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8773A - Switch module, front-end module, and driving method for switch module - Google Patents

Switch module, front-end module, and driving method for switch modu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8773A
KR20170018773A KR1020160098342A KR20160098342A KR20170018773A KR 20170018773 A KR20170018773 A KR 20170018773A KR 1020160098342 A KR1020160098342 A KR 1020160098342A KR 20160098342 A KR20160098342 A KR 20160098342A KR 20170018773 A KR20170018773 A KR 201700187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band
signal path
mode
switch
selec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83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850769B1 (en
Inventor
마사시 하야카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70018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877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0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076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4Transmit/receive switching
    • H04B1/48Transmit/receive switching in circuits for connecting transmitter and receiver to a common transmission path, e.g. by energy of transmit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05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 H04B1/0053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with common antenna for more than one band
    • H04B1/006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with common antenna for more than one band using switches for selecting the desired band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51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 H03K17/56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semiconductor devices
    • H03K17/687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semiconductor devices the devices being field-effect transistors
    • H03K17/693Switching arrangements with several input- or output-terminals, e.g. multiplexers, distribu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50Circuits using different frequencies for the two directions of communication
    • H04B1/52Hybrid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ransition from single-path two-direction transmission to single-direction transmission on each of two paths or vice versa
    • H04B1/525Hybrid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ransition from single-path two-direction transmission to single-direction transmission on each of two paths or vice versa with means for reducing leakage of transmitter signal into the recei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witch module capable of reducing a transmission loss of a signal in a system capable of selecting a carrier aggregation (CA) mode and a non-CA m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witch module (10) comprises: a switch circuit (20); and a variable adjustment unit (25). The switch circuit (20) may select the CA mode simultaneously using first and second frequency bands, and the non-CA mode using only the first frequency band or the second frequency band, and switches connection between an antenna device (2) and any one of a first signal path (23M) for transmitting the first frequency band, a second signal path (23H) for transmitting the second frequency band, and a third signal path (23B) simultaneously transmitting signals of the first and second frequency bands. The variable adjustment unit (25) adjusts a variable matching circuit of the third signal path (23B) when the non-CA mode is selected, or adjusts a variable matching circuit of the first signal path (23M) or the second path (23H) when the CA mode is selected.

Description

스위치 모듈, 프론트 엔드 모듈 및 스위치 모듈의 구동 방법{SWITCH MODULE, FRONT-END MODULE, AND DRIVING METHOD FOR SWITCH MODUL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witch module, a front end module,

본 발명은 무선 통신에 사용되는 스위치 모듈, 프론트 엔드 모듈 및 스위치 모듈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witch module, a front end module, and a driving method of a switch module us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휴대전화는 국제 로밍 및 통신 속도의 향상 등에 대응하기 위해서 1개의 단말에서 복수의 주파수 및 무선 방식에 대응하는 것이 요구되어 있다(멀티 밴드화 및 멀티 모드화).In order to cope with the improvement of the international roaming and the communication speed, the cellular phone is required to correspond to a plurality of frequency and radio systems in one terminal (multiband and multi mode).

특허문헌 1에는 1개의 공통 단자와 2개 이상의 선택 단자를 동시 접속하는 1입력 n출력형의 sPnT(Single Pole n Throw)의 스위치와, 그 후단에 접속되는 가변 임피던스 조정 회로와, 그 후단에 더 접속되는 듀플렉서를 포함하는 캐리어 어그리게이션(CA) 대응의 프론트 엔드 회로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다른 주파수 대역을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에도 다른 회로로의 신호 누설을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 하고 있다.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switch of a single input n-output type sPnT (Single Pole Throw) which connects one common terminal and two or more selection terminals at the same time, a variable impedance adjusting circuit connected to the subsequent stage, Discloses a front end circuit corresponding to a carrier aggregation (CA) including a duplexer to be connected.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even when different frequency bands are used at the same time, signal leakage to other circuits can be prevented.

일본 특허공개 2014-17750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14-17750

그러나, 멀티 밴드화 및 멀티 모드화에 있어서의 모든 통신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CA 모드뿐만 아니라 싱글 밴드 또는 싱글 모드를 통신으로서 사용하는 소위 비CA 모드의 통신 품질에 대해서도 고려해야만 한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프론트 엔드 회로에서는 CA 모드에서 동시 동작하는 2개의 주파수 대역 사이에서의 임피던스를 조정하고 있고, 비CA 모드에 있어서의 임피던스 조정에 대해서는 언급되어 있지 않다. 즉, CA 모드에서 동작할 경우의 비CA 모드용의 신호 경로의 임피던스 조정 및 비CA 모드에서 동작할 경우의 CA 모드용의 신호 경로의 임피던스 조정은 이루어져 있지 않다. 특히, CA 대응의 프론트 엔드 회로에 있어서 비CA 모드 동작시킬 경우 복수의 신호 경로가 스위치에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스위치 내부의 기생 성분 등에 의해 임피던스 부정합이 발생하기 쉽다. 이 때문에, 신호의 손실이 커져 통과 특성이 열화된다는 문제가 있다.However, in order to cope with all communication environments in multi-banding and multimodeling, it is necessary to consider not only CA mode but also communication quality of a so-called non-CA mode in which a single-band or a single mode is used as communication. In the front end circuit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the impedance is adjusted between the two frequency bands simultaneously operating in the CA mode, and the impedance adjustment in the non-CA mode is not mentioned. That is, the impedance adjustment of the signal path for the non-CA mode when operating in the CA mode and the impedance adjustment of the signal path for the CA mode when operating in the non-CA mode are not performed. Particularly, in the CA-compatible front-end circuit, since a plurality of signal paths are connected to the switches when operating in the CA mode, impedance mismatching is likely to occur due to parasitic components in the switches.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ignal loss is increased and the pass characteristic is deteriorated.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CA 모드 및 비CA 모드를 선택 가능한 시스템에 있어서 신호의 전파 손실을 저감할 수 있는 스위치 모듈, 프론트 엔드 모듈 및 스위치 모듈의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provides a method of driving a switch module, a front-end module, and a switch module capable of reducing signal propagation loss in a system capable of selecting a CA mode and a non- .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스위치 모듈은 무선 통신용의 제 1 주파수 대역과,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과 주파수 대역이 다른 무선 통신용의 제 2 주파수 대역을 동시에 사용하는 캐리어 어그리게이션(CA) 모드와,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 중 한쪽만을 사용하는 비CA 모드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한 스위치 모듈로서,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전파시키는 제 1 신호 경로와,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전파시키는 제 2 신호 경로와,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의 신호와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동시에 전파시키는 제 3 신호 경로와, 안테나 소자에 접속된 공통 단자, 상기 제 1 신호 경로의 일단과 접속된 제 1 선택 단자, 상기 제 2 신호 경로의 일단과 접속된 제 2 선택 단자 및 상기 제 3 신호 경로의 일단과 접속된 제 3 선택 단자를 갖고, 상기 공통 단자와 상기 제 1 선택 단자, 상기 제 2 선택 단자 및 상기 제 3 선택 단자 중 어느 하나와의 접속을 배타적으로 스위칭하는 스위치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 회로는 상기 제 1 선택 단자와 접지 단자 사이에 배치된 제 1 가변 정합 회로, 상기 제 2 선택 단자와 접지 단자 사이에 배치된 제 2 가변 정합 회로 및 상기 제 3 선택 단자와 접지 단자 사이에 배치된 제 3 가변 정합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 모듈은 상기 비CA 모드가 선택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제 3 가변 정합 회로를 가변 조정하거나, 또는 상기 CA 모드가 선택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제 1 가변 정합 회로 및 상기 제 2 가변 정합 회로 중 적어도 한쪽을 가변 조정하는 가변 조정부를 더 구비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a switch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rrier signal which simultaneously uses a first frequency band for radio communication and a second frequency band for radio communication different in frequency band from the first frequency band (CA) mode and a non-CA mode using only one of the first frequency band and the second frequency band, the switch module comprising: a first signal path for propagating a signal in the first frequency band; A second signal path for propagating the signal of the second frequency band, a third signal path for simultaneously propagating the signal of the first frequency band and the signal of the second frequency band, a common signal terminal connected to the antenna element, A first selection terminal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rst signal path, a second selection terminal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econd signal path, And a switch circuit for exclusively switch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common terminal and any one of the first selection terminal, the second selection terminal and the third selection terminal, Wherein the switch circuit includes a first variable matching circuit disposed between the first selection terminal and the ground terminal, a second variable matching circuit disposed between the second selection terminal and the ground terminal, and a second variable matching circuit disposed between the third selection terminal and the ground terminal And wherein the switch module adjusts the third variable matching circuit when the non-CA mode is selected, or adjusts the third variable matching circuit when the CA mode is selected, And a variable adjuster for variably adjust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variable matching circuit and the second variable matching circuit.

이것에 의하면, CA 모드와 비CA 모드로 개별의 신호 경로를 갖는 구성에 있어서, 가변 조정부는 무선 통신에 사용되어 있는 신호 경로의 임피던스를 조정할뿐만 아니라 무선 통신에 사용되어 있지 않은 신호 경로의 임피던스를 조정한다. 따라서, 무선 통신에 사용되어 있는 신호 경로와 사용되어 있지 않은 신호 경로 사이의 아이솔레이션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무선 통신에 사용되어 있는 신호 경로의 임피던스 부정합을 억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in the configuration having separate signal paths in the CA mode and the non-CA mode, the variable adjustment section not only adjusts the impedance of the signal path us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but also adjusts the impedance of the signal path not us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Adjus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isolation between the signal path used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and the signal path not used, and to suppress the impedance mismatch in the signal path used for the wireless communication.

또한, 상기 가변 조정부는 상기 비CA 모드 중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이 선택되었을 경우에 있어서의 상기 제 3 가변 정합 회로의 임피던스와, 상기 비CA 모드 중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이 선택되었을 경우에 있어서의 상기 제 3 가변 정합 회로의 임피던스를 다르게 해도 좋다.It is preferable that the variable adjusting section adjusts the impedance of the third variable matching circuit when the first frequency band is selected among the non-CA modes and the impedance of the third variable matching circuit when the second frequency band is selected among the non- The impedance of the third variable matching circuit may be different.

이것에 의해 비CA 모드가 선택되었을 경우이어도 선택되는 주파수 대역이 다른 경우에는 CA 모드에서 사용되는 신호 경로의 임피던스를 다르게 한다. 따라서, 특히 비CA 모드에 있어서의 임피던스 정합을 선택되는 주파수 대역에 따라 고정밀도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Thus, even when the non-CA mode is selected, the impedance of the signal path used in the CA mode is different if the selected frequency band is differen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impedance matching particularly in the non-CA mode with high accuracy according to the selected frequency band.

또한, 상기 스위치 회로는 상기 제 1 선택 단자와 상기 공통 단자의 도통 및 비도통을 스위칭하는 제 1 스위치 소자와, 상기 제 2 선택 단자와 상기 공통 단자의 도통 및 비도통을 스위칭하는 제 2 스위치 소자와, 상기 제 3 선택 단자와 상기 공통 단자의 도통 및 비도통을 스위칭하는 제 3 스위치 소자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 3 가변 정합 회로는 상기 제 3 선택 단자와 접지 단자의 도통 및 비도통을 스위칭하는 제 3 션트 스위치 소자이며, 상기 가변 조정부는 상기 비CA 모드 중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이 선택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제 3 션트 스위치 소자를 비도통 상태로 하고, 상기 비CA 모드 중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이 선택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제 3 션트 스위치 소자를 도통 상태로 해도 좋다.The switch circuit includes a first switch element for switching conduction and non-conduction between the first selection terminal and the common terminal, and a second switch element for switching conduction and non-conduction between the second selection terminal and the common terminal, And a third switch element for switching between conduction and non-conduction between the third selection terminal and the common terminal, wherein the third variable matching circuit switches conduction and non-conduction between the third selection terminal and the ground terminal Wherein the third shunt switch element makes the third shunt switch element nonconductive when the first frequency band is selected in the non-CA mode, and the third shunt switch element changes the second frequency band The third shunt switch element may be in the conduction state.

또한,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은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보다 고주파측에 할당된 주파수 대역이어도 좋다.The second frequency band may be a frequency band allocated to a higher frequency side than the first frequency band.

이것에 의해 비CA 모드 중 제 2 주파수 대역이 선택되었을 경우에는 제 3 신호 경로가 제 3 션트 스위치 소자에 의해 션트되므로 제 3 신호 경로의 일단측은 쇼트 상태가 된다. 한편, 비CA 모드 중 제 1 주파수 대역이 선택되었을 경우에는 제 3 션트 스위치 소자가 비도통 상태이므로 제 3 신호 경로의 일단측은 오픈 상태가 된다. 이것에 의해 사용하고 있는 신호의 통과 대역에 따라서 사용되어 있지 않은 제 3 신호 경로의 임피던스를 조정하므로 제 3 신호 경로와의 사이의 아이솔레이션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무선 통신에 사용되어 있는 제 1 신호 경로 및 제 2 신호 경로의 임피던스 부정합을 억제할 수 있다.As a result, when the second frequency band is selected among the non-CA modes, the third signal path is shunted by the third shunt switch element, so that one end of the third signal path is short-circuit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first frequency band is selected among the non-CA modes, since the third shunt switch element is in the non-conduction state, one end of the third signal path is in the open state. As a result, the impedance of the third signal path which is not used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pass band of the signal being used, thereby improving the isolation between the third signal path and the first signal path us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The impedance mismatching of the second signal path can be suppressed.

또한, 상기 제 3 신호 경로는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제 1 경로 및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제 2 경로를 갖고, 상기 제 3 신호 경로의 일단은 상기 제 1 경로의 일단과 상기 제 2 경로의 일단이 접속된 개소이며, 상기 제 1 경로의 타단과 상기 제 1 신호 경로의 도통 및 비도통을 스위칭하는 제 4 스위치 소자와, 상기 제 2 경로의 타단과 상기 제 2 신호 경로의 도통 및 비도통을 스위칭하는 제 5 스위치 소자를 더 구비하고, 상기 가변 조정부는 상기 비CA 모드 중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이 선택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제 4 스위치 소자를 비도통 상태로 하고, 상기 비CA 모드 중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이 선택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제 5 스위치 소자를 비도통 상태로 해도 좋다.The third signal path has a first path for selectively passing the first frequency band and a second path for selectively passing the second frequency band, and one end of the third signal path is connected to the first path A fourth switch element for switching between conduction and non-conduction between the one end of the first path and one end of the second path,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path and the first signal path; And a fifth switch element for switching conduction and non-conduction of the second signal path when the first frequency band is selected in the non-CA mode, wherein the variable adjusting section sets the fourth switch element to the non-conduction state , And when the second frequency band is selected among the non-CA modes, the fifth switch element may be in a non-conductive state.

이것에 의해 비CA 모드 중 제 1 주파수 대역이 선택되었을 경우에는 제 1 신호 경로에 대해서 용량성이 되는 제 4 스위치 소자를 통해 제 3 신호 경로의 제 1 경로가 부하 임피던스가 된다. 또한, 비CA 모드 중 제 2 주파수 대역이 선택되었을 경우에는 제 2 신호 경로에 대해서 용량성이 되는 제 5 스위치 소자를 통해 제 3 신호 경로의 제 2 경로가 부하 임피던스가 된다. 이 경우 사용하고 있는 신호의 통과 대역에 따라서 사용되어 있지 않지만 부하가 되는 제 3 신호 경로의 임피던스를 조정하고 있으므로 제 3 신호 경로 사이의 아이솔레이션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무선 통신에 사용되어 있는 제 1 신호 경로 및 제 2 신호 경로의 임피던스 부정합을 고도로 억제할 수 있다.As a result, when the first frequency band is selected among the non-CA modes, the first path of the third signal path becomes the load impedance through the fourth switch element which becomes capacitive with respect to the first signal path. When the second frequency band is selected among the non-CA modes, the second path of the third signal path becomes the load impedance through the fifth switch element which becomes capacitive with respect to the second signal path. In this case, since the impedance of the third signal path which is not used in accordance with the pass band of the signal being used is adjusted, the isolation between the third signal paths is improved, and the first signal path And the impedance mismatch of the second signal path can be highly suppressed.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는 상기와 같은 특징적인 구성을 구비한 스위치 모듈과, 제 1 신호 경로의 타단 또는 제 2 신호 경로의 타단에 접속된 듀플렉서 소자를 구비하는 프론트 엔드 모듈이어도 좋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front end module including a switch module having the above-described characteristic configuration and a duplexer element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signal path or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ignal path.

또한, 듀플렉서 소자의 송신측 단자에 접속된 파워 앰프 소자를 구비해도 좋다.Further, a power amplifier element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side terminal of the duplexer element may be provided.

또한, 듀플렉서 소자의 수신측 단자에 접속된 저잡음 앰프 소자를 구비해도 좋다.Further, a low-noise amplifier element connected to the reception-side terminal of the duplexer element may be provided.

이것에 의해 CA 모드 및 비CA 모드를 선택 가능한 시스템에 있어서 신호의 전파 손실을 저감할 수 있는 프론트 엔드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ront-end module capable of reducing signal propagation loss in a system capable of selecting a CA mode and a non-CA mode.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는 상기와 같은 특징적인 구성을 구비한 스위치 모듈 또는 프론트 엔드 모듈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은 특징적인 구성을 스텝으로 한 스위치 모듈의 구동 방법이어도 좋다.In additi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switch module or a front end module having the above-described characteristic configuration, as well as a method of driving the switch module with the above-described characteristic configuration as a step.

이것에 의해 CA 모드 및 비CA 모드를 선택 가능한 스위치 모듈에 있어서 신호의 전파 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This makes it possible to reduce signal propagation loss in a switch module capable of selecting the CA mode and the non-CA mode.

(발명의 효과)(Effects of the Invention)

본 발명에 의한 스위치 모듈에 의하면 CA 모드 및 비CA 모드를 선택 가능한 시스템에 있어서, 신호의 전파 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witch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signal propagation loss in a system that can select the CA mode and the non-CA mode.

도 1은 실시형태에 의한 프론트 엔드 모듈 및 주변 회로의 회로 구성도이다.
도 2a는 실시형태에 의한 스위치 모듈에 있어서 CA 모드가 선택되었을 경우의 회로 상태도이다.
도 2b는 실시형태에 의한 스위치 모듈에 있어서 비CA 모드(미들 밴드)가 선택되었을 경우의 회로 상태도이다.
도 2c는 실시형태에 의한 스위치 모듈에 있어서 비CA 모드(하이 밴드)가 선택되었을 경우의 회로 상태도이다.
도 3a는 실시형태에 의한 스위치 회로의 회로 구성도이다.
도 3b는 실시형태에 의한 CA 스위치 회로의 회로 구성도이다.
도 3c는 실시형태에 의한 CA 스위치 회로의 회로 구성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에 의한 스위치 모듈에 있어서 비CA 모드(미들 밴드)가 선택되었을 경우의 회로 상태 및 등가 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실시형태에 의한 스위치 모듈에 있어서 비CA 모드(하이 밴드)가 선택되었을 경우의 회로 상태 및 등가 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는 비CA 모드(미들 밴드)가 선택되었을 경우의 제 3 신호 경로로부터 제 3 선택 단자를 보았을 경우의 임피던스 상태를 나타내는 스미스차트이다.
도 6b는 비CA 모드(하이 밴드)가 선택되었을 경우의 제 3 신호 경로로부터 제 3 선택 단자를 보았을 경우의 임피던스 상태를 나타내는 스미스차트이다.
도 7a는 비CA 모드(미들 밴드)가 선택되어 제 3 션트 스위치 소자가 도통 상태일 경우의 제 1 신호 경로의 통과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b는 비CA 모드(미들 밴드)가 선택되어 제 3 션트 스위치 소자가 비도통 상태일 경우의 제 1 신호 경로의 통과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는 비CA 모드(하이 밴드)가 선택되어 제 3 션트 스위치 소자가 도통 상태일 경우의 제 2 신호 경로의 통과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b는 비CA 모드(하이 밴드)가 선택되어 제 3 션트 스위치 소자가 비도통 상태일 경우의 제 2 신호 경로의 통과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의한 스위치 회로의 회로 구성도이다.
1 is a circuit diagram of a front end module and a peripheral circu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2A is a circuit state diagram when the CA mode is selected in the switch modu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FIG. 2B is a circuit state diagram when a non-CA mode (middle band) is selected in the switch modu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2C is a circuit state diagram when a non-CA mode (high band) is selected in the switch modu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3A is a circuit configuration diagram of a switch circu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3B is a circuit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CA switch circu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3C is a circuit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CA switch circu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4 is a diagram showing a circuit state and an equivalent circuit when a non-CA mode (middle band) is selected in the switch modu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5 is a diagram showing a circuit state and an equivalent circuit when a non-CA mode (high band) is selected in the switch modu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6A is a Smith chart showing an impedance state when the third selection terminal is viewed from the third signal path when the non-CA mode (middle band) is selected.
6B is a Smith chart showing the impedance state when the third selection terminal is viewed from the third signal path when the non-CA mode (high band) is selected.
7A is a diagram showing the passing characteristic of the first signal path when the non-CA mode (middle band) is selected and the third shunt switch element is in the conduction state.
FIG. 7B is a diagram showing the passing characteristics of the first signal path when the non-conductive state of the third shunt switch element is selected by the non-CA mode (middle band).
8A is a diagram showing the passing characteristic of the second signal path when the non-CA mode (high band) is selected and the third shunt switch element is in the conduction state.
8B is a diagram showing the passing characteristics of the second signal path when the non-conductive state of the third shunt switch element is selected by the non-CA mode (high band).
9 is a circuit configuration diagram of a switch circuit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embodiment.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실시예 및 그 도면을 사용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형태는 모두 포괄적 또는 구체적인 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하의 실시형태에서 나타내어지는 수치, 형상, 재료, 구성 요소, 구성 요소의 배치 및 접속 형태 등은 일례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주지는 아니다. 이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구성 요소 중 독립 청구항에 기재되어 있지 않은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임의의 구성 요소로서 설명된다. 또한, 도면에 나타내어지는 구성 요소의 크기 또는 크기의 비는 반드시 엄밀하지는 않다.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and drawings. Further,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all inclusive or specific examples. The numerical values, shapes, materials, constituent elements, arrangement and connection forms of the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like shown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merely example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The constituent elements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as arbitrary constituent elements that are not described in the independent claims. In addition, the ratio of the size or size of the constituent elements shown in the drawings is not necessarily strict.

(실시형태)(Embodiments)

[1. 1 프론트 엔드 모듈의 회로 구성][One. 1 Front End Module Circuit Configuration]

도 1은 실시형태에 의한 프론트 엔드 모듈(1) 및 주변 회로의 회로 구성도이다. 동 도면에는 실시형태 1에 의한 프론트 엔드 모듈(1)과, 안테나 소자(2)와, RF 신호 처리 회로(RFIC)(3)가 나타내어져 있다. 프론트 엔드 모듈(1), 안테나 소자(2) 및 RF 신호 처리 회로(3)는, 예를 들면 멀티 모드/멀티 밴드 대응의 휴대전화의 프론트 엔드부에 배치된다.1 is a circuit configuration diagram of a front end module 1 and a peripheral circu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drawing shows a front end module 1, an antenna element 2, and an RF signal processing circuit (RFIC) 3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he front end module 1, the antenna element 2, and the RF signal processing circuit 3 are disposed, for example, in a front end portion of a cellular phone compatible with multimode / multiband.

프론트 엔드 모듈(1)은 로우 패스 필터(11)와, 스위치 모듈(10)과, 듀플렉서(12M 및 12H)와, 저잡음 앰프(13M 및 13H)와, 파워 앰프(14M 및 14H)를 구비한다.The front end module 1 includes a low pass filter 11, a switch module 10, duplexers 12M and 12H, low noise amplifiers 13M and 13H and power amplifiers 14M and 14H.

상기 구성에 의해 프론트 엔드 모듈(1)은 캐리어 어그리게이션(CA:Carrier Aggregation) 모드 및 비CA 모드를 택일적으로 선택하는 것이 가능한 무선 통신용의 고주파 프론트 엔드 회로로서 기능한다.With the above configuration, the front end module 1 functions as a high-frequency front end circuit for wireless communication capable of alternatively selecting a carrier aggregation (CA) mode and a non-CA mode.

[1. 2 스위치 모듈의 회로 구성][One. 2 Circuit configuration of switch module]

스위치 모듈(10)은 복수의 주파수 대역으로부터 선택된 1 이상의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전파하는 신호 경로와 안테나 소자(2)의 접속을 스위칭하는 고주파 스위치 모듈이다. 스위치 모듈(10)에는 멀티 모드/멀티 밴드에 대응하도록 복수의 주파수 대역을 반송파로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신호 경로가 복수 형성되어 있다. 스위치 모듈(10)은 스위치 회로(20)와, 제 1 신호 경로(23M)와, 제 2 신호 경로(23H)와, 제 3 신호 경로(23B)와, 로우 패스 필터(21M)와, 하이 패스 필터(21H)와, CA 스위치 회로(22M 및 22H)와, 가변 조정부(25)를 구비한다.The switch module (10) is a high-frequency switch module for switch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antenna element (2) and a signal path for propagating a signal of at least one frequency band selected from a plurality of frequency bands. In the switch module 10, a plurality of signal path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radio signals with a plurality of frequency bands as carrier waves are formed so as to correspond to multimode / multiband. The switch module 10 includes a switch circuit 20, a first signal path 23M, a second signal path 23H, a third signal path 23B, a low-pass filter 21M, A filter 21H, CA switch circuits 22M and 22H, and a variable adjustment section 25. [

제 1 신호 경로(23M)는 제 1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분할 복신(FDD) 신호를 선택적으로 전파시킨다. 제 1 주파수 대역은, 예를 들면 LTE 규격의 Band 4(송신 대역: 1710-1755㎒, 수신 대역: 2110-2155㎒)가 예시된다.The first signal path 23M selectively propagates a frequency division duplex (FDD) signal in the first frequency band. The first frequency band is, for example, Band 4 (transmission band: 1710-1755 MHz, reception band: 2110-2155 MHz) of the LTE standard.

제 2 신호 경로(23H)는 제 1 주파수 대역보다 고주파측인 제 2 주파수 대역의 FDD 신호를 선택적으로 전파시킨다. 제 2 주파수 대역은, 예를 들면 LTE 규격의 Band 7(송신 대역: 2500-2570㎒, 수신 대역: 2620-2690㎒)이 예시된다.The second signal path 23H selectively propagates the FDD signal of the second frequency band that is higher in frequency than the first frequency band. The second frequency band is, for example, Band 7 (transmission band: 2500-2570 MHz, reception band: 2620-2690 MHz) of the LTE standard.

제 3 신호 경로(23B)는 제 1 주파수 대역의 FDD 신호 및 제 2 주파수 대역의 FDD 신호를 동시에 전파시킨다. 제 3 신호 경로(23B)는 제 1 주파수 대역의 FDD 신호를 선택적으로 전파시키는 제 1 경로(23B1)와, 제 2 주파수 대역의 FDD 신호를 선택적으로 전파시키는 제 2 경로(23B2)를 갖고 있다. 제 1 경로(23B1)에는 로우 패스 필터(21M) 및 CA 스위치 회로(22M)가 배치되고, 제 2 경로(23B2)에는 하이 패스 필터(21H) 및 CA 스위치 회로(22H)가 배치되어 있다.The third signal path 23B simultaneously propagates the FDD signal of the first frequency band and the FDD signal of the second frequency band. The third signal path 23B has a first path 23B1 for selectively propagating the FDD signal in the first frequency band and a second path 23B2 for selectively propagating the FDD signal in the second frequency band. Pass filter 21M and a CA switch circuit 22M are disposed in the first path 23B1 and a high pass filter 21H and a CA switch circuit 22H are disposed in the second path 23B2.

또한, 제 1 신호 경로(23M), 제 2 신호 경로(23H) 및 제 3 신호 경로(23B)를 전파시키는 신호는 FDD 방식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분할 복신 방식이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제 1 신호 경로(23M) 및 제 2 신호 경로(23H)에 접속되는 듀플렉서(12M 및 12H)는 고주파 스위치 등이어도 좋다.The signal for propagating the first signal path 23M, the second signal path 23H, and the third signal path 23B is not limited to the FDD method but may be another divided duplex method. In this case, the duplexers 12M and 12H connected to the first signal path 23M and the second signal path 23H may be a high-frequency switch or the like.

스위치 회로(20)는 로우 패스 필터(11)를 통해 안테나 소자(2)에 접속된 공통 단자(20c), 제 1 신호 경로(23M)의 일단과 접속된 제 1 선택 단자(20s1), 제 2 신호 경로(23H)의 일단과 접속된 제 2 선택 단자(20s2) 및 제 3 신호 경로(23B)의 일단과 접속된 제 3 선택 단자(20s3)를 갖는다. 스위치 회로(20)는 공통 단자(20c)와 제 1 선택 단자(20s1), 제 2 선택 단자(20s2) 및 제 3 선택 단자(20s3) 중 어느 하나와의 접속을 배타적으로 스위칭함으로써 안테나 소자(2)와 제 1 신호 경로(23M), 제 2 신호 경로(23H) 및 제 3 신호 경로(23B) 중 하나와의 접속을 스위칭한다.The switch circuit 20 includes a common terminal 20c connected to the antenna element 2 through the low-pass filter 11, a first selection terminal 20s1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rst signal path 23M, A second selection terminal 20s2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ignal path 23H and a third selection terminal 20s3 connected to one end of the third signal path 23B. The switch circuit 20 selectively switches the connection between the common terminal 20c and any one of the first selection terminal 20s1, the second selection terminal 20s2 and the third selection terminal 20s3, ) And one of the first signal path 23M, the second signal path 23H and the third signal path 23B.

또한, 제 3 선택 단자(20s3)는 제 3 신호 경로(23B)의 일단과 접속되어 있지만,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3 선택 단자(20s3)는 제 1 경로(23B1)의 일단 및 제 2 경로(23B2)의 일단과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 1 경로(23B1)의 타단은 CA 스위치 회로(22M)를 통해 제 1 신호 경로(23M)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 2 경로(23B2)의 타단은 CA 스위치 회로(22H)를 통해 제 2 신호 경로(23H)와 접속되어 있다.The third selection terminal 20s3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rst path 23B1 and the second path 23B2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third signal path 23B, As shown in Fig. The other end of the first path 23B1 is connected to the first signal path 23M through the CA switch circuit 22M. The other end of the second path 23B2 is connected to the second signal path 23H through the CA switch circuit 22H.

가변 조정부(25)는 CA 모드 및 비CA 모드의 선택 정보에 의거하여 스위치 회로(20), CA 스위치 회로(22M) 및 CA 스위치 회로(22H)의 회로 상태를 조정하는 제어부이다. 가변 조정부(25)는, 예를 들면 프론트 엔드 모듈(1)에 후속하는 RF 신호 처리 회로(3) 또는 스위치 회로(20)로부터 상기 선택 정보를 취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가변 조정부(25)의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한다.The variable adjustment unit 25 is a control unit for adjusting the circuit states of the switch circuit 20, the CA switch circuit 22M, and the CA switch circuit 22H based on the selection information of the CA mode and the non-CA mode. The variable adjustment section 25 can acquire the selection information from the RF signal processing circuit 3 or the switch circuit 20 subsequent to the front end module 1, for example. The operation of the variable adjustment unit 25 will be described later.

여기에서, 본 실시형태에 의한 프론트 엔드 모듈(1)은 통신 품질의 향상을 목적으로 해서 다른 주파수 대역을 동시에 사용하는 소위 캐리어 어그리게이션(CA) 방식이 채용된다. 단, CA 방식이 채용되는 시스템에서는 전파 이용 상황에 따라 1개의 주파수 대역만을 선택해서 사용하는 비CA 모드와, 다른 주파수 대역을 동시에 사용하는 CA 모드가 설정되어 있다.Here, in the front end module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so-called carrier aggregation (CA) method in which different frequency bands are simultaneously used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communication quality is employed. However, in the system in which the CA system is adopted, a non-CA mode in which only one frequency band is selected and used in accordance with radio wave use conditions and a CA mode in which other frequency bands are used at the same time is set.

도 2a는 실시형태에 의한 스위치 모듈(10)에 있어서 CA 모드가 선택되었을 경우의 회로 상태도이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한 스위치 모듈(10)에 있어서 CA 모드가 선택되었을 경우에는 스위치 회로(20)에 의해 제 3 신호 경로(23B)가 안테나 소자(2)와 접속된다. 한편, 제 1 신호 경로(23M) 및 제 2 신호 경로(23H)는 안테나 소자(2)와 비접속으로 되어 있다. 이 접속 형태에 의해 CA 모드에서는 제 1 주파수 대역의 신호가 제 1 경로(23B1)를 전파하고, 이것과 동시에 제 2 주파수 대역의 신호가 제 2 경로(23B2)를 전파한다.2A is a circuit state diagram when the CA mode is selected in the switch module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third signal path 23B is connected to the antenna element 2 by the switch circuit 20 when the CA mode is selected in the switch modul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On the other hand, the first signal path 23M and the second signal path 23H are disconnected from the antenna element 2. By this connection mode, in the CA mode, the signal of the first frequency band propagates through the first path 23B1, and at the same time, the signal of the second frequency band propagates through the second path 23B2.

도 2b는 실시형태에 의한 스위치 모듈(10)에 있어서 비CA 모드의 제 1 주파수 대역(미들 밴드)이 선택되었을 경우의 회로 상태도이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한 스위치 모듈(10)에 있어서 비CA 모드(미들 밴드)가 선택되었을 경우에는 스위치 회로(20)에 의해 제 1 신호 경로(23M)가 안테나 소자 2와 접속된다. 한편, 제 2 신호 경로(23H) 및 제 3 신호 경로(23B)는 안테나 소자(2)와 비접속으로 되어 있다. 이 접속 형태에 의해 비CA 모드(미들 밴드)에서는 제 1 주파수 대역의 신호가 제 1 신호 경로(23M)를 전파한다.2B is a circuit state diagram when the first frequency band (middle band) of the non-CA mode is selected in the switch module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s shown in the figure, when the non-CA mode (middle band) is selected in the switch modul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signal path 23M is connected to the antenna element 2 by the switch circuit 20 do.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signal path 23H and the third signal path 23B are disconnected from the antenna element 2. According to this connection mode, in the non-CA mode (middle band), the signal of the first frequency band propagates through the first signal path 23M.

도 2c는 실시형태에 의한 스위치 모듈(10)에 있어서 비CA 모드의 제 2 주파수 대역(하이 밴드)이 선택되었을 경우의 회로 상태도이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한 스위치 모듈(10)에 있어서 비CA 모드(하이 밴드)가 선택되었을 경우에는 스위치 회로(20)에 의해 제 2 신호 경로(23H)가 안테나 소자(2)와 접속된다. 한편, 제 1 신호 경로(23M) 및 제 3 신호 경로(23B)는 안테나 소자(2)와 비접속으로 되어 있다. 이 접속 형태에 의해 비CA 모드(하이 밴드)에서는 제 2 주파수 대역의 신호가 제 2 신호 경로(23H)를 전파한다.2C is a circuit state diagram when the second frequency band (high band) of the non-CA mode is selected in the switch module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s shown in the figure, when the non-CA mode (high band) is selected in the switch modul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cond signal path 23H is connected to the antenna element 2 by the switch circuit 20,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the first signal path 23M and the third signal path 23B are disconnected from the antenna element 2. According to this connection mode, in the non-CA mode (high band), the signal of the second frequency band propagates through the second signal path 23H.

[1. 3 스위치 소자의 회로 구성][One. 3 Circuit Configuration of Switch Element]

여기에서, 본 실시형태에 의한 스위치 회로(20) 및 CA 스위치 회로(22M 및 22H)의 회로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Here, the circuit configuration of the switch circuit 20 and the CA switch circuits 22M and 22H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도 3a는 실시형태에 의한 스위치 회로(20)의 회로 구성도이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위치 회로(20)는 6개의 FET(Field Effect Transistor)(201M, 201B, 201H, 202M, 202B 및 202H)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각 FET는 게이트에 공급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소스-드레인 사이가 도통 상태 또는 비도통 상태로 전이된다.3A is a circuit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switch circuit 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s shown in the figure, the switch circuit 20 is composed of six FETs (Field Effect Transistors) 201M, 201B, 201H, 202M, 202B and 202H. Each of the FETs is turned on or off between the source and the drain by a control signal supplied to the gate.

또한, 가변 조정부(25)는 상기 6개의 FET의 게이트에 제어 신호를 공급함으로써 스위치 회로(20)의 회로 상태를 조정한다.Further, the variable adjustment unit 25 adjusts the circuit state of the switch circuit 20 by supplying control signals to the gates of the six FETs.

FET(201M 및 202M)는 제 1 신호 경로(23M)와 안테나 소자(2)의 접속 상태를 가변시키는 스위치 소자이다. FET(201M)는 공통 단자(20c)와 제 1 선택 단자(20s1)의 도통 및 비도통을 스위칭하는 제 1 스위치 소자이며, FET(202M)는 제 1 선택 단자(20s1)와 접지 단자의 도통 및 비도통을 스위칭하는 제 1 션트 스위치 소자이다.The FETs 201M and 202M are switch elements that change the connection state of the first signal path 23M and the antenna element 2. [ The FET 202M is a first switch element for switching between conduction and non-conduction between the common terminal 20c and the first selection terminal 20s1 and the FET 202M is a conduction path between the first selection terminal 20s1 and the ground terminal, And is a first shunt switch element for switching non-conduction.

FET(201H 및 202H)는 제 2 신호 경로(23H)와 안테나 소자(2)의 접속 상태를 가변시키는 스위치 소자이다. FET(201H)는 공통 단자(20c)와 제 2 선택 단자(20s2)의 도통 및 비도통을 스위칭하는 제 2 스위치 소자이며, FET(202H)는 제 2 선택 단자(20s2)와 접지 단자의 도통 및 비도통을 스위칭하는 제 2 션트 스위치 소자이다.FETs 201H and 202H are switch elements that change the connection state of the second signal path 23H and the antenna element 2. [ The FET 201H is a second switch element for switching between conduction and non-conduction between the common terminal 20c and the second selection terminal 20s2 and the FET 202H is connected between the second selection terminal 20s2 and the ground terminal, And is a second shunt switch element for switching non-conduction.

FET(201B 및 202B)는 제 3 신호 경로(23B)와 안테나 소자(2)의 접속 상태를 가변시키는 스위치 소자이다. FET(201B)는 공통 단자(20c)와 제 3 선택 단자(20s3)의 도통 및 비도통을 스위칭하는 제 3 스위치 소자이며, FET(202B)는 제 3 선택 단자(20s3)와 접지 단자의 도통 및 비도통을 스위칭하는 제 3 션트 스위치 소자이다.FETs 201B and 202B are switch elements that change the connection state of the third signal path 23B and the antenna element 2. [ The FET 201B is a third switch element for switching between conduction and non-conduction between the common terminal 20c and the third selection terminal 20s3 and the FET 202B is a conduction path between the third selection terminal 20s3 and the ground terminal, And is a third shunt switch element for switching non-conduction.

또한, 제 1 스위치 소자, 제 2 스위치 소자 및 제 3 스위치 소자는 공통 단자와 제 1 선택 단자, 제 2 선택 단자 및 제 3 선택 단자 사이에 각각 시리즈 접속되어 있는 시리즈 스위치 소자이다.The first switch element, the second switch element, and the third switch element are series-connected in series between the common terminal and the first selection terminal, the second selection terminal and the third selection terminal, respectively.

스위치 회로(20)의 상기 구성에 있어서, 예를 들면 공통 단자(20c)와 제 1 선택 단자(20s1)를 접속할 경우, 즉 비CA 모드의 제 1 신호 경로(23M)를 선택할 경우 FET(201M)를 도통 상태로 하고, FET(202M)를 비도통 상태로 한다. 또한, FET(201B 및 201H)를 비도통 상태로 한다. 이 때문에, 공통 단자(20c)로부터 볼 때 제 2 신호 경로 및 제 3 신호 경로는 오픈 상태가 된다. 이것에 의해 공통 단자(20c)와 제 2 선택 단자(20s2)의 아이솔레이션, 공통 단자(20c)와 제 3 선택 단자(20s3)의 아이솔레이션이 소정의 레벨로 확보된다. 또한, 공통 단자(20c)와 제 2 선택 단자(20s2)를 접속할 경우 및 공통 단자(20c)와 제 3 선택 단자(20s3)를 접속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상술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해서 FET의 도통 상태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When the common terminal 20c and the first selection terminal 20s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at is, when the first signal path 23M in the non-CA mode is selected in the above configuration of the switch circuit 20, The FET 202M is turned off. Further, the FETs 201B and 201H are turned off. Therefore, when viewed from the common terminal 20c, the second signal path and the third signal path are in an open state. Thereby, the isolation between the common terminal 20c and the second selection terminal 20s2 and the isolation between the common terminal 20c and the third selection terminal 20s3 are secured at a predetermined level. When the common terminal 20c and the second selection terminal 20s2 are connected and the common terminal 20c and the third selection terminal 20s3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conduction state of the FET is set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

도 3B는 실시형태에 의한 CA 스위치 회로(22M)의 회로 구성도이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CA 스위치 회로(22M)는 FET(221M)로 구성되어 있다. FET(221M)는 게이트에 공급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소스-드레인 사이가 도통 상태 또는 비도통 상태로 전이된다. CA 스위치 회로(22M)는 CA 모드에서 선택되는 제 3 신호 경로(23B)의 제 1 경로(23B1)에 배치되고, 제 1 경로(23B1)의 타단과 제 1 신호 경로(23M)의 도통 및 비도통을 스위칭하는 제 4 스위치 소자이다.3B is a circuit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CA switch circuit 22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s shown in the figure, the CA switch circuit 22M is constituted by an FET 221M. The FET 221M is transitioned between the source and the drain in a conduction state or a non-conduction state by a control signal supplied to the gate. The CA switch circuit 22M is disposed in the first path 23B1 of the third signal path 23B selected in the CA mode and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path 23B1, And is a fourth switch element for switching conduction.

도 3c는 실시형태에 의한 CA 스위치 회로(22H)의 회로 구성도이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CA 스위치 회로(22H)는 FET(221H)로 구성되어 있다. FET(221H)는 게이트에 공급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소스-드레인 사이가 도통 상태 또는 비도통 상태로 전이된다. CA 스위치 회로(22H)는 CA 모드에서 선택되는 제 3 신호 경로(23B)의 제 2 경로(23B2)에 배치되고, 제 2 경로(23B2)의 타단과 제 2 신호 경로(23H)의 도통 및 비도통을 스위칭하는 제 5 스위치 소자이다.3C is a circuit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CA switch circuit 22H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s shown in the figure, the CA switch circuit 22H is constituted by an FET 221H. The FET 221H is turned on or off between the source and the drain by a control signal supplied to the gate. The CA switch circuit 22H is disposed in the second path 23B2 of the third signal path 23B selected in the CA mode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path 23B2 and the second signal path 23H, And is a fifth switch element for switching conduction.

또한, 가변 조정부(25)는 FET(221M) 및 FET(221H)의 게이트에 제어 신호를 공급함으로써 CA 스위치 회로(22M) 및 CA 스위치 회로(22H)의 회로 상태를 조정한다.The variable adjustment section 25 also adjusts the circuit states of the CA switch circuit 22M and the CA switch circuit 22H by supplying control signals to the gates of the FET 221M and the FET 221H.

이하, 상술한 구성을 갖는 스위치 모듈(10)의 회로 상태의 전이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transition of the circuit state of the switch module 1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1. 4 비CA 모드(미들 밴드) 선택시의 스위치 모듈의 회로 상태][One. 4 Circuit status of the switch module when the CA mode (middle band) is selected]

도 4는 실시형태에 의한 스위치 모듈에 있어서 비CA 모드(미들 밴드)가 선택된 경우의 회로 상태 및 등가 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4에 나타내어진 회로에서는 가변 조정부(25), 제 2 경로(23B2) 및 제 2 신호 경로(23H)의 표시를 생략하고 있다.4 is a diagram showing a circuit state and an equivalent circuit when a non-CA mode (middle band) is selected in the switch modu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n addition, in the circuit shown in Fig. 4, the display of the variable adjusting section 25, the second path 23B2, and the second signal path 23H is omitted.

도 4의 상단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CA 모드(미들 밴드)가 선택되었을 경우 가변 조정부(25)(도시 생략)는 스위치 회로(20)의 FET(201M)를 도통 상태(ON)로 하고, FET(202M)를 비도통 상태(OFF)로 한다. 이것에 의해 안테나 소자(2)와 제 1 신호 경로(23M)가 접속된다. 또한, 가변 조정부(25)는 스위치 회로(20)의 FET(201B)를 비도통 상태(OFF)로 하고, FET(202B)를 비도통 상태(OFF)로 한다. 이것에 의해 안테나 소자(2)와 제 3 신호 경로(23B)가 비접속이 된다. 또한, 가변 조정부(25)는 CA 스위치 회로(22M)를 비도통 상태(OFF)로 한다. 이것에 의해 제 1 신호 경로(23M)와 제 1 경로(23B1)가 비접속이 된다. 또한, 가변 조정부(25)는 FET(201H)를 비도통 상태(OFF)로 한다(도시 생략). 이것에 의해 안테나 소자(2)와 제 2 신호 경로(23H)가 비접속이 된다.(Middle band) is selected as shown in the upper part of FIG. 4, the variable adjusting unit 25 (not shown) turns the FET 201M of the switch circuit 20 ON 202M to a non-conductive state (OFF). Thereby, the antenna element 2 and the first signal path 23M are connected. The variable adjustment unit 25 turns off the FET 201B of the switch circuit 20 and turns off the FET 202B. Thereby, the antenna element 2 and the third signal path 23B are disconnected. Further, the variable adjustment unit 25 turns the CA switch circuit 22M to the non-conductive state (OFF). As a result, the first signal path 23M and the first path 23B1 are disconnected. Further, the variable adjustment unit 25 turns off the FET 201H (OFF) (not shown). Thereby, the antenna element 2 and the second signal path 23H are disconnected.

도 4의 하단에는 비CA 모드(미들 밴드)가 선택되었을 경우의 등가 회로가 나타내어져 있다. FET(201B) 및 FET(221M)가 비도통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제 3 신호 경로(23B)와 제 1 신호 경로(23M)는 직류적으로 차단된 상태로 되어 있다. 그러나, 비도통 상태의 FET(201B) 및 FET(221M)는 등가 회로로서는 용량으로 간주되기 때문에 제 3 신호 경로(23B)와 제 1 신호 경로(23M)는 고주파적으로는 용량을 통해 접속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경우 제 1 신호 경로(23M)에 있어서의 제 1 주파수 대역의 신호 통과 특성은 FET(221M)를 통해 접속되는 제 3 신호 경로(23B)의 임피던스의 영향을 받는다.4 shows an equivalent circuit when a non-CA mode (middle band) is selected. The third signal path 23B and the first signal path 23M are dynamically disconnected because the FET 201B and the FET 221M are in a non-conductive state. However, since the FET 201B and the FET 221M in the non-conduction state are regarded as capacitors as an equivalent circuit, the third signal path 23B and the first signal path 23M are connected via capacitors in a high frequency state . In this case, the signal passing characteristic of the first frequency band in the first signal path 23M is influenced by the impedance of the third signal path 23B connected through the FET 221M.

도 6a는 비CA 모드(미들 밴드)가 선택되었을 경우의 제 3 신호 경로(23B)로부터 제 3 선택 단자(20s3)를 보았을 경우의 임피던스 상태를 나타내는 스미스차트이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CA 모드(미들 밴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FET(201B) 및 FET(202B)는 비도통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제 3 신호 경로(23B)로부터 제 3 선택 단자(20s3)를 보았을 경우의 제 1 주파수 대역에 있어서의 임피던스는 ∞(무한대)에 가까운(오픈) 상태로 되어 있다.6A is a Smith chart showing the impedance state when the third selection terminal 20s3 is viewed from the third signal path 23B when the non-CA mode (middle band) is selected. As shown in the figure, when the non-conductive mode (middle band) is selected, since the FET 201B and the FET 202B are in a non-conductive state, the third selection terminal 20s3 from the third signal path 23B The impedance in the first frequency band is close to (infinite) (open).

도 7a는 비CA 모드(미들 밴드)가 선택되어 FET(202B)가 도통 상태일 경우의 제 1 신호 경로(23M)의 통과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7b는 비CA 모드(미들 밴드)가 선택되어 FET(202B)가 비도통 상태일 경우의 제 1 신호 경로(23M)의 통과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7a 및 도 7b에 나타내어진 세로축은 안테나 소자(2)와 로우 패스 필터(11)의 접속 단자로부터 제 1 신호 경로(23M)의 타단까지의 제 1 신호 경로(23M)에 있어서의 삽입 손실을 나타내고 있다.FIG. 7A is a diagram showing the passing characteristic of the first signal path 23M when the non-CA mode (middle band) is selected and the FET 202B is in the conduction state. 7B is a diagram showing the passing characteristic of the first signal path 23M when the non-conductive state of the FET 202B is selected by the non-CA mode (middle band). The vertical axis shown in Figs. 7A and 7B indicates the insertion in the first signal path 23M from the connection terminal of the antenna element 2 and the low-pass filter 11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signal path 23M. Respectively.

도 7a에 있어서, FET(202B)가 도통 상태일 경우에는 제 1 주파수 대역(2㎓ 부근)에 있어서, 삽입 손실을 악화시키는 노치가 관찰된다. 이것에 대해서 도 7b와 같이 FET(202B)가 비도통 상태일 경우에는 제 1 주파수 대역(2㎓ 부근)에 있어서 상기 노치가 소실되어 있다. 즉, 비CA 모드(미들 밴드)가 선택될 경우에는 FET(202B)를 비도통 상태로 함으로써 제 1 신호 경로(23M)에 있어서의 제 1 주파수 대역(미들 밴드)의 통과 특성이 양화된다.In Fig. 7A, when the FET 202B is in the conduction state, a notch that deteriorates the insertion loss in the first frequency band (around 2 GHz) is observ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FET 202B is in the non-conduction state as shown in Fig. 7B, the notch disappears in the first frequency band (around 2 GHz). That is, when the non-CA mode (middle band) is selected, the transmission characteristic of the first frequency band (middle band) in the first signal path 23M is made positive by turning off the FET 202B.

[1. 5 비CA 모드(하이 밴드) 선택시의 스위치 모듈의 회로 상태][One. 5 Circuit status of switch module when CA mode (high band) is selected]

도 5는 실시형태에 의한 스위치 모듈에 있어서 비CA 모드(하이 밴드)가 선택된 경우의 회로 상태 및 등가 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5에 나타내어진 회로에서는 가변 조정부(25), 제 1 경로(23B1) 및 제 1 신호 경로(23M)의 표시를 생략하고 있다.5 is a diagram showing circuit states and equivalent circuits when a non-CA mode (high band) is selected in the switch modu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n addition, in the circuit shown in Fig. 5, the display of the variable adjustment section 25, the first path 23B1, and the first signal path 23M is omitted.

도 5의 상단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CA 모드(하이 밴드)가 선택되었을 경우 가변 조정부(25)(도시 생략)는 스위치 회로(20)의 FET(201H)를 도통 상태(ON)로 하고, FET(202H)를 비도통 상태(OFF)로 한다. 이것에 의해 안테나 소자(2)와 제 2 신호 경로(23H)가 접속된다. 또한, 가변 조정부(25)는 스위치 회로(20)의 FET(201B)를 비도통 상태(OFF)로 하고, FET(202B)를 도통 상태(ON)로 한다. 이것에 의해 안테나 소자(2)와 제 3 신호 경로(23B)가 비접속이 된다. 또한, 가변 조정부(25)는 CA 스위치 회로(22H)를 비도통 상태(OFF)로 한다. 이것에 의해 제 2 신호 경로(23H)와 제 2 경로(23B2)가 비접속이 된다. 또한, 가변 조정부(25)는 FET(201M)를 비도통 상태(OFF)로 한다(도시 생략). 이것에 의해 안테나 소자(2)와 제 1 신호 경로(23M)가 비접속이 된다.5, when the non-CA mode (high band) is selected, the variable adjustment unit 25 (not shown) turns the FET 201H of the switch circuit 20 into the conduction state (ON) 202H to the non-conductive state (OFF). Thereby, the antenna element 2 and the second signal path 23H are connected. The variable adjustment unit 25 also sets the FET 201B of the switch circuit 20 to the non-conductive state (OFF) and the FET 202B to the conductive state (ON). Thereby, the antenna element 2 and the third signal path 23B are disconnected. In addition, the variable adjusting unit 25 sets the CA switch circuit 22H to the non-conductive state (OFF). As a result, the second signal path 23H and the second path 23B2 are disconnected. Further, the variable adjusting unit 25 turns off the FET 201M (OFF) (not shown). Thereby, the antenna element 2 and the first signal path 23M are disconnected.

도 5의 하단에는 비CA 모드(미들 밴드)가 선택되었을 경우의 등가 회로가 나타내어져 있다. FET(201B) 및 FET(221H)가 비도통 상태가 되어 있기 때문에 제 3 신호 경로(23B)와 제 2 신호 경로(23H)는 직류적으로 차단된 상태로 되어 있다. 그러나, 비도통 상태의 FET(201B) 및 FET(221H)는 등가 회로로서는 용량으로 간주되기 때문에 제 3 신호 경로(23B)와 제 2 신호 경로(23H)는 고주파적으로는 용량을 통해 접속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경우 제 2 신호 경로(23H)에 있어서의 제 2 주파수 대역의 신호 통과 특성은 FET(221H)를 통해 접속되는 제 3 신호 경로(23B)의 임피던스의 영향을 받는다.5 shows an equivalent circuit when a non-CA mode (middle band) is selected. The third signal path 23B and the second signal path 23H are disconnected in a DC state because the FET 201B and the FET 221H are in a non-conductive state. However, since the FETs 201B and 221H in the non-conduction state are regarded as capacitors as equivalent circuits, the third signal path 23B and the second signal path 23H are connected via capacitors in a high frequency state . In this case, the signal passing characteristic of the second frequency band in the second signal path 23H is influenced by the impedance of the third signal path 23B connected via the FET 221H.

도 6b는 비CA 모드(하이 밴드)가 선택되었을 경우의 제 3 신호 경로(23B)로부터 제 3 선택 단자(20s3)를 보았을 경우의 임피던스 상태를 나타내는 스미스차트이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CA 모드(하이 밴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FET(201B)는 비도통 상태이며 FET(202B)는 도통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제 3 신호 경로(23B)로부터 제 3 선택 단자(20s3)를 보았을 경우의 제 2 주파수 대역에 있어서의 임피던스는 0에 가까운(쇼트) 상태로 되어 있다.6B is a Smith chart showing the impedance state when the third selection terminal 20s3 is viewed from the third signal path 23B when the non-CA mode (high band) is selected. As shown in the figure, when the non-CA mode (high band) is selected, the FET 201B is in the non-conductive state and the FET 202B is in the conductive state. The impedance in the second frequency band is close to 0 (short).

도 8a는 비CA 모드(하이 밴드)가 선택되어 FET(202B)가 도통 상태인 경우의 제 2 신호 경로(23H)의 통과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8b는 비CA 모드(하이 밴드)가 선택되어 FET(202B)가 비도통 상태일 경우의 제 2 신호 경로(23H)의 통과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8a 및 도 8b에 나타내어진 세로축은 안테나 소자(2)와 로우 패스 필터(11)의 접속 단자로부터 제 2 신호 경로(23H)의 타단까지의 제 2 신호 경로(23H)에 있어서의 삽입 손실을 나타내고 있다.8A is a diagram showing the passing characteristic of the second signal path 23H when the non-CA mode (high band) is selected and the FET 202B is in the conduction state. 8B is a diagram showing the passing characteristic of the second signal path 23H when the non-conductive state of the FET 202B is selected by the non-CA mode (high band). The vertical axis shown in Figs. 8A and 8B indicates the insertion in the second signal path 23H from the connection terminal of the antenna element 2 and the low-pass filter 11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ignal path 23H. Respectively.

도 8b에 있어서, FET(202B)가 비도통 상태인 경우에는 제 2 주파수 대역(2.7㎓ 부근)에 있어서, 삽입 손실을 악화시키는 노치가 관찰된다. 이것에 대해서 도 8a와 같이 FET(202B)가 도통 상태인 경우에는 제 2 주파수 대역(2.7㎓ 부근)에 있어서 상기 노치가 소실되어 있다. 즉, 비CA 모드(하이 밴드)가 선택될 경우에는 FET(202B)를 도통 상태로 함으로써 제 2 신호 경로(23H)에 있어서의 제 2 주파수 대역(하이 밴드)의 통과 특성이 양화된다.In FIG. 8B, when the FET 202B is in the non-conductive state, a notch that deteriorates the insertion loss is observed in the second frequency band (around 2.7 GHz). In contrast, when the FET 202B is in the conduction state as shown in Fig. 8A, the notch disappears in the second frequency band (around 2.7 GHz). That is, when the non-CA mode (high band) is selected, the transmission characteristic of the second frequency band (high band) in the second signal path 23H is increased by making the FET 202B conductive.

[1. 6 가변 조정부의 스위치 구동][One. Switching of six variable adjustment parts]

상술한 비CA 모드(미들 밴드) 선택시의 제 1 신호 경로(23M)에 있어서의 제 1 주파수 대역의 통과 특성 및 비CA 모드(하이 밴드) 선택시의 제 2 신호 경로(23H)에 있어서의 제 2 주파수 대역의 통과 특성으로부터 가변 조정부(25)는 비CA 모드(미들 밴드)가 선택되었을 경우에는 선택되어 있지 않은 제 3 신호 경로(23B)의 일단에 접속된 FET(202B)를 비도통 상태로 한다. 한편, 비CA 모드(하이 밴드)가 선택되었을 경우에는 선택되어 있지 않은 제 3 신호 경로(23B)에 접속된 FET(202B)를 도통 상태로 한다. 즉, 비CA 모드가 선택되었을 경우이어도 선택되는 주파수 대역이 다른 경우에는 CA 모드용의 제 3 신호 경로의 회로 상태를 다르게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비CA 모드(미들 밴드)가 선택되었을 경우에는 제 3 신호 경로(23B)의 일단을 오픈 상태로 하고, 비CA 모드(하이 밴드)가 선택되었을 경우에는 제 3 신호 경로(23B)의 일단을 쇼트 상태로 한다.The transmission characteristic of the first frequency band in the first signal path 23M at the time of selecting the above-mentioned non-CA mode (middle band) and the transmission characteristic at the time of the second signal path 23H at the time of selecting the non- From the pass characteristic of the second frequency band, the variable adjustment section 25 switches the FET 202B connected to one end of the third signal path 23B, which is not selected when the non-CA mode (middle band) is selected, . On the other hand, when the non-CA mode (high band) is selected, the FET 202B connected to the third signal path 23B which is not selected is made conductive. That is, even if the non-CA mode is selected, the circuit state of the third signal path for the CA mode is made different when the selected frequency band is different. More specifically, when the non-CA mode (middle band) is selected, one end of the third signal path 23B is opened, and when the non-CA mode (high band) And the other end is short-circuited.

이것에 의해 사용되어 있지 않은 제 3 신호 경로의 임피던스가 사용하고 있는 신호 경로의 통과 대역에 따라서 개별적으로 조정되므로 사용 중인 신호 경로와 제 3 신호 경로 사이의 아이솔레이션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무선 통신에 사용되어 있는 제 1 신호 경로 및 제 2 신호 경로의 임피던스 부정합을 고도로 억제할 수 있다.This improves the isolation between the signal path in use and the third signal path as well as improves the isolation between the signal path in use and the third signal path as well as the impedance of the unused third signal path, It is possible to highly suppress the impedance mismatch of the first signal path and the second signal path.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경로(23B1)에 제 1 경로(23B1)의 타단과 제 1 신호 경로(23M)의 도통 및 비도통을 스위칭하는 FET(221M)가 배치되고, 제 2 경로(23B2)에 제 2 경로(23B2)의 타단과 제 2 신호 경로(23H)의 도통 및 비도통을 스위칭하는 FET(221H)가 배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있어서, 가변 조정부(25)는 비CA 모드(미들 밴드)가 선택되었을 경우에는 FET(221M)를 비도통 상태로 하고, 비CA 모드(하이 밴드)가 선택되었을 경우에는 FET(221H)를 비도통 상태로 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ET 221M for switching conduction and non-conduction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first path 23B1 and the first signal path 23M is disposed in the first path 23B1, and the second path 23B2 Is provided with an FET 221H for switching conduction and non-conduction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second path 23B2 and the second signal path 23H. In this configuration, the variable adjusting unit 25 sets the FET 221M to the non-conductive state when the non-CA mode (middle band) is selected and the FET 221H when the non-CA mode (high band) Nonconductive state.

비CA 모드 중 제 1 주파수 대역이 선택되었을 경우에는 제 1 신호 경로(23M)에 대해서 용량성이 되는 FET(221M)를 통해 제 1 경로(23B1)가 부하 임피던스가 된다. 또한, 비CA 모드 중 제 2 주파수 대역이 선택되었을 경우에는 제 2 신호 경로에 대해서 용량성이 되는 FET(221H)를 통해 제 2 경로(23B2)가 부하 임피던스가 된다. 이 경우 사용되어 있지 않지만 부하가 되는 제 3 신호 경로의 임피던스를 사용하고 있는 신호의 통과 대역에 따라 개별적으로 조정하고 있으므로 제 3 신호 경로와의 사이의 아이솔레이션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무선 통신에 사용되어 있는 제 1 신호 경로 및 제 2 신호 경로의 임피던스 부정합을 고도로 억제할 수 있다.When the first frequency band is selected in the non-CA mode, the first path 23B1 becomes a load impedance through the FET 221M which is capacitive with respect to the first signal path 23M. When the second frequency band is selected in the non-CA mode, the second path 23B2 becomes load impedance through the FET 221H which is capacitive with respect to the second signal path. In this case, since the impedance of the third signal path which is not used but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pass band of the signal being used is improved individually, the isolation between the third signal path and the third signal path is improved, The impedance mismatching of the first signal path and the second signal path can be highly suppressed.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위치 회로(20)는 각 선택 단자와 접지 단자를 접속하는 FET(202M, 202B 및 202H)를 구비하지만, 각 선택 단자와 접지 단자 사이에 배치되는 구성은 FET에 한정되지 않는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witch circuit 20 includes the FETs 202M, 202B, and 202H for connecting the selection terminal and the ground terminal, but the configuration disposed between each selection terminal and the ground terminal is not limited to the FET .

도 9는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의한 스위치 회로(120)의 회로 구성도이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선택 단자와 접지 단자 사이에는 각 신호 경로로부터 각 선택 단자를 보았을 경우의 임피던스를 가변시키기 위한 가변 정합 회로가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즉, 스위치 회로(20)는 제 1 선택 단자(20s1)와 접지 단자 사이에 배치된 제 1 가변 정합 회로(302M), 제 2 선택 단자(20s2)와 접지 단자 사이에 배치된 제 2 가변 정합 회로(302H) 및 제 3 선택 단자(20s3)와 접지 단자 사이에 배치된 제 3 가변 정합 회로(302B)를 포함해도 좋다. 이 경우 스위치 회로(20)는 각 신호 경로로부터 각 선택 단자를 보았을 경우의 복소 임피던스를 오픈 상태 및 쇼트 상태의 2상태뿐만 아니라 오픈 상태와 쇼트 상태 사이에서 미세하게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9 is a circuit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switch circuit 120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of the embodiment. As shown in Fig. 9, a variable matching circuit for varying the impedance when each selection terminal is viewed from each signal path may be disposed between each selection terminal and the ground terminal. That is, the switch circuit 20 includes a first variable matching circuit 302M disposed between the first selection terminal 20s1 and the ground terminal, a second variable matching circuit 302M disposed between the second selection terminal 20s2 and the ground terminal, And a third variable matching circuit 302B disposed between the third selection terminal 302H and the third selection terminal 20s3 and the ground terminal. In this case, the switch circuit 20 makes it possible to finely adjust the complex impedance when each selection terminal is seen from each signal path between the open state and the short state as well as the two states of the open state and the short state.

즉, 가변 조정부(25)는 비CA 모드가 선택되었을 경우에는 제 3 가변 정합 회로를 가변 조정해도 좋다.That is, when the non-CA mode is selected, the variable adjusting section 25 may adjust the third variable matching circuit.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스위치 모듈은 비CA 모드가 선택되었을 경우의 임피던스 정합을 취할 뿐만 아니라 CA 모드가 선택되었을 경우의 임피던스 정합을 취할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즉, 가변 조정부(25)는 CA 모드가 선택되었을 경우에는 제 1 가변 정합 회로 및 제 2 가변 정합 회로 중 적어도 한쪽을 가변 조정하고, 비CA 모드가 선택되었을 경우에는 제 3 가변 정합 회로를 가변 조정한다.In addition, the switch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not only to the impedance matching when the non-CA mode is selected, but also to the impedance matching when the CA mode is selected. That is, when the CA mode is selected, the variable adjustment unit 25 adjusts at least one of the first variable matching circuit and the second variable matching circuit, and when the non-CA mode is selected, the third variable matching circuit is adjusted do.

이것에 의하면 본 실시형태에 의한 스위치 모듈(10)과 같이 CA 모드와 비CA 모드에서 개별의 신호 경로를 갖는 구성에 있어서, 가변 조정부(25)는 무선 통신에 사용되어 있는 신호 경로의 임피던스를 조정할 뿐만 아니라 무선 통신에 사용되어 있지 않은 신호 경로의 임피던스를 조정한다. 따라서, 무선 통신에 사용되어 있는 신호 경로와 사용되어 있지 않은 신호 경로 사이의 아이솔레이션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무선 통신에 사용되어 있는 신호 경로의 임피던스 부정합을 억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in the configuration having separate signal paths in the CA mode and the non-CA mode like the switch modul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variable adjustment section 25 adjusts the impedance of the signal path us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In addition, the impedance of the signal path not us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is adjust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isolation between the signal path used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and the signal path not used, and to suppress the impedance mismatch in the signal path used for the wireless communication.

또한, 가변 조정부(25)는 비CA 모드 중 제 1 주파수 대역이 선택되었을 경우에 있어서의 제 3 가변 정합 회로의 임피던스와, 비CA 모드 중 제 2 주파수 대역이 선택되었을 경우에 있어서의 제 3 가변 정합 회로의 임피던스를 다르게 해도 좋다.In addition, the variable adjusting unit 25 adjusts the impedance of the third variable matching circuit when the first frequency band is selected among the non-CA modes and the impedance of the third variable matching circuit when the second frequency band is selected among the non- The impedance of the matching circuit may be different.

이것에 의해 비CA 모드가 선택되었을 경우이어도 선택되는 주파수 대역이 다른 경우에는 CA 모드에서 사용되는 신호 경로의 임피던스를 다르게 한다. 따라서, 특히 비CA 모드에 있어서의 임피던스 정합을 선택되는 주파수 대역에 따라 고정밀도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Thus, even when the non-CA mode is selected, the impedance of the signal path used in the CA mode is different if the selected frequency band is differen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impedance matching particularly in the non-CA mode with high accuracy according to the selected frequency band.

(그 밖의 실시형태 등)(Other embodiments, etc.)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스위치 모듈 및 그 구동 방법 대해서 실시형태 및 그 변형예를 들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스위치 모듈 및 그 구동 방법은 상기 실시형태 및 그 변형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형태 및 그 변형예에 있어서의 임의의 구성 요소를 조합해서 실현되는 별도의 실시형태나, 상기 실시형태 및 그 변형예에 대해서 본 발명의 주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당업자가 생각하는 각종 변형을 실시해서 얻어지는 변형예나 본 개시의 스위치 모듈을 내장한 각종 기기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As described above, the switch module and the driving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and the modifications thereof, but the switch module and the driving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and its modification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devices incorporating the switch module of the present disclosure are also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는 상기와 같은 특징적인 구성을 구비한 스위치 모듈(10)과, 제 1 신호 경로(23M)의 타단 또는 제 2 신호 경로(23H)의 타단에 접속된 듀플렉서(12M 또는 12H)를 구비하는 프론트 엔드 모듈(1)이어도 좋다.For example,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witch module 10 having the above-described characteristic configuration, a duplexer (not shown)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signal path 23M or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ignal path 23H Or a front end module 1 having a front end module 12M or 12H.

또한, 프론트 엔드 모듈(1)은 상기 듀플렉서의 송신측 단자에 접속된 파워 앰프(14M 또는 14H)를 구비해도 좋다.The front-end module 1 may include a power amplifier 14M or 14H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side terminal of the duplexer.

또한, 프론트 엔드 모듈(1)은 상기 듀플렉서의 수신측 단자에 접속된 저잡음 앰프(13M 또는 13H)를 더 구비해도 좋다.The front end module 1 may further include a low noise amplifier 13M or 13H connected to the reception side terminal of the duplexer.

상기 프론트 엔드 모듈(1)의 구성에 의해 CA 모드 및 비CA 모드를 선택 가능한 시스템에 있어서 신호의 전파 손실을 저감시킬 수 있는 프론트 엔드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It is possible to provide a front end module capable of reducing signal propagation loss in a system in which the CA mode and the non-CA mode can be select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front end module 1. [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가변 조정부(25)는 스위치 모듈(10)의 구성 요소로 했지만, 가변 조정부(25)는 스위치 모듈(10)이 구비하지 않고 프론트 엔드 모듈(1)이 구비하는 것이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실시형태에 의한 스위치 모듈(10)이 나타내는 효과를 프론트 엔드 모듈이 나타내는 것이 된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variable adjustment unit 25 is a component of the switch module 10, but the variable adjustment unit 25 is not provided with the switch module 10 but is provided with the front end module 1 It is good. In this case, the front end module indicates the effect of the switch module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가변 조정부(25)는 집적 회로인 IC, LSI(Large Scale Integration)로서 실현되어도 좋다. 또한, 집적 회로화의 방법은 전용 회로 또는 범용 프로세서로 실현해도 좋다. LSI 제조 후에 프로그래밍하는 것이 가능한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나, LSI 내부의 회로 셀의 접속이나 설정을 재구성 가능한 리콘피규러블·프로세서를 이용해도 좋다. 또는 반도체 기술의 진보 또는 파생되는 다른 기술에 의해 LSI에 치환되는 집적 회로화의 기술이 등장하면 당연히 그 기술을 사용해서 기능 블록의 집적화를 행해도 좋다.Further, the variable adjustment unit 25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alized as an IC or an LSI (Large Scale Integration) which is an integrated circuit. The integrated circuit may be implemented by a dedicated circuit or a general-purpose processor. An FPG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capable of being programmed after the LSI fabrication, or a reconfigurable processor capable of reconfiguring connection and setting of circuit cells in the LSI may be used. Alternatively, if an integrated circuit technology replacing the LSI by the advancement of semiconductor technology or another technique derived therefrom appears, integration of functional blocks may naturally be performed using the technology.

또한, 상기 실시형태 및 그 변형예에 의한 스위치 모듈, 프론트 엔드 모듈 및 스위치 모듈에 있어서, 도면에 개시된 각회로 소자 및 신호 경로를 접속하는 경로 사이에 별도의 고주파 회로 소자 및 배선 등이 삽입되어 있어도 좋다.In the switch module, the front-end module, and the switch module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its modifications, although separate high-frequency circuit elements, wirings, and the like are inserted between the respective circuit elements and the paths connecting the signal paths good.

본 발명은 캐리어 어그리게이션 방식을 채용하는 멀티 밴드/멀티 모드 대응의 스위치 모듈로서 휴대 전화 등의 통신 기기에 널리 이용할 수 있다.INDUSTRIAL APPLICABILITY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widely applied to a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cellular phone as a multi-band / multimode-compatible switch module employing a carrier aggregation method.

1 : 프론트 엔드 모듈 2 : 안테나 소자
3 : RF 신호 처리 회로 10 : 스위치 모듈
11, 21M : 로우 패스 필터 12H, 12M : 듀플렉서
13H, 13M : 저잡음 앰프 14H, 14M : 파워 앰프
20, 120 : 스위치 회로 20c : 공통 단자
20s1 : 제 1 선택 단자 20s2 : 제 2 선택 단자
20s3 : 제 3 선택 단자 21H : 하이 패스 필터
22H, 22M : CA 스위치 회로 23B : 제 3 신호 경로
23B1 : 제 1 경로 23B2 : 제 2 경로
23H : 제 2 신호 경로 23M : 제 1 신호 경로
25 : 가변 조정부
201B, 201H, 201M, 202B, 202H, 202M, 221H, 221M : FET
302B : 제 3 가변 정합 회로 302H : 제 2 가변 정합 회로
302M : 제 1 가변 정합 회로
1: front end module 2: antenna element
3: RF signal processing circuit 10: Switch module
11, 21M: Low pass filter 12H, 12M: Duplexer
13H, 13M: Low Noise Amplifier 14H, 14M: Power Amplifier
20, 120: Switch circuit 20c: Common terminal
20s1: first selection terminal 20s2: second selection terminal
20s3: Third selection terminal 21H: High pass filter
22H, 22M: CA switch circuit 23B: third signal path
23B1: first path 23B2: second path
23H: second signal path 23M: first signal path
25:
201B, 201H, 201M, 202B, 202H, 202M, 221H, 221M: FET
302B: third variable matching circuit 302H: second variable matching circuit
302M: first variable matching circuit

Claims (9)

무선 통신용의 제 1 주파수 대역과, 그 제 1 주파수 대역과 주파수 대역이 다른 무선 통신용의 제 2 주파수 대역을 동시에 사용하는 캐리어 어그리게이션(CA)모드와,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의 한쪽만을 사용하는 비CA 모드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한 스위치 모듈로서,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전파시키는 제 1 신호 경로와,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전파시키는 제 2 신호 경로와,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의 신호와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동시에 전파시키는 제 3 신호 경로와,
안테나 소자에 접속된 공통 단자, 상기 제 1 신호 경로의 일단과 접속된 제 1 선택 단자, 상기 제 2 신호 경로의 일단과 접속된 제 2 선택 단자 및 상기 제 3 신호 경로의 일단과 접속된 제 3 선택 단자를 갖고, 상기 공통 단자와 상기 제 1 선택 단자, 상기 제 2 선택 단자 및 상기 제 3 선택 단자 중 어느 하나와의 접속을 배타적으로 스위칭하는 스위치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 회로는 상기 제 1 선택 단자와 접지 단자 사이에 배치된 제 1 가변 정합 회로, 상기 제 2 선택 단자와 접지 단자 사이에 배치된 제 2 가변 정합 회로 및 상기 제 3 선택 단자와 접지 단자 사이에 배치된 제 3 가변 정합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 모듈은,
상기 비CA 모드가 선택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제 3 가변 정합 회로를 가변 조정하거나, 또는 상기 CA 모드가 선택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제 1 가변 정합 회로 및 상기 제 2 가변 정합 회로 중 적어도 한쪽을 가변 조정하는 가변 조정부를 더 구비하는 스위치 모듈.
A carrier aggregation (CA) mode in which a first frequency band f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a second frequency band for wireless communication different in frequency band from the first frequency band are used at the same time, A switch module capable of selecting a non-CA mode using only one of the bands,
A first signal path for propagating the signal of the first frequency band,
A second signal path for propagating the signal of the second frequency band,
A third signal path for simultaneously propagating the signal of the first frequency band and the signal of the second frequency band,
A first selection terminal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rst signal path, a second selection terminal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econd signal path, and a second selection terminal connected to one end of the third signal path, And a switch circuit exclusively switch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common terminal and any one of the first selection terminal, the second selection terminal and the third selection terminal,
Wherein the switch circuit includes a first variable matching circuit disposed between the first selection terminal and the ground terminal, a second variable matching circuit disposed between the second selection terminal and the ground terminal, and a second variable matching circuit disposed between the third selection terminal and the ground terminal And a third variable matching circuit disposed,
The switch module includes:
Wherein the third variable matching circuit is variably adjusted when the non-CA mode is selected, or when the CA mode is selected, the first variable matching circuit and the second variable matching circuit are variably adjusted And a control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조정부는,
상기 비CA 모드 중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이 선택되었을 경우에 있어서의 상기 제 3 가변 정합 회로의 임피던스와, 상기 비CA 모드 중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이 선택되었을 경우에 있어서의 상기 제 3 가변 정합 회로의 임피던스를 다르게 하는 스위치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variable-
The impedance of the third variable matching circuit when the first frequency band is selected among the non-CA modes and the impedance of the third variable matching circuit when the second frequency band is selected among the non- A switch module with different impedanc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회로는 상기 제 1 선택 단자와 상기 공통 단자의 도통 및 비도통을 스위칭하는 제 1 스위치 소자와,
상기 제 2 선택 단자와 상기 공통 단자의 도통 및 비도통을 스위칭하는 제 2 스위치 소자와,
상기 제 3 선택 단자와 상기 공통 단자의 도통 및 비도통을 스위칭하는 제 3 스위치 소자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 3 가변 정합 회로는 상기 제 3 선택 단자와 접지 단자의 도통 및 비도통을 스위칭하는 제 3 션트 스위치 소자이며,
상기 가변 조정부는,
상기 비CA 모드 중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이 선택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제 3 션트 스위치 소자를 비도통 상태로 하고, 상기 비CA 모드 중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이 선택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제 3 션트 스위치 소자를 도통 상태로 하는 스위치 모듈.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witch circuit includes a first switch element for switching conduction and non-conduction between the first selection terminal and the common terminal,
A second switch element for switching conduction and non-conduction between the second selection terminal and the common terminal,
Further comprising a third switch element for switching conduction and non-conduction of the third selection terminal and the common terminal,
The third variable matching circuit is a third shunt switch element for switching conduction and non-conduction between the third selection terminal and the ground terminal,
The variable-
When the first frequency band is selected among the non-CA modes, the third shunt switch element is made non-conductive, and when the second frequency band is selected among the non-CA modes, Switch module to put into conduction stat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은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보다 고주파측에 할당된 주파수 대역인 스위치 모듈.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econd frequency band is a frequency band allocated to a higher frequency side than the first frequency band.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신호 경로는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제 1 경로 및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제 2 경로를 갖고,
상기 제 3 신호 경로의 일단은 상기 제 1 경로의 일단과 상기 제 2 경로의 일단이 접속된 개소이며,
상기 제 1 경로의 타단과 상기 제 1 신호 경로의 도통 및 비도통을 스위칭하는 제 4 스위치 소자와,
상기 제 2 경로의 타단과 상기 제 2 신호 경로의 도통 및 비도통을 스위칭하는 제 5 스위치 소자를 더 구비하고,
상기 가변 조정부는,
상기 비CA 모드 중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이 선택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제 4 스위치 소자를 비도통 상태로 하고,
상기 비CA 모드 중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이 선택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제 5 스위치 소자를 비도통 상태로 하는 스위치 모듈.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third signal path having a first path selectively passing the first frequency band and a second path selectively passing the second frequency band,
One end of the third signal path is a point where one end of the first path and one end of the second path are connected,
A fourth switch element for switching conduction and non-conduction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first path and the first signal path,
Further comprising a fifth switch element for switching conduction and non-conduction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second path and the second signal path,
The variable-
When the first frequency band is selected among the non-CA modes, the fourth switch element is made non-conductive,
And switches the fifth switch element to a non-conductive state when the second frequency band is selected among the non-CA modes.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스위치 모듈과,
상기 제 1 신호 경로의 타단 또는 상기 제 2 신호 경로의 타단에 접속된 듀플렉서 소자를 구비하는 프론트 엔드 모듈.
A switch modul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And a duplexer element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signal path or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ignal path.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듀플렉서 소자의 송신측 단자에 접속된 파워 앰프 소자를 더 구비하는 프론트 엔드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a power amplifier element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side terminal of the duplexer element.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듀플렉서 소자의 수신측 단자에 접속된 저잡음 앰프 소자를 더 구비하는 프론트 엔드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a low-noise amplifier element connected to a receiving-side terminal of the duplexer element.
무선 통신용의 제 1 주파수 대역과, 그 제 1 주파수 대역과 주파수 대역이 다른 무선 통신용의 제 2 주파수 대역을 동시에 사용하는 캐리어 어그리게이션(CA)모드와,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의 한쪽만을 사용하는 비CA 모드를 선택하는 스위치 모듈의 구동 방법으로서,
상기 스위치 모듈은,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전파시키는 제 1 신호 경로와,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전파시키는 제 2 신호 경로와,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의 신호와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동시에 전파시키는 제 3 신호 경로와,
안테나 소자에 접속된 공통 단자, 상기 제 1 신호 경로의 일단과 접속된 제 1 선택 단자, 상기 제 2 신호 경로의 일단과 접속된 제 2 선택 단자 및 상기 제 3 신호 경로의 일단과 접속된 제 3 선택 단자를 갖고, 상기 공통 단자와 상기 제 1 선택 단자, 상기 제 2 선택 단자 및 상기 제 3 선택 단자 중 어느 1개와의 접속을 배타적으로 스위칭하는 스위치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 회로는 상기 제 1 선택 단자와 접지 단자 사이에 배치된 제 1 가변 정합 회로, 상기 제 2 선택 단자와 접지 단자 사이에 배치된 제 2 가변 정합 회로 및 상기 제 3 선택 단자와 접지 단자 사이에 배치된 제 3 가변 정합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CA 모드가 선택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제 1 가변 정합 회로 및 상기 제 2 가변 정합 회로의 적어도 한쪽을 가변 조정하고, 또는 상기 비CA 모드가 선택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제 3 가변 정합 회로를 가변 조정하는 스위치 모듈의 구동 방법.
A carrier aggregation (CA) mode in which a first frequency band f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a second frequency band for wireless communication different in frequency band from the first frequency band are used at the same time, A method of driving a switch module for selecting a non-CA mode using only one of the bands,
The switch module includes:
A first signal path for propagating the signal of the first frequency band,
A second signal path for propagating the signal of the second frequency band,
A third signal path for simultaneously propagating the signal of the first frequency band and the signal of the second frequency band,
A first selection terminal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rst signal path, a second selection terminal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econd signal path, and a second selection terminal connected to one end of the third signal path, And a switch circuit which has a selection terminal and exclusively switches the connection between the common terminal and any one of the first selection terminal, the second selection terminal and the third selection terminal,
Wherein the switch circuit includes a first variable matching circuit disposed between the first selection terminal and the ground terminal, a second variable matching circuit disposed between the second selection terminal and the ground terminal, and a second variable matching circuit disposed between the third selection terminal and the ground terminal And a third variable matching circuit disposed,
Wherein when the CA mode is selected, at least one of the first variable matching circuit and the second variable matching circuit is variably adjusted, or when the non-CA mode is selected, a switch for variably adjusting the third variable matching circuit A method of driving a module.
KR1020160098342A 2015-08-10 2016-08-02 Switch module, front-end module, and driving method for switch module KR101850769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58312 2015-08-10
JP2015158312 2015-08-10
JPJP-P-2016-094945 2016-05-10
JP2016094945A JP6460046B2 (en) 2015-08-10 2016-05-10 Switch module, front end module, and drive method of switch modu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8773A true KR20170018773A (en) 2017-02-20
KR101850769B1 KR101850769B1 (en) 2018-04-20

Family

ID=58049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8342A KR101850769B1 (en) 2015-08-10 2016-08-02 Switch module, front-end module, and driving method for switch module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460046B2 (en)
KR (1) KR101850769B1 (en)
CN (1) CN106452462B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03518A1 (en) * 2018-04-17 2019-10-24 삼성전자 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diplexer capable of adjusting cutoff frequency in connection with adjustment of reception frequency band of duplex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09120A (en) * 2016-06-30 2016-12-0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A kind of radio circuit and mobile terminal
JP6721114B2 (en) 2017-03-30 2020-07-0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High frequency module
CN111095804B (en) * 2017-09-15 2022-03-11 株式会社村田制作所 High-frequency circuit, front-end circuit, and communication device
JP2019068205A (en) * 2017-09-29 2019-04-2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High frequency circuit, front end module, and communication device
CN111279612B (en) * 2017-10-24 2023-08-22 株式会社村田制作所 High-frequency circuit, multiplexer, high-frequency front-end circuit, and communication device
CN111919391B (en) 2018-03-29 2022-04-29 株式会社村田制作所 High-frequency front-end circuit
CN112335182B (en) * 2018-06-25 2022-02-08 株式会社村田制作所 Front-end circuit
WO2021002238A1 (en) * 2019-07-03 2021-01-0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High-frequency module and communication device
CN112206003A (en) * 2019-07-11 2021-01-12 深圳市理邦精密仪器股份有限公司 Multi-probe ultrasonic instrument and cascade structure of socket thereof
CN114731170B (en) 2019-11-20 2023-12-22 株式会社村田制作所 High-frequency module and communication device
TWI756702B (en) * 2020-06-02 2022-03-01 立積電子股份有限公司 Switching circuit
KR20220102433A (en) * 2021-01-13 2022-07-20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power of a transmission signal in the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plurality of antenna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17750A (en) 2012-07-11 2014-01-30 Ntt Docomo Inc Front end circuit, and impedance adjusting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1061B2 (en) * 1995-06-08 2000-02-21 日本電気株式会社 High frequency switch circuit
US20070085754A1 (en) * 2005-10-18 2007-04-19 Nokia Corporation RF front-end architecture for a separate non-50 ohm antenna system
TWI440317B (en) * 2006-05-08 2014-06-01 Hitachi Metals Ltd High frequency circuit, high frequency component and communication device
EP2352229A4 (en) * 2008-11-05 2014-11-26 Hitachi Metals Ltd High-frequency circuit, high-frequency part, and multiband communication device
JP2011015345A (en) * 2009-07-06 2011-01-20 Panasonic Corp Portable wireless device
CN103814526B (en) * 2011-09-22 2016-07-06 埃普科斯股份有限公司 Front-end circuit for frequency band aggregation scheme
JP5451737B2 (en) * 2011-12-28 2014-03-26 太陽誘電株式会社 Front-end module
US9325042B2 (en) * 2012-09-12 2016-04-26 Sony Corporation RF front end module and mobile wireless device
US9240811B2 (en) * 2012-10-23 2016-01-19 Intel Deutschland Gmbh Switched duplexer front end
US9350310B2 (en) * 2013-05-24 2016-05-24 Qualcomm Incorporated Receiver front end for carrier aggregation
US9231552B2 (en) * 2013-07-09 2016-01-05 Sony Corporation RF front-end module and mobile wireless termina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17750A (en) 2012-07-11 2014-01-30 Ntt Docomo Inc Front end circuit, and impedance adjusting metho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03518A1 (en) * 2018-04-17 2019-10-24 삼성전자 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diplexer capable of adjusting cutoff frequency in connection with adjustment of reception frequency band of duplexer
US11569971B2 (en) 2018-04-17 2023-01-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diplexer capable of adjusting cutoff frequency in connection with adjustment of reception frequency band of duplex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452462A (en) 2017-02-22
JP6460046B2 (en) 2019-01-30
CN106452462B (en) 2019-05-14
JP2017038352A (en) 2017-02-16
KR101850769B1 (en) 2018-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0769B1 (en) Switch module, front-end module, and driving method for switch module
US9941582B2 (en) Switch module, front-end module, and driving method for switch module
US7738841B2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high power 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CMOS) antenna switches using body switching and external component in multi-stacking structure
CN108476031B (en) Adaptive tuning network for combinable filters
US7890063B2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CMOS) antenna switches using body switching in multistacking structure
US7843280B2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high power 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CMOS) antenna switches using body switching and substrate junction diode controlling in multistacking structure
US11804816B2 (en) Adaptive tuning networks with direct mapped multiple channel filter tuning
US10153803B2 (en) Receiving circuit,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KR102274153B1 (en) switch module
US11496172B2 (en) Radio-frequency module and communication device
KR101481852B1 (en) Switching device with selectable phase shifting modes for reduced intermodulation distortion
US11742847B2 (en) RF switch with bypass topology
JP6466872B2 (en) Communication circuit
JP5192900B2 (en) Switch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KR20140086487A (en) Radio frequency switch circuit
TWI790053B (en) Radio frequency switch
JP2004146916A (en) High frequency switch circuit and high frequency signal switch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