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8750A - 입구 개방수단이 구비된 포대류와 입구 개방수단 및 입구개방 방법 - Google Patents

입구 개방수단이 구비된 포대류와 입구 개방수단 및 입구개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8750A
KR20170018750A KR1020150121157A KR20150121157A KR20170018750A KR 20170018750 A KR20170018750 A KR 20170018750A KR 1020150121157 A KR1020150121157 A KR 1020150121157A KR 20150121157 A KR20150121157 A KR 20150121157A KR 20170018750 A KR20170018750 A KR 201700187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opening
inlet
support member
bu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1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서
박성귀
Original Assignee
박성귀
박경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귀, 박경서 filed Critical 박성귀
Publication of KR20170018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87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Abstract

본 발명은 포대류인 봉투, 봉투, 자루, box, 부대, 포대 등의 용기에 특정 내용물, 쓰레기나 곡물 등을 쉽게 담을 수 있도록 포대류의 입구를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개방하고, 개방된 상태의 포대류를 특정 위치에 부착하여 사용하도록 하고, 포대류의 내부가 가득 찬 경우 상기 포대류와 그 입구를 개방하는 장치를 함께 처리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포대류의 입구를 개방하는 장치 및 그 입구를 개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입구 개방수단이 구비된 포대류와 입구 개방수단 및 입구개방 방법{The bag with devices to open mouth of that and the methods to open}
본 발명은 포대류인 봉투, 봉투, 자루, box, 부대 등의 용기에 특정한 내용물인 쓰레기나 곡물 등의 사용을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포대류의 입구를 간편하게 개방하거나, 개방된 포대류를 특정 위치에 부착하여 사용하도록 제공되는 입구를 개방하는 수단이 구비된 포대류와 포대류의 입구를 개방하는 다양한 수단 및 포대류의 입구를 개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본인의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203928호는 1회용 쓰레기통에 관한 것으로서, 한 장의 비닐 외피 내부에 개구용 내부 지지물을 보관하고, 필요시에 이를 뒤집어서 내부에 집어넣고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여 쓰레기를 처리하도록 하는 1회용 쓰레기통에 관한 것 이었다. 그리고 등록특허 10-1532046호 및 특2003-0024053, 20-0388299 U, 20-2008-0000645에는 포대류 내부에 내부지지부재을 구비하고 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는 다양한 기술들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시제품 제작 결과, 이러한 기술을 적용한 제품이 실용화될 수 있는 중요한 요소는 쓰레기봉투의 입구를 개방하는 데 수단이 구비된 쓰레기봉투의 제조원가를 낮추는 것 이었다. 하지만 인용기술들은 좀더 간단한 형태로 제작되어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불필요하게 구조를 복잡하게 구성하여 제조원가를 높게 형성하거나, 금속제의 값비싼 자재를 사용하게 됨으로써 값싼 쓰레기 봉투의 생산원가대비 제조원가가 지나치게 높아져 경제성 측면에서 활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고, 원가절감을 위해서는 비싸고 얇은 형태의 합성수지판보다는 값싼 재활용 판지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두꺼운 판지는 쓰레기 봉투의 내주면을 감싸게 됨에 따라 내부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어 쓰레기를 담을 수 있는 용적이 줄고, 더우기 포대류 내부에 구비되는 탄력성이 없는 두꺼운 판지에 의하여 탄력성을 가진 봉투를 감싸게 되므로 쓰레기봉투의 탄력성에 의한 쓰레기 수용 용량을 더욱 더 줄어들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쓰레기통의 사용방법을 살펴 보면, 소정의 형태를 가진 고형물 상태로 제작된 용기의 내부에 이와 유사한 크기의 봉투류를 넣어서 상기 봉투에 쓰레기가 가득차면 봉투만을 분리하여 제거하여 처리하게 되는 데 이 과정이 번거로우며, 또한 화장실에서 사용되는 쓰레기통의 경우에는 자주 씻어야 하는 번거로움과 대다수의 경우 상기 쓰레기통의 크기에 비해 내부에 구비되는 쓰레기 봉투의 크기가 커서 쓰레기가 가득차서 내부 봉투를 꺼내 보면 실제로 내부의 쓰레기 양은 봉투를 가득 채우지 못하고 항상 여유공간이 남은 채로 버리게 되므로 봉투 자원을 낭비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일반 가정이나 마트 등에서 널리 사용되는 다양한 형태의 종래의 ?昰? 봉지들은 그 두께가 너무 얇아 사용자가 봉지의 입구를 쉽게 찾거나 개방할 수 없기 때문에 사용이 불편하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입구 개방수단이 구비된 포대류와 포대류의 입구를 개방하는 수단 및 개방하는 방법에 의하면, 먼저 딱딱한 고형물 상태로 제작되어 특정 장소에 비치하여 사용하였던 종래의 쓰레기통 대신에 포대류의 내부 또는 외부에 포대류의 입구를 간단한 방법으로 개방. 지지하여 제공하도록 하고, 사용함에 따라 내부가 가득 차면 입구를 개방하였던 내부지지부재를 쓰레기와 함께 처리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포대류의 입구를 개방하는 내부지지부재는 저가의 재생 판지나 플라스틱, 골판지 등의 재활용품을 활용함과 동시에 최소한의 크기와 부피를 가진 단순한 형태로 제작되어야 자원의 재활용 및 쓰레기 봉투의 경제적 사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고, 종래 쓰레기통의 사용에 수반하였던 쓰레기통의 세척문제나 공간 점유문제를 개선하여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각종 운동경기장이나, 각종 행사장에 일정한 간격으로 대형 포대류를 입구를 개방하여 자립식으로 제공하거나, 극장, 버스나 선박, 항공기의 내부에서는 소형 간이용 쓰레기통을 비치하거나, 스티커 등으로 매달아 제공함으로써 스레기를 효과적으로 수집.수거하도록 하거나, 종래 책상 아래의 구석에 비치하여 사용하였던 쓰레기통을 간편한 형태로 제작하여 책상의 측면이나 책상, 식당의 식탁 위에 비치하여 사용하게 제공함으로써 편리하고 깨끗한 쓰레기통 문화를 형성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종래 쓰레기봉투를 사용하는 방법으로서 내부가 가득찬 쓰레기봉투를 버릴 때 입구를 묶어서 버리는데 이때 내부가 가득찬 쓰레기 봉투의 입구를 묶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며, 나아가 묶음끈의 길이에 해당되는 용적만큼 쓰레기를 담을 수 없어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쓰레기봉투의 입구를 묶는 묶음끈에 양면 테이프 등의 점착테이프나 스티커, 묶음철사 등을 구비하여 내부가 가득찬 쓰레기봉투의 묶음끈을 서로 간단히 접합하여 처리함으로써, 종전과 일일이 묶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고, 이러한 묶음끈의 늘어난 길이 만큼 추가 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많은 양의 쓰레기를 담을 수 있는 경제적인 쓰레기봉투 겸용 쓰레기통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일반 농가 등에서 햇볕에 말린 곡식을 다시 마대나 가마니에 담아야 하는 경우 또는 농산물의 소매점, 방앗간 등에서 곡물 등을 일정 단위로 소매 포장하여 판매하는 경우 그 입구를 개방함과 동시에 몸체를 간편하게 지지 고정함으로써,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도 혼자힘으로 곡물 등을 편리하게 담을 수 있는 도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최근에 일반 가정이나 마트 등에서 널리 사용되는 다양한 물건을 담기 위한 형태의 ?昰? 봉지들을 간단한 개방수단로서 그 입구를 쉽게 개방할 수 있도록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특허에 의하면, 포대류의 입구를 개방하기 위하여 포대류의 내부에 소정 형태의 탄성 복원력을 가진 탄성부재를 이용한 지지부재를 준비하여 이것을 탄발 전개되도록 하거나, 기타의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포대류의 입구를 개방하도록 제공된다. 또한, 포대류의 입구를 개방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내부지지부재는 주로 포대류의 내부에 구비되지만, 특별한 경우에는 포대류의 외부에 미리 준비하여 필요한 경우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포대류의 입구를 개방하는 사용 형태도 첫 번째로는 포대류의 입구만을 간단히 개방한 다음, 포대류의 몸체를 특정한 위치에 걸거나, 고정하여 사용하는 형태이고, 둘 째는 포대류의 입구뿐만 아니라 내부까지 길이 방향으로 길게 개방하여 포대류가 자립할 수 있도록 한 다음, 특정한 장소에 세워서 사용하거나 특정 위치에 매달아서 사용하게 할 수 있는 형태이며, 세 째는 일반 농가 등에서 해볕에 말린 곡식을 다시 마대나 가마니에 담아야 하는 경우에 있어서 그 입구를 개방함과 동시에 몸체를 간편하게 지지 고정함으로써,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 혼자 힘으로 곡물 등을 편리하게 담을 수 있는 도구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마지막으로는 그 사용 범위를 더욱 확대하여, 일반 마트나 시장 등에서 널리 사용되는 비닐 봉지의 입구만을 간편하게 개방하여 물건을 쉽게 집어넣는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는 포대류의 입구를 개방하는 도구 형태 및 이러한 상태를 구현하는 방법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종래 딱딱하고 많은 공간을 차지하였던 쓰레기통을 대신하여 필요한 장소에 간단히 설치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화장실에 비치하였던 쓰레기통을 대신하여 사용함으로써, 화장실 내의 여유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또한 주기적으로 세척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각종 운동경기장이나, 극장, 버스나 항공기의 내부에서 의자나 좌석 주변에 소형 간이용 쓰레기통을 스티커 등을 이용하여 좌석 주위에 매달아 둠으로써, 관람객이나 승객들이 버린 대량의 쓰레기를 효과적으로 수거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좌우방향으로 전개되는 포대류 입구 개방수단를 예시한 도면
도 2는 포대류를 특정 위치에 rock 형태로 고정하는 방법을 예시한 도면
도 3은 상하로 전개되는 포대류 개방방법을 예시한 도면
도 4는 관절형 포대류의 입구 개방방법을 예시한 도면
도 5는 뒤집기형 포대류 개방수단를 예시한 도면
도 6은 안테나형 포대류 개방장치를 예시한 도면
도 7은 좌우길이확장형 개방수단를 예시한 도면
도 8에는 유체 주입형 개방수단를 예시한 도면
도 9에는 기어방법의 개방수단를 예시한 도면
도 10에는 강제끼워맞춤식 개방수단를 예시한 도면
도 11에는 나선형태의 탄발부재 개방수단를 예시한 도면
도 12는 포대류의 외부에 구비되는 개방수단를 예시한 도면
도 13에 포대류의 외부 형상의 또다른 실시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4에는 부채꼴 형태을 갖는 포대류 몸체 형상을 예시한 도면
도 15에는 포대류의 입구를 개방하는 또다른 실시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6에는 포대류 입구 개방수단의 또다른 실시의 예를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의 예를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대상의 범위와 사용되는 용어의 의미를 명확히 정하기 위하여 관련되는 용어들의 의미를 간단히 정의해 보기로 한다. 여기서 포대류라 함은 봉지, 봉투, 자루, box, 부대, 포대 등 명칭에 상관없이 특정한 물품인 곡물, 쓰레기뿐만 아니라, 다양한 농림축수산물, 공산품 등 다양한 종류의 물건을 담 을 수 있는 특헝한 형태의 용기로서, 그 재질은 재지류, 비닐류, 재생 합성수지류, 재활용 재지류, 각종 재지류를 방수처리한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입구 개방수단이 구비된 포대류와 포대류의 입구를 개방하는 수단 및 개방하는 방법에 의하면, 포대류의 입구를 개방하는 수단과 그 방법은 크게 다음 네 가지 형태의 페밀리 특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아래의 네 가지 형태의 포대류 개구수단을 중심으로 주어진 도면을 참조하여 각각의 발명 구성요소와 이들의 작용관계를 설명하기로 한다.
첫 번째 구현 형태는 포대류의 입구만을 간단히 개방한 다음, 포대류의 몸체를 특정한 위치에 걸거나 고정하여 사용하는 형태이고, 둘 째는 포대류의 입구뿐만 아니라 내부의 바닥까지 길이 방향으로 상하로 전체를 개방하여 포대류가 자립할 수 있는 형태로 특정한 장소에 세워서 사용하거나 특정 위치에 매달아서 사용하게 할 수 있는 형태이며, 세 째는 일반 농가 등에서 햇볕에 말린 곡식을 다시 마대나 가마니에 담아야 하는 경우 등에 있어서 그 입구를 개방함과 동시에 몸체를 간편하게 지지 고정함으로써 타인의 도움 없이 혼자 힘으로 곡물 등을 편리하게 담을 수 있는 내구성 도구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마지막으로는 상기 포대류의 입구를 개방하는 장치의 범위를 확대하여 일반 마트나 시장에서 널리 사용되는 소형의 얇은 비닐 봉지의 입구만을 신속히 개방하여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포대류의 입구를 개방하는 수단도 포대류 내부에 부착하거나, 보관하는 형태로 구비하게 할 수 있고, 또다른 형태로서 평상시에는 포대류의 외부에 특정한 형태별, 규격별로 제작 보관하다가 필요시에만 이를 꺼내어 포대류 내부에 부착하거나 끼워넣음으로서 입구를 개방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먼저,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입구 개방수단이 구비된 포대류를 자동차 전용 휴지통으로 사용하는 경우의 일 실시의 예로서 그 외형도를 도시하고 있다. 포대류 몸체(101)에 2개의 손잡이(102)와 2개의 묶음끈(105)를 가지며, 몸체(101)의 입구가 포대류 커버(103)에 의해 덮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포대류 몸체(101) 내부의 후면 상부에는 수평방향으로 중앙지지부재(106)가 구비되고, 상기 중앙지지부재(106)의 좌우측으로는 다양한 형태의 좌우지지부재(도시되지 않음)가 포대류의 내부에서 입구를 개방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몸체(101)의 후면의 중앙부는 필요에 따라서 양쪽으로 갈라지게 형성하고 소정의 두께로 접힘부(108)를 형성하여 설치 초기에는 부피를 적게 설치하고 사용함에 따라 내부에 쓰레기가 점차 차오름에 따라 원래의 크기를 회복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중앙지지부재(106)의 중심부에는 가로홈(106)이 구비되어 포대류(101)를 특정 위치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중앙지지부재(106)의 길이는 포대류의 크기와 형상에 따라서 다양한 폭과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특별한 경우에는 좌우지지부재와 일체로 형성되어 구분할 수 없도록 형성되거나 5cm 이하의 짧은 길이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용도에 따라서 생략될 수 있는 포대류 커버(103)는 중앙지지부재(106)나 포대류 입구의 상부 또는 포대류의 후면에 포대류의 입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부착되고, 평소에는 포대류(101)의 내부에서 접혀있는 상태로 보관하다가 사용시에는 하부에 구비된 커버손잡이(104)를 붙잡고 입구의 외부로 인출한 다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커버손잡이(104)는 몸체(101)의 입구를 완전히 덮을 수 있도록 몸체(101)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충분한 크기를 갖으며 개폐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앞으로 약간 기울여지는 형태를 갖는 것이 바림직하다.
그리고 묶음끈(105)은 포대류(101) 입구 사방에 설치될 수 있으며, 포대류(101)를 특정 위치에 걸거나 고정하기 위하여 상부에 소정의 홀(107)을 구비할 수 있고, 상기 홀(107)이 내부의 무게에 의하여 쉽게 뜯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홀 주변에 보강재를 테이프 형태 등으로 보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묶음끈(105)에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찍찍이테이프나 연결고리, 양면 테이프, 묶음철사 등의 연결부재(108)를 구비하여 포대의 내부가 가득차서 처리하는 경우 반대편 묶음끈(105)에 연결하여 포대류(101) 입구를 폐쇄하면서 처리하도록 한다. 또한, 포대류몸체(101)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방주머니(109)나 측면주머니(110)가 뚜껑이 부착된 상태로 몸체(101)에 부착되거나, 착탈이 가능한 상태로 제작되어 필요에 따라서 부착하여 담배꽁초나 기타 분리수거가 필요한 음식물 등을 담을 수 있도록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한 방법에 추가하여 포대류 몸체를 특정 위치에 고정시키는 방법으로는 포대류의 손잡이를 벽에 있는 고정핀이나 못에 거는 방법, 접착테이프나 스티커로 붙이는 방법, 자석을 이용하여 부착하는 방법, 벽에 고정된 클립이나 집게로 고정하는 방법, 포대류의 후방묶음끈에 홀을 천공하여 이 홀을 벽에 거는 방법 등이 있다.
도 2에는 몸체(101) 내부에 구비되는 외부탄발식 입구 개방수단이 도시되어 있다. 중앙지지부재(201)는 포대류 상부의 중앙에 부착되면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좌우지지부재(203)의 외부 탄발 작용에 의하여 외부로 전개되면서 입구를 개방하도록 구성된다. 좌우지지부재는(203)는 중앙지지부재(201)의 양 끝단에 구비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양 단부에서 포대류 크기에 맞추어 일정한 거리만큼 중심부로 이동한 위치하여 포대류 입구를 개방하도록 하고, 그 전개되는 각도는 30도 이상 160도의 범위를 갖음으로써 내부가 비어있는 초기에는 입구를 적게 개방하고 점차 내용물이 차오름에 따라 포대류 원래의 크기를 점점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우지지부재(203)의 단부에는 포대류(101) 내주면과 접촉하도록 ㄱ자나 T자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아암(arm)부(206)가 추가로 구비되며, 그 연장되는 길이만큼 포대류의 내부 아래에까지 안정적으로 개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연장아암(arm)부(206)는 중앙지지부재(201)와 다른 재질을 갖도록 하거나, 탄성고무를 구비하여 포대류의 내부에서 원활하게 입구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연장아암부(206)는 당해 포대류(101)의 용도가 그 입구만을 개방하여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경우에는 비교적 짧은 길이를 갖지만, 포대류의 바닥까지 개방하는 경우에는 상기 연장아암부(206)는 포대류(101)의 길이만큼 충분한 길이를 가질 수 있고, 중앙지지부재(201)가 포대퓨 내부에서 상하로 구비되어 자립식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중앙지지부재(103)의 상하부 길이만큼 서로 연결되도록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좌우지지부재(203)를 좌우, 상하로 탄발시키는 방법은 Push type, Pull type, 양자의 복합방법, 탄성체접합방법, 탄성체구성방법 등이 있다.
Push 방법은 좌우지지부재(203)를 포대류 입구 둘레와 꼭 맞도록 형성하여 사용자의 손으로 포대류의 내주면과 밀착하도록 밀면서 입구를 개방하도록 하거나, 좌우지지부재(203)가 좌우로 탄발할 수 있도록 구비된 스프링힌지(207), 각종 탄성부재를 부착하여 외부로 탄발하면서 입구를 개방하도록 한다.
또한, Pull방법은 상기 Push 방법과는 반대 개념으로서 Push 방법의 반대편에서 상기 좌우지지부재(203)를 외부로 당기면서 포대류의 입구를 개방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중앙지지부재(201)의 단부와 좌우지지부재(203)를 소형 고무끈으로 묶거나 인장스프링 등 탄성부재를 이음부에 형성하여 탄성부재의 인장력으로 좌우지지부재(203)를 당기면서 입구를 개방하도록 한다.
탄성접합방법은 상기 좌우지지부재(203)와 상기 중앙지지부재(201)의 맞닿는 부분에 탄성부재를 형성하여 외부로 탄발 전개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탄성체 구성방법은 좌우지지부재(203) 자체를 소정의 탄성을 가진 고무나 합성섬유 등의 탄성부재 자체로 형성하는 방법이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입구개방수단이 구비된 포대류가 특히, 차량의 내부나 선박 등 요동이 극심한 환경하에서는 포대류의 몸체(301)를 특정 위치에 단순히 걸어두는 것에 더하여 단단히 고정해야 할 필요가 있다. 도 3은 이러한 경우 해결 방안의 하나로서 포대류(301)를 특정 위치에 rock시키는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이를 위해 중앙지지부재(302)의 중앙부에는 소정 크기의 가로홈(303)을 형성하고, 포대류(301)를 특정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장치로서 상기 가로홈(302)을 끼울 수 있는 회전손잡이(305)가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손잡이(305)는 연결핀(308)에 의하여 하부의 연결핀고정부(304)에 고정되며, 상기 연결핀고정부(304)의 하부에는 벽 등에 부착될 수 있는 못이나 실리콘, 스티커 등의 부착부재(307)가 구비된다. 사용자가 특정 위치에 포대류(301)를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연결핀고정부(304)를 특정 위치에 고정시킨 다음, 중앙지지부재(302)의 가로홈(303)을 상기 회전손잡이(305)에 끼우고 압박하면서 회전손잡이(201)를 90도 회전시켜 고정시키고 포대류 내부에 접혀진 커버(306)를 꺼내어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구현한다.
이하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상기의 방법을 이용하여 승용차의 내부에서 차량용 쓰레기통을 설치하여 사용하는 방법의 사용의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통상 본 제품은 10개나 20개 단위로 소매 포장되어 판매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제품과 함께 제공되는 상기의 쓰레기봉투(101)를 차량 내부에 고정하는 장치를 자신이 쓰레기통을 두고 싶은 위치(예를 들어, 조수석 좌측 벽의 안쪽, 앞좌석과 뒷좌석의 중간부 등)에 상기 고정장치의 하부에 구비된 스티커(307)의 커버를 벗기고 고정장치를 강하게 압착하여 부착한 다음. 포장 박스에서 꺼낸 한 장의 쓰레기 봉투의 입구를 벌리고, 내부에 손을 넣어 쓰레기봉투(101) 내부에 접혀져 있는 커버손잡이(104)를 잡고 커버(103)를 외부로 꺼낸다. 이때 쓰레기봉투 커버(103)의 안쪽에는 상기 좌우지지부재(203)가 탄발되기 위해 서로 맞닿는 상태로 접혀져 포개져 있는데, 그 위를 상기 쓰레기 봉투의 커버(103)가 접착스티커로 붙여져 탄발을 억제하고 있으며, 이때 사용자가 쓰레기봉투 커버(103)를 외부로 꺼내면서 상기 접착부가 떨어짐과 동시에 상기 좌우지지부재(203)가 탄성력에 의해 좌우로 탄발하면서 쓰레기 봉투의 입구를 개방하게 되며, 이어서 사용자는 쓰레기 봉투의 후방 중앙부에 구비된 가로홈(106)을 조수석 좌측에 고정하였던 회전손잡이(201)의 홈에 맞추어 끼워넣고, 회전손잡이(201)를 90도 회전시켜 단단히 고정하게 된다. 초기에는 몸체(101)의 후방이 접힘부(108)에 의하여 20%~30% 정도가 접혀저 있어 부피를 줄이는 상태로 설치되었다가 쓰레기통의 내부가 점차 차오르면 상기 회전손잡이(201)를 원위치로 회전하면서 쓰레기봉투(101)를 차량에서 분리하여 쓰레기봉투의 묶음끈(105)에 부착된 양면스티커의 커버(307)를 벗기고 반대편 묶음끈에 상기 스티커를 부착하여 입구를 봉하면서 내부지지부재를 쓰레기와 함께 처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4에는 본 특허 구성의 경제성의 원칙에 따라 포대류 내부에 구비되는 내부지지부재를 단순화시키는 다양한 형태의 입구 개방수단을 도시하고 있다. 이 방법에 있어서의 특징은 포대류 내부에 구비되는 내부지지부재가 특별한 모양이나 길이로 한정되지 않으며, 띠, 봉, 관형 형태의 입구가 개방된 단순 직선에서부터 그 구부리는 각도를 점점 크게 하여 정형, 부정형의 나선, 입구가 닫힌 초승달, 하현달, 반원, 상현달, 원형, 다각형 형상에 나아가 일정한 면적을 갖는 판상의 띠, 나선, 다각의 도형, 초승달, 하현달, 반원, 상현달, 원판 및 원기둥, 하부가 개방된 다각형 입방체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는 점이며, 도 4에 도시된 형태는 그 적용 예의 일부를 도시한 것에 불과하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도 4에 도시된 형태의 내부지지부재는 탄성을 갖거나, 갖지 않는 다음 형태의 다양한 천연섬유나 천연수지뿐만 아니라 천연고무, 각종 합성섬유, 합성수지류, 종이류 등과 재생지, 재생섬유나 재생수지 등 사용되는 재질은 제한이 없으며, 그밖에 금속제나 비금속 재료, 제지류, 특별한 경우에는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고형화되는 재료를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러한 내부지지부재를 포대류에 구현하는 방법은 포대류 내주면 또는 외주면의 일부 또는 전체에 걸쳐 탄성을 갖는 재료를 입구가 개방될 수 있는 소정의 형태로 구비하여 자재가 가진 탄성에 의하여 항상 입구가 개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일정 단위로 포장되어 사용자가 편리하게 뽑아서 바로 사용도록 하거나, 소정 형태를 갖는 내부지지부재를 물리적인 힘으로 포대류 내부에서 입구쪽으로 인출하면서 입구를 개방하는 견인방법과, 포대류 외부에서 포대류 입구 내주면으로 또는 포대류 내부에서 바닥쪽으로 강제로 삽입하면서 입구를 개방하는 방법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무엇보다도 이들의 방법에 의해 포대류 입구를 개방하면서, 내부에 쓰레기가 가득차면 내부지지부재와 함께 처분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 본 기술의 본질적 구성요소이며,
여기서 상기의 상시 입구를 개방하는 형태라 함은 포대류의 입구를 개방하는 형태의 내부지지부재의 재질이 탄성(flexiible)의 특성을 가짐으로써, 내부지지부재를 포대류와 함께 구부리거나 접는 등의 변형을 가하고, 이를 해제하는 경우 에도 입구가 즉시 탄성 복원되어 입구가 개방되는 형태를 말한다. 이러한 포대류의 입구가 재료의 탄성에 의하여 자동 개방되는 형태는 개방을 위하여 특별한 수단의 구성을 요하지 않으므로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다. 특히 특별한 입구개봉수단을 구비함이 없어 보관 및 설치가 편리하므로 여타의 다른 입구개방방법보다 우월적인 특징을 가지며, 이하 본 발명의 특허를 구성하는 도 4의 모든 형태에 적용될 수 있고, 본 발명의 핵심 기술에 속한다.
도 4에서 (가)의 형태는 가장 단순한 개방수단의 형태로서 일자형 지지부재이며, 이러한 내부지지부재는 탄성을 갖는 재질을 포함하여 적어도 포대류 입구의 30% 이상을 개방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지면서 양 단부가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은 선류, 봉류, 띠류, 판류, 각형류, 중공의 관류 등의 형태로 형성되며, 일자형 지지부재(1001)가 플렉시블한 재질 또는 스틱한 재질과 플레시블한 재질이 복합 구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지지부재(1001)를 포대류 내주면에 둥글게 구부려 끼워 넣으면서 입구를 개방하거나, 또는 일자형의 탄성 재질의 지지부재를 포대류의 내.외부의 입구 또는 입구와 내부에 구비하여 상시 입구를 개방시키도록 구현하도록 하며, 여기서 일자 형태라 함은 가로의 폭보다 새로의 길이가 더 긴 형태를 의미한다. 즉, 일자형의 지지부재에 세로 방향으로 다양한 연장부가 부착되거나 기타 ㄴ자형, ㄷ자형 등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고, 아울러 일자형의 중앙부에는 짧은 길이를 갖는 중앙지지부재가 구비될 수 있고, 그 양 단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아암부(1000)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나)는 서로 분리된 스틱한 재질의 2개의 지지부재(1003)를 탄성을 갖는 이음부(1005)로 접합하여 연결하여 이를 구부리면서 집어넣어 입구를 개방하는 방법이며, (다)는 평상시에는 얇은 띠 형태로 반으로 접어서 보관하다가 필요시에는 이를 뒤집어 넣음으로써 입구를 개방하는 방법이다. (라) 형태는 서로 분리된 2개의 지지부재를 하나는 포대류 내부에 고정하고 하나는 버클장치나 기타 연결수단을 이용하여 양자를 연결하면서 보다 강한 형태로 포대류의 입구를 개방하는 방법이며, (마) 형태는 (가)의 막대 형태보다 길이가 긴 호 형태의 막대, 각형, 관, 얇은 판 등의 형태의 지지부재이며, (바) 형태는 설치 초기의 포대류 입구를 (마)의 형태보다 크게 형성할 필요가 있거나 포대류 입구를 보다 강하게 개방시킬 필요가 있을 대 사용된다.
이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내부지지부재의 구조에 추가로 각종 접합부재(1004)를 이용하여 포대류 내주면에 부착. 보강할 수도 있으며, 또한 중앙부에는 짧은 길이를 갖는 중앙지지부재가 구비될 수 있고, 그 양 단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아암부(1000)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사)의 형태는 적어도 포대류 입구의 30% 이상을 개방할 수 있는 소정의 크기와 두께를 갖으면서 양 단부가 서로 연결된 형태의 타원을 포함한 원 형태의 링, 또는 곡선류나 다각형 형태의 링, 또는 도형의 외곽이나 주요부로 구성된 틀, 상기 틀의 내부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보강띠나 보강부재를 부착한 형태로서 입구가 크고, 보다 강력한 지지력이 필요한 경우에 사용될 수 있으며, (아)의 형태는 상기 (사)의 형태에 굴절부(1010)를 형성하여 포대류 입구에 설치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자)의 형태는 포대류가 사각형인 형태에 적용될 수 있으며, (차)의 형태는 (자)의 형태의 굴절형으로서 설치가 용이하다. (카)의 형태는 적어도 포대류 입구의 30% 이상을 개방할 수 있는 소정의 면적을 갖는 원형, 타원형, 자유 곡선형 또는 다각형 형태의 판, 그물을 포함하는 다공질 형태의 판, 원판형으로서 포대류 내부에 구비되는 경우에는 내부에서 입구쪽으로 인출하면서 입구를 개방할 수 있으며, 또는 외부에서 포대류 입구로 끼워넣는 방법으로 입구를 개방하게 할 수 있다.
이 방법의 특징은 원판의 중심부에 포대류 커버를 형성하게 할 수 있어 편리하고, 추가적으로 지지강도를 보강하게 하기 위하여 커버나 포대류 입구에 양면테이프 등의 접착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지지부재와 포대류를 접착함으로써 보다 강하게 입구를 개방하게 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타)의 형태는 상기 (카) 형태의 지지부재에서 포대류 입구의 외경과 같은 직경을 갖는 보강부를 추가로 구성하여 내부 지지부재가 보다 강하게 입구를 개방 지지할 수 있도록 하며, 추가적으로 포대류 커버가 상기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포대류 입구의 30% 이상을 개방할 수 있는 소정의 면적을 갖는 하부가 개방된 원기둥, 곡선기둥, 다각형 입방체 형태의 내부 지지부재가 포함되며 상기 입구 개방수단을 포대류 내부에서 상시 입구를 개방하도록 구성하거나, 특성 형태의 개방수단을 포대류 내부에서 입구 방향으로 견인하거나, 포대류 바닥을 향하여 밀면서 개방하는 상기 지지부재 견인식 개방방법및 이들 내부지지부재를 포대류 외부에 보관하여 필요시에만 사용하도록 하는 방법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지지부재의 후방 중앙에는 비교적 짧은 길이의 중앙지지부재를 추가로 구비하여 특정 위치에 고정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도 4에 예시된 도면은 적용 가능한 형태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에 불과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직선에서부터 하부가 개방된 삼각기둥, 사각기둥 등 다각형 입방체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로 형성이 가능하며, 이러한 기본적 형태에 다양한 부가물을 부가, 생략, 변형한 형태는 본 특허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본다.
도 5에는 걸림턱 방식의 입구 개방수단이 도시되어 있다.
좌우지지부재(1003)는 접혀있는 상태로 포대류 내부에 구비되고, 사용자가 포대류의 입구를 개방하기 위하여 중앙지지부재(1002)와 좌우지지부재(1003) 사이의 좁은 틈으로 손가락을 넣어서 양자를 벌리면서 외주 방향으로 이격시키면 좌우지지부재(1003)가 외부로 점점 확장되면서 포대류의 입구를 개방하게 된다. 이때 포대류 입구가 완전히 개방된 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좌우지지부재(1003)의 일측에 구비된 다수의 걸림턱(1005)이 연결부에 형성된 연결고정부(1004)의 내부를 통과하다가 포대류 입구가 완전히 개방된 지점에서 상기 연결고정부(1004)에 걸리면서 고정되어 포대류의 입구를 개봉하게 되는 방법이다.
도 6에는 관절형태의 포대류 입구 개방수단이 도시되어 있다.
이 수단은 중앙지지부재의 좌우지지부재, 또는 수직으로 부착되는 경우에는 상하지지부재의 중간부를 관절형태로 운동하는 관절부를 형성하여, 상기 관절부(405)를 상하, 좌우로 누르거나, 당기면서 관절부(405)의 길이를 확장하여 포대류의 입구를 개방하는 방법이다. 다만, 상기 관절부(405)는 상기 포대류 앞뒤 벽의 내부 공간에 구비될 수 있으며, 좌우 한 쌍뿐만 아니라 포대류 전체에 걸쳐 다수의 관절부를 형성하여 전체가 그물망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고, 또한 상기 관절부의 내부에 힌지 스프링이나 고무류 등의 탄성부재를 구비하여 이들의 탄발에 의하여 관절부가 확장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또한 구비된 탄성부재에 의하여 관절부(405)가 탄발이 억제된 상태로 박스포장이나 소정의 집게 등으로 탄발이 억제된 상태로 보관하다가, 사용자가 박스에서 포대류를 인출하는 작용에 의하여 상기 관절부(405)가 탄발 작동되면서 포대류의 입구가 개방된 상태로 인출하여 고정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7에는 안테나 형태로 운동하는 포대류 입구 개방수단이 도시되어 있다.
이것은 수평지지부재(601)에 상하, 좌우로 길이를 확장할 수 있는 수단, 예를 들어 안테나의 형태로 지지부재(602)가 진퇴하면서 접촉부(6030가 포대류 입구를 개방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철제, 알류미늄 등 하드 박스를 개방하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으며, 안테나 방법과 탄성부재를 겸비한 형태로 스위치 조작으로 길이를 늘리면서 박스나 대형 포대류의 입구를 개방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8에는 지지부재 연결부 고정방법의 포대류 개방수단이 도시되어 있다.
이 방법은 수평지지부재(701) 좌측과 우측에 구비되는 좌우지지부재(702)의 길이를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도록 구비하되, 상기 좌우측으로 확장되는 좌우지지부재(702)의 길이는 포대류의 둘레 길이보다 길거나, 짧거나,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다. 포대류 내주면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지지부재(702)의 고정수단을 중앙지지부재(701)에 나사식 고정장치 등으로 구비하여 소정의 길이만큼 늘어난 좌우지지부재를 고정하면서 포대류의 내주면을 따라 포대류의 입구를 개방하도록 하고, 양자가 동일한 길이를 갖는 경우에는 걸이식, 요철방법 등으로 상호 결합하여 고정하면서 입구를 개방하도록 하고, 좌우지지부재의 길이가 길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포대류 내주면에서 양 지지부재(702)가 맞닿는 부분에 양자를 고정시키는 수단인 똑딱이 단추나 연결고리, 찍찍이테이프, 자석, 버클장치, 교차되는 한 면에는 작은 홀을 형성하고 다른 한 면에는 돌출부를 형성하여 서로 끼우는 방법, 양면 테이프로 붙이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으로 양 지지부재가 포대류 내주면을 외부로 밀면서 고정하여 포대류 입구를 개방하는 방법이다. 또한 이 방법은 양쪽 좌우지지부재(702) 단부에 도 1에서 예시한 연장아암부(105)를 추가로 구비하여 포대류 내부까지 입구를 개방함으로써 안정적으로 개방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도 9에는 기어방법의 포대류 개방수단이 도시되어 있다.
이 방법은 중앙지지부재(901) 내부에 이송기어핸들(904)과 좌우지지부재(902)가 상호 기어물림 구조를 형성하여 이송기어핸들(904)의 회전운동에 의하여 이와 맞물리는 좌우지지부재(902)가 좌우로 포대류의 내주면을 따라 이송하면서 포대류의 입구를 개방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주로 큰 힘을 받는 금속제, 플라스틱, 목재 박스 등의 특수한 경우에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
도 10에는 포대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된 내부지지부재를 소정의 형태로 접어서 보관하다가 필요시에는 이를 뒤집어 넣음으로써 포대류 입구를 개방하는 수단를 도시하고 있다.
이 방법은 전술한 인용기술과 유사한 방법으로서 인용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한 방법이다. 상기 인용기술은 판상의 내부지지부재를 그 중심을 접어서 포대류 내부에 구비하였다가 필요시 이를 뒤집어 넣으면서 입구를 개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 기술은 뚜껑부를 별도로 부착하여 재료의 사용량이 많고, 통상 두꺼운 재생지를 사용하여 봉지의 내주면을 둘러쌓음으로써 내부 용적이 줄어들게 되면서 딱딱한 종이 재질로 탄성있는 봉투를 피복하게 되므로 이전보다 적은 양을 담을 수밖에 없다는 한계점이 있었다.
따라서 쓰레기봉투 내부지지부재의 중앙부 면적을 오려내어 포대류 커버로 활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하여 내부지지부재의 중앙부에 손잡이를 포함한 포대류 커버의 형상으로 점선 상태로 절단하여 준비하였다가 필요시 나머지 부분을 뜯어서 포대류 커버로 사용하도록 하고, 내부지지부재의 형태도 특별한 모양이나 길이로 한정되지 않으며 통상 형태의 탄성을 갖는 재질을 포함하고,
적어도 포대류 입구의 30% 이상을 개방할 수 있는 소정의 길이를 갖으면서 양 단부가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은 선, 봉, 탄성을 갖는 띠(밴드), 판, 각형, 중공의 관, 또는
적어도 포대류 입구의 30% 이상을 개방할 수 있는 소정의 크기와 두께를 갖으면서 양 단부가 연결된 형태의 타원을 포함한 원 형태의 링, 곡선 형태, 다각형 형태의 링 또는 도형의 외곽으로 구성된 틀, 도형의 주요부만으로 구성되어 포대류 입구를 개방할 수 있도록 형성된 틀, 상기 틀의 내부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보강띠나 보강부재, 그물 등의 다공질 형태, 또는
전체가 다공질 판상을 하거나, 또는
밴드, 띠, 봉, 관형 형태의 단순 막대에서부터 정형, 부정형의 나선, 초승달, 하현달, 반원, 상현달, 원형, 다각형 도형에 이어 일정한 면적을 갖는 판상의 띠, 나선, 초승달, 하현달, 반원, 상현달, 원판 및 원기둥, 다각형 도형, 다각형 입방체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내부가 비어있는 외부 또는 주요부의 골격만으로 구성하거나, 상기 골격부의 내부에 탄성을 가진 얇은 그물망, 기타 다공질 형태의 판을 보강한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그 형태뿐만 아니라 그 길이에 있어서도 적어도 포대류 외주의 30% 이상의 길이를 갖는다면 접착부재로 고정 부착하여 충분히 사용하게 할 수 있으므로 상기의 다양한 내부지지부재의 형태와 이를 보조하는 접착부재, 똑딱이 단추 등을 이용하면 더욱더 다양한 응용이 가능한 것이며, 평상시에는 포대류 내부 또는 외부에 접어서 보관하다가 필요시에 이를 포대류 내부에 뒤집어서 넣음으로써 입구를 개방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도 11에는 포대류의 내부가 아닌 포대류의 외부에 일정 크기로 규격화된 내부지지부재를 미리 준비하고, 이를 사용할 경우 내부지지부재와 크기가 맞는 아무 포대류의 내부에 이를 구현하여 포대류의 입구를 개방하는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이 방법의 특징은 별도로 준비된 내부지지부재와 포대류에 의하여 사용되도록 하며, 각각 따로 준비하게 되므로 부피가 적고, 운반과 관리가 용이하여 사용되는 포대류의 종류에 관계없이 크기만 맞는다면 어떠한 포대류에도 사용이 가능함으로써, 범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므로 쓰레기 줍기 행사, 담배꽁초 줍기행사, 밤 줍기, 나물채취, 등 다양한 행사에 편리하게 제공되어 사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여기서 내부지지부재는 전술한 다양한 탄발 방법을 간단한 포켓 형태로 규격화한 것 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상기 뒤집는 방법의 경우에는 중심이 격자 형태로 중공 형성된 얇은 플라스틱 판이나 재생 판지 등을 절반의 크기나 1/3 크기, 기타 소정의 크기로 일방향 또는 지그제그 형태(1201)로 접어서 규격화된 포장단위로 제공하거나, 상기 형태로 접힌 내부지지부재를 다시 한 번 그 중심부를 A 방향으로 절 반(1203), 또는 1/3 크기로 접어서 좀더 소형화한 다음 제공할 수도 있다.
도 12에는 또다른 실시의 예로서 스프링과 같은 나선형태의 포대류 개봉수단을 구비하여 이를 포대류의 내부 또는 외부에서 탄발 확장시킴으로써 포대류 입구를 개방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포대류의 내부에 나선형태의 탄성부재(1101)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이 압축된 탄성부재의 압력을 해소하는 방법에 의하여 내부의 압축 탄성부재가 상부로 탄발되면서 특정 형상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포대류의 입구에는 포대류의 입구의 크기에 맞는 포대류 커버가 미리 부착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나선형태의 탄성부재는 다중의 나선구조(1101)로 형성할 수 있고, 또는 1회 권선에 미달하는 나선을 한 쌍으로 서로 맞물리는 형태(1102)로 구성할 수 있으며, 기타 X자 형태로 서로 맞물리는 형태(1103)로도 구성할 수도 있다.
도 13에는 유체주입방식의 포대류 입구 개방수단이 도시되어 있다.
이 방법은 포대류의 내부에 유체를 주입할 수 있는 중공 호스(801)를 포대류 입구를 개방할 수 있는 망 형태로 구비하여 압축 공기나 헬륨가스 등의 기체나 물 등의 액체 상태인 유체를 주입구(802)를 통하여 주입함으로써 중공호스가 포대류의 내부에서 외부로 확장되면서 포대류의 입구를 개방 지지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주로 대형이면서 자립형 쓰레기통이나 대형 포대류, 농림축산업용 포대 등 주로 중대형 산업용 포대류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 특히, 바람이 부는 야외 대규모 행사장이나 운동경기장 등에 입구가 개방된 강한 자립형 형태로 제공하여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 방법은 상기 도 4의 방법에서 적용한 탄성부재를 내부지지부재로 구비하여 상시 포대류의 입구를 개방하는 상기 입구 개방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4에는 사용자가 포대류의 내부에서 커버를 인출하는 동작과 포대류 내부에 구비된 내부지지부재가 탄발에 의해 전개되는 작용을 상호 연계하는 포대류 개방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이 방법은 상기 수직지지부재(301)와 연결되고 중심부에 접혀서 보관되는 상하지지부재(302)가 탄성부재(303)에 의해서 상하로 탄발하면서 포대류의 입구를 개방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에 있어서 상하지지부재(302)가 상하로 탄발하는 방법은 도 1의 방법과 동일하다. 이 방법은 하나의 확장지대대를 구비하여 포대류의 입구만을 개방하여 매달아 사용하거나, 상부와 하부 각각 2개의 상하지지부재, 또는 상하가 하나로 연결된 지대대를 확장 탄발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특정 위치에 자립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자동차용 쓰레기통의 사용방법 예시와 같이 상기 상하로 탄발하는 방법에 있어서도 동일한 방법으로 포대류의 입구를 덮는 커버의 상하, 좌우 확장 운동과 사용자가 포대류 내부의 커버를 인출하는 동작을 상호 연계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방법으로서는 상기 상하지지부재(302)가 탄발을 위하여 중심으로 접혀져 탄발이 억제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상하지지부재(302) 위에 두꺼운 커버를 형성하여 누르거나, 스티커, 접착제, 촛농 등과 같은 고형물 등으로 붙이거나, 잠금장치를 구비하고 이를 해제하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연동형 탄발방법은 상기의 탄발 방법뿐만 아니라, 아래에서 제시하는 여러 가지 개방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이때 커버가 생략된 형태로 사용되는 경우에도 소정 형태로 구비된 탄발장치를 사용자가 손으로 누르거나, 포대류의 전면 내주면과 상기 상하지지부재의 연장부가 상호 접착되거나, 테이프형 자석을 이용하여 부착하고 묶음끈을 좌우로 벌리거나, 포대류 입구를 벌리는 동작에 의해 접착부가 떨어지면서 내부의 탄발장치를 작동시켜 입구를 개방할 수 있도록 구성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포대류의 입구만을 개방하여 특정 위치에 고정하는 방법과 포대류의 입구뿐만 아니라 그 내부 바닥까지 상하부를 동시에 개방하여 포대류가 자립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방법을 혼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양자의 차이는 단지 자립을 위하여 상부의 수평고정판과 같은 형태를 포대류의 내부인 하부에도 추가하여 상하 지지부가 상호 연결되는 형태로 지지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단순한 변환에 불과하므로 이하 모든 방법에 동일한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특허에서는 포대류를 특정 위치에 거는 걸이 방법과 자립 방법을 하나의 방법으로 보아 별도로 구분하여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포대류 입구를 개방하는 장치 및 방법에서는 종래의 원통형, 사각형 입방체 형태의 쓰레기통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인 공간을 차지하는 문제점과 쓰레기를 처분함에 있어의 불편함을 개선하기 위한 목적이 있으므로 차량이나 선박, 극장, 운동경기장 등의 제한된 공간에서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포대류의 점유면적 또한 최소한의 공간을 차지하도록 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개념을 반영한 포대류의 새로운 사용 형태를 추가하고자 한다.
첫째는 포대류의 몸체을 종래의 원형이나 정사각형 등의 형상에서 불필요한 부분을 줄임으로써, 좀더 효과적인 형태로 이용의 효율성을 높이는 것이고, 둘 째는 공간 사용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초기의 구현상태에서는 부피를 최소화하고, 점차 사용함에 따른 원래의 부피를 회복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를 상설하면, 첫 번째 형태는 도 15의 (가)와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원통형이나 정사각형 입방체(cubic)형상을 빗금친 부분인 O와 Q의 면적만큼 을 절개한 나머지 부분을 포대류 몸체로 구성한다 즉, 길이 방향으로 약 30% ~ 70% 범위를 수직으로 전부 또는 일부 절개하여 종래보다 슬림한 형태로 형성하여 벽, 기둥 등에 붙여서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공간의 효율적 사용을 극대화하도록 하였다.
또한, 최초 포대류의 입구를 개방하는 경우에 구현되는 포대류 입구의 형태는 상기 중앙지지부재(1301)는 절개된 포대류의 후면에 부착되고, 좌우지지부재(1302)에 의하여 입구가 개방되면 전방에 형성된 원형의 O', Q' 부분이 후방으로 밀리면서 줄어들어 초기 입구의 형상은 더욱 줄어들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는 특히 차량과 같은 좁은 장소에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원통형 포대류를 반으로 절개하여 반원을 가진 반 원통형 쓰레기통으로 구성할 수 있고, 또한 이 방법은 상기한 도 14의 뒤집기형 포대류에서와 같은 내부지지부재를 1번(2등분) 또는, 2번(3등분) 접어서 포대류 내부에 보관하되, 이룰 뒤집어서 입구를 개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원형의 포대류가 수직으로 절단된 입구의 형성 각도가 30도 내지 70도가 절단된 잔여 형상인 반달, 또는 상현달, 하현달 모양이 되도록 구현함으로써, 입구 개방 초기의 부피를 최대한 적게 하고 내부에 쓰레기를 넣을수록 점점 부피가 커져 원려의 원형이나 다각형의 형상을 회복하도록 구성하여공간의 효율적 사용을 도모하도록 제공된다.
또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대류 자체의 몸체의 모양을 전방에 대한 개방 각도 θ는 30도 내지 180도의 범위를 갖는 부채꼴 모양으로 형성하여 건물의 벽과 벽, 기둥 사이의 좁은 틈에 적합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도 16에는 포대류 내부에 입구를 개방하는 수단을 사용자가 직접 구현하는 절차 없이 적어도 포대류 입구의 30% 이상을 개방할 수 있는 소정의 크기로 개방된 상태로 구현되어 사용자가 입구가 개방된 포대류를 특정 위치에 고정하여 사용하거나, 직립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즉, 이 방식은 포대류 입구를 개봉하기 위한 별도의 구현절차 없이 제작시부터 입구가 개봉된 상태로 제공되는 방식이다. 다만, 포대류 내부에 구현되는 내부지지부재의 형태는 도 4에 도시된 내용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내부지지부재의 재질도 도 4에서 적용된 것과 같이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 16에서 몸체(1101)의 입구에는 소정의 내부지지부재(1105)가 포대류 입구를 개방하는 형태로 부착되어 입구를 개방하고 있으며, 입구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포대류 정면의 몸체(1101)에 몸체의 일부를 접어야 내부지지부재(1110)와 몸체(1101)의 외부가 평면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입구의 아래 부분에는 소정 크기의 접힘부(1109)가 형성되어 개방된 입구와 접힘부(1109)가 평면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포대류 중앙지지부재(1106)는 바닥과 직각 상태로 돌출되게 되며, 사용자는 상기 중앙지지부재(1106)의 가로홈을 잡고 특정 위치에 고정시키면 포대류의 입구는 거의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어 포대류 내부에서 포대류커버(1107)를 외부로 꺼내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그리고 도 16의 그림 B에는 다수의 나선형상의 내부지지부재(1110)가 도시되어 있는 데, 이 내부지지부재는 상하로 탄발하는 탄성을 가지며, 상기 포대류몸체(1101) 입구의 내부 또는 외부에 고정 부착된다. 다만, 입구의 내주면에 부착되는 경우에는 내부지지부재(1110)의 상부만을 포대류 상부에 부착하고, 그 이하의 내부지지부재(1110)는 묶음끈(1103, 1104)를 이용하여 전후로 포대류 내주면에 부착하여 고정한다. 이때 사용자가 사용할 필요가 있을 때는 포대류 전후의 묶음끈(1103, 1104)의 단부를 잡아당겨서 부착된 내부지지부재(1110)를 분리함으로써 상기 내부지지부재(1110)가 포대류의 내주면의 입구에서 내부 바닥으로 탄발하면서 확장하여 포대류의 입구와 내부가 자립되는 형태로 개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내부지지부재(1110)는 포대류 몸체(1101)의 외주면에 부착할 수도 있게 되는데, 이따는 포대퓨 입구의 외주면에 상기 내부지지부재(1110)의 상부를 끼워서 1회전하여 고정하고 포대류 묶음끈(1103, 1104)을 이용하여 포대류 외부에서 고정시키면서 사용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이전의 방법으로 내부지지부재(1110)을 하부로 탄발시키면서 입구와 바닥을 개방시키고 자립된 형대로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특히, 이와 같이 포대류 외부에 나선형 내부지지부재(1110)를 구비하는 이유는 포대류의 내부가 쓰레기로 가득차서 버릴 때, 사용자는 상기 내부지지부재(1110)을 포대류 입구에서 회전시키면서 간단히 분리함으로써 내부지지부재(1110)를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내부지지부재(1110)를 포대류 외부의 입구에 고정시키는 방법은 입구의 외부에 일정한 간격의 홀을 형성하여 상기 내부지지부재(1110)를 끼워넣도록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7에는 일반 농가 등에서 햇볕에 말린 벼, 보리, 밀 등의 곡식을 가마니에 담아야 할 필요가 있거나, 또는 농산물의 소매점, 방앗간 등에서 가공된 곡물 등과 시장에서 판매되는 알갱이 상품을 소매 포장 단위로 나누는 경우 포대류의 입구를 쉽게 개방하여 혼자 힘으로 간편하게 담을 수 있도록 하는 장치가 개시된다.
이와 같은 장치의 구성은 포대류의 길이에 상응하는 곡선 형태의 후면지지부재(1501)와 좌우의 2개의 좌우지지부재(1502, 1503)가 소정의 판상으로 형성되어, 스프링힌지(1507)에 의하여 고정되어 외부로 탄발하면서 포대류의 입구를 개방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후면지지부재(1501)과 좌우지지부재(1502, 1503)는 포대류의 크기에 상응하는 크기를 갖는 판상, 중공 상태의 다공질판, 외부 골격에 다수의 보강대를 구비한 것 등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고, 이러한 확장판의 상부에는 반호상의 추가 연장부(1506)가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상태로 형성되어 곡물을 담을 때, 곡물이 포대류 밖으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힌지(1507)에 의해서 고정되는 좌우측지지부재(1502, 1503)의 중앙 단부에는 상기 좌우측지지부재을 닫았을 때, 양 판을 잠금작용을 할 수 있는 소정의 잠금장치(1504)와 홀(1505)이 구비되어 평상시에는 접혀있는 상태로 보관하다가 필요시에는 포대류의 내부에 넣고 잠금장치를 해제하여 스프링힌지(1507, 1508)의 탄발작용에 의하여 포대류의 입구를 개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하나의 지지부재를 이용하여 다양한 크기를 갖는 포대류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재의 판을 이중으로 형성하고, 그 중 하나의 지지부재의 판을 상하,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하여 포대류의 크기에 알맞게 조절하여 사용하게 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다양한 포대류의 입구를 개방하는 수단들의 그 범위를 더욱 확대하여 최근에 일반 가정이나 마트 등에서 널리 사용되는 얇은 형태의 봉지들은 두께가 얇아 입구를 개방하기가 상당히 불편하므로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상기좌우지지부재의 다양한 탄발방법을 활용하여 그 부피와 원가를 줄이기 위하여 예를 들어, 도 18은 가늘고 얇은 형태의 중앙지지부재(1601)를 얇은 봉지의 내부 입구에 부착(1603)하여 한쪽 방향으로만 탄발(1602)하도록 구성하거나,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좌우지지부재를 자체 탄성을 가진 얇은 띠 형태, 탄성을 가진 철사 등으로 살짝 접어서 포대류 내부 한 면에 부착하는 형태로 구성하거나, 우측 그림과 같이 얇은 테이프나 가루 형태의 자석을 봉지의 입구에 구비하여 자석의 동일 극끼리 밀어내면서 개방하도록 구비하도록 하고, 나아가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형성된 탄발구조에 사용자의 사용상의 편리성을 더하기 위해 50장, 100장 단위로 포장된 박스에서 상기 봉지를 뽑는 동작과 입구가 개방되는 동작을 연계하는 것이 필요하다. 즉, 봉지 전체를 탄발이 억제된 상태로 접어서 포장 박스에 접어서 보관하고 한 장씩 뽑을 때마다 입구가 개방되면서 뽑혀지도록 하거나, 또는 봉지의 탄발장치를 한 쪽 방향으로 모아서 집게에 물려서 보관하고 한 장씩 뽑아서 사용하도록 한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포대류의 입구를 개방하는 방법에 대하여 살펴 보기로 한다.
방법 1
포대류의 입구를 개방함에 있어서
포대류 입구에는 그 입구를 개방하는 수단과 포대류 입구를 덮을 수 있는 커버를 준비하는 단계; 및
포대류 커버를 외부로 인출하는 작용과 포대류의 입구가 개방되는 작용이 상호 연동될 수 있도록 구비하는 단계;
사용자가 상기 포대류 내부에 구비된 커버를 외부로 인출함과 동시에 상기 포대류 개방수단이 작동하면서 포대류의 입구가 개방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류의 입구 개방방법.
방법 2
포대류의 입구를 개방함에 있어서
상기 포대류에 포대류 커버를 구비하지 않는 경우
상기 포대류 입구의 일부를 개방하는 작용 또는 포대류 보관수단에서 포대류를 인출하는 작용과 연동시켜 포대류 입구의 전체가 개방될 수 있도록 준비하는 단계; 및
사용자가 포대류 보관수단에서 포대류를 인출하거나, 상기 포대류 입구에 구비된 묶음끈을 잡고 일부 개방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손으로 포대류 입구의 일부를 개방함과 동시에 포대류 입구 개방수단이 작동하면서 포대류 입구 전체가 개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류의 입구 개방방법.
101: 포대류 107: 몸체
102: 묶음끈 108: 묶음끈고정홀
103: 중앙지지부재 109: 고정홀보강판
104: 지지부재 110: 가로홈
105: 연장아암부 111: 커버
106; 탄성부재 112: 커버손잡이

Claims (34)

  1. 포대류의 입구를 개방하기 위하여
    포대류의 내부 또는 외부에
    포대류의 입구를 개방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고,
    포대류의 내부가 가득찬 경우 상기 포대류 입구를 개방하는 수단을 포대류와 함께 처분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류 또는 포대류 입구 개방수단.
  2. 제1항에서
    상기 입구가 개방된 포대류에
    그 내부까지 추가로 더 개방할 수 있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류 또는 포대류 입구 개방수단.
  3.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포대류의 입구 개방수단은
    상기 좌우(상하)지지부재의 외부탄발방법을 적용하여 포대류의 입구를 개방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류 또는 포대류 입구 개방수단.
  4. 제3항에서
    상기 좌우(상하)지지부재의 외부탄발방법은 상기 push 방법과 pull 방법, 탄성부재 접합방법, 자체탄성부재 형성방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법이 적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류.
  5. 제3항에서
    상기 좌우(상하)지지부재는
    상기 중앙지지부재의 양 단부, 또는
    상기 중앙지지부재의 양 단부에서 소정의 길이만큼 그 중심을 향하여 이동한 소정의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된 위치에서 양 단부를 향하여 30도 이상 160도 이내의 범위를 갖도록 탄발 전개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류 또는 포대류 입구 개방수단.
  6.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포대류의 개방수단은
    포대류의 내부에 구비되거나, 또는 포대류의 외부에 준비되어
    소정의 각도로 굴절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절부를 갖으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관절부가 펴지면서 포대류를 개방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류 또는 포대류 입구 개방수단.
  7. 제6항에서
    상기 관절부에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탄성부재가 외부로 탄발하면서 상기 관절부가 포대류 입구를 개방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류 또는 포대류 입구 개방수단.
  8. 제1항, 제2항 또는 제7항에서
    상기 포대류에는 입구를 덮을 수 있는 커버류가 추가로 구비되고
    사용자가 포대류 내부에 구비된 상기 커버를 내부에서 외부로 인출하는 작용과 상기 포대류 입구를 개방하는 작용이 상호 연동되도록 구비하고,
    사용자가 상기 포대류 커버를 외부로 인출함에 이어 상기 포대류 입구 개방수단이 작동되면서 포대류 입구를 개방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류 또는 포대류 입구 개방수단.
  9.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포대류의 입구 개방수단은
    상기 안테나식 개방방법을 적용하여
    포대류를 개방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류 또는 포대류 입구 개방수단.
  10.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포대류의 입구 개방수단은
    한 쌍의 기어가 서로 맞물려 회전 운동과 수평이송 운동이 연동될 수 있도록 상기 기어식 개방방법을 적용하여 구비되고,
    상기 이송 핸들이 회전운동을 함에 따라 상기 좌우(상하)지지부재가 좌우 또는 상하로 확장이송 운동을 하면서 포대류의 입구가 개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류, 또는 포대류 입구개방 수단.
  11.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포대류의 입구 개방수단은
    상기 중앙지지부재의 좌우측, 또는 좌우측 중 어느 일방에 소정의 길이를 갖는 좌우측지지부재를 형성하고,
    상기의 연장되는 좌우측지지부재가 포대류의 내부 또는 외부에서 포대류의 내접면 또는 외접면을 이격시키면서 포대류 입구를 개방하도록 구성되고,
    소정의 크기만큼 포대류의 입구가 개방되었을 때 소정의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좌우측지지부재를 고정시키는 상기 지지부재 연결고정식 개방방법으로 입구를 개방함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류, 또는 포대류 입구 개방수단.
  12.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포대류의 입구 개방수단을 구성하는 내부 지지부재는 탄성을 갖는 재질을 포함하며,
    적어도 포대류 입구의 30% 이상을 개방할 수 있는 소정의 길이를 갖으면서 양 단부가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은 선류, 봉류, 띠류, 판류, 각형류, 중공의 관류, 또는
    적어도 포대류 입구의 30% 이상을 개방할 수 있는 소정의 크기와 두께를 갖으면서 양 단부가 서로 연결된 형태의 타원을 포함한 원 형태의 링, 또는 곡선류나 다각형 형태의 링, 또는 도형의 외곽이나 주요부로 구성된 틀, 상기 틀의 내부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보강띠나 보강부재를 부착한 형태, 또는
    적어도 포대류 입구의 30% 이상을 개방할 수 있는 소정의 면적을 갖는 원형, 타원형, 자유 곡선형 또는 다각형 형태의 판, 그물을 포함하는 다공질 형태의 판 또는,
    적어도 포대류 입구의 30% 이상을 개방할 수 있는 소정의 면적을 갖는 하부가 개방된 형태의 원기둥, 곡선기둥 또는 다각형 입방체 형태의 내부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입구 개방수단을 포대류 내부에서 입구 방향으로 견인하거나, 포대류 바닥을 향하여 밀면서 개방하는 상기 지지부재 견인식 개방방법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류 또는 포대류 입구 개방수단.
  13. 제1항 및 제2항, 제3항, 제5항, 제8항내지 제12항에서
    상기 수평(수직)지지부재의 각 단부에는 포대류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아암(arm)부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류, 또는 포대류의 입구 개방수단.
  14. 제12항내지 제13항에서
    상기 지지부재의 일 측면, 또는 포대류 일 측면에 소정 형태의 부착부재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재와 포대류가 상호 접합하여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류의 입구 개방수단.
  15.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포대류을 개방하는 내부 지지부재는 탄성을 갖는 재질을 포함하며,
    적어도 포대류 입구의 30% 이상을 개방할 수 있는 소정의 길이를 갖으면서 양 단부가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은 선, 봉, 띠, 판, 각형, 중공의 관, 또는
    적어도 포대류 입구의 30% 이상을 개방할 수 있는 소정의 크기와 두께를 갖으면서 양 단부가 연결된 형태의 타원을 포함한 원 형태의 링, 곡선 링, 다각형 링 또는 도형의 외곽이나 주요부로 구성된 틀, 상기 도형의 외곽이나 주요부로 구성된 틀의 내부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보강띠나 다공질 탄성부재를 부가한 것, 또는
    다공질 판으로 형성되는 상기 내부 지지부재는
    평상시에는 소정의 형태로 접어서 포대류의 내부에 보관하다가 사용시에는 접혀있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뒤집어서 포대류 내부에 집어 넣음으로써 포대류의 입구를 개방할 수 있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류, 또는 포대류 외부에 보관되는 포대류의 입구 개방수단.
  16. 제15항에서
    상기 지지부재의 접혀 있는 내부에는
    탄성부재가 추가로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류, 또는 포대류 입구 개방수단.
  17.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포대류를 개방하는 수단은
    내부에 유체를 주입할 수 있는 중공부를 가진 탄성부재가
    포대류를 개방할 수 있는 상태로 구비되고,
    사용자가 상기 중공부의 내부에 유체를 주입하여 포대류를 개방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8 하는 포대류, 또는 포대류의 입구 개방수단.
  18.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포대류를 개방하는 수단은
    포대류의 내부 또는 외접면에
    나선형태를 포함하는 곡선 또는 직선 형태의 탄발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탄발부재를 상부 또는 하부로 탄발시키면서 포대류의 입구를 개방할 수 있는 형태로 구비되며,
    포대류에 내용물이 가득차면 상기 입구 개방수단을 내용물과 함께 처리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류, 또는 포대류의 입구 개방수단.
  19.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포대류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묶음끈이 구비되고,
    상기의 묶음끈 중 적어도 하나의 묶음끈 외부에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결속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묶음끈에 구비된 결속부재를 이용하여 반대편 묶음끈을 상호 결속하여 포대류 입구를 바인딩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류.
  20. 제19항에서
    상기 묶음끈 중 적어도 하나의 묶음끈에는 특정 위치에 포대류 몸체를 매달 수 있는 홀이 추가로 구비되고, 상기 홀 주위에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보강판이 추가로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류.
  21.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포대류 몸체의 형상은
    타원을 포함하는 원통형 또는 정다각형 입방체 형태를 수직으로 20%내지 40% 절단되고 남은 잔여 형태를 갖음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류.
  22.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포대류 몸체의 형상은
    부채꼴 모양으로서 전방을 향하여 30도 내지 170도의 범위로 개방된 형태를 갖음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류.
  23.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사용 초기에 있어서 포대류 몸체의 형상은
    포대류 몸체의 가장 직경이 큰 부분의 30%내지 70%만 개방된 형태를 갖으며, 내부에 내용물이 차오름에 따라 점차 포대류 원래의 크기로 회복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류.
  24.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포대류의 몸체의 측면 또는 후방에는
    별도의 주머니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됨을 특징으로하는 포대류.
  25.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포대류를 특정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저부에는 소정의 위치에 접착할 수 있는 접착부재가 구비되고 내부에는 연결핀이 고정 형성되는 소정 형상을 갖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상부에는 연결핀에 의하여 상기 돌출손잡이가 좌우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비되고, 상기 돌출손잡이에 포대류의 수평지지판 중앙에 형성된 가로홈을 상기 돌출손잡이에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구비된 포대류 입구 개방수단.
  26.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포대류 입구 개방수단은
    내부가 가득차서 포대류와 함께 처리하는 경우
    그 구성요소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대류의 내부에서
    회수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류 입구 개방수단.
  27. 제2항에서
    상기 포대류 입구 개방수단은
    중앙지지부재를 중심으로 좌측과 우측에 각각 좌우측지지부재가 탄성부재에 의하여 지지 고정되며,
    상기 좌우측지지부재 또는 상기 중앙지지부재에는 상기 좌우측지지부재를 중앙지지부재에 접어서 고정시킬 수 있는 소정의 잠금장치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류의 입구 개방수단.
  28. 제26항에서
    상기 중앙지지부재 및 좌우측 지지부재의 상부에는 이와 연장되는 형태의 추가연장부가 20도내지 45도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류의 입구 개방수단.
  29. 제26항에서
    상기 중앙지지부재와 상기 좌우측지지부재를 이중으로 형성하고, 이 지지부재들을 상하,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하여 사용되는 포대류의 크기에 따라서 지지부재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류의 입구 개방수단.
  30. 제1항에서
    상기 중앙지지부재와 좌우지지부재가 탄성을 가진 얇은 띠, 박막, 철사, 링으로 일체 형성되어
    상기 내부 지지부재가 탄발하면서 포대류의 입구를 개방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류.
  31. 제1항에서
    포대류의 입구에
    동일한 극성을 가진 자석을 얇은 테이프 형태나 가루 형태로 구비하여 동일 극끼리 밀어내는 성질을 이용하여 포대류의 입구가 개방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류의 입구 개방수단.
  32. 제29항내지 제30항에서
    상기 포대류의 입구에는
    사용자가 포대류의 묶음끈을 좌우로 분리하여 개방하거나, 상기 포대류의 한 면을 일부 개방하는 동작, 또는 포대류의 보관수단에서 인출하는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입구 개방수단이 작동하여 포대류 입구가 보다 크게 개방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류.
  33. 포대류의 입구를 개방함에 있어서
    포대류 입구에는 그 입구를 개방하는 수단과 포대류 입구를 덮을 수 있는 커버를 준비하는 단계; 및
    포대류 커버를 외부로 인출하는 작용과 포대류의 입구가 개방되는 작용이 상호 연동될 수 있도록 구비하는 단계;
    사용자가 상기 포대류 내부에 구비된 커버를 외부로 인출함과 동시에 상기 포대류 개방수단이 작동하면서 포대류의 입구가 개방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류의 입구 개방방법.
  34. 제32항에서
    상기 포대류에 포대류 커버를 구비하지 않는 경우
    상기 포대류 입구의 일부를 개방하는 작용 또는 포대류 보관수단에서 포대류를 인출하는 작용과 연동시켜 포대류 입구의 전체가 개방될 수 있도록 준비하는 단계; 및
    사용자가 포대류 보관수단에서 포대류를 인출하거나, 상기 포대류 입구에 구비된 묶음끈을 잡고 일부 개방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손으로 포대류 입구의 일부를 개방함과 동시에 포대류 입구 개방수단이 작동하면서 포대류 입구 전체가 개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류의 입구 개방방법.
KR1020150121157A 2015-08-10 2015-08-27 입구 개방수단이 구비된 포대류와 입구 개방수단 및 입구개방 방법 KR2017001875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112284 2015-08-10
KR1020150112284 2015-08-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8750A true KR20170018750A (ko) 2017-02-20

Family

ID=58265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1157A KR20170018750A (ko) 2015-08-10 2015-08-27 입구 개방수단이 구비된 포대류와 입구 개방수단 및 입구개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1875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46764B2 (en) Expandable bag assemblies with an integral support structure for filling
US4979833A (en) Multiple use bag
US8070006B2 (en) Deployable and disposable container assemblies with bendable support members
CN207186216U (zh) 一种可折叠保温购物篮
US20050284866A1 (en) Disposable trash container
CN101104458A (zh) 具有隔室的可折叠容器
WO1998019917A2 (en) Improved hamper apparatus and methods
US8137330B2 (en) Expandable and portable emesis receptacle
US20130284734A1 (en) Folding storage device
US11434049B2 (en) Collapsible container
US10486890B2 (en) Low bulk, center-pull bag dispenser with end-forms
US20030168360A1 (en) Collapsible structures
KR20170018750A (ko) 입구 개방수단이 구비된 포대류와 입구 개방수단 및 입구개방 방법
JP5483289B2 (ja) ダンボール箱に便座を固定したトイレ
US20130068770A1 (en) Liner for trash container
US20130043242A1 (en) Folding Basket
US20110280500A1 (en) Toy Bag
CN211996598U (zh) 一种折叠收纳桶
KR20170012851A (ko) 포대류의 입구를 개봉하는 수단 및 방법
US20140263308A1 (en) Collapsible Hamper
CN211663942U (zh) 一种桌面垃圾盒
US20040084448A1 (en) Collapsible container for storage
JP2008237421A (ja) 携帯式買い物バッグ
JPH10297702A (ja) 使い捨て式のごみ入れ
CN2133555Y (zh) 分弃式垃圾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