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6660A - 무소음 키보드 장치 - Google Patents
무소음 키보드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16660A KR20170016660A KR1020150110034A KR20150110034A KR20170016660A KR 20170016660 A KR20170016660 A KR 20170016660A KR 1020150110034 A KR1020150110034 A KR 1020150110034A KR 20150110034 A KR20150110034 A KR 20150110034A KR 20170016660 A KR20170016660 A KR 2017001666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essing member
- membrane sheet
- keyboard
- present
- body por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4—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the layers, e.g. by their material or structur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5—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mounting or arrangement of operating parts, e.g. push-buttons or key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8—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characterised by the contacts or the contact sites
- H01H13/8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characterised by the contacts or the contact site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cooperation of the contacts, e.g. with both contacts movable or with bounceless conta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키보드 타이핑 시에 발생되는 타이핑 소음을 감소시킨 무소음 키보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키보드 타이핑 시에 발생하는 타이핑 소음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무소음 키보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소음 키보드 장치는 멤브레인 시트, 멤브레인 시트의 상부에 구비되어 탄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되고, 상승 또는 하강하여 상기 멤브레인 시트의 동작을 제어하는 누름부재, 멤브레인 시트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고, 누름부재가 삽입되는 가이드홀이 형성되어 누름부재의 상승 또는 하강을 가이드 하는 케이스, 누름부재의 상부에 구비되어 누름부재를 하강시키는 키탑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키보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키보드 타이핑 시에 발생되는 타이핑 소음을 감소시킨 무소음 키보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키보드는 컴퓨터나 네트워크 단말기 등의 기기에서 기기와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Interface)를 위한 수단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대부분의 키보드는 기계적 구성을 갖추고 있는데, 사출물로 제작된 키탑 아래에 스위치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키를 일정한 세기로 타격함으로써 멤브레인 시트가 조작되게 하여 키 입력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사용자가 키를 일정한 세기로 타격하게되면 키탑이 하부로 하강하면서 멤브레인 시트를 압박하고, 키탑은 다시 상승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키탑은 주변 부품들과 맞닿게 되어 소음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키보드의 소음은 사무환경에서 작업 능률에 지장을 줄 수 있다. 예컨데, 국회 회의시 속기사가 참석하여 속기를 하는데 회의장 안에서 키보드의 소음에 의해 회의에 지장을 주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키보드 타이핑 시에 발생하는 타이핑 소음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무소음 키보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소음 키보드 장치는 멤브레인 시트, 상기 멤브레인 시트의 상부에 구비되어 탄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되고, 상승 또는 하강하여 상기 멤브레인 시트의 동작을 제어하는 누름부재, 상기 멤브레인 시트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누름부재가 삽입되는 가이드홀이 형성되어 상기 누름부재의 상승 또는 하강을 가이드 하는 케이스, 상기 누름부재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누름부재를 하강시키는 키탑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소음 키보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재의 재질은 LDPE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소음 키보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재는 하부면이 상기 멤브레인 시트와 맞닿아 상기 키탑에 의해 상기 멤브레인 시트를 압박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홀의 상부에 형성된 걸림턱에 의해 상기 몸체부가 상기 가이드홀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방지하는 이탈 방지부, 상기 몸체부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상기 키탑이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소음 키보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재는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부로부터 양측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누름부재의 상승을 제안하는 걸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소음 키보드 장치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몸체부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 상기 연결부로부터 양측부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의 상부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가 상승하는 도중 상기 케이스와 접촉하여 상기 몸체부의 상승을 제안하는 제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소음 키보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안부는 상부로 갈수록 상부면의 면적이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소음 키보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 시트는 상기 누름부재에 의해 압박되고, 실리콘 재질을 포함하여 형성되어 탄성력에 의해 상기 누름부재를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소음 키보드 장치는 키탑과 멤브레인 시트 사이에 구비되어, 키탑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여 멤브레인 시트의 동작을 제어하는 누름부재를 유연한 재질로 형성하여 케이스와 마찰 시에 발생하는 타이핑 소음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소음 키보드 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소음 키보드 장치의 내부 구조를 정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소음 키보드 장치의 누름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소음 키보드 장치의 내부 구조를 정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소음 키보드 장치의 누름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무소음 키보드 장치의 내부 구조를 정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무소음 키보드 장치의 누름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소음 키보드 장치의 내부 구조를 정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소음 키보드 장치의 누름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소음 키보드 장치의 내부 구조를 정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소음 키보드 장치의 누름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무소음 키보드 장치의 내부 구조를 정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무소음 키보드 장치의 누름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숫자, 문자 및 특수 키를 포함하는 복수의 키로 구성되는 입력장치로 타이핑 시에 발생하는 타이핑 소음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구조의 무소음 키보드 장치를 개시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무소음 키보드 장치는 복수의 키로 구성되어 있지만, 하기의 실시예들에서는 하나의 키를 예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소음 키보드 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소음 키보드 장치의 내부 구조를 정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소음 키보드 장치의 누름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소음 키보드 장치(100)는 멤브레인 시트(10), 누름부재(20), 케이스(30) 및 키탑(40)을 포함한다.
멤브레인 시트(10)는 베이스 기판(1)의 상부에 구비되어, 평시에는 베이스 기판(1)의 상부면에서 이격되어 있다가, 키 입력이 입력되면 하강하여 베이스 기판(1)과 접촉할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 기판(1)은 도시되지는 않지만, 상부 시트 및 하부 시트로 구성되어, 멤브레인 시트(10)의 하강을 통해 상부 시트가 하강하면서 하부 시트와 맞닿게 되면 키 입력이 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는 상부 시트 및 하부 시트를 구비하여 키 입력을 인식하지만,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고, 키 입력을 인식할 수 있는 어떠한 방식을 사용하여도 무관하다.
멤브레인 시트(10)는 누름부재(20)가 하강하면서 그 압력에 의해 하강할 수 있도록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데 멤브레인 시트(10)는 실리콘, 우레탄 등이 될 수 있다.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진 멤브레인 시트(10)는 돌출된 형태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상부면을 압박하게 되면 내부 공간을 거쳐 베이스 기판(1)과 접촉되고, 탄성력에 의해 다시 복원될 수 있다.
또한 멤브레인 시트(10) 내부 공간의 상부면에는 베이스 기판(1)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11)가 형성되어, 멤브레인 시트(10)가 하강하게 되면 베이스 기판(1)이 키 입력을 정확히 인식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누름부재(20)는 멤브레인 시트(10)의 상부면 상에 구비되어 키 입력에 의해 하강하여 멤브레인 시트(10)를 압박하여 하강시키고, 멤브레인 시트(10)의 탄성력에 의해 원래 상태로 복귀될 수 있다.
누름부재(20)의 재질은 LDPE(Low Density Polyethylene) 수지를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고, 실리콘, 우레탄 등 다양한 유연한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누름부재(20)는 몸체부(21), 이탈 방지부(22) 및 결합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21)는 원통형으로 하부면이 멤브레인 시트(10)의 상부면과 맞닿도록 구비되어, 멤브레인 시트(10)를 압박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는 몸체부(21)가 원통형으로 형성되지만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고, 육면체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몸체부(21)는 키 입력에 의해 하강하게 되면 멤브레인 시트(10)의 상부를 압박하여 멤브레인 시트(10)를 베이스 기판(1)에 접촉시키고, 멤브레인 시트(10)의 탄성력에 의해 다시 상승할 수 있다.
한편 후술할 다른 실시예에서는 정확한 키감을 제공하기 위하여, 몸체부(21)가 하강하였다가 완전히 상승하기 이전에 케이스(30)에 걸리도록 돌출되어 있는 걸림부(224, 324 : 도 3 내지 도 6 참조)를 구비할 수 있다.
그러나 제1 실시예에서는 케이스(30)와 마찰되는 부분을 최소화하여 걸림부를 형성하지 않기 때문에, 케이스(30)와의 마찰력을 최소화하여 부드러운 키 감을 제공할 수 있다.
이탈 방지부(22)는 몸체부(21)의 외측면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후술할 가이드홀(31)의 상부에 형성된 걸림턱(31a)에 의해 몸체부(21)가 가이드홀(31)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다.
즉 이탈 방지부(22)는 가이드홀(31)에서 걸림턱이 형성된 부분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몸체부(21)가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는 몸체부(21)의 원주를 기준으로 양측부에 대칭하도록 두개가 형성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고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결합부(23)는 몸체부(21)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키탑(40)이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23)는 몸체부(21)의 상부면의 내부에 '+' 형상으로 돌출부(23a)가 형성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 형상의 돌출부(23a)는 하부로 갈수록 가로 세로 길이가 길어지도록 형성하여 키탑(40)이 하부로 밀착되면서 압박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 형상의 돌출부(23a)는 하부로 갈수록 가로 세로 길이가 길어지도록 형성하여 키탑(40)이 하부로 밀착되면서 압박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키탑(40)에 결합부(23)의 형상과 대응되는 '+' 형상의 홈(40a)을 형성하여 키탑의 '+' 형상의 홈(40a)을 결합부(23)의 '+' 형상의 돌출부(23a)에 삽입함으로써 고정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키탑(40)이 결합부(23)에 완전히 고정되었을 경우, 키탑(40)의 하부면이 결합부(23)의 상부면과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는 결합부의 상부면에 '+' 형상의 돌출부(23a)가 형성되지만,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고,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이러한 몸체부(21), 이탈 방지부(22) 및 결합부(23)를 포함하는 누름부재(20)는 형상에 대응하는 사출 금형을 제작하여 대량 생산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케이스(30)는 멤브레인 시트(10)의 양측부로부터 수직하게 형성되는 지지부(33)와, 지지부(33)로부터 내측부로 연장되는 연장부(32)를 포함하여 멤브레인 시트(10)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한다.
그리고 케이스(30)는 연장부(32)로부터 상부로 돌출되면서 내부가 관통되어, 내부에 누름부재(20)가 삽입되는 가이드홀(31)이 형성된다.
가이드홀(31)은 누름부재(2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누름부재(20)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홀(31) 내측면의 상부에는 누름부재(20)의 이탈 방지부(22)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제2 걸림턱(31a)이 형성되어 누름부재(20)가 상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키탑(40)은 누름부재(20)의 상부에 결합되어 누름부재(20)를 하강시킬 수 있다. 키탑(40)은 ABS수지를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키탑(40)의 상부면은 사용자의 손가락에 대응될 수 있도록 굴곡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키탑(40)의 하부면은 중심부가 누름부재(20)의 결합부(23)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중심부로부터 양측에는 연장부(32)로부터 돌출된 가이드홀(31)이 삽입될 수 있도록 수용홈(40b)이 형성된다.
여기서, 키탑(40)의 하부면에 형성된 수용홈(40b)은 키 입력에 의해 하강하였을때, 돌출된 가이드홀(31)과 맞닿게 되면 소음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돌출된 가이드홀(31)의 높이보다 더 깊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소음 키보드 장치는 키탑(40)과 멤브레인 시트(10) 사이에 구비되어, 키탑(40)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여 멤브레인 시트(10)의 동작을 제어하는 누름부재(20)를 유연한 재질로 형성하여 케이스(30)와 마찰 시에 발생하는 타이핑 소음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소음 키보드 장치(2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 및 제3 실시예에 따른 무소음 키보드 장치(200, 300)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소음 키보드 장치(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 및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소음 키보드 장치의 내부 구조를 정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소음 키보드 장치의 누름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소음 키보드 장치(200)는 멤브레인 시트(10), 누름부재(220), 케이스(30) 및 키탑(40)을 포함한다.
누름부재(220)는 멤브레인 시트(10)의 상부면 상에 구비되어 키 입력에 의해 하강하여 멤브레인 시트(10)를 압박하여 하강시키고, 멤브레인 시트(10)의 탄성력에 의해 원래 상태로 복귀될 수 있다.
이러한 누름부재(220)는 몸체부(221), 이탈 방지부(222) 및 결합부(22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누름부재(220)는 이탈 방지부(222)로부터 양측부로 돌출되어 형성된 걸림부(2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몸체부(221)는 측면에 높이 방향으로 바 형태로 토출된 복수의 돌기(221a)가 형성될 수 있다. 돌기(221a)는 몸체부(221)의 측면이 가이드홀(31)에 직접 닿지 않도록하여 가이드홀(31) 내벽과의 면 마찰을 줄일 수 있다.
걸림부(224)는 몸체부(221)의 하부에 구비되어, 이탈 방지부(222)로부터 양측부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키 입력에 의해 하강되었다가 멤브레인 시트(10)의 탄성에 의해 상승된 몸체부(221)의 상승을 제안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정확한 키 감을 제공할 수 있다.
즉 걸림부(224)는 키 입력에 의해 몸체부(221)가 하강하였다가 상승하면서, 케이스(30) 연장부(32)의 하부면과 접촉하게 된다.
여기서 걸림부(224)는 연장부(32)와의 접촉 면적을 줄이기 위하여, 하부로 갈수록 면적이 넓어지는 경사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걸림부(224)의 재질은 LDPE(Low Density Polyethylene) 수지를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고, 실리콘, 우레탄 등 다양한 유연한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소음 키보드 장치(200)는 키 입력에 의해 하강되었다가 멤브레인 시트(10)의 탄성에 의해 상승된 몸체부(221)의 상승을 제안하는 걸림부(224)를 구비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정확한 키감을 제공하면서, 유연한 재질로 형성하여 타이핑 소음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무소음 키보드 장치(3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무소음 키보드 장치의 내부 구조를 정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무소음 키보드 장치의 누름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무소음 키보드 장치(300)는 멤브레인 시트(10), 누름부재(320), 케이스(30) 및 키탑(40)을 포함한다.
누름부재(320)는 멤브레인 시트(10)의 상부면 상에 구비되어 키 입력에 의해 하강하여 멤브레인 시트(10)를 압박하여 하강시키고, 멤브레인 시트(10)의 탄성력에 의해 원래 상태로 복귀될 수 있다.
이러한 누름부재(320)는 몸체부(321), 이탈 방지부(322) 및 결합부(32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몸체부(321)로부터 양측부로 돌출되어 형성된 걸림부(3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몸체부(321)는 측면에 높이 방향으로 바 형태로 토출된 복수의 돌기(321a)가 형성될 수 있다. 돌기(321a)는 몸체부(321)의 측면이 가이드홀(31)에 직접 닿지 않도록하여 가이드홀(31) 내벽과의 면 마찰을 줄일 수 있다.
걸림부(324)는 몸체부(321)의 하부에 구비되어, 몸체부(321)의 양측부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키 입력에 의해 하강되었다가 멤브레인 시트(10)의 탄성에 의해 상승된 몸체부(321)의 상승을 제안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정확한 키감을 제공할 수 있다.
즉 걸림부(324)는 키 입력에 의해 몸체부(321)가 하강하였다가 상승하면서, 케이스(30) 연장부(32)의 하부면과 접촉하게 된다.
또한 걸림부(324)의 재질은 LDPE(Low Density Polyethylene) 수지를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고, 실리콘, 우레탄 등 다양한 유연한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걸림부(324)는 연결부(324a), 받침부(324b) 및 제안부(324c)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324a)는 얇은 바(Bar) 형태로 몸체부(321)의 하부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실시예에서 연결부(324a)는 몸체부(321)의 원주 방향으로 두 개가 구비되지만,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받침부(324b)는 연결부(324a)로부터 양측부로 연장되어 몸체부(321)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받침부(324b)는 줄기 형태로 하나의 연결부(324a)로부터 뻗어가는 형상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안부(324c)가 케이스(30) 연장부(32)의 하부면과 접촉하게 되면, 받침부(324b)는 연결부(324a)에 의해 텐션(Tension)이 발생하여 제안부(324c)가 연장부(32)와 접촉할 때 발생하는 소음을 완충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안부(324c)는 연결부(324a)의 상부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연장부(32)의 하부면과 접촉함으로써 몸체부(321)의 상승을 제안할 수 있다. 제안부(324c)는 받침부(324b)의 양측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안부(324c)는 받침부(324b)의 양측부 즉, 연결부(324a)와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안부(324c)는 받침부(324b)의 양측부에 형성됨으로써, 연장부(32)의 하부면과 접촉 시에 받침부의 텐션에 의해 하부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마찰시 발생하는 소음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제안부(324c)는 상부로 갈수록 상부면의 면적이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안부(324c)는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어, 연장부(32)의 하부면과 마찰시에 발생하는 면 마찰을 최소화하여 타이핑 소음을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무소음 키보드 장치(300)는 키 입력에 의해 하강되었다가 멤브레인 시트(10)의 탄성에 의해 상승된 몸체부(321)의 상승을 제안하는 걸림부(324)를 구비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정확한 키 감을 제공하면서, 걸림부(324)를 연결부(324a), 받침부(324b) 및 제안부(324c)로 구성하여 타이핑 소음을 최소화 할 수 있다.
한편, 본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는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10 : 멤브레인 시트
20, 220, 320 : 누름부재
21, 221, 321 : 몸체부 22, 222, 223 : 이탈 방지부
23, 223, 323 : 결합부 30 : 케이스
31 : 가이드홀 31a : 걸림턱
32 : 연장부 33 : 지지부
40 : 키 탑 224, 324 : 걸림부
324a : 연결부 324b : 받침부
324c : 제안부
21, 221, 321 : 몸체부 22, 222, 223 : 이탈 방지부
23, 223, 323 : 결합부 30 : 케이스
31 : 가이드홀 31a : 걸림턱
32 : 연장부 33 : 지지부
40 : 키 탑 224, 324 : 걸림부
324a : 연결부 324b : 받침부
324c : 제안부
Claims (7)
- 멤브레인 시트;
상기 멤브레인 시트의 상부에 구비되어 탄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되고, 상승 또는 하강하여 상기 멤브레인 시트의 동작을 제어하는 누름부재;
상기 멤브레인 시트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누름부재가 삽입되는 가이드홀이 형성되어 상기 누름부재의 상승 또는 하강을 가이드 하는 케이스;
상기 누름부재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누름부재를 하강시키는 키탑;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소음 키보드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재의 재질은 LDPE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소음 키보드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재는,
하부면이 상기 멤브레인 시트와 맞닿아 상기 키탑에 의해 상기 멤브레인 시트를 압박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홀의 상부에 형성된 걸림턱에 의해 상기 몸체부가 상기 가이드홀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방지하는 이탈 방지부;
상기 몸체부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상기 키탑이 결합되는 결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소음 키보드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재는,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부로부터 양측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누름부재의 상승을 제안하는 걸림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소음 키보드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몸체부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
상기 연결부로부터 양측부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의 상부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가 상승하는 도중 상기 케이스와 접촉하여 상기 몸체부의 상승을 제안하는 제안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소음 키보드 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안부는 상부로 갈수록 상부면의 면적이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소음 키보드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 시트는 상기 누름부재에 의해 압박되고, 실리콘 재질을 포함하여 형성되어 탄성력에 의해 상기 누름부재를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소음 키보드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10034A KR20170016660A (ko) | 2015-08-04 | 2015-08-04 | 무소음 키보드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10034A KR20170016660A (ko) | 2015-08-04 | 2015-08-04 | 무소음 키보드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16660A true KR20170016660A (ko) | 2017-02-14 |
Family
ID=58121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10034A KR20170016660A (ko) | 2015-08-04 | 2015-08-04 | 무소음 키보드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70016660A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91621B1 (ko) | 2021-10-29 | 2022-04-28 | 주식회사 엠스톤글로벌 | 소음 방지용 키보드 |
KR20220059643A (ko) * | 2020-11-03 | 2022-05-10 | 주식회사 이다스 | 가변형 레이아웃 스위칭 장치 |
KR20220153481A (ko) * | 2021-05-11 | 2022-11-18 | 동신 | 입력 소음이 저감된 키보드용 입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키보드 |
KR102484618B1 (ko) * | 2021-08-26 | 2023-01-09 | 엘라스토 유한회사 | 컴퓨터용 입력 장치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057686B2 (ja) | 1989-05-31 | 2000-07-04 | スズキ株式会社 | 四輪駆動車の動力伝達装置 |
-
2015
- 2015-08-04 KR KR1020150110034A patent/KR20170016660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057686B2 (ja) | 1989-05-31 | 2000-07-04 | スズキ株式会社 | 四輪駆動車の動力伝達装置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59643A (ko) * | 2020-11-03 | 2022-05-10 | 주식회사 이다스 | 가변형 레이아웃 스위칭 장치 |
KR20220153481A (ko) * | 2021-05-11 | 2022-11-18 | 동신 | 입력 소음이 저감된 키보드용 입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키보드 |
KR102484618B1 (ko) * | 2021-08-26 | 2023-01-09 | 엘라스토 유한회사 | 컴퓨터용 입력 장치 |
WO2023027347A1 (ko) * | 2021-08-26 | 2023-03-02 | 엘라스토 유한회사 | 컴퓨터용 입력 장치 |
KR102391621B1 (ko) | 2021-10-29 | 2022-04-28 | 주식회사 엠스톤글로벌 | 소음 방지용 키보드 |
KR102420882B1 (ko) | 2021-10-29 | 2022-07-14 | 주식회사 엠스톤글로벌 | 소음 방지 구조가 적용된 키보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767970B2 (en) | Key structure | |
KR20170016660A (ko) | 무소음 키보드 장치 | |
US9941068B2 (en) | Key structure | |
US5418530A (en) | Key with silent return movement | |
US9959994B1 (en) | Keyboard | |
US20180358193A1 (en) | Keyboard, key module, movable switch mechanis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movable switch mechanism | |
US20150001059A1 (en) | Keycap, key structure and keyboard | |
US9087650B2 (en) | Keycap structure | |
AU2016306000A1 (en) | Key assemblies, keyboard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key assembly | |
CN108766817B (zh) | 按键结构 | |
US10236141B1 (en) | Key structure | |
US20170330704A1 (en) | Key strcture | |
US11056293B1 (en) | Key structure | |
US20190220101A1 (en) | Key structure | |
US9899162B2 (en) | Keyboard | |
US20180166229A1 (en) | Input device with adjustable force level | |
US10242819B1 (en) | Mechanical key structure | |
KR20190064809A (ko) | 키보드 스위치 | |
US9715977B1 (en) | Keyboard with height-adjustable keys | |
US20120160652A1 (en) | Keyboard with plate-type keycap assembly | |
US9715976B2 (en) | Keyboard device | |
US11953929B2 (en) | Operation device | |
US20180143698A1 (en) | Keyboard | |
JP2007042547A (ja) | キーフレームおよび押釦スイッチ用カバー部材 | |
US8614401B2 (en) | Keyswitch and keyboar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