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4307A -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4307A
KR20170014307A KR1020150107413A KR20150107413A KR20170014307A KR 20170014307 A KR20170014307 A KR 20170014307A KR 1020150107413 A KR1020150107413 A KR 1020150107413A KR 20150107413 A KR20150107413 A KR 20150107413A KR 20170014307 A KR20170014307 A KR 201700143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rch
user interface
product
word
search resu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7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8469B1 (ko
Inventor
최정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워드벤처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워드벤처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워드벤처스
Priority to KR10201501074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8469B1/ko
Publication of KR20170014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43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84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84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5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history
    • G06Q30/0256User searc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7User reques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profile or attribu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06Q30/0643Graphical representation of items or shoppe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의한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서, 제어부에 의해, 제1 상품 검색어 및 제2 상품 검색어에 중복하여 대응하는 제1 검색 결과를 선정하는 단계; 제공부에 의해, 상기 제1 검색 결과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1 검색 결과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 수신부에 의해, 상기 제1 상품 검색어 및 제2 상품 검색어 중 하나를 검색에서 제외시켜달라는 제외 요청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외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제1 상품 검색어 및 제2 상품 검색어 중, 상기 제외 신호에 의한 제외 요청에 대응하는 검색어를 제외하고, 나머지 검색어에 대응하는 제2 검색 결과를 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공부에 의해, 상기 제2 검색 결과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2 검색 결과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Devic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providing shopping servic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요즈음, 온라인 쇼핑몰에서 상품을 구매하는 구매자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온라인 쇼핑몰 사업 시장이 매우 빠른 속도로 커지는 상황이며, 이러한 상황에서 수많은 온라인 쇼핑몰들 간의 더 많은 구매자를 유치하기 위한 경쟁은 날이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다.
따라서, 자신의 온라인 쇼핑몰 쇼핑 사이트에 더 많은 구매자가 접속해서 상품을 구매하도록 만들기 위해, 온라인 쇼핑몰 운영자들은 자신의 온라인 쇼핑몰 쇼핑 사이트에 접속한 구매자에게 타 온라인 쇼핑몰 쇼핑 사이트보다 더 큰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온라인 쇼핑몰 쇼핑 사이트에 대한 여러 각도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2002-0037553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복수의 상품 검색어들에 중복하여 대응하는 검색 결과를 선정하고, 구매자에게 해당 검색 결과를 제공함으로써 쇼핑의 편리함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복수의 상품 검색어들에 중복하여 대응하는 검색 결과를 선정하여 구매자에게 제공하고, 구매자로부터 해당 복수의 상품 검색어들 중 일부를 제외한 검색 결과의 제공 요청을 수신하여, 구매자에게 해당 요청에 맞는 검색 결과를 제공함으로써 쇼핑의 편리함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의한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서, 제어부에 의해, 제1 상품 검색어 및 제2 상품 검색어에 중복하여 대응하는 제1 검색 결과를 선정하는 단계; 제공부에 의해, 상기 제1 검색 결과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1 검색 결과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 수신부에 의해, 상기 제1 상품 검색어 및 제2 상품 검색어 중 하나를 검색에서 제외시켜달라는 제외 요청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외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제1 상품 검색어 및 제2 상품 검색어 중, 상기 제외 신호에 의한 제외 요청에 대응하는 검색어를 제외하고, 나머지 검색어에 대응하는 제2 검색 결과를 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공부에 의해, 상기 제2 검색 결과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2 검색 결과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을 개시한다.
이러한 일반적이고 구체적인 측면이 시스템,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어떠한 시스템,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의 조합을 사용하여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제1 상품 검색어 및 제2 상품 검색어에 중복하여 대응하는 제1 검색 결과를 선정하는 제어부; 상기 제1 검색 결과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1 검색 결과 신호를 제공하는 제공부; 및 상기 제1 상품 검색어 및 제2 상품 검색어 중 하나를 검색에서 제외시켜달라는 제외 요청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외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상품 검색어 및 제2 상품 검색어 중, 상기 제외 신호에 의한 제외 요청에 대응하는 검색어를 제외하고, 나머지 검색어에 대응하는 제2 검색 결과를 선정하고, 상기 제공부는, 상기 제2 검색 결과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2 검색 결과 신호를 제공하는,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를 개시한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해서, 복수의 상품 검색어들에 중복하여 대응하는 검색 결과를 선정하고, 구매자에게 해당 검색 결과를 제공함으로써 쇼핑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상품 검색어들에 중복하여 대응하는 검색 결과를 선정하여 구매자에게 제공하고, 구매자로부터 해당 복수의 상품 검색어들 중 일부를 제외한 검색 결과의 제공 요청을 수신하여, 구매자에게 해당 요청에 맞는 검색 결과를 제공함으로써 쇼핑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구매자 단말기 간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매자 단말기의 상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의 예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a, 도 15b, 도 16a, 및 도 1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를 통하여 쇼핑 서비스가 제공되는 형태의 예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딜'이라 함은, 온라인 쇼핑몰 상에 등록된 상품 거래의 단위일 수 있다. 즉, 하나의 딜에는 하나의 상품 또는 복수의 상품들이 등록되어 있을 수 있고, 해당 상품과 관련된 내용의 텍스트, 정지 영상, 동영상, 다른 구매자들의 평가 내역들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구매자는 특정 딜에 포함된 정보를 살펴보고, 해당 딜에 포함된 상품의 구매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딜은 온라인 쇼핑몰을 통하여 상품을 판매하고자 하는 판매자가 직접 온라인 쇼핑몰 상에 생성한 것일 수도 있고, 판매자의 요청에 따라서 온라인 쇼핑몰의 관리자가 온라인 쇼핑몰 상에 생성한 것일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수신부(110), 제공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부(110)는 다양한 요청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신호를 구매자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부(110)는 상품 검색어의 정보를 포함하는 검색 신호를 구매자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품 검색어는, 온라인 쇼핑몰에 등록된 딜들 중에서 해당 상품 검색어와 관련이 있는 딜들을 검색하기 위해서 구매자가 입력하는 텍스트일 수 있다. 즉, 구매자가 '의류'라는 상품 검색어를 입력하는 경우, 구매자는 온라인 쇼핑몰에 등록된 딜들 중에서 의류를 판매하려는 의도로 등록된 딜들을 검색하고자 의도하는 것일 수 있다.
이 외에도, 수신부(110)는 구매자 단말기(200) 또는 판매자 단말기(300)로부터의 다양한 요청 신호 또는 명령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부(110)를 통하여 수신하는 요청 신호 또는 명령 신호의 구체적인 예시는 도 5 내지 도 14를 통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공부(120)는 다양한 정보가 포함된 신호를 구매자 단말기(200)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공부(120)는 온라인 쇼핑몰에 등록되어 있는 딜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구매자 단말기(2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제공부(120)는 구매자 단말기(200)로부터의 요청에 대응하여 선별된 딜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구매자 단말기(200)로 제공할 수 있다. 즉, 제공부(120)는 온라인 쇼핑몰에 등록되어 있는 전체 딜들 중, 구매자 단말기(200)로부터 입력된 상품 검색어, 또는 선택된 선택 검색어에 대응하는 딜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구매자 단말기(2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제공부(120)는 구매자 단말기(200) 또는 판매자 단말기(300)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제공부(120)에서 제공하는 신호의 구체적인 예시는 도 5 내지 도 14를 통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부(130)는 통상적으로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포함되는 수신부(110), 제공부(120), 및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포함되는 기타 구성 부분들을 전반적으로 제어하여 쇼핑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동작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30)는 프로세서(processor)와 같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processor)'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으로 표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갖는,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디바이스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디바이스의 일 예로써,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처리디바이스(central processing unit: CPU),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처리 디바이스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130)에서 쇼핑 서비스 제공을 위해 수행하는 다양한 동작의 예시는 도 5 내지 도 14를 통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구매자 단말기 간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은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 구매자 단말기(200), 판매자 단말기(300), 및 통신망(400)을 포함할 수 있다.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통신망(400)을 통하여 구매자 단말기(200) 및 판매자 단말기(300)와 연결되는 장치일 수 있다. 즉, 전술한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구매자 단말기(200)와 구별되는 장치로서 구매자 단말기(200)와 별도로 존재하는 장치일 수 있다.
이 때,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서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통신망(400)을 통해 구매자 단말기(200) 및 판매자 단말기(300)로 쇼핑 서비스에 관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고, 구매자 단말기(200) 및 판매자 단말기(300) 간에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 외에도 일반적인 검색 서비스 및 기타 사용자의 편의를 증진시키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 또한 수행할 수 있다. 즉,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검색, 이메일, 블로그, 메신저, 자료 송수신, 뉴스, 쇼핑 서비스 제공과 같은 다양한 서비스들을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검색, 이메일, 블로그, 메신저, 자료 송수신, 뉴스, 쇼핑 정보 등을 포함하는 포털(portal)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연결되어, 포털(portal) 서비스에 정보 제공을 요청하는 구매자 단말기(200)로 포털(portal) 서비스가 제공하는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와 포털 서비스 제공 서버는 물리적으로 분리된 별도의 장치일 수도 있고, 개념적으로만 분리된 동일한 장치일 수도 있다.
이 때,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수신부(110), 제공부(120), 및 제어부(130)에 더하여, 통신부(140), 메모리(150), 프로그램 저장부(160), 및 데이터베이스(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40)는 통신망(400)과 연동하여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와 구매자 단말기(200) 간의 송수신 신호를 패킷 데이터 형태로 제공하는 데 필요한 통신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140)는 수신부(110) 및 제공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가 통신망(400)을 통하여 구매자 단말기(200)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경우, 수신부(110)를 통한 신호 수신 및 제공부(120)를 통한 신호 제공 기능은 모두 통신부(140)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통신부(140)는 블루투스 통신부,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 근거리 무선 통신부(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WLAN(와이파이) 통신부, 지그비(Zigbee) 통신부,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부, WFD(Wi-Fi Direct) 통신부, UWB(ultra wideband) 통신부, Ant+ 통신부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통신부(140)는 다른 네트워크 장치와 유무선 연결을 통해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와 같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메모리(150)는 제어부(130)가 처리하는 데이터를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150)는 자기 저장 매체(magnetic storage media) 또는 플래시 저장 매체(flash storage media)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 저장부(160)는 구매자가 요청한 쇼핑 서비스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쇼핑 서비스 정보를 처리하는 작업, 구매자의 상품 검색어에 대응하는 딜들을 선정하는 작업, 구매자에게 제공할 추천 검색어를 선정하는 작업, 구매자 및 판매자 간의 거래를 성사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다양한 작업 등을 수행하는 제어 소프트웨어를 탑재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70)는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가 쇼핑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170)는 온라인 쇼핑몰에 현재 존재하거나 과거에 존재했던 딜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170)는 현재 진행 중이거나 과거에 진행됐던 다양한 이벤트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나아가, 데이터베이스(170)는 다양한 구매자들의 개인 정보, 과거 구매 내역, 구매 희망 내역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구매자들의 개인 정보에는 구매자의 이름, 소속, 인적 사항, 성별, 나이 등 구매자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와, 아이디(ID) 및 패스워드(password) 등 로그인에 대한 정보, 접속 국가, 접속 위치, 접속에 이용한 장치에 대한 정보, 접속된 네트워크 환경 등 접속과 관련된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구매자 단말기(200)는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의해 제공되는 쇼핑 서비스에 접속하여, 상품들을 주문하기 희망하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장치일 수 있다. 이 때, 통신망(400)을 통하여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접속하고 있는 구매자 단말기(200)는 복수일 수 있다. 즉, 제1 구매자 단말기(201) 및 제2 구매자 단말기(202)를 포함하는 복수의 구매자 단말기(200)들이 통신망(400)을 통하여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연결될 수 있다.
판매자 단말기(300)는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의해 제공되는 쇼핑 서비스에 접속하여, 상품들을 판매하기 희망하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장치일 수 있다. 이 때, 통신망(400)을 통하여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접속하고 있는 판매자 단말기(300)는 복수일 수 있다. 즉, 제1 판매자 단말기(301) 및 제2 판매자 단말기(302)를 포함하는 복수의 판매자 단말기(300)들이 통신망(400)을 통하여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연결될 수 있다.
통신망(400)은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 구매자 단말기(200), 및 판매자 단말기(300)를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매개체일 수 있다. 통신망(400)은 구매자 단말기(200) 및/또는 판매자 단말기(300)가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접속한 후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접속 경로를 제공하는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망(400)은 예컨대 LANs(Local Area Networks), WANs(Wide Area Networks), MANs(Metropolitan Area Networks), ISDNs(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s) 등의 유선 네트워크나, 무선 LANs, CDMA, 블루투스, 위성 통신 등의 무선 네트워크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구매자 단말기(200) 내에 포함되는 장치일 수도 있다. 구매자 단말기(200) 내에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가 포함되도록 하는 방법은 다양하다. 예를 들어, 구매자들은 통신망(400)을 통하여 포털(portal)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등으로부터 쇼핑 서비스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구매자 단말기(200) 내부에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가 형성되는 것일 수도 있고, 구매자 단말기(200) 자체가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인 것일 수도 있다. 다른 예시로, 구매자 단말기(200) 내부에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라는 별도의 하드웨어가 설치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형태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가 구매자 단말기(200) 내에 다양한 형태로 설치될 수 있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매자 단말기의 상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매자 단말기(200)는 통신부(210), 입력부(220), 출력부(230), 메모리(240), 프로그램 저장부(250), 및 제어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통신망(400)을 통하여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 또는 판매자 단말기(300)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통신망(400)을 통하여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 또는 판매자 단말기(300)와 쇼핑 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에 필요한 다양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입력부(220)는 쇼핑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구매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220)는, 사용자의 음성 입력, 사용자의 문자 입력, 또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출력부(230)는 구매자 단말기(200)가 구매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시각적 신호를 출력하는 장치일 수 있다. 출력부(230)는 시각적인 신호를 출력하는 표시부, 청각적인 신호를 출력하는 음향부, 및 촉각적인 신호를 출력하는 진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는 구매자 단말기(2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는 구매자에게 쇼핑 서비스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정보 혹은 쇼핑이 완료된 후 쇼핑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는 액정 표시(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표시(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표시(flexible display), 3차원 표시(3D display), 전기영동 표시(electrophoretic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매자 단말기(2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구매자 단말기(200)는 표시부를 2개 이상 포함할 수도 있다. 이 때, 표시부는 입력부(220)와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하나의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부와 입력부(220)가 하나의 물리적인 형태를 이룰 수 있다. 표시부를 통하여 제공되는 쇼핑 서비스의 다양한 형태의 예시에 대해서는 도 6 내지 도 11을 통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음향부는 구매자 단말기(200)가 구매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청각적 신호를 출력하는 장치일 수 있다. 음향부는 서로 다른 길이, 주파수, 강도, 높낮이, 또는 맵시를 가진 소리를 출력하여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음향부는 튜너, 이퀄라이저, 헤드폰, 이어폰, 및 다양한 형태의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음향부는 전기적 또는 기계적 방법을 통하여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
진동부는 구매자 단말기(200)가 구매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촉각적 신호를 출력하는 장치일 수 있다. 진동부는 서로 다른 길이, 강도, 또는 패턴을 가진 진동을 출력하여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진동부는 진동 모터 또는 진동 필름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진동부는 전기적 또는 기계적 방법을 통하여 떨림을 발생시킬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 나아가, 진동부는 그 이름에도 불구하고, 떨림이 아닌 다양한 형태의 촉각적 효과(예컨대, 찌르는 효과, 압력을 가하는 효과, 또는 미세한 전류를 흐르게 하는 효과)를 발생시키는 디바이스일 수도 있다.
메모리(240)는 제어부(260)가 처리하는 데이터를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저장부(250)는 쇼핑 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필수적이거나 보조적인 다양한 작업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를 탑재하는 구성 요소일 수 있다.
제어부(260)는 통상적으로 구매자 단말기(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60)는, 구매자 단말기(200)에 포함되는 프로그램 저장부(25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를 실행함으로써, 통신부(210), 입력부(220), 출력부(230), 메모리(240), 또는 구매자 단말기(200)에 포함되는 기타 구성 부분들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의 예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도 5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를 이용한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제1 검색 결과를 선정하는 단계(S100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제1 검색 결과는 제1 상품 검색어 및 제2 상품 검색어에 중복하여 대응하는 검색 결과일 수 있다. 이 때, 제1 상품 검색어 및 제2 상품 검색어 각각은,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가 구매자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한 검색어일 수도 있고,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 내에서 특정 알고리즘에 의해 선정된 추천 검색어들 중, 구매자 단말기(200)에 의해 선택된 검색어일 수도 있다. 이 때, 제1 검색 결과는 제1 상품 검색어 및 제2 상품 검색어에 중복하여 대응하는 딜의 명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상품 검색어가 '과일'이고, 제2 상품 검색어가 '익일 배송'인 경우,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과일을 판매하려는 판매자가 등록한 딜 중 상품을 구매한 날로부터 익일 이내에 배송이 가능하다고 등록된 딜을 선정하여 제1 검색 결과로 제공할 수 있다.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 내의 메모리(150) 또는 데이터베이스(170) 내에 저장된 딜을 제1 검색 결과로 선정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검색 결과의 선정은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제어부(13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 후,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제1 검색 결과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S200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제1 검색 결과 신호는 제1 검색 결과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S100 단계에서 선정한 제1 검색 결과에 대한 내용을 구매자 단말기(200)로 제공하기 위하여,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해당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적인 신호를 생성하여 구매자 단말기(200)로 송신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검색 결과 신호의 제공은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제공부(12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 때, 제1 검색 결과 신호의 생성은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제어부(13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 후,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제외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300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제외 신호는 제1 상품 검색어 및 제2 상품 검색어 중 하나를 검색에서 제외시켜달라는 제외 요청의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S200 단계를 통하여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가 구매자 단말기(200)로 제공하고 있는 검색 결과는 제1 상품 검색어 및 제2 상품 검색어에 중복하여 대응하는 딜일 수 있다. 이 때, 구매자가 제1 상품 검색어 및 제2 상품 검색어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를 제공 받고 싶은 경우, 구매자 단말기(200)의 사용자는 제외하고자 하는 검색어를 선택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해당 검색어를 제외한 검색 결과의 제공을 요청하기 위하는 제외 신호를 구매자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제외 신호의 수신은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수신부(11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 후,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제2 검색 결과를 선정하는 단계(S400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제2 검색 결과는 제1 상품 검색어 및 제2 상품 검색어 중, 제외 신호에 의한 제외 요청에 대응하는 검색어를 제외한 나머지 검색어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상품 검색어가 '과일'이고 제2 상품 검색어가 '익일 배송'이면서, 제외 신호가 '익일 배송'이라는 검색어를 제외해달라는 요청 신호일 경우,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검색 조건에서 익일 배송을 제외하고, 과일을 판매하려는 판매자가 등록한 딜들을 배송 조건과 관계없이 선정하여 제2 검색 결과로 제공할 수 있다.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 내의 메모리(150) 또는 데이터베이스(170) 내에 저장된 딜을 제2 검색 결과로 선정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검색 결과의 선정은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제어부(13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 후,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제2 검색 결과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S500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제2 검색 결과 신호는 제2 검색 결과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S400 단계에서 선정한 제2 검색 결과에 대한 내용을 구매자 단말기(200)로 제공하기 위하여,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해당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적인 신호를 생성하여 구매자 단말기(200)로 송신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검색 결과 신호의 제공은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제공부(12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 때, 제2 검색 결과 신호의 생성은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제어부(13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의 S200 단계는, 특정 유저 인터페이스의 표시를 유도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S2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현재 구매자에게 제공되고 있는 검색 결과가 어떤 상품 검색어들에 대응하는 것인지 구매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구매자 단말기(200) 상에 상품 검색어들이 구매자에게 용이하게 인지될 수 있는 형태로 표시되도록 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신호를 구매자 단말기(200)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제1 상품 검색어가 제1 모양의 제1 유저 인터페이스의 내부에 표시될 수 있게 하고, 제2 상품 검색어가 제1 모양의 제2 유저 인터페이스의 내부에 표시될 수 있게 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신호를 구매자 단말기(200)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유저 인터페이스 및 제2 유저 인터페이스는 구매자 단말기(200)의 표시부의 일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1 모양은 꼭지점이 뾰족하거나 둥근 카드 모양, 박스 모양, 원 모양, 타원 모양, 및 다각형 모양 중 어느 하나의 모양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유저 인터페이스는 직사각형 형태이면서 그 내부에 '과일'이라는 제1 상품 검색어가 표시된 유저 인터페이스일 수 있고, 제2 유저 인터페이스는 동일한 직사각형 형태이면서 그 내부에 '익일 배송'이라는 제2 상품 검색어가 표시된 유저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이러한 제1 유저 인터페이스 및 제2 유저 인터페이스가 구매자 단말기(200)의 내부에 표시될 수 있게 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신호를 구매자 단말기(2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선택적으로,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의 S300 단계는, 특정 위치를 선택하는 제외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310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위치는 제1 유저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2 유저 인터페이스 중 하나에 대응하는 위치일 수 있다. 즉, 구매자는 구매자 단말기(200) 상에서 특정 위치를 선택함으로써 자신이 제외하고자 하는 검색어를 선택할 수 있고,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해당 특정 위치를 선택하는 제외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구매자의 검색어 제외 의사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의 S400 단계는, 특정 위치를 선택하는 제외 신호에 대응하여 제2 검색 결과를 선정하는 단계(S410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제1 유저 인터페이스 및 제2 유저 인터페이스 중, 제외 신호에 의해 선택된 유저 인터페이스의 내부에 표시된 검색어를 제외하고, 나머지 검색어에 대응하는 상기 제2 검색 결과를 선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검색어 제외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가 구매자 단말기(200) 상에 표시되는 예시적인 형태는 도 15a, 15b, 16a, 및 16b를 통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선택적으로,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의 S210 단계는, 제3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S211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3 유저 인터페이스는 특정 검색어를 검색에서 제외시켜달라는 제외 요청을 송신하기 위해 구매자 단말기(200) 상에 표시되는 유저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이러한 제3 유저 인터페이스가 제1 유저 인터페이스 및 제2 유저 인터페이스 각각에 대응하는 위치에 표시될 수 있게 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신호를 구매자 단말기(200)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유저 인터페이스는 '제외'라는 글자가 쓰여진 유저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이러한 제3 유저 인터페이스가 제1 유저 인터페이스 및 제2 유저 인터페이스 각각에 대응하는 위치에 표시되도록 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신호를 구매자 단말기(200)로 제공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의 S210 단계는, 제4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S212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4 유저 인터페이스는 특정 검색어를 검색에서 제외시켜달라는 제외 요청을 송신하기 위해 구매자 단말기(200) 상에 표시되는 유저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이러한 제4 유저 인터페이스가 제1 유저 인터페이스 및 제2 유저 인터페이스 각각에 대응하는 위치에 표시될 수 있게 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신호를 구매자 단말기(200)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유저 인터페이스는 X자 모양의 유저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이러한 제4 유저 인터페이스가 제1 유저 인터페이스 및 제2 유저 인터페이스 각각의 내부 오른쪽 위 모서리 부분에 표시되도록 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신호를 구매자 단말기(200)로 제공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은 S100 단계 이전에 검색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50 단계), 제3 검색 결과를 선정하는 단계(S60 단계), 추천 검색어를 선정하는 단계(S70 단계), 제3 검색 결과 및 추천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S80 단계), 및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90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검색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50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검색 신호는 제1 상품 검색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일 수 있다. 검색 신호는 구매자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한 신호일 수 있다. 이러한 검색 신호의 수신은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수신부(11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 후,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제3 검색 결과를 선정하는 단계(S60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제3 검색 결과는 제1 상품 검색어에 대응하는 딜의 명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상품 검색어가 '지갑'인 경우,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지갑을 판매하려는 판매자가 등록한 딜들을 선정하여 제3 검색 결과로 제공할 수 있다.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 내의 메모리(150) 또는 데이터베이스(170) 내에 저장된 딜을 제3 검색 결과로 선정할 수 있다. 이러한 제3 검색 결과의 선정은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제어부(13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 후,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추천 검색어들을 선정하는 단계(S70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품 검색어와 연관지어서 추천 검색어들을 선정할 수도 있고, 제1 검색 결과들 중 전부 또는 일부와 연관지어서 추천 검색어들을 선정할 수도 있고, 온라인 쇼핑몰에서 진행 중인 이벤트와 연관지어서 추천 검색어들을 선정할 수도 있고, 상품을 배송하는 방법 또는 해당 배송 자체의 특징과 연관된 내용을 추천 검색들로 선정할 수도 있고, 온라인 쇼핑몰을 이용하는 구매자들의 과거 주문 내역 또는 개인 정보를 고려하여 추천 검색어들을 선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제1 추천 검색어들의 선정과 관련된 구체적인 예시는 추후 도 11 내지 도 13을 이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추천 검색어들의 선정은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제어부(13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 후,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제3 검색 결과 신호 및 추천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S80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제3 검색 결과 신호는 제3 검색 결과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S60 단계에서 선정한 제3 검색 결과에 대한 내용을 구매자 단말기(200)로 제공하기 위하여,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해당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적인 신호를 생성하여 구매자 단말기(200)로 송신할 수 있다. 추천 신호는 추천 검색어들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S70 단계에서 선정한 추천 검색어들에 대한 내용을 구매자 단말기(200)로 제공하기 위하여,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해당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적 신호인 추천 신호를 생성하여 구매자 단말기(200)로 송신할 수 있다. 이러한 제3 검색 결과 신호 및 추천 신호의 제공은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제공부(12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 때, 제3 검색 결과 신호 및 추천 신호의 생성은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제어부(13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 후,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추천 검색어들 중 하나인 제2 상품 검색어를 선택하는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90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제2 상품 검색어는 추천 검색어들 중 하나일 수 있다. 즉, 선택 신호는 S80 단계에서 제공된 추천 신호에 포함된 추천 검색어들 중, 구매자 단말기(200)에 의해 선택된 추천 검색어인 제2 상품 검색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일 수 있다. 이러한 선택 신호는 구매자 단말기(200)에서 생성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선택 신호의 수신은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수신부(11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 때 선택적으로,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의 S70 단계는 상품 검색어와 연관된 명칭을 추천 검색어로 선정하는 단계(S71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품 검색어와 연관된 명칭에는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을 통하여 거래되고 있는 상품의 명칭, 해당 상품의 카테고리의 명칭, 해당 상품의 제조사의 명칭, 또는 해당 상품의 유통사의 명칭 중 S50 단계에서 입력 받은 제1 상품 검색어와 연관이 있는 명칭을 추천 검색어로 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품 검색어가 '지갑'인 경우,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유명한 지갑 브랜드의 명칭, 지갑의 재질 중 하나인 '가죽', 또는 지갑을 많이 유통하는 회사명 등을 추천 검색어로 선정할 수 있다.
이 때,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구매자 단말기(200)를 사용하는 구매자의 과거 구매 이력 또는 개인 정보를 고려하여 제1 추천 검색어를 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매자가 여성인 경우,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지갑과 연관된 명칭으로 '여성용 지갑'을 선정할 수 있다. 다른 예시로 구매자가 과거에 악어 가죽으로 된 지갑을 구매한 이력이 존재하는 경우,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지갑과 연관된 명칭으로 '악어 가죽'을 선정할 수 있다. 또는,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을 이용하는 다수의 구매자들의 과거 구매 이력을 고려하여 제1 추천 검색어를 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을 통하여 가장 많은 구매자들이 구매한 지갑이 'A제조사'의 지갑인 경우,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지갑과 연관된 명칭으로 'A제조사'를 선정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의 S70 단계는 상품의 배송과 관련된 명칭을 추천 검색어로 선정하는 단계(S72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 상에서 구매자 및 판매자 간 상품 거래가 발생할 경우, 해당 상품의 배송이 진행된다. 이 때, 배송의 방법 또는 배송의 특징과 관련하여 해당 배송을 지칭하면 명칭이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매를 진행한 익일에 상품의 배송이 완료되는 경우, 이러한 배송은 '익일 배송', '신속 배송', 또는 '로켓 배송' 등으로 불릴 수 있다. 만약 A운송사를 통하여 배송이 진행되는 경우, 이러한 배송은 'A운송사 배송'으로 불릴 수 있다.
이 때,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구매자 단말기(200)를 사용하는 구매자의 과거 구매 이력 또는 개인 정보를 고려하여 제1 추천 검색어를 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매자가 배송이 빠르게 수행되는 물품들을 구매한 과거 이력이 존재하는 경우,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익일 배송', '신속 배송', 또는 '로켓 배송' 등을 제1 추천 검색어로 선정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의 S70 단계는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 상에서 진행되고 있는 이벤트의 명칭을 추천 검색어로 선정하는 단계(S73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 상에서는 판매 촉진 등의 홍보를 위하여 할인 행사, 사은품 행사, 또는 1+1 행사 등의 다양한 이벤트들이 진행될 수 있다. 이 때,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 상에서 진행되는 이벤트들 중, 상품 검색어와 연관이 있는 이벤트의 명칭을 제1 추천 검색어로 선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 1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의 S100 단계는, 제1 내지 제3 상품 검색어에 중복하여 대응하는 제1 검색 결과를 선정하는 단계(S110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한 개 또는 두 개의 검색어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를 선정할 수도 있지만, 두 개를 초과하는 개수의 검색어들 모두에 중복하여 대응하는 검색 결과 또한 선정할 수 있다.
또한,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의 S300 단계는, 제1 내지 제3 상품 검색어들 중 하나 이상의 제외를 요청하는 제외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320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복수의 검색어들 중 하나를 제외하는 제외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지만, 복수의 검색어들 중 두 개 이상을 제외하는 제외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의 S400 단계는, 해당 제외 신호를 기초로 제2 검색 결과를 선정하는 단계(S410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제1 내지 제3 상품 검색어들 중, 해당 제외 신호에 의한 제외 요청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검색어들을 제외하고, 나머지 검색어에 대응하는 제2 검색 결과를 선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15a, 15b, 16a, 및 16b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하에서, 특정 검색어를 제외한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방법의 예시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5a, 도 15b, 도 16a, 및 도 1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를 통하여 쇼핑 서비스가 제공되는 형태의 예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구매자 단말기(200) 상에 온라인 쇼핑몰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품 검색어들을 표시하기 위한 상품 검색어 표시 공간(500)을 구매자 단말기(2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상품 검색어 표시 공간(500)은 꼭지점이 뾰족하거나 둥근 카드 모양, 박스 모양, 원 모양, 타원 모양, 및 다양한 다각형 모양 등의 모양의 인터페이스일 수도 있고, 단순히 상품 검색어들이 표시될 수 있는 빈 공간을 나타내는 인터페이스일 수도 있다. 상품 검색어 표시 공간(500)의 내부에는 제1 상품 검색어 유저 인터페이스(502) 및 제2 상품 검색어 유저 인터페이스(504)가 표시될 수 있다. 이 때,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구매자로부터 상품 검색어를 입력 받기 위한 검색어 입력 유저 인터페이스(506)를 구매자 단말기(200)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매자 단말기(200)를 통하여 입력된 상품 검색어가 '화장품'인 경우, 제1 상품 검색어 유저 인터페이스(502)는 '화장품'이라는 검색어가 표시되는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또한, 구매자 단말기(200)를 통하여 선택된 추천 검색어가 'A사제품'인 경우, 제2 상품 검색어 유저 인터페이스(504)는 'A사제품'이라는 검색어가 표시되는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도 15a에서는 제1 상품 검색어 유저 인터페이스(502) 및 제2 상품 검색어 유저 인터페이스(504)가 직사각형 모양의 인터페이스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다. 즉, 제1 상품 검색어 유저 인터페이스(502) 및 제2 상품 검색어 유저 인터페이스(504)는 꼭지점이 뾰족하거나 둥근 카드 모양, 박스 모양, 원 모양, 타원 모양, 및 다양한 다각형 모양의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나아가, 상품 검색어 표시 공간(500) 내부에 특정한 모양 없이 단순히 상품 검색어들만이 나열될 수도 있다.
또한,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구매자 단말기(200)의 표시부의 제2 영역에 표시되는 제1 검색 결과(508)에 제1 상품 검색어 및 제2 상품 검색어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구매자 단말기(200)의 표시부에 특정 알고리즘에 의해 선정된 추천 검색어들을 표시하기 위한 추천 검색어 유저 인터페이스(100)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 상품 검색어 유저 인터페이스(502) 및 제2 상품 검색어 유저 인터페이스(504) 내부에는 해당 유저 인터페이스에 표시되어 있는 상품 검색어를 검색에서 제외시키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상품 검색어 유저 인터페이스(502) 및 제2 상품 검색어 유저 인터페이스(504) 내부의 우측 상단에 X자 모양의 유저 인터페이스가 표시될 수 있다.
이 때, 구매자 단말기(200)에서 해당 유저 인터페이스가 선택되면,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해당 유저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상품 검색어를 제외시키기 위한 제외 신호를 구매자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매자 단말기(200)의 사용자는 'A사제품'이라는 제2 상품 검색어가 표시된 제2 상품 검색어 유저 인터페이스(504)에 표시된 검색어 제외용 유저 인터페이스(512)를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품 검색어 표시 공간(514)에서 제2 상품 검색어 유저 인터페이스(504)가 삭제되고 제1 상품 검색어 유저 인터페이스만 표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구매자 단말기(200)의 표시부의 제2 영역에 제1 상품 검색어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인 제2 검색 결과(516)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1 검색 결과(508)에는 화장품 중 A사의 제품을 판매하는 딜들만 표시되었으나, 제2 검색 결과(516)에는 A사, B사를 포함하는 다양한 회사들의 화장품을 판매하는 딜들이 모두 표시될 수 있다.
유사하게, 도 1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입력된 혹은 선택된 상품 검색어들이 제1 내지 제3 상품 검색어들인 경우,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구매자 단말기(200) 상의 상품 검색어 표시 공간(518)에 세 개의 상품 검색어들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품 검색어 표시 공간(518)에 제1 상품 검색어인 '화장품', 제2 상품 검색어인 'A사제품', 및 제3 상품 검색어인 '로켓배송'을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구매자 단말기(200)의 표시부의 제2 영역에 제1 내지 제3 상품 검색어들 모두에 중복하여 대응하는 검색 결과인 제3 검색 결과(520)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3 상품 검색어들 각각을 나타내는 유저 인터페이스 내부에, 해당 유저 인터페이스에 표시되어 있는 상품 검색어를 검색에서 제외시키기 위한 특정한 유저 인터페이스가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구매자 단말기(200) 상에서 제1 내지 제3 상품 검색어들 각각을 나타내는 유저 인터페이스의 위치를 선택하는 입력이 해당 상품 검색어를 검색어에 제외시키고자 하는 입력으로 인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매자 단말기(200)의 사용자가 제2 상품 검색어인 'A사제품' 및 제3 상품 검색어인 '로켓배송'을 터치하는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제2 상품 검색어인 'A사제품' 및 제3 상품 검색어인 '로켓배송'을 검색에서 제외시키기 위한 제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구매자 단말기(200) 상의 상품 검색어 표시 공간(522)에 제1 상품 검색어인 '화장품'만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구매자 단말기(200)의 표시부의 제2 영역에 제1 상품 검색어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인 제4 검색 결과(524)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3 검색 결과(520)에는 A사의 화장품을 판매하는 딜들 중 로켓배송의 조건에 맞는 배송이 가능한 딜들만 표시되었으나, 제4 검색 결과(524)에는 제조사 또는 배송 조건에 관계없이 화장품을 판매하는 딜들이 모두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하여, 복수의 상품 검색어들에 중복하여 대응하는 검색 결과를 선정하고, 구매자에게 해당 검색 결과를 제공함으로써 쇼핑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상품 검색어들에 중복하여 대응하는 검색 결과를 선정하여 구매자에게 제공하고, 구매자로부터 해당 복수의 상품 검색어들 중 일부를 제외한 검색 결과의 제공 요청을 수신하여, 구매자에게 해당 요청에 맞는 검색 결과를 제공함으로써 쇼핑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컴퓨터 상에서 다양한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매체는 네트워크 상에서 전송 가능한 형태로 구현되는 무형의 매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또는 애플리케이션 형태로 구현되어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 및 유통이 가능한 형태의 매체일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디바이스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0: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110: 수신부
120: 제공부
130: 제어부
200: 구매자 단말기
300: 판매자 단말기
400: 통신망

Claims (16)

  1.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의한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서,
    제어부에 의해, 제1 상품 검색어 및 제2 상품 검색어에 중복하여 대응하는 제1 검색 결과를 선정하는 단계;
    제공부에 의해, 상기 제1 검색 결과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1 검색 결과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
    수신부에 의해, 상기 제1 상품 검색어 및 제2 상품 검색어 중 하나를 검색에서 제외시켜달라는 제외 요청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외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제1 상품 검색어 및 제2 상품 검색어 중, 상기 제외 신호에 의한 제외 요청에 대응하는 검색어를 제외하고, 나머지 검색어에 대응하는 제2 검색 결과를 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공부에 의해, 상기 제2 검색 결과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2 검색 결과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검색 결과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상품 검색어가 제1 모양의 제1 유저 인터페이스의 내부에 표시될 수 있게 하고, 상기 제2 상품 검색어가 상기 제1 모양의 제2 유저 인터페이스의 내부에 표시될 수 있게 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모양은, 꼭지점이 뾰족하거나 둥근 카드 모양, 박스 모양, 원 모양, 타원 모양, 및 다각형 모양 중 어느 하나의 모양인,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외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유저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2 유저 인터페이스 중 하나에 대응하는 위치를 선택하는 상기 제외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검색 결과를 선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유저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2 유저 인터페이스 중, 상기 제외 신호에 의해 선택된 유저 인터페이스의 내부에 표시된 검색어를 제외하고, 나머지 검색어에 대응하는 상기 제2 검색 결과를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는,
    특정 검색어를 검색에서 제외시켜달라는 제외 요청을 송신하기 위한 제3 유저 인터페이스가 상기 제1 유저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2 유저 인터페이스 각각에 대응하는 위치에 표시될 수 있게 하는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는,
    특정 검색어를 검색에서 제외시켜달라는 제외 요청을 송신하기 위한 제4 유저 인터페이스가 상기 제1 유저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2 유저 인터페이스 각각의 내부에 표시될 수 있게 하는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검색 결과를 선정하는 단계 이전,
    상기 수신부에 의해, 상기 제1 상품 검색어의 정보를 포함하는 검색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제1 상품 검색어에 대응하는 제3 검색 결과를 선정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 의해, 하나 이상의 추천 검색어들을 선정하는 단계;
    상기 제공부에 의해, 상기 제3 검색 결과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3 검색 결과 신호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추천 검색어들의 정보를 포함하는 추천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부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추천 검색어들 중 하나인 상기 제2 상품 검색어를 선택하는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검색어들을 선정하는 단계는,
    상기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거래되고 있는 상품의 명칭, 상기 상품의 카테고리의 명칭, 상기 상품의 제조사의 명칭, 또는 상기 상품의 유통사의 명칭 중 상기 상품 검색어와 연관이 있는 명칭을 상기 추천 검색어로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검색어들을 선정하는 단계는,
    상기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거래되는 상품들의 배송 방법 또는 배송 특징에 대한 명칭을 상기 추천 검색어로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검색어들을 선정하는 단계는,
    상기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진행 중인 이벤트의 명칭을 상기 추천 검색어로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검색 결과를 선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상품 검색어, 상기 제2 상품 검색어, 및 제3 상품 검색어에 중복하여 대응하는 상기 제1 검색 결과를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외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내지 제3 상품 검색어들 중 하나 이상을 검색에서 제외시켜달라는 제외 요청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외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검색 결과를 선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내지 제3 상품 검색어들 중, 상기 제외 신호에 의한 제외 요청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검색어들을 제외하고, 나머지 검색어에 대응하는 제2 검색 결과를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11. 컴퓨터를 이용하여 제1 항 내지 제10 항의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2. 제1 상품 검색어 및 제2 상품 검색어에 중복하여 대응하는 제1 검색 결과를 선정하는 제어부;
    상기 제1 검색 결과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1 검색 결과 신호를 제공하는 제공부; 및
    상기 제1 상품 검색어 및 제2 상품 검색어 중 하나를 검색에서 제외시켜달라는 제외 요청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외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상품 검색어 및 제2 상품 검색어 중, 상기 제외 신호에 의한 제외 요청에 대응하는 검색어를 제외하고, 나머지 검색어에 대응하는 제2 검색 결과를 선정하고,
    상기 제공부는, 상기 제2 검색 결과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2 검색 결과 신호를 제공하는,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부는, 상기 제1 상품 검색어가 제1 모양의 제1 유저 인터페이스의 내부에 표시될 수 있게 하고, 상기 제2 상품 검색어가 상기 제1 모양의 제2 유저 인터페이스의 내부에 표시될 수 있게 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제1 모양은, 꼭지점이 뾰족하거나 둥근 카드 모양, 박스 모양, 원 모양, 타원 모양, 및 다각형 모양 중 어느 하나의 모양인,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제1 유저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2 유저 인터페이스 중 하나에 대응하는 위치를 선택하는 상기 제외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유저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2 유저 인터페이스 중, 상기 제외 신호에 의해 선택된 유저 인터페이스의 내부에 표시된 검색어를 제외하고, 나머지 검색어에 대응하는 상기 제2 검색 결과를 선정하는,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부는, 검색어를 검색에서 제외시켜달라는 요청을 송신하기 위한 제3 유저 인터페이스가 상기 제1 유저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2 유저 인터페이스 각각에 대응하는 위치에 표시될 수 있게 하는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신호를 제공하는,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16.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부는, 검색어를 검색에서 제외시켜달라는 요청을 송신하기 위한 제4 유저 인터페이스가 상기 제1 유저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2 유저 인터페이스 각각의 내부에 표시될 수 있게 하는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신호를 제공하는,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KR1020150107413A 2015-07-29 2015-07-29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17084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7413A KR101708469B1 (ko) 2015-07-29 2015-07-29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7413A KR101708469B1 (ko) 2015-07-29 2015-07-29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4307A true KR20170014307A (ko) 2017-02-08
KR101708469B1 KR101708469B1 (ko) 2017-02-20

Family

ID=58155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7413A KR101708469B1 (ko) 2015-07-29 2015-07-29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846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7553A (ko) 2000-11-14 2002-05-22 유승렬 다자간 대화형 쇼핑몰 운영방법 및 시스템
KR20100115409A (ko) * 2009-04-20 2010-10-28 주식회사 인텔렉추얼애드 컨텐츠 관련 정보 출력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사용자 단말 및 기록매체
JP2011133926A (ja) * 2009-12-22 2011-07-07 Yahoo Japan Corp 商品検索支援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7553A (ko) 2000-11-14 2002-05-22 유승렬 다자간 대화형 쇼핑몰 운영방법 및 시스템
KR20100115409A (ko) * 2009-04-20 2010-10-28 주식회사 인텔렉추얼애드 컨텐츠 관련 정보 출력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사용자 단말 및 기록매체
JP2011133926A (ja) * 2009-12-22 2011-07-07 Yahoo Japan Corp 商品検索支援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8469B1 (ko) 2017-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58006A1 (en) System and methods for personalization and enhancement of a marketplace
JP6901412B2 (ja) 購入のための拡張現実デバイス、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230162272A1 (en) Shopping trip planner
JP6019124B2 (ja) 統合ショッピングカートを利用したショッピングサービスの提供方法、装置及びそのシステム
US8214261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moting user generation of content
US20150310388A1 (en) Local couriers network in the context of an on-line trading platform
US2015012748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optimizing and streamlining the shopping experience in a retail environment
US20130117152A1 (en) Javascript Widget Storefront
KR101742745B1 (ko)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N109615415A (zh) 一种广告预览方法及装置
KR101695570B1 (ko) 키워드 추출에 의한 온라인 쇼핑 장바구니의 자동 생성 방법
KR101735013B1 (ko)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WO2016187309A1 (en) Smart publication listings engine
KR101711126B1 (ko)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1643356B1 (ko)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1708469B1 (ko)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1744323B1 (ko)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703920B1 (ko)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20056342A (ko) 의류상품 오픈마켓에서의 구매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441293B1 (ko) 아이템 그룹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220026185A (ko) 건강식품 오픈마켓에서의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690713B1 (ko)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1707653B1 (ko)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JP6694860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20160130190A (ko) 인터넷 쇼핑몰 판매자의 예약 입찰 제공 방법,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서비스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