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4982A - 단말기와 케이블의 접속부위 보호장치 - Google Patents
단말기와 케이블의 접속부위 보호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14982A KR20170014982A KR1020150109093A KR20150109093A KR20170014982A KR 20170014982 A KR20170014982 A KR 20170014982A KR 1020150109093 A KR1020150109093 A KR 1020150109093A KR 20150109093 A KR20150109093 A KR 20150109093A KR 20170014982 A KR20170014982 A KR 2017001498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rminal
- cable
- receptacle
- connector
- rear bod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전이나 데이터통신을 위해 접속되는 단말기와 케이블의 접속부위, 즉, 단말기의 리셉터클과 케이블의 커넥터가 손상되는 것을 보호하는 단말기와 케이블의 접속부위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슬림화하여 상품성을 높이고,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조원가를 낮추고, 조립이 간편하도록 하여 생산성을 높인 단말기와 케이블의 접속부위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와 케이블의 접속부위 보호장치는 전방에 단말기의 리셉터클에 접속되는 커넥터가 구비된 전방몸체; 후방에 케이블의 커넥터가 접속되는 리셉터클이 구비되는 후방몸체; 상기 전방몸체의 후방과 상기 후방몸체의 전방을 조립시키는 조립수단; 상기 전방몸체의 후방과 상기 후방몸체의 전방에 각각 구비되어서 상기 전방몸체의 커넥터와 후방몸체의 리셉터클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접속수단;을 포함하는 단말기와 케이블의 접속부위 보호장치에 있어서, 상기 접속수단은 상기 후방몸체의 리셉터클에 연결되고, 상기 후방몸체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구비되는 제1단자와 제2단자, 상기 전방몸체의 커넥터가 실장되는 PCB에 구비되는 제1접점과 제2접점, 상기 제1접점에 접촉되고, 상기 제2단자가 관통되어 상기 제2접점에 접속되도록 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메탈판은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와 케이블의 접속부위 보호장치는 전방에 단말기의 리셉터클에 접속되는 커넥터가 구비된 전방몸체; 후방에 케이블의 커넥터가 접속되는 리셉터클이 구비되는 후방몸체; 상기 전방몸체의 후방과 상기 후방몸체의 전방을 조립시키는 조립수단; 상기 전방몸체의 후방과 상기 후방몸체의 전방에 각각 구비되어서 상기 전방몸체의 커넥터와 후방몸체의 리셉터클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접속수단;을 포함하는 단말기와 케이블의 접속부위 보호장치에 있어서, 상기 접속수단은 상기 후방몸체의 리셉터클에 연결되고, 상기 후방몸체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구비되는 제1단자와 제2단자, 상기 전방몸체의 커넥터가 실장되는 PCB에 구비되는 제1접점과 제2접점, 상기 제1접점에 접촉되고, 상기 제2단자가 관통되어 상기 제2접점에 접속되도록 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메탈판은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충전이나 데이터통신을 위해 접속되는 단말기와 케이블의 접속부위, 즉, 단말기의 리셉터클과 케이블의 커넥터가 손상되는 것을 보호하는 단말기와 케이블의 접속부위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슬림화하여 상품성을 높이고,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조원가를 낮추고, 조립이 간편하도록 하여 생산성을 높인 단말기와 케이블의 접속부위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IT기술의 발전으로 휴대폰, 노트북, PDA, 태블릿 등의 다양한 휴대용 단말기가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는 충전을 하거나 PC 등과 데이터통신을 하도록 케이블이 연결된다. 즉, 단말기와 케이블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단말기에는 리셉터클이 구비되고, 케이블의 일단에는 단말기의 리셉터클에 삽입되어 접속되는 커넥터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콘센트에 연결되는 플러그나 PC에 연결되는 접속포트가 구비된다.
많은 사용자들이 단말기의 충전을 위해서(데이터통신을 포함함) 단말기의 리셉터클에 케이블의 커넥터를 접속시킨 상태에서 통화를 하거나, 게임을 하거나, 검색을 하는 등으로 단말기를 사용한다.
그리고 케이블을 연결한 상태에서 단말기를 사용하는 경우에 부주의로 순간순간 단말기를 케이블의 이동범위를 벗어나게 이동시키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단말기가 케이블의 이동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 케이블이 팽팽하게 당겨지고, 케이블과 단말기의 접속부위, 즉, 케이블의 커넥터와 단말기의 리셉터클 부위에 부하가 집중된다.
이때, 이동하는 단말기의 배치방향이 케이블의 연장선 상(즉, 리셉터클에 커넥터가 삽입되는 방향)에 있으면 단말기가 케이블에서 큰 손상 없이 분리될 수 있지만, 단말기의 배치방향이 케이블의 연장선에서 어긋나 있으면 커넥터가 리셉터클에 대하여 회전하려는 힘을 받아 리셉터클과 커넥터 내의 접속핀이 단선되거나 제자리를 이탈하는 손상을 입게 된다.
접속핀이 이렇게 단선 또는 자리이탈을 하면 단말기의 리셉터클과 케이블이 커넥터 간의 전기적 연결이 제대로 되지 않아 다시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즉, 케이블의 커넥터가 손상되면 케이블을 새것으로 구입해야 하고, 단말기의 리셉터클이 손상되면 단말기를 분해한 후에 리셉터클이 장착된 기판을 교체해야 한다.
이처럼 사소한 부주의로 케이블의 커넥터나 단말기의 리셉터클이 손상되어 케이블을 신제품으로 구입하거나 단말기의 리셉터클이 장착된 기판을 교체하는 것은 사용자에게 상당한 비용 부담이 되고 자원의 낭비가 아닐 수 없다.
그래서 본 발명의 출원인은 등록특허 제1523553호 "단말기와 케이블의 접속부위 보호장치"를 통해서
각각 단말기의 리셉터클과 케이블의 커넥터에 접속되고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단말기와 케이블을 접속시키며, 외력이 가해지면 쉽게 분리되도록 서로 간에 조립결합되어서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해 단말기의 리셉터클과 케이블의 커넥터의 접속부위에 부하가 집중되는 때에 이들에게 손상이 유발되기 전에 분리되어 손상이 예방할 수 있는 단말기와 케이블의 접속부위 보호장치를 제안하였다.
본 발명은 이처럼 본 출원인의 등록특허 제1523553호를 개선하여 제품을 보다 소형화, 슬립화하여 상품성을 높이고, 구성요소들의 구조를 단순화하고 조립성을 높여 제조원가를 줄이고 생산성을 높인 단말기와 케이블의 접속부위 보호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와 케이블의 접속부위 보호장치는
전방에 단말기의 리셉터클에 접속되는 커넥터가 구비된 전방몸체;
후방에 케이블의 커넥터가 접속되는 리셉터클이 구비되는 후방몸체;
상기 전방몸체의 후방과 상기 후방몸체의 전방을 조립시키는 조립수단;
상기 전방몸체의 후방과 상기 후방몸체의 전방에 각각 구비되어서 상기 전방몸체의 커넥터와 후방몸체의 리셉터클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접속수단;을 포함하는 단말기와 케이블의 접속부위 보호장치에 있어서,
상기 접속수단은
상기 후방몸체의 리셉터클에 연결되고, 상기 후방몸체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구비되는 제1단자와 제2단자,
상기 전방몸체의 커넥터가 실장되는 PCB에 구비되는 제1접점과 제2접점,
상기 제1접점에 접촉되고, 상기 제2단자가 관통되어 상기 제2접점에 접속되도록 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메탈판은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메탈판에는 상기 제1접점에 접촉되며 전방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전방몸체는 상기 PCB와 메탈판이 수용되어 안착되고, 상기 제1단자와 제2단자가 관통되는 바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2단자는 상기 후방몸체의 중앙에 구비되고, 상기 제1단자의 한 쌍이 상기 제2단자의 양측으로 대칭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와 케이블의 접속부위 보호장치는 보다 슬림화, 소형화, 경량화되어 제품 경쟁력이 탁월하고, 구성요소들이 구조가 단순하며 서로 간편하게 조립결합되어 제조원가가 저렴하며 생산성이 높고, 전방몸체와 후방몸체의 전기적 접속의 안정성이 뛰어난 단말기와 케이블의 접속부위 보호장치로서 산업발전에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보호장치를 통해 케이블과 단말기가 접속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와 케이블의 접속부위 보호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와 케이블의 접속부위 보호장치의 분해 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와 케이블의 접속부위 보호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와 케이블의 접속부위 보호장치는 전방몸체(30), 후방몸체(40), 조립수단(50) 및 접속수단(60)이라고 하는 구성요소로 대별된다.
상기 전방몸체(30)는 단말기(10)의 리셉터클(11)에 삽입되어 접속되고, 상기 후방몸체(40)는 케이블(20)의 커넥터(21)가 삽입되어 접속되고, 상기 전방몸체(30)와 후방몸체(40)는 상기 조립수단(50)을 통해 서로 간이 조립되고 접속수단(60)을 통해 서로 간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전방몸체(30)의 전방에는 단말기(10)의 리셉터클(11)로 삽입되어 접속되는 커넥터(31)가 구비되고, 상기 후방몸체(40)의 후방에는 케이블(20)의 커넥터가 삽입되어 접속되는 리셉터클(41)이 구비된다.
상기 전방몸체(30)는 상기 커넥터(31)가 후방에서 삽입관통되어 장착되는 장착판(33)과, 상기 커넥터(31)가 실장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PCB(35)와, 상기 장착판(33)과 PCB(35)와 메탈판(65)이 전방으로 수용되어 안착되고, 후방으로 제1단자(61)와 제2단자(63)가 각각 삽입관통되는 관통공(371)이 형성된 바디(37)를 포함한다.
상기 후방몸체(40)는 상기 리셉터클(41)이 구비되는 덮개판(43)과, 상기 덮개판(43)에 결합되고 상기 리셉터클(41)과 제1단자(61) 및 제2단자(63)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기판(45)과, 상기 덮개판(43)이 후방에서 결합되어 상기 리셉터클(41)과 기판(45)을 내장하고, 상기 제1단자(61)와 제2단자(63)의 전단 일부가 전방으로 노출되는 하우징(47)을 포함한다.
상기 조립수단(50)과 접속수단(60)은 상기 전방몸체(30)의 후방과 후방몸체(40)의 전방에 구비되어서, 전방몸체(30)와 후방몸체(40)를 조립시키고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상기 조립수단(50)은 상기 전방몸체(30)와 후방몸체(40)를 간편하게 조립결합시키고 상기 접속수단(60)이 단말기(10)의 리셉터클(11)과 케이블(20)의 커넥터(21)를 안정적으로 접속시키도록 하고,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전방몸체(30)와 후방몸체(40)를 분리시켜 단말기(10)의 리셉터클(11)이나 케이블(20)의 커넥터(21)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조립수단(50)은 상기 전방몸체(30)와 후방몸체(40)가 암수결합방식으로 서로 조립되도록 하는 조립홈부(51)와 조립돌출부(53)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립수단(50)은 상기 후방몸체(40)의 하우징(47) 전면에 홈구조로 형성되는 조립홈부(51)와, 상기 전방몸체의 바디(37) 후면에 돌출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조립홈부(51)에 안치되어 결합되는 조립돌출부(53)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조립홈부(51)와 조립돌출부(53)의 결합력은 의도하지 않은 미약한 외부충격에 의해 후방몸체(40)가 전방몸체(3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정도로서, 리셉터클(11, 41)이나 커넥터(21, 31)의 손상을 유발할 수 있는 정도로 강한 외부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 전방몸체(30)와 후방몸체(40)의 분리를 방해할 수준은 아니다.
즉, 상기 조립홈부(51)의 깊이(상기 조립돌출부(53)의 돌출 길이)는 상기 후방몸체(40)가 전방몸체(30)에 대하여 옆으로 기울어지는 허용할 수 있는 깊이이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조립돌출부(53)의 테두리를 테이퍼지도록 하면 상기 후방몸체(40)가 전방몸체(30)에 대하여 옆으로 보다 숩게 기울어져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조립홈부(51)와 조립돌출부(53)에 의한 전방몸체(30)와 후방몸체(40)의 조립결합력은 이처럼 약해서 상기 접속수단(60)의 접속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지 않을 수 있다.
특히, 상기 전방몸체(30)와 후방몸체(40)의 조립결합과 분리가 반복되면서 이들의 조립결합력이 약해지면 상기 접속수단(60)의 접속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기 어렵다.
그래서 상기 조립수단(50)은 상기 제1단자(61)(제2단자(63) 포함될 수 있음)를 자력성분을 갖는 마그넷봉으로 제작하여 상기 메탈판(65)에 자성결합되도록 한다.
이처럼 상기 제1단자(61)(제2단자(63) 포함될 수 있음)는 메탈판(65)에 자성결합되어서 전방몸체(30)와 후방몸체(40)가 미약한 외부충격에 의해 분리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접속수단(60)이 지속적으로 안정하게 접촉되어 있도록 한다.
상기 접속수단(60)은 상기 전방몸체(30)의 후방과 상기 후방몸체(40)의 전방에 각각 구비되어서 상기 전방몸체(30)의 커넥터(31)와 후방몸체(40)의 리셉터클(41)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상기 접속수단(60)은 제1단자(61)와 제2단자(63), 제1접점(62)과 제2접점(64), 메탈판(65)을 포함한다.
상기 제2단자(63)는 중앙에 한 개 구비되고, 상기 제1단자(61)는 상기 제2단자(63)의 양측으로 대칭되게 한 쌍이 구비되어서, 상기 후방몸체(40)는 좌우 구분없이 상기 전방몸체(30)에 결합 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후방몸체(40)와 전방몸체(30)의 결합 방향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아도 된다.
상기 제1단자(61)와 제2단자(63)는 각각 상기 제1접점(62)에 연결되는 메탈판(65)과 제2접점(64)에의 접촉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갖는다.
즉, 상기 제1단자(61)는 후방에 탄성코일(611)이 구비되어 전방으로 전진하려는 탄성을 갖고, 상기 제2단자(63)는 실린더(631)의 전방으로 인출되도록 탄지되어 내장된다.
상기 탄성코일(611)에는 'ㄷ'자 모양의 탄성끼움부(613)가 구비되고, 상기 탄성끼움부(613)는 상기 기판(45)의 끼움홈(453)에 끼움결합되며, 탄성력으로 끼움홈(453)의 내면에 밀착되어, 상기 제1단자(61)와 리셉터클(41)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제1접점(62)과 제2접점(64)은 상기 PCB(35)의 가장자리와 중앙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1단자(61)와 제2단자(63)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메탈판(65)은 전면이 상기 제1접점(62)에 접촉되고, 후면에는 상기 제1단자(61)가 접촉되어서 상기 제1접점(62)과 제1단자(63)를 연결하고, 중앙에는 상기 제2단자(63)가 관통하는 관통홀(653)이 형성되어서 상기 제2단자(63)가 상기 제2접점(64)에 접촉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메탈판(65)이 가장자리에는 전방으로 돌출된 돌출부(651)가 형성되어서, 메탈판(65)이 PCB(35)에 접촉되지 않도록 한다. 물론, 상기 돌출부(651)는 PCB(35)의 제1접점(62)에 접촉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와 케이블의 접속부위 보호장치는 후방몸체(40)의 전방에 형성된 조립홈부(51)을 전방몸체(30)의 후방에 형성된 조립돌출부(53)로 밀어넣으면 전방몸체(30)와 후방몸체(40)가 간편하게 조립결합되고, 동시에 제1단자(61)와 제2단자(63)가 제1접점(62)과 제2접점(64)에 접속되어 전방몸체(30)의 커넥터(31)와 후방몸체(40)의 리셉터클(41)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단말기(10)를 충전하면서(또는 데이터통신하면서) 외부충격이 가해져 케이블(20)과 단말기(10) 간의 접속부위에 부하가 집중되면 전방몸체(30)와 후방몸체(40)가 분리되어 접속부위, 즉, 커넥터(21, 31)와 리셉터크(11, 41)의 손상을 예방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단말기와 케이블의 접속부위 보호장치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단말기 11 : 리셉터클
20 : 케이블 21 : 커넥터
30 : 전방몸체 31 : 커넥터
33 : 장착판 35 : PCB
37 : 바디 371 : 관통공
40 : 후방몸체 41 : 리셉터클
43 : 덮개판 45 : 기판
453 : 끼움홈 47 : 하우징
50 : 조립수단 51 : 조립홈부
53 : 조립돌출부
60 : 접속수단 61 : 제1단자
62 : 제1접점 63 : 제2단자
64 : 제2접점 65 : 메탈판
651 : 돌출부 653 : 관통홀
20 : 케이블 21 : 커넥터
30 : 전방몸체 31 : 커넥터
33 : 장착판 35 : PCB
37 : 바디 371 : 관통공
40 : 후방몸체 41 : 리셉터클
43 : 덮개판 45 : 기판
453 : 끼움홈 47 : 하우징
50 : 조립수단 51 : 조립홈부
53 : 조립돌출부
60 : 접속수단 61 : 제1단자
62 : 제1접점 63 : 제2단자
64 : 제2접점 65 : 메탈판
651 : 돌출부 653 : 관통홀
Claims (4)
- 전방에 단말기의 리셉터클에 접속되는 커넥터가 구비된 전방몸체;
후방에 케이블의 커넥터가 접속되는 리셉터클이 구비되는 후방몸체;
상기 전방몸체의 후방과 상기 후방몸체의 전방을 조립시키는 조립수단;
상기 전방몸체의 후방과 상기 후방몸체의 전방에 각각 구비되어서 상기 전방몸체의 커넥터와 후방몸체의 리셉터클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접속수단;을 포함하는 단말기와 케이블의 접속부위 보호장치에 있어서,
상기 접속수단은
상기 후방몸체의 리셉터클에 연결되고, 상기 후방몸체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구비되는 제1단자와 제2단자,
상기 전방몸체의 커넥터가 실장되는 PCB에 구비되는 제1접점과 제2접점,
상기 제1접점에 접촉되고, 상기 제2단자가 관통되어 상기 제2접점에 접속되도록 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메탈판은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와 케이블의 접속부위 보호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탈판에는 상기 제1접점에 접촉되며 전방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와 케이블의 접속부위 보호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몸체는 상기 PCB와 메탈판이 수용되어 안착되고, 상기 제1단자와 제2단자가 관통되는 바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와 케이블의 접속부위 보호장치.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자는 상기 후방몸체의 중앙에 구비되고, 상기 제1단자의 한 쌍이 상기 제2단자의 양측으로 대칭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와 케이블의 접속부위 보호장치.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09093A KR101726425B1 (ko) | 2015-07-31 | 2015-07-31 | 단말기와 케이블의 접속부위 보호장치 |
PCT/KR2015/013446 WO2016093615A1 (ko) | 2014-12-10 | 2015-12-09 | 단말기와 케이블의 접속부위 보호장치 |
TW104141303A TW201626653A (zh) | 2014-12-10 | 2015-12-09 | 終端與電纜的連接部位保護裝置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09093A KR101726425B1 (ko) | 2015-07-31 | 2015-07-31 | 단말기와 케이블의 접속부위 보호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14982A true KR20170014982A (ko) | 2017-02-08 |
KR101726425B1 KR101726425B1 (ko) | 2017-04-13 |
Family
ID=58155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09093A KR101726425B1 (ko) | 2014-12-10 | 2015-07-31 | 단말기와 케이블의 접속부위 보호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26425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04439B1 (ko) * | 2023-03-15 | 2023-11-22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전시 단말기용 커넥터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78214B1 (ko) * | 2011-07-13 | 2011-11-01 | 에스지피코리아 (주) | 전자기기와 커넥터를 연결하는 커플러 |
KR20120005258U (ko) * | 2011-10-07 | 2012-07-18 | 허문석 | 젠더와 충전장치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 충전기기의 동작방법 |
-
2015
- 2015-07-31 KR KR1020150109093A patent/KR10172642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78214B1 (ko) * | 2011-07-13 | 2011-11-01 | 에스지피코리아 (주) | 전자기기와 커넥터를 연결하는 커플러 |
KR20120005258U (ko) * | 2011-10-07 | 2012-07-18 | 허문석 | 젠더와 충전장치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 충전기기의 동작방법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04439B1 (ko) * | 2023-03-15 | 2023-11-22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전시 단말기용 커넥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26425B1 (ko) | 2017-04-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TWI491117B (zh) | 電連接器、托座及電連接器組件 | |
US9072172B2 (en) | Auxiliary device for mobile electronic apparatus | |
KR101265270B1 (ko) | 마이크로 유에스비 커넥터 플러그 | |
US9837750B2 (en) |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contact protector | |
US20160141804A1 (en) | Electrical plug connector | |
US9893451B2 (en) | Plug connector having a terminal protector | |
US9147966B2 (en) |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 non-insertion type interface | |
KR20080100208A (ko) | 분리 가능한 플러그 접속 장치 | |
CN109995399B (zh) | 连接器及其组合 | |
JP2015076312A (ja) | 同軸コネクタ装置 | |
CN104505679A (zh) | 一种连接器和一种连接器的实现方法 | |
CN205355339U (zh) | 正反插usb插座 | |
US11296457B2 (en) | Magnetic connector | |
CN105490059A (zh) | 正反插usb插座 | |
US20070212929A1 (en) | Breakaway connector assembly | |
KR101726425B1 (ko) | 단말기와 케이블의 접속부위 보호장치 | |
FI118657B (fi) | Matkapuhelimen liitin | |
KR101239215B1 (ko) | 휴대용 전자 장치의 마그네틱 커넥터 | |
JP5129402B1 (ja) | コネクタ接続構造及び電子機器 | |
US8523577B1 (en) | Electrical connector | |
KR101896054B1 (ko) | 마이크로 유에스비 커넥터 플러그 | |
KR101523553B1 (ko) | 단말기와 케이블의 접속부위 보호장치 | |
KR20210024933A (ko) | 접속단자 연결용 접속 커넥터 | |
CN107579377B (zh) | Usb插头结构及连接器结构 | |
TWM486156U (zh) | 電連接器組合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