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6223A - 오염토양 정화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생물학적 원위치 오염토양 정화방법 - Google Patents

오염토양 정화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생물학적 원위치 오염토양 정화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6223A
KR20170016223A KR1020150109683A KR20150109683A KR20170016223A KR 20170016223 A KR20170016223 A KR 20170016223A KR 1020150109683 A KR1020150109683 A KR 1020150109683A KR 20150109683 A KR20150109683 A KR 20150109683A KR 20170016223 A KR20170016223 A KR 201700162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minated soil
soil
carrier
biodegradable plastic
microorganis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9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명
이상덕
천주영
Original Assignee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09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16223A/ko
Publication of KR20170016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62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0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10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microbiologically, biologically or by using enzy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0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8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chemically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2101/00In situ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오염물질 분해 미생물을 생분해성 플라스틱 담체에 고정시켜, 원위치에서 토양경작 방법으로 지중의 오염토양을 정화하는 생물학적 원위치 오염토양 정화방법에 관한 것으로, 지중에서 완전히 분해되는 생분해성 플라스틱을 미생물 고정용 담체로 이용함으로써, 높은 정화효율, 경비절감, 및 환경친화적인 생물학적 정화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오염토양 정화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생물학적 원위치 오염토양 정화방법 {THE COMPOSITION FOR CONTAMINATED SOIL REMEDIATION AND IN-SITU BIOREMEDIA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오염토양 정화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생물학적 원위치 오염토양 정화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생분해성 플라스틱을 미생물 고정용 담체로 이용하여 원위치에서 토양경작 방법으로 지중의 오염토양을 정화하는 오염토양 정화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생물학적 원위치 오염토양 정화방법에 관한 것이다.
토양경작법은 오염토양을 굴착하여 지표면에 깔아 놓고 정기적으로 뒤집어줌으로써 미생물에 호기성 생분해 조건을 제공하여 토양에 잔류되어 있는 유기성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생물학적 정화기술이다.
한국환경공단이 지난 2006년부터 2012년까지 국내에서 수행한 22개 토양오염 정화사업을 살펴보면, 오염토양 정화에 적용한 처리기술은 8가지로서, 그 중 생물학적 처리방법으로 토양경작법, 바이오파일, 식물재배법이, 물리화학적 처리방법으로 토양세척법, 토양세정법, 화학적산화법, 토양증기추출법이, 열적 처리방법으로는 열탈착법이 적용되었다. 특히 토양경작법은 총석유계탄화수소(TPH, Total Petroleum Hydrocarbon)로 오염된 22개 정화사업 중에서 19개 사업에 적용하고 있을 만큼, 오염토양 정화에는 경제적이고 효율적이므로 국내에서는 범용적으로 널리 쓰이고 있는 기술이다.
토양경작법은 타 정화기술에 비해 설계와 운전이 용이하고, 특별한 시설 없이 부지가 충분히 확보된다면 적용이 가능한 경제적인 정화기술인 반면, 처리부지가 확보되지 않을 경우에는 적용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경작장 하우스 등의 부대시설 설치가 별도로 필요하고, 경작장으로 오염토양을 운반해야 하므로, 경작장 설치비용과 운반비용이 추가적으로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국내외 관련업계 및 연구기관에서는 토양경작법과 같은 위치외(ex-situ) 정화방법의 단점(부지확보 필요, 경작시설 및 운반비용 부담)을 보완하기 위한 생물학적 원위치(in-situ) 정화방법을 다양한 측면에서 개발하고 있으나, 미생물의 지중정화 처리효율이 낮아 국내 업계에서는 난해한 정화기술로 알려진 실정이며, 대부분 처리단가가 높지만 정화효율이 검증된 물리화학적 정화기술을 적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일본 등 선진국의 경우, 미생물을 특정 담체에 고정화시켜 오염토양에 대한 정화효율을 향상시키는 기술을 개발하여 현장에서 적용하고 있으나, 무기질 담체의 경우 지중에 잔류하게 되어 별도의 선별처리를 해야 하는 단점이 있으며, 선별처리를 못하는 경우 환경적 문제에 대한 오해의 소지가 되는 등, 국내에 해당 기술을 적용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특허문헌 1). 또한 피트모스 등 유류흡착제를 담체로 이용하는 경우에는 기존 담체에 고정화시키지 않은 단순 미생물을 이용한 정화기술 대비 정화효율의 향상을 체감하지 못하여 추가적 비용 부담 대비 담체의 효용성이 미약한 단점이 있다(특허문헌 2).
한국등록특허 제10-0992505호 한국등록특허 제10-0559166호
따라서, 본 발명은 유기성 오염토양을 정화하기 위하여 별도의 부지확보, 경작시설 설치, 오염토양의 운반 공정이 필요 없는 생물학적 원위치(in-situ) 오염토양 정화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원위치 토양경작 시 지중 미생물의 환경충격을 보호 또는 완충하기 위하여 미생물 고정화 담체를 포함하는 오염토양 정화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미생물 고정화 담체 소재로 지중에서 완전히 분해되는 생분해성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오염토양 정화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미생물 생육에 필수적으로 필요한 탄소원의 일종인 글루코스(glucose)를 주원료로 하여 제조된 생분해성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오염토양 정화용 조성물을 이용함으로써, 미생물이 열악한 환경에서도 적정 균체수를 유지하여 정화 처리효율이 높은 생물학적 원위치 오염토양 정화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오염토양 정화용 조성물은, 생분해성 플라스틱과 유기오염물질 분해 미생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생분해성 플라스틱은 섬유형태의 폴리유산(PLA, Poly Lactic Acid)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섬유형태의 폴리유산은, 유기오염물질 분해 미생물을 고정시킴으로써 외부의 환경충격을 완화하고, 미생물의 균체수를 건조토양 1g당 106 내지 109 MPN(most probable number)로 유지할 수 있는 담체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생물학적 원위치 오염토양 정화방법은, (1) 유기오염물질 분해 미생물과 생분해성 플라스틱 담체를 배양하여 담체에 미생물이 고정되도록 유도하는 단계; (2) 상기 미생물이 고정된 생분해성 플라스틱 담체와 배양액을 오염토양에 혼합하는 단계; 및 (3) 상기 혼합한 오염토양에 공기 및 수분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단계는, 배지 100 부피부에 대하여 상기 생분해성 플라스틱 담체 10 내지 50 부피부 및 상기 유기오염물질 분해 미생물 1 내지 20 부피부를 혼합하여 배양함으로써, 상기 생분해성 플라스틱 담체에 상기 유기오염물질 분해 미생물을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오염토양 100 부피부에 대하여 상기 생분해성 플라스틱 담체 및 배양액을 각각 1 내지 3 부피부로 혼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단계는, 사전에 오염토양을 굴착한 자리에 상기 담체와 배양액을 혼합한 오염토양을 되메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염토양 정화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생물학적 원위치(in-situ) 오염토양 정화방법은, 위치외(ex-situ) 토양경작 기술 대비 정화시설비, 운반비 등을 절감할 수 있어 토양정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원위치(in-situ) 토양경작법을 적용하지 않고 기존 재래적인 토양경작법을 적용해야 하는 경우에도 기존의 토양경작단 높이를 1.8m 이상으로 높일 수 있게 됨으로써, 경작장 단위면적 당 처리물량이 1.8 배 이상으로 증가되는 효과가 있으므로, 오염토양 정화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생분해성 플라스틱 담체는 지중에서 완전히 분해되므로, 무기질 담체와 같이 정화처리 후에 별도의 선별처리 등을 필요로 하지 않아, 경비절감 및 환경 친화적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생물학적 원위치 오염토양 정화방법에 대한 개략적인 계통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위치 오염토양 정화방법의 개념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오염토양 정화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생물학적 원위치 오염토양 정화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생분해성 플라스틱 담체를 유기오염물질 분해 미생물과 함께 배양하여 미생물을 담체에 고정시킨 오염토양 정화용 조성물 및, 상기 오염토양 정화용 조성물을 유기성 물질로 오염된 토양과 혼합하여 지중 교반을 통해 토양경작 효과를 얻음으로써 오염된 유기물질을 분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학적 원위치 오염토양 정화방법에 관한 것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오염토양 정화용 조성물은, 생분해성 플라스틱과 유기오염물질 분해 미생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염토양은 석유류, 유기염소 화합물, 방향족 화합물, 농약이나 방부제 등 난분해성 유기오염물질을 포함한 유기성 오염물질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생분해성 플라스틱은, 제한되지는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섬유형태의 폴리유산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기오염물질 분해 미생물은 다양한 유기성 오염원에 대한 생분해 능력을 갖는 것들이라면, 이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섬유형태의 폴리유산은, 상기 유기오염물질 분해 미생물을 고정시킴으로써 외부의 환경충격을 완화하고, 미생물의 균체수를 건조토양 1g당 106 내지 109 MPN(most probable number)로 유지할 수 있는 담체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오염토양 정화용 조성물은 배양배지에 생분해성 플라스틱 담체를 첨가하고 유기오염물질 분해 미생물을 접종하여 배양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오염토양 정화용 조성물을 이용한 생물학적 원위치 오염토양 정화방법은, (1) 유기오염물질 분해 미생물과 생분해성 플라스틱 담체를 배양하여 담체에 미생물이 고정되도록 유도하는 단계; (2) 상기 미생물이 고정된 생분해성 플라스틱 담체와 배양액을 오염토양에 혼합하는 단계; 및 (3) 상기 혼합한 오염토양에 공기 및 수분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생물학적 원위치 오염토양 정화방법은, 유기오염물질 분해 미생물과 생분해성 플라스틱 담체를 배양하여 담체에 미생물이 고정되도록 유도하는 단계; 오염토양을 굴착하는 단계; 상기 미생물이 고정된 생분해성 플라스틱 담체와 배양액을 오염토양에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한 오염토양을 굴착 지점에 되메움하는 단계; 및 상기 되메움한 오염토양에 공기 및 수분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생물학적 원위치 오염토양 정화방법에 대한 개략적인 계통도를 도 1에 나타내었고, 본 발명에 따른 원위치 오염토양 정화방법의 개념도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상기 생물학적 정화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상기 유기오염물질 분해 미생물과 생분해성 플라스틱 담체를 배양하여 담체에 미생물이 고정되도록 유도하는 단계는, 생분해성 플라스틱 담체, 예로서 섬유형태로 제조된 생분해성 플라스틱 담체, 대상 유기오염물질을 분해할 수 있는 미생물, 및 배지를 미생물 배양조에 투입 후 폭기(曝氣)시켜 배양하여, 미생물의 생장주기가 지수기(指數期)를 거쳐 정지기(靜止期)에 이르면 미생물이 담체에 충분히 고정되도록 유도하는 단계이다.
상기 생분해성 플라스틱 담체는 섬유형태의 폴리유산(PLA, Poly Lactic Acid)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생분해성 플라스틱 담체에 고정시키는 유기오염물질 분해 미생물은 다양한 유기성 오염원에 대한 생분해 능력을 갖는 것들이라면, 이에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현장의 오염 특성에 따라 해당 오염토양에서 서식하는 토착미생물을 선별 후 배양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특정 오염물질을 분해하기 위하여 개발 및 제조된 상용 미생물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생분해성 플라스틱 담체에 상기 유기오염물질 분해 미생물을 고정화시키기 위한 미생물 및 담체의 배양은, 현장 규모, 현장의 특성 등을 고려하여 사전에 별도의 장소에 준비한 미생물 배양시설로 배양하여 미생물 고정 담체를 생산한 후 현장으로 운반하여 투입할 수 있다. 이 경우 4℃ 저온보관 시 최대 12개월까지 미생물 고정 담체를 장기 보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플라스틱 담체는 배지에 충분히 담지될 수 있도록 배지 100 부피부에 대하여 10 내지 50 부피부의 비율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생분해성 플라스틱 담체의 혼합비율이 배지 100 부피부 대비 10 부피부 미만인 경우, 미생물 고정 효율이 떨어져 경제성이 낮아지는 문제가 있고, 생분해성 플라스틱 담체의 혼합비율이 50 부피부를 초과하는 경우, 생분해성 플라스틱 담체와 배지의 비중차이에 의해 생분해성 플라스틱 담체가 과도하게 부유하게 되어 미생물이 충분히 생분해성 플라스틱 담체에 고정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미생물의 접종량은 배지 100 부피부 대비 1 내지 20 부피부의 비율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미생물 접종량이 1 부피부 미만인 경우 배지 내 적정 미생물 균체수를 유지하지 못하게 되어 배양에 장기간이 소요되거나, 타 미생물에 의해 오염되어 배양이 실패할 가능성이 있으며, 미생물 접종량이 20 부피부를 초과하는 경우 미생물 비용이 증가하게 되어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배지로는 유기오염물질 분해 미생물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배지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미생물 배양에 널리 쓰이는 LB(Luria Bertani) 배지를 사용할 수 있다. LB 배지는 트립톤(Trypton) 10g/L, 효모추출물(Yeast extract) 5g/L, 및 NaCl 10g/L으로 배합하여 pH 7.0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있어서는, 배양을 통해 미생물이 고정된 생분해성 플라스틱 담체를 배양액으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담체 및 배양액 각각을 본 발명의 생물학적 원위치 오염토양 정화방법에 이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정화하고자 하는 오염지역의 토양을 굴착하여 상기 제조한 담체 및 배양액과 혼합한다. 상기 오염지역의 토양은 유류 오염토양 그 자체로 국한되지 않고 석유계탄화수소(Total Petroleum Hydrocarbon,TPH) 등의 유류나 다양한 소수성 물질로 오염된 토양과, 토양 중의 미생물에 의해 단기간에 분해되지 않는 합성 유기물에 의해 오염된 토양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석유계탄화수소로 오염된 토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생물이 고정된 생분해성 플라스틱 담체와 배양액을 오염토양에 혼합하는 단계는, 미생물이 고정된 담체와 배양액을 굴착한 오염토양에 투입한 후 굴삭기(100)를 이용하여 혼합하는 단계이다. 오염토양의 농도, 토성 등 현장의 환경조건에 따라 변동성이 크지만, 상기 담체 및 상기 배양액은 오염토양 100 부피부에 대하여 각각 1 내지 3 부피부로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담체 및 배양액을 1 부피부 미만으로 투입하는 경우에는 정화 초기 오염토양 내에 적정 미생물 균체수를 유지하지 못하게 되어 정화기간이 장기간 소요되거나 정화목표를 달성하지 못할 수 있으며, 3 부피부를 초과하여 투입하는 경우에는 경제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담체와 상기 배양액을 오염토양에 혼합하는 단계에서는 영양염을 추가로 혼합할 수 있으며, 상기 영양염은 암모니아, 질산염과 같은 질소계 화합물 및 오르토인산염과 같은 인계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양염은 사전에 굴착한 오염토양의 오염농도가 탄소원을 기준으로 C(carbon):N(nitrogen):P(phosphorus)=100:10:0.5 내지 100:10:1.5의 비율이 되도록 하는 양으로 추가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혼합한 오염토양을 굴착 지점에 되메움 한 후, 공기 및 수분을 공급한다.
상기 공기 및 수분을 공급하는 단계에서는, 미생물에 충분한 산소를 공급하기 위하여 주 1 내지 3 회 굴삭기(100)를 이용하여 지중의 오염토양을 뒤집어 충분히 교반(200)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굴삭기를 이용한 지중 교반시, 교반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일부 오염토양을 지상으로 굴착해 내며 교반을 실시할 수 있으며, 체 형태의 버켓(bucket)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 및 수분을 공급하는 단계에서는, 토양 내 수분함량을 60 내지 80 부피%로 조절하기 위하여 필요 시 관수(灌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토양의 산도(pH)를 6.0 내지 7.5로 조절하기 위하여 필요 시 생석회 또는 탄산칼슘을 투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 및 수분을 공급하는 단계에서는, 질소계 화합물 및 인계 화합물과 같은 영양염을 추가로 투입함으로써 지중 미생물의 생육환경을 최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영양염을 추가로 투입하는 시기와 투입량을 결정할 때 토양 내 N(nitrogen), P(phosphorus) 분석에 있어 원소분석치를 따르게 되면, 토양입자에 강하게 흡착되어 미생물이 사용할 수 없는 형태로 된 경우가 흔히 발생되므로 실제 미생물이 필요로 하는 양보다 적은 양을 첨가하게 되는 결과가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실제 암모니아(ammonia), 질산염(nitrate), 오르토인산염(orthophosphate)의 함량을 분석한 후, 이를 기준으로 영양염을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공기 및 수분을 공급하는 단계는 국내 토양환경법에 기준한 해당 지역 지목 기준에 따라 사전에 설정한 정화목표 기준치를 달성하기까지 수차례 반복 실시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하나 이는 본 발명의 예시목적을 위한 것으로,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한정되는 보호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양질사토 ( loamy sand ) 오염토양
서울특별시 노원구 월계동 부근 야산에서 채취한 토양을 실험에 사용하였으며, 미국 농무성 기준 토성 분석결과 양질사토로 판정되었다. 채취한 토양을 풍건(風乾) 후 경유로 오염시켰으며, 오염농도를 약 10,000 mg/kg으로 맞추기 위하여 노르말펜탄(n-pentane)과 경유를 1:1 부피비율로 혼합한 후 토양에 골고루 분무한 다음 충분히 교반하였고, 노르말펜탄이 완전히 휘발되도록 흄후드(fume hood)에서 수일 간 보관한 후 사용하였다.
등유 또는 경유 등으로 오염된 토양에 적용 가능한 코리네박테리움 속(Corynebacterium sp.), 스핑고모나스 속(Sphingomonas sp.) 등 여러 종이 혼합된 유기오염물질 분해 미생물을 국내 미생물 제조사로부터 구매하여 실험에 사용하였으며, 일반적으로 미생물 배양에 널리 쓰이는 LB(Luria Bertani) 배지를 이용하였다. 미생물 고정용 담체로 옥수수 전분으로 제조된 100% 폴리유산(PLA, Poly Lactic Acid) 소재의 생분해성 플라스틱을 섬유형태로 제조한 제품을 구매하여 사용하였다.
트립톤(10g/L), 효모추출물(5g/L), 및 NaCl(10g/L)로 이루어진 LB 배지에, 실험대상 오염토양 100 부피부 대비 1.5 부피부에 해당하는 생분해성 플라스틱 담체(배지 100 부피부 대비 10 부피부)를 계량하여 첨가하였고, 배지 100 부피부 대비 유기오염물질 분해 미생물 1 부피부를 접종한 다음 25℃로 온도가 유지되는 인큐베이터 내에서 배양하면서 미생물이 생분해성 플라스틱 담체에 고정되도록 하였다.
미생물 배양이 지수기를 거쳐 정지기에 다다르면 배양을 멈추고, 상기에서 준비한 인공오염토양 1.5kg(겉보기 밀도 1.4g/㎤)에 상기 제조한 담체 및 배양액을 각각 1.5 부피부 혼합하고, 미생물에 산소를 공급하기 위하여 주 2회 뒤집기를 실시하였으며, 토양 수분은 부피 대비 60%를 유지하도록 수분을 공급하였다. 실험은 35일 동안 진행하였고, 토양오염도 측정을 위한 총석유계탄화수소(TPH, Total petroleum Hydrocarbon) 분석은 토양오염 공정시험방법에 의거하여 분석하였으며, 분석 주기는 7일 간격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2 : 사양토( sandy loam ) 오염토양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소재 공장의 실제 경유오염토양을 채취하여 실험에 사용하였으며, 미국 농무성 기준 토성 분석결과 사양토로 판정되었다. 초기 오염농도는 TPH 10,772 mg/kg으로 분석되었으며, 유기오염물질 분해 미생물, 생분해성 플라스틱 담체, 및 배양액은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규격 및 조건으로 실험하였다. 실험은 112일 동안 진행하였고, 총석유계탄화수소(TPH) 분석은 토양오염 공정시험방법에 의거하여 분석하였으며, 분석 주기는 7일 또는 14일 간격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3 : 사양토( sandy loam ) 오염토양의 현장규모 실험
충북 영동군 소재 공장의 경유오염토양을 채취하여 실험에 사용하였으며, 미국 농무성 기준 토성 분석결과 사양토로 판정되었다. 초기 오염농도는 총석유계탄화수소(TPH) 4,457 mg/kg으로 분석되었으며, 유기오염물질 분해 미생물과 생분해성 플라스틱 담체는 상기 실시예 1 및 2와 동일한 제품을 구매하여 사용하였다.
미생물 배양을 위한 배양액은, 현장 규모 실험 시 외래미생물로부터의 오염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경유를 탄소원으로 하고, N, P-source만을 C:N:P=100:10:1의 비율로 제조한 최소배지(minimal medium)를 사용하여 2톤 용량의 배양조에 폭기시키며 배양하였으며, 이 외에 미생물 접종, 배양 및 담체 고정방법은 상기 실시예 1 및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현장오염토양은 오염농도 및 토성을 균질화하기 위하여 사전에 굴삭기를 이용하여 충분히 교반한 다음, 1.8m 높이로 성토하여 원위치 토양경작 작업을 위한 현장 조건을 조성하였다.
미생물이 지수기를 거쳐 정지기에 다다르면 배양을 중지하고, 현장오염토양 20m3에 상기 제조한 담체 및 배양액을 각각 1.5 부피부 혼합하고, 미생물에 산소를 공급하기 위하여 주 2회 뒤집기를 실시하였다. 실험은 63일 동안 진행하였고, 총석유계탄화수소(TPH) 분석은 토양오염 공정시험방법에 의거하여 분석하였으며, 분석 주기는 7일 간격으로 실시하였다.
비교예 1 : 양질사토 ( loamy sand ) 오염토양
미생물 및 담체를 투여하지 않은 무처리구, 단순 미생물만을 투여한 실험구(實驗區), 및 제올라이트(zeolite), 세라믹(ceramic), 펄라이트(perlite), 피트모스(peat moss)를 각각 담체로 이용하여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미생물로 고정시킨 담체와 배양액을 제조한 후, 오염토양 100 부피부에 대하여 상기 제조한 담체 및 배양액을 각각 1.5 부피부 투여한 실험구를 준비하여 총 6개의 실험구를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하였다.
비교예 2 : 사양토( sandy loam ) 오염토양
미생물 및 담체를 투여하지 않은 무처리구, 및 제올라이트, 세라믹, 펄라이트, 피트모스를 각각 담체로 이용하여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미생물로 고정시킨 담체와 배양액을 제조한 후, 오염토양 100 부피부에 대하여 상기 제조한 담체 및 배양액을 각각 1.5 부피부 투여한 실험구를 준비하여 총 5개의 실험구를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하였다.
비교예 3 : 사양토( sandy loam ) 오염토양의 현장규모 실험
미생물 및 담체를 투여하지 않은 무처리구, 및 세라믹과 피트모스를 각각 담체로 이용하여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한 미생물로 고정시킨 담체와 배양액을 제조한 후, 오염토양 100 부피부에 대하여 상기 제조한 담체 및 배양액을 각각 1.5 부피부 투여한 실험구를 준비하여 총 3개의 실험구를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하였다.
< 실시예 1과 비교예 1의 평가 결과>
상기 실시예 1과 비교예 1을 대상으로 총석유계탄화수소 농도(mg/kg)를 측정한 결과는 하기 표 1과 같다.
시간
(일)
실시예1 비교예1
생분해성
플라스틱
무처리구 단순
미생물
제올
라이트
세라믹 펄라이트 피트모스
초기 10,440 10,440 10,440 10,440 10,440 10,440 10,440
7 5,365 8,560 5,287 7,816 7,625 5,624 7,035
14 5,013 8,432 4,460 6,673 6,535 4,712 6,260
21 3,464 8,781 4,290 4,425 4,472 4,664 6,028
28 1,817 8,282 3,076 4,284 1,861 3,529 4,353
35 1,594 8,177 3,075 4,147 1,859 3,458 4,698
상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토양정화방법으로 실시한 실시예 1의 경우, 실험진행 28일 만에 국내 토양환경보전법 상 3지역 우려기준인 총석유계탄화수소(TPH) 2,000 mg/kg 미만으로 오염농도가 저감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비교예 1의 실험구 중에는 세라믹 담체의 경우가 실시예 1과 유사한 정화효율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 실시예 2와 비교예 2의 평가 결과>
상기 실시예 2와 비교예 2를 대상으로 총석유계탄화수소 농도(mg/kg)를 측정한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시간
(일)
실시예 2 비교예 2
생분해성
플라스틱
무처리구 제올라이트 세라믹 펄라이트 피트모스
초기 10,772 10,772 10,772 10,772 10,772 10,772
7 8,681 9,834 8,671 8,981 9,244 8,800
14 6,059 9,535 6,953 7,342 7,313 7,173
21 5,644 8,838 6,136 6,327 6,901 6,650
28 5,172 8,529 6,260 5,146 6,875 6,715
35 5,434 9,043 6,053 5,866 6,913 5,835
42 5,272 8,915 5,579 5,911 6,881 6,870
49 3,103 7,921 5,263 5,751 5,179 7,362
56 3,088 7,302 5,260 4,246 5,112 6,710
70 2,870 7,235 4,580 3,870 5,050 6,562
84 2,750 7,065 3,325 2,726 5,121 6,423
98 1,950 6,987 2,298 2,983 5,020 6,357
112 1,860 6,888 2,177 2,980 4,987 6,307
상기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토양정화방법으로 실시한 실시예 2의 경우, 실험진행 98일 만에 국내 토양환경보전법 상 3지역 우려기준인 총석유계탄화수소(TPH) 2,000 mg/kg 미만으로 오염농도가 저감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비교예 2의 모든 실험구는 112일이 지난 후에도 총석유계탄화수소(TPH) 2,000 mg/kg 미만으로 저감되지 않았다.
< 실시예 3과 비교예 3의 평가 결과>
상기 실시예 3과 비교예 3을 대상으로 총석유계탄화수소 농도(mg/kg)를 측정한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시간
(일)
실시예 3 비교예 3
생분해성
플라스틱
무처리구 세라믹 피트모스
초기 4,457 4,279 5,077 5,831
7 3,712 4,956 3,778 3,962
14 3,594 4,781 3,535 3,751
21 3,338 4,665 3,520 3,606
28 3,013 3,875 3,273 3,572
35 2,042 3,565 2,829 3,284
42 1,807 4,317 2,216 2,510
49 1,498 4,098 1,888 2,275
56 1,396 4,251 1,879 2,194
63 1,176 3,902 1,569 1,896
저감률 73.6% 8.8% 69.1% 67.5%
상기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토양정화방법으로 실시한 실시예 3의 경우, 실험진행 42일 만에 국내 토양환경보전법 상 3지역 우려기준인 총석유계탄화수소(TPH) 2,000 mg/kg 미만으로 오염농도가 저감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비교예 3의 세라믹과 피트모스 실험구와 비교하여 실시예 3의 생분해성 플라스틱 실험구의 초기 오염농도 대비 저감률이 73.6%로 정화효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본 발명의 오염토양 정화용 조성물을 사용하여 원위치(in-situ) 오염토양 정화방법을 적용하지 않고, 기존 재래적인 토양경작법을 적용해야 하는 경우에도 기존의 토양경작단 0.3 내지 1.0m 이내의 높이를 1.8m로 높일 수 있게 됨으로써, 경작장 단위면적 당 처리물량이 1.8배로 증가되어, 오염토양의 정화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으로 예상된다.
생분해성 플라스틱을 미생물 고정용 담체로 사용한 원위치 오염토양 정화방법을 인공오염토양에 적용한 실시예 1과 실제 현장오염토양에 적용한 실시예 2의 분석결과를 관찰하여 볼 때,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 비하여 유기오염물질 분해 정화효율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생분해성 플라스틱 담체를 이용해 현장 규모로 원위치 오염토양 정화방법을 적용한 실시예 3을 비교예 3과 비교한 결과에서도 실시예 3에서의 유기오염물질 분해 정화효율이 우수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결론적으로, 유기오염물질로 오염된 오염토양의 정화에 본 발명에 따른 생분해성 플라스틱을 고정용 담체로 사용한 오염토양 정화용 조성물을 적용한 실시예 1, 2, 및 3이 비교예 1, 2, 및 3에 비해 경유의 오염농도 저감이 빠르게 진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구성은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그 우수성이 입증되었지만 상기의 구성(오염물질과 실험조건 등)에 의해서만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Claims (8)

  1. 생분해성 플라스틱과 유기오염물질 분해 미생물을 포함하는 오염토양 정화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플라스틱은 폴리유산(PLA, Poly Lactic Acid)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토양 정화용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유산은 섬유형태이며, 유기오염물질 분해 미생물을 고정시킴으로써 외부의 환경충격을 완화하고, 미생물의 균체수를 건조토양 1g당 106 내지 109 MPN(most probable number)로 유지할 수 있는 담체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토양 정화용 조성물.
  4. (1) 유기오염물질 분해 미생물과 생분해성 플라스틱 담체를 배양하여 담체에 미생물이 고정되도록 유도하는 단계;
    (2) 상기 미생물이 고정된 생분해성 플라스틱 담체와 배양액을 오염토양에 혼합하는 단계; 및
    (3) 상기 혼합한 오염토양에 공기 및 수분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생물학적 원위치 오염토양 정화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플라스틱은 폴리유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학적 원위치 오염토양 정화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배지 100 부피부에 대하여 상기 생분해성 플라스틱 담체 10 내지 50 부피부 및 상기 유기오염물질 분해 미생물 1 내지 20 부피부 혼합하여 배양함으로써, 상기 생분해성 플라스틱 담체에 상기 유기오염물질 분해 미생물을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학적 원위치 오염토양 정화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오염토양 100 부피부에 대하여 상기 담체 및 배양액을 각각 1 내지 3 부피부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학적 원위치 오염토양 정화방법.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사전에 오염토양을 굴착한 자리에 상기 담체와 배양액을 혼합한 오염토양을 되메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학적 원위치 오염토양 정화방법.
KR1020150109683A 2015-08-03 2015-08-03 오염토양 정화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생물학적 원위치 오염토양 정화방법 KR201700162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9683A KR20170016223A (ko) 2015-08-03 2015-08-03 오염토양 정화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생물학적 원위치 오염토양 정화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9683A KR20170016223A (ko) 2015-08-03 2015-08-03 오염토양 정화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생물학적 원위치 오염토양 정화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6223A true KR20170016223A (ko) 2017-02-13

Family

ID=58156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9683A KR20170016223A (ko) 2015-08-03 2015-08-03 오염토양 정화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생물학적 원위치 오염토양 정화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16223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9166B1 (ko) 2004-02-13 2006-03-10 (주)그린볼텍스 피트모스를 이용한 유류 오염 토양의 생물학적 복원 방법
KR100992505B1 (ko) 2008-01-16 2010-11-08 (주)세와비전 무기질 다공체를 이용한 오염토양 복원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9166B1 (ko) 2004-02-13 2006-03-10 (주)그린볼텍스 피트모스를 이용한 유류 오염 토양의 생물학적 복원 방법
KR100992505B1 (ko) 2008-01-16 2010-11-08 (주)세와비전 무기질 다공체를 이용한 오염토양 복원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abbar et al. Challenges in the implementation of bioremediation processes in petroleum-contaminated soils: A review
Englert et al. Bioremediation of petroleum products in soil
Morgan et al. Hydrocarbon degradation in soils and methods for soil biotreatment
Antizar-Ladislao Bioremediation: working with bacteria
Cobas et al. Development of permeable reactive biobarrier for the removal of PAHs by Trichoderma longibrachiatum
US20100274069A1 (en) Method for bioremediation of highly aromatic hydrocarbon wastes
Careghini et al. Biobarriers for groundwater treatment: a review
Sivakumar et al. Bioremediation studies on reduction of heavy metals toxicity
Maitra In situ bioremediation—An overview
CN105414171B (zh) 用于污染土壤修复的反应植物墙修复系统及其处理方法
CN105598161B (zh) 一种微生物处理含油废渣的方法
Guo et al. Improving benzo (a) pyrene biodegradation in soil with wheat straw-derived biochar amendment: performance, microbial quantity, CO2 emission, and soil properties
CN104649848A (zh) 一种用于修复石油污染盐碱土壤的固体菌肥及制备方法
Ogbonna Application of biological methods in the remediation of oil polluted environment in Nigeria
Colleran Uses of bacteria in bioremediation
Ouriache et al. Influence of C/N/P ratio evolution on biodegradation of petroleum hydrocarbons-contaminated soil
CN112620342A (zh) 一种利用生物表面活性剂增效修复高环多环芳烃污染土壤的方法
CN105642667A (zh) 一种利用微生物AHLs类信号分子修复有机污染土壤的方法
CN102249428B (zh) 一种原位修复石油污染地下水的方法
KR20170016223A (ko) 오염토양 정화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생물학적 원위치 오염토양 정화방법
McFarlin et al. Oil contaminated soil: Understanding biodegradation and remediation strategies
Uche et al. HC-0B-06: Biodegradation of hydrocarbons
Mahmoud Advancement in bioremediation process: a mini
Saeed et al. Microbial remediation for environmental cleanup
Kaszycki et al. Aerobic process for in situ bioremediation of petroleum-derived contamination of soil: a field study based on laboratory microcosm tes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