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5408A - 멀티미디어 정보 수집 방법 및 그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멀티미디어 정보 수집 방법 및 그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5408A
KR20170015408A KR1020170011093A KR20170011093A KR20170015408A KR 20170015408 A KR20170015408 A KR 20170015408A KR 1020170011093 A KR1020170011093 A KR 1020170011093A KR 20170011093 A KR20170011093 A KR 20170011093A KR 20170015408 A KR20170015408 A KR 201700154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event
multimedia data
user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1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1366B1 (ko
Inventor
이남숙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700154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54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13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13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F17/30091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06F16/4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489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time in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3File access structures, e.g. distributed ind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4Querying
    • G06F16/248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06F17/30017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ultimedia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일정 정보 및 상기 사용자가 생성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일정 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특정 이벤트와 관련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기 설정된 외부 장치로 요청하여, 상기 요청에 대응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수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저장된 사용자가 생성한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함께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요청은, 상기 특정 이벤트의 시간 정보에 기반하여 이루어지는 디바이스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멀티미디어 정보 수집 방법 및 그 디바이스{METHOD FOR COLLECTION MULTIMEDIA INFORMATION AND DEVICE THEREOF}
본 발명은 디바이스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정보 수집 방법 및 그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멀티미디어 정보는 정지 영상, 텍스트, 그래픽, 사운드, 동영상, 애니메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정보는 일반적으로 사용자에 의해 직접 수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카메라의 캡쳐 기능을 이용하여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수집할 수 있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정보 수집 방법으로 인하여 수집 가능한 멀티미디어 정보는 제한적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참석하지 않은 이벤트에 관한 멀티미디어 정보를 수집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좀더 다양한 멀티미디어 정보를 용이하게 수집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외부 디바이스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방법 및 디바이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에 개시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방법 및 디바이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외부 디바이스에 저장된 정보 또는/및 디바이스에 저장된 개인 정보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방법 및 디바이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기반 정보 또는/및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방법 및 디바이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일정 정보 및 상기 사용자가 생성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일정 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특정 이벤트와 관련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기 설정된 외부 장치로 요청하여, 상기 요청에 대응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수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저장된 사용자가 생성한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함께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요청은, 상기 특정 이벤트의 시간 정보에 기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특정 이벤트는, 상기 사용자가 참석하지 못한 이벤트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에 관한 시간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시간 정보 및 위치 정보와 상기 디바이스의 시간에 따른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가 참석하지 못한 이벤트를 검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상기 디바이스에 저장되거나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일정 정보에 기초하여, 중복된 이벤트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중복된 이벤트 중 상기 사용자가 참석하지 못한 이벤트를 검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참석하지 못한 이벤트의 참여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참여자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가 참석하지 못한 이벤트와 관련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검색할 상대방을 설정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설정된 상대방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수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상기 설정된 상대방 디바이스가 상기 서버로 전송한 멀티미디어 데이터 중에서 검색된 멀티미디어 데이터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는 상기 수신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표시된 멀티미디어 데이터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선택 받는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는, 상기 선택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가 생성한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는, 외부 디바이스들로부터 수신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외부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로부터 특정 이벤트와 관련된 멀티미디어 데이터 요청을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 중에서 상기 특정 이벤트와 관련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검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검색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특정 이벤트와 관련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요청한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상기 특정 이벤트 참여자를 검색하여, 상기 검색된 특정 이벤트 참여자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된 멀티미디어 데이터 중에서, 상기 특정 이벤트와 관련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동작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일정 정보 및 상기 사용자가 생성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일정 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특정 이벤트와 관련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기 설정된 외부 장치로 요청하는 단계, 상기 요청에 대응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저장된 사용자가 생성한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함께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요청은, 상기 특정 이벤트의 시간 정보에 기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특정 이벤트는, 상기 사용자가 참석하지 못한 이벤트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동작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에 관한 시간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시간 정보 및 위치 정보와 상기 디바이스의 시간에 따른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가 참석하지 못한 이벤트를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동작방법은, 상기 디바이스에 저장되거나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일정 정보에 기초하여, 중복된 이벤트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중복된 이벤트 중 상기 사용자가 참석하지 못한 이벤트를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동작방법은,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참석하지 못한 이벤트의 참여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참여자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동작방법은, 상기 사용자가 참석하지 못한 이벤트와 관련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검색할 상대방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상대방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상기 설정된 상대방 디바이스가 상기 서버로 전송한 멀티미디어 데이터 중에서 검색된 멀티미디어 데이터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동작방법은, 상기 수신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멀티미디어 데이터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선택 받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가 생성한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방법은 외부 디바이스들로부터 수신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외부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로부터 특정 이벤트와 관련된 멀티미디어 데이터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 중에서 상기 특정 이벤트와 관련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특정 이벤트와 관련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요청한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특정 이벤트와 관련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 이벤트 참여자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특정 이벤트 참여자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된 멀티미디어 데이터 중에서, 상기 특정 이벤트와 관련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정보 수집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디바이스의 멀티미디어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4는 도 2 및 3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싱 이벤트를 검출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 및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싱 이벤트를 검출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정보의 검색 범위를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9는 도 8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0 및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싱 이벤트 관련 멀티미디어 정보를 검색할 상대방을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디바이스가 서버로부터 수신한 미싱 이벤트 관련 멀티미디어 정보를 저장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디바이스에서 멀티미디어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디바이스에서 멀티미디어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19는 도 17 및 도 18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정과 관련이 없는 관심 이벤트 설정방법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21 및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정보 수집 범위를 설정하여, 설정된 범위 내에서 멀티미디어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 내지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 범위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관심 이벤트 관련 멀티미디어 정보를 검색하는 방법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들이다.
도 28 내지 3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디바이스가 서버로부터 수신한 멀티미디어 정보를 저장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제1 디바이스에서 멀티미디어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34는 도 33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35 및 도 3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제1 디바이스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서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정보 수집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정보 수집 시스템(50)은 제1 디바이스(100), 제2 디바이스(200) 및 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디바이스(100) 및 제2 디바이스(200)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100) 및 제2 디바이스(200)는 휴대 가능한 디바이스(Portable Device),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홈 인터넷 어플라이언스(Home Internet Appliance), 모바일 디바이스(Mobile Device)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휴대 가능한 디바이스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태블릿 PC, 전자북 단말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MP3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안경, 시계, 밴드(예를 들어, 허리 밴드 및 헤어 밴드 등), 각종 장신구(예를 들어, 반지, 팔지, 발지. 헤어 핀, 및 목거리 등), 각종 신체 보호대(예를 들어, 무릎 보호대, 및 팔꿈치 보호대), 신발, 장갑, 의류, 모자, 장애인용 의족, 및 장애인용 의수 등과 같은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홈 인터넷 어플라이언스는 스마트 TV, PC(Personal Computer), 데스크탑(Desktop) PC(Personal Computer), 냉장고, 세탁기, 조명 등과 같이 M2M(Machine to Machine) 또는 IoT(Internet of Things)를 이루는 홈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M2M(Machine to Machine) 또는 IoT(Internet of Things)를 이루는 자동차와 같은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300)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300)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를 제공하는 SNS 서버 또는 멀티미디어 정보 데이터베이스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300)는 클라우드 서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디바이스 사용자 및 제2 디바이스 사용자는 멀티미디어 정보를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하고,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하여, 해당 멀티미디어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디바이스(100) 및 제2 디바이스(200)는, 외부 디바이스 또는 서버(300)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100)는 통신 모듈을 통해, 서버(300)와 통신하거나 제2 디바이스(200)와 통신할 수 있으며, 제2 디바이스(200)는 통신 모듈을 통해, 서버(300)와 통신하거나 제1 디바이스(100)와 통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디바이스(100) 또는 제2 디바이스(200)는 멀티미디어 정보를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정보는 정지 영상, 텍스트, 그래픽, 사운드, 동영상, 애니메이션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300)는 제1 디바이스(100) 또는 제2 디바이스(2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300)는 제1 디바이스(100) 또는 제2 디바이스(200)로부터 사용자 인증 정보 또는 디바이스 식별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버(300)는 사용자 인증 정보를 통해, 제1 디바이스(100) 또는 제2 디바이스(200)의 사용자를 인식할 수 있으며, 디바이스 식별 정보를 통해, 제1 디바이스(100) 또는 제2 디바이스(200)를 식별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인증 정보는 사용자 아이디, 사용자 비밀번호, 사용자 계정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서버(300)는 사용자 인증 정보를 통해, 제1 디바이스의 사용자 또는 제2 디바이스의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서버(300)는 제1 디바이스(100) 또는 제2 디바이스(200)로부터 멀티미디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300)에 저장되는 멀티미디어 정보는 제1 디바이스(100) 또는 제2 디바이스(200)가 전송한 멀티미디어 정보(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100) 또는 제2 디바이스(200)에 의해 포스팅된 멀티미디어 정보 또는 댓글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버(300)는 제1 디바이스(100) 또는 제2 디바이스(200)로부터 이벤트 관련 멀티미디어 정보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저장된 멀티미디어 정보에서 이벤트 관련 멀티미디어 정보를 검색하여, 멀티미디어 정보를 요청한 제1 디바이스(100) 또는 제2 디바이스(200)로 검색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1 디바이스(100) 및 제2 디바이스(200)는 디바이스 사용자의 일정을 포함하는 개인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100) 및 제2 디바이스(200)는 PIMS(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어플리케이션 또는 라이프-로그 어플리케이션과 같은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디바이스 사용자의 일정을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PIMS 어플리케이션은 제1 디바이스 및 제2 디바이스 사용자들이 개인 정보를 쉽게 관리할 수 있게 해주는 어플리케이션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PIMS 어플리케이션은 메모 어플리케이션, 캘린더 어플리케이션, 일정 관리 어플리케이션, 다이어리 어플리케이션, 연락처 어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제1 디바이스 및 제2 디바이스 사용자들은 PIMS 어플리케이션을 디바이스에 설치하지 않고, PIMS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사이트에 접속하여, 웹 사이트 상에서 개인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라이프-로그는 라이프(Life-삶, 생활)와 로그(Log-기록, 이야기)가 합쳐진 단어로, 라이프-로그 정보는 제1 디바이스(100)에 기록(저장)된, 제1 디바이스 사용자의 일정과 관련된 이벤트들 및 이벤트들에 관련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이프-로그 정보는 이벤트의 식별 정보(이벤트 명), 이벤트의 시간 정보, 위치 정보, 이벤트와 관련하여 디바이스 또는 다른 디바이스에서 수집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디바이스(100)는 라이프-로그 정보에 포함된 이벤트와 관련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이벤트의 시간 정보를 기준으로, 정렬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라이프-로그 정보는 일정과 관련 없이 제1 디바이스(100)에 기록(저장)된, 제1 디바이스 사용자가 일상 생활에서 수집한 멀티미디어 정보(예를 들어, 사용자가 촬영한 사진, 동영상, 메모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라이프-로그 어플리케이션은 제1 디바이스 사용자가 라이프-로그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게 해주는 어플리케이션을 의미하며, 라이프-로그 정보는 제1 어플리케이션 및 제2 어플리케이션 포함하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을 통하여, 저장되고 관리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은 서로 연동되어, 라이프-로그 정보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저장된 이벤트들 및 이벤트들에 관련된 멀티미디어 정보는 제2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디바이스(100)는 라이프-로그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외부 디바이스(제2 디바이스(200)) 사용자의 멀티미디어 정보를 제1 디바이스 사용자의 라이프-로그 정보로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는 멀티미디어 정보를 수집하는 시스템이 제1 디바이스(100), 제2 디바이스(200) 및 서버(300)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1에서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시스템이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 시스템이 구현될 수도 있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디바이스의 멀티미디어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4는 도 2 및 3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디바이스(100)를 미싱 이벤트 관련 멀티미디어 정보를 서버(300)로 요청하는 디바이스로, 제2 디바이스(200)를 미싱 이벤트 관련 멀티미디어 정보를 서버(300)로 전송한 디바이스로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 및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디바이스(100)는 제1 디바이스(100)에 등록된 일정 또는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일정 중 미싱 이벤트를 검출할 수 있다(S210, S310).
제1 디바이스(100)는 제1 디바이스(100)에 설치된 PIMS 어플리케이션이나 라이프-로그 어플리케이션에 등록된 일정 중에서 미싱 이벤트를 검출할 수 있으며, 또는, SNS 서버나 제1 디바이스 사용자의 클라우드 서버 등을 포함하는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일정 중에서 미싱 이벤트를 검출할 수 있다. 이때, 외부 디바이스는 도 3의 서버(300)일 수 있다.
이때,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일정은 외부 디바이스에 등록된 제1 디바이스 사용자의 일정 또는, 외부 디바이스에서 추출된 제1 디바이스 사용자의 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NS 서버에서 추출되는 제1 디바이스 사용자의 일정은 SNS 서버에 포스팅된 정보 또는 댓글을 분석하여 추출된 일정(예를 들어, 프로젝트 회의)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SNS 서버에 포스팅된 정보 또는 댓글은 SNS 서버에 저장된 제1 디바이스 사용자의 SNS 페이지 또는 SNS의 기본 페이지에 링크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SNS 페이지 또는 SNS의 기본 페이지에 링크된 정보는 개시(postimg)된 타인의 글 또는 타인의 댓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SNS 서버는 포스팅된 타인의 글 또는 댓글을 워드 단위로 분석하여, 제1 디바이스 사용자의 일정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SNS 서버는 SNS 서버에 등록되거나 SNS 서버에서 추출된 일정에 관한 정보를 제1 디바이스(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정에 관한 정보는 해당 일정의 시간 정보, 위치 정보, 참여자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디바이스(100)는 수신한 일정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일정이 미싱 이벤트인지를 검출할 수 있다.
한편, 제1 디바이스(100)는 제1 디바이스(100)에 등록된 일정,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일정 중 제1 디바이스 사용자가 참여하지 않은 미 참여 일정, 즉, 미싱 이벤트를 검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디바이스(100)에 등록된 일정을 기준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후술하는 내용은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일정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미싱 이벤트는, 제1 디바이스(100)에 등록된 일정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제1 일정에 대한 시간 정보, 위치 정보 등), 제1 디바이스(100)에서 센싱된 디바이스(110)의 상황 정보(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100)의 시간에 따른 위치 정보 등), 제1 디바이스(100)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정보(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 사용자의 라이프-로그 정보에 관련된 멀티미디어 정보) 등에 기초하여, 자동적으로 검출될 수 있다. 미싱 이벤트 검출 방법에 대해서는 이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 디바이스(100)는 제1 디바이스(100)에 등록된 일정,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일정이 종료되는 시점에 제1 사용자가 일정에 참여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해당 일정이 미싱 이벤트인지 검출할 수 있다. 또는, 등록된 일정 중 종료된 일정을 주기적으로 검색하고, 제1 사용자가 종료된 일정에 참여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등록된 일정이 미싱 이벤트인지 검출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는, 미싱 이벤트는 제1 디바이스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는 제1 디바이스(100)에 등록된 일정 중 자신이 참여하지 않은 일정을 직접 선택하여, 미싱 이벤트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미싱 이벤트는 제1 디바이스(100)에 등록된 일정 중 제1 디바이스 사용자가 참여하지 않은 일정 및 제1 사용자가 일부 참여한 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100)는 미싱 이벤트와 관련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서버(300)로 요청할 수 있다(S220, S340). 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100)는 미싱 이벤트가 검출되는 경우, 자동으로 서버(300)로 미싱 이벤트와 관련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제1 디바이스(100)는 미싱 이벤트로 검출된 일정이 종료된 시점, 또는, 일정이 종료되고 기 설정된 시간이 지난 후에, 서버(300)로 미싱 이벤트와 관련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는, 제1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미싱 이벤트와 관련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제1 디바이스(100)는 멀티미디어 정보 요청과 함께 미싱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미싱 이벤트에 관한 정보는 미싱 이벤트의 시간 정보, 위치 정보, 이벤트 명, 참여자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싱 이벤트가 친구 결혼식인 경우에, 미싱 이벤트에 관한 정보는 결혼식의 위치 정보(예를 들어, 서초구 양재역 3번 출구 S 웨딩홀), 결혼식의 시간 정보(결혼식의 시작 시각 정보, 종료 시각 정보, 예를 들어, 2011년 1월 14일 토요일 오후 1시 ~ 오후 3시), 결혼하는 친구의 이름, 친구 결혼식의 참여자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미싱 이벤트에 관한 정보는 미싱 이벤트와 관련한 중요 객체(또는 인물)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미싱 이벤트가 제1 디바이스 사용자가 일부 참여한 일정인 경우에, 제1 디바이스 사용자가 참여한 시간에 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제1 디바이스(100)는 미싱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미싱 이벤트에 대응하는 일정 정보로부터 자동으로 검출하거나 사용자 입력에 의해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미싱 이벤트에 관한 정보가 복수로 검출된 경우, 제1 디바이스(100)는 검출된 미싱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며, 표시된 정보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정보를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검출된 복수의 미싱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모두 서버(3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서버(300)는 미싱 이벤트 관련 멀티미디어 정보를 검색하여(S350), 검색된 미싱 이벤트 관련 멀티미디어 정보를 제1 디바이스(100)로 전송할 수 있다(S360). 미싱 이벤트 관련 멀티미디어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S350)에 대해서는 자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제1 디바이스(100)는 수신한 멀티미디어 정보를 제1 디바이스 사용자의 라이프-로그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S240, S370). 제1 디바이스(100)는 수신한 멀티미디어 정보를 자동으로 저장하거나, 제1 사용자의 저장 요청에 따라 저장할 수 있으며, 수신한 멀티미디어 정보를 제1 디바이스(100)에 설치된 PIMS(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어플리케이션이나 라이프-로그(Life-log) 어플리케이션 등에 저장하여, 제1 디바이스 사용자의 라이프-로그 정보로 관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디바이스 사용자는 참여하지 못한 일정(미싱 이벤트)에 대한 멀티미디어 정보도 라이프-로그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또는 제1 디바이스(100)는 수신한 멀티미디어 정보를 SNS 서버(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 사용자의 SNS 페이지), 제1 디바이스 사용자의 클라우드 서버, 제1 디바이스와 연동된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을 포함하는 외부 디바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1 디바이스(100)는 기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PIMS 어플리케이션, 라이프-로그 어플리케이션 등)을 통하여, 제1 디바이스 사용자의 라이프-로그 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며, 이때, 미싱 이벤트에 관련하여,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멀티미디어 정보는 미싱 이벤트의 시간 정보를 기준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4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디바이스(200)는 멀티미디어 정보를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S320). 제2 디바이스(200)는 제2 디바이스(200)에서 생성되거나, 외부 디바이스들로부터 수신한 멀티미디어 정보를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2 디바이스 사용자(이하, 제2 사용자라 함)는 미싱 이벤트와 관련된 사용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미싱 이벤트가 친구 결혼식인 경우, 제2 사용자는 친구 결혼식에 참석한 사용자일 수 있다. 또한, 제2 디바이스 사용자가 친구 결혼식 참여자인 경우, 제2 디바이스(200)가 서버(300)로 전송하는 멀티미디어 정보는 친구 결혼식과 관련한 멀티미디어 정보(예를 들어, 친구 결혼식 사진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300)는 제2 디바이스(200)로부터 수신한 멀티미디어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S330). 이때, 서버(300)는 제2 디바이스(200)의 식별 정보를 함께 수신하여, 제2 디바이스(200)로부터 수신한 멀티미디어 정보를 제2 디바이스(200)의 식별정보에 대응시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300)가 SNS 서버인 경우, 제2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업로드한 멀티미디어 정보 또는 타인의 게시글에 남긴 댓글, 공유한 타인의 멀티미디어 정보가 제2 디바이스 사용자의 SNS 페이지에 게시(posting)되도록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서는 제2 디바이스(200)만 서버(300)로 멀티미디어 정보를 전송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제1 디바이스(100)도 서버(300)로 멀티미디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서버(300)는 제1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한 멀티미디어 정보도 저장할 수 있으며, 제1 디바이스로부터 제1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를 함께 수신하여, 제1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멀티미디어 정보를 제1 디바이스의 식별정보에 대응시켜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서버(300)는 제1 디바이스(100)로부터 요청 받은 미싱 이벤트 관련 멀티미디어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S350).
서버(300)는 제1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한 미싱 이벤트에 관한 정보(예를 들어, 미싱 이벤트의 시간 정보, 위치 정보, 이벤트 명, 참여자 정보 등)를 기초로 미싱 이벤트 관련 멀티미디어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300)는 미싱 이벤트의 이벤트 명, 시간 정보, 위치 정보 등을 검색어로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또는, 서버(300)는 미싱 이벤트의 참여자 정보에 기초하여, 미싱 이벤트 참여자의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멀티미디어 정보(미싱 이벤트 참여자의 멀티미디어 정보) 내에서 미싱 이벤트 관련 멀티미디어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서버(300)는 서버(300)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정보에 포함된 사람, 건물, 문자 등을 인식하여, 인식된 사람, 인식된 건물, 인식된 문자 등이 미싱 이벤트와 관련도가 있는지를 분석하여, 미싱 이벤트와 관련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서버(300)는 서버(300)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정보의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미싱 이벤트와 관련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정보의 메타데이터 정보는 멀티미디어 정보의 생성 위치 정보, 멀티미디어 정보의 생성 시간 정보, 멀티미디어 정보의 생성 날짜 정보, 멀티미디어 정보에 포함된 객체에 관한 정보, 멀티미디어 정보를 생성한 사람에 관한 정보, 멀티미디어 정보에 관련된 이벤트에 관한 정보(예를 들어, 친구 결혼식, 아이 발표회 등), 멀티미디어 정보의 재생 조건 정보(예를 들어, 재생 프로그램 정보, 재생 프로그램 버전 정보, 용량 정보, 출력 모드(예를 들어, 오디오 출력 모드), 표시 사이즈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멀티미디어 정보에 포함된 객체에 관한 정보는 사람의 이름(또는 닉네임), 건물의 이름, 지명, 중요한 객체(또는 중용한 인물)에 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서버(300)는 제1 디바이스(100)로부터 미싱 이벤트의 이벤트 명을 수신한 경우, 저장된 멀티미디어 정보 중 이벤트 명이 태깅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또는, 서버(300)는 제1 디바이스(100)로부터 미싱 이벤트의 이벤트 명과 참여자 정보를 수신한 경우, 미싱 이벤트 참여자의 멀티미디어 정보 중에서 이벤트 명이 태깅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서버(300)는 제1 디바이스(100)로부터 미싱 이벤트의 이벤트 명과 미싱 이벤트의 중요한 인물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 경우, 중요한 인물의 멀티미디어 정보 중에서 이벤트 명이 태깅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검색활 수 있다.
또한, 서버(300)는 제1 디바이스(100)로부터 미싱 이벤트의 시간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수신한 경우, 저장된 멀티미디어 정보의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정보 중에서, 멀티미디어 정보의 생성 위치 정보 및 생성 시간 정보가 미싱 이벤트의 시간 정보 및 위치 정보와 일치하는 멀티미디어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서버(300)는 검색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제1 디바이스(100)를 전송하고(S360), 제1 디바이스(100)는 수신한 멀티미디어 정보를 제1 디바이스 사용자의 라이프-로그로 저장할 수 있다(S370).
360단계(S360)는 도 2의 230단계(S230)에 대응하고, 370단계(S370)는 도 2의 240단계(S240)에 대응하므로, 동일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싱 이벤트를 검출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디바이스(100)는 제1 디바이스(100)에 등록된 일정 또는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일정과 관련한 시간 정보 및 장소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S510).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디바이스(100)에 등록된 일정을 기준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후술하는 내용은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일정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디바이스(100)에 설치된 PIMS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일정 관리 어플리케이션)에 등록된 일정이 친구 결혼식인 경우, 친구 결혼식과 관련한 시간 정보(결혼식의 시작 시각 정보, 종료 시각 정보, 예를 들어, 2011년 1월 14일 토요일 오후 1시 ~ 오후 3시) 및 위치 정보(예를 들어, 서초구 양재역 3번 출구 S 웨딩홀)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제1 디바이스(100)는 추출된 시간 정보 및 장소 정보를 시간에 따른 제1 디바이스(100)의 위치 정보와 비교하여, 등록된 일정이 미싱 이벤트인지를 검출할 수 있다(S520).
제1 디바이스(100)는 제1 디바이스(100)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위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 센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자이로(Gyro) 센서, 가속도 센서, 고도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디바이스(100)는 시간에 따라 센싱된 위치 정보와 등록된 일정에 대한 시간 정보 및 장소 정보를 비교하여, 제1 사용자가 참여한 이벤트, 제1 사용자가 일부 참여한 이벤트, 제1 사용자가 참여하지 않은 이벤트를 검출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100)는 제1 사용자가 일부 참여한 이벤트와 제1 사용자가 참여하지 않은 이벤트를 미싱 이벤트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디바이스(100)는 제1 디바이스(100)의 이동이 정지된 시간 정보(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100)의 이동 정지 시각 정보, 제1 디바이스(100)의 정지 종료 시각 정보)가 제1 디바이스(100)에 등록된 일정에 관한 시간 정보(예를 들어, 결혼식의 시작 시각 정보, 종료 시각 정보, 예를 들어, 2011년 1월 14일 토요일 오후 1시 ~ 오후 3시)를 포함하고, 제1 디바이스(100)에서 센싱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제1 디바이스(100)의 이동이 정지된 시간 동안의 위치 정보가 등록된 일정에 관한 위치 정보(예를 들어, 서초구 양재역 3번 출구 S웨딩홀)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위치에 포함되면, 제1 디바이스(100)는 제1 디바이스(100)에 등록된 일정(친구 결혼식)을 제1 사용자가 참여한 이벤트로 검출할 수 있다.
유사한 위치는 제1 사용자가 해당 일정에 참여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오차 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정보는 경도 및 위도 정보로 표현되는 물리적인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나, 논리적인 위치 정보(예를 들어, 홈, 오피스와 같은 의미가 부여된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1110)의 이동이 정지된 시간 정보가 제1 디바이스(100)에 등록된 일정(친구 결혼식)의 시간 정보를 포함하나 제1 디바이스(100)의 이동이 정지된 시간 동안 위치 정보가 제1 디바이스(100)에 등록된 일정(친구 결혼식)의 위치 정보와 다르거나 위치 정보에 근사한 위치에도 포함되지 않은 경우에, 제1 디바이스(100)는 제1 디바이스(100)에 등록된 일정(친구 결혼식)을 제1 사용자가 참여하지 않은 이벤트로 검출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100)의 이동이 정지된 시간 정보가 제1 디바이스(100)에 등록된 일정(친구 결혼식)의 시간 정보의 일부를 포함하고, 제1 디바이스(100)의 이동이 정지된 시간 동안 위치 정보가 제1 디바이스(100)에 등록된 일정(친구 결혼식)의 위치 정보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위치 정보에 포함되는 경우에, 제1 디바이스(100)는 등록된 일정(친구 결혼식)을 제1 사용자가 일부 참여한 이벤트로 검출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100)는 미싱 이벤트와 관련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서버(300)로 요청하고(S530), 서버로부터 미싱 이벤트와 관련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540).
또한, 제1 디바이스(100)는 수신한 멀티미디어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S550).
도 5의 530단계(S530) 내지 550단계(S550)는 도 2의 220단계(S220) 내지 240단계(S240)에 대응하므로 동일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싱 이벤트를 검출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디바이스(100)는 제1 디바이스(100)에 저장된 제1 디바이스 사용자의 라이프-로그 정보와 관련된 멀티미디어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디바이스(100)에 등록된 일정이 미싱 이벤트인지를 검출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100)는 라이프-로그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다이어리 어플리케이션)에 저장된 제1 디바이스 사용자의 라이프-로그 또는 멀티미디어 정보 관리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갤러리 어플리케이션)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이용하여, 제1 디바이스(100)에 등록된 일정이 미싱 이벤트인지를 검출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100)는 다이어리 어플리케이션에 저장된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오디오 등을 이용하여, 제1 디바이스(100)에 등록된 일정이 미싱 이벤트인지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디바이스(100)에 등록된 일정이 친구 결혼식인 경우, 친구 결혼식과 관련한 시간 정보(결혼식의 시작 시각 정보, 종료 시각 정보, 예를 들어, 2011년 1월 14일 토요일 오후 1시 ~ 오후 3시) 및 위치 정보(예를 들어, 서초구 양재역 3번 출구 S 웨딩홀)를 추출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100)는 추출된 친구 결혼식의 시간 정보에 해당하는 날짜(예를 들어, 2011년 1월 14일)의 다이어리 텍스트 내용을 분석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1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어리 텍스트 내용을 분석한 결과, 해당 날짜에 제1 디바이스 사용자의 라이프-로그 정보(제1 사용자가 방문한 장소와 방문한 시간, 제1 사용자가 한 일 등)와 관련된 단어(610, 예를 들어, 1시, 상현이, 연주회 등)를 추출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100)는 추출된 단어들에 기초하여, 제1 디바이스 사용자가 친구 결혼식에 참석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100)는 추출된 단어들에 기초하여, 제1 디바이스 사용자가 친구 결혼식에 해당하는 시간에 상현이 연주회에 참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친구 결혼식을 미싱 이벤트로 검출할 수 있다.
또는, 제1 디바이스(100)는 갤러리 어플리케이션에 저장된 이미지, 동영상 등을 이용하여, 제1 디바이스(100)에 등록된 일정이 미싱 이벤트인지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100)는 친구 결혼식의 시간 정보에 해당하는 날짜(예를 들어, 2011년 1월 14일)에 촬영된 이미지나 동영상, 친구 결혼식의 시간 정보에 해당하는 날짜에 수신한 이미지나 동영상을 분석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1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갤러리 어플리케이션에 저장된 이미지나 동영상을 분석하거나, 이미지나 동영상의 메타데이터를 분석하여, 해당 날짜에 제1 디바이스 사용자가 친구 결혼식에 참석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100)는 친구 결혼식에 해당하는 날짜에 촬영된 이미지(620)에 결혼식과 관련된 객체가 포함되지 않았음에 기초하여, 제1 디바이스 사용자가 친구 결혼식에 참여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싱 이벤트를 검출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디바이스(100)는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디바이스(100)에 등록된 일정이 미싱 이벤트인지를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디바이스는 SNS 서버(710) 및 제1 디바이스 사용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720)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100)는 SNS 서버(710)에 포스팅된 정보(제1 디바이스 사용자가 방문한 장소의 사진이나 동영상, 제1 디바이스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텍스트 또는 지도 등) 또는 댓글(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 사용자의 일정 참여 여부를 나타내는 댓글 등)을 분석하여, 제1 디바이스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에 등록된 일정이 미싱 이벤트인지를 검출할 수 있다.
이때, SNS 서버(710)에 포스팅된 정보 또는 댓글은 SNS 서버에 저장된 제1 디바이스 사용자의 SNS 페이지 또는 SNS의 기본 페이지에 링크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SNS 페이지 또는 SNS의 기본 페이지에 링크된 정보는 개시(postimg)된 타인의 글 또는 타인의 댓글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100)는 제1 디바이스 사용자의 위치를 나타내는 텍스트 또는 지도가 업로드 된 시간을 추출하고, 제1 디바이스 사용자의 위치를 나타내는 텍스트 또는 지도를 분석하여, 제1 디바이스 사용자의 시간에 따른 위치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디바이스(100)는 추출된 제1 디바이스 사용자의 시간에 따른 위치 정보를 제1 디바이스에 등록된 일정에 관한 시간 정보 및 위치 정보와 비교함으로써, 제1 디바이스 사용자의 일정 참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제1 디바이스 사용자의 시간에 따른 위치 정보와 일정에 관한 시간 정보 및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제1 디바이스 사용자가 일정에 참여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도 5에서 설명한 제1 디바이스의 시간에 따른 위치 정보와 일정에 관한 시간 정보 및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일정에 참여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제1 디바이스(100)는 제1 디바이스 사용자의 일정 참여 여부를 나타내는 댓글을 워드 단위로 분석하여, 제1 디바이스 사용자의 일정 참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100)는 제1 디바이스 사용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720)로부터 웨어러블 디바이스(720)의 시간에 따른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제1 디바이스에 등록된 일정이 미싱 이벤트인지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720)를 착용하고, 제1 디바이스(100)에 등록된 일정에 참여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72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시간에 따른 위치 정보를 제1 디바이스(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디바이스(100)는 제1 디바이스 사용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720)로부터 수신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시간에 따른 위치 정보를 제1 디바이스(100)에 등록된 일정에 관한 시간 정보 및 위치 정보와 비교하여, 제1 디바이스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100)에 등록된 일정에 참여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720)로부터 수신한 시간에 따른 위치 정보와 일정에 관한 시간 정보 및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일정에 참여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도 5에서 설명한 제1 디바이스의 시간에 따른 위치 정보와 일정에 관한 시간 정보 및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일정에 참여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웨어러블 디바이스(720)로부터 수신한 시간에 따른 위치 정보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 디바이스 사용자의 휴대 가능한 디바이스(예를 들어, 노트북 컴퓨터 등)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디바이스(100)는 제1 디바이스 사용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720)로부터 제1 디바이스 사용자의 제1 디바이스 사용자의 라이프-로그와 관련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디바이스(100)에 등록된 일정이 미싱 이벤트인지를 검출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720)로부터 수신한 제1 디바이스 사용자의 라이프-로그와 관련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분석하여, 일정에 참여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도 6에서 설명한 제1 디바이스에 저장된 제1 디바이스 사용자의 라이프-로그와 관련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분석하여, 일정에 참여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정보의 검색 범위를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9는 도 8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8의 810단계(S810) 및 820단계(S820)는 도 2의 210단계(S210) 및 220단계(S220)에 대응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디바이스(100)는 제2 디바이스(200)의 식별 정보를 선택 받아, 선택된 식별 정보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S830).
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100)는 미싱 이벤트 관련 멀티미디어 정보를 검색할 상대방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여, 선택된 상대방 디바이스가 서버(300)로 전송한 멀티미디어 정보 내에서 미싱 이벤트 관련 멀티미디어 정보를 검색하도록 검색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100)는 미싱 이벤트 관련 멀티미디어 정보를 검색할 상대방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를 선택 받을 수 있으며, 제1 디바이스(100)에 등록된 외부 디바이스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 받을 수 있다. 미싱 이벤트 관련 멀티미디어 정보를 검색할 상대방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를 선택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도 10 및 11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미싱 이벤트 관련 멀티미디어 정보를 검색할 상대방은 미싱 이벤트 참여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싱 이벤트가 친구 결혼식인 경우, 제1 디바이스(100)는 친구 결혼식 참석자인 제2 사용자의 디바이스(제2 디바이스(200)) 식별정보를 선택 받을 수 있다.
제1 디바이스(100)는 선택된 상대방의 식별 정보(예를 들어, 제2 사용자의 이름, 아이디 등) 또는 상대방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예를 들어, 제2 디바이스의 전화번호 등)를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300)가 제1 디바이스(100)로부터 제2 디바이스 사용자의 식별 정보 또는 제2 디바이스(200)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300)는 제2 사용자 디바이스(120)로부터 수신한 멀티미디어 정보와 제3 사용자 디바이스(231)로부터 수신한 멀티미디어 정보 중에서 제2 디바이스(200)로부터 수신한 멀티미디어 정보 내에서만 미싱 이벤트와 관련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300)는 친구 결혼식 참석자인 제2 사용자의 디바이스가 서버(300)로 전송한 멀티미디어 정보(예를 들어, 제2 사용자의 SNS 페이지에 업로드 된 멀티미디어 정보 등)내에서만 친구 결혼식 관련 멀티미디어 정보를 검색할 수 있으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사용자의 SNS 페이지에 업로드된 친구 결혼식 사진(950)을 미싱 이벤트 관련 멀티미디어 정보로 추출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100)는 서버(300)로부터 검색된 미싱 이벤트 관련 멀티미디어 정보(예를 들어, 친구 결혼식 사진(950))를 수신하여(S840), 제1 디바이스(100)는 수신한 멀티미디어 정보를 제1 디바이스 사용자의 라이프-로그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S850).
도 8의 850단계(S850)는 도 2의 240단계(S240)에 대응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싱 이벤트 관련 멀티미디어 정보를 검색할 상대방을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디바이스(100)는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미싱 이벤트 참여자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한 참여자 정보에 표시되는 사용자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멀티미디어 정보를 검색할 상대방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의 (a)를 참조하면, 제1 디바이스(100)는 일정 관리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캘린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에 제1 디바이스(100)에 등록된 일정 또는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일정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디바이스 사용자가 월 단위로 표시되는 캘린더 화면(1010)에서, 특정 날짜를 선택하는 경우, 해당 날짜에 등록된 일정 리스트(1020)가 표시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 사용자가 표시되는 일정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일정을 선택하는 경우, 제1 디바이스(100)는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일정에 참여한 참여자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100)는 제1 디바이스에 등록된 일정의 참여자 정보를 외부 디바이스(예를 들어, SNS 서버 등)로부터 수신한 수 있으며,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일정 정보를 수신할 때, 해당 일정에 대한 참여자 정보를 함께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디바이스가 SNS 서버로 구성되는 경우, SNS 서버는 SNS 서버에 포스팅된 정보 또는 댓글을 분석하여, 해당 일정에 참여한 사람이 누구인지를 추출할 수 있다. 이때, SNS 서버에 포스팅된 정보 또는 댓글은 SNS 서버에 저장된 제1 디바이스 사용자의 SNS 페이지 또는 SNS의 기본 페이지에 링크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SNS 페이지 또는 SNS의 기본 페이지에 링크된 정보는 개시(postimg)된 타인의 글 또는 타인의 댓글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디바이스는 추출된 참여자 정보를 제1 디바이스(100)로 전송하고, 제1 디바이스(100)는 참여자 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며, 제1 디바이스 사용자는 표시된 참여자 리스트에서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해당 참여자를 멀티미디어 멀티미디어 정보를 검색할 상대방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싱 이벤트 관련 멀티미디어 정보를 검색할 상대방을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의 (a)를 참조하면, 제1 디바이스 사용자는 미싱 이벤트 관련 멀티미디어 정보를 검색할 상대방의 디바이스 식별 정보(1110)를 직접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상대방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1110)는 상대방의 이름, 닉네임, 상대방 디바이스의 전화 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의 (b)를 참조하면, 제1 디바이스 사용자는 연락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미싱 이벤트 관련 멀티미디어 정보를 검색할 상대방을 설정할 수 있다.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락처 화면은 제1 디바이스(100)에 연락처가 저장된 사용자들의 리스트(1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 사용자는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으로, 미싱 이벤트 관련 멀티미디어 정보를 검색할 상대방을 설정할 수 있다.
도 11의 (c)를 참조하면, 제1 디바이스 사용자는 미싱 이벤트 관련 멀티미디어 정보를 검색할 상대방을 그룹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11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디바이스 사용자가 연락처 어플리케이션 화면에서 그룹을 선택하면, 제1 디바이스는 그룹 리스트(1130)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그룹은 가족, 학교, 직장, 친구 등 기 설정된 기준에 의해 외부 디바이스 사용자를 분류해 놓은 것을 의미한다.
제1 디바이스 사용자가 그룹 리스트에서 적어도 하나의 그룹을 선택하면, 제1 디바이스(100)는 선택된 그룹에 포함되는 복수의 사용자를 미싱 이벤트 관련 멀티미디어 정보를 검색할 상대방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선택된 그룹에 포함되는 복수의 사용자 중 일부 사용자만 선택하여, 미싱 이벤트 관련 멀티미디어 정보를 검색할 상대방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외에도, 제1 디바이스(100)는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미싱 이벤트 관련 멀티미디어 정보를 검색할 상대방을 선택 받을 수 있다.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제1 디바이스(100)는 실행화면에 외부 디바이스와 송수신한 메시지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메시지 리스트에는 외부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와 외부 디바이스와 송수신한 메시지의 일부 내용이 표시될 수 있으며, 제1 디바이스 사용자는 메시지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100)는 메시지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메시지 리스트에 대응하는 외부 디바이스를 미싱 이벤트 관련 멀티미디어 정보를 검색할 상대방으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도 10 및 도 11에서, 미싱 이벤트 관련 멀티미디어 정보를 검색할 상대방을 설정하는 방법을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방법으로 미싱 이벤트 관련 멀티미디어 정보를 검색할 상대방을 설정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디바이스(100)가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미싱 이벤트 관련 멀티미디어 정보를 저장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1 디바이스(100)는 서버(300)로부터 미싱 이벤트 관련 멀티미디어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제1 디바이스(100)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수신된 멀티미디어 정보는 자동으로 제1 디바이스(100)에 저장되거나, 제1 디바이스 사용자의 저장 요청이 있는 경우에 저장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100)는 수신한 미싱 이벤트 관련 멀티미디어 정보의 종류에 따라, 멀티미디어 정보의 저장 위치를 다르게 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디바이스(100)가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멀티미디어 정보가 이미지(1230, 예를 들어, 친구 결혼식 사진)인 경우, 제1 디바이스(100)는 수신한 친구 결혼식 사진을 제1 디바이스(100)의 갤러리 어플리케이션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도 13을 참조하면, 제1 디바이스(100)는 미싱 이벤트 관련 멀티미디어 정보를 해당 미싱 이벤트와 연동시켜 저장할 수 있다.
도 1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디바이스(100)는, 미싱 이벤트 또는 일정과 관련된 관심 이벤트 관련한 새로운 멀티미디어 정보를 수신하여 자동으로 저장하는 경우, 미싱 이벤트에 대응하는 일정 리스트에 새로운 멀티미디어 정보가 저장되었음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100)는 제1 사용자가 참여하지 못한 친구 결혼식 일정(미싱 이벤트)과 관련하여, 서버(300)로부터 멀티미디어 정보를 수신한 경우, 친구 결혼식 일정이 표시되는 리스트에 ‘New’라는 아이콘(1310)을 표시하여, 제1 디바이스 사용자에게 친구 결혼식과 관련한 새로운 멀티미디어 정보가 수신되었음을 알려줄 수 있다.
이때, 제1 디바이스 사용자가 ‘New’ 아이콘(1310)을 선택하는 경우, 제1 디바이스(100)는 친구 결혼식과 관련한 멀티미디어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디바이스 사용자가 ‘New’아이콘을 선택하면, 제1 디바이스(100)는 갤러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친구 결혼식 사진(1320, 미싱 이벤트 관련 멀티미디어 정보)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도 14를 참조하면, 제1 디바이스(100)는 미싱 이벤트 관련 멀티미디어 정보를 제1 디바이스 사용자의 라이프-로그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도 1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디바이스(100)는 수신한 멀티미디어 정보를 다이어리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100)는 수신한 멀티미디어 정보를 미싱 이벤트에 해당하는 날짜의 다이어리와 연동시켜 저장할 수 있다. 도 1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싱 이벤트(예를 들어, 친구 결혼식)에 해당하는 날짜가 2013년 9월 7일인 경우, 제1 디바이스(100)는 2013년 9월 7일의 다이어리 화면에 미싱 이벤트 관련하여, 수신한 멀티미디어 정보(예를 들어, 친구 결혼식 사진)가 저장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 중 이미지 아이콘을 선택하는 경우, 제1 디바이스(100)는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친구 결혼식 사진을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제1 디바이스(100)는 수신한 멀티미디어 정보를 타임라인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디바이스(100)는 제1 디바이스 사용자의 라이프-로그 정보를 타임라인 형태로 저장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100)는 제1 디바이스 사용자의 라이프-로그 정보에 포함되는 멀티미디어 정보를 멀티미디어 정보의 생성 시간 또는 타임라인에 등록된 시간 순서대로 표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설정에 따른 순서대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1 디바이스(100)는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미싱 이벤트(예를 들어, 친구 결혼식) 관련 멀티미디어 정보를 미싱 이벤트의 시간 정보(예를 들어, 친구 결혼식 시간)를 기준으로 타임라인에 등록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친구 결혼식 시간이 제1 멀티미디어 정보(1420)의 등록 시간과 제2 멀티미디어 정보(1440)의 등록 시간 사이인 경우, 친구 결혼식 사진(1430)을 제1 멀티믿디어 정보(1420)와 제2 멀티미디어 정보(1440) 사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디바이스에서 멀티미디어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디바이스(100)는 제1 디바이스(100)에 등록된 일정 또는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일정 중 시간이 겹치는 중복 일정을 검출할 수 있다(S1510).
제1 디바이스(100)는 제1 디바이스(100)에 설치된 PIMS 어플리케이션이나 라이프-로그 어플리케이션에 등록된 일정, 또는, SNS 서버나 제1 디바이스 사용자의 클라우드 서버 등을 포함하는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일정 중에서 시간이 겹치는 중복 일정을 검출할 수 있다. 이때, 외부 디바이스는 서버(300)일 수 있다.
제1 디바이스(100)는 제1 디바이스(100)에 등록된 일정 또는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일정들의 시간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시간 정보를 기초로 등록된 일정이 중복 일정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디바이스(100)에 등록된 제1 일정이 아이 연주회인 경우, 제1 디바이스(100)는 아이 연주회와 관련한 시간 정보(예를 들어, 2011년 1월 14일 토요일 오후 1시 ~ 3시)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제1 디바이스(100)에 등록된 제2 일정이 친구 결혼식인 경우, 제1 디바이스(100)는 친구 결혼식과 관련한 시간 정보(예를 들어, 2011년 1월 14일 토요일 오후 1시 ~ 3시)를 추출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100)는 추출된 제1 일정의 시간 정보와 제2 일정의 시간 정보가 겹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중복 일정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100)는 2014년 1월 14일 1시 ~ 3시에 아이 연주회 일정과 친구 결혼식 일정이 포함된 경우, 제1 디바이스(100)는 아이 연주회 일정과 친구 결혼식 일정을 중복 일정으로 검출할 수 있다.
이때, 제1 디바이스(100)는 추출된 제1 일정의 시간 정보와 제2 일정의 시간 정보가 도 16에서와 같이, 1시 ~ 3시로 동일한 경우뿐만 아니라 일부 겹치는 경우에도 중복 일정으로 검출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100)는 중복 일정 중 미싱 이벤트를 검출할 수 있다(S1520).
예를 들어, 미싱 이벤트는 중복 일정으로 검출된 제1 일정 및 제2 일정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제1 일정 및 제2 일정에 대한 시간 정보, 위치 정보 등), 제1 디바이스(100)에서 센싱된 디바이스의 상황 정보(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의 시간에 따른 위치 정보 등), 제1 디바이스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정보(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 사용자의 라이프-로그 정보와 관련된 멀티미디어 정보) 등에 기초하여, 자동적으로 검출될 수 있다. 미싱 이벤트를 검출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도 5 내지 7에서 자세히 설명하였으므로 동일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디바이스(100)는 미싱 이벤트와 관련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서버(300)로 요청할 수 있다(S1530). 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100)는 미싱 이벤트가 검출되는 경우, 자동으로 서버(300)로 미싱 이벤트와 관련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제1 디바이스(100)는 미싱 이벤트로 검출된 일정이 종료된 시점, 또는, 일정이 종료되고 기 설정된 시간이 지난 후에, 서버(300)로 미싱 이벤트와 관련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는, 제1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미싱 이벤트와 관련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제1 디바이스(100)는 멀티미디어 정보 요청과 함께 미싱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미싱 이벤트에 관한 정보는 미싱 이벤트의 시간 정보, 위치 정보, 이벤트 명, 참여자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디바이스(100)가 아이 연주회를 참여한 이벤트로, 친구 결혼식을 미싱 이벤트로 검출한 경우, 제1 디바이스(100)는 친구 결혼식의 시간 정보(예를 들어, 2011년 1월 14일 토요일 오후 1시 ~ 오후 3시), 위치 정보(예를 들어, 서초구 양재역 3번 출구 S 웨딩홀), 결혼하는 친구의 이름, 친구 결혼식의 참여자 정보 등을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도 15의 1530단계(S1530)는 도 2의 220 단계에 대응된다.
서버(300)는 미싱 이벤트 관련 멀티미디어 정보를 검색하여, 검색된 미싱 이벤트 관련 멀티미디어 정보를 제1 디바이스(10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300)는 제1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한 미싱 이벤트에 관한 정보(예를 들어, 미싱 이벤트의 시간 정보, 위치 정보, 이벤트 명, 참여자 정보 등)를 기초로 미싱 이벤트 관련 멀티미디어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300)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친구 결혼식의 시간 정보, 위치 정보, 결혼하는 친구 이름, 친구 결혼식 참여자 정보 등을 검색어로 이용하여, 제2 디바이스 사용자(친구 결혼식 참석자)가 서버(300)로 전송한 친구 결혼식 사진(1610)을 검색하고, 검색된 친구 결혼식 사진(1610)을 제1 디바이스(1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100)는 서버(300)에서 검색된 미싱 이벤트 관련 멀티미디어 정보를 수신하여(S1540), 수신한 멀티미디어 정보를 제1 디바이스 사용자의 라이프-로그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S1550).
도 15의 1540단계(S1540)는 도 2의 230단계(S230)에 도 15의 1550단계(S1550)는 도 2의 240단계(S240)에 대응되므로, 동일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디바이스에서 멀티미디어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19는 도 17 및 도 18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디바이스(100)는 관심 이벤트를 설정할 수 있다(S1710, S1810).
이때, 관심 이벤트는 제1 디바이스(100)에 등록된 일정 또는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일정 전체, 또는 등록되거나 수신한 일정 중 제1 디바이스 사용자가 선택한 일부 일정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디바이스 사용자가 참여하지 않은 일정(미싱 이벤트) 또는 참여한 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제1 디바이스(100)에 등록되거나 수신된 일정 중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일정을 관심 이벤트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 사용자는 제1 디바이스(100)에 등록된 일정 또는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일정 중 제1 디바이스 사용자가 참여한 일정이지만, 일정에 관한 멀티미디어 정보를 수집하고자 하는 경우, 해당 일정을 관심 이벤트로 설정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제1 디바이스 사용자는 친구 결혼식 일정에 참여하였지만, 친구 결혼식과 관련한 멀티미디어 정보를 수집하고자 하는 경우, 친구 결혼식을 관심 이벤트로 설정할 수 있다.
또는, 관심 이벤트는 일정과 관련이 없는 것으로서, 제1 디바이스 사용자가 관심이 있는 인물, 컨텐츠, 스포츠 경기, 행사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관심 이벤트가 설정되면, 제1 디바이스(100)는 관심 이벤트와 관련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서버(300)로 요청할 수 있다(S1720, S1830).
또한, 제1 디바이스(100)는 멀티미디어 정보 요청과 함께 관심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심 이벤트가 일정과 관련이 있는 경우, 관심 이벤트에 관한 정보는 관심 이벤트로 설정된 일정의 시간 정보, 위치 정보, 이벤트 명, 참여자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디바이스 사용자가 친구 결혼식을 관심 이벤트로 설정한 경우에, 친구 결혼식의 위치 정보(예를 들어, 서초구 양재역 3번 출구 S 웨딩홀), 친구 결혼식의 시간 정보(결혼식의 시작 시각 정보, 종료 시각 정보, 예를 들어, 2011년 1월 14일 토요일 오후 1시 ~ 오후 3시), 결혼하는 친구의 이름, 친구 결혼식의 참여자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관심 이벤트가 제1 디바이스 사용자가 참여한 일정인 경우, 제1 디바이스(100)는 관심 이벤트와 관련하여, 저장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반면에, 관심 이벤트가 제1 디바이스에 등록된 일정과 관련이 없는 경우, 관심 이벤트에 관한 정보는 해당 관심 이벤트와 관련된 객체 명(또는 인물 명), 관심 이벤트 명, 관심 이벤트 종류, 관심 이벤트의 시간 정보, 관심 이벤트의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디바이스(100)는 관심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자동으로 검출하거나 사용자 입력에 의해 획득할 수 있다. 또한, 관심 이벤트에 관한 정보가 복수로 검출된 경우, 제1 디바이스(100)는 검출된 관심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며, 표시된 정보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정보를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검출된 복수의 관심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모두 서버(3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서버(300)는 제1 디바이스(100)로부터 요청 받은 관심 이벤트 관련 멀티미디어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S1840).
서버(300)는 도 18의 1820단계(S1820)에서 제2 디바이스(200)를 포함하는 외부 디바이스들로부터 수신한 멀티미디어 정보에 기초하여, 관심 이벤트 관련 멀티미디어 정보를 검색할 수 있으며, 이때, 제2 디바이스(200)는 관심 이벤트 관련 멀티미디어 정보를 전송하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디바이스 사용자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심 이벤트로 설정된 친구 결혼식 참여자일 수 있으며, 제2 디바이스(200)가 서버(300)로 전송하는 멀티미디어 정보는 친구 결혼식과 관련한 멀티미디어 정보(예를 들어, 친구 결혼식 사진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300)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친구 결혼식의 시간 정보, 위치 정보, 결혼하는 친구 이름, 친구 결혼식 참여자 정보 등을 검색어로 이용하여, 제2 디바이스 사용자(친구 결혼식 참석자)가 서버(300)로 전송한 친구 결혼식 사진(1910)을 검색하고, 검색된 친구 결혼식 사진(1910)을 제1 디바이스(1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서버(300)는 검색된 관심 이벤트 관련 멀티미디어 정보와 제1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한 관심 이벤트 관련 멀티미디어 정보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동일한 멀티미디어 정보는 제1 디바이스(100)로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미 제1 디바이스(100)에 저장된 관심 이벤트 관련 멀티미디어 정보를 중복하여, 전송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100)는 서버(300)에서 검색된 미싱 이벤트 관련 멀티미디어 정보를 수신하여(S1730, S1850), 수신한 멀티미디어 정보를 제1 디바이스 사용자의 라이프-로그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S1740, S1860).
이에 따라, 제1 디바이스 사용자는 참여하지 일정뿐만 아니라 참여한 일정과 관련된 멀티미디어 정보 중 제1 디바이스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멀티미디어 정보도 제1 디바이스 사용자의 라이프-로그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도 17의 1730단계(S1730) 및 도 18의 1850단계는 도 2의 230단계(S230)에, 도 17의 1740단계(S1740) 및 도 18의 1860단계(S1860)는 도 2의 240단계(S240)에 대응하므로, 동일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정과 관련이 없는 관심 이벤트 설정방법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20의 (a)를 참조하면, 제1 디바이스(100)는 특정 인물을 관심 이벤트로 설정하여, 특정 인물과 관련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서버(300)로 요청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100)는 제1 디바이스 사용자의 라이프-로그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디바이스 사용자가 관심이 있는 특정 인물을 관심 이벤트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 사용자가 라이프-로그로 저장해 놓은 멀티미디어 정보와 관련된 인물을 분석하여, 제1 디바이스 사용자가 관심이 있는 특정 인물을 검출할 수 있다.
또는, 제1 디바이스(100)는 제1 디바이스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특정 인물을 관심 이벤트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 사용자가 특정 인물의 이미지(2010)를 선택하여, 특정 인물을 관심 이벤트로 설정할 수 있으며, 또는, 제1 디바이스 사용자는 특정 인물의 이름을 입력하여, 특정 인물을 관심 이벤트로 설정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서버(300)는 제1 디바이스(100)로부터 특정 인물과 관련된 멀티미디어 정보의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특정 인물과 관련하여, 포스팅된 멀티미디어 정보 또는 댓글을 검색하여, 제1 디바이스(1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20의 (b)를 참조하면, 제1 디바이스(100)는 영화를 관심 이벤트로 설정하여, 영화와 관련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서버(300)로 요청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100)는 제1 디바이스 사용자의 라이프-로그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디바이스 사용자가 관심이 있는 특정 영화를 관심 이벤트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 사용자가 영화 정보 등을 포스팅한 경우, 해당 영화를 관심 이벤트로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제1 디바이스(100)는 제1 디바이스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특정 영화를 관심 이벤트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 사용자가 특정 영화(2020)를 선택하여, 특정 영화를 관심 이벤트로 설정할 수 있으며, 또는, 제1 디바이스 사용자는 특정 영화의 제목을 입력하여, 특정 영화를 관심 이벤트로 설정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서버(300)는 제1 디바이스(100)로부터 특정 영화와 관련된 멀티미디어 정보의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특정 영화와 관련하여, 포스팅된 멀티미디어 정보 또는 댓글을 검색하여, 제1 디바이스(1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300)는 특정 영화의 영화 상영 정보(영화 개봉일, 영화 상영 기간, 영화 상영 극장 정보 등), 영화의 등장 인물, 영화 평점 등을 제1 디바이스(1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21 및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정보 수집 범위를 설정하여, 설정된 범위 내에서 멀티미디어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하면, 제1 디바이스(100)는 관심 이벤트를 설정할 수 있다(S2110, S2210). 도 1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관심 이벤트는 일정과 관련이 있는 이벤트, 일정과 관련이 없는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일정과 관련이 있는 관심 이벤트는 제1 디바이스 사용자가 참여한 일정 및 제1 디바이스 사용자가 참여하지 않은 일정(미싱 이벤트)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100)는 관심 이벤트 관련 멀티미디어 정보를 검색할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S2120, S2230).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정보의 검색 범위는 멀티미디어 정보를 검색할 상대방의 범위, 검색할 멀티미디어 정보의 종류, 멀티미디어 정보를 검색할 위치, 멀티미디어 정보를 검색할 기간, 검색할 멀티미디어 정보의 생성 시간 또는 생성 위치, 검색할 멀티미디어 정보의 업로드 시간 또는 업로드 위치, 검색할 멀티미디어 정보에 포함된 객체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100)는 관심 이벤트와 관련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서버(300)로 요청할 수 있으며, 멀티미디어 정보의 검색 범위 설정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2130, S2240).
도 22를 참조하면, 서버(300)는 검색 범위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관심 이벤트 관련 멀티미디어 정보를 검색하여(S2250), 해당 검색 범위 내에서 검색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제1 디바이스(100)로 전송할 수 있다(S2140, S2260).
서버(300)가 검색 범위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관심 이벤트 관련 멀티미디어 정보를 검색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도 23 내지 도 27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 디바이스(100)는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멀티미디어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S2150, S2270). 이때, 제1 디바이스(100)는 수신한 멀티미디어 정보를 제1 디바이스 사용자의 라이프-로그 정보로 저장할 수 있으며, 수신한 멀티미디어 정보를 자동으로 저장하거나, 제1 디바이스 사용자의 저장 요청에 따라 저장할 수 있다.
도 23 내지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 범위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관심 이벤트 관련 멀티미디어 정보를 검색하는 방법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들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디바이스(100)는 관심 이벤트 관련 멀티미디어 정보를 검색할 서버 및 멀티미디어 정보를 검색할 상대방을 설정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100)는 멀티미디어 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서버가 복수인 경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복수의 서버 중 하나를 선택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디바이스 사용자가 SNS 서버를 이용하여, 관심 이벤트 관련 멀티미디어 정보를 검색하고자 하는 경우, 제1 디바이스(100)는 제1 디바이스 사용자가 가입되어 있는 복수의 SNS 리스트(2310)를 표시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 사용자가 표시된 SNS 리스트(2310) 중 관심 이벤트 관련 멀티미디어 정보를 검색할 SNS를 선택하는 경우, 제1 디바이스(100)는 선택된 SNS에 대응하는 친구 리스트(2320)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1 디바이스 사용자는 SNS 친구 리스트(2320)를 이용하여, 제2 디바이스 사용자(제2 사용자)를 선택함으로써, 선택된 제2 사용자를 멀티미디어 정보를 검색할 상대방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디바이스(100)는 선택된 SNS에 대응하는 서버(130, 예를 들어, SNS 서버)로 관심 이벤트 관련 멀티미디어 정보 검색 요청, 관심 이벤트에 관한 정보 및 선택된 상대방 설정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서버(300)는 제2 디바이스가 서버(300)로 전송한 멀티미디어 정보 내에서, 관심 이벤트 관련 멀티미디어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1 디바이스(100)는 연락처 어플리케이션 또는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의 친구 리스트 등을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정보를 수집할 상대방(제2 디바이스 사용자)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디바이스(100)는 관심 이벤트 관련 멀티미디어 정보를 검색할 웹 사이트를 설정(검색 위치 설정)할 수 있으며, 제1 디바이스(100)가 멀티미디어 정보를 검색할 위치를 특정 웹 사이트로 설정한 경우, 서버(300)는 해당 웹 사이트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정보 내에서, 관심 이벤트 관련 멀티미디어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또는, 제1 디바이스(100)가 멀티미디어 정보를 수집할 특정 URL을 설정한 경우, 서버(300)는 해당 URL에 대응하는 웹 페이지 내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정보 내에서, 관심 이벤트 관련 멀티미디어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또는, 제1 디바이스가(110)가 멀티미디어 정보를 검색할 검색 사이트를 설정한 경우, 해당 검색 사이트를 이용하여, 관심 이벤트 관련 멀티미디어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도 2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디바이스(100)는 검색할 멀티미디어 정보의 종류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디바이스(100)는 검색할 멀티미디어 정보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2410)를 표시할 수 있으며, 제1 디바이스 사용자가 메뉴(2410)에서 검색할 멀티미디어 정보의 종류를 이미지로 선택하는 경우, 서버(300)는 서버(300)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정보 중 이미지 내에서 관심 이벤트 관련 이미지를 검색할 수 있다.
이외에도, 제1 디바이스(100)는 멀티미디어 정보의 종류를, 텍스트, 오디오, 동영상 등으로 설정하여, 설정된 종류의 멀티미디어 정보 내에서만 관심 이벤트 관련 멀티미디어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도 2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디바이스(100)는 관심 이벤트 관련 멀티미디어 정보를 검색할 기간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디바이스 사용자는 관심 이벤트 관련 멀티미디어 정보를 검색할 시작 시점 및 종료 시점을 입력하여, 검색 기간을 설정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정보를 검색할 기간을 설정한 경우, 서버(300)는 설정된 기간 동안만 관심 이벤트 관련 멀티미디어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서버(300)는 일정과 관련된 관심 이벤트의 경우, 관심 이벤트에 대응하는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관심 이벤트가 종료되는 시점이 속하는 일, 주, 월 동안 관심 이벤트 관련 멀티미디어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서버(300)는 일정과 관련된 관심 이벤트의 경우, 서버(300)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정보의 메타데이터를 분석하여, 멀티미디어 정보의 생성 시간을 검출할 수 있다. 서버(300)는 멀티미디어 정보의 생성 시간이 관심 이벤트에 대응하는 일정의 시작 시간과 종료 시간 사이에 속하는 멀티미디어 정보들 중에서, 관심 이벤트 관련 멀티미디어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또는 서버(300)는 멀티미디어 정보의 생성 시간이 관심 이벤트에 대응하는 일정이 속하는 날짜, 주, 월에 해당하는 멀티미디어 정보들 중에서, 관심 이벤트 관련 멀티미디어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또는, 제1 디바이스(100)가 검색할 멀티미디어 정보의 생성 시간 범위를 설정한 경우, 서버(300)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정보의 생성 시간이 설정된 시간 범위 내인 멀티미디어 정보들 중에서 관심 이벤트 관련 멀티미디어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서버(300)는 일정과 관련된 관심 이벤트의 경우, 서버(300)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정보의 업로드 시간을 검출할 수 있다. 서버(300)는 멀티미디어 정보의 업로드 시간이 관심 이벤트에 대응하는 일정의 시작 시간과 종료 시간 사이에 속하는 멀티미디어 정보들 중에서, 관심 이벤트 관련 멀티미디어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또는, 서버(300)는 멀티미디어 정보의 업로드 시간이 관심 이벤트에 대응하는 일정이 속하는 날짜, 주, 월에 해당하는 멀티미디어 정보들 중에서, 관심 이벤트 관련 멀티미디어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또는, 제1 디바이스(100)가 검색할 멀티미디어 정보의 업로드 시간을 설정한 경우, 업로드 시간이 설정된 시간과 동일한 멀티미디어 정보들 중에서 관심 이벤트 관련 멀티미디어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도 2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디바이스(100)는 검색할 멀티미디어 정보의 생성 위치 또는 멀티미디어 정보의 업로드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디바이스 사용자는 지도 어플리케이션 등을 이용하여, 검색할 멀티미디어 정보의 생성 위치 범위 또는 업로드 위치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관심 이벤트가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관심 이벤트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지점(2610)으로부터 기 설정된 반경 범위(2620)를 검색할 멀티미디어 정보의 생성 위치 범위 또는 업로드 위치 범위로 설정할 수 있다.
검색할 멀티미디어 정보의 생성 위치 범위 또는 업로드 위치 범위가 설정되면, 서버(300)는 서버(300)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정보의 메타데이터를 분석하여, 멀티미디어 정보의 생성 위치 또는 업로드 위치를 검출하고, 멀티미디어 정보의 생성 위치 또는 업로드 위치가 설정된 위치 범위(예를 들어, 관심 이벤트에 대응하는 지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반경 내)에 속하는 멀티미디어 정보 내에서 관심 이벤트 관련 멀티미디어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도 2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디바이스(100)는 검색할 멀티미디어 정보에 포함된 객체 정보(예를 들어, 인물, 건물, 문자 등)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디바이스 사용자는 특정 인물의 이미지(2710)를 선택하여, 선택된 인물이 포함된 멀티미디어 정보 내에서만 관심 이벤트 관련 멀티미디어 정보를 검색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 사용자가 인물 A를 설정하는 경우, 서버(300)는 서버(300)에 저장된 이미지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정보에서 얼굴 인식 등을 이용하여, 인물 A가 포함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추출할 수 있으며, 추출된 멀티미디어 정보 내에서, 관심 이벤트 관련 멀티미디어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또한, 건물 B를 설정하는 경우, 서버(300)는 멀티미디어 정보에서 패턴 인식 등을 이용하여, 건물 B가 포함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멀티미디어 정보 내에서 관심 이벤트 관련 멀티미디어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또한, 문자 C를 설정하는 경우, 서버(300)는 멀티미디어 정보에서 OCR 등을 이용한 문자 인식을 수행하여, 문자 C가 포함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멀티미디어 정보 내에서 관심 이벤트 관련 멀티미디어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도 28 및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디바이스(100)가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멀티미디어 정보를 저장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8을 참조하면, 제1 디바이스(100)는 서버(300)로부터 관심 이벤트 관련 멀티미디어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수신한 멀티미디어 정보를 자동으로 제1 디바이스(100)에 저장할 수 있으며, 멀티미디어 정보가 저장되었다는 알림 메시지(2810)를 표시할 수 있다.
도 29를 참조하면, 제1 디바이스(100)는 서버(300)로부터 관심 이벤트 관련 멀티미디어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수신한 멀티미디어 정보를 선택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100)는 수신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저장하기 전에 수신된 멀티미디어 정보에 대한 적합성(제1 디바이스 사용자가 검색하고자 하는 멀티미디어 정보인지 여부)을 제1 디바이스 사용자가 판단할 수 있도록 제1 디바이스(100)에 표시하고, 표시된 멀티미디어 정보에 대한 저장 요청이 수신되면, 표시하고 있는 멀티미디어 정보를 제1 디바이스(100)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심 이벤트 관련 멀티미디어 정보가 수신되면, 제1 디바이스(100)는 멀티미디어 정보가 수신되었다는 알림 메시지(2910)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알림 메시지(2910)에 포함된 확인 버튼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제1 디바이스(100)는 수신한 멀티미디어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 사용자는 표시된 멀티미디어 정보(2920) 중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정보를 선택하고, 선택된 멀티미디어 정보의 저장을 요청하는 입력을 할 수 있으며, 도 29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멀티미디어의 저장 위치 선택 메뉴(2930)를 이용하여, 저장 위치를 선택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100)는 선택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제1 디바이스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일정 관리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캘린더 어플리케이션), 다이어리 어플리케이션, 갤러리 어플리케이션과 같은 멀티미디어 정보 관리 어플리케이션 내에 저장하거나, 새로운 폴더를 생성하고, 생성된 폴더 내에 저장할 수 있다. 또는, 선택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제1 디바이스(100)와 연동된 웨어러블 디바이스 또는 제1 디바이스 사용자의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할 수 있다.
도 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디바이스의 멀티미디어 정보를 저장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1 디바이스(100)는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관심 이벤트 관련 멀티미디어 정보가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멀티미디어 정보를 일정 관리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캘린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 사용자가 영화를 관심 이벤트로 설정한 경우, 서버(300)에서 관심 이벤트로 설정된 영화의 개봉일과 같이 날짜와 관련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검색하여, 제1 디바이스(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1 디바이스(100)는 날짜와 관련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날짜의 일정 리스트에 멀티미디어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화의 개봉일인 2014년 1월 14일에 해당하는 일정 리스트에 영화 개봉일(3010)을 표시할 수 있다.
도 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디바이스의 멀티미디어 정보를 저장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1 디바이스(100)는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관심 이벤트 관련 멀티미디어 정보를 이벤트 별로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100)는 이벤트 별로 폴더를 생성하고, 각각의 폴더에 해당 이벤트 관련 멀티미디어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1을 참조하면, 제1 디바이스가 제1 관심 이벤트 및 제2 관심 이벤트 관련 이미지를 수신한 경우, 제1 디바이스(100)는 이미지 관리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갤러리 어플리케이션 등) 내에 제1 관심 이벤트 폴더(3110), 제2 관심 이벤트 폴더(3210)를 생성하고, 제1 관심 이벤트 폴더(3110)에는 제1 관심 이벤트 관련 이미지를 저장하고, 제2 관심 이벤트 폴더(3210)에는 제2 관심 이벤트 관련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도 31에서는 멀티미디어 정보가 이미지인 경우에 대해서만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디바이스가 제1 관심 이벤트 및 제2 관심 이벤트 관련한 오디오, 텍스트, 동영상 등을 수신한 경우에도 해당 멀티미디어 정보 관리 어플리케이션 내에 이벤트 별로 폴더를 생성하고, 각각의 폴더에 해당 이벤트 관련 멀티미디어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3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디바이스(100)는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관심 이벤트 관련 멀티미디어 정보를 멀티미디어 정보의 종류 별로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100)가 일정과 관련된 관심 이벤트에 대한 새로운 멀티미디어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제1 디바이스(100)는 수신한 멀티미디어 정보를 해당 일정 리스트(3210)와 연동시켜 저장할 수 있으며, 수신한 멀티미디어 정보를 멀티미디어 정보의 종류 별로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100)는 해당 일정 리스트(3210)가 선택되면, 도 3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정보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 메뉴(3220)가 표시될 수 있으며, 제1 디바이스 사용자는 선택 메뉴(3220)에 포함된 아이콘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종류의 멀티미디어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멀티미디어 정보는 음악 파일, 음성 파일, URL, 영화 파일, 지도 정보, 이미지 파일, 동영상 파일, 문서 파일 등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 사용자가 이미지 파일을 나타내는 아이콘(3225)을 선택하는 경우, 수신한 멀티미디어 정보 중에서 이미지 파일만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디바이스(100)는 관심 이벤트가 일정과 관련된 경우,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관심 이벤트 관련 멀티미디어 정보를 이벤트 참여 여부에 따라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100)는 제1 디바이스 사용자가 참여한 이벤트 관련 멀티미디어 정보를 저장하는 참여 이벤트 폴더, 제1 디바이스 사용자가 참여하지 않은 미싱 이벤트 관련 멀티미디어 정보를 저장하는 미 참여 이벤트 폴더, 제1 디바이스 사용자가 일부 참여한 일부 참여 이벤트 관련 멀티미디어 정보를 저장하는 일부 참여 이벤트 폴더를 생성하여, 수신한 멀티미디어 정보를 관심 이벤트의 참여 여부에 따라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도 3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제1 디바이스에서 멀티미디어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34는 도 33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디바이스(100)를 관심 이벤트 관련 멀티미디어 정보를 요청하는 디바이스로, 제2 디바이스(200)는 관심 이벤트 관련 멀티미디어 정보를 제1 디바이스(100)로 제공하는 디바이스로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디바이스(100)는 관심 이벤트를 설정할 수 있다(S3310). 관심 이벤트는 제1 디바이스(100)에 등록된 일정 또는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일정 전체, 또는 등록되거나 수신한 일정 중 제1 디바이스 사용자가 선택한 일부 일정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디바이스 사용자가 참여하지 않은 일정(미싱 이벤트) 또는 참여한 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관심 이벤트는 일정과 관련이 없는 것으로서, 제1 디바이스 사용자가 관심이 있는 인물, 컨텐츠, 스포츠 경기, 행사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100)에 등록된 일정은 제1 디바이스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관리해주는 PIMS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일정 관리 어플리케이션)이나 라이프-로그 어플리케이션 등에 등록된 제1 디바이스 사용자의 일정을 의미한다.
또한,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일정은 외부 디바이스에 등록된 제1 디바이스 사용자의 일정 또는, 외부 디바이스에서 추출된 제1 디바이스 사용자의 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NS 서버에서 추출되는 제1 디바이스 사용자의 일정은 SNS 서버에 포스팅된 정보 또는 댓글을 분석하여 추출된 일정(예를 들어, 프로젝트 회의)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SNS 서버에 포스팅된 정보 또는 댓글은 SNS 서버에 저장된 제1 디바이스 사용자의 SNS 페이지 또는 SNS의 기본 페이지에 링크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SNS 페이지 또는 SNS의 기본 페이지에 링크된 정보는 개시(postimg)된 타인의 글 또는 타인의 댓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SNS 서버는 포스팅된 타인의 글 또는 댓글을 워드 단위로 분석하여, 제1 디바이스 사용자의 일정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SNS 서버는 SNS 서버에 등록되거나 SNS 서버에서 추출된 일정에 관한 정보를 제1 디바이스(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정에 관한 정보는 해당 일정의 시간 정보, 위치 정보, 참여자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디바이스(100)는 수신한 일정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일정이 미싱 이벤트인지를 검출할 수 있다.
한편, 제1 디바이스(100)는 제1 디바이스(100)에 등록된 일정,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일정 중 제1 디바이스 사용자가 참여하지 않은 미 참여 일정, 즉, 미싱 이벤트를 검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디바이스(100)에 등록된 일정을 기준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후술하는 내용은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일정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미싱 이벤트는, 제1 디바이스(100)에 등록된 일정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제1 일정에 대한 시간 정보, 위치 정보 등), 제1 디바이스(100)에서 센싱된 디바이스(110)의 상황 정보(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100)의 시간에 따른 위치 정보 등), 제1 디바이스(100)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정보(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 사용자의 라이프-로그에 관련된 멀티미디어 정보) 등에 기초하여, 검출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였으므로, 동일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디바이스(100)는 미싱 이벤트가 검출되면, 미싱 이벤트에 해당하는 일정을 관심 이벤트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제1 디바이스(100)는 제1 디바이스 사용자가 참여한 일정인 경우에도, 사용자의 요청에 의하여, 해당 일정을 관심 이벤트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 사용자가 일정에 참여하였지만, 해당 일정에 대한 멀티미디어 정보를 추가적으로 수집하고자 하는 경우, 해당 일정을 관심 이벤트로 설정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100)는 설정된 관심 이벤트 관련 멀티미디어 정보를 제2 디바이스(200)로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제1 디바이스(100)는 관심 이벤트 참여자 정보에 기초하여, 관심 이벤트 참여자 디바이스를 제2 디바이스(200)로 선택할 수 있으며, 또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제2 디바이스(200)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디바이스(100)의 일정 관리 어플리케이션에 등록된 친구 결혼식 일정이 관심 이벤트로 설정되는 경우, 제1 디바이스(100)는 친구 결혼식 관련 멀티미디어 정보를 친구 결혼식에 참여한 제2 사용자의 디바이스(제2 디바이스)로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제1 디바이스 사용자가 친구 결혼식 참여자를 알고 있는 경우, 연락처 어플리케이션, 메신저 어플리케이션 등을 이용하여, 참여자를 선택하고, 선택된 참여자 디바이스로 멀티미디어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또는, 제1 디바이스(100)는 SNS 서버 등으로부터 친구 결혼식 참여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한 참여자 정보에 기초하여, 친구 결혼식에 참여한 참여자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참여자 디바이스(제2 디바이스)로 멀티미디어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1 디바이스(100)는 멀티미디어 정보 요청과 함께 관심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제2 디바이스(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관심 이벤트에 관한 정보는 관심 이벤트의 시간 정보, 위치 정보, 이벤트 명, 참여자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싱 이벤트가 친구 결혼식인 경우에, 미싱 이벤트에 관한 정보는 결혼식의 위치 정보(예를 들어, 서초구 양재역 3번 출구 S 웨딩홀), 결혼식의 시간 정보(결혼식의 시작 시각 정보, 종료 시각 정보, 예를 들어, 2011년 1월 14일 토요일 오후 1시 ~ 오후 3시), 결혼하는 친구의 이름, 친구 결혼식의 참여자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디바이스(100)는 관심 이벤트 관련 멀티미디어 정보를 검색할 범위를 설정하여, 제2 디바이스(2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100)는 검색할 멀티미디어 정보의 종류, 멀티미디어 정보를 검색할 기간, 검색할 멀티미디어 정보의 생성 시간 또는 생성 위치, 검색할 멀티미디어 정보의 업로드 시간 또는 업로드 위치, 검색할 멀티미디어 정보에 포함된 객체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24 내지 도 26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였으므로 동일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제2 디바이스(200)는 제1 디바이스(100)에 대한 정보 검색을 허용하는 경우에만, 관심 이벤트 관련 멀티미디어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제1 디바이스(100)에 대한 정보 검색 허용 여부는, 관심 이벤트의 종류 및 제1 디바이스에서 요청하는 멀티미디어 정보의 검색 범위 등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제2 디바이스(200)는 검색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제1 디바이스(1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제1 디바이스(100)는 수신한 멀티미디어 정보를 자동으로 저장하거나, 제1 디바이스 사용자의 저장 요청에 따라, 저장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100)는 수신한 멀티미디어 정보가 제1 디바이스(100)에 설치된 개인 정보 관리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관리될 수 있도록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100)는 수신한 멀티미디어 정보를 PIMS(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어플리케이션이나 라이프-로그(Life-log) 어플리케이션 등에 저장하여, 제1 사용자의 라이프-로그 정보로 관리할 수 있다.
또는 제1 디바이스(100)는 수신한 멀티미디어 정보를 서버 또는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제1 디바이스(100)가 수신한 멀티미디어 정보를 저장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도 28 내지 도 32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였으므로 동일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5 및 도 3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제1 디바이스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1 디바이스(100)는, 통신부(110), 디스플레이부(121), 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디바이스(100)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디바이스(100)는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통신부(110), 디스플레이부(121), 제어부(130) 이외에 출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40), 센싱부(150), A/V 입력부(160), 저장부(17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통신부(110)는, 제1 디바이스(100)와 제2 디바이스(200) 또는 제1 디바이스(100)와 서버(300) 간의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10)는, 근거리 통신부(111), 이동 통신부(112), 방송 수신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111)는, 블루투스 통신부,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 근거리 무선 통신부(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WLAN(와이파이) 통신부, 지그비(Zigbee) 통신부,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부, WFD(Wi-Fi Direct) 통신부, UWB(ultra wideband) 통신부, Ant+ 통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동 통신부(112)는,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300)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13)는,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 제1 디바이스(100)가 방송 수신부(113)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통신부(110)는 저장부(170)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정보는 정지 영상, 텍스트, 그래픽, 사운드, 동영상, 애니메이션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통신부(110)는 제1 디바이스 사용자 인증 정보 또는 제1 디바이스 식별 정보 등을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사용자 인증 정보는 사용자 아이디, 사용자 비밀번호, 사용자 계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관심 이벤트 관련 멀티미디어 정보를 서버(300) 또는 제2 디바이스(200)로 요청할 수 있으며, 관심 이벤트가 검출되는 경우, 자동으로 서버(300)로 관심 이벤트와 관련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관심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서버(300)로부터 검색된 관심 이벤트 관련 멀티미디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관심 이벤트의 참여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관심 이벤트와 관련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검색할 상대방으로 설정된 상대방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를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출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진동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21)와 음향 출력부(122), 진동 모터(12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1)는 제1 디바이스(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21)는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관심 이벤트 관련 멀티미디어 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며, 관심 이벤트 참여자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21)는 서버(300)로부터 멀티미디어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알림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21)와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2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기영동 디스플레이(electrophoretic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디바이스(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제1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부(121)를 2개 이상 포함할 수도 있다.
음향 출력부(122)는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저장부(17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부(122)는 제1 디바이스(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알림음)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22)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진동 모터(123)는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모터(123)는 오디오 데이터 또는 비디오 데이터(예컨대,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의 출력에 대응하는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진동 모터(123)는 터치스크린에 터치가 입력되는 경우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제어부(130)는, 제1 디바이스(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저장부(17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통신부(110), 출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40), 센싱부(150), A/V 입력부(160)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제1 디바이스(100)에 등록되거나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일정 중 제1 디바이스 사용자가 참여하지 못한 미싱 이벤트를 검출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0)는 제1 디바이스(100)에 등록되거나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일정에 관한 시간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추출하고, 검출된 시간 정보 및 위치 정보와 제1 디바이스(100)의 시간에 따른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미싱 이벤트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제1 디바이스 사용자의 라이프-로그와 관련된 멀티미디어 정보에 기초하여, 미싱 이벤트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기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제1 디바이스 사용자의 라이프-로그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21)에 표시할 때, 서버(130)로부터 수신한 관심 이벤트에 관련된 멀티미디어 정보가 상기 관심 이벤트의 시간 정보를 기준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40)는,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100)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입력하는 수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40)에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접촉식 정전 용량 방식, 압력식 저항막 방식, 적외선 감지 방식, 표면 초음파 전도 방식, 적분식 장력 측정 방식, 피에조 효과 방식 등),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입력부(140)는 관심 이벤트와 관련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검색할 상대방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대방의 이름, 닉네임, 사진, 전화 번호, 이메일 주소 등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40)는 디스플레이부(121)에 표시되는 멀티미디어 정보 중에서 상기 디바이스 사용자의 라이프-로그 정보로 저장할 멀티미디어 정보를 선택 받을 수 있다.
센싱부(150)는, 제1 디바이스(100)의 상태 또는 제1 디바이스(100) 주변의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제어부(130)로 전달할 수 있다.
센싱부(150)는, 지자기 센서(Magnetic sensor)(151),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152), 온/습도 센서(153), 적외선 센서(154), 자이로스코프 센서(155), 위치 센서(예컨대, GPS)(156), 기압 센서(157), 근접 센서(158), 및 RGB 센서(illuminance sensor)(159)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센서들의 기능은 그 명칭으로부터 당업자가 직관적으로 추론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센싱부(150)는 위치 센서를 이용하여, 제1 디바이스(100)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A/V(Audio/Video) 입력부(16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61)와 마이크로폰(16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61)은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를 통해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얻을 수 있다. 이미지 센서를 통해 캡쳐된 이미지는 제어부(120) 또는 별도의 이미지 처리부(미도시)를 통해 처리될 수 있다.
카메라(16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저장부(170)에 저장되거나 통신부(15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61)는 제 1 디바이스(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로폰(162)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162)은 외부 디바이스 또는 화자로부터 음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162)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 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저장부(170)는, 제어부(13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도 있다.
저장부(17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저장부(17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 또는 클라우드 서버를 운영할 수도 있다.
저장부(170)는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멀티미디어 정보를 제1 디바이스 사용자의 라이프-로그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170)는 수신한 멀티미디어 정보를 PIMS(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어플리케이션 이나 라이프-로그(Life-log) 어플리케이션 등에 저장하여, 제1 디바이스 사용자의 라이프-로그 정보로 관리할 수 있다.
저장부(17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그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분류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UI 모듈(171), 터치 스크린 모듈(172), 알림 모듈(173)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UI 모듈(171)은, 애플리케이션 별로 제 1 디바이스(100)와 연동되는 특화된 UI, GUI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모듈(172)은 사용자의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제스처를 감지하고, 터치 제스처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130)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모듈(172)은 터치 코드를 인식하고 분석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모듈(172)은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별도의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터치스크린의 터치 또는 근접 터치를 감지하기 위해 터치스크린의 내부 또는 근처에 다양한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의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의 일례로 촉각 센서가 있다. 촉각 센서는 사람이 느끼는 정도로 또는 그 이상으로 특정 물체의 접촉을 감지하는 센서를 말한다. 촉각 센서는 접촉면의 거칠기, 접촉 물체의 단단함, 접촉 지점의 온도 등의 다양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의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의 일례로 근접 센서가 있다.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사용자의 터치 제스처에는 탭, 터치&홀드, 더블 탭, 드래그, 패닝, 플릭, 드래그 앤드 드롭, 스와이프 등이 있을 수 있다.
알림 모듈(173)은 제1 디바이스(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100)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일정 알림 등이 있다. 알림 모듈(173)은 디스플레이부(121)를 통해 비디오 신호 형태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고, 음향 출력부(122)를 통해 오디오 신호 형태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고, 진동 모터(123)를 통해 진동 신호 형태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알림 모듈(173)은 제1 디바이스(100)에 의한 멀티미디어 정보 수신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도 3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서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300)는 통신부(310), 제어부(320), 저장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서버(300)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서버(300)는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통신부(310)는, 서버(300)와 제1 디바이스(100) 또는 서버(300)와 제2 디바이스(200) 간의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310)는, 수신부 및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부는, 제1 디바이스(100) 또는 제2 디바이스(200)로부터 멀티미디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수신부(311)는 제1 디바이스(100)로부터 관심 이벤트 관련 멀티미디어 정보 요청을 수신할 수 있으며, 관심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함께 수신할 수 있다.
전송부는 제1 디바이스(100)로 서버(300)에서 검색된 관심 이벤트 관련 멀티미디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320)는, 서버(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320)는, 제1 디바이스(100)로부터 관심 이벤트 관련 멀티미디어 정보가 요청되는 경우, 관심 이벤트 관련 멀티미디어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제어부(320)는, 관심 이벤트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관심 이벤트 관련 멀티미디어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심 이벤트에 관한 정보는 관심 이벤트의 시간 정보, 관심 이벤트의 위치 정보, 관심 이벤트 명, 참여자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부(320)는 관심 이벤트의 이벤트 명, 시간 정보, 위치 정보 등을 검색어로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320)는 관심 이벤트의 참여자 정보에 기초하여, 관심 이벤트 참여자의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멀티미디어 정보(미싱 이벤트 참여자의 멀티미디어 정보) 내에서 관심 이벤트 관련 멀티미디어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20)는 서버(300)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정보에 포함된 사람, 건물, 문자 등을 인식하여, 인식된 사람, 인식된 건물, 인식된 문자 등이 미싱 이벤트와 관련도가 있는지를 분석하여, 미싱 이벤트와 관련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20)는 서버(300)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정보의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미싱 이벤트와 관련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저장부(330)는 제어부(320)의 처리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서버(300)는, 연락처 DB, 소셜 미디어 정보 DB 등을 구축할 수 있다. 연락처 DB에는 디바이스들의 연락처의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소셜 미디어 정보 DB에는 사용자들의 소셜 친구에 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330)는 외부 디바이스들로부터 수신한 멀티미디어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저장부(330)는 수신한 멀티미디어 정보를 외부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에 대응시켜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Claims (16)

  1.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일정 정보 및 상기 사용자가 생성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일정 정보에 포함된 특정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특정 이벤트와 관련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 요청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특정 이벤트의 참여자 정보 및 상기 특정 이벤트에 관련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수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저장된 사용자가 생성한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함께 제공하는 제어부; 및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특정 이벤트의 참여자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특정 이벤트와 관련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상기 특정 이벤트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검색된 멀티미디어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이벤트는,
    상기 사용자가 참석하지 못한 이벤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에 관한 시간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시간 정보 및 위치 정보와 상기 디바이스의 시간에 따른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가 참석하지 못한 이벤트를 검출하는 디바이스.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바이스에 저장되거나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일정 정보에 기초하여, 중복된 이벤트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중복된 이벤트 중 상기 사용자가 참석하지 못한 이벤트를 검출하는 디바이스.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가 참석하지 못한 이벤트와 관련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검색할 상대방을 설정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설정된 상대방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수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상기 설정된 상대방 디바이스가 상기 서버로 전송한 멀티미디어 데이터 중에서 검색된 멀티미디어 데이터인 디바이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수신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표시하고,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표시된 멀티미디어 데이터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선택 받는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는,
    상기 선택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가 생성한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함께 저장하는 디바이스.
  7. 외부 디바이스들로부터 수신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외부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로부터 특정 이벤트에 관한 정보 및 상기 특정 이벤트와 관련된 멀티미디어 데이터 요청을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특정 이벤트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 중에서 상기 특정 이벤트와 관련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검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특정 이벤트의 참여자 정보 및 상기 검색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특정 이벤트와 관련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요청한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서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이벤트 참여자를 검색하여, 상기 검색된 특정 이벤트 참여자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된 멀티미디어 데이터 중에서, 상기 특정 이벤트와 관련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검색하는 서버.
  9.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일정 정보 및 상기 사용자가 생성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일정 정보에 포함된 특정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특정 이벤트에 관련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 요청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특정 이벤트의 참여자 정보 및 상기 특정 이벤트에 관련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저장된 사용자가 생성한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함께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특정 이벤트의 참여자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특정 이벤트에 관련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상기 특정 이벤트에 관한 시간 정보 및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검색된 멀티미디어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수집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이벤트는,
    상기 사용자가 참석하지 못한 이벤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수집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에 관한 시간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시간 정보 및 위치 정보와 상기 디바이스의 시간에 따른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가 참석하지 못한 이벤트를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바이스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수집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디바이스에 저장되거나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일정 정보에 기초하여, 중복된 이벤트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중복된 이벤트 중 상기 사용자가 참석하지 못한 이벤트를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바이스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수집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사용자가 참석하지 못한 이벤트와 관련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검색할 상대방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상대방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상기 설정된 상대방 디바이스가 상기 서버로 전송한 멀티미디어 데이터 중에서 검색된 멀티미디어 데이터인 디바이스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수집 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수신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멀티미디어 데이터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선택 받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가 생성한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함께 저장하는 디바이스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수집 방법.
  15. 외부 디바이스들로부터 수신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외부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로부터 특정 이벤트에 관한 정보 및 상기 특정 이벤트와 관련된 멀티미디어 데이터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특정 이벤트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 중에서 상기 특정 이벤트와 관련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이벤트의 참여자 정보 및 상기 검색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특정 이벤트와 관련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요청한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버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이벤트와 관련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 이벤트 참여자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특정 이벤트 참여자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된 멀티미디어 데이터 중에서, 상기 특정 이벤트와 관련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버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방법.
KR1020170011093A 2014-03-21 2017-01-24 멀티미디어 정보 수집 방법 및 그 디바이스 KR1018713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33706 2014-03-21
KR1020140033706 2014-03-21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9104A Division KR20150110330A (ko) 2014-03-21 2015-03-02 멀티미디어 정보 수집 방법 및 그 디바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5408A true KR20170015408A (ko) 2017-02-08
KR101871366B1 KR101871366B1 (ko) 2018-06-26

Family

ID=5434147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9104A KR20150110330A (ko) 2014-03-21 2015-03-02 멀티미디어 정보 수집 방법 및 그 디바이스
KR1020170011093A KR101871366B1 (ko) 2014-03-21 2017-01-24 멀티미디어 정보 수집 방법 및 그 디바이스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9104A KR20150110330A (ko) 2014-03-21 2015-03-02 멀티미디어 정보 수집 방법 및 그 디바이스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509818B2 (ko)
EP (1) EP2998889A4 (ko)
KR (2) KR20150110330A (ko)
CN (1) CN105408897B (ko)
WO (1) WO201514213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01231A1 (en) * 2019-11-22 2021-05-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vent recognition on photos with automatic album detec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40499B2 (en) 2014-06-16 2019-10-08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User location and identity awareness
US10045090B2 (en) 2014-08-11 2018-08-07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Merging permissions and content access
JP6533085B2 (ja) 2015-03-31 2019-06-19 Line株式会社 端末、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1146865B2 (en) 2016-03-03 2021-10-12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Determining points of interest in a content item
US11303714B2 (en) * 2016-12-14 2022-04-12 Rewardstyle, Inc. System and method for application traffic control
CN108279825B (zh) * 2018-02-08 2020-12-29 邵睿锋 基于互联网的电子书信息分级显示方法、设备及存储介质
KR102587096B1 (ko) * 2019-02-22 2023-10-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충격부위 검출 장치 및 그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80959B1 (en) * 1996-09-27 2002-04-30 Timequarter Computing Corp. Web calendar architecture and uses thereof
US20090100332A1 (en) * 2007-10-12 2009-04-16 Arup Kanjilal Integrating Rich Media Into A Web-Based Calendar
KR101230462B1 (ko) * 2012-05-02 2013-02-06 윤영식 일정관리방법 및 그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88026A (en) * 1993-12-21 2000-07-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media information association to an electronic calendar event
US6813776B2 (en) * 1998-10-06 2004-11-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for automatic and semi-automatic event scheduling based on information embedded in multimedia content
JP2004062773A (ja) 2002-07-31 2004-02-26 Toppan Printing Co Ltd カレンダー作成サーバ装置及びその方法
US9117220B2 (en) * 2003-06-16 2015-08-25 Meetup, Inc. Web-based interactive meeting facility with revenue generation through sponsorship
US9654425B2 (en) * 2003-06-16 2017-05-16 Meetup, Inc.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among members of meeting groups
US7620914B2 (en) * 2005-10-14 2009-11-17 Microsoft Corporation Clickable video hyperlink
US20080059618A1 (en) * 2006-08-30 2008-03-06 Research In Motion Limited, Automatic attachment of image and/or audio records to electronic calendar meeting event record in portable wireless devices
WO2009070841A1 (en) 2007-12-05 2009-06-11 It Au0801806Rsity Of Technology Social multimedia management
US8457887B2 (en) * 2008-10-13 2013-06-04 Centurylink Intellectual Property Ll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ravel-related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calendar appointment
CN102123343A (zh) * 2010-01-08 2011-07-13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一种日程提醒方法、装置和系统
JP5052695B1 (ja) 2011-07-27 2012-10-17 武 櫻井 動画公開装置、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9143601B2 (en) * 2011-11-09 2015-09-2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Event-based media grouping, playback, and sharing
US8949244B2 (en) * 2012-05-30 2015-02-03 SkyChron Inc. Using chronology as the primary system interface for files, their related meta-data, and their related files
US8856847B2 (en) * 2012-06-20 2014-10-07 United Video Propert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customized program lineup
US9892203B2 (en) * 2012-10-29 2018-02-13 Dropbox, Inc. Organizing network-stored content items into shared groups
US10129585B2 (en) * 2013-03-15 2018-11-13 DISH Technologies L.L.C. Advance notification of catch-up events through broadcast metadata
CN103369139B (zh) * 2013-06-27 2015-03-04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使用移动设备的摄录方法及其装置
US10320913B2 (en) * 2014-12-05 2019-06-1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ervice content tailored to out of routine event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80959B1 (en) * 1996-09-27 2002-04-30 Timequarter Computing Corp. Web calendar architecture and uses thereof
US20090100332A1 (en) * 2007-10-12 2009-04-16 Arup Kanjilal Integrating Rich Media Into A Web-Based Calendar
KR101230462B1 (ko) * 2012-05-02 2013-02-06 윤영식 일정관리방법 및 그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구글앱스 노하우, 구글캘린더로 회의 일정 공유와 회의장소 예약하기, http://googler.pe.kr/wordpress/index.php/archives/8089 (2012.02.01.공개)*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01231A1 (en) * 2019-11-22 2021-05-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vent recognition on photos with automatic album dete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408897A (zh) 2016-03-16
EP2998889A4 (en) 2017-03-29
CN105408897B (zh) 2019-06-18
US20160110358A1 (en) 2016-04-21
EP2998889A1 (en) 2016-03-23
WO2015142136A1 (ko) 2015-09-24
KR20150110330A (ko) 2015-10-02
KR101871366B1 (ko) 2018-06-26
US10509818B2 (en) 2019-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1366B1 (ko) 멀티미디어 정보 수집 방법 및 그 디바이스
US11644953B2 (en) Techniques for context sensitive illustr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elements
US11734723B1 (en) System for providing context-sensitive display overlays to a mobile device via a network
US11068139B2 (en) Communications devices and methods for single-mode and automatic media capture
US9338242B1 (en) Processes for generating content sharing recommendations
US1008938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electronic device
RU2688268C2 (ru) Агрегирование и представление информации о событиях
US9836464B2 (en) Curating media from social connections
US9515891B2 (en) Aggregated, interactive communication timeline
EP2689340B1 (en) Sharing content among multiple devices
US20150052165A1 (en) Linking Photographs via Face, Time, and Location
US20160034539A1 (en) System and method of managing metadata
KR20150017015A (ko) 이미지 카드 공유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기기
TW201426608A (zh) 可攜式電子裝置、內容推薦方法及電腦可讀媒體
WO2009133233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determining user status indicators
KR20160063913A (ko) 사용자의 할일 목록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20170192625A1 (en) Data managing and providing method and system for the same
US9405964B1 (en) Processes for generating content sharing recommendations based on image content analysis
KR20150055689A (ko) 커뮤니케이션을 위하여 프로필 이미지 카드를 공유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140133763A (ko) 디바이스의 위치에 기초한 콘텐트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10609511B2 (en) Techniques for providing meeting location suggestions
KR20160016576A (ko) 메타 데이터를 관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
WO2014172827A1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acquaintance management and privacy protection
CN114726816A (zh) 一种建立关联关系的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