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2273A - 무선랜에서 파워 세이브 모드 기반의 동작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랜에서 파워 세이브 모드 기반의 동작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2273A
KR20170012273A KR1020167033241A KR20167033241A KR20170012273A KR 20170012273 A KR20170012273 A KR 20170012273A KR 1020167033241 A KR1020167033241 A KR 1020167033241A KR 20167033241 A KR20167033241 A KR 20167033241A KR 20170012273 A KR20170012273 A KR 201700122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
frame
bss
ppdu
power s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3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원
류기선
김정기
조한규
김서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700122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22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4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according to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04L5/0055Physical resource allocation for ACK/N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using a pre-established activity schedule, e.g. traffic indication fr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14Three-dimensional division
    • H04L5/0023Time-frequency-sp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랜에서 파워 세이브 모드 기반의 동작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무선랜에서 파워 세이브 모드 기반의 동작 방법은 STA이 상기 PS-poll 프레임에 대한 응답으로 ACK 프레임을 상기 AP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STA이 ACK 프레임을 수신 후 상기 AP로부터 상기 하향링크 프레임을 수신하기 전 다른 BSS PPDU를 수신하는 단계와 STA이 다른 BSS PPDU의 수신 세기를 기반으로 어웨이크 상태에서 도즈 상태로의 전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랜에서 파워 세이브 모드 기반의 동작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OPERATION BASED ON POWER SAVE MODE IN WLAN}
본 발명은 무선 통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랜(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에서 파워 세이브 모드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IEEE 802.11 표준에서는 무선랜 STA(station)의 수명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파워 절약 메커니즘(power save mechanism)(또는 파워 절약 모드(power save mode))이 사용될 수 있다. 파워 절약 모드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STA은 파워 절약을 위하여 어웨이크 상태(awake state) 또는 도즈 상태(doze state)로 동작할 수 있다. 어웨이크 상태는 프레임의 송신 또는 수신이나 채널 스캐닝과 같은 STA의 정상 동작이 가능한 상태이다. 반면, 도즈 상태는 전력 소모를 극단적으로 줄여서 프레임의 송신 또는 수신이 불가능하며 채널 스캐닝도 불가능한 상태이다. 평소에는 STA이 파워 절약 모드로 동작할 경우, STA은 도즈 상태에 있다가 필요한 경우, 어웨이크 상태로 전환하여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STA이 도즈 상태에서 오래 동작하는 경우, STA의 전력 소모가 줄어든다. 따라서, STA의 수명이 늘어날 수 있다. 그러나 도즈 상태에서는 프레임의 송신 또는 수신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STA은 도즈 상태로 오래 머무를 수 없다. 도즈 상태에서 펜딩된 프레임이 발생한 경우, STA은 어웨이크 상태로 전환하여 프레임을 AP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STA이 도즈 상태에 있고 AP에 STA으로 전송할 펜딩된 프레임이 존재하는 경우, STA은 AP로부터 펜딩된 프레임을 수신할 수 없고, AP에 펜딩된 프레임이 존재한다는 것도 알 수 없다. 따라서 STA은 AP에 펜딩된 프레임의 존재 여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AP에 펜딩된 프레임을 수신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어웨이크 상태로 전환하여 동작할 수 있다.
AP은 STA의 어웨이크 상태 동작 타이밍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STA의 어웨이크 상태 동작 타이밍에 맞추어 AP에 펜딩된 프레임의 존재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즈 상태의 STA은 AP로부터 수신할 프레임의 존재 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도즈 상태에서 어웨이크 상태로 전환하여 비콘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다. AP는 비콘 프레임에 포함된 TIM(traffic indication map)을 기반으로 각 STA으로 전송할 프레임의 존재 여부에 대해 알려줄 수 있다. TIM은 STA으로 전송될 유니캐스트 프레임의 존재를 알려주기 위해 사용되며, DTIM(delivery traffic indication map)은 STA으로 전송될 멀티캐스트 프레임/브로드캐스트 프레임의 존재를 알려주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랜에서 파워 세이브 모드 기반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선랜에서 파워 세이브 모드 기반의 동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무선랜에서 파워 세이브 모드 기반의 동작 방법은 STA(station)이 청취 인터벌을 기반으로 어웨이크 상태로 전환되어 AP(access point)로부터 비콘 프레임을 수신하되, 상기 비콘 프레임은 상기 STA에 대해 버퍼된 하향링크 데이터를 지시하는 TIM(traffic indication map) 정보를 포함하는, 단계, 상기 STA이 상기 버퍼된 하향링크 데이터를 포함하는 하향링크 프레임의 수신을 위한 PS(power saving)-poll 프레임을 상기 AP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STA이 상기 PS-poll 프레임에 대한 응답으로 ACK(acknowledgement) 프레임을 상기 AP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STA이 상기 ACK 프레임을 수신 후 상기 AP로부터 상기 하향링크 프레임을 수신하기 전 다른 BSS PPDU(basic service set physical layer protocol data unit)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STA이 상기 다른 BSS PPDU의 수신 세기를 기반으로 상기 어웨이크 상태에서 도즈 상태로의 전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되, 상기 다른 BSS PPDU는 상기 STA을 포함하는 BSS가 아닌 다른 BSS에 의해 전송된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무선랜에서 파워 세이브 모드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STA은 무선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기 위해 구현된 RF(radio frequency)부와 상기 RF부와 동작 가능하도록(operatively)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되, 상기 프로세서는 청취 인터벌을 기반으로 어웨이크 상태로 전환되어 AP(access point)로부터 상기 STA에 대해 버퍼된 하향링크 데이터를 지시하는 TIM(traffic indication map) 정보를 포함하는 비콘 프레임을 수신하고, 상기 버퍼된 하향링크 데이터를 포함하는 하향링크 프레임의 수신을 위한 PS(power saving)-poll 프레임을 상기 AP로 전송하고, 상기 PS-poll 프레임에 대한 응답으로 ACK(acknowledgement) 프레임을 상기 AP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ACK 프레임을 수신 후 상기 AP로부터 상기 하향링크 프레임을 수신하기 전 다른 BSS PPDU(basic service set physical layer protocol data unit)를 수신하고, 상기 다른 BSS PPDU의 수신 세기를 기반으로 상기 어웨이크 상태에서 도즈 상태로의 전환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현될 수 있되, 상기 다른 BSS PPDU는 상기 STA을 포함하는 BSS가 아닌 다른 BSS에 의해 전송된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TIM(traffic indication map) 기반 파워 세이브 모드로 동작하는 STA이 다른 BSS에 의해 전송된 프레임의 전송 세기를 기반으로 도즈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따라서, STA의 전력이 절약되고 배터리 기반으로 동작하는 STA의 동작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무선랜(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의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무선랜에서 스캐닝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AP와 STA의 스캐닝 절차 이후에 수행되는 인증 절차 및 결합 절차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는 비콘 프레임 기반의 파워 세이브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는 비콘 프레임 기반의 파워 세이브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BSS TXOP 파워 세이브 모드의 적용 가능한 시나리오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BSS TXOP 파워 세이브 모드에 따른 STA의 동작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BSS TXOP 파워 세이브 모드에 따른 STA의 동작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TA의 다른 BSS TXOP 파워 세이브 모드 동작을 위한 사전 절차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TA의 다른 BSS TXOP 파워 세이브 모드 동작을 위한 사전 절차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을 전달하는 PPDU 포맷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무선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은 무선랜(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의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의 상단은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s) 802.11의 인프라스트럭쳐 BSS(Basic Service Set)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1의 상단을 참조하면, 무선랜 시스템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인프라스트럭쳐 BSS(100, 105)(이하, BSS)를 포함할 수 있다. BSS(100, 105)는 성공적으로 동기화를 이루어서 서로 통신할 수 있는 AP(access point, 125) 및 STA1(Station, 100-1)과 같은 AP와 STA의 집합으로서, 특정 영역을 가리키는 개념은 아니다. BSS(105)는 하나의 AP(130)에 하나 이상의 결합 가능한 STA(105-1, 105-2)을 포함할 수도 있다.
BSS는 적어도 하나의 STA, 분산 서비스(Distribution Service)를 제공하는 AP(125, 130) 및 다수의 AP를 연결시키는 분산 시스템(Distribution System, DS, 110)을 포함할 수 있다.
분산 시스템(110)는 여러 BSS(100, 105)를 연결하여 확장된 서비스 셋인 ESS(extended service set, 140)를 구현할 수 있다. ESS(140)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AP(125, 230)가 분산 시스템(110)을 통해 연결되어 이루어진 하나의 네트워크를 지시하는 용어로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ESS(140)에 포함되는 AP는 동일한 SSID(service set identification)를 가질 수 있다.
포털(portal, 120)은 무선랜 네트워크(IEEE 802.11)와 다른 네트워크(예를 들어, 802.X)와의 연결을 수행하는 브리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의 상단과 같은 BSS에서는 AP(125, 130) 사이의 네트워크 및 AP(125, 130)와 STA(100-1, 105-1, 105-2) 사이의 네트워크가 구현될 수 있다. 하지만, AP(125, 130)가 없이 STA 사이에서도 네트워크를 설정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AP(125, 130)가 없이 STA 사이에서도 네트워크를 설정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를 애드-혹 네트워크(Ad-Hoc network) 또는 독립 BSS(independent basic service set, IBSS)라고 정의한다.
도 1의 하단은 IBSS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의 하단을 참조하면, IBSS는 애드-혹 모드로 동작하는 BSS이다. IBSS는 AP를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중앙에서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개체(centralized management entity)가 없다. 즉, IBSS에서 STA(150-1, 150-2, 150-3, 155-4, 155-5)들은 분산된 방식(distributed manner)으로 관리된다. IBSS에서는 모든 STA(150-1, 150-2, 150-3, 155-4, 155-5)이 이동 STA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분산 시스템으로의 접속이 허용되지 않아서 자기 완비적 네트워크(self-contained network)를 이룬다.
STA은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 표준의 규정을 따르는 매체 접속 제어(Medium Access Control, MAC)와 무선 매체에 대한 물리 계층(Physical Layer)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임의의 기능 매체로서, 광의로는 AP와 비-AP STA(Non-AP Station)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STA은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무선 기기(wireless device), 무선 송수신 유닛(Wireless Transmit/Receive Unit; WTRU),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이동국(Mobile Station; MS), 이동 가입자 유닛(Mobile Subscriber Unit) 또는 단순히 유저(user) 등의 다양한 명칭으로도 불릴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AP에서 STA으로 전송되는 데이터(또는 프레임)를 하향링크 데이터(또는 하향링크 프레임), STA에서 AP로 전송되는 데이터(또는 프레임)를 상향링크 데이터(또는 상향링크 프레임)이라는 용어로 표현할 수 있다. 또한, AP에서 STA으로의 전송은 하향링크 전송, STA에서 AP로의 전송은 상향링크 전송이라는 용어로 표현할 수 있다.
도 2는 무선랜에서 스캐닝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스캐닝 방법은 패시브 스캐닝(passive scanning, 200)과 액티브 스캐닝(active scanning, 250)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2의 좌측을 참조하면, 패시브 스캐닝(200)은 AP(200)가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트하는 비콘 프레임(23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무선랜의 AP(200)는 비콘 프레임(230)을 특정 주기(예를 들어, 100msec)마다 non-AP STA(240)으로 브로드캐스트 한다. 비콘 프레임(230)에는 현재의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non-AP STA(240)은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트되는 비콘 프레임(230)을 수신함으로서 네트워크 정보를 수신하여 인증/결합(authentication/association) 과정을 수행할 AP(210)와 채널에 대한 스캐닝을 수행할 수 있다.
패시브 스캐닝 방법(200)은 non-AP STA(240)이 프레임을 전송할 필요가 없이 AP(210)에서 전송되는 비콘 프레임(230)을 수신만 하면 된다. 따라서, 패시브 스캐닝 (200)은 네트워크에서 데이터의 송신/수신에 의해 발생되는 전체적인 오버헤드가 작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비콘 프레임(230)의 주기에 비례하여 수동적으로 스캐닝을 수행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스캐닝을 수행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액티브 스캐닝 방법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늘어난다는 단점이 있다. 비콘 프레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2011년 11월에 개시된 IEEE Draft P802.11-REVmb™/D12, November 2011 ‘IEEE Standard for Information Technology Tele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systems-Local and metropolitan area networks-Specific requirements Part 11: Wireless LAN Medium Access Control (MAC) and Physical Layer (PHY) Specifications(이하, IEEE 802.11)’의 8.3.3.2 beacon frame에 개시되어 있다. IEEE 802.11 ai에서는 추가적으로 다른 포맷의 비콘 프레임을 사용할 수도 있고 이러한 비콘 프레임을 FILS(fast initial link setup) 비콘 프레임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측정 파일롯 프레임(measurement pilot frame)은 비콘 프레임의 일부 정보만을 포함하는 프레임으로 스캐닝 절차에서 사용할 수 있다. 측정 파일롯 프레임은 IEEE 802.11 8.5.8.3 measurement pilot format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FILS 탐색 프레임(FILS discovery frame)이 정의될 수도 있다. FILS 탐색 프레임은 각 AP에서 비콘 프레임의 전송 주기 사이에서 전송되는 프레임으로 비콘 프레임보다 짧은 주기를 가지고 전송되는 프레임일 수 있다. 즉, FILS 탐색 프레임은 비콘 프레임의 전송 주기보다 작은 값의 주기를 가지고 전송되는 프레임이다. FILS 탐색 프레임은 탐지 프레임을 전송하는 AP의 식별자 정보(SSID, BSSID)를 포함할 수 있다. FILS 탐색 프레임은 STA으로 비콘 프레임이 전송되기 전에 전송되어 해당 채널에 AP가 존재함을 STA이 미리 탐색하도록 할 수 있다. 하나의 AP에서 FILS 탐색 프레임이 전송되는 간격을 FILS 탐색 프레임 전송 간격이라고 한다. FILS 탐색 프레임에는 비콘 프레임에 포함되는 정보의 일부가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도 2의 우측을 참조하면, 액티브 스캐닝(250)에서는 non-AP STA(290)이 프로브 요청 프레임(270)을 AP(260)로 전송하여 주도적으로 스캐닝을 수행할 수 있다.
AP(260)에서는 non-AP STA(290)으로부터 프로브 요청 프레임(270)을 수신한 후 프레임 충돌(frame collision)을 방지하기 위해 랜덤 시간 동안 기다린 후 프로브 응답 프레임(280)에 네트워크 정보를 포함하여 non-AP STA(290)으로 전송할 수 있다. non-AP STA(290)은 수신한 프로브 응답 프레임(280)을 기초로 네트워크 정보를 얻고 스캐닝 과정을 중지할 수 있다.
액티브 스캐닝(250)의 경우, non-AP STA(290)이 주도적으로 스캐닝을 수행하므로 스캐닝에 사용되는 시간이 짧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non-AP STA(290)이 프로브 요청 프레임(270)을 전송해야 하므로 프레임 송신 및 수신을 위한 네트워크 오버헤드가 증가한다는 단점이 있다. 프로브 요청 프레임(270)은 IEEE 802.11 8.3.3.9 절에 개시되어 있고 프로브 응답 프레임(280)은 IEEE 802.11 8.3.3.10에 개시되어 있다.
스캐닝이 끝난 후 AP와 non-AP STA은 인증(authentication) 절차와 결합(association)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AP와 STA의 스캐닝 절차 이후에 수행되는 인증 절차 및 결합 절차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패시브/액티브 스캐닝을 수행한 후 스캐닝된 AP 중 하나의 AP와 인증 절차 및 결합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인증(authentication) 및 결합(association) 절차는 예를 들어, 2-방향 핸드쉐이킹(2-way handshaking)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도 3의 좌측은 패시브 스캐닝 후 인증 및 결합 절차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3의 우측은 액티브 스캐닝 후 인증 및 결합 절차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인증 절차 및 결합 절차는 액티브 스캐닝 방법 또는 패시브 스캐닝을 사용하였는지 여부와 상관없이 인증 요청 프레임(authentication request frame, 310)/인증 응답 프레임(authentication response frame, 320) 및 결합 요청 프레임(association request frame, 330)/결합 응답 프레임(association response frame, 340)을 AP(300, 350)와 non-AP STA(305, 355) 사이에서 교환함으로써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다.
인증 절차에서는 non-AP STA(305, 355)는 인증 요청 프레임(310)을 AP(300, 350)로 전송할 수 있다. AP(300, 350)는 인증 요청 프레임(310)에 대한 응답으로 인증 응답 프레임(320)을 non-AP STA(305, 355)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인증 프레임 포맷(authentication frame format)에 대해서는 IEEE 802.11 8.3.3.11에 개시되어 있다.
결합 절차에서는 non-AP STA(305, 355)은 결합 요청 프레임(association request frame, 330)을 AP(300, 305)로 전송할 수 있다. 결합 요청 프레임(330)에 대한 응답으로 AP(305, 355)는 결합 응답 프레임(340)을 non-AP STA(300, 350)으로 전송할 수 있다. AP로 전송된 결합 요청 프레임(330)에는 non-AP STA(305, 355)의 성능(capability)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non-AP STA(305, 355)의 성능 정보를 기초로 AP(300, 350)는 non-AP STA(305, 355)에 대한 지원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non-AP STA(305, 355)에 대한 지원이 가능한 경우 AP(300, 350)는 결합 응답 프레임(340)을 non-AP STA(305, 355)로 전송할 수 있다. 결합 응답 프레임(340)은 결합 요청 프레임(340)에 대한 수락 여부와 그 이유, 자신이 지원 가능한 성능 정보(capability information)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 프레임 포맷(association frame format)에 대해서는 IEEE 802.11 8.3.3.5/8.3.3.6에 개시되어 있다.
AP와 non-AP STA 사이에서 결합 절차가 수행된 이후, AP와 non-AP STA 사이에서 정상적인 데이터의 송신 및 수신이 수행될 수 있다. AP와 non-AP STA 사이의 결합 절차가 실패한 경우, 결합이 실패한 이유를 기반으로 다시 AP와 결합 절차를 수행하거나 다른 AP와 결합 절차를 수행할 수도 있다.
STA이 AP와 결합되는 경우, STA은 AP로부터 결합 ID(association identifier, AID)를 할당받을 수 있다. STA으로 할당된 AID는 하나의 BSS 내에서는 유일한 값일 수 있고, 현재 AID는 1~2007 중 하나의 값일 수 있다. AID를 위해 14bit가 할당되어 있어서 최대 16383까지 AID의 값으로서 사용 가능하지만 2008~16383의 값은 보존(reserved)되어 있다.
IEEE 802.11 표준에서는 무선랜의 STA의 수명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파워 세이브 메커니즘(파워 세이브 모드)이 제공된다.
파워 세이브 모드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STA은 어웨이크 상태(awake state)와 도즈 상태(doze state)를 전환하여 동작하면서 STA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켜 STA의 동작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다.
어웨이크 상태의 STA은 프레임의 송신 또는 수신, 채널 스캐닝 등과 같은 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반면, 도즈 상태의 STA은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 프레임의 송신 또는 수신을 수행하지 않고 채널 스캐닝도 수행하지 않는다. 파워 세이브 모드로 동작하는 STA은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 도즈 상태로 유지되고 필요한 경우, 어웨이크 상태로 전환(또는 천이(transition))되어 AP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STA의 도즈 상태의 유지 시간이 증가할수록 STA의 전력 소모는 감소하고 STA의 수명도 또한 증가할 수 있다. 그러나 도즈 상태에서는 STA의 프레임의 송신 또는 수신이 불가능하다. STA에 펜딩된 상향링크 프레임이 존재하는 경우, STA은 도즈 상태에서 액티브 상태로 전환하고 상향링크 프레임을 AP로 전송할 수 있다. 반대로 AP에 도즈 상태의 STA으로 전송할 펜딩된 프레임이 존재하는 경우, AP는 STA의 어웨이크 모드로의 전환시까지 STA으로 펜딩된 프레임을 전송할 수 없다.
따라서, STA은 가끔씩 도즈 상태에서 어웨이크 상태로 전환되고 AP로부터 STA에 대해 펜딩된 프레임이 존재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AP는 STA의 어웨이크 상태로의 전환 시간을 고려하여 STA에 대해 펜딩된 하향링크 데이터의 존재에 대한 정보를 STA으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STA은 STA에 대해 펜딩된 프레임의 존재 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도즈 상태에서 어웨이크 상태로 전환되어 비콘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다. 비콘 프레임은 STA의 패시브 스캐닝을 위해 사용되는 프레임으로서 AP의 능력(capability)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AP는 주기적(예를 들어, 100msec)으로 비콘 프레임을 STA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비콘 프레임 기반의 파워 세이브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AP는 주기적으로 비콘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고, STA은 비콘 프레임의 전송 타이밍을 고려하여 주기적으로 도즈 상태에서 어웨이크 상태로 전환되어 비콘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다. 비콘 프레임 기반의 파워 세이브 방법은 TIM 기반의 파워 세이브 모드라는 용어로도 표현될 수 있다.
비콘 프레임은 TIM 요소(traffic indication map element)를 포함할 수 있다. TIM 요소는 AP에 펜딩된 STA에 대한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TIM 요소는 STA에 대해 펜딩된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비트맵 기반으로 포함할 수 있다. TIM 요소는 TIM 또는 DTIM(delivery TIM)으로 구분될 수 있다. TIM은 STA으로 유니캐스트 기반으로 전송될 펜딩된 하향링크 데이터의 존재를 지시할 수 있다. DTIM은 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 기반으로 전송될 펜딩된 하향링크 데이터의 존재를 지시할 수 있다.
도 4의 상단은 AP가 PS(power saving)-poll 프레임에 대해 즉각 응답을 기반으로 하향링크 프레임을 전송하는 방법에 대해 개시한다.
도 4의 상단을 참조하면, STA은 비콘 프레임(400)의 TIM을 기반으로 AP로부터 STA에 대해 펜딩된 하향링크 데이터의 존재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STA은 PS-poll 프레임(410)을 AP로 전송할 수 있다. AP는 STA으로부터 PS-poll 프레임(410)을 수신하고, PS-poll 프레임(410)에 대한 즉각 응답(immediate response)으로 하향링크 프레임(420)을 STA으로 전송할 수 있다. AP의 PS-poll 프레임에 대한 즉각 응답은 PS-poll 프레임을 수신하고 SIFS(short interframe space) 후에 수행될 수 있다.
STA은 하향링크 프레임에 대한 응답으로 ACK 프레임(430)을 전송할 수 있다. AP의 STA에 대해 펜딩된 하향링크 데이터의 전송이 종료되는 경우, STA은 도즈 상태로 다시 전환(또는 천이(transition))될 수 있다.
도 4의 하단은 PS-poll 프레임에 대해 연기된 응답(deferred response)을 기반으로 한 AP의 하향링크 프레임의 전송 방법을 개시한다.
도 4의 하단을 참조하면, STA은 비콘 프레임(440)의 TIM을 기반으로 AP로부터 STA에 대해 펜딩된 하향링크 데이터의 존재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STA은 PS-poll 프레임(450)을 AP로 전송할 수 있다. AP는 STA으로부터 PS-poll 프레임(450)을 수신하고, PS-poll 프레임(450)에 대한 응답으로 ACK 프레임(460)을 STA으로 전송할 수 있다. AP는 ACK 프레임(460)의 전송 이후 펜딩된 하향링크 데이터를 포함하는 하향링크 프레임(470)을 STA으로 전송할 수 있다. STA은 ACK 프레임(460)의 수신 이후에 AP에 의해 STA으로 전송되는 하향링크 프레임(470)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AP의 STA에 대해 펜딩된 하향링크 데이터의 전송이 종료되는 경우, STA은 어웨이크 상태에서 도즈 상태로 다시 전환(또는 천이(transition))될 수 있다.
도 5는 비콘 프레임 기반의 파워 세이브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에서는 비콘 프레임(500)을 통해 DTIM이 전송되는 경우가 개시된다. 비콘 프레임(500)은 DTIM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DTIM은 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 기반으로 전송될 펜딩된 하향링크 데이터의 존재를 지시할 수 있다.
도 5을 참조하면, AP는 DTIM을 포함하는 비콘 프레임(500)을 STA으로 전송할 수 있다. STA은 DTIM을 포함하는 비콘 프레임(500)을 수신한 후 PS-poll 프레임의 전송없이 어웨이크 상태를 유지하고 하향링크 프레임(520)의 전송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AP는 멀티캐스트 방법 또는 브로드캐스트 방법을 통해 하향링크 프레임(520)을 STA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AP에서 STA으로의 전송은 하향링크 전송이라는 용어로 표현될 수 있다. 햐향링크 전송을 통해 전송되는 PPDU, 프레임 및 데이터 각각은 하향링크 PPDU, 하향링크 프레임 및 하향링크 데이터라는 용어로 표현될 수 있다. PPDU는 PPDU 헤더와 PSDU(physical layer service data unit)(또는 MPDU(MAC protocol data unit))를 포함하는 데이터 단위일 수 있다. PPDU 헤더는 PHY 헤더와 PHY 프리앰블을 포함할 수 있고, PSDU(또는 MPDU)는 프레임을 포함하거나 프레임을 지시할 수 있다. PHY 헤더는 다른 용어로 PLCP(physical layer convergence protocol) 헤더, PHY 프리앰블은 다른 용어로 PLCP 프리앰블로 표현될 수도 있다.
또한, STA에서 AP로의 전송은 상향링크 전송이라는 용어로 표현될 수 있다. 상향링크 전송을 통해 전송되는 PPDU, 프레임 및 데이터 각각은 상향링크 PPDU, 상향링크 프레임 및 상향링크 데이터라는 용어로 표현될 수 있다.
무선랜 시스템에서 STA은 전술한 TIM 기반의 파워 세이브 모드뿐만 아니라 TXOP를 기반으로 한 파워 세이브 모드인 TXOP 파워 세이브 모드를 기반으로 동작할 수도 있다.
STA의 파워 관리 모드(power management mode)는 액티브 모드(active mode)와 파워 세이브 모드(power save mode)로 분류될 수 있다. 전술한 TIM 기반의 파워 세이브 모드는 파워 세이브 모드 중 하나이다.
TXOP 파워 세이브 모드는 액티브 모드 중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액티브 모드로 동작하는 STA은 계속적으로 어웨이크 상태를 유지하나, TXOP 파워 세이브 모드로 동작하는 STA은 다른 STA의 프레임의 전송을 위한 매체 점유가 발생할 경우, 다른 STA의 프레임의 전송을 위한 TXOP 듀레이션 동안은 도즈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STA이 TXOP 파워 세이브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STA은 결합된 AP로부터 하향링크 프레임을 수신하고 하향링크 프레임을 전달한 하향링크 PPDU의 PHY 헤더(또는 PLCP 헤더)에 포함된 그룹 식별자(Group ID) 와 부분 결합 식별자(Partial AID(association identifier))를 기반으로 도즈 상태(doze state)로 전환될지, 어웨이크 상태(awake state)를 유지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TA은 수신한 하향링크 PPDU의 PHY 헤더에 포함된 그룹 식별자와 STA의 그룹 식별자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도즈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STA은 STA은 수신한 하향링크 PPDU의 PHY 헤더에 포함된 그룹 식별자와 STA의 그룹 식별자가 일치하나 하향링크 PPDU의 PHY 헤더에 포함된 PAID와 STA의 PAID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도즈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기존의 무선랜 시스템에서 TXOP 파워 세이브 모드로 동작하는 STA은 수신한 프레임이 STA과 결합된 AP(또는 STA을 포함하는 BSS)에 의해 전송된 프레임인 경우에만 어웨이크 상태에서 도즈 상태로 전환되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STA이 TIM 기반의 파워 세이브 모드로 동작시 다른 BSS(또는 다른 BSS에 포함되는 AP 또는 STA)에 의해 전송된 프레임(또는 PPDU)을 수신할 경우, STA의 도즈 상태로의 전환을 지원하는 파워 세이브 모드가 개시된다. 이러한 파워 세이브 모드는 다른 BSS TXOP 파워 세이브 모드라는 용어로 표현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BSS TXOP 파워 세이브 모드의 적용 가능한 시나리오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BSS TXOP 파워 세이브 모드가 적용 가능한 BSS가 개시된다.
도 6을 참조하면, BSS1은 AP1(600) 및 STA1(610)을 포함하고, BSS2는 AP2(650) 및 STA2(660)를 포함할 수 있다.
STA1(610)은 AP1(600)과 결합되고, STA2(660)는 AP2(650)와 결합될 수 있다. STA1(610)과 AP1(600) 간의 거리가 가까운 경우, STA1(610) 및 AP1(600) 각각은 BSS2(예를 들어, STA2(660) 및 AP2(650))에 의해 전송되는 프레임을 유사한 범위의 수신 신호 레벨로 수신할 수 있다. STA은 PHY 계층에서 수신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고, 수신 신호의 세기가 특정 CCA 센싱 레벨(CCA sensitivity level)보다 작은 경우, 매체의 상태를 아이들(idle)로 결정하고 수신 신호의 세기가 CCA 센싱 레벨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매체의 상태를 비지(busy)로 결정할 수 있다.
인접한 거리에 위치한 STA1(610) 및 AP1(600) 각각이 BSS2에 의해 전송되는 프레임을 유사한 수신 신호 레벨로 청취하는 경우, STA1(610) 및 AP1(600)은 BSS2에 의해 전송되는 프레임을 기반으로 매체의 비지 또는 아이들 여부를 동일하게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STA1(610)은 AP1(600)의 매체의 비지 또는 아이들 여부 판단 결과를 예측할 수 있고, 예측된 AP1(600)의 매체의 비지 또는 아이들 여부 판단 결과에 따라 STA1(610)은 어웨이크 상태를 유지할지 도즈 상태로 전환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BSS TXOP 파워 세이브 모드로 동작하는 STA은 다른 BSS에 의해 전송된 프레임(또는 PPDU)을 수신하고 다른 BSS에 의해 전송된 프레임(또는 PPDU)의 수신 레벨을 기반으로 도즈 상태로의 전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하, 다른 BSS에 의해 전송된 프레임은 다른 BSS 프레임, 다른 BSS 프레임을 전달하는 PPDU는 다른 BSS PPDU라는 용어로 표현될 수 있다. 이하, 다른 BSS PPDU는 다른 BSS 프레임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다른 BSS PPDU는 다른 BSS 프레임으로도 해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STA1(610)은 AP1(600)의 BSS2에 의해 전송되는 다른 BSS PPDU의 수신 세기를 STA1(610)의 BSS2에 의해 전송된 다른 BSS PPDU의 수신 세기와 동일 또는 유사하다고 예측(또는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STA1(610)은 BSS2에 의해 전송되는 다른 BSS PPDU를 기반으로 한 AP1(600)의 매체 판단 결과와 BSS2에 의해 전송되는 다른 BSS PPDU를 기반으로 한 STA1(610)의 매체 판단 결과가 동일하다고 예측(또는 결정)할 수 있다.
즉, STA1(610)은 AP1(600)의 다른 BSS PPDU로 인한 매체의 아이들 또는 비지 여부에 대한 판단을 예측할 수 있고, 매체에 대한 판단에 따른 AP1(600)의 동작을 예측할 수 있다. AP1(600)이 현재 매체를 아이들하다고 결정한 경우, AP1(600)은 채널 액세스를 수행하여 STA1(610)으로 하향링크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STA1(610)은 어웨이크 상태를 유지하고 AP1(600)에 의해 전송되는 하향링크 프레임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반대로 AP1(600)이 현재 매체를 비지하다고 결정한 경우, AP1(600)은 STA1(610)으로 하향링크 프레임을 전송하지 않고 일정 구간 동안 NAV를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STA1은 어웨이크 상태에서 도즈 상태로 전환(또는 천이)되어 AP1의 하향링크 프레임의 미전송 구간 동안 도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STA의 다른 BSS TXOP 파워 세이브 모드의 동작을 위해서는 AP와 STA 각각이 다른 BSS PPDU를 동일 또는 유사한 수신 레벨로 수신해야 한다. 따라서, AP 및/또는 STA은 미리 AP와 STA 각각이 다른 BSS PPDU를 동일 또는 유사한 수신 레벨로 수신하는지 여부에 대해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P와 STA은 상호 간에 송신 및 수신되는 프레임의 신호 세기를 기반으로 AP와 STA 각각의 다른 BSS PPDU의 수신 레벨이 동일 또는 유사한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TA은 AP로부터 수신한 프레임의 전송 신호 세기와 수신 신호 세기를 기반으로 AP가 STA과 유사한 범위의 수신 신호 레벨로 다른 BSS에 의해 전송되는 프레임을 수신하는지 여부를 예측할 수 있다. AP로부터 수신한 프레임의 전송 신호 세기와 수신 신호 세기 간의 차이가 상대적으로 작을수록 STA과 AP의 거리는 상대적으로 가까울 수 있다.
AP로부터 수신한 프레임의 전송 신호 세기와 수신 신호 세기의 차이가 특정 임계값 이하인 경우, STA은 AP가 STA과 유사한 범위의 수신 신호 레벨로 다른 BSS에 의해 전송되는 프레임을 수신하고 AP가 매체의 비지, 아이들 여부에 대해 STA과 동일한 판단을 수행하는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STA은 AP에 의해 전송되는 프레임의 수신 세기를 기반으로 주기적으로 AP와 STA이 매체의 비지 또는 아이들 여부에 대해 동일한 판단을 수행하는지 여부에 대해 판단할 수 있다. STA뿐만 아니라 AP도 STA에 의해 전송되는 프레임의 수신 세기를 기반으로 주기적으로 AP와 STA이 매체의 비지, 아이들 여부에 대해 동일한 판단을 수행하는지 여부에 대해 결정하고 이에 대한 결과를 STA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하, STA이 TIM 기반의 파워 세이브 모드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BSS 파워 세이브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STA의 동작에 대해 구체적으로 개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BSS TXOP 파워 세이브 모드에 따른 STA의 동작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7에서는 TIM 기반의 파워 세이브 모드 및 다른 BSS TXOP 파워 세이브 모드로 동작하는 STA이 비콘 프레임에 포함된 TIM을 기반으로 STA에 대해 펜딩된(버퍼된) 하향링크 데이터를 지시받은 경우, STA의 동작이 개시된다.
도 7에서는 STA이 수신한 다른 BSS PPDU의 수신 세기를 기반으로 AP의 매체의 비지, 아이들 여부에 대한 판단이 가능한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어, STA은 STA의 다른 BSS PPDU 기반의 매체의 아이들 여부에 대한 판단과 AP의 다른 BSS PPDU 기반의 매체의 아이들 여부에 대한 판단이 동일하다고 예측할 수 있다.
TIM 기반의 파워 세이브 모드로 동작하는 STA은 청취 인터벌(listen interval)을 기반으로 비콘 프레임(700)의 수신을 위해 도즈 상태에 어웨이크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STA은 STA에 대해 펜딩된 하향링크 데이터를 지시하는 TIM을 포함하는 비콘 프레임(700)을 AP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STA은 하향링크 데이터를 지시하는 TIM을 포함하는 비콘 프레임(700)의 수신하고 경쟁 기반의 채널 액세스를 수행하여 PS-poll 프레임(710)을 AP로 전송할 수 있다.
PS-poll 프레임(710)을 수신한 AP는 PS-poll 프레임(710)에 대한 응답으로 ACK 프레임(720)을 STA으로 전송할 수 있다. AP는 ACK 프레임(720)의 전송 이후 STA에 대해 펜딩된 하향링크 데이터를 포함하는 하향링크 프레임(740)을 STA으로 전송하기 위한 경쟁 기반의 채널 액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AP는 매체의 또는 아이들 비지 여부를 판단하여 채널 액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P는 일정 기간(예를 들어, DIFS(DCF(distributed coordination function) interframe space)) 이상으로 매체가 사용 중이지 않으면(즉, 아이들(idle)한 경우) 전송이 임박한 MPDU(MAC protocol data unit)를 전송할 수 있다. 반대로 매체가 반송파 감지 메커니즘(carrier sensing mechanism)에 의해서 사용 중이라고 결정되었을 경우 AP는 랜덤 백오프 알고리즘(random backoff algorithm)에 의해서 CW(contention window)의 사이즈를 결정하고 백오프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매체가 사용 중인지 여부는 CCA 센싱 레벨을 기준으로 판단될 수 있다. 백오프 절차를 위해 AP는 CW 내에서 선택된 랜덤 변수를 선택하고, AP의 랜덤 변수의 선택에 따라 AP의 백오프 시간이 결정될 수 있다. AP는 백오프 시간을 기반으로 채널 액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즉, AP의 ACK 프레임의 전송 이후, AP는 경쟁 기반의 채널 액세스를 수행하고 STA은 AP에 의해 전송될 하향링크 프레임(740)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AP가 채널 액세스를 성공하여 하향링크 프레임(740)을 전송하기 전에 AP와 STA은 다른 BSS PPDU(730)(또는 다른 BSS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PPDU는 PPDU를 전송한 BSS를 지시하는 BSS 식별 정보(예를 들어, 칼라 비트(color bit), PBSSID(partial basic service set identifier))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프레임의 PHY 헤더(또는 PLCP 헤더)는 프레임을 전송한 BSS를 지시하는 BSS 식별 정보(칼라 비트, PBSSID)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칼라 비트는 X 비트(예를 들어, X=3)의 BSS의 식별 정보로서 BSS를 식별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BSS 칼라 비트는 AP에 의해 설정되고 AP는 설정된 BSS 칼라 비트에 대한 정보를 STA으로 전송할 수 있다. BSS 칼라 비트는 0~7 사이의 정수값 중 하나이고 BSS가 존재하는 동안 AP에 의해 설정된 BSS 칼라 비트는 유지될 수 있다.
PBSSID는 Y 비트(예를 들어, Y=9)의 BSS의 식별 정보로서 BSS의 식별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PBSSID는 BSS를 식별하기 위한 BSSID를 구성하는 비트 중 일부의 비트를 기반으로 BSS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BSSID는 48비트 MAC 주소로서 BSS에 대한 특유(unique)의 식별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PBSSID는 BSSID 중 9비트의 LSB(least significant bit)일 수 있다.
즉, 다른 BSS PPDU(730)는 PPDU를 전송한 BSS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STA은 수신한 PPDU에 포함된 BSS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수신한 PPDU가 다른 BSS PPDU(730)임을 알 수 있다.
STA은 다른 BSS PPDU(730)의 수신 세기와 CCA 센싱 레벨(CCA sensitivity level)(또는 CCA 레벨, 또는 CCA 임계치(threshold))를 비교하여 매체의 비지 또는 아이들 여부에 대해 결정할 수 있다. CCA 센싱 레벨은 매체의 비지 또는 아이들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 세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대역폭 크기에 대한 CCA 센싱 레벨이 -69dBm인 경우, -69dBm보다 크거나 같은 값이 매체 상에서 센싱되는 경우, STA은 매체를 비지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특정 대역폭 크기에 대한 CCA 센싱 레벨이 -69dBm인 경우, -69dBm보다 작은 값이 매체 상에서 센싱되는 경우, STA은 매체를 아이들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른 BSS TXOP 파워 세이브 모드로 동작하는 STA의 도즈 상태로의 전환을 결정하기 위해 다른 BSS PPDU 수신 세기와 비교되는 CCA 센싱 레벨은 STA(또는 AP)의 채널 액세스를 위해 매체의 아이들 또는 비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CCA 센싱 레벨과 동일할 수도 있으나 다를 수도 있다.
다른 BSS 파워 세이브 모드로 동작하는 STA의 도즈 상태로의 전환을 결정하기 위해 다른 BSS PPDU의 수신 세기와 비교되는 CCA 센싱 레벨은 다른 BSS CCA 센싱 레벨이라는 용어로 표현되고 STA(또는 AP)의 채널 액세스를 위한 매체의 아이들 또는 비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CCA 센싱 레벨은 채널 액세스 CCA 센싱 레벨이라는 용어로 표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른 BSS CCA 센싱 레벨은 채널 액세스 CCA 센싱 레벨보다 큰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다른 BSS CCA 센싱 레벨이 상대적으로 큰 값으로 설정되는 경우, STA이 매체를 비지하다고 판단하는 경우는 감소될 수 있다. 즉, 다른 BSS TXOP 파워 세이브 모드로 동작하는 STA은 채널 액세스를 할 경우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더 큰 세기의 신호를 탐지한 경우에만 매체를 비지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하향링크 프레임의 전송을 위해 채널 액세스 CCA 센싱 레벨을 기반으로 채널 액세스를 수행하는 AP와 다른 BSS CCA 센싱 레벨을 기반으로 도즈 상태로 전환 여부를 결정하는 STA이 매체의 비지 여부에 대해 동일한 판단을 내릴 가능성이 증가할 수 있다. STA과 AP가 매체의 비지 여부에 대해 동일한 판단을 내릴 가능성이 증가하는 경우, STA의 AP의 매체의 판단에 대한 잘못된 예측으로 인해 STA이 AP에 의해 전송되는 하향링크 프레임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가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STA과 AP의 매체에 대한 동일 판단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다른 BSS CCA 센싱 레벨은 채널 액세스 CCA 센싱 레벨보다 큰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STA의 다른 BSS PPDU(730)의 수신 세기가 다른 BSS CCA 센싱 레벨보다 작은 경우, STA은 매체를 아이들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STA은 STA의 다른 BSS PPDU 기반의 매체의 아이들 여부에 대한 판단과 AP의 다른 BSS PPDU 기반의 매체의 아이들 여부에 대한 판단이 동일하다고 예측할 수 있다. 즉, STA은 AP도 다른 BSS PPDU(730)를 수신하고 STA과 동일하게 매체에 대해 아이들하다고 판단하였음을 예측(또는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STA은 AP가 경쟁 기반 액세스를 계속적으로 수행하여 STA으로 하향링크 프레임을 전송할 것이라는 것을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STA은 도즈 상태로 전환하지 않고, 어웨이크 상태(또는 수신 상태(receiving state))를 유지하면서 채널(또는 매체)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AP가 채널 액세스에 성공한 경우, STA으로 STA에 대해 펜딩된 하향링크 데이터를 포함하는 하향링크 프레임(740)을 전송할 수 있고, STA은 AP에 의해 전송되는 하향링크 프레임(740)을 수신할 수 있다.
반대로 STA의 다른 BSS PPDU(730)의 수신 세기가 CCA 센싱 레벨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STA은 매체를 비지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STA은 AP도 다른 BSS PPDU(730)를 수신하고 STA과 동일하게 매체에 대해 비지하다고 판단하였음을 예측(또는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STA의 동작은 도 8에서 개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BSS TXOP 파워 세이브 모드에 따른 STA의 동작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8에서는 TIM 기반의 파워 세이브 모드 및 다른 BSS TXOP 파워 세이브 모드로 동작하는 STA이 비콘 프레임(800)에 포함된 TIM을 기반으로 펜딩된 하향링크 데이터를 지시받은 경우, STA의 동작이 개시된다.
도 8에서는 STA이 수신한 다른 BSS PPDU의 수신 세기를 기반으로 AP의 매체의 비지, 아이들 여부에 대한 판단이 가능한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어, STA은 STA의 다른 BSS PPDU 기반의 매체의 아이들 여부에 대한 판단과 AP의 다른 BSS PPDU 기반의 매체의 아이들 여부에 대한 판단이 동일하다고 예측할 수 있다. 특히, 도 8에서는 STA의 다른 BSS PPDU의 수신 세기가 다른 BSS CCA 센싱 레벨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가 개시된다.
STA이 PS-poll 프레임(810)을 AP로 전송하고 및 AP가 PS-poll 프레임(810)에 대한 응답으로 STA으로 ACK 프레임(820)을 전송하는 절차까지는 도 7에서 전술한 바와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다.
AP가 채널 액세스를 성공하여 하향링크 프레임을 전송하기 전에 AP와 STA은 다른 BSS PPDU(830)을 수신할 수 있다.
STA은 수신한 프레임을 포함하는 PPDU에 포함된 BSS 식별 정보(칼라 비트 또는 PBSSID)를 기반으로 수신한 PPDU가 다른 BSS PPDU(830)임을 알 수 있다.
STA은 다른 BSS PPDU(830)의 수신 세기와 다른 BSS CCA 센싱 레벨을 비교하여 매체의 비지 또는 아이들 여부에 대해 결정할 수 있다. STA의 다른 BSS PPDU(830)의 수신 세기가 다른 BSS CCA 센싱 레벨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STA은 매체를 비지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STA은 AP도 다른 BSS PPDU(830)를 수신하고 STA과 동일하게 매체에 대해 비지하다고 결정하였음을 예측(또는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STA은 AP도 매체의 비지로 인해 일정 구간(예를 들어, 다른 BSS PPDU(830)에 의해 설정된 TXOP 듀레이션) 동안 하향링크 프레임을 STA으로 전송하지 않음을 결정(또는 예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STA은 AP가 다른 BSS PPDU(830)에 의해 설정된 TXOP 듀레이션 동안 NAV(network allocation vector)를 설정하여 하향링크 프레임을 전송하지 않을 것을 예측(또는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STA은 다른 BSS PPDU(830)에 의해 설정된 TXOP 듀레이션 동안 도즈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TXOP 듀레이션은 다른 BSS PPDU(830)의 PHY 헤더에 포함되는 시그널 필드(예를 들어, L-SIG) 또는 다른 BSS PPDU(830)를 기반으로 전달되는 다른 BSS 프레임의 MAC 헤더에 포함된 듀레이션 필드에 포함된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TA의 다른 BSS TXOP 파워 세이브 모드 동작을 위한 사전 절차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9에서는 STA은 다른 BSS TXOP 파워 세이브 모드 동작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서 STA의 다른 BSS PPDU 기반의 매체의 아이들 여부에 대한 결정을 기반으로 AP의 다른 BSS PPDU 기반의 매체의 아이들 여부에 대한 예측이 가능한지 여부에 대해 결정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STA은 AP로부터 비콘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다(단계 S900).
STA은 비콘 프레임에 포함된 비콘 프레임의 전송 세기에 대한 정보와 비콘 프레임의 수신 세기의 차이를 기반으로 STA과 AP가 매체의 비지, 아이들 여부에 대해 동일한 판단을 수행하는지 여부에 대해 결정한다. 다른 표현으로 STA은 비콘 프레임에 포함된 비콘 프레임의 전송 세기에 대한 정보와 비콘 프레임의 수신 세기의 차이를 기반으로 AP의 매체의 비지, 아이들 여부에 대한 판단이 가능한지 여부에 대해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콘 프레임에 포함된 비콘 프레임의 전송 세기 및 비콘 프레임의 수신 세기의 차이가 임계 크기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단계 S910).
비콘 프레임에 포함된 비콘 프레임의 전송 세기 및 비콘 프레임의 수신 세기의 차이가 임계 크기 이하인 경우, STA은 STA과 AP가 매체의 비지, 아이들 여부에 대해 동일한 판단을 수행한다고 결정할 수 있다. 반대로 STA은 비콘 프레임에 포함된 비콘 프레임의 전송 세기 및 비콘 프레임의 수신 세기의 차이가 임계 크기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STA과 AP가 매체의 비지, 아이들 여부에 대해 동일한 판단을 수행하지 않는다고 결정할 수 있다.
즉, STA은 비콘 프레임의 전송 세기 및 비콘 프레임의 수신 세기의 차이를 기반으로 STA과 AP 사이의 거리를 예측할 수 있고, STA과 AP 사이가 일정 이상 가까운 경우, STA과 AP가 매체의 비지, 아이들 여부에 대해 동일한 판단을 수행한다고 결정할 수 있다.
STA과 AP가 매체의 비지, 아이들 여부에 대해 동일한 판단을 수행하는 경우(또는 STA이 AP의 매체의 비지, 아이들 여부에 대한 판단을 알 수 있는 경우), STA은 다른 BSS TXOP 파워 세이브 모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단계 S920).
만약, STA이 다른 BSS PPDU를 수신한 STA과 AP가 매체의 비지, 아이들 여부에 대해 동일한 판단을 수행한다고 결정하는 경우, STA은 도 6 내지 도 8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다른 BSS TXOP 파워 세이브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즉, STA은 다른 BSS PPDU의 수신 세기를 기반으로 도즈 상태로의 전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반대로 STA이 STA과 AP가 매체의 비지, 아이들 여부에 대해 동일한 판단을 수행하지 않는다고 결정하는 경우, STA은 다른 BSS TXOP 파워 세이브 모드로 동작하지 않을 수 있다(단계 S930).
이러한 경우, STA은 AP로부터 STA에 대해 펜딩된 하향링크 데이터를 포함하는 하향링크 프레임을 수신할 때까지 어웨이크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는, STA이 다른 BSS PPDU를 수신한 AP의 매체의 비지, 아이들 여부에 대한 판단을 알 수 있는 경우, 즉, STA은 다른 BSS PPDU의 수신 세기를 기반으로 다른 BSS TXOP 파워 세이브 모드로 동작하여 도즈 상태로의 전환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TIM 기반 파워 세이브 모드로 동작하는 STA은 비콘 프레임을 수신시마다 다른 BSS TXOP 파워 세이브 모드로 동작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STA의 주기적인 다른 BSS TXOP 파워 세이브 모드로의 동작의 가능 여부에 대한 판단을 기반으로 프레임 간 충돌 가능성이 감소되고 무선 자원 활용의 효율성이 증가할 수 있다.
도 9에서는 STA에 의한 다른 BSS TXOP 파워 세이브 모드로의 동작 여부의 결정이 개시되었다. 하지만, STA 뿐만 아니라 AP에 의해 STA의 다른 BSS TXOP 파워 세이브 모드로의 동작 여부가 결정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TA의 다른 BSS TXOP 파워 세이브 모드 동작을 위한 사전 절차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0에서는 AP가 STA의 다른 BSS TXOP 파워 세이브 모드로의 동작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에 대해 개시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AP에 의해 전송되는 비콘 프레임은 TIM 기반 파워 세이브 모드로 동작하는 STA의 다른 BSS TXOP 파워 세이브 모드 동작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향링크 데이터의 펜딩이 지시된 복수의 STA 중 다른 BSS TXOP 파워 세이브 모드로 동작할 STA을 지시할 수 있다.
AP(1000)가 STA1(1010), STA2(1020), STA3(1030) 각각에 대해 펜딩된(또는 버퍼된) 하향링크 데이터를 가진 경우, AP는 TIM(1050)을 기반으로 STA1(1010), STA2(1020), STA3(1030) 각각에 대해 펜딩된 하향링크 데이터를 지시할 수 있다. STA1(1010), STA2(1020), STA3(1030) 각각은 비콘 프레임의 TIM(1050)을 기반으로 펜딩된 하향링크 데이터의 존재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어웨이크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비콘 프레임은 STA1(1010), STA2(1020), STA3(1030) 각각에 대해 다른 BSS TXOP 파워 세이브 모드로 동작할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콘 프레임은 TIM(1050) 기반으로 펜딩된 하향링크 데이터의 존재를 지시받은 적어도 하나의 STA 각각에 대해 BSS TXOP 파워 세이브 모드로의 동작을 수행할지 여부를 지시하는 추가의 비트맵을 포함할 수 있다.
TIM 기반으로 펜딩된 하향링크 데이터의 존재를 지시받은 적어도 하나의 STA 각각에 대해 BSS TXOP 파워 세이브 모드로의 동작을 수행할지 여부를 지시하는 추가의 비트맵은 다른 BSS TXOP 파워 세이브 모드 비트 맵(1060)이라는 용어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BSS TXOP 파워 세이브 모드 비트 맵(1060)은 TIM(1050) 기반으로 지시된 적어도 하나의 STA의 순서대로 적어도 하나의 STA 각각의 다른 BSS TXOP 파워 세이브 모드 동작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IM(1050) 기반으로 STA1(1010), STA2(1020), STA3(1030)가 순차적으로 펜딩된 하향링크 데이터의 존재를 지시받은 경우, 다른 BSS TXOP 파워 세이브 모드 비트 맵(1060)은 순차적으로 STA1(1010), STA2(1020), STA3(1030) 각각의 다른 BSS TXOP 파워 세이브 모드 동작 여부를 지시할 수 있다.
비트 값 1이 STA의 다른 BSS TXOP 파워 세이브 모드 동작의 수행을 지시하고, 비트 값 0이 STA의 다른 BSS TXOP 파워 세이브 모드 동작의 제한을 지시하는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파워 세이브 모드 비트 맵(1060)이 ‘110’인 경우, AP에 의해 STA1(1010) 및 STA2(1020)의 다른 BSS 파워 세이브 모드 동작이 지시되고, STA3(1030)의 다른 BSS 파워 세이브 모드 동작이 제한될 수 있다. 즉, STA1(1010) 및 STA2(1020)만이 다른 BSS 파워 세이브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AP는 펜딩된 하향링크 데이터의 우선 순위를 고려하여 STA의 다른 BSS TXOP 파워 세이브 모드 동작의 수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펜딩된 하향링크 데이터가 실시간 전송이 필요한 데이터(예를 들어, 액세스 클래스가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진 AC_VO)인 경우, AP는 STA의 다른 BSS TXOP 파워 세이브 모드 동작의 제한하여 STA을 어웨이크 상태로 유지시키고 하향링크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다른 BSS TXOP 파워 세이브 모드 비트 맵은 TIM과 연관되지 않은 별도의 정보로서 STA의 식별 정보 및 STA의 다른 BSS TXOP 파워 세이브 모드로의 동작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을 전달하는 PPDU 포맷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1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PDU 포맷에 대해 개시한다. PPDU는 PPDU 헤더 및 MPDU(MAC protocol data unit)(또는 PSDU(physical layer service data unit))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은 MPDU에 대응될 수 있다. PPDU 포맷의 PPDU 헤더는 PPDU의 PHY 헤더 및 PHY 프리앰블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1에 개시되는 PPDU 포맷은 전술한 프레임(예를 들어, 다른 BSS 프레임, 비콘 프레임 등)을 전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11의 상단을 참조하면, 하향링크 PPDU의 PPDU 헤더는 L-STF(legacy-short training field), L-LTF(legacy-long training field), L-SIG(legacy-signal), HE-SIG A(high efficiency-signal A), HE-STF(high efficiency-short training field), HE-LTF(high efficiency-long training field), HE-SIG B(high efficiency-signal-B)를 포함할 수 있다. PHY 헤더에서 L-SIG까지는 레가시 부분(legacy part), L-SIG 이후의 HE(high efficiency) 부분(HE part)으로 구분될 수 있다.
L-STF(1100)는 짧은 트레이닝 OFDM 심볼(short training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symbol)을 포함할 수 있다. L-STF(1100)는 프레임 탐지(frame detection), AGC(automatic gain control), 다이버시티 탐지(diversity detection), 대략적인 주파수/시간 동기화(coarse frequency/time synchronization)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L-LTF(1110)는 긴 트레이닝 OFDM 심볼(long training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symbol)을 포함할 수 있다. L-LTF(1110)는 정밀한 주파수/시간 동기화(fine frequency/time synchronization) 및 채널 예측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L-SIG(1120)는 제어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L-SIG(1120)는 데이터 전송률(rate), 데이터 길이(length)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HE-SIG A(1130)는 하향링크 PPDU를 수신할 타겟 STA을 지시하기 위한 STA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STA은 HE-SIG A(1130)에 포함되는 정보를 타겟 STA의 식별자 정보를 기반으로 PPDU의 수신할지 여부에 대해 결정할 수 있다. 하향링크 PPDU의 HE-SIG A(1130)를 기반으로 STA이 지시된 경우, STA은 하향링크 PPDU에 대한 추가적인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HE-SIG A(1330)는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할 자원(주파수 자원(또는 서브 밴드)(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기반 전송시) 또는 시공간 스트림 자원(MIMO(multilple input multiple output) 기반 전송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HE-SIG A(1130)는 BSS 식별을 위한 칼라 비트(color bits) 정보, 대역폭(bandwidth) 정보, 테일 비트(tail bit), CRC 비트, HE-SIG B(1560)에 대한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 정보, HE-SIG B(1560)를 위한 심볼 개수 정보, CP(cyclic prefix)(또는 GI(guard interval)) 길이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HE-STF(1140)는 MIMO 환경 또는 OFDMA 환경에서 자동 이득 제어 추정(automatic gain control estimation)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HE-LTF(1150)는 MIMO 환경 또는 OFDMA 환경에서 채널을 추정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HE-SIG B(1160)는 각 STA에 대한 PSDU(Physical layer service data unit)의 길이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에 대한 정보 및 테일 비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HE-STF(1140) 및 HE-STF(1140) 이후의 필드에 적용되는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의 크기와 HE-STF(1140) 이전의 필드에 적용되는 IFFT의 크기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HE-STF(1140) 및 HE-STF(1140) 이후의 필드에 적용되는 IFFT의 크기는 HE-STF(1140) 이전의 필드에 적용되는 IFFT의 크기보다 4배 클 수 있다. STA이 하향링크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 STA은 하향링크 프레임의 HE-SIG A(1130)를 디코딩하고 HE-SIG A(1130)에 포함된 타겟 STA의 식별자 정보를 기반으로 HE-SIG A(1130) 이후 필드의 디코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HE-SIG A(1130)에 포함된 타겟 STA의 식별자 정보가 STA의 식별자를 지시하는 경우, STA은 HE-STF(1140) 및 HE-STF(1140) 이후 필드부터 변경된 FFT 사이즈를 기반으로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반대로 HE-SIG A(1130)에 포함된 타겟 STA의 식별자 정보가 STA의 식별자를 지시하지 않는 경우, STA은 디코딩을 중단하고 NAV(network allocation vector) 설정을 할 수 있다. HE-STF(1140)의 CP(cyclic prefix)는 다른 필드의 CP보다 큰 크기를 가질 수 있고, 이러한 CP 구간 동안 STA은 FFT 사이즈를 변화시켜 하향링크 PPDU에 대한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1의 상단에서 개시된 PPDU의 포맷을 구성하는 필드의 순서는 변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1의 중단에서 개시된 바와 같이 HE 부분의 HE-SIG B(1115)가 HE-SIG A(1305)의 바로 이후에 위치할 수도 있다. STA은 HE-SIG A(1105) 및 HE-SIG B(1115)까지 디코딩하고 필요한 제어 정보를 수신하고 NAV 설정을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HE-STF(1125) 및 HE-STF(1125) 이후의 필드에 적용되는 IFFT의 크기는 HE-STF(1125) 이전의 필드에 적용되는 IFFT의 크기와 다를 수 있다.
STA은 HE-SIG A(1105) 및 HE-SIG B(1115)를 수신할 수 있다. HE-SIG A(1105)의 타겟 STA의 식별자에 의해 하향링크 PPDU의 수신이 지시되는 경우, STA은 HE-STF(1125)부터는 FFT 사이즈를 변화시켜 하향링크 PPDU에 대한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반대로 STA은 HE-SIG A(1105)를 수신하고, HE-SIG A(1105)를 기반으로 하향링크 PPDU의 수신이 지시되지 않는 경우, NAV(network allocation vector) 설정을 할 수 있다.
도 11의 하단을 참조하면, DL(downlink) MU(multi-user) 전송을 위한 하향링크 PPDU 포맷이 개시된다. 하향링크 PPDU는 OFDMA를 기반으로 서로 다른 하향링크 전송 자원(주파수 자원 또는 공간적 스트림)을 통해 STA으로 전송될 수 있다. 즉, DL MU 전송을 위한 하향링크 PPDU 포맷을 기반으로 복수의 서브밴드를 통해 복수의 STA으로 하향링크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다.
하향링크 PPDU 상에서 HE-SIG B(1145)의 이전 필드는 서로 다른 하향링크 전송 자원 각각에서 듀플리케이트된 형태로 전송될 수 있다. HE-SIG B(1145)는 전체 전송 자원 상에서 인코딩된 형태로 전송될 수 있다. HE-SIG B(1145) 이후의 필드는 하향링크 PPDU를 수신하는 복수의 STA 각각을 위한 개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하향링크 PPDU에 포함되는 필드가 하향링크 전송 자원 각각을 통해 각각 전송되는 경우, 필드 각각에 대한 CRC가 하향링크 PPDU에 포함될 수 있다. 반대로, 하향링크 PPDU에 포함되는 특정 필드가 전체 하향링크 전송 자원 상에서 인코딩되어 전송되는 경우, 필드 각각에 대한 CRC가 하향링크 PPDU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CRC에 대한 오버 헤드가 감소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L MU 전송을 위한 하향링크 PPDU 포맷은 전체 전송 자원 상에서 인코딩된 형태의 HE-SIG B(1345)를 사용함으로써 하향링크 프레임의 CRC 오버헤드를 감소시킬 수 있다.
DL MU 전송을 위한 하향링크 PPDU 포맷도 마찬가지로 HE-STF(1155) 및 HE-STF(1155) 이후의 필드는 HE-STF(1155) 이전의 필드와 다른 IFFT 사이즈를 기반으로 인코딩될 수 있다. 따라서, STA은 HE-SIG A(1135) 및 HE-SIG B(1145)를 수신하고, HE-SIG A(1135)를 기반으로 하향링크 PPDU의 수신을 지시받은 경우, HE-STF(1155)부터는 FFT 사이즈를 변화시켜 하향링크 PPDU에 대한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무선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무선 장치(1200)는 상술한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는 STA로서, AP(1200) 또는 비 AP STA(non-AP station)(또는 STA)(1250)일 수 있다.
AP(1200)는 프로세서(1210), 메모리(1220) 및 RF부(radio frequency unit, 1230)를 포함한다.
RF부(1230)는 프로세서(1210)와 연결하여 무선신호를 송신/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210)는 본 발명에서 제안된 기능, 과정 및/또는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10)는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장치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도 1 내지 11의 실시예에서 개시한 무선 장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10)는 STA의 다른 BSS TXOP 파워 세이브 모드의 동작을 설정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10)는 STA의 다른 BSS TXOP 파워 세이브 모드의 동작의 설정을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생성할 수 있다.
STA(1250)는 프로세서(1260), 메모리(1270) 및 RF부(radio frequency unit, 1280)를 포함한다.
RF부(1280)는 프로세서(1260)와 연결하여 무선신호를 송신/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260)는 본 발명에서 제안된 기능, 과정 및/또는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20)는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장치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도 1 내지 11의 실시예에서 무선 장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60)는 청취 인터벌을 기반으로 어웨이크 상태로 전환되어 AP(access point)로부터 STA에 대해 버퍼된 하향링크 데이터를 지시하는 TIM(traffic indication map) 정보를 포함하는 비콘 프레임을 수신하고, 버퍼된 하향링크 데이터를 포함하는 하향링크 프레임의 수신을 위한 PS(power saving)-poll 프레임을 상기 AP로 전송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60)는 PS-poll 프레임에 대한 응답으로 ACK(acknowledgement) 프레임을 AP로부터 수신하고, ACK 프레임을 수신 후 AP로부터 하향링크 프레임을 수신하기 전 다른 BSS PPDU(basic service set physical layer protocol data unit)를 수신하고, 다른 BSS PPDU의 수신 세기를 기반으로 어웨이크 상태에서 도즈 상태로의 전환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다른 BSS PPDU는 상기 STA을 포함하는 BSS가 아닌 다른 BSS에 의해 전송된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10, 1260)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다른 칩셋, 논리 회로, 데이터 처리 장치 및/또는 베이스밴드 신호 및 무선 신호를 상호 변환하는 변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220, 1270)는 ROM(read-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쉬 메모리, 메모리 카드, 저장 매체 및/또는 다른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RF부(1230, 1280)는 무선 신호를 전송 및/또는 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가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때, 상술한 기법은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과정, 기능 등)로 구현될 수 있다. 모듈은 메모리(1220, 1270)에 저장되고, 프로세서(1210, 126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1220, 1270)는 프로세서(1210, 1260) 내부 또는 외부에 있을 수 있고, 잘 알려진 다양한 수단으로 프로세서(1210, 1260)와 연결될 수 있다.

Claims (10)

  1. 무선랜에서 파워 세이브 모드 기반의 동작 방법은,
    STA(station)이 청취 인터벌(listen interval)을 기반으로 어웨이크 상태(awake state)로 전환되어 AP(access point)로부터 비콘 프레임을 수신하되, 상기 비콘 프레임은 상기 STA에 대해 버퍼된 하향링크 데이터를 지시하는 TIM(traffic indication map) 정보를 포함하는, 단계;
    상기 STA이 상기 버퍼된 하향링크 데이터를 포함하는 하향링크 프레임의 수신을 위한 PS(power saving)-poll 프레임을 상기 AP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STA이 상기 PS-poll 프레임에 대한 응답으로 ACK(acknowledgement) 프레임을 상기 AP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STA이 상기 ACK 프레임을 수신 후 상기 AP로부터 상기 하향링크 프레임을 수신하기 전 다른 BSS PPDU(basic service set physical layer protocol data unit)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STA이 상기 다른 BSS PPDU의 수신 세기를 기반으로 상기 어웨이크 상태에서 도즈 상태(doze state)로의 전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다른 BSS PPDU는 상기 STA을 포함하는 BSS가 아닌 다른 BSS에 의해 전송된 프레임을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TA이 상기 다른 BSS PPDU의 수신 세기를 기반으로 상기 어웨이크 상태에서 도즈 상태로 전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다른 BSS PPDU의 수신 세기가 CCA(clear channel assessment) 센싱 레벨(sensitivity level)보다 작은 경우, 상기 STA이 상기 어웨이크 상태를 유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다른 BSS PPDU의 수신 세기가 상기 CCA 센싱 레벨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STA이 상기 어웨이크 상태에서 상기 도즈 상태로의 전환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즈 상태는 상기 다른 BSS PPDU에 의해 설정된 TXOP(transmission opportunity) 듀레이션(duration) 동안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CCA 센싱 레벨은 상기 STA의 채널 액세스시 매체의 비지 여부를 탐지하기 위한 채널 액세스 CCA 센싱 레벨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TA은 상기 다른 BSS PPDU의 상기 수신 세기를 기반으로 상기 AP의 상기 다른 BSS PPDU를 기반으로 한 매체의 비지(busy) 여부에 대한 결정을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무선랜에서 파워 세이브 모드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STA은,
    무선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기 위해 구현된 RF(radio frequency)부; 및
    상기 RF부와 동작 가능하도록(operatively)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청취 인터벌(listen interval)을 기반으로 어웨이크 상태(awake state)로 전환되어 AP(access point)로부터 상기 STA에 대해 버퍼된 하향링크 데이터를 지시하는 TIM(traffic indication map) 정보를 포함하는 비콘 프레임을 수신하고,
    상기 버퍼된 하향링크 데이터를 포함하는 하향링크 프레임의 수신을 위한 PS(power saving)-poll 프레임을 상기 AP로 전송하고,
    상기 PS-poll 프레임에 대한 응답으로 ACK(acknowledgement) 프레임을 상기 AP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ACK 프레임을 수신 후 상기 AP로부터 상기 하향링크 프레임을 수신하기 전 다른 BSS PPDU(basic service set physical layer protocol data unit)를 수신하고,
    상기 다른 BSS PPDU의 수신 세기를 기반으로 상기 어웨이크 상태에서 도즈 상태(doze state)로의 전환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현되되.
    상기 다른 BSS PPDU는 상기 STA을 포함하는 BSS가 아닌 다른 BSS에 의해 전송된 프레임을 포함하는 STA.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다른 BSS PPDU의 수신 세기가 CCA(clear channel assessment) 센싱 레벨(sensitivity level)보다 작은 경우, 상기 어웨이크 상태를 유지를 결정하고,
    상기 다른 BSS PPDU의 수신 세기가 상기 CCA 센싱 레벨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어웨이크 상태에서 상기 도즈 상태로의 전환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TA.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도즈 상태는 상기 다른 BSS PPDU에 의해 설정된 TXOP(transmission opportunity) 듀레이션(duration) 동안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TA.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CCA 센싱 레벨은 상기 STA의 채널 액세스시 매체의 비지 여부를 탐지하기 위한 채널 액세스 CCA 센싱 레벨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STA.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다른 BSS PPDU의 수신 세기를 기반으로 상기 AP의 상기 다른 BSS PPDU를 기반으로 한 매체의 비지(busy) 여부에 대한 결정을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TA.
KR1020167033241A 2014-06-02 2015-02-06 무선랜에서 파워 세이브 모드 기반의 동작 방법 및 장치 KR2017001227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2006269P 2014-06-02 2014-06-02
US62/006,269 2014-06-02
PCT/KR2015/001217 WO2015186889A1 (ko) 2014-06-02 2015-02-06 무선랜에서 파워 세이브 모드 기반의 동작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2273A true KR20170012273A (ko) 2017-02-02

Family

ID=54766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3241A KR20170012273A (ko) 2014-06-02 2015-02-06 무선랜에서 파워 세이브 모드 기반의 동작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104620B2 (ko)
KR (1) KR20170012273A (ko)
WO (1) WO201518688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29668A1 (ko) * 2019-08-12 2021-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 시스템에서 무선 광통신을 통한 저전력 통신 기법
WO2022019466A1 (ko) * 2020-07-22 2022-0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 링크 장치를 위한 파워 상태 정보의 전송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309411A1 (en) * 2013-12-05 2016-10-20 Nokia Technologies Oy Dynamic ungrouping of ip packets before cellular transmission
WO2015198157A2 (en) 2014-06-27 2015-12-30 Tech Flux, Ltd.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data
EP3179815B1 (en) * 2014-08-06 2019-04-24 LG Electronics Inc. Transmission metho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3214890B1 (en) * 2014-10-31 2021-12-08 Sharp Kabushiki Kaisha Wireless transmitting device, wireless receiving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system
WO2019093810A1 (ko) * 2017-11-10 2019-05-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지연된 사이드링크 신호의 처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60621B (zh) * 2011-03-30 2016-06-08 Lg电子株式会社 在无线通信系统中生成业务指示符图的方法和装置
US9426764B2 (en) * 2012-02-10 2016-08-23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channel in WLAN system
KR101553856B1 (ko) 2012-06-13 2015-09-17 주식회사 케이티 무선랜 시스템에서 채널 액세스 방법
KR101553857B1 (ko) 2012-08-16 2015-09-17 주식회사 케이티 무선랜 시스템에서 채널 액세스 방법
US9344963B2 (en) 2012-09-03 2016-05-17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power save-polling frame and response frame in wireless LAN system
WO2014061926A1 (en) * 2012-10-18 2014-04-24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nel access in wireless lan system
EP2858409B1 (en) 2012-10-29 2018-05-16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traffic indication map in wireless lan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29668A1 (ko) * 2019-08-12 2021-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 시스템에서 무선 광통신을 통한 저전력 통신 기법
WO2022019466A1 (ko) * 2020-07-22 2022-0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 링크 장치를 위한 파워 상태 정보의 전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86889A1 (ko) 2015-12-10
US20170188306A1 (en) 2017-06-29
US10104620B2 (en) 2018-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87851B2 (en) Method and device for operation based on power save mode in WLAN
KR101851490B1 (ko) 무선랜에서 다른 bss에서 전송된 프레임을 기반으로 파워 세이브 모드로 동작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900064B1 (ko) 무선랜에서 파워 세이브 모드 기반의 동작 방법 및 장치
US1032720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saving mode operation in wireless LAN
KR101838419B1 (ko) 무선랜에서 파워 세이브 모드 기반의 동작 방법 및 장치
KR101832642B1 (ko) 무선랜에서 파워 세이브 모드 기반의 동작 방법 및 장치
KR101931703B1 (ko) 무선랜에서 프레임을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EP3190853A1 (en) Method and device for triggering plurality of ps-poll frames in wireless lan
US10104620B2 (en) Method and device for operation based on power save mode in WLAN
US10849062B2 (en) Method for operating in power-save mode in wireless LAN system and apparatus for method
US997402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saving mode-based operation in wireless LAN
US1052428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creasing transmission coverage of STA performing initial access in wireless LAN
US996163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based on power save mode in wireless LAN
WO2015053581A1 (ko) 무선랜에서 하향링크 프레임을 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70017918A (ko) 무선랜에서 파워 세이브 모드 기반의 주기적 데이터의 송신 및 수신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