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4716A - 선박용 추진장치 및 이를 갖춘 선박 - Google Patents

선박용 추진장치 및 이를 갖춘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4716A
KR20170014716A KR1020150108522A KR20150108522A KR20170014716A KR 20170014716 A KR20170014716 A KR 20170014716A KR 1020150108522 A KR1020150108522 A KR 1020150108522A KR 20150108522 A KR20150108522 A KR 20150108522A KR 20170014716 A KR20170014716 A KR 201700147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peller
motor
ship
drive shaft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8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호
김선정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08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14716A/ko
Publication of KR20170014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47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3/00Driving of auxiliaries
    • B63J3/02Driving of auxiliaries from propulsion power pl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12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vessels being motor-driven
    • B63H21/17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vessels being motor-driven by electric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3/00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 B63H23/02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with mechanical gea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3/00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 B63H23/32Other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5/0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5/07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 B63H5/08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of more than one propeller
    • B63H5/1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of more than one propeller of coaxial type, e.g. of counter-rotative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1/00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 H02K21/26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with rotating armatures and stationary magnets
    • H02K21/28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with rotating armatures and stationary magnets with armatures rotating within the magnets
    • H02K21/34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with rotating armatures and stationary magnets with armatures rotating within the magnets having bell-shaped or bar-shaped magnets, e.g. for cycle ligh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ar Transmission (AREA)

Abstract

두 프로펠러가 상호 반대로 회전하며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선박용 추진장치 및 이를 갖춘 선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선박용 추진장치는 구동축에 고정된 후방프로펠러; 후방프로펠러 전방의 구동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전방프로펠러; 전방프로펠러와 연결되어 전방프로펠러를 후방프로펠러와 반대로 회전시키고, 전방프로펠러가 외력에 의해 회전되어 발생되는 회전력을 전력으로 변환하는 변환구동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선박용 추진장치 및 이를 갖춘 선박{Propulsion apparatus for ship, and ship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선박용 추진장치 및 이를 갖춘 선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두 프로펠러가 상호 반대로 회전하며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선박용 추진장치 및 이를 갖춘 선박에 관한 것이다.
선박에서 추진장치는 운항을 위해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장치이다. 가장 일반적인 것으로는 하나의 나선형 프로펠러를 채용한 것이다. 그러나 하나의 프로펠러를 갖춘 추진장치는 수류의 회전에너지를 추진력으로 이용할 수 없기 때문에 에너지 손실이 크다.
손실되는 회전에너지를 추진력으로 회수할 수 있는 것으로 상반 회전 추진장치(Counter rotating propeller; CRP)가 있다. 상반 회전 추진장치는 동일축선 상에 설치된 2개의 프로펠러가 상호 반대로 회전하면서 추진력을 발생시킨다. 전방프로펠러를 거친 유체의 회전에너지를 후방프로펠러가 역으로 회전하며 추진력으로 회수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프로펠러를 갖춘 추진장치에 비하여 높은 추진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상반 회전 추진장치는 선체 내부의 구동원과 연결된 내축과, 내축 후단부에 결합된 후방프로펠러와, 내축의 외면에 회전하도록 설치된 중공의 외축과, 외축 후단부에 결합된 전방프로펠러를 구비한다. 또 내축의 회전을 외축으로 반전시켜 전달하기 위해 선체의 내부에 설치된 반전회전장치를 포함한다. 반전회전장치로는 통상의 유성기어장치를 사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상반 회전 추진장치는 반전회전장치로부터 선체 후방으로 길게 연장된 중공의 외축을 구비하기 때문에 선박에 장착할 때 내축과 외축의 중심을 정렬하여 설치하는 작업이 매우 어렵다. 또 외축이 길기 때문에 내축과 외축 사이의 마찰 감소를 위해 윤활을 해야 하는 영역이 증가한다. 뿐만 아니라 내축과 외축이 상호 반대로 회전하는 관계로 내축과 외축 사이에 형성되는 윤활막의 전단이 생기기 때문에 효과적인 윤활을 구현하기 어렵다.
등록특허공보 제10-1267660호 (2013.01.23. 공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외축이 없이도 두 프로펠러의 상호 반전을 구현할 수 있는 선박용 추진장치 및 이를 갖춘 선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두 프로펠러의 상호 반전에 따른 최대의 추진 효율을 구현할 수 있는 선박용 추진장치 및 이를 갖춘 선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선박 추진 감속 또는 제동 시 발생되는 전방프로펠러의 회전력을 회생할 수 있는 선박용 추진장치 및 이를 갖춘 선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구동축에 고정된 후방프로펠러; 상기 후방프로펠러 전방의 상기 구동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전방프로펠러; 상기 전방프로펠러와 연결되어 상기 전방프로펠러를 상기 후방프로펠러와 반대로 회전시키고, 상기 전방프로펠러가 외력에 의해 회전되어 발생되는 회전력을 전력으로 변환하는 변환구동장치;를 포함하는 선박용 추진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환구동장치는, 상기 전방프로펠러를 회전시키는 모터와, 상기 모터를 구동시키고 전력 변환이 가능한 전력변환장치를 포함하는 선박용 추진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와 상기 전방프로펠러 사이에는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전방프로펠러로 감속하여 전달하는 기어박스가 마련되는 선박용 추진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는 중공부를 가지는 중공축형 모터로 마련되고, 상기 중공축형 모터는 상기 구동축이 통과되되, 상기 구동축의 외면과 이격되도록 마련되는 선박용 추진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는 복수개로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모터와 상기 전방프로펠러 사이에는 유성기어부가 마련되어 상기 복수의 모터의 다축 회전을 단축 회전으로 변환하여 전달하는 선박용 추진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환구동장치는 상기 후방프로펠러의 회전 속도에 따라 선박 추진 효율이 최대화될 수 있는 상기 전방프로펠러의 회전 속도를 계산하여 상기 전력변환장치에 상기 전방프로펠러의 회전 속도 값을 제공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선박용 추진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환구동장치는 상기 후방프로펠러의 회전 속도를 감지하는 회전속도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속도센서는 상기 후방프로펠러의 회전 속도 정보를 상기 제어부에 제공하는 선박용 추진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추진장치를 갖춘 선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선박용 추진장치는 변환구동장치가 마련됨으로써, 선박의 추력 효율을 최대화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선박용 추진장치는 변환구동장치가 마련됨으로써, 에너지를 회생하여 전력을 생성할 수 있다. 이에, 선체 내부에 사용되는 에너지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선박용 추진장치는 변환구동장치가 마련됨으로써, 선박 운항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추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상반 회전하는 전방프로펠러와 후방프로펠러의 속도에 따른 추력 효율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와 전력변환장치 간의 상호 신호체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추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추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제시한 실시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추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진장치는 선체의 후미에 설치되며 2개의 프로펠러가 상호 반대로 회전하면서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상반 회전 추진장치이다. 여기서 선체의 후미라 함은 두 프로펠러가 설치된 구동축(11)을 지지하기 위해 선체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유선형으로 돌출된 부분, 즉 스턴보스(Stern boss)를 의미한다.
추진장치는 선체 내부로부터 선체 후미를 통하여 외측으로 연장된 구동축(11), 구동축(11)의 후단 쪽에 고정된 후방프로펠러(12), 후방프로펠러(12) 전방의 구동축(11) 외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전방프로펠러(20), 전방프로펠러(20)를 구동축(11)의 회전과 반대로 회전시키는 변환구동장치를 포함한다.
구동축(11)은 선체 내부에 설치된 구동원(10)(디젤엔진, 모터, 터빈 등)과 연결되고 선체의 후미를 관통하여 선체 외부로 연장된다. 이러한 구동축(11)은 구동원(10)에 의해 회전하면서 그 후단부에 고정된 후방프로펠러(12)를 회전시킨다.
후방프로펠러(12)는 구동축(11)의 후미부분에 고정되는 허브와, 허브의 외면에 마련된 복수의 날개를 포함한다. 후방프로펠러(12)는 허브 중심부에 형성된 축결합공이 구동축(11)의 테이퍼부 외면에 압입됨으로써 구동축(11)에 고정된다. 또 구동축(11) 후단부에 고정너트가 체결됨으로써, 구동축(11)에 더욱 견고히 고정된다. 이러한 결합을 위해 허브의 축결합공은 구동축(11)의 테이퍼부 외면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전방프로펠러(20)는 후방프로펠러(12)로부터 전방으로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의 구동축(11) 외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전방프로펠러(20)는 구동축(11) 외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허브와, 허브의 외면에 마련된 복수의 날개를 포함한다. 이러한 전방프로펠러(20)는 후방프로펠러(12)와 반대로 회전하는 것이므로 날개각이 후방프로펠러(12)의 날개각과 반대이다.
전방프로펠러(20)의 허브는 그 중심부가 레이디얼베어링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그 양측이 전방스러스트베어링과 후방스러스트베어링에 의해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변환구동장치는 전방프로펠러(20)와 연결되어 전방프로펠러(20)를 후방프로펠러(12)와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후방프로펠러(12)에서 손실되는 회전에너지를 회수하여 추진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선체가 감속하거나 제동 시 후방프로펠러(12)의 잔류 회전력에 의해 유입되는 수류로 함께 회전되는 전방프로펠러(20)의 회전에너지를 전력으로 변환하여 선체 내부에 필요한 전력 사용처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환구동장치는 기어박스(21), 모터(22), 전력변환장치(24), 제어부(30)를 포함하며, 이러한 구성에 전력을 제어하는 차단기(23), 전력필터(25), 변압기(26)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기어박스(21)는 전방프로펠러(20)의 허브와 인접하는 선체의 후미에 설치된다. 기어박스(21)는 모터(22)의 회전력을 전방프로펠러(20)로 전달하여 전방프로펠러(20)가 기어박스(21)의 주어진 감속비에 따라 회전할 수 있다.
기어박스(21)는 구동축(11) 외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기어박스(21)와 구동축(11) 사이에 베어링(21a)이 마련된다. 기억박스는 원하는 감속비를 가지기 위하여 다양한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모터(22)는 기어박스(21)의 입력기어와 맞물리도록 기어박스(21)의 일측에 마련된다. 모터(22)는 전기에너지에 의해 구동되며, 이러한 구동으로 회전력이 발생하여 전방프로펠러(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모터(22)의 종류는 전기를 이용하여 작동하는 다양한 종류의 모터(22)로 마련될 수 있다.
전력변환장치(24)(Power Conversion System: PCS)는 모터(22)와 연결되어 선체 내의 메인발전기(미도시)에서 생성되는 전기를 모터(22)로 보내어 모터(22)를 작동시킬 수 있다. 전력변환장치(24)는 모터(22)를 원하는 속도로 제어하기 위해 전력변환이 가능한 IGBT, IGVT 등의 전력변환소자를 기반으로 마련된다.
또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력변환장치(24)는 선체가 제동하거나 감속하는 경우 잔류하는 후방프로펠러(12)의 회전으로 인하여 흡수되는 수류가 전방프로펠러(20)를 함께 회전시킴으로써 발생되는 회전력을 전력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즉, 전력변환장치(24)는 전력을 송출하여 모터(22)를 구동시킬 수 있고, 반대로 모터(22)의 회전력을 전력으로 변환하여 선체 내부에 필요한 전력 사용처 곳곳에 보내져 사용될 수 있다.
전력변환장치(24)의 안정적인 전력제어를 위하여 전력변환장치(24)와 모터(22) 사이 또는 전력변환장치(24)와 메인발전기 사이에 차단기(23)가 마련될 수 있다. 차단기(23)는 모터(22) 및 전력변환장치(24) 등의 고장 발생 시 선체 내 전력 계통에 영향을 주지 않게 하기 위해 설치될 수 있고, 반대로 선체 내 전력 계통 이상 시에는 모터(22) 및 전력변환장치(24) 등의 장비에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과전압, 과전류, 숏서킷 등 전력 이상 시 전력을 차단하게 된다.
또한, 전력변환장치(24)가 메인발전기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때 또는 필요한 전력 사용처에 전력을 공급할 때 전력의 품질 향상을 위해 마련될 수 있으며, 전력변환장치(24)의 특성을 고려하여 LC필터, LCL 필터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선체 계통 전력과 모터(22) 및 전력변환장치(24)의 정격 전압을 맞추기 위해 승압 또는 감압 기능을 하는 변압기(26)가 마련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모터(22), 차단기(23), 전력변환장치(24), 전력필터(25), 변압기(26)는 전력이 이동할 수 있는 전력선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전력선은 일반적으로 전기장치에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것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어부(30)는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기반으로 연산처리 기능이 가능하며, 전력변환장치(24)와 통신선에 의해 연결되어 명령의 송수신이 가능함으로써 전력변환장치(24)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0)는 구동원(10), 구동축(11), 또는 후방프로펠러(12) 등에 설치되어 후방프로펠러(12)의 속도를 감지하는 회전속도센서(31)로부터 후방프로펠러(12)의 회전속도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속도센서(31)는 구동원(10) 측에 마련되는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구동축(11), 또는 후방프로펠러(12) 등에 설치되어 회전 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30)는 제공받은 후방프로펠러(12) 회전속도에 따라서 선체의 추진 효율을 최대화 하기 위한 전방프로펠러(20) 속도를 계산하여 전력변환장치(24) 및 모터(22)를 제어한다.
제어부(30)의 추진 효율 최대화를 위한 제어 과정은 아래에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2는 상반 회전하는 전방프로펠러(20)와 후방프로펠러(12)의 속도에 따른 추력 효율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로축은 전방프로펠러(20)의 회전 속도를 나타내고 세로축은 추력의 세기 또는 추력 효율을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후방프로펠러(12)의 회전 속도(V1, V2, V3, V4)에 따라서 추력 및 효율이 2차 곡선 형태(A, B, C, D)로 이루어진다.
즉, 최대 추력 효율은 전방프로펠러(20)의 회전 속도가 후방프로펠러(12)의 회전 속도에 정비례하게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후방프로펠러(12)와 전방프로펠러(20)를 기어 장치로만 연결하여 역회전 시킨다면 최대 추력 효율을 갖기 힘들다.
따라서, 제어부(30)는 도 2와 같은 그래프 특성을 미리 입력하고, 그에 따라서 후방프로펠러(12) 회전 속도에 따라 추력 효율을 최대화 할 수 있는 전방프로펠러(20) 회전 속도를 계산하여 전력변환장치(24) 또는 모터(22)를 제어함으로써 선체의 추진력을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30)와 전력변환장치(24) 간의 상호 신호체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30)는 도 2의 그래프에 따라 전방프로펠러(20)의 회전 속도 값을 계산하는 연산부(40)와, 연산부(40)에서 계산된 출력 값을 보정해주는 보정부(50)를 포함한다.
연산부(40)는 위에서 설명한 도 2 그래프의 방정식이 입력되어 있으며, 회전속도센서(31)로부터 제공되는 후방프로펠러(12)의 회전 속도 값에 따라 최대 추력 효율을 낼 수 있는 전방프로펠러(20)의 회전 속도 값을 계산한다.
연산부(40)에 의해 계산된 전방프로펠러(20)의 회전 속도 값은 보정부(50)를 거치면서 정확한 값을 가지게 된다.
즉, 보정부(50)는 연산부(40)에서 출력된 값을 가감하는 보정하여 전력변환장치(24)가 모터(22)를 제어할 수 있는 적절한 값을 제공한다.
또한, 보정부(50)는 선체가 감속하거나 제동시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발전모드 일 때 전력변환장치(24)가 생산해내는 값을 제공받아 보정하여 다시 전력변환장치(24)로 그 값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발전모드 시 전력변환장치(24)가 적절한 전력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30)가 적절한 출력 값을 전력변환장치(24)에 제공하게 되면, 그 후 전력변환장치(24)는 제어부(30)에서 제공받은 출력 값에 따라 모터(22)의 구동을 제어하게 된다.
이에, 선체가 추진 시 추력 효율을 최대화 할 수 있으며, 감속 또는 제동 시 불필요하게 회전하는 회전력을 회생하여 전기에너지로 변환함으로써 선체 내 필요한 곳에 사용하여 선체의 에너지 효율성이 증대될 수 있다.
다음으로는 위에서 설명한 변환구동장치의 제어 방법은 동일하나 모터(22) 및 기어박스(21)의 다른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선박용 추진장치에 있어서,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 구성은 위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이며, 추가로 부가되는 구성을 제외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추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추진장치의 구동원(10), 구동축(11), 후방프로펠러(12), 전방프로펠러(20) 구성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입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변환구동장치의 모터(22)는 기억박스의 전방에 접하게 마련되며, 구동축(11) 외면에 구동축(11)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도록 지지되어 마련된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22)는 중공축형 모터(22)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중공축형 모터(22)와 구동축(11)의 외면 사이에는 복수의 베어링(22a) 등이 마련되어 모터(22)가 구동축(11)과의 마찰을 최소화하며 지지될 수 있다.
중공축형 모터(22)의 중공축이 회전하여 기어박스(21)로 직접적으로 전달될 수 있으며, 또는 모터(22)와 기어박스(21) 사이에 커플링이 마련되어 커플링이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또는, 모터(22)가 중공축형 모터(22)로 마련됨으로써 기어박스(21) 없이 전방프로펠러(20)와 직접 연결되어 전방프로펠러(20)를 회전시킬 수 있을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추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추진장치의 구동원(10), 구동축(11), 후방프로펠러(12), 전방프로펠러(20) 구성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입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변환구동장치의 모터(22)는 복수로 마련되며 기억박스의 전방에 구동축(11)을 중심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마련된다.
복수의 모터(22)와 기어박스(21) 사이에는 유성기어부(27)가 마련되어, 복수의 모터(22)에 의한 다축 회전 운동이 단축 회전 운동으로 변환되어 전달될 수 있다.
유성기어부(27)는 구동축(11)의 외면에 구동축(11)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도록 마련된다. 이를 위해, 유성기어부(27)와 구동축(11) 외면 사이에는 복수의 베어링(27a) 등이 마련될 수 있다.
유성기어부(27)는 태양기어와 일반적인 유성기어로 마련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기구로서 다축 회전 운동을 단축 회전 운동으로 전달하는 기구의 일례일 뿐,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다양한 기구가 적용되어 마련될 수 있다.
유성기어부(27)는 회전 운동을 기어박스(21)로 직접적으로 전달할 수 있으며, 또는 모터(22)와 기어박스(21) 사이에 커플링이 마련되어 커플링이 회전 운동을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선박용 추진장치는 추진 효율 및 에너지 효율을 최대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선박 운항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10: 구동원 11: 구동축
12: 후방프로펠러 20: 전방프로펠러
21: 기어박스 22: 모터
23: 차단기 24: 전력변환장치
25: 전력필터 26: 변압기
27: 유성기어부 30: 제어부
31: 회전속도센서 40: 연산부
50: 보정부

Claims (8)

  1. 구동축에 고정된 후방프로펠러;
    상기 후방프로펠러 전방의 상기 구동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전방프로펠러;
    상기 전방프로펠러와 연결되어 상기 전방프로펠러를 상기 후방프로펠러와 반대로 회전시키고, 상기 전방프로펠러가 외력에 의해 회전되어 발생되는 회전력을 전력으로 변환하는 변환구동장치;를 포함하는 선박용 추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구동장치는,
    상기 전방프로펠러를 회전시키는 모터와, 상기 모터를 구동시키고 전력 변환이 가능한 전력변환장치를 포함하는 선박용 추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와 상기 전방프로펠러 사이에는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전방프로펠러로 감속하여 전달하는 기어박스가 마련되는 선박용 추진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중공부를 가지는 중공축형 모터로 마련되고,
    상기 중공축형 모터는 상기 구동축이 통과되되, 상기 구동축의 외면과 이격되도록 마련되는 선박용 추진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복수개로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모터와 상기 전방프로펠러 사이에는 유성기어부가 마련되어 상기 복수의 모터의 다축 회전을 단축 회전으로 변환하여 전달하는 선박용 추진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구동장치는 상기 후방프로펠러의 회전 속도에 따라 선박 추진 효율이 최대화될 수 있는 상기 전방프로펠러의 회전 속도를 계산하여 상기 전력변환장치에 상기 전방프로펠러의 회전 속도 값을 제공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선박용 추진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구동장치는 상기 후방프로펠러의 회전 속도를 감지하는 회전속도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속도센서는 상기 후방프로펠러의 회전 속도 정보를 상기 제어부에 제공하는 선박용 추진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추진장치를 갖춘 선박.
KR1020150108522A 2015-07-31 2015-07-31 선박용 추진장치 및 이를 갖춘 선박 KR201700147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8522A KR20170014716A (ko) 2015-07-31 2015-07-31 선박용 추진장치 및 이를 갖춘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8522A KR20170014716A (ko) 2015-07-31 2015-07-31 선박용 추진장치 및 이를 갖춘 선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4716A true KR20170014716A (ko) 2017-02-08

Family

ID=58155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8522A KR20170014716A (ko) 2015-07-31 2015-07-31 선박용 추진장치 및 이를 갖춘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1471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215823A (zh) * 2023-03-22 2023-06-06 中国科学院宁波材料技术与工程研究所 一种导管式深海推进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7660B1 (ko) 2011-07-15 2013-05-2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상반회전 프로펠러용 축계 및 이를 포함하는 상반회전 프로펠러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7660B1 (ko) 2011-07-15 2013-05-2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상반회전 프로펠러용 축계 및 이를 포함하는 상반회전 프로펠러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215823A (zh) * 2023-03-22 2023-06-06 中国科学院宁波材料技术与工程研究所 一种导管式深海推进器
CN116215823B (zh) * 2023-03-22 2023-08-18 中国科学院宁波材料技术与工程研究所 一种导管式深海推进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53530C2 (ru) Движительная система
WO2019032065A1 (en) MULTI-STATE MARINE SUBMARINE PROPULAR ELECTRIC MOTOR FOR MARINE VEHICLES
US8604636B2 (en) Power generator
DK2280862T3 (en) Azimut-PROPELDRIVINDRETNING Low built TO A FLOATING INTERIOR
CN102556315A (zh) 一种船舶对桨式吊舱推进器装置
FI95451C (fi) Potkurikäyttöjärjestelmä
EP2658773B1 (en) Propulsion system
JP2014507329A (ja) 操舵および推進システムに推進パワーを供給するための装置
US10053201B2 (en) Method and apparatus in an electric propulsion arrangement of a sailing vessel
KR101215619B1 (ko) 선박용 추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US9074579B2 (en) Power generator
JP2012061939A (ja) 舶用推進装置
JP6539896B2 (ja) 船舶推進システム、船舶及び船舶推進方法
KR20120111209A (ko) 선박용 추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CN104229113B (zh) 吊舱式船舶电力直驱推进装置、推进系统及推进方法
KR101261867B1 (ko) 포드형 추진기 및 이를 구비하는 선박
RU2519590C2 (ru) Судовая двигательно-движительная установка
US20040134403A1 (en) Ship's steering unit whose angular position is servo-controlled by an electric motor
JP5433336B2 (ja) 旋回式プロペラ装置
KR20170014716A (ko) 선박용 추진장치 및 이를 갖춘 선박
JP6298967B2 (ja) 電気推進船用周波数変換装置及び電気推進船
JP2019069686A (ja) ハイブリッド推進装置
CN210618431U (zh) 一种永磁电机同转式吊舱推进器
RU2670341C1 (ru) Двигательно-движительный модуль кольцевой конструкции
CN110740930B (zh) 船舶推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