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5943B1 -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구현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구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5943B1
KR101595943B1 KR1020150051138A KR20150051138A KR101595943B1 KR 101595943 B1 KR101595943 B1 KR 101595943B1 KR 1020150051138 A KR1020150051138 A KR 1020150051138A KR 20150051138 A KR20150051138 A KR 20150051138A KR 101595943 B1 KR101595943 B1 KR 1015959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unit
sensing
point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1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인제
조훈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테라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테라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테라클
Priority to KR1020150051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59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5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59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2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5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for obtaining an image which is composed of images from a temporal image sequence, e.g. for a stroboscopic effect
    • H04N5/2627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for obtaining an image which is composed of images from a temporal image sequence, e.g. for a stroboscopic effect for providing spin image effect, 3D stop motion effect or temporal freeze effec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대상체에 대한 제1영상을 생성하는 제1영상 생성 유닛과, 상기 제1영상 생성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영상 생성 유닛으로부터 상기 제1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대상체에 대한 제2영상을 수신하는 영상 수신 유닛과, 상기 영상 수신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영상에서 상기 대상체에 대한 제1이미지를 센싱하고, 상기 제2영상에서 상기 대상체에 대한 제2이미지를 센싱하는 이미지 센싱 유닛과, 상기 제1이미지와 상기 제2이미지를 비교하는 이미지 비교 유닛과, 상기 이미지 비교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이미지를 상기 제1이미지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2영상을 수정해 제3영상을 생성하는 제3영상 생성 유닛과, 상기 영상 수신 유닛 및 제3영상 생성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영상 또는 제3영상을 선택하는 영상 선택 유닛과, 상기 영상 선택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영상 또는 제3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비된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영상 구현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구현 방법{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realizing picture thereof}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구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카메라와 일체로 또는 이격되게 결합되어 카메라로 촬영된 화면을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카메라와 연결되어 피사체에 대한 다양한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데, 피사체의 서로 다른 모습을 촬영한 영상들이 각 영상 내에서 피사체의 위치 및/또는 크기가 다르기 때문에 영상이 바뀌었을 때 사용자는 동일한 피사체에 대한 영상으로 인식하는 데에, 즉, 바뀐 영상에 적응하는 데에 다소 시간이 걸릴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장치가 만일 의료 장비와 같이 사용자에게 고도의 정밀도를 제공하여야 하는 경우 큰 불편함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 및/또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대상체에 대한 서로 다른 모습을 관찰함에 있어, 위치감 및/또는 크기감을 그대로 유지한 체 관찰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구현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 문제 및/또는 한계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상체에 대한 제1영상을 생성하는 제1영상 생성 유닛과, 상기 제1영상 생성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영상 생성 유닛으로부터 상기 제1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대상체에 대한 제2영상을 수신하는 영상 수신 유닛과, 상기 영상 수신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영상에서 상기 대상체에 대한 제1이미지를 센싱하고, 상기 제2영상에서 상기 대상체에 대한 제2이미지를 센싱하는 이미지 센싱 유닛과, 상기 제1이미지와 상기 제2이미지를 비교하는 이미지 비교 유닛과, 상기 이미지 비교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이미지를 상기 제1이미지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2영상을 수정해 제3영상을 생성하는 제3영상 생성 유닛과, 상기 영상 수신 유닛 및 제3영상 생성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영상 또는 제3영상을 선택하는 영상 선택 유닛과, 상기 영상 선택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영상 또는 제3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비된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센싱 유닛은, 상기 제1영상에서 상기 제1이미지의 제1지점 및 상기 제2영상에서 상기 제2이미지의 제2지점을 검출하는 지점 검출 유닛과, 상기 제1영상에서 상기 제1지점의 위치 및 상기 제2영상에서 상기 제2지점의 위치를 산출하는 위치 산출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영상 생성 유닛은 상기 제2지점의 위치를 상기 제1지점의 위치와 일치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센싱 유닛은, 상기 제1영상에서 상기 제1이미지의 제1크기 및 상기 제2영상에서 상기 제2이미지의 제2크기를 검출하는 크기 검출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영상 생성 유닛은 상기 제2크기를 상기 제1크기와 일치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영상 수신 유닛, 상기 영상 선택 유닛, 상기 제3영상 생성 유닛 및 상기 이미지 센싱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저장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영상을 생성하는 제2영상 생성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영상 생성 유닛으로부터 생성된 대상체에 대한 제1영상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1영상에서 상기 대상체에 대한 제1이미지를 센싱하는 단계와, 상기 제1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제2영상 생성 유닛으로부터 생성된 상기 대상체에 대한 제2영상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2영상에서 상기 대상체에 대한 제2이미지를 센싱하는 단계와, 상기 제2이미지를 상기 제1이미지와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제2이미지를 상기 제1이미지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2영상을 수정해 제3영상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영상에 대신하여 상기 제3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구현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이미지를 센싱하는 단계는, 상기 제1영상에서 상기 제1이미지의 제1지점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제1영상에서 상기 제1지점의 위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이미지를 센싱하는 단계는, 상기 제2영상에서 상기 제2이미지의 제2지점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제2영상에서 상기 제2지점의 위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2지점의 위치를 상기 제1지점의 위치와 일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이미지를 센싱하는 단계는, 상기 제1영상에서 상기 제1이미지의 제1크기를 검출하고, 상기 제2이미지를 센싱하는 단계는, 상기 제2영상에서 상기 제2이미지의 제2크기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2크기를 상기 제1크기와 일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이미지를 상기 제1이미지와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제2이미지가 상기 제1이미지와 일치할 경우에는 상기 제1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로 이동하고, 상기 제2이미지가 상기 제1이미지와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 상기 제3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로 이동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2이미지가 상기 제1이미지와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불일치 정도가 허용 가능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불일치 정도가 허용 가능할 경우에는 상기 제1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불일치 정도가 허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상기 제3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3영상에서 상기 대상체에 대한 제3이미지를 센싱하는 단계와, 상기 제3이미지를 상기 제1이미지와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제3이미지를 상기 제1이미지와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제3이미지가 상기 제1이미지와 일치할 경우에는 상기 제1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로 이동하고, 상기 제3이미지가 상기 제1이미지와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 상기 제3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로 이동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3이미지가 상기 제1이미지와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불일치 정도가 허용 가능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불일치 정도가 허용 가능할 경우에는 상기 제1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로 이동하고, 상기 불일치 정도가 허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상기 제3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로 이동하는 것일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는 대상체에 대한 서로 다른 모습을 위치감 및/또는 크기감을 그대로 유지한 체 관찰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대상체에 대한 화면이 변경되는 경우에도 현실감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장치를 착용한 상태에서 자신의 눈으로 보는 것과 동일 및/또는 유사한 영상을 관찰하고, 눈으로 볼 수 없는 및/또는 보기 어려운 부분을 현실감을 유지한 체 관찰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실시예의 구체적인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각각 이미지 센싱 유닛의 서로 다른 실시예들을 도시한 구성도들이다.
도 4는 도 1의 실시예의 구체적인 다른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구현 방법의 일 실시예를 순차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제1영상 생성 유닛과 제2영상 생성 유닛이 대상체의 서로 다른 부분을 촬영하고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는 제1영상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b는 제2영상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c 내지 도 7e는 각각 제3영상의 서로 다른 예들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각각 제1이미지 센싱 단계의 서로 다른 실시예들을 도시한 구성도들이다.
도 9a 내지 도 9c는 각각 제2이미지 센싱 단계의 서로 다른 실시예들을 도시한 구성도들이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각각 제3영상을 생성하는 단계의 서로 다른 실시예들을 도시한 구성도들이다.
도 11은 실시예들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구현 방법의 다른 일 실시예를 순차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2는 실시예들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구현 방법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순차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3은 제1영상 생성 유닛과 제2영상 생성 유닛이 대상체를 촬영하고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실시예들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내용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실시예들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이하의 실시예는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콘트롤러 장치(10) 및 상기 제1콘트롤러 장치(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영상 생성 유닛(21)을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콘트롤러 장치(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영상 생성 유닛(2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는 것은 구성요소 간에 유선 및/또는 무선으로 신호 및/또는 데이터를 일방향 및/또는 양방향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제1콘트롤러 장치(10)는 휴대가 가능한 전자 장치가 될 수 있고, 선택적으로 웨어러블 전자 장치가 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콘트롤러 장치(10)는 사람의 두부에 착용 가능한 형태가 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제1콘트롤러 장치(10)는 데스크 상에 설치되거나, 벽면 등에 설치되는 장치가 될 수 있다.
상기 제1영상 생성 유닛(21)은 대상체에 대한 제1영상을 생성한다. 상기 제1영상은 대상체에 대한 실사 영상일 수 있는 데, 대상체에 대한 2차원 또는 3차원 영상일 수 있다. 상기 제1영상은 적어도 하나의 정지된 이미지 영상을 포함할 수 있는 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동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영상 생성 유닛(21)은 일반적인 2차원 또는 3차원 카메라 모듈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영상 생성 유닛(21)은 상기 제1콘트롤러 장치(10)에 결합되도록 구비될 수 있는 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제1콘트롤러 장치(10)와 분리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영상 생성 유닛(21)은 사람의 두부에 착용 가능한 형태가 될 수 있는 데, 사람의 눈에 근접하게 위치하는 것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영상 생성 유닛(21)은 착용하는 사람이 보는 것과 동일한 및/또는 유사한 제1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1영상 생성 유닛(21)은 제1콘트롤러 장치(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데, 구체적으로 영상 수신 유닛(12)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는 것은, 유선으로 연결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무선으로 연결되어 신호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포함한다.
상기 제2영상 생성 유닛(22)은 대상체에 대한 제2영상을 생성한다. 상기 제2영상은 대상체에 대한 실사 영상일 있는 데, 대상체에 대한 2차원 또는 3차원 영상일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대상체에 대한 X-ray 영상, CT 영상, 또는 MRI 영상과 같이 대상체에 대한 특수 영상일 수 있다. 상기 제2영상은 적어도 하나의 정지된 이미지 영상을 포함할 수 있는 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동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영상 생성 유닛(22)은 일반적인 2차원 또는 3차원 카메라 모듈이 사용될 수 있는 데, 상기 특수 영상을 생성하기 위해 특수 카메라 모듈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콘트롤러 장치(10)는 디스플레이 유닛(11)을 포함할 수 있는 데,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제1콘트롤러 장치(10)는, 영상 수신 유닛(12), 이미지 센싱 유닛(13), 이미지 비교 유닛(14), 제3영상 생성 유닛(15), 영상 선택 유닛(16) 및 디스플레이 유닛(1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11)은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는 것으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유닛, 무기 발광 디스플레이 유닛 또는 액정 디스플레이 유닛 등 평판 디스플레이 유닛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11)은 사용자에게 직접 영상을 제공하도록, 사용자의 눈에 대향되게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11)은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이 사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11)은 별도의 스크린 및 투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11)은 사용자에게 간접 영상, 예컨대 투사 영상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 때 스크린이 사용자의 눈에 대향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스크린은 불투명 스크린이 사용될 수 있는 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투명 또는 반투과 반반사 스크린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스크린은 플라스틱 또는 글라스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콘트롤러 장치(10)가 사람에게 착용 가능한 구조인 경우에는 상기 스크린은 사람의 눈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스크린은 투명 또는 반투과 반반사 안경이 될 수 있다.
영상 수신 유닛(12)은 상기 제1영상 생성 유닛(2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영상 생성 유닛(21)으로부터 제1영상을 수신한다. 그리고 상기 영상 수신 유닛(12)은 상기 제2영상 생성 유닛(2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2영상 생성 유닛(22)으로부터 제2영상을 수신한다. 상기 영상 수신 유닛(12)은 상기 제1영상 생성 유닛(21) 및/또는 제2영상 생성 유닛(22)과 통신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제1영상 및/또는 제2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 유닛일 수 있다.
상기 제1콘트롤러 장치(10)는 저장 유닛(17)을 더 포함할 수 있는 데, 상기 저장 유닛(17)은 제1저장 유닛(171), 제2저장 유닛(172) 및 제3저장 유닛(17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수신 유닛(12)은 상기 저장 유닛(17)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수신된 제1영상 및 제2영상을 각각 상기 제1저장 유닛(171) 및 제2저장 유닛(172)에 저장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저장 유닛(17)은 상기 제1콘트롤러 장치(10)와 분리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선택적으로 상기 저장 유닛(17)은 제1영상, 제2영상 및 제3영상에 대한 백업 데이터의 저장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는 이하 설명되는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에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이미지 센싱 유닛(13)은 상기 저장 유닛(17)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영상, 제2영상 및 제3영상을 전달받는다. 상기 이미지 센싱 유닛(13)은 제1영상에서 대상체에 대한 제1이미지를 센싱하고, 상기 제2영상에서 상기 대상체에 대한 제2이미지를 센싱한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3영상 생성 유닛(15)으로부터 생성된 제3영상에서 상기 대상체에 대한 제3이미지를 센싱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영상, 제2영상 및 제3영상은 디스플레이 유닛(11)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를 의미하고, 제1이미지, 제2이미지 및 제3이미지는 각각 제1영상, 제2영상 및 제3영상 내에서 상기 대상체에 대한 이미지를 의미할 수 있다.
도 2에서 상기 이미지 센싱 유닛(13)은 저장 유닛(17)을 매개로 영상 수신 유닛(1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선택적으로 상기 이미지 센싱 유닛(13)은 영상 수신 유닛(12)과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이는 이하 설명되는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에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렇게 센싱된 각 이미지는 이미지 비교 유닛(14)에서 비교된다.
상기 이미지 센싱 유닛(13)은 도 3a에서 볼 수 있듯이 지점 검출 유닛(131) 및 위치 산출 유닛(1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점 검출 유닛(131)은 상기 제1영상에서 상기 제1이미지의 제1지점을, 상기 제2영상에서 상기 제2이미지의 제2지점을, 및 제3영상에서 제3이미지의 제3지점을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점, 제2지점 및 제3지점은 각각 대상체의 특정 지점을 의미하며, 제1지점, 제2지점 및 제3지점은 대상체의 동일 지점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위치 산출 유닛(132)은 제1영상 내에서 상기 제1지점의 위치를 산출하고, 제2영상 내에서 상기 제2지점의 위치를 산출하고, 제3영상 내에서 제3지점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위치란 각 영상 내에서의 상기 각 지점의 좌표에 대응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이미지 센싱 유닛(13)과 연결된 이미지 비교 유닛(14)은 각 이미지의 특정 지점의 위치에 의해 각 이미지를 비교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이미지 센싱 유닛(13)은 도 3b에서 볼 수 있듯이 크기 검출 유닛(1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크기 검출 유닛(133)은 상기 제1영상에서 상기 제1이미지의 제1크기, 상기 제2영상에서 상기 제2이미지의 제2크기 및 상기 제3영상에서 상기 제3이미지의 제3크기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크기란 각 이미지의 면적 또는 각 이미지에서 특정 두 지점 사이의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이미지 센싱 유닛(13)과 연결된 이미지 비교 유닛(14)은 각 이미지의 특정 크기에 의해 각 이미지를 비교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이미지 센싱 유닛(13)은 도 3c에서 볼 수 있듯이 지점 검출 유닛(131), 위치 산출 유닛(132) 및 크기 검출 유닛(133)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이미지 센싱 유닛(13)과 연결된 이미지 비교 유닛(14)은 각 이미지의 특정 지점의 위치 및/또는 각 이미지의 특정 크기에 의해 각 이미지를 비교할 수 있다.
제3영상 생성 유닛(15)은 상기 이미지 비교 유닛(14)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이미지를 상기 제1이미지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2영상을 수정해 제3영상을 생성한다.
이 때, 상기 제3영상 생성 유닛(15)은 제3영상을 생성함에 있어, 제2영상의 제2지점의 위치를 제1영상의 제1지점의 위치와 일치시키도록 제2영상을 수정하여 제3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영상 생성 유닛(15)은 제3영상을 생성함에 있어, 제2영상에서 대상체의 제2크기를 제1영상에서 대상체의 제1크기와 일치시키도록 제2영상을 수정하여 제3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영상 선택 유닛(16)은 상기 제3영상 생성 유닛(15) 및 저장 유닛(17)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영상 선택 유닛(16)은 디스플레이 유닛(11)과도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데, 상기 영상 선택 유닛(16)에 의해 디스플레이 유닛(11)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이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영상 선택 유닛(16)은 제1영상 또는 제3영상을 선택하고,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유닛(11)은 제1영상 또는 제3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이미지 센싱 유닛(13), 이미지 비교 유닛(14), 제3영상 생성 유닛(15) 및 영상 선택 유닛(16)의 적어도 일부는 하나의 제어 유닛을 구성할 수 있다. 이는 이하 설명되는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에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2에서 상기 영상 선택 유닛(16)은 저장 유닛(17)을 매개로 영상 수신 유닛(1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선택적으로 상기 영상 선택 유닛(16)은 영상 수신 유닛(12)과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이는 이하 설명되는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에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영상 선택 유닛(16)은 반드시 제1컨트롤러 장치(10)에 포함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컨트롤러 장치(20)에 포함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콘트롤러 장치(10)와 제2콘트롤러 장치(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콘트롤러 장치(10)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달리 영상 선택 유닛(16)을 포함하고 있지 않으며, 다른 구성요소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2콘트롤러 장치(20)는 제2영상 생성 유닛(22) 및 영상 선택 유닛(1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콘트롤러 장치(20)는 사용자가 파지 가능한 바아의 형태가 될 수 있고, 제2영상 생성 유닛(22)은 제2콘트롤러 장치(20)의 첨단에 위치할 수 있다. 특히 제2영상 생성 유닛(22)의 카메라 모듈은 제2콘트롤러 장치(20)의 첨단에서 외측을 촬상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영상 선택 유닛(16)은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조작 유닛(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는 데, 상기 조작 유닛은 상기 제2콘트롤러 장치(20)의 사용자의 파지 위치에 위치할 수 있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조작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제2콘트롤러 장치(20)를 한 손에 파지한 상태에서 영상 선택 유닛(16)의 조작에 의해 디스플레이 유닛(11)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선택할 수 있다.
도 5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구현 방법의 일 실시예를 순차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로, 전술한 바와 같은 실시예들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구현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도 6에서 볼 수 있듯이 제1영상 생성 유닛(21)과 제2영상 생성 유닛(22)이 대상체(30)의 서로 다른 부분을 촬영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제1영상 생성 유닛(21)이 도 7a에서 볼 수 있듯이 대상체(30)에 대한 제1영상(41)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2영상 생성 유닛(22)은 도 7b에서 볼 수 있듯이 대상체(30)에 대한 제2영상(42)을 생성할 수 있다. 제1영상 생성 유닛(21)과 제2영상 생성 유닛(22)은 대상체(30)의 서로 다른 부분을 촬상하고, 대상체(30)와의 거리도 상이하므로, 제1영상(41)과 제2영상(42)에서 대상체(30)의 이미지의 위치 및 크기가 서로 다를 수 있다.
제1콘트롤러 장치(10)의 영상 수신 유닛(12)이 제1영상(41)을 수신한다(S1). 이러한 제1영상은 저장 유닛(17)에 저장될 수 있고, 더욱 구체적으로 제1저장 유닛(171)에 저장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콘트롤러 장치(10)의 이미지 센싱 유닛(13)이 제1영상(41)에서 대상체에 대한 제1이미지(410)를 센싱한다(S2).
이 때, 상기 제1이미지(410)를 센싱하는 단계는, 도 7a 및 도 8a에서 볼 수 있듯이 제1이미지(410)의 제1지점(411)을 검출하고(S21), 이 제1지점(411)의 제1영상(41) 내에서의 위치를 산출하는 것(S22)일 수 있다. 제1지점(411)의 위치는, 제1영상(41)의 가로 가장자리 한 변으로부터 제1지점(411)까지의 거리, 제1영상(41)의 세로 가장자리 한 변으로부터 제1지점(411)까지의 거리로 산출될 수 있는 데, 예를 들어 제1영상(41) 내에서의 좌표값이 될 수 있다. 도면에서 상기 제1지점(411)은 제1이미지(410)의 특정 모서리가 될 수 있는 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제1지점(411)은 제1이미지(410) 내에서 특정 가능한 어느 한 지점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이미지(410)를 센싱하는 단계는, 도 7a 및 도 8b에서 볼 수 있듯이 제1이미지(410)의 제1크기(413)를 검출하는 것(S23)일 수 있다. 제1크기(413)는 제1이미지(410)의 특정 크기가 될 수 있는 데,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지점(411)과 상기 제1지점(411)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지점(412)까지의 거리가 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이미지(410)의 세로 최장 길이, 및 가로 최장 길이와 같이 제1이미지(410)의 크기를 특정하여 나타낼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적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이미지(410)를 센싱하는 단계는, 도 7a 및 도 8c에서 볼 수 있듯이 제1이미지(410)의 제1지점(411)을 검출하고(S21), 이 제1지점(411)의 제1영상(41) 내에서의 위치를 산출하고(S22), 제1이미지(410)의 제1크기(413)를 검출하는 것(S23)일 수 있다. 이 때, 제1크기(413)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반드시 제1지점(411)을 기준으로 한 크기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영상 선택 유닛(16)은 저장 유닛(17), 예컨대 제1저장 유닛(171)으로부터 제1영상을 선택하여 디스플레이 유닛(11)이 도 7a에서 볼 수 있는 제1영상(41)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한다(S3).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영상 선택 유닛(16)은 영상 수신 유닛(12)으로부터 수신된 제1영상을 곧바로 디스플레이 유닛(11)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제1콘트롤러 장치(10)의 영상 수신 유닛(12)이 제2영상(42)을 수신한다(S4). 이러한 제2영상은 저장 유닛(17)에 저장될 수 있고, 더욱 구체적으로 제2저장 유닛(171)에 저장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콘트롤러 장치(10)의 이미지 센싱 유닛(13)이 제2영상(42)에서 대상체에 대한 제2이미지(420)를 센싱한다(S5).
이 때, 상기 제2이미지(420)를 센싱하는 단계는, 도 7b 및 도 9a에서 볼 수 있듯이 제2이미지(420)의 제2지점(421)을 검출하고(S51), 이 제2지점(421)의 제2영상(42) 내에서의 위치를 산출하는 것(S52)일 수 있다. 제2지점(421)의 위치는, 제2영상(42)의 가로 가장자리 한 변으로부터 제2지점(421)까지의 거리, 제2영상(42)의 세로 가장자리 한 변으로부터 제2지점(421)까지의 거리로 산출될 수 있는 데, 예를 들어 제2영상(42) 내에서의 좌표값이 될 수 있다. 도면에서 상기 제2지점(421)은 제2이미지(420)의 특정 모서리가 될 수 있는 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제2지점(421)은 제2이미지(420) 내에서 특정 가능한 어느 한 지점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이미지(420)를 센싱하는 단계는, 도 7b 및 도 9b에서 볼 수 있듯이 제2이미지(420)의 제2크기(423)를 검출하는 것(S53)일 수 있다. 제2크기(423)는 제2이미지(420)의 특정 크기가 될 수 있는 데,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지점(421)과 상기 제2지점(421)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지점(422)까지의 거리가 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2이미지(420)의 세로 최장 길이, 및 가로 최장 길이와 같이 제2이미지(420)의 크기를 특정하여 나타낼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적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2이미지(420)를 센싱하는 단계는, 도 7b 및 도 9c에서 볼 수 있듯이 제2이미지(420)의 제2지점(421)을 검출하고(S51), 이 제2지점(421)의 제2영상(42) 내에서의 위치를 산출하고(S52), 제2이미지(420)의 제2크기(423)를 검출하는 것(S53)일 수 있다. 이 때, 제2크기(423)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반드시 제2지점(421)을 기준으로 한 크기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이미지 비교 유닛(14)은 상기와 같이 센싱된 제1이미지와 제2이미지를 비교한다(S6).
이 때, 상기 제1이미지와 제2이미지가 일치할 경우 이미지 비교 유닛(14)은 영상 선택 유닛(16)을 통해 계속 제1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한다(S3). 그리고 제1이미지와 제2이미지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이미지 비교 유닛(14)은 제3영상 생성 유닛(15)을 통해 상기 제2이미지를 상기 제1이미지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2영상을 수정해 제3영상을 생성하도록 한다(S7).
이 때, 상기 제3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도 7c 및 도 10a에서 볼 수 있듯이 제2지점의 위치를 제1지점의 위치와 일치되도록 이동시켜(S81) 제3이미지(430)의 제3지점(431)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제3이미지(430)의 제3크기(433)는 제2이미지(420)의 제2크기(423)와 같을 수 있다. 제3크기(433)는 제2크기(423)와 대응되는 제3이미지(430)의 특정 크기가 될 수 있는 데,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지점(431)과 상기 제3지점(431)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지점(432)까지의 거리가 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3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도 7d 및 도 10b에서 볼 수 있듯이 제2크기를 제1크기와 일치시켜(S82) 제3이미지(430)의 제3크기(433)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제3이미지(430)의 제3크기(433)는 제1이미지(410)의 제1크기(413)와 같을 수 있다. 제3크기(433)는 제1크기(413)와 대응되는 제3이미지(430)의 특정 크기가 될 수 있는 데,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지점(431)과 상기 제3지점(431)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지점(432)까지의 거리가 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3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도 7e 및 도 10c에서 볼 수 있듯이 제2지점의 위치를 제1지점의 위치와 일치되도록 이동시켜(S81) 제3이미지(430)의 제3지점(431)이 되도록 하고, 제2크기를 제1크기와 일치시켜(S82) 제3이미지(430)의 제3크기(433)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제3이미지(430)의 제3크기(433)는 제1이미지(410)의 제1크기(413)와 같을 수 있다. 제3크기(433)는 제1크기(413)와 대응되는 제3이미지(430)의 특정 크기가 될 수 있는 데,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지점(431)과 상기 제3지점(431)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지점(432)까지의 거리가 될 수 있다.
생성된 제3영상(43)은 저장 유닛(17), 구체적으로 제3저장 유닛(17)에 저장될 수 있다.
이렇게 제3영상(43)이 생성된 경우 영상 선택 유닛(16)은 상기 제1영상(41)에 대신하여 상기 제3영상(43)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한다(S8).
따라서 사용자는 도 7a와 같은 제1영상(41)을 대상체(30)의 일 모습을 관찰하다가 대상체(30)의 다른 모습을 볼 수 있는 도 7b와 같은 제2영상(42)으로 전환할 때에, 제2영상(42)이 도 7c 내지 도 7e와 같은 제3영상(43)으로 변환되어 표시되므로, 제1영상(41)에서의 대상체에 대한 위치감 및/또는 크기감을 그대로 유지한 체 대상체의 다른 모습을 관찰할 수 있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S7단계가 S6단계와 S8단계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S7단계가 S5단계와 S6단계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는 본 명세서의 모든 실시예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1은 실시예들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구현 방법의 다른 일 실시예를 순차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더하여, 제1이미지와 제2이미지를 비교하여(S6), 상기 제2이미지가 제1이미지와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이미지 비교 유닛(14)이 상기 불일치 정도가 허용 가능한 것인지 여부를 판단(S9)한다. 이에 따라 상기 불일치 정도가 허용 가능할 경우에는 상기 제1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3)로 이동하고, 상기 불일치 정도가 허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상기 제3영상을 생성하는 단계(S7)로 이동한다. 이 때,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S9단계가 S6단계와 S7단계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S9단계가 S7단계와 S8단계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는 본 명세서의 모든 실시예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2는 실시예들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구현 방법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순차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에 더하여, 이미지 센싱 유닛(13)이 제3영상에서 대상체에 대한 제3이미지를 센싱한다(S10). 이 때, 상기 제3이미지(430)를 센싱하는 단계는, 도 7c 내지 도 7e에서 볼 수 있듯이 제3이미지(430)의 제3지점(431)을 검출하고, 이 제3지점(431)의 제3영상(43) 내에서의 위치를 산출하고, 및/또는 제3이미지(430)의 제3크기(433)를 검출하는 것일 수 있다. 이 때, 제3지점(431) 및 제3크기(433)는 전술한 바와 같다.
이미지 비교 유닛(14)이 제3이미지(430)를 제1이미지(410)와 비교한다(S11).
이 때, 상기 제3이미지가 제1이미지가 일치할 경우 이미지 비교 유닛(14)은 영상 선택 유닛(16)을 통해 계속 제1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한다(S3). 그리고 제3이미지가 제1이미지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이미지 비교 유닛(14)이 상기 불일치 정도가 허용 가능한 것인지 여부를 판단(S12)한다. 이에 따라 상기 불일치 정도가 허용 가능할 경우에는 상기 제1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3)로 이동하고, 상기 불일치 정도가 허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상기 제3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8)로 이동한다. 도 1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S12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의 경우 도 1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대상체(30)의 일 모습에 대하여 사용자가 제1영상 생성 유닛(21)과 제2영상 생성 유닛(22)으로 촬상하다가, 제2영상 생성 유닛(22)을 움직여 가며 대상체(30)의 다른 모습을 촬상할 때에, 처음에는 제1영상 생성 유닛(21)을 통해 촬상되는 대상체의 제1모습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하다가 특정 시점 이후에는 제2영상 생성 유닛(22)을 통해 촬상되는 대상체(30)의 제2모습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제2영상 생성 유닛(22)을 통해 촬상되는 대상체(30)에 대한 영상을 전술한 바와 같이 제3영상으로 변환시켜 사용자에게 표시하므로, 사용자는 제1영상에서의 대상체에 대한 위치감 및/또는 크기감을 그대로 유지한 체 제3영상에서 대상체의 다른 모습을 관찰할 수 있게 된다.
도 14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웨어러블 장치(50)가 제1콘트롤러 장치(10) 및 제1영상 생성 유닛(21-1,21-2)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콘트롤러 장치(20) 또는 제2영상 생성 유닛(22)은 웨어러블 장치(50)와 분리되며, 제1콘트롤러 장치(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콘트롤러 장치(10)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데, 디스플레이 유닛은 제1디스플레이 유닛(11-1) 및 제2디스플레이 유닛(11-2)으로 분리되어 구비될 수 있다. 제1영상 생성 유닛도 서로 분리되어 있는 제1-1영상 생성 유닛(21-1) 및 제1-2영상 생성 유닛(21-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웨어러블 장치(50)를 눈에 인접하게 착용할 수 있으며, 이 때 제1-1영상 생성 유닛(21-1) 및 제1-2영상 생성 유닛(21-2)은 사용자의 양쪽 눈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1디스플레이 유닛(11-1) 및 제2디스플레이 유닛(11-2)도 각각 사용자의 양쪽 눈에 인접하게 또는 양쪽 눈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눈으로 보는 것과 동일 및/또는 유사한 제1영상을 제1디스플레이 유닛(11-1) 및/또는 제2디스플레이 유닛(11-2)으로 관찰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웨어러블 장치(50)를 착용한 상태에서 제2콘트롤러 장치(20) 또는 제2영상 생성 유닛(22)을 파지한 체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1영상 생성 유닛(21-1) 및 제1-2영상 생성 유닛(21-2)을 통해 자신의 눈으로 보는 것과 동일 및/또는 유사한 제1영상을 관찰하고, 눈으로 볼 수 없는 및/또는 보기 어려운 부분을 제2콘트롤러 장치(20) 또는 제2영상 생성 유닛(22)을 직접 조작하여 관찰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전술한 실시예들에서와 같이 제1영상에서의 대상체에 대한 위치감 및/또는 크기감을 그대로 유지한 체 제3영상에서 대상체의 다른 모습을 관찰할 수 있게 된다.
도 15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14에 도시된 실시예에 더하여, 디스플레이 선택 유닛(18) 및 화면 분할 유닛(1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선택 유닛(18)에 의해 사용자는 제1디스플레이 유닛(11-1)과 제2디스플레이 유닛(11-2) 중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유닛을 선택하여 제1영상 및/또는 제3영상을 관찰할 수 있다. 화면 분할 유닛(19)은 제1디스플레이 유닛(11-1)와 제2디스플레이 유닛(11-2) 중 적어도 하나의 화면을 분할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만일 상기 제1디스플레이 유닛(11-1) 및 제2디스플레이 유닛(11-2)이 반투명 글라스에 영상을 투사하도록 구비되는 경우 사용자는 제1디스플레이 유닛(11-1) 및 제2디스플레이 유닛(11-2)을 통한 영상을 관찰하거나, 글라스를 투과하여 직접 사물을 관찰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사용자는 제1디스플레이 유닛(11-1) 및 제2디스플레이 유닛(11-2)을 통한 영상을 관찰하는 동시에, 글라스를 투과하여 직접 사물을 관찰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제1영상과 제3영상은 사용자에게 선택적으로 제공될 수 있는 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에게 동시에 제공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6)

  1. 대상체에 대한 제1영상을 생성하는 제1영상 생성 유닛;
    상기 제1영상 생성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영상 생성 유닛으로부터 상기 제1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대상체에 대한 제2영상을 수신하는 영상 수신 유닛;
    상기 영상 수신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영상에서 상기 대상체에 대한 제1이미지를 센싱하고, 상기 제2영상에서 상기 대상체에 대한 제2이미지를 센싱하는 이미지 센싱 유닛;
    상기 제1이미지와 상기 제2이미지를 비교하는 이미지 비교 유닛;
    상기 이미지 비교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이미지를 상기 제1이미지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2영상을 수정해 제3영상을 생성하는 제3영상 생성 유닛;
    상기 영상 수신 유닛 및 제3영상 생성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영상 또는 제3영상을 선택하는 영상 선택 유닛; 및
    상기 영상 선택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영상 또는 제3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비된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 센싱 유닛은,
    상기 제1영상에서 상기 제1이미지의 제1크기 및 상기 제2영상에서 상기 제2이미지의 제2크기를 검출하는 크기 검출 유닛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센싱 유닛은,
    상기 제1영상에서 상기 제1이미지의 제1지점 및 상기 제2영상에서 상기 제2이미지의 제2지점을 검출하는 지점 검출 유닛; 및
    상기 제1영상에서 상기 제1지점의 위치 및 상기 제2영상에서 상기 제2지점의 위치를 산출하는 위치 산출 유닛;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영상 생성 유닛은 상기 제2지점의 위치를 상기 제1지점의 위치와 일치시키도록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
  4. 대상체에 대한 제1영상을 생성하는 제1영상 생성 유닛;
    상기 제1영상 생성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영상 생성 유닛으로부터 상기 제1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대상체에 대한 제2영상을 수신하는 영상 수신 유닛;
    상기 영상 수신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영상에서 상기 대상체에 대한 제1이미지를 센싱하고, 상기 제2영상에서 상기 대상체에 대한 제2이미지를 센싱하는 이미지 센싱 유닛;
    상기 제1이미지와 상기 제2이미지를 비교하는 이미지 비교 유닛;
    상기 이미지 비교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이미지를 상기 제1이미지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2영상을 수정해 제3영상을 생성하는 제3영상 생성 유닛;
    상기 영상 수신 유닛 및 제3영상 생성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영상 또는 제3영상을 선택하는 영상 선택 유닛; 및
    상기 영상 선택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영상 또는 제3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비된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 비교 유닛은, 상기 제2이미지가 상기 제1이미지와 일치할 경우 상기 영상 선택 유닛을 통해 제1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하고, 상기 제2이미지가 상기 제1이미지와 일치하지 않을 경우 상기 제3영상 생성 유닛을 통해 상기 제3영상을 생성하도록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영상 생성 유닛은 상기 제2크기를 상기 제1크기와 일치시키도록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센싱 유닛은,
    상기 제1영상에서 상기 제1이미지의 제1크기 및 상기 제2영상에서 상기 제2이미지의 제2크기를 검출하는 크기 검출 유닛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영상을 생성하는 제2영상 생성 유닛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1영상 생성 유닛으로부터 생성된 대상체에 대한 제1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영상에서 상기 대상체에 대한 제1이미지를 센싱하는 단계;
    상기 제1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제2영상 생성 유닛으로부터 생성된 상기 대상체에 대한 제2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영상에서 상기 대상체에 대한 제2이미지를 센싱하는 단계;
    상기 제2이미지를 상기 제1이미지와 비교하는 단계;
    상기 제2이미지를 상기 제1이미지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2영상을 수정해 제3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영상에 대신하여 상기 제3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이미지를 상기 제1이미지와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제2이미지가 상기 제1이미지와 일치할 경우에는 상기 제1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로 이동하고, 상기 제2이미지가 상기 제1이미지와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 상기 제3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로 이동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구현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미지를 센싱하는 단계는,
    상기 제1영상에서 상기 제1이미지의 제1지점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영상에서 상기 제1지점의 위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이미지를 센싱하는 단계는,
    상기 제2영상에서 상기 제2이미지의 제2지점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제2영상에서 상기 제2지점의 위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구현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3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2지점의 위치를 상기 제1지점의 위치와 일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구현 방법.
  11. 제1영상 생성 유닛으로부터 생성된 대상체에 대한 제1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영상에서 상기 대상체에 대한 제1이미지를 센싱하는 단계;
    상기 제1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제2영상 생성 유닛으로부터 생성된 상기 대상체에 대한 제2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영상에서 상기 대상체에 대한 제2이미지를 센싱하는 단계;
    상기 제2이미지를 상기 제1이미지와 비교하는 단계;
    상기 제2이미지를 상기 제1이미지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2영상을 수정해 제3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영상에 대신하여 상기 제3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이미지를 센싱하는 단계는, 상기 제1영상에서 상기 제1이미지의 제1크기를 검출하고,
    상기 제2이미지를 센싱하는 단계는, 상기 제2영상에서 상기 제2이미지의 제2크기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구현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3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2크기를 상기 제1크기와 일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구현 방법.
  13.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미지를 센싱하는 단계는, 상기 제1영상에서 상기 제1이미지의 제1크기를 검출하고,
    상기 제2이미지를 센싱하는 단계는, 상기 제2영상에서 상기 제2이미지의 제2크기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구현 방법.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이미지가 상기 제1이미지와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불일치 정도가 허용 가능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불일치 정도가 허용 가능할 경우에는 상기 제1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불일치 정도가 허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상기 제3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구현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3영상에서 상기 대상체에 대한 제3이미지를 센싱하는 단계; 및
    상기 제3이미지를 상기 제1이미지와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제3이미지를 상기 제1이미지와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제3이미지가 상기 제1이미지와 일치할 경우에는 상기 제1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로 이동하고, 상기 제3이미지가 상기 제1이미지와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 상기 제3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로 이동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구현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3이미지가 상기 제1이미지와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불일치 정도가 허용 가능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불일치 정도가 허용 가능할 경우에는 상기 제1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로 이동하고, 상기 불일치 정도가 허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상기 제3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로 이동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구현 방법.
KR1020150051138A 2015-04-10 2015-04-10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구현 방법 KR1015959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1138A KR101595943B1 (ko) 2015-04-10 2015-04-10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구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1138A KR101595943B1 (ko) 2015-04-10 2015-04-10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구현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5943B1 true KR101595943B1 (ko) 2016-02-19

Family

ID=55448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1138A KR101595943B1 (ko) 2015-04-10 2015-04-10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구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594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4886A (ja) * 1999-09-20 2001-04-06 Canon Inc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及び記憶媒体
KR20010074295A (ko) * 2001-05-04 2001-08-04 박상목 비닐 하우스용 관 체결구
JP2005056295A (ja) * 2003-08-07 2005-03-03 Iwane Kenkyusho:Kk 360度画像変換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4886A (ja) * 1999-09-20 2001-04-06 Canon Inc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及び記憶媒体
KR20010074295A (ko) * 2001-05-04 2001-08-04 박상목 비닐 하우스용 관 체결구
JP2005056295A (ja) * 2003-08-07 2005-03-03 Iwane Kenkyusho:Kk 360度画像変換処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275755A1 (en) Method of interaction by gaze and associated device
JP5762892B2 (ja) 情報表示システム、情報表示方法、及び情報表示用プログラム
US997213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mplementing augmented reality by using transparent display
US20160055330A1 (en) Three-dimensional unlocking device, three-dimensional unlocking method, and program
US11089427B1 (en) Immersive augmented reality experiences using spatial audio
TW201142745A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N104204848B (zh) 具有测距相机的勘测设备
CN108027700A (zh) 信息处理装置
WO2016163183A1 (ja) 没入型仮想空間に実空間のユーザの周辺環境を提示するための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7240996B2 (ja) アイウェア装置を用いた測量システムおよび測量方法
US9658685B2 (en) Three-dimensional input device and input system
US2018031691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N112451962B (zh) 一种手柄控制追踪器
CN110275602A (zh) 人工现实系统和头戴式显示器
CN115735150A (zh) 增强现实眼戴器与3d服装
KR20170011854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구현 방법
TWI793390B (zh) 資訊顯示方法及其處理裝置與顯示系統
WO2014103088A1 (ja) 表示システム及び表示制御方法
JP2017191546A (ja) 医療用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医療用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のプログラムおよび医療用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の制御方法
KR10159594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구현 방법
WO2017163648A1 (ja) 頭部装着装置
JP2020154569A (ja) 表示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表示システム
JP6467039B2 (ja) 情報処理装置
JP2019066196A (ja) 傾き測定装置及び傾き測定方法
JP5861881B2 (ja) 画像合成装置、画像合成方法、プログラム、及び、画像合成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