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1545A - 영상획득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증기 환경에서 영상을 획득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획득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증기 환경에서 영상을 획득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1545A
KR20170011545A KR1020150104328A KR20150104328A KR20170011545A KR 20170011545 A KR20170011545 A KR 20170011545A KR 1020150104328 A KR1020150104328 A KR 1020150104328A KR 20150104328 A KR20150104328 A KR 20150104328A KR 20170011545 A KR20170011545 A KR 201700115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ed air
air
unit
piston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4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49402B1 (ko
Inventor
김종석
장유현
Original Assignee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04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9402B1/ko
Publication of KR20170011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15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9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94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00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with means to keep optical surfaces clean, e.g. by preventing or removing dirt, stains, contamination, conden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2Sensing devices
    • B25J19/021Optical sensing devices
    • B25J19/023Optical sensing devices including video camera mea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9/00Emergency protection arrangemen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reactor, e.g. safety valves provided with pressure equalisation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ultimedia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획득장치에 있어서, 렌즈를 포함하고 있는 카메라 렌즈부, 렌즈의 습증기 제거를 위한 습증기제거부를 포함하고, 습증기제거부는 공기를 압축하여 압축공기를 형성하는 압축공기형성유닛, 압축공기를 가열하여 렌즈에 분사하는 고온공기분사유닛, 압축공기형성유닛 및 고온공기분사유닛에 구동전류를 공급하는 구동유닛 및 구동유닛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증기환경에서 영상을 획득하는 방법에 있어서, 공기를 압축하여 압축공기를 마련하는 단계, 압축공기를 가열하여 가열된 압축공기를 마련하는 단계, 가열된 압축공기를 렌즈에 가하는 단계 및 렌즈를 이용해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영상획득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증기 환경에서 영상을 획득하는 방법{EQUIPMENT FOR IMAGE ACQUISITION AND METHOD FOR IMAGE ACQUISITION UNDER THE STEAM ENVIRONMENT USING THEREOF}
본 발명은 영상 획득 장치 및 증기 환경에서 영상을 획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원자력 발전소에서 원자로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에는, 제어봉 삽입 등을 통해 원자로를 정지시키는데, 그 이후에도 원자로의 파단된 부위에서는 잔열로 인해 증기가 분출될 수 있다. 이를 막기 위해서는 배관의 밸브를 닫아야 하는데, 원격으로 제어 가능한 전동식 밸브와는 달리, 수동식 밸브는 고 방사성 증기로 인해 작업자가 방사성 물질에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가 부착된 로봇이 투입되어 원격으로 제어한다. 이 때, 증기에 의해 렌즈 표면이 흐려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증기 환경에서 사용 가능한 영상 획득 장치가 필요하다.
한국 제2012-20087308호(2013년 12월 06일 공고)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영상 획득 장치 및 증기 환경에서 영상을 획득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영상획득장치에 있어서, 렌즈를 포함하고 있는 카메라 렌즈부, 렌즈의 습증기 제거를 위한 습증기제거부를 포함하고, 습증기제거부는 공기를 압축하여 압축공기를 형성하는 압축공기형성유닛, 압축공기를 가열하여 상기 카메라 렌즈에 분사하는 고온공기분사유닛, 압축공기형성유닛 및 고온공기분사유닛에 구동전류를 공급하는 구동유닛 및 구동유닛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압축공기형성유닛은, 이동에 의해 상기 압축공기형성유닛 내부 공기를 가압하는 피스톤, 피스톤을 감싸고 있는 코일, 상피스톤과 일체로 형성되어있는 자석을 포함하고, 피스톤은 구동유닛으로부터의 구동전류와 코일에 생성되는 자기장과 자석의 상호작용에 의해 이동할 수 있다.
고온공기분사유닛은, 압축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공기유로 및 압축 공기가 가열될 수 있는 히터를 포함하고, 히터는 공기유로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어유닛은 가열된 압축 공기가 단속적으로 공급되도록 구동유닛을 제어할 수 있다.
습증기제거부 일측에 위치하는 가이드 레일을 더 포함하며, 고온공기분사유닛은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증기 환경에서 영상을 획득하는 방법에 있어서, 공기를 압축하여 압축공기를 마련하는 단계, 압축공기를 가열하여 가열된 압축공기를 마련하는 단계, 가열된 압축공기를 렌즈에 가하는 단계 및 렌즈를 이용해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압축공기를 마련하는 단계는, 피스톤의 이동에 의해 이루어지며, 피스톤의 이동은 상기 피스톤을 둘러싼 코일의 자기장과 상기 피스톤과 일체인 자석의 상호작용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증기환경은 원전 사고 시 분출하는 증기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증기 환경에서 영상 획득 장치 및 영상 획득 방법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획득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공기형성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온공기분사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노즐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기 환경에서 영상 획득 장치를 이용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사상이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획득 장치(1) 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영상 획득 장치(1)는 렌즈(101)가 장착된 카메라 렌즈부(10)와, 렌즈(101)에 부착된 습증기를 제거하기 위한 습증기 제거부(20)로 구성되어 있다. 카메라 렌즈부(10)는 렌즈(101)와, 증기 환경에서 렌즈(101)를 보호하기 위해 렌즈(101)를 덮고 있는 커버(103)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 렌즈(101)라 하면, 렌즈(101) 및 렌즈(101)를 덮고 있는 커버(103)를 포함하는 것을 뜻한다.
습증기 제거부(20)는 카메라 렌즈부(10)와 부착되어 있는 습증기 제거부(20) 바디(200)에, 피스톤(212) 및 피스톤(212)을 포함하고 있는 압축공기형성유닛(210), 압축공기형성유닛(210)으로부터 형성된 압축공기가 가열되어 노즐을 통해 렌즈에 분출되는 고온공기분사유닛(220), 압축공기형성유닛(210)과 고온공기분사유닛(220)에 전류를 공급하는 구동유닛(230)과, 구동유닛(230)에서 형성되는 전류가 압축공기형성유닛(210)과 고온공기분사유닛(220)에 단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유닛(240)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습증기 제거부(20)는 고온공기분사유닛(220)의 노즐이 카메라 렌즈부(10)의 렌즈(101)에 압축공기를 분사하기 위해 고온공기분사유닛(220)이 렌즈(101) 앞에 위치하도록 좌우 이 흔들리지 않게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250)을 포함하고 있다.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압축공기형성유닛(210)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축공기형성유닛(210) 내부에는, 이동에 의해 압축공기형성유닛(210)의 내부 공기를 가압하는 피스톤(212), 피스톤(212)을 감싸고 있는 코일(214), 피스톤(212)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자석(213)을 포함하고 있다.
압축공기형성유닛(210) 내부에는 피스톤(212)을 감싸고 있는 코일(214)과 피스톤(212) 사이에는 공기를 포함하고 있는 공기통로(217)가 존재하고, 피스톤(212) 내부에는 이와 연결된 피스톤 내부통로(218)를 포함하는데, 피스톤은 이 공기 통로(217)가 피스톤 내부통로(218)와 연결되도록 피스톤 공기유입구(211)를 더 포함하고 있다. 또한 피스톤(212)은 공기가 피스톤 공기유입구(211)를 통해 유입되어 피스톤 내부통로(218)를 따라 고온공기분사유닛(220)의 압축공기유로(227, 도 3 참조)로 이동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는 피스톤 공기유출구(219)가 존재한다.
여기에서 자석(213)은 자력이 오래 유지되는 영구자석이며, 영구자석의 종류는 제한되지 않는다. 다만, 전류가 흐르는 코일(214)의 자기장에 영향을 받아 피스톤(212)을 이동시킬 수 있다면 다른 많은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페라이트 자석, 알리코 자석, 고무 자석, 사마륨 코발트 자석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자력이 강하고 다양한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며 가격이 저렴한 페라이트 자석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어유닛(240)의 지시에 의해 구동유닛(230)이 형성한 전류가 압축공기형성유닛(210) 내부의 코일(214)에 흐르게 되면, 플레밍의 왼손 법칙에 따라 이 전류와 자석(213)의 힘에 의해서 피스톤(212)이 코일(214)에 흐르는 전류의 수직 방향으로 자기장을 형성하게 되고, 이 자기장에 의해 피스톤(212)이 외부로 움직이게 된다. 따라서 코일(214)은 피스톤(212)이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돕는 방향으로 감겨져 있어야 한다.
이렇게 피스톤(212)이 움직이게 되면, 공기통로(217)의 공간이 좁아지고, 이에 따라 압력이 가해져 압축공기가 형성이 된다. 또한, 이러한 압력 차이에 의해 압축공기는 피스톤 공기유입구(211)로 유입되어 피스톤의 내부통로(218)를 따라 피스톤 공기유출구(219)로 이동하게 된다.
공기통로(217)와 자석(213) 사이, 공기통로(217)와 피스톤(212)이 삽입되는 입구에는 각각 제1 및 제2 오링이 위치하는데, 이것은 압축공기형성유닛(210) 내부 공기통로(217)에서 피스톤(212)이 내부 공기에 압력을 가할 때, 내부 공기통로를 밀폐하도록하여, 압축공기가 더 잘 형성될 수 있도록 돕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압축공기형성유닛(210) 내부의 압축 공기가 구동유닛(230)의 전류와 코일(214) 및 피스톤(212)의 움직임에 따라 형성되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구동유닛(230)이 압축공기형성유닛(210) 내부의 피스톤(212)을 움직일 수 있는 모터를 포함하는 등 다양한 다른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도 3은 도 1에서 도시한 고온공기분사유닛(220)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고온공기분사유닛(220)은 상기 압축공기형성유닛(210)에서 압축공기가 유입할 수 있는 공기유입구(221), 압축공기가 이동하는 압축공기유로(227), 유입된 압축공기가 가열할 수 있도록 돕는 히터(223), 가열된 압축 공기가 분사될 수 있는 노즐과 연결된 공기 유출구(229)를 포함한다. 또한, 고온공기분사유닛(220)이 흔들리지 않고 좌우로 가이드 레일(250)을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고온공기분사유닛(220)과 가이드레일(250) 사이에 가이드핀(224)을 포함하고 있는데, 고온공기분사유닛(220)에는 이 가이드핀(224)이 삽입될 수 있는 홀(225)이 존재한다.
압축공기형성유닛(210)에서 유입된 압축공기가 고온공기분사유닛(220)의 공기유입구(221)로 들어오게 되면, 압축공기유로(227)를 따라 이동하여 히터(223)에 의해 가열되어 고온압축공기를 형성하게 되고, 이렇게 형성된 고온압축공기는 가열공기유로(228)를 따라 이동하여 공기유출구(229)를 통해 노즐(도 4 참조)에 의해 분사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터(223)는 고온공기분사유닛(220)의 내부에 삽입이 가능한 형태로 되어 있어, 고온공기분사유닛(220)을 소형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기에서 히터(22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구동유닛(230)에서 전류를 공급받아 작동하는 전기히터이며,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압축공기를 가열할 수 있는 형태라면 다른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고온공기분사유닛에서 공기가 분출되는 노즐(222)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노즐(222)은 도 3의 고온공기분사유닛(220) 공기 유출구(229)에 부착되며, 홀 모양의 분출구 형태로 제작되어 고온 압축된 공기가 렌즈(101)에 골고루 퍼지도록 한다.
이 때, 노즐(222) 홀의 개수 및 형태는 한정하지 않으나, 다만, 분출된 공기가 렌즈(101)의 습증기를 충분히 제거할 수 있도록 골고루 퍼질 수 있는 개수 및 형태로 형성되어있다. 노즐(222) 홀의 개수는 바람직하게는 2개에서 10개, 더 바람직하게는 3개 내지 5개로 형성되며, 노즐(222) 홀의 분사 형태가 렌즈(101) 크기 전체를 분사하여, 렌즈(101)의 습증기 및 이물질 제거에 충분한 정도라면 다양한 실시예가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증기환경에서 영상 획득 장치(1)를 통해 영상을 획득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이 방법의 단계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다.
제어유닛(240)에 의해 구동유닛(230)에서 형성된 전류를 피스톤(212) 압축공기형성유닛(210)에 공급하어 코일(214)이 여자가 되면, 플레밍의 왼손 법칙에 따라 자석(213)과 코일(214)에 의해 피스톤(212)이 외부로 이동하게 되며, 이때 공기통로(217)의 공기에 압력이 가해지고, 공기는 제1 및 제2 오링(215, 216)에 의해 밀폐되어 더 압축되어 압축공기를 형성한다. 이와 동시에 가이드레일(250)을 따라 고온공기분사유닛(220)이 이동하여, 노즐(222)이 카메라 렌즈(101)에 위치에 놓여있게 된다.
압축공기는 피스톤 공기유출구(219)로 유출된 후 고온공기분사유닛(220)으로 유입되고, 고온공기분사유닛(220)의 압축공기유로(227)를 통해 이동하며, 히터(223)에 의해 가열된다. 가열된 공기는 가열공기유로(228)을 통해 공기 유출구(229)로 유출되며, 노즐(222)을 통해 고온압축공기가 렌즈(101)에 분사된다. 즉, 이렇게 압축된 공기에 의해 렌즈의 이물질이 제거되고, 고온 으로 된 공기에 의해 습증기가 제거된다. 이렇게 이물질과 습증기가 제거된 영상획득장치(1)를 통해, 증기환경에서 영상을 획득할 수 있게 된다.
고온 압축된 공기가 렌즈(101)에 분사된 이후, 제어유닛(240)에 의해 구동유닛(230)의 전류의 방향을 변환하면, 이때에도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따라 피스톤(212)은 압축공기형성유닛(210) 안쪽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에 부착된 고온공기분사유닛(220)도 함께 이동하게된다. 이렇게 피스톤(212)이 움직이게 되면, 공기통로(217)의 압력이 낮아지고, 이 압력 차이에 따라 공기가 유입된다. 이 공기는 다음 분사 시에 사용된다. 이와 동시에, 제어유닛(240)과 구동유닛(230)에 의해 고온공기분사유닛(220)의 히터(223)의 전원도 차단이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증기 환경에서 영상 획득 장치(1)는 습증기 제거부(20)에서 공기를 고온 압축하여 렌즈(101)에 분사함으로써, 렌즈(101) 표면의 이물질 및 습증기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압축 공기는 코일(214)과 자석(213)이라는 단순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히터(223)를 고온공기분사유닛(220) 내부에 설치할 수 있다면, 소형으로도 제작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 방법은 원자력발전소의 고방사선 구역에 투입되는 카메라가 원자력발전소 사고 환경 뿐 아니라 증기 환경에서 시야를 확보하여 영상 획득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로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8)

  1. 영상획득장치에 있어서,
    카메라 렌즈를 포함하고 있는 렌즈부;
    상기 카메라 렌즈의 습증기 제거를 위한 습증기제거부;
    를 포함하고,
    상기 습증기제거부는,
    공기를 압축하여 압축공기를 형성하는 압축공기형성유닛;
    상기 압축공기를 가열하여 상기 렌즈에 분사하는 고온공기분사유닛;
    상기 압축공기형성유닛 및 상기 고온공기분사유닛에 구동전류를 공급하는 구동유닛;및
    상기 구동유닛을 제어하는 제어유닛;
    을 포함하는 영상획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공기형성유닛은,
    이동에 의해 상기 압축공기형성유닛 내부 공기를 가압하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을 감싸고 있는 코일;
    상기 피스톤과 일체로 형성되어있는 자석;
    을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은 상기 구동유닛으로부터 구동전류를 전달받아 상기 코일에 생성되는 자기장과 상기 자석의 상호작용에 의해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획득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온공기분사유닛은,
    상기 압축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공기유로; 및
    상기 압축 공기가 가열될 수 있는 히터;
    를 포함하고,
    상기 히터는 상기 공기유로 내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획득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가열된 압축 공기가 단속적으로 공급되도록 상기 구동유닛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획득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습증기제거부 일측에 위치하는 가이드 레일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고온공기분사유닛은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획득장치.
  6. 증기 환경에서 영상을 획득하는 방법에 있어서,
    공기를 압축하여 압축공기를 마련하는 단계;
    상기 압축공기를 가열하여 가열된 압축공기를 마련하는 단계;
    상기 가열된 압축공기를 렌즈에 가하는 단계;및
    상기 렌즈를 이용해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증기 환경에서 영상을 획득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공기를 마련하는 단계는,
    피스톤의 이동에 의해 이루어지며,
    상기 피스톤의 이동은 상기 피스톤을 둘러싼 코일의 자기장과 상기 피스톤과 일체인 자석의 상호작용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환경에서 영상을 획득하는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환경은 원전 사고 시 분출하는 증기에 의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환경에서 영상을 획득하는 방법.
KR1020150104328A 2015-07-23 2015-07-23 영상획득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증기 환경에서 영상을 획득하는 방법 KR1017494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4328A KR101749402B1 (ko) 2015-07-23 2015-07-23 영상획득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증기 환경에서 영상을 획득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4328A KR101749402B1 (ko) 2015-07-23 2015-07-23 영상획득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증기 환경에서 영상을 획득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1545A true KR20170011545A (ko) 2017-02-02
KR101749402B1 KR101749402B1 (ko) 2017-06-20

Family

ID=58151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4328A KR101749402B1 (ko) 2015-07-23 2015-07-23 영상획득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증기 환경에서 영상을 획득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940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2454454U (zh) 2012-03-09 2012-09-26 北京科锐配电自动化股份有限公司 一种简易式直线传动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2092B1 (ko) * 2006-03-21 2007-02-12 주식회사 포스코 가열로용 렌즈 보호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2454454U (zh) 2012-03-09 2012-09-26 北京科锐配电自动化股份有限公司 一种简易式直线传动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9402B1 (ko) 2017-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06856B2 (en) Flashlamp cartridge for removable connection to a socket
AU2017263073A1 (en) Apparatus for heating smokable material
KR101749402B1 (ko) 영상획득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증기 환경에서 영상을 획득하는 방법
WO2011134970A1 (de) Verfahren zur maschinellen reinigung und desinfektion von gegenständen
CN109855894A (zh) 一种能模拟矿井复杂耦合环境的设备性能检验装置及方法
CA2717404C (en) Reticulated flash prevention plug
CA2791772C (fr) Aeronef muni d'un systeme de flottabilite d'un element tournant
US20100133262A1 (en) Shrinking coil with direct tool cooling
US20190267147A1 (en) Method for dismantling a steam generator or heat exchanger, in particular a steam generator or heat exchanger of a nuclear power plant
WO2008071193A1 (en) Method and system for killing lice and nits
CN107847292B (zh) 具有清洁的连接系统
JP6071429B2 (ja) 内視鏡用冷却装置
EP2874546B1 (en) Apparatus for treatment of cavities in a human body
EP2642353A3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521490B1 (ko) 밸브세정장치 및 밸브세정방법
WO2018143319A1 (ja) ノズル式電子線照射装置
EP2934608B1 (en) Sterilisation machine for reprocessing an endoscope
KR20140062361A (ko) 냉각 효율 개선을 위한 몰드변압기
JP2010181221A (ja) 結露試験装置
KR102034117B1 (ko) 개방형 애완동물 건조장치
KR20150006410A (ko) 밸브세정장치 및 밸브세정방법
JP2005063710A (ja) 端子圧着装置
JP2005052720A (ja) 洗浄装置および洗浄方法
KR101717384B1 (ko) 자성 나노 입자, 이를 이용하는 방사성 물질 제거 장치 및 시스템
KR101389168B1 (ko) 열풍 건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