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8572A - 화장품 용기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화장품 용기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8572A
KR20170018572A KR1020150112360A KR20150112360A KR20170018572A KR 20170018572 A KR20170018572 A KR 20170018572A KR 1020150112360 A KR1020150112360 A KR 1020150112360A KR 20150112360 A KR20150112360 A KR 20150112360A KR 20170018572 A KR20170018572 A KR 201700185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outer container
transparent
colored
colored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2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06832B1 (ko
Inventor
오재호
유성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501123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6832B1/ko
Publication of KR20170018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85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6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68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16Refill sticks; Moulding devices for producing sti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화장품이 수용되는 용기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 본체는, 투명부와 유색부가 결합되어 화장품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내용기의 외측에, 외용기를 사출시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장품 용기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Cosmetic vess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화장품 용기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의 용기를 다양한 색상으로 구현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심미감을 줄 수 있는 화장품 용기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장이라 함은 인체에 화장품을 바르고 매만져 곱게 꾸미는 행위로서, 이러한 화장에 이용되는 화장품은 피부에 사용되는 기초 메이크업 화장품 및 눈ㆍ눈썹ㆍ입술 등에 사용되는 포인트 메이크업 화장품 등이 있다.
특히 메이크업 화장품은 분(粉)과 파운데이션ㆍ볼터치 등으로 얼굴 전체를 자연스러운 살빛으로 꾸미고 입체감ㆍ투명감 등을 연출하며, 포인트 메이크업 화장품은 아이섀도ㆍ마스카라ㆍ인조속눈썹ㆍ눈썹먹ㆍ아이라인ㆍ립스틱 등으로 그 인상으로 돋보이게 강조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최근에는 별도의 화장품 수용도구가 필요 없도록 그 내부에 화장품이 수납되어 직접적으로 인체에 화장품을 도포할 수 있는 화장도구가 널리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화장도구 중에서, 여성이 입술을 보호하거나 입술을 건강하면서 아름답게 표현할 목적으로 고형의 립스틱을 사용하거나 겔 상의 립글로즈를 사용하고 있다.
고형의 립스틱은 널리 알려진 형태로서 소비자의 편리를 고려해 여러 가지 구조의 립스틱 용기에 의해 제공되고 있다. 그리고 립글로즈는 겔 상의 립스틱으로서 용기에 수용된 립글로즈를 입술에 도포하는 데 이용된다.
그런데 립글로즈를 수용하는 화장품 용기의 경우, 최근에는 투명한 재질의 외관 내부에 금속 원통을 마련하는 바와 같이 이중 구조를 이루어 사용자로 하여금 심미감을 주도록 제품의 고급화를 이루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
그런데 화장품 용기의 내부를 이루는 금속 원통의 경우, 외관을 이루는 투명한 재질을 통해 외부로 색상이 노출되는데, 금속 재질은 색상 표현이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소비자의 다양한 소비 욕구를 충족시키는데 한계를 가지게 된다.
특히, 내부가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원통형 플라스틱 재질에 금속을 물리적으로 끼우게 되는데, 이때 금속이 원통 이외의 형상인 다각형을 이루는 경우 찌그러짐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금속판을 끼우는 공정의 추가로 제조비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들이 제시되었는데,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금속박막을 포함하는 종래의 화장품 용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품의 고급화를 위해 화장품 용기의 내부를 금속 원통으로 이루는 경우 제조비가 상승되므로, 이를 해소하기 위해 금속 원통을 대신하여 플라스틱 통에 금속 박막을 입힘으로써 금속 원통을 제조하는 방안이 제시되나, 이 경우 금속 박막이 초음파 융착 시 녹진 않으나 초음파 융착 과정에서 발생되는 진동으로 인하여 금속 박막의 찌그러짐이 발생하는 등 화장품 용기의 변형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도 6의 모서리 부분 참조).
또한, 금속 원통의 경우 표현하는 색상에 한계가 있다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유색의 증착막을 사용할 수 있으나, 증착막은 용융점이 높지 않아 초음파 융착 공정 및 사출 공정 과정에서 증착막이 진동 및 높은 온도로 인하여 틈이 생기거나 색이 녹아 내리게 됨에 따라 형상변형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조 과정에서 용기의 형상 변형이 이루어지지 않으면서도 제조비를 절감할 수 있고, 제품의 고급화를 위하여 외관을 관통하여 노출되는 내용기의 색상을 다양하게 구현하여 소비자의 다양한 소비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화장품 용기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화장품이 수용되는 용기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 본체는, 투명부와 유색부가 결합되어 화장품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내용기의 외측에, 외용기를 사출시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투명부와 상기 유색부는 동종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용기의 용융점은 상기 외용기의 용융점보다 높거나, 적어도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용기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용기는 PETG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용기는, 상기 외용기의 사출을 위한 외용기 금형에 인입된 후 외용기 사출 공정을 통해 상기 외용기와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투명부 및 상기 유색부 중 상기 유색부가 상기 외용기 금형에 먼저 수용되며, 상기 유색부와 상기 투명부의 결합 부분에서 상기 유색부의 단면적은 상기 투명부의 단면적과 같거나 상대적으로 작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외용기는, 상기 외용기 금형에서 외용기 재질이 상기 투명부로부터 상기 유색부 방향으로 흘러 사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색부 및 상기 투명부는, 각각 별도로 제작된 후 조립되어 상기 내용기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 제조방법은, 유색부와 투명부를 결합해 내용기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내용기를 외용기 금형에 수용시키는 단계; 및 상기 내용기에 상기 외용기를 사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용기를 준비하는 단계는, 화장품이 수용되도록 공간이 형성되며, 화장품의 색이 노출되도록 투명한 상기 투명부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투명부와 연통되게 공간이 형성되고, 유색을 이루는 상기 유색부를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투명부와 상기 유색부를 조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용기를 외용기 금형에 수용시키는 단계는, 상기 투명부와 상기 유색부 중 상기 유색부를 상기 외용기 금형에 먼저 수용시키며, 상기 유색부와 상기 투명부의 결합 부분에서 상기 유색부의 단면적은 상기 투명부의 단면적과 같거나 상대적으로 작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외용기를 사출시키는 단계는, 상기 외용기 금형에서 외용기 재질을 상기 투명부로부터 상기 유색부 방향으로 흘려 사출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투명부와 상기 유색부는 동종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용기의 용융점은 상기 외용기의 용융점보다 높거나, 적어도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용기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용기는 PETG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은, 증착 공정이나 금속 원통을 씌우는 공정과 같이 단가가 비교적 높은 공정을 생략하고 단순한 끼움 공정을 통해 조립이 이루어져 제조단가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의 형상이 금속 원통의 제한된 형상 이외에 플라스틱 사출 방법을 통해 구현 가능한 직육면체 형상 등 다양한 형태를 이룰 수 있고, 금속 재질의 고유한 색상 이외에 플라스틱 사출을 통해 제조 가능한 다양한 색상 구현이 가능하여 소비자의 다양한 소비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를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 제조방법에서 내용기를 준비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 제조방법 과정에서 준비되는 투명부와 유색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금속박막을 포함하는 종래의 화장품 용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를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00)는 용기 본체(110) 및 뚜껑(120)을 포함한다. 여기서, 화장품 용기(100) 내의 내용물은 립제품으로서 겔 또는 젤 상의 립 전용 에센스, 립글로즈와 같이 얼굴, 손 이외에 입술을 위한 화장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본 실시예의 화장품 용기(100)는 립글로즈를 수용하는 전용 용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화장품은 상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용기 본체(110)는 겔 상태 등의 내용물인 립 관련 화장품을 수용할 수 있다. 용기 본체(110)는 투명, 반투명 또는 불투명한 재질이 조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례로 무게, 사용의 편의성 등을 위해 플라스틱 재질로 성형될 수 있다. 여기서, 용기 본체(110)에는 일정한 색상을 갖는 립글로즈 등의 화장품이 담기며, 용기 본체(110)는 사용자가 가시적으로 화장품의 잔여 용량을 파악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가 투명한 재질로 제작되어 화장품의 색상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내용물이 립글로즈와 같이 색을 포함하며 입술 이외의 피부에 사용하지 않는 제품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얼굴, 손 등 이외의 곳에 묻어나면, 입술에 바르는 립글로즈의 특성상 손 등에 묻은 내용물을 닦아내야 하므로, 화장품을 손으로 묻힐 필요 없이 화장품 용기(100)를 신체인 입술에 직접 문지름하는 동작만으로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용기 본체(110)에 결합하는 뚜껑(120)에 스펀지(솔 등 포함)와 같은 화장도구(122)가 일체화되어 마련될 수 있으며 이는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용기 본체(110)에 수용되는 내용물이 화장품 중 립 관련 제품일 경우, 휴대가 간편하면서도 특히 한 손으로 움켜질 수 있는 정도의 용량, 예를 들어 5ml 내지 20ml와 같이 작은 용량을 수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용기 본체(110)는 외용기(111), 내용기(112) 및 주둥이(113)를 포함할 수 있다.
외용기(111)는 외관을 형성하며, 그 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 등 그 형상에 제한되지 않고 사용자가 한 손으로 잡기 편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통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여기서, 외용기(111)의 단면은 다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일례로 직육면체 형상을 이룰 수 있으며 모서리가 형성됨에 따라 화장품 용기(100)가 굴러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투명한 재질의 외용기(111)는 내용기(112)의 외측에 사출되는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외용기(111)를 사출하는 외용기 금형(도시하지 않음)에 내용기(112)가 인입된 후 외용기(111)를 구성하는 원료가 외용기 사출 공정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하여는 제조 방법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내용기(112)는 화장품 용기(100)의 심미감을 위해 외용기(111)의 내부에 화장품 자체의 색 이외의 색감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외용기(111)의 내측에 마련되되 화장품이 수용되도록 공간이 형성되며 적어도 일부가 반투명 또는 불투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용기(112)는 유색을 이루는 유색부(1121)를 포함하는데, 유색부(1121)는 빨강, 주황, 노랑 등 다양한 색상을 이룰 수 있으며, 금속과 같은 특정한 색상에 제한되지 않아 소비자의 소비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게다가, 내용기(112)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로 이루어져 플라스틱 사출 방법을 통해 제조될 수 있으므로, 플라스틱 사출을 통해 구현 가능한 다양한 형상(원통, 직육면체 등)을 이룰 수 있다.
또한, 내용기(112)는 화장료 색상이 그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투명한 색상을 이루는 투명부(1122)를 포함할 수 있다. 투명부(1122)는 유색부(1121)와 상하 일렬로 마련되어 내용기(112)를 이룰 수 있으며, 후술되는 제조 방법에서 내용기(112)에 대한 제조 및 형상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주둥이(113)는 용기 본체(110)에 수용되는 화장품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용기 본체(110)의 일측에 형성되는 출입구(1131)가 구비되는 구성이며, 출입구(1131)는 뚜껑(120)과 용기 본체(110)가 일직선으로 연장되도록 외용기(111)의 단면적보다 작은 단면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뚜껑(120)과의 결합을 위해 주둥이(113)의 외주면에는 나사산(부호 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주둥이(113)의 출입구(1131)에 형성되는 나사산은 뚜껑(120)을 나사 결합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이며, 뚜껑(120)이 용기 본체(110)의 결합을 나사 결합 외의 방식으로 한다면, 나사산은 생략 가능하다.
이러한 주둥이(113)는 용기 본체(110) 내부의 화장품이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화장품이 노출되는 면적을 줄일 수 있도록 주둥이(113)의 내부 단면적은 내용기(112)의 내부 단면적보다 작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외용기(111)와 내용기(112)가 결합된 상단부가 주둥이(113)와 결합시 접착제 또는 초음파 융착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접착제로 결합시 내용기(112)와 외용기(111) 각각의 상단이 주둥이(113)에 삽입된 상태에서 접착제로 결합할 수 있도록, 주둥이(113)의 하단부 내측에는 끼움홈(1132)이 형성될 수 있다.
뚜껑(120)은 용기 본체(110)를 커버하며, 스펀지와 같은 화장도구(122)가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뚜껑(120)은 뚜껑 본체(121)와 화장도구(122)를 포함할 수 있는데, 뚜껑 본체(121)는 용기 본체(110)의 출구에 결합할 수 있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뚜껑 본체(121)는 용기 본체(110)와 일직선으로 연장되게 이루어지도록, 뚜껑 본체(121)의 단면은 용기 본체(110)의 단면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뚜껑 본체(121)를 잡고 입술 등에 화장품을 용이하게 묻힐 수 있도록 두 손가락으로 잡을 수 있는 사이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뚜껑 본체(121)는 화장도구(122)가 마련되면서도 용기 본체(110)를 커버하는 기능을 하므로 용기 본체(110)가 화장품을 수용하기 위해 연장되는 것과 달리 불필요하게 길게 연장될 필요는 없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화장도구(122)는 화장품 용기(100)에 일체로 마련되어 사용자가 별도의 도구를 준비할 필요가 없도록 뚜껑 본체(121)에 고정될 수 있는데, 뚜껑 본체(121)의 내측에서 용기 본체(110) 방향으로 길게 연장형성되어, 용기 본체(110)의 내부 바닥면에 근접하게 마련됨으로써 용기 본체(110) 내부의 바닥면의 화장품까지 사용할 수 있으며, 뚜껑(120) 분리시 화장도구(122)에 화장품이 묻어져 함께 나옴에 따라 사용자가 화장품을 묻혀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장도구(122)는 뚜껑 본체(121)의 내측 중심에 고정되는 솔대(1221)와 솔대(1221)의 단부에 마련되어 용기 본체(110)의 내부 바닥면에 수용 가능한 스펀지(122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스펀지(1222)는 용기 본체(110) 내부의 화장품이 묻어나기 위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스펀지(1222) 이외에 화장품이 묻어나는 재질이라면 스펀지(1222) 이외의 재질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내부의 형상이 금속 원통의 제한된 형상 이외에 플라스틱 사출 방법을 통해 구현 가능한 직육면체 형상 등 다양한 형태를 이룰 수 있고, 금속 재질의 고유한 색상 이외에 플라스틱 사출을 통해 제조 가능한 다양한 색상 구현이 가능하여 소비자의 다양한 소비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화장품 용기(100)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며,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구성에 따른 동일한 기능 및 작용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 제조방법에서 내용기를 준비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 제조방법 과정에서 준비되는 투명부와 유색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 제조방법은, 동종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유색부와 투명부를 결합해 내용기를 준비하는 단계(S10), 내용기를 외용기 금형에 수용시키는 단계(S20) 및 내용기에 외용기를 사출시키는 단계(S30)를 포함한다.
단계 S10에서는, 동종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유색부(1121)와 투명부(1122)를 결합해 내용기(112)를 준비한다. 구체적으로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S10의 내용기(112)를 준비하는 단계는, 단계 S11 내지 단계 S13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단계 S11에서는 화장품이 수용되도록 공간이 형성되며, 화장품의 색을 노출시키도록 투명하게 이루어지는 투명부(1122)를 준비할 수 있다. 투명부(1122)를 준비하는 S11 단계는 플라스틱 사출 방법을 통해 투명부(1122)를 제조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으며, 투명부(1122)의 형상은 플라스틱 사출을 통해 구현 가능한 원통, 다각기둥 등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이러한, 투명부(1122)는 용기 본체(110)의 출입구(1131)와 반대편인 하부의 내측을 이룰 수 있고,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화장품의 도료 색을 그대로 노출시킬 수 있음은 물론 화장품이 소모되면 내부가 노출되어 화장품의 잔량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투명부(1122)는 후술되는 외용기를 사출시키는 단계(S30)를 통해 외용기(111)와 일체가 될 수 있다. 또한, 투명부(1122)와 외용기(111)가 일체화되어 외용기(111)를 관통하여 투명부(1122)의 내부 색상이 노출되는데, 투명부(1122)는 외용기(111)와 일체화되나 그 내부의 형상은 변형없이 이루어져, 투명부(1122)의 내부 형상이 용기 본체(110)에서 화장품이 수용되는 최종의 화장품 용기(100)의 내부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이와 같이, 투명부(1122)는 플라스틱 사출 방법을 통해 제조되므로 용기 본체(110)의 용량 및 형상을 다양하게 구현시킬 수 있다.
단계 S12에서는, 투명부(1122)와 연통되게 공간이 형성되되 유색을 이루는 유색부(1121)를 준비할 수 있다. 유색부(1121)를 준비하는 단계 S12는 단계 S11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플라스틱 사출 방법을 통해 유색부(1121)를 제조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으며, 투명부(1122)의 형상에 대응하거나 다른 형태로 이룰 수 있다. 이러한 유색부(1121)는 투명부(1122)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후술되는 공정을 통해 외용기(111)와 일체화되나 외용기(111)와 색상을 달리 이룰 수 있어 외용기(111)를 관통하여 유색부(1121)의 색이 그대로 노출될 수 있다.
단계 S13에서는, 투명부(1122)와 유색부(1121)를 조립하는 단계(S13)를 포함한다. 투명부(1122)와 유색부(1121)는 단순한 끼움 공정을 통해 조립되어 내용기(112)를 구성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투명부(1122)와 유색부(1121)가 서로 마주하는 단부는 단차를 이루어 끼움될 수 있다(도 5 참조). 이를 위해, 투명부(1122)는 상단의 외측이 단차를 이루고, 유색부(1121)는 투명부(1122)에 끼움될 수 있도록 하단의 내측이 단차를 이룰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실시예는 증착 공정과 같은 단가가 비교적 높은 공정이 수행되지 않고 단순한 끼움 공정을 통해 조립이 이루어져 제조단가를 줄일 수 있다. 물론 투명부(1122)와 유색부(1121)는 직접적인 결합 없이 단순히 맞닿아 있다가 단계 S30에서 언급하는 외용기(111) 사출을 통해 비로소 결합될 수도 있다.
게다가, 내용기(112)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로 이루어지고, 내용기(112)의 용융점은 외용기(111)의 용융점보다 높거나 적어도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외용기(111)의 용융점보다 내용기(112)의 용융점이 높게 이루어져 후술되는 단계를 통해 외용기(111)가 형성될 때 내용기(112)의 형상 변형없이 외용기(111)가 융착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내용기(112) 재질의 용융점이 외용기(111) 재질의 용융점보다 높게 이루어져 사출온도에 의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투명부(1122)와 유색부(1121)를 폴리카보네이트인 동일한 재질로 구성함으로써, 용융점이 동일하여 일정하게 사출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유색부(1121)는, 투명부(1122)와의 결합 부분에서 투명부(1122)보다 작거나 같은 단면적을 가질 수 있다. 이는 후술하겠으나 내용기(112)를 외용기 금형에 수용한 뒤 외용기 재질이 투명부(1122)에서 유색부(1121) 방향으로 투입될 때, 외용기 재질이 투명부(1122)로부터 유색부(1121)로 흐르는 과정에서 걸림 없이 원활하게 흐르도록 하기 위함이다.
만약 유색부(1121)의 단면적이 투명부(1122)의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될 경우에는, 유색부(1121)와 투명부(1122)의 결합 부분에서 단면적이 확장되는 단차가 발생하고, 이 부분으로 인해 외용기 재질의 흐름이 걸려서 사출압이 발생해 내용기(112)의 변형이 일어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유색부(1121)의 단면적을 제한하여 유색부(1121)와 투명부(1122)의 결합 부분에서 단면적이 축소되는 단차가 발생하도록 하거나 단차가 없도록 하여, 사출압으로 인한 변형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다만, 단계 S10에서는, 유색부(1121)와 투명부(1122)를 결합해 내용기(112)를 준비하는 것으로 유색부(1121)와 투명부(1122)의 준비 단계(S11, S12)는 순서가 뒤바뀔 수 있다. 즉, 단계 S12인 투명부(1122)를 준비한 후 단계 S11인 유색부(1121)를 준비한 다음으로, 단계 S13인 투명부(1122)와 유색부(1121)를 조립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단계 S20에서는, 내용기(112)를 외용기 금형(도시하지 않음)에 수용시킨다.
일례로, 투명부(1122)가 용기 본체(110)의 하단부에 마련되고 유색부(1121)가 출입구(1131)가 형성되는 상단부에 마련되는 경우, 유색부(1121)는 투명부(1122)와 동일한 단면적을 이루거나 투명부(1122)보다 단면적이 작게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내용기(112)는 유색부(1121)가 투명부(1122)보다 외용기 금형에 먼저 삽입될 수 있으며, 유색부(1121)와 투명부(1122)가 차례로 적층된 상태로 외용기 금형에 투명부(1122)가 먼저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투명부(1122)와 유색부(1121)의 내측 단면은 동일하거나 어느 하나의 단면이 더 크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내용기(112) 외곽의 형상과 내용기(112) 내측의 단면 형상은 동일하게 다각형을 이루는 것과 같이 동일한 형태를 이루거나 원형과 다각형과 같이 상이한 형태를 이루는 등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단계 S30에서는, 내용기(112)에 외용기(111)를 사출시킨다.
외용기(111)는 내용기(112)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플라스틱 사출방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는데, 다만 외용기(111)는 외용기 금형 내부에 내용기(112)가 수용된 상태에서 내용기(112)와 외용기 금형 사이에 원료가 주입됨으로써 사출될 수 있다.
여기서, 외용기(111)의 PETG 재질이 외용기 금형에 주입되는데, 투명부(1122) 측에 구비되는 외용기 금형의 구멍(도시하지 않음)을 통하여 외용기 재질이 투명부(1122)에서 유색부(1121) 방향으로 투입될 수 있다.
외용기(111)의 원료인 PETG 재질은 용융되어 외용기 금형에 주입된 후 재질이 굳으면서 외용기(111)의 형태가 형성되고 내용기(112)와도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외용기(111)의 PETG 재질의 용융점은 내용기(112)의 폴리카보네이트의 용융점보다 낮아 내용기(112)의 외면에 외용기(111)가 사출될 때, 내용기(112)와 외용기(111)가 일체화되면서도 사출온도에 의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내용기(112) 중 외용기(111) 원료가 인입되는 부분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유색부(1121)의 단면적이 투명부(1122)의 단면적보다 좁거나 같게 되도록 함으로써, 외용기(111)의 사출 시 사출압으로 인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외용기(111)는 투명부(1122)와 동일하게 투명한 색상을 이룰 수 있어 외관상으로 외용기(111)와 투명부(1122)는 일체화된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유색부(1121)는 색상을 이루어 외용기(111)를 관통하여 색상이 그대로 노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증착 공정이나 금속 원통을 씌우는 공정과 같이 단가가 비교적 높은 공정을 생략하고 단순한 끼움 공정을 통해 조립이 이루어져 제조단가를 줄일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화장품 용기
110: 용기 본체
111: 외용기
112: 내용기
1121: 유색부
1122: 투명부
1131: 출입구
113: 주둥이
1132: 끼움홈
120: 뚜껑
121: 뚜껑 본체
122: 화장도구
1221: 솔대
1222: 스펀지

Claims (13)

  1. 화장품이 수용되는 용기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 본체는,
    투명부와 유색부가 결합되어 화장품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내용기의 외측에, 외용기를 사출시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부와 상기 유색부는 동종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용기의 용융점은 상기 외용기의 용융점보다 높거나, 적어도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기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용기는 PETG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기는,
    상기 외용기의 사출을 위한 외용기 금형에 인입된 후 외용기 사출 공정을 통해 상기 외용기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부 및 상기 유색부 중 상기 유색부가 상기 외용기 금형에 먼저 수용되며, 상기 유색부와 상기 투명부의 결합 부분에서 상기 유색부의 단면적은 상기 투명부의 단면적과 같거나 상대적으로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외용기는,
    상기 외용기 금형에서 외용기 재질이 상기 투명부로부터 상기 유색부 방향으로 흘러 사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색부 및 상기 투명부는,
    각각 별도로 제작된 후 조립되어 상기 내용기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8. 유색부와 투명부를 결합해 내용기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내용기를 외용기 금형에 수용시키는 단계; 및
    상기 내용기에 상기 외용기를 사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기를 준비하는 단계는,
    화장품이 수용되도록 공간이 형성되며, 화장품의 색이 노출되도록 투명한 상기 투명부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투명부와 연통되게 공간이 형성되고, 유색을 이루는 상기 유색부를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투명부와 상기 유색부를 조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기를 외용기 금형에 수용시키는 단계는,
    상기 투명부와 상기 유색부 중 상기 유색부를 상기 외용기 금형에 먼저 수용시키며, 상기 유색부와 상기 투명부의 결합 부분에서 상기 유색부의 단면적은 상기 투명부의 단면적과 같거나 상대적으로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제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외용기를 사출시키는 단계는,
    상기 외용기 금형에서 외용기 재질을 상기 투명부로부터 상기 유색부 방향으로 흘려 사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제조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부와 상기 유색부는 동종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용기의 용융점은 상기 외용기의 용융점보다 높거나, 적어도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제조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기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용기는 PETG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제조방법.


KR1020150112360A 2015-08-10 2015-08-10 화장품 용기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19068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2360A KR101906832B1 (ko) 2015-08-10 2015-08-10 화장품 용기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2360A KR101906832B1 (ko) 2015-08-10 2015-08-10 화장품 용기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8572A true KR20170018572A (ko) 2017-02-20
KR101906832B1 KR101906832B1 (ko) 2018-12-05

Family

ID=58265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2360A KR101906832B1 (ko) 2015-08-10 2015-08-10 화장품 용기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68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8047A (ko) * 2017-02-24 2018-09-0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5539A (ja) * 1999-05-31 2000-12-05 Tokiwa Corp インジェクション成形の小口容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8047A (ko) * 2017-02-24 2018-09-0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6832B1 (ko) 2018-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32977B2 (en) Refill container for consumer products
EP3051976B1 (en) Packaging systems and methods
KR101734174B1 (ko) 색소수용공간이 형성된 도포부재를 갖는 립메이크업 용기
US20130025614A1 (en) Beauty and health container with floss dispenser
US20200085169A1 (en) Magnetic cosmetic applicator
KR102324556B1 (ko) 화장품 용기
KR101906832B1 (ko) 화장품 용기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20090004156U (ko) 듀오형 화장품 용기
KR101855918B1 (ko) 도포부재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102621891B1 (ko) 화장품 용기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CN215603754U (zh) 全铝可替换的睫毛膏
KR200494860Y1 (ko) 화장 용기
KR102060781B1 (ko) 화장용 도구 및 화장품 용기
KR102332271B1 (ko) 화장품 용기
KR101947707B1 (ko) 개구부 내측에 나사 결합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101855921B1 (ko) 화장료의 농도 유지가 가능한 화장품 용기
TWM572156U (zh) Cosmetic container
KR200482822Y1 (ko) 화장품 용기
KR102185917B1 (ko) 이종 내용물이 수용되고 이중 도포수단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CN212139695U (zh) 一种多功能彩妆化妆品容器
KR200461478Y1 (ko) 화장품 용기
CN210943055U (zh) 一种彩妆软包装容器
CN206576499U (zh) 指甲油容器
US10912371B2 (en) Dual end cosmetic container
KR102185104B1 (ko) 장식용 딥 튜브를 갖는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