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3356B1 -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3356B1
KR101643356B1 KR1020150073088A KR20150073088A KR101643356B1 KR 101643356 B1 KR101643356 B1 KR 101643356B1 KR 1020150073088 A KR1020150073088 A KR 1020150073088A KR 20150073088 A KR20150073088 A KR 20150073088A KR 101643356 B1 KR101643356 B1 KR 1016433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ivery
information
product
transaction
e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3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워드벤처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워드벤처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워드벤처스
Priority to KR10201500730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33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3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33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2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events or environment, e.g. weather or festiv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7User reques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G06Q50/28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에 의한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써, 상기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에 의해, 판매자 및 주문자 간에 정기배송 상품에 대한 거래를 정기적으로 진행하기 위해 필요한 정기배송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정기배송 상품에 대한 정기적인 거래 요청 이후 상기 정기배송 상품에 대한 거래 진행 시, 상기 정기배송 상품과 관련된 이벤트 중 상기 정기적인 거래 요청 시점에서부터 상기 정기배송 상품에 대한 거래 진행 시점 사이에 발생한 신규 이벤트의 진행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신규 이벤트가 진행중인 경우, 상기 신규 이벤트를 상기 정기배송 상품에 대한 거래에 적용하여 상기 판매자 및 상기 주문자 간의 상기 정기배송 상품에 대한 거래를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Devic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providing shopping servic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요즈음, 온라인 쇼핑몰에서 상품을 구매하는 주문자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온라인 쇼핑몰 사업 시장이 매우 빠른 속도로 커지는 상황이며, 이러한 상황에서 수많은 온라인 쇼핑몰들 간의 더 많은 주문자를 유치하기 위한 경쟁은 날이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다.
따라서, 자신의 온라인 쇼핑몰 쇼핑 사이트에 더 많은 주문자가 접속해서 상품을 구매하도록 만들기 위해, 온라인 쇼핑몰 운영자들은 자신의 온라인 쇼핑몰 쇼핑 사이트에 접속한 주문자에게 타 온라인 쇼핑몰 쇼핑 사이트보다 더 큰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온라인 쇼핑몰 쇼핑 사이트에 대한 여러 각도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2002-0037553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정기적으로 배송을 진행중인 상품에 대해서, 배송 시 해당 상품에 적용 가능한 이벤트가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이벤트가 존재하는 경우에 해당 이벤트를 적용하여 상품에 대한 거래가 진행되도록 하는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정기적으로 배송을 진행중인 상품에 대해서, 배송 시 해당 상품에 적용 가능한 이벤트가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이벤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벤트가 진행 중인 유사 상품을 대신 구매하도록 주문자에게 권유하는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에 의한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써, 상기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에 의해, 판매자 및 주문자 간에 정기배송 상품에 대한 거래를 정기적으로 진행하기 위해 필요한 정기배송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정기배송 상품에 대한 정기적인 거래 진행 시, 상기 정기배송 상품과 관련된 이벤트의 진행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정기배송 상품과 관련된 이벤트가 진행중인 경우, 상기 관련된 이벤트를 상기 정기적인 거래에 적용하여 상기 판매자 및 상기 주문자 간의 정기적인 거래를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을 개시한다.
상기 정기배송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는, 신청 시에 정기적으로 배송 가능한 복수의 정기배송 상품들의 판매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주문자의 요청에 따라 선택된 정기배송 상품에 대하여 첫 배송 시작일 및 배송 주기를 포함하는 상기 정기배송 정보를 설정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련된 이벤트의 진행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관련된 이벤트가 상기 주문자에게 적용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상기 거래를 진행하는 단계는, 상기 관련된 이벤트의 진행 여부 및 상기 관련된 이벤트의 상기 주문자에게 적용 가능 여부를 함께 고려하여 상기 판매자 및 상기 주문자 간의 정기적인 거래를 진행할 수 있다.
상기 거래를 진행하는 단계는, 상기 정기배송 상품과 관련된 이벤트가 진행되고 있는 경우, 상기 관련된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상기 주문자의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주문자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관련된 이벤트를 적용하겠다는 승낙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관련된 이벤트를 상기 정기적인 거래에 적용하여 상기 판매자 및 상기 주문자 간의 정기적인 거래를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행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정기배송 상품과 동일한 종류의 다른 정기배송 상품 및 상기 정기배송 상품과 용도가 동일하면서 종류가 다른 상품 중 적어도 하나의 상품과 관련된 주변 이벤트의 진행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상기 거래를 진행하는 단계는, 상기 주변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상기 주문자의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정기배송 정보는, 상기 정기배송 상품의 종류, 배송할 상기 정기배송 상품의 수량, 상기 정기배송 상품의 첫 배송일, 상기 정기배송 상품의 배송 주기, 상기 주문자에 대한 정보, 상기 판매자에 대한 정보, 상기 정기배송 상품을 수취할 수취자에 대한 정보, 및 결제 금액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일반적이고 구체적인 측면이 시스템,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어떠한 시스템,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의 조합을 사용하여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판매자 및 주문자 간에 정기배송 상품에 대한 거래를 정기적으로 진행하기 위해 필요한 정기배송 정보를 저장하는 정기배송부; 및 상기 정기배송 상품에 대한 정기적인 거래 진행 시, 상기 정기배송 상품과 관련된 이벤트의 진행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정기배송 상품과 관련된 이벤트가 진행중인 경우에 상기 관련된 이벤트를 상기 정기적인 거래에 적용하여 상기 판매자 및 상기 주문자 간의 정기적인 거래를 진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정기배송부는, 신청 시에 정기적으로 배송 가능한 복수의 정기배송 상품들의 판매정보를 제공하는 제공부; 상기 주문자의 요청에 따라 선택된 정기배송 상품에 대하여 첫 배송 시작일 및 배송 주기를 포함하는 상기 정기배송 정보를 설정하는 설정부; 및 상기 설정된 정기배송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관련된 이벤트가 상기 주문자에게 적용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관련된 이벤트의 진행 여부 및 상기 관련된 이벤트의 상기 주문자에게 적용 가능 여부를 함께 고려하여 상기 판매자 및 상기 주문자 간의 정기적인 거래를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기배송 상품과 관련된 이벤트가 진행되고 있는 경우에 상기 관련된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상기 주문자의 단말기에 제공하고, 상기 주문자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관련된 이벤트를 적용하겠다는 승낙 신호가 수신된 경우에 상기 관련된 이벤트를 상기 정기적인 거래에 적용하여 상기 판매자 및 상기 주문자 간의 정기적인 거래를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기배송 상품과 동일한 종류의 다른 정기배송 상품 및 상기 정기배송 상품과 용도가 동일하면서 종류가 다른 상품 중 적어도 하나의 상품과 관련된 주변 이벤트의 진행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주변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상기 주문자의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정기배송 정보는, 상기 정기배송 상품의 종류, 배송할 상기 정기배송 상품의 수량, 상기 정기배송 상품의 첫 배송일, 상기 정기배송 상품의 배송 주기, 상기 주문자에 대한 정보, 상기 판매자에 대한 정보, 상기 정기배송 상품을 수취할 수취자에 대한 정보, 및 결제 금액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해서, 정기적으로 배송을 진행중인 상품에 대해서, 배송 시 해당 상품에 적용 가능한 이벤트가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이벤트가 존재하는 경우에 해당 이벤트를 적용하여 상품에 대한 거래가 진행되도록 하는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정기적으로 배송을 진행중인 상품에 대해서, 배송 시 해당 상품에 적용 가능한 이벤트가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이벤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벤트가 진행 중인 유사 상품을 대신 구매하도록 주문자에게 권유하는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의 내부 구성 요소 중, 쇼핑 서비스 제공부의 상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주문자 단말기 간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문자 단말기의 상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정기배송'이라 함은, 주문자가 구매한 상품에 대한 가격을 온라인 쇼핑 사이트에 지급하면, 온라인 쇼핑 사이트가 해당 상품을 정기적으로 배송해 주는 상거래를 의미할 수 있다. 정기배송은 일반배송에 비해 다음과 같은 차이점이 있다. 일반배송은 1회의 결제를 통하여 1회의 상품을 제공받을 수 있기 때문에 소비자가 니즈(needs)를 느낄 때 마다 매번 온라인 쇼핑 사이트에 로그인하여 매번 정해진 결제 절차에 의해 주문을 해야 하지만, 정기배송은 1회의 결제를 통해 약속된 기간 동안, 약속된 주기로 약속된 회수만큼 구매한 상품을 제공받을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상거래의 복잡한 결제 절차에 대해, 구매한 상품이 소진되어 다시 주문해야 하는 번거로움에 대해 상대적으로 편의성을 제공해 줄 수 있다. 또한 '정기배송 상품'이라 함은, 약속된 기간 동안, 약속된 주기로 약속된 회수만큼 배송할 수 있는 상품으로, 예를 들어, 생수, 쌀, 기저귀, 또는 분유 등과 같이 지속적으로 소비가 일어나는 상품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통신부(110), 메모리(120), 프로그램 저장부(130), 제어부(140), 데이터베이스(150) 및 쇼핑 서비스 제공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통신망(400)과 연동하여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와 주문자 단말기(도 3 내지 도 5의 200) 간의 송수신 신호를 패킷 데이터 형태로 제공하는 데 필요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통신부(110)는 주문자 단말기(200)로부터 쇼핑 서비스와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역할을 할 수 있고, 쇼핑 서비스 제공부(160)가 제공한 쇼핑 서비스와 관련된 데이터를 주문자 단말기(200)로 송신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블루투스 통신부,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 근거리 무선 통신부(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WLAN(와이파이) 통신부, 지그비(Zigbee) 통신부,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부, WFD(Wi-Fi Direct) 통신부, UWB(ultra wideband) 통신부, Ant+ 통신부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통신부(110)는 다른 네트워크 장치와 유무선 연결을 통해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와 같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메모리(120)는 제어부(140)가 처리하는 데이터를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120)는 자기 저장 매체(magnetic storage media) 또는 플래시 저장 매체(flash storage media)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 저장부(130)는 주문자가 요청한 쇼핑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쇼핑 서비스를 처리하는 작업, 쇼핑 서비스 화면 내에 정기배송 상품에 정보를 표시하는 작업, 쇼핑 서비스 화면 내에 정기배송 상품을 구매하는 데에 필요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작업, 주문자의 정기배송 상품 종류 및 배송주기 설정에 대응하여 정기배송 신청/결제 정보를 생성하는 작업, 정기배송 상품의 신청내역 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하고 표시하는 작업, 정기배송 상품의 신청내역 정보를 주문자에게 전송하는 작업 등을 수행하는 제어 소프트웨어를 탑재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일종의 중앙처리장치로서 주문자 단말기(200)가 쇼핑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이트에 접속하거나, 쇼핑 서비스와 관련된 데이터를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하면 프로그램 저장부(130)와 연계하여 쇼핑 서비스와 관련된 데이터를 처리하고 주문자 단말기(200)로 해당 데이터를 제공하는 전체 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프로세서(processor)와 같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processor)'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으로 표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갖는,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디바이스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디바이스의 일 예로써,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처리디바이스(central processing unit: CPU),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처리 디바이스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데이터베이스(150)는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가 제공하는 쇼핑 서비스와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쇼핑 서비스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쇼핑 서비스 데이터베이스는 주문자 단말기(200)를 이용하여 신청/결제를 완료한 정기배송 상품의 신청내역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쇼핑 서비스 데이터베이스는 판매자 단말기(도 3의 300)로부터 획득한 상품 판매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데이터베이스(150)는 주문자 정보를 저장하는 유저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유저 데이터베이스는 쇼핑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주문자에 대한 주문자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여기서, 주문자 정보에는 주문자의 이름, 소속, 인적 사항, 성별, 나이 등 주문자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와, 아이디(ID) 및 패스워드(password) 등 로그인에 대한 정보, 접속 국가, 접속 위치, 접속에 이용한 장치에 대한 정보, 접속된 네트워크 환경 등 접속과 관련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쇼핑 서비스 제공부(160)는 쇼핑 서비스 화면 내에 정기배송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주문자의 주문에 따라 정기배송 상품의 종류, 정기배송 주기 등을 포함하는 정기배송 정보를 설정하고, 해당 설정된 정기배송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가 정기배송 시기에 맞춰서 상품이 배송되도록 거래를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쇼핑 서비스 제공부(160)는 설정된 정기배송 정보를 바탕으로 판매자 및 주문자간 거래를 진행할 때, 정기배송 상품과 관련된 이벤트(예컨대, 할인 행사, 2+1 등의 행사, 또는 할인 쿠폰 등)가 존재하는지 확인하여 해당 이벤트를 적용하여 거래를 진행할 수 있다.
종래의 일반배송은 1회의 결제를 통하여 1회의 상품을 제공받을 수 있기 때문에 소비자가 니즈(needs)를 느낄 때 마다 매번 온라인 쇼핑 사이트에 로그인하여 매번 정해진 결제 절차에 의해 주문을 해야 해서 불편하였지만, 정기배송은 1회의 결제를 통해 약속된 기간 동안, 약속된 주기로 약속된 회수만큼 구매한 상품을 제공받을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상거래의 복잡한 결제 절차에 대해, 구매한 상품이 소진되어 다시 주문해야 하는 번거로움에 대해 상대적으로 편의성을 제공해 줄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의 내부 구성 요소 중, 쇼핑 서비스와 관련된 데이터 제공부의 상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쇼핑 서비스 제공부(160)는 정기 배송부(161) 및 제어부(165)를 포함할 수 있다.
정기 배송부(161)는 판매자 및 주문자 간에 정기배송 상품에 대한 거래를 정기적으로 진행하기 위해 필요한 정기배송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나아가, 정기 배송부(161)는 이러한 정기배송 정보가 생성될 수 있도록, 정기배송 상품에 대한 거래가 발생할 수 있게 하는 제공부(162), 설정부(163), 및 저장부(164)를 포함할 수 있다.
제공부(162)는 쇼핑 서비스 화면 내에서 복수의 정기배송 상품들 각각에 대한 판매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판매정보는 정기배송 상품들 각각에 대한 판매 정보로서, 카테고리와 함께 정기배송 상품의 이미지, 정기배송 상품의 판매 타이틀, 정기배송 상품의 가격 및 정기배송 상품 판매 기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공부(162)는 정기배송 상품들 각각의 판매정보 상에 일반 구매 즉, 1회 구매시의 제1 가격 및 정기배송 구매시의 제2 가격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가격은 제1 가격에 비해 더 저렴할 수 있다. 제공부(162)는 제2 가격 주변에 할인율을 표시하는 식별정보를 함께 출력하여, 주문자로 하여금 직관적으로 가격 비교를 하도록 할 수 있다.
제공부(162)는 주문자가 복수의 정기배송 상품들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정기배송 상품의 판매정보를 선택하는 신호에 대응하여 정기배송 상품의 상세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세정보는 정기배송 상품에 대한 보다 자세한 설명, 정기배송 상품에 대한 사용조건, 정기배송 상품을 판매하는 업체에 대한 위치, 연락처 등을 포함하는 업체 정보, 정기배송 상품을 구매한 구매자의 리뷰 정보, 구매자가 문의한 상품에 대한 문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공부(162)는 판매정보 또는 상세정보와 함께, 정기배송 상품에 대한 정기배송을 주문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라 함은, 사용자와 기기간의 상호 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돕는 장치나 소프트웨어, 휴대 전화의 액정 화면이나 버튼은 물론 글, 소프트웨어에서 사용자가 조작하는 메뉴나 체제 등이 모두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선택 시에 정기배송 상품에 대한 정기배송을 신청할 수 있는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선택하는 신호에 대응하여, 제공부(162)는 정기배송 상품의 구매를 위한 상품의 종류와 정기배송 주기를 선택하도록 하는 상품 종류/배송주기 선택 정보 및 정기배송 신청/결제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정기배송 신청 정보 및 정기배송 결제 정보는 정기배송 상품을 주문한 주문자의 이름, 휴대폰 번호 및/또는 이메일 주소 등을 포함하는 주문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정기배송 신청 정보 및 정기배송 결제 정보는 정기배송 상품을 수취하는 수취자의 이름, 휴대폰 번호, 주소, 비상 연락처 및/또는 배송 시 요청사항 등을 포함하는 수취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정기배송 신청 정보 및 정기배송 결제 정보는 정기배송 상품의 종류, 정기배송 상품에 대한 주문 개수, 할인쿠폰이 적용된 상품 가격, 첫 정기배송 예정일 및/또는 배송비를 포함하는 정기배송 신청내역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정기배송 신청 정보 및 정기배송 결제 정보는 총 주문 금액, 할인 쿠폰 사용 여부, 총 결제 금액 및/또는 신용카드 결제 또는 휴대폰 결제 중 하나를 포함하는 자동 결제수단으로 구성된 결제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정기배송 신청 정보 및 정기배송 결제 정보는 일정 기간 후에 정기배송할 상품의 종류를 변경하려는 예약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설정부(163)는 주문자의 요청에 따라 선택된 정기배송 상품에 대하여 정기배송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공부(162)에서 제공하는 판매정보 또는 상세정보를 확인한 주문자가 쇼핑 서비스 제공부(160)로 특정 정기배송 상품을 정기적으로 구매하겠다는 요청을 입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설정부(163)는 해당 요청에 대응하는 정기배송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정기배송 정보에는 상기 정기배송 상품의 종류, 배송할 상기 정기배송 상품의 수량, 상기 정기배송 상품의 첫 배송일, 상기 정기배송 상품의 배송 주기, 상기 주문자에 대한 정보, 상기 판매자에 대한 정보, 상기 정기배송 상품을 수취할 수취자에 대한 정보, 결제 금액 등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저장부(164)는 설정된 정기배송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장부(164)는 온라인 쇼핑 사이트에서 주문자의 구매 편의를 위해, 정기배송 상품에 대한 신청/결제를 완료한 정기배송 상품에 대한 신청내역 정보를 임시로 저장하고, 주문자의 요구에 따라 정기배송 상품 정보를 일괄적으로 표시하는 화면을 제공할 수 있는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64)는 선 신청/결제 후 저장방식으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64)는 구매하고자 하는 하나 이상의 정기배송 상품에 대한 신청/결제가 완료되면, 저장부(164)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정기배송 상품에 대한 신청내역 정보를 일괄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정기배송 상품에 대한 신청내역 정보는, 대표 이미지, 수량, 상품 가격, 정기배송 신청 시 할인가격, 쿠폰 할인 가격, 배송비, 결제 금액, 배송주기, 첫 배송 예정일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64)는 주문자 입력에 의한 정기배송 상품 결제 처리가 완료되면, 하나 이상의 정기배송 신청내역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 후, 사용자로부터의 정보 제공 신호에 대응하여, 저장부(164)는 저장한 하나 이상의 정기배송 신청내역 정보를 주문자 단말기(200)에 제공하여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65)는 통상적으로 쇼핑 서비스 제공부(16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65)는, 쇼핑 서비스 제공부(160)에 포함되는 정기 배송부(161), 제공부(162), 설정부(163), 저장부(164), 및 쇼핑 서비스 제공부(160)에 포함되는 기타 구성 부분들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65)는 정기배송 정보에 따라서, 판매자 및 주문자 간의 정기적인 거래를 진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65)는 정기배송 예정일 또는 배송 주기를 확인하여 정기배송 상품이 배송될 날짜를 확인할 수 있고, 정기배송 정보에 포함된 정기배송 상품의 종류 및 주문 개수를 확인하여, 확인된 날짜에 해당 정기배송 상품이 주문자에게 배송될 수 있도록 거래를 진행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65)는 정기배송 상품과 관련된 이벤트가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품에 대한 상거래가 진행될 때, 해당 상품의 제조업자, 도소매업자, 또는 해당 상품의 판매와 관련이 있는 관계자 등은 상품의 광고 또는 상품의 판매촉진을 위하여 다양한 이벤트를 진행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이벤트에는 상품 가격 할인 행사, 1+1 또는 2+1 판매 행사, 쿠폰 또는 상품권 제공 행사, 또는 사은품 증정 행사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대부분의 이러한 이벤트들은 일정한 시간 간격 동안에만 진행하는 경우가 많다. 그 결과, 주문자가 특정한 정기배송 상품에 대한 정기배송을 요청하는 경우에는 존재하지 않았던 이벤트가, 정기배송 정보에 따라서 판매자 및 주문자 간에 거래를 진행할 때에는 존재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65)는 정기배송 정보에 따라서 판매자 및 주문자 간에 정기배송 상품에 대한 거래를 진행할 때, 해당 정기배송 상품과 관련된 이벤트가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정기배송 상품과 관련된 이벤트가 진행중인 경우, 제어부(165)는 해당 이벤트를 적용하여 판매자 및 주문자 간에 정기배송 상품에 대한 거래를 진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쇼핑 서비스 제공부(160)는 주문자에게 최대한의 이득이 발생하도록 하여 거래를 진행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65)는 진행중인 이벤트가 주문자에게 적용이 가능한지 먼저 확인할 수 있다. 즉, 상품과 관련된 이벤트들 중에는 해당 상품을 처음으로 구매하는 사람이나 일정한 나이 대의 사람 등,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사람에게만 제공되는 이벤트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65)는 진행중인 이벤트에 대한 정보 및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되어 있는 주문자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진행중인 이벤트가 주문자에게 적용이 가능한지 확인할 수 있고, 해당 진행중인 이벤트가 주문자에게 적용이 가능한 경우에만 해당 진행중인 이벤트를 적용하여 판매자 및 주문자 간에 정기배송 상품에 대한 거래를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5)는 진행중인 이벤트를 거래에 적용하기 전에, 해당 진행중인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주문자 단말기(2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 후, 제어부(165)는 주문자 단말기(200)로부터 해당 진행중인 이벤트를 거래에 적용하겠다는 승낙 신호가 수신된 경우에만 판매자 및 주문자 간의 거래에 해당 진행중인 이벤트를 적용할 수 있다. 상품의 광고 또는 상품의 판매촉진을 위하여 진행되는 이벤트들 중에는, 일반적인 구매와 비교하여 구매자에게 전혀 손해가 발생하지 않는 이벤트들(예컨대, 상품 가격 할인 행사 또는 쿠폰 제공 행사)이 존재하는 반면, 일반적인 구매와 그 조건 자체가 다른 이벤트들(예컨대, 1+1 또는 2+1 판매 행사) 또한 존재한다. 따라서, 비록 정기배송 상품과 관련된 이벤트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주문자는 해당 이벤트를 적용하는 것을 원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65)는 진행중인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주문자 단말기(200)로 제공하고, 주문자 단말기(200)로부터 해당 진행중인 이벤트를 거래에 적용하겠다는 승낙 신호가 수신된 경우에만 판매자 및 주문자 간의 거래에 해당 진행중인 이벤트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5)는 정기배송 상품과 유사한 상품에 대해 이벤트가 존재하는 경우, 주문자 단말기(200)로 해당 사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정기배송 상품과 유사한 상품에는, 정기배송 상품과 동일한 종류의 다른 상품이나, 정기배송 상품과 용도가 동일하면서 종류가 다른 상품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쇼핑 서비스 제공부(160)는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송부는 주문자의 요청에 의해 저장부(164) 내에 저장된 정기배송 상품의 신청내역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수신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수신자라 함은, 정기배송 상품을 주문한 주문자를 포함한 한 명 이상의 다른 사용자일 수 있다. 전송부는 저장부(164)에 저장된 정기배송 상품에 대한 신청내역 정보가 표시된 화면을 수신자에게 전송하여, 수신자가 신청내역 정보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전송부는 정기배송 상품에 대한 신청내역 정보가 저장된 저장부(164)에 접속할 수 있는 링크 정보를 수신자에게 전송하여, 수신자가 해당 링크를 클릭하면, 저장부(164)에 저장된 정기배송 상품의 신청내역 정보가 표시된 화면이 수신자 단말기에 출력되고, 수신자는 주문자의 정기배송 상품 신청내역 정보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전송부는 정기배송 상품에 대한 신청내역 정보를 수신할 수신자에 대한 이메일 주소, 단말기 번호 또는 SNS(social network service) 주소 중 하나 이상의 전송방식 설정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전송방식 설정신호에 따라 저장부(164) 내에 저장된 정기배송 상품의 신청내역 정보를 수신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전송부는 저장부(164) 내에 저장된 정기배송 상품에 대한 신청내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정기배송 신청내역 정보 전송하기 화면을 제공하고, 정기배송 신청내역 정보 전송하기 화면으로부터 정기배송 신청내역 정보 전송방식 및 정기배송 신청내역 정보를 수신할 수신자 선택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정기배송 신청내역 정보 전송하기 화면은 정기배송 상품을 주문한 주문자의 이름, 휴대폰 번호 및/또는 이메일 주소 등을 포함하는 주문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정기배송 신청내역 정보 전송하기 화면은 주문자의 정기배송 상품 결제하기 신호에 대응하여 생성한 정기배송 상품에 대한 신청내역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정기배송 신청내역 정보 전송하기 화면은 이메일, 문자, SNS(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선택하는 정기배송 신청내역 정보 전송방식 선택 리스트와, 정기배송 신청내역 정보를 수신할 수신자를 설정할 수 있는 수신자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수신자 리스트에서는 정기배송 신청내역 정보를 수신할 대상의 수에 따라 적어도 한 명 이상의 수신자를 설정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주문자 단말기 간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통신망(400)을 통하여 주문자 단말기(200) 및 판매자 단말기(300)와 연결되는 장치일 수 있다. 즉, 전술한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주문자 단말기(200)와 구별되고 주문자 단말기(200)와 분리된 장치일 수 있다.
이 때,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서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통신망(400)을 통해 주문자 단말기(200) 및 판매자 단말기(300)로 쇼핑 서비스에 관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고, 주문자 단말기(200) 및 판매자 단말기(300) 간에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 외에도 일반적인 검색 서비스 및 기타 사용자의 편의를 증진시키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 또한 수행할 수 있다. 즉,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검색, 이메일, 블로그, 메신저, 자료 송수신, 뉴스, 쇼핑 정보 제공과 같은 다양한 서비스들을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검색, 이메일, 블로그, 메신저, 자료 송수신, 뉴스, 쇼핑 정보 등을 포함하는 포털(portal)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연결되어, 포털(portal) 서비스에 정보 제공을 요청하는 주문자 단말기(200)로 포털(portal) 서비스가 제공하는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와 포털 서비스 제공 서버는 물리적으로 분리된 별도의 장치일 수도 있고, 개념적으로만 분리된 동일한 장치일 수도 있다.
주문자 단말기(200)는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의해 제공되는 쇼핑 서비스에 접속하여, 상품들을 주문하기 희망하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장치일 수 있다. 이 때, 통신망(400)을 통하여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접속하고 있는 주문자 단말기(200)는 복수일 수 있다. 즉, 제1 주문자 단말기(201) 및 제2 주문자 단말기(202)를 포함하는 복수의 주문자 단말기(200)들이 통신망(400)을 통하여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연결될 수 있다.
판매자 단말기(300)는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의해 제공되는 쇼핑 서비스에 접속하여, 상품들을 판매하기 희망하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장치일 수 있다. 이 때, 통신망(400)을 통하여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접속하고 있는 판매자 단말기(300)는 복수일 수 있다. 즉, 제1 판매자 단말기(301) 및 제2 판매자 단말기(302)를 포함하는 복수의 판매자 단말기(300)들이 통신망(400)을 통하여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연결될 수 있다.
통신망(400)은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 주문자 단말기(200), 및 판매자 단말기(300)를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매개체일 수 있다. 통신망(400)은 주문자 단말기(200) 및/또는 판매자 단말기(300)가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접속한 후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접속 경로를 제공하는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망(400)은 예컨대 LANs(Local Area Networks), WANs(Wide Area Networks), MANs(Metropolitan Area Networks), ISDNs(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s) 등의 유선 네트워크나, 무선 LANs, CDMA, 블루투스, 위성 통신 등의 무선 네트워크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주문자 단말기(200) 내에 포함되는 장치일 수도 있다. 주문자 단말기(200) 내에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가 포함되도록 하는 방법은 다양하다. 예를 들어, 주문자들은 통신망(400)을 통하여 포털(portal)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등으로부터 쇼핑 서비스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주문자 단말기(200) 내부에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가 형성되는 것일 수도 있고, 주문자 단말기(200) 자체가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인 것일 수도 있다. 다른 예시로, 주문자 단말기(200) 내부에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라는 별도의 하드웨어가 설치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형태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가 주문자 단말기(200) 내에 다양한 형태로 설치될 수 있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문자 단말기의 상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문자 단말기(200)는 통신부(210), 입력부(220), 출력부(230), 메모리(240), 프로그램 저장부(250), 및 제어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통신망(400)을 통하여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 또는 판매자 단말기(300)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401)는 통신망(400)을 통하여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 또는 판매자 단말기(300)와 쇼핑몰 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에 필요한 다양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입력부(220)는 쇼핑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주문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220)는, 사용자의 음성 입력, 사용자의 문자 입력, 또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출력부(230)는 주문자 단말기(200)가 주문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시각적 신호를 출력하는 장치일 수 있다. 출력부(230)는 시각적인 신호를 출력하는 표시부, 청각적인 신호를 출력하는 음향부, 및 촉각적인 신호를 출력하는 진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는 주문자 단말기(2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는 주문자에게 쇼핑 서비스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정보 혹은 쇼핑이 완료된 후 쇼핑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는 액정 표시(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표시(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서블 표시(flexible display), 3차원 표시(3D display), 전기영동 표시(electrophoretic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주문자 단말기(2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주문자 단말기(200)는 표시부를 2개 이상 포함할 수도 있다. 이 때, 표시부는 입력부(220)와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하나의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부와 입력부(220)가 하나의 물리적인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음향부는 주문자 단말기(200)가 주문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청각적 신호를 출력하는 장치일 수 있다. 음향부는 서로 다른 길이, 주파수, 강도, 높낮이, 또는 맵시를 가진 소리를 출력하여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음향부는 튜너, 이퀄라이저, 헤드폰, 이어폰, 및 다양한 형태의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음향부는 전기적 또는 기계적 방법을 통하여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
진동부는 주문자 단말기(200)가 주문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촉각적 신호를 출력하는 장치일 수 있다. 진동부는 서로 다른 길이, 강도, 또는 패턴을 가진 진동을 출력하여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진동부는 진동 모터 또는 진동 필름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진동부는 전기적 또는 기계적 방법을 통하여 떨림을 발생시킬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 나아가, 진동부는 그 이름에도 불구하고, 떨림이 아닌 다양한 형태의 촉각적 효과(예컨대, 찌르는 효과, 압력을 가하는 효과, 또는 미세한 전류를 흐르게 하는 효과)를 발생시키는 디바이스일 수도 있다.
메모리(240)는 제어부(260)가 처리하는 데이터를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저장부(250)는 쇼핑 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필수적이거나 보조적인 다양한 작업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를 탑재하는 구성 요소일 수 있다.
제어부(260)는 통상적으로 주문자 단말기(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60)는, 주문자 단말기(200)에 포함되는 프로그램 저장부(25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를 실행함으로써, 통신부(210), 입력부(220), 출력부(230), 메모리(240), 또는 주문자 단말기(200)에 포함되는 기타 구성 부분들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5를 통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은 정기배송 정보를 보관하는 단계(S110 단계), 정기배송 거래를 준비하는 단계(S120 단계), 정기배송 물품과 관련된 이벤트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130 단계), 이벤트가 존재하는 경우, 정기배송 상품에 해당 이벤트를 적용하는 단계(S140 단계), 및 판매자 및 주문자 간 거래를 진행하는 단계(S150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정기배송 정보를 보관하는 단계(S110 단계)에서,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판매자 및 주문자 간에 정기배송 상품에 대한 거래를 정기적으로 진행하기 위해 필요한 정기배송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정기배송 정보에는 정기배송 상품의 종류, 배송할 정기배송 상품의 수량, 정기배송 상품의 모든 배송일들 중 적어도 하나, 정기배송 상품의 배송 주기, 주문자에 대한 정보, 판매자에 대한 정보, 정기배송 상품을 수취할 수취자에 대한 정보, 또는 결제 금액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정기배송 거래를 준비하는 단계(S120 단계)에서,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판매자 및 주문자 간에 정기배송 상품에 대한 거래를 실제로 진행하기 위한 준비를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가 실제로 진행하기 위한 준비를 수행하는 날짜는, 정기배송을 주문한 날짜일 수도 있고, 정기배송 상품이 실제로 배송되는 날짜일 수도 있고, 두 날짜 사이의 어느 하나의 날짜일 수도 있으며, 상기한 모든 날짜들 중 둘 이상의 날짜들일 수도 있다. 특히,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가 실제로 진행하기 위한 준비를 수행하는 날짜는 실제로 판매자 및 주문자 간에 정기배송 상품에 대한 거래가 진행되는 날짜일 수 있다.
정기배송 물품과 관련된 이벤트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130 단계)에서,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정기배송 물품과 관련된 이벤트의 존재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정기배송 물품과 관련된 이벤트가 존재하는 경우, 정기배송 상품에 해당 이벤트를 적용하는 단계(S140 단계)에서,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정기배송 상품에 해당 이벤트를 적용할 수 있다. 이 후, 판매자 및 주문자 간 거래를 진행하는 단계(S150 단계)에서,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해당 이벤트를 적용하여 거래를 진행할 수 있다.
만약 정기배송 물품과 관련된 이벤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판매자 및 주문자 간 거래를 진행하는 단계(S150 단계)에서,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특정한 이벤트가 적용되지 않은 상태로 정기배송 상품에 대한 거래를 진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주문자 또는 수취자의 거래 이익을 증진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은 정기배송 물품과 관련된 이벤트가 존재하는 경우,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자동적으로 해당 이벤트를 정기배송 상품에 대한 거래에 적용하지 않고, 주문자 단말기(200) 또는 수취자가 사용하는 단말기로부터 해당 이벤트의 적용 여부를 확인 받을 수 있다. 즉,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은 정기배송 정보를 보관하는 단계(S210 단계), 정기배송 거래를 준비하는 단계(S220 단계), 정기배송 물품과 관련된 이벤트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230 단계), 이벤트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주문자에게 제공하는 단계(S240 단계), 주문자의 이벤트 적용 승낙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250 단계), 정기배송 상품에 해당 이벤트를 적용하는 단계(S260 단계), 및 판매자 및 주문자 간 거래를 진행하는 단계(S270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을 통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정기배송 물품과 관련된 이벤트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주문자에게 제공하는 단계(S240 단계)에서,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해당 이벤트의 존재 사실 및 해당 이벤트에 대한 세부 내용을 포함하는 신호를 주문자 단말기(200) 또는 수취자가 사용하는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주문자 또는 수취자는 해당 이벤트가 자신에게 도움이 되는 이벤트인지 직접 확인할 수 있다.
이 후, 주문자의 이벤트 적용 승낙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250 단계)에서,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주문자 단말기(200) 또는 수취자가 사용하는 단말기로부터 해당 이벤트를 적용하여 정기배송 상품에 대한 거래를 진행하고자 하는지에 대한 의사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정기배송 물품과 관련된 이벤트가 존재하며 주문자 또는 수취자가 해당 이벤트의 적용에 동의하는 경우, 정기배송 상품에 해당 이벤트를 적용하는 단계(S260 단계)에서,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정기배송 상품에 해당 이벤트를 적용할 수 있다. 이 후, 판매자 및 주문자 간 거래를 진행하는 단계(S270 단계)에서,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해당 이벤트를 적용하여 거래를 진행할 수 있다.
만약 정기배송 물품과 관련된 이벤트가 존재하지 않는 제1 경우 또는 해당 이벤트가 존재하더라도 주문자 또는 수취자가 해당 이벤트의 적용을 원하지 않는 제2 경우 중 어느 하나의 경우에, 판매자 및 주문자 간 거래를 진행하는 단계(S150 단계)에서,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특정한 이벤트가 적용되지 않은 상태로 정기배송 상품에 대한 거래를 진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주문자 또는 수취자가 원하는 경우에만 이벤트가 적용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은 정기배송 물품과 관련된 이벤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본래의 정기배송 상품과 유사한 상품에 대한 이벤트가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즉,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은 정기배송 정보를 보관하는 단계(S310 단계), 정기배송 거래를 준비하는 단계(S320 단계), 정기배송 물품과 관련된 이벤트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330 단계), 이벤트가 존재하는 경우, 정기배송 상품에 해당 이벤트를 적용하는 단계(S340 단계), 판매자 및 주문자 간 거래를 진행하는 단계(S350 단계), 정기배송 상품과 유사한 상품과 관련된 이벤트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360 단계), 유사한 상품 및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주문자에게 제공하는 단계(S370 단계), 주문자가 상품 변경 및 이벤트 적용 승낙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380 단계), 및 이벤트를 적용하여 변경된 상품에 대한 판매자 및 주문자 간 거래를 진행하는 단계(S390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 또는 도 7을 통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정기배송 상품과 유사한 상품과 관련된 이벤트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360 단계)에서,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해당 정기배송 상품과 유사한 상품에 대해서 이벤트가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해당 정기배송 상품과 유사한 상품은 해당 정기배송 상품과 동일한 종류의 상품이면서, 해당 정기배송 상품과 동일한 제공사 또는 상이한 제공사가 제공하는 상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정기배송 상품이 제1 제공사가 제공하는 우유인 경우에 이와 유사한 상품은 제1 제공사가 제공하는 다른 우유 또는 제2 제공사가 제공하는 우유일 수 있다. 또는, 해당 정기배송 상품과 유사한 상품은 해당 정기배송 상품과 상이한 종류의 상품이면서, 해당 정기배송 상품의 대체재로 사용될 수 잇는 상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정기배송 상품이 흰우유인 경우에 이와 유사한 상품은 두유, 초코우유, 딸기우유, 바나나우유 등일 수 있다.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본래의 정기배송 상품과 관련된 이벤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만 유사한 상품과 관련된 이벤트의 존재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
정기배송 상품과 유사한 상품과 관련된 이벤트가 존재하는 경우, 유사한 상품 및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주문자에게 제공하는 단계(S370 단계)에서,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해당 유사한 상품 자체에 대한 정보 및 해당 유사한 상품과 관련된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주문자 단말기(200) 또는 수취자가 사용하는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
주문자가 상품 변경 및 이벤트 적용 승낙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380 단계)에서,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주문자 단말기(200) 또는 수취자가 사용하는 단말기로부터 거래를 진행할 상품을 해당 유사한 상품으로 교체하고 이벤트를 적용할지에 대한 의사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주문자 또는 수취자가 상품의 교체 및 이벤트의 적용에 동의하는 경우, 이벤트를 적용하여 변경된 상품에 대한 판매자 및 주문자 간 거래를 진행하는 단계(S390 단계)에서,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해당 유사한 상품에 이벤트를 적용하여 거래를 진행할 수 있다.
만약 정기배송 물품과 유사한 상품들 중 이벤트가 진행 중인 상품이 존재하지 않거나, 그러한 이벤트가 존재하더라도 주문자 또는 수취자가 상품의 교체를 원하지 않는 경우, 판매자 및 주문자 간 거래를 진행하는 단계(S350 단계)에서,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특정한 이벤트가 적용되지 않은 상태로 본래의 정기배송 상품에 대한 거래를 진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주문자 또는 수취자의 거래 이익을 증진시킬 수 있는 대체 가능한 거래 상품을 주문자 또는 수취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하여, 정기적으로 배송을 진행중인 상품에 대해서, 배송 시 해당 상품에 적용 가능한 이벤트가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이벤트가 존재하는 경우에 해당 이벤트를 적용하여 상품에 대한 거래가 진행되도록 하는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하여, 정기적으로 배송을 진행중인 상품에 대해서, 배송 시 해당 상품에 적용 가능한 이벤트가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이벤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벤트가 진행 중인 유사 상품을 대신 구매하도록 주문자에게 권유하는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은 쇼핑 서비스를 이용하는 주문자에게 이익 및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컴퓨터 상에서 다양한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매체는 네트워크 상에서 전송 가능한 형태로 구현되는 무형의 매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또는 애플리케이션 형태로 구현되어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 및 유통이 가능한 형태의 매체일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디바이스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160: 쇼핑 서비스 제공부
161: 정기 배송부
162: 제공부
163: 설정부
164: 저장부
165: 제어부
200: 주문자 단말기
300: 판매자 단말기
400: 통신망

Claims (13)

  1.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에 의한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써, 상기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에 의해,
    판매자 및 주문자 간에 정기배송 상품에 대한 거래를 정기적으로 진행하기 위해 필요한 정기배송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정기배송 상품에 대한 정기적인 거래 요청 이후 상기 정기배송 상품에 대한 거래 진행 시, 상기 정기배송 상품과 관련된 이벤트 중 상기 정기적인 거래 요청 시점에서부터 상기 정기배송 상품에 대한 거래 진행 시점 사이에 발생한 신규 이벤트의 진행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신규 이벤트가 진행중인 경우, 상기 신규 이벤트를 상기 정기배송 상품에 대한 거래에 적용하여 상기 판매자 및 상기 주문자 간의 상기 정기배송 상품에 대한 거래를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정기배송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는,
    신청 시에 정기적으로 배송 가능한 복수의 정기배송 상품들의 판매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주문자의 요청에 따라 선택된 정기배송 상품에 대하여 첫 배송 시작일 및 배송 주기를 포함하는 상기 정기배송 정보를 설정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신규 이벤트의 진행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신규 이벤트가 상기 주문자에게 적용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거래를 진행하는 단계는, 상기 신규 이벤트의 진행 여부 및 상기 신규 이벤트의 상기 주문자에게 적용 가능 여부를 함께 고려하여 상기 판매자 및 상기 주문자 간의 정기적인 거래를 진행하는,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거래를 진행하는 단계는,
    상기 신규 이벤트가 진행되고 있는 경우, 상기 신규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상기 주문자의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주문자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신규 이벤트를 적용하겠다는 승낙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신규 이벤트를 상기 정기적인 거래에 적용하여 상기 판매자 및 상기 주문자 간의 정기적인 거래를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진행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정기배송 상품과 동일한 종류의 다른 정기배송 상품 및 상기 정기배송 상품과 용도가 동일하면서 종류가 다른 상품 중 적어도 하나의 상품과 관련된 주변 이벤트의 진행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거래를 진행하는 단계는, 상기 주변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상기 주문자의 단말기에 제공하는,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정기배송 정보는, 상기 정기배송 상품의 종류, 배송할 상기 정기배송 상품의 수량, 상기 정기배송 상품의 첫 배송일, 상기 정기배송 상품의 배송 주기, 상기 주문자에 대한 정보, 상기 판매자에 대한 정보, 상기 정기배송 상품을 수취할 수취자에 대한 정보, 및 결제 금액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7. 컴퓨터를 이용하여 제1 항 내지 제6 항의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8. 판매자 및 주문자 간에 정기배송 상품에 대한 거래를 정기적으로 진행하기 위해 필요한 정기배송 정보를 저장하는 정기배송부; 및
    상기 정기배송 상품에 대한 거래 요청 이후 상기 정기배송 상품에 대한 거래 진행 시, 상기 정기배송 상품과 관련된 이벤트 중 상기 정기배송 상품에 대한 거래 요청 시점에서부터 상기 정기배송 상품에 대한 거래 진행 시점 사이에 발생한 신규 이벤트의 진행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신규 이벤트가 진행중인 경우에 상기 신규 이벤트를 상기 정기배송 상품에 대한 거래에 적용하여 상기 판매자 및 상기 주문자 간의 상기 정기배송 상품에 대한 거래를 진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정기배송부는,
    신청 시에 정기적으로 배송 가능한 복수의 정기배송 상품들의 판매정보를 제공하는 제공부;
    상기 주문자의 요청에 따라 선택된 정기배송 상품에 대하여 첫 배송 시작일 및 배송 주기를 포함하는 상기 정기배송 정보를 설정하는 설정부; 및
    상기 설정된 정기배송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규 이벤트가 상기 주문자에게 적용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신규 이벤트의 진행 여부 및 상기 신규 이벤트의 상기 주문자에게 적용 가능 여부를 함께 고려하여 상기 판매자 및 상기 주문자 간의 정기적인 거래를 진행하는,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11.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규 이벤트가 진행되고 있는 경우에 상기 신규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상기 주문자의 단말기에 제공하고, 상기 주문자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신규 이벤트를 적용하겠다는 승낙 신호가 수신된 경우에 상기 신규 이벤트를 상기 정기적인 거래에 적용하여 상기 판매자 및 상기 주문자 간의 정기적인 거래를 진행하는,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12.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기배송 상품과 동일한 종류의 다른 정기배송 상품 및 상기 정기배송 상품과 용도가 동일하면서 종류가 다른 상품 중 적어도 하나의 상품과 관련된 주변 이벤트의 진행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주변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상기 주문자의 단말기에 제공하는,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13.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정기배송 정보는, 상기 정기배송 상품의 종류, 배송할 상기 정기배송 상품의 수량, 상기 정기배송 상품의 첫 배송일, 상기 정기배송 상품의 배송 주기, 상기 주문자에 대한 정보, 상기 판매자에 대한 정보, 상기 정기배송 상품을 수취할 수취자에 대한 정보, 및 결제 금액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KR1020150073088A 2015-05-26 2015-05-26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16433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3088A KR101643356B1 (ko) 2015-05-26 2015-05-26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3088A KR101643356B1 (ko) 2015-05-26 2015-05-26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3356B1 true KR101643356B1 (ko) 2016-07-27

Family

ID=56617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3088A KR101643356B1 (ko) 2015-05-26 2015-05-26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335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2885A (ko) * 2016-11-11 2018-05-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이를 이용하는 물품 구매 방법
KR102254284B1 (ko) * 2020-11-02 2021-05-25 (주)케이제이아이앤씨 전통 시장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580254B1 (ko) * 2022-10-24 2023-09-20 주식회사 배다른삼남매 반려동물 음식용품배달 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7553A (ko) 2000-11-14 2002-05-22 유승렬 다자간 대화형 쇼핑몰 운영방법 및 시스템
KR20070108196A (ko) * 2005-01-31 2007-11-08 아마존 테크놀로지스, 인크. 가입 기반 쉽핑을 위한 방법 및 장치
JP2014203251A (ja) * 2013-04-04 2014-10-27 楽天株式会社 商品情報提供システム、商品情報提供装置、商品情報提供方法、及び商品情報提供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7553A (ko) 2000-11-14 2002-05-22 유승렬 다자간 대화형 쇼핑몰 운영방법 및 시스템
KR20070108196A (ko) * 2005-01-31 2007-11-08 아마존 테크놀로지스, 인크. 가입 기반 쉽핑을 위한 방법 및 장치
JP2014203251A (ja) * 2013-04-04 2014-10-27 楽天株式会社 商品情報提供システム、商品情報提供装置、商品情報提供方法、及び商品情報提供プログラ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2885A (ko) * 2016-11-11 2018-05-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이를 이용하는 물품 구매 방법
KR102595649B1 (ko) * 2016-11-11 2023-10-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공지능 냉장고 및 이를 이용하는 물품 구매 방법
KR102254284B1 (ko) * 2020-11-02 2021-05-25 (주)케이제이아이앤씨 전통 시장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580254B1 (ko) * 2022-10-24 2023-09-20 주식회사 배다른삼남매 반려동물 음식용품배달 서비스 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88197B2 (en) Payment system with item-level promotional campaigns redeemable automatically at point-of-sale devices
US20150161709A1 (en) Pop-up recommendation lists
US1190041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inking to an upsell system via a tag
CN110782268A (zh) 具有店内预览的虚拟珠宝购物体验
US11741501B2 (en) System and method for tag based upselling
AU2016271110B2 (en) Mobile search
US20140006282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nnecting multiple merchants to an interactive element in a web page
KR101753836B1 (ko)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US20190244275A1 (en) Upselling offerings to customers
WO2018170326A1 (en) Upsell system
JP2018101387A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1643356B1 (ko)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20190050896A1 (en) System and method for upselling products and services
US20170103435A1 (en) Networked request fulfillment and offer/acceptance communications
KR20150067885A (ko) 사용자 추천에 의한 마케팅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613002B1 (ko) 포인트 지급을 통한 마케팅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825710B1 (ko)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70033602A (ko)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735013B1 (ko)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1690713B1 (ko)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120080716A (ko) 오프라인 지역 판매점을 연계한 전자 상거래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08469B1 (ko)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130039070A (ko) 인터넷 쇼핑몰 판매자의 예약 입찰 제공 방법,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서비스장치
JP2012059217A (ja) 販売支援方法および販売支援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