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5444A - 대화창 입력 컨텐츠에 대응하는 정보제공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대화창 입력 컨텐츠에 대응하는 정보제공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5444A
KR20170015444A KR1020170013988A KR20170013988A KR20170015444A KR 20170015444 A KR20170015444 A KR 20170015444A KR 1020170013988 A KR1020170013988 A KR 1020170013988A KR 20170013988 A KR20170013988 A KR 20170013988A KR 20170015444 A KR20170015444 A KR 201700154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metadata
information
word
dialo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3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14785B1 (ko
Inventor
구동현
유신일
배상준
Original Assignee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이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13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4785B1/ko
Publication of KR20170015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54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4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47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4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30Transportation; Commun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7/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Abstract

인스턴트 메신저 등의 대화창에 입력 또는 게시된 컨텐츠에 대응하는 키워드를 관련 대화로부터 추출하여, 해당 키워드와 관련된 정보(광고 등)를 제공하기 위한 컨텐츠 대응 정보제공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컨텐츠 대응 정보제공장치는, 사용자 단말에 의해 형성된 하나 이상의 대화창에 컨텐츠가 게시되면, 상기 컨텐츠의 게시전 또는 후에 입력된 하나 이상의 문장으로부터 단어를 추출하는 키워드 추출부; 상기 단어관련 정보를 상기 컨텐츠의 메타데이터로 설정하는 메타데이터 설정부; 및 상기 메타데이터를 상기 컨텐츠에 대응시켜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대화창 입력 컨텐츠에 대응하는 정보제공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CONTENTS INPUT INTO CONVERSATION WINDOWS}
본 발명은 대화창에 입력 또는 게시된 컨텐츠에 대응하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인스턴트 메신저 등의 대화창에 입력 또는 게시된 컨텐츠에 대응하는 키워드를 관련 대화로부터 추출하여, 해당 키워드와 관련된 정보(광고 등)를 제공하기 위한 컨텐츠 대응 정보제공 서비스에 관한 것이다.
유무선 인터넷의 발전, PC의 보급 및 스마트기기의 이용이 급증함에 따라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이나 모바일 언어(예컨대, 자바또는 C 언어) 등을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웹애플리케이션(webapplication)들이 개발, 등장하게 되었으며, 가상 공간(cyberspace)에서 다양한 형태의 인스턴트 메신저(instant messenger)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를 통하여, 유무선을 막론하고 데스크탑 컴퓨터 사용자간, 이동통신 단말간, 또는 이동통신 단말과 데스크탑 컴퓨터간에 인스턴트 메신저를 통한 원활한 실시간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게 되었다.
전자메일(electronic mail)과 비교할 때, 초기의 인스턴트 메신저는 유·무선 인터넷상에서 온라인 상태인 모든 이용자를 대상으로 실시간 메시지 전송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어 다수 사용자를 확보하였으며, 현재는 다수 사용자들 간의 채팅이나 실시간 메시지 전송, 파일전송, 음성 통화, 화상 통화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합VOIP 플랫폼(plat form)의 기능과 함께 네트워크커뮤니티 서비스까지도 통합하는 형태로 발전하여 점차 포탈(portal) 서비스의 개념으로 확장되어 나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인스턴트 메신저의 사용 환경에서 광고등 부대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현재까지는 입력되는 문장 또는 단어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여 추출된 키워드에 대응하는 광고 정보를 전달하는 방식에 그치고 있다.
특허문헌1: 공개번호 10-2010-0092787호 특허문헌2: 공개번호 10-2011-0054182호 특허문헌3: 특개 2004-348591
본 발명은 인스턴트 메신저 등의 대화창에 이미지, 동영상, 음성 파일 등의 컨텐츠가 입력 또는 선택에 의해 게시되었을 경우, 그 전후에 입력된 대화내용으로부터 키워드(하나 이상의 단어) 또는 관련 개념을 추출하여 해당 컨텐츠와 관련되는 메타데이터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해당 컨텐츠 관련 메타데이터로부터, 해당 컨텐츠가 동일대화창 또는 타 대화창 등에 입력되었을 경우, 그러한 메타데이터와 관련되는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메타데이터를 추출함에 있어서, 컨텐츠가 사용된 시점을 기준으로 단어를 추출하고 추출된 단어의 사용 빈도에 근거하여 키워드 또는 관련 개념을 추출함으로써, 해당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 사용자들의 다양한 대화 상황을 반영하여 메타데이터를 갱신함으로써, 해당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메타데이터를 복수개로 설정하고, 복수개 메타데이터 각각에 관련되는 광고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하나의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여러 요구(needs)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정보제공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대응 정보제공장치는, 사용자 단말에 의해 형성된 하나 이상의 대화창에 컨텐츠가 게시되면, 상기 컨텐츠의 게시전 또는 후에 입력된 하나 이상의 문장으로부터 단어를 추출하는 키워드 추출부; 상기 단어관련 정보를 상기 컨텐츠의 메타데이터로 설정하는 메타데이터 설정 부; 및 상기 메타데이터를 상기 컨텐츠에 대응시켜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대응 정보제공 방법은, 사용자 단말에 의해 형성된 하나 이상의 대화창에 컨텐츠가 게시되면, 상기 컨텐츠의 게시전 또는 후에 입력된 하나 이상의 문장으로부터 단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단어관련 정보를 상기 컨텐츠의 메타데이터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메타데이터를 상기 컨텐츠에 대응시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매체 저장프로그램은, 사용자 단말에 의해 형성된 하나 이상의 대화창에 컨텐츠가 게시되면, 상기 컨텐츠의 게시전 또는 후에 입력된 하나 이상의 문장으로부터 단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단어관련 정보를 상기 컨텐츠의 메타데이터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메타데이터를 상기 컨텐츠에 대응시켜 저장하는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여, 인스턴트 메신저 등의 대화창에 이미지, 동영상, 음성 파일 등의 컨텐츠가 입력 또는 선택에 의해 게시되었을 경우, 그 전후에 입력된 대화내용으로부터 키워드(하나 이상의 단어) 또는 관련 개념을 추출하여 해당 컨텐츠와 관련되는 메타데이터로써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여, 해당 컨텐츠 관련 메타데이터로부터, 해당 컨텐츠가 동일대화창 또는 타 대화창 등에 입력되었을 경우, 그러한 메타데이터와 관련되는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여, 상기 메타데이터를 추출함에 있어서, 컨텐츠가 사용된 시점을 기준으로 단어를 추출하고 추출된 단어의 사용 빈도에 근거하여 키워드 또는 관련 개념을 추출함으로써, 해당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여, 다수 사용자들의 다양한 대화 상황을 반영하여 메타데이터를 갱신함으로써, 해당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본 발명에 의하여, 메타데이터를 복수개로 설정하고, 복수개 메타데이터 각각에 관련되는 광고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하나의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여러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정보제공 서비스가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대응 정보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대응 정보제공 서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대응키 워드의 추출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대응키 워드를 선정에 있어 한 기준이 될 수 있는 사용 빈도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라 컨텐츠에 대응하는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대응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대응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대응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대응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대응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해당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중 일부 구성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 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정보’란 광고 정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뉴스, 생활정보, 광고 등 다양한 유형 및 목적의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이하의 구체적 실시예 설명에 있어서는 인스턴트 메신저의 경우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은 대화창을 제공하여 참여 사용자간에 대화가 가능한 채팅서비스, SNS서비스 등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대응 정보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대응 정보제공 시스템은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 및 정보제공 서버(2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단 말’ 및 ‘서버’란 물리적 위치 및 구체적 구성과 무관하게 특정 목적을 위해 연동가능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집합체를 말한다. 각각의 구성요소는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접속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110, 120)은 정보제공 서버(200)와 연결되고, 사용자 단말(100)간에 인스턴트 메신저 등이 제공하는 대화창을 통해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정보제공 서버(200)가 제공하는 광고 등 정보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110, 120)을 예시하였으나, 사용자 단말(100)의 수 및 사용자 단말에 의해 형성되는 대화창의 개수 및 상황은 예시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복수의 사용자단 말이 하나의 대화창에서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100)의 하나 이상의 대화창에서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상황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대화창을 통해 컨텐츠를 송수신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100)은 광고 정보를 재생 또는 구현할 수 있는 개인용 컴퓨터, 이동통신 단말, 스마트폰, 태블릿 PC, 스마트TV, MP3플레이어, PMP, 전자수첩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용자단 말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인스턴트 메신저 프로그램 또는 채팅프로그램 등을 통해 정보제공 서버(200)가 제공하는 광고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으면 그 형태나 종류는 제한이 없다. 편의상, 이하의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 단말(100)이 스마트폰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정보제공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에 의해 형성된 대화창에 소정의 컨텐츠가 입력 또는 선택 등의 방법에 의해 게시되는 경우, 대화창에서 해당 컨텐츠가 사용된 시점을 기준으로 컨텐츠 이전의 문장 및 이후의 문장에서 단어를 추출하여 그 사용 빈도에 따라 키워드를 선정하고, 선정된 키워드를 해당 컨텐츠의 메타데이터로 생성하여 해당 컨텐츠에 대응시켜 저장하고, 해당 메타데이터와 관련되는 광고 등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다.
정보제공 서버(200)가 제공하는 정보가 광고일 경우, 이는 텍스트 광고, 이미지 광고, 인터넷 링크, 동영상광고, 상품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해당 컨텐츠와 관련되는 광고 정보는 해당 컨텐츠를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될 수 있으며, 또는 지정된 특정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해당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는 가변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컨텐츠에 대응되는 메타데이터, 즉 키워드가 변경되는 경우, 변경된 키워드와 관련되는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으며, 키워드 변경이 없더라도 해당 시점에 가장 적합한 정보를 검색 또는 추출하는 방식을 통하여 제공할 수 있다.
컨텐츠와 관련된 대화내용으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는 과정은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대응 정보제공 서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정보제공 서버(200)는 키워드 추출부(210), 메타데이터 생성부(220), 데이터베이스(230), 제어부(240), 통신부(250) 및 정보제공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키워드 추출부(210)는 대화창의 설정된 소정 범위의 대화들 중에서 사용된 하나 이상의 단어를 수집하고, 가령, 각각의 단어가 사용된 빈도를 기준으로 하여 사용 빈도가 높은 순으로 상위 몇 개(예컨대, 1 ~ 4 개)의 단어를 해당 이미지에 대한 키워드로 선정할 수 있다.
단어의 수집은 컨텐츠가 사용된 시점을 기준으로 이전의 몇 문장 또는 이후의 몇 문장에서 사용된 단어 중에서 수집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일례로, 복수의 대화창에서 특정 컨텐츠가 사용된 시점을 기준으로 이전의 한 문장 및 이후의 세 문장에서 사용된 단어를 개별적으로 추출하여 단어의 사용 빈도를 합산하고, 사용 빈도가 높은 상위 수개의 단어를 키워드로 추출할 수 있다.
단어를 수집하여 그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는 과정은 하나의 대화창을 기준으로만 이루어질 수도 있고, 복수의 대화창에서 사용된 단어들을 종합하여 키워드를 추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컨텐츠가 이미지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에 불과할 뿐이며, 컨텐츠는 이미지 이외에도 동영상, 음악, 음성 파일 등이 될 수도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대화창에서 사용된 단어의 수집은 키워드 추출부(210)에 저장된 단어 데이터베이스의 조회를 통한 일치 여부 확인을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메타데이터 생성부(220)는 키워드 추출부(210)에서 추출된 키워드 또는 관련 개념을 해당 이미지의 메타데이터로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메타데이터가 설정된 이미지가 이후에 동일 또는 타 대화창에서 다시 사용되면 그 이미지에 설정된 메타데이터와 관련된 광고 등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데이터베이스(230)는 이미지 및 이미지에 대응하는 메타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미지와 관련되는 키워드가 변경되는 경우 데이터베이스(230)에 저장되는 메타데이터도 변경된다.
제어부(240)는 정보제공 서버(200) 내부 구성요소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통신부(250)는 사용자 단말(100)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통신부(250)는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iFi(Wireless Fidelity),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등의 무선접속(Wireless Access) 또는 유선접속 방식을 통해 사용자 단말(100)과 접속될 수 있다.
정보제공부(260)는 이미지에 대응하는 메타데이터와 관련되는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한다. 이에 따른 구성은 도6 내지도 8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에 대응하는 단어를 추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대화창(대화창A 및 대화창B)에서 동일한 이미지(10)가 사용되었고, 이미지를 기준으로 전후의 문장에서 여러 단어들이 사용되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대화창A에서는 ‘강아지’, ‘귀엽지’, ‘귀여워’ 및 ‘마르티즈’의 단어가 추출되고, 대화창B에서는 ‘강아지’, ‘이불’, ‘귀엽다’, ‘돈이 불’ 및 ‘마음’ 등의 단어가 추출되었다.
설명을 위해 ‘귀여워’라는 단어를 a로, ‘강아지’라는 단어를 b로, ‘이불’이라는 단어를 c로, ‘마르티즈’라는 단어를 d 로 각각 설정하였다. 도면에서는 4개의 단어가 도시되었으나 추출되는 단어의 개수는 변경될 수 있으며, 예시된 바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대화창A, 대화창B에서는 이미지가 사용된 시점을 기준으로 이전한 문장 및 이후 두 문장에서 사용된 단어를 추출하였으나, 이는 설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가 사용된 시점을 기준으로 이전한 문장 및 이후한 문장에서 사용된 단어를 추출할 수 있고, 이미지가 사용된 시점을 기준으로 이후 두 문장 또는 세 문장에서 사용된 단어를 추출할 수도 있다.
또는 이미지가 사용된 시점을 기준으로 정해진 시간 이내에 사용된 문장에서 사용된 단어를 추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이미지가 사용된 시점을 기준으로 이후 1분 이내에 대화창에 입력된 문장에서 사용된 단어를 추출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컨텐츠의 게시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그 이전 또는 이후의 설정된 위치범위 내에서 입력된 하나 이상의 문장으로부터 상기 단어를 추출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도 있다.
나아가, 컨텐츠의 게시이전 또는 이후 입력된 문장들로부터 문맥(context)을 추출하고 그 이전 또는 이후의 설정된 범위의 문단 범위 내에서 입력된 하나 이상의 문장으로부터 단어를 추출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대응키 워드 선정에 있어 한 기준이 될 수 있는 단어의 사용 빈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서 추출된 단어는 대화창의 성격에 따라, 개인의 성향에 따라 편차가 있을 수 있으므로,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추출되는 단어를 기준으로 키워드를 선정하는 과정을 통하여 보다 정확한 키워드의 결정이 가능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대화창에서 하나의 이미지에 대해 사용되는 단어를 추출하고, 추출된 단어의 사용 빈도를 산정한다. 구체적으로, 도 3의 대화창A에서는 ‘강아지’, ‘귀여워’, ‘마르티즈’라는 단어들이 추출되었으며, 도 3의 대화창B에서는 ‘강아지’, ‘이불’, ‘귀엽다’, ‘돈이 불’ 및 ‘마음’이라는 단어들이 추출되었다.
도 4에서는 ‘강아지’라는 단어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다음으로 ‘귀여워’라는 단어가 사용되었다. 이와 같이 동일한 이미지를 사용하는 대화창이 많아짐에 따라 추출되는 단어의 사용 빈도에 보다 정확성을 기할 수 있게 되는데, 가령, 각 단어의 사용 빈도를 합산하여 사용 빈도가 높은 순으로 상위 몇 개의 단어를 해당 이미지의 키워드로 추출하도록 할 수도 있다.
사용 빈도가 높은 순으로 상위 몇 개의 단어를 해당 이미지의 키워드로 추출하는 과정에서 키워드는 변경될 수 있다. 즉, 동일한 이미지에 대해 추출되는 단어의 사용 빈도를 합산한 순위가, 시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와 같이 복수의 대화창에서 사용된 단어를 추출함으로써, 이미지가 대화창에 사용되었을 때 사용된 이미지와 일반적으로 관련도가 높은 단어를 추출하게 되고, 이를 활용하여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므로 보다 신뢰성 있는 키워드의 추출 및 정보의 제공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대응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가령, S110의 단계에서, 하나 이상의 대화창에서 이미지가 공유된 경우, 공유 시점을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서 문장에 사용된 단어를 추출한다. 단어를 추출하는 과정은 상기 문장에 포함된 단어가 키워드 추출부에 수록 또는 연동된 데이터베이스의 단어목록 조회 및 일치 여부 확인 등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하나 이상의 대화창에서 추출된 각각의 단어에 대해 사용 빈도를 집계(가령, 합산)하여(S120), 추출된 단어 중 사용 빈도가 높은 순으로, 가령, 상위 n개를 키워드로 결정할 수 있다(S130).
다음으로, 상기 키워드를 이미지에 태그하여 메타데이터를 생성한다(S140).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라 컨텐츠에 대응하는 광고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의 과정을 통해 메타데이터가 저장된 이미지가 이후의 동일대화창 또는 타 대화창에서 사용되는 경우, 이미지를 클릭 또는 탭 등 적절한 지시수단을 통해 지시하면, 특정 위치, 예를 들어 이미지의 하단에 메타데이터가 설정된 이미지와 관련된 상세 보기 레이어 또는 메뉴가 표시될 수 있다.
이미지를 지시하여 관련된 소정정보가 제공되는 상기 의 방법은 대화창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별도 창의 제공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해당 이미지가 사용자 단말(100)에 저장된 경우라면, 굳이 대화창에 해당 이미지가 게시된 경우가 아니더라도 저장된 해당 이미지를 지시하면 관련 정보가 제공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미지와 관련된 상세 보기 레이어는 이미지의 ‘저장’, ‘공유’, ‘삭제’, ‘추천받기’ 등의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추천받기’메뉴(30)를 선택하면 메타데이터로 저장된 해당 이미지의 키워드가 화면에 제시되고, 사용자는 제시된 복수의 키워드 중에서 관련 정보를 원하는 특정한 키워드를 선택하여 이와 관련된 정보를 선택적으로 수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서 추천받기 메뉴(30)를 선택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워드로 ‘청바지’, ‘남성하의’, ‘신발’ 및 ‘상의’의 키워드 선택 메뉴(40)가 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특정 키워드를 선택하면 이와 관련되는 광고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키워드 선택 메뉴(40)에 나타나는 키워드들은 해당 이미지에 대해도 5의 과정에 의해 추출된 키워드들이다.
또한, 키워드 선택 메뉴(40)에서 사용자가 특정 키워드를 선택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한 이미지와 관련된 광고 정보 메뉴(50)로써, 유사 이미지 메뉴(51), 관련 상품 메뉴(52) 및 관련 사이트메뉴(53)가 제공될 수 있다. 광고 정보는 도7의 키워드 선택 메뉴(40) 각각에 대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가령, 키워드 선택 메뉴(40)에서 ‘청바지’가 선택된 경우, 도8의 광고 정보 메뉴(50)에는 ‘청바지’와 관련된 유사 이미지 메뉴(51), 관련 상품 메뉴(52) 및 관련 사이트메뉴(53)가 제공되고, 키워드 선택 메뉴(40)에서 ‘남성하의’가 선택한 경우, 도8의 광고 정보 메뉴(50)에는 ‘남성하의’와 관련된 유사 이미지 메뉴(51), 관련 상품 메뉴(52) 및 관련 사이트메뉴(53)가 제공될 수도 있다.
일례로, 도 8의 광고 정보 메뉴(50)에서 특정 메뉴를 선택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사 이미지, 관련 상품 및 관련 사이트가 제공되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유사 이미지는 광고 제공부(260)에 의해 미리 정해진 관련 이미지를 제공하는 것을 말하며, 그 경우, 복수의 이미지가 제공될 수도 있으며, 특정 이미지를 선택하면 도 6과 마찬가지로 추천받기 메뉴(30)가 제시되거나 선택한 이미지에 나타난 상품을 판매하는 페이지로 바로 연결될 수도 있다.
관련 상품은 이미지에 나타난 상품을 판매하는 페이지에 연결되는 것으로, 필요한 옵션을 설정하여 물건을 구입할 수 있다.
관련 사이트는 이미지에 나타난 상품 또는 유사한 관련 상품을 판매하는 하나 이상의 인터넷 사이트에 관한 접속 경로를 제공하는 것으로, 원하는 사이트를 선택하여 광고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정보제공 서버(200)는 제공된 광고를 통해 물건을 구매한 경우, 해당 사용자 단말(100)에 대해 소정의 포인트를 적립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사용자 단말(110)이 이미지를 저장하고, 이를 다른 대화방에 업로드하는 경우, 다른 대화방에 있는 사용자 단말(100)이 해당 이미지를 지시하면 도 6과 같이 해당 정보에 대한 추천받기 메뉴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대응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미지(10)를 선택하면 메타데이터와 관련된 상품 이미지(11, 12)를 레이어로 함께 수신하는 UX(user experience)의 형태로 실행될 수도 있다. 관련 상품 이미지(11, 12)는 복수일 수 있으며 사용자가 특정 상품 이미지를 선택하면 추천받기 메뉴(31,32)가 제시되거나 선택한 이미지에 나타난 상품을 판매하는 페이지로 바로 연결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 단말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하여 채팅 중인 대화창에 이미지가 표시되고 상기 이미지의 선택을 통해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단말 사용자에게 흥미를 유발할 수도 있게 된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 / 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장치에서는 대체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요소가 아닐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 ”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통상의 기술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 물의 범주내에서 설계 조건 및 요소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100: 사용자 단말
200: 정보 제공 서버
210: 키워드 추출부
220: 메타데이터 생성부
230: 데이터베이스
240: 제어부
250: 통신부
260: 정보 제공부

Claims (13)

  1. 사용자 단말에 의해 형성된 하나 이상의 대화창에 컨텐츠가 게시되면, 상기 컨텐츠의 게시 전 및 게시 후에 입력된 하나 이상의 문장으로부터 단어를 추출하는 키워드 추출부;
    상기 단어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컨텐츠의 메타데이터로 설정하는 메타데이터 설정부;
    상기 메타데이터를 상기 컨텐츠에 대응시켜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대화창 또는 타 대화창에 상기 컨텐츠 또는 관련 컨텐츠가 게시되면 상기 메타데이터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컨텐츠 대응 정보제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이미지, 동영상 및 음성 파일 중 하나인 컨텐츠 대응 정보제공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어와 관련된 정보는,
    상기 추출된 단어 또는 추출된 단어와 관련된 개념인 컨텐츠 대응 정보제공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 추출부는,
    상기 컨텐츠의 게시 시점을 기준으로 하여 그 이전의 설정된 시간 범위 및 그 이후의 설정된 시간 범위 내에서 입력된 하나 이상의 문장으로부터 상기 단어를 추출하는 것인 컨텐츠 대응 정보제공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 추출부는,
    상기 컨텐츠의 게시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그 이전의 설정된 위치 범위 및 그 이후의 설정된 위치 범위 내에서 입력된 하나 이상의 문장으로부터 상기 단어를 추출하는 것인 컨텐츠 대응 정보제공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 추출부는,
    상기 컨텐츠의 게시 이전 및 게시 이후에 입력된 문장들로부터 문맥을 추출하고 그 이전 및 그 이후의 설정된 범위의 문단 범위 내에서 입력된 하나 이상의 문장으로부터 상기 단어를 추출하는 것인 컨텐츠 대응 정보제공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데이터 설정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대화창에 입력된 소정 범위의 대화 내에서 상기 단어가 사용되는 빈도가 설정된 기준 이상일 경우에 상기 단어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컨텐츠의 메타데이터로 설정하는 컨텐츠 대응 정보제공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데이터는, 복수개이며,
    상기 정보 제공부는,
    상기 대화창 또는 타 대화창에 상기 컨텐츠 또는 관련 컨텐츠가 게시되면 상기 복수개의 메타데이터를 제공하고, 상기 복수개의 메타데이터 중에서 선택된 메타데이터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컨텐츠 대응 정보제공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데이터와 관련된 정보는,
    텍스트 광고, 이미지 광고, 인터넷 링크, 동영상광고 및 상품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컨텐츠 대응 정보제공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부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대화창 또는 타 대화창에 게시된 컨텐츠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면 상기 정보의 제공을 상기 사용자가 요청할 수 있도록 하는 메뉴를 상기 컨텐츠와 관련하여 표시하도록 하는 컨텐츠 대응 정보제공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부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메뉴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면 상기 메타데이터를 나타내는 키워드 선택 메뉴를 표시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키워드 선택 메뉴를 통한 선택을 수신하면 상기 선택된 키워드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정보를 제공하는 컨텐츠 대응 정보제공장치.
  12. 사용자 단말에 의해 형성된 하나 이상의 대화창에 컨텐츠가 게시되면, 상기 컨텐츠의 게시 전 및 게시 후에 입력된 하나 이상의 문장으로부터 단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단어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컨텐츠의 메타데이터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메타데이터를 상기 컨텐츠에 대응시켜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대화창 또는 타 대화창에 상기 컨텐츠 또는 관련 컨텐츠가 게시되면 상기 메타데이터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대응 정보제공 방법.
  13. 사용자 단말에 의해 형성된 하나 이상의 대화창에 컨텐츠가 게시되면, 상기 컨텐츠의 게시 전 및 게시 후에 입력된 하나 이상의 문장으로부터 단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단어 관련 정보를 상기 컨텐츠의 메타데이터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메타데이터를 상기 컨텐츠에 대응시켜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대화창 또는 타 대화창에 상기 컨텐츠 또는 관련 컨텐츠가 게시되면 상기 메타데이터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70013988A 2017-01-31 2017-01-31 대화창 입력 컨텐츠에 대응하는 정보제공장치 및 방법 KR1018147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3988A KR101814785B1 (ko) 2017-01-31 2017-01-31 대화창 입력 컨텐츠에 대응하는 정보제공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3988A KR101814785B1 (ko) 2017-01-31 2017-01-31 대화창 입력 컨텐츠에 대응하는 정보제공장치 및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2101A Division KR20160053413A (ko) 2014-11-04 2014-11-04 대화창 입력 컨텐츠에 대응하는 정보제공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5444A true KR20170015444A (ko) 2017-02-08
KR101814785B1 KR101814785B1 (ko) 2018-01-04

Family

ID=58155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3988A KR101814785B1 (ko) 2017-01-31 2017-01-31 대화창 입력 컨텐츠에 대응하는 정보제공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478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2962A (ko) * 2017-06-30 2019-01-09 주식회사 휴머스온 회원정보를 공유하는 광고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54648A (ko) * 2020-03-19 2022-11-22 주식회사 카카오 컨텐츠와 관련된 추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사용자 단말 및 컨텐츠 제공 서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48591A (ja) 2003-05-23 2004-12-09 Canon Inc 文書検索方法及び装置
KR20100092787A (ko) 2009-02-13 2010-08-23 강민수 키워드 광고 콘텐츠를 호출할 수 있는 상업적 태그 집합을 활용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신디케이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054182A (ko) 2009-11-17 2011-05-25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모바일 메신저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48591A (ja) 2003-05-23 2004-12-09 Canon Inc 文書検索方法及び装置
KR20100092787A (ko) 2009-02-13 2010-08-23 강민수 키워드 광고 콘텐츠를 호출할 수 있는 상업적 태그 집합을 활용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신디케이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054182A (ko) 2009-11-17 2011-05-25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모바일 메신저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2962A (ko) * 2017-06-30 2019-01-09 주식회사 휴머스온 회원정보를 공유하는 광고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54648A (ko) * 2020-03-19 2022-11-22 주식회사 카카오 컨텐츠와 관련된 추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사용자 단말 및 컨텐츠 제공 서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4785B1 (ko) 2018-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17803B2 (ja) メッセージを送受信する方法、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9633086B2 (en) Goal-oriented user matching among social networking environments
US10223465B2 (en) Customizable, real time intelligence channel
US10628030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user feedback using an emotion scale
US2013030446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computer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US20230221837A1 (en) Coalescing Notifications Associated with Interactive Digital Content
US20110258256A1 (en) Predicting future outcomes
US10409463B2 (en) Forking digital content items between digital topical environments
US20220043837A1 (en) Unit group generation and relationship establishment
CN108170731A (zh) 数据处理方法、装置、计算机存储介质及服务器
US20180069828A1 (en) Address book information service system, and method and device for address book information service therein
Choy Smartphone apps as cosituated closets: A lesbian app, public/private spaces, mobile intimacy, and collapsing contexts
KR20240054365A (ko) 다중 프로필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1814785B1 (ko) 대화창 입력 컨텐츠에 대응하는 정보제공장치 및 방법
KR20160053413A (ko) 대화창 입력 컨텐츠에 대응하는 정보제공장치 및 방법
JP2014016916A (ja) ソーシャル・グラフの拡張方法、プログラム及びシステム
EP1357517A1 (en) Animation data creating method, animation data creating device, terminal devic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animation data creating program and animation data creating program
KR20130026558A (ko) 외곽 공간을 이용한 댓글 통합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CN112352223A (zh) 用于输入建议的方法和系统
CN111787042A (zh) 用于推送信息的方法和装置
US20090077500A1 (en) Web spaces navigation module
KR101697290B1 (ko) 웹 브라우저에서 구현되는 웹사이트 제작 방법 및 시스템
JP2023086593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102189573B1 (ko) 대화를 통한 전자문서 작성 시 디바이스 유형별 전자문서 데이터 제공 방법 및 장치
CN111158804B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及程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