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0631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0631A
KR20170010631A KR1020150102512A KR20150102512A KR20170010631A KR 20170010631 A KR20170010631 A KR 20170010631A KR 1020150102512 A KR1020150102512 A KR 1020150102512A KR 20150102512 A KR20150102512 A KR 20150102512A KR 20170010631 A KR20170010631 A KR 201700106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power
transmission power
signal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2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6608B1 (ko
Inventor
채성호
정철
류현석
쉬에펑
이남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025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6608B1/ko
Priority to US15/746,354 priority patent/US10349359B2/en
Priority to PCT/KR2016/007868 priority patent/WO2017014540A1/ko
Publication of KR20170010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06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66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66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3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inter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4Separate analysis of uplink or downlink
    • H04W52/146Uplink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2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path lo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3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interferences
    • H04W52/244Interferences in heterogeneous networks, e.g. among macro and femto or pico cells or other sector / system interference [OS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6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where the output power of a terminal is based on a path parameter calculated in said termi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LTE와 같은 4G 통신 시스템 이후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기 제공될 5G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에 관련된 것이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은, 제1 기지국에 송신할 신호에 의해 제2 기지국에 간섭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판정에 대응하여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제어부와, 상기 결정된 송신 전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1 기지국으로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아래의 실시 예들은 서로 다른 통신 시스템이 공존하는 네트워크 환경에서 송신 전력 제어에 관한 것이다.
4G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 (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 시스템 이후 (Post LTE) 이후의 시스템이라 불리어지고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mmWave) 대역 (예를 들어, 60기가(60G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 (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 개선된 소형 셀 (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 (ultra-dense network), 기기 간 통신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무선 백홀 (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 (moving network), 협력 통신 (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 (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 간섭제거 (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밖에도,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방식인 FQAM (Hybrid FSK and QAM Modulation) 및 SWSC (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과, 진보된 접속 기술인 FBMC(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non 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 SCMA(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통신 기술의 발달로 셀룰러(cellular) 통신 서비스뿐 아니라 IoT(Internet of Things)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가 요구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다양한 통신 서비스의 요구로 서로 다른 통신 시스템이 공존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서로 다른 통신 시스템이 공존하는 네트워크 환경에서 단말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서로 다른 통신 시스템이 공존하는 네트워크 환경에서 서빙 기지국에 송신될 신호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여 인접 기지국에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은, 제1 기지국에 송신할 신호에 의해 제2 기지국에 간섭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판정에 대응하여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제어부와, 상기 결정된 송신 전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1 기지국으로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 방법은, 제1 기지국에 송신할 신호에 의해 제2 기지국에 간섭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과정과, 상기 판정에 대응하여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송신 전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1 기지국으로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장치 및 동작 방법은, 서빙 기지국에 송신될 신호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여 인접 기지국에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대한 보다 완전한 이해를 위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의 상세한 설명이 이뤄진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서로 다른 2개의 통신 시스템이 공존하는 네트워크 환경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서로 다른 2개의 통신 시스템이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동작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단말의 제어부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단말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단말과 기지국 사이의 처리 절차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동작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단말의 제어부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단말 동작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동작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단말의 제어부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단말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동작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단말의 제어부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단말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동작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단말의 동작 흐름도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문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하드웨어적인 접근 방법을 예시로서 설명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모두 사용하는 기술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이 소프트웨어 기반의 접근 방법을 제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서로 다른 2개의 통신 시스템이 공존하는 네트워크 환경을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네트워크 환경은 단말 100, 제1 기지국(base station, BS1) 110 및 제2 기지국(BS2) 120을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 110과 기지국 120은 서로 다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일 수 있다. 기지국 110과 기지국 120은 제공하는 서비스에 따라 서로 다른 커버리지 영역을 가질 수 있다. 기지국 110과 기지국 120은 제한된 자원으로 인하여 서로 인접한 자원을 활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기지국이 2개인 경우를 예시로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복수 개의 기지국들이 공존하는 경우에도 이용될 수 있다.
단말 100은 기지국 110으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말일 수 있다. 단말 100은 기지국 110의 커버리지(coverage) 130 및 기지국 120의 커버리지 140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단말 100은 기지국 110에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 100은 상향링크 동기를 획득하기 위하여 랜덤 액세스를 시도하거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단말 100이 커버리지 140 내에 위치하는 경우, 단말 100이 기지국 110에 송신하는 신호는 기지국 120에 간섭으로 작용할 수 있다. 상기 간섭은 기지국 120의 하드웨어에 영향을 미쳐 기지국 120의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단말 100이 기지국 110과 원활하게 통신을 수행하면서도, 기지국 120에 간섭을 발생시키지 않을 수 있도록 단말 100으로부터 송신될 신호의 송신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서로 다른 2개의 통신 시스템이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을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기지국 110은 제1 주파수 대역 210을 사용하여 기지국 110의 커버리지 내의 단말들과 통신할 수 있으며, 기지국 120은 제2 주파수 대역 220을 사용하여 기지국 120의 커버리지 내의 단말들과 통신할 수 있다.
기지국 110과 기지국 120은 서로 다른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지국 110은 사물 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일 수 있으며, 기지국 120은 롱텀에볼루션(LTE, Long Term Evolution)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일 수 있다. 또한, 기지국 110이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 210과 기지국 120이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 220은 서로 인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파수 대역 220은 LTE 대역일 수 있으며, 주파수 대역 210은 상기 LTE 대역의 보호 대역(guard band)일 수 있으며 IoT 서비스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주파수 대역 210은 LTE 대역일 수 있으며, 주파수 대역 220은 상기 LTE 대역의 보호 대역(guard band)일 수 있으며 IoT 서비스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단말 100이 기지국 110에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상기 신호는 주파수 대역 220에 인접한 주파수 대역 210을 통해 송신되기 때문에, 기지국 120에 간섭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단말 100은 기지국 110과 기지국 120이 인접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경우, 기지국 110과 원활하게 통신을 수행하면서도, 기지국 120에 간섭을 발생시키지 않을 수 있도록 단말 100으로부터 송신될 신호의 송신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다. 예를 들어, 단말은 도 1에 도시된 단말 100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단말 100은 송수신기 310, 안테나 320, 저장부 330, 제어부 340을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기 310은 송신 신호를 RF 대역으로 상향 변환 및 전력 증폭하는 무선 주파수 송신기(RF TX)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기 310은 수신 RF 신호를 저 잡음으로 증폭한 후 기저대역(baseband)으로 하향 변환하는 무선 주파수 수신기(RF RX)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송수신기 310은 변조기(modulato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조기는 직교(예를 들면, 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 또는 비 직교 방식(예를 들면, FBMC: Filter Bank Multi-Carrier)의 변조기가 될 수 있다. 송수신기 310은 복조기(de-modulato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조기는 직교 방식 또는 비 직교 방식의 복조기가 될 수 있다.
안테나 320은 기지국(예를 들면 기지국 110 또는 기지국 120)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안테나 320은 기지국 110 또는 120으로부터 파일럿 신호, 참조 신호(reference signal) 등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안테나 320은 기지국 110에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안테나 320은 기지국 110에 랜덤 액세스 자원을 포함하는 신호,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저장부 330은 하나 이상의 메모리 집합을 의미할 수 있다. 저장부 330은 다른 구성 요소들(예를 들면, 송수신기 310, 제어부 340 등)로부터 수신되거나 다른 구성 요소들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 및/또는 명령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 330은 기지국 110 또는 120으로부터 수신한 전력 제어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 330은 단말 100, 기지국 110, 기지국 120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저장부 330은 기지국 110의 송신 전력, 단말 100이 통상적으로 가지는 통신 환경, 단말 100이 자주 위치되는 환경에서의 경로 손실 정보, 통상 적인 기지국의 송신 전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 340은 SoC(System on Chip)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 340은 필요한 경우 각각 분리되어 단말 100의 내부 구성 요소(예를 들면, 송수신기 310, 저장부 330)와 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제어부 340은 다른 구성 요소들(예를 들면, 송수신기 310, 저장부 330)의 명령을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명령을 해석할 수 있으며, 해석된 명령에 따라 계산을 수행하거나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 340은 간섭 추정부 350 및 전력 결정부 360을 포함할 수 있다.
간섭 추정부 350은 단말 100이 송신할 신호가 근접한 기지국(예를 들면, 기지국 120)에 간섭을 발생시킬 수 있는지 여부를 추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100이 도 1과 같이 서로 다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 110 및 기지국 120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되는 경우, 간섭 추정부 350은 기지국 110으로 송신될 신호가 기지국 120에 간섭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단말 100을 제어할 수 있다.
간섭 추정부 350은 단말 100에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지만 단말 100과 근접한 위치에 위치하는 기지국(예를 들면, 도 1에서 기지국 120, 편의상 이하 기지국 120이라고 지칭함.)의 정보를 기반으로 단말 100이 송신할 신호가 간섭을 발생시킬 수 있는지 여부를 추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정보는 기지국 120으로부터 하향링크(DL, DownLink) 신호를 디코딩하는 방법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정보는 하향링크 신호의 수신 세기를 측정하는 방법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정보는 기지국과 단말 간의 거리를 측정하는 방법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정보는 미리 정의된 기준에 의해 산출하는 방법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정보는 참조 신호를 디코딩하는 방법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상기 정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각 실시 예에서 후술한다.
간섭 추정부 350은 상기 기지국 120의 정보를 기반으로 기지국 120과 단말 100 간의 경로 손실(path loss)를 산출할 수 있다. 간섭 추정부 350은 상기 산출된 경로 손실에 기반하여 간섭을 발생시키지 않을 임계 송신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간섭 추정부 350은 미리 정의된 송신 전력이 임계 송신 전력보다 큰 경우,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고 판정할 수 있다. 이와 달리, 간섭 추정부 350은 상기 미리 정의된 송신 전력이 임계 송신 전력보다 적거나 같은 경우,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고 판정할 수 있다.
전력 결정부 360은 간섭 추정부 350의 판정 결과에 대응하여 단말 100의 송신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간섭 추정부 350이 기지국 120에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고 판정한 경우, 전력 결정부 360은 미리 정의된 송신 전력을 하향 조절하여 송신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송신 전력은 간섭 추정부 350에 의해 산출된 임계 송신 전력보다 적거나 같은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송신 전력이 낮아지면, 단말 100이 송신한 신호가 서비스하는 기지국(편의상 이하 기지국 110이라 지칭함.)에 도달할 확률은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전력 결정부 360은 송신 전력 값에 대응하여 송신 횟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송신 횟수의 증가로 단말 100은 기지국 110에 안정적으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즉, 단말 100은 기지국 120에 간섭을 발생시키지 않으면서도 기지국 110에 안정적으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도 3에는 제어부 340이 간섭 추정부 350과 전력 결정부 360만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제어부 340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성을 도시한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도 1에 도시된 기지국 110 또는 120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기지국 110 또는 120은 송수신기 410, 안테나 420, 저장부 430, 제어부 440을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기 410은 송신 신호를 RF 대역으로 상향 변환 및 전력 증폭하는 무선 주파수 송신기(RF TX)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송수신기 410은 수신 RF 신호를 저 잡음으로 증폭한 후 기저대역(baseband)으로 하향 변환하는 무선 주파수 수신기(RF RX)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송수신기 410은 송신 신호를 변조하고 수신 신호를 복조하는 변/복조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변/복조는 직교 방식(예를 들면, OFDM) 또는 비 직교 방식(예를 들면, FBMC)에 의해 이뤄질 수 있다.
안테나 420은 한 개 이상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안테나 420은 MIMO(Multi Input Multi Output) 기법에 적합하게 구성될 수 있다.
저장부 430은 하나 이상의 메모리 집합을 의미할 수 있다. 저장부 430은 다른 구성 요소들(예를 들면, 송수신기 410, 통신 처리부 440 등)로부터 수신되거나 다른 구성 요소들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 및/또는 명령을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 440은 다른 구성 요소들(예를 들면, 송수신기 410, 저장부 430)의 명령을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명령을 해석할 수 있으며, 해석된 명령에 따라 계산을 수행하거나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 440은 신호 생성부 450, 맵핑부 460을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생성부 450은 하향링크 신호, 참조 신호(Reference Signal) 등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하향링크 신호는 단말 100에서 타 채널 신호의 복조를 위한 반송파 위상 동기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하향링크 신호는 단말 100이 기지국 110 또는 120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기지국마다 서로 다른 위상 오프셋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하향링크 신호는 커버리지 영역 내의 단말들이 수신할 수 있도록 높은 출력을 가질 수 있다. 참조 신호는 셀 파워(cell powe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향링크 신호 및 참조 신호는 다른 서비스를 제공 받는 단말에 대하여도 송신될 수 있다.
맵핑부 460은 하향링크 신호에 단말 100에 할당 주파수 정보를 맵핑(mapping)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맵핑부 460은 상기 할당 주파수에 대응하는 송신 반복 횟수를 맵핑할 수 있다. 또한, 맵핑부 460은 하향링크 신호에 전력 제어 정보를 맵핑할 수 있다. 여기서 전력 제어 정보는 기지국 110 또는 120의 송신 전력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력 제어 정보는 단말 100이 자신과 기지국 110 또는 기지국 120 간의 경로 손실(path loss)를 산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 흐름도이다. 이러한 동작 흐름은 도 1에 도시된 단말 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단말 100은 510 단계에서 기지국 110에 송신될 신호에 의해 기지국 120에 간섭이 발생될 수 있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단말 100의 510 단계에서의 동작은 도 3에 도시된 단말 100의 간섭 추정부 35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단말 100은 520 단계에서 상기 판정 결과에 대응하여 송신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 100은 간섭이 발생된다는 판정 결과에 대응하여 미리 정의된 전력 값을 조절하고 조절된 전력 값을 상기 송신 전력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단말 100은 간섭이 발생되지 않는다는 판정 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전력 값을 상기 송신 전력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520 단계에서의 동작은 도 3에 도시된 단말 100의 전력 결정부 36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단말 100은 530 단계에서 상기 결정된 송신 전력에 기반하여 제1 기지국에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기지국은 기지국 110일 수 있다. 즉, 제1 기지국은 단말 100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일 수 있다. 만약 520 단계에서 미리 정의된 전력 값이 하향 조절되었다면, 단말 100은 530 단계에서 상기 하향 조절된 전력 값에 대응하는 반복 횟수만큼 상기 신호를 제1 기지국에 송신할 수 있다. 530 단계에서의 동작은 도 3에 도시된 단말 100의 송수신기 310 또는 제어부 340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동작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단말 100은 기지국 110 및 기지국 120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위치될 수 있다. 기지국 110은 주파수 대역 210을 수신 주파수 대역으로 사용할 수 있고, 기지국 120은 주파수 대역 210의 인접 주파수 대역 220을 수신 주파수 대역으로 사용할 수 있다. 단말 100은 기지국 110으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단말 100이 기지국 110에 신호 605을 송신하는 경우, 신호 605은 기지국 120에 간섭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단말 100, 기지국 110 및 기지국 120은 다음과 같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지국 110은 단말 100에 전력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링크 신호 610을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기지국 120은 단말 100에 전력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링크 신호 620을 송신할 수 있다. 단말 100은 하향링크 신호 610 및 620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 100은 수신된 하향링크 신호 610 및 620을 디코딩(decoding)하여 전력 제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전력 제어 정보는 각각의 기지국(즉, 기지국 110 및 기지국 120)의 하향링크 신호(즉, 하향링크 신호 610 및 620)의 송신 전력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 100은 상기 전력 제어 정보를 통해 송신 전력 값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단말 100은 하향링크 신호 610 및 620의 수신 전력 값을 측정할 수 있다. 단말 100은 상기 송신 전력 값과 상기 수신 전력 값에 기반하여 기지국 110과 단말 100 간의 경로 손실(이하, 제1 경로 손실) 및 기지국 120과 단말 100 간의 경로 손실(이하, 제2 경로 손실)을 산출할 수 있다.
그 후, 단말 100은 제2 경로 손실에 기반하여 임계 송신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임계 송신 전력은 기지국 120에 간섭을 발생시키지 않는 최대 송신 전력일 수 있다. 단말 100은 제2 경로 손실에 기반하여 주파수 별로 임계 송신 전력을 결정할 수도 있다. 왜냐하면 단말 100이 이용하는 주파수에 따라 임계 송신 전력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단말 100은 주파수 대역 210 중에서 주파수 대역 220과 가까운 주파수에 대하여는 상대적으로 낮은 임계 송신 전력을 부여할 수 있다.
단말 100은 결정된 임계 송신 전력과 제1 경로 손실에 기반하여 송신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 100은 상기 결정된 송신 전력에 기반하여 신호 605를 기지국 110에 송신할 수 있다.
그런데 송신 전력이 낮게 결정된 경우(즉, 임계 송신 전력이 낮은 경우 또는 기지국 120에 간섭이 잘 발생되는 환경인 경우), 송신 신호 605는 기지국 110에 쉽게 도달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단말 100은 신호 605의 송신 반복 횟수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송신 반복 횟수는 상기 결정된 송신 전력에 대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결정된 송신 전력이 낮을수록 상기 반복 송신 횟수는 높게 결정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단말 100은 임의 횟수로 송신을 반복하는 주파수를 따로 설정할 수도 있다. 상기 주파수는 단말 100에 할당된 주파수 중에서 가장 간섭에 강한 주파수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단말의 제어부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제어부 340은 신호 세기 측정부 710, 디코딩부 720, 간섭 추정부 730, 전력 결정부 740을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세기 측정부 710은 단말 100이 수신한 신호의 수신 전력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100이 하향링크 신호 610 또는 620을 수신하면, 신호 세기 측정부 710은 상기 수신된 하향링크 신호 610 또는 620의 수신 전력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측정된 수신 전력은 단말과 기지국 간의 경로 손실을 산출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디코딩부 720은 단말 100이 수신한 신호를 디코딩할 수 있다. 제1 실시 예에 따르면, 디코딩부 720은 수신된 하향링크 신호 610 또는 620을 디코딩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 100은 상기 디코딩의 결과로 하향링크 신호 610 또는 620에 포함된 전력 제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간섭 추정부 730은 상기 전력 제어 정보에 포함된 기지국 110과 기지국 120의 송신 전력 값과 상기 측정된 수신 전력 값에 기반하여 제1 경로 손실과 제2 경로 손실을 산출할 수 있다. 간섭 추정부 730은 제2 경로 손실에 기반하여 임계 송신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간섭 추정부 730은 임계 송신 전력과 미리 정의된 전력 값을 비교하여 간섭이 발생될 수 있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미리 정의된 전력 값이 임계 송신 전력보다 큰 경우, 간섭 추정부 730은 간섭이 발생될 수 있다고 판정할 수 있다.
전력 결정부 740은 간섭이 발생될 수 있다는 판정에 대응하여 제1 경로 손실 및 임계 송신 전력에 기반하여 송신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력 결정부 740은 제1 경로 손실을 통해 기지국 110에 도달할 수 있는 송신 전력의 하한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전력 결정부 740은 임계 송신 전력을 통해 송신 전력의 상한을 산출할 수 있다. 그 후, 전력 결정부 740은 상기 산출된 송신 전력의 상한 및 하한, 단말 100이 이용할 수 있는 주파수, 기타 환경 등을 고려하여 송신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전력 결정부 740은 필요한 경우 송신 전력에 대응하여 송신 반복 횟수를 설정할 수 있다.
단말 100은 송수신기 310을 통해 상기 결정된 송신 전력에 기반하여 기지국 110에 신호를 설정된 송신 반복 횟수에 기반하여 반복 송신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단말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단말 100은 810 단계에서 송수신기 310을 이용하여 제1 기지국으로부터 제1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하고, 제2 기지국으로부터 제2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기지국은 기지국 110에 대응될 수 있으며, 제2 기지국은 기지국 120에 대응될 수 있다. 즉, 제1 기지국은 단말 100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일 수 있으며, 제2 기지국은 단말 100에게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으나, 단말 100에 근접하여 위치된 기지국일 수 있다.
단말 100은 820 단계에서 제1 하향링크 신호를 디코딩하여 제1 전력 제어 정보를 획득하고, 제2 하향링크 신호를 디코딩하여 제2 전력 제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820 단계에서의 동작은 도 7에 도시된 디코딩부 72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단말 100은 830 단계에서 상기 획득된 제1 전력 제어 정보 및 제2 전력 제어 정보를 통해 제1 경로 손실 및 제2 경로 손실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경로 손실은 단말 100과 제1 기지국 간의 경로 손실을 의미할 수 있으며, 제2 경로 손실은 단말 100과 제2 기지국 간의 경로 손실을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 100은 830 단계에서 제1 전력 제어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제1 기지국의 송신 전력 값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단말 100은 830 단계에서 제2 전력 제어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제2 기지국의 송신 전력 값을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 100은 제1 하향링크 신호의 수신 세기 측정을 통해 제1 하향링크 신호의 수신 전력 값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단말 100은 제2 하향링크 신호의 수신 세기 측정을 통해 제2 하향링크 신호의 수신 전력 값을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 100은 기지국 110의 송신 전력 값과 제1 하향링크 신호의 수신 전력 값을 비교하여 제1 경로 손실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단말 100은 기지국 120의 송신 전력 값과 제2 하향링크의 수신 전력 값을 비교하여 제2 경로 손실을 산출할 수 있다. 830 단계에서의 동작은 도 7에 도시된 디코딩부 720 또는 간섭 추정부 730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제1 경로 손실 및 제2 경로 손실의 산출이 완료되면, 단말 100은 840 단계에서 제2 경로 손실에 기반하여 임계 송신 전력을 산출할 수 있다. 840 단계에서의 동작은 도 7에 도시된 간섭 추정부 73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단말 100은 850 단계에서 산출된 임계 송신 전력 및 제1 경로 손실에 기반하여 송신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 100은 850 단계에서 제1 경로 손실을 통해 제1 기지국에 도달할 수 있는 송신 전력의 하한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단말 100은 850 단계에서 임계 송신 전력을 통해 송신 전력의 상한을 산출할 수 있다. 그 후, 단말 100은 850 단계에서 상기 산출된 송신 전력의 상한 및 하한, 단말 100이 이용할 수 있는 주파수, 기타 환경 등을 고려하여 송신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단말 100은 850 단계에서 필요한 경우 송신 전력에 대응하여 반복 송신 횟수를 설정할 수 있다. 850 단계에서의 동작은 도 7에 도시된 전력 결정부 740 또는 도 3에 도시된 송수신기 310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단말과 기지국 사이의 처리 절차를 도시한다.
도 9를 참조하면, 기지국 110은 하향링크 신호 910을 단말 100에게 송신할 수 있고, 기지국 120은 하향링크 신호 920을 단말 100에게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단말 100은 하향링크 신호 910 및 920을 수신할 수 있다. 단말 100은 930 단계에서 수신된 하향링크 신호 910 및 920을 통해 제1 경로 손실 및 제2 경로 손실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경로 손실은 하향링크 신호에 포함된 전력 제어 정보를 통해 산출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경로 손실은 기지국 110와 단말 100 간의 경로 손실을 의미하며, 제2 경로 손실은 기지국 120와 단말 100 간의 경로 손실을 의미할 수 있다. 단말 100은 940 단계에서 제2 경로 손실에 기반하여 임계 송신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그 후, 단말 100은 950 단계에서 임계 송신 전력 및 제1 경로 손실에 기반하여 송신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송신 전력 결정이 완료되면, 단말 100은 960 단계에서 상기 송신 전력에 기반하여 업링크(UL, UpLink) 신호 970을 송신할 수 있다. 이 때, 단말 100은 상기 결정된 송신 전력에 대응하여 반복하여 업링크 신호 970을 송신할 수도 있다. 여기서 단말 100이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는 경우라면, 업링크 신호 970은 프리앰블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동작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단말 100은 기지국 110 및 기지국 120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위치될 수 있다. 기지국 110은 주파수 대역 210을 수신 주파수 대역으로 사용할 수 있고, 기지국 120은 주파수 대역 210의 인접 주파수 대역 220을 수신 주파수 대역으로 사용할 수 있다. 단말 100은 기지국 110으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단말 100이 기지국 110에 신호 1005를 송신하는 경우, 신호 1005는 기지국 120에 간섭을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신호 1005는 단말 100이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기 위해 기지국 110에 송신하는 프리앰블이 포함된 신호일 수 있다. 또는 신호 1005는 단말 100이 기지국 110에 송신하는 데이터가 포함된 신호일 수도 있다.
기지국 120에서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막기 위해 단말 100, 기지국 110 및 기지국 120은 다음과 같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지국 110은 단말 100에 전력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링크 신호 1010을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기지국 120은 단말 100에 하향링크 신호 1020을 송신할 수 있다. 기지국 120이 단말 100에 하향링크 신호 1020을 송신할 수 있다고 표현하였지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표현일 수 있다. 하향링크 신호 1020은 단말 100이 주파수 대역 210에 인접한 주파수 대역 220을 통해 수신한 신호일 수도 있다. 하향링크 신호 1020은 전력 제어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고,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단말 100은 하향링크 신호 1010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단말 100은 하향링크 신호 1020을 수신할 수 있다. 그 후, 단말 100은 수신된 하향링크 신호 1010을 디코딩하여 전력 제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 100은 상기 획득된 전력 제어 정보을 통해 기지국 110의 송신 전력 값을 획득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단말 100은 하향링크 신호 1010을 디코딩하지 않고, 저장부 330에 포함된 정보(예를 들면, 통상적인 기지국 110의 송신 전력, 단말 100이 통상적으로 가지는 통신 환경 등에 대한 정보)를 통해 송신 전력 값을 예측할 수도 있다.
또한, 단말 100은 신호 세기 측정을 통해 하향링크 신호 1010의 수신 전력 값을 획득할 수 있다. 단말 100은 상기 송신 전력 값과 상기 수신 전력 값을 비교하여 단말 100과 기지국 110 간의 제1 경로 손실을 산출할 수 있다.
단말 100은 하향링크 신호 1020의 수신 세기를 측정하여 하향링크 신호 1020의 수신 전력 값을 측정할 수 있다.
제2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은 하향링크 신호 1020을 디코딩하지 않을 수 있다. 단말 100은 하향링크 신호 1020의 수신 전력 값을 통해 임계 송신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 100은 단말 100의 저장부 330 등에 포함된 정보(예를 들면 통상적인 기지국의 송신 전력, 단말 100이 통상적으로 가지는 통신 환경 등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기지국 120의 송신 전력을 예측할 수 있다. 단말 100은 상기 예측한 송신 전력과 하향링크 신호 1020의 수신 전력에 기반하여 제2 경로 손실을 산출할 수 있다. 그 후, 단말 100은 상기 산출된 제2 경로 손실에 기반하여 임계 송신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단말 100은 상기 임계 송신 전력과 제1 경로 손실에 기반하여 송신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송신 전력 결정을 통해 단말 100은 미리 정의된 전력 값을 조절할 수 있으며, 송신 반복 횟수를 조절할 수 있다.
단말 100은 상기 결정된 송신 전력을 이용하여 기지국 110에 신호 1005를 송신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단말의 제어부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어부 340은 신호 세기 측정부 1110, 디코딩부 1120, 간섭 추정부 1130, 전력 결정부 1140을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세기 측정부 1110은 단말 100이 수신한 신호의 수신 전력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100이 하향링크 신호 1010 또는 1020을 수신하면, 신호 세기 측정부 1110은 상기 수신된 하향링크 신호 1010 또는 1020의 수신 전력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측정된 수신 전력은 단말과 기지국 간의 경로 손실을 산출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디코딩부 1120은 단말 100이 수신한 신호를 디코딩할 수 있다. 제2 실시 예에 따르면, 디코딩부 1120은 수신된 하향링크 신호 1010을 디코딩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 100은 상기 디코딩의 결과로 하향링크 신호 1010에 포함된 전력 제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단말 100은 상기 획득된 전력 제어 정보를 통해 송신 전력 값을 획득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단말 100은 하향링크 신호 1010을 디코딩하지 않고, 저장부 330에 포함된 정보(예를 들면, 통상적인 기지국 110의 송신 전력, 단말 100이 통상적으로 가지는 통신 환경 등에 대한 정보)를 통해 송신 전력 값을 예측할 수 있다. 즉, 제2 실시 예에서, 제어부 340의 디코딩부 1120는 생략될 수도 있다.
간섭 추정부 1130은 기지국 110의 송신 전력 값과 상기 측정된 수신 전력 값에 기반하여 제1 경로 손실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간섭 추정부 1130은 기지국 120의 수신 전력 값을 이용하여 제2 경로 손실을 산출할 수 있다. 제1 실시 예와 달리, 제2 실시 예에 따른 간섭 추정부 1130은 기지국 120의 송신 전력 값을 이용하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간섭 추정부 1130은 저장부 330에 포함된 정보(예를 들면, 단말 100이 자주 위치되는 환경에서의 경로 손실 정보, 통상적인 기지국의 송신 전력)을 이용하여 기지국 120의 송신 전력을 예측할 수 있다. 간섭 추정부 1130은 상기 예측된 송신 전력과 하향링크 신호 1020의 수신전력에 기반하여 제2 경로 손실을 산출할 수 있다.
간섭 추정부 1130은 제2 경로 손실에 기반하여 임계 송신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간섭 추정부 1130은 임계 송신 전력과 미리 정의된 전력 값을 비교하여 간섭이 발생될 수 있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미리 정의된 전력 값이 임계 송신 전력보다 큰 경우, 간섭 추정부 1130은 간섭이 발생될 수 있다고 판정할 수 있다.
전력 결정부 1140은 간섭이 발생될 수 있다는 판정에 대응하여 제1 경로 손실 및 임계 송신 전력에 기반하여 송신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력 결정부 1140은 제1 경로 손실을 통해 기지국 110에 도달할 수 있는 송신 전력의 하한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전력 결정부 1140은 임계 송신 전력을 통해 송신 전력의 상한을 산출할 수 있다. 그 후, 전력 결정부 1140은 상기 산출된 송신 전력의 상한 및 하한, 단말 100이 이용할 수 있는 주파수, 기타 환경 등을 고려하여 송신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전력 결정부 1140은 필요한 경우 송신 전력에 대응하여 송신 반복 횟수를 설정할 수 있다.
단말 100은 송수신기 310을 통해 상기 결정된 송신 전력에 기반하여 기지국 110에 신호를 설정된 송신 반복 횟수에 기반하여 반복 송신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단말 동작 흐름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단말 100은 1210 단계에서 송수신기 310을 이용하여 제1 기지국으로부터 제1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하고, 제2 기지국으로부터 제2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기지국은 기지국 110에 대응될 수 있으며, 제2 기지국은 기지국 120에 대응될 수 있다. 즉, 제1 기지국은 단말 100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일 수 있으며, 제2 기지국은 단말 100에게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으나, 단말 100에 근접하여 위치된 기지국일 수 있다. 제1 하향링크 신호에는 전력 제어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제2 하향링크 신호에는 전력 제어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고, 포함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다.
단말 100은 1220 단계에서 제1 하향링크 신호를 디코딩하여 제1 전력 제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 100은 제1 전력 제어 정보를 통해 기지국 110의 송신 전력을 획득할 수 있다. 제2 실시 예에서 단말 100은 1220 단계를 생략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 100은 제1 하향링크 신호를 디코딩하지 않고, 저장부 330에 포함된 정보(예를 들면, 통상적인 기지국 110의 송신 전력, 단말 100이 통상적으로 가지는 통신 환경 등에 대한 정보)를 통해 송신 전력 값을 예측할 수 있다. 1220 단계에서의 동작은 도 11에 도시된 디코딩부 1120 또는 간섭 추정부 1130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단말 100은 1230 단계에서 제1 하향링크 신호 및 제2 하향링크 신호의 수신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즉, 단말 100은 1230 단계에서 제1 하향링크 신호 및 제2 하향링크 신호의 수신 전력을 획득할 수 있다. 1230 단계에서의 동작은 도 11에 도시된 신호 세기 측정부 111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1220 단계와 1230 단계는 단말 100 내에서 선후 관계가 바뀌어 수행될 수 있으며,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단말 100은 1240 단계에서 획득되거나 예측된 제1 기지국의 송신 전력과 제1 하향링크 신호의 수신 전력을 통해 제1 경로 손실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단말 100은 1240 단계에서 제2 하향링크 신호의 수신 전력를 통해 제2 경로 손실을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 100은 저장부 330에 저장된 통상적인 기지국의 송신 전력, 단말 100이 통상적으로 가지는 통신 환경 등을 고려하여 제2 기지국의 송신 전력을 예측할 수 있다. 단말 100은 상기 예측된 송신 전력과 제2 하향링크 신호의 수신 전력에 기반하여 제2 경로 손실을 산출할 수 있다. 1240 단계에서의 동작은 도 11에 도시된 간섭 추정부 113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경로 손실의 산출이 완료되면 단말 100은 1250 단계에서 제2 경로 손실에 기반하여 임계 송신 전력을 결정(또는 산출)할 수 있다. 1250 단계에서의 동작은 도 11에 도시된 간섭 추정부 113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단말 100은 1260 단계에서 임계 송신 전력 및 제1 경로 손실에 기반하여 송신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 100은 1260 단계에서 제1 경로 손실을 통해 제1 기지국에 도달할 수 있는 송신 전력의 하한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단말 100은 1260 단계에서 임계 손실 전력을 통해 송신 전력의 상한을 산출할 수 있다. 그 후, 단말 100은 1260 단계에서 상기 산출된 송신 전력의 상한 및 하한, 단말 100이 이용할 수 있는 주파수, 기타 환경 등을 고려하여 송신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단말 100은 1260 단계에서 필요한 경우 송신 전력에 대응하여 송신 반복 횟수를 설정할 수 있다. 1260 단계에서의 동작은 도 11에 도시된 전력 결정부 114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동작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단말 100은 기지국 110 및 기지국 120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위치될 수 있다. 기지국 110은 주파수 대역 210을 수신 주파수 대역으로 사용할 수 있고, 기지국 120은 주파수 대역 210의 인접 주파수 대역 220을 수신 주파수 대역으로 사용할 수 있다. 단말 100은 기지국 110으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단말 100이 기지국 110에 신호 1305를 송신하는 경우, 신호 1305는 기지국 120에 간섭을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신호 1305는 단말 100이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기 위해 기지국 110에 송신하는 프리앰블(preamble)이 포함된 신호일 수 있다. 또는 신호 1305는 단말 100이 기지국 110에 송신하는 데이터가 포함된 신호일 수도 있다.
기지국 120에서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막기 위해 단말 100, 기지국 110 및 기지국 120은 다음과 같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지국 110은 단말 100에 전력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링크 신호 1310을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대응으로 단말 100은 하향링크 신호 1310을 수신할 수 있다. 단말 100은 수신된 하향링크 신호 1310을 디코딩하여 전력 제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단말 100은 상기 획득된 전력 제어 정보를 통해 기지국 110의 송신 전력 값을 획득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단말 100은 하향링크 신호 1310을 디코딩하지 않고, 저장부 330에 포함된 정보(예를 들면, 통상적인 기지국 110의 송신 전력, 단말 100이 통상적으로 가지는 통신 환경 등에 대한 정보)를 통해 송신 전력 값을 예측할 수 있다.
또한, 단말 100은 신호 세기 측정을 통해 하향링크 신호 1310의 수신 전력 값을 획득할 수 있다. 단말 100은 상기 송신 전력 값과 상기 수신 전력 값에 기반하여 단말 100과 기지국 110 간의 제1 경로 손실을 산출할 수 있다.
단말 100은 단말 100이 기지국 120과 가정 근접한 경우를 가정하여 임계 송신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 100은 단말 100의 저장부 330 등에 포함된 정보(통상적으로 가지는 기지국 간의 거리, 통상적인 기지국의 송신 전력 등)에 기반하여 기지국 120과 가장 근접하여 위치될 경우를 예측할 수 있다. 단말 100은 상기 예측에 기반하여 임계 송신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단말 100은 상기 임계 송신 전력과 제1 경로 손실에 기반하여 송신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송신 전력 결정을 통해 단말 100은 미리 정의된 전력 값을 조절할 수 있으며, 송신 반복 횟수를 조절할 수 있다.
단말 100은 상기 결정된 송신 전력을 이용하여 기지국 110에 신호 1305를 송신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단말의 제어부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어부 340은 신호 세기 측정부 1410, 디코딩부 1420, 간섭 추정부 1430, 전력 결정부 1440을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세기 측정부 1410은 단말 100이 수신한 신호의 수신 전력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100이 하향링크 신호 1310을 수신하면, 신호 세기 측정부 1410은 상기 수신된 하향링크 신호 1310의 수신 전력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측정된 수신 전력은 단말 100과 기지국 110 간의 경로 손실을 산출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디코딩부 1420은 단말 100이 수신한 신호를 디코딩할 수 있다. 제3 실시 예에 따르면, 디코딩부 1420은 수신된 하향링크 신호 1310을 디코딩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 100은 상기 디코딩의 결과로 하향링크 신호 1310에 포함된 전력 제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단말 100은 상기 획득된 전력 제어 정보를 통해 송신 전력 값을 획득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단말 100은 하향링크 신호 1310을 디코딩하지 않고, 저장부 330에 포함된 정보(예를 들면, 통상적인 기지국 110의 송신 전력, 단말 100이 통상적으로 가지는 통신 환경 등에 대한 정보)를 통해 송신 전력 값을 예측할 수 있다. 즉, 제3 실시 예에서, 제어부 340의 디코딩부 1420는 생략될 수도 있다.
간섭 추정부 1430은 획득되거나 예측된 기지국 110의 송신 전력 값과 상기 측정된 수신 전력 값을 비교하여 제1 경로 손실을 산출할 수 있다.
간섭 추정부 1430은 단말 100이 기지국 120과 가장 근접한 경우를 가정하여 임계 송신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간섭 추정부 1430은 단말 100의 저장부 330 등에 포함된 정보(통상적으로 가지는 기지국 간의 거리, 통상적인 기지국의 송신 전력 등)에 기반하여 단말 100이 기지국 120과 가장 근접하여 위치될 경우를 예측할 수 있다. 단말 100은 상기 예측에 기반하여 임계 송신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간섭 추정부 1430은 임계 송신 전력과 미리 정의된 전력 값을 비교하여 간섭이 발생될 수 있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미리 정의된 전력 값이 임계 송신 전력보다 큰 경우, 간섭 추정부 1430은 간섭이 발생될 수 있다고 판정할 수 있다.
전력 결정부 1440은 간섭이 발생될 수 있다는 판정에 대응하여 제1 경로 손실 및 임계 송신 전력에 기반하여 송신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력 결정부 1440은 제1 경로 손실을 통해 기지국 110에 도달할 수 있는 송신 전력의 하한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전력 결정부 1440은 임계 송신 전력을 통해 송신 전력의 상한을 산출할 수 있다. 전력 결정부 1440은 상기 산출된 송신 전력의 상한 및 하한, 단말 100이 이용할 수 있는 주파수, 기타 환경 등을 고려하여 송신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전력 결정부 1440은 필요한 경우 송신 전력에 대응하여 송신 반복 횟수를 설정할 수 있다.
단말 100은 송수신기 310을 통해 상기 결정된 송신 전력에 기반하여 기지국 110에 신호를 설정된 송신 반복 횟수에 기반하여 반복 송신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단말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단말 100은 1510 단계에서 송수신기 310을 이용하여 제1 기지국으로부터 제1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기지국은 기지국 110에 대응될 수 있다. 즉, 제1 기지국은 단말 100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일 수 있다. 제1 하향링크 신호에는 전력 제어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단말 100은 1520 단계에서 제1 하향링크 신호를 디코딩하여 제1 전력 제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단말 100은 제1 전력 제어 정보를 통해 기지국 110의 송신 전력을 획득할 수 있다. 제3 실시 예에서 단말 100은 1520 단계를 생략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 100은 제1 하향링크 신호를 디코딩하지 않고, 저장부 330에 포함된 정보(예를 들면, 통상적인 기지국 110의 송신 전력, 단말 100이 통상적으로 가지는 통신 환경 등에 대한 정보)를 통해 송신 전력 값을 예측할 수 있다. 1520 단계에서의 동작은 도 14에 도시된 디코딩부 1420 또는 간섭 추정부 1430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단말 100은 1530 단계에서 제1 하향링크 신호의 수신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즉, 단말 100은 1530 단계에서 제1 하향링크 신호의 수신 전력을 획득할 수 있다. 단말 100은 1530 단계에서 획득되거나 예측된 송신 전력 값과 수신 전력 값에 기반하여 제1 경로 손실을 산출할 수 있다. 1530 단계에서의 동작은 도 14에 도시된 신호 세기 측정부 1410 또는 간섭 추정부 1430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단말 100은 1540 단계에서 단말 100이 제2 기지국과 가장 근접한 경우를 가정하여 임계 송신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기지국은 기지국 120에 대응될 수 있다. 즉, 제2 기지국은 단말 100에게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으나, 단말 100에 근접하여 위치된 기지국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 100은 1540 단계에서 저장부 330 등에 포함된 정보(통상적으로 가지는 기지국 간의 거리, 통상적인 기지국의 송신 전력 등)에 기반하여 단말 100이 제2 기지국과 가장 근접하여 위치될 경우를 예측할 수 있다. 단말 100은 상기 예측에 기반하여 임계 송신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1540 단계에서의 동작은 간섭 추정부 143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단말 100은 1550 단계에서 임계 송신 전력 및 제1 경로 손실에 기반하여 송신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 100은 1550 단계에서 제1 경로 손실을 통해 제1 기지국에 도달할 수 있는 송신 전력의 하한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단말 100은 1550 단계에서 임계 손실 전력을 통해 송신 전력의 상한을 산출할 수 있다. 단말 100은 1550 단계에서 상기 산출된 송신 전력의 상한 및 하한, 단말 100이 이용할 수 있는 주파수, 기타 환경 등을 고려하여 송신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단말 100은 필요한 경우 1550 단계에서 송신 전력에 대응하여 송신 반복 횟수를 설정할 수 있다. 1550 단계에서의 동작은 도 14에 도시된 전력 결정부 1440 또는 도 3에 도시된 송수신기 310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동작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단말 100은 기지국 110 및 기지국 120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위치될 수 있다. 기지국 110은 주파수 대역 210을 수신 주파수 대역으로 사용할 수 있고, 기지국 120은 주파수 대역 210의 인접한 주파수 대역 220을 수신 주파수 대역으로 사용할 수 있다. 단말 100은 기지국 110으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단말 100이 기지국 110에 신호 1605를 송신하는 경우, 신호 1605는 기지국 120에 간섭을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신호 1605는 단말 100이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기 위해 기지국 110에 송신하는 프리앰블(preamble)이 포함된 신호일 수 있다. 또는 신호 1605는 단말 100이 기지국 110에 송신하는 데이터가 포함된 신호일 수도 있다.
기지국 120에서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막기 위해 단말 100, 기지국 110 및 기지국 120은 다음과 같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지국 110은 단말 100에 전력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링크 신호 1610을 송신할 수 있다. 기지국 120은 단말 100에 참조 신호(Reference Signal) 1620을 송신할 수 있다. 단말 100은 하향링크 신호 1610 및 참조 신호 1620을 수신할 수 있다. 단말 100은 수신된 하향링크 신호 1610 및 참조 신호 1620을 디코딩할 수 있다. 단말 100은 하향링크 신호 1610의 디코딩을 통해 전력 제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단말 100은 상기 획득된 전력 제어 정보를 통해 기지국 110의 송신 전력 값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단말 100은 참조 신호 1620의 디코딩을 통해 참조 신호 1620에 포함된 셀 파워(cell power)를 획득할 수 있다. 단말 100은 상기 셀 파워를 통해 기지국 120의 송신 전력 값을 획득할 수 있다.
단말 100은 신호 세기 측정을 통해 하향링크 신호 1610 및 참조신호 1620의 수신 전력 값을 획득할 수 있다. 단말 100은 기지국 110의 송신 전력 값과 하향링크 신호 1610의 수신 전력 값에 기반하여 단말 100과 기지국 110 간의 제1 경로 손실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단말 100은 기지국 120의 송신 전력 값과 참조신호 1620의 수신 전력 값에 기반하여 단말 100과 기지국 120 간의 제2 경로 손실을 산출할 수 있다.
단말 100은 제2 경로 손실에 기반하여 임계 송신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단말 100은 상기 임계 송신 전력과 제1 경로 손실에 기반하여 송신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송신 전력 결정을 통해 단말 100은 미리 정의된 전력 값을 조절할 수 있으며, 송신 반복 횟수를 조절할 수 있다.
단말 100은 상기 결정된 송신 전력을 이용하여 기지국 110에 신호 1605를 송신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단말의 제어부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17을 참조하면, 제어부 340은 신호 세기 측정부 1710, 디코딩부 1720, 간섭 추정부 1730, 전력 결정부 1740을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세기 측정부 1710은 단말 100이 수신한 신호의 수신 전력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 100이 햐힝링크 신호 1610 및 참조신호 1620을 수신하면, 신호 세기 측정부 1710은 하향링크 신호 1610 및 참조 신호 1620의 수신 전력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측정된 하향링크 신호 1610의 수신 전력은 단말 100과 기지국 110 간의 경로 손실을 산출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정된 참조 신호 1620의 수신 전력은 단말 100과 기지국 120 간의 경로 손실을 산출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디코딩부 1720은 단말 100이 수신한 신호를 디코딩할 수 있다. 제4 실시 예에 따르면, 디코딩부 1720은 수신된 하향링크 신호 1610 및 참조 신호 1620을 디코딩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 100은 상기 디코딩의 결과로 하향링크 신호 1610에 포함된 전력 제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단말 100은 상기 디코딩의 결과로 참조 신호 1620에 포함된 셀 파워를 획득할 수 있다. 단말 100은 상기 획득된 전력 제어 정보 또는 셀 파워를 통해 기지국 110 또는 기지국 120의 송신 전력 값을 획득할 수 있다.
간섭 추정부 1730은 획득된 기지국 110 및 기지국 120의 송신 전력 값과 상기 측정된 수신 전력 값을 비교하여 제1 경로 손실 및 제2 경로 손실을 산출할 수 있다.
간섭 추정부 1730은 제2 경로 손실에 기반하여 임계 송신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간섭 추정부 1730은 임계 송신 전력과 미리 정의된 전력 값을 비교하여 간섭이 발생될 수 있는 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미리 정의된 전력 값이 임계 송신 전력보다 큰 경우, 간섭 추정부 1730은 간섭이 발생될 수 있다고 판정할 수 있다.
전력 결정부 1740은 간섭이 발생될 수 있다는 판정에 대응하여 제1 경로 손실 및 임계 송신 전력에 기반하여 송신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력 결정부 1740은 제1 경로 손실을 통해 기지국 110에 도달할 수 있는 송신 전력의 하한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전력 결정부 1740은 임계 송신 전력을 통해 송신 전력의 상한을 산출할 수 있다. 전력 결정부 1740은 상기 산출된 송신 전력의 상한 및 하한, 단말 100이 이용할 수 있는 주파수, 기타 환경 등을 고려하여 송신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전력 결정부 1740은 필요한 경우 송신 전력에 대응하여 송신 반복 횟수를 설정할 수 있다.
단말 100은 송수신기 310을 통해 상기 결정된 송신 전력에 기반하여 기지국 110에 신호를 설정된 송신 반복 횟수에 기반하여 반복 송신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단말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단말 100은 1810 단계에서 송수신기 310을 이용하여 제1 기지국으로부터 제1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하고, 제2 기지국으로부터 참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기지국은 기지국 110에 대응될 수 있으며, 제2 기지국은 기지국 120에 대응될 수 있다. 즉, 제1 기지국은 단말 100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일 수 있으며, 제2 기지국은 단말 100에게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으나, 단말 100에 근접하여 위치된 기지국일 수 있다. 제1 하향링크 신호에는 전력 제어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참조 신호에는 셀 파워(cell power)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단말 100은 1820 단계에서 제1 하향링크 신호를 디코딩하여 제1 전력 제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단말 100은 1820 단계에서 참조 신호를 디코딩하여 셀 파워를 획득할 수 있다. 1820 단계에서의 동작은 도 17에 도시된 디코딩부 172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단말 100은 1830 단계에서 상기 획득된 제1 전력 제어 정보 및 셀 파워를 통해 제1 경로 손실 및 제2 경로 손실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경로 손실은 단말 100과 제1 기지국 간의 경로 손실을 의미할 수 있으며, 제2 경로 손실은 단말 100과 제2 기지국 간의 경로 손실을 의미할 수 있다. 단말 100은 상기 획득한 제1 전력 제어 정보를 통해 기지국 110의 송신 전력 값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단말 100은 1820 단계에서 획득한 셀 파워를 통해 기지국 120의 송신 전력을 획득할 수 있다. 단말 100은 제1 하향링크 신호의 수신 세기 측정을 통해 제1 하향링크 신호의 수신 전력 값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단말 100은 참조 신호의 수신 세기 측정을 통해 참조 신호의 수신 전력 값을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 100은 상기 기지국 110의 송신 전력 값과 제1 하향링크 신호의 수신 전력 값에 기반하여 제1 경로 손실을 산출 할 수 있다. 또한, 단말 100은 상기 기지국 120의 송신 전력 값과 참조 신호의 수신 전력 값에 기반하여 제2 경로 손실을 산출할 수 있다. 1830 단계에서의 동작은 도 17에 도시된 간섭 추정부 173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제1 경로 손실 및 제2 경로 손실의 산출이 완료되면, 단말 100은 1840 단계에서 제2 경로 손실에 기반하여 임계 송신 전력을 산출할 수 있다. 1840 단계에서의 동작은 도 17에 도시된 간섭 추정부 173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단말 100은 1850 단계에서 임계 송신 전력 및 제1 경로 손실에 기반하여 송신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 100은 1850 단계에서 제1 경로 손실을 통해 제1 기지국에 도달할 수 있는 송신 전력의 하한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단말 100은 1850 단계에서 임계 손실 전력을 통해 송신 전력의 상한을 산출할 수 있다. 단말 100은 1850 단계에서 상기 산출된 송신 전력의 상한 및 하한, 단말 100이 이용할 수 있는 주파수, 기타 환경 등을 고려하여 송신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단말 100은 필요한 경우, 1850 단계에서 송신 전력에 대응하여 송신 반복 횟수를 설정할 수 있다. 1850 단계에서의 동작은 도 17에 도시된 전력 결정부 174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동작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단말 100은 기지국 110 및 기지국 120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위치될 수 있다. 기지국 110은 주파수 대역 210을 수신 주파수 대역으로 사용할 수 있고, 기지국 120은 주파수 대역 210의 인접한 주파수 대역 220을 수신 주파수 대역으로 사용할 수 있다. 단말 100은 기지국 110으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단말 100이 기지국 110에 신호 1905를 송신하는 경우, 신호 1905는 기지국 120에 간섭을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신호 1905는 단말 100이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기 위해 기지국 110에 송신하는 프리앰블(preamble)이 포함된 신호일 수 있다. 또는 신호 1905는 단말 100이 기지국 110에 송신하는 데이터가 포함된 신호일 수 있다.
기지국 120에서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막기 위해 단말 100, 기지국 110 및 기지국 120은 다음과 같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지국 110은 단말 100에 전력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링크 신호 1910을 송신할 수 있다. 단말 100은 하향링크 신호 1910을 수신할 수 있다. 단말 100은 수신된 하향링크 신호 1910을 디코딩할 수 있다. 단말 100은 하향링크 신호 1910의 디코딩을 통해 전력 제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단말 100은 상기 획득된 전력 제어 정보를 통해 기지국 110의 송신 전력 값을 획득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단말 100은 하향링크 신호 1910을 디코딩하지 않고, 저장부 330에 포함된 정보(예를 들면, 통상적인 기지국 110의 송신 전력, 단말 100이 통상적으로 가지는 통신 환경 등에 대한 정보)를 통해 송신 전력 값을 예측할 수도 있다.
단말 100은 신호 세기 측정을 통해 하향링크 신호 1910의 수신 전력 값을 획득할 수 있다. 단말 100은 기지국 110의 송신 전력 값과 하향링크 신호 1910의 수신 전력 값에 기반하여 단말 100과 기지국 110 간의 제1 경로 손실을 산출할 수 있다.
제5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 100은 디지털 나침반,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등의 위치 추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디지털 나침반은 자기 나침반을 디지털화한 것으로 일반 나침반처럼 동서남북의 방위를 알 수 있고, 위치정보활용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GNSS는 단말 100의 위치를 위성을 이용하여 알려줄 수 있다. GNSS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Beidou Navigation Satellite System 또는 Galileo, the European global satellite-based navigation system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 100은 위치 추정부를 통해 자신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단말 100은 위치 추정부를 통해 기지국 120을 감지하여 기지국 12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는, 단말 100은 하향링크 신호 1910를 통해 기지국 12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하향링크 신호 1910은 기지국 110과 기지국 120 간의 링크를 통해 기지국 120이 기지국 110에 전달한 기지국 120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 120은 기지국 120의 위치 정보를 Backhaul(wired link) 등에 의해 기지국 110에 전송할 수 있다. 단말 100은 기지국 120의 위치 정보 및 단말 100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기지국 120과 단말 100 간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단말 100은 상기 측정된 거리를 통해 기지국 120과 단말 100 간의 제2 경로 손실을 산출할 수 있다.
단말 100은 제2 경로 손실에 기반하여 임계 송신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단말 100은 상기 임계 송신 전력과 제1 경로 손실에 기반하여 송신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송신 전력 결정을 통해 단말 100은 미리 정의된 전력 값을 조절할 수 있으며, 송신 반복 횟수를 조절할 수 있다.
단말 100은 상기 결정된 송신 전력을 이용하여 기지국 110에 신호 1905를 송신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20을 참조하면, 단말 100은 송수신기 310, 안테나 320, 저장부 330, 제어부 340, 위치 추정부 2010을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추정부 2010은 하나 이상의 위치 추정부의 집합을 의미할 수 있다. 위치 추정부 2010은 디지털 나침반,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등의 위치 추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추정부 2010은 단말 100의 위치 정보를 제어부 340에 알릴 수 있다. 또한, 위치 추정부 2010은 기지국 120을 감지하여 기지국 120의 위치 정보를 제어부 340에 알릴 수 있다. 단말 100의 위치 정보 또는 기지국 120의 위치 정보는 후술할 단말 100과 기지국 120 간의 거리 측정의 기반이 될 수 있다.
제어부 340은 신호 세기 측정부 2030, 디코딩부 2040, 거리 측정부 2020, 간섭 추정부 2050, 전력 결정부 2060을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세기 측정부 2030은 단말 100이 수신한 신호의 수신 전력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 100이 하향링크 신호 1910을 수신하면, 신호 세기 측정부 1710은 하향링크 신호 1910의 수신 전력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측정된 하향링크 신호 1910의 수신 전력은 단말 100과 기지국 110 간의 경로 손실을 산출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디코딩부 2040은 단말 100이 수신한 신호를 디코딩할 수 있다. 제5 실시 예에 따르면, 디코딩부 2040은 수신된 하향링크 신호 1910을 디코딩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 100은 상기 디코딩의 결과로 하향링크 신호 1910에 포함된 전력 제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하향링크 신호 1910에 기지국 120의 위치 정보가 포함된 경우, 단말 100은 상기 디코딩의 결과로 기지국 12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단말 100은 상기 획득된 전력 제어 정보를 통해 기지국 110의 송신 전력 값을 획득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단말 100은 하향링크 신호 1910을 디코딩하지 않고, 저장부 330에 포함된 정보(예를 들면, 통상적인 기지국 110의 송신 전력, 단말 100이 통상적으로 가지는 통신 환경 등에 대한 정보)를 통해 송신 전력 값을 예측할 수 있다. 즉, 제5 실시 예에서, 제어부 340의 디코딩부 2040는 생략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5 실시 예의 단말 100은 위치 추정부 2010을 통해 기지국 12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거리 측정부 2020은 단말 100의 위치 정보, 기지국 120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단말 100과 기지국 120 간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단말 100과 기지국 120 간의 거리는 단말 100과 기지국 120 간의 제2 경로 손실을 산출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간섭 추정부 2050은 획득된 기지국 110의 송신 전력 값과 상기 측정된 수신 전력 값을 비교하여 제1 경로 손실을 산출할 수 있다.
간섭 추정부 2050은 측정된 단말 100과 기지국 120 간의 거리를 통해 단말 100과 기지국 120 간의 제2 경로 손실을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간섭 추정부 2050은 저장부 330에 포함된 정보(예를 들면, 단말과 기지국 간의 거리에 따른 통상적인 경로 손실 정보 등)를 통해 단말 100과 기지국 120 간의 제2 경로 손실을 산출할 수 있다.
간섭 추정부 2050은 제2 경로 손실에 기반하여 임계 송신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간섭 추정부 2050은 임계 송신 전력과 미리 정의된 전력 값을 비교하여 간섭이 발생될 수 있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미리 정의된 전력 값이 임계 송신 전력보다 큰 경우, 간섭 추정부 2050은 간섭이 발생될 수 있다고 판정할 수 있다.
전력 결정부 2060은 간섭이 발생될 수 있다는 판정에 대응하여 제1 경로 손실 및 임계 송신 전력에 기반하여 송신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력 결정부 2060은 제1 경로 손실을 통해 기지국 110에 도달할 수 있는 송신 전력의 하한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전력 결정부 2060은 임계 송신 전력을 통해 송신 전력의 상한을 산출할 수 있다. 전력 결정부 2060은 상기 산출된 송신 전력의 상한 및 하한, 단말 100이 이용할 수 있는 주파수, 기타 환경 등을 고려하여 송신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전력 결정부 2060은 필요한 경우 송신 전력에 대응하여 송신 반복 횟수를 설정할 수 있다.
단말 100은 송수신기 310을 통해 상기 결정된 송신 전력에 기반하여 기지국 110에 신호를 설정된 송신 반복 횟수에 기반하여 반복 송신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단말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단말 100은 2110 단계에서 송수신기 310을 이용하여 제1 기지국으로부터 제1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기지국은 기지국 110에 대응될 수 있다. 즉, 제1 기지국은 단말 100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일 수 있다. 제1 하향링크 신호에는 전력 제어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제1 하향링크 신호에는 제2 기지국의 위치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제2 기지국은 기지국 120에 대응될 수 있다. 즉, 제2 기지국은 단말 100에게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으나, 단말 100에 근접하여 위치된 기지국일 수 있다. 전력 제어 정보에 제2 기지국의 위치 정보가 포함된 경우, 제2 기지국의 위치 정보는 제1 기지국과 제2 기지국의 통신 링크를 통해 제1 기지국이 획득한 정보일 수 있다. 여기서 통신 링크를 통한 제 2 기지국의 위치 정보의 전송은 Backhaul(wired link) 등에 의해 이뤄질 수 있다.
단말 100은 2120 단계에서 위치 추정부 2010을 통해 단말 및 제2 기지국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만약 단말 100이 2110 단계에서 제2 기지국의 위치 정보가 포함된 제1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하였다면, 단말 100은 2120 단계에서 제2 기지국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단말 100은 2110 단계와 2120 단계의 선후 관계를 바꿔 수행할 수도 있다. 또는, 단말 100은 2110 단계와 2120 단계를 동시에 수행할 수도 있다.
그 후, 단말 100은 2130 단계에서 단말 및 제2 기지국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과 제2 기지국 간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2130 단계에서의 동작은 도 20에 도시된 거리 측정부 202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후, 단말 100은 2140 단계에서 제1 하향링크 신호를 디코딩하여 제1 전력 제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 100은 상기 제1 전력 제어 정보를 통해 제1 기지국의 송신 전력 값을 획득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단말 100은 단말 100은 제1 하향링크 신호를 디코딩하지 않고, 저장부 330에 포함된 정보(예를 들면, 통상적인 기지국 110의 송신 전력, 단말 100이 통상적으로 가지는 통신 환경 등에 대한 정보)를 통해 송신 전력 값을 예측할 수 있다. 즉, 제5 실시 예에서 단말 100은 2140 단계를 생략할 수도 있다. 2140 단계에서의 동작은 도 20에 도시된 디코딩부 2040 또는 간섭 추정부 2050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단말 100은 2150 단계에서 상기 획득된 제1 기지국의 송신 전력 값을 통해 제1 경로 손실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경로 손실은 단말 100과 제1 기지국 간의 경로 손실을 의미할 수 있다.
단말 100은 2150 단계에서 제1 하향링크 신호의 수신 세기 측정을 통해 제1 하향링크 신호의 수신 전력 값을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 100은 기지국 110의 송신 전력 값과 제1 하향링크 신호의 수신 전력 값에 기반하여 제1 경로 손실을 산출할 수 있다. 2150 단계에서의 동작은 도 20의 간섭 추정부 205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단말 100은 2160 단계에서 단말 및 제2 기지국 간의 거리에 기반하여 임계 송신 전력을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 100은 저장부 330에 포함된 정보(예를 들면, 단말과 기지국 간의 거리에 따른 통상적인 경로 손실 정보 등)를 통해 단말 100과 기지국 120 간의 제2 경로 손실을 산출할 수 있다. 단말 100은 제2 경로 손실에 기반하여 임계 송신 전력을 산출할 수 있다. 2160 단계에서의 동작은 도 20의 간섭 추정부 205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단말 100은 2170 단계에서 임계 송신 전력 및 제1 경로 손실에 기반하여 송신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 100은 2170 단계에서 제1 경로 손실을 통해 제1 기지국에 도달할 수 있는 송신 전력의 하한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단말 100은 2170 단계에서 임계 손실 전력을 통해 송신 전력의 상한을 산출할 수 있다. 그 후, 단말 100은 2170 단계에서 상기 산출된 송신 전력의 상한 및 하한, 단말 100이 이용할 수 있는 주파수, 기타 환경 등을 고려하여 송신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단말 100은 필요한 경우, 2170 단계에서 송신 전력에 대응하여 송신 반복 횟수를 설정할 수 있다. 2170 단계에서의 동작은 도 20의 전력 결정부 206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말은, 제1 기지국에 송신할 신호에 의해 제2 기지국에 간섭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판정에 대응하여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제어부와, 상기 결정된 송신 전력에 기반하여 제1 기지국으로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간섭이 발생한다는 판정에 대응하여 미리 정의된 전력 값을 조절하고, 조절된 전력 값을 상기 송신 전력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판정에 대응하여 상기 전력 값을 상기 단말의 송신 전력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간섭이 발생한다는 판정에 대응하여 상기 미리 정의된 전력 값을 하향 조절하고 하향 조절된 전력 값을 상기 송신 전력으로 결정할 수 있고, 상기 송신기는 상기 하향 조절된 전력 값에 대응하는 반복 횟수만큼 상기 신호를 상기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기지국과 상기 단말 간의 제2 경로 손실을 획득하고, 상기 제2 경로 손실에 기반하여 임계 전력을 산출하며, 상기 임계 송신 전력에 기반하여 간섭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상기 단말은 상기 제2 기지국으로부터 제2 기지국의 송신 전력이 포함된 제2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신호의 수신 전력을 산출하고, 상기 제2 기지국의 송신 전력 및 상기 제2 신호의 수신 전력에 기반하여 제2 경로 손실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기는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 제1 기지국의 송신 전력이 포함된 제1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신호의 수신 전력을 산출하고, 상기 제1 기지국의 송신 전력 및 상기 제1 신호의 수신 전력에 기반하여 제1 경로 손실을 획득하며, 상기 간섭이 발생한다는 판정에 대응하여 상기 제1 경로 손실 및 상기 임계 송신 전력에 기반하여 상기 송신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판정에 대응하여 미리 정의된 전력을 상기 송신 전력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은 상기 제2 기지국으로부터 제2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신호의 수신 전력을 산출하고, 상기 제2 신호의 수신 전력에 기반하여 제2 경로 손실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수신기는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 제1 기지국의 송신 전력이 포함된 제1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신호의 수신 전력을 산출하고, 상기 제1 기지국의 송신 전력 및 상기 제1 신호의 수신 전력에 기반하여 제1 경로 손실을 획득하며, 상기 간섭이 발생한다는 판정에 대응하여 상기 제1 경로 손실 및 상기 임계 송신 전력에 기반하여 상기 송신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판정에 대응하여 미리 정의된 전력을 상기 송신 전력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은 상기 제2 기지국으로부터 셀 파워(cell power)가 포함된 참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신호의 수신 전력을 산출하고, 상기 셀 파워에 기반하여 상기 제2 기지국의 송신 전력을 획득하며, 상기 제2 기지국의 송신 전력과 상기 제2 신호의 수신 전력에 기반하여 제2 경로 손실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수신기는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 제1 기지국의 송신 전력이 포함된 제1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신호의 수신 전력을 산출하고, 상기 제1 기지국의 송신 전력 및 상기 제1 신호의 수신 전력에 기반하여 제1 경로 손실을 획득하며, 상기 간섭이 발생한다는 판정에 대응하여 상기 제1 경로 손실 및 상기 임계 송신 전력에 기반하여 상기 송신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판정에 대응하여 미리 정의된 전력을 상기 송신 전력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은 상기 단말 및 상기 제2 기지국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위치 추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획득된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과 상기 제2 기지국 간의 거를 산출하고, 상기 단말과 상기 제2 기지국 간의 거리에 기반하여 제2 경로 손실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단말은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 제1 기지국의 송신 전력이 포함된 제1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신호의 수신 전력을 산출하고, 상기 제1 기지국의 송신 전력 및 상기 제1 신호의 수신 전력에 기반하여 제1 경로 손실을 획득하며, 상기 간섭이 발생한다는 판정에 대응하여 상기 제1 경로 손실 및 상기 임계 송신 전력에 기반하여 상기 송신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판정에 대응하여 미리 정의된 전력을 상기 송신 전력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말의 동작 방법은, 제1 기지국에 송신할 신호에 의해 제2 기지국에 간섭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과정과, 상기 판정에 대응하여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송신 전력에 기반하여 제1 기지국으로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과정은, 간섭이 발생한다는 판정에 대응하여 미리 정의된 전력 값을 조절하고 조절된 전력 값을 상기 송신 전력으로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과정은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판정에 대응하여 상기 전력 값을 상기 단말의 송신 전력으로 결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과정은 간섭이 발생한다는 판정에 대응하여 상기 미리 정의된 전력 값을 하향 조절하고 하향 조절된 전력 값을 상기 송신 전력으로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기지국으로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은 상기 하향 조절된 전력 값에 대응하는 반복 횟수만큼 상기 신호를 상기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이 제1 기지국에 송신할 신호에 의해 제2 기지국에 간섭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과정은, 상기 제2 기지국과 상기 단말 간의 제2 경로 손실을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제2 경로 손실에 기반하여 임계 송신 전력을 산출하는 과정과, 상기 임계 송신 전력에 기반하여 간섭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경로 손실을 획득하는 과정은 상기 제2 기지국으로부터 제2 기지국의 송신 전력이 포함된 제2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제2 신호의 수신 전력을 산출하는 과정과, 상기 제2 기지국의 송신 전력 및 상기 제2 신호의 수신 전력에 기반하여 제2 경로 손실을 획득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정에 대응하여 송신전력을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 제1 기지국의 송신 전력이 포함된 제1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제1 신호의 수신 전력을 산출하는 과정과, 상기 제1 기지국의 송신 전력 및 상기 제1 신호의 수신 전력에 기반하여 제1 경로 손실을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간섭이 발생한다는 판정에 대응하여 상기 제1 경로 손실 및 상기 임계 송신 전력에 기반하여 상기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정에 대응하여 송신전력을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판정에 대응하여 미리 정의된 전력을 상기 송신 전력으로 결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경로 손실을 획득하는 과정은 상기 제2 기지국으로부터 제2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제2 신호의 수신 전력을 산출하는 과정과, 상기 제2 신호의 수신 전력에 기반하여 제2 경로 손실을 획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정에 대응하여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 제1 기지국의 송신 전력이 포함된 제1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제1 신호의 수신 전력을 산출하는 과정과, 상기 제1 기지국의 송신 전력 및 상기 제1 신호의 수신 전력에 기반하여 제1 경로 손실을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간섭이 발생한다는 판정에 대응하여 상기 제1 경로 손실 및 상기 임계 송신 전력에 기반하여 상기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정에 대응하여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판정에 대응하여 미리 정의된 전력을 상기 송신 전력으로 결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경로 손실을 획득하는 과정은 상기 제2 기지국으로부터 셀 파워(cell power)가 포함된 참조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제2 신호의 수신 전력을 산출하는 과정과, 상기 셀 파워에 기반하여 상기 제2 기지국의 송신 전력을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제2 기지국의 송신 전력과 상기 제2 신호의 수신 전력에 기반하여 제2 경로 손실을 획득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정에 대응하여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 제1 기지국의 송신 전력이 포함된 제1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제1 신호의 수신 전력을 산출하는 과정과, 상기 제1 기지국의 송신 전력 및 상기 제1 신호의 수신 전력에 기반하여 제1 경로 손실을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간섭이 발생한다는 판정에 대응하여 상기 제1 경로 손실 및 상기 임계 송신 전력에 기반하여 상기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정에 대응하여 송신전력을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판정에 대응하여 미리 정의된 전력을 상기 송신 전력으로 결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경로 손실을 획득하는 과정은 상기 단말 및 상기 제2 기지국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획득된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과 상기 제2 기지국 간의 거리를 산출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과 상기 제2 기지국 간의 거리에 기반하여 제2 경로 손실을 획득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정에 대응하여 송신전력을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 제1 기지국의 송신 전력이 포함된 제1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제1 신호의 수신 전력을 산출하는 과정과, 상기 제1 기지국의 송신 전력 및 상기 제1 신호의 수신 전력에 기반하여 제1 경로 손실을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간섭이 발생한다는 판정에 대응하여 상기 제1 경로 손실 및 상기 임계 송신 전력에 기반하여 상기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정에 대응하여 송신전력을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판정에 대응하여 미리 정의된 전력을 상기 송신 전력으로 결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구현될(implemented)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device) 내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된다(configured for execution).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로 하여금 본 발명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어(instructions)를 포함한다.
이러한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 소프트웨어)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flash) 메모리를 포함하는 불휘발성(non-volatile) 메모리, 롬(ROM: Read Only Memory), 전기적 삭제가능 프로그램가능 롬(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magnetic disc storage device), 컴팩트 디스크 롬(CD-ROM: Compact Disc-ROM),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VDs: Digital Versatile Discs) 또는 다른 형태의 광학 저장 장치, 마그네틱 카세트(magnetic cassette)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이들의 일부 또는 전부의 조합으로 구성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구성 메모리는 다수 개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인터넷(Internet), 인트라넷(Intranet), LAN(Local Area Network), WLAN(Wide LAN), 또는 SAN(Storage Area Network)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근(access)할 수 있는 부착 가능한(attachable) 저장 장치(storage device)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 장치는 외부 포트를 통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네트워크상의 별도의 저장장치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들에서, 발명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제시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단수 또는 복수의 표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시한 상황에 적합하게 선택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단수 또는 복수의 구성 요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단수로 구성되거나,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34)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제1 기지국에 송신할 신호에 의해 제2 기지국에 간섭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과정과,
    상기 판정에 대응하여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송신 전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1 기지국으로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간섭이 발생한다는 판정에 대응하여 미리 정의된 전력 값을 조절하고 조절된 전력 값을 상기 송신 전력으로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판정에 대응하여 상기 전력 값을 상기 단말의 송신 전력으로 결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간섭이 발생한다는 판정에 대응하여 상기 미리 정의된 전력 값을 하향 조절하고 하향 조절된 전력 값을 상기 송신 전력으로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기지국으로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은,
    상기 하향 조절된 전력 값에 대응하는 반복 횟수만큼 상기 신호를 상기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간섭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과정은,
    상기 제2 기지국과 상기 단말 간의 제2 경로 손실을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제2 경로 손실에 기반하여 임계 송신 전력을 산출하는 과정과,
    상기 임계 송신 전력에 기반하여 상기 간섭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 경로 손실을 획득하는 과정은,
    상기 제2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2 기지국의 송신 전력이 포함된 제2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제2 신호의 수신 전력을 산출하는 과정과,
    상기 제2 기지국의 송신 전력 및 상기 제2 신호의 수신 전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2 경로 손실을 획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판정에 대응하여 송신전력을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1 기지국의 송신 전력이 포함된 제1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제1 신호의 수신 전력을 산출하는 과정과,
    상기 제1 기지국의 송신 전력 및 상기 제1 신호의 수신 전력에 기반하여 제1 경로 손실을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간섭이 발생한다는 판정에 대응하여 상기 제1 경로 손실 및 상기 임계 송신 전력에 기반하여 상기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판정에 대응하여 송신전력을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판정에 대응하여 미리 정의된 전력을 상기 송신 전력으로 결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 경로 손실을 획득하는 과정은,
    상기 제2 기지국으로부터 제2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제2 신호의 수신 전력을 산출하는 과정과,
    상기 제2 신호의 수신 전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2 경로 손실을 획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판정에 대응하여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1 기지국의 송신 전력이 포함된 제1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제1 신호의 수신 전력을 산출하는 과정과,
    상기 제1 기지국의 송신 전력 및 상기 제1 신호의 수신 전력에 기반하여 제1 경로 손실을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간섭이 발생한다는 판정에 대응하여 상기 제1 경로 손실 및 상기 임계 송신 전력에 기반하여 상기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판정에 대응하여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판정에 대응하여 미리 정의된 전력을 상기 송신 전력으로 결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12.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 경로 손실을 획득하는 과정은,
    상기 제2 기지국으로부터 셀 파워(cell power)가 포함된 참조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제2 신호의 수신 전력을 산출하는 과정과,
    상기 셀 파워에 기반하여 상기 제2 기지국의 송신 전력을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제2 기지국의 송신 전력과 상기 제2 신호의 수신 전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2 경로 손실을 획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판정에 대응하여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1 기지국의 송신 전력이 포함된 제1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제1 신호의 수신 전력을 산출하는 과정과,
    상기 제1 기지국의 송신 전력 및 상기 제1 신호의 수신 전력에 기반하여 제1 경로 손실을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간섭이 발생한다는 판정에 대응하여 상기 제1 경로 손실 및 상기 임계 송신 전력에 기반하여 상기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판정에 대응하여 송신전력을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판정에 대응하여 미리 정의된 전력을 상기 송신 전력으로 결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15.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 경로 손실을 획득하는 과정은,
    상기 단말 및 상기 제2 기지국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획득된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과 상기 제2 기지국 간의 거리를 산출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과 상기 제2 기지국 간의 거리에 기반하여 상기 제2 경로 손실을 획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판정에 대응하여 송신전력을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1 기지국의 송신 전력이 포함된 제1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제1 신호의 수신 전력을 산출하는 과정과,
    상기 제1 기지국의 송신 전력 및 상기 제1 신호의 수신 전력에 기반하여 제1 경로 손실을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간섭이 발생한다는 판정에 대응하여 상기 제1 경로 손실 및 상기 임계 송신 전력에 기반하여 상기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판정에 대응하여 송신전력을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판정에 대응하여 미리 정의된 전력을 상기 송신 전력으로 결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1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말에 있어서,
    제1 기지국에 송신할 신호에 의해 제2 기지국에 간섭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판정에 대응하여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제어부와,
    상기 결정된 송신 전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1 기지국으로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기를 포함하는 단말.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간섭이 발생한다는 판정에 대응하여 미리 정의된 전력 값을 조절하고, 조절된 전력 값을 상기 송신 전력으로 결정하는 단말.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판정에 대응하여 상기 전력 값을 상기 단말의 송신 전력으로 결정하는 단말.
  21.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간섭이 발생한다는 판정에 대응하여 상기 미리 정의된 전력 값을 하향 조절하고 하향 조절된 전력 값을 상기 송신 전력으로 결정하고,
    상기 송신기는,
    상기 하향 조절된 전력 값에 대응하는 반복 횟수만큼 상기 신호를 상기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말.
  22.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기지국과 상기 단말 간의 제2 경로 손실을 획득하고,
    상기 제2 경로 손실에 기반하여 임계 전력을 산출하며,
    상기 임계 송신 전력에 기반하여 상기 간섭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말.
  23.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2 기지국의 송신 전력이 포함된 제2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신호의 수신 전력을 산출하고,
    상기 제2 기지국의 송신 전력 및 상기 제2 신호의 수신 전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2 경로 손실을 획득하는 단말.
  24.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1 기지국의 송신 전력이 포함된 제1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신호의 수신 전력을 산출하고,
    상기 제1 기지국의 송신 전력 및 상기 제1 신호의 수신 전력에 기반하여 제1 경로 손실을 획득하며,
    상기 간섭이 발생한다는 판정에 대응하여 상기 제1 경로 손실 및 상기 임계 송신 전력에 기반하여 상기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단말.
  25.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판정에 대응하여 미리 정의된 전력을 상기 송신 전력으로 결정하는 단말.
  26.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지국으로부터 제2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신호의 수신 전력을 산출하고,
    상기 제2 신호의 수신 전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2 경로 손실을 획득하는 단말.
  27.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1 기지국의 송신 전력이 포함된 제1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신호의 수신 전력을 산출하고,
    상기 제1 기지국의 송신 전력 및 상기 제1 신호의 수신 전력에 기반하여 제1 경로 손실을 획득하며,
    상기 간섭이 발생한다는 판정에 대응하여 상기 제1 경로 손실 및 상기 임계 송신 전력에 기반하여 상기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단말.
  28. 청구항 27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판정에 대응하여 미리 정의된 전력을 상기 송신 전력으로 결정하는 단말.
  29.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지국으로부터 셀 파워(cell power)가 포함된 참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신호의 수신 전력을 산출하고,
    상기 셀 파워에 기반하여 상기 제2 기지국의 송신 전력을 획득하며,
    상기 제2 기지국의 송신 전력과 상기 제2 신호의 수신 전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2 경로 손실을 획득하는 단말.
  30. 청구항 29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1 기지국의 송신 전력이 포함된 제1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신호의 수신 전력을 산출하고,
    상기 제1 기지국의 송신 전력 및 상기 제1 신호의 수신 전력에 기반하여 제1 경로 손실을 획득하며,
    상기 간섭이 발생한다는 판정에 대응하여 상기 제1 경로 손실 및 상기 임계 송신 전력에 기반하여 상기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단말.
  31. 청구항 30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판정에 대응하여 미리 정의된 전력을 상기 송신 전력으로 결정하는 단말.
  32.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단말 및 상기 제2 기지국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위치 추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획득된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과 상기 제2 기지국 간의 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단말과 상기 제2 기지국 간의 거리에 기반하여 상기 제2 경로 손실을 획득하는 단말.
  33. 청구항 32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1 기지국의 송신 전력이 포함된 제1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신호의 수신 전력을 산출하고,
    상기 제1 기지국의 송신 전력 및 상기 제1 신호의 수신 전력에 기반하여 제1 경로 손실을 획득하며,
    상기 간섭이 발생한다는 판정에 대응하여 상기 제1 경로 손실 및 상기 임계 송신 전력에 기반하여 상기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단말.
  34. 청구항 33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판정에 대응하여 미리 정의된 전력을 상기 송신 전력으로 결정하는 단말.
KR1020150102512A 2015-07-20 2015-07-2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2466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2512A KR102246608B1 (ko) 2015-07-20 2015-07-2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15/746,354 US10349359B2 (en) 2015-07-20 2016-07-20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CT/KR2016/007868 WO2017014540A1 (ko) 2015-07-20 2016-07-2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2512A KR102246608B1 (ko) 2015-07-20 2015-07-2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0631A true KR20170010631A (ko) 2017-02-01
KR102246608B1 KR102246608B1 (ko) 2021-04-30

Family

ID=57834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2512A KR102246608B1 (ko) 2015-07-20 2015-07-2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349359B2 (ko)
KR (1) KR102246608B1 (ko)
WO (1) WO201701454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50567A1 (ko) * 2018-09-04 2020-03-12 삼성전자 주식회사 데이터 통신 신호로부터 무선 전력에 의한 간섭을 제거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작동 방법
KR20200049302A (ko) * 2018-10-31 2020-05-08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사물 통신 단말기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12462B2 (en) * 2017-04-14 2022-08-09 Intel Corporation Enhanced power management for wireless communications
EP3668197B1 (en) * 2018-12-12 2021-11-03 Rohde & Schwarz GmbH & Co. KG Method and radio for setting the transmission power of a radio transmission
CN112996095B (zh) * 2019-12-17 2023-05-26 成都鼎桥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基站自适应下行功率调整方法
JP2023051439A (ja) * 2021-09-30 2023-04-1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送信制御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77722A1 (en) * 2009-01-09 2010-07-15 Ismail Guvenc Method for Time Frequency Spreading in a Femtocell Network for Interference Reduction
KR20100112329A (ko) * 2009-04-09 2010-10-1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무선통신 스케줄링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104378A (ko) * 2010-03-16 2011-09-22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실내 기지국의 송신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WO2011136567A2 (ko) * 2010-04-27 2011-11-03 엘지에릭슨 주식회사 소형 기지국 및 그의 상향링크 전력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83415B (zh) * 2009-05-05 2013-06-05 电信科学技术研究院 探测参考信号发送功率配置方法、网络侧设备及ue
JP5821208B2 (ja) * 2010-10-29 2015-11-24 ソニー株式会社 通信制御装置、通信制御方法、通信装置、通信方法及び通信システム
US9392550B2 (en) * 2011-11-12 2016-07-12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allowing terminal to determine uplink transmission pow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KR20130104500A (ko) 2012-03-14 2013-09-25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의 상향 링크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589911B1 (ko) * 2012-08-03 2016-02-18 주식회사 케이티 랜덤 액세스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US9049668B2 (en) * 2012-09-06 2015-06-02 Qualcomm Incorporated D2D relays as an underlay in LTE uplink
KR102319182B1 (ko) 2014-05-09 2021-10-29 삼성전자 주식회사 D2D(Device to Device)통신 단말의 통신 방법 및 장치
WO2015170937A1 (en) 2014-05-09 2015-11-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by d2d communication terminal
KR102311848B1 (ko) 2014-12-01 2021-10-14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자원 및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77722A1 (en) * 2009-01-09 2010-07-15 Ismail Guvenc Method for Time Frequency Spreading in a Femtocell Network for Interference Reduction
KR20100112329A (ko) * 2009-04-09 2010-10-1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무선통신 스케줄링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104378A (ko) * 2010-03-16 2011-09-22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실내 기지국의 송신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WO2011136567A2 (ko) * 2010-04-27 2011-11-03 엘지에릭슨 주식회사 소형 기지국 및 그의 상향링크 전력제어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50567A1 (ko) * 2018-09-04 2020-03-12 삼성전자 주식회사 데이터 통신 신호로부터 무선 전력에 의한 간섭을 제거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작동 방법
US11626763B2 (en) 2018-09-04 2023-04-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removing, from data communication signal, interference due to wireless power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KR20200049302A (ko) * 2018-10-31 2020-05-08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사물 통신 단말기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6608B1 (ko) 2021-04-30
US10349359B2 (en) 2019-07-09
WO2017014540A1 (ko) 2017-01-26
US20180213487A1 (en) 2018-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16419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안테나 구성에 기반한 빔 탐색 장치 및 방법
KR102246608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7534547B (zh) 无线网络中的多用户全双工带内通信
CN112913293B (zh) 对用于往返时间估计的射频前端群延迟的处理
US10506545B2 (en) Scanning method using position information of terminal in wireless access system supporting millimeter waves and devices for same
US1076826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properties of channel
JP2021108498A (ja) 多入力多出力無線システムのためのサウンディング基準信号の電力制御
KR20170141471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측위를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150139004A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interference mitigation
US20240022375A1 (en) Coordinated positioning via sidelink resource
KR20170030773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위치 추정 방법 및 장치
CN113613322B (zh) 用于确定发射功率的方法和装置
US10334540B2 (en) Uplink synchronization device and method of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10293917A1 (en) Method,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beam information based positioning
WO2017167503A1 (en) Dynamic time division duplex interference mitigation in a wireless network
KR20160131519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안테나를 선택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N112188609B (zh) 确定定时提前ta参考时刻的方法和装置
CN113382469A (zh) 针对定位参考信号的发射功率控制
US9480032B2 (en) Tracking received power in wireless communications
KR20230129985A (ko) 참조 디바이스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KR20180015559A (ko) 다중 입력 다중 출력 통신 시스템에 대한 간섭 파라미터 추정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230130002A (ko) 이중-차분 라운드 트립 시간 측정
US1168371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ference measure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3016458B1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providing information related to a predicted channel state
EP2961219B1 (en) Wireless terminal,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handover method, and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