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4398A - 휴대 디바이스를 구비한 무선 통신 시스템 및 그에 의한 엑세스 포인트 접속 방법, 그리고 이를 실행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휴대 디바이스를 구비한 무선 통신 시스템 및 그에 의한 엑세스 포인트 접속 방법, 그리고 이를 실행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4398A
KR20170014398A KR1020150107723A KR20150107723A KR20170014398A KR 20170014398 A KR20170014398 A KR 20170014398A KR 1020150107723 A KR1020150107723 A KR 1020150107723A KR 20150107723 A KR20150107723 A KR 20150107723A KR 20170014398 A KR20170014398 A KR 201700143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rc
connection
cell
timer
connection requ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7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석태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501077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14398A/ko
Publication of KR20170014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43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20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33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 H04W76/02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Y02B60/50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끊김없는 신호 접속 성공률을 높이기 위하여 무선 네트워크 내의 엑세스 포인트로 임의의 랜덤 엑세스를 통해 3GPP 규격에 정의된 RRC 타이머(T300)의 기설정 시간이내 RRC 접속을 시도한 후, 접속되지 않음과 동시에, 상기 RRC 타이머(T300)가 기설정된 횟수만큼 만료될 경우, 제1 접속 요청 셀을 블랙리스트로 등록하고, 블랙리스트에 등록되지 않고 신호 세기가 큰 제2 접속 요청 셀을 순서대로 선택하여 상기 RRC 접속을 재시도하고, 상기 기설정된 횟수만큼 만료되지 않을 경우, 상기 제2 접속 요청 셀을 선택하여 상기 RRC 접속을 재시도하는 제어 프로세서를 포함함으로써, RRC 접속 성공률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 디바이스를 구비한 무선 통신 시스템 및 그에 의한 엑세스 포인트 접속 방법, 그리고 이를 실행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HAVING PORTABLE DEVICE AND ACCESS POINT CONNECTION METHOD THEREBY,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PERFORMING THE SAME}
본 발명은 휴대 디바이스를 구비한 무선 통신 시스템 및 그에 의한 엑세스 포인트 접속 방법, 그리고 이를 실행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끊김없는 신호 접속 성공률을 높일 수 있는 휴대 디바이스를 구비한 무선 통신 시스템 및 그에 의한 엑세스 포인트 접속 방법, 그리고 이를 실행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 다중 엑세스 통신 시스템은 다수의 휴대 단말기에 대한 접속을 동시에 지원할 수 있다. 이럴 경우, 휴대 단말기는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시 실제 데이터, 음성 또는 문자 데이터등을 전송하기전 상위 링크(Uplink) 동기화를 맞추기 위하여 무선 네트워크내에 있는 액세서 포인트, 예컨대 엑세스 포인트으로 랜덤 엑세스(Random Access)를 시도한다.
이러한 랜덤 엑세스는 모든 신호 데이터 전송 이전에 항상 거쳐야 하는 절차로서 성공시 RRC(Radio Resource Control)에서 지원하는 RRC 신호를 통해 제어 정보를 엑세스 포인트에서 수신하고 엑세스 포인트를 통해 송수신 휴대 단말기간 실제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었다.
그러나, 랜덤 엑세스가 실패할 경우, 종래의 휴대 단말기는 'No service'라는 메시지를 수신하였다. 이러한 서비스 실패 메시지를 받는 이유는 무선 네트워크 예컨대 LTE 무선 네트워크 문제로 인하여 슬리핑 셀(sleeping cell : Downlink 신호는 방사되지만 호 처리 못하는 Cell) 상태에서 발생되었기 때문이거나 엑세스 포인트 운영 설정 잘못 및 엑세스 포인트 장비 문제로 인하여 하위링크(Downlink) 및 상위링크(Uplink)간 커버리지 영역이 다르게 운영되어 링크 언벨런스(Link unbalance) 셀에서 발생되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종래의 휴대 단말기는 LTE 무선 네트워크의 신호 세기만 확인할 수 있을 뿐, 실제 데이터를 받을 수 있는지에 대한 health check는 하지 않았기 때문에 신호 세기는 좋지만 RRC 접속 확률이 떨어져 'No service'라는 메시지를 계속적으로 수신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RRC 타이머(T300)의 기설정된 횟수 만료를 이용하여 서비스 실패 셀을 블랙리스트로 처리하고, 블랙리스트에 오르지 않은 셀 선택을 통해 RRC 접속 확률을 높일 수 있는 휴대 디바이스를 구비한 무선 통신 시스템 및 그에 의한 엑세스 포인트 접속 방법, 그리고 이를 실행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네트워크 내의 엑세스 포인트로 임의의 랜덤 엑세스(Random Access)를 통해 3GPP 규격에 정의된 RRC 타이머(T300)의 기설정 시간이내 RRC(Radio Resource Control) 접속을 시도한 후, 접속되지 않음과 동시에, 상기 RRC 타이머(T300)가 기설정된 횟수만큼 만료될 경우, 제1 접속 요청 셀을 블랙리스트(blacklist)로 등록하고, 블랙리스트에 등록되지 않고 신호 세기가 큰 제2 접속 요청 셀을 순서대로 선택하여 상기 RRC 접속을 재시도하고, 상기 기설정된 횟수만큼 만료되지 않을 경우, 상기 제2 접속 요청 셀을 선택하여 상기 RRC 접속을 재시도하는 제어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휴대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 프로세서는 상기 RRC 타이머(T300)가 기설정된 횟수만큼 만료되지 않을 경우 상기 블랙리스트에 등록된 제1 접속 요청 셀을 포함한 상기 제2 접속 요청 셀을 순서대로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제어 프로세서는 상기 RRC 접속전 상기 RRC 타이머를 구동시키는 타이머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프로세서는 상기 타이머 구동부에서 구동된 구동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구동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접속 요청 셀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상기 제1 접속 요청 셀을 이용하여 상기 랜덤 엑세스를 시도하는 셀 접속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프로세서는 상기 랜덤 엑세스를 시도한 후, 상기 RRC 타이머(T300)의 기설정 시간이내 상기 RRC 접속이 성공했는지를 판단하는 RRC 셋업 판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RRC 셋업 판단부는 상기 RRC 접속이 성공했다고 판단할 경우 상기 블랙리스트로 등록된 제1 접속 요청 셀을 해제할 수 있다.
상기 제어 프로세서는 상기 RRC 접속이 실패했다고 판단될 경우 상기 RRC 셋업 판단부로부터 상기 RRC 타이머의 횟수를 증가시킨 횟수 증가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횟수 증가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RRC 타이머가 기설정된 횟수만큼 만료되었는지를 판단하는 타이머 만료 판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프로세서는 상기 타이머 만료 판단부의 판단 결과, 기설정된 횟수만큼 만료될 경우 상기 제1 접속 요청 셀을 블랙리스트(blacklist)로 등록하는 블랙리스트 등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프로세서는 상기 블랙리스트 등록부로부터 블랙리스트 등록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블랙리스트 등록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블랙리스트에 등록되지 않고 신호 세기가 큰 제2 접속 요청 셀을 선택하는 대체 셀 접속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체 셀 접속부는 상기 제2 타이머 만료 판단부의 판단 결과, 기설정된 횟수만큼 만료되지 않을 경우 미만료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미만료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접속 요청 셀을 선택하고, 선택된 상기 제2 접속 요청 셀에 대응하여 셀 접속 재요청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타이머 구동부는 상기 대체 셀 접속부로부터 셀 접속 재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셀 접속 재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RRC 타이머를 재 구동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a) 무선 네트워크 내의 엑세스 포인트로 임의의 랜덤 엑세스(Random Access)를 통해 3GPP 규격에 정의된 RRC 타이머(T300)의 기설정 시간이내 RRC(Radio Resource Control) 접속을 제어 프로세서에서 시도하는 단계, (b) 상기 RRC 접속이 되지 않음과 동시에, 상기 RRC 타이머(T300)가 기설정된 횟수만큼 만료되었는지를 제어 프로세서에서 확인할 경우, 제1 접속 요청 셀을 블랙리스트(blacklist)로 등록하고, 블랙리스트에 등록되지 않고 신호 세기가 큰 제2 접속 요청 셀을 순서대로 상기 제어 프로세서에서 선택하여 상기 RRC 접속을 재시도하는 단계, 및 (c) 상기 기설정된 횟수만큼 만료되지 않을 경우, 상기 제2 접속 요청 셀을 상기 제어 프로세서에서 선택하여 상기 RRC 접속을 재시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디바이스의 엑세스 포인트 접속 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기설정된 횟수만큼 만료되지 않을 경우, 상기 블랙리스트에 등록된 제1 접속 요청 셀을 포함한 상기 제2 접속 요청 셀을 순서대로 선택할 수 있다.
상기 (a) 단계는 (a-1) 상기 타이머 구동부에서 구동된 구동 신호를 셀 접속부에서 수신하고, 상기 구동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접속 요청 셀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상기 제1 접속 요청 셀을 이용하여 상기 랜덤 엑세스를 셀 접속부에서 시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 단계는 (a-2) 상기 랜덤 엑세스가 시도된 후, 상기 RRC 타이머(T300)의 기설정 시간이내 상기 RRC 접속이 성공했는지를 RRC 셋업 판단부에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a-2) 단계는 상기 RRC 접속이 성공했다고 RRC 셋업 판단부에서 판단할 경우 상기 블랙리스트로 등록된 제1 접속 요청 셀을 해제시킬 수 있다.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RRC 접속이 실패했다고 판단될 경우 상기 RRC 셋업 판단부로부터 상기 RRC 타이머의 횟수를 증가시킨 횟수 증가 신호를 타이머 만료 판단부에서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b-1) 단계는 수신된 상기 횟수 증가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RRC 타이머가 기설정된 횟수만큼 만료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b) 단계는 (b-2) 상기 타이머 만료 판단부의 판단 결과, 기설정된 횟수만큼 만료될 경우 상기 제1 접속 요청 셀을 블랙리스트 등록부에다가 블랙리스트(blacklist)로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b) 단계는 (b-3) 상기 블랙리스트 등록부로부터 블랙리스트 등록 신호를 대체 셀 접속부에서 수신하고, 상기 블랙리스트 등록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블랙리스트에 등록되지 않고 신호 세기가 큰 제2 접속 요청 셀을 상기 대체 셀 접속부에서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b-3) 단계는 상기 제2 타이머 만료 판단부의 판단 결과, 기설정된 횟수만큼 만료되지 않을 경우 미만료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미만료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접속 요청 셀을 선택하고, 선택된 상기 제2 접속 요청 셀에 대응하여 셀 접속 재요청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타이머 구동부에서 구동시키는 단계는 수신된 상기 셀 접속 재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RRC 타이머를 재 구동시킬 수 있다.
본 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휴대 디바이스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는 액세스 포인트, 및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 데이터 전송되기전 RRC 접속을 시도하여 성공하면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고, 실패시 서비스 실패 메시지를 수신하는 휴대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휴대 디바이스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 내의 엑세스 포인트로 임의의 랜덤 엑세스(Random Access)를 통해 3GPP 규격에 정의된 RRC 타이머(T300)의 기설정 시간이내 RRC(Radio Resource Control) 접속을 시도한 후, 접속되지 않음과 동시에, 상기 RRC 타이머(T300)가 기설정된 횟수만큼 만료될 경우, 제1 접속 요청 셀을 블랙리스트(blacklist)로 등록하고, 블랙리스트에 등록되지 않고 신호 세기가 큰 제2 접속 요청 셀을 순서대로 선택하여 상기 RRC 접속을 재시도하고, 상기 기설정된 횟수만큼 만료되지 않을 경우, 상기 제2 접속 요청 셀을 선택하여 상기 RRC 접속을 재시도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는 엑세스 포인트의 신호 세기가 좋더라도 실제 서비스가 불가능하면 T300 타이머가 몇회 연속 동작하는지를 판단하여 해당 셀을 블랙리스트 처리하고, 블랙리스트에서 제외된 다른 셀을 선택하도록 함으로써 RRC 접속 성공률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하여, 본 실시예는 랜덤 엑세스가 불가능 한 셀에 계속 머물러 불필요한 배터리 소모가 많은 것을 위와 같이 RRC 접속 확률을 높여 배터리 소모 전력을 최대한 절약할 수 있다.
더나아가, 본 실시예는 PCI 단위로 되어 있는 블랙리스트 때문에 RRC 접속이 성공되면 블랙리스트에 있는 해당 셀을 지워 차후 동일한 PCI로 사용중인 다른 셀로 핸드오버가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일례를 도식화하여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제어 프로세서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디바이스에 의한 엑세스 포인터 접속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엑세스 포인터 접속 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개시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의 본 명세서에서 다양하게 기재된 실시예들의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들, 예컨대 제1, 제2 등이 본 명세서에서 다양한 요소들을 기재하는데 사용되지만, 이들 요소들은 이들 용어들로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하나의 요소를 다른 요소를 구별하기 위한 용도로서 사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다양하게 기재된 실시예들의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는 특정 실시예들을 기재하는 목적만을 위한 것일 뿐,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다양하게 기재된 실시예들의 설명 및 첨부된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단수의 형태는 문맥상 명백히 다르게 나타나지 않는다면 복수의 형태들도 마찬가지로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되며, '및/또는'은 열거되는 관련 항목들 중 하나 이상의 항목에 대한 임의의 및 모든 조합 가능한 것들을 나타내고 그들을 포괄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의 예>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일례를 도식화하여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1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1000)은 엑세스 포인트(100) 및 휴대 디바이스(200)를 포함한다.
먼저, 일 실시예에 따른 엑세스 포인트(100)는 송수신용 휴대 디바이스(200)로 이동통신 데이터를 중계하는 하드웨어 자원으로서, 예컨대 기지국 및 제어국과 같은 하드웨어 자원을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지국인 경우, 기지국은 순방향 링크를 통해서 휴대 디바이스(200)로 데이터를 송신하며 역방향 링크를 통해서 휴대 디바이스(200)로부터 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순방향 링크는 예컨대 역방향 링크에서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과 다른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거나 순방향 링크 및 역방향 링크는 공통 주파수를 사용할 수도 있다.
반면, 휴대 디바이스(200)는 예컨대 셀 방식 이동 단말기, 스마트 폰, 랩탑,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 GPS 및 PDA와 같은 무선 디바이스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무선 통신 시스템(1000)에 접속될 수 있는 단말기라면 이 범주안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이런 경우,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디바이스(200)는 무선 네트워크, 예컨대 LTE 망(eNB)에 접속시 실제 데이터를 전송 하기전, 상위링크 동기화(Uplink sync)를 맞추기 위하여 무선 네트워크 내의 엑세스 포인트(100), 예컨대 기지국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랜덤 엑세스(Random Access)를 신호 세기가 가장 센 접속 요청 셀을 이용하여 시도한다.
이때, 랜덤 엑세스는 모든 시그널링 데이터 전송 이전에 반드시 거쳐야 하는 절차로서 RRC(Radio Resource Control) 접속 성공 여부를 좌우한다. 예를 들어, 랜덤 엑세스를 통해 접속 요청 셀로 RRC 접속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면 다행이지만, 실패할 경우 액세스 포인트(100), 예컨대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서비스 실패(No service)'라는 메시지를 휴대 디바이스(200)에서 수신하게 된다.
이러한 '서비스 실패'라는 메시지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휴대 디바이스(200)는 제어 프로세서(210) 및 RRC 타이머(201)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 프로세서(210)는 휴대 디바이스(200)의 제어 센터이며 각 종 인터페이스 및 회로를 경유하여 각 부분에 접속되며, 메모리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또는 모듈을 실행 또는 작동시킴과 동시에 메모리 내에 저장된 데이터를 호출하는 것을 통하여 휴대 디바이스(200)의 각 종 기능의 실행 및 데이터 처리를 실현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제어 프로세서(210)는 이후에 설명될 RRC 타이머(201)를 제어할 뿐만 아니라 엑세스 포인트(100) 및 휴대 디바이스(200)간 송수신되는 신호(요청 셀 신호 등)를 제어하여 RRC 접속을 처리하고 RRC 접속이 원활하지 않을 경우 블랙리스트로 등록하여 관리한다.
반면, RRC 타이머(201)는 RRC 접속이 제대로 이루어졌는지의 여부 및 횟수가 만료되었는지의 여부 등을 확인하기 위하여 시간을 설정하고 있으며, 횟수를 설정하여 카운팅한다.
예를 들면, 제어 프로세서(210)는 무선 네트워크 내의 엑세스 포인트로 임의의 랜덤 엑세스(Random Access)를 통해 3GPP 규격에 정의된 RRC 타이머(T300)의 기설정 시간이내 RRC(Radio Resource Control) 접속을 시도한 후, 접속 여부를 확인한다.
접속 여부의 결과, 접속이 실패하였다고 판단되면, 제어 프로세서(210)는 RRC 타이머(T300)가 기설정된 횟수만큼 만료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기설정된 횟수만큼 만료되었다고 판단되면, 제1 접속 요청 셀을 블랙리스트(blacklist)로 등록하고, 블랙리스트에 등록되지 않고 신호 세기가 큰 제2 접속 요청 셀을 순서대로 선택하여 RRC 접속을 재시도한다.
이때, 블랙리스트는 '서비스 실패'라는 메시지를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는 데이터, 예컨대 메시지 전송전 받드시 거쳐야하는 접속 요청용 셀 및/또는 액세스 포인트(200)에서 발생되는 데이터를 관리하는 리스트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블랙리스트는 RRC 타이머(201)의 기설정된 횟수만큼 만료된 '서비스 실패'라는 메시지의 원인이 되는 제1 접속 요청 셀을 일례로서 등록하게 된다. 이런 경우, RRC 타이머(201)의 기설정된 횟수는 3회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어 프로세서(210)는 3회를 카운팅하는 동안 제1 접속 요청 셀로 RRC 접속이 이루어지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제1 접속 요청 셀을 블랙리스트에 등록하고, 블랙리스트에 등록되지 않고 신호 세기가 큰 제2 접속 요청 셀을 선택하여 RRC 접속을 재시도할 수 있다.
기존에는 위와 같은 RRC 타이머(201)의 기설정된 횟수만큼 카운팅이 이루어지지 않아 랜덤 엑세스를 무한정 시도하였고, '서비스 실패'라는 메시지 수신에 원인이 되는 하나의 접속 요청 셀을 통해 무한정 랜덤 엑세스를 시도하였다.
그러나, 전술한 본 실시예에서는 RRC 타이머(201)에 설정된 카운팅 횟수를 이용하여 접속이 이루어지지 않는 셀 요청을 피해 신호 세기가 큰 다른 접속 요청 셀을 순서대로 선택하여 RRC 접속을 재 시도함으로써, 그 만큼의 RRC 접속 성공률을 높일 수 있었다.
더욱이, 제어 프로세서(210)는 RRC 접속시 RRC 타이머(T300)가 기설정된 횟수만큼 만료되지 않았다고 판단될 경우에도 신호 세기가 큰 제2 접속 요청 셀을 차례로 선택하여 RRC 접속을 재시도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접속 요청 셀은 블랙리스트에 등록된 제1 접속 요청 셀을 포함한 신호 세기가 가장 큰 신호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 프로세서(210)는 RRC 타이머(201, T300)가 기설정된 횟수만큼 만료되지 않을 경우 블랙리스트에 등록된 제1 접속 요청 셀을 포함한 제2 접속 요청 셀을 순서대로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제어 프로세서(210)는 RRC 타이머(201)의 기설정된 횟수만큼 만료되었는지를 판단 여부에 따라 블랙리스트에 등록되지 않은 제1 접속 요청 셀을 포함한 제2 접속 요청 셀을 다시 선택하여 RRC 접속을 순서대로 재시도하거나 제1 접속 요청 셀을 등록한 블랙리스트를 제외한 다른 신호세기가 큰 제2 접속 요청 셀을 다시 선택하여 RRC 접속을 순서대로 재시도함으로써, 앞서 설명한 기존에 비하여 랜덤한 RRC 접속 확률을 높여 접속 성공률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제어 프로세서(210)의 기능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제어 프로세서의 예>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제어 프로세서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디바이스(200)의 제어 프로세서(210)는 타이머 구동부(211), 셀 접속부(212), RRC 셋업 판단부(213), 타이머 만료 판단부(214), 블랙리스트 등록부(215) 및 대체 셀 접속부(21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타이머 구동부(211)는 RRC 접속전 전원이 인가되면 RRC 타이머(201)를 구동시킨다. RRC 타이머(201)는 기설정된 시간 및/또는 횟수를 체크하는 역할을 한다.
셀 접속부(212)는 전술한 타이머 구동부(211)에서 구동된 구동 신호를 수신하고, 구동 신호에 대응하여 제1 접속 요청 셀을 발생시킨다. 발생된 제1 접속 요청 셀은 실제 데이터 예컨대 음성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등을 보내기전 엑세스 포인트(100)에 접속에 필요한 RRC 접속 중 제일 먼저 접속 시도를 요청하는 접속 요청 신호를 가리킨다.
이에 따라, 셀 접속부(212)는 이미 발생된 제1 접속 요청 셀을 이용하여 랜덤 엑세스(Random Access)를 시도한다.
RRC 셋업 판단부(213)는 전술한 셀 접속부(212)의 랜덤 엑세스 시도 후, RRC 타이머(201)를 이용하여 RRC 접속이 이루어지는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RRC 셋업 판단부(213)는 RRC 타이머(T300, 201)의 기설정 시간이내 RRC 접속이 성공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RRC 접속이 성공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블랙리스트로 등록된 제1 접속 요청 셀을 해제함으로써, 실제 데이터, 예컨대 음성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등을 엑세스 포인트(100)로 전송하게 되고, RRC 접속이 실패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RRC 타이머(201)의 횟수를 '1'만큼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타이머 만료 판단부(214)는 전술한 RRC 셋업 판단부(213)로부터 RRC 타이머의 횟수를 증가시킨 횟수 증가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횟수 증가 신호에 대응하여 RRC 타이머(201)가 기설정된 횟수만큼 만료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이머 만료 판단부(214)의 판단 결과, 기설정된 횟수만큼 만료되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만료 신호를 이후에 설명할 블랙리스트 등록부(215)로 전송한다.
이런 경우, 블랙리스트 등록부(215)는 타이머 만료 판단부(214)로부터 전송된 만료 신호에 대응하여 셀 접속부(212)의 제1 접속 요청 셀을 블랙리스트(blacklist)로 등록하게 되고, 이 결과인 블랙리스트 등록 신호를 이후에 설명할 대체 셀 접속부(216)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대체 셀 접속부(216)는 블랙리스트 등록부(215)로부터 블랙리스트 등록 신호를 수신하고, 블랙리스트 등록 신호에 대응하여 블랙리스트에 등록되지 않고 신호 세기가 큰 제2 접속 요청 셀을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제2 접속 요청 셀은 전술한 제1 접속 요청 셀과 다른, 신호 세기가 가장 큰 요청 셀을 의미한다.
그러나, 타이머 만료 판단부(214)의 판단 결과, 기설정된 횟수만큼 만료되지 않는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전술한 대체 셀 접속부(216)로 미만료 신호를 바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대체 셀 접속부(216)는 타이머 만료 판단부(214)의 판단 결과, 기설정된 횟수만큼 만료되지 않을 경우 미만료 신호를 타이머 만료 판단부(214)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미만료 신호에 대응하여 제2 접속 요청 셀을 선택할 수 있다.
제2 접속 요청 셀이 선택되면, 대체 셀 접속부(216)는 제2 접속 요청 셀에 대응하여 셀 접속 재요청 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때, 선택된 제2 접속 요청 셀은 블랙리스트에 등록된 제1 접속 요청 셀을 포함한 신호 세기가 가장 큰 신호일 수 있다.
한편, 대체 셀 접속부(216)에 의해 발생된 셀 접속 재요청 신호는 전술한 타이머 구동부(211)로 전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타이머 구동부(211)는 대체 셀 접속부(216)로부터 셀 접속 재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셀 접속 재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RRC 타이머(201)를 재 구동시킬 수 있다.
RRC 타이머(201)의 재 구동은 랜덤 엑세스 중 두번째로 시도되는 랜덤 엑세스를 전술한 셀 접속부(212)에서 다시 시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랜덤 엑세스를 셀 접속부(212)의 동작은 전술한 바와 같이 다시 반복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RRC 타이머(201)의 카운팅 횟수를 이용하여 접속이 이루어지지 않는 셀 요청을 피해 신호 세기가 큰 다른 접속 요청 셀을 순서대로 선택하여 RRC 접속을 재 시도하게 되면 그 만큼의 RRC 접속 성공률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엑세스 포인트의 접속 방법 예>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디바이스에 의한 엑세스 포인터 접속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디바이스(200)의 엑세스 포인터 접속 방법(S100)은 실제 데이터 전송전 행해지는 엑세스 포인트로의 접속 성공률을 높이고자 S110 단계 및 S130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각 단계에서 인용되는 하드웨어적 구성은 도 1 및 2에서 충분히 설명하였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먼저, 일 실시예에 따른 S110 단계는 무선 네트워크, 예컨대 LTE 망(eNB)에 휴대 디바이스(200)가 접속시 실제 데이터를 전송 하기전, 상위 링크 동기화(Uplink sync)를 맞추기 위하여 무선 네트워크 내의 엑세스 포인트(100), 예컨대 기지국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랜덤 엑세스(Random Access)를 신호 세기가 가장 센 접속 요청 셀을 이용하여 휴대 디바이스(200)에서 시도할 수 있다.
이때, 랜덤 엑세스는 모든 시그널링 데이터 전송 이전에 반드시 거쳐야 하는 절차로서 RRC(Radio Resource Control) 접속 성공 여부를 좌우한다. 예를 들어, 랜덤 엑세스를 통해 접속 요청 셀로 RRC 접속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면 다행이지만, 실패할 경우 액세스 포인트(100), 예컨대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서비스 실패(No service)'라는 메시지를 휴대 디바이스(200)에서 수신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일 실시예에 따른 S110 단계는 전술한 '서비스 실패'라는 메시지를 수신하지 않기 위하여 RRC 타이머(201)를 제어할 뿐만 아니라, 엑세스 포인트(100) 및 휴대 디바이스(200)간 송수신되는 신호(요청 셀 신호 등)를 제어하는 휴대 디바이스(200)의 제어 프로세서(210)를 이용하여 RRC 접속을 시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S120 단계는 전술한 S110 단계의 판단 결과, RRC 접속이 실패했다고 판단 될 경우, 이에 대응하여 RRC 타이머(201)의 기설정된 횟수 만큼 진행되었는지를 제어 프로세서(210)에서 판단한다.
예를 들어, 기설정된 횟수만큼 만료되었다고 제어 프로세서(210)에서 판단하게 되면, 접속 요청인 제1 접속 요청 셀을 블랙리스트(blacklist)로 등록하고, 블랙리스트에 등록되지 않고 신호 세기가 큰 제2 접속 요청 셀을 순서대로 선택하여 RRC 접속을 제어 프로세서(210)에서 재시도할 수 있다.
이때, 블랙리스트는 '서비스 실패'라는 메시지를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는 데이터, 예컨대 메시지 전송전 받드시 거쳐야하는 접속 요청용 셀 및/또는 액세스 포인트(200)에서 발생되는 데이터를 관리하는 리스트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블랙리스트는 RRC 타이머(201)의 기설정된 횟수만큼 만료된 '서비스 실패'라는 메시지의 원인이 되는 제1 접속 요청 셀을 일례로서 등록하게 된다. 이런 경우, RRC 타이머(201)의 기설정된 횟수는 3회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S120 단계는 3회 카운팅하는 동안 제1 접속 요청 셀로 RRC 접속이 이루어지지 않는다고 제어 프로세서(210)에서 판단하게 되면, 제1 접속 요청 셀을 블랙리스트에 등록하고, 블랙리스트에 등록되지 않고 신호 세기가 큰 제2 접속 요청 셀을 선택하여 RRC 접속을 재시도할 것이다.
기존에는 위와 같은 RRC 타이머(201)의 기설정된 횟수만큼 카운팅이 이루어지지 않아 랜덤 엑세스를 무한정 시도하였고, '서비스 실패'라는 메시지 수신에 원인이 되는 하나의 접속 요청 셀을 통해 무한정 랜덤 엑세스를 시도하였다.
그러나, 전술한 본 실시예에서는 RRC 타이머(201)에 설정된 카운팅 횟수를 이용하여 접속이 이루어지지 않는 셀 요청을 피해 신호 세기가 큰 다른 접속 요청 셀을 순서대로 선택하여 RRC 접속을 재 시도함으로써, 그 만큼의 RRC 접속 성공률을 높일 수 있었다.
그러나, 일 실시예에서, S130 단계는 RRC 접속시 RRC 타이머(T300)의 기설정된 횟수만큼 만료되지 않았다고 제어 프로세서(210)에서 판단하게 되면, 신호 세기가 큰 제2 접속 요청 셀을 차례로 제어 프로세서(210)에서 선택하여 RRC 접속을 재시도할 수 있다.
이때, 제2 접속 요청 셀은 블랙리스트에 등록된 제1 접속 요청 셀을 포함한 신호 세기가 가장 큰 신호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 프로세서(210)는 RRC 타이머(201, T300)가 기설정된 횟수만큼 만료되지 않을 경우 블랙리스트에 등록된 제1 접속 요청 셀을 포함한 제2 접속 요청 셀을 순서대로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RRC 타이머(201)의 기설정된 횟수만큼 만료될 경우 제1 접속 요청 셀을 등록한 블랙리스트를 제외한 다른 신호세기가 큰 제2 접속 요청 셀을 다시 선택하여 RRC 접속을 순서대로 재시도하거나, 만료되지 않을 경우 블랙리스트로 등록되지 않은 제1 접속 요청 셀을 포함한 제2 접속 요청 셀을 다시 선택하여 RRC 접속을 순서대로 재시도 함으로써, 기존에 비하여 랜덤한 RRC 접속시, 접속 성공률을 높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어 프로세서(210)의 엑세스 포인터 접속 처리 과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방법 예>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엑세스 포인터 접속 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프로세서(210)의 엑세스 포인터 접속 방법(S100)은 엑세스 포인트로의 접속 성공률을 높이고자 S111 단계 내지 S114 단계, S121 단계 내지 S123 단계, S131 단계 및 S132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S111 단계 내지 S113 단계는 도 3의 S110 단계의 범위안에 포함되고, S121 단계 내지 S123 단계는 도 3의 S120 단계의 범위안에 포함되며, S131 단계 및 S132 단계는 도 3의 S130 단계에 포함된다.
먼저, S111 단계는 RRC 접속전 RRC 타이머(201)를 타이머 구동부(211)에서 구동시킨다. RRC 타이머(201)가 구동되면 기설정된 시간 및/또는 횟수 만큼 RRC 타이머(201)를 동작시킨다.
이후, S112 단계는 전술한 구동 신호를 셀 접속부(212)에서 수신하고, 구동 신호에 대응하여 제1 접속 요청 셀을 셀 접속부(212)에서 발생시킨다. 발생된 제1 접속 요청 셀은 실제 데이터 예컨대 음성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등을 보내기전 엑세스 포인트(100)에 접속하기 위한 최초의 접속 시도 신호 일 수 있다.
이에 따라, S112 단계는 이미 발생된 제1 접속 요청 셀을 이용하여 랜덤 엑세스(Random Access)를 셀 접속부(212)에서 시도할 수 있다.
이후, S113 단계는 전술한 셀 접속부(212)의 랜덤 엑세스 시도 후, RRC 타이머(201)를 이용하여 RRC 접속이 이루어졌는지(성공적인지)를 RRC 셋업 판단부(213)에서 판단한다.
예를 들어, RRC 셋업 판단부(213)는 RRC 타이머(T300, 201)의 기설정 시간이내 RRC 접속이 성공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RRC 접속이 성공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블랙리스트로 등록된 제1 접속 요청 셀을 해제함으로써, 실제 데이터, 예컨대 음성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등을 엑세스 포인트(100)로 전송하게 되고, RRC 접속이 실패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RRC 타이머(201)의 횟수를 '1'만큼 증가시킬 수 있다(S114).
이후, 일 실시예에서, S121 단계는 전술한 RRC 셋업 판단부(213)로부터 RRC 타이머의 횟수를 증가시킨 횟수 증가 신호를 타이머 만료 판단부(214)에서 수신하고, 수신된 횟수 증가 신호에 대응하여 RRC 타이머(201)가 기설정된 횟수만큼 만료되었는지를 타이머 만료 판단부(214)에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이머 만료 판단부(214)의 판단 결과, 기설정된 횟수만큼 만료되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만료 신호를 이후에 설명할 S122 단계의 리스트 등록부(215)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S122 단계는 타이머 만료 판단부(214)로부터 전송된 만료 신호에 대응하여 셀 접속부(212)의 제1 접속 요청 셀을 블랙리스트 등록부(215)의 블랙리스트(blacklist)로 등록하게 되고, 이 결과인 블랙리스트 등록 신호를 이후에 설명할 S123 단계의 대체 셀 접속부(216)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S123 단계는 블랙리스트 등록부(215)로부터 블랙리스트 등록 신호를 대체 셀 접속부(216)에서 수신하고, 블랙리스트 등록 신호에 대응하여 블랙리스트에 등록되지 않고 신호 세기가 큰 제2 접속 요청 셀을 대체 셀 접속부(216)에서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제2 접속 요청 셀은 전술한 제1 접속 요청 셀과 다른, 신호 세기가 가장 큰 요청 셀을 의미한다.
일 실시예에서, S131 단계는 타이머 만료 판단부(214)의 판단 결과, 기설정된 횟수만큼 만료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 전술한 대체 셀 접속부(216)로 미만료 신호를 바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S132 단계는 미만료 신호를 수신하면, 수신된 미만료 신호에 대응하여 대체 셀 접속부(216)에서 제2 접속 요청 셀을 선택할 수 있다.
제2 접속 요청 셀이 선택되면, 대체 셀 접속부(216)는 제2 접속 요청 셀에 대응하여 셀 접속 재요청 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때, 선택된 제2 접속 요청 셀은 블랙리스트에 등록된 제1 접속 요청 셀을 포함한 신호 세기가 가장 큰 신호일 수 있다.
한편, S132 단계에 의해 생성된 셀 접속 재요청 신호는 전술한 타이머 구동부(211)로 전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타이머 구동부(211)는 대체 셀 접속부(216)로부터 셀 접속 재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셀 접속 재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RRC 타이머(201)를 재 구동시킬 수 있다.
RRC 타이머(201)의 재 구동은 랜덤 엑세스 중 두번째로 시도되는 랜덤 엑세스를 전술한 S111 단계에서 다시 시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다시 반복되는 S111 단계 이후의 설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진행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RRC 타이머(201)의 카운팅 횟수를 이용하여 접속이 이루어지지 않는 셀 요청을 피해 신호 세기가 큰 다른 접속 요청 셀을 순서대로 선택하여 RRC 접속을 재 시도하게 되면 그 만큼의 RRC 접속 성공률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 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000 : 무선 통신 시스템 100 : 엑세스 포인트
200 : 휴대 디바이스 201 : RRC 타이머
210 : 제어 프로세서 211 : 타이머 구동부
212 : 셀 접속부 213 : RRC 셋업 판단부
214 : 타이머 만료 판단부 215 : 블랙리스트 등록부
216 : 대체 셀 접속부

Claims (31)

  1. 무선 네트워크 내의 엑세스 포인트로 임의의 랜덤 엑세스(Random Access)를 통해 3GPP 규격에 정의된 RRC 타이머(T300)의 기설정 시간이내 RRC(Radio Resource Control) 접속을 시도한 후, 접속되지 않음과 동시에, 상기 RRC 타이머(T300)가 기설정된 횟수만큼 만료될 경우, 제1 접속 요청 셀을 블랙리스트(blacklist)로 등록하고, 블랙리스트에 등록되지 않고 신호 세기가 큰 제2 접속 요청 셀을 순서대로 선택하여 상기 RRC 접속을 재시도하고,
    상기 기설정된 횟수만큼 만료되지 않을 경우, 상기 제2 접속 요청 셀을 선택하여 상기 RRC 접속을 재시도하는 제어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휴대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프로세서는,
    상기 RRC 타이머(T300)가 기설정된 횟수만큼 만료되지 않을 경우 상기 블랙리스트에 등록된 제1 접속 요청 셀을 포함한 상기 제2 접속 요청 셀을 순서대로 선택하는 휴대 디바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프로세서는, 상기 RRC 접속전 상기 RRC 타이머를 구동시키는 타이머 구동부;
    를 더 포함하는 휴대 디바이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프로세서는,
    상기 타이머 구동부에서 구동된 구동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구동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접속 요청 셀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상기 제1 접속 요청 셀을 이용하여 상기 랜덤 엑세스를 시도하는 셀 접속부;
    를 더 포함하는 휴대 디바이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프로세서는,
    상기 랜덤 엑세스를 시도한 후, 상기 RRC 타이머(T300)의 기설정 시간이내 상기 RRC 접속이 성공했는지를 판단하는 RRC 셋업 판단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RRC 셋업 판단부는,
    상기 RRC 접속이 성공했다고 판단할 경우 상기 블랙리스트로 등록된 제1 접속 요청 셀을 해제하는 휴대 디바이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프로세서는,
    상기 RRC 접속이 실패했다고 판단될 경우 상기 RRC 셋업 판단부로부터 상기 RRC 타이머의 횟수를 증가시킨 횟수 증가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횟수 증가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RRC 타이머가 기설정된 횟수만큼 만료되었는지를 판단하는 타이머 만료 판단부
    를 더 포함하는 휴대 디바이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프로세서는,
    상기 타이머 만료 판단부의 판단 결과, 기설정된 횟수만큼 만료될 경우 상기 제1 접속 요청 셀을 블랙리스트(blacklist)로 등록하는 블랙리스트 등록부
    를 더 포함하는 휴대 디바이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프로세서는,
    상기 블랙리스트 등록부로부터 블랙리스트 등록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블랙리스트 등록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블랙리스트에 등록되지 않고 신호 세기가 큰 제2 접속 요청 셀을 선택하는 대체 셀 접속부;
    를 더 포함하는 휴대 디바이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 셀 접속부는,
    상기 제2 타이머 만료 판단부의 판단 결과, 기설정된 횟수만큼 만료되지 않을 경우 미만료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미만료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접속 요청 셀을 선택하고, 선택된 상기 제2 접속 요청 셀에 대응하여 셀 접속 재요청 신호를 발생시키는 휴대 디바이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 구동부는,
    상기 대체 셀 접속부로부터 셀 접속 재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셀 접속 재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RRC 타이머를 재 구동시키는 휴대 디바이스.
  11. (a) 무선 네트워크 내의 엑세스 포인트로 임의의 랜덤 엑세스(Random Access)를 통해 3GPP 규격에 정의된 RRC 타이머(T300)의 기설정 시간이내 RRC(Radio Resource Control) 접속을 제어 프로세서에서 시도하는 단계;
    (b) 상기 RRC 접속이 되지 않음과 동시에, 상기 RRC 타이머(T300)가 기설정된 횟수만큼 만료되었는지를 제어 프로세서에서 확인할 경우, 제1 접속 요청 셀을 블랙리스트(blacklist)로 등록하고, 블랙리스트에 등록되지 않고 신호 세기가 큰 제2 접속 요청 셀을 순서대로 상기 제어 프로세서에서 선택하여 상기 RRC 접속을 재시도하는 단계; 및
    (c) 상기 기설정된 횟수만큼 만료되지 않을 경우, 상기 제2 접속 요청 셀을 상기 제어 프로세서에서 선택하여 상기 RRC 접속을 재시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휴대 디바이스의 엑세스 포인트 접속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기설정된 횟수만큼 만료되지 않을 경우, 상기 블랙리스트에 등록된 제1 접속 요청 셀을 포함한 상기 제2 접속 요청 셀을 순서대로 선택하는 휴대 디바이스의 엑세스 포인트 접속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a-1) 상기 타이머 구동부에서 구동된 구동 신호를 셀 접속부에서 수신하고, 상기 구동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접속 요청 셀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상기 제1 접속 요청 셀을 이용하여 상기 랜덤 엑세스를 셀 접속부에서 시도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휴대 디바이스의 엑세스 포인트 접속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a-2) 상기 랜덤 엑세스가 시도된 후, 상기 RRC 타이머(T300)의 기설정 시간이내 상기 RRC 접속이 성공했는지를 RRC 셋업 판단부에서 판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a-2) 단계는,
    상기 RRC 접속이 성공했다고 RRC 셋업 판단부에서 판단할 경우 상기 블랙리스트로 등록된 제1 접속 요청 셀을 해제시키는 휴대 디바이스의 엑세스 포인트 접속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RRC 접속이 실패했다고 판단될 경우 상기 RRC 셋업 판단부로부터 상기 RRC 타이머의 횟수를 증가시킨 횟수 증가 신호를 타이머 만료 판단부에서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b-1) 단계는,
    수신된 상기 횟수 증가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RRC 타이머가 기설정된 횟수만큼 만료되었는지를 판단하는 휴대 디바이스의 엑세스 포인트 접속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2) 상기 타이머 만료 판단부의 판단 결과, 기설정된 횟수만큼 만료될 경우 상기 제1 접속 요청 셀을 블랙리스트 등록부에다가 블랙리스트(blacklist)로 등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휴대 디바이스의 엑세스 포인트 접속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3) 상기 블랙리스트 등록부로부터 블랙리스트 등록 신호를 대체 셀 접속부에서 수신하고, 상기 블랙리스트 등록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블랙리스트에 등록되지 않고 신호 세기가 큰 제2 접속 요청 셀을 상기 대체 셀 접속부에서 선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휴대 디바이스의 엑세스 포인트 접속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b-3) 단계는,
    상기 제2 타이머 만료 판단부의 판단 결과, 기설정된 횟수만큼 만료되지 않을 경우 미만료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미만료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접속 요청 셀을 선택하고, 선택된 상기 제2 접속 요청 셀에 대응하여 셀 접속 재요청 신호를 발생시키는 휴대 디바이스의 엑세스 포인트 접속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 구동부에서 구동시키는 단계는,
    수신된 상기 셀 접속 재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RRC 타이머를 재 구동시키는 휴대 디바이스의 엑세스 포인트 접속 방법.
  20. 제1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엑세스 포인트 접속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21. 적어도 하나 이상의 휴대 디바이스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는 액세스 포인트; 및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 데이터 전송되기전 RRC 접속을 시도하여 성공하면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고, 실패시 서비스 실패 메시지를 수신하는 휴대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휴대 디바이스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 내의 엑세스 포인트로 임의의 랜덤 엑세스(Random Access)를 통해 3GPP 규격에 정의된 RRC 타이머(T300)의 기설정 시간이내 RRC(Radio Resource Control) 접속을 시도한 후, 접속되지 않음과 동시에, 상기 RRC 타이머(T300)가 기설정된 횟수만큼 만료될 경우, 제1 접속 요청 셀을 블랙리스트(blacklist)로 등록하고, 블랙리스트에 등록되지 않고 신호 세기가 큰 제2 접속 요청 셀을 순서대로 선택하여 상기 RRC 접속을 재시도하고,
    상기 기설정된 횟수만큼 만료되지 않을 경우, 상기 제2 접속 요청 셀을 선택하여 상기 RRC 접속을 재시도하는 제어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프로세서는,
    상기 RRC 타이머(T300)가 기설정된 횟수만큼 만료되지 않을 경우 상기 블랙리스트에 등록된 제1 접속 요청 셀을 포함한 상기 제2 접속 요청 셀을 순서대로 선택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프로세서는, 상기 RRC 접속전 상기 RRC 타이머를 구동시키는 타이머 구동부;
    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프로세서는,
    상기 타이머 구동부에서 구동된 구동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구동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접속 요청 셀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상기 제1 접속 요청 셀을 이용하여 상기 랜덤 엑세스를 시도하는 셀 접속부;
    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프로세서는,
    상기 랜덤 엑세스를 시도한 후, 상기 RRC 타이머(T300)의 기설정 시간이내 상기 RRC 접속이 성공했는지를 판단하는 RRC 셋업 판단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RRC 셋업 판단부는,
    상기 RRC 접속이 성공했다고 판단할 경우 상기 블랙리스트로 등록된 제1 접속 요청 셀을 해제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프로세서는,
    상기 RRC 접속이 실패했다고 판단될 경우 상기 RRC 셋업 판단부로부터 상기 RRC 타이머의 횟수를 증가시킨 횟수 증가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횟수 증가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RRC 타이머가 기설정된 횟수만큼 만료되었는지를 판단하는 타이머 만료 판단부
    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프로세서는,
    상기 타이머 만료 판단부의 판단 결과, 기설정된 횟수만큼 만료될 경우 상기 제1 접속 요청 셀을 블랙리스트(blacklist)로 등록하는 블랙리스트 등록부
    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프로세서는,
    상기 블랙리스트 등록부로부터 블랙리스트 등록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블랙리스트 등록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블랙리스트에 등록되지 않고 신호 세기가 큰 제2 접속 요청 셀을 선택하는 대체 셀 접속부;
    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 셀 접속부는,
    상기 제2 타이머 만료 판단부의 판단 결과, 기설정된 횟수만큼 만료되지 않을 경우 미만료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미만료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접속 요청 셀을 선택하고, 선택된 상기 제2 접속 요청 셀에 대응하여 셀 접속 재요청 신호를 발생시키는 무선 통신 시스템.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 구동부는,
    상기 대체 셀 접속부로부터 셀 접속 재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셀 접속 재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RRC 타이머를 재 구동시키는 무선 통신 시스템.
  31. 제22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엑세스 포인트는, 기지국인 것인 무선 통신 시스템.
KR1020150107723A 2015-07-30 2015-07-30 휴대 디바이스를 구비한 무선 통신 시스템 및 그에 의한 엑세스 포인트 접속 방법, 그리고 이를 실행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1700143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7723A KR20170014398A (ko) 2015-07-30 2015-07-30 휴대 디바이스를 구비한 무선 통신 시스템 및 그에 의한 엑세스 포인트 접속 방법, 그리고 이를 실행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7723A KR20170014398A (ko) 2015-07-30 2015-07-30 휴대 디바이스를 구비한 무선 통신 시스템 및 그에 의한 엑세스 포인트 접속 방법, 그리고 이를 실행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4398A true KR20170014398A (ko) 2017-02-08

Family

ID=58154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7723A KR20170014398A (ko) 2015-07-30 2015-07-30 휴대 디바이스를 구비한 무선 통신 시스템 및 그에 의한 엑세스 포인트 접속 방법, 그리고 이를 실행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1439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99390A (zh) * 2017-06-15 2020-04-10 Lg电子株式会社 在无线通信系统中执行切换过程的方法及其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99390A (zh) * 2017-06-15 2020-04-10 Lg电子株式会社 在无线通信系统中执行切换过程的方法及其装置
US11350328B2 (en) 2017-06-15 2022-05-31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erforming a handover procedur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 device theref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51262B2 (en) Electronic apparatus, a central node apparatus and a network side apparatus, a transmission method and a configuration method
US11695463B2 (en) Beam failure recovery using contention based random access
CN107852765B (zh) 用于设备到设备中继过程的方法
KR101215231B1 (ko) Rrc 메시지 및 프로시져
TW201332385A (zh) 用於用戶識別模組的方法、裝置及其系統
US992455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2D discovery process
KR20200119835A (ko) 차량 대 외부 통신을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
US8548469B1 (en) Apparatus and method of attaching a wireless device to a wireless network
US11375509B2 (en) Support for receive-limited user equipment in wireless environments
JP2022506194A (ja) ソースデバイスにより実行される方法、ネットワークノードにより実行される方法、宛先デバイスにより実行される方法、及びソースデバイス
US20170302421A1 (en) Signaling Enhancement for Fast Network Entry
CN115244979A (zh) 一种数据传输方法及装置、通信设备
US8971343B2 (en) Method of providing short message service in a network
CN110062394B (zh) 更新系统消息的方法及装置
KR20170014398A (ko) 휴대 디바이스를 구비한 무선 통신 시스템 및 그에 의한 엑세스 포인트 접속 방법, 그리고 이를 실행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US20220322482A1 (en) RRC-Based User Data Transmission in an Inactive State
US10045370B2 (en)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US11089506B2 (en)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and system
WO2016176848A1 (zh) 信号传输方法和网络设备
US20220279583A1 (en) Retransmission of MsgB in Two-Step Random Access Procedure
KR20210055542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가입자 정보를 갖는 단말의 통신 방법 및 장치
CN111988809A (zh) 用于无线通信的电子设备和方法、计算机可读存储介质
RU2780535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осуществления связи &#34;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 все остальное&#34;
WO2024077639A1 (en) Hybrid automatic request (harq) feedback
US20230232202A1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