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6726A - 가상 가전기기 지원 장치 및 가상 가전기기 지원 방법 - Google Patents

가상 가전기기 지원 장치 및 가상 가전기기 지원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6726A
KR20170016726A KR1020150110188A KR20150110188A KR20170016726A KR 20170016726 A KR20170016726 A KR 20170016726A KR 1020150110188 A KR1020150110188 A KR 1020150110188A KR 20150110188 A KR20150110188 A KR 20150110188A KR 20170016726 A KR20170016726 A KR 201700167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me appliance
user terminal
control command
emulator
virt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0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용석
김영한
박용주
안현석
김종우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1101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16726A/ko
Publication of KR20170016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67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L67/3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8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terminal emulation, e.g. Telnet
    • H04L67/1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가상으로 가전기기를 체험할 수 있도록 하는 가상 가전기기 지원 기술에 관한 것으로, 가상 가전기기 지원 장치는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가전기기의 동작을 정의한 가전기기 드라이버를 수신하여 등록하고, 제어 대상 가전기기 및 해당 가전기기에 대한 제어 명령을 수신하면 등록된 가전기기 드라이버 가운데 상기 제어 대상 가전기기에 대응되는 가전기기 드라이버에서 상기 제어 명령을 실행하는 에뮬레이터,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어 대상 가전기기 및 해당 가전기기에 대한 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상기 에뮬레이터에 전송하고, 상기 에뮬레이터에서 상기 제어 대상 가전기기에 대한 제어 명령 실행 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시뮬레이터 및 상기 에뮬레이터에 특정 가전기기에 대한 사용 현황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에뮬레이터로부터 상기 사용 현황 정보를 수신하여 제3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서비스 코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상 가전기기 지원 장치 및 가상 가전기기 지원 방법{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A VIRTUAL HOME APPLIANCE}
본 발명은 사용자가 가상으로 가전기기를 체험할 수 있도록 하는 가상 가전기기 지원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상으로 가전기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여 가전기기에 대한 연구 및 개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가상 가전기기 지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상 가전기기 지원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정 내 가전기기들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이나 PC등을 통해 원격으로 가전기기들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거나 가전기기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가전기기 네트워크를 통해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또는 스마트 홈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무선 통신 기술이나 센서 기술 등의 발전에 따른 설비의 구축 비용 감소, 스마트 단말 사용자의 증가, 네트워크 보안과 에너지 관리에 대한 관심 증대 등의 요인으로 최근 가전기기 네트워크를 이용한 사물인터넷 또는 스마트 홈 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가전기기 네트워크를 이용한 사물인터넷 또는 스마트 홈 기술에 대한 연구를 위해서는 각종 가전기기들이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가전기기 네트워크가 구축되어야 한다. 가전기기 네트워크가 구축되었더라도, 가전기기의 연결 프로토콜 구조 및 가전기기의 제어 특성에 따라 서비스 등의 연구 및 개발에 활용이 불가능할 수도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400459호는 가전기기 네트워킹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각각 상이한 수준의 복암호화 레벨에 따라 네트워크망과 정보를 송수신하는 가전기기가 가전기기 및 네트워크망 규격에 따라 상기 정보인 제어정보 및 상태정보를 변환하는 에이전트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망과 직접 또는 간접으로 연결됨으로써, 하나의 네트워크망을 통하여 복수개의 가전기기가 연결되어 상호 제어정보 및 그에 따른 상태정보를 교환하고 동일한 복암호화 레벨 및 데이터 변환 알고리즘을 사용하지 않고도 현실적으로 연동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400459호 (2003.09.22)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가상으로 가전기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여 가전기기에 대한 연구 및 개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가상 가전기기 지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상 가전기기 지원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가상 가전기기에 대한 사용 정보를 제공하여 서비스 제공자가 사물인터넷 서비스 및 스마트 홈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도록 하는 가상 가전기기 지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상 가전기기 지원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가상으로 가전기기를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가전기기 및 해당 가전기기에 대한 서비스를 미리 체험할 수 있는 가상 가전기기 지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상 가전기기 지원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가 체험할 수 있는 가상 가전기기를 등록하여 개발자가 개발 중인 가전기기를 테스트할 수 있는 가상 가전기기 지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상 가전기기 지원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가상 가전기기 지원 장치는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가전기기의 동작을 정의한 가전기기 드라이버를 수신하여 등록하고, 제어 대상 가전기기 및 해당 가전기기에 대한 제어 명령을 수신하면 등록된 가전기기 드라이버 가운데 상기 제어 대상 가전기기에 대응되는 가전기기 드라이버에서 상기 제어 명령을 실행하는 에뮬레이터,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어 대상 가전기기 및 해당 가전기기에 대한 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상기 에뮬레이터에 전송하고, 상기 에뮬레이터에서 상기 제어 대상 가전기기에 대한 제어 명령 실행 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시뮬레이터 및 상기 에뮬레이터에 특정 가전기기에 대한 사용 현황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에뮬레이터로부터 상기 사용 현황 정보를 수신하여 제3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서비스 코어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에뮬레이터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특정 가전기기에 대한 상태 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에뮬레이터는 등록된 가전기기 드라이버를 기초로 가상 가전기기 리스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가상 가전기기 리스트를 상기 서비스 코어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에뮬레이터는 상기 수신된 가전기기에 대한 제어 명령을 실제 가전기기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시뮬레이터는 상기 제어 대상 가전기기 및 해당 가전기기에 대한 제어 명령을 기초로, 활성화된 가상 가전기기 리스트를 상기 서비스 코어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서비스 코어는 상기 활성화된 가상 가전기기 리스트를 기초로 해당 리스트에 포함된 가상 가전기기에 대한 가전기기 활용 서비스 정보를 상기 시뮬레이터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3 사용자 단말은 상기 수신된 사용 현황 정보를 기초로 각 가상 가전기기에 대한 사용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실시예들 중에서, 가상 가전기기 지원 방법은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어 대상 가전기기 및 해당 가전기기에 대한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 대상 가전기기 및 해당 가전기기에 대한 제어 명령을 수신하면 등록된 가전기기 드라이버 가운데 상기 제어 대상 가전기기에 대응되는 가전기기 드라이버에서 상기 제어 명령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제어 대상 가전기기에 대한 제어 명령 실행 결과를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제3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특정 가전기기에 대한 사용 현황 정보를 상기 제3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상 가전기기 지원 방법은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가전기기 드라이버를 입력받아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가전기기 지원 장치 및 가상 가전기기 지원 방법은 가상으로 가전기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여 가전기기에 대한 연구 및 개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가전기기 지원 장치 및 가상 가전기기 지원 방법은 가상 가전기기에 대한 사용 정보를 제공하여 서비스 제공자가 사물인터넷 서비스 및 스마트 홈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가전기기 지원 장치 및 가상 가전기기 지원 방법은 가상으로 가전기기를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가전기기 및 해당 가전기기에 대한 서비스를 미리 체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가전기기 지원 장치 및 가상 가전기기 지원 방법은 사용자가 체험할 수 있는 가상 가전기기를 등록하여 개발자가 개발 중인 가전기기를 테스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가전기기 지원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가상 가전기기 지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가상 가전기기 지원 장치에서 수행되는 가상 가전기기 지원 방법의 일부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가상 가전기기 지원 장치에서 수행되는 가상 가전기기 지원 방법의 다른 일부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가전기기 지원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가상 가전기기 지원 시스템(100)은 제1 사용자 단말(110), 제2 사용자 단말(120), 제3 사용자 단말(130) 및 가상 가전기기 지원 장치(140)를 포함한다. 가상 가전기기 지원 장치(140)는 시뮬레이터(142), 서비스 코어(144) 및 에뮬레이터(146)를 포함한다.
제1 사용자 단말(110)은 제1 사용자의 제어에 의해 특정 가상 가전기기의 동작을 정의한 가전기기 드라이버를 생성하거나 기 생성된 가전기기 드라이버를 입력받는다. 또한, 제1 사용자 단말(110)은 해당 가상 가전기기에 대한 설명, 제어 명령 및 통신 방법을 정의한 가상 가전기기 정의 파일을 생성하거나 기 생성된 가상 가전기기 정의 파일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해당 가상 가전기기 정의 파일은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언어로 가상 가전기기에 대한 설명, 제어 명령 및 통신 방법을 기술한 XML 파일에 해당할 수 있다. 가전기기 드라이버와 가상 가전기기 정의 파일은 기 설정된 규칙에 따라 작성되어야 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사용자는 가상 가전기기를 제작하여 등록하고자 하는 사용자, 예를 들어, 개발자에 해당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단말(110)은 생성 또는 입력된 가전기기 드라이버와 가상 가전기기 정의 파일을 제1 사용자의 제어에 의해 가상 가전기기 지원 장치(140)에 전송한다. 일 실시예에서, 가상 가전기기 지원 장치(140)는 웹(Web) 접속을 제공하고, 제1 사용자 단말(110)은 웹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개발자 전용 웹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가상 가전기기 지원 장치(140)에 접속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단말(110)은 웹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가상 가전기기 지원 장치(14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가상 가전기기 지원 장치(140)의 에뮬레이터(146)는 수신된 가전기기 드라이버와 가상 가전기기 정의 파일을 등록하고, 등록 결과를 제1 사용자 단말(110)에 회신할 수 있다. 가상 가전기기 지원 장치(140)에는 테스트 또는 연구/개발의 대상이 되는 다양한 종류, 다양한 형태의 가전기기 드라이버가 등록될 수 있다.
제1 사용자 단말(110)은 제1 사용자의 제어에 의해 가상 가전기기 지원 장치(140)에 등록된 가상 가전기기 중 특정 가상 가전기기에 대한 상태 정보를 가상 가전기기 지원 장치(140)에 요청할 수 있다. 가상 가전기기 지원 장치(140)는 요청된 가전기기에 대한 가전기기 드라이버로부터 상태 정보를 획득하여 제1 사용자 단말(110)에 제공할 수 있다.
가상 가전기기 지원 장치(140)는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 드라이버를 통해 다른 사용자(예를 들어, 제2 사용자 또는 제3 사용자)가 가상으로 가전기기를 체험하고, 해당 가전기기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제2 사용자 단말(120)은 제2 사용자의 제어에 의해 가상 가전기기 지원 장치(140)에 접속하고, 가상 가전기기 지원 장치(140)는 제2 사용자 단말(120)에 가전기기의 가상 체험 환경을 제공한다. 가상 가전기기 지원 장치(140)는 웹 접속을 제공하고, 제2 사용자 단말(120)은 웹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사용자 전용 웹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가상 가전기기 지원 장치(140)에 접속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단말(120)은 웹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가상 가전기기 지원 장치(14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상 가전기기 지원 장치(140)는 가상 가전기기를 제어 또는 구동하고, 가상 가전기기의 기능, 구동 상태, 사용 효과 등을 체험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2 사용자 단말(120)에 제공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단말(120)은 제공받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여 제2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사용자는 가상 가전기기를 체험하고자 하는 사용자, 예를 들어, 일반 사용자에 해당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단말(120)은 제2 사용자의 제어에 의해 제어 대상 가전기기를 선택하고, 해당 가전기기에 대한 제어 명령을 입력 받는다. 제2 사용자 단말(120)은 제어 대상 가전기기 및 해당 가전기기에 대한 제어 명령을 가상 가전기기 지원 장치(140)에 전송한다. 가상 가전기기 지원 장치(140)는 제어 대상 가전기기에 대한 가전기기 드라이버에서 해당 제어 명령을 실행하고, 제어 명령 실행 결과를 제2 사용자 단말(120)에 제공한다. 제2 사용자 단말(120)은 수신된 실행 결과를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 대상 가전기기 및 해당 가전기기에 대한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가상 가전기기 지원 장치(140)는 해당 제어 대상 가전기기에 대한 가전기기 활용 서비스 정보를 제2 사용자 단말(120)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전기기 활용 서비스 정보는 특정 가전기기를 이용하여 특정 요리를 하는 방법, 특정 가전기기를 이용하여 다른 가전기기 사용자와 메시지를 주고받거나 통화를 하는 방법, 특정 가전기기를 이용하여 상품 또는 서비스를 주문하는 방법 등과 같이 가전기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제공받을 수 있는 각종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사용자는 제공받은 가전기기 활용 서비스 정보를 기초로 해당 가전기기에 대한 다양한 체험을 할 수 있다.
제3 사용자 단말(130)은 제3 사용자의 제어에 의해 가상 가전기기 지원 장치(140)에 접속하고, 가상 가전기기 지원 장치(140)에 특정 가전기기에 대한 사용 현황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가상 가전기기 지원 장치(140)는 요청된 가전기기에 대한 가전기기 드라이버로부터 사용 현황 정보를 획득하여 제3 사용자 단말(110)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3 사용자는 가전기기를 이용한 응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예를 들어, 응용 서비스 제공자에 해당할 수 있다.
가상 가전기기 지원 장치(140)는 웹 접속을 제공하고, 제3 사용자 단말(130)은 웹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응용 서비스 제공자 전용 웹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가상 가전기기 지원 장치(140)에 접속할 수 있다. 제3 사용자 단말(130)은 웹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가상 가전기기 지원 장치(14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3 사용자 단말(130)은 수신된 사용 현황 정보를 기초로 각 가상 가전기기에 대한 사용 패턴을 분석하고, 이를 기초로 각 가전기기에 대한 응용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 대상 가전기기 및 해당 가전기기에 대한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가상 가전기기 지원 장치(140)는 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활성화된 가전기기에 대한 목록을 제3 사용자 단말(130)에 제공할 수 있다. 제3 사용자 단말(130)은 활성화된 각 가전기기에 대한 추천 활용 서비스 정보를 검색하여 가상 가전기기 지원 장치(140)에 제공할 수 있다. 제3 사용자 단말(130)은 각 가전기기별로 활용 서비스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가상 가전기기 지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가상 가전기기 지원 장치(140)는 시뮬레이터(210), 에뮬레이터(220) 및 서비스 코어(230)를 포함한다.
시뮬레이터(210)는 제1 웹 지원부(211), 시뮬레이터 매니저(213), 그래픽 생성부(215), 명령어 해석부(217) 및 제1 제어부(219)를 포함한다.
시뮬레이터(210)는 제2 사용자 단말(120)에 가전기기의 가상 체험 환경을 제공한다. 시뮬레이터(210)는 제2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제어 대상 가전기기 및 해당 가전기기에 대한 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에뮬레이터(220)에 전송하고, 에뮬레이터(220)에서 제어 대상 가전기기에 대한 제어 명령 실행 결과를 수신하여 제2 사용자 단말(120)에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 대상 가전기기 및 해당 가전기기에 대한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시뮬레이터(210)는 해당 제어 대상 가전기기에 대한 가전기기 활용 서비스 정보를 제2 사용자 단말(120)에 제공할 수 있다.
제1 웹 지원부(211)는 사용자 단말에 웹 접속을 지원한다. 시뮬레이터(210)는 웹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2 사용자 단말(12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웹 지원부(211)는 제2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하거나, 제어 명령에 대한 실행 결과를 제2 사용자 단말(120)에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제1 웹 지원부(211)는 가전기기 활용 서비스 정보를 제2 사용자 단말(120)에 제공할 수 있다.
시뮬레이터 매니저(213)는 운영자가 시뮬레이터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그래픽 생성부(215)는 가상 가전기기를 제어 또는 구동하고, 가상 가전기기의 기능, 구동 상태, 사용 효과 등을 체험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그래픽으로 생성하여 제2 사용자 단말(120)에 제공한다. 또한, 그래픽 생성부(215)는 제어 명령 실행 결과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제2 사용자 단말(120)에 제공할 수 있다.
명령어 해석부(217)는 제2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을 해석하여 해당 가전기기에 대한 명령어로 번역한다.
제1 제어부(219)는 시뮬레이터(210)에서 수행되는 프로세스를 제어하고 에뮬레이터(220) 또는 서비스 코어(230)와 통신을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제어부(219)는 IPC(Inter Process Communication)를 통해 에뮬레이터(220) 또는 서비스 코어(230)와 통신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제어부(219)는 제어 대상 가전기기 및 해당 가전기기에 대한 제어 명령을 에뮬레이터(220)에 전송하고, 에뮬레이터(220)로부터 제어 명령에 대한 실행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어부(219)는 활성화된 가전기기 리스트를 서비스 코어(230)에 전송하고, 서비스 코어(230)로부터 활성화된 가전기기에 대한 활용 서비스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시뮬레이터(210)는 제2 사용자의 실제 가전기기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가전기기 인터페이스(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시뮬레이터(210)는 가전기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2 사용자가 실제 가전기기에 입력한 제어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시뮬레이터(210)는 가전기기 실사용 환경에서 제2 사용자가 자연스럽게 입력한 제어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에뮬레이터(220)는 제2 웹 지원부(221), 에뮬레이터 매니저(222), 제2 제어부(223), 팩토리(224), IO 지원부(225), HAL부(226), 가전기기 드라이버(227) 및 가전기기 인터페이스(228)를 포함한다.
에뮬레이터(220)는 제1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가전기기의 동작을 정의한 가전기기 드라이버를 수신하여 등록한다. 에뮬레이터(220)는 등록된 가전기기 드라이버를 구동하여 가상 가전기기를 동작시킬 수 있다. 에뮬레이터(220)는 등록된 가전기기 드라이버를 구동하고, 시뮬레이터(210)로부터 제어 대상 가전기기 및 해당 가전기기에 대한 제어 명령을 수신하면 등록된 가전기기 드라이버 가운데 제어 대상 가전기기에 대응되는 가전기기 드라이버에서 제어 명령을 실행한다. 에뮬레이터(220)는 제어 명령 실행 결과를 시뮬레이터(210)에 전송한다. 또한, 에뮬레이터(220)는 요청에 따라 가전기기의 상태 정보를 제1 사용자 단말(110)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나의 제어 명령 또는 연속된 복수의 제어 명령들을 실행한 결과, 가전기기 드라이버에서 기 정의되지 않은 특이 동작이 실행되는 경우, 에뮬레이터(220)는 해당 동작을 유발한 제어 명령(하나의 제어 명령 또는 연속된 복수의 제어 명령들)과 실행 결과를 제1 사용자 단말(110) 또는 서비스 코어(23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뮬레이터(220)는 해당 동작을 유발한 제어 명령(하나의 제어 명령 또는 연속된 복수의 제어 명령들)과 실행 결과를 제1 사용자 단말(110)에 전송하여 리포팅할 수 있다. 연속된 복수의 제어 명령들을 전송하는 경우, 특이 동작이 실행된 기능의 중요도와 제어 명령 사이의 입력 시간 간격을 기초로 전송할 명령어의 개수가 정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이 동작이 실행되기 직전 제어 명령부터 시작해서, 이전 제어 명령과 현재 제어 명령 사이의 시간 간격이 실행된 기능의 중요도에 따라 정의된 입력 시간 간격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해당 제어 명령들을 모두 전송할 수 있다.
가전기기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특이 동작인 경우 에뮬레이터(220)는 해당 동작을 유발한 제어 명령(하나의 제어 명령 또는 연속된 복수의 제어 명령들)과 실행 결과를 서비스 코어(230)에 전송한다. 서비스 코어(230)는 제3 사용자 단말(130)에 이를 전송하여 해당 가전기기에 대한 새로운 응용 서비스를 개발하거나, 기존 응용 서비스를 개선하는데 사용되도록 할 수 있다.
제2 웹 지원부(221)는 사용자 단말에 웹 접속을 지원한다. 에뮬레이터(220)는 웹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1 사용자 단말(110)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웹 지원부(221)는 제1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가전기기 드라이버와 가상 가전기기 정의 파일을 수신하여 등록하고, 등록 결과를 제1 사용자 단말(110)에 회신할 수 있다. 또한, 제2 웹 지원부(221)는 제1 사용자 단말(110)의 요청에 따라 특정 가전기기의 상태 정보를 제1 사용자 단말(110)에 전송할 수 있다.
에뮬레이터 매니저(222)는 운영자가 에뮬레이터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팩토리(224)는 수신된 가전기기 드라이버와 가상 가전기기 정의 파일을 에뮬레이터에 등록하고 가전기기 드라이버를 관리한다.
IO 지원부(225)는 가전기기 드라이버에 대한 입출력을 지원한다. IO 지원부(225)는 가전기기 드라이버에 제어 명령을 전달하고, 가전기기 드라이버로부터 상태 정보를 읽어온다. 또한, IO 지원부(225)는 제2 제어부(223)와 HAL부(226) 사이의 명령어 해석 및 명령어 전달을 수행한다.
HAL부(226)는 하드웨어 추상화 층(HAL, Hardware Abstraction Layer)으로, IO 지원부(225)와 가전기기 드라이버 사이를 연동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가전기기 드라이버(227)는 에뮬레이터(220)에서 구동되고 있는 가전기기 드라이버로서, 에뮬레이터(22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전기기 드라이버(227)가 구동될 수 있다. 가전기기 드라이버(227)는 수신된 제어 명령을 실행하고 실행 결과를 회신할 수 있다. 또한, 요청에 따라 상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가전기기 인터페이스(228)는 실제 가전기기와 연결되어 실제 가전기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전기기 인터페이스(228)는 에뮬레이터(220)가 가상 가전기기 지원 장치(140) 외부의 실제 가전기기와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에뮬레이터(220)와 연결된 실제 가전기기를 제어 대상 가전기기로 하여 제어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가전기기 인터페이스(228)는 수신된 제어 명령을 연결된 실제 가전기기에 전송하고, 해당 가전기기로부터 실행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제2 제어부(223)는 수신된 가전기기 드라이버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가전기기 드라이버를 관리한다. 또한, 제2 제어부(223)는 에뮬레이터(220)에서 수행되는 프로세스를 제어하고 시뮬레이터(210) 또는 서비스 코어(230)와 통신을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제어부(223)는 IPC를 통해 시뮬레이터(210) 또는 서비스 코어(230)와 통신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제어부(223)는 시뮬레이터(210)로부터 제어 대상 가전기기 및 해당 가전기기에 대한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제어 명령에 대한 실행 결과를 시뮬레이터(21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2 제어부(223)는 가상 가전기기 리스트를 서비스 코어(230)에 전송하고, 서비스 코어(230)로부터 요청된 가전기기에 대한 사용 현황 정보를 서비스 코어(230)에 전송할 수도 있다.
서비스 코어(230)는 코어 매니저(231), 제3 제어부(233),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5) 및 프로토콜 변환부(237)를 포함한다.
서비스 코어(230)는 에뮬레이터(220)에 특정 가전기기에 대한 사용 현황을 요청하고, 에뮬레이터(220)로부터 사용 현황 정보를 수신하여 제3 사용자 단말(130)에 제공한다. 서비스 코어(230)는 시뮬레이터(210)로부터 활성화된 가상 가전기기 리스트를 수신하고, 해당 리스트에 포함된 가상 가전기기에 대한 가전기기 활용 서비스 정보를 시뮬레이터(210)에 제공한다.
코어 매니저(231)는 운영자가 서비스 코어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5)는 제3 사용자 단말(130)에 네트워크 접속을 지원하고, 제3 사용자 단말(130)과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일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5)는 제3 사용자 단말(130)에 웹 접속을 지원할 수 있다.
프로토콜 변환부(237)는 다양한 상위 응용 서비스와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다양한 상위 응용 서비스의 통신 프로토콜 구조를 분석하고, 프로토콜 변환을 통해 다양한 상위 응용 서비스가 에뮬레이터(22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제3 제어부(233)는 서비스 코어(230)에서 수행되는 프로세스를 제어하고 시뮬레이터(210) 또는 에뮬레이터(220)와 통신을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3 제어부(233)는 IPC를 통해 시뮬레이터(210) 또는 에뮬레이터(220)와 통신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제어부(233)는 에뮬레이터(220)에 특정 가전기기에 대한 사용 현황을 요청하고, 사용 현황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3 제어부(233)는 시뮬레이터(210)로부터 활성화된 가상 가전기기 리스트를 수신하고, 해당 리스트에 포함된 가상 가전기기에 대한 가전기기 활용 서비스 정보를 시뮬레이터(21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있는 가상 가전기기 지원 장치에서 수행되는 가상 가전기기 지원 방법의 일부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사용자 단말(110)은 가전기기 드라이버를 생성 또는 입력받고(단계 S312), 가전기기 드라이버를 에뮬레이터(220)에 전송하여 등록을 요청한다(단계 S314). 일 실시예에서, 제1 사용자 단말(110)은 가전기기 드라이버에 대한 가상 가전기기 정의 파일 에뮬레이터(220)에 전송할 수 있다.
에뮬레이터(220)는 수신된 가전기기 드라이버와 가상 가전기기 정의 파일이 기 설정된 규칙에 따라 작성되었는 지 여부를 체크하고, 가전기기 드라이버를 등록한다(단계 S316). 등록 과정을 종료한 후, 에뮬레이터(220)는 가전기기 드라이버 등록 결과를 제1 사용자 단말(110)에 회신한다(단계 S318).
에뮬레이터(220)는 등록된 가전기기 드라이버를 기초로, 해당 에뮬레이터(220)에 등록된 가상 가전기기 리스트를 서비스 코어(230)에 전송한다(단계 S320). 서비스 코어(230)는 제3 사용자 단말(130)의 요청에 따라 가상 가전기기 리스트를 제3 사용자 단말(130)에 제공한다(단계 S322).
제3 사용자 단말(130)은 제3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서비스 코어(230)에 특정 가전기기에 대한 사용 현황을 요청할 수 있다(단계 S324). 서비스 코어(230)는 에뮬레이터(220)에 해당 특정 가전기기에 대한 사용 현황을 요청하고(단계 S326), 에뮬레이터(220)는 요청에 따라 해당 가전기기에 대한 사용 현황 정보를 서비스 코어(230)에 제공한다(단계 S328).
서비스 코어(230)는 수신된 가전기기에 대한 사용 현황 정보를 제3 사용자 단말(130)에 제공한다(단계 S330). 제3 사용자 단말(130)은 수신된 가전기기에 대한 사용 현황 정보를 기초로 해당 가전기기에 대한 사용자의 사용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단계 S332). 분석된 사용 패턴을 해당 가전기기에 대한 새로운 응용 서비스를 개발하거나, 기존 응용 서비스를 개선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제1 사용자 단말(110)은 제1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에뮬레이터(220)에 가전기기의 상태 정보를 요청할 수 있고(단계 S334), 에뮬레이터(220)는 요청된 가전기기에 대한 가전기기 드라이버로부터 상태 정보를 읽어 제1 사용자 단말(110)에 제공할 수 있다(단계 S336).
도 4는 도 1에 있는 가상 가전기기 지원 장치에서 수행되는 가상 가전기기 지원 방법의 다른 일부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에뮬레이터(220)는 등록된 가전기기 드라이버를 기초로, 해당 에뮬레이터(220)에서 체험 가능한 가상 가전기기 리스트를 시뮬레이터(210)에 제공한다(단계 S412). 일 실시예에서, 시뮬레이터(210)는 에뮬레이터(220)에 체험 가능한 가상 가전기기의 리스트를 요청할 수 있다.
시뮬레이터(210)는 수신된 가상 가전기기 리스트와 제2 사용자에 의해 기 사용 등록된 가전기기 리스트를 제2 사용자 단말(120)에 제공한다(단계 S414, 단계 S416). 제2 사용자의 제어에 의해 사용(또는, 체험)할 가전기기가 선택되는 경우, 제2 사용자 단말(120)은 시뮬레이터(210)에 가전기기 추가 등록을 요청하고(단계 S418), 시뮬레이터(210)는 사용할 가전기기를 등록한 등록 결과를 제2 사용자 단말(120)에 회신한다(단계 S420).
제2 사용자 단말(120)는 제2 사용자의 제어에 의해 제어 대상 가전기기 및 해당 가전기기에 대한 제어 명령을 입력받고, 제어 대상 가전기기 및 해당 가전기기에 대한 제어 명령을 시뮬레이터(210)에 전송한다(단계 S422). 시뮬레이터(210)는 수신된 제어 대상 가전기기 및 해당 가전기기에 대한 제어 명령을 에뮬레이터(220)에 전송하고(단계 S424), 에뮬레이터(220)는 수신된 제어 명령을 해당 가전기기에 대한 가전기기 드라이버에서 실행한다(단계 S426). 에뮬레이터(220)는 제어 명령의 실행 결과를 시뮬레이터(210)에 전송하고(단계 S428). 시뮬레이터(210)는 제어 명령의 실행 결과를 제2 사용자 단말(120)에 제공한다(단계 S430).
시뮬레이터(210)는 수신된 제어 대상 가전기기 및 해당 가전기기에 대한 제어 명령을 기초로 활성화된 가전기기 리스트를 서비스 코어(230)에 전송할 수 있다(단계 S432), 서비스 코어(230)는 활성화된 가전기기 리스트를 제3 사용자 단말(130)에 전송한다(단계 S434).
제3 사용자 단말(130)은 활성화된 가전기기 리스트를 기초로 활성화된 가전기기에 대한 추천 활용 서비스 정보를 검색하고(단계 S436), 추천 활용 서비스 정보를 서비스 코어(230)에 전송한다(단계 S438). 서비스 코어(230)는 수신된 활용 서비스 정보를 시뮬레이터(210)에 전송하고(단계 S440), 시뮬레이터(210)는 활용 서비스 정보를 제2 사용자 단말(120)에 제공할 수 있다(단계 S442).
상기에서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가상 가전기기 지원 시스템
110: 제1 사용자 단말
120: 제2 사용자 단말
130: 제3 사용자 단말
140: 가상 가전기기 지원 장치

Claims (6)

  1. 가상 가전기기를 지원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가전기기의 동작을 정의한 가전기기 드라이버를 수신하여 등록하고, 제어 대상 가전기기 및 해당 가전기기에 대한 제어 명령을 수신하면 등록된 가전기기 드라이버 가운데 상기 제어 대상 가전기기에 대응되는 가전기기 드라이버에서 상기 제어 명령을 실행하는 에뮬레이터;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어 대상 가전기기 및 해당 가전기기에 대한 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상기 에뮬레이터에 전송하고, 상기 에뮬레이터에서 상기 제어 대상 가전기기에 대한 제어 명령 실행 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시뮬레이터; 및
    상기 에뮬레이터에 특정 가전기기에 대한 사용 현황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에뮬레이터로부터 상기 사용 현황 정보를 수신하여 제3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서비스 코어를 포함하는 가상 가전기기 지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뮬레이터는
    등록된 가전기기 드라이버를 기초로 가상 가전기기 리스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가상 가전기기 리스트를 상기 서비스 코어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가전기기 지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뮬레이터는
    상기 수신된 가전기기에 대한 제어 명령을 실제 가전기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가전기기 지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뮬레이터는
    상기 제어 대상 가전기기 및 해당 가전기기에 대한 제어 명령을 기초로, 활성화된 가상 가전기기 리스트를 상기 서비스 코어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가전기기 지원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코어는
    상기 활성화된 가상 가전기기 리스트를 기초로 해당 리스트에 포함된 가상 가전기기에 대한 가전기기 활용 서비스 정보를 상기 시뮬레이터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가전기기 지원 장치.
  6. 가상 가전기기를 지원하는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가상 가전기기 지원 방법에 있어서,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어 대상 가전기기 및 해당 가전기기에 대한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 대상 가전기기 및 해당 가전기기에 대한 제어 명령을 수신하면 등록된 가전기기 드라이버 가운데 상기 제어 대상 가전기기에 대응되는 가전기기 드라이버에서 상기 제어 명령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제어 대상 가전기기에 대한 제어 명령 실행 결과를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제3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특정 가전기기에 대한 사용 현황 정보를 상기 제3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상 가전기기 지원 방법.
KR1020150110188A 2015-08-04 2015-08-04 가상 가전기기 지원 장치 및 가상 가전기기 지원 방법 KR201700167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0188A KR20170016726A (ko) 2015-08-04 2015-08-04 가상 가전기기 지원 장치 및 가상 가전기기 지원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0188A KR20170016726A (ko) 2015-08-04 2015-08-04 가상 가전기기 지원 장치 및 가상 가전기기 지원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6726A true KR20170016726A (ko) 2017-02-14

Family

ID=58121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0188A KR20170016726A (ko) 2015-08-04 2015-08-04 가상 가전기기 지원 장치 및 가상 가전기기 지원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1672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525284A (ja) * 2019-03-28 2022-05-12 ホアウェイ・テクノロジーズ・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デバイス制御ページ表示方法、関連装置、およびシステ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0459B1 (ko) 2001-05-02 2003-10-01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네트워킹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0459B1 (ko) 2001-05-02 2003-10-01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네트워킹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525284A (ja) * 2019-03-28 2022-05-12 ホアウェイ・テクノロジーズ・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デバイス制御ページ表示方法、関連装置、およびシステ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98062B1 (en) Generation of a device application
KR101148828B1 (ko) 홈 네트워크 기능을 갖는 웹 페이지 제공 시스템 및 홈네트워크 디바이스 제어방법
US9560087B2 (en) Providing machine-to-machine service
JP5736433B2 (ja) IoTブラウジング方法および装置
CN102067129A (zh) 容量规划
US10659322B2 (en) Monitoring system, facility management device, monitoring method, and program
US2010018020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conic graphical user interface and embedded device manager
CN110096847A (zh) 用于远程会话的用户特定应用激活
KR20100058810A (ko)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서비스 재구성 방법 및 장치
US8924879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physical components via a virtual environment
CN103180836A (zh) 控制设备、控制系统和控制方法
KR20170016726A (ko) 가상 가전기기 지원 장치 및 가상 가전기기 지원 방법
KR100750407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원격 조종 로봇 시스템 및 그방법
RU2622859C2 (ru) Способ для реализации инсталляции прибора с интеллектуальным аппаратным обеспечением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ого же
KR101828898B1 (ko) 애플리케이션 기반의 보일러 제어 방법 및 단말 장치
CN106406279B (zh) 设备测试方法及装置、电子设备
CN113572671B (zh) 设备控制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102214060B1 (ko) IoT (Internet of Things) 서비스 인프라와의 연동을 지원하는 초소형 IoT 디바이스용 소프트웨어의 개발을 위한 클라우드 기반 통합 개발 환경을 제공하는 통합 개발 클라우드 서버 및 방법
US8752046B2 (en) Virtual calculating machine system, virtual calculating machine control apparatus and virtual calculating machine control method
JP4949631B2 (ja) センタ装置
KR20120079762A (ko) 다양한 서비스 모듈에서 수행되는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홈 게이트웨이
JP2011186738A (ja) 情報提供システム
KR20130132157A (ko) 어플리케이션 기반 광고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4468692B (zh) 通信管理设备、终端、系统、方法、程序和信息存储介质
KR20150069768A (ko) 소프트웨어 통신 모듈을 사용하는 m2m 네트워크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 통신 모듈에 기반한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m2m 통신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