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7856A - 단말과 연동되는 자세 교정 장치 - Google Patents

단말과 연동되는 자세 교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7856A
KR20170017856A KR1020160156543A KR20160156543A KR20170017856A KR 20170017856 A KR20170017856 A KR 20170017856A KR 1020160156543 A KR1020160156543 A KR 1020160156543A KR 20160156543 A KR20160156543 A KR 20160156543A KR 20170017856 A KR20170017856 A KR 201700178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unit
posture correcting
correcting device
measur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6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정오
Original Assignee
곽정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정오 filed Critical 곽정오
Priority to KR1020160156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17856A/ko
Publication of KR20170017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78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021Detachable or loose seat cush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021Detachable or loose seat cushions
    • A47C7/0213Detachable or loose seat cushions detachably secured to seats, e.g. by ties or hook and loop stra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2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of detachable or loos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02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3/00Alarms responsive to un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과 연동되는 자세 교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의자의 일측에 탈착 가능한 복수의 본체; 상기 복수의 본체 각각에 제공되며, 압력센서를 포함하여 인체가 접촉될 경우 압력값을 측정하는 한 쌍의 측정부; 상기 복수의 본체에서 각각 측정된 압력값을 분석하여 제1 및 제2 측정부 그룹을 선정하는 분석부; 및 상기 복수의 본체 각각에 제공되는 측정부에 포함되어 소정의 알림을 제공하는 알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압력측정수단이 구비된 복수의 자세 교정 장치를 사용자에 따라 의자의 다양한 위치에 부착하고, 사용자가 착석 시 복수의 자세 교정 장치 각각은 가해지는 압력값을 측정하며, 별도의 단말에서 각각의 압력값을 분석하여 영상 및 음성 형태의 정보를 제공함과 동시에 복수의 자세 교정 장치로 소정을 알림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불균형한 자세를 인지시키고, 개선을 유도할 수 있는 단말과 연동되는 자세 교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단말과 연동되는 자세 교정 장치 {Posture correction apparatus linked to terminal equipment}
본 발명은 단말과 연동되는 자세 교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압력측정수단이 구비된 복수의 자세 교정 장치를 사용자에 따라 의자의 다양한 위치에 부착하고, 사용자가 착석 시 복수의 자세 교정 장치 각각은 가해지는 압력값을 측정하며, 별도의 단말에서 각각의 압력값을 분석하여 영상 및 음성 형태의 정보를 제공함과 동시에 복수의 자세 교정 장치로 소정을 알림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불균형한 자세를 인지시키고, 개선을 유도할 수 있는 단말과 연동되는 자세 교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멀티미디어(multi-media) 기술의 급속한 발전 등으로 인하여, 컴퓨터와 같은 단말을 통해 다양한 매체를 즐기는 시간이 늘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의자에 착석하여 생활하는 시간 또한 상대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경우 장시간 동안 올바르고 균형 있는 자세를 유지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예컨대, 수험생 등의 경우 책을 보기 위해 장시간 상체 및 고개를 숙이는 자세를 취하며, 이는 경추가 전방으로 만곡되게 하고 척추의 변형 등을 유발할 수 있다.
특히, 척추는 뇌의 명령을 신체기관으로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므로, 척추의 골격상태가 비정상적이거나 경직되어 있으면 근육 통증, 디스크, 만성피로 등의 일차적 질환뿐만 아니라. 기관의 기능장애로 인한 조혈작용불량, 소화불량, 두통 등의 질환이 뒤따를 수 있다.
이처럼, 현대인들에게 있어서 바른 자세 습관은 건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는 중요 사항으로, 그 필요성이 점차 강조되고 있는 추세이며, 이에 발맞춰 최근 자세 교정을 위한 다양한 기구와 시스템이 제안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자세 교정 방식들은 단순히 자세의 균형 여부만을 파악할 수 있어, 본인이 어떠한 자세를 습관적으로 취하는지, 또 어떻게 개선해야 하는지 등의 정보를 제공받을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자세 교정 기구들은 비교적 부피가 비대하고 무거워 휴대성이 용이하지 못하고, 사용자들의 다양한 체형을 만족시키는데 어려움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93368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압력측정수단이 구비된 복수의 자세 교정 장치를 의자의 다양한 위치에 부착하고, 자세 교정 장치를 통하여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에게 불균형한 자세를 실시간으로 인지시키며, 자세의 교정 및 바람직한 자세 습관을 유도하는 단말과 연동되는 자세 교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세 교정 장치와 연동되는 단말의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통하여 사용자의 자세 누적 데이터, 현 자세와 관련되는 근골격계 질환, 예방법 등의 정보를 실시간 및 주기적으로 제공하는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신체 조건, 의자의 형태, 사용 장소 등에 제약 없이 누구나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단말과 연동되는 자세 교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과 연동되는 자세 교정 장치는, 의자의 일측에 탈착 가능한 복수의 본체; 상기 복수의 본체 각각에 제공되며, 압력센서를 포함하여 인체가 접촉될 경우 압력값을 측정하는 한 쌍의 측정부; 상기 복수의 본체에서 각각 측정된 압력값을 분석하여 제1 및 제2 측정부 그룹을 선정하는 분석부; 및 상기 복수의 본체 각각에 제공되는 측정부에 포함되어 소정의 알림을 제공하는 알림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복수의 본체는, 의자의 등부에 탈착되는 제1 및 제2 본체와, 좌부에 탈착되는 제3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석부는, 별도의 단말에 기설치된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본체에서 각각 측정된 압력값을 상기 분석부로 송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석부는, 기설정된 기준값을 기준하여 소정의 임계범위를 설정하고, 상기 임계범위를 초과하는 압력값이 측정된 측정부들을 상기 제1 측정부 그룹으로, 상기 임계범위 미만의 압력값이 측정된 측정부들을 상기 제2 측정부 그룹으로 선정할 수 있다.
상기 분석부는, 기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는 압력값이 측정된 측정부들을 상기 제1 측정부 그룹으로, 상기 기준값 미만의 압력값이 측정된 측정부들을 상기 제2 측정부 그룹으로 선정할 수도 있다.
상기 기준값은, 상기 복수의 본체에서 각각 측정된 압력값의 평균일 수 있다.
상기 기준값 및 소정의 임계범위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분석부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측정부 그룹이 선정된 경우, 상기 제1 측정부 그룹에 포함되는 알림부는 물리적 진동을 출력하고, 상기 제2 측정부 그룹에 포함되는 알림부는 알림음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분석부는, 상기 통신부로부터 수신하는 압력값을 누적 저장하고, 압력값에 근거하는 도표, 사용자의 자세 변화, 추후 예상되는 근골격계 질환, 예방 운동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영상 및 음성의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분석부에서는, 상기 알림부의 알림 패턴 설정이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측정부 각각의 압력값 모두가 0일 경우 슬립모드(sleep-mode)로 변환되고, 상기 복수의 측정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서 압력이 재감지될 경우 상기 슬립모드가 해제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본체는, 벨크로(velcro), 양면 테이프, 밴드(band)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상기 의자에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의자에 착석하는 사용자의 자세를 분석하여 소정의 정보 및 알림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무의식적으로 취하는 불균형한 자세를 인지하게 하고, 자세의 교정 및 바람직한 자세 습관을 유도할 수 있는 자세 교정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자세 교정 장치는 벨크로(velcro), 양면 테이프, 밴드(band) 등을 이용하여 의자에 탈착 가능하므로, 가죽, 나무, 금속, 직물 등과 같은 다양한 재질의 의자에 제약 없이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휴대가 용이하여 장소에도 구애 받지 않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다수의 자세 교정 장치를 사용자의 소요 및 신체 조건에 따라 의자의 여러 위치에 배치시킬 수 있어, 동시다발로 다양한 신체 부위의 자세 측정이 가능하고, 이로써 자세 분석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더욱이, 자세 교정 장치와 연동되는 단말의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통하여 알림의 패턴 설정이 가능하므로, 반복되는 동일한 알림으로 인해 사용자의 인지가 무뎌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 사용자의 자세와 관련된 시청각적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자세 교정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나아가, 자세 교정 장치를 통한 자세 교정으로 사용자의 소화기 활동이 개선되고, 소화기 질환의 발병을 저감시키는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과 연동되는 자세 교정 장치의 구성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과 연동되는 자세 교정 장치가 의자에 부착된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과 연동되는 자세 교정 장치의 구동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단말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사용자의 자세와 관련된 정보가 제공되는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과 연동되는 자세 교정 장치(100)의 구성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과 연동되는 자세 교정 장치(100)는 본체(110), 측정부(120), 분석부(130) 및 알림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구성요소로써 통신부(15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다만, 도 1에 도시된 단말과 연동되는 자세 교정 장치(100)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그 구성요소들이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요소가 부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음을 유의한다.
먼저, 본체(110)는 단말과 연동되는 자세 교정 장치(100)의 전체적인 형상을 이루는 역할로, 예컨대 외주가 굴곡된 판판한 바(bar)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체(110)는 의자의 재질에 따라 벨크로(velcro), 양면 테이프, 밴드(band) 등의 수단을 이용하여 의자의 일측에 탈착될 수 있으며, 이로써 의자의 종류 및 재질에 구애 받지 않고 역할수행이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본체(110)는 복수로 구성되어 의자의 여러 위치에 부착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의 수요에 따라 다양한 신체 부위에 대한 자세를 동시다발로 분석하기 위함일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등 및 허리에 대한 균형 있는 자세를 고려하는 경우 도 2와 같이 제1 본체(111)를 등의 위치에, 제2 본체(112)를 허리의 위치에 배치시킬 수 있고, 좌측 또는 우측으로 틀어지는 자세를 염려하는 경우에는 도 3과 같이 제1 본체(111) 및 제2 본체(112)를 사용자의 옆구리 측에 수직방향으로 배치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다리를 떨거나, 꼬는 습관을 고려한다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본체(113)를 의자의 좌부 말단 측에 배치시킬 수도 있다.
이때, 복수의 본체(111 내지 113)의 개수는 구체적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의자의 등부에 제1 본체(111) 및 제2 본체(112)가, 의자의 좌부에는 제3 본체(113)가 배치되는 예를 설명한다.
다시 도 1로 돌아와서, 측정부(120)는 인체의 접촉 시, 가해지는 압력값을 측정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측정부(120)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본체(110)의 양측 말단에 각각 내장되거나, 또는 외면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측정부(120)를 본체(110)의 좌우측으로 상호 이격되는 한 쌍으로 구성함으로써, 사용자 신체의 좌우 밸런스(balance)가 보다 용이하게 파악될 수 있다.
복수의 본체(110), 즉 제1 내지 제3 본체에 형성된 측정부(120) 각각에는 압력 측정 수단으로 압력센서(121)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압력센서(121)는 집적회로(integrated circuit)와 동일 기판에 구비되어, 측정되는 압력값이 전기적 신호로 변환되고, 아울러 신호가 증폭 처리되어 후술되는 통신부(150)로 제공될 수 있다.
분석부(130)는 통신부(150)로부터 압력값에 대한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여 분석하고, 이에 근거하여 제1 및 제2 측정부 그룹을 선정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분석부(130)는 단말(1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단말이라 함은 통신망을 통하여 신호의 입력 및 출력을 수행하는 장치로, 노트북 컴퓨터, 휴대 전화, TV,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150)와 상호 통신이 가능한 한 단말의 유형은 상술된 종류로 제한되는 것은 아님을 유의한다.
제1 및 제2 측정부 그룹이 선정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분석부(130)에는 소정의 기준값이 설정되며, 기준값은 제1 내지 제3 본체에서 각각 측정된 압력값들의 평균일 수 있다.
이때, 기준값을 산출하기 위한 복수의 압력값, 즉 제1 내지 제3 본체에서 각각 측정된 압력값들은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 시마다 매번 측정된 후 통신부(150)를 통하여 수신되는 값일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기준값은 가변적일 수 있다.
또는, 제1 내지 제3 본체에서 각각 측정된 압력값들은 초기에 사용자가 균형 잡힌 자세로 의자에 착석하여 측정한 압력값을 분석부(130)에 기저장해놓은 값일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에 기준값은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 가능한 고정값일 수 있다.
기준값의 설정 이후, 분석부(130)는 통신부(150)로부터 수신한 압력값들이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는지, 또는 미만인지를 분석하여, 기준값을 초과하는 압력값이 측정된 측정부들을 제1 측정부 그룹으로, 기준값 미만의 압력값이 측정된 측정부들을 제2 측정부 그룹으로 선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분석부(130)에는 기준값과 더불어 소정의 임계범위가 설정될 수도 있다. 여기서 임계범위는 기준값으로부터 일정 범위만큼 초과 및 미만 되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으며, 임계범위 역시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 가능할 수 있다. 임계범위가 설정된 경우, 분석부(130)는 임계범위를 초과하는 압력값이 측정된 측정부들을 제1 측정부 그룹으로, 임계범위 미만의 압력값이 측정된 측정부들을 제2 측정부 그룹으로 선정할 수 있다.
이처럼 기준값 또는 임계범위에 근거하여 제1 및 제2 측정부 그룹이 선정되면, 분석부(130)는 통신부(150)를 통하여 제1 내지 제3 본체 각각에 제공되는 알림부(140)로 알림 출력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한편, 분석부(130)는 통신부(150)로부터 수신하는 압력값들을 누적 저장하여, 도표, 그래프 등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고, 또한 압력값들에 근거하여 일정 기간 동안 사용자의 자세 변화, 추후 우려되는 근골격계 질환, 자세 교정 운동 등의 정보를 영상 및 음성의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5 및 도 6을 통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5 및 도 6은 단말의 애플리케이션, 즉 분석부(130)를 통하여 사용자의 자세와 관련된 정보가 제공되는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다만, 도 5 및 도 6은 분석부(130)에서 제공하는 정보 중 일부 정보만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제공되는 정보의 종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유의한다.
사용자는 분석부(130)에 누적 저장되는 압력값을 실시간 및 일정 주기 단위로 확인할 수 있으며, 분석부(130)는 압력값을 분석하여 도 5와 같이 사용자가 취하는 자세에 대한 누적 횟수를 도표로 제공해 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본인의 무의식적인 자세 습관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분석부(130)는 도 6과 같이 사용자의 압력값에 근거하여 우려되는 근골격계 질환에 대한 주의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으며, 아울러 질환의 정의 및 예방 운동 등의 부가적 설명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도 1로 돌아와서, 알림부(140)는 분석부(130)에서 송신되는 알림 출력 신호에 따라 알림음 및 물리적 진동을 출력하여,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가 본인의 현 자세를 인식하고 개선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알림부(140)는 제1 내지 제3 본체에 제공되는 측정부(120) 각각에 포함될 수 있으며, 분석부(130)에서 제1 및 제2 측정부 그룹을 선정한 후 통신부(150)를 통하여 각각의 알림부(140)로 알림 출력 신호를 송신하면, 제1 측정부 그룹의 해당 측정부들에 포함되는 알림부는 물리적 진동을 출력하고, 제2 측정부 그룹의 해당 측정부들에 포함되는 알림부는 알림음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알림부(140) 각각의 알림음 및 물리적 진동의 종류, 알림 주기, 출력 패턴 등은 상호가 상이할 수 있다. 이는 동일한 알림으로 인하여 사용자의 인지가 무뎌지거나, 알림이 출력되는 위치를 파악함에 있어 혼동을 방지하기 위함일 수 있으며, 상술된 분석부(130)를 통하여 알림의 종류, 알림 주기, 출력 패턴 등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도 4와 같이, 사용자가 다리를 꼰 자세로 착석한 예를 살펴보면, 제3 본체(113)의 일측 측정부(127)를 제외한 나머지 측정부(122 내지 126)에는 압력이 가해지며, 분석부(도 1의 130)에서는 각각의 측정부(122 내지 127)에서 측정된 압력값에 기초하여 기준값을 설정할 수 있다.
기준값은 제1 내지 제3 본체(111 내지 113)에서 각각 측정된 압력값 들의 평균으로 산출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 압력이 측정된 측정부(122 내지 126)는 기준값을 초과하여 제1 측정부 그룹으로 선정될 수 있으며, 압력이 측정되지 않는 측정부(127)는 기준값 미만으로 제2 측정부 그룹에 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측정부 그룹의 해당 측정부(122 내지 126)에 포함된 알림부는 물리적 진동을 출력하고, 제2 측정부 그룹의 해당 측정부(127)에 포함된 알림부는 알림음을 출력할 수 있다.
다시 도 1로 돌아와서, 통신부(150)는 복수의 본체(110) 각각에 내장되어 측정부(120), 분석부(130) 및 알림부(140)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150)는 유선통신 및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fi), RF(Radio Frequency), 광통신, 블루투스(bluetooth) 등과 같은 무선통신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통신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배터리 등과 같이 단말과 연동되는 자세 교정 장치(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부가적 구성요소들은 복수의 본체(110) 각각에 내장될 수 있으며, 만일 제1 내지 제3 본체에 포함된 측정부(120) 각각의 압력값이 모두 0일 경우 단말과 연동되는 자세 교정 장치(100)는 슬립모드(sleep-mode)로 변환되어 배터리의 구동이 휴지될 수 있으며, 각각의 측정부(120) 중 어느 하나 이상에서 압력이 재감지될 경우에는 슬립모드가 해제되어 배터리가 재가동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첨부된 도면과 상기한 설명내용에 한정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변형이 가능함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사실이며, 이러한 형태의 변형은, 본 발명의 정신에 위배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고 볼 것이다.
100: 단말과 연동되는 자세 교정 장치
110: 본체
120: 측정부
130: 분석부
140: 알림부
150: 통신부

Claims (12)

  1. 의자의 일측에 탈착 가능한 복수의 본체;
    상기 복수의 본체 각각에 제공되며, 압력센서를 포함하여 인체가 접촉될 경우 압력값을 측정하는 한 쌍의 측정부;
    상기 복수의 본체에서 각각 측정된 압력값을 분석하여 제1 및 제2 측정부 그룹을 선정하는 분석부; 및
    상기 복수의 본체 각각에 제공되는 측정부에 포함되어 소정의 알림을 제공하는 알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과 연동되는 자세 교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본체는,
    의자의 등부에 탈착되는 제1 및 제2 본체와, 좌부에 탈착되는 제3 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과 연동되는 자세 교정 장치.
  3.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별도의 단말에 기설치된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과 연동되는 자세 교정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본체에서 각각 측정된 압력값을 상기 분석부로 송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과 연동되는 자세 교정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기설정된 기준값을 기준하여 소정의 임계범위를 설정하고, 상기 임계범위를 초과하는 압력값이 측정된 측정부들을 상기 제1 측정부 그룹으로, 상기 임계범위 미만의 압력값이 측정된 측정부들을 상기 제2 측정부 그룹으로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과 연동되는 자세 교정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기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는 압력값이 측정된 측정부들을 상기 제1 측정부 그룹으로, 상기 기준값 미만의 압력값이 측정된 측정부들을 상기 제2 측정부 그룹으로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과 연동되는 자세 교정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값은,
    상기 복수의 본체에서 각각 측정된 압력값의 평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과 연동되는 자세 교정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값 및 소정의 임계범위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과 연동되는 자세 교정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측정부 그룹이 선정된 경우,
    상기 제1 측정부 그룹에 포함되는 알림부는 물리적 진동을 출력하고, 상기 제2 측정부 그룹에 포함되는 알림부는 알림음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과 연동되는 자세 교정 장치.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상기 통신부로부터 수신하는 압력값를 누적 저장하고, 압력값에 근거하는 도표, 사용자의 자세 변화, 추후 예상되는 근골격계 질환, 예방 운동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영상 및 음성의 형태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과 연동되는 자세 교정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에서는,
    상기 알림부의 알림 패턴 설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과 연동되는 자세 교정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측정부 각각의 압력값 모두가 0일 경우 슬립모드(sleep-mode)로 변환되고, 상기 복수의 측정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서 압력이 재감지될 경우 상기 슬립모드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과 연동되는 자세 교정 장치.
KR1020160156543A 2016-11-23 2016-11-23 단말과 연동되는 자세 교정 장치 KR201700178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6543A KR20170017856A (ko) 2016-11-23 2016-11-23 단말과 연동되는 자세 교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6543A KR20170017856A (ko) 2016-11-23 2016-11-23 단말과 연동되는 자세 교정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1474A Division KR101712279B1 (ko) 2015-08-07 2015-08-07 단말과 연동되는 자세 교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7856A true KR20170017856A (ko) 2017-02-15

Family

ID=58111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6543A KR20170017856A (ko) 2016-11-23 2016-11-23 단말과 연동되는 자세 교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1785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8265A (ko) 2017-08-14 2019-02-22 주식회사 메이드웨이 자세 모니터링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20200137383A (ko) * 2019-05-30 2020-12-09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앉은 자세를 추정하여 교정 정보를 생성하는 서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교정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3368A (ko) 2013-01-16 2014-07-28 정진구 책상 앞 앉음 자세 교정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3368A (ko) 2013-01-16 2014-07-28 정진구 책상 앞 앉음 자세 교정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8265A (ko) 2017-08-14 2019-02-22 주식회사 메이드웨이 자세 모니터링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20200137383A (ko) * 2019-05-30 2020-12-09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앉은 자세를 추정하여 교정 정보를 생성하는 서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교정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3580B1 (ko) 스마트기기 연동형 착용식 자세교정 유도장치
US9795322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monitoring posture with alerts and analytics generated by a smart seat cover
KR20170047160A (ko) 단말과 연동 가능한 자세 교정 모듈
US11771958B2 (en) Instructing process management system for treatment and/or exercise, and program, computer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instructing process for treatment and/or exercise
US11273344B2 (en) Multimodal sensory feedback system and method for treatment and assessment of disequilibrium, balance and motion disorders
JP6917947B2 (ja) 生体情報処理装置、生体情報処理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マインドフルネス支援装置
JP6336084B2 (ja) 体重の均衡維持を補助するためのシステム
KR101712279B1 (ko) 단말과 연동되는 자세 교정 장치
KR101546405B1 (ko) 스마트 기기의 게임 화면을 이용하여 핀치 동작을 훈련시키는 손 재활 훈련 시스템 및 방법
WO2016055848A1 (en) Apparatus and a method for detecting the posture of the anatomy of a person
US20240108247A1 (en) System and method for posture and movement regulation
US20200001040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meditation
JP7391816B2 (ja) 電動寝具システム、及びアプリケーションソフトウェア
KR101665773B1 (ko) 의류 장착형 자세교정 시스템
KR20170017856A (ko) 단말과 연동되는 자세 교정 장치
KR20230040964A (ko) 진동자를 포함하는 매트리스 어셈블리
KR102279847B1 (ko) 사물인터넷 연동 방석 시스템
KR101105229B1 (ko) 휴대용 자세 교정 시스템
WO2019244716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90018265A (ko) 자세 모니터링 장치, 시스템 및 방법
JP6761702B2 (ja) 食生活管理装置
KR101622332B1 (ko) 머리 흔들림과 위치를 조정하여 목과 자세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장치
KR20220109572A (ko) 스마트기기 연동형 착용식 자세교정 유도장치
JP4840510B2 (ja) 運動システム
EP3509556B1 (en) Diagnostic and rehabilitation seat pad and diagnostic and rehabilit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