conditional formatting
CN107169247B (zh) 基于3d云设计的家居行业服务系统
CN103247004B (zh) 一种基于机电集成bim模型的信息管理方法与系统
KR101722723B1 (ko) 가상현실 기반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N104954410A (zh) 消息推送方法、装置及服务器
CN104966220A (zh) 一种商品信息的推送和用户习惯分析方法及系统
US1119495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duct visualization using a single-page application
CN106600704A (zh) 一种基于移动互联网和云平台的虚拟家装系统
CN105354025A (zh) 基于移动应用的业务模型配置系统和方法
KR20150100336A (ko) 온라인 인테리어 공사 토탈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CN109062779A (zh) 测试控制方法、主控设备、被控设备及测试系统
CN106155511A (zh) 股票多模式详细信息装置与方法
CN107436785B (zh) 基于信息系统的Revit软件信息交互系统及交互方法
EP431827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duct visualization using a single-page application
JP2010272051A (ja) 配線設計システム及び配線設計方法
CN116610394A (zh) 基于模板和模块的数据可视化页面配置方法、系统和装置
CN104123067A (zh) 电气设备物联网系统中设备与对应图标组态及显示方法
CN114663242A (zh) 产品信息交互方法、装置、介质及设备
KR20230139070A (ko) Va기술을 기반으로 가상현실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TW201814628A (zh) 由廣告加入自選股之裝置與方法及其電腦程式產品
CN112489191A (zh) 楼宇三维模型的显示方法、设备及介质
CN205721934U (zh) 一种家具企业质量控制平台
CN112069780A (zh) 一种在第三方平台中自定义看板数据显示的控制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