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1476A - 단말기와 상호 연동이 가능한 전자칠판 - Google Patents

단말기와 상호 연동이 가능한 전자칠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1476A
KR20170011476A KR1020150104165A KR20150104165A KR20170011476A KR 20170011476 A KR20170011476 A KR 20170011476A KR 1020150104165 A KR1020150104165 A KR 1020150104165A KR 20150104165 A KR20150104165 A KR 20150104165A KR 20170011476 A KR20170011476 A KR 201700114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creen
electronic
display
tou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4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대규
Original Assignee
최대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대규 filed Critical 최대규
Priority to KR1020150104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11476A/ko
Publication of KR20170011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14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awing Aids And Black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단말기와 상호 연동이 가능한 전자칠판은 디스플레이를 갖는 단말기로부터 상기 단말기의 비디오 정보를 제공받아 전자칠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전자칠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 내에서의 사용자 입력을 통하여 상기 단말기의 기능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단말기와 상호 연동이 가능한 전자칠판은 전자칠판과 단말기를 연동하여 단말기의 다양한 기능을 전자칠판 내의 가상 윈도우를 통해 실행시킬 수 있다. 또한, 전자칠판의 화면을 단말기에 표시함으로써 전자칠판의 기능을 연동하여 대화면의 전자칠판을 소형의 단말기를 통해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단말기와 상호 연동이 가능한 전자칠판{ELECTRIC BOARD FOR MUTUAL CONNECTION WITH TERMINALS}
본 발명은 전자칠판에 관한 것으로, 단말기와 상호 연동이 가능하여 단말기의 기능을 전자칠판 내에서 수행할 수 있는 단말기와 상호 연동이 가능한 전자칠판에 관한 것이다.
수업 환경이 많이 개선되어 비디오 시스템을 활용한다든가, 교과목 특성에 맞는 교실로의 이동 수업도 비일비재하다. 최근에는 학급당 학생 수가 30명 내외로 줄어들면서 교실에 컴퓨터가 설치되는 등 더욱 첨단화되고 있다. 그리고, 교실 첨단화 중심에는 교사와 학생들 간의 동적 상호작용(dynamic interaction)을 유도하는 전자칠판이 있다. 전자칠판이란, 보통 70~100인치 되는 FPD(Flat Panel Display) 패널 또는 화이트보드와 결합되어 직간접적으로 화면 상의 터치를 인식하는 영상장치다. 우리나라는 전자칠판이 2000년대 초에 도입되어 현재 전국 초중고 학교의 약 60%가 3~4개의 전자칠판을 보유하고 있다.
전자칠판은 광원의 위치에 따라 FPD 일체형, 전면투사형, 후면투사형으로 구분된다. 이 중 후면투사형은 패널 뒤에 일정 공간을 확보해야 하는 단점 때문에 다른 두 형태에 비해 많이 쓰이지는 않는다. FPD 일체형은 LCD 또는 LED 패널에 터치 센서를 모서리에 부착한 것으로 광원이 패널에 내장된 형태다. 국내에는 30여 개의 중소기업이 생산하고 있다. 전면투사형은 광원이 화이트보드 상단 전면에 위치한 것으로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유통되는 제품 형태이다. 한편 전면투사형이면서 가격이 저렴한 바(bar)타입이 있는데, 기존의 전면투사형 제품은 터치를 인식하기 위해 전자기장 보드를 필요로 하는 반면, 바타입 제품은 벽면, 칠판 등 평평한 곳은 어디서나 사용이 가능하여 이동성이 뛰어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전자칠판은 스마트폰, 테블릿과 같은 단말기와 연동하여 단말기에 나타나는 화면을 연동하여 전자칠판에 가상화면을 표시하고, 그 가상화면에 의해 단말기의 기능을 실행하는 것에 있어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기와 전자칠판의 기능을 연동하여, 전자칠판 내에 단말기의 화면과 동일한 가상 윈도우를 표시하고, 이러한 가상 윈도우에서 발생되는 터치에 의해 단말기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어, 보다 활용도 높은 단말기와 상호 연동이 가능한 전자칠판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자칠판의 화면을 단말기에 표시함으로써, 전자칠판의 기능을 소형의 단말기를 통해 제어하는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은 단말기와 상호 연동이 가능한 전자칠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단말기와 상호 연동이 가능한 전자칠판은 디스플레이를 갖는 단말기로부터 상기 단말기의 비디오 정보를 제공받아 전자칠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전자칠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 내에서의 사용자 입력을 통하여 상기 단말기의 기능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전자칠판 및 상기 단말기는 연동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전자칠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 내에서의 사용자 입력을 통하여 상기 단말기의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 입력은 오브젝트에 의한 터치 입력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입력은 절연된 와이어를 센싱라인으로 갖는 터치패널에 의해 감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전자칠판의 디스플레이로부터 상기 전자칠판의 비디오 정보를 제공받아 디스플레이를 갖는 단말기에 표시하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상기 전자칠판의 화면 내에서의 사용자 입력을 통하여 상기 전자칠판의 기능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전자칠판 및 상기 단말기는 연동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상기 전자칠판의 디스플레이 화면 내에서의 사용자 입력을 통하여 상기 전자칠판의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 입력은 오브젝트에 의한 터치 입력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입력은 절연된 와이어를 센싱라인으로 갖는 터치패널에 의해 감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단말기와 상호 연동이 가능한 전자칠판은 전자칠판과 단말기를 연동하여 단말기의 다양한 기능을 전자칠판 내의 가상 윈도우를 통해 실행시킬 수 있다.
또한, 전자칠판의 화면을 단말기에 표시함으로써 전자칠판의 기능을 연동하여 대화면의 전자칠판을 소형의 단말기를 통해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디스플레이 일체형 전자칠판과 프로젝션형 전자칠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단말기와 연동된 전자칠판의 실행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전자칠판과 연동된 단말기의 실행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전자칠판이 단말기와 연동되는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단말기가 전자칠판과 연동되는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전자칠판에 단말기가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전자칠판에 단말기가 장착되어 영상통화 기능을 실행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판서보드와 화이트보드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센싱라인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 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디스플레이 일체형 전자칠판과 프로젝션형 전자칠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전자칠판은 디스플레이 일체형 전자칠판(26) 또는 프로젝션형 전자칠판(30)이다. 디스플레이 일체형 전자칠판(26)은 디스플레이 패널을 갖는 판서보드(25)를 포함하며, 여기서 판서보드(25)는 절연된 와이어를 센싱라인으로 갖는 터치패널, 정전용량 터치패널, 적외선 방식 터치패널 등 다양한 방식의 터치패널이 적용되어 터치에 의한 판서가 가능하다. 또한 손(11) 또는 스타일러스(미도시)에 의해 판서가 가능하다. 프로젝션형 전자칠판(30)은 빔 프로젝터(28)에 의해 비디오 정보를 화이트보드(35)에 조사하고, 화이트보드(35)에 절연된 와이어를 센싱라인으로 갖는 터치패널, 정전용량 터치패널, 적외선 방식 터치패널 등 다양한 방식의 터치패널이 적용되어 손(11), 스타일러스(미도시), 레이저 포인터(32)등에 의해 터치 또는 판서가 가능하다. 여기서 레이저 포인터(32) 등의 원격에서의 광 터치에 대한 판서는 예를 들어 카메라 또는 적외선 방식 등의 터치감지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화이트보드(35)는
도 2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전자칠판은 터치패널(40), 호스트(50), 전자칠판 메모리(60), 단말기(16) 및 단말기 메모리(62)를 포함한다. 터치패널(40)은 디스플레이 패널(58) 또는 화이트보드의 판서패널 전면 또는 후면에 배치되어 터치에 의한 판서를 가능하게 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패널(58)이 생략되고, 빔 프로젝터를 이용해 화면정보를 화이트보드에 조사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도 있다. 터치패널(40)에 적용되는 터치방식은 적외선방식, 정전용량 방식, 저항막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이며, 특히 절연된 와이어를 센싱라인으로 갖는 터치패널을 이용하여 보다 낮은 가격에 대면적의 전자칠판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전자칠판 입력수단은 터치패널을 이용한 터치 입력수단 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마우스, 키보드 등의 비터치 입력수단일 수 있다.
터치패널(40)을 포함하는 판서보드 또는 화이트보드는 호스트(50)에 연결된다.
호스트(50)는 전자칠판과 단말기(16)의 기능을 연동하고, 키보드(91), 마우스(93), 스피커(95), 마이크(97) 등의 입출력 수단을 제어한다. 여기서 호스트(50)는 전자칠판에 칩 형태로 내장되거나, 전자칠판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PC, 테블릿 등의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젝션형 전자칠판의 경우, 판서스크린에 PC 또는 미니PC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판서스크린의 뒷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호스트(50)는 통신부를 포함하여 인터넷의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호스트(50)는 단말기(16)와 연동하며, 예를 들어 단말기(16)가 스마트폰인 경우, 이동통신망과의 연결을 가능하게 하여 전자칠판을 통해 일반적인 음성통화는 물론, 전자칠판의 대화면을 통한 영상통화 또한 가능하여 화상회의 등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호스트(50)는 전자칠판 메모리(60)에 전자칠판 운영프로그램(64) 및 호스트용 연동프로그램(68)을 저장한다. 전자칠판 운영프로그램(64)은 전자칠판의 판서기능을 가능하게 하는 프로그램이다.
호스트용 연동프로그램(68)은 전자칠판과 단말기(16)를 연동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전자칠판에 단말기(16)의 화면과 동일한 가상 윈도우를 표시하고, 단순히 단말기(16)의 화면을 전자칠판에 표시하는 것이 아닌, 단말기(16)의 기능을 전자칠판에서 터치함으로써 실행할 수 있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전자칠판의 화면을 단말기(16)에 표시하여 단말기(16)내에서 터치함으로써 전자칠판의 기능, 예를 들어 판서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여기서 가상 윈도우는 전자칠판 내에서 단말기(16)의 화면과 같은 터치 좌표를 갖는 영역을 의미한다.
호스트(5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단말기(16)와 연결된다. 단말기(16)는 예를 들어 스마트폰일 수 있다. 그러나 단말기(16)의 종류는 이에 국한되는 것이 아닌 다양한 장치로써 대체될 수 있다. 단말기(16)는 단말기 메모리(62)에 단말기용 연동프로그램(66)을 저장한다. 단말기용 연동프로그램(66)은 전자칠판과 단말기(16)를 연동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전자칠판에 단말기(16)의 화면과 동일한 가상 윈도우를 표시하여 단말기(16)의 기능을 전자칠판에서 터치함으로써 실행할 수 있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전자칠판의 화면을 단말기(16)에 표시하여 단말기(16)내에서 터치함으로써 전자칠판의 기능, 예를 들어 판서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자칠판은 전자칠판을 통한 강의 혹은 회의 중에 단말기(16)에 직접 터치를 하지 않아도 전자칠판 내에 단말기(16)의 화면정보를 표시한 가상 윈도우에서 터치를 통한 기능 실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대면적의 화면을 갖는 전자칠판을 비교적 작은 면적의 화면을 갖는 단말기(16) 내에서의 터치에 의해 제어가 가능하므로 어떠한 기능을 수행하거나, 판서를 할 경우 전자칠판의 넓은 면적을 이동하며 터치할 필요가 없다.
도 3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전자칠판(100)은 터치패널(40), 터치 컨트롤러(49), 호스트(50), 디스플레이 패널(58), 입력부(98), 출력부(90) 및 단말기(16)를 포함한다. 터치패널(40)은 본 발명의 판서보드 또는 판서스크린의 후면 또는 전면에 배치되어 터치에 의한 판서를 가능하게 한다. 터치패널(40)은 오브젝트 즉, 손, 스타일러스 등의 터치 입력을 받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패널(40)에 적용되는 터치방식은 적외선방식, 정전용량 방식, 저항막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이며, 특히 절연된 와이어를 센싱라인으로 갖는 터치패널을 이용하여 보다 낮은 가격에 대면적의 전자칠판을 구현할 수 있다. 터치패널(40)은 터치 컨트롤러(49)에 연결되고, 터치 컨트롤러(49)는 터치패널(40)의 동작을 제어한다. 여기서 터치 컨트롤러(49)는 호스트(50)에 포함될 수 있다.
호스트(50)는 터치 컨트롤러(49)로부터 터치 입력을 전달 받는다. 호스트(50)는 입출력기(52), 중앙처리장치(56)(CPU), 메모리(60), 비디오 컨트롤러(54) 및 통신부(65)를 포함한다. 입출력기(52)는 시스템의 입출력을 제어한다. 중앙처리장치(56)(CPU)는 터치패널(40)을 포함하는 전자칠판(100)의 시스템 전체를 제어한다. 메모리(60)는 단말기용 연동프로그램(66), 전자칠판 운영프로그램(64), 터치 드라이버(69) 및 시스템 운영프로그램(67)를 포함한다. 전자칠판 운영프로그램(64)은 전자판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터치 드라이버(69)는 터치패널(40)이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시스템 운영프로그램(67)(OS)는 전체 시스템을 제어, 관리 및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비디오 컨트롤러(54)는 중앙처리장치(56)(CPU)에 연결되어 영상을 디스플레이 패널(58)에 표시하거나 프로젝터로 표시할 수 있다. 통신부(65)는 전자칠판(100)을 인터넷에 연결하여 예를 들어 웹브라우징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입력부(98)는 키보드, 마우스, 마이크 등 전자칠판(100)에 입력되는 모든 수단을 의미한다. 출력부(90)는 스피커, 프린터 및 빔 프로젝터 등 전자칠판(100)으로부터 출력되는 모든 수단을 의미한다. 단말기(16)는 예를 들어 스마트폰일 수 있다. 그러나 단말기(16)의 종류는 이에 국한되는 것이 아닌 다양한 장치로써 대체될 수 있다. 단말기(16)는 전자칠판(100)과 연동하여 단말기(16)의 기능을 전자칠판(100)에서 실행할 수 있도록 하거나, 단말기(16)에서 전자칠판(100)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단말기와 연동된 전자칠판의 실행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전자칠판 실행화면(70)은 단말기 실행화면(80)과 동일한 화면정보를 표시한다. 가상 윈도우(72)는 이와 같이 단말기 실행화면(80)과 동일하게 전자칠판 실행화면(70)에 표시된 것을 의미한다. 가상 윈도우(72)를 표시하는 단말기 연동프로그램이 전자칠판의 모든 기능에 있어서 가장 우선순위로 실행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프로그램(소프트웨어)의 계층구조는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말기(16)와 전자칠판이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되어 가상 윈도우(72)가 활성화되면, 가상 윈도우(72) 내의 터치좌표와 단말기(16) 내의 터치좌표를 동기화하여 가상 윈도우(72)내에서 일어나는 터치 위치를 단말기(16) 내에서 일어나는 터치 위치로 인식하여 해당 터치입력을 받아들여, 예를 들어 전자칠판의 가상 윈도우(72)에서의 통화 아이콘(73)을 터치하면 단말기(16)의 통화 아이콘(73a)을 터치한 것과 같이 인식하고, 이에 따라 음성통화 기능을 실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전자칠판 사용 중에 단말기(16)를 직접 터치하지 않고, 전자칠판 내의 가상 윈도우(72)를 터치함으로써 단말기(16)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전자칠판과 연동된 단말기의 실행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단말기 실행화면(80)은 전자칠판 실행화면(70)과 동일한 화면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전자칠판 실행화면(70)에서 판서를 하기위한 프로그램이 실행 중일 경우, 칼라 팔레트(86)와 전자칠판 제어 툴바(88)가 단말기 실행화면(80)에서도 동일하게 칼라 팔레트(85)와 전자칠판 제어 툴바(87)가 된다. 따라서 대면적의 전자칠판을 단말기(16)로 제어가 가능하여 대화면의 전자칠판을 이동하며 판서를 하거나 어떠한 기능을 실행하지 않고, 간단하게 단말기(16)를 통해 전자칠판을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전자칠판 및 단말기의 연동은 상호 연동이 아닌 단방향의 연동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의 화면을 전자칠판에 표시하고, 표시된 화면을 터치하여 단말기를 제어하는 것, 그리고 전자칠판의 화면을 단말기에 표시하고, 표시된 화면을 터치하여 전자칠판을 제어하는 것 둘 중 어느 하나의 기능만 실행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전자칠판이 단말기와 연동되는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전자칠판은 먼저, 단말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호스트용 및 단말기용 연동프로그램이 실행되어 전자칠판과 단말기의 연동을 시작한다. 단말기의 화면데이터 전자칠판에 전송단계(S100)는 단말기에 표시되는 화면데이터를 전자칠판에 전송하는 단계이다. 전자칠판 화면에 단말기와 연동된 가상화면 표시단계(S110)는 전자칠판에 단말기와 동일한 화면을 갖는 가상화면, 즉 가상 윈도우를 표시하여 가상 윈도우의 영역과 단말기의 화면영역을 동기화 시키고 터치입력을 대기하는 단계이다. 가상화면에 터치 입력단계(S120)는 가상화면 즉, 가상 윈도우에 오브젝트에 의한 터치가 입력되는 단계이다. 가상화면에서의 해당 위치정보 단말기에 전송단계(S130)는 가상화면 즉, 가상 윈도우에 터치가 입력되면, 그에 해당하는 위치정보를 단말기에 전송하여, 가상 윈도우에서 터치가 발생한 위치를 단말기의 해당 위치로 인식하여 전자 판서, 아이콘 터치에 의한 해당 기능실행 등의 동작이 이루어지는 단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단말기가 전자칠판과 연동되는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전자칠판은 먼저, 단말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호스트용 및 단말기용 연동프로그램이 실행되어 전자칠판과 단말기의 연동을 시작한다. 전자칠판의 화면데이터 전자칠판에 전송단계(S200)는 전자칠판에 표시되는 화면데이터를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이다. 단말기의 화면에 전자칠판과 연동된 화면 표시단계(S210)는 단말기에 전자칠판과 동일한 화면을 갖는 화면을 표시하여 전자칠판의 화면영역과 단말기의 화면영역을 동기화 시키고 터치입력을 대기하는 단계이다. 단말기 화면에 터치 입력단계(S220)는 단말기 화면에 오브젝트에 의한 터치가 입력되는 단계이다. 단말기 화면에서의 해당 위치정보 전자칠판에 전송단계(S230)는 단말기에 터치가 입력되면, 그에 해당하는 위치정보를 전자칠판에 전송하여, 단말기에서 터치가 발생한 위치를 전자칠판의 해당 위치로 인식하여 전자 판서, 아이콘 터치에 의한 해당 기능실행 등의 동작이 이루어지는 단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전자칠판에 단말기가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전자칠판에 단말기가 장착되어 영상통화 기능을 실행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전자칠판(100)은 단말기(16)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21)를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전자칠판(100)의 상단 중앙에 거치대(21)가 배치되고, 거치대에 단말기(16)가 장착되어 전자칠판(100)과 연결된다. 여기서 거치대(21)는 단순히 단말기(16)를 물리적으로 거치하기 위한 수단이며, 무선으로 전자칠판(100)과 연결되거나, 거치대(21)의 내부에 커넥팅 단자를 포함하고 있어, 전자칠판(100) 내부로 유선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영상통화 기능을 실행할 때 단말기(16)를 거치대(21)에 장착하고, 이때 단말기(16)의 카메라, 스피커 및 마이크를 통해 영상통화를 실행할 수 있다. 또는 카메라는 단말기(16)의 카메라를 이용하되, 별도로 전자칠판과 연결된 스피커 및 마이크를 통해 영상통화를 실행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판서보드와 화이트보드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판서보드(25)는 판서패널(31), 디스플레이 패널(58), 터치패널(40) 및 후면패널(51)로 구성된다. 디스플레이 패널(58)은 손(11) 또는 스타일러스(13) 등의 오브젝트에 의해 판서되는 면을 형성한다. 여기서 오브젝트는 손(11) 또는 스타일러스(13)이거나, 둘 다 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58)는 본 발명의 전자칠판의 실행화면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 패널(58)의 후면에는 터치패널(40)이 결합된다. 터치패널(40)은 센서 플레이트(48) 및 터치감지를 위한 복수개의 센싱라인들로 구성된다. 여기서 센싱라인들은 예를 들어 Y, X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제1 센싱라인(42) 및 제2 센싱라인(44)이다. 터치패널(40)은 센서 플레이트(48)의 일면에 접착층(46)을 형성한 후 Y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X축 방향으로 나열된 복수 개의 제1 센싱라인(42)을 접착하고, X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Y축 방향으로 나열된 복수 개의 제2 센싱라인(44)을 접착하여 형성된다. 복수 개의 제1 및 제2 센싱라인(42, 44)은 센서 플레이트(48)의 동일면 또는 서로 다른면에 형성된다. 복수 개의 제1 및 제2 센싱라인(42, 44)은 와이어 형상으로 유연한 구조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X, Y 좌표를 이용하여 터치위치를 감지할 수 있으나, 다양한 형태로 센싱라인을 배치하여 터치좌표를 검출할 수 있다. 터치패널(40)의 후면에는 터치패널(40)이 노출되지 않도록 후면패널(51)이 더 구비될 수 있다.
화이트보드(35)는 판서패널(31) 및 터치패널(40)로 구성된다. 화이트보드(35)는 빔 프로젝터에 의해 조사되는 영상을 표시하며 터치에 의한 전자판서를 실행하거나 빔 프로젝터의 전원이 켜져있지 않을 경우에는 일반적인 마커펜에 의해 판서할 수 있는 화이트보드로써 기능할 수 있다. 또한 화이트 보드(35)는 천과 같은 유연한 소재로 천장이나 벽에 설치되어 빔 프로젝터로부터 송출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터치패널(40)은 판서보드(25)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된다.
도 11은 센싱라인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여, 제1 및 제2 센싱라인(42, 44)은 신호전송라인(41)과 절연층(43)으로 구성된다. 신호전송라인(41)은 도전성 물질로, 전기적 신호가 전달된다. 절연층(43)은 신호전송라인(41)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신호전송라인(41)을 전기적으로 절연하는 기능을 한다. 제1 및 제2 센싱라인(42, 44)은 접착층(46)에 의해 센서 플레이트(48)에 접착될 수도 있고, 절연층(43)의 외주면에 접착액을 바른 상태에서 센서 플레이트(48)에 접착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단말기와 상호 연동이 가능한 전자칠판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럼으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1 : 손 13 : 스타일러스
16 : 단말기 21 : 거치대
25 : 판서보드 26 : 디스플레이 일체형 전자칠판
28 : 빔 프로젝터 30 : 프로젝션형 전자칠판
31 : 판서패널 32 : 레이저 포인터
35 : 화이트보드 40 : 터치패널
41 : 신호전송라인 42 : 제1 센싱라인
43 : 절연층 44 : 제2 센싱라인
46 : 접착층 48 : 센서 플레이트
49 : 터치 컨트롤러 50 : 호스트
51 : 후면패널 52 : 입출력기
54 : 비디오 컨트롤러 56 : 중앙처리장치
58 : 디스플레이 패널 60 : 전자칠판 메모리
62 : 단말기 메모리 64 : 전자칠판 운영프로그램
65 : 통신부 66 : 단말기용 연동프로그램
67 : 시스템 운영프로그램 68 : 호스트용 연동프로그램
69 : 터치 드라이버 70, 70a : 전자칠판 실행화면
72, 72a : 가상 윈도우 73, 73a : 통화 아이콘
80, 80a : 단말기 실행화면 85, 86 : 칼라 팔레트
87, 88, 88a : 전자칠판 제어 툴바 90 : 출력부
91 : 키보드 93 : 마우스
95 : 스피커 97 : 마이크
98 : 입력부 100, 100a : 전자칠판

Claims (8)

  1. 디스플레이를 갖는 단말기로부터 상기 단말기의 비디오 정보를 제공받아 전자칠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전자칠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 내에서의 사용자 입력을 통하여 상기 단말기의 기능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와 상호 연동이 가능한 전자칠판.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칠판 및 상기 단말기는 연동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전자칠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 내에서의 사용자 입력을 통하여 상기 단말기의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와 상호 연동이 가능한 전자칠판.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은 오브젝트에 의한 터치 입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와 상호 연동이 가능한 전자칠판.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은 절연된 와이어를 센싱라인으로 갖는 터치패널에 의해 감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와 상호 연동이 가능한 전자칠판.
  5. 전자칠판의 디스플레이로부터 상기 전자칠판의 비디오 정보를 제공받아 디스플레이를 갖는 단말기에 표시하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상기 전자칠판의 화면 내에서의 사용자 입력을 통하여 상기 전자칠판의 기능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와 상호 연동이 가능한 전자칠판.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칠판 및 상기 단말기는 연동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상기 전자칠판의 디스플레이 화면 내에서의 사용자 입력을 통하여 상기 전자칠판의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와 상호 연동이 가능한 전자칠판.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은 오브젝트에 의한 터치 입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와 상호 연동이 가능한 전자칠판.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은 절연된 와이어를 센싱라인으로 갖는 터치패널에 의해 감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와 상호 연동이 가능한 전자칠판.
KR1020150104165A 2015-07-23 2015-07-23 단말기와 상호 연동이 가능한 전자칠판 KR201700114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4165A KR20170011476A (ko) 2015-07-23 2015-07-23 단말기와 상호 연동이 가능한 전자칠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4165A KR20170011476A (ko) 2015-07-23 2015-07-23 단말기와 상호 연동이 가능한 전자칠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1476A true KR20170011476A (ko) 2017-02-02

Family

ID=58151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4165A KR20170011476A (ko) 2015-07-23 2015-07-23 단말기와 상호 연동이 가능한 전자칠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1147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19104B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US20140285453A1 (en)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haptic effect
CN108733296B (zh) 书写笔迹的擦除方法、装置和设备
KR20140046345A (ko)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툴 제공 방법
US20170038896A1 (en) Electric white board and control method therof
CN103809792A (zh) 触控显示器
WO2014042258A1 (ja) 表示装置、携帯端末、モニター、テレビジョンおよび表示装置の制御方法
KR102165448B1 (ko) 중첩된 투명 디스플레이 및 그 제어 방법
CN104423687A (zh) 电子装置、屏幕的控制方法及其程序存储介质
JP6146350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0477008Y1 (ko) 마우스 겸용 스마트폰
WO2014073137A1 (ja) 情報処理端末装置
US20150109229A1 (en) Electronic apparatus
CN110100224B (zh) 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WO2017022031A1 (ja) 情報端末装置
KR20140130798A (ko) 터치 스크린 패널 디스플레이 및 터치 키 입력 장치 및 방법
US10354271B2 (en) Electronic device and play and interactive method for electronic advertising
KR20170011476A (ko) 단말기와 상호 연동이 가능한 전자칠판
CN102402360A (zh) 手写显示屏、手写输入笔及手写输入方法
KR20180016780A (ko) 사용자 접근에 따라 터치영역을 활성화하는 전자칠판, 이를 이용한 전자칠판 터치영역 활성화 방법
JP6522719B2 (ja) 画像表示方法
CN102385449A (zh) 便携式电子设备和触摸控制方法
KR101895022B1 (ko) 상판 디스플레이를 갖는 인트랙티브 테이블의 구동 방법
CN110427120A (zh) 一种显示屏及显示装置
CN110392875A (zh) 电子装置及其控制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