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4858A - 펄프 조절부를 포함하는 주서기 - Google Patents

펄프 조절부를 포함하는 주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4858A
KR20170014858A KR1020150108830A KR20150108830A KR20170014858A KR 20170014858 A KR20170014858 A KR 20170014858A KR 1020150108830 A KR1020150108830 A KR 1020150108830A KR 20150108830 A KR20150108830 A KR 20150108830A KR 20170014858 A KR20170014858 A KR 201700148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p
juice
guide groove
drum
screw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8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7008B1 (ko
Inventor
김성욱
문성일
장민석
박만욱
이남호
정의성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08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7008B1/ko
Publication of KR20170014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48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7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70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6Juice presses for vege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6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bottom 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즙대상물이 스크류 조립체의 회전에 따라 착즙물과 펄프로 분리되면, 메쉬망을 통과하지 못한 펄프를 사용자의 조절에 따라 메쉬망을 통과한 착즙물과 섞어서 배출할 수 있는 주서기를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주서기는 개방 위치, 폐쇄 위치 및 그 사이의 중간 위치에서 위치 조절된다.

Description

펄프 조절부를 포함하는 주서기{A juicer with pulp control member}
본 발명은 펄프 조절부를 포함하는 주서기에 관한 것으로, 다양한 작동 모드가 가능하여 사용자의 기호에 맞게 펄프량을 조절할 수 있는 주서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수직형 원심분리식 주서기(예를 들어, 한국등록특허 제1013504호)는, 과일, 채소 등의 착즙대상물을 투입되어 절단, 이송, 분쇄, 압착되는 스크류 구조체를 포함한다. 스크류 구조체는 드럼 내측에 구비되고, 착즙망을 포함하여, 착즙대상물이 착즙망과 드럼의 사이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스크류 조립체의 회전에 의하여 착즙이 이루어진다. 착즙대상물 중 사용자가 음용하기 원하는 착즙물과 남은 찌꺼기인 펄프는 드럼 하부에 별도로 모이며 각각의 배출구를 통하여 분리되어 배출된다. 경우에 따라 스크류 조립체에 착즙망이 구비되지 않고, 드럼과 스크류 조립체 사이에 별도의 착즙망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러나, 사용자에 따라서는 종래의 주서기와 같이 착즙물만을 필요로 하는 것이 아니라, 보다 식감이 좋은 주스를 음용하기 위하여 펄프를 주스와 함께 필요로 하는 경우가 있다. 펄프의 포함 정도 역시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다를 수 있다. 그럼에도, 종래의 주서기에서는 착즙물과 펄프가 구분될 수 밖에 없기에, 이러한 사용자의 다양한 기호를 충족시킬 수 없다.
(특허문헌 1) KR 1013504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다양한 기호에 따라 작동 모드를 손쉽게 변경할 수 있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 내지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를 제안하고자 한다.
특히, 단순하게 펄프만을 착즙물인 주스와 섞는 것에 그치지 않고, 펄프에 섞일 수 있는 찌꺼기인 껍질 등은 주스와 섞이지 않도록 하는 주서기를 제안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중공의 드럼(100); 상기 드럼(100) 내측에 위치하며, 메쉬망(276)을 구비한 스크류 조립체(200); 상기 드럼(100)의 하부면에 구비되되 상기 메쉬망(276)에 상응하는 위치에 구비되는 원주 형상의 안내턱(110); 상기 안내턱(110)의 외측에 위치한 원주 형상의 통로인 제 1 가이드홈(111); 상기 안내턱(110)의 내측에 위치한 원주 형상의 통로인 제 2 가이드홈(112); 상기 제 1 가이드홈(111)과 연통되어 외부로 향하는 펄프 유동관(121); 및 상기 제 2 가이드홈(112)과 연통되어 외부로 향하는 착즙물 유동관(131)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가이드홈(111)의 하부면 일부에는 상기 착즙물 유동관(131)과 연통되며 개폐 가능한 펄프 유동홈(132)이 위치하는, 주서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주서기는 펄프 조절부(1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펄프 조절부(140)가 상기 펄프 유동홈(132)을 개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펄프 조절부(140)는 손잡이(141)를 더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141)는 상기 착즙물 유동관(131) 외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펄프 조절부(140)는, 상기 펄프 유동홈(132)을 개폐하는 개폐부(143); 및 상기 개폐부(143)와 상기 손잡이(141)를 연결하는 연결대(142)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대(142)는 상기 착즙물 유동관(131)의 상부면에 위치하는 펄프 조절부 가이드(133)에 의하여 안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대(142)는 착즙물과 펄프가 통과할 수 있는 개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펄프 조절부(140)는 개방 위치, 폐쇄 위치 및 상기 개방 위치와 상기 폐쇄 위치의 사이인 중간 위치에서 이동 가능하며, 상기 펄프 조절부(140)는. 개방 위치에서 상기 펄프 유동홈(132)을 완전히 개방하고, 폐쇄 위치에서 상기 펄프 유동홈(132)을 완전히 폐쇄하며, 상기 펄프 조절부(140)의 이동에 따라 착즙물에 유입되는 펄프의 크기와 양이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크류 조립체(200)의 하부면에는 하부밀개(278)가 위치하며, 상기 하부밀개(278)에는 회전방향으로 하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이 설치되되, 경사면의 일측에는 ㄱ자 홈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드럼(10)의 내벽면 하측에, 상기 하부밀개(278)와 상응하는 높이로 푸쉬 블레이드(117)가 위치하며, 상기 스크류 조립체(200)의 회전에 따라, 상기 하부밀개(278)와 상기 푸쉬 블레이드(117)의 상호 작용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중공의 드럼(100); 상기 드럼(100) 내측에 위치하며, 메쉬망(276)을 구비한 스크류 조립체(200); 착즙대상물이 상기 스크류 조립체(200)의 회전에 따라 착즙물과 펄프로 분리되고, 상기 메쉬망(276)을 통과하지 못한 펄프가 유동하는 제 1 가이드홈(111); 상기 메쉬망(276)을 통과한 착즙물이 유동하는 제 2 가이드홈(112); 상기 제 2 가이드홈(112)과 연통되어 외부로 향하는 착즙물 유동관(131); 및 상기 제 1 가이드홈(111)과 상기 착즙물 유동관(131)을 연통시키도록 상기 제 1 가이드홈(111) 하부면에 위치하는 펄프 유동홈(132)을 포함하며, 상기 펄프 유동홈(132)의 개폐를 조절하도록, 개방 위치, 폐쇄 위치 및 그 사이의 중간 위치에서 위치 조절되는 펄프 조절부(140)를 포함하며, 상기 펄프 조절부(140)가 개방 위치인 경우, 상기 제 1 가이드홈(111)을 통하여 유동하던 펄프가 상기 펄프 유동홈(132)을 통하여 상기 착즙물 유동관(131)으로 유동하는, 주서기를 제공한다.
사용자는 펄프 조절부를 적절하게 조절함으로써 작동 모드를 손쉽게 바꾸어, 착즙물과 펄프가 함께 추출할 수 있음은 물론, 포함되는 펄프의 양 내지 크기까지 조절할 수 있어서 어떠한 사용자의 기호도 만족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펄프 조절부가 완전히 열리면(개방 위치) 유입되는 펄프 하나하나의 크기가 증대하여 다른 식감을 낼 수 있게 할 수 있으며, 펄프 조절부가 조금만 열리면(중간 위치) 유입되는 펄프의 크기가 작아지고 펄프량이 다소 감소하는 대신 착즙 시간이 줄어들어 신속한 착즙이 가능하며, 펄프 조절부가 완전히 닫히면(폐쇄 위치) 펄프 유입이 없으며 가장 신속한 착즙이 가능하다.
더욱이, 펄프 중에 포함될 수 있으나 사용자가 음용하기 부적절한 두껍고 단단한 껍질이 착즙물에 포함되지 않도록 할 수 있어서, 사용자의 식감을 좋게 하는 양질의 펄프만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서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서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서기에 구비되는 스크류 조립체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주서기에 구비되는 스크류 조립체의 저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주서기에 구비되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주서기에 구비되는 펄프 조절부의 개폐를 도시하는 단면 사시도로서, 도 5의 B-B에 따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주서기에 구비되는 펄프 조절부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주서기에 구비되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의 부분 단면 사시도로서, 도 4의 A-A에 따라 하부밀개(278)를 관통하는 위치에서 본 도면이며, 드럼과 함께 도시한다.
본 발명은 주서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동일한 원리가 주서기 이외의 기기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믹서기, 녹즙기 등에도 본 발명의 범위가 미칠 것이다.
본 발명을 이루는 구성요소들은 필요에 따라 일체형으로 사용되거나 각각 분리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 형태에 따라 일부 구성 요소를 생략하여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주서기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기술되어야 할 것이다.
1. 주서기(500)의 구성의 설명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주서기(500)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주서기(500)의 전체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주서기(500)는 덮개(10), 덮개(10)와 체결되는 드럼(100), 드럼(100)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스크류 조립체(200) 및 드럼(100)의 하부에 결합되는 본체(30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드럼(100)과 스크류 조립체(200)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착즙 스크류 조립체'로 지칭한다.
덮개(10)는 착즙대상물이 투입될 수 있도록 주입구(11)가 중심에서 소정거리 이격되어 덮개(10), 바닥면 내경을 따라 결착턱(13) 및 바닥면 중앙의 회전축 고정홈(14)이 형성되고, 상기 주입구(11)에 착즙대상물이 잘 주입되도록 하는 밀어넣기 기능을 하는 막대형의 주입봉(12)을 포함한다. 도시된 도면에서 주입구(11)는 덮개(10)의 중앙에서 편심되어 위치하는데, 그 위치에 제한이 없음은 물론이다. 회전축 고정홈(14)에는 스크류 조립체(200)의 상부 회전축(211)이 삽입된다.
드럼(100)은 내부에 공간이 있는 중공 원통 형태의 용기 구조로서, 드럼(100) 내부 바닥면의 중앙을 중심으로 하여 소정직경을 갖는 원형으로 돌출 형성되는 안내턱(110), 안내턱(110)을 기준으로 하여 외측에 형성되는 원주 형상의 통로인 제 1 가이드 홈(111), 내측에 형성되는 원주 형상의 통로인 제 2 가이드 홈(112), 펄프 배출공(120), 착즙물 배출공(130), 펄프 유동관(121), 및 착즙물 유동관(131)이 구비된다.
제 1 가이드 홈(111)은 드럼(100) 중앙을 중심으로 안내턱(110)의 외측에 안내턱(110)보다 큰 직경을 갖는 원주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 1 가이드 홈(111)에는 드럼(100)의 바닥면을 상하로 관통하는 펄프 배출공(120)이 형성된다.
제 2 가이드 홈(112)은 드럼(100) 중앙을 중심으로 안내턱(110)의 내측에 안내턱(110)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원주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 2 가이드 홈(112)에는 드럼(100)의 바닥면을 상하로 관통하는 착즙물 배출공(130)이 형성된다.
펄프 유동관(121) 및 착즙물 유동관(131)은 각각 펄프 배출공(120) 및 착즙물 배출공(130)과 연통하여 드럼(100) 외부로 연장형성되어 펄프 및 착즙물을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외부를 향한다.
즉, 착즙대상물이 스크류 조립체(20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회전력에 의하여 착즙물과 펄프로 구분되는데, 착즙물은 후술하는 메쉬망(276)을 통과하여 스크류 조립체(200)의 내측에서 하방으로 유동한 후, 제 2 가이드 홈(112)을 따라 유동하다가 착즙물 배출공(130) 및 착즙물 유동관(131)을 통하여 주서기 외부로 배출되며, 펄프는 메쉬망(276)을 통과하지 못하고 스크류 조립체(200)의 외부면을 따라 하방으로 유동한 후, 제 1 가이드 홈(111)을 따라 유동하다가 펄프 배출공(120) 및 펄프 유동관(121)을 통하여 주서기 외부로 배출되는 구조이다.
본체(300)는 그 상부가 드럼(100)의 바닥면에 상응하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드럼(100)의 하부에 끼워져 결합된다.
본체(300)는 내부에 모터와 같은 회전부재를 포함하며, 전원을 인가하는 스위치(330)가 본체(300) 외면에 배치된다.
회전부재는 각형축(310)을 구비하며, 각형축(310)이 스크류 조립체(200)의 하부에 위치한 회전축(210)에 형성된 각형축공(212)에 삽입되고 체결되어 회전축(210)을 회전시키고, 회전축(210)을 둘러싸는 스크류 조립체(200)가 회전한다.
다음, 도 3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주서기의 펄프 조절부(140) 및 착즙 스크류 조립체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및 도 4에는 스크류 조립체(200)가 도시된다. 설명을 위하여 도 4에서 메쉬망(276)의 도시는 생략하였다.
스크류 조립체(200)는 조립체 상부(250)와 조립체 하부(270)로 구분할 수 있다. 조립체 상부(250)와 조립체 하부(270)는 착탈이 가능할 수도 있으며, 또는 일체로 제조될 수도 있다.
조립체 상부(250)와 조립체 하부(270)를 관통하도록 그 중앙에 회전축(210)이 위치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부재에 의하여 회전력이 회전축(210)에 전달되며, 회전축의 회전에 의하여 스크류 조립체(200)가 회전하여 착즙대상물을 착즙한다.
조립체 상부(250)의 외부면에는 착즙날(251)이 구비된다. 착즙날(251)은 스크류 형식으로 구비되어, 착즙대상물이 착즙 스크류 조립체에 투입되면 착즙날에 의하여 분쇄 및 압착 작용이 이루어져서 착즙물과 펄프로 분리되며, 분리된 착즙물과 펄프는 스크류 형식의 착즙날(251)을 따라 하방으로 유동한다.
조립체 하부(270)의 외부면에는 착즙 리브(271)가 구비된다. 착즙 리브(271)는 드럼(100)과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착즙대상물의 분쇄 및 압착 작용을 돕는다.
여기에서, 착즙 리브(271)는 조립체 상부(250)와 조립체 하부(270)의 장착시 착즙날(251)로부터 연속적으로 이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속적으로 이어져야, 조립체 상부(250)에서의 착즙대상물 또는 착즙물 또는 펄프가 스크류 형식의 착즙날(251)과 착즙 리브(271)를 타고 자연스럽게 하방으로 유동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스크류 조립체(200)의 하부면 방사상으로 다수의 하부밀개(278)가 형성된다. 하부밀개(278)의 기능은 아래에서 후술한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펄프 조절부(140)를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펄프 조절부(140)는 착즙물 유동관(131)에 구비된다. 펄프 조절부(140)는 착즙물 유동관(131) 상에서 사용자에 의한 조절에 의하여 후술하는 펄프 유동홈(132)을 개폐할 수 있는데,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착즙물 유동관(131)의 상부에 위치하여, 사용자는 손잡이(141)를 밀거나 당김으로써 펄프 섞임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6a은 펄프가 섞이는 위치로서, 펄프 조절부(140)가 개방 위치에 있는 경우를 도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메쉬망(276)을 통과한 착즙물은 상대적으로 내측에 위치하는 제 2 가이드홈(112)을 통하여 유동하다가 착즙물 유동관(131)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고, 메쉬망(276)을 통과하지 못한 펄프는 상대적으로 외측인 제 1 가이드홈(111)을 통하여 유동하다가 펄프 유동관(121)을 통하여 배출되는데, 제 1 가이드홈(111)의 하부면 일측에 착즙물 유동관(131)과 연통되는 펄프 유동홈(132)이 위치함으로써, 도 6a에서와 같이 착즙물 유동관(131)이 개방된 경우 제 1 가이드홈(111)을 통하여 유동하던 펄프가 착즙물과 함께 섞여서 착즙물 유동관(131)을 통하여 배출된다.
도 6b은 착즙물 유동관(131)이 펄프 조절부(140)에 의하여 폐쇄되는 경우, 즉 펄프 조절부(140)가 폐쇄 위치에 있는 경우를 도시한다. 이 경우 종래의 일반적인 주서기와 같이 착즙물과 펄프가 섞이지 않고 구분되어 배출될 것이다.
또한, 펄프 조절부(140)가 도 6a의 개방 위치와 도 6b의 폐쇄 위치의 중간 즈음에서 적절한 위치에 위치한다면, 그만큼 펄프 유동홈(132)의 개방된 크기가 조절되므로, 적절한 양의 펄프만이 착즙물과 섞여서 배출될 것이다.
펄프 유동홈(132)은 착즙물 유동관(131)과 연통되되, 제 1 가이드홈(111)의 측면이 아닌 하부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아래로 가라앉는 펄프의 속성을 고려한 것이자, 후술할 바와 같이 펄프 중 껍질을 구분해내기 위함이다.
펄프 유동홈(132)의 외부 일측에는 착즙물 배출 방향으로 진행하여 펄프 안내부(134)가 위치한다. 펄프 안내부(134)는 착즙물 유동관(131)의 경사도와 유사한 경사도로서 경사진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하여 펄프 조절부(140)가 개방된 경우 펄프를 자연스럽게 하방으로 안내할 수 있으며, 펄프 조절부(140)가 폐쇄될 경우 개폐부(143)의 상승 운동을 안내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펄프 조절부(140)는 손잡이(141), 연결대(142) 및 개폐부(143)로 이루어진다.
손잡이(141)는 드럼(10) 외측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이를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다.
연결대(142)는 손잡이(141)와 개폐부(143)를 연결하며, 연결대(142)의 일측에는 돌출부가 구비되어, 착즙물 유동관(131)의 상부면에 위치한 펄프 조절부 가이드(133)에 삽입되어, 펄프 조절부(140)의 왕복 운동이 안내되도록 하며, 특히 중앙에는 반원형의 개구가 있어서 연결대(142)가 착즙물과 펄프의 유출을 방해하지 않도록 한다.
개폐부(143)는 펄프 유동홈(132)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부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착즙물 유동관(131)의 펄프 안내부(134)의 경사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경사도를 갖는다.
도 4 및 도 8을 참조하여, 하부밀개(278)를 설명한다.
사용자가 주서기를 사용하여 착즙할 경우, 메쉬망(276)을 통과하는 착즙물과 통과하지 않는 펄프로 구분되는데, 이러한 펄프 중에는 사용자의 식감을 좋게 하는 물질들 외에 껍질과 같은 두껍고 단단한 물질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랜지를 착즙할 경우, 펄프가 없는 주스인 착즙물, 주스는 아니지만 걸쭉한 식감을 갖게 하는 펄프뿐만 아니라, 오랜지 껍질이 착즙되어 포함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펄프를 포함하여 걸쭉한 주스를 음용하고 싶어하는 사용자일지라도 오랜지 껍질까지 여기에 포함시키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껍질이 펄프에 비하여 두껍고 단단하다는 점에 착안하여, 이를 드럼(10)의 내벽면으로 밀어줌으로써 제 2 가이드홈(112)의 하부면에 위치하는 펄프 유동홈(132)을 향하여 가라앉지 않는 방식을 채택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껍질이 펄프 유동홈(132)을 통과하여 착즙물과 혼합되지 못하도록 하였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밀개(278)에는 스크류 조립체(200)의 회전방향으로 하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이 설치되되, 경사면의 일측에는 ㄱ자 홈이 구비된다. 경사면 및 ㄱ자 홈은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드럼(10)의 내벽면에서 내측으로 돌출 구비된 푸쉬 블레이드(117)와 상호작용을 한다. 상기 푸쉬 블레이드(117)의 높이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밀개(278)의 높이에 상응하다.
스크류 조립체(200)가 회전함에 따라, 그 하부면에 방사상으로 다수의 하부밀개(278)와 드럼(10)의 내벽면에서 내측으로 돌출 구비된 푸쉬 블레이드(117)와의 상호작용은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두껍고 단단한 펄프, 즉 껍질은 원심력에 의하여 드럼(10)의 내벽면으로 밀착되나, 두껍지도 않고 단단하지도 않은 일반적인 펄프, 즉 식감이 좋은 펄프는 드럼(10)의 내벽면에 밀착되지 않고 그대로 제 2 가이드홈(112)을 따라 유동하여 펄프 유동홈(132)을 통과하게 된다.
이를 통하여, 껍질과 같이 두껍고 단단한 펄프는 펄프 유동홈(132)을 통과하지 않으며, 식감이 좋은 부드러운 펄프만이 펄프 유동홈(132)을 통과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 착즙물과 혼합될 수 있다. .
2. 주서기(500)의 동작 과정 설명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서기(500)의 동작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주서기(500)의 스위치(330)를 켜서 주서기(500)에 전원이 인가되면 본체(300) 내부의 회전부재가 구동되고, 이에 구비된 각형축(310)이 회전하여 각형축(310)과 연결된 회전축(210)에 회전력이 전달된다.
회전축(210)의 회전에 따라 이에 결합된 스크류 조립체(200)가 드럼(100) 내에서 회전하며 주서기(500)의 동작이 개시된다.
주서기(500)가 동작되면 덮개(10)에 형성된 주입구(11)로 주입봉(12)을 이용하여 착즙대상물을 주입하고, 주입된 착즙대상물은 스크류 조립체(200)에 도달하여 스크류 조립체(200)에 의해 분쇄 및 압착된다.
이러한 분쇄 및 압착에 의하여 착즙물과 펄프가 구분되는데, 착즙물은 메쉬망(276)을 통과하기에 스크류 조립체(200)의 내측에 위치하는 제 2 가이드홈(112)을 따라 유동할 것이며, 펄프는 메쉬망(276)을 통과하지 못하기에 스크류 조립체(200)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 1 가이드홈(111)을 따라 유동할 것이다.
사용자가 도 6b에서와 같이 펄프 조절부(140)를 폐쇄 위치로 위치시킨 경우, 착즙물은 제 2 가이드홈(112)을 따라 유동하다가 착즙물 배출공(130)을 통과하여 착즙물 유동관(13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펄프는 제 1 가이드홈(111)을 따라 유동하다가 펄프 배출공(120)을 통과하여 펄프 유동관(12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펄프 유동홈(132)은 폐쇄되어 있으므로, 이를 통과하는 운동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착즙물과 펄프는 혼합되지 않고 서로 구분되어 각각 착즙물 유동관(131)과 펄프 유동관(12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사용자가 도 6a에서와 같이 펄프 조절부(140)를 개방 위치로 위치시킨 경우, 착즙물은 제 2 가이드홈(112)을 따라 유동하다가 착즙물 배출공(130)을 통과하여 착즙물 유동관(13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은 동일하되, 펄프는 제 1 가이드홈(111)을 따라 유동하다가 그 일부는 제 1 가이드홈(111)의 하부면에 위치한 펄프 유동홈(132)을 통과하게 된다.
펄프 유동홈(132)을 통과한 펄프는 펄프 안내부(134)를 따라 펄프 유동관(131)과 동일한 경사로 안내되어 펄프 유동관(131) 내측의 착즙물과 섞여서 외부로 배출될 것이다. 다만, 이 때에 껍질과 같이 두껍고 단단한 펄프는 하부밀개(278)과 푸쉬 블레이드(117)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드럼(10) 내벽면으로 밀려서 하부면의 펄프 유동홈(132)을 통과하지 않을 것이다.
만약 사용자가 펄프 조절부(140)를 도 6a의 개방 위치와 도 6b의 폐쇄 위치 사이인 중간 위치로 위치시킨다면, 그만큼 펄프 유동홈(132)의 크기가 줄어 들기에 착즙물과 섞이는 펄프량이 적절하게 제어될 것이다.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500: 주서기
10: 덮개
11: 주입구
12: 주입봉
13: 결착턱
14: 회전축 고정홈
100: 드럼
110: 안내턱
111: 제 1 가이드홈
112: 제 2 가이드홈
117: 푸쉬 블레이드
120: 펄프 배출공
121: 펄프 유동관
130: 착즙물 배출공
131: 착즙물 유동관
132: 펄프 유동홈
133: 펄프 조절부 가이드
134: 펄프 안내부
140: 펄프 조절부
141: 손잡이
142: 연결대
143: 개폐부
200: 스크류 조립체
210: 회전축
211: 상부 회전축
212: 각형축공
250: 조립체 상부
251: 착즙날
253: 돌출부
270: 조립체 하부
271: 착즙 리브
273: 연결홈
275: 하부 바디
276: 메쉬망
278: 하부밀개
300: 몸체
310: 각형축

Claims (10)

  1. 중공의 드럼(100);
    상기 드럼(100) 내측에 위치하며, 메쉬망(276)을 구비한 스크류 조립체(200);
    상기 드럼(100)의 하부면에 구비되되 상기 메쉬망(276)에 상응하는 위치에 구비되는 원주 형상의 안내턱(110);
    상기 안내턱(110)의 외측에 위치한 원주 형상의 통로인 제 1 가이드홈(111);
    상기 안내턱(110)의 내측에 위치한 원주 형상의 통로인 제 2 가이드홈(112);
    상기 제 1 가이드홈(111)과 연통되어 외부로 향하는 펄프 유동관(121); 및
    상기 제 2 가이드홈(112)과 연통되어 외부로 향하는 착즙물 유동관(131)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가이드홈(111)의 하부면 일부에는 상기 착즙물 유동관(131)과 연통되며 개폐 가능한 펄프 유동홈(132)이 위치하는,
    주서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서기는 펄프 조절부(1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펄프 조절부(140)가 상기 펄프 유동홈(132)을 개폐하는,
    주서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펄프 조절부(140)는 손잡이(141)를 더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141)는 상기 착즙물 유동관(131) 외측에 위치하는,
    주서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펄프 조절부(140)는,
    상기 펄프 유동홈(132)을 개폐하는 개폐부(143); 및
    상기 개폐부(143)와 상기 손잡이(141)를 연결하는 연결대(142)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대(142)는 상기 착즙물 유동관(131)의 상부면에 위치하는 펄프 조절부 가이드(133)에 의하여 안내되는,
    주서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142)는 착즙물과 펄프가 통과할 수 있는 개구를 구비하는,
    주서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펄프 조절부(140)는 개방 위치, 폐쇄 위치 및 상기 개방 위치와 상기 폐쇄 위치의 사이인 중간 위치에서 이동 가능하며,
    상기 펄프 조절부(140)는. 개방 위치에서 상기 펄프 유동홈(132)을 완전히 개방하고, 폐쇄 위치에서 상기 펄프 유동홈(132)을 완전히 폐쇄하며,
    상기 펄프 조절부(140)의 이동에 따라 착즙물에 유입되는 펄프의 크기와 양이 조절되는,
    주서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조립체(200)의 하부면에는 하부밀개(278)가 위치하며,
    상기 하부밀개(278)에는 회전방향으로 하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이 설치되되, 경사면의 일측에는 ㄱ자 홈이 구비되는,
    주서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10)의 내벽면 하측에, 상기 하부밀개(278)와 상응하는 높이로 푸쉬 블레이드(117)가 위치하며,
    상기 스크류 조립체(200)의 회전에 따라, 상기 하부밀개(278)와 상기 푸쉬 블레이드(117)의 상호 작용이 이루어지는,
    주서기.
  9. 중공의 드럼(100);
    상기 드럼(100) 내측에 위치하며, 메쉬망(276)을 구비한 스크류 조립체(200);
    착즙대상물이 상기 스크류 조립체(200)의 회전에 따라 착즙물과 펄프로 분리되고, 상기 메쉬망(276)을 통과하지 못한 펄프가 유동하는 제 1 가이드홈(111);
    상기 메쉬망(276)을 통과한 착즙물이 유동하는 제 2 가이드홈(112);
    상기 제 2 가이드홈(112)과 연통되어 외부로 향하는 착즙물 유동관(131); 및
    상기 제 1 가이드홈(111)과 상기 착즙물 유동관(131)을 연통시키도록 상기 제 1 가이드홈(111) 하부면에 위치하는 펄프 유동홈(132)을 포함하며,
    상기 펄프 유동홈(132)의 개폐를 조절하도록, 개방 위치, 폐쇄 위치 및 그 사이의 중간 위치에서 위치 조절되는 펄프 조절부(140)를 포함하며,
    상기 펄프 조절부(140)가 개방 위치인 경우, 상기 제 1 가이드홈(111)을 통하여 유동하던 펄프가 상기 펄프 유동홈(132)을 통하여 상기 착즙물 유동관(131)으로 유동하는,
    주서기.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조립체(20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부재가 구비된 본체(300); 및
    착즙대상물이 투입되는 상기 드럼(10)의 상부를 폐쇄할 수 있는 덮개(10)를 더 포함하는,
    주서기.
KR1020150108830A 2015-07-31 2015-07-31 펄프 조절부를 포함하는 주서기 KR1024070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8830A KR102407008B1 (ko) 2015-07-31 2015-07-31 펄프 조절부를 포함하는 주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8830A KR102407008B1 (ko) 2015-07-31 2015-07-31 펄프 조절부를 포함하는 주서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4858A true KR20170014858A (ko) 2017-02-08
KR102407008B1 KR102407008B1 (ko) 2022-06-10

Family

ID=58155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8830A KR102407008B1 (ko) 2015-07-31 2015-07-31 펄프 조절부를 포함하는 주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70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56353A1 (ko) * 2018-02-07 2019-08-15 주식회사 휴롬 즙 배출 캡, 즙 배출 어셈블리 및 착즙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2902B1 (ko) * 2010-09-17 2012-01-09 김영기 스무디기 겸용 주스기
KR200461808Y1 (ko) * 2011-07-08 2012-08-07 김지태 분쇄조절용기
KR20150051576A (ko) * 2013-11-04 2015-05-13 코웨이 주식회사 펄프량 조절 가능한 주서기
KR20150066949A (ko) * 2013-12-09 2015-06-17 코웨이 주식회사 펄프량 조절 가능한 주서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2902B1 (ko) * 2010-09-17 2012-01-09 김영기 스무디기 겸용 주스기
KR200461808Y1 (ko) * 2011-07-08 2012-08-07 김지태 분쇄조절용기
KR20150051576A (ko) * 2013-11-04 2015-05-13 코웨이 주식회사 펄프량 조절 가능한 주서기
KR20150066949A (ko) * 2013-12-09 2015-06-17 코웨이 주식회사 펄프량 조절 가능한 주서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56353A1 (ko) * 2018-02-07 2019-08-15 주식회사 휴롬 즙 배출 캡, 즙 배출 어셈블리 및 착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7008B1 (ko) 2022-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6441B1 (ko) 주스 착즙기
US9795240B2 (en) Personal juice extractor system
EP3178355B1 (en) Juice extraction apparatus including solid net, and juicer including same
JP6568858B2 (ja) 着脱可能な搾汁スクリュー組立体及びそれを含むジューサー
KR200475720Y1 (ko) 압착 잔류물의 제어 배출 수단이 장착된 주스 제조용 가전 기구
KR101858127B1 (ko) 분리형 착즙 스크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US9210950B2 (en) Personal juice extractor system
KR20150051576A (ko) 펄프량 조절 가능한 주서기
KR200496302Y1 (ko) 즙 배출 캡, 즙 배출 어셈블리 및 착즙기
KR20150066949A (ko) 펄프량 조절 가능한 주서기
KR20170014858A (ko) 펄프 조절부를 포함하는 주서기
KR20150022643A (ko) 찌꺼기 배출 조절이 가능한 주서기
KR102413688B1 (ko) 이중 메쉬망을 포함하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CN106166021B (zh) 榨汁机及榨汁机用配件
KR20170039459A (ko) 진공형성부를 포함하는 주서기
KR102257330B1 (ko) 안전 투입장치를 구비한 착즙 스크류 조립체
KR20170030628A (ko) 압착에 의하여 주스를 추출하기 위한 음식물 조리 장치
KR102291028B1 (ko) 펄프 조절부를 구비한 착즙 스크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KR102358627B1 (ko) 드럼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KR20160066864A (ko) 주서기
KR20180111262A (ko) 다단 형상의 스크류를 포함하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KR20150041558A (ko) 펄프량 조절 가능한 주서기
KR200495526Y1 (ko) 즙 배출 캡, 즙 배출 어셈블리 및 착즙기
KR102257333B1 (ko) 회전가능한 일체형 구조를 가진 커버
KR20220002127U (ko) 찌꺼기 배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착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