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5793A - 전원 공급부,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전원 공급부,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5793A
KR20170015793A KR1020150109004A KR20150109004A KR20170015793A KR 20170015793 A KR20170015793 A KR 20170015793A KR 1020150109004 A KR1020150109004 A KR 1020150109004A KR 20150109004 A KR20150109004 A KR 20150109004A KR 20170015793 A KR20170015793 A KR 201700157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driving
feedback
generating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9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미
편기현
곽장훈
윤종영
조의명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090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15793A/ko
Priority to US15/170,783 priority patent/US20170032753A1/en
Publication of KR20170015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57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1/4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 G05F1/462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as a function of the requirements of the load, e.g. delay, temperature, specific voltage/current characteristic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1/4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 G05F1/5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 G05F1/575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feedback circui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96Generation of voltages supplied to electrode driv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8Generation of voltages supplied to electrode drivers in a matrix display other than LC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전원 공급부는 구동 제어부로 공급되는 제1 구동 전압을 생성하는 전원 생성부와, 상기 제1 구동 전압을 피드백(feedback)하여, 상기 제1 구동 전압과 상기 전원 생성부로부터 수신된 제1 기준 전압과의 차이에 따라 피드백 전압을 생성하는 전압 보상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생성부는 상기 피드백 전압에 상응하도록 상기 제1 구동 전압을 승압하거나 강압하여 제2 구동 전압을 생성하고, 상기 제2 구동 전압을 상기 구동 제어부로 공급한다.

Description

전원 공급부,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POWER SUPPLY,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OPERATING METHOD OF POWER SUPPLY}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전원 공급부,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유기전계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플라즈마 표시 장치(Plasma Display Device) 등 다양한 종류의 표시 장치들이 널리 사용된다.
이러한 표시장치들은 빛을 발광하는 화소들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화소들로 공브될 제어신호들을 생성하는 구동 제어부, 및 표시장치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생성하는 전원 구동부를 포함한다.
구동 제어부는 전원 공급부로부터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전원 공급부는 구동 제어부에 적정 레벨의 전원을 공급해야한다. 하지만, 구동 제어부로 전원이 공급될 때, 구동 제어부와 전원 공급부 사이의 전원 배선 등에서 전압 강하가 발생될 수 있다.
만약, 구동 제어부에 적정 전압 레벨보다 낮은 전원이 공급되면, 구동 제어부는 필요한 동작을 수행할 수 없다. 예컨대, 구동 제어부는 화소들이 적절한 휘도로 빛을 발광할 수 있도록 데이터 구동부 및 주사 구동부로 공급될 제어신호들을 생성해야하지만, 적정 전압 레벨보다 낮은 전원이 공급된다면 불안정한 전압 레벨의 제어신호들을 생성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구동 제어부와 전압 공급부 사이에서 발생하는 전압 강하를 보상하기 위해, 구동 제어부로 공급되는 구동 전압을 전압 공급부로 피드백하고, 피드백된 전압에 따라 보상된 구동 전압을 생성하는 전원 공급부,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원 공급부는 구동 제어부로 공급되는 제1 구동 전압을 생성하는 전원 생성부와, 상기 제1 구동 전압을 피드백(feedback)하여, 상기 제1 구동 전압과 상기 전원 생성부로부터 수신된 제1 기준 전압과의 차이에 따라 피드백 전압을 생성하는 전압 보상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생성부는 상기 피드백 전압에 상응하도록 상기 제1 구동 전압을 승압하거나 강압하여 제2 구동 전압을 생성하고, 상기 제2 구동 전압을 상기 구동 제어부로 공급한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전압 보상부는, 상기 제1 구동 전압과 상기 제1 기준 전압의 차이를 계산하고, 계산 결과에 따라 비교 신호를 생성하는 비교기와, 상기 비교 신호를 기초로 디지털 신호를 생성하는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와, 상기 디지털 신호를 저장하는 데이터 레지스터와, 상기 디지털 신호를 기초로 아날로그 신호를 생성하는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와, 상기 아날로그 신호의 크기에 따라 상기 피드백 전압을 생성하는 피드백 전압 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피드백 전압 생성부는, 상기 전원 생성부로부터 공급되는 제2 기준 전압을 분압하여 상기 피드백 전압을 생성하는 전압 분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전압 분배부는 상기 아날로그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아날로그 신호의 크기에 따라 가변하는 가변 저항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전압 분배부는 게이트 전극이 상기 아날로그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단과 연결되고, 제1 전극이 상기 피드백 전압을 출력하는 출력단과 연결되고, 제2 전극이 접지 전원과 연결되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트랜지스터는 상기 아날로그 신호의 크기에 따라 제1 전극의 전압 레벨이 변동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전원 생성부는 상기 피드백 전압과 제3 기준 전압을 비교하고, 상기 피드백 전압이 상기 제3 기준 전압보다 작으면 상기 제1 구동 전압을 승압하고, 상기 피드백 전압이 상기 제3 기준 전압보다 크면 상기 제1 구동 전압을 강압하여 상기 제2 구동 전압을 생성하는 전원 공급부.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1 구동 전압과 상기 제1 기준 전압의 차이는 상기 전원 생성부와 상기 구동 제어부 사이에 존재하는 저항 성분에 의해 강하된 전압일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아날로그 신호는 상기 제1 구동 전압과 상기 제1 기준 전압의 차이보다 높은 전압 레벨의 신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주사선들 및 데이터선들과 접속되는 화소들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과, 상기 화소들의 발광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구동 제어부와, 상기 표시 패널의 외부에 배치되고, 제1 전원선들을 통해 상기 화소들과 상기 구동 제어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구동 제어부로 공급되는 제1 구동 전압을 생성하는 전원 생성부와, 상기 제1 구동 전압을 피드백(feedback)하여, 상기 제1 구동 전압과 상기 전원 생성부로부터 수신된 제1 기준 전압과의 차이에 따라 피드백 전압을 생성하는 전압 보상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생성부는 상기 피드백 전압에 상응하도록 상기 제1 구동 전압을 승압하거나 강압하여 제2 구동 전압을 생성하고, 상기 제2 구동 전압을 상기 구동 제어부로 공급한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전압 보상부는, 상기 제1 구동 전압과 상기 제1 기준 전압의 차이를 계산하고, 계산 결과에 따라 비교 신호를 생성하는 비교기와, 상기 비교 신호를 기초로 디지털 신호를 생성하는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와, 상기 디지털 신호를 저장하는 데이터 레지스터와, 상기 디지털 신호를 기초로 아날로그 신호를 생성하는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와, 상기 아날로그 신호의 크기에 따라 상기 피드백 전압을 생성하는 피드백 전압 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피드백 전압 생성부는, 상기 전원 생성부로부터 공급되는 제2 기준 전압을 분압하여 상기 피드백 전압을 생성하는 전압 분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전압 분배부는 상기 아날로그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아날로그 신호의 크기에 따라 가변하는 가변 저항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전압 분배부는 게이트 전극이 상기 아날로그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단과 연결되고, 제1 전극이 상기 피드백 전압을 출력하는 출력단과 연결되고, 제2 전극이 접지 전원과 연결되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트랜지스터는 상기 아날로그 신호의 크기에 따라 제1 전극의 전압 레벨이 변동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전원 생성부는 상기 피드백 전압과 제3 기준 전압을 비교하고, 상기 피드백 전압이 상기 제3 기준 전압보다 작으면 상기 제1 구동 전압을 승압하고, 상기 피드백 전압이 상기 제3 기준 전압보다 크면 상기 제1 구동 전압을 강압하여 상기 제2 구동 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원 공급부의 구동 방법은, 구동 제어부로 공급될 제1 구동 전압을 생성하고, 상기 구동 제어부로 상기 제1 구동 전압을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제1 구동 전압이 상기 구동 제어부로 공급되면서 저항 성분에 의해 발생된 전압 강하를 감지하기 위해 공급된 제1 구동 전압을 피드백하는 단계와, 피드백된 제1 구동 전압과 제1 기준 전압과의 차이를 비교하고, 차이 값에 상응하는 피드백 전압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피드백 전압에 따라 상기 제1 구동 전압의 전압 레벨을 변경하여 제2 구동 전압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2 구동 전압을 상기 구동 제어부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2 구동 전압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피드백 전압의 크기에 따라, 미리 설정된 전압 크기만큼 상기 제1 구동 전압을 승압하거나 강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전원 공급부,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에 의하면, 구동 제어부로 공급되는 구동 전압을 전압 공급부로 피드백하고, 피드백된 전압에 따라 보상된 구동 전압을 생성하여, 구동 제어부와 전압 공급부 사이에서 발생하는 전압 강하를 보상할 수 있다. 이로써, 구동 제어부는 적정 전압 레벨의 구동 전압을 공급받아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원 공급부와 구동 제어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전압 보상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피드백 전압을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원 공급부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은 채, 제1구성 요소는 제2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 요소는 제1구성 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표시 장치(10)는 구동 제어부(200), 주사 구동부(300), 데이터 구동부(400), 표시 패널(500), 및 전원 공급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제어부(200)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동기신호들(예컨대, 수직 동기 신호, 수평 동기 신호,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 및 영상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여 데이터 구동제어신호(DCS) 및 주사 구동제어신호(SCS)를 생성할 수 있다.
구동 제어부(200)는 데이터 구동제어신호(DCS)를 데이터 구동부(400)로 공급하고, 주사 구동제어신호(SCS)를 주사 구동부(300)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구동 제어부(200)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영상 데이터(Im)를 데이터 구동부(400)로 공급할 수 있다.
주사 구동부(300)는 구동 제어부(200)로부터 공급된 주사 구동제어신호(SCS)에 따라 주사신호(SS)를 주사선들로 순차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400)는 구동 제어부(200)로부터 입력된 영상 데이터(Im)와 데이터 구동제어신호(DCS)를 이용하여 데이터 신호(DS)를 생성하고, 생성된 데이터 신호(DS)를 각각의 데이터선들로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데이터 구동부(400)는 표시 패널(500)에 형성되거나, 집적회로(Integrated Circuit)로 형태로 표시 패널(500)에 실장될 수 있다.
표시 패널(500)은 소정의 영상을 표시하는 화소들을 포함할 수 있고, 구동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화소들 각각은 주사선으로 주사신호(SS)가 공급될 때, 선택된 데이터선으로부터 데이터신호(DS)를 공급받을 수 있다. 데이터신호(DS)를 공급받은 화소들은 데이터신호(DS)에 상응하는 휘도의 빛을 방출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표시 패널(500)은 유기전계발광 표시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액정 표시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 플라즈마 표시패널(Plasma Display Panel)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전원 공급부(100)는 표시 패널(500)의 외부에 배치되어 구동 제어부(200) 또는 표시 패널(500)의 각 화소에 공급될 구동 전원을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전원 공급부(100)는 배터리(미도시) 등의 전원으로부터 소정의 전압을 인가받을 수 있고, 인가받은 전압을 화소들에서 필요로 하는 전압으로 변환하여 화소들로 인가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00)는 구동 제어부(200)로 구동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때, 구동 제어부(200)가 전원 공급부(100)로부터 공급받은 구동 전원의 전압 레벨의 크기가 일정한 값보다 작거나 크다면, 제어신호는 불안정한 전압 레벨로 생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전원 공급부(100)가 구동 제어부(200)로 구동 전원을 공급할 때, 전원 공급부(100)와 구동 제어부(200)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저항 성분의 소자들(예컨대, 전기배선의 저항 등)에 의해 구동 전원의 전압 강하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원 공급부(100)는 구동 제어부(200)로 공급되는 구동 전원을 피드백(feedback)하여 피드백 전원을 생성하고, 생성된 피드백 전원에 상응하도록 구동 전원을 변경하여 전압 강하를 보상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원 공급부와 구동 제어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원 공급부(100)는 구동 전원을 생성하여 구동 제어부(200)로 공급하고, 구동 제어부(200)로 공급되는 구동 전원을 피드백하여 보상된 구동 전원을 생성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00)는 전원 생성부(110)와 전압 보상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생성부(110)는 구동 제어부(200)로 공급되는 초기 구동 전압(Vi)을 생성할 수 있다. 전원 생성부(110)에서 생성된 초기 구동 전압(Vi)은 전기배선(미도시)를 통해 구동 제어부(200)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초기 구동 전압(Vi)은 전원 생성부(110)와 구동 제어부(200) 사이에 존재하는 부하(600)에 의해 전압 강하가 발생될 수 있다. 예컨대, 부하(600)는 전기배선의 저항, 비드(bead)에 의한 저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전원 생성부(110)는 초기 구동 전압(Vi)보다 강하된 낮은 전압 레벨의 제1 구동 전압(V1)을 구동 제어부(200)로 공급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전압 보상부(120)는 부하(600)에서 발생된 전압강하를 보상하기 위해 제1 구동 전압(V1)을 피드백(feedback)할 수 있다. 이때, 전압 보상부(120)는 구동 제어부(200)의 제1 구동 전압(V1)이 입력되는 입력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배선을 통해 제1 구동 전압(V1)을 수신받을 수 있다.
또한, 전압 보상부(120)는 전원 생성부(110)로부터 제1 기준 전압(Vref1)을 수신받을 수 있고, 제1 구동 전압(V1)과 제1 기준 전압과(Vref1)의 전압 레벨 차이를 비교할 수 있다.
전압 보상부(120)는 제1 구동 전압(V1)과 제1 기준 전압과(Vref1)의 비교 결과에 따라 제1 구동 전압(V1)을 보상하기 위한 피드백 전압(Vfb)을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피드백 전압(Vfb)을 전원 생성부(110)로 공급할 수 있다.
전원 생성부(110)는 공급된 피드백 전압(Vfb)에서 상응하도록 제1 구동 전압(V1)을 승압하거나 강압하여 제2 구동 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전원 생성부(110)는 미리 설정된 제3 기준 전압(Vref3)과 피드백 전압(Vfb)의 전압 레벨을 비교하고, 부하(600)에서 발생된 전압강하량을 판단할 수 있다. 전원 생성부(110)는 부하(600)에서 발생될 전압강하량만큼 제1 구동 전압(V1)을 승압하여 제2 구동 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만약, 피드백 전압(Vfb)의 전압 레벨보다 제3 기준 전압(Vref3)보다 높다면, 전원 생성부(110)는 제1 구동 전압(V1)을 강압하여 제2 구동 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전원 생성부(110)는 피드백 전압(Vfb)에 상응하도록 생성된 제2 구동 전압을 구동 제어부(200)로 공급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전압 보상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압 보상부(120)는 비교기(121),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122), 데이터 레지스터(123),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124), 및 피드백 전압 생성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비교기(121)는 피드백된 제1 구동 전압(V1)과 제1 기준 전압(Vref1)의 전압 레벨 차이를 계산할 수 있고, 계산 결과에 따라 비교 신호(ΔV)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구동 전압(V1)의 크기가 1.0 V이고 제1 기준 전압(Vref1)의 크기가 1.2 V이면, 비교기(121)는 제1 구동 전압(V1)과 제1 기준 전압(Vref1)의 차이인 0.2 V에 대한 비교 신호(ΔV)를 생성할 수 있다. 즉, 부하(600)에서 강하된 전압의 크기는 0.2 V이고, 비교기(121)는 강하된 전압의 크기에 상응하는 비교 신호(ΔV)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구동 전압(V1)의 크기가 제1 기준 전압(Vref1)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비교기(121)는 제1 구동 전압(V1)과 제1 기준 전압(Vref1)의 크기의 차이를 비교하고, 제1 구동 전압(V1)이 제1 기준 전압(Vref1)보다 크거나 같은 정보를 포함하는 비교 신호(ΔV)를 생성할 수 있다.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122)는 비교기(121)로부터 비교 신호(ΔV)를 수신하고, 수신된 비교 신호(ΔV)를 기초로 디지털 신호(Vd)를 생성할 수 있다.
데이터 레지스터(123)는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122)에서 생성된 디지털 신호(Vd)를 저장하고, 디지털 신호(Vd)를 다시 아날로그 신호(Va)로 변환하기 위해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122)로 전송할 수 있다.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124)는 피드백 전압 생성부(125)에서 인식할 수 있는 아날로그 신호(Va)를 생성하기 위해 디지털 신호(Vd)를 기초로 아날로그 신호(Va)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아날로그 신호(Va)는 제1 구동 전압(V1)과 제1 기준 전압(Vref1)의 차이보다 높은 레벨의 신호일 수 있다.
제1 구동 전압(V1)과 제1 기준 전압(Vref1)의 차이는 피드백 전압 생성부(125)에서 인식하기에 작은 크기의 전압 레벨일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124)는 비교 신호(ΔV)의 전압 레벨보다 높은 전압 레벨로 증폭시켜서 아날로그 신호(Va)를 생성한다.
피드백 전압 생성부(125)는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124)로부터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Va)를 이용하여 피드백 전압(Vfb)을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피드백 전압 생성부(125)는 전원 생성부(110)로부터 제2 기준 전압(Vref2)을 수신할 수 있고, 아날로그 신호에 따라 제2 기준 전압(Vref2)을 분압하여 피드백 전압(Vfb)을 생성할 수 있다. 피드백 전압(Vfb)을 생성하는 방법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실시 예에 따라, 피드백 전압 생성부(125)는 전원 공급부(100) 외부의 별도의 전원으로부터 제2 기준 전압(Vref2)을 공급받을 수 있다.
피드백 전압 생성부(125)는 생성된 피드백 전압을 전원 생성부(110)로 공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피드백 전압을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피드백 전압 생성부(125)는 제2 기준 전압(Vref2)을 분압하여 피드백 전압(Vfb)을 생성하는 전압 분배부(125-1)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전압 분배부는 등가 저항(R1)과 아날로그 신호(Va)의 크기에 따라 가변하는 가변 저항(Rk)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2 기준 전압(Vref2)의 크기가 VDD이고, 저항 (R1)은 제2 기준 전압(Vref2)의 입력단과 가변 저항 사이에 배치된 등가 저항이고, 피드백 전압(Vfb)은 다음 수식에 따라 결정될 수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Figure pat00001
예컨대, 제1 구동 전압(V1)과 제1 기준 전압(Vref1)이 같으면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124)에서 생성된 아날로그 신호(Va)는 0 V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가변 저항(Rk)은 크기가 a인 저항으로 설정될 수 있고, 피드백 전압 생성부(125)는 a 크기의 가변 저항(Rk)에 따라 피드백 전압(Vfb)을
Figure pat00002
로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아날로그 신호(Va)의 크기가 0.1이면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가변 저항(Rk)은 크기가 b인 저항으로 설정될 수 있고, 피드백 전압 생성부(125)는 b 크기의 가변 저항에 따라 피드백 전압(Vfb)을
Figure pat00003
로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전압 분배부(125-1)는 게이트 전극이 아날로그 신호(Va)가 입력되는 입력단과 연결되고, 제1 전극이 피드백 전압(Vfb)을 출력하는 출력단과 연결되고, 제2 전극이 접지 전원과 연결되는 트랜지스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트랜지스터는 아날로그 신호(Va)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1 전극의 전압 레벨을 변동시켜서 피드백 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피드백 전압 생성부(125)는 생성된 피드백 전압(Vfb)을 전원 생성부(110)로 공급할 수 있다.
전원 생성부(110)는 피드백 전압(Vfb)과 제3 기준 전압(Vref3)을 이용하여 부하(600)에서 발생된 전압강하를 보상한 제2 구동 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기준 전압(Vref3)은 전원 생성부에서 미리 생성된 기준 전압이거나, 외부로부터 입력된 기준 전압일 수 있다.
예컨대, 전원 생성부(110)는 피드백 전압(Vfb)과 제3 기준 전압(Vref3)을 비교하고, 피드백 전압(Vfb)이 상기 제3 기준 전압(Vref3)보다 작으면 설정된 전압의 크기만큼 제1 구동 전압을 승압하고, 피드백 전압(Vfb)이 제3 기준 전압(Vref3)보다 크면 설정된 전압의 크기만큼 제1 구동 전압을 강압하여 제2 구동 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전원 생성부(110)는 전원 생성부(110)와 구동 제어부(200) 사이에서 발생되는 전압 강하에도 불구하고, 제2 구동 전압을 생성하여 원하는 전압 레벨의 구동 전원을 구동 제어부(200)로 공급할 수 있다.
즉, 전원 생성부(110)에서 공급된 상기 제2 구동 전압이 부하(600)에서 전압 강하되더라도, 구동 제어부(200)는 적정 전압 레벨의 구동 전원을 수신할 수 있고 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원 공급부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전원 생성부(110)는 구동 제어부(200)로 공급될 제1 구동 전압을 생성하고(S100), 생성된 제1 구동 전압(V1)을 구동 제어부(200)로 공급할 수 있다(S110).
전압 보상부(120)는 구동 제어부(200)로 공급되는 제1 구동 전압(V1)을 피드백하여(S120), 피드백된 제1 구동 전압(V1)과 제1 기준 전압(Vref)을 비교하고(S130), 비교 결과에 따라 피드백 전압(Vfb)을 생성할 수 있다(S140).
전원 생성부(110)는 전원 공급부(100)와 구동 제어부(200) 사이에서 발생된 전압강하를 보상하기 위해, 피드백 전압(Vfb)에 따라 제2 구동 전압을 생성하고(S150), 제2 구동 전압을 구동 제어부(200)로 전송할 수 있다(S160).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전원 공급부
110: 전원 생성부
120: 전압 보상부
121: 비교기
122: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
123: 데이터 레지스터
124: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
125: 피드백 전압 생성부
200: 구동 제어부
300: 주사 구동부
400: 데이터 구동부
500: 표시 패널
600: 부하

Claims (16)

  1. 구동 제어부로 공급되는 제1 구동 전압을 생성하는 전원 생성부; 및
    상기 제1 구동 전압을 피드백(feedback)하여, 상기 제1 구동 전압과 상기 전원 생성부로부터 수신된 제1 기준 전압과의 차이에 따라 피드백 전압을 생성하는 전압 보상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생성부는 상기 피드백 전압에 상응하도록 상기 제1 구동 전압을 승압하거나 강압하여 제2 구동 전압을 생성하고, 상기 제2 구동 전압을 상기 구동 제어부로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보상부는,
    상기 제1 구동 전압과 상기 제1 기준 전압의 차이를 계산하고, 계산 결과에 따라 비교 신호를 생성하는 비교기;
    상기 비교 신호를 기초로 디지털 신호를 생성하는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
    상기 디지털 신호를 저장하는 데이터 레지스터;
    상기 디지털 신호를 기초로 아날로그 신호를 생성하는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 및
    상기 아날로그 신호의 크기에 따라 상기 피드백 전압을 생성하는 피드백 전압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전원 공급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전압 생성부는,
    상기 전원 생성부로부터 공급되는 제2 기준 전압을 분압하여 상기 피드백 전압을 생성하는 전압 분배부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분배부는 상기 아날로그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아날로그 신호의 크기에 따라 가변하는 가변 저항을 포함하는 전원 공급부.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분배부는 게이트 전극이 상기 아날로그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단과 연결되고, 제1 전극이 상기 피드백 전압을 출력하는 출력단과 연결되고, 제2 전극이 접지 전원과 연결되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트랜지스터는 상기 아날로그 신호의 크기에 따라 제1 전극의 전압 레벨이 변동되도록 구동되는 전원 공급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생성부는 상기 피드백 전압과 제3 기준 전압을 비교하고, 상기 피드백 전압이 상기 제3 기준 전압보다 작으면 상기 제1 구동 전압을 승압하고, 상기 피드백 전압이 상기 제3 기준 전압보다 크면 상기 제1 구동 전압을 강압하여 상기 제2 구동 전압을 생성하는 전원 공급부.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 전압과 상기 제1 기준 전압의 차이는 상기 전원 생성부와 상기 구동 제어부 사이에 존재하는 저항 성분에 의해 강하된 전압인 전원 공급부.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날로그 신호는 상기 제1 구동 전압과 상기 제1 기준 전압의 차이보다 높은 전압 레벨의 신호인 전원 공급부.
  9. 주사선들 및 데이터선들과 접속되는 화소들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화소들의 발광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구동 제어부; 및
    상기 표시 패널의 외부에 배치되고, 제1 전원선들을 통해 상기 화소들과 상기 구동 제어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구동 제어부로 공급되는 제1 구동 전압을 생성하는 전원 생성부; 및
    상기 제1 구동 전압을 피드백(feedback)하여, 상기 제1 구동 전압과 상기 전원 생성부로부터 수신된 제1 기준 전압과의 차이에 따라 피드백 전압을 생성하는 전압 보상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생성부는 상기 피드백 전압에 상응하도록 상기 제1 구동 전압을 승압하거나 강압하여 제2 구동 전압을 생성하고, 상기 제2 구동 전압을 상기 구동 제어부로 공급하는 표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보상부는,
    상기 제1 구동 전압과 상기 제1 기준 전압의 차이를 계산하고, 계산 결과에 따라 비교 신호를 생성하는 비교기;
    상기 비교 신호를 기초로 디지털 신호를 생성하는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
    상기 디지털 신호를 저장하는 데이터 레지스터;
    상기 디지털 신호를 기초로 아날로그 신호를 생성하는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 및
    상기 아날로그 신호의 크기에 따라 상기 피드백 전압을 생성하는 피드백 전압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전압 생성부는,
    상기 전원 생성부로부터 공급되는 제2 기준 전압을 분압하여 상기 피드백 전압을 생성하는 전압 분배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분배부는 상기 아날로그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아날로그 신호의 크기에 따라 가변하는 가변 저항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분배부는 게이트 전극이 상기 아날로그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단과 연결되고, 제1 전극이 상기 피드백 전압을 출력하는 출력단과 연결되고, 제2 전극이 접지 전원과 연결되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트랜지스터는 상기 아날로그 신호의 크기에 따라 제1 전극의 전압 레벨이 변동되도록 구동되는 표시 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생성부는 상기 피드백 전압과 제3 기준 전압을 비교하고, 상기 피드백 전압이 상기 제3 기준 전압보다 작으면 상기 제1 구동 전압을 승압하고, 상기 피드백 전압이 상기 제3 기준 전압보다 크면 상기 제1 구동 전압을 강압하여 상기 제2 구동 전압을 생성하는 표시 장치.
  15. 구동 제어부로 공급될 제1 구동 전압을 생성하고, 상기 구동 제어부로 상기 제1 구동 전압을 공급하는 단계;
    상기 제1 구동 전압이 상기 구동 제어부로 공급되면서 저항 성분에 의해 발생된 전압 강하를 감지하기 위해 공급된 제1 구동 전압을 피드백하는 단계;
    피드백된 제1 구동 전압과 제1 기준 전압과의 차이를 비교하고, 차이 값에 상응하는 피드백 전압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피드백 전압에 따라 상기 제1 구동 전압의 전압 레벨을 변경하여 제2 구동 전압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구동 전압을 상기 구동 제어부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부의 구동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동 전압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피드백 전압의 크기에 따라, 미리 설정된 전압 크기만큼 상기 제1 구동 전압을 승압하거나 강압하는 전원 공급부의 구동 방법.
KR1020150109004A 2015-07-31 2015-07-31 전원 공급부,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17001579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9004A KR20170015793A (ko) 2015-07-31 2015-07-31 전원 공급부,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US15/170,783 US20170032753A1 (en) 2015-07-31 2016-06-01 Power supply, display device with the same, and driving method of power supp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9004A KR20170015793A (ko) 2015-07-31 2015-07-31 전원 공급부,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5793A true KR20170015793A (ko) 2017-02-09

Family

ID=57883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9004A KR20170015793A (ko) 2015-07-31 2015-07-31 전원 공급부,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70032753A1 (ko)
KR (1) KR2017001579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6188A (ko) 2020-08-25 2022-03-04 주식회사 엘엑스세미콘 전력관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02987B2 (en) * 2005-07-21 2008-07-22 Agere Systems Inc. Low-dropout regulator with startup overshoot control
US7576527B1 (en) * 2006-07-20 2009-08-18 Marvell International Ltd. Low power DC-DC converter with improved load regulation
US20090140794A1 (en) * 2007-11-29 2009-06-04 Chi-Hao Wu Constant-current charge pump
KR20120001470A (ko) * 2010-06-29 2012-01-04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전원 공급 장치,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130124096A (ko) * 2012-05-04 2013-11-13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영상표시방법, 발광소자 구동장치 및 발광소자 구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032753A1 (en) 2017-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1292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US10013920B2 (en) Display device and module and method for compensating pixels of display device
US10170035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KR102061115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US10008158B2 (en) Display device using adjustable gamma voltage
KR102057286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US20110273109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20150054124A (ko)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2452525B1 (ko)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160108799A (ko) 유기 발광 표시 패널,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전압 강하 보상 방법
KR102467464B1 (ko) 데이터 구동부 및 그의 데이터 전압 설정 방법
US10672341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KR102203522B1 (ko) 구동 전압 생성 장치,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구동 전압 생성 방법
KR20180025473A (ko)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CN103456263A (zh) 有机发光显示设备及其驱动方法
KR20160119392A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US20150243211A1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2160291B1 (ko) 표시장치 및 데이터 드라이버
CN210325164U (zh) 一种逻辑电压补偿电路和显示模组驱动系统
KR20170015793A (ko) 전원 공급부,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2573344B1 (ko) 유기발광표시장치, 타이밍 컨트롤러 및 타이밍 컨트롤러의 구동 방법
KR20170073771A (ko) 유기발광표시패널,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유기발광표시장치의 구동 방법
KR102656487B1 (ko) 컨트롤러, 그를 이용한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구동방법
KR102410432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JP2017129682A (ja)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