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1854A -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구현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구현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11854A KR20170011854A KR1020150105244A KR20150105244A KR20170011854A KR 20170011854 A KR20170011854 A KR 20170011854A KR 1020150105244 A KR1020150105244 A KR 1020150105244A KR 20150105244 A KR20150105244 A KR 20150105244A KR 20170011854 A KR20170011854 A KR 2017001185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mage
- unit
- point
- size
- sens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61B5/7425—Displaying combinations of multiple images regardless of image source, e.g. displaying a reference anatomical image with a live imag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61B5/7445—Display arrangements, e.g. multiple display uni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대상체에 대한 제1영상을 생성하는 제1영상 생성 유닛과, 상기 제1영상 생성 유닛으로부터 상기 제1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대상체에 대한 제2영상을 수신하는 영상 수신 유닛과, 상기 제2영상에서 상기 대상체에 대한 제2이미지 및 상기 제2이미지를 수정한 제3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 생성 유닛과, 상기 제1영상에서 상기 대상체에 대한 제1이미지의 특징을 센싱하고, 상기 제2영상에서 상기 대상체에 대한 제2이미지의 특징을 센싱하는 이미지 센싱 유닛과, 상기 제2이미지의 특징을 상기 제1이미지의 특징과 비교하고, 상기 제2이미지의 특징이 상기 제1이미지의 특징과 상이할 경우 상기 이미지 생성 유닛으로 하여금 상기 제3이미지를 생성하도록 하는 이미지 비교 유닛과, 상기 제1영상에 상기 제2이미지 또는 제3이미지를 결합하여 제3영상을 생성하는 제3영상 생성 유닛과, 상기 제1영상 또는 제3영상을 선택하는 영상 선택 유닛과, 상기 제1영상 또는 제3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비된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영상 구현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구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카메라와 일체로 또는 이격되게 결합되어 카메라로 촬영된 화면을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웨어러블 장치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보는 장면을 그대로 사용자의 시선 정면에 제공하기도 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피사체에 대한 다양한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데, 이 때, 피사체의 일부분에 대한 다른 영상을 동시에 볼 수 없는 한계가 있다. 물론, 단일 피사체에 대한 다양한 영상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할된 화면을 통해 관찰할 수도 있으나, 이는 결국 시선의 이동이 전제가 된 것이어서,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 및/또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대상체에 대한 영상의 관찰 중 동일 대상체에 대한 다른 특정 영상을 시선의 이동 없이 관찰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구현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 문제 및/또는 한계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상체에 대한 제1영상을 생성하는 제1영상 생성 유닛과, 상기 제1영상 생성 유닛으로부터 상기 제1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대상체에 대한 제2영상을 수신하는 영상 수신 유닛과, 상기 제2영상에서 상기 대상체에 대한 제2이미지 및 상기 제2이미지를 수정한 제3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 생성 유닛과, 상기 제1영상에서 상기 대상체에 대한 제1이미지의 특징을 센싱하고, 상기 제2영상에서 상기 대상체에 대한 제2이미지의 특징을 센싱하는 이미지 센싱 유닛과, 상기 제2이미지의 특징을 상기 제1이미지의 특징과 비교하고, 상기 제2이미지의 특징이 상기 제1이미지의 특징과 상이할 경우 상기 이미지 생성 유닛으로 하여금 상기 제3이미지를 생성하도록 하는 이미지 비교 유닛과, 상기 제1영상에 상기 제2이미지 또는 제3이미지를 결합하여 제3영상을 생성하는 제3영상 생성 유닛과, 상기 제1영상 또는 제3영상을 선택하는 영상 선택 유닛과, 상기 제1영상 또는 제3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비된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이미지 센싱 유닛은, 상기 제1이미지의 제1크기 및 상기 제2이미지의 제2크기를 검출하는 크기 검출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생성 유닛은 상기 제2크기를 상기 제1크기와 일치시켜 상기 제3이미지를 생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센싱 유닛은, 상기 제1이미지의 제1지점 및 상기 제2이미지의 제2지점을 검출하는 지점 검출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영상 생성 유닛은 상기 제2지점의 위치를 상기 제1지점의 위치와 일치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영상 생성 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영상의 크기를 조정하는 제1영상 조정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영상 생성 유닛으로부터 생성된 대상체에 대한 제1영상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1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제1영상에서 상기 대상체에 대한 제1이미지의 특징을 센싱하는 단계와, 제2영상 생성 유닛으로부터 생성된 상기 대상체에 대한 제2영상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2영상에서 상기 대상체에 대한 제2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2이미지의 특징을 센싱하는 단계와, 상기 제2이미지의 특징을 상기 제1이미지의 특징과 비교해, 상기 제2이미지의 특징이 상기 제1이미지의 특징과 상이할 경우 상기 제2이미지를 수정한 제3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영상에 상기 제2이미지 또는 제3이미지를 결합하여 제3영상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영상에 대신하여 상기 제3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구현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제1이미지의 특징을 센싱하는 단계는, 상기 제1이미지의 제1크기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이미지의 특징을 센싱하는 단계는, 상기 제2이미지의 제2크기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2크기를 상기 제1크기와 일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이미지의 특징을 센싱하는 단계는, 상기 제1이미지의 제1지점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이미지의 특징을 센싱하는 단계는, 상기 제2이미지의 제2지점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2지점의 위치를 상기 제1지점의 위치와 일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영상의 크기를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는 대상체에 대한 제1 영상을 관찰하면서 동시에 대상체의 특정 부분에 대한 다른 영상이 결합된 제3 영상을 시선의 이동 없이 관찰할 수 있다.
따라서, 예컨대 의사가 환자를 치료하는 도중에 환자의 환부에 대한 다른 영상을 시선이 이동되지 않은 상태에서 관찰할 수 있게 되고, 마치 환부에 대한 증강현실과 같은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실시예의 구체적인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각각 이미지 센싱 유닛의 서로 다른 실시예들을 도시한 구성도들이다.
도 4는 도 1의 실시예의 구체적인 다른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구현 방법의 일 실시예를 순차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대상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는 대상체에 대한 제1영상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b는 대상체에 대한 제2영상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c는 대상체에 대한 제2이미지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d는 대상체에 대한 제3이미지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e는 대상체에 대한 제3영상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각각 제1이미지의 특징 센싱 단계의 서로 다른 실시예들을 도시한 구성도들이다.
도 9a 내지 도 9c는 각각 제2이미지의 특징 센싱 단계의 서로 다른 실시예들을 도시한 구성도들이다.
도 10은 제3영상을 생성하는 단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실시예의 구체적인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각각 이미지 센싱 유닛의 서로 다른 실시예들을 도시한 구성도들이다.
도 4는 도 1의 실시예의 구체적인 다른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구현 방법의 일 실시예를 순차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대상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는 대상체에 대한 제1영상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b는 대상체에 대한 제2영상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c는 대상체에 대한 제2이미지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d는 대상체에 대한 제3이미지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e는 대상체에 대한 제3영상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각각 제1이미지의 특징 센싱 단계의 서로 다른 실시예들을 도시한 구성도들이다.
도 9a 내지 도 9c는 각각 제2이미지의 특징 센싱 단계의 서로 다른 실시예들을 도시한 구성도들이다.
도 10은 제3영상을 생성하는 단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실시예들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내용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실시예들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이하의 실시예는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 컨트롤러 장치(10), 상기 제1 컨트롤러 장치(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영상 생성 유닛(21) 및 상기 제1 컨트롤러 장치(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디스플레이 유닛(11)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11)은 제1 컨트롤러 장치(10) 및 제1 영상 생성 유닛(21)과 별도의 장치인 것처럼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11)은 제1 컨트롤러 장치(10)와 단일 바디에 설치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11)은 제1 영상 생성 유닛(21)과 단일 바디에 설치될 수 있다. 이는 본 명세서의 모든 실시예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은 물론이다.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 컨트롤러 장치(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영상 생성 유닛(2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는 것은 구성요소 간에 유선 및/또는 무선으로 신호 및/또는 데이터를 일방향 및/또는 양방향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제1 컨트롤러 장치(10)는 휴대가 가능한 전자 장치가 될 수 있고, 선택적으로 웨어러블 전자 장치가 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컨트롤러 장치(10)는 사람의 두부에 착용 가능한 형태가 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제1 컨트롤러 장치(10)는 데스크 상에 설치되거나, 벽면 등에 설치되는 장치가 될 수 있다.
상기 제1영상 생성 유닛(21)은 대상체에 대한 제1영상을 생성한다. 상기 제1영상은 대상체에 대한 실사 영상일 수 있는 데, 대상체에 대한 2차원 또는 3차원 영상일 수 있다. 상기 제1영상은 적어도 하나의 정지된 이미지 영상을 포함할 수 있는 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동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영상 생성 유닛(21)은 일반적인 2차원 또는 3차원 카메라 모듈이 사용될 수 있는 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미지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영상 생성 유닛(21)은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11)에 결합되도록 구비될 수 있는 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11)과 분리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영상 생성 유닛(21)은 사람의 두부에 착용 가능한 형태가 될 수 있는 데, 사람의 눈에 근접하게 위치하는 것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영상 생성 유닛(21)은 착용하는 사람이 보는 것과 동일한 및/또는 유사한 제1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영상 생성 유닛(21)은 착용하는 사람의 눈의 전방에 위치한 광 경로 변경용 광학계를 통해 광 경로가 변경되어 입사되는 장면을 촬상하는 이미지 센서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영상 생성 유닛(21)을 통해 생성된 이미지는 착용자가 실제 눈으로 보는 것과 동일한 장면이 될 수 있다.
상기 제1영상 생성 유닛(21)은 제1 컨트롤러 장치(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데, 구체적으로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영상 수신 유닛(12)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는 것은, 유선으로 연결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무선으로 연결되어 신호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포함한다.
상기 제2영상 생성 유닛(22)은 대상체에 대한 제2영상을 생성한다. 상기 제2영상은 대상체에 대한 X-ray 영상, CT 영상, 또는 MRI 영상과 같이 대상체에 대한 특수 영상일 수 있다. 상기 제2영상은 적어도 하나의 정지된 이미지 영상을 포함할 수 있는 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동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영상 생성 유닛(22)은 상기 특수 영상을 생성하기 위해 특수 카메라 모듈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제2 영상 생성 유닛(22)은 단지 제2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카메라 장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촬상된 영상을 가공하여 제2 영상을 생성하는 장치 및 이를 저장하는 저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11)은 사용자에게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유닛, 무기 발광 디스플레이 유닛 또는 액정 디스플레이 유닛 등 평판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11)은 사용자에게 직접 영상을 제공하도록, 사용자의 눈에 대향되게 설치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11)은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유닛(11)을 통해 영상을 보면서 디스플레이 유닛(11)의 너머에 위치한 사물을 관찰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11)은 별도의 스크린 및 투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11)은 사용자에게 간접 영상, 예컨대 투사 영상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 때 스크린이 사용자의 눈에 대향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스크린은 불투명 스크린이 사용될 수 있는 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투명 또는 반투과 반반사 스크린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스크린은 플라스틱 또는 글라스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11)이 사람에게 착용 가능한 구조인 경우에는 상기 스크린은 사람의 눈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스크린은 투명 또는 반투과 반반사 안경이 될 수 있다. 이 때 안경의 전방에는 별도의 편광 안경이 더 구비되어 사람이 영상을 볼 때 선명감 있게 보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영상 생성 유닛(21)은 디스플레이 유닛(11) 및/또는 제1 컨트롤러 장치(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11)이 제1 영상 생성 유닛(21)과 직접 연결된 경우, 제1 영상 생성 유닛(21)을 통해 촬상되는 영상은 디스플레이 유닛(11)에 구현될 수 있다. 제1 영상 생성 유닛(21)이 디스플레이 유닛(11)과 연결되지 않은 경우, 제1 컨트롤러 장치(10)를 거쳐 디스플레이 유닛(11)으로 영상이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컨트롤러 장치(10)는,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영상 수신 유닛(12), 이미지 생성 유닛(13), 이미지 센싱 유닛(14), 이미지 비교 유닛(15), 제3영상 생성 유닛(16) 및 영상 선택 유닛(18) 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수신 유닛(12)은 상기 제1영상 생성 유닛(2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영상 생성 유닛(21)으로부터 제1영상을 수신한다. 그리고 상기 영상 수신 유닛(12)은 상기 제2영상 생성 유닛(2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2영상 생성 유닛(22)으로부터 제2영상을 수신한다. 상기 영상 수신 유닛(12)은 상기 제1영상 생성 유닛(21) 및/또는 제2영상 생성 유닛(22)과 통신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제1영상 및/또는 제2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 유닛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영상 생성 유닛(22)이 저장 장치를 포함할 경우 상기 영상 수신 유닛(12)은 제2 영상 생성 유닛(22)의 저장 장치로부터 제2 영상을 수신한다.
상기 제1 컨트롤러 장치(10)는 저장 유닛(17)을 더 포함할 수 있는 데, 상기 저장 유닛(17)은 제1저장 유닛(171), 제2저장 유닛(172) 및 제3저장 유닛(17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수신 유닛(12)은 상기 저장 유닛(17)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수신된 제1영상 및 제2영상을 각각 상기 제1저장 유닛(171) 및 제2저장 유닛(172)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제3저장 유닛(173)은 후술하는 제3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제1 저장 유닛(171) 내지 제3 저장 유닛(173)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컨트롤러 장치(10)와는 별개로 분리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선택적으로 상기 저장 유닛(17)은 제1영상, 제2영상 및 제3영상에 대한 백업 데이터의 저장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는 이하 설명되는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에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이미지 생성 유닛(14)은 상기 제2영상에서 상기 대상체에 대한 제2이미지 및 상기 제2이미지를 수정한 제3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는 후술한다.
상기 이미지 센싱 유닛(14)은 상기 영상 수신 유닛(12), 저장 유닛(17), 이미지 생성 유닛(13) 및/또는 제3 영상 생성 유닛(16)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영상, 제2영상 및/또는 제3영상을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센싱 유닛(14)은 제1영상에서 대상체에 대한 제1이미지의 특징을 센싱하고, 상기 제2영상에서 상기 대상체에 대한 제2이미지의 특징을 센싱한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3영상 생성 유닛(15)으로부터 생성된 제3영상에서 상기 대상체에 대한 제3이미지의 특징을 센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1영상, 제2영상 및 제3영상은 디스플레이 유닛(11)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를 의미하고, 제1이미지, 제2이미지 및 제3이미지는 각각 제1영상, 제2영상 및 제3영상 내에서 상기 대상체에 대한 이미지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센싱 유닛(14)은 저장 유닛(17)을 매개로 영상 수신 유닛(1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선택적으로 상기 이미지 센싱 유닛(14)은 영상 수신 유닛(12)과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이는 이하 설명되는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에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렇게 센싱된 각 이미지의 특징은 이미지 비교 유닛(15)에서 비교된다.
상기 이미지 센싱 유닛(14)은 도 3a에서 볼 수 있듯이 크기 검출 유닛(14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크기 검출 유닛(141)은 상기 제1이미지의 제1크기, 상기 제2이미지의 제2크기 및/또는 상기 제3이미지의 제3크기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크기란 각 이미지의 면적 및/또는 각 이미지에서 특징이 되는 특정 지점들 사이의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이미지 센싱 유닛(14)과 연결된 이미지 비교 유닛(15)은 각 이미지의 특정 크기에 의해 각 이미지를 비교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이미지 센싱 유닛(14)은 도 3b에서 볼 수 있듯이 지점 검출 유닛(14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점 검출 유닛(141)은 상기 제1이미지의 특정 제1지점을, 상기 제2이미지의 특정 제2지점을, 및 제3이미지의 특정 제3지점을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점, 제2지점 및 제3지점은 각각 대상체의 특정 지점을 의미하며, 제1지점, 제2지점 및 제3지점은 대상체의 동일 지점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센싱 유닛(14)과 연결된 이미지 비교 유닛(15)은 각 이미지의 특정 지점의 위치에 의해 각 이미지를 비교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이미지 센싱 유닛(14)은 도 3c에서 볼 수 있듯이 크기 검출 유닛(141) 및 위치 검출 유닛(142)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이미지 센싱 유닛(14)과 연결된 이미지 비교 유닛(15)은 각 이미지의 특정 크기 및/또는 각 이미지의 특정 지점에 의해 각 이미지를 비교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비교 유닛(15)은 상기 제2이미지의 특징을 상기 제1이미지의 특징과 비교하고, 상기 제2이미지의 특징이 상기 제1이미지의 특징과 상이할 경우 상기 이미지 생성 유닛(13)으로 하여금 상기 제3이미지를 생성하도록 한다.
제3영상 생성 유닛(16)은 상기 제1 영상에 상기 제2 이미지 또는 제3 이미지를 결합하여 제3 영상을 생성한다. 이 때, 상기 제3영상 생성 유닛(16)은 제3영상을 생성함에 있어, 상기 제2지점의 위치를 상기 제1지점의 위치와 일치시키도록 상기 제1 영상에 상기 제2 이미지 또는 제3 이미지를 결합할 수 있다. 생성된 제3 영상은 제3 저장 유닛(173)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영상 선택 유닛(18)은 상기 제3영상 생성 유닛(15), 저장 유닛(17) 및/또는 영상 수신 유닛(12)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영상 선택 유닛(18)은 디스플레이 유닛(11)과도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영상 선택 유닛(18)에 의해 디스플레이 유닛(11)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이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영상 선택 유닛(18)은 제1영상 또는 제3영상을 선택하고,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유닛(11)은 제1영상 또는 제3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이미지 생성 유닛(13), 이미지 센싱 유닛(14), 이미지 비교 유닛(15), 제3영상 생성 유닛(16) 및 영상 선택 유닛(18) 중 적어도 일부는 하나의 제어 유닛을 구성할 수 있다. 이는 이하 설명되는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에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영상 선택 유닛(18)은 저장 유닛(17)을 매개로 영상 수신 유닛(12)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선택적으로 상기 영상 선택 유닛(18)은 영상 수신 유닛(12)과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이는 이하 설명되는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에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영상 선택 유닛(18)은 반드시 제1 컨트롤러 장치(10)에 포함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컨트롤러 장치(10)와는 분리되게 설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영상 선택 유닛(18)을 직접 작동하면서 제1영상과 제3영상을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 유닛(11)에 디스플레이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1 컨트롤러 장치(10)가 제1 영상 생성 유닛(2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영상 조정 유닛(19)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다른 구성요소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제1 영상 조정 유닛(19)을 제외한 다른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 영상 조정 유닛(19)은 상기 제1 영상 생성 유닛(2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 영상의 크기를 조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유닛(11)을 통해 관찰하는 대상체에 대한 제1 영상과 실제 자신의 눈으로 보는 대상체에 대한 크기가 서로 다를 수 있기 때문으로, 사용자는 제1 영상 조정 유닛(19)을 통해 제1 영상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선택 유닛(16)은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조작 유닛(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는 데, 상기 조작 유닛은 상기 제1 컨트롤러 장치(10)와는 분리되게 구비될 수 있고, 사용자의 파지 위치에 위치할 수 있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조작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구현 방법의 일 실시예를 순차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로, 전술한 바와 같은 실시예들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구현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도 6에서 볼 수 있듯이 제1영상 생성 유닛(21)을 통해 대상체(30)를 촬영한다. 만일 디스플레이 유닛(11)이 씨스루 방식의 두부 착탈형 디스플레이일 경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유닛(11)을 통해 대상체(30)를 보면서 동시에 제1 영상 생성 유닛(21)을 통해 대상체(30)를 촬영하게 된다. 이 때,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유닛(11)을 통해 대상체(30)에 대한 제1 영상을 관찰할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 유닛(11)을 관통하는 대상체(30)에 대한 실제 이미지를 관찰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전술한 제1 영상 조정 유닛(19)을 통해 디스플레이 유닛(11)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제1 영상의 크기를 자신이 실제 바라보고 있는 크기로 조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씨 스루되는 이미지와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가 대략 동일하게 되도록 할 수 있다.
제1영상 생성 유닛(21)이 도 7a에서 볼 수 있듯이 대상체(30)에 대한 제1영상(41)을 생성할 수 있다. 이 제1 영상(41)은 디스플레이 유닛(11)을 통해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영상(41)은 제1 컨트롤러 장치(10)의 영상 수신 유닛(12)이 수신해(S1) 제1 저장 유닛(171)에 저장하거나, 영상 선택 유닛(18)을 거쳐 디스플레이 유닛(11)을 통해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2).
다음으로 이미지 센싱 유닛(14)이 상기 제1 영상(41)으로부터 제1 이미지(410)를 센싱하는 데, 특히 제1 이미지(410)의 특징을 센싱한다(S3).
이 때, 상기 제1이미지(410)의 특징을 센싱하는 단계는, 도 7a 및 도 8a에서 볼 수 있듯이 제1이미지(410)의 제1지점(411)과 제1-1지점(412) 사이의 거리인 제1 크기(413)를 검출하는 것이 될 수 있다(S31).
및/또는 상기 제1이미지(410)의 특징을 센싱하는 단계는, 도 7a 및 도 8b에서 볼 수 있듯이 제1이미지(410)의 제1 지점(411)의 위치를 검출하는 것(S32)일 수 있다. 이 때 제1 지점(411)의 위치는 제1 이미지(410) 내에서의 특정 지점을 의미할 수 있는 데, 예컨대 외곽 경계선의 곡률이 가장 크게 변경되는 곳 등이 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이미지(410)의 특징을 센싱하는 단계는, 도 7a 및 도 8c에서 볼 수 있듯이 제1이미지(410)의 제1크기(413)를 검출하고(S31), 이 제1 크기(413)와 관련된 제1 지점(411)의 위치를 검출하는 것(S32)일 수 있다. 이 때, 제1크기(413)의 검출과 제1 지점(411)의 검출은 서로 순서가 바뀌어도 무방하다. 즉, 먼저 제1 지점(411)을 검출한 후, 이 제1지점(411)에 대향하는 경계선의 제1-2지점(412)을 검출한 다음 제1지점(411)과 제1-2지점(412) 사이 거리인 제1 크기(413)를 검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컨트롤러 장치(10)의 영상 수신 유닛(12)이 제2영상(42)을 수신한다(S4). 이러한 제2영상은 도 7b에서 볼 수 있듯이, 대상체(43)에 대한 X-ray 사진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영상은 미리 저장되어 있는 제2 영상 생성 유닛의 저장 장치로부터 전송된 것일 수 있다.
제1 컨트롤러 장치(10)의 이미지 생성 유닛(13)은 상기 제2 영상(42)으로부터 도 7c에서 볼 수 있는 제2 이미지(420)를 생성한다(S5). 상기 제2 이미지(420)는 제2 이미지(420)를 제외한 배경(425)은 투명하게 형성된 제2 이미지 필터(424)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이미지(420) 및/또는 제2 영상은 제2 저장 유닛(172)에 저장될 수 있다.
다음으로 이미지 센싱 유닛(14)이 상기 제2 이미지(420)의 특징을 센싱한다(S6).
이 때, 상기 제2이미지(420)의 특징을 센싱하는 단계는, 도 7c 및 도 9a에서 볼 수 있듯이 제2이미지(420)의 제2지점(421)과 제2-1지점(422) 사이의 거리인 제2 크기(423)를 검출하는 것이 될 수 있다(S61).
및/또는 상기 제2이미지(420)의 특징을 센싱하는 단계는, 도 7c 및 도 9b에서 볼 수 있듯이 제2이미지(420)의 제2 지점(421)의 위치를 검출하는 것(S62)일 수 있다. 이 때 제2 지점(421)의 위치는 제2 이미지(420) 내에서의 특정 지점을 의미할 수 있는 데, 예컨대 외곽 경계선의 곡률이 가장 크게 변경되는 곳 등이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지점(421)은 대상체에 대한 전술한 제1 지점(411)에 대응되는 지점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2이미지(420)의 특징을 센싱하는 단계는, 도 7c 및 도 9c에서 볼 수 있듯이 제2이미지(420)의 제2크기(423)를 검출하고(S61), 이 제2 크기(423)와 관련된 제2 지점(421)의 위치를 검출하는 것(S62)일 수 있다. 이 때, 제2크기(423)의 검출과 제2 지점(421)의 검출은 서로 순서가 바뀌어도 무방하다. 즉, 먼저 제2 지점(421)을 검출한 후, 이 제2지점(421)에 대향하는 경계선의 제2-1지점(422)을 검출한 다음 제2지점(421)과 제2-1지점(422) 사이 거리인 제2 크기(423)를 검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미지 비교 유닛(15)은 상기와 같이 센싱된 제2이미지의 특징을 제1이미지의 특징과 비교한다(S7).
상기 제2이미지의 특징과 제1이미지의 특징이 일치할 경우 이미지 비교 유닛(15)은 제3 영상 생성 유닛(16)을 통해 제3 영상을 생성하도록 하는 데(S11), 이 때, 제3 영상 생성 유닛(16)은 제1 영상에 제2 이미지를 결합시켜(S8) 제3 영상을 생성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2이미지의 특징과 제1이미지의 특징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 이미지 비교 유닛(15)은 이미지 생성 유닛(13)을 통해 상기 제2 이미지를 수정한 제3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하고(S9), 제3 영상 생성 유닛(16)을 통해 제3 영상을 생성하도록 한다(S11). 이 때, 제3 영상 생성 유닛(16)은 제1 영상에 제3 이미지를 결합시켜(S10) 제3 영상을 생성하도록 한다.
위와 같은 실시예에서 제1이미지의 특징과 제2이미지의 특징의 일치 또는 불일치는 이미지 자체가 일치 또는 불일치하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제한 해석될 수 없으며, 제2이미지의 특징 중 일부, 예컨대 전술한 제2크기 및/또는 제2지점이 제1이미지의 제1크기 및/또는 제1지점과 일치하는지 여부에 대한 판단이 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2이미지의 제2크기가 제1이미지의 제1크기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비교하는 것이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7c와 같이 생성된 제2이미지(420)의 제2크기(423)를 도 7a에 도시된 제1이미지(410)의 제1크기(413)와 비교해서 만일 동일하면, 이러한 제2 이미지(420)를 그대로 사용하여 제3 영상을 생성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도 7c에서 볼 수 있듯이 생성된 제2이미지(420)의 제2크기(423)는 대부분의 경우 제1이미지(410)의 제1크기(413)와 상이할 것이므로, 이 경우 이미지 생성 유닛(13)은 제2이미지(420)를 확대하여 도 7d에서 볼 수 있는 제3이미지(430)를 생성한다. 이 경우에도 오직 제2이미지 자체만 확대되어 제3이미지(430) 이외의 배경(435)은 투명하게 처리되어 있어, 제3 이미지 필터(434)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3 이미지(430)는 제2 크기(423)가 확대된 제2 크기(433)로 된 것인 데, 이 제3 이미지(430)의 제2 크기(433)는 전술한 제1 크기(413)와 일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3 이미지(430)의 제2지점(431)은 제2 이미지(420)의 제2지점(421)과 같은 지점이 되고, 제3 이미지(430)의 제2-1지점(432)은 제2 이미지(420)의 제2-1지점(422)과 같은 지점이 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3 영상 생성 유닛(16)은 도 7e에서 볼 수 있듯이 제1영상(41)에 제3 이미지(430)를 결합시켜 제3 영상(43)을 생성하는 데, 이는 상기 제3 이미지 필터(434)를 제1 영상(41)에 겹쳐지도록 함으로써 가능해질 수 있다. 이 때 도 7e 및 도 10에서 볼 수 있듯이 제3 이미지(430)의 제2지점(431)의 위치가 제1 지점(411)과 일치하게 되도록 겹침으로써 제3 이미지(430)를 제1영상(41)에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3 영상(43)을 생성한 후에는 영상 선택 유닛(18)에 의해 선택적으로 제3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S11).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유닛(11)을 통해 대상체(30)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다른 영상을 동시에 관찰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도 6 내지 도 7e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손이 다친 환자의 환부 외관에 대한 제1 영상을 보다가 그 상태에서 해당 부위의 X-ray 사진에 대한 제2 영상을 전송받아 제1 영상에 결합된 제3 영상을 선택적으로 관찰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웨어러블 장치(50)가 디스플레이 유닛(11) 및 제1 영상 생성 유닛(21-1,21-2)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컨트롤러 장치(10)는 웨어러블 장치(50)와 분리되며, 디스플레이 유닛(11) 및 제1 영상 생성 유닛(21-1,21-2)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은 제1디스플레이 유닛(11-1) 및 제2디스플레이 유닛(11-2)으로 분리되어 구비될 수 있다. 제1영상 생성 유닛도 서로 분리되어 있는 제1-1영상 생성 유닛(21-1) 및 제1-2영상 생성 유닛(21-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웨어러블 장치(50)를 눈에 인접하게 안경과 같이 착용할 수 있으며, 제1디스플레이 유닛(11-1) 및 제2디스플레이 유닛(11-2)은 각각 사용자의 양쪽 눈에 인접하게 또는 양쪽 눈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제1-1영상 생성 유닛(21-1) 및 제1-2영상 생성 유닛(21-2)은 사용자의 양쪽 눈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눈으로 보는 것과 동일 및/또는 유사한 제1영상을 제1디스플레이 유닛(11-1) 및/또는 제2디스플레이 유닛(11-2)으로 관찰할 수 있다. 제1-1영상 생성 유닛(21-1) 및 제1-2영상 생성 유닛(21-2)과 같이 2개의 이미지 생성 유닛이 존재함으로 인해 생성되는 제1 영상이 3D 영상이 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1영상 생성 유닛(21-1) 및 제1-2영상 생성 유닛(21-2)은 제1디스플레이 유닛(11-1) 및 제2디스플레이 유닛(11-2) 내에 장착된 이미지 센서일 수 있다. 또, 선택적으로 제1디스플레이 유닛(11-1) 및 제2디스플레이 유닛(11-2)의 사이에 단일의 제1 영상 생성 유닛이 존재할 수도 있다.
제1 컨트롤러 장치(10)는 무게로 인해서 웨어러블 장치(50)와 분리시키는 게 좋은 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무게를 충분히 줄일 수 있다면 제1 컨트롤러 장치(10)의 구성 중 일부에 대해 웨어러블 장치(50) 내에 탑재되도록 설계할 수 있다.
사용자는 웨어러블 장치(50)를 착용한 상태에서 제1-1영상 생성 유닛(21-1) 및/또는 제1-2영상 생성 유닛(21-2)을 통해 자신의 눈으로 보는 것과 동일 및/또는 유사하게 생성된 제1영상을 제1디스플레이 유닛(11-1) 및 제2디스플레이 유닛(11-2)을 이용해 관찰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선택적으로 대상체의 일부분에 대한 특수 영상을 합성한 제3영상을 제1디스플레이 유닛(11-1) 및 제2디스플레이 유닛(11-2)을 이용해 관찰할 수 있다. 따라서 예컨대 의사가 치료 중에 다른 동작을 취하지 않고도 특정 환부에 대한 영상을 X-Ray, CT, MRI와 같은 특정 영상으로 대체하여 관찰할 수 있게 된다. 즉, 의사는 치료 중에 환자의 환부에 시선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해당 부위에 대한 X-Ray, CT, MRI와 같은 특정 영상을 관찰할 수 있고, 다시 선택적으로 해당 부위의 실제 영상을 관찰할 수 있다. 따라서 의사가 환자의 상태에 적합한 최적의 치료를 즉석에서 해낼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컨트롤러 장치(10), 더욱 상세히는 상기 영상 선택 유닛(18)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컨트롤러 장치(6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컨트롤러 장치(60)는 사용자가 손쉽게 영상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는 조작 장치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컨트롤러 장치(60)는, 사용자의 손 또는 발에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는 데, 동작 인식 모듈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손 또는 발을 움직이는 것을 감지하여 제1영상 또는 제3영상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컨트롤러 장치(60)는 패달과 같은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발로 밟는 동작을 함에 따라 제1영상 또는 제3영상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컨트롤러 장치(60)는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할 수 있는 음성 인식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특정 단어를 말했을 때에 이를 인식하여 제1영상 또는 제3영상을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 하도록 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 선택 유닛 및/또는 화면 분할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선택 유닛에 의해 사용자는 제1디스플레이 유닛(11-1)과 제2디스플레이 유닛(11-2) 중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유닛을 선택하여 제1영상 및/또는 제3영상을 관찰할 수 있다. 화면 분할 유닛은 제1디스플레이 유닛(11-1)와 제2디스플레이 유닛(11-2) 중 적어도 하나의 화면을 분할하여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만일 상기 제1디스플레이 유닛(11-1) 및 제2디스플레이 유닛(11-2)이 반투명 글라스에 영상을 투사하도록 구비되는 경우 사용자는 제1디스플레이 유닛(11-1) 및 제2디스플레이 유닛(11-2)을 통한 영상을 관찰하거나, 글라스를 투과하여 직접 사물을 관찰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사용자는 제1디스플레이 유닛(11-1) 및 제2디스플레이 유닛(11-2)을 통한 영상을 관찰하는 동시에, 글라스를 투과하여 직접 사물을 관찰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2)
- 대상체에 대한 제1영상을 생성하는 제1영상 생성 유닛;
상기 제1영상 생성 유닛으로부터 상기 제1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대상체에 대한 제2영상을 수신하는 영상 수신 유닛;
상기 제2영상에서 상기 대상체에 대한 제2이미지 및 상기 제2이미지를 수정한 제3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 생성 유닛;
상기 제1영상에서 상기 대상체에 대한 제1이미지의 특징을 센싱하고, 상기 제2영상에서 상기 대상체에 대한 제2이미지의 특징을 센싱하는 이미지 센싱 유닛;
상기 제2이미지의 특징을 상기 제1이미지의 특징과 비교하고, 상기 제2이미지의 특징이 상기 제1이미지의 특징과 상이할 경우 상기 이미지 생성 유닛으로 하여금 상기 제3이미지를 생성하도록 하는 이미지 비교 유닛;
상기 제1영상에 상기 제2이미지 또는 제3이미지를 결합하여 제3영상을 생성하는 제3영상 생성 유닛;
상기 제1영상 또는 제3영상을 선택하는 영상 선택 유닛; 및
상기 제1영상 또는 제3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비된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센싱 유닛은,
상기 제1이미지의 제1크기 및 상기 제2이미지의 제2크기를 검출하는 크기 검출 유닛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생성 유닛은 상기 제2크기를 상기 제1크기와 일치시켜 상기 제3이미지를 생성하도록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센싱 유닛은,
상기 제1이미지의 제1지점 및 상기 제2이미지의 제2지점을 검출하는 지점 검출 유닛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영상 생성 유닛은 상기 제2지점의 위치를 상기 제1지점의 위치와 일치시키도록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상 생성 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영상의 크기를 조정하는 제1영상 조정 유닛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영상 생성 유닛으로부터 생성된 대상체에 대한 제1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제1영상에서 상기 대상체에 대한 제1이미지의 특징을 센싱하는 단계;
제2영상 생성 유닛으로부터 생성된 상기 대상체에 대한 제2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영상에서 상기 대상체에 대한 제2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2이미지의 특징을 센싱하는 단계;
상기 제2이미지의 특징을 상기 제1이미지의 특징과 비교해, 상기 제2이미지의 특징이 상기 제1이미지의 특징과 상이할 경우 상기 제2이미지를 수정한 제3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영상에 상기 제2이미지 또는 제3이미지를 결합하여 제3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영상에 대신하여 상기 제3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구현 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미지의 특징을 센싱하는 단계는, 상기 제1이미지의 제1크기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이미지의 특징을 센싱하는 단계는, 상기 제2이미지의 제2크기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구현 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2크기를 상기 제1크기와 일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구현 방법. -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미지의 특징을 센싱하는 단계는, 상기 제1이미지의 제1지점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이미지의 특징을 센싱하는 단계는, 상기 제2이미지의 제2지점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구현 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3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2지점의 위치를 상기 제1지점의 위치와 일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구현 방법. -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상의 크기를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구현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05244A KR20170011854A (ko) | 2015-07-24 | 2015-07-24 |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구현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05244A KR20170011854A (ko) | 2015-07-24 | 2015-07-24 |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구현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11854A true KR20170011854A (ko) | 2017-02-02 |
Family
ID=58151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05244A KR20170011854A (ko) | 2015-07-24 | 2015-07-24 |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구현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70011854A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34410A (ko) * | 2019-09-20 | 2021-03-30 | 주식회사 오토스윙 | 용접 정보 제공 장치 |
KR102288864B1 (ko) * | 2020-12-17 | 2021-08-11 | (주)이엔지케이 | 임플란트 수행 방법 |
KR102309976B1 (ko) * | 2020-08-03 | 2021-10-08 | 주식회사 덱셀리온 | 하나의 장면에 대해 서로 다른 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들을 동시에 디스플레이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
KR20210158441A (ko) * | 2020-06-23 | 2021-12-31 |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 유방 영상에 의해 획득된 병변부 판단 시스템의 제어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
-
2015
- 2015-07-24 KR KR1020150105244A patent/KR20170011854A/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34410A (ko) * | 2019-09-20 | 2021-03-30 | 주식회사 오토스윙 | 용접 정보 제공 장치 |
KR20210158441A (ko) * | 2020-06-23 | 2021-12-31 |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 유방 영상에 의해 획득된 병변부 판단 시스템의 제어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
KR102309976B1 (ko) * | 2020-08-03 | 2021-10-08 | 주식회사 덱셀리온 | 하나의 장면에 대해 서로 다른 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들을 동시에 디스플레이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
KR102288864B1 (ko) * | 2020-12-17 | 2021-08-11 | (주)이엔지케이 | 임플란트 수행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684173B2 (en) |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image processing system | |
US9967475B2 (en) | Head-mounted displaying of magnified images locked on an object of interest | |
KR102544062B1 (ko) | 가상 이미지 표시 방법, 저장 매체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 |
KR101811817B1 (ko) | 두부 장착형 표시 장치 및 두부 장착형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 | |
EP3107474B1 (en) | Multi-display control device for a surgical system | |
EP3146715B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mediated-reality surgical visualization | |
WO2016092950A1 (ja) | 医療用眼鏡型表示装置、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 |
US10842349B2 (en) | Endoscope operation support system | |
KR20180002534A (ko) | 외부 촬상 시스템, 외부 촬상 방법, 외부 촬상 프로그램 | |
CN105549203A (zh) | 显示装置以及显示装置的控制方法 | |
KR20170011854A (ko) |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구현 방법 | |
CN106168855B (zh) | 一种便携式mr眼镜、手机和mr眼镜系统 | |
JP2018000308A (ja) | 映像表示装置システム、心拍特定方法、心拍特定プログラム | |
CN109587471A (zh) | 图像显示系统、图像显示方法及图像显示程序 | |
US20220060680A1 (en) | Head mounted display apparatus | |
JP6649010B2 (ja) | 情報処理装置 | |
US20220308328A1 (en) | Binocular device | |
US11627303B2 (en) | System and method for corrected video-see-through for head mounted displays | |
JP2017191546A (ja) | 医療用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医療用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のプログラムおよび医療用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の制御方法 | |
JP2018088604A (ja) |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システム | |
KR101595943B1 (ko) |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구현 방법 | |
JP2017189498A (ja) | 医療用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医療用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のプログラムおよび医療用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の制御方法 | |
JP5861881B2 (ja) | 画像合成装置、画像合成方法、プログラム、及び、画像合成システム | |
JP2017216522A (ja) | 頭部装着型拡張現実表示装置、及び、これを利用した拡張現実表示システム | |
JP2021068296A (ja) | 情報処理装置、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およびユーザ操作処理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