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4486A - 펌프타워 플랫폼 - Google Patents

펌프타워 플랫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4486A
KR20170014486A KR1020150107948A KR20150107948A KR20170014486A KR 20170014486 A KR20170014486 A KR 20170014486A KR 1020150107948 A KR1020150107948 A KR 1020150107948A KR 20150107948 A KR20150107948 A KR 20150107948A KR 20170014486 A KR20170014486 A KR 201700144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platform
foot
pump tower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7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인
박동희
진용민
방창선
이재훈
허원석
황정오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07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14486A/ko
Publication of KR20170014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44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pipe-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3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transfer at sea between ships or between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 B63B27/3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transfer at sea between ships or between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using pipe-lines
    • B63B9/00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34Scaffold constructions able to be folded in prismatic or flat parts or able to be turned dow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미작업 시 접이가 가능하고 접이가 용이한 펌프타워 플랫폼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펌프타워 플랫폼은 일측이 복수의 주배관의 외측면에 힌지결합되는 발판부; 하단이 발판부의 타측에 힌지결합되는 난간부; 일단이 난간부의 상단에 연결되어 장력을 제공함으로써 발판부와 난간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주배관을 따라 마련되어 주배관의 길이방향으로 상하 이동하고, 지지부의 타단이 연결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구동부의 상하 이동에 의해 발판부와 난간부의 접이와 펼침이 가능하다.

Description

펌프타워 플랫폼{Platform for pump tower}
본 발명은 펌프타워 플랫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미작업 시 접이가 가능하고 접이가 용이한 펌프타워 플랫폼에 관한 것이다.
액화천연가스(LNG)를 수송하는 운반선에는 대략 -163℃의 초저온 상태로 액화시킨 액체 화물(액화천연가스)의 보관 및 저장을 위한 저장 탱크(storage tank)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저장 탱크에는 펌프타워가 설치되며, 상기 펌프타워는 액화천연가스의 하역(荷役)을 위한 통로 역할이 가능하도록 대형의 파이프 구조물 형태로 제공된다.
펌프타워는 일반적으로 2개의 방출 파이프(discharge pipe) 및 1개의 응급 파이프(emergency pipe)를 구비하고, 상기 파이프들이 서로 연결 고정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펌프타워는 특히 파이프들 간을 서로 연결 고정하는 작업이 용이하면서 안정적인 연결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연결 고정 구조를 갖도록 제작하는 것이 중요하다.
펌프타워의 파이프 연결 고정 구조는 대부분 3개의 파이프들이 트라이포트(tripod) 배열을 가지며 서로 평행한 상태로 간격을 띄우고 연결 부재들로 연결 고정된 구조가 알려져 있다.
방출 파이프를 작업장 바닥에 마련된 받침대에 배치한 후, 구조물식 대형 지그를 2개의 방출 파이프 상에 설치하여 브레이싱 파이프의 설치 위치 및 설치 각도를 안내한다.
받침대 위에 2개의 방출 파이프를 배치한 다음 2개의 파이프 사이에 이들을 연결하는 브레이싱 파이프를 설치하여 하부조립을 완료한다. 그 후 구조물식 대형 지그를 설치한다. 그런 다음 지그의 상부 홈에 응급 파이프를 배치한 후 상기 응급 파이프와 2개의 방출 파이프 사이에 각각 브레이싱 파이프를 설치한다. 그 후, 구조물식 대형 지그를 해체한 후, 플랫폼(족장 또는 발판)을 설치하는 단계를 거치게 된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56529호 (2014.05.12. 공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미작업 시 접이가 가능할 수 있는 펌프타워 플랫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복수로 마련된 플랫폼을 동시에 접이 및 펼침이 용이할 수 있는 펌프타워 플랫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일측이 복수의 주배관의 외측면에 힌지결합되는 발판부; 상기 발판부의 타측에 하단이 힌지결합되는 난간부; 일단이 상기 난간부의 상단에 연결되어 장력을 제공하여 상기 발판부와 상기 난간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타단이 연결되고, 상기 주배관을 따라 마련되어 상기 주배관의 길이방향으로 상하 이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의 상하 이동에 의해 상기 발판부와 상기 난간부의 접이와 펼침이 가능한 펌프타워 플랫폼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의 타단과 상기 구동부는 체결핀에 의해 핀결합하는 펌프타워 플랫폼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를 따라 상기 구동부의 좌우 움직임을 제한하는 레일부를 더 포함하는 펌프타워 플랫폼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가 아래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지지부의 장력의 세기가 감소되어 상기 발판부와 상기 난간부가 자중에 의해 힌지축을 중심으로 아래 방향으로 회전이동하며 접히는 펌프타워 플랫폼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판부, 상기 난간부, 및 상기 지지부는 복수로 마련되어 상기 구동부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마련되는 펌프타워 플랫폼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가 상하로 이동되면 상기 복수의 발판부와 상기 복수의 난간부가 동시에 접히거나 펼쳐지는 펌프타워 플랫폼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펌프타워 플랫폼은 접이가 가능함으로써, 작업자가 작업하지 않는 경우 플랫폼을 접어 선박이 액화천연가스를 안정적으로 운반할 수 있으며, 운반 시 액화천연가스의 유동에 의하여 플랫폼에 변형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타워 플랫폼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를 확대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와 구동부의 체결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가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여 플랫폼이 접히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이 접힌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제시한 실시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타워 플랫폼은 선박에 사용될 수 있다. 선박은 사람이나 물자를 싣고 물 위를 이동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의 선박은 물 위에 부유하는 해양플랜트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타워 플랫폼(10)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타워의 기본 구성은 일반적인 선박에 설치되는 펌프타워와 마찬가지로 다수개로 이루어진 상하방향으로 설치된 주배관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복수의 주배관은 병렬식으로 나란히 배열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주배관의 개수와 배치 모양은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타워 플랫폼(10)은 주배관이 모두 병렬식으로 나란히 배열되지 않아도 복수개의 주배관이 나란히 마련된다면 설치가 가능할 것이다.
주배관은 주로 액화천연가스의 배출파이프(Discharge Pipe)(2a, 2b)와 충전파이프(Filling Pipe)(1) 그리고 응급파이프(Emergency Pipe)(3)와 같은 성격으로 사용되는데, 그 성격에 따른 개수는 조절될 수 있다.
플랫폼(10)은 작업자가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장치로서, 펌프타워의 일측에 복수개로 마련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10)은 발판부(11), 난간부(12), 지지부(13), 및 구동부(14)를 포함한다.
발판부(11)는 작업자가 발로 지지하여 작업할 수 있도록 판 형태로 마련된다. 발판부(11)는 일측이 복수의 주배관에 힌지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발판부(11)는 복수의 주배관에 힌지결합되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여, 발판부(11)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이 복수의 주배관의 외측면에 접하도록 접이가 가능할 수 있다.
난간부(12)는 하단이 발판부(11)의 타측에 힌지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난간부(12)는 발판부(11)에 지지하여 서있는 작업자가 발판부(11) 바깥측으로 나가게 되어 작업자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난간부(12)는 일반적으로 공중에 설치되는 난간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자세히 설명하는 것은 생략하도록 하겠다.
난간부(12)는 발판부(11)의 타측과 힌지결합되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따라서, 난간부(12)의 양측면 중 어느 일면이 발판부(11)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과 밀착이 가능하여 발판부(11)와 난간부(12)가 주배관의 외측면에 접하도록 접이가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판부(11)와 난간부(12)는 접이가 가능한 것으로, 발판부(11)가 아래방향으로 접히고 난간부(12)가 발판부(11)의 상부면 방향으로 접히게 되는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법으로 접힐 수 있을 것이다.
발판부(11)와 난간부(12)가 접히고 펼쳐지는 과정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지지부(13)는 일단이 난간부(12)의 상단부와 연결되어 장력을 제공함으로써, 난간부(12) 또는 발판부(11)가 작업자의 작업공간이 마련되도록 모양을 유지할 수 있다. 즉, 지지부(13)는 발판부(11)와 난간부(12)가 “ㄴ” 자 모양을 유지하도록 난간부(12)의 상단을 위 방향으로 끌어당기게 된다.
지지부(13)는 난간부(12)의 상단부와 연결되어 장력을 제공할 수 있다면, 바 형태로 마련되거나 와이어로 마련되는 등 다양한 형태 및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구동부(14)는 병렬식으로 나란하게 배치된 주배관 중 양측에 배치된 주배관에 길이방향으로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구동부(14)는 와이어, 체인 또는 바 형태 등 다양한 형태 및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구동부(14)는 복수의 지지부(13)의 타단이 각각 이격되게 연결된다. 따라서, 구동부(14)가 상하로 이동함에 따라 복수의 지지부(13)가 상하로 이동하여 북수의 발판부(11) 및 난간부(12)가 자중에 의해 접히거나 지지부(13)의 장력에 의해 펼쳐지는 것이 동시에 적용될 수 있다.
구동부(14)의 움직임에 따라 플랫폼(10)에 접히거나 펼쳐지는 과정은 후술하도록 하겠다.
다음으로는, 지지부(13)의 타단과 구동부(14)가 체결되어 연결되는 구성에 대해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2는 도 1의 A를 확대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와 구동부(14)의 체결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와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부(13)의 타단은 구동부(14)에 체결되어 연결된다. 지지부(13)의 타단에는 구동부(14)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이 마련되고 수용홈 양측에는 핀홀(13a)이 마련된다.
구동부(14)는 지지부(13)의 수용홈에 수용되고 지지부(13)의 핀홀(13a)과 동축상으로 체결홀(14a)이 마련된다. 이에, 지지부(13)의 핀홀(13a)과 구동부(14)의 체결홀(14a)을 동축상으로 일치시킨 후 체결핀(13b)을 삽입하여 지지부(13)와 구동부(14)를 체결하여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지지부(13)와 구동부(14)를 체결핀(13b)을 이용하여 핀결합하는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이는 일례일 뿐 나사결합 등 다양한 방법으로 체결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타워 플랫폼(10)은 구동부(14)를 보호하고 구동부(14)가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동부(14)를 따라 양측으로 레일부(16)가 더 마련될 수 있다.
레일부(16)는 구동부(14)와 연결된 지지부(13)의 좌우 이동을 제한할 수 있으며, 지지부(13)와 구동부(14)의 체결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복수의 플랫폼(10) 중 가장 하단에 마련되는 플랫폼(10)에 있어서, 그 플랫폼(10)의 지지부(13)는 따로 마련되지 않고 구동부(14)의 끝단이 난간부(12)의 상단에 연결되어 장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도 1을 참조하면 고정도르래(16)가 마련되어 구동부(14)의 방향을 전환하여 난간부(12)의 상단에 바로 연결됨으로써 난간부(12)와 발판부(11)에 장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일례일 뿐, 위에서 설명한 플랫폼(10)과 동일한 구성으로 난간부(12) 또는 발판부(11)에 장력이 제공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다음으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10)이 접히고 펼쳐지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14)가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여 플랫폼(10)이 접히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10)이 접힌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와 도 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14)가 아래로 이동하게 되면, 지지부(13)의 지지 장력의 세기가 감소되고 이에 따라 발판부(11)와 난간부(12)는 자중에 의하여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다만, 발판부(11)와 난간부(12)는 자중에 의해 아래로 이동되나 힌지결합되어 있으므로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아래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구동부(14)가 아래로 더 이동하게 되어 지지부(13)의 장력의 세기가 현저히 감소되면 도 5와 같이 발판부(11)는 주배관의 외측면에 접하게 되고 난간부(12)는 발판부(11)의 상부면에 접하게되어 완전히 접힐 수 있다.
이 과정과 반대로 구동부(14)가 위로 이동하여 난간부(12)에 장력이 제공되면 난간부(12)가 발판부(11)와 떨어져 세워지고, 발판부(11)는 주배관의 외측면과 떨어짐으로써 펼쳐질 수 있다.
플랫폼(10)이 펼쳐지는 과정은 위세서 설명한 접히는 과정의 반대 과정이므로 자세히 설명하는 것은 생략하도록 하겠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14)는 위아래로 이동하는 방법은 펌프타워의 최상단부에 모터(미도시) 등이 마련되어 구동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하여는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타워 플랫폼(10)은 접이가 용이하고, 구동부(14)의 이동에 따라서 복수의 복수의 플랫폼(10)이 동시에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작업하지 않는 경우 플랫폼(10)을 접어 선박이 액화천연가스를 안정적으로 운반할 수 있으며, 운반 시 액화천연가스의 유동에 의하여 플랫폼(10)에 변형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 충전파이프 2: 배출파이프
3: 응급파이프 10: 플랫폼
11: 발판부 12: 난간부
13: 지지부 13a: 핀홀
13b: 체결핀 14: 구동부
14a: 체결홀 15: 레일부
16: 고정도르래

Claims (6)

  1. 일측이 복수의 주배관의 외측면에 힌지결합되는 발판부;
    하단이 상기 발판부의 타측에 힌지결합되는 난간부;
    일단이 상기 난간부의 상단에 연결되어 장력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발판부와 상기 난간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주배관을 따라 마련되어 상기 주배관의 길이방향으로 상하 이동하고, 상기 지지부의 타단이 연결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의 상하 이동에 의해 상기 발판부와 상기 난간부의 접이와 펼침이 가능한 펌프타워 플랫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타단과 상기 구동부는 체결핀에 의해 핀결합하는 펌프타워 플랫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를 따라 상기 구동부의 좌우 움직임을 제한하는 레일부를 더 포함하는 펌프타워 플랫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가 아래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지지부의 장력의 세기가 감소되어 상기 발판부와 상기 난간부가 자중에 의해 힌지축을 중심으로 아래 방향으로 회전이동하며 접히는 펌프타워 플랫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부, 상기 난간부, 및 상기 지지부는 복수로 마련되어 상기 구동부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마련되는 펌프타워 플랫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가 상하로 이동되면 상기 복수의 발판부와 상기 복수의 난간부가 동시에 접히거나 펼쳐지는 펌프타워 플랫폼.
KR1020150107948A 2015-07-30 2015-07-30 펌프타워 플랫폼 KR201700144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7948A KR20170014486A (ko) 2015-07-30 2015-07-30 펌프타워 플랫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7948A KR20170014486A (ko) 2015-07-30 2015-07-30 펌프타워 플랫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4486A true KR20170014486A (ko) 2017-02-08

Family

ID=58155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7948A KR20170014486A (ko) 2015-07-30 2015-07-30 펌프타워 플랫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1448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50075A (zh) * 2019-03-29 2019-06-07 上海海事大学 一种邮轮工装货物升降装卸平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6529A (ko) 2012-10-29 2014-05-1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Lng 펌프 타워 브레이싱 파이프 고정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6529A (ko) 2012-10-29 2014-05-1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Lng 펌프 타워 브레이싱 파이프 고정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50075A (zh) * 2019-03-29 2019-06-07 上海海事大学 一种邮轮工装货物升降装卸平台
CN109850075B (zh) * 2019-03-29 2023-09-19 上海海事大学 一种邮轮工装货物升降装卸平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7403B1 (ko)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
US7025546B2 (en) Vehicle support frame
US20150267396A1 (en) Expandable iso shelters
US20060153656A1 (en) Vehicle support frame
US20100175951A1 (en) Access apparatus
KR100796628B1 (ko) Lng선박의 카고 탱크의 단열 시스템 설치용 비계장치 및비계설치방법
KR101615107B1 (ko) 탑승함 구조
JP2007239448A (ja) 足場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断熱システムの設置方法
ES2741659T3 (es) Tarima y estructura de soporte
US8424643B1 (en) Boat work platform
KR20170014486A (ko) 펌프타워 플랫폼
KR101265273B1 (ko) 선박용 승하선 사다리
US20180022420A1 (en) Method for installing gantry tower crane for use in cargo tank checking
EP1819547B1 (en) Floating vehicle support deck
KR101644293B1 (ko) 발사체 단 이송 및 기립장치
KR102587951B1 (ko) 유조차용 폴딩 스테어
KR200493150Y1 (ko) 잭업리그 레그용 곤돌라 장착장치
KR100779604B1 (ko) Cog 배관 청소용 안전발판
CN104453689B (zh) 移动折叠检修平台
KR20110054719A (ko) 호퍼 검사용 휴대사다리
GB2170542A (en) Mobile platform
ITMO20070033A1 (it) Cabina passeggeri per giostre.
KR20160001148A (ko) 화물창의 이동식 타워 크레인 및 그 설치방법
TW201809431A (zh) 圓筒型槽的建構方法
UA52532C2 (uk) Удосконалений складаний самовстановлюваний тра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