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6902A -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Google Patents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6902A
KR20170016902A KR1020170014392A KR20170014392A KR20170016902A KR 20170016902 A KR20170016902 A KR 20170016902A KR 1020170014392 A KR1020170014392 A KR 1020170014392A KR 20170014392 A KR20170014392 A KR 20170014392A KR 20170016902 A KR20170016902 A KR 201700169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ource
virtual speaker
sound
speaker
virt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439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746377B1 (en
Inventor
백순권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14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6377B1/en
Publication of KR20170016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690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6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637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7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occupant comfort, e.g. for automatic adjustment of appliances according to personal settings, e.g. seats, mirrors, steering wheel
    • B60R16/0373Voice control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OR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G10L2015/22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hicle, comprising: a first controller providing a media sound source through a first virtual speaker; and a second controller providing an event sound source through a second virtual speaker formed on a layer different from the first virtual speaker when the event sound source is inputted. The present invention efficiently transmits the sound sources.

Description

차량 및 그 제어 방법{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0001]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0002]

입체 음향을 제공할 수 있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o a vehicle capable of providing stereo sound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운전자에 요구에 맞추어 차량에는 양질의 음악 청취가 가능하도록 오디오 시스템이 장착된다. 오디오 시스템은 라디오, 카세트,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CDP), 또는 MP3 플레이어를 포함하여 차량에 다양한 음향을 제공하여, 운전자의 지루함을 해소시킨다.The car is fitted with an audio system to allow the driver to listen to good quality music on demand. The audio system includes a radio, a cassette, a compact disc player (CDP), or an MP3 player to provide a variety of sounds to the vehicle, eliminating the driver's boredom.

한편, 차량은 오디오 시스템을 이용하여 운전자에게 소정의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량은 오디오 시스템을 이용하여 주행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에 안내하는 음내음을 제공하나, 운전자에게 위험 상황을 인지시키기 위한 경고음을 제공할 수 있다. Meanwhile, the vehicle can transmit predetermined information to the driver using the audio system. Specifically, the vehicle provides a warning tone to guide various information necessary for driving using an audio system, but may provide a warning sound to the driver to recognize a dangerous situation.

이와 같이 오디오 시스템을 통해 다양한 음향을 제공하여 운전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으나, 오디오 시스템을 통해 전달되는 음원이 다양함에 짐에 따라 여러 개의 음원을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존재한다.As described above, various sounds can be provided through the audio system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the driver.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efficiently transmit a plurality of sound sources according to various sound sources transmitted through the audio system.

복수 개의 음원을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hicl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hat efficiently transmit a plurality of sound sources.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은 서로 다른 높이에 마련된 복수 개의 스피커;와 복수 개의 스피커의 출력을 제어하여, 제1 가상 스피커를 통해 제1 음원을 제공하고, 제1 가상 스피커와 다른 위치에 형성된 제2 가상 스피커를 통해 제2 음원을 제공하는 음향 컨트롤러;를 포함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ehicle comprising: a plurality of speakers provided at different heights; a plurality of speakers for controlling outputs of the plurality of speakers to provide a first sound source through a first virtual speaker; And a sound controller for providing a second sound source through a second virtual speaker formed at another position.

이때, 음향 컨트롤러는, 제1 가상 스피커의 위치와 제2 가상 스피커의 위치는 제1 음원과 제2 음원의 인지우선순위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인지우선순위는 운전자의 인지 중요도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position of the first virtual speaker and the position of the second virtual speaker may be set according to the recognition priorities of the first sound source and the second sound source. Here, the priority of recognition may be set according to the perceived importance of the driver.

또한, 음향 컨트롤러는, 제1 음원과 제2 음원의 인지우선순위에 따라 제1 가상 스피커와 제2 가상 스피커가 형성될 레이어를 설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ound controller can set a layer in which the first virtual speaker and the second virtual speaker are formed according to the recognition priorities of the first sound source and the second sound source.

또한, 음향 컨트롤러는, 제1 음원과 제2 음원 중 인지우선순위가 높은 음원에 대응되는 가상 스피커를 운전자의 얼굴 높이에 대응되는 레이어에 설정할 수 있다.Further, the sound controller can set the virtual speaker corresponding to the sound source having the highest priority among the first sound source and the second sound source in the layer corresponding to the face height of the driver.

또한, 음향 컨트롤러는, 제1 음원의 인지우선순위보다 제2 음원의 인지우선순위가 높으면, 제2 가상 스피커를 제1 가상 스피커보다 높은 레이어로 설정할 수 있다. Further, if the recognition priority of the second sound source is higher than the recognition priority of the first sound source, the sound controller can set the second virtual speaker to a higher layer than the first virtual speaker.

또한, 음향 컨트롤러는, 제1 음원과 제2 음원의 인지우선순위에 따라 제1 가상 스피커와 제2 가상 스피커가 형성될 평면 좌표를 설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ound controller can set the plane coordinates at which the first virtual speaker and the second virtual speaker are formed according to the recognition priorities of the first sound source and the second sound source.

또한, 음향 컨트롤러는, 제1 음원과 제2 음원 중 인지우선순위가 높은 음원에 대응되는 가상 스피커의 평면 좌표를 운전자와 더 인접하게 설정할 수 있다. Further, the sound controller can set the plane coordinates of the virtual speaker corresponding to the sound source having the highest priority among the first sound source and the second sound source to be closer to the driver.

또한, 음원 컨트롤러는, 제1 음원의 인지우선순위와 제2 음원의 인지우선순위에 따라 제1 음원과 제2 음원의 주파수 특성을 결정할 수 있다.The sound source controller can determine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first sound source and the second sound source according to the recognition priority order of the first sound source and the recognition priority order of the second sound source.

또한, 음원 컨트롤러는, 제1 음원보다 인지우선순위가 높은 제2 음원의 주파수를 제1 음원의 주파수보다 높게 설정할 수 있다.The sound source controller can set the frequency of the second sound source having a higher recognition priority than the first sound source to be higher than the frequency of the first sound source.

또한, 스피커는, 차량의 천장에 배치된 상부 스피커;와 상부 스피커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된 하부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peaker may include an upper speaker disposed on a ceiling of the vehicle, and a lower speaker disposed lower than the upper speaker.

또한, 음원 컨트롤러는, 제1 음원과 제2 음원의 인지우선순위가 변경되면, 변경된 인지우선순위에 따라 제1 가상 스피커와 제2 가상 스피커의 위치를 재설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ound source controller can reset the positions of the first virtual speaker and the second virtual speaker according to the changed priorities when the recognition priorities of the first sound source and the second sound source are changed.

또한, 제1 음원과 제1 음원은 미디어를 제공하기 위한 미디어 음원, 통화를 제공하기 위한 통화 음원,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안내 음원, 및 위험 상황을 알리기 위한 경고 음원 중 하나이고, 제1 음원과 제2 음원은 서로 다른 음원일 수 있다. The first sound source and the first sound source are one of a media sound source for providing media, a talking sound source for providing a call, a guidance sound source for providing information, and a warning sound source for notifying a dangerous situation. The second sound source may be a different sound source.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은 서로 다른 높이에 마련된 복수 개의 스피커;와 제1 가상 스피커가 형성되도록 복수 개의 스피커를 제어하고, 제1 가상 스피커를 통해 제1 음원을 제공하는 음향 컨트롤러;를 포함하되, 음향 컨트롤러는 제2 음원이 입력되면, 제1 가상 스피커와 다른 위치에 제2 가상 스피커를 형성하여 제2 음원을 제공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ehicle comprising: a plurality of speakers provided at different heights; a plurality of speakers for controlling a plurality of speakers to form a first virtual speaker; And a controller, wherein when the second sound source is input, a second virtual speaker is formed at a position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virtual speaker to provide a second sound source.

또한, 음향 컨트롤러는, 제1 음원의 인지우선순위와 제2 음원의 인지우선순위를 비교하여 제2 가상 스피커가 형성될 레이어를 결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ound controller can determine the layer in which the second virtual speaker is to be formed by comparing the recognition priority of the first sound source with the recognition priority of the second sound source.

또한, 음향 컨트롤러는, 제2 음원의 인지우선순위가 제1 음원의 인지우선순위보다 높으며, 운전자의 얼굴 높이에 대응되는 레이어로 제2 가상 스피커의 레이어를 설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ound controller can set the layer of the second virtual speaker to a layer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face of the driver, wherein the recognition priority of the second sound source is higher than the recognition priority of the first sound source.

또한, 음향 컨트롤러는, 제1 가상 스피커의 레이어를 제2 가상 스피커의 레이어보다 낮게 설정할 수 있다. Further, the sound controller can set the layer of the first virtual speaker to be lower than the layer of the second virtual speaker.

또한, 음향 컨트롤러는, 제1 음원의 인지우선순위와 제2 음원의 인지우선순위를 비교하여, 제2 가상 스피커와 제2 가상 스피커의 평면 좌표를 결정할 수 있다.Further, the sound controller can determine the plane coordinates of the second virtual speaker and the second virtual speaker by comparing the recognition priority of the first sound source with the recognition priority of the second sound source.

또한, 음향 컨트롤러는, 제2 음원의 인지우선순위가 제1 음원의 인지우선순위보다 높으며, 제1 가상 스피커보다 제2 가상 스피커가 운전자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도록 제2 가상 스피커의 평면 좌표를 설정할 수 있다. Also, the sound controller sets the plane coordinates of the second virtual speaker so that the recognition priority of the second sound source is higher than the recognition priority of the first sound source, and the second virtual speaker is formed at a position closer to the driver than the first virtual speaker .

또한, 음원 컨트롤러는, 제1 음원과 제2 음원의 인지우선순위에 따라 제1 음원과 제2 음원의 주파수 특성을 결정할 수 있다. Also, the tone generator controller can determine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first tone generator and the second tone generator according to the recognition priorities of the first tone generator and the second tone generator.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의 제어방법은 복수 개의 스피커를 이용하여 형성된 제1 가상 스피커를 통해 미디어 음원을 제공하는 제1 제공 단계;와 이벤트 음원이 입력되면, 제1 가상 스피커를 통해 미디어 음원을 제공하고, 제1 가상 스피커와 다른 위치에 형성된 제2 가상 스피커를 통해 이벤트 음원을 제공하는 제2 제공 단계;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trolling a vehicle, the method comprising: providing a media sound source through a first virtual speaker formed using a plurality of speakers; And a second providing step of providing an event sound source through a second virtual speaker formed at a posi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virtual speaker.

여기서, 이벤트 음원은 통화를 제공하기 위한 통화음원,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안내음원, 및 위험 상황을 알리기 위한 경고음원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Here, the event sound source may be at least one of a voice source for providing a call, a guide sound source for providing information, and a warning sound source for notifying a dangerous situation.

또한, 제2 제공 단계는, 제2 가상 스피커는 운전자의 얼굴에 대응되는 레이어로 설정되고, 제1 가상 스피커는 제2 가상 스피커보다 하위 레이어로 설정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providing step may include setting the second virtual speaker to a layer corresponding to the face of the driver, and setting the first virtual speaker to a lower layer than the second virtual speaker.

또한, 제2 제공 단계는, 제1 가상 스피커보다 제2 가상 스피커가 운전자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도록 제1 가상 스피커와 제2 가상 스피커의 평면 위치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providing step may include setting a plane position of the first virtual speaker and the second virtual speaker such that the second virtual speaker is form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driver than the first virtual speaker.

또한, 제2 제공 단계는, 이벤트 음향의 인지 중요도가 증가함에 따라 제2 가상 스피커를 운전자와 인접한 위치로 재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providing step may include resetting the second virtual speaker to a position adjacent to the driver as the perceived importance of the event sound increases.

또한, 제2 제공 단계는, 이벤트 음향의 인지 중요도가 증가함에 따라 제1 가상 스피커를 운전자와 이격된 위치로 재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providing step may include resetting the first virtual speaker to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driver as the perceived importance of the event sound increases.

또한, 제2 제공 단계는, 이벤트 음원은 고음으로 출력하고, 미디어 음원은 저음으로 출력할 수 있다. In the second providing step, the event sound source may be output at a high tone, and the media sound source may be output at a low tone.

또한, 제2 제공 단계는, 이벤트 음원의 출력 주기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providing step may include adjusting an output period of the event sound source.

복수 개의 음원을 서로 다른 레이어에서 제공하는 차량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운전자의 음원 인식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perception of the sound source by the driver by providing the vehicle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in which a plurality of sound sources are provided in different layers.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주요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 블록도이다.
도 4는 네비게이션 장치에서 제공되는 안내음원의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메인 프로세서에서 제공되는 경고음원의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 마련된 스피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스피커 배치가 도시된 차량의 측면도이다.
도 7은 차량 내부에 형성되는 가상 레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차량 내부에 형성되는 가상 레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음향 제공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가상 스피커의 레이어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컨트롤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 따른 가상 스피커의 설정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3은 가상 스피커의 평면 위치 설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은 가상 스피커의 주파수 특성 설정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가상 스피커가 제1 가상 레이어에 위치하는 경우의 출력 채널 선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6은 파라미터 룩업 테이블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 컨트롤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음원 컨버터에 의한 출력대상음원의 전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 컨트롤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이퀄라이져에 의한 주파수 필터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은 가상 스피커의 위치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는 저음 영역이 제거된 미디어 음원 제공시의 스피커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은 저음 영역이 제거된 미디어 음원 제공시의 음향신호 출력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는 복수 개의 이벤트 음향이 입력되는 경우, 가상 스피커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5과 26는 가상 레이어의 동적 할당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7은 차량의 음향 제공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8 및 도 29는 도 27의 음향 제공 방법에 따른 가상 스피커의 위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interior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is a control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main configuration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guide sound source provided in the navigation apparatus.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warning sound source provided in the main processor.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speaker provided in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7 is a side view of the vehicle in which the speaker arrangement of the vehic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s shown.
7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virtual layer formed inside the vehicle.
8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virtual layer formed inside the vehicle.
9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showing a method of providing sound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1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layer change of a virtual speaker. FIG.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ound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setting a virtual sp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1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setting of the plane position of the virtual speaker.
14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setting of the virtual speaker.
FIG. 1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utput channel selection when the virtual speaker is located in the first virtual layer.
16 is a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parameter look-up table.
17 is a view showing a sound controll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1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switching of the sound source to be output by the sound source converter.
19 is a view showing a sound controll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2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frequency filtering by an equalizer.
21 is a diagram showing a change in position of a virtual speaker.
22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speaker when providing a media sound source in which the low-frequency region is removed.
23 is a diagram showing audio signal output when providing a media sound source in which the bass region is removed.
2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position of a virtual speaker when a plurality of event sounds are input.
25 and 26 are diagrams for explaining dynamic allocation of a virtual layer.
Fig. 27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method for providing sound of a vehicle. Fig.
FIGS. 28 and 29 are views for explaining a change in position of a virtual speaker according to the sound providing method of FIG.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ow to accomplish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차량의 전반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Prior to a specific description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vehicle will be described.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FIG.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side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을 참조하면, 차량(1)은 차량(1)의 외관을 형성하는 차체, 차량(1)을 이동시키는 차륜(12, 13)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 vehicle 1 includes a body forming an appearance of the vehicle 1, wheels 12 and 13 for moving the vehicle 1, and the like.

차체는 엔진 등과 같이 차량(1)에 구동에 필요한 각종 장치를 보호하는 후드(11a), 실내 공간을 형성하는 루프 패널(11b), 수납 공간이 마련된 트렁크 리드(11c), 차량(1)의 측면에 마련된 프런트 휀더(11d)와 쿼터 패널(11e)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체(11)의 측면에는 차체와 흰지 결합된 복수 개의 도어(15)가 마련될 수 있다. The vehicle body includes a hood 11a for protecting various devices necessary for driving the vehicle 1 such as an engine, a roof panel 11b for forming an indoor space, a trunk lid 11c provided with a storage space, A front fender 11d and a quarter panel 11e. A plurality of doors 15 joined to the vehicle body by a white paper may be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vehicle body 11. [

후드(11a)와 루프 패널(11b) 사이에는 차량(1) 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프런트 윈도우(19a)가 마련되고, 루프 패널(11b)과 트렁크 리드(11c) 사이에는 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리어 윈도우(19b)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어(15)의 상측에는 측면의 시야를 제공하는 측면 윈도우(19c)가 마련될 수 있다. A front window 19a is provided between the hood 11a and the roof panel 11b to provide a view of the front of the vehicle 1 and a rear window is provided between the roof panel 11b and the trunk lid 11c A rear window 19b may be provided. Further, on the upper side of the door 15, a side window 19c for providing a side view can be provided.

또한, 차량(1)의 전방에는 차량(1)의 진행 방향으로 조명을 조사하는 헤드램프(15, Headlamp)가 마련될 수 있다. A headlamp 15 for illuminating the vehicle 1 i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1 may be provided in front of the vehicle 1. [

또한, 차량(1)의 전방, 후방에는 차량(1)의 진행 방향을 지시하기 위한 방향지시램프(16, Turn Signal Lamp)가 마련될 수 있다. A turn signal lamp 16 for indicating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1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and rear of the vehicle 1. [

차량(1)은 방향지시램프(16)의 점멸하여 그 진행방향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차량(1)의 후방에는 테일램프(17)가 마련될 수 있다. 테일램프(17)는 차량(1)의 후방에 마련되어 차량(1)의 기어 변속 상태, 브레이크 동작 상태 등을 표시할 수 있다. The vehicle 1 can flicker the direction indicator lamp 16 and display it in the traveling direction thereof. Further, a tail lamp 17 may be provided at the rear of the vehicle 1. [ The tail lamp 17 is provided behind the vehicle 1 and can display the gear shift state of the vehicle 1, the brake operation state, and the like.

도 2를 참조하면, 차량(1) 내부에는 차량(1) 내부에는 운전석(DS)과 조수석(PS)이 마련될 수 있으며, 차량(1)의 방향을 조작하는 스티어링 휠(30), 차량(1)의 동작을 제어하고 차량(1)의 운행 정보를 표시하는 각종 계기가 마련되는 대시 보드(40)가 마련된다. 2, a driver's seat DS and a passenger's seat PS may be provided inside the vehicle 1 and may include a steering wheel 30 for operating the direction of the vehicle 1, 1 is provided with various instrument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1 and displaying the runn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1. The dashboard 40 shown in Fig.

대시 보드(40)의 중앙에는 디스플레이부(41)(41)가 마련되어, 차량(1)과 관련된 정보, 차량(1)에 제어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41)는 액정 디스플레이 (Liquid Crystal Display: LCD) 패널,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패널, 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패널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Display units 41 and 41 are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dashboard 40 to provide information related to the vehicle 1 and an interface for inputting control commands to the vehicle 1. [ The display unit 41 may be implemented a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panel, a light emitting diode (LED) panel, or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panel. It is not.

또한, 대시 보드(40)에는 공기 조화기를 비롯한 차량(1)에 구비된 다양한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조작 장치가 설치된 센터페시아(42), 차량(1)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송풍구(43)가 마련될 수 있다.The dashboard 40 is provided with a center fascia 42 provided with an operating device for controlling various devices provided in the vehicle 1 including the air conditioner, a blowing port 43 for blowing air into the inside of the vehicle 1, May be provided.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주요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 블록도이고, 도 4는 네비게이션 장치에서 제공되는 안내음원의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메인 프로세서에서 제공되는 경고 음원의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3 is a control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main configuration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guide sound source provided in a navigation device, Fig.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은 스피커(100), 음향 컨트롤러(300), 미디어 장치(210), 네비게이션 장치(220), 통신 장치(230), 저장 장치(260), 근접 센서(240), 및 메인 프로세서(250)를 포함할 수 있다. 3, a vehicl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speaker 100, a sound controller 300, a media device 210, a navigation device 220, a communication device 230, a storage device 260, A proximity sensor 240, and a main processor 250.

이때, 음향 컨트롤러(300), 미디어 장치(210), 네비게이션 장치(220), 통신 장치(230), 저장 장치(260), 근접 센서(240), 및 메인 프로세서(250)는 데이터 버스(270)를 통해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ound controller 300, the media device 210, the navigation device 220, the communication device 230, the storage device 260, the proximity sensor 240, and the main processor 250 are connected to the data bus 270, Lt; / RTI >

음향 컨트롤러(300)는 출력대상음원을 입력 받고, 출력대상음원에 대응되는 음향신호를 스피커(100)에 생성하고, 생성된 음향신호를 스피커(100)에 인가하여 출력대상음원을 제공한다. The sound controller 300 receives the sound source to be output, generates an acoustic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ound source to be output to the speaker 100, and provides the sound source to the speaker 100 by applying the generated sound signal to the speaker 100.

출력대상음원은 음향 컨트롤러(300)를 통해 차량 내부(1)로 제공될 음원을 의미하는 것으로, 예컨대, 라이오, 음악 등과 같은 미디어를 제공하기 위한 미디어 음원, 통화를 제공하기 위한 통화 음원,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안내 음원, 또는 위험 상황을 알리기 위한 경고 음원 등이 출력대상음원이 될 수 있다. 음향 컨트롤러(300)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The output target sound source refers to a sound source to be provided to the inside of the vehicle 1 through the sound controller 300. For example, a media source for providing media such as a lyo, music, etc., A guide sound source for providing information, or a warning sound source for notifying a dangerous situation may be output destination sound sources. The sound controller 3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미디어 장치(210)는 미디어 음원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미디어 장치(210)는 라디오, 콤팩트디스크, MP3 등과 같은 음성 미디어에서 미디어 음원을 추출할 수 있다. The media device 210 provides a media sound source. For example, the media device 210 may extract media sources from audio media such as radio, compact disc, MP3, and the like.

또한, 미디어 장치(210)는 영화,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등과 같은 영상 미디어에서 미디어 음원을 추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edia device 210 may extract media sources from video media such as movies and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이와 같이 미디어 장치(210)에서 출력된 미디어 음원은 데이터 버스(270)를 통해 음향 컨트롤러(300)에 전달된다. The media sound source output from the media device 210 is transmitted to the sound controller 300 through the data bus 270.

네비게이션 장치(220)는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안내한다. 네비게이션 장치(220)는 현재 차량(1)의 위치를 검출하고, 현재 차량(1)의 위치와 설정된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탐색할 수 있다. 목적지까지의 경로 탐색에는 최적 경로 탐색 알고리즘이 이용될 수 있다. The navigation device 220 guides the route to the destination. The navigation device 220 can detect the current position of the vehicle 1 and search for the current position of the vehicle 1 and the route to the set destination. An optimal path search algorithm may be used for the path search to the destination.

또한, 네비게이션 장치(220)는 디스플레이부(41)(41)를 통해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제공할 수 있으며, 목적지까지의 경로에 대한 음성 안내를 통해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navigation device 220 can provide a route to a destination via the display units 41 and 41, and can provide a route to a destination through voice guidance on the route to the destination.

음성 안내를 위해 네비게이션 장치(220)는 안내 음원을 생성하고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네비게이션 장치(220)에서 출력된 안내 음원은 데이터 버스(270)를 통해 음향 컨트롤러(300)에 전달된다. For voice guidance, the navigation device 220 can generate and output a guide sound source. The guidance sound source output from the navigation device 220 is transmitted to the sound controller 300 through the data bus 270. [

예를 들어, 도 4a와 같이 차량(1)의 주행 방향을 변경이 필요한 경우, 네비게이션 장치(220)는 "100M 앞에서 좌회전 입니다." 등과 같은 안내 음원을 생성하여 운전자에게 음성 안내를 제공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running direction of the vehicle 1 as shown in FIG. 4A, the navigation device 220 is "left in front of 100M." Or the like, to provide a voice guidance to the driver.

또한, 도 4b와 같이 전방에 과속 카메라가 있는 경우, 네비게이션 장치(220)는 "안전 속도를 준수하십시오." 등과 같은 안내 음원을 생성하여 운전자에게 음성 안내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f there is a speed camera at the front as shown in FIG. 4B, the navigation device 220 may display a message "Observe the safety speed." Or the like, to provide a voice guidance to the driver.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통신 장치(230)는 외부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 장치는 유/무선 통신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외부장치와 연결되어, 외부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외부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Referring again to FIG. 3, the communication device 230 can transmit and receive data with an external device. The communication device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through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and may transmit data to or receive data from the external device.

예를 들어, 통신 장치(230)는 외부에 마련된 텔레매틱스(Telematics) 서버로부터 안내 음원 또는 경고 음원을 수신하고, 데이터 버스(270)를 통해 수신된 안내 음원 또는 경고 음원을 음향 컨트롤러(300)로 전달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device 230 receives a guidance sound source or a warning sound source from an external telematics server, and transmits a guidance sound source or a warning sound source received via the data bus 270 to the sound controller 300 .

또한, 통신 장치(230)는 운전자의 휴대단말과 연결되어, 휴대단말로부터 통화 음원을 수신하거나, 차량(1)내부에 마련된 마이크 통해 수집된 음성을 송신하는 핸즈프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Also, the communication device 230 may be connected to the driver's portable terminal, and may perform a hands-free function of receiving a voice source from the portable terminal or transmitting voice collected through a microphone provided in the vehicle 1. [

이를 위해, 휴대단말과 통신 장치(230)는 블루투스(Bluetooth) 통신프로토콜에 의해 연결될 수 있으나, 휴대단말과 연결방법이 이에 한정되는 되는 것이 아니다. For this,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communication device 230 may be connected by a Bluetooth communication protocol, but the connection method with the portable terminal is not limited thereto.

근접 센서(240)는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복수 개 마련된다. 근접 센서(240)는 적외선 또는 초음파 등을 이용하여 주변물체와 거리를 검출할 수 있으나, 근접 센서(240)의 거리 검출 방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주변물체는 장애물, 보행자, 주변차량 등이 될 수 있다.A plurality of proximity sensors 240 are provided as shown in FIG. The proximity sensor 240 can detect the distance to nearby objects by using infrared rays or ultrasonic waves, but the proximity sensor 240 is not limited thereto. Here, the surrounding objects may be obstacles, pedestrians, surrounding vehicles, and the like.

메인 프로세서(250)는 차량(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메인 프로세서(250)는 차량(1) 내부에 마련된 다른 장치 또는 컨트롤러를 제어할 수 있다. 메인 프로세서(250)는 다수개의 논리 게이트들의 어레이로 구현될 수 있으며, 메인 프로세서(250)에서 실행될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The main processor 25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vehicle 1. [ Specifically, the main processor 250 can control other devices or controllers provided inside the vehicle 1. [ The main processor 250 may be implemented as an array of a plurality of logic gates and may include a memory in which a program to be executed in the main processor 250 is stored.

또한, 메인 프로세서(250)는 음성 안내를 통해 운전자에게 위험 상황을 인지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인 프로세서(250)는 위험 상황을 알리기 위한 경고 음원을 생성하고, 생성된 경고 음원을 데이터 버스(270)를 통해 음향 컨트롤러(300)에 전달할 수 있다. Also, the main processor 250 can recognize the dangerous situation to the driver through voice guidance. Specifically, the main processor 250 may generate a warning sound source for notifying a dangerous situation, and may transmit the generated warning sound source to the sound controller 300 through the data bus 270.

예를 들어, 메인 프로세서(250)는 근접 센서(240)에서 검출된 주변물체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경고 음원을 생성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main processor 250 may generate a warning sound source based on the information about the surrounding objects detected by the proximity sensor 240. For example,

도 5a와 같이 차량(1)이 후진할 때, 차량(1) 후방에 감지된 장애물(W)과 차량(1)의 거리를 알리기 위하여 경고 음원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인 프로세서(250)는 근접 센서(240)의 센싱 값에 기초하여 장애물의 위치 및 장애물(W)과 차량(1)과의 거리를 분석하고, 이에 대응되는 경고 음원을 생성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5A, when the vehicle 1 is reversed, a warning sound source may be generated to notify the distance between the obstacle W detected at the rear of the vehicle 1 and the vehicle 1. Specifically, the main processor 250 can analyze the position of the obstacle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obstacle W and the vehicle 1 based on the sensing value of the proximity sensor 240, and generate a corresponding warning sound source .

또한, 도 5b와 같이 차량(1)의 주행 중 주변의 주행차량(V)과의 거리를 알리기 위한 경고 음원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인 프로세서(250)는 근접 센서(240)의 센싱 값에 기초하여 주변차량(V)의 존재여부, 주변차량(V)과의 거리를 분석하고, 이에 대응되는 경고 음원을 생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5B, it is possible to generate a warning sound source for notifying the distance to the traveling vehicle V around the vehicle 1 while driving. Specifically, the main processor 250 analyzes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nearby vehicle V and the distance to the nearby vehicle V based on the sensing value of the proximity sensor 240, and generates a warning sound source corresponding thereto have.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차량(1)은 저장 장치(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장 장치(260)는 차량(1)의 주행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으로,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에스램(SRAM), 디램(DRAM), 롬(ROM) 등으로 구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 되는 것은 아니다. Referring again to FIG. 3, the vehicle 1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device 260. The storage device 260 stores various data necessary for driving the vehicle 1 and may be a 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a magnetic disk, an SRAM, a DRAM, a ROM, ROM, or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한편, 도 3에서는 메인 프로세서(250)와 저장 장치(260)가 별도로 구성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메인 프로세서(250)와 저장 장치(260)는 하나의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3, the main processor 250 and the storage 260 are separately configured. However, the main processor 250 and the storage 260 may be implemented as a single module.

아울러, 미디어 장치(210), 네비게이션 장치(220), 통신 장치(230)도 하나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In addi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media device 210, the navigation device 220, and the communication device 230 may be implemented as a single device.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컨트롤러(300)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앞서, 차량(1)에 마련되는 스피커(10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Before describing the sound controller 3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peaker 100 provided in the vehicle 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6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 마련된 스피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 마련된 스피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6c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 마련된 스피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Fig. 6A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peaker provided in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6B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peaker provided in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6C is a cross- 1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peaker provided.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내부에는 복수 개의 스피커(100)가 마련될 수 있다. 음향 컨트롤러(300)는 차량 내부에 마련된 복수 개의 스피커를 제어하여, 운전자 또는 차량에 탑승한 승객에게 입체적이고, 사실적인 음향을 제공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2 and 6, a plurality of speakers 100 may be provided inside the vehicle. The sound controller 300 controls a plurality of loudspeakers provided inside the vehicle to provide stereoscopic and realistic sound to the driver or the passenger on the vehicle.

구체적으로, 복수 개의 스피커(100)는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후좌우로 분산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상하로 분산되어 마련될 수 있다.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6, the plurality of speakers 100 may be dispersed i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may be dispersed vertically.

구체적으로, 스피커(100)는 상부 스피커(110)와 하부 스피커(120)로 구분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speaker 100 may be divided into an upper speaker 110 and a lower speaker 120.

상부 스피커(110)는 실내의 상측에 마련된 스피커(100)로, 운전적과 인접한 헤드라이닝(Head Lining)에 배치될 수 있으나, 상부 스피커(110)의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upper loudspeaker 110 may be disposed at a head lining adjacent to the driving loudspeaker, but the position of the upper loudspeaker 110 is not limited thereto. .

예컨대, 상부 스피커(110)는 헤드라이닝이 아닌 A 필러, B 필러, 또는 C 필러의 상측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 6와 도 7에서는 상부 스피커(110)가 하나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차량(1)에는 복수 개의 상부 스피커(110)가 마련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upper speaker 110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A pillar, the B pillar, or the C pillar instead of the head lining. 6 and 7, one upper speaker 110 is shown, but the vehicle 1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upper speakers 110. FIG.

하부 스피커(120)는 실내의 하측에 마련된 스피커(100)로, 하부 스피커(120)는 좌측 전방에 마련된 제1 하부 스피커(121), 우측 전방에 마련된 제2 하부 스피커(122), 좌측 후방에 마련된 제3 하부 스피커(123) 및 우측 후방에 마련된 제4 하부 스피커(124)로 구성될 수 있다. The lower speaker 120 is a speaker 100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room. The lower speaker 120 includes a first lower speaker 121 provided on the left front side, a second lower speaker 122 provided on the right front side, A third lower speaker 123 provided on the right side and a fourth lower speaker 124 provided on the right side.

이때, 하부 스피커(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내부에 실정되어 마련될 수 있으나, 하부 스피커(120)의 위치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 6에는 하부 스피커(120)각 도어에 4개 마련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하부 스피커(120)의 개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부 스피커(120)는 보조 스피커(121a, 121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 스피커(121a, 121b)는 더 실감나는 입체 음향을 제공하기 위하여 하부 스피커(120)와 상부 스피커(110)의 중간 정도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lower speaker 120 may be provided in the door as shown in FIG. 2, but the position of the lower speaker 120 is not limited thereto. 6, the number of the lower loudspeakers 120 is not limited to four, but the lower loudspeakers 120 may include the auxiliary loudspeakers 121a and 121b, As shown in FIG. The auxiliary speakers 121a and 121b may be disposed at a middle height between the lower speaker 120 and the upper speaker 110 to provide a more realistic stereo sound.

예를 들어, 보조 스피커(121a, 121b)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시보드(40)의 상측에 마련될 수 있으나, 보조 스피커(121a, 121b)의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보조 스피커(121a, 121b)는 각 도어의 손잡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거나, 운전석 내부에 실장되어 마련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auxiliary speakers 121a and 121b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dashboard 40 as shown in FIG. 2, but the positions of the auxiliary speakers 121a and 121b are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auxiliary speakers 121a and 121b may be provid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handle of each door, or may be mounted inside the driver's seat.

또한, 보조 스피커(121a, 121b)는 운전자에게 더욱 생생한 음향을 제공하기 위하여, 고음을 표현할 수 있는 트위터 스피커(100)로 구현될 수 있다. Also, the auxiliary speakers 121a and 121b may be implemented as a tweeter speaker 100 capable of expressing treble sound in order to provide a more vivid sound to the driver.

또한, 보조 스피커(121a, 121b)는 하부 스피커(120)와 별도의 채널을 통해 음향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보조 스피커(121a, 121b)는 제1, 2하부 스피커(121, 122)와 동일한 채널을 통해 음향신호를 수신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The auxiliary speakers 121a and 121b may receive sound signals through a separate channel from the lower speaker 120. Hereinafter, the auxiliary speakers 121a and 121b include first and second lower speakers 121 and 122, And receives the sound signal through the same channel.

도 6은 차량에 마련되는 다양한 스피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차량의 스피커(100) 배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차량의 후방에는 서라운드 스피커가 배치될 수 있다.6 shows one embodiment of various loudspeakers provided in the vehicle, and the arrangement of the speaker 100 of the vehicle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a surround speaker may be disposed at the rear of the vehicle.

한편, 음향 컨트롤러(300)는 차량에 마련되는 복수 개의 스피커(100)를 이용하여 차량(1) 내부에 가상 스피커를 형성하고, 가상 스피커를 통해 출력대상음원이 제공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ound controller 300 may form a virtual speaker in the vehicle 1 using a plurality of speakers 100 provided in the vehicle, and may be provided through the virtual speaker.

가상 스피커는 실제 스피커(100)와 달리, 음향 컨트롤러(300)에 의하여 차량(1) 내부의 특정 위치에 가상적으로 형성되는 스피커를 의미하는 것으로, 운전자는 가상 스피커(VS)에서 출력대상음원이 제공되는 것으로 느낀다. 가상 스피커는 머리전달함수(HRTF, Head-Related Transfer Function)등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가상 스피커의 형성 방법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The virtual speaker means a speaker virtually formed at a specific position inside the vehicle 1 by the sound controller 300 unlike the actual speaker 100. The driver can recognize that the virtual speaker . The virtual speaker may be formed using a head-related transfer function (HRTF) or the like. The method of forming the virtual speaker is obvious to a person skilled in the art,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음향 컨트롤러(300)는 차량(1) 내부에 제공할 출력대상음원에 따라 가상 스피커(VS)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가상 스피커의 위치는 차량(1)의 전후 방향(도 6의 X축), 차량의 좌우 방향(도 6의 Y축), 및 차량의 상하 방향(Z; 높이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하, 전후좌우(도 6a의 x-y 평면) 방향의 위치를 평면 좌표, 상하 방향을 차량의 높이 또는 레이어라고 정의한다, 즉, 서로 다른 레이어는 서로 다른 높이를 의미하는 하는 것이다.The sound controller 300 can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virtual speaker VS according to the sound source to be output to be provided inside the vehicle 1. [ The position of the virtual speaker can be defin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X axis in Fig. 6) of the vehicle 1,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vehicle (Y axis in Fig. 6), an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vehicle (Z direction). Hereinafter, the posi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x-y plane in FIG. 6A) is referred to as the plane coordinate, and the vertical direction is defined as the height or the layer of the vehicle, that is, the different layers mean different heights.

음향 컨트롤러(300)는 출력할 출력대상음원에 따라 가상 스피커(VS)의 위치를 동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즉, 출력대상음원에 따라 가상 스피커(VS)의 위치는 도 6a 및 6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차량의 전후 방향(X)으로 이동하거나, 도 6a 및 도 6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차량의 좌우 방향(Y)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가상 스피커(VS)는 출력대상음원에 따라 도 6b 및 도 6c에 도시된 것과 같이 그 레이어가 변경될 수 있다.The sound controller 300 can change the position of the virtual speaker VS dynamically according to the sound source to be output. That is, the position of the virtual speaker VS according to the sound source to be output moves in the front-rear direction X of the vehicle as shown in Figs. 6A and 6B, or in the left-right direction Y). In addition, the virtual speaker VS can be changed in its layer as shown in FIGS. 6B and 6C according to the sound source to be output.

상술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에는 상부 스피커(110)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음향 컨트롤러(300)는 상부 스피커(110)를 이용하여 차량(1)의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가상 레이어로 내부 공간을 구획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vehicle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provided with the upper speaker 110, so that the acoustic controller 300 can generate a plurality of virtual You can divide the internal space into layers.

예를 들어, 차량 내부 공간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3개의 가상 레이어(VL1, VL2, VL3)로 구획될 수 있다. 이때, 제1 가상 레이어(VL1)는 운전자의 얼굴 높이에 대응되도록 설정되고, 제1 가상 레이어(VL1) 아래에 제2 가상 레이어(VL2)와 제3 가상 레이어(VL3)가 순서대로 설정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interior space of the vehicle can be divided into three virtual layers (VL1, VL2, VL3) as shown in Figs. At this time, the first virtual layer VL1 is set to correspond to the height of the driver's face, and the second virtual layer VL2 and the third virtual layer VL3 are sequentially set below the first virtual layer VL1 have.

다만, 도 7 및 도 8과 달리 차량(1)의 내부 공간은 더 많은 가상 레이어로 구획되거나, 더 적은 수의 가상 레이어로 구획될 수 있으나,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차량(1) 내부는 3개의 가상 레이어(VL1, VL2, VL3)로 구획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7 and 8, the internal space of the vehicle 1 may be divided into a larger number of virtual layers or may be divided into a smaller number of virtual layers, (VL1, VL2, VL3).

음향 컨트롤러(300)는 가상 레이어(VL) 별로 서로 다른 출력대상음원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상 레이어(VL) 별로 서로 다른 출력대상음원을 제공함으로써, 운전자의 출력대상음원의 인지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하, 복수 개의 출력대상음원의 제공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The sound controller 300 may provide different output target sound sources for each virtual layer VL. By providing different output target sound sources for each virtual layer VL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awareness of the driver's output target sound source. Hereinafter, the provision of a plurality of output target sound source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음향 제공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10은 가상 스피커의 레이어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9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ound providing method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10 is a view for explaining a layer change of a virtual speaker.

도 9를 참조하면, 차량(1)은 제1 가상 스피커(VS)를 통해 제1 출력대상음원을 제공한다(601). 이때, 제1 가상 스피커(VS)의 형성 위치는 제1 출력대상음원의 특징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 the vehicle 1 provides a first output target sound source through a first virtual speaker VS (601). At this time, the formation position of the first virtual speaker VS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rst output target sound source.

예를 들어, 제1 출력대상음원이 미디어 음원인 경우, 차량(1) 내부에 풍부한 음향이 제공되도록, 도 10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 가상 레이어(VL)에 제1 가상 스피커(VS1)가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제1 출력대상음원이 통화 음원이면 제1 가상 스피커(VS1)는 운전자의 얼굴에 대응되는 제1 가상 레이어(VL1)에 형성되어 사실적인 통화 음원을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first output target sound source is a media sound source, a first virtual speaker VS1 is provided in the second virtual layer VL as shown in FIG. 10A so that a rich sound is provided inside the vehicle 1 Can be set. On the other hand, if the first output target sound source is a voice source, the first virtual speaker VS1 may be formed in the first virtual layer VL1 corresponding to the face of the driver, thereby providing a realistic voice source.

차량(1)은 제2 출력대상음원의 입력을 모니터링한다(603). 음향 컨트롤러(300)는 제1 출력대상음원과 다른 제2 출력대상음원의 입력을 판단한다. 즉, 음향 컨트롤러(300)는 동시에 복수 개의 출력대상음원이 입력되는지 판단한다. The vehicle 1 monitors the input of the second output destination sound source (603). The sound controller 300 determines the input of the second output target sound source different from the first output target sound source. That is, the sound controller 300 determines whether a plurality of output target sound sources are input at the same time.

차량(1)은 제2 출력대상음원이 입력되면(603의 예), 제1 출력대상음원과 제2 출력대상음원의 인지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제1 가상 스피커(VS1)와 제2 가상 스피커(VS2)를 설정한다(605). When the second output target sound source is input (YES in step 603), the vehicle 1 generates the first virtual speaker VS1 and the second virtual speaker 62 based on the recognition priorities of the first output target sound source and the second output target sound source VS2 are set (605).

인지우선순위는 운전자의 인지 중요도를 기준으로 결정될 수 있다. 즉, 운전자의 즉각적인 인지가 필요한 출력대상음원일수록 높은 인지우선순위를 가지고, 운전자의 즉각적인 인지가 불필요한 출력대상음원일수록 낮은 인지우선순위를 가진다. The priority of the recognition can be determined based on the driver's cognitive importance. That is, a higher priority is given to an output target sound source requiring immediate recognition by the driver, and a lower priority is given to an output target sound source where the driver does not need immediate recognition.

이때, 인지우선순위는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인지우선순위는 인지 중요도에 따라 경고 음원, 통화 음원, 안내 음원, 미디어 음원 순서로 설정될 수 있으나, 인지우선순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t this time, the recognition priority can be set in advance. For example, the priority of recognition may be set in the order of a warning sound source, a voice source, a guide sound source, and a media sound source in accordance with the importance degree, but the recognition priority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인지우선순위는 동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 예컨대, 경고 음원이라도 그 위험도가 아주 낮은 경우, 미디어 음원보다 낮은 순위로 설정될 수 있다. Also, the perceived priority can change dynamically. For example, if the warning sound source is very low in risk, it may be set to a lower rank than the media sound source.

음향 컨트롤러(300)는 제1 출력대상음원의 인지우선순위와 제2 출력대상음원의 인지우선순위를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에 따라 제1 가상 스피커(VS1)와 제2 가상 스피커(VS1)를 설정할 수 있다.The sound controller 300 compares the recognition priority of the first output target sound source with the recognition priority of the second output target sound source and outputs the first virtual speaker VS1 and the second virtual speaker VS1 in accordance with the comparison result Can be set.

구체적으로, 음향 컨트롤러(300)는 인지우선순위에 따라 제1 가상 스피커(VS1)의 위치와 제2 가상 스피커(VS2)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제1 출력대상음원과 제2 출력대상음원 중 인지우선순위가 높은 출력대상음원을 제공하는 가상 스피커(VS)는 제1 가상 레이어(VL1)에 설정되고, 인지우선순위가 낮은 출력대상음원에 대응되는 가상 스피커(VL)는 제2 가상 레이어(VL2) 또는 제3 가상 레이어(VL3)에 설정된다.Specifically, the sound controller 300 can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first virtual speaker VS1 and the position of the second virtual speaker VS2 according to the recognition priority. A virtual speaker VS providing an output target sound source having a high priority among the first output target sound source and the second output target sound source is set in the first virtual layer VL1 and corresponds to an output target sound source having a low recognition priority The virtual speaker VL is set to the second virtual layer VL2 or the third virtual layer VL3.

예를 들어, 도 10a와 같이 제1 가상 스피커(VS1)를 통해 미디어 음원이 출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미디어 음원보다 인지우선순위가 높은 경고 음원이 입력되면, 도 10b와 같이 경고 음원이 제공되는 제2 가상 스피커(VS2)가 제1 가상 레이어(VL1)에 설정되고, 미디어 음원이 제공되는 제1 가상 스피커(VS1)가 제3 가상 레이어(VL3)로 재설정된다.For example, when a warning sound source having a higher recognition priority than a media sound source is input while a media sound source is being outputted through the first virtual speaker VS1 as shown in FIG. 10A, 2 virtual speaker VS2 is set in the first virtual layer VL1 and the first virtual speaker VS1 provided with the media sound source is reset to the third virtual layer VL3.

즉, 인지우선순위가 높은 경고 음원이 운전자의 머리 높이에 대응되는 제1 가상 레이어(VL)에서 출력된다. 이와 같이, 인지우선순위에 따라 가상 스피커의 위치를 결정함으로써, 운전자의 출력대상음원의 인지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That is, a warning sound source with a high recognition priority is output from the first virtual layer VL corresponding to the head height of the driver. Thus, by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virtual speaker in accordance with the priority of recogni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awareness of the driver's output destination sound source.

또한, 음향 컨트롤러(300)는 인지우선순위에 따라 제1 가상 스피커의 평면위치와 제2 가상 스피커의 주파수 특성을 결정할 수 있다. 사람의 가청 주파수 범위에서는 고주파 음향의 인식도가 저주파 음향의 인식도보다 높다. 즉, 사람은 저음보다 고음을 더 잘 인식한다.Also, the sound controller 300 may determine the plane position of the first virtual speaker and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second virtual speaker according to the recognition priority. In human audible frequency range, the recognition of high-frequency sound is higher than that of low-frequency sound. In other words, a person is more aware of treble than bass.

그러므로, 음향 컨트롤러(300)는 우선순위가 높은 출력대상음원이 고음으로 제공되도록 가상 스피커의 주파수 특성을 설정하고, 우선순위가 낮은 출력대상음원이 저음으로 제공되도록 가상 스피커의 주파수 특성을 설정할 수 있다.  Therefore, the sound controller 300 can set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virtual speaker so that the higher-priority output target sound source is provided at a treble, and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virtual speaker can be set so that the lower- .

예컨대, 도 10b의 경우 제1 가상 스피커(VS1)는 고음을 제공하도록 높은 주파수로 설정되고, 제2 가상 스피커(VS2)는 저음을 제공하도록 낮은 저주파로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인지우선순위에 따라 출력대상음원의 제공 주파수를 변경함으로써, 인지우선순위가 높은 출력대상음원의 인지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For example, in the case of FIG. 10B, the first virtual speaker VS1 may be set to a high frequency to provide treble, and the second virtual speaker VS2 may be set to a low low frequency to provide low tone. Thus, by changing the providing frequency of the sound source to be output according to the priority of recogni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awareness of the sound source of the output destination with a high recognition priority.

차량(1)은 재설정된 제1 가상 스피커(VS1)를 통해 제1 출력대상음원을 제공하고(607), 제2 가상 스피커(VS2)를 통해 제2 출력대상음원을 제공한다(609). 즉, 차량(1)은 서로 다른 높이로 제1 출력대상음원과 제2 출력대상음원을 제공할 수 있다. The vehicle 1 provides a first output target sound source 607 via the reset first virtual speaker VS1 and provides a second output target sound source through the second virtual speaker VS2 (609). That is, the vehicle 1 may provide the first output target sound source and the second output target sound source at different heights.

이와 같이 인지우선순위에 따라 가상 스피커의 위치를 결정하고, 출력대상음원의 출력 주파수를 조절함으로써, 운전자의 출력대상음원의 인지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osition of the virtual speaker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recognition priority, and the output frequency of the sound source to be output is adjusted, thereby increasing the recognition of the sound source of the driver.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음향 컨트롤러(300)의 동작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sound controller 3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1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컨트롤러를 도시한 도면이다.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ound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1를 참조하면, 음향 컨트롤러(300)는 출력대상음원에 따라 가상 스피커를 설정하는 음원 핸들러(310), 설정된 가상 스피커에 대응되는 제어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파라미터 산출기(320), 출력대상음원에 제어 파라미터를 적용하여 각 채널로 인가될 음향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처리기(3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채널이란 스피커에 음향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통신로를 의미한다.Referring to FIG. 11, the sound controller 300 includes a sound source handler 310 for setting a virtual speaker according to a sound source to be output, a parameter calculator 320 for determining a control parameter corresponding to the set virtual speaker, And a signal processor 330 for applying a control parameter to generate an acoustic signal to be applied to each channel. Here, the channel means a communication channel for transmitting an acoustic signal to a speaker.

음원 핸들러(310)는 출력대상음원의 유형에 따라 출력대상음원이 제공될 가상 스피커를 설정한다. 구체적으로, 음원 핸들러(310)는 가상 스피커가 형성될 위치, 또는 가상 스피커의 주파수 특성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할 수 있다.The sound source handler 310 sets a virtual speaker to which the sound source to be output is to be provid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sound source to be output. Specifically, the sound source handler 310 may set at least one of a position where the virtual speaker is to be formed, or a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virtual speaker.

하나의 출력대상음원이 입력되는 경우, 음원 핸들러(310)는 하나의 출력대상음원이 운전자에게 가장 잘 전달되도록 가상 스피커의 설정할 수 있다. 반면, 복수 개의 출력대상음원이 동시에 입력되는 경우, 음원 핸들러(310)는 복수 개의 출력대상음원이 효율적으로 제공되도록 복수 개의 가상 스피커를 설정할 수 있다. 이하, 가상 스피커의 설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When one output target sound source is input, the sound source handler 310 can set a virtual speaker so that one sound source to be output is best transmitted to the driver. On the other hand, when a plurality of output target sound sources are simultaneously input, the sound source handler 310 can set a plurality of virtual speakers so that a plurality of output target sound sources are efficiently provided. Hereinafter, the setting of the virtual speak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2는 일 실시예 따른 가상 스피커의 설정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13은 가상 스피커의 평면 위치 설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4는 가상 스피커의 주파수 특성 설정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 12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setting a virtual sp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1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etting of a plane position of a virtual speaker, and FIG. 14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frequency characteristic setting of a virtual speaker .

도 12를 참조하면, 차량(1)은 인지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제1 가상 스피커와 제2 가상 스피커의 가상 레이어를 설정한다(701). Referring to FIG. 12, the vehicle 1 sets a virtual layer of the first virtual speaker and the second virtual speaker based on the recognition priority (701).

음원 핸들러(310)는 인지우선순위가 높은 출력대상음원이 운전자의 머리에 대응되는 높이에서 제공되도록, 가상 스피커의 위치를 제1 가상 레이어(VL)로 설정하고, 인지우선순위가 낮은 출력대상음원이 운전자의 머리와 이격된 높이에서 제공되도록, 가상 스피커의 위치를 제2 가상 레이어(VL2) 또는 제3 가상 레이어(VL3)로 설정할 수 있다. The sound source handler 310 sets the position of the virtual speaker to the first virtual layer VL such that the output target sound source having a high recognition priority is provided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head of the driver, The position of the virtual speaker can be set to the second virtual layer VL2 or the third virtual layer VL3 so as to be provided at a distance from the head of the driver.

그리고, 차량(1)은 인지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제1 가상 스피커(VS)와 제2 가상 스피커(VS)의 평면 위치를 설정한다(703). Then, the vehicle 1 sets the plane position of the first virtual speaker VS and the second virtual speaker VS based on the recognition priority (703).

음원 핸들러(310)는 인지우선순위가 높은 출력대상음원이 운전자와 인접한 위치에서 제공되도록, 가상 스피커의 평면 위치를 설정한다. 예를 들어, 음원 핸들러(310)는 도 13a와 같이 운전석과 인접한 위치로 가상 스피커의 위치(P1)를 결정할 수 있다. The sound source handler 310 sets the plane position of the virtual speaker so that the output target sound source having a high recognition priority is provid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driver. For example, the sound source handler 310 can determine the position P1 of the virtual speaker to a position adjacent to the driver's seat as shown in FIG. 13A.

음원 핸들러(310)는 인지우선순위가 낮은 출력대상음원이 운전자와 이격된 위치에서 제공되도록, 가상 스피커의 평면 위치를 설정한다. 예를 들어, 음원 핸들러(310)는 도 13a와 같이 운전석과 이격된 위치로 가상 스피커의 위치(P2)를 결정할 수 있다. The sound source handler 310 sets the plane position of the virtual speaker so that the output target sound source having a low recognition priority is provided at a position away from the driver. For example, the sound source handler 310 can determine the position P2 of the virtual speaker at a position separated from the driver's seat as shown in FIG. 13A.

한편, 음원 핸들러(310)는 출력대상음원의 특성에 따라 평면 위치를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출력대상음원이 도 4a와 같이 차량(1)의 우회전을 안내하는 안내 음원이면, 음원 핸들러(310)는 도 13b와 같이 운전석 우측전방에 대응되는 위치(P4)로 가상 스피커의 평면좌표를 설정할 수 있다. Meanwhile, the sound source handler 310 may set the plane posi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und source to be output. For example, if the sound source to be output is a guidance sound source for guiding the right rotation of the vehicle 1 as shown in FIG. 4A, the sound source handler 310 moves to the position P4 corresponding to the front right side of the driver's seat, Coordinates can be set.

다른 예로, 출력대상음원이 도 5b와 같이 왼쪽 후방에 차량(1)이 존재함을 알리기 위한 경고 음원인 경우, 음원 핸들러(310)는 도 13c와 같이 운전석 좌측 후방에 대응되는 위치(P6)로 가상 스피커의 평면좌표를 설정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when the sound source handler 310 is a warning sound source for notifying that the vehicle 1 exists in the left rear side as shown in FIG. 5B, the sound source handler 310 is moved to a position P6 corresponding to the left rear side of the driver's seat You can set the plane coordinates of the virtual speaker.

차량(1)은 인지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제1 가상 스피커와 제2 가상 스피커의 주파수 특성을 설정한다(705). 상술한 바와 같이 저음에 비하여 고음의 인지도가 높다. 그러므로, 음원 핸들러(310)는 인지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출력대상음원의 주파수 특성을 결정할 수 있다.The vehicle 1 sets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first virtual speaker and the second virtual speaker based on the recognition priority (705). As described above, the recognition of high frequencies is higher than that of low frequencies. Therefore, the sound source handler 310 can determine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sound source to be output based on the recognition priority.

구체적으로, 음원 핸들러(310)는 인지우선순위가 낮은 출력대상음원은 도 14a에 도시된 것과 같은 주파수 특성(f1)을 가지도록 가상 스피커를 설정할 수 있다. 즉, 출력대상음원의 인지우선순위가 낮은 경우, 음원 핸들러(310)는 저음 출력이 강하고 고음 출력이 약하게 가상 스피커의 주파수 특성을 설정한다. Specifically, the sound source handler 310 can set the virtual speaker such that the output target sound source having a low recognition priority has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f1 as shown in FIG. 14A. That is, when the recognition priority of the sound source to be output is low, the sound source handler 310 sets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virtual speaker with a strong bass output and a weak treble output.

반대로, 음원 핸들러(310)는 인지우선순위가 높은 출력대상음원은 도 14b에 도시된 것과 같은 주파수 특성(f2)을 가지도록 가상 스피커를 설정할 수 있다. 즉, 출력대상음원의 인지우선순위가 높은 경우, 음원 핸들러(310)는 저음 출력이 약하고 고음 출력이 강하게 가상 스피커의 주파수 특성을 설정한다. On the contrary, the sound source handler 310 can set the virtual speaker so that the output target sound source having a high recognition priority has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f2 as shown in FIG. 14B. That is, when the recognition priority of the sound source to be output is high, the sound source handler 310 sets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virtual speaker with a weak bass output and a strong treble output.

이와 같이 서로 다른 가상 스피커의 주파수 특성을 교차로 설정함으로써, 복수 개의 출력대상음원의 인식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By thus setting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different virtual loudspeakers at an intersection, the recognition degree of a plurality of output target sound sources can be improved.

파라미터 산출기(320)는 음원 핸들러(310)에 의하여 설정된 가상 스피커에 기초하여 출력대상음원에 적용할 파라미터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파라미터 산출기(320)는 음향신호가 입력될 채널, 각 채널의 음향신호 입력을 조절하기 위한 시간조정(time shifting) 변수, 출력대상음원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게인(Gain) 변수, 주파수 변수를 결정할 수 있다. The parameter calculator 320 determines a parameter to be applied to the sound source to be output based on the virtual speaker set by the sound source handler 310. Specifically, the parameter calculator 320 may include a channel to which the sound signal is input, a time shifting variable for adjusting the input of the sound signal of each channel, a gain variable for adjusting the size of the sound source to be output, The frequency variable can be determined.

구체적으로, 파라미터 산출기(320)는 가상 스피커의 설정 위치에 기초하여 음향신호가 출력될 채널을 결정할 수 있다. 즉, 파라미터 산출기(320)는 가상 스피커의 설정 위치에 따라 어느 스피커(100)에 음향신호가 공급될 것인지 결정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parameter calculator 320 can determine the channel on which the acoustic signal is output based on the setting position of the virtual speaker. That is, the parameter calculator 320 can determine which speaker 100 the acoustic signal is to be supplied according to the setting position of the virtual speaker.

도 15는 가상 스피커가 제1 가상 레이어에 위치하는 경우의 출력 채널 선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FIG. 1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utput channel selection when the virtual speaker is located in the first virtual layer.

도 15a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가상 스피커의 위치가 운전석과 인접한 제1 위치(P1)로 설정된 경우, 제1 위치(P1)와 인접한 제1 하부 스피커(121), 제1 보조 스피커(121a), 및 상부 스피커(110)에만 음향신호가 인가될 수 있다. 즉, 파라미터 산출기(320)는 제1 하부 스피커(121)와 제1 보조 스피커(121a)에 대응되는 제1 채널(ch1)과 상부 스피커(110)에 대응되는 제5 채널(ch5)을 음향신호가 출력될 채널로 결정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5A, when the position of the virtual speaker is set to the first position P1 adjacent to the driver's seat, the first lower speaker 121, the first auxiliary speaker 121a, And the upper speaker 110 may be applied with acoustic signals. That is, the parameter calculator 320 calculates the first channel ch1 corresponding to the first lower speaker 121 and the first auxiliary speaker 121a, and the fifth channel ch5 corresponding to the upper speaker 110,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channel to which the signal is to be output.

도 15b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가상 스피커의 위치가 조수석 전방과 인접한 제2 위치(P2)로 설정된 경우, 제2 위치(P2)와 인접한 제2 하부 스피커(122), 제2 보조 스피커(121b), 및 상부 스피커(110)에만 음향신호가 인가될 수 있다. 즉, 파라미터 산출기(320)는 제2 하부 스피커(122)와 제2 보조 스피커(121b)에 대응되는 제2 채널(ch2)과 상부 스피커(110)에 대응되는 제5 채널(ch1)을 음향신호가 출력될 채널로 결정할 수 있다. The second lower speaker 122 and the second auxiliary speaker 121b which are adjacent to the second position P2 when the position of the virtual speaker is set to the second position P2 adjacent to the front passenger's seat, And the upper loudspeakers 110, respectively. That is, the parameter calculator 320 calculates the second channel ch2 corresponding to the second lower speaker 122, the second auxiliary speaker 121b, and the fifth channel ch1 corresponding to the upper speaker 110,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channel to which the signal is to be output.

도 15c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가상 스피커의 위치가 센터 콘솔에 인접한 제3 위치(P3)인 경우, 제3 위치(P3)와 인접한 제2 하부 스피커(122), 제2 보조 스피커(121b), 제4 하부 스피커(124) 및 상부 스피커(110)에만 음향신호가 인가될 수 있다. 즉, 파라미터 산출기(320)는 제2 하부 스피커(122)와 제2 보조 스피커(121a, 121b)에 대응되는 제2 채널(ch2)과 제4 하부 스피커(124)에 대응되는 제4 채널(ch4)과 상부 스피커(110)에 대응되는 제5 채널(ch5)을 음향신호가 출력될 채널로 결정할 수 있다.The second lower speaker 122, the second auxiliary speaker 121b, and the third auxiliary speaker 121b adjacent to the third position P3, when the virtual speaker is located at the third position P3 adjacent to the center console, Only the fourth lower speaker 124 and the upper speaker 110 can be applied with acoustic signals. That is, the parameter calculator 320 calculates the second channel (ch2) corresponding to the second lower speaker 122 and the second auxiliary speakers 121a and 121b and the fourth channel (ch2) corresponding to the fourth lower speaker 124 ch4) corresponding to the upper speaker 110 and the fifth channel (ch5) corresponding to the upper speaker 110 as the channel through which the sound signal is output.

도 15d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가상 스피커의 위치가 운전석의 후방과 인접한 제4 위치(P4)인 경우, 제4 위치(P4)와 인접한 제1 하부 스피커(121), 제1 보조 스피커(121a), 제3 하부 스피커(123) 및 상부 스피커(110)에만 음향신호가 인가될 수 있다. 즉, 파라미터 산출기(320)는 제2 하부 스피커(122)와 제2 보조 스피커(121a, 121b)에 대응되는 제2 채널(ch2)과 제4 하부 스피커(124)에 대응되는 제4 채널(ch4)과 상부 스피커(110)에 대응되는 제5 채널(ch5)을 음향신호가 출력될 채널로 결정할 수 있다.The first lower speaker 121 and the first auxiliary speaker 121a adjacent to the fourth position P4 when the virtual speaker is located at the fourth position P4 adjacent to the rear of the driver's seat, The third lower speaker 123, and the upper speaker 110, respectively. That is, the parameter calculator 320 calculates the second channel (ch2) corresponding to the second lower speaker 122 and the second auxiliary speakers 121a and 121b and the fourth channel (ch2) corresponding to the fourth lower speaker 124 ch4) corresponding to the upper speaker 110 and the fifth channel (ch5) corresponding to the upper speaker 110 as the channel through which the sound signal is output.

가상 스피커의 위치가 제2 가상 레이어(VL2) 또는 제3 가상 레이어(VL2)인 경우 상부 스피커(110)에는 음향신호가 입력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2 가상 레이어(VL2)와 제3 가상 레이어(VL3)에 가상 스피커가 설정된 경우, 제1 채널(ch1) 내지 제4 채널(ch4)에만 음향신호가 인가될 수 있다.If the virtual speaker is located at the second virtual layer VL2 or the third virtual layer VL2, no sound signal may be input to the upper speaker 110. [ In other words. When a virtual speaker is set in the second virtual layer VL2 and the third virtual layer VL3, a sound signal can be applied only to the first channel ch1 to the fourth channel ch4.

또한, 파라미터 산출기(320)는 출력대상음원에 적용될 시간조정 변수와 게인 변수를 결정할 수 있다. 설정된 위치에 가상 스피커(VS)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각 스피커(100)로 출력되는 음향신호의 출력 타이밍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 파라미터 산출기(320)는 각 스피커(100)와 가상 스피커(VS) 사이의 거리에 따라 채널 별로 음향신호 출력 타이밍을 조절하기 위한 시간조정 변수를 결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arameter calculator 320 can determine a time adjustment variable and a gain variable to be applied to the sound source to be output. In order to form the virtual speaker VS at the set position,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output timing of the acoustic signal output to each speaker 100. [ The parameter calculator 320 may determine a time adjustment parameter for adjusting the sound signal output timing for each channel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each speaker 100 and the virtual speaker VS.

또한, 설정된 위치에 가상 스피커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각 스피커(100)에서 출력되는 출력대상음원의 크기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 파라미터 산출기(320)는 각 스피커(100)와 가상 스피커 사이의 거리에 따라 출력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게인 변수를 결정할 수 있다.In order to form the virtual speaker at the set position,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size of the sound source to be output from each speaker 100. The parameter calculator 320 may determine a gain variable for adjusting the output size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each speaker 100 and the virtual speaker.

또한, 파라미터 산출기(320)는 출력대상음원에 적용될 주파수 변수를 결정할 수 있다. 가상 스피커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스피커(100)와 가상 스피커 사이에 거리차를 주파수로 환산하여 적용할 필요가 있으므로, 파라미터 산출기(320)는 각 스피커(100)와 가상 스피커(VS) 간의 거리에 대응되는 주파수 변수를 결정할 수 있다,Further, the parameter calculator 320 can determine a frequency variable to be applied to the sound source to be output. In order to form a virtual speaker, it is necessary to apply the distance difference between the speaker 100 and the virtual speaker in terms of frequency, so that the parameter calculator 320 calculates the distance between each speaker 100 and the virtual speaker VS Can determine the frequency variable,

도 16은 파라미터 룩업 테이블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16 is a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parameter look-up table.

파라미터 산출기(320)는 가상스피커(100)의 위치에 따라 파라미터를 개별적으로 결정할 수도 있으나, 도 16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가상 스피커의 위치에 따라 게인 변수(k), 및 주파수 변수(θ)가 미리 설정된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신속하게 출력대상음원에 적용할 변수들을 산출할 수 있다. The parameter calculator 320 may determine the parameters individually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virtual speaker 100. However,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virtual speaker, as shown in FIG. 16, the gain variable k and the frequency variable? It is possible to quickly calculate the parameters to be applied to the output destination sound source by using the preset lookup table.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출력대상음원이 제공되는 제1 가상 스피커와 제2 출력대상음원이 제공되는 제2 가상 스피커의 위치는 서로 상이하므로, 파라미터 산출기(320)는 제1 가상 스피커에 대응되는 변수와 제2 가상 스피커에 대응되는 변수를 각각 산출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positions of the first virtual speaker provided with the first output target sound source and the second virtual speaker provided with the second output target sound source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parameter calculator 320 calculates the parameter And a variabl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virtual speaker can be calculated.

신호 처리기(330)는 파라미터 산출기(320)에서 산출된 변수를 출력대상음원에 적용하여, 복수 개의 채널에 입력할 음향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각 채널에 공급되는 음향신호는 아래의 수학식 1로 정의될 수 있다. The signal processor 330 may apply the parameters calculated by the parameter calculator 320 to the sound source to be output, and generate sound signals to be input to the plurality of channels. The acoustic signal supplied to each channel can be defined by the following equation (1).

[수학식 1][Equation 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수학식 1에서 S는 음향신호를 나타내고, n은 스피커(100)의 채널을 나타내고, t 는 음향신호의 출력시간을 나타내고, A는 가상 스피커를 통해 제공될 출력대상음원의 크기를 나타내고, f는 가상 스피커를 통해 제공될 출력대상음원의 주파수를 나타내고, c는 공기가 매질인 경우의 음속을 나타내고, k는 가상 스피커와 각각의 스피커 사이에 거리에 따라 음향신호의 게인을 조절하기 위한 게인 변수를 나타내고, θ는 가상 스피커와 각각의 스피커 사이에 거리에 따라 음향신호의 주파수를 조절하기 위한 주파수 변수를 나타낸다. In Equation (1), S represents a sound signal, n represents a channel of the speaker 100, t represents an output time of a sound signal, A represents a size of an output target sound source to be provided through a virtual speaker, K represents the gain variable for adjusting the gain of the acoustic signal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virtual speaker and each speaker, and k represents a gain parameter for adjusting the gain of the acoustic signal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virtual speaker and each speaker. And? Represents a frequency variable for adjusting the frequency of the acoustic signal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virtual speaker and each speaker.

수학식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신호 처리기(330)는 채널(n)별로 게인 변수(k), 주파수 변수(θ)를 적용하여 음향신호(S)를 생성한다. 이와 같이 채널별로 생성된 음향신호(S)의 출력 타이밍은 시간조정 변수에 의하여 결정된다. As shown in Equation (1), the signal processor 330 generates a sound signal S by applying a gain variable k and a frequency variable? To each channel n. The output timing of the sound signal S generated for each channel is determined by the time adjustment variable.

한편, 복수 개의 출력대상음원이 존재하는 경우, 신호 처리기(330)는 각 출력대상음원에 대응되는 음향신호를 각각 생성하고, 생성된 음향신호를 합성하여 각 채널로 출력할 수 있다.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output target sound sources, the signal processor 330 generates sound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sound sources to be output, and synthesizes the generated sound signals and outputs the synthesized sound signals to the respective channels.

구체적으로, 신호 처리기(330)는 제1 출력대상음원에 대한 제1 음향신호와 제1 출력대상음원에 대한 제2 음향신호를 각각 생성하고, 동일한 출력 타이밍을 가지는 제1 음향신호와 제2 음향신호를 합성하여 각 채널로 출력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signal processor 330 generates a first sound signal for the first output target sound source and a second sound signal for the first output target sound source, respectively, and generates a first sound signal having the same output timing and a second sound signal having the same output timing, The signals can be synthesized and output to each channel.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가상 스피커와 제2 가상 스피커의 주파수 특성은 인지우선순위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이에 신호 처리부는 설정된 주파수 특성에 따라 출력대상음원이 제공되도록 생성된 음향신호를 필터링하여 출력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first virtual speaker and the second virtual speaker can be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recognition priority. The signal processing unit may filter and output the generated sound signal to provide the sound source to be output according to the set frequency characteristics.

예를 들어, 인지우선순위가 높은 출력대상음원에 대응되는 신호에는 도 14b와 같은 형태의 필터를 적용하여 고음을 강조하고, 인지우선순위가 낮은 출력대상음원에 대응되는 신호에는 도 14a와 같은 형태의 필터를 적용하여 저음을 강조할 수 있다.For example, a high-frequency signal is emphasized by applying a filter of the type shown in FIG. 14B to a signal corresponding to an output target sound source having a high recognition priority, and a signal corresponding to an output target sound source having a low recognition priority A low-frequency sound can be emphasized.

한편, 주차시 충돌 위험을 알리기 위한 경고 음원과 같이 반복적인 비프음(Beep Sound)으로 출력대상음원이 구성된 경우, 파라미터 산출부(320)는 출력대상음원의 인지우선순위에 기초하여 비프음의 반복주기를 설정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sound source to be output is configured by a repeated beep sound such as a warning sound source for notifying the risk of collision during parking, the parameter calculating unit 320 calculates a parameter The cycle can be set.

그리고, 신호 처리부는 아래의 수학식 2에 따라 설정된 반복주기를 이용하여 각 채널의 음향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The signal processor may generate an acoustic signal for each channel using the repetition period set in accordance with Equation (2) below.

[수학식 2]&Quot; (2) "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수학식 2에서 S는 음향신호를 나타내고, n은 스피커(100)의 채널을 나타내고, t 는 음향신호의 출력시간을 나타내고, A는 가상 스피커를 통해 제공될 출력대상음원의 크기를 나타내고, f는 가상 스피커를 통해 제공될 출력대상음원의 주파수를 나타내고, c는 공기가 매질인 경우의 음속을 나타내고, k는 가상 스피커와 각각의 스피커 사이에 거리에 따라 음향신호의 게인을 조절하기 위한 게인 변수를 나타내고, θ는 가상 스피커와 각각의 스피커 사이에 거리에 따라 음향신호의 주파수를 조절하기 위한 주파수 변수를 나타내고, T는 비프음 반복 주기를 나타낸다.In Equation (2), S represents a sound signal, n represents a channel of the speaker 100, t represents an output time of a sound signal, A represents a size of an output target sound source to be provided through a virtual speaker, K represents the gain variable for adjusting the gain of the acoustic signal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virtual speaker and each speaker, and k represents a gain parameter for adjusting the gain of the acoustic signal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virtual speaker and each speaker. Represents the frequency variable for adjusting the frequency of the acoustic signal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virtual speaker and each speaker, and T represents the beep sound repetition period.

도 17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 컨트롤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8은 음원 컨버터에 의한 출력대상음원의 전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컨트롤러(300)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기재하고,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FIG. 17 is a view showing a sound controll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nd FIG. 1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switching of a sound source to be output by a sound source converter. Hereinafter, for the sake of convenienc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ose of the sound controller 3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 컨트롤러(300)는 음원 컨버터(320)를 더 포함한다. 음원 컨버터(320)는 입력되는 출력대상음원을 비프음으로 변경하여, 출력대상음원간의 충돌을 방지한다.The sound controller 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 sound source converter 320. The sound source converter 320 changes the input sound source to be inputted to beep sound, thereby preventing collision between sound sources to be output.

구체적으로, 높은 인지우선순위의 제1 출력대상음원이 제공되고 있을 때, 제1 출력대상음원보다 낮은 인지우선순의 제2 출력대상음원이 입력되면, 음원 컨버터(320)는 제2 출력대상음원을 비프음으로 변경하여 제공할 수 있다. Specifically, when a first output target sound source having a high recognition priority is provided, a second output target sound source having a lower priority than that of the first output target sound source is input, and the sound source converter 320 outputs, Can be changed to a beep sound.

예컨대, 운전자가 핸즈프리 기능을 이용하여 전화통화를 할 때, 안내 음원이 출력되면 운전자의 전화통화를 방해할 수 있다. 이에 음원 컨버터(320)는 전화통화가 방해되지 않도록 안내 음원을 비프음으로 변경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a driver makes a phone call using the hands-free function, the driver's telephone conversation can be interrupted when the guidance sound source is output. The sound source converter 320 can change the guide sound source to beep sound so that the telephone conversation is not disturbed.

즉, 도 1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화통화 음원은 제1 가상 스피커를 통해 연속적으로 제공되고, 안내 음원은 비프음으로 변경되어 제2 레이어에 형성된 제2 가상 스피커를 통해 출력된다.That is, as shown in FIG. 18, the telephone voice source is continuously provided through the first virtual speaker, and the guidance sound source is changed to beep sound and output through the second virtual speaker formed on the second layer.

도 19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 컨트롤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0은 이퀄라이져에 의한 주파수 필터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1은 가상 스피커의 위치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 19 is a view showing a sound controll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 20 is a view for explaining frequency filtering by an equalizer, and FIG. 21 is a diagram showing a positional change of a virtual speaker.

도 22는 저음 영역이 제거된 미디어 음원 제공시의 스피커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3은 저음 영역이 제거된 미디어 음원 제공시의 음향신호 출력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4는 복수 개의 이벤트 음향이 입력되는 경우, 가상 스피커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22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a speaker when providing a media sound source in which the low-frequency sound region is removed, FIG. 23 is a view showing an audio signal output when providing a media sound source in which the low- FIG. 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osition of a virtual speaker when sound is input.

도 19를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 컨트롤러(500)는 이벤트 핸들러(510), 미디어 음원 컨트롤러(520)와 이벤트 음원 컨트롤러(53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The sound controller 5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may include an event handler 510, a media sound source controller 520, and an event sound source controller 530.

이하에서는 출력대상음원을 미디어 음원과 이벤트 음원으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이벤트 음원은 미디어 음원과 달리 연속적으로 제공되지 않는 출력대상음원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벤트 음원은 경고 음원, 통화 음원, 안내 음원 중 하나일 수 있다. Hereinafter, the output target sound source will be described as a media sound source and an event sound source. The event sound source means an output target sound source that is not continuously provided unlike a media sound source, and the event sound source may be one of a warning sound source, a voice source, and a guide sound source.

미디어 음원 컨트롤러(520)는 미디어 음원에 대응되는 음향신호의 출력을 제어한다. 미디어 음원 컨트롤러(520)는 신호 처리기(521)와 이퀄라이져(523; Equalizer)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edia source controller 520 controls the output of the audio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media sources. The media source controller 520 may include a signal processor 521 and an equalizer 523.

이퀄라이져(523)는 미디어 음원의 음질의 보정 및 개선에 사용되는 것으로, 입력되는 미디어 음원의 주파수 특성을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퀄라이져(523)는 미디어 음원의 특징 주파수 대역을 강조하거나, 반대로 미디어 음원의 특정 주파수 대역을 감소시킨다. The equalizer 523 is used for correcting and improving the sound quality of the media sound source, and can change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input media sound source. Specifically, the equalizer 523 emphasizes the characteristic frequency band of the media source, or conversely reduces the specific frequency band of the media source.

예를 들어, 이퀄라이져(523)는 도 20a와 같이 입력된 미디어 음원를 모두 통과시키는 전역통과필터(f3)로 기능을 수행하거나, 도 20b과 도 20c와 같이 미디어 음원 중 낮은 주파수 대역만을 통과시키는 저역통과필터(f4, f5)로 기능을 수행하거나, 도 20d와 같이 모든 주파수 대역을 차단하는 필터(f6)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equalizer 523 may function as an all-pass filter f3 for passing all the input media sound sources as shown in FIG. 20A, or may be a low pass filter for passing only a low frequency band among the media sound sources as shown in FIGS. 20B and 20C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function as the filters f4 and f5 or to perform the function as the filter f6 that blocks all the frequency bands as shown in Fig. 20D.

신호 처리기(521)는 이퀄라이져(523)에 의해 주파수 특성이 변경된 미디어 음원을 처리하여 음향신호를 생성한다. 신호 처리기(521)는 미디어 음원이 가상 스피커를 통해 제공되도록 각 채널 별로 음향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 처리기(521)는 상기의 수학식 1을 이용하여 각 채널에 입력될 음향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The signal processor 521 processes the media sound source whose frequency characteristics have been changed by the equalizer 523 to generate a sound signal. The signal processor 521 may generate a sound signal for each channel so that the media sound source is provided through the virtual speaker. E.g. The signal processor 521 can generate an acoustic signal to be input to each channel using Equation (1).

다시 도 19를 참조하면, 이벤트 핸들러(510)는 이벤트 음원의 입력을 모니터링한다. 데이터 버스(270)를 통해 이벤트 음원이 입력되면, 이벤트 핸들러(510)는 이벤트 음원을 제공하기 위한 가상 스피커를 설정한다. Referring again to FIG. 19, the event handler 510 monitors the input of the event source. When an event sound source is input through the data bus 270, the event handler 510 sets up a virtual speaker for providing an event sound source.

이벤트 음원을 제공하기 위한 가상 스피커(VS)는 상술한 것과 같이 운전자의 머리 높이에 대응되는 제1 가상 레이어(VL)로 설정되어, 운전자에게 명확하게 이벤트 음원을 전달할 수 있다. The virtual speaker VS for providing the event sound source is set to the first virtual layer VL corresponding to the head height of the driver as described above to clearly transmit the event sound source to the driver.

또한, 운전자가 이벤트 음원을 명확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이벤트 음원의 평면 좌표는 이벤트 음원의 특성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1)의 우회전을 안내하는 이벤트 음원은 운전석 우측 전방으로 평면 좌표가 설정되고, 차량(1)의 왼쪽 후방에 차량(1)이 위치함을 알리기 위한 이벤트 음원, 운전석 좌측 후방으로 평면 좌표가 설정된다. In addition, the plane coordinates of the event sound source may be se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event sound source so that the driver can clearly recognize the event sound source. For example, the event sound source for guiding the right turn of the vehicle 1 includes an event sound source for setting the plane coordinates to the front right side of the driver's seat, informing that the vehicle 1 is located on the left rear side of the vehicle 1, The plane coordinates are set.

또한, 이벤트 핸들러(510)는 이벤트 음원이 입력되면, 미디어 음원을 제공하는 가상 스피커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벤트 음원과 미디어 음원이 공간상으로 분리되어 제공되도록, 제2 가상 레이어(VL2) 또는 제3 가상 레이어(VL3)로 미디어 음원을 제공하는 가상 스피커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vent handler 510 can change the position of the virtual speaker providing the media sound source when the event sound source is input. Specifically, the virtual speaker VL2 or the third virtual layer VL3 may change the position of the virtual speaker providing the media sound source so that the event sound source and the media sound source are provided separately in space.

예를 들어, 이벤트 핸들러(510)는 도 27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벤트 음원을 제공하기 위한 제1 가상 스피커(VS01)를 제1 가상 레이어(VL1)에 설정하고, 미디어 음원을 제공하기 위한 제2 가상 스피커(VS02)의 위치를 제3 가상 레이어(VL)로 변경할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7A, the event handler 510 may set a first virtual speaker VS01 for providing an event sound source to the first virtual layer VL1, 2 virtual speaker VS02 to the third virtual layer VL.

또한, 이벤트 핸들러(510)는 도 27b와 같이 미디어 음원을 제공하기 위한 제2 가상 스피커(VS02)의 평면 좌표를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event handler 510 may move the plane coordinates of the second virtual speaker VS02 to provide a media sound source, as shown in FIG. 27B.

한편, 이벤트 핸들러(510)는 이벤트 음원이 입력되면, 미디어 음원의 주파수 특성이 변경되도록 이퀄라이져(523)에 제어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Meanwhile, the event handler 510 may transmit a control command to the equalizer 523 so that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media sound source are changed when the event sound source is input.

제어명령이 전송되면, 이퀄라이져(523)는 제어명령에 따라 미디어 음원의 주파수 특성을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퀄라이져(523)는 도 20b에 도시된 것과 같은 저역통과필터(f4)를 이용하여 미디어 음원에서 낮은 주파수 대역만을 통과시킬 수 있다. When the control command is transmitted, the equalizer 523 can change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media source according to the control command. Specifically, the equalizer 523 can pass only a low frequency band from the media source using the low-pass filter f4 as shown in Fig. 20B.

이와 같이, 이퀄라이져(523)에 의해 고주파 영역의 주파수가 필터링되면, 미디어 음원 중 저주파 영역의 성분만이 신호 처리기(521)에 입력되므로, 저음 영역의 신호만이 스피커로 인가된다. Thus, when the frequency of the high frequency range is filtered by the equalizer 523, only the low frequency range component of the media sound source is input to the signal processor 521, so only the low frequency range signal is applied to the speaker.

상술한 바와 같이 대시보드(40)에 배치된 보조 스피커(121a, 121b)는 고음을 출력하는 것으로, 실질적으로 보조 스피커(121a, 121b)는 거의 음향을 출력하지 않게 되므로, 도 2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부 스피커(120)에서만 미디어가 출력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auxiliary speakers 121a and 121b disposed on the dashboard 40 output a treble, so that the auxiliary speakers 121a and 121b substantially do not output sound. Therefore, Similarly, only the lower speaker 120 outputs the medium.

즉, 이퀄라이져(523)에 의해 고음 영역이 제거되면,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스피커(120)에만 미디어 음원이 제공되는 효과가 나타나고, 이에 따라 미디어 음원의 가상 스피커의 가상 레이어가 낮아진다. That is, when the high-frequency area is removed by the equalizer 523, the effect that the media sound source is provided only to the lower speaker 120 as shown in FIG. 23 appears, and the virtual layer of the virtual speaker of the media sound source is lowered.

이벤트 음원 컨트롤러(530)는 이벤트 핸들러(510)에 의해 설정된 가상 스피커(VS)를 통해 입력된 이벤트 음원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이벤트 음원 컨트롤러(530)는 상술한 파라미터 산출기(320)를 이용하여 이벤트 음원에 대응되는 음향신호가 출력될 채널을 결정하고, 각 채널의 시간조정(time shifting) 변수, 게인(Gain) 변수, 주파수 변수를 산출할 수 있다. The event sound source controller 530 provides an event sound source input through the virtual speaker VS set by the event handler 510. Specifically, the event sound source controller 530 determines a channel to which an acoustic signal corresponding to the event sound source is to be output by using the parameter calculator 320 described above, and calculates a time shifting variable, a gain ) Variable and frequency variable can be calculated.

이벤트 음원 컨트롤러(530)는 파라미터 산출기(320)를 통해 획득된 변수를 이벤트 음원에 적용하여 음향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음향신호는 상술한 수학식 1에 의하여 생성될 수 있으나, 음향신호의 생성방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event sound source controller 530 can generate and output a sound signal by applying a parameter obtained through the parameter calculator 320 to an event sound source. Specifically, the acoustic signal may be generated by Equation (1), but the method of generating the acoustic signal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이벤트 핸들러(510)는 입력된 이벤트 음원의 주파수의 특성이 변경되도록 가상 스피커의 주파수 특성을 설정할 수 있다. 즉, 이벤트 핸들러(510)는 입력된 이벤트 음원의 고음이 강조되도록 가상 스피커의 주파수 설정을 설정할 수 있다. The event handler 510 may set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virtual speaker so that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input event source are changed. That is, the event handler 510 can set the frequency setting of the virtual speaker so that the treble of the input event source is emphasized.

한편, 입력된 이벤트 음원이 비프음인 경우, 음향 컨트롤러(500)는 이벤트 음원의 인지우선순위를 고려하여 비프음의 반복주기를 결정하고, 상술한 수학식 2에 따라 음향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input event source is a beep sound, the sound controller 500 may determine the repetition period of the beep sound in consideration of the recognition priority of the event sound source, and may generate the sound signal according to Equation (2) .

음향 컨트롤러(500)는 합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합성부는 미디어 음원 컨트롤러(520)와 하부 스피커(120)의 사이에 마련되어, 미디어 음원 컨트롤러(520)에 의해 출력되는 음향신호와 이벤트 음원 컨트롤러(530)에서 출력되는 음향신호를 합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The sound controller 500 may further include a synthesizer. The combining unit is provided between the media sound source controller 520 and the lower speaker 120 and can synthesize and output the sound signal output from the media source controller 520 and the sound signal output from the event sound source controller 530 .

이상에서는 하나의 이벤트 음원이 입력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통화 음원이 입력되는 중 안내 음원이나 경고 음원이 입력되는 경우와 같이 복수 개의 이벤트 음원이 동시에 입력될 수도 있다. In the above description, it is described that one event sound source is input. However, a plurality of event sound sources may be simultaneously input, such as when a guide sound source or a warning sound source is input while a call sound source is being input.

이와 같이 복수 개의 이벤트 음원이 발생하는 경우, 이벤트 핸들러(510)는 앞서 설명한 음원 핸들러(310)와 같이 복수 개의 이벤트 음원 사이의 인지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이벤트 음원을 제공할 가상 스피커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When a plurality of event sound sources are generated as described above, the event handler 510 can determine the position of a virtual speaker to provide an event sound source based on the recognition priorities among a plurality of event sound sources, such as the sound source handler 310 described above have.

구체적으로, 복수 개의 이벤트 음원 중 인지우선순위가 높은 이벤트 음원을 제공하는 가상 스피커의 위치를 제1 가상 레이어로 설정하고, 인지우선순위가 낮은 이벤트 음원을 제2 가상 레이어로 결정할 수 있다. Specifically, a location of a virtual speaker for providing an event sound source having a high priority among a plurality of event sound sources may be set as a first virtual layer, and an event sound source having a low priority of recognition may be determined as a second virtual layer.

예를 들어, 통화 음원과 네이게이션 장치(220)의 경로 안내 음원이 동시에 입력되는 경우,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지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통화 음원을 제공하기 위한 가상 스피커(VS01)가 제1 가상 레이어(VL1)에 운전석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정되고, 인지우선순위가 낮은 안내 음원을 제공하기 위한 가상 스피커(VS02)가 제2 가상 레이어(VL2) 에 위치하고, 미디어 음원을 제공하기 위한 가상 스피커(VS03)가 제3 가상 레이어(VL3)에 위치한다. For example, when a voice source and a route guidance sound source of the navigation device 220 are input at the same time, as shown in FIG. 24, a virtual speaker VS01 for providing a voice source with the highest recognition priority is a first virtual A virtual speaker VS02 for providing a guide sound source set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driver's seat in the layer VL1 and having a low recognition priority is located in the second virtual layer VL2 and a virtual speaker VS03 are located in the third virtual layer VL3.

또한, 복수 개의 이벤트 음원이 입력되는 경우, 이퀄라이져(523)는 도 20c에 도시된 것과 같이 미디어 음원에서 더 낮은 주파수만을 통과시켜, 이벤트 음원의 인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when a plurality of event sound sources are input, the equalizer 523 may pass only a lower frequency in the media sound source as shown in FIG. 20C, thereby improving the awareness of the event sound source.

한편, 3 개 이상의 이벤트 음원이 입력되는 경우, 이퀄라이져(523)는 도 20d와 같이 미디어 음원의 모든 주파수 대역을 차단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ree or more event sound sources are input, the equalizer 523 may block all frequency bands of the media sound sources as shown in FIG. 20D.

도 25과 26는 가상 레이어의 동적 할당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5 and 26 are diagrams for explaining dynamic allocation of a virtual layer.

도 7및 도 8에서는 차량(1) 내부 공간이 3개의 레이어로 구획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가상 레이어(VL)는 동적으로 할당될 수도 있다. 이하, 도 25 및 도 26를 참조하여 이에 대해 설명한다. 7 and 8, the internal space of the vehicle 1 is described as being divided into three layers. However, the virtual layer VL may be dynamically allocated. This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25 and 26. FIG.

도 25 및 도 26를 참조하면, 차량(1) 내부 공간에 설정되는 가상 레이어(VL)의 개수는 동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1개의 출력대상음원이 존재하는 경우 도 25와 같이 하나의 가상 레이어(VL)가 설정되고, 2 개의 출력대상음원이 존재하는 경우 도 26와 같이 2개의 가상 레이어(VL1, VL2)가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제1 가상 레이어(VL1)와 제2 가상 레이어(VL2)는 소정 거리(d) 이격되어 설정되어 출력대상음원 간의 인지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25 and 26, the number of virtual layers VL set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vehicle 1 may change dynamically. Specifically, when one output target sound source is present, one virtual layer (VL) is set as shown in FIG. 25, and two virtual layers VL1 and VL2 Can be set. At this time. The first virtual layer (VL1) and the second virtual layer (VL2)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d) to increase the awareness between the output sound sources.

도 27은 차량의 음향 제공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8 및 도 29는 도 27의 음향 제공 방법에 따른 가상 스피커의 위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27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method for providing sound of a vehicle, and FIGS. 28 and 29 are views for explaining a change in position of a virtual speaker according to the sound providing method of FIG.

도 27을 참조하면, 차량(1)은 복수 개의 가상 스피커를 통해 복수 개의 출력대상음원을 제공한다(801). 복수 개의 출력대상음원은 서로 다른 가상 스피커에 의해 출력된다, 이때, 서로 다른 가상 스피커는 상술한 것과 같이 서로 다른 레이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주파수 특성을 가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7, the vehicle 1 provides a plurality of output target sound sources through a plurality of virtual speakers (801). A plurality of output target sound sources are output by different virtual speakers. At this time, different virtual speakers may be formed on different layers as described above, and may have different frequency characteristics.

예를 들어, 도 2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차량(1)의 제1 가상 레이어(VL1)에 전방 중앙에 마련된 제1 가상 스피커(VS1)를 통해 미디어 음원이 제공되고, 제3 레이어(VL3)에 우측 후방에 마련된 가상 스피커(VS1)를 통해 우측 후방의 충돌 위험을 인지시키기 위한 후방 충돌 경고 음원이 제공될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8, a media sound source is provided through a first virtual speaker VS1 provided at the front center of the first virtual layer VL1 of the vehicle 1, A rear collision warning sound source for recognizing the right rear collision risk through the virtual speaker VS1 provided on the right rear side can be provided.

다시 도 27을 참조하며, 차량(1)은 복수 개의 출력대상음원의 인지우선순위 변경 여부를 판단한다(802). 출력대상음원의 인지우선순위는 차량(1)의 주행환경의 변화에 따라 동적으로 변화할 수 있으므로, 음향 컨트롤러(300)는 복수 개의 출력대상음원의 인지우선순위 변화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Referring again to FIG. 27, the vehicle 1 determines whether to change the recognition priority of a plurality of output target sound sources (802). The recognition priority of the sound source to be output may dynamically change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driving environment of the vehicle 1, so that the sound controller 300 can monitor the change of the recognition priority of the plurality of sound sources to be output.

예를 들어, 차량(1)의 후진에 따른 후방 출동 위험은 차량(1)과 후방의 장애물의 거리에 따라 달라진다. 즉, 차량(1)과 후방의 장애물의 거리가 먼 경우에는 후방 충돌 위험이 낮으므로 후방 충돌 경고 음원의 인지우선순위가 비교적 낮지만, 차량(1)과 후방의 장애물의 거리가 가까워지면 후방 충돌 위험이 높아지므로 후방 충돌 경고 음원의 인지우선순위가 높아진다. For example, the risk of rearward movement due to the backward movement of the vehicle 1 depends on the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1 and the rear obstacle. That is,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1 and the rear obstacle is long, the risk of rear collision is low, so that the recognition priority of the rear collision warning sound source is comparatively low. However, if the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1 and the rear obstacle becomes close, The higher the risk, the higher the recognition priority of the rear impact warning sound source.

다른 예로, 차량(1)의 주행 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 음성의 인지우선순위도 차량(1)의 주행 환경의 변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량(1)의 주행 경로의 변경이 필요한 지점과 차량(1)의 거리가 먼 경우 안내 음원의 인지우선순위가 비교적 낮지만, 주행 경로의 변경이 필요한 지점과 차량(1)의 거리가 가까워지는 경우 안내 음원의 인지우선선위가 높아진다. As another example, the recognition priority of the guidance voice for guiding the traveling route of the vehicle 1 may also be chang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traveling environment of the vehicle 1. [ Specifically,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point at which the traveling route of the vehicle 1 is required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1 and the vehicle 1 is relatively low, the recognition priority of the guide sound source is relatively low. However, The recognition priority level of the guide sound source is increased.

복수 개의 출력대상음원의 인지우선순위가 변화하면(802의 예), 차량(1)은 인지우선순위 변화에 기초하여 가상 스피커들의 가상 레이어를 재설정한다(803). 앞서 구체적으로 설명한 것과 같이 음향 컨트롤러(300)는 인지우선순위가 높아진 출력대상음원에 대응되는 가상 스피커가 운전자의 머리 높이에 대응되고, 인지우선순위가 낮아진 출력대상음원에 대응되는 가상 스피커와 운전자의 머리와 이격되도록 가상 스피커의 가상 레이어를 변경할 수 있다. 즉, 음향 컨트롤러(300)는 출력대상음원의 인지우선순위 변화에 따라 가상 스피커가 형성되는 높이를 재설정할 수 있다.If the recognition priorities of a plurality of output target sound sources change (YES in 802), the vehicle 1 resets 803 virtual layers of virtual speakers based on the change in recognition priority. 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ound controller 300 includes a virtual speaker corresponding to an output target sound source corresponding to a driver's head height, a virtual speaker corresponding to an output target sound source having a higher recognition priority, You can change the virtual layer of virtual speakers to be spaced from your head. That is, the sound controller 300 can reset the height at which the virtual speaker is formed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recognition priority of the sound source to be output.

도 29를 참조하여 예를 들면, 음향 컨트롤러(300)는 후방 충돌 경고 음원의 인지우선순위가 높아지면 후방 충돌 경고 음원을 제공하는 제2 가상 스피커(VS1)의 가상 레이어를 제1 가상 레이어(VL)로 설정하고, 상대적으로 인지우선순위가 낮아진 미디어 음원에 제공하는 제1 가상 스피커(VS1)의 레이어를 제3 가상 레이어(VL3)로 재설정할 수 있다. 29, for example, when the recognition priority of the rear collision warning sound source is high, the sound controller 300 transmits the virtual layer of the second virtual speaker VS1, which provides the rear collision warning sound source, to the first virtual layer VL ), And can re-set the layer of the first virtual speaker VS1 to the third virtual layer VL3, which provides the media sound source with a relatively lower recognition priority.

다시 도 27을 참조하면, 차량(1)은 인지우선순위에 기초하여 가상 스피커(VS1)들의 평면 위치를 재설정한다(804). 음향 컨트롤러(300)는 인지우선순위가 높은 출력대상음원을 제공하는 가상 스피커일수록 운전자와 인접한 평면에 위치시키고, 인지우선순위가 낮은 출력대상음원일수록 운전자의 이격된 평면에 위치 시킬수 있다. 이때, 가상 스피커의 구체적인 평면 위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출력대상음원의 특성에 따라 결정될 수도 있다.Referring again to FIG. 27, the vehicle 1 resets the plane position of the virtual speakers VS1 based on the recognition priority (804). The sound controller 300 may position the virtual speaker on the plane adjacent to the driver as the virtual speaker providing the output target sound source having a higher recognition priority and position the sound source on the separated plane of the driver as the sound source having the lower recognition priority. At this time, the specific plane position of the virtual speaker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und source to be output as described above.

도 29를 참조하여 예를 들면, 음향 컨트롤러(300)는 후방 충돌 경고 음원의 인지우선순위가 높아지면 후방 충돌 경고 음원을 제공하는 제2 가상 스피커(VS2)의 평면 위치를 운전자의 근접한 위치로 재설정하고, 상대적으로 인지우선순위가 낮아진 미디어 음원에 제공하는 제1 가상 스피커(VS1)의 평면 위치를 운전자 이격된 위치로 재설정할 수 있다. 이때, 제2 가상 스피커(VS2)의 평면 위치는 사용자가 충돌 위험 위치를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충돌 위험이 있는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설정될 수 있다.29, for example, the sound controller 300 resets the plane position of the second virtual speaker VS2, which provides a rear collision warning sound source, to a position close to the driver when the recognition priority of the rear collision warning sound source becomes high And to reset the plane position of the first virtual speaker VS1, which provides the relatively low-priority media source to a driver-away position. At this time, the plane position of the second virtual speaker VS2 may be set to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a direction in which a collision risk exists so that the user can intuitively perceive the collision dangerous position.

차량(1)은 위치가 재설정된 복수 개의 가상 스피커(VS1)를 통해 복수 개의 출력대상음원을 제공한다(805). 이와 같이, 복수 개의 출력대상음향의 인지우선순위에 따라 가상 스피커의 위치를 동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음원 인식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특히, 안내 음원과 경고 음원의 인지우선순위 변화에 따라 가상 스피커의 위치를 동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안내 음원과 경고 음원을 효율적으로 인식시킬 수 있다.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요지를 벗어남 없이 개시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을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개시된 발명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될 수 없다.The vehicle 1 provides a plurality of output target sound sources through a plurality of virtual speakers VS1 whose positions are reset (805). As described above,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virtual speaker dynamically according to the recognition priority of a plurality of output target sounds,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recognition degree of the sound source by the user. Particularly,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virtual speaker dynamically according to the change in recognition priority of the guide sound source and the warning sound source, the guide sound source and the warning sound source can be efficiently recognize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Lt; / RTI >

1: 차량 100: 스피커
210: 미디어 장치 220: 네비게이션 장치
230: 통신 장치 240: 근접 센서
250: 메인 프로세서 260: 저장장치
300: 음향 컨트롤러 310: 음원 핸들러
320: 파라미터 산출기 330: 신호 처리기
340: 음원 컨버터 500: 음향 컨트럴로
510: 이벤트 핸들러 530: 미디어 음원 컨트롤러
240: 이벤트 음원 컨트롤러
1: vehicle 100: speaker
210: media device 220: navigation device
230: communication device 240: proximity sensor
250: main processor 260: storage device
300: sound controller 310: sound source handler
320: parameter estimator 330: signal processor
340: Sound source converter 500: With acoustic control
510: Event Handler 530: Media Source Controller
240: Event source controller

Claims (24)

서로 다른 높이에 마련된 복수 개의 스피커; 및
상기 복수 개의 스피커의 출력을 제어하여, 제1 가상 스피커를 통해 제1 음원을 제공하고, 상기 제1 가상 스피커와 다른 위치에 형성된 제2 가상 스피커를 통해 제2 음원을 제공하는 음향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음향 컨트롤러는, 상기 제1 가상 스피커의 위치와 상기 제2 가상 스피커의 위치는 상기 제1 음원과 상기 제2 음원의 인지우선순위에 따라 설정되는 차량
A plurality of speakers provided at different heights; And
And a sound controller for controlling an output of the plurality of speakers to provide a first sound source through a first virtual speaker and a second sound source through a second virtual speaker formed at a different position from the first virtual speaker and,
Wherein the sound controller is configured such that the position of the first virtual speaker and the position of the second virtual speaker are set in accordance with the recognition priority of the first sound source and the second sound sour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지우선순위는 운전자의 인지 중요도에 따라 설정되는 차량.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erceived priority is set according to the perceived importance of the driv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음원과 상기 제2 음원의 인지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제1 가상 스피커와 상기 제2 가상 스피커가 형성될 레이어를 설정하는 차량.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ound controller sets a layer in which the first virtual speaker and the second virtual speaker are formed according to a recognition priority order of the first sound source and the second sound sour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음원과 상기 제2 음원 중 인지우선순위가 높은 음원에 대응되는 가상 스피커를 운전자의 얼굴 높이에 대응되는 레이어에 설정하는 차량.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ound controller sets a virtual speaker corresponding to a sound source having a higher priority among the first sound source and the second sound source to a layer corresponding to a face height of the driv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음원의 인지우선순위보다 상기 제2 음원의 인지우선순위가 높으면, 상기 제2 가상 스피커를 상기 제1 가상 스피커보다 높은 레이어로 설정하는 차량.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ound controller sets the second virtual speaker to a layer higher than the first virtual speaker if the recognition priority of the second sound source is higher than the recognition priority of the first sound sour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음원과 상기 제2 음원의 인지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제1 가상 스피커와 상기 제2 가상 스피커가 형성될 평면 좌표를 설정하는 차량.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ound controller sets the plane coordinates at which the first virtual speaker and the second virtual speaker are to be formed according to the recognition priorities of the first sound source and the second sound sourc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음원과 상기 제2 음원 중 인지우선순위가 높은 음원에 대응되는 가상 스피커의 평면 좌표를 운전자와 더 인접하게 설정하는 차량.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sound controller sets the plane coordinates of a virtual speaker corresponding to a sound source having a higher priority among the first sound source and the second sound source to be closer to the driv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음원의 인지우선순위와 상기 제2 음원의 인지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제1 음원과 상기 제2 음원의 주파수 특성을 결정하는 차량.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ound source controller determines a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first sound source and the second sound source according to a recognition priority order of the first sound source and a recognition priority order of the second sound sourc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음원보다 인지우선순위가 높은 상기 제2 음원의 주파수를 상기 제1 음원의 주파수보다 높게 설정하는 차량.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sound source controller sets a frequency of the second sound source having a higher recognition priority than the first sound source to be higher than a frequency of the first sound sour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는, 차량의 천장에 배치된 상부 스피커; 및
상기 상부 스피커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된 하부 스피커;를 포함하는 차량.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peaker includes: an upper speaker disposed on a ceiling of the vehicle; And
And a lower speaker disposed at a lower position than the upper speak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음원과 상기 제2 음원의 인지우선순위가 변경되면, 변경된 인지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제1 가상 스피커와 상기 제2 가상 스피커의 위치를 재설정하는 차량.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ound source controller resets the positions of the first virtual speaker and the second virtual speaker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d recognition priority when the recognition priorities of the first sound source and the second sound source are chang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음원과 상기 제1 음원은 미디어를 제공하기 위한 미디어 음원, 통화를 제공하기 위한 통화 음원,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안내 음원, 및 위험 상황을 알리기 위한 경고 음원 중 하나이고, 상기 제1 음원과 상기 제2 음원은 서로 다른 음원인 차량.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sound source and the first sound source are one of a media sound source for providing media, a talking sound source for providing a call, a guidance sound source for providing information, and a warning sound source for notifying a dangerous situation, And the second sound source are different sound sources.
서로 다른 높이에 마련된 복수 개의 스피커; 및
제1 가상 스피커가 형성되도록 상기 복수 개의 스피커를 제어하고, 상기 제1 가상 스피커를 통해 제1 음원을 제공하는 음향 컨트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음향 컨트롤러는 제2 음원이 입력되면, 상기 제1 가상 스피커와 다른 위치에 제2 가상 스피커를 형성하여 상기 제2 음원을 제공하고,
상기 음향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음원의 인지우선순위와 상기 제2 음원의 인지우선순위를 비교하여 상기 제2 가상 스피커가 형성될 레이어를 결정하는 차량.
A plurality of speakers provided at different heights; And
And a sound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plurality of speakers to form a first virtual speaker and providing a first sound source through the first virtual speaker,
Wherein the sound controller provides the second sound source by forming a second virtual speaker at a posi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virtual speaker when the second sound source is input,
Wherein the sound controller determines a layer on which the second virtual speaker is to be formed by comparing the recognition priority of the first sound source with the recognition priority of the second sound sourc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컨트롤러는, 상기 제2 음원의 인지우선순위가 상기 제1 음원의 인지우선순위보다 높으며, 운전자의 얼굴 높이에 대응되는 레이어로 상기 제2 가상 스피커의 레이어를 설정하는 차량.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sound controller sets the layer of the second virtual speaker to a layer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face of the driver, wherein the recognition priority of the second sound source is higher than the recognition priority of the first sound sourc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컨트롤러는, 상기 제1 가상 스피커의 레이어를 상기 제2 가상 스피커의 레이어보다 낮게 설정하는 차량.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sound controller sets the layer of the first virtual speaker to be lower than the layer of the second virtual speaker.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음원의 인지우선순위와 상기 제2 음원의 인지우선순위를 비교하여, 상기 제2 가상 스피커와 상기 제2 가상 스피커의 평면 좌표를 결정하는 차량.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sound controller compares the recognition priority of the first sound source with the recognition priority of the second sound source to determine the plane coordinates of the second virtual speaker and the second virtual speaker.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컨트롤러는, 상기 제2 음원의 인지우선순위가 상기 제1 음원의 인지우선순위보다 높으며, 상기 제1 가상 스피커보다 상기 제2 가상 스피커가 운전자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도록 상기 제2 가상 스피커의 평면 좌표를 설정하는 차량.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sound controller is further configured to determine that the recognition rate of the second virtual speaker is higher than the recognition priority of the first virtual speaker and that the second virtual speaker is located at a position closer to the driver than the first virtual speaker Vehicle that sets the plane coordinates.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음원과 상기 제2 음원의 인지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제1 음원과 상기 제2 음원의 주파수 특성을 결정하는 차량.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sound source controller determines a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first sound source and the second sound source according to a recognition priority order of the first sound source and the second sound source.
서로 다른 높이에 마련된 복수 개의 스피커를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스피커를 이용하여 형성된 제1 가상 스피커를 통해 미디어 음원을 제공하는 제1 제공 단계; 및
이벤트 음원이 입력되면, 상기 제1 가상 스피커를 통해 상기 미디어 음원을 제공하고, 상기 제1 가상 스피커와 다른 위치에 형성된 제2 가상 스피커를 통해 상기 이벤트 음원을 제공하는 제2 제공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제공 단계는,
상기 이벤트 음향의 인지 중요도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제2 가상 스피커를 운전자와 인접한 위치로 재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이벤트 음향의 인지 중요도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제1 가상 스피커를 상기 운전자와 이격된 위치로 재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A method of controlling a vehicle including a plurality of speakers provided at different heights.
A first providing step of providing a media sound source through a first virtual speaker formed using the plurality of speakers; And
And a second providing step of providing the media sound source through the first virtual speaker when the event sound source is input and providing the event sound source through a second virtual speaker formed at a posi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virtual speaker ,
Wherein the second providing step comprises:
Resetting the second virtual speaker to a position adjacent to the driver as the perceived importance of the event sound increases; And
And resetting the first virtual speaker to a position away from the driver as the perceived importance of the event sound increases.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음원은 통화를 제공하기 위한 통화음원,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안내음원, 및 위험 상황을 알리기 위한 경고음원 중 적어도 하나인 차량의 제어방법.
20. The method of claim 19,
Wherein the event sound source is at least one of a call sound source for providing a call, a guide sound source for providing information, and a warning sound source for notifying a dangerous situation.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공 단계는, 상기 제2 가상 스피커는 운전자의 얼굴에 대응되는 레이어로 설정되고, 상기 제1 가상 스피커는 상기 제2 가상 스피커보다 하위 레이어로 설정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20. The method of claim 19,
Wherein the second providing step is configured such that the second virtual speaker is set to a layer corresponding to the face of the driver and the first virtual speaker is set to a lower layer than the second virtual speaker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공 단계는, 상기 제1 가상 스피커보다 상기 제2 가상 스피커가 운전자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도록 상기 제1 가상 스피커와 상기 제2 가상 스피커의 평면 위치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20. The method of claim 19,
Wherein the second providing step comprises setting a plane position of the first virtual speaker and the second virtual speaker such that the second virtual speaker is form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driver than the first virtual speaker Control meth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공 단계는, 상기 이벤트 음원은 고음으로 출력하고, 상기 미디어 음원은 저음으로 출력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providing step outputs the event sound source at a high tone and outputs the media sound source at a low to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공 단계는, 상기 이벤트 음원의 출력 주기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second providing step includes adjusting an output period of the event sound source.
KR1020170014392A 2017-02-01 2017-02-01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74637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4392A KR101746377B1 (en) 2017-02-01 2017-02-01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4392A KR101746377B1 (en) 2017-02-01 2017-02-01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9218A Division KR20160135617A (en) 2015-05-18 2015-05-18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6902A true KR20170016902A (en) 2017-02-14
KR101746377B1 KR101746377B1 (en) 2017-06-27

Family

ID=58121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4392A KR101746377B1 (en) 2017-02-01 2017-02-01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6377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35110A3 (en) * 2017-08-18 2019-05-09 Francis Fergus Gorman A device for operating a sounder to produce a plurality of different sounds, and a method for operating a sounder to produce a plurality of different sounds
KR20220073473A (en) * 2020-11-26 2022-06-03 주식회사 드림에이스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system based on vehicle virtual structur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66010B2 (en) 2003-07-31 2010-05-26 ソニー株式会社 In-vehicle 5-channel audio device
JP2006295443A (en) 2005-04-08 2006-10-26 Denso Corp Voice output control device and voice output control progra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35110A3 (en) * 2017-08-18 2019-05-09 Francis Fergus Gorman A device for operating a sounder to produce a plurality of different sounds, and a method for operating a sounder to produce a plurality of different sounds
KR20220073473A (en) * 2020-11-26 2022-06-03 주식회사 드림에이스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system based on vehicle virtual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6377B1 (en) 2017-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7825B1 (en)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106998518B (en) Vehicle, apparatus and method for personalized sound isolation in a vehicle audio zone
KR102388989B1 (en) Spacial sonification of accelerating objects
US10070242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conveying audio information in vehicles
US20210380055A1 (en) Vehicular independent sound field forming device and vehicular independent sound field forming method
JP2013198065A (en) Sound presentation device
US20190215606A1 (e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526081B1 (e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US20140365073A1 (en) System and method of communicating with vehicle passengers
KR101746377B1 (en)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2459237B1 (e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US20220095046A1 (en) Hybrid in-car speaker and headphone based acoustical augmented reality system
CN113581071A (en) System and method for external environment sensing and rendering
KR20210096879A (e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US11974103B2 (en) In-car headphone acoustical augmented reality system
KR101716248B1 (en) Audio apparatus, vehicle hav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23126871A (en) Spatial infotainment rendering system for vehicles
KR20160135617A (en)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587063B1 (en) Terminal, Vehicle communicating with th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1303950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xt awareness using position sensors and virtual acoustic modeling
KR102394910B1 (en) Amplifier, vehicle sound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445319B2 (en) Device for outputting audio signals into the interior of a motor vehicle
US20190052992A1 (en) Vehicle audio system with reverberant content presentation
WO2023154438A1 (en) Audio control in vehicle cabin
KR20130064502A (en) Navigatio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udio output of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