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7589A - 인 셀 터치 스크린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인 셀 터치 스크린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7589A
KR20170017589A KR1020150111748A KR20150111748A KR20170017589A KR 20170017589 A KR20170017589 A KR 20170017589A KR 1020150111748 A KR1020150111748 A KR 1020150111748A KR 20150111748 A KR20150111748 A KR 20150111748A KR 20170017589 A KR20170017589 A KR 201700175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groove
electrode
touch electrode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1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준
송홍성
손용기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11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17589A/ko
Publication of KR20170017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75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 셀 방식 터치 스크린을 갖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복수개의 터치 전극이 공통 전극의 역할을 겸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각 터치 전극은 적어도 하나의 일측 테두리에 돌출부 및 홈이 구비될 수 있다.

Description

인 셀 터치 스크린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IN-CELL TYPE TOUCH SCREEN}
본 발명은 인 셀 방식 터치 스크린을 갖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평판 표시 장치(Flat Panel Display Device)의 입력 장치로서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펜을 이용하여 직접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 기술이 이용되고 있다.
터치 스크린 기술은 센서의 위치에 따라 애드 온 방식과, 인 셀 방식으로 구분된다. 애드 온 방식은 LCM(Liquid Crystal Module) 위에 터치 센서를 부착하는 방식이다. 인 셀 방식은 LCM 안에 터치 센서를 삽입하는 내장형 방식이다. 애드 온 방식은 터치 센서가 외부에 배치되는 이유로 인 셀 방식에 비해 터치 감도가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 기술은 센싱 방식에 따라, 저항 방식, 정전 용량 방식, 적외선 방식, 초음파 방식 등으로 구분된다. 일반적으로 소형 표시 장치에는 정전 용량 방식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정전 용량 방식은 셀프 정전 용량 방식과, 뮤추얼 정전 용량 방식으로 구분된다.
셀프 정전 용량 방식은 터치 인식을 위해 화소마다 1개의 전극을 사용해 정전 용량 변화를 읽어내는 방식이다. 이러한 셀프 정전 용량 방식은 터치 감도는 우수하지만 하나의 손가락만을 인식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뮤추얼 정전 용량 방식은 가로축과 세로축의 격자 전극 구조로 전극의 교차점에서 형성되는 정전 용량을 읽어내는 방식이다. 이러한 뮤추얼 정전 용량 방식은 멀티 터치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원 출원인은 셀프 정전 용량 방식과 뮤추얼 정전 용량 방식의 장점만을 결합한 새로운 인 셀 방식을 제안하였었고, 그 명칭을 AIT(Advanced In-Cell Touch)라 하였다. AIT 방식은 기본적으로 셀프 정전 용량 방식을 이용하되, 다수의 터치 전극을 터치 센싱 기간에는 터치 전극으로 활용함과 동시에 표시 기간에는 공통 전압(Vcom)이 인가되는 공통 전극으로 활용한다.
이러한 AIT 방식은 터치 감도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두께가 얇게 제조가 가능하고, 멀티 터치까지 가능하다. 또한, AIT 방식은 좌우측 베젤에 터치 라인이 필요 없기 때문에 베젤 영역을 줄일 수 있고, 애드 온 방식에 비해서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다.
그런데,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AIT 방식이 대형 액정 표시 장치에 적용할 경우 터치 감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을 인지하게 되었다. 구체적으로, AIT 방식은 터치 전극의 개수가 늘어날 수록 터치 전극에 접속된 터치 라인의 개수가 증가한다. 터치 라인의 개수가 증가하면 터치 라인에 대한 RC(저항 및 정전 용량) 딜레이의 영향이 증가하여 터치 센싱 오류가 발생한다.
상기와 같은 AIT 방식에서의 터치 센싱 오류는 휴대폰과 같은 소형 단말기에서는 터치 전극의 개수가 많지 않아 크게 발생되지 않았으나, 대면적의 표시 장치에 적용될 경우 터치 전극의 개수가 급증하여 문제점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터치 센싱 오류를 줄여 신뢰성을 높이고 대면적의 표시 장치에도 적용이 가능한 인 셀 터치 스크린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위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 외에도,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이하에서 기술되거나, 그러한 기술 및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복수개의 터치 전극이 공통 전극의 역할을 겸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각 터치 전극은 적어도 하나의 일측 테두리에 돌출부 및 홈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하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복수개의 터치 전극이 적어도 하나의 일측 테두리에 돌출부 및 홈이 구비된 형태고 배열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동일 면적에서 전체 터치 전극의 개수를 줄이면서도 종래와 동등 수준의 터치 센싱 감도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대면적의 표시 장치에 적용될 경우에 터치 전극 및 터치 라인의 개수가 급증하여 발생되었던 터치 센싱 오류를 줄여 터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효과 외에도,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이하에서 기술되거나, 그러한 기술 및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공통 전극을 겸용하는 터치 전극의 구조를 나타낸 액정 표시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는 공통 전극을 겸용하는 터치 전극의 구조를 나타낸 액정 표시 장치의 다른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A-A' 선에 따른 표시 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비교 예에 따른 터치 전극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전극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제 1 및 제 2 터치 전극을 확대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전극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b는 도 7a에 도시된 제 1 및 제 2 터치 전극을 확대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전극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b는 도 8a에 도시된 제 1 및 제 2 터치 전극을 확대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전극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b는 도 9a에 도시된 제 1 및 제 2 터치 전극을 확대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전극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0b는 도 10a에 도시된 제 1 및 제 2 터치 전극을 확대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정의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 1 항목, 제 2 항목 또는 제 3 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상에"라는 용어는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의 바로 상면에 형성되는 경우 뿐만 아니라 이들 구성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이 개재되는 경우까지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는 본원 출원인에 의해 제안한 바 있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129620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132061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13219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30320호 등에서 개시한 AIT 방식을 전제로 한다. 따라서, 이하에서 설명되지 않는 내용은 상기 선행 문헌에 의해 참조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바람직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공통 전극을 겸용하는 터치 전극의 구조를 나타낸 액정 표시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는 공통 전극을 겸용하는 터치 전극의 구조를 나타낸 액정 표시 장치의 다른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액정 표시 장치는 터치 전극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140)과, 표시 패널(140)을 구동하는 데이터 드라이버(120) 및 게이트 드라이버(130)와, 표시 패널(140)의 터치 전극을 구동 및 센싱하는 터치 컨트롤러(150)와, 데이터 드라이버(120) 및 게이트 드라이버(130)를 제어하는 타이밍 컨트롤러(110)를 구비한다. 타이밍 컨트롤러(110) 및 터치 컨트롤러(150)는호스트 시스템(160)와 접속된다.
표시 패널(140)은 다수의 화소들이 배열된 화소 매트릭스를 포함한다. 표시 패널(140)은 컬러 필터 어레이가 형성된 컬러 필터 기판과,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가 형성된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과, 컬러 필터 기판 및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사이의 액정층과, 컬러 필터 기판 및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외측면에 각각 부착된 편광판을 구비한다.
표시 패널(140)은 다수의 화소들이 배열된 화소 매트릭스를 통해 영상을 표시한다. 각 화소는 데이터 신호에 따른 액정 배열의 가변으로 광투과율을 조절하는 적색, 녹색, 청색 서브 화소의 조합으로 원하는 색을 구현하고, 휘도 향상을 위하여 백색 서브 화소를 추가로 포함하기도 한다.
각 서브 화소는 게이트 라인 및 데이터 라인과 접속된 박막 트랜지스터, 박막 트랜지스터와 병렬 접속된 액정 커패시터 및 스토리지 커패시터를 구비한다.
액정 커패시터는 박막 트랜지스터를 통해 화소 전극에 공급된 데이터 신호와, 공통 전극에 공급된 공통 전압과의 차전압을 충전하고 충전된 전압에 따라 액정을 구동하여 광투과율을 조절한다.
스토리지 커패시터는 액정 커패시터에 충전된 전압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킨다. 액정층은 TN(Twisted Nematic) 모드 또는VA(Vertical Alignment) 모드와 같이 수직 전계에 의해 구동되거나, IPS(In-Plane Switching) 모드 또는FFS(Fringe Field Switching) 모드와 같이 수평 전계에 의해 구동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표시 패널(140)이 수평 전계에 의해 구동되는 방식을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수평 전계 구동 방식에서 공통 전극은 표시 패널(140)의 하부 기판에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와 함께 형성된다.
표시 패널(140)의 공통 전극은 다수의 화소에 대응하는 일정 크기를 갖는 다수의 블록으로 분할되어 디스플레이 모드에서는 공통 전극으로 이용되고, 터치 센싱 모드에서는 다수의 터치 전극으로 이용된다.
데이터 드라이버(120)는 타이밍 컨트롤러(110)로부터의 데이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타이밍 컨트롤러(110)로부터의 영상 데이터를 표시 패널(140)의 다수의 데이터 라인(DL)에 공급한다. 데이터 드라이버(120)는 타이밍 컨트롤러(110)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데이터를 감마 전압을 이용하여 정극성/부극성 아날로그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여 각 게이트 라인이 구동될 때마다 데이터 신호를 데이터 라인(DL)으로 공급한다. 데이터 드라이버(120)는 타이밍 컨트롤러(110)로부터의 게이트 제어 신호를 게이트 드라이버(130)로 전달해 줄 수 있다.
데이터 드라이버(12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COG(Chip On Glass) 방식으로 표시 패널(140) 상에 실장되거나,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PCB(400)와 표시 패널(140) 사이에 마련된 TCP, COF, FPC 등과 같은 회로 필름(310)에 실장될 수 있다.
게이트 드라이버(130)는 타이밍 컨트롤러(110)로부터의 게이트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표시 패널(140)의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에 형성된 다수의 게이트 라인(GL)을 순차 구동한다. 게이트 드라이버(130)는 각 게이트 라인의 해당 스캔 기간마다 게이트 온 전압의 스캔 펄스를 공급하고, 다른 게이트 라인이 구동되는 나머지 기간에는 게이트 오프 전압을 공급한다.
게이트 드라이버(130)는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 IC로 구성되고 TCP(Tape Carrier Package), COF(Chip On Film), FPC(Flexible Print Circuit) 등과 같은 회로 필름에 실장되어 표시 패널(140)에 TAB(Tape Automatic Bonding)방식으로 부착되거나, COG(Chip On Glass) 방식으로 표시 패널(140) 상에 실장될 수 있다.
이와 달리, 게이트 드라이버(130)는 GIP(Gate In Panel) 방식으로 표시 패널(140)에 내에 내장되어 표시 영역의 화소 어레이와 함께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비표시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110)는 호스트 시스템(160)로부터 입력된 영상 데이터를 신호 처리하여 데이터 드라이버(120)로공급한다. 예를 들면, 타이밍 컨트롤러(110)는 액정의 응답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인접 프레임간의 데이터차에 따라 오버슈트(Overshoot) 값 또는 언더슈트(Undershoot) 값을 부가하는 오버 드라이빙 구동으로 데이터를 보정하여 출력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110)는 호스트 시스템(160)로부터 입력된 다수의 동기 신호, 즉수직 동기 신호, 수평 동기 신호, 데이터 이네이블 신호, 도트 클럭 중 적어도 2개를 이용하여 데이터 드라이버(120)의 구동 타이밍을 제어하는 데이터 제어 신호와, 게이트 드라이버(130)의 구동 타이밍을 제어하는 게이트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타이밍 컨트롤러(110)는 생성된 데이터 제어 신호 및 게이트 제어 신호를 데이터 드라이버(120) 및 게이트 드라이버(130)로 각각 출력한다.
데이터 제어 신호는 데이터 신호의 래치를 제어하는 소스 스타트 펄스 및 소스 샘플링 클럭과, 데이터 신호의 극성을 제어하는 극성 제어 신호와, 데이터 신호의 출력 기간을 제어하는 소스 출력 이네이블 신호 등을 포함한다. 게이트 제어 신호는 게이트 신호(스캔 펄스)의 스캐닝을 제어하는 게이트 스타트 펄스 및 게이트 클럭과, 게이트 신호의 출력 기간을 제어하는 게이트 출력 이네이블 신호 등을 포함한다.
터치 컨트롤러(150)는 표시 패널(140)에 형성된 터치 라인들을 통해 터치 전극들(분할된 공통 전극 블록들)을 구동하고, 구동된 터치 전극으로부터의 피드백 신호를 입력하고, 각 터치 전극에 공급한 초기 구동 신호와 피드백 신호를 차동 증폭함으로써 터치로 인한 각 터치 전극의 셀프-커패시턴스(self-capacitance) 변화를 센싱하여 터치 센싱 정보를 출력한다.
터치 컨트롤러(150)는 터치 센싱 정보를 신호 처리하여 터치 영역(터치된 터치 전극)을 판별하고, 판별된 터치 영역의 좌표를 산출하여 호스트 시스템(160)으 공급한다.
호스트 시스템(160)은 영상 데이터 및 다수의 동기 신호를 타이밍 컨트롤러(110)로 공급하고, 터치 컨트롤러(150)로부터 입력된 터치 포인트 좌표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터치 동작에 대응하는 명령을 수행한다.
도 1에 도시된 터치 컨트롤러(150), 데이터 드라이버(120) 및 터치 컨트롤러(1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1개의 구동 IC(200)로 집적화될 수 있고, 게이트 드라이버(130)는 GIP(Gate In Panel) 구조로 표시 패널(140)에 내장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140)의 표시 영역은 다수의 터치 전극열(C1~Cm)을 포함하고, 다수의 터치 전극열(C1~Cm) 각각은 수직 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터치 전극(TE)을 포함한다. 다수의 터치 전극(TE)은 표시 영역에 형성된 공통 전극이 분할되어 형성되고, 터치 전극(TE) 각각은 터치점 크기를 고려하여 다수 픽셀에 형성된 공통 전극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수의 터치 전극열(C1~Cm) 각각은 다수의 터치 전극(TE)을 독립적으로 구동 IC(200)와 접속시키는 다수의 터치 라인(TL1~TLn)을 더 포함한다. 터치 전극열(C1~Cm) 각각에 포함된 다수의 터치 라인(TL1~TLn)은 다수의 터치 전극(TE)과 개별적으로 접속되고, 접속된 터치 전극으로부터 표시 영역을 경유하여 비표시 영역의 구동 IC(200)까지 신장되어 구동 IC(200)와 접속되며, 구동 IC(200)로부터의 구동 신호를 접속된 터치 전극에 공급하고, 접속된 터치 전극으로부터의 피드백 신호를 구동 IC(200)로 공급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A-A' 선에 따른 표시 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140)의 각 픽셀에는 게이트 라인 및 데이터 라인에 접속된 TFT가 구비된다.
상기 TFT는 게이트 라인에 접속된 게이트 전극(G), 데이터 라인에 접속된 소스 전극(S), 및 소스 전극(S)으로부터 이격된 드레인 전극(D)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TFT는 소스 및 드레인 전극(S, D) 사이에 채널을 형성하는 활성층(ACT)과, 소스 및 드레인 전극(S, D) 각각과 활성층(ACT) 사이에 구비된 오믹 접촉층(OHM)을 구비한다.
이러한 TFT는 게이트 전극(G)에 공급되는 게이트 신호에 따라 턴-온되며, 턴-온시 데이터 라인으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 신호를 화소 전극(PXL)에 공급한다.
상기 화소 전극(PXL)은 상기 TFT을 덮는 제 2 보호층(58) 상에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화소 전극(PXL)은 제 2 보호층(58)을 관통하는 화소 콘택홀을 통해 상기 드레인 전극(D)에 접속된다.
상기 화소 전극(PXL) 상에는 상기 화소 전극(PXL)을 덮는 제 1 절연막(160)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절연막(60) 상에는 터치 라인(TL)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터치 라인(TL) 상에는 상기 터치 라인(30)을 덮는 제 2 절연막(62)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절연막(62) 상에는 터치 전극(TE)이 형성된다.
상기 터치 전극(TE)은 상기 제 2 절연막(62)을 관통하는 공통 전압 콘택홀을 통해 상기 터치 라인(TL)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전술한 바와 같이, 대면적의 표시 장치에 적용된 터치 스크린에 있어서 터치 전극의 개수가 급증하여 발생되었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방안으로서 신규한 터치 전극의 모양(또는 형태)을 제안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전체 터치 전극의 개수를 줄이면서도 종래와 동등 수준의 터치 센싱 감도를 유지할 수 있다.
도 5는 비교 예에 따른 터치 전극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비교 예는 종래 기술에 따른 AIT 방식의 터치 전극 구조과 같이 복수개의 터치 전극(TE) 각각이 사각형 형태를 갖는다. 그리고 비교 예에 따른 복수개의 터치 전극(TE) 각각은 특정 간격을 갖고서 배열된다.
도 5에서 AR은 터치 전극(TE)을 50개 마련하여, 10행 5열로 나열하였을 때 총 면적을 나타내고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AR을 "비교 면적"으로 정의한다.
제 1 실시 예
도 6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전극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제 1 및 제 2 터치 전극을 확대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제 1 실시 예에 따른 복수개의 터치 전극(TE)은 제 1 및 제 2 터치 전극(TE1, TE2)을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터치 전극(TE1, TE2)은 평면상에서 상하 방향으로 교번되게 배열된다. 예를 들어, 제 1 터치 전극(TE1)은 홀수 번째 행에 배열되고, 제 2 터치 전극(TE2)은 짝수 번째 행에 배열될 수 있다.
제 1 터치 전극(TE1)은 제 1 방향(D1) 테두리에 제 1 돌출부(P1) 및 제 1 홈(G1)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제 1 터치 전극(TE1)은 기본적으로 도 5에 도시한 비교 예에서의 터치 전극(TE)과 마찬가지로 사각형 형태를 갖는다. 다만, 제 1 터치 전극(TE1)은 사각형 형태를 갖되, 제 1 방향(D1) 테두리에 제 1 돌출부(P1) 및 제 1 홈(G1)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돌출부(P1) 및 제 1 홈(G1)의 개수는 본 발명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기에서 제 1 방향(D1)은 하측 방향이고, 제 2 방향(D2)은 상측 방향이다. 그리고 제 3 방향(D3)은 좌측 방향이고, 제 4 방향(D4)은 우측 방향이다.
제 1 돌출부(P1)는 제 1 터치 전극(TE1)의 테두리로부터 제 1 방향(D1)으로 돌출된다.
제 1 홈(G1)은 복수개의 제 1 돌출부(P1) 사이에 배치된다. 제 1 홈(G1)은 제 1 돌출부(P1)로 인해 상대적으로 삽입된 형태를 갖는 것이며, 테두리 안쪽 영역으로 더 들어가서 형성된 것은 아니다.
각 제 1 터치 전극(TE1)에서 제 1 돌출부(P1)를 제외한 나머지 면적은 비교 예에서의 각 터치 전극(TE)의 면적과 동일하다. 따라서, 제 1 실시 예는 종래 기술과 동등 수준의 터치 감도를 가질 수 있다.
제 2 터치 전극(TE2)은 제 2 방향(D2) 테두리에 제 2 돌출부(P2) 및 제 2 홈(G2)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제 2 터치 전극(TE2)은 기본적으로 도 5에 도시한 비교 예에서의 터치 전극(TE)과 마찬가지로 사각형 형태를 갖는다. 다만, 제 2 터치 전극(TE2)은 사각형 형태를 갖되, 제 2 방향(D2) 테두리에 제 2 돌출부(P2) 및 제 2 홈(G2)이 형성되어 있다. 제 2 돌출부(P2) 및 제 2 홈(G2)의 개수는 본 발명에 국한되지 않는다.
제 2 돌출부(P2)는 제 2 터치 전극(TE2)의 테두리로부터 제 2 방향(D2)으로 돌출된다.
제 2 홈(G2)은 복수개의 제 2 돌출부(P2) 사이에 배치된다. 제 2 홈(G2)은 제 2 돌출부(P2)로 인해 상대적으로 삽입된 형태를 갖는 것이며, 테두리 안쪽 영역으로 더 들어가서 형성된 것은 아니다.
이러한 제 1 실시 예는 제 1 및 제 2 터치 전극(TE2)이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게 배치된다.
특히, 제 1 실시 예는 제 1 돌출부(P1)와 제 2 홈(G2)이 서로 마주보고, 제 2 돌출부(P2)와 제 1 홈(G1)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제 1 돌출부(P1)의 일부는 상기 제 2 홈(G2)에 삽입되고, 상기 제 2 돌출부(P2)의 일부는 상기 제 1 홈(G1)에 삽입된다.
이와 같이, 복수개의 터치 전극(TE)을 적어도 하나의 일측 테두리에 돌출부 및 홈이 구비된 형태를 갖는 제 1 및 제 2 터치 전극(TE1, TE2)들로 구성하면, 동일 면적에서 전체 터치 전극(TE)의 개수를 줄이면서도 종래와 동등 수준의 터치 센싱 감도를 유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a에서 AR1은 제 1 실시 예에 따른 복수개의 터치 전극(TE)을 50개 마련하여, 10행 5열로 나열하였을 때 총 면적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AR1를 "제 1 면적"으로 정의하면, 제 1 면적(AR1)은 비교 면적(AR)에 비하여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즉, 제 1 실시 예와 비교 예는 동일하게 50개의 터치 전극(TE)을 배치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제 1 실시 예에 따른 제 1 면적(AR1)이 비교 면적(AR)과 비교할 때 증가하였다. 이는, 반대로 제 1 실시 예가 비교 예와 대비하여 동일한 면적에서 전체 터치 전극(TE)의 개수를 줄일 수 있음을 나타낸다.
이러한 제 1 실시 예는 터치 전극(TE)의 개수를 전체적으로 줄여, 터치 라인(TL)의 개수를 줄일 수 있고, 터치 라인(TL)에 대한 RC(저항 및 정전 용량) 딜레이의 영향을 줄여 터치 센싱 오류를 줄일 수 있다.
제 2 실시 예
도 7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전극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b는 도 7a에 도시된 제 1 및 제 2 터치 전극을 확대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제 2 실시 예에 따른 복수개의 터치 전극(TE)은 제 1 및 제 2 터치 전극(TE1, TE2)을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터치 전극(TE1, TE2)은 평면상에서 좌우 방향으로 교번되게 배열된다. 예를 들어, 제 1 터치 전극(TE1)은 홀수 번째 열에 배열되고, 제 2 터치 전극(TE2)은 짝수 번째 열에 배열될 수 있다.
제 1 터치 전극(TE1)은 제 1 방향(D1) 테두리에 제 1 돌출부(P1) 및 제 1 홈(G1)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제 1 터치 전극(TE1)은 기본적으로 도 5에 도시한 비교 예에서의 터치 전극(TE)과 마찬가지로 사각형 형태를 갖는다. 다만, 제 1 터치 전극(TE1)은 사각형 형태를 갖되, 제 1 방향(D1) 테두리에 제 1 돌출부(P1) 및 제 1 홈(G1)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돌출부(P1) 및 제 1 홈(G1)의 개수는 본 발명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기에서 제 1 방향(D1)은 우측 방향이고, 제 2 방향(D2)은 좌측 방향이다. 그리고 제 3 방향(D3)은 상측 방향이고, 제 4 방향(D4)은 하측 방향이다.
제 1 돌출부(P1)는 제 1 터치 전극(TE1)의 테두리로부터 제 1 방향(D1)으로 돌출된다.
제 1 홈(G1)은 복수개의 제 1 돌출부(P1) 사이에 배치된다. 제 1 홈(G1)은 제 1 돌출부(P1)로 인해 상대적으로 삽입된 형태를 갖는 것이며, 테두리 안쪽 영역으로 더 들어가서 형성된 것은 아니다.
각 제 1 터치 전극(TE1)에서 제 1 돌출부(P1)를 제외한 나머지 면적은 비교 예에서의 각 터치 전극(TE)의 면적과 동일하다. 따라서, 제 2 실시 예는 종래 기술과 동등 수준의 터치 감도를 가질 수 있다.
제 2 터치 전극(TE2)은 제 2 방향(D2) 테두리에 제 2 돌출부(P2) 및 제 2 홈(G2)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제 2 터치 전극(TE2)은 기본적으로 도 5에 도시한 비교 예에서의 터치 전극(TE)과 마찬가지로 사각형 형태를 갖는다. 다만, 제 2 터치 전극(TE2)은 사각형 형태를 갖되, 제 2 방향(D2) 테두리에 제 2 돌출부(P2) 및 제 2 홈(G2)이 형성되어 있다. 제 2 돌출부(P2) 및 제 2 홈(G2)의 개수는 본 발명에 국한되지 않는다.
제 2 돌출부(P2)는 제 2 터치 전극(TE2)의 테두리로부터 제 2 방향(D2)으로 돌출된다.
제 2 홈(G2)은 복수개의 제 2 돌출부(P2) 사이에 배치된다. 제 2 홈(G2)은 제 2 돌출부(P2)로 인해 상대적으로 삽입된 형태를 갖는 것이며, 테두리 안쪽 영역으로 더 들어가서 형성된 것은 아니다.
이러한 제 2 실시 예는 제 1 및 제 2 터치 전극(TE1, TE2)이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게 배치된다.
특히, 제 2 실시 예는 제 1 돌출부(P1)와 제 2 홈(G2)이 서로 마주보고, 제 2 돌출부(P2)와 제 1 홈(G1)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제 1 돌출부(P1)의 일부는 상기 제 2 홈(G2)에 삽입되고, 상기 제 2 돌출부(P2)의 일부는 상기 제 1 홈(G1)에 삽입된다.
이와 같이, 복수개의 터치 전극(TE)을 적어도 하나의 일측 테두리에 돌출부 및 홈이 구비된 형태를 갖는 제 1 및 제 2 터치 전극(TE1, TE2)들로 구성하면, 동일 면적에서 전체 터치 전극(TE)의 개수를 줄이면서도 종래와 동등 수준의 터치 센싱 감도를 유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a에서 AR2는 제 2 실시 예에 따른 복수개의 터치 전극(TE)을 50개 마련하여, 10행 5열로 나열하였을 때 총 면적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AR2를 "제 2 면적"으로 정의하면, 제 2 면적은 비교 면적(AR)에 비하여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즉, 제 2 실시 예와 비교 예는 동일하게 50개의 터치 전극(TE)을 배치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제 2 실시 예에 따른 제 2 면적(AR2)이 비교 면적(AR)과 비교할 때 증가하였다. 이는, 반대로 제 2 실시 예가 비교 예와 대비하여 동일한 면적에서 전체 터치 전극(TE)의 개수를 줄일 수 있음을 나타낸다.
이러한 제 2 실시 예는 터치 전극(TE)의 개수를 전체적으로 줄여, 터치 라인(TL)의 개수를 줄일 수 있고, 터치 라인(TL)에 대한 RC(저항 및 정전 용량) 딜레이의 영향을 줄여 터치 센싱 오류를 줄일 수 있다.
제 3 실시 예
도 8a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전극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b는 도 8a에 도시된 제 1 및 제 2 터치 전극을 확대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제 3 실시 예에 따른 복수개의 터치 전극(TE)은 제 1 및 제 2 터치 전극(TE1, TE2)을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터치 전극(TE1, TE2)은 평면상에서 상하 방향으로 교번되게 배열된다. 예를 들어, 제 1 터치 전극(TE1)은 홀수 번째 행에 배열되고, 제 2 터치 전극(TE2)은 짝수 번째 행에 배열될 수 있다.
제 1 터치 전극(TE1)은 제 1 및 제 2 방향(D1, D2) 테두리에 제 1 돌출부(P1) 및 제 1 홈(G1)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제 1 터치 전극(TE1)은 기본적으로 도 5에 도시한 비교 예에서의 터치 전극(TE)과 마찬가지로 사각형 형태를 갖는다. 다만, 제 1 터치 전극(TE1)은 사각형 형태를 갖되, 제 1 및 제 2 방향(D1, D2) 테두리에 제 1 돌출부(P1) 및 제 1 홈(G1)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돌출부(P1) 및 제 1 홈(G1)의 개수는 본 발명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기에서 제 1 방향(D1)은 하측 방향이고, 제 2 방향(D2)은 상측 방향이다. 그리고 제 3 방향(D3)은 좌측 방향이고, 제 4 방향(D4)은 우측 방향이다.
제 1 돌출부(P1)는 제 1 터치 전극(TE1)의 테두리로부터 제 1 및 제 2 방향(D1, D2)으로 돌출된다.
제 1 홈(G1)은 복수개의 제 1 돌출부(P1) 사이에 배치된다. 제 1 홈(G1)은 제 1 돌출부(P1)로 인해 상대적으로 삽입된 형태를 갖는 것이며, 테두리 안쪽 영역으로 더 들어가서 형성된 것은 아니다.
각 제 1 터치 전극(TE1)에서 제 1 돌출부(P1)를 제외한 나머지 면적은 비교 예에서의 각 터치 전극(TE)의 면적과 동일하다. 따라서, 제 3 실시 예는 종래 기술과 동등 수준의 터치 감도를 가질 수 있다.
제 2 터치 전극(TE2)은 제 2 방향(D2) 테두리에 제 2 돌출부(P2) 및 제 2 홈(G2)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제 2 터치 전극(TE2)은 기본적으로 도 5에 도시한 비교 예에서의 터치 전극(TE)과 마찬가지로 사각형 형태를 갖는다. 다만, 제 2 터치 전극(TE2)은 사각형 형태를 갖되, 제 2 방향(D2) 테두리에 제 2 돌출부(P2) 및 제 2 홈(G2)이 형성되어 있다. 제 2 돌출부(P2) 및 제 2 홈(G2)의 개수는 본 발명에 국한되지 않는다.
제 2 돌출부(P2)는 제 2 터치 전극(TE2)의 테두리로부터 제 1 및 제 2 방향(D1, D2)으로 돌출된다.
제 2 홈(G2)은 복수개의 제 2 돌출부(P2) 사이에 배치된다. 제 2 홈(G2)은 제 2 돌출부(P2)로 인해 상대적으로 삽입된 형태를 갖는 것이며, 테두리 안쪽 영역으로 더 들어가서 형성된 것은 아니다.
이러한 제 3 실시 예는 제 1 및 제 2 터치 전극(TE1, TE2)이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게 배치된다.
특히, 제 3 실시 예는 제 1 돌출부(P1)와 제 2 홈(G2)이 서로 마주보고, 제 2 돌출부(P2)와 제 1 홈(G1)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제 1 돌출부(P1)의 일부는 상기 제 2 홈(G2)에 삽입되고, 상기 제 2 돌출부(P2)의 일부는 상기 제 1 홈(G1)에 삽입된다.
이와 같이, 복수개의 터치 전극(TE)을 적어도 하나의 일측 테두리에 돌출부 및 홈이 구비된 형태를 갖는 제 1 및 제 2 터치 전극(TE1, TE2)들로 구성하면, 동일 면적에서 전체 터치 전극(TE)의 개수를 줄이면서도 종래와 동등 수준의 터치 센싱 감도를 유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8a에서 AR2는 제 3 실시 예에 따른 복수개의 터치 전극(TE)을 50개 마련하여, 10행 5열로 나열하였을 때 총 면적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AR3을 "제 3 면적"으로 정의하면, 제 3 면적(AR3)은 비교 면적(AR)에 비하여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즉, 제 3 실시 예와 비교 예는 동일하게 50개의 터치 전극(TE)을 배치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제 3 실시 예에 따른 제 3 면적(AR3)이 비교 면적(AR)과 비교할 때 증가하였다. 이는, 반대로 제 3 실시 예가 비교 예와 대비하여 동일한 면적에서 전체 터치 전극(TE)의 개수를 줄일 수 있음을 나타낸다.
이러한 제 3 실시 예는 터치 전극(TE)의 개수를 전체적으로 줄여, 터치 라인(TL)의 개수를 줄일 수 있고, 터치 라인(TL)에 대한 RC(저항 및 정전 용량) 딜레이의 영향을 줄여 터치 센싱 오류를 줄일 수 있다.
제 4 실시 예
도 9a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전극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b는 도 9a에 도시된 제 1 및 제 2 터치 전극을 확대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제 4 실시 예에 따른 복수개의 터치 전극(TE)은 제 1 및 제 2 터치 전극(TE1, TE2)을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터치 전극(TE1, TE2)은 평면상에서 좌우 방향으로 교번되게 배열된다. 예를 들어, 제 1 터치 전극(TE1)은 홀수 번째 열에 배열되고, 제 2 터치 전극(TE2)은 짝수 번째 열에 배열될 수 있다.
제 1 터치 전극(TE1)은 제 1 및 제 2 방향(D1, D2) 테두리에 제 1 돌출부(P1) 및 제 1 홈(G1)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제 1 터치 전극(TE1)은 기본적으로 도 5에 도시한 비교 예에서의 터치 전극(TE)과 마찬가지로 사각형 형태를 갖는다. 다만, 제 1 터치 전극(TE1)은 사각형 형태를 갖되, 제 1 및 제 2 방향(D1, D2) 테두리에 제 1 돌출부(P1) 및 제 1 홈(G1)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돌출부(P1) 및 제 1 홈(G1)의 개수는 본 발명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기에서 제 1 방향(D1)은 좌측 방향이고, 제 2 방향(D2)은 우측 방향이다. 그리고 제 3 방향(D3)은 상측 방향이고, 제 4 방향(D4)은 하측 방향이다.
제 1 돌출부(P1)는 제 1 터치 전극(TE1)의 테두리로부터 제 1 및 제 2 방향(D1, D2)으로 돌출된다.
제 1 홈(G1)은 복수개의 제 1 돌출부(P1) 사이에 배치된다. 제 1 홈(G1)은 제 1 돌출부(P1)로 인해 상대적으로 삽입된 형태를 갖는 것이며, 테두리 안쪽 영역으로 더 들어가서 형성된 것은 아니다.
각 제 1 터치 전극(TE1)에서 제 1 돌출부(P1)를 제외한 나머지 면적은 비교 예에서의 각 터치 전극(TE)의 면적과 동일하다. 따라서, 제 4 실시 예는 종래 기술과 동등 수준의 터치 감도를 가질 수 있다.
제 2 터치 전극(TE2)은 제 2 방향(D2) 테두리에 제 2 돌출부(P2) 및 제 2 홈(G2)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제 2 터치 전극(TE2)은 기본적으로 도 5에 도시한 비교 예에서의 터치 전극(TE)과 마찬가지로 사각형 형태를 갖는다. 다만, 제 2 터치 전극(TE2)은 사각형 형태를 갖되, 제 2 방향(D2) 테두리에 제 2 돌출부(P2) 및 제 2 홈(G2)이 형성되어 있다. 제 2 돌출부(P2) 및 제 2 홈(G2)의 개수는 본 발명에 국한되지 않는다.
제 2 돌출부(P2)는 제 2 터치 전극(TE2)의 테두리로부터 제 1 및 제 2 방향(D1, D2)으로 돌출된다.
제 2 홈(G2)은 복수개의 제 2 돌출부(P2) 사이에 배치된다. 제 2 홈(G2)은 제 2 돌출부(P2)로 인해 상대적으로 삽입된 형태를 갖는 것이며, 테두리 안쪽 영역으로 더 들어가서 형성된 것은 아니다.
이러한 제 4 실시 예는 제 1 및 제 2 터치 전극(TE1, TE2)이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게 배치된다.
특히, 제 4 실시 예는 제 1 돌출부(P1)와 제 2 홈(G2)이 서로 마주보고, 제 2 돌출부(P2)와 제 1 홈(G1)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제 1 돌출부(P1)의 일부는 상기 제 2 홈(G2)에 삽입되고, 상기 제 2 돌출부(P2)의 일부는 상기 제 1 홈(G1)에 삽입된다.
이와 같이, 복수개의 터치 전극(TE)을 적어도 하나의 일측 테두리에 돌출부 및 홈이 구비된 형태를 갖는 제 1 및 제 2 터치 전극(TE1, TE2)들로 구성하면, 동일 면적에서 전체 터치 전극(TE)의 개수를 줄이면서도 종래와 동등 수준의 터치 센싱 감도를 유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9a에서 AR2는 제 4 실시 예에 따른 복수개의 터치 전극(TE)을 50개 마련하여, 10행 5열로 나열하였을 때 총 면적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AR4을 "제 4 면적"으로 정의하면, 제 4 면적(AR4)은 비교 면적(AR)에 비하여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즉, 제 4 실시 예와 비교 예는 동일하게 50개의 터치 전극(TE)을 배치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제 4 실시 예에 따른 제 4 면적(AR4)이 비교 면적(AR)과 비교할 때 증가하였다. 이는, 반대로 제 4 실시 예가 비교 예와 대비하여 동일한 면적에서 전체 터치 전극(TE)의 개수를 줄일 수 있음을 나타낸다.
이러한 제 4 실시 예는 터치 전극(TE)의 개수를 전체적으로 줄여, 터치 라인(TL)의 개수를 줄일 수 있고, 터치 라인(TL)에 대한 RC(저항 및 정전 용량) 딜레이의 영향을 줄여 터치 센싱 오류를 줄일 수 있다.
제 5 실시 예
도 10a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전극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0b는 도 10a에 도시된 제 1 및 제 2 터치 전극을 확대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면, 제 5 실시 예에 따른 복수개의 터치 전극(TE)은 제 1 및 제 2 터치 전극(TE1, TE2)을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터치 전극(TE1, TE2)은 평면상에서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교번되게 배열된다. 예를 들어, 제 1 터치 전극(TE1)은 홀수 번째 행과 홀수 번째 열에 배열되고, 제 2 터치 전극(TE2)은 짝수 번째 행과 짝수 번째 열에 배열될 수 있다.
제 1 터치 전극(TE1)은 각각의 테두리에 제 1 돌출부(P1) 및 제 1 홈(G1)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제 1 터치 전극(TE1)은 기본적으로 도 5에 도시한 비교 예에서의 터치 전극(TE)과 마찬가지로 사각형 형태를 갖는다. 다만, 제 1 터치 전극(TE1)은 사각형 형태를 갖되, 각각의 테두리에 제 1 돌출부(P1) 및 제 1 홈(G1)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돌출부(P1) 및 제 1 홈(G1)의 개수는 본 발명에 국한되지 않는다.
제 1 돌출부(P1)는 제 1 터치 전극(TE1)의 각각의 테두리로부터 돌출된다.
제 1 홈(G1)은 복수개의 제 1 돌출부(P1) 사이에 배치된다. 제 1 홈(G1)은 제 1 돌출부(P1)로 인해 상대적으로 삽입된 형태를 갖는 것이며, 테두리 안쪽 영역으로 더 들어가서 형성된 것은 아니다.
각 제 1 터치 전극(TE1)에서 제 1 돌출부(P1)를 제외한 나머지 면적은 비교 예에서의 각 터치 전극(TE)의 면적과 동일하다. 따라서, 제 5 실시 예는 종래 기술과 동등 수준의 터치 감도를 가질 수 있다.
제 2 터치 전극(TE2)은 제 2 방향(D2) 테두리에 제 2 돌출부(P2) 및 제 2 홈(G2)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제 2 터치 전극(TE2)은 기본적으로 도 5에 도시한 비교 예에서의 터치 전극(TE)과 마찬가지로 사각형 형태를 갖는다. 다만, 제 2 터치 전극(TE2)은 사각형 형태를 갖되, 제 2 방향(D2) 테두리에 제 2 돌출부(P2) 및 제 2 홈(G2)이 형성되어 있다. 제 2 돌출부(P2) 및 제 2 홈(G2)의 개수는 본 발명에 국한되지 않는다.
제 2 돌출부(P2)는 제 2 터치 전극(TE2)의 각각의 테두리로부터 돌출된다.
제 2 홈(G2)은 복수개의 제 2 돌출부(P2) 사이에 배치된다. 제 2 홈(G2)은 제 2 돌출부(P2)로 인해 상대적으로 삽입된 형태를 갖는 것이며, 테두리 안쪽 영역으로 더 들어가서 형성된 것은 아니다.
이러한 제 5 실시 예는 제 1 및 제 2 터치 전극(TE1, TE2)이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게 배치된다.
특히, 제 5 실시 예는 제 1 돌출부(P1)와 제 2 홈(G2)이 서로 마주보고, 제 2 돌출부(P2)와 제 1 홈(G1)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제 1 돌출부(P1)의 일부는 상기 제 2 홈(G2)에 삽입되고, 상기 제 2 돌출부(P2)의 일부는 상기 제 1 홈(G1)에 삽입된다.
이와 같이, 복수개의 터치 전극(TE)을 적어도 하나의 일측 테두리에 돌출부 및 홈이 구비된 형태를 갖는 제 1 및 제 2 터치 전극(TE1, TE2)들로 구성하면, 동일 면적에서 전체 터치 전극(TE)의 개수를 줄이면서도 종래와 동등 수준의 터치 센싱 감도를 유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0a에서 AR2는 제 5 실시 예에 따른 복수개의 터치 전극(TE)을 50개 마련하여, 10행 5열로 나열하였을 때 총 면적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AR5를 "제 5 면적"으로 정의하면, 제 5 면적(AR5)은 비교 면적(AR)에 비하여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즉, 제 5 실시 예와 비교 예는 동일하게 50개의 터치 전극(TE)을 배치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제 5 실시 예에 따른 제 5 면적(AR5)이 비교 면적(AR)과 비교할 때 증가하였다. 이는, 반대로 제 5 실시 예가 비교 예와 대비하여 동일한 면적에서 전체 터치 전극(TE)의 개수를 줄일 수 있음을 나타낸다.
이러한 제 5 실시 예는 터치 전극(TE)의 개수를 전체적으로 줄여, 터치 라인(TL)의 개수를 줄일 수 있고, 터치 라인(TL)에 대한 RC(저항 및 정전 용량) 딜레이의 영향을 줄여 터치 센싱 오류를 줄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복수개의 터치 전극이 적어도 하나의 일측 테두리에 돌출부 및 홈이 구비된 형태고 배열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동일 면적에서 전체 터치 전극의 개수를 줄이면서도 종래와 동등 수준의 터치 센싱 감도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대면적의 표시 장치에 적용될 경우에 터치 전극 및 터치 라인의 개수가 급증하여 발생되었던 터치 센싱 오류를 줄여 터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TE: 터치 전극
TE1: 제 1 터치 전극
TE2: 제 2 터치 전극
AR: 비교 면적
AR1~AR5: 제 1 내지 제 5 면적

Claims (10)

  1. 공통 전극의 역할을 겸하는 복수개의 터치 전극;
    상기 복수개의 터치 전극에 각각 연결된 복수개의 터치 라인; 및
    상기 복수개의 터치 라인을 구동하여 셀프 정전 용량 방식으로 터치를 센싱하는 터치 구동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전극의 적어도 하나의 일측 테두리에 돌출부 및 홈이 구비된, 액정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터치 전극은
    제 1 방향 테두리에 제 1 돌출부 및 제 1 홈이 구비된 제 1 터치 전극; 및
    제 2 방향 테두리에 제 2 돌출부 및 제 2 홈이 구비되고, 상기 제 1 터치 전극과 이웃한 제 2 터치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돌출부와 상기 제 2 홈은 서로 마주보고,
    상기 제 2 돌출부와 상기 제 1 홈은 서로 마주보고,
    상기 제 1 및 제 2 방향은 서로 반대되는, 액정 표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터치 전극은 평면상에서 좌우 방향으로 교번되게 배열되는, 액정 표시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터치 전극은 평면상에서 상하 방향으로 교번되게 배열되는, 액정 표시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터치 전극은
    제 1 및 제 2 방향 테두리에 제 1 돌출부 및 제 1 홈이 구비된 제 1 터치 전극; 및
    상기 제 1 및 제 2 방향 테두리에 제 2 돌출부 및 제 2 홈이 구비되고, 상기 제 1 터치 전극과 이웃한 제 2 터치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돌출부와 상기 제 2 홈은 서로 마주보고,
    상기 제 2 돌출부와 상기 제 1 홈은 서로 마주보고,
    상기 제 1 및 제 2 방향은 서로 반대되는, 액정 표시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터치 전극은 평면상에서 좌우 방향으로 교번되게 배열되는, 액정 표시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터치 전극은 평면상에서 상하 방향으로 교번되게 배열되는, 액정 표시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테두리에 제 1 돌출부 및 제 1 홈이 구비된 제 1 터치 전극; 및
    각각의 테두리에 제 2 돌출부 및 제 2 홈이 구비되고, 상기 제 1 터치 전극과 이웃한 제 2 터치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돌출부와 상기 제 2 홈은 서로 마주보고,
    상기 제 2 돌출부와 상기 제 1 홈은 서로 마주보는, 액정 표시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터치 전극은 평면상에서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교번되게 배열되는, 액정 표시 장치.
  10. 제 2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돌출부의 일부는 상기 제 2 홈에 삽입되고,
    상기 제 2 돌출부의 일부는 상기 제 1 홈에 삽입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20150111748A 2015-08-07 2015-08-07 인 셀 터치 스크린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 KR201700175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1748A KR20170017589A (ko) 2015-08-07 2015-08-07 인 셀 터치 스크린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1748A KR20170017589A (ko) 2015-08-07 2015-08-07 인 셀 터치 스크린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7589A true KR20170017589A (ko) 2017-02-15

Family

ID=58112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1748A KR20170017589A (ko) 2015-08-07 2015-08-07 인 셀 터치 스크린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1758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57123B2 (en) Touch sensor integrated display device
US8970524B2 (en) Touch sensor integrated type display device
US9201261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ouch sensor embedded therein, method of driving the sam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8792062B2 (en) Touch integrated display device
EP2985681B1 (en) Touch sensor integrated type display device
US8933898B2 (en) Touch sensor integrated type display device
KR102045809B1 (ko) 터치센서 일체형 표시장치
US20160274708A1 (en) Touch panel and apparatus for driving thereof
KR102045808B1 (ko) 터치센서 일체형 표시장치
US10261625B2 (en) Touch sensor integrated display device
US10592029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using stripe electrodes
US20190339557A1 (en)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with touch sensor and method for driving same
US20170061918A1 (en) Display Device Comprising Display Panel With Bridge Patterns
KR102435900B1 (ko) 표시 장치
JP2017134249A (ja) 表示装置
KR101666593B1 (ko) 터치 센서를 내장한 표시 장치
CN107479740B (zh) 显示装置
CN114690943A (zh) 触摸显示设备、触摸驱动电路和显示面板
JP6263340B2 (ja) 液晶表示装置
KR20170017589A (ko) 인 셀 터치 스크린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
KR102238324B1 (ko) 터치센서 일체형 표시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