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3558A -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예방용 혼합잡곡밥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예방용 혼합잡곡밥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3558A
KR20170013558A KR1020150106346A KR20150106346A KR20170013558A KR 20170013558 A KR20170013558 A KR 20170013558A KR 1020150106346 A KR1020150106346 A KR 1020150106346A KR 20150106346 A KR20150106346 A KR 20150106346A KR 20170013558 A KR20170013558 A KR 201700135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mixed
weight
mcg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6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건영
송가락
이정숙
이종임
임양이
허태곤
정병진
정종성
Original Assignee
두보식품 주식회사 농업회사법인
박건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보식품 주식회사 농업회사법인, 박건영 filed Critical 두보식품 주식회사 농업회사법인
Priority to KR1020150106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13558A/ko
Publication of KR20170013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35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6Products in which the original granular shape is maintained, e.g. parboiled ric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8Dry unshaped finely divided cereal produc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23L7/117 - A23L7/196 and A23L29/00, e.g. meal, flour, powder, dried cereal creams or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예방 식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혼합잡곡을 수세하고, 30분 간 물에 침지하는 단계; 침지된 상기 혼합잡곡을 수거하여 용기에 수용하고, 상기 용기에 취반수를 건조 혼합잡곡 무게의 1.3 내지 1.5배 투입하는 단계; 상기 용기를 밀폐하고 98~100℃에서 15 내지 20분 가열하여 취반하는 단계; 상기 취반 종류 후, 가열을 중단하고 10 내지 15분간 뜸들여 혼합잡곡밥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혼합잡곡밥을 동결건조하고 분말화하여 고자당 다이어트 조성물과 혼합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며,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예방의 효과를 나타내는 건강식품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예방용 혼합잡곡밥 및 이의 제조방법.{Non-Alcoholic Steatohepatitis Preventive Health Foo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비알코올성 지방간염(Non-Alcoholic Steatohepatitis, NASH) 예방용 혼합잡곡밥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자세하게는, 발아현미, 발효현미 등의 혼합잡곡으로 제조한 혼합잡곡밥을 통해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예방을 위한 식품을 제공하는 혼합잡곡밥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방간 질환은 알코올성 지방간 질환과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으로 나뉘어진다. 이중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은 알코올에 의한 간 손상이 아니라 지방산이 중성지방의 형태로 간의 실질세포 내에 5% 이상 축적된 경우로 정의되며, 단순 지방간과 염증을 동반한 지방간염으로 분류되는데, 장기간 방치시 간염, 간 섬유, 간 경변 등의 심각한 간 질환으로 이행될 수 있다.
지방간 질환은 약물학적으로 유용한 치료약제가 거의 없어 운동과 식이요법이 권장되고 있으나, 이러한 방법에 의한 지방간 질환의 치료율이 매우 낮아 유효한 치료방법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약물요법은 간독성 또는 젖산증과 같은 부작용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어, 대체 약물요법이 제안되고 있다.
대체 약물요법으로 베타인, 글루큐로네이트, 메티오닌, 콜린, 친지방 제제가 이용되나, 이들에 대한 의약학적 근거나 효과가 완전히 입증되지 않았다.
최근 잡곡을 사용하여 각종 질병에 대한 예방 효과를 얻는 방법들이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805801호에서는 대두, 보리, 강낭콩 등의 잡곡을 혼합한 혼합잡곡을 통해 혈당지수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기재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892082호에서는 현미, 다시마 현미, 흑미, 보리 등을 포함하는 혼합잡곡을 통해 다이어트 기능을 얻을 수 있는 점이 기재되어 있고,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474235호에서는 발효현미, 찰현미, 찰수수쌀, 찰기장쌀 등을 포함하는 혼합잡곡으로 제조한 건강밥이 대장암 예방의 효과를 나타내는 점이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잡곡을 이용한 질병 예방에 대한 다양한 효과가 보고되고 있으나,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예방에 대한 효과는 알려져 있지 않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80580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47423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474235호
본 발명은 기능성 혼합잡곡을 사용하여 혼합잡곡밥을 제조하고, 상기 혼합잡곡밥의 동결건조 및 분말화한 분말과 고자당 다이어트 조성물을 혼합함으로써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예방의 효과를 나타내는 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예방 혼합잡곡밥 및 이의 제조방법은 혼합잡곡을 수세하고, 20 내지 40분 간 물에 침지하는 단계; 침지된 상기 혼합잡곡을 수거하여 용기에 수용하고, 상기 용기에 취반수를 건조 혼합잡곡 무게의 1.3 내지 1.5배 투입하는 단계; 상기 용기를 밀폐하고 98~100℃에서 15 내지 20분 가열하여 취반하는 단계; 상기 취반 종류 후, 가열을 중단하고 10 내지 15분간 뜸들이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혼합잡곡은 발아현미, 귀리쌀, 찰수수, 적두, 찰보리, 옥수수쌀, 서리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발효현미, 귀리쌀, 서리태, 구아바쌀, 찰보리, 찰흑미, 쌀수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발효현미, 찰현미, 찰수수쌀, 찰기장쌀, 서리태, 강황쌀, 상황쌀, 율무쌀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혼합잡곡밥을 동결건조하고 분말화함으로써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예방 혼합잡곡분말을 제조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예방 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은 상기 혼합잡곡밥의 동결건조 및 분말화한 분말과 고자당 다이어트 조성물을 혼합함으로써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예방의 효과를 나타내는 건강식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HSD 공급에 의한 체중 증가를 나타낸 그래프.
도 2는 본 발명의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예방 식품이 HSD 유발 NASH 마우스의 간 조직에서 지방구의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사진.
도 3은 HSD 유발 NASH 마우스의 간 조직 내 lipogenesis 관련 유전자(SREBP, ACC, FAS, SCD-1)의 mRNA 발현수준을 나타낸 그래프.
도 4는 HSD 유발 NASH 마우스의 간 조직 내 지방산 β-oxidation과 관련된 유전자(PPAR-α, CPT-1, ACO)의 mRNA 발현수준을 나타낸 그래프.
도 5는 HSD 유발 NASH 마우스의 간 조직 내 지방산 infiltration 관련 유전자(ApoB, CD36, PPAR-γ)의 mRNA 발현수준을 나타낸 그래프.
도 6은 HSD 유발 NASH 마우스의 간 조직 내 염증 관련 유전자 NF-κB, IκB 및 IKK2의 mRNA 발현수준을 나타낸 그래프.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을 첨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 및 실험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될 뿐, 본 발명의 내용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혼합잡곡은 발아현미, 귀리쌀, 찰수수, 적두, 찰보리, 옥수숫쌀, 서리태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발효현미, 귀리쌀, 서리태, 구아바쌀, 찰보리, 찰흑미, 쌀수수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발효현미, 찰현미, 찰수수쌀, 찰기장쌀, 서리태, 강황쌀, 상황쌀, 율무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혼합잡곡은 잡곡의 종류, 혼합비 등에 의해 다른 효과를 나타내며, 상기 혼합잡곡으로 사용되는 각 곡물은 아래와 같은 특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발아현미는 현미가 발아하는데 필요한 온도를 유지하고 수분과 산소를 공급해 인공적으로 싹을 틔운 현미로서, 현미가 싹이 트면 파틴산은 자기의 역할을 다했기 때문에 생리적인 변화를 일으켜 인과 아니시톨로 변하게 되고 현미의 겉껍질은 다시 부드러워지기 때문에, 백미처럼 밥을 지어도 부드럽고 찰기가 있게 된다. 또한, 발아현미에는 비타민, 아미노산, 효소, SOD(superoxide dismutase) 등의 유용성분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각종 성인병을 예방하며 몸의 독소를 씻어내는 해독작용을 하게 된다.
발효현미는 혈당과 혈압을 강하시키며 콜레스테롤 감소효과가 있어 당뇨병뿐만 아니라 각종 암과 5대 성인병 예방에 도움이 된다. 상기 발효현미는 장을 경화시켜 쌓여 있던 노폐물이 배출되고 변을 부드럽게 하여 변비가 개선되며 치질 예방에도 큰 도움이 되며, 임산부의 산후증을 없애는 효과를 나타낸다.
귀리쌀은 귀리의 여문 씨의 껍질을 벗긴 것으로서, 혈중 콜레스테롤과 지질의 양을 낮추는 작용을 하므로, 동맥경화증의 예방과 심장병, 간질환의 치료 효과가 있다.
찰수수는 위장에 좋으며 해독작용과 식욕증진과 소화를 돕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찰수수에 함유된 탄닌과 페놀 성분이 항산화 및 항암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프로안토시아니딘은 방광의 면역 기능을 강화시키고 세포의 산화 스트레스를 줄여 염증을 완화시키므로 방광염 치유의 효과도 나타낸다.
서리태는 껍질은 검고 속은 파란색의 검은콩으로 체내의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며, 안토시아닌 색소가 많아 장기간 복용시 노화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단백질과 식물성 지방질이 풍부하고, 신체의 대사에 필요한 비타민 B군이 풍부하며, 에스트로겐과 유사한 작용을 하는 콩단백질인 아이소플라본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찰보리는 찰성으로 아밀로오스 함량이 아주 적으며 흡수율이 높고 퍼짐성이 좋아 밥을 짓는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또한, 밥의 끈기가 좋고, 식으면 굳어지는 정도가 올보리보다 많이 낮다. 또한, 쌀이나 메보리에 비해 콜레스테롤 억제 효과가 높다.
옥수수쌀은 옥수수의 배와 기울을 일부 제거하고 가늘게 저민 것이다.
찰흑미는 흑미에 부족한 영양성분인 비타민 B1, 단백질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있고, 안토시안이 검은콩보다 4배 이상 함유되어 항암효과와 노화방지의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셀레늄이 일반쌀의 5배 이상 함유되어 있어, 간세포 활성화에 도움을 주며 간 보호, 고혈압, 심장질병, 뇌졸증, 성인병 예방에 효과가 있고, 단백질, 아미노산 뿐만 아니라 각종 미네랄 원소들이 많이 들어 있어 빈혈예방 및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는 효과도 있다.
강황쌀은 강황 분말을 물로 추출하여 냉동 건조시킨 추출물을 쌀의 표면에 코팅한 것으로, 간 건강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커큐민 성분이 소화력을 높이는 담즙의 생산을 도와주고, 항암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를 가지는 본 발명의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예방 식품의 제조방법은, 혼합잡곡을 수세하고, 20 내지 40분 간 물에 침지하는 단계; 침지된 쌀을 수거하여 용기에 수용하고, 상기 용기에 취반수를 쌀 무게의 1.3 내지 1.5배 투입하는 단계; 상기 용기를 밀폐하고 98~100℃에서 15 내지 20분 가열하여 취반하는 단계; 상기 취반 종류 후, 가열을 중단하고 10 내지 15분간 뜸들여 혼합잡곡밥을 제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혼합잡곡은 발아현미, 귀리쌀, 찰수수, 적도, 찰보리, 옥수수쌀, 서리태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발효현미, 귀리쌀, 서리태, 구아바쌀, 찰보리, 찰흑미, 쌀수수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발효현미, 찰현미, 찰수수쌀, 찰기장쌀, 서리태, 강황쌀, 상황쌀, 율무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혼합잡곡의 혼합비율은 발아현미, 귀리쌀, 찰수수, 적도, 찰보리, 옥수수쌀, 서리태로 이루어지는 경우, 발아현미 30~50 중량부, 귀리쌀 5~20 중량부, 찰수수 5~20 중량부, 적도 1~10 중량부, 찰보리 15~30 중량부, 옥수수쌀 5~20 중량부, 서리태 1~10 중량부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혼합잡곡이 발효현미, 귀리쌀, 서리태, 구아바쌀, 찰보리, 찰흑미, 쌀수수로 이루어지는 경우, 발효현미 20~40 중량부, 귀리쌀 5~20 중량부, 서리태 5~20 중량부 구아바쌀 1~10 중량부, 찰보리 20~30 중량부, 찰흑미 5~20 중량부, 찰수수 5~20 중량부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혼합잡곡이 발효현미, 찰현미, 찰수수쌀, 찰기장쌀, 서리태, 강황쌀, 상황쌀, 율무쌀로 이루어지는 경우, 발효현미 30~50 중량부, 찰현미 15~30 중량부, 찰수수 5~20 중량부, 찰기장 5~20 중량부, 서리태 1~10 중량부, 강황쌀, 상황쌀, 율무의 1:1:1 중량비의 혼합물 10~20 중량부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혼합잡곡밥을 동결건조하고 분말화함으로써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예방 혼합잡곡분말을 제조할 수도 있다. 따라서 혼합잡곡분말의 형태로 제조함으로써 각종 기능성 식품을 제조하는 원료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예방 식품을 마우스에게 투여하여 그 결과를 살피는 실제 실험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발아현미 40 중량부, 귀리쌀 10 중량부, 찰수수 10 중량부, 적도 5 중량부, 찰보리 20 중량부, 옥수수쌀 10 중량부, 서리태 5 중량부로 이루어진 혼합잡곡을 수세하고 30분 간 물에 침지한 후, 침지된 쌀을 수거하여 용기에 넣고 취반수를 건조쌀 무게에 대하여 1.5배 투입하여 약 100℃에서 20분 간 가열하여 취반하고, 가열을 중지한 후 10분간 뜸을 들여 혼합잡곡밥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혼합잡곡밥을 동결건조한 후 분말화하여 상기 분말 400 중량부에 대하여 콘스타치 1.2 중량부, 카세인 12 중량부, DL-메티오닌 0.18 중량부, 말토덱스트린 1.2 중량부, 설탕 38.14 중량부, α-셀룰로오스 0.593 중량부, 대두콩유 6 중량부, 미네랄 혼합물 2.1중량부, 비타민 혼합물 0.06 중량부, 인산칼슘 0.024 중량부, 타타르산수소콜린 0.015 중량부, t-부틸하이드로퀴논 0.0006 중량부, 오로트산 0.06 중량부로 이루어진 고자당 다이어트 조성물과 혼합하여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예방 식품(이하 'MCG-OB'라 함)을 제조하였다.
발효현미 30 중량부, 귀리쌀 10 중량부, 서리태 10 중량부 구아바쌀 5 중량부, 찰보리 25 중량부, 찰흑미 10 중량부, 찰수수 10 중량부로 이루어진 혼합잡곡을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예방 식품(이하 'MCG-DM'이라 함)을 제조하였다.
발효현미 40 중량부, 찰현미 20 중량부, 찰수수 10 중량부, 찰기장 10 중량부, 서리태 8 중량부, 강황쌀, 상황쌀, 율무의 1:1:1 중량비의 혼합물 12 중량부로 이루어진 혼합잡곡을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예방 식품(이하 'MCG-AC'라 함)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혼합잡곡 대신 백미를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예방 식품(이하 'WR'이라 함)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혼합잡곡 대신 쌀, 찹쌀, 발효현미, 기장, 콩을 동일한 비율로 혼합한 일반 혼합잡곡을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예방 식품(이하 'MCG'라 함)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1]
실시예 1 내지 비교예 3에서 제조된 식품을 AIN-03G 다이어트 제조법에 준하여 조제한 정상대조군의 식이와 비교하였으며, 이때 조성물 속에 포함된 당질, 조지방, 조단백 등의 에너지 성분을 고려하여 에너지 수준이 동일하게 하였다.
시험은 7주령 C57BL/6J 수컷 마우스에 40 중량% 시험물질(백미, 기능성 혼합잡곡물)이 함유되어 있는 HSD(high sucrose diet)를 시험 시작시부터 8주간 식이로 공급하였다. 그후 부검을 실시하고 채혈하여 혈청 지질 대사와 관련된 바이오마커(TG, TC, HDL, LDL 및 글루코오스), 염증성 사이토카인(pro-inflammatory cytokine, TNF-α 및 IL-6 등)의 활성도 측정, 간 조직 병리학 검사, PT-PCR을 이용하여 분자생물학적 방법으로 시험물질의 NASH 예방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시험군은 아래 표 1과 같이 구성하였다. 투여경로는 식이공급이며, 투여횟수는 1주일 1회씩 8회였다. 또한, 모든 실험결과는 평균치와 표준편차 또는 표준오차를 사용하여 나타내고 나타내고, 각 군간의 비교는 Duncan’s multiple range test 를 사용하였며, 대조군과 비교하여 p값이 5% 미만 일 때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이 있다고 판정하였다.
시험군 시험동물 시험물질 투여용량
(% diet)
투여량
(g/week)
동물수
Normal
C57BL/6J
수컷
마우스

Normal Diet - 200 10
NASH - 200 10
NASH+MCG-OB 실시예 1 40 200 10
NASH+MCG-DM 실시예 2 40 200 10
NASH+MCG-AC 실시예 3 40 200 10
NASH-WR 비교예 1 40 200 10
NASH+MCG 비교예 2 40 200 10
1) 사망 및 일반 증상 관찰
모든 동물에 대하여 투여 및 채혈 종료시간까지 사망 또는 빈사발생여부 및 일반 증상을 관찰하였으나, 부검 당일 사망 또는 빈사 동물은 없었으며, 특이 증상 또한 관찰되지 않았다.
2) 체중측정
입수 시, 순화기간 중 주 1 회, 군분리 시 및 시험기간 중 1 주일에 한 번씩 개체 별 체중을 측정하였다. 특히 시험기간 중 체중측정은 매 측정시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동일한 요일과 동일한 시간 대(오후 4시 전후)에 동일한 저울을 저울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1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HSD만 투여한 NASH군의 체중이 다른 군들에 비하여 크게 증가한 것 외에 그 외의 군들에서는 무게변화 차이가 없었다.
3) 간 무게 측정
HSD 를 이용하여 NASH을 유발한 마우스의 간을 적출하여 간 조직의 상대 무게를 무게를 측정함으로써 NASH로 인한 장기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8주 동안 NASH군(control군)은 4.77±0.50 g/100 g body weight(BW)로 normal군이 4.24±0.28 g/100 g BW인 것에 비하여 무게가 유의적으로 증가함을 확인하여 HSD로 인한 비알코성 지방간이 유발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각 샘플 별로 혼합잡곡을 제공한 군의 간조직의 상대 무게를 측정한 결과, MCG-DM, MCG-AC, MCG-BW 등 혼합잡곡을 투여한 군에서 간 조직의 상대 무게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간 내 지방량이 감소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4) 간 조직의 병리학적 검사
적출한 간 조직는 0.9% NaCl로 사용하여 깨끗이 제거하고 10% 포르말린 용액 안에 넣어 4℃ 냉장 상태에서 24시간 고정 후 파라핀 조직표본을 제작하여 4 ㎛로 각 조직표본을 절편하였다. 조직학적 검사를 위하여 hematoxylin & eosin으로 염색하여 저배율 (×40)에서 관찰하고 확대하면서 사진을 찍었다.
그 결과,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Normal군에 비하여 control군의 간에서 지방 축적이 증가하는 점이 관찰되었다 . 그러나 HSD가 마우스에 본 발명의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예방 식품을 처리하였을 때 지방 축적이 감소하였으며, 특히 MCG-DM, MCG-OB와 MCG-AC에서 지방구 형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다.
5) 혈청 염증유발 사이토카인(serum pro-inflammatory cytokines) 측정
마우스에서 혈액을 채취하여 실험군별로 혈액 시료를 취합한 후, 각각의 혈액을 3000 rpm으로 15분 원심분리를 통해 혈청을 분리하여 실험하였다. TNF-α, IL-6 등의 사이토카인의 분비는 효소 면역측정법(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MAX Deluxe Sets, Biolegend)으로 측정하였다. 미리 96wells microplate에 TNF-α 등에 대한 capture 항체를 coating buffer에 희석하여 100 ㎕씩을 분주하고 4℃에서 하룻밤 방치하였다. 다음날 plate를 세척용 완충액으로 4번 세척한 후 assay diluent 200 ㎕를 분주하고 실온에서 1시간 동안 다시 방치하였다. 세척용 완충액으로 4번 세척한 후 detection 항체 100 ㎕를 분주한 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다시 방치하였다. 세척용 완충액으로 4번 세척한 후 avidin-horse-radish peroxidase 100 ㎕를 접종하여 다시 실온에서 30분 방치하고, 세척용 완충액으로 5번 세척하였다. TMB substrate solution이 포함된 기질액 100 ㎕를 접종하여 실온에서 15분 동안 방치한 후 stop solution 100 ㎕와 반응을 정지시켰다. 광학밀도는 ELISA reader로 450 nm에서 측정하였다.
HSD 유발 NASH 마우스에 본 발명의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예방 식품을 투여했을 때 TG, TC, HDL, LDL, Glucose의 혈청수준을 아래 표 2에 나타내었다.
시험군 levels(dl/mL)
TG TC HDL LDL Glucose
Normal 52.6±5.8 135.2±24.2 117.2±12.5 23.7±3.4 103.2±10.7
NASH 104.0±10.1 229.0±22.8 77.9±13.8 58.7±5.8 165.2±12.0
NASH+MCG-OB 76.0±3.9 176.0±14.6 94.7±11.2 43.8±6.0 141.1±15.1
NASH+MCG-DM 70.7±4.0 164.2±10.9 98.8±11.8 40.1±3.3 139.1±6.0
NASH+MCG-AC 77.5±5.8 176.9±14.3 94.9±5.9 44.4±4.5 142.9±6.5
NASH-WR 99.8±15.5 208.2±21.0 87.5±14.1 54.6±2.7 157.6±7.5
NASH+MCG 83.1±3.5 181.7±13.0 91.5±21.5 45.6±4.6 149.2±14.1
표 2를 살펴보면, 시험물질을 처리한 처리한 마우스에서 serum TG, TC, HDL, LDL과 glucose 수준을 살펴보았을 때 모든 샘플 제공군의 TG, TC와 LDL의 수준은 control군에 비해 감소하였다. 특히 MCG-DM 제공군에서 지질 저하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혈청 TG 농도 normal군이 52.6±5.8 mg/dL, control군이 104.0±10.1 mg/dL 로 나타났고, 이어서 WR, MCG, MCG-OB, MCG-DM 및 MCG-AC 순으로 나타났다. 혈청 TC 농도는 normal군이 135.2±24.2 mg/dL, control군이 229.0±22.8 mg/dL로 나타났고, 이어서 WR, MCG, MCG-OB, MCG-DM 및 MCG-AC 순으로 나타났다. 식이와 조 직에서 공급된 콜레스테롤은 간과 장에서 분비되는 지단백질의 구성성분에포함되어 free cholesterol(FC) 또는 cholesterylester(CE)의 형태로 혈액 내로 분비되거나, 또는 다른 조직의 세포막에서 분비되어 지단백질 지단백질 입자 내로 이동한다.
Chylomicron과 VLDL(very low density lipoproteinvery)은 체내로 흡수되는 외인성 TG와 체내에서 합성되는 내인성 TG를 조직으로 운반하는 역할을 하고(Tso P. et al. Factors regulating the formation of chylomicrons and very-low-density lipoproteins by the rat small intestine. Biochim. Biophys. Acta 1987, 922:304-13.), 혈액내에서 VLDL로부터 전환되는 LDL은 혈액내 콜레스테롤을 steroidogenic tissue로 수용하는 운반체 역할을 하며, 심장순환기 계통의 질병에 대한 위험인자로 알려져 있다. 혈액에서 콜레스테롤은 거대한 지단백질 분자의 형태로 움직이며, 이중 약 3/4는 LDL을 형성하며 혈중 LDL 농도와 동맥경화증 발병빈도의 비례관계는 잘 알려져 있다.
시험예 1에서 LDL 농도를 측정한 결과를 살펴보면, 모든 샘플제공군에서 control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점을 알 수 있다. 또한, HDL의 경우 control군에 비하여 모든 샘플제공군에서 증가하였다.
또한, 혈청 glucose 측정 결과는 모든 샘플제공군에서 control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결과를 얻었다.
다음으로, HSD 유발 NASH 마우스에 본 발명의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예방 식품을 투여했을 때 TNF-α 및 IL-6의 혈청 수준을 아래 표 3에 나타내었다.
시험군 TNF-α(pg/mL) IL-6(pg/mL)
Normal 43.7±10.3 17.1±1.1
NASH 157.0±23.1 56.7±3.3
NASH+MCG-OB 117.5±18.8 31.2±1.9
NASH+MCG-DM 100.5±21.4 29.0±2.0
NASH+MCG-AC 90.6±20.1 25.1±2.9
NASH-WR 140.0±17.9 45.2±2.7
NASH+MCG 134.9±15.7 35.3±2.4
염증성 사이토카인 TNF-α 및 IL-6의 수준은 NASH 발생 및 진행 과정과 가장 관련성이 높다. 시험결과를 살펴보면, control군에서 사이토카인의 농도가 normal군에 비해 상승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TNF-α 및 IL-6의 수준 측정 결과, 모든 군에서 control군에 비하여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예방 식품은 NASH 발생 및 진행을 억제시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HSD 유발 NASH 마우스에 본 발명의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예방 식품을 투여했을 때 AST 및 ALT의 혈청 수준을 아래 표 4에 나타내었다.
시험군 TNF-α(pg/mL) IL-6(pg/mL)
Normal 113.7±13.1 39.2±7.9
NASH 187.5±12.0 84.6±17.4
NASH+MCG-OB 146.1±11.4 66.4±5.7
NASH+MCG-DM 145.3±19.9 65.5±4.7
NASH+MCG-AC 142.5±23.0 68.8±3.6
NASH-WR 172.7±10.7 76.7±6.6
NASH+MCG 151.7±21.9 67.8±4.3
ALT 및 AST의 활성 변화는 혈청에서 나타내는 간 손상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즉, AST(Aspartate Transaminases)는 간과 심장에 고농도로 존재하며, 혈중 AST의 활성은 세포 손상 정도와 비교적 상관성이 좋아 간염, 간경변 등의 지표로 널리 사용되며, ALT(Alanine Transaminase)는 여러 조직에 광범위하게 존재하나 특히 간에서 가장 높은 활성도를 가져 통상적으로 혈중 ALT는 간염과 간과사, 간경변 등으로 인해 활성이 증가하는 성질을 나타내므로 간 손상 지표로 사용된다.
상기 표 4를 살펴보면, control군에서 AST 및 ALT가 normal군에 비하여 상승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모든 군에서 control군에 비하여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예방 식품은 NASH 발생 및 진행, 그리고 간 손상을 억제시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간 조직 내 lipogenesis 관련 유전자 (SREBP, ACC, FAS and SCD-1) 의 mRNA 발현 수준은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control군에서 normal군보다 모든 lipognesis 관련 유전자의 mRNA 발현 수준이 증가하였다. 본 발명의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예방 식품을 제공한 군들에서 control군에 비하여 SREBP, ACC, FAS 와 SCD-1등의 네 가지 유전자의 mRNA 발현 수준이 낮게 나타났으며, 특히 MCG-DM과 MCG-OB군은 control군에 비하여 SREBP가 67.9% 및 43.8%, ACC는 34.5% 및 21.6 %, FAS는 50.8% 및 46.3%, SCD-1는 59.9% 및 42.4% 감소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간 조직 내 지방산 β-oxidation과 관련된 관련된 유전자 (PPAR-α, CPT-1, ACO)의 mRNA 발현 수준은 control군에서 normal 군보다 모든 지방산 β-oxidation 관련 유전자의 mRNA 발현 수준이 감소하였다. 본 발명의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예방 식품을 제공한 군들에서 control군에 비하여 비하여 SREBP, ACC, FAS와 SCD-1등의 유전자의 mRNA 발현 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MCG-OB, MCG-DM와 MCG-AC 군이 control군에 비하여 PPAR-α는 4.4, 4.2 및 4.7배, CPT-1는 1.2, 1.8 및 1.6배, ACO는 3.5, 4.0및 3.6배 증가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 간 조직 내 지방산 infiltration 관련 유전자 (ApoB, CD36, PPAR-γ) 의 mRNA 발현 수준에 대하여 도 5를 살펴보면, control군은 normal군보다 모든 지방산 infiltration과 관련된 유전자의 mRNA 발현 수준이 상승하였다. 본 발명의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예방 식품을 제공한 군들에서 control군에 비하여 ApoB, CD36와 PPAR-γ등의 유전자의 mRNA 발현 수준이 낮게 나타났으며, 특히 MCG-OB, MCG-DM 와 MCG-AC군은 control군에 비하여 ApoB는 13.5%, 41.0%, 7.6%, CD36는 79.0%, 78.0%, 74.0%, PPAR-γ는 80.2%, 78.1%, 67.1% 감소한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예방 식품이 NASH를 억제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6) RT -PCR 분석
각각의 실험군에서 실험 동물의 대장 조직을 임의로 선정하고, 이를 PBS로 세척하여 trizol을 이용하여 total RNA를 분리하였다. Oligo dT primer를 사용하면 분리한 RNA 중 mRNA가 모두 cDNA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분리된 RNA를 정량한 후, oligo dT primer와 AMV reverse transcriptase를 이용하여 2 ㎍의 RNA에서 mRNA에 상보적인 ss cDNA로 역전사시켰다. 상기 cDNA를 template로 사용하여 SREBP, ACC, SCD-1, FAS, CD36, CPT-1, PPARα 등과 염증 관련된 NF-κB, IκB, IKK2, TNF-α 등 유전자를 polymerase chain reaction(PCR) 방법으로 특정 유전자 부위를 증폭하였다.
이때 internal control로 housekeeping 유전자인 β-actin를 사용하였다. 각 PCR 산물들을 2% agarose gel을 이용하여 전기영동하고 ethidium bromide (EtBr, Sigma, USA)를 이용하여 염색한 후 UV 하에서 확인하였다.
도 6에는 간 조직 내 염증관련유전자 NF-κB, IκB 및 IKK2의 mRNA 발현 수준을 나타내었다. NF-κB 및 IKK2 발현의 경우, control군은 normal 군에 비하여 높은 발현 수준을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예방 식품 제공군들 중에서, 특히 MCG-OB, MCG-DM 와 MCG-AC 군이 control군에 비하여 NF-κB 는 28.3%, 46.8%, 20.1%, IKK2 는 25.4%, 26.7%, 35.3% 감소한 결과를 보였다. IκB의 경우는 control군은 normal군에 비하여 낮은 발현 수준을 나타내었고, MCG-OB, MCG-DM, MCG-AC군이 control군에 비하여 IκB가 각각 2.0, 2.3, 1.9배 높은 발현 을 보였다.
과체중이나 비만인 NASH 환자가 체중 감량을 할 경우 간 내 지방량이 감소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데, 시험예 1에서 모든 샘플제공군은 control군에 비하여 체중은 감소하였으며, 특히 MCG-DM군의 체중이 가장 낮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예방 식품 중, 특히, MCG-DM, MCG-OB의 NASH 예방 효과가 좋게 나타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혼합잡곡밥은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예방외에 이형당뇨, 고지혈증, 고혈압 등의 대사증후군, 비만 등의 성인병 전반에 걸쳐 예방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파악된다.

Claims (5)

  1. 발효현미, 귀리쌀, 서리태, 구아바쌀, 찰보리, 찰흑미, 쌀수수로 이루어지는 혼합잡곡을 수세하고, 20 내지 40분 간 물에 침지하는 단계;
    침지된 상기 혼합잡곡을 수거하여 용기에 수용하고, 상기 용기에 취반수를 건조 혼합잡곡 무게의 1.3 내지 1.5배 투입하는 단계;
    상기 용기를 밀폐하고 98~100℃에서 15 내지 20분 가열하여 취반하는 단계;
    상기 취반 종류 후, 가열을 중단하고 10 내지 15분간 뜸들이는 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예방 혼합잡곡밥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혼합잡곡은 발아현미, 귀리쌀, 찰수수, 적도, 찰보리, 옥수수쌀, 서리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예방 혼합잡곡밥의 제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혼합잡곡은 발효현미, 찰현미, 찰수수쌀, 찰기장쌀, 서리태, 강황쌀, 상황쌀, 율무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예방 혼합잡곡밥의 제조방법.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혼합잡곡밥을 동결건조하고 분말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예방 혼합잡곡분말의 제조방법.
  5.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의하여 제조된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예방 혼합잡곡밥.
KR1020150106346A 2015-07-28 2015-07-28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예방용 혼합잡곡밥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135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6346A KR20170013558A (ko) 2015-07-28 2015-07-28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예방용 혼합잡곡밥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6346A KR20170013558A (ko) 2015-07-28 2015-07-28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예방용 혼합잡곡밥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3558A true KR20170013558A (ko) 2017-02-07

Family

ID=58108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6346A KR20170013558A (ko) 2015-07-28 2015-07-28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예방용 혼합잡곡밥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13558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5801B1 (ko) 2006-09-18 2008-02-21 주식회사 지지아이푸드엔터프라이즈 낮은 혈당지수를 갖는 혼합잡곡
KR101474235B1 (ko) 2013-11-22 2014-12-24 두보식품 주식회사 대장암 예방 건강밥과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5801B1 (ko) 2006-09-18 2008-02-21 주식회사 지지아이푸드엔터프라이즈 낮은 혈당지수를 갖는 혼합잡곡
KR101474235B1 (ko) 2013-11-22 2014-12-24 두보식품 주식회사 대장암 예방 건강밥과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Xiao et al. Rice bran phenolic extract protects against alcoholic liver injury in mice by alleviating intestinal microbiota dysbiosis, barrier dysfunction, and liver inflammation mediated by the endotoxin–TLR4–NF-κB pathway
Parikh et al. Flaxseed: its bioactive components and their cardiovascular benefits
Zang et al. The anti-obesity and anti-diabetic effects of kaempferol glycosides from unripe soybean leaves in high-fat-diet mice
KR101225486B1 (ko) 토복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고지혈증 또는 지방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Jung et al. Anti-obesity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high hydrostatic pressure extracts of ginseng in high-fat diet induced obese rats
JP5758561B2 (ja) 肥満防止剤
Li et al. The positive effects and underlying mechanisms of Undaria pinnatifida polysaccharides on type 2 diabetes mellitus in rats
Yook et al. Black adzuki bean (Vigna angularis) attenuates high-fat diet-induced colon inflammation in mice
Cheng et al. Whole grain rice: Updated understanding of starch digestibility and the regulation of glucose and lipid metabolism
Wang et al. Prophylactic effect of Lactobacillus plantarum KSFY06 on HCl/ethanol-induced gastric injury in mice
Jeon et al. Effects of pine needle extract on differentiation of 3T3-L1 preadipocytes and obesity in high-fat diet fed rats
Li et al. Crude polysaccharide extracted from Moringa oleifera leaves prevents obesity in association with modulating gut microbiota in high-fat diet-fed mice
JP2016537385A (ja) サラシア組成物、それを投与することによる治療方法及びその製造方法
Moon et al. Anti-obesity and hypolipidemic effects of chufa (Cyperus esculentus L.) in mice fed a high-fat diet
Lee et al. Effects of ramie leaf extract on blood glucose and lipid metabolism in db/db mice
KR20100050192A (ko) 프로토파낙사디올과 프로토파낙사트리올 비율을 조절하여 생리효과를 나타내는 인삼 추출 조성물
Lee et al. Effects of Portulaca oleracea powder on the lipid levels of rats fed a hypercholesterolemia inducing diet
Jung et al. High hydrostatic pressure extract of red ginseng attenuates inflammation in rats with high-fat diet induced obesity
KR101887764B1 (ko) 항비만성 팥 껍질 추출물의 추출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Wang et al. Oat β-glucan and L-arabinose synergistically ameliorate glucose uptake in insulin-resistant HepG2 cells and exert anti-diabetic activity via activation of the PI3K/AKT pathway in db/db mice
Rebollo‐Hernanz et al. Cocoa shell: source of novel bioactive ingredients for the prevention of cardiometabolic diseases
KR20170013558A (ko)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예방용 혼합잡곡밥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15277B1 (ko) 홍삼 산성다당체 및 구기자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고지혈증제
JP5753542B2 (ja) 虎杖根ブタノール分画物またはエチルアセテート分画物を用いた肥満治療及び予防用組成物と機能性食品
Mohamed Effects of chitosan and wheat bran on serum leptin, TNF-α, lipid profile and oxidative status in animal model of non-alcoholic fatty li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