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9180A - 미디어 콘텐츠 기반의 대화형 태깅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미디어 콘텐츠 기반의 대화형 태깅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9180A
KR20170019180A KR1020150113238A KR20150113238A KR20170019180A KR 20170019180 A KR20170019180 A KR 20170019180A KR 1020150113238 A KR1020150113238 A KR 1020150113238A KR 20150113238 A KR20150113238 A KR 20150113238A KR 20170019180 A KR20170019180 A KR 201700191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content
media content
tagging
med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3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58824B1 (ko
Inventor
권용무
사르키 루비나
장하은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113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8824B1/ko
Publication of KR20170019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91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8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88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30
    • G06F17/30038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ultimedia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디어 콘텐츠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및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제1 사용자 콘텐츠를 상기 미디어 콘텐츠에 태깅하는 미디어 태깅부를 포함하는 미디어 콘텐츠 기반의 대화형 태깅 장치에 관련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미디어 태깅부는, 상기 미디어 콘텐츠 내 제1 객체를 사용자 콘텐츠 제공자로 설정하고, 상기 미디어 콘텐츠 내 제2 객체를 사용자 콘텐츠 수신자로 설정한다.

Description

미디어 콘텐츠 기반의 대화형 태깅 장치 및 그 방법{DEVICE FOR CONVERSATIONAL TAGGING BASED ON MEDIA CONTENT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 음성 또는 영상을 태깅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련되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태깅되는 음성 또는 영상의 제공자 및 수신자가 표시되는 태깅 장치 및 방법에 관련된다.
최근 노인들의 스마트 기기 사용량은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 한 조사결과에 따르면 노인들의 스마트 기기를 사용하여 가족사진을 보는데 가장 많은 시간을 할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점차 기억력이 감퇴하는 노인들의 경우, 가족사진이라 할지라도 각각의 가족구성원의 이름, 나이, 가족관계에 대하여 잘 기억하지 못할 수 있다.
종래 사진에 콘텐츠(텍스트 또는 음성)을 태깅하는 기술이 존재하여, 가족 사진에 음성 메시지를 저장하고 재생할 수는 있으나, 태깅된 콘텐츠가 사진 속 누가 누구에게 보내는 콘텐츠인지 전혀 묘사하지 못하고, 복수의 콘텐츠가 태깅되는 경우 각 콘텐츠간의 관계도 전혀 표현하지 못하는 단점이 존재한다.
미국특허공개 US2013/0346068 A1 미국특허공개 US2014/0086458 A1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미지를 포함하는 미디어 콘텐츠내 각 객체들 간의 관계 및 태깅되는 콘텐츠의 제공자 및 수신자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태깅되는 콘텐츠가 복수인 경우, 콘텐츠를 시간순서로 나열하여 태깅된 콘텐츠가 대화형식으로 재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콘텐츠 기반의 대화형 태깅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미디어 콘텐츠를 표시하는 단계 및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미디어 콘텐츠 내 제1 객체 및 제2 객체에 대하여 제1 사용자 콘텐츠를 태깅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객체는 제1 사용자 콘텐츠의 제공자이고, 상기 제2객체는 제1 사용자 콘텐츠의 수신자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디어 콘텐츠 기반의 대화형 태깅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콘텐츠를 태깅하는 단계는, 사용자를 인증하는 단계, 상기 인증된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제1 객체를 사용자 콘텐츠 제공자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2 객체를 사용자 콘텐츠 수신자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디어 콘텐츠 기반의 대화형 태깅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객체는 상기 인증된 사용자에 관련된 객체이고, 사용자 인증 이후, 상기 제1 객체는 상기 미디어 콘텐츠 내 다른 객체와 구분되도록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디어 콘텐츠 기반의 대화형 태깅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객체 또는 제2 객체 각각은 하나 이상의 객체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디어 콘텐츠 기반의 대화형 태깅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객체 및 제2객체는 사람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디어 콘텐츠 기반의 대화형 태깅 방법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콘텐츠는 사진 또는 동영상이고, 상기 제1 사용자 콘텐츠는 동영상 또는 음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디어 콘텐츠 기반의 대화형 태깅 방법은,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태깅된 제1 사용자 콘텐츠를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사용자 콘텐츠가 실행되는 동안, 상기 제1 사용자 콘텐츠의 제공자 및 수신자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디어 콘텐츠 기반의 대화형 태깅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콘텐츠의 제공자, 수신자, 메타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디어 콘텐츠 기반의 대화형 태깅 방법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콘텐츠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미디어 콘텐츠 내 객체 중 적어도 하나의 객체와 나머지 객체들과의 각 관계를 상기 나머지 객체들에 오버랩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디어 콘텐츠 기반의 대화형 태깅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콘텐츠를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 콘텐츠의 음성을 재생하는 단계 또는 상기 음성의 내용을 텍스트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상술한 미디어 콘텐츠 기반의 대화형 태깅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콘텐츠 기반의 대화형 태깅 장치는 미디어 콘텐츠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및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제1 사용자 콘텐츠를 상기 미디어 콘텐츠에 태깅하는 미디어 태깅부를 포함하되, 상기 미디어 태깅부는, 상기 미디어 콘텐츠 내 제1 객체를 사용자 콘텐츠 제공자로 설정하고, 상기 미디어 콘텐츠 내 제2 객체를 사용자 콘텐츠 수신자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디어 콘텐츠 기반의 대화형 태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객체 또는 제2 객체는 하나 이상의 객체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디어 콘텐츠 기반의 대화형 태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객체 및 제2 객체는 사람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디어 콘텐츠 기반의 대화형 태깅 장치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콘텐츠는 사진 또는 동영상이고, 상기 제1 사용자 콘텐츠는 동영상 또는 음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디어 콘텐츠 기반의 대화형 태깅 장치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콘텐츠를 표시하는 미디어 콘텐츠 표시부 및 상기 제1 사용자 콘텐츠의 태깅에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태깅정보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디어 콘텐츠 기반의 대화형 태깅 장치에 있어서, 상기 태깅정보 표시부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반응하여, 상기 제1 사용자 콘텐츠를 실행시키는 콘텐츠 실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디어 콘텐츠 기반의 대화형 태깅 장치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콘텐츠 표시부는, 상기 제1 사용자 콘텐츠가 실행되는 동안, 상기 제1 사용자 콘텐츠의 제공자 및 수신자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디어 콘텐츠 기반의 대화형 태깅 장치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콘텐츠 표시부는, 상기 미디어 콘텐츠 내 객체 중 적어도 하나의 객체와 나머지 객체들과의 각 관계를 상기 나머지 객체들에 오버랩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디어 콘텐츠 기반의 대화형 태깅 장치에 있어서, 상기 태깅정보 표시부는, 상기 제1 사용자 콘텐츠의 제공자, 수신자, 메타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디어 콘텐츠 기반의 대화형 태깅 장치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저장부는, 상기 미디어 콘텐츠 내 각 객체에 대한 연락처, 메모, 및 앨범 중 하나 이상을 저장하고, 상기 콘텐츠 실행부는, 상기 각 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반응하여, 전화 또는 문자 전송, 메모 보기 또는 수정, 또는 앨범 보기 또는 수정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실행 옵션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디어 콘텐츠 기반의 대화형 태깅 장치에 있어서, 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태깅 권한을 부여하기위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사용자 인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미디어 콘텐츠 표시부는, 사용자 인증 이후, 상기 제1 객체를 상기 미디어 콘텐츠 내 다른 객체와 구분되도록 표시하되, 상기 제1 객체는 상기 인증된 사용자에 관련된 객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디어 콘텐츠 기반의 대화형 태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실행부는, 상기 제1 사용자 콘텐츠의 음성을 재생하거나 상기 음성의 내용을 텍스트로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미디어 콘텐츠에 복수개의 사용자 콘텐츠를 태깅할 수 있으며, 태깅되는 사용자 콘텐츠의 제공자 수신자가 누구인지 미디어 콘테츠를 통해 표현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미디어 콘텐츠에 표현되는 객체간 대화형식으로 사용자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고, 미디어 콘텐츠에 표현되는 객체에 대한 자신과의 관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콘텐츠 기반의 대화형 태깅 장치(1)의 구성도이다.
도 2는 화면 구성부(40)의 구성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콘텐츠 기반의 대화형 태깅 장치를 통해 표시되는 미디어 콘텐츠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사용자 콘텐츠 태깅을 위한 옵션 사항을 나타내는 도 이다.
도 5는 사용자 콘텐츠 입력으로서 음성을 입력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적인 도이다.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콘텐츠 기반의 대화형 태깅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다만, 실시형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서의 각 구성요소들의 크기는 설명을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적용되는 크기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실시예는 전적으로 하드웨어이거나, 부분적으로 하드웨어이고 부분적으로 소프트웨어이거나, 또는 전적으로 소프트웨어인 측면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부(unit)", "모듈(module)", "장치" 또는 "시스템" 등은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또는 소프트웨어 등 컴퓨터 관련 엔티티(entity)를 지칭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부, 모듈, 장치 또는 시스템 등은 실행중인 프로세스, 프로세서, 객체(object), 실행 파일(executable), 실행 스레드(thread of execution), 프로그램(program), 및/또는 컴퓨터(computer)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컴퓨터에서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및 컴퓨터의 양쪽이 모두 본 명세서의 부, 모듈, 장치 또는 시스템 등에 해당할 수 있다.
실시예들이 도면에 제시된 순서도를 참조로 하여 설명되었다. 간단히 설명하기 위하여 상기 방법은 일련의 블록들로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 블록들의 순서에 한정되지 않고, 몇몇 블록들은 다른 블록들과 본 명세서에서 도시되고 기술된 것과 상이한 순서로 또는 동시에 일어날 수도 있으며, 동일한 또는 유사한 결과를 달성하는 다양한 다른 분기, 흐름 경로, 및 블록의 순서들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방법의 구현을 위하여 도시된 모든 블록들이 요구되지 않을 수도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일련의 과정들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다만, 실시형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서의 각 구성요소들의 크기는 설명을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적용되는 크기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콘텐츠 기반의 대화형 태깅 장치(1)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콘텐츠 기반의 대화형 태깅 장치(1)에 의하면 미디어 콘텐츠에 포함되는 객체에 대하여 사용자 콘텐츠를 태깅함에 있어서, 미디어 콘텐츠뿐만 아니라, 상기 미디어 콘텐츠에 태깅되는 사용자 콘텐츠의 제공자 및 수신자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미디어 콘텐츠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태깅된 사용자 콘텐츠의 제공자 및 수신자가 누구인지 식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미디어 콘텐츠 기반의 대화형 태깅 장치(1)는 이미지 및 동영상 등을 타 장치에서 또는 자체적으로 표시하고 실행할 수 있는 임의의 전자장치로서, 서버, 스마트폰, 태블릿PC, 전자책, 노트북, 디지털 카메라, 디지털 앨범을 포함한다. 예컨대, 미디어 콘텐츠 기반의 대화형 태깅 장치(1)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 모듈(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미디어 콘텐츠 기반의 대화형 태깅 장치(1)는 데이터 저장부(10) 및 미디어 태깅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미디어 콘텐츠 기반의 대화형 태깅 장치(1)는 콘텐츠 실행부(30) 또는 화면 구성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화면 구성부(40)의 구성도이다. 도 1b를 참조하면 화면 구성부(40)는 미디어 콘텐츠 표시부(41) 및 태깅정보 표시부(42)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저장부(10)는 미디어 콘텐츠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저장장치이다. 상기 미디어 콘텐츠는 사진 또는 동영상으로서, 복수의 객체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객체는 사람 또는 사물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미디어 콘텐츠는 가족사진으로서 복수의 객체들 중 일부는 가족 구성원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가족 구성원은 본인, 아들, 딸, 며느리, 손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미디어 태깅부(20)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제1 사용자 콘텐츠를 미디어 콘텐츠에 태깅할 수 있다. 상기 제1 사용자 콘텐츠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받은 콘텐츠 이거나 타 서버에 저장된 콘텐츠의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사용자 콘텐츠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받은 음성 또는 동영상 데이터이거나, 타 서버에 저장된 음악 또는 동영상 데이터에 대한 URL 링크일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은 장치(1)와 동일한 장치이거나 장치(1)와 통신 가능한 독립된 장치일 수 있다.
미디어 태깅부(20)는 미디어 콘텐츠 내 제1 객체를 사용자 콘텐츠 제공자로 설정하고, 미디어 콘텐츠 내 제2 객체를 사용자 콘텐츠 수진자로 설정할 수 있다. 미디어 태깅부(2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명령을 수신하여 사용자 콘텐츠 제공자 및 수신자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미디어 태깅부(20)는 화면 구성부(40)를 통해 사용자 콘텐츠 제공자 및 수신자가 시각적으로 구분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콘텐츠 실행부(30)는 미디어 콘텐츠에 태깅된 사용자 콘텐츠를 실행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 콘텐츠가 음성인 경우 음성을 재생하고, 동영상인 경우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콘텐츠가 텍스트 또는 이미지인 경우 해당 이미지를 표시할 수도 있다. 예컨대 일 실시예에서 콘텐츠 실행부(30)는 음성-텍스트 변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음성 형식의 사용자 콘텐츠는 음성의 재생과 함께 음성 내용이 텍스트로 표시될 수도 있다.
화면 구성부(40)는 미디어 콘텐츠 및 사용자 콘텐츠의 태깅에 관련된 태깅정보를 사용자 단말기 화면에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화면 구성부(40)는 웹 브라우저를 통해서 상기 미디어 콘텐츠 및 태깅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에 있어서, 상기 장치(1)는 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태깅 권한을 부여하기위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사용자 인증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증에 따라서 상기 장치(1)는 미디어 콘텐츠에 포함되는 객체와 인증된 사용자의 관계를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 인증 이후, 상기 미디어 콘텐츠 표시부는, 사용자 인증 이후, 상기 제1 객체를 상기 미디어 콘텐츠 내 다른 객체와 구분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일 예에서 미디어 콘텐츠 표시부는 미디어 콘텐츠에서 제1 객체만을 표시할 수도 있다. 그리고 나서 제1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사용자 콘텐츠를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객체는 상기 인증된 사용자에 관련된 객체로서, 동일인일 수 있다.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스마트폰, 태블릿PC, 전자책, 노트북, 디지털 카메라, 디지털 앨범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태깅정보는 태깅 대상이 되는 사용자 콘텐츠의 수신자 및 제공자, 사용자 콘텐츠의 메타 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타 데이터는 사용자 콘텐츠의 종류, 시간, 용량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제1 객체 및 제2 객체는 하나 이상의 객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서로 중복되는 객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콘텐츠 기반의 대화형 태깅 장치를 통해 표시되는 미디어 콘텐츠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에서는 미디어 콘텐츠의 예시로 이미지를 나타내었으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미디어 콘텐츠는 동영상일 수 있다. 미디어 콘텐츠가 동영상인 경우, 각 프레임에 표시되는 객체를 기준으로 사용자 콘텐츠가 태깅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미디어 콘텐츠(100)의 종류는 이미지이고, 미디어 콘텐츠 내 객체들은 가족이다. 즉, 가족 구성원을 나타내는 객체들(101-106)이 미디어 콘텐츠에 표시되고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서 각 객체들을 선택하고 사용자 콘텐츠를 입력함으로써 사용자 콘텐츠를 미디어 콘텐츠(100)에 태깅할 수 있다. 또한 태깅함에 있어서, 사용자는 사용자 콘텐츠의 제공자 및 수신자를 설정할 수 있다. 객체의 선택, 제공자-수신자 설정, 사용자 콘텐츠 입력의 각 순서는 임의대로 변경될 수 있다.
각 객체들에 대한 선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미디어 콘텐츠 기반의 대화형 태깅 장치(1)는 얼굴 인식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얼굴 인식부는 미디어 콘텐츠를 분석하여 객체들의 얼굴을 인식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굴 인식 부분(101a, 103a, 105a)을 따로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얼굴 인식된 미디어 콘텐츠를 이용하여 객체를 구분하고 태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4에서 얼굴 인식 부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객체(101, 103, 105)에 대하여만 표시되었다.
도 4a 및 도 4b는 사용자 콘텐츠 태깅을 위한 옵션 사항을 나타내는 도 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미디어 콘텐츠 내 하나 이상의 객체를 화면 터치, 마우스 선택 등 사용자 단말을 통해 선택하면, 미디어 태깅부(20)는 도 4a에서와 같이 해당 객체들이 미디어 콘텐츠 제공자(201)인지 수신자(202)인지 결정하는 제공자/수신자 옵션(200)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미디어 태깅부(20)는 도 4b에서와 같이 미디어 콘텐츠에 음성을 태깅할 것인지(301) 또는 영상을 태깅할 것인지(302) 태깅 콘텐츠 타입 옵션(300)을 제공할 수 있다. 위 옵션(200, 300)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으며, 상기 옵션(200, 300)은 미디어 콘텐츠(100) 상에 오버랩되어 팝업창으로 표시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미디어 콘텐츠(100) 내 객체(103)을 선택 후, 제공자/수신자 옵션(200)에서 제공자(201)를 선택하고, 태깅 콘텐츠 타입을 음성(301)을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객체(101)을 선택하여 제공자/수신자 옵션(200)에서 수신자(202)를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사용자 콘텐츠를 입력할 수 있다.
상술한 콘텐츠 제공자, 수신자 및 사용자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 입력은 사용자 인증 후 수행될 수 있다.
도 5는 사용자 콘텐츠 입력으로서 음성을 입력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적인 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 콘텐츠 제공자로 선택된 객체(103) 및 사용자 콘텐츠 수신자로 선택된 객체(101)가 콘텐츠 전달 방향(f1)과 함께 사용자 콘텐츠 입력창(400)에 나타난다. 상기 사용자 콘텐츠 입력창(400)에는 입력되는 사용자 콘텐츠의 타임라인(tb1) 및 시간(t1)이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콘텐츠 입력이 종료되면 저장 버튼(401)을 이용하여 사용자 콘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사용자가 입력한 음성 메시지인 사용자 콘텐츠는 객체(103)을 제공자로 하고, 객체(101)을 수신자로 하여 미디어 콘텐츠(100)에 태깅되고 미디어 콘텐츠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태깅이 완료되면, 제3자 또는 사용자는 미디어 콘텐츠에 태깅된 사용자 콘텐츠를 실행과 함께 제공자 및 수신자를 확인할 수 있다.
미디어 콘텐츠 기반의 대화형 태깅 장치(1)는 상술한 바와 같이 미디어 콘텐츠가 표시된 상태에서 추가적인 옵션(200, 300, 400)을 통해서 사용자 콘텐츠를 태깅할 수 있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하기에서 설명되는 인터페이스 화면에 의해 구현될 수 도 있다.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콘텐츠 기반의 대화형 태깅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미디어 콘텐츠 기반의 대화형 태깅 인터페이스는 미디어 콘텐츠를 표시하는 미디어 콘텐츠 표시부(41) 및 태깅에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태깅정보 표시부(42), 미디어 콘텐츠 모드 변경부(43a, 43b), 사용자 정보 표시부(44), 태깅 추가부(45), 콘텐츠 제공자/수신자 설정부(46a, 46b) 를 포함할 수 있다.
미디어 콘텐츠 표시부(41)은 미디어 콘텐츠(100)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미디어 콘텐츠 표시부(41)은 미디어 콘텐츠 모드 변경부(43a, 43b)에 따라서 원본모드(43a)에서는 원본 이미지를 표시하고, 대화형 모드(43b)에서는 제공자/ 수신자가 및 태깅이 표시된 상태(43b)를 나타낼 수 있다.
태깅정보 표시부(42)은 미디어 콘텐츠(100)에 대하여 태깅된 태깅정보(4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태깅정보 표시부(42)에 포함되는 태깅정보는 도 7에서와 같이 복수(421,422)일 수 있다.
태깅정보(421)는 콘텐츠 제공자(103), 콘텐츠 수신자(101), 콘텐츠 전달 방향(f1), 태깅관련 메타정보(4211) 및 사용자 콘텐츠 실행버튼(4212)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콘텐츠 실행버튼(4212)의 입력에 반응하여 사용자 콘텐츠 실행부(30)는 해당되는 사용자 콘텐츠를 실행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 표시부(44)는 사용자 콘텐츠 태깅을 위해 상기 미디어 콘텐츠에 접근한 사용자를 식별하는 정보를 나타낸다. 예컨대 사용자 정보 표시부(44)는 사용자의 로그인 아이디 또는 이름을 나타낼 수 있다.
예컨대 미디어 콘텐츠(100)는 Jack의 가족사진이고 Jack은 객체(103)으로 표시되고, Jack의 아버지 John은 객체(101)로 표시될 때, Jack(103)은 John(101)에게 음성 메시지를 남기기 위해서 상기 인터페이스에 접속하여 Jack(103)과 John(101)을 사용자 콘텐츠 제공자 및 수신자로 각각 설정하고 음성을 녹음함으로써 음성 메시지를 태깅할 수 있다.
또한 이를 위해 Jack은 사용자 인증을 거치고, 상기 인증에 따라서 장치(1)는 인증된 사용자가 Jack이고 상기 미디어 콘텐츠 내 객체(103)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장치(1)는 미디어 콘텐츠 내에서 객체(103)을 다른 객체들과 구분되도록 표시하거나 객체(103)만을 표시할 수 있다.
그 후 jack은 구분되거나 홀로 표시된 객체(103)을 선택하여 자신의 사용자 콘텐츠를 입력하고, 그 콘텐츠의 수신자(도 3에서는 객체(101))를 지정할 수 있다.
태깅 추가부(45)는 하나의 미디어 콘텐츠에 대하여 태깅을 추가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도 7을 참조하면 태깅정보(421)에 더하여 태깅정보(431)가 추가로 입력되어 있다.
태깅정보(421)는 객체(103)이 객체(101)에 대하여 태깅한 것을 나타내고, 태깅정보(431)은 객체(105) 및 객체(106)이 동시에 객체(101)에 대하여 태깅한 것을 나타낸다.
상기 콘텐츠 제공자 설정부(46a) 및 콘텐츠 수신자 설정부(46b)는 도 4a의 제공자/수신자 옵션(200)과 유사한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태깅되는 콘텐츠의 제공자 및 수신자를 설정하기 위한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미디어 콘텐츠(100)에 대한 사용자 콘텐츠의 태깅을 표시하기 위해서 미디어 콘텐츠 표시부(41)는 사용자 콘텐츠의 태깅에 관련된 객체들을 다른 객체들과 구별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콘텐츠 제공자인 객체(103)에 대하여 네모 상자(P1)를 표시하고 수진자인 객체(101)에 대하여 다른 형태 또는 색의 네모상자(R1)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식별표시는 예시적인 것으로 다양한 방법이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f11) 및 (f21)로 콘텐츠 제공자 및 수신자가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식별표시(P1, R1, f11, f21)은 해당 사용자 콘텐츠가 실행되는 중에만 표시될 수도 있다.
도 6 및 도 7에서 콘텐츠 제공 방향은 태깅정보(421,431)에 화살표(424,434)로 표시되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디어 콘텐츠(100) 내에 화살표(110a) 또는 화살표(110b)를 통해서 콘텐츠 제공자 및 수신자가 표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자 콘텐츠 제공자는 복수일 수 있고, 사용자 콘텐츠 수신자도 복수일 수 있다. 도 8의 태깅정보(422)를 참조하면 사용자 콘텐츠 제공자는 두 개의 객체(105, 106)이고, 도 9의 태깅정보(422)를 참조하면 사용자 콘텐츠 제공자는 두 개의 객체(105, 106)이고 사용자 콘텐츠 수신자는 두 개의 객체(101, 102)이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하나의 사용자 콘텐츠 제공자가 복수의 객체에 대하여 사용자 콘텐츠를 제공할 수도 있다.
도 6 내지 도 10의 미디어 콘텐츠(100)가 John의 가족 사진인 경우를 가정해 본다. 미디어 콘텐츠(100)에 표시된 가족 중 가장 연장자인 John(101)에게 그의 아들인 Jack(103)이 음성 메시지를 남기고, 이에 더하여John(101)에게 그의 손자 손녀(105, 106)이 음성 메시지를 남긴 것이 나타난다.
도 10을 참조하면 일 예에서 상기 미디어 콘텐츠 표시부(41)는, 상기 미디어 콘텐츠 내 객체 중 적어도 하나의 객체와 나머지 객체들과의 각 관계를 상기 나머지 객체들에 오버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미디어 콘텐츠의 각 객체간 관계를 객체(101)를 중 심으로 표시하면, 각각 아들, 며느리, 아내, 손자, 손녀 등의 관계정보(120)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관계정보(120)는 대상 객체의 이름 또는 현재 나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객체(105)에 대하여 "손자, David, 5살"이 관계정보(120)로서 오버랩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데이터 저장부(10)는 상기 미디어 콘텐츠 내 각 개체에 대한 연락처, 메모 및 앨범 중 하나 이상을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콘텐츠 실행부(30)는 각 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반응하여 전화 또는 문자전송, 메모 보기 또는 수정, 또는 앨범 보기 또는 수정 중 하나 이상을 실행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객체(104)가 선택되면 콘텐츠 실행부(30)는 상기 객체(104)에 대한 부가기능 창(500)을 실행시킬 수 있다. 상기 부가기능 창(500)은 연락하기(510), 메모(520), 앨범보기(530) 중 하나 이상에 대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미디어 콘텐츠를 기반으로 미디어 콘텐츠에 포함되는 객체(다른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축적하거나 연락할 수 있다. 전화 또는 문자 등의 연락을 위해서 상기 장치(1)는 마이크 및 스피커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미디어 콘텐츠의 사용자가 노인인 경우, 가족 사진(미디어 콘텐츠)를 중심으로 메시지를 저장하고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더 나아가 연락도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콘텐츠 기반의 대화형 태깅 방법은 미디어 콘텐츠를 표시하는 단계 및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미디어 콘텐츠 내 제1 객체 및 제2 객체에 대하여 제1 사용자 콘텐츠를 태깅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객체는 제1 사용자 콘텐츠의 제공자이고, 상기 제2객체는 제1 사용자 콘텐츠의 수신자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사용자 콘텐츠를 태깅하는 단계는, 사용자를 인증하는 단계, 상기 인증된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제1 객체를 사용자 콘텐츠 제공자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2 객체를 사용자 콘텐츠 수신자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 콘텐츠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객체는 상기 인증된 사용자에 관련된 객체이고,
사용자 인증 이후, 상기 제1 객체는 상기 미디어 콘텐츠 내 다른 객체와 구분되도록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객체 또는 제2 객체 각각은 하나 이상의 객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객체 및 제2객체는 사람 또는 사물일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객체들은 가족 구성원들일 수 있다.
상기 미디어 콘텐츠는 사진 또는 동영상이고, 상기 제1 사용자 콘텐츠는 동영상 또는 음성일 수 있으나 이에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콘텐츠 기반의 대화형 태깅 방법은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태깅된 제1 사용자 콘텐츠를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사용자 콘텐츠가 실행되는 동안, 상기 제1 사용자 콘텐츠의 제공자 및 수신자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미디어 콘텐츠를 보는 사용자는 실행되는 사용자 콘텐츠의 제공자 및 수신자가 누구인지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사용자 콘텐츠의 제공자, 수신자, 메타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디어 콘텐츠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미디어 콘텐츠 내 객체 중 적어도 하나의 객체와 나머지 객체들과의 각 관계를 상기 나머지 객체들에 오버랩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각 관계는 가족관계이거나 호칭 또는 애칭일 수 있다.
상기 제1 사용자 콘텐츠를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 콘텐츠의 음성을 재생하는 단계 또는 상기 음성의 내용을 텍스트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수도 있다.
상기 제1 사용자 콘텐츠가 태깅된 이후, 상기 미디어 콘텐츠 내 제3 객체 및 제4 객체에 대하여 제2 사용자 콘텐츠를 태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하나의 미디어 콘텐츠에 대하여 복수개의 대화형 사용자 콘텐츠가 태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3 객체는 제2 사용자 콘텐츠의 제공자이고, 상기 제4객체는 제2 사용자 콘텐츠의 수신자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기록 매체는 상술한 미디어 콘텐츠 기반의 대화형 태깅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 내에 있다고 보아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23)

  1. 미디어 콘텐츠 기반의 대화형 태깅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미디어 콘텐츠를 표시하는 단계; 및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미디어 콘텐츠 내 제1 객체 및 제2 객체에 대하여 제1 사용자 콘텐츠를 태깅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객체는 제1 사용자 콘텐츠의 제공자이고, 상기 제2객체는 제1 사용자 콘텐츠의 수신자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콘텐츠 기반의 대화형 태깅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콘텐츠를 태깅하는 단계는,
    사용자를 인증하는 단계;
    상기 인증된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제1 객체를 사용자 콘텐츠 제공자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2 객체를 사용자 콘텐츠 수신자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콘텐츠 기반의 대화형 태깅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객체는 상기 인증된 사용자에 관련된 객체이고,
    사용자 인증 이후, 상기 제1 객체는 상기 미디어 콘텐츠 내 다른 객체와 구분되도록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콘텐츠 기반의 대화형 태깅 방법.
  4.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객체 또는 제2 객체 각각은 하나 이상의 객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콘텐츠 기반의 대화형 태깅 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객체 및 제2객체는 사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콘텐츠 기반의 대화형 태깅 방법.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콘텐츠는 사진 또는 동영상이고,
    상기 제1 사용자 콘텐츠는 동영상 또는 음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콘텐츠 기반의 대화형 태깅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태깅된 제1 사용자 콘텐츠를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사용자 콘텐츠가 실행되는 동안, 상기 제1 사용자 콘텐츠의 제공자 및 수신자가 함께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콘텐츠 기반의 대화형 태깅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콘텐츠의 제공자, 수신자, 메타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콘텐츠 기반의 대화형 태깅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콘텐츠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미디어 콘텐츠 내 객체 중 적어도 하나의 객체와 나머지 객체들과의 관계를 상기 나머지 객체들에 오버랩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콘텐츠 기반의 대화형 태깅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콘텐츠를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 콘텐츠의 음성을 재생하는 단계 또는 상기 음성의 내용을 텍스트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콘텐츠 기반의 대화형 태깅 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 매체.
  12. 미디어 콘텐츠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및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제1 사용자 콘텐츠를 상기 미디어 콘텐츠에 태깅하는 미디어 태깅부를 포함하되,
    상기 미디어 태깅부는, 상기 미디어 콘텐츠 내 제1 객체를 사용자 콘텐츠 제공자로 설정하고, 상기 미디어 콘텐츠 내 제2 객체를 사용자 콘텐츠 수신자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콘텐츠 기반의 대화형 태깅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객체 또는 제2 객체는 하나 이상의 객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콘텐츠 기반의 대화형 태깅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객체 및 제2 객체는 사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콘텐츠 기반의 대화형 태깅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콘텐츠는 사진 또는 동영상이고,
    상기 제1 사용자 콘텐츠는 동영상 또는 음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콘텐츠 기반의 대화형 태깅 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콘텐츠를 표시하는 미디어 콘텐츠 표시부; 및
    상기 제1 사용자 콘텐츠의 태깅에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태깅정보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콘텐츠 기반의 대화형 태깅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태깅정보 표시부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반응하여, 상기 제1 사용자 콘텐츠를 실행시키는 콘텐츠 실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콘텐츠 기반의 대화형 태깅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콘텐츠 표시부는,
    상기 제1 사용자 콘텐츠가 실행되는 동안, 상기 제1 사용자 콘텐츠의 제공자 및 수신자가 함께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콘텐츠 기반의 대화형 태깅 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콘텐츠 표시부는,
    상기 미디어 콘텐츠 내 객체 중 적어도 하나의 객체와 나머지 객체들과의 각 관계를 상기 나머지 객체들에 오버랩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콘텐츠 기반의 대화형 태깅 장치.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태깅정보 표시부는,
    상기 제1 사용자 콘텐츠의 제공자, 수신자, 메타정보를 표시하는 미디어 콘텐츠 기반의 대화형 태깅 장치.
  21. 제16항 또는 1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저장부는,
    상기 미디어 콘텐츠 내 각 객체에 대한 연락처, 메모, 및 앨범 중 하나 이상을 저장하고,
    상기 콘텐츠 실행부는, 상기 각 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반응하여, 전화 또는 문자 전송, 메모 보기 또는 수정, 또는 앨범 보기 또는 수정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실행 옵션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콘텐츠 기반의 대화형 태깅 장치.
  22. 제17항에 있어서,
    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태깅 권한을 부여하기위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사용자 인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미디어 콘텐츠 표시부는, 사용자 인증 이후, 상기 제1 객체를 상기 미디어 콘텐츠 내 다른 객체와 구분되도록 표시하되,
    상기 제1 객체는 상기 인증된 사용자에 관련된 객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콘텐츠 기반의 대화형 태깅 장치.

  23.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실행부는,
    상기 제1 사용자 콘텐츠의 음성을 재생하거나 상기 음성의 내용을 텍스트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콘텐츠 기반의 대화형 태깅 장치.
KR1020150113238A 2015-08-11 2015-08-11 미디어 콘텐츠 기반의 대화형 태깅 장치 및 그 방법 KR1017588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3238A KR101758824B1 (ko) 2015-08-11 2015-08-11 미디어 콘텐츠 기반의 대화형 태깅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3238A KR101758824B1 (ko) 2015-08-11 2015-08-11 미디어 콘텐츠 기반의 대화형 태깅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9180A true KR20170019180A (ko) 2017-02-21
KR101758824B1 KR101758824B1 (ko) 2017-07-18

Family

ID=58313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3238A KR101758824B1 (ko) 2015-08-11 2015-08-11 미디어 콘텐츠 기반의 대화형 태깅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882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346068A1 (en) 2012-06-25 2013-12-26 Apple Inc. Voice-Based Image Tagging and Searching
US20140086458A1 (en) 2011-10-07 2014-03-27 Henk B. Rogers Media tagging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9010B1 (ko) * 2007-07-19 2014-07-1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이미지를 이용한 폰북 제공 방법 및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86458A1 (en) 2011-10-07 2014-03-27 Henk B. Rogers Media tagging
US20130346068A1 (en) 2012-06-25 2013-12-26 Apple Inc. Voice-Based Image Tagging and Search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8824B1 (ko) 2017-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19713B2 (en) Techniques for grouping images
KR20140143725A (ko) 이미지 상관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024886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playback of selected video segments
US8209614B2 (en) Graphical user interface, display control device, display method, and program
US20140040712A1 (en) System for creating stories using images, and methods and interfaces associated therewith
US20130290820A1 (en) Suggestion of network content items based on social network information
US9171275B2 (en) Method for determining communicative value
KR101774914B1 (ko) 다수의 사진 공급 스토리용 시스템 및 방법
JP5870742B2 (ja) 情報処理装置、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US20130339440A1 (en) Creating, sharing and discovering digital memories
US10972254B2 (en) Blockchain content reconstitution facilitation systems and methods
CN103813126A (zh) 进行视频通话时提供用户感兴趣信息的方法及其电子装置
WO2012169112A1 (ja) コンテンツ処理装置、コンテンツ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集積回路
CN103530114A (zh) 一种图片管理方法和装置
US11348587B2 (en) Review system for online communicatio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WO2019201197A1 (zh) 图像脱敏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02750966A (zh) 再现装置和电影制作系统
JP4768846B2 (ja) 電子機器及び画像表示方法
JP2012507812A (ja) スクリーン上に表示される画像を最適化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JP2013171599A (ja) 表示制御装置および表示制御方法
CN105204718B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KR101758824B1 (ko) 미디어 콘텐츠 기반의 대화형 태깅 장치 및 그 방법
CN110381356A (zh) 音视频生成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介质
EP307374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playback of selected video segments
CN114816144B (zh) 信息显示方法、装置和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