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7455A - 세션 키 및 인증 토큰에 기반한 상호 인증 장치들 간의 상호 인증 방법 및 상호 인증 장치들 - Google Patents
세션 키 및 인증 토큰에 기반한 상호 인증 장치들 간의 상호 인증 방법 및 상호 인증 장치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17455A KR20170017455A KR1020150111389A KR20150111389A KR20170017455A KR 20170017455 A KR20170017455 A KR 20170017455A KR 1020150111389 A KR1020150111389 A KR 1020150111389A KR 20150111389 A KR20150111389 A KR 20150111389A KR 20170017455 A KR20170017455 A KR 2017001745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uthentication token
- authentication
- shared
- encrypted
- step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78
- 238000012795 verif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3475 author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873 mas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419 depend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1—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a third party or a trusted authority
- H04L9/3213—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a third party or a trusted authority using tickets or tokens, e.g. Kerbero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16—Key establishment, i.e. cryptographic processes or cryptographic protocols whereby a shared secret becomes available to two or more parties, for subsequent use
- H04L9/0819—Key transport or distribution, i.e. key establishment techniques where one party creates or otherwise obtains a secret value, and securely transfers it to the ot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를 위한 상호 인증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버를 위한 상호 인증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 키 및 인증 토큰을 공유하기 위한 서버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대상 기기를 위한 상호 인증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상 기기를 위한 상호 인증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 키 및 인증 토큰을 공유하기 위한 대상 기기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대상 기기와 서버 간의 기기 등록 절차를 설명하기 한 도면.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대상 기기와 서버 간의 상호 인증 절차를 설명하기 한 도면.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블록도.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대상 기기의 블록도.
1010: 프로세서
1020: 송수신부
1030: 메모리
1040: 버스
Claims (23)
- 제1 장치와 상호 인증하는 제2 장치를 위한 상호 인증 방법에 있어서,
미리 공유된 마스터 키에 기초한 제1 세션 키를 이용하여 미리 공유된 인증 토큰을 제1 암호화하는 단계;
상기 제1 암호화된 인증 토큰을 상기 제1 장치에게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암호화된 인증 토큰에 대한 상기 제1 장치의 검증 결과에 따라 전송된, 제2 암호화된 인증 토큰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세션 키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암호화된 인증 토큰을 복호화하는 단계; 및
상기 복호화된 인증 토큰을 검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상호 인증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암호화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장치를 위한 제1 변조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상기 미리 공유된 인증 토큰을 제1 변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변조된 인증 토큰을 상기 제1 세션 키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암호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상호 인증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변조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변조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상기 미리 공유된 인증 토큰의 일부를 상기 제1 변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상호 인증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호화된 인증 토큰을 검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장치를 위한 제2 변조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상기 복호화된 인증 토큰을 검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상호 인증 방법.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호화된 인증 토큰을 검증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변조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상기 미리 공유된 인증 토큰을 제2 변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변조된 인증 토큰을 이용하여 상기 복호화된 인증 토큰을 검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상호 인증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세션 키 생성을 위한 랜덤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미리 공유된 마스터 키 및 상기 랜덤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세션 키를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상호 인증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치의 인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인증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장치를 검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상호 인증 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요청은
상기 제1 장치의 MAC 정보 및 상기 제1 장치의 칩 정보를 포함하는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장치를 검증하는 단계는
상기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장치를 검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상호 인증 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요청에 앞서, 상기 제2 장치 및 상기 제1 장치 간에 상기 마스터 키 및 상기 인증 토큰을 공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상호 인증 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장치의 등록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장치를 위한 인증 토큰(Token)을 생성하는 단계;
랜덤 정보 및 이니셜 키(initial key)를 이용하여 임시 키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임시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한 암호학적 정보(credential)- 상기 암호학적 정보는 상기 마스터 키, 및 상기 인증 토큰을 포함함-를 상기 랜덤 정보와 함께 상기 제1 장치에게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상호 인증 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토큰은
상기 제1 장치의 권한 정보, 상기 랜덤 정보, 상기 제2 장치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제1 장치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호 인증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치의 권한 정보가 변경된 경우, 상기 인증 토큰을 갱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상호 인증 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치로부터 상기 암호학적 정보의 공유가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제1 장치를 등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상호 인증 방법. - 제2 장치와 상호 인증하는 제1 장치를 위한 상호 인증 방법에 있어서,
인증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장치로부터 전송된, 제1 암호화된 인증 토큰을 수신하는 단계;
미리 공유된 마스터 키에 기초한 제2 세션 키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암호화된 인증 토큰을 복호화하는 단계;
상기 복호화된 인증 토큰을 검증하는 단계;
상기 검증 결과에 따라, 미리 공유된 인증 토큰을 제2 암호화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암호화된 인증 토큰을 상기 제2 장치에게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상호 인증 방법.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복호화된 인증 토큰을 검증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장치를 위한 제1 변조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상기 복호화된 인증 토큰을 검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상호 인증 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복호화된 인증 토큰을 검증하는 단계는
상기 미리 공유된 인증 토큰을 상기 제1 변조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제1 변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변조된 인증 토큰을 이용하여 상기 복호화한 인증 토큰을 검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상호 인증 방법.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암호화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장치를 위한 제2 변조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상기 미리 공유된 인증 토큰을 제2 변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변조된 인증 토큰을 상기 제2 세션 키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암호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상호 인증 방법.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변조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변조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상기 미리 공유된 인증 토큰의 일부를 제2 변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상호 인증 방법.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요청에 앞서, 상기 제2 장치 및 상기 제1 장치 간에 상기 마스터 키 및 상기 인증 토큰을 공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상호 인증 방법.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장치에게 등록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등록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장치에서 암호화된 암호학적 정보- 상기 암호학적 정보는 상기 제2 장치가 생성한 마스터 키, 및 인증 토큰을 포함함-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암호학적 정보를 복호화하여 상기 마스터 키 및 상기 인증 토큰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마스터 키 및 상기 인증 토큰을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장치에게, 상기 암호학적 정보의 공유가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상호 인증 방법. -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 미리 공유된 마스터 키에 기초한 제1 세션 키를 이용하여 미리 공유된 인증 토큰을 제1 암호화하고, 제1 장치가 전송한 제2 암호화된 인증 토큰을 상기 제1 세션 키에 의해 복호화하여 검증하는 프로세서;
상기 제1 암호화된 인증 토큰을 상기 제1 장치에게 전송하고, 상기 제1 암호화된 인증 토큰에 대한 제1 장치의 검증 결과에 따라 전송된 제2 암호화된 인증 토큰을 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미리 공유된 마스터 키 및 상기 미리 공유된 인증 토큰을 저장하는 메모리
를 포함하는, 제1 장치와 상호 인증하는 제2 장치. - 인증 요청에 응답하여 제2 장치로부터 전송된 제1 암호화된 인증 토큰을 수신하고, 제2 암호화된 인증 토큰을 상기 제2 장치에게 전송하는 송수신부;
미리 공유된 마스터 키에 기초한 제2 세션 키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암호화된 인증 토큰을 복호화하여 검증하고, 상기 검증 결과에 따라, 미리 공유된 인증 토큰을 제2 암호화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미리 공유된 마스터 키 및 상기 미리 공유된 인증 토큰을 저장하는 메모리
를 포함하는, 제2 장치와 상호 인증하는 제1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11389A KR101802588B1 (ko) | 2015-08-07 | 2015-08-07 | 세션 키 및 인증 토큰에 기반한 상호 인증 장치들 간의 상호 인증 방법 및 상호 인증 장치들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11389A KR101802588B1 (ko) | 2015-08-07 | 2015-08-07 | 세션 키 및 인증 토큰에 기반한 상호 인증 장치들 간의 상호 인증 방법 및 상호 인증 장치들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17455A true KR20170017455A (ko) | 2017-02-15 |
KR101802588B1 KR101802588B1 (ko) | 2017-12-28 |
Family
ID=58112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11389A Active KR101802588B1 (ko) | 2015-08-07 | 2015-08-07 | 세션 키 및 인증 토큰에 기반한 상호 인증 장치들 간의 상호 인증 방법 및 상호 인증 장치들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02588B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25047B1 (ko) * | 2018-12-26 | 2020-06-19 | 한전케이디엔 주식회사 | 배전 지능화 시스템 보안성 향상을 위한 키 관리 및 운용 방법 |
KR102135727B1 (ko) * | 2019-01-16 | 2020-07-20 |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 토큰을 활용한 IoT 블록체인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다단계 인증 방법 |
KR102159188B1 (ko) * | 2019-05-31 | 2020-09-23 | 백석대학교산학협력단 | 무아레 기반 융합 보안 토큰을 이용한 cctv 통제 보안 시스템 |
CN112383897A (zh) * | 2020-10-19 | 2021-02-19 | 东软集团股份有限公司 | 基于智能网联的信息传输方法、装置、介质和电子设备 |
CN114040349A (zh) * | 2020-07-21 | 2022-02-11 | 华为技术有限公司 | 一种电子设备和分布式系统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215165A (ja) * | 1999-01-26 | 2000-08-04 |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 情報アクセス制御方法および装置と情報アクセス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
KR100987213B1 (ko) * | 2008-07-11 | 2010-10-12 | 삼성전자주식회사 | 바이오 키를 이용하여 VoIP을 기반으로 한 통신을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
-
2015
- 2015-08-07 KR KR1020150111389A patent/KR101802588B1/ko active Active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25047B1 (ko) * | 2018-12-26 | 2020-06-19 | 한전케이디엔 주식회사 | 배전 지능화 시스템 보안성 향상을 위한 키 관리 및 운용 방법 |
KR102135727B1 (ko) * | 2019-01-16 | 2020-07-20 |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 토큰을 활용한 IoT 블록체인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다단계 인증 방법 |
KR102159188B1 (ko) * | 2019-05-31 | 2020-09-23 | 백석대학교산학협력단 | 무아레 기반 융합 보안 토큰을 이용한 cctv 통제 보안 시스템 |
CN114040349A (zh) * | 2020-07-21 | 2022-02-11 | 华为技术有限公司 | 一种电子设备和分布式系统 |
CN114040349B (zh) * | 2020-07-21 | 2024-04-09 | 华为技术有限公司 | 一种电子设备和分布式系统 |
CN112383897A (zh) * | 2020-10-19 | 2021-02-19 | 东软集团股份有限公司 | 基于智能网联的信息传输方法、装置、介质和电子设备 |
CN112383897B (zh) * | 2020-10-19 | 2023-09-22 | 东软集团股份有限公司 | 基于智能网联的信息传输方法、装置、介质和电子设备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02588B1 (ko) | 2017-12-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4553568B (zh) | 一种基于零信任单包认证与授权的资源访问控制方法 | |
US12143476B2 (en) | Method of data transfer, a method of controlling use of data and cryptographic device | |
US11336641B2 (en) | Security enhanced technique of authentication protocol based on trusted execution environment | |
US8539559B2 (en) | System for using an authorization token to separate authentication and authorization services | |
US8171527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ing unlock password generation and distribution | |
CN110971415A (zh) | 一种天地一体化空间信息网络匿名接入认证方法及系统 | |
US10594479B2 (en) | Method for managing smart home environment, method for joining smart home environment and method for connecting communication session with smart device | |
US10637818B2 (en) | System and method for resetting passwords on electronic devices | |
JP2020530726A (ja) | サプライチェーン資産管理を保護するアプリケーションを有する遠隔サーバへのnfcタグ認証 | |
KR101802588B1 (ko) | 세션 키 및 인증 토큰에 기반한 상호 인증 장치들 간의 상호 인증 방법 및 상호 인증 장치들 | |
CN112532393A (zh) | 一种跨链交易的验证方法、中继链节点设备及介质 | |
KR20140059485A (ko) | Puf를 이용한 기기 인증 장치 및 방법 | |
CN108809633B (zh) | 一种身份认证的方法、装置及系统 | |
CN110545285B (zh) | 一种基于安全芯片的物联网终端安全认证方法 | |
KR101531662B1 (ko) | 사용자 단말과 서버간 상호 인증 방법 및 시스템 | |
KR102415628B1 (ko) | Dim을 이용한 드론 인증 방법 및 장치 | |
CN107040501B (zh) | 基于平台即服务的认证方法和装置 | |
CN116866034B (zh) | 一种分布式节点认证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 |
CN116707983A (zh) | 授权认证方法及装置、接入认证方法及装置、设备、介质 | |
KR20170111809A (ko) | 대칭키 기반의 보안 토큰을 이용한 양방향 인증 방법 | |
CN113037490A (zh) | Web访问验证、访问方法、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 |
US11616789B2 (en) |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 |
US20250158829A1 (en) | Device linked session | |
KR20220107431A (ko) | 하드웨어 보안 모듈을 이용한 인증 서버와 디바이스 간의 상호 인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 |
KR20240168123A (ko) | 암호 키 생성 및 인증 방법 및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80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2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6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112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11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11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0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1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