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4700A - 천정 앙카 전용 드릴 - Google Patents
천정 앙카 전용 드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14700A KR20170014700A KR1020150108478A KR20150108478A KR20170014700A KR 20170014700 A KR20170014700 A KR 20170014700A KR 1020150108478 A KR1020150108478 A KR 1020150108478A KR 20150108478 A KR20150108478 A KR 20150108478A KR 20170014700 A KR20170014700 A KR 2017001470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necting rod
- drill
- dust
- rod
- dust receptac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5/00—Hand-held or like portable drilling machines, e.g. drill guns; Equipment therefor
- B23B45/02—Hand-held or like portable drilling machines, e.g. drill guns; Equipment therefor driven by electric pow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5/00—Hand-held or like portable drilling machines, e.g. drill guns; Equipment therefor
- B23B45/003—Attach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7/00—Constructional features of components specially designed for boring or drilling machines; Accessories there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60/00—Details of constructional elements
- B23B2260/058—Dust cov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70/00—Details of turning, boring or drilling machines, processes or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2270/02—Use of a particular power source
- B23B2270/022—Electricit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70/00—Details of turning, boring or drilling machines, processes or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2270/54—Methods of turning, boring or drill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정 앙카작업 전용 드릴에 관한 것으로, 천정 높이까지 올라가지 않고 바닥에서 작업할 수 있는 기구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은, 원통 형상의 전동 드릴(1)과, 전동드릴 선단에 장착되는 비트(20)와, 전동 드릴(1) 외주에 설치되는 먼지받이(2)와, 먼지받이(2) 하부에 연결설치되는 연결대(7)와, 연결대(7) 내부에 설치되며, 드릴(1)과 결합되는 연결봉(5)과, 연결봉(5) 하부에 설치되는 조정봉(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드릴(1)하단에는 통전을 위한 단자부(31)부를 설치하고, 상기 연결대(7)에는 상기 단자부(31)와 결합 가능한 연결잭(32)을 설치하며, 연결잭(32)과 연결되는 도선의 하단부에는 제2연결잭(34)과 연결되고, 제2연결잭(34)은 조정봉에 설치되는 스위치(11)와 연결되고, 스위치(11)는 외부 전원(30)과 연결되는 외부전선(36)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조정봉(10)은 상부 선단에 숫나사(13)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봉(5)에는 암나사(14)를 형성하여 조정봉(10)의 장착 길이를 조절 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연결대(7)는 다각 형상의 기둥체로 이루어지며, 연결대(7) 외주에는 다각 형상의 연결대(7)를 감싸는 고정편(42)과, 고정편(42)에 연결되는 손잡이(41)를 갖춘 보조구(40)를 더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먼지받이(2) 하부에는 개구부(48)와 단자공(53)을 형성하고, 연결대(7) 상부에는 상부개구부(49)와 연결잭(32)을 설치하여, 드릴(1)의 단자부(31)가 단자공(53)을 관통하여 연결잭(32)에 연결되게 구성하고, 작업 중에 발생한 먼지나 이물질은 먼지받이(2)의 개구부(48)와 연결대(7)의 상부개구부(49)를 통하여 배출부(50)로 내려오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천정에 구멍을 뚫어 소정의 고정구를 설치하기 위한 앙카 작업을 하기에 적합한 천정 앙카 전용 드릴에 관한 것이다.
[문헌1] 특허 등록번호 10-1,465,614(등록일자 : 2014.11.20)
명칭 : 비산방지컵이 장착된 앙카 천공용 비트
종래의 일반적인 천정 앙카 작업은 천정에 타공을 위해 높은 구조물을 설치하거나 의자 등에 올라가 작업하므로 그 작업이 불편하고 작업자의 피로가 쉽게 빨리오고 안전사고의 위험도 있다.
또한 먼지나 이물질이 비산하므로, 주변이 더러워지고, 눈에 이물질이 들어갈 염려도 있어, 눈 보호 장비를 장착하고 작업하여야 하는 불편함도 있다.
또한 종래의 천공 작업시, 일반적인 드릴 비트 또는 건 형상의 드릴을 사용하는데 이 경우, 타공 깊이가 일률적이지 못하여 후속 작업의 정확성이 떨어지고 불편함이 발생한다. 그리고 너무 깊게 타공하여도 콘크리트 속에 매립된 전선관이나 통신관까지 타공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는 문제가 있다.
한편, 문헌 1 은 본 출원인에 의해 선등록된 발명으로 드릴 비트에 먼지받이가 설치된 구조의 것이다. 그러나 사실상 천정 작업시, 높은 구조물이나 의자 등을 설치하여 그 위에 올라가 작업을 하여야 하므로, 작업이 매우 불편하다.
또한 상기 문헌 1은 비트 주변을 둘러싸는 적은 용량의 먼지받이로 인해, 쌓여가는 이물질이나 먼지를 자주 비워주어야 하는 단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 천정 높이까지 올라가지 않고 바닥에서 작업할 수 있는 기구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또한, 먼지나 이물질이 비산하지 않고 충분히 받아낼 수 있으며, 타공 깊이가 일률적이어서 후속 작업의 정확성과 안전성이 보장되는 기구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또한 휴대용으로 휴대가 가능하고, 조립 분해가 자유롭고, 높이 미세 조정도 가능한 앙카용 드릴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은, 원통 형상의 전동 드릴(1)과, 전동드릴 선단에 장착되는 비트(20)와, 전동 드릴(1) 외주에 설치되는 먼지받이(2)와, 먼지받이(2) 하부에 연결설치되는 연결대(7)와, 연결대(7) 내부에 설치되며, 드릴(1)과 결합되는 연결봉(5)와, 연결봉(5) 하부에 설치되는 조정봉(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드릴(1)하단에는 통전을 위한 단자부(31)부를 설치하고, 상기 연결대(7)에는 상기 단자부(31)와 결합 가능한 연결잭(32)을 설치하며, 연결잭(32)과 연결되는 도선의 하단부에는 제2연결잭(34)과 연결되고, 제2연결잭(34)은 조정봉에 설치되는 스위치(11)와 연결되고, 스위치(11)는 외부 전원(30)과 연결되는 외부전선(36)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조정봉(10)은 상부 선단에 숫나사(13)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봉(5)에는 암나사(14)를 형성하여 조정봉(10)의 장착 길이를 조절 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연결대(7)는 다각 형상의 기둥체로 이루어지며, 연결대(7) 외주에는 다각 형상의 연결대(7)를 감싸는 고정편(42)과, 고정편(42)에 연결되는 손잡이(41)를 갖춘 보조구(40)를 더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먼지받이(2) 하부에는 개구부(48)와 단자공(53)을 형성하고, 연결대(7) 상부에는 상부개구부(49)와 연결잭(32)을 설치하여, 드릴(1)의 단자부(31)가 단자공(53)을 관통하여 연결잭(32)에 연결되게 구성하고, 작업 중에 발생한 먼지나 이물질은 먼지받이(2)의 개구부(48)와 연결대(7)의 상부개구부(49)를 통하여 배출부(50)로 내려오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천정 타공 작업시 사다리와 같은 구조물 위에 올라가지 않고 타공 가능하여 안전성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비산하는 먼지나 이물질을 일회용 봉투로 쉽게 장착하여 깨끗하고 간단하게 작업 및 처리 가능하다.
또한 별도의 복잡한 장비 없이, 먼지받이(2)의 높이, 조정봉(10)에 의한 높이 조절로 현장 작업에 맞는 높이를 조절하여 정확한 작업이 가능하고, 조립 분해가 가능하여 장비의 이동성, 보관성 및 취급이 편리하다.
또한 기존의 무거운 복합적인 드릴이 아닌 오직 한방향 타공작업만 가능한 작고 가벼운 드릴의 사용으로 최대한 경량화가 가능하다.
또한 투명 먼지받이(2) 구조로 인해 눈으로 작업 상태나 이물질의 집적 상태 등을 인안할 수 있어 작업의 안전성도 확보 된다.
도 1 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 는 전원 연결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 은 작업시 발생하는 먼지나 이물질의 이동 상황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2 는 전원 연결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 은 작업시 발생하는 먼지나 이물질의 이동 상황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의거 추가로 상술한다.
도 1 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먼저 직선형의 드릴(1)과, 드릴(1)을 둘러싸는 먼지받이(2)가 구성된다.
먼지받이(2)는 투명 재질로 만들어 내부에 먼지 등이 수용되는 상태를 볼 수 있게 하였다. 드릴(1) 하단에는 오목한 통공을 만들어 암나사를 형성하여 결합나사부(3)가 이루어지게 하고 이곳에는 연결봉(5)이 나사결합되어 조립된다. 먼지받이(2)의 하단면은 연결대(7)와 접하며, 연결대(7) 내부에 설치되는 연결봉(5)이 드릴(1)과 결합함으로 인해 먼지받이(2)는 움직이지 않게 고정 된다.
연결대(7)는 1개 이상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천정이 높을 경우에는 연결대(7)를 2~3개 설치하여 연결대(7)를 상호 나사 결합식으로 연결할 수도 있다. 이에 따른 연결봉(5)도 2개 또는 그 이상의 개수로 설치할 수 있다.
먼지받이(2)의 수직길이는 비트(20)의 선단부 높이를 고려하여 제작한다. 즉, 먼지받이(2) 상단에서 돌출하는 노출부(21) 높이 만큼 천공이 가능하므로, 이 노출부(21) 높이는 바로 천정 등의 타공 깊이가 되므로, 이렇게 만들면 타공 깊이를 조절할 필요가 없게 되어 정확한 타공작업이 일률적으로 이루어지고, 작업성이 우수한 시공이 가능하다. 조립형의 먼지받이(2)는 그의 높이가 각기 다른 여러 종류로 만들면 노출부(21)의 노출 높이가 각기 다르게 되므로, 타공 깊이를 조절하는 역할도 할 수 있어 요구되는 작업에 범용성을 제공하고 편리하다.
연결봉(5)의 하단에는 조정봉(10)이 조정봉(10)에는 스위치(11)가 설치된다. 이 스위치(11)는 드릴(1) 작동을 위한 스위치이다. 조정봉(10) 상단에는 숫나사(13)가 충분히 긴 길이로 형성되고, 연결봉(5) 하단 암나사(14)에는 숫나사(13) 길이에 대응되게 충분한 깊이로 암나사(14) 부분을 형성한다. 그리하여 조정봉(10)의 나사결합으로 높이의 미세 조정 기능이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도 2 는 드릴(1)로의 전원 공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드릴(1)은 하단에 전원 단자부(31)를 형성하고, 연결대(7) 상단에는 단자부(31)를 연결 가능한 연결잭(32)를 형성하여 조립시 제위치에서 단자부(31)와 연결잭(32)이 결합되게 한다. 연결잭(32)은 연결대(7)의 측면에 고정 내장한 내장도선(33)과 연결되어, 하부로 내려와 제2연결잭(34)과 연결된다. 제2연결잭(34)은 조정봉(10)에 구성된 하단도선(35)과 연결되고 하단도선(35)은 스위치(11)와 연결되고 스위치(11)는 외부 전선(36)과 연결되어 최종 전원(30)과 연결된다. 전원(30)에서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게 연결된 상태에서 스위치(11)의 온/오프 조절로, 드릴(1)에 전원 공급과 차단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도 1 에서 보듯이, 타공 작업시, 작업 보조구(40)가 더 추가로 사용 가능하다.
보조구(40)는 육각 형태의 고정편(42)이 선단을 이루고 후방에는 손잡이(41)가 구성된다. 보조구(40)는 먼지받이(2) 상부로부터 끼워 사용하거나 또는 고정편(42) 재질을 탄성체로 만들되 틈새(43)가 형성된 탄성체로 만들어, 고정편(42)의 틈새(43)를 벌려서 연결대(7) 몸체에 결합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대(7) 역시 몸체 외형상이 육각기둥 형상으로 만들어야 한다.
보조구(40)를 사용하는 이유는 연결대(7) 길이가 길어서 연결대(7)를 잡고 타공 작업하기가 불편하고 어려우며 정확한 작업이 안된다. 연결대(7)의 긴 길이로 인해 드릴(1)의 회전시 연결대(7)가 좌우로 진동으로 흔들림이 심하게 전달되어 정확하고 편리한 타공작업이 어렵게 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잡아 주기 위한 것이다.
보조구(40)를 먼지받이(2) 상부로 부터 끼울 경우, 먼지받이(2) 까지 육각으로 만들 필요는 없다. 왜냐하면 먼지받이(2) 외경을 고정편(42)의 육각 형상 내경에 수용되는 사이즈로 만들면 쉽게 삽입 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긴 길이로 이루어지는 연결대(7)는 반드시 잡아 주어야 할 필요가 있으므로 보조구(40)가 연결대(7)를 잡아 줄 수 있는 구조로 만들어야 한다. 비록, 보조구(40)를 육각 형상으로 만들었으나 이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다각형상의 다른 구조로 만들 수도 있다. 이에 상응하는 연결대(7) 역시 동일한 다각 구조로 만들어야 한다. 다각 형상으로 만드는 이유는 결국 연결대(7)를 잡아 주기 위한 것이다. 연결대(7)를 잡아주어야 하는 또 다른 이유는 드릴(1)의 회전력이 작동하면 그 회전하고자 하는 힘이 주변의 부재들에게도 작용하므로, 이러한 힘이 작용하면 연결대(7)의 상,하부에 설치되는 부품들인 드릴(1)과 먼지받이(2) 등의 부품들에게도 회전력이 전달되어 조립이 느슨해지거나 해체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도 2 에서 타공 작업에 따라 발생되는 분진이나 이물질의 수거에 대하여 설명한다.
비트의 천정 등에 대한 타공 작업시, 분진이나 이물질은 먼지받이(2)로 떨어진다. 먼지받이(2) 하부에는 서로 소통하게 연결되는 연결대(7)가 설치되어 있어 분진은 연결대(7)로 진입한다.
도 3 은 먼지받이(2)와 연결대(7)의 접촉부를 보여주는 요부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단자공(53)이 형성되어 도 2 에 도시한 드릴(1)의 단자부(31)가 삽입되게 하며, 단자받이(2) 하부에는 연결잭(32)이 설치된 연결대(7)가 설치되어, 단자부(31)가 이곳에 결합될 수 있게 한다. 분진이나 먼지는 처리는, 먼지받이(2)로 들어간 분진 등은 개구부(48)를 통하여 하부로 내려가고, 그리고 연결대(7)의 상부개구부(49)를 통하여 하부로 내려간다.
하부에 도달한 분진은, 확장된 구조의 배출부(50)로 진입한다. 배출부(50)에는 고정부(44)를 2곳 형성하여 이 고정부(44)에 수거봉지(46)가 고정되게 한다. 고정 방법은 한가지 예를들어, 고정나사(51)를 장착하여 수거봉지(46)를 고정할 수 있다. 그 외 다른 여러 고정방법으로도 고정가능하다.
수거봉지(46)는 좌우 양측에 2곳 설치하여 수거한다. 이와 같이 분진이 수거봉지(46)에 수거되면 고정부(44)에 결합시킨 고정나사(51)를 풀어서 수거봉지(46)를 분리하면 깨끗이 분진이나 이물질 등을 제거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작업이 매우 편리하고, 분진 등을 깨끗이 제거 가능하고 깨끗한 분위기에서 작업 가능하고, 안전사고도 방지 가능하다.
2 먼지받이 5 연결봉
7 연결대 10 조정봉
11 스위치 13 숫나사
14 암나사 20 비트
30 전원 31 단자부
32 연결잭 33 내장도선
34 제2연결잭 36 외부전선
40 보조구 41 손잡이
44 고정부 46 수거봉지
48 개구부 49 상부개구부
51 고정나사 53 단자공
7 연결대 10 조정봉
11 스위치 13 숫나사
14 암나사 20 비트
30 전원 31 단자부
32 연결잭 33 내장도선
34 제2연결잭 36 외부전선
40 보조구 41 손잡이
44 고정부 46 수거봉지
48 개구부 49 상부개구부
51 고정나사 53 단자공
Claims (5)
-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하부에는 결합나사부(3)를 형성하는 전동드릴(1)과,
전동드릴 선단에 장착되는 비트(20)와,
전동 드릴(1) 외주에 설치되는 먼지받이(2)와,
먼지받이(2) 하부에 연결설치되며 하부는 먼지나 이물질의 배출부(50)를 형성하는 연결대(7)와,
연결대(7) 내부에 설치되며, 드릴(1)의 결합나사부(3)와 결합되는 연결봉(5)과,
연결봉(5) 하부에 설치되는 조정봉(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앙카 전용 드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릴(1)하단에는 통전을 위한 단자부(31)부를 설치하고,
상기 연결대(7)에는 상기 단자부(31)와 결합 가능한 연결잭(32)을 설치하며,
연결잭(32)과 연결되는 도선의 하단부에는 제2연결잭(34)과 연결되고,
제2연결잭(34)은 조정봉에 설치되는 스위치(11)와 연결되고,
스위치(11)는 외부 전원(30)과 연결되는 외부전선(36)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앙카 전용 드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봉(10)은 상부 선단에 숫나사(13)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봉(5)에는 암나사(14)를 형성하여 조정봉(10)의 장착 길이를 조절 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앙카 전용 드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7)는 다각 형상의 기둥체로 이루어지며, 연결대(7) 외주에는 다각 형상의 연결대(7)를 감싸는 고정편(42)과, 고정편(42)에 연결되는 손잡이(41)를 갖춘 보조구(40)를 더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앙카 전용 드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받이(2) 하부에는 개구부(48)와 단자공(53)을 형성하고, 연결대(7) 상부에는 상부개구부(49)와 연결잭(32)을 설치하여, 드릴(1)의 단자부(31)가 단자공(53)을 관통하여 연결잭(32)에 연결되게 구성하고,
작업 중에 발생한 먼지나 이물질은 먼지받이(2)의 개구부(48)와 연결대(7)의 상부개구부(49)를 통하여 배출부(50)로 내려와, 배출부(50)에 형성한 고정부(44)가 고정된 수거봉지(46)에 투입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앙카 전용 드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08478A KR20170014700A (ko) | 2015-07-31 | 2015-07-31 | 천정 앙카 전용 드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08478A KR20170014700A (ko) | 2015-07-31 | 2015-07-31 | 천정 앙카 전용 드릴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70001710U Division KR200484836Y1 (ko) | 2017-04-06 | 2017-04-06 | 천정 앙카 전용 드릴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14700A true KR20170014700A (ko) | 2017-02-08 |
Family
ID=58155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08478A KR20170014700A (ko) | 2015-07-31 | 2015-07-31 | 천정 앙카 전용 드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70014700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848166A1 (en) | 2020-01-07 | 2021-07-14 | DaeMyoungGEC Co., Ltd. | Construction robot for ceiling |
-
2015
- 2015-07-31 KR KR1020150108478A patent/KR20170014700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848166A1 (en) | 2020-01-07 | 2021-07-14 | DaeMyoungGEC Co., Ltd. | Construction robot for ceiling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717137B2 (en) | Drill bit with an exchangeable cutting portion | |
DE102005023186A1 (de) | Staubfangvorrichtung | |
CN106677717B (zh) | 一种煤矿用可快速拆卸与连接的钻杆 | |
KR20170014700A (ko) | 천정 앙카 전용 드릴 | |
KR200484836Y1 (ko) | 천정 앙카 전용 드릴 | |
CN208812028U (zh) | 一种竖直打孔接灰装置 | |
EP4406716A1 (en) | Jig set for constructing ceiling anchor bolt and installing full thread bolt and full thread bolt construction method using same | |
CN218628348U (zh) | 可拆卸式建筑物沉降标志 | |
JP2018099754A (ja) | 吊りボルト取付装置 | |
CN212517848U (zh) | 一种快速取拔装置 | |
CN108139302A (zh) | 供测量土壤气体使用的装置及使用方法 | |
CN212428014U (zh) | 一种具有掉落阻拦结构的建筑施工用吊篮 | |
CN202325344U (zh) | 穿心打捞防止快速接头落井装置 | |
CN103603626A (zh) | 短管落物内打捞器 | |
CN206322867U (zh) | 脚踏式接地极 | |
AU2013201729B2 (en) | A Swarf Collection Device | |
CN209818481U (zh) | 一种可调式螺栓锁紧机构 | |
CA2904314A1 (en) | Drill bit system and method for forming holes in materials | |
CN216305842U (zh) | 一种钎具连接装置 | |
KR200235273Y1 (ko) | 형광램프 착탈장치 | |
KR200416286Y1 (ko) | 부싱삽입기 | |
KR20160084023A (ko) | 햄머드릴용 비산방지 장치 | |
CN217964928U (zh) | 一种组装式钻头 | |
CN110000934A (zh) | 一种用于建筑装修装饰的打孔装置 | |
CN203559831U (zh) | 采油井下工具释放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