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0529A - outcase assembly for upper lid type refrigerator - Google Patents

outcase assembly for upper lid type refriger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0529A
KR20170010529A KR1020150102280A KR20150102280A KR20170010529A KR 20170010529 A KR20170010529 A KR 20170010529A KR 1020150102280 A KR1020150102280 A KR 1020150102280A KR 20150102280 A KR20150102280 A KR 20150102280A KR 20170010529 A KR20170010529 A KR 201700105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t
outer case
inner support
coupling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22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26891B1 (en
Inventor
정형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Priority to KR10201501022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6891B1/en
Publication of KR20170010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052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6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689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2Walls defining a cabin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Y02B40/3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utcase assembly type for an upper cover type refrigerator, holding a portion coupled to a front surface of a first outcase having both side plates and a rear plate while surrounding a second outcase which is a front panel to prevent the portion from being widened from each other by using an inner support and maintain a right angle of an edge of a refrigerator.

Description

상부 뚜껑식 냉장고용 아웃케이스 조립품{outcase assembly for upper lid type refrigerator}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ut-door assembly for an upper lid refrigerator,

본 발명은 양 측판과 뒤판으로 이루어진 제1아웃케이스의 전면에 프런트 패널인 제2아웃 케이스를 감싸는 형태로 결합된 부위를 이너 서포트로 서로 벌어지지 않게 잡아주면서도 모서리의 직각도 유지시키는 상부 뚜껑식 냉장고용 아웃케이스 조립품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which is provided with a first outer case made up of both side plates and a back plate and which is joined to the front case in such a manner as to surround a second outer case, Out case assembly.

종래 제1아웃케이스와 제2아웃케이스인 프런트 패널이 조립된 상부 뚜껑식 냉장고용 아웃케이스 조림품이 특허문헌에 공지되어 있다. An outer case-assembled product for an upper-lid refrigerator in which a front panel, which is a first outer case and a second outer case, is assembled is known in the patent literature.

특허문헌의 아웃 케이스는 제1아웃케이스의 상단과 프런트 패널의 상단을 바디 커버에 조립한 후 제1아웃케이스의 하단과 프런트 패널의 하단을 베이스 커버로 덮어 나사 체결하여 조립을 행한다. The outer case of the patent document is assembled by assembling the upper end of the first outer case and the upper end of the front panel to the body cover, and then the lower end of the first out case and the lower end of the front panel are covered with the base cover.

이와 같이 제1아웃케이스와 프런트 패널이 맞대어 보강 브라켓으로 가조립된 상태에서 컨베이어 이동 시나 작업자의 작업 시 형태가 흐트러지질 수 있어 생산성이 떨어질 수 있다. In this way, when the first outer case and the front panel abut against each other and are assembled to the reinforcing bracket, the shape of the conveyor during movement of the conveyor or during the operation of the operator may be disturbed, and the productivity may be deteriorated.

이러한 흐트러짐을 해소하기 위한 종래의 아웃케이스(1)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맞대어진 제1아웃케이스(3)와 프런트 패널인 제2아웃케이스(5)가 서로 벌어지지 않게 내면에 홀더(7)로 잡아주고, 모서리의 직각은 이너 서포트(9)로 유지시켰다. As shown in Figs. 1 to 3, the conventional outer case 1 for solving such a disturbance is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the first outer case 3 and the second outer case 5, which are the front panel, And held at the inner surface by the holder 7, and the right angle of the edge was held by the inner support 9. [

즉 제1아웃케이스(3)는 양 측판(3a)과 뒤판(3b), 상기 양 측판(3a)에서 안쪽으로 90도 절곡된 절곡판(3c)으로 이루어진다. That is, the first outer case 3 is composed of both side plates 3a and 3b, and a bent plate 3c bent 90 degrees inward from the both side plates 3a.

상기 프런트 패널(5)의 좌우 양단은 상기 절곡판(3c) 사이에 놓이고, 그 사이가 벌어지지 않게 상기 홀더(7)가 잡아준다. Both left and right ends of the front panel 5 are placed between the folding plates 3c, and the holder 7 holds the front panel 5 so that the front panel 5 is not opened.

이너 서포트(9)는 제1아웃케이스(3)의 양 옆 아래쪽에 끼워지는 'ㄱ'자 형상이다. The inner support 9 is in the shape of a letter 'A' which is fitted on both lower sides of the first outer case 3.

이와 같이 종래의 아웃케이스(1)를 조립하기 위해서는 홀더(7)와 이너 서포트(9) 라는 두 개의 부품이 필요하고, 또한 홀더(7)로 홀딩 된 부분에서 발포 시 누액 될 우려가 크다. In order to assemble the conventional outer case 1 as described above, two parts, namely, a holder 7 and an inner support 9 are required. In addition,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leakage occurs at a portion held by the holder 7.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41677호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9-0041677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이너 서포트라는 하나의 부품으로 본래의 기능인 4개의 모서리 각도를 유지시키는 동시에 제1아웃케이스와 프런트 패널이 서로 벌어지지 않게 잡아주는 상부 뚜껑식 냉장고용 아웃케이스 조립품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onceiv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frigerator having an upper cover type refrigerator for holding four corner angles of an original function, And an outer case assembly.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상부 뚜껑식 냉장고용 아웃케이스 조립품은, 양 측판과 뒤판으로 이루어진 제1아웃케이스와, 상기 제1아웃케이스의 전면에 배치되는 프런트 패널인 제2아웃케이스로 이루어진 아웃케이스; 상기 제1아웃케이스와 상기 제2아웃케이스가 결합되는 결합부; 상기 아웃케이스에 장착되어 모서리 각도를 유지시키는 이너 서포트;를 포함하되, 상기 제2아웃케이스는 전판과, 상기 전판의 좌우에서 상기 양 측판을 향해 절곡되는 좌우측 절곡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양 측판의 선단에서 내측으로 돌출되게 절곡 형성되는 제1결합부와, 상기 제1결합부가 삽입되게 상기 좌우측 절곡판에서 내측으로 돌출되게 절곡 형성되는 제2결합부로 구성되고, 상기 이너 서포트에는 상기 제2결합부에 끼워지는 홈이 형성되어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outer case assembly for an upper lid refrigerator according to claim 1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outer case made up of both side plates and a back plate; 2 out case; An engaging portion to which the first outer case and the second outer case are engaged; Wherein the second outer case comprises a front plate and left and right bent plates bent from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front plate toward the both side plates, Wherein the inner support comprises a first engaging portion that is bent so as to protrude inward from the tip of both side plates and a second engaging portion that is bent so as to protrude inwardly from the left and right bent plates so as to insert the first engaging portion, 2 engaging portion is formed.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기재된 상부 뚜껑식 냉장고용 아웃케이스 조립품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부는 내측을 향해 절곡되는 제2a결합편, 상기 제2a결합편에서 반환 절곡되어 상기 제2a결합편에 대응되는 제2b결합편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2a결합편과 상기 제2b결합편 사이에는 상기 제1결합부가 삽입 결합되는 제2결합홈이 형성되어 있다. In the upper case-type refrigerator outfit assembly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engaging portion may include a second 2a engaging portion bent toward the inside, a second engaging portion bent backward from the second engaging portion, And a second engaging groove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2a engaging piece and the second engaging piece so that the first engaging portion is inserted into and engaged with the second engaging groove.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기재된 상부 뚜껑식 냉장고용 아웃케이스 조립품에 있어서, 상기 제2b결합편은 상기 제2a결합편에 대해 벌어지는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2b확산결합편과, 상기 제2b확산결합편에서 상기 제2a결합편으로 향하게 경사 절곡되는 제2b수렴결합편과, 상기 제2b수렴결합편에서 절곡되어 상기 제2a결합편과 대응되는 제2b대응결합편으로 이루어진다. In the case of the upper case type refrigerator outfit assembly according to the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b coupling piece includes a second b diffusion bonding piece bent in a direction to widen toward the second coupling piece, A second b converging coupling piece bent obliquely toward the 2a coupling piece, and a second b corresponding coupling piece bent in the second b converging coupling piece and corresponding to the 2a coupling piece.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기재된 상부 뚜껑식 냉장고용 아웃케이스 조립품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에는 일측으로 돌출되는 파형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부가 상기 제2결합홈에 결합 시 상기 파형부는 상기 제2b수렴 결합편 상에 배치되어 있다. In the upper case-type outer case assembly for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four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irst engaging portion is engaged with the second engaging recess, the corrugated portion protrudes to one side, 2b converging coupling pieces.

본 발명의 청구항 5에 기재된 상부 뚜껑식 냉장고용 아웃케이스 조립품에 있어서, 상기 제1아웃케이스의 양 측판과 상기 제2아웃케이스의 하단에는 상기 이너 서포트가 장착되는 제1장착홈과 제2장착홈이 형성되되, 상기 제1장착홈은 상기 제1아웃케이스의 양 측판 하단에서 내측으로 절곡된 제1내측 플랜지와, 상기 제1내측 플랜지에서 위로 돌출 형성되는 제1돌기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2장착홈은 상기 제2아웃케이스의 하단에서 내측으로 절곡된 제2내측 플랜지와, 상기 제2내측 플랜지에서 위로 돌출 형성되는 제2돌기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이너 서포트는 상기 제1장착홈에 장착되는 제1이너 서포트와, 상기 제1이너 서포트의 전단에서 직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장착홈에 장착되는 제2이너 서포트로 이루어진다. In the upper case-type refrigerator outsole assembly according to the fif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oth the side plates of the first out case and the lower end of the second out case are provided with a first mounting groove and a second mounting groove Wherein the first mounting groove is formed between a first inner flange bent inward at the lower ends of both side plates of the first outer case and a first projection protruding upward from the first inner flange, Wherein the mounting recess is formed between a second inner flange bent inwardly from a lower end of the second outer case and a second protrusion protruded upward from the second inner flange, And a second inner support formed at a right angle at a front end of the first inner support and mounted in the second mounting groove.

본 발명의 청구항 6에 기재된 상부 뚜껑식 냉장고용 아웃케이스 조립품에 있어서, 상기 제1이너 서포트에는 상기 제1돌기에 끼워지는 제1끼움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이너 서포트에는 상기 제2돌기에 끼워지는 제2끼움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끼움부의 일측과 상기 제2끼움부의 타측에는 연결부가 형성되어 있다. According to a six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outer case assembly for an upper lid refrigerator, wherein the first inner support is provided with a first fitting portion to be fitted to the first projection, and the second inner support is fitted with the second projection A second fitting portion is formed, and a connecting portion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fitting portion and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fitting portion.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제2아웃케이스(프런트 패널)가 제1아웃케이스의 양 측판을 감싸면서 결합되는 결합부에 이너 서포트의 홈이 끼워져 서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아웃케이스의 모서리 각도를 유지시킨다. The outer edge of the outer case is prevented from being widened while the second outer case (front panel)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portion where the inner support is engaged while the both side plates of the first outer case are wrapped.

따라서, 하나의 부품이 이너 서포트로 모서리 각도 유지와 두 아웃케이스의 결합을 함으로써 조립이 간단하고, 서로 감싸 결합됨으로써 발포 시 누액을 방지하고, 이너 서포트로 단단히 결합된 아웃케이스 조립품이 컨베이어 이동 시나 작업 시에도 형태가 흐트러지지 않아 생산성을 확보할 수 있다. Therefore, one component is easy to assemble by holding the corner angle with the inner support and the two outcases are combined by wrapping each other, thereby preventing leakage during foaming, and the outer case assembly tightly coupled to the inner support can be moved The shape is not disturbed at the time of production, and productivity can be ensured.

제2아웃케이스의 제2결합부가 이너 서포트의 홈이 끼워졌을 때 제2결합부가 홈에 대해 탄성 가압시켜는 확산결합부가 형성되어, 이너 서포트의 장착을 더욱 확실히 할 수 있다. When the second coupling portion of the second outer case is fitted with the groove of the inner support, the diffusion coupling portion is formed by elastically pressing the second coupling portion against the groove, so that the mounting of the inner support can be further ensured.

또한, 제1결합부가 제2결합홈에 결합 시 파형부는 제2b수렴 결합편 상에 배치됨으로써 임의적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게 걸림 기능을 한다. In addition, when the first engaging part is engaged with the second engaging groove, the corrugated part is disposed on the second converging engaging piece so as to function as a latch to prevent it from falling out arbitrarily.

또한, 이너 서포트에는 제1끼움부와 제2끼움부 및 제1,2끼움부를 연결하는 연결부가 더 형성됨으로써, 좌우 절곡판에 형성되는 제2결합부에 의해 좌우 절곡판에 장착홈이 형성되지 못하는 기능을 보조적으로 커버하는 역할을 한다. Further, the inner support further includes a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fitting portion, the second fitting portion, and the first and second fitting portions, so that the fitting groove is formed in the right and left bent plates by the second fitting portion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bent plates It also serves as an auxiliary cover for functions that are not available.

도 1은 종래 상부 뚜껑식 냉장고용 아웃케이스 조립품을 도시한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도 1에서 홀더와 이너 서포트를 보여주기 위한 부분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부 뚜껑식 냉장고용 아웃케이스 조립품을 도시한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도 4의 A 및 B 부분을 상세히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
도 7 및 도 8은 도 4의 평면도 및 저면도.
도 9는 제1아웃케이스와 제2아웃케이스(프런트 패널)의 결합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결합부가 분리된 사시도.
도 11 및 도 12는 이너 서포트를 상부 및 저면에서 본 사시도.
도 13 및 도 14는 도 7의 13-13선 및 14-14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ut-case assembly for a conventional top-opened refrigerator. FIG.
FIGS. 2 and 3 are partial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holder and inner support in FIG. 1. FIG.
FIG.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outer case assembly for an upper lid refrigerat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S. 5 and 6 are perspective views for showing parts A and B of FIG. 4 in detail;
Figs. 7 and 8 are a plan view and a bottom view of Fig. 4;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portion of the first outer case and the second outer case (front panel).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upling part of Fig.
11 and 12 are perspective views of the inner support viewed from the top and bottom.
13 and 14 are cross-sectional views taken on line 13-13 and line 14-14 in Fig.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설명하는데, 종래의 것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부 뚜껑식 냉장고용 아웃케이스 조립품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도 4의 A 및 B 부분을 상세히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도 4의 평면도 및 저면도이고, 도 9는 제1아웃케이스와 제2아웃케이스(프런트 패널)의 결합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결합부가 분리된 사시도이고, 도 11 및 도 12는 이너 서포트를 상부 및 저면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13 및 도 14는 도 7의 13-13선 및 14-14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다. FIG.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outer case assembly for an upper lid refrigerat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5 and 6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parts A and B of FIG. 4 in detail,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por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outcases (front panel),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upling portion of Fig. 9,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ner support viewed from the top and bottom, and Figs. 13 and 14 are sectional views taken on line 13-13 and line 14-14 in Fig.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웃케이스 조립품(1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아웃케이스(20)와 프런트 패널인 제2아웃케이스(40)로 이루어진 아웃케이스와, 제1아웃케이스(20)와 제2아웃케이스(40)가 결합되는 결합부(50)와, 아웃케이스의 모서리 각도를 유지시키는 이너 서포트(70)로 구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outer case assembly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uter case made up of a first outer case 20 and a second outer case 40 as a front panel, An engaging portion 50 to which the first outer case 20 and the second outer case 40 are coupled and an inner support 70 for maintaining the corner angle of the outer case.

도 1의 아웃케이스의 상단에는 바디 커버가 조립되고, 그 하단에는 베이스 커버가 조립된다. 아웃케이스는 철판으로 절곡 형성되어 있다. A body cover is assembled to the upper end of the outer case of Fig. 1, and a base cover is assembled to the lower end of the body cover. The outer case is formed by bending into an iron plate.

제1아웃케이스(20)는 뒤판(21)과, 뒤판(31)의 좌우 양단에서 거의 90도 절곡된 양 측판(23)으로 이루어진 ㄷ자 형상이다. The first outer case 20 is formed in a U-shape consisting of a back plate 21 and both side plates 23 bent almost 90 degrees from both left and right ends of the back plate 31.

뒤판(21)의 하단에는 일부 절취된 공간(21a)이 형성되는데, 추후 기계실 통로의 역할을 한다. A part of the cut-out space 21a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back plate 21, which serves as a machine room passage.

양 측판(23)의 상단에는 전술한 바디 커버가 조립될 수 있게 다수의 절곡부(25)가 형성되어 있다. At the upper end of both side plates 23, a plurality of bent portions 25 are formed so that the above-described body cover can be assembled.

즉, 절곡부(25)는 양 측판(23)의 상단에서 내측으로 컵 형상으로 절곡된 제1절곡부(25a)와, 제1절곡부(25a)의 하단에서 내측 위쪽으로 향하게 경사 절곡되는 제2절곡부(25b), 제2절곡부(25b)에서 외측 위쪽으로 향하게 경사 절곡되는 제3절곡부(25c)와, 제3절곡부(25c)에서 위로 볼록하게 내측을 향해 절곡되는 제4절곡부(25d)로 이루어진다. That is, the bent portion 25 has a first bent portion 25a which is bent in a cup shape in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both side plates 23 and a second bent portion 25b which is bent obliquely upward toward the upper side from the lower end of the first bent portion 25a A second bending portion 25b which is bent inwardly and a third bending portion 25c which is obliquely bent upward toward the outside in the second bending portion 25b and a fourth bending portion 25c which is convexly bent upward in the third bending portion 25c, And a portion 25d.

따라서 제1절곡부(25a)와 제3절곡부(25c) 사이에는 사다리꼴 단면의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Therefore, a space having a trapezoidal cross section is formed between the first bent portion 25a and the third bent portion 25c.

제2아웃케이스(40)는 제1아웃케이스(20)의 전면에 배치되는 전판(41)과, 전판(41)의 좌우 양단에서 상기 측판(23) 쪽으로 거의 90도 절곡된 좌우측 절곡판(43)이 형성되어 있다. The second outer case 40 includes a front plate 41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outer case 20 and left and right bent plates 43 Is formed.

좌우측 절곡판(43)은 양 측판(21)과 결합될 정도로 겹치기만 하기 때문에, 좌우측 절곡판(43)의 길이는 양측판(21)의 길이에 비해 매우 짧다. The length of the left and right bent plates 43 is very short compared with the length of the both side plates 21 because the left and right bent plates 43 only overlap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both side plates 21. [

결합부(50)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 측판(23)의 선단에서 내측으로 돌출되게 절곡 형성되는 제1결합부(50a)와, 제1결합부(50a)가 삽입되게 좌우측 절곡판(43)에서 내측으로 돌출되게 절곡 형성되는 제2결합부(50b)로 구성되어 있다. 9 and 10, the engaging portion 50 includes a first engaging portion 50a that is bent so as to protrude inward from the tip of the both side plates 23, And a second engaging portion 50b which is formed so as to protrude inwardly from the left and right foldable plates 43 so as to be bent.

제1결합부(50a)는 판 형상으로서 그 일측으로 돌출되는 원호 형상의 파형부(51a)가 형성되어 있다. The first engaging portion 50a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has an arc-shaped corrugated portion 51a projecting to one side thereof.

제2결합부(50b)는 내측을 향해 절곡되는 제2a결합편(51b), 제2a결합편(51b)에서 반환 절곡되어 제2a결합편(51b)에 대응되는 제2b결합편(53b)으로 이루어진다. The second engaging portion 50b includes a second connecting portion 51b bent toward the inside and a second connecting portion 53b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ng portion 51b bent back by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51b .

이때, 제2a결합편(51b)과 제2b결합편(53b) 사이에는 제1결합부(50a)가 삽입 결합되는 제2결합홈(57b)이 형성된다. At this time, a second engaging groove 57b into which the first engaging portion 50a is inserted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2a engaging piece 51b and the secondb engaging piece 53b.

제2b결합편(53b)은 제2a결합편(51b)에 대해 벌어지는 방향으로 경사 절곡되는 제2b확산결합편(54b)과, 제2b확산결합편(54b)에서 제2a결합편(51b)으로 향하게 경사 절곡되는 제2b수렴결합편(55b)과, 제2b수렴결합편(55b)에서 절곡되어 제2a결합편(51b)과 대응되는 제2b대응결합편(56b)으로 이루어진다. The second b-joining piece 53b includes a second b diffusion bonding piece 54b which is obliquely bent in a direction to widen with respect to the second coupling piece 51b and a second b diffusion bonding piece 54b which is inclined from the second b diffusion bonding piece 54b to the second coupling piece 51b And a second b corresponding engagement piece 56b which is bent at the second b converging engagement piece 55b and corresponds to the second engagement piece 51b.

따라서, 도 9와 같이 제1결합부(50a)가 제2결합홈(57b)에 결합 시 파형부(51a)가 제2b수렴결합편(55b) 상에 배치되어, 어느 정도 걸림 기능이 되기 때문에 임의적으로 쉽게 빠지지는 않는다. 9, when the first engaging portion 50a engages with the second engaging groove 57b, the corrugated portion 51a is disposed on the second converging / converging engaging piece 55b, It does not get off easily.

이너 서포트(7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웃케이스의 하단에 장착되어 모서리 각도를 유지시키는 동시에 결합부(50)에 끼워져 서로 벌어지지 않게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As shown in Figs. 5 and 6, the inner support 70 is mounted at the lower end of the outer case so as to maintain the angle of the corner, and at the same time, the inner support 70 is inserted into the engaging portion 50 to hold the inner support 70 so as not to flare.

즉, 이너 서포트(70)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이너 서포트(70a)와, 제1이너 서포트가 일단에서 직각으로 형성되는 제2이너 서포트(70b)로 이루어진다. 11 and 12, the inner support 70 includes a first inner support 70a and a second inner support 70b having a first inner support at one end and a right angle.

제1이너 서포트(70a)에는 결합부(50)에 끼워져 서로 벌어지는 것을 잡아주는 홈(71a)이 형성되어 있다. The first inner support 70a is formed with a groove 71a that is fitted in the engaging portion 50 and holds the wing.

홈(71a)은 평면에서 볼 때 U자 형상이다. The groove 71a is U-shaped in plan view.

홈(71a)의 폭은 그 길이를 따라 거의 일정하고, 제2b확산결합편(54b)의 폭은 제2b수렴결합편(55b)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상이어서, 홈(71a)에 결합부(50)가 끼워지면 결합부(50)의 압축 탄성 변형으로 제1결합부(50a)에 대해 제2결합부(50b)가 더 물어지면서도 그에 저항인 탄성 압축력이 홈(71a)에 가해져 이너 서포트(70)가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The width of the groove 71a is substantially constant along the length and the width of the second diffusion bonding member 54b widens toward the second b converging member 55b so that the engaging portion 50a The second engaging portion 50b is further engaged with the first engaging portion 50a due to the compression elastic deformation of the engaging portion 50 so that an elastic compressive force resistant to the elastic force is applied to the groove 71a, 70 can be stably mounted.

제1이너 서포트(70a)는 제1장착홈(80a)에 장착되고, 제2이너 서포트(70b)는 제2장착홈(80b)에 장착된다. The first inner support 70a is mounted to the first mounting groove 80a and the second inner support 70b is mounted to the second mounting groove 80b.

제1장착홈(80a)은 제1아웃케이스(20)의 양 측판(23) 하단에서 내측으로 절곡된 제1내측 플랜지(81a)와, 제1내측 플랜지(81a)에서 위로 돌출 형성되는 제1돌기(83a) 사이에 형성된다. The first mounting groove 80a has a first inner flange 81a bent inwardly from the lower ends of the both side plates 23 of the first outer case 20 and a second inner flange 81b protruding upward from the first inner flange 81a. And is formed between the projections 83a.

제2장착홈(80b)은 제2아웃케이스(40)의 하단 즉 전판(41)의 하단과 좌우 절곡판(43)의 하단에서 내측으로 절곡된 제2내측 플랜지(81b)와, 제2내측 플랜지(81b)에서 위로 돌출 형성되는 제2돌기(83b) 사이에 형성된다. The second mounting groove 80b includes a second inner flange 81b bent in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second outer case 40, that is, the lower end of the front plate 41 and the lower end of the left and right bent plates 43, And a second projection 83b protruding upward from the flange 81b.

또한, 제1이너 서포트(70a)에는 도 13과 같이 제1돌기(83a)에 끼워지거나 씌워지는 제1끼움부(73a)가 형성되어 있다.The first inner support 70a is formed with a first fitting portion 73a which is fitted on or covered with the first projection 83a as shown in Fig.

제2이너 서포트(70b)에는 제2돌기(83b)에 끼워지거나 씌워지는 제2끼움부(73b)가 형성되어 있다.The second inner support 70b is formed with a second fitting portion 73b which is fitted on or covered by the second projection 83b.

제1끼움부(73a)의 일측과 제2끼움부(73b)의 타측에는 연결부(73c)가 형성되어 있다. A connecting portion 73c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fitting portion 73a and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fitting portion 73b.

연결부(73c)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의 제1돌기(83a) 라인 선상에 위치하게 들어가 있다. As shown in Fig. 5, the connection portion 73c is positioned substantially on the line of the first projection 83a.

이 연결부(73c)는 좌우 절곡판(43)의 내측 플랜지(81b)에는 제2결합부(51b)의 절곡으로 인해 돌기를 둘 수가 없어 그 자리의 보강띠의 역할을 한다. The connecting portion 73c can not be provided with the protrusion due to the bending of the second engaging portion 51b in the inner flange 81b of the right and left bent plates 43 and serves as a reinforcing band for the seat.

따라서, 제1끼움부(73a)와 제2끼움부(73b)는 연결부(73c)의 배치를 위한 교두보 역할을 한다. Accordingly, the first fitting portion 73a and the second fitting portion 73b serve as a bridge for arranging the connecting portion 73c.

제1돌기(83a)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내측 플랜지(81a)에서 위로 돌출되는 제1수직돌기(84a), 제1수직돌기(84a)에서 반환 절곡되어 제1수직돌기(84a)에 대해 벌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제1확산돌기(85a)와, 제1확산돌기(85a)에서 제1수직돌기(84a)로 향하게 절곡 경사지는 제1수렴돌기(86a)와, 제1수렴돌기(86a)에서 아래 절곡되어 제1수직돌기(84a)와 대응되는 제1대응수직돌기(87a)로 이루어진다. 13, the first projection 83a has a first vertical projection 84a protruding upward from the first inner flange 81a, a first vertical projection 84a bent back and bent from the first vertical projection 84a, A first converging projection 86a which is inclined to the first vertical projection 84a in the first diffusion projection 85a and a first converging projection 86a which is inclined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converging projection 86a, And a first corresponding vertical projection 87a bent downward at the projection 86a and corresponding to the first vertical projection 84a.

제1끼움부(73a)가 제1확산돌기(85a)의 상면에 끼워지거나 덮이는 것으로서, 그 형상도 대응되게 형성되어 있다. The first fitting portion 73a is fitted or cover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diffusion projection 85a and the shape of the first fitting portion 73a is correspondingly formed.

제1돌기(83a)가 다수의 절곡으로 이루어진 것은 전술한 절곡부(25와 마찬가지로 베이스 커버가 조립되기 위한 것이다. The first protrusion 83a is made of a plurality of bends so that the base cover is assembled like the bending portion 25 described above.

제2끼움부(73b)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돌기(83b)의 상면을 커버하는 제2상면 끼움편(74b)과, 제2상면 끼움편(74b)에서 아래로 연장되어 제2돌기(83b)의 외면을 커버하는 제2외면끼움편(75b)으로 구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14, the second fitting portion 73b includes a second upper surface fitting piece 74b covering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projection 83b, and a second upper surface fitting piece 74b extending downward from the second upper surface fitting piece 74b And a second outer surface fitting piece 75b covering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projection 83b.

제2돌기(83b)는 도 14와 같이 역U자 상으로 절곡되어 있다. The second projection 83b is bent in an inverted U-shape as shown in Fig.

이와 같은 이너 서포트(70)가 장착홈(80a)(80b)에 장착된 후 도 8에서와 같이 아래에서 위로 피스를 박아 이너 서포트(70)의 암나사공에 체결되면 아웃케이스에 보다 확실히 고정되게 된다. When the inner support 70 is attached to the mounting grooves 80a and 80b and then is fastened to the female screw hole of the inner support 70 by fastening the upper and lower pieces as shown in FIG. 8, the inner support 70 is more firmly fixed to the outer case .

이너 서포트(70)는 ABS 재질로서 사출 성형물이다. The inner support 70 is an injection-molded material as an ABS material.

이와 같이, 이너 서포트(70) 하나의 사출물로 아웃케이스의 모서리의 각도를 유지시키는 동시에 결하부(50)가 서로 벌어지지 않게 잡아주어, 컨베이어 이동 시나 작업자의 작업 l에도 형태가 흐트러지지 않아 생산성을 확보하고, 발포 시 누액을 방지할 수 있다. In this manner, the angle of the edge of the outer case is maintained by the single inner support 70, and the concave portions 50 are held so as not to spread out to each other, so that the shape is not disturbed at the time of moving the conveyor, And leakage can be prevented at the time of foaming.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다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20 : 제1아웃케이스 21 : 뒤판
23 : 측판 40 : 제2아웃케이스(프런트 패널)
41 : 전판 43 : 좌우측 절곡판
50 : 결합부 50a,50b : 제1,2결합부
51a : 파형부 51b : 제2a결합편
53b : 제2b결합편 54b : 제2b확산결합편
55b : 제2b수렴결합편 56b : 제2b대응결합편
57b : 제2결합홈 70 : 이너 서포트
70a,70b : 제1,2이너 서포트 71a : 홈
73a : 제1끼움부 73b : 제2끼움부
73c : 연결부 80a : 제1장착홈
81a : 제1내측 플랜지 80b : 제2장착홈
81b : 제2내측 플랜지 83a : 제1돌기
83b : 제2돌기
20: first out case 21: back plate
23: side plate 40: second out case (front panel)
41: front plate 43: right and left bent plates
50: engaging portions 50a, 50b: first and second engaging portions
51a: corrugated portion 51b:
53b: second b connecting piece 54b: second b diffusion bonding piece
55b: second b converging coupling piece 56b: second b corresponding coupling piece
57b: second coupling groove 70: inner support
70a, 70b: first and second inner supports 71a:
73a: First fitting part 73b: Second fitting part
73c: connecting portion 80a: first mounting groove
81a: first inner flange 80b: second mounting groove
81b: second inner flange 83a: first projection
83b: second projection

Claims (6)

양 측판과 뒤판으로 이루어진 제1아웃케이스와, 상기 제1아웃케이스의 전면에 배치되는 프런트 패널인 제2아웃케이스로 이루어진 아웃케이스;
상기 제1아웃케이스와 상기 제2아웃케이스가 결합되는 결합부;
상기 아웃케이스에 장착되어 모서리 각도를 유지시키는 이너 서포트;를 포함하되,
상기 제2아웃케이스는 전판과, 상기 전판의 좌우에서 상기 양 측판을 향해 절곡되는 좌우측 절곡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양 측판의 선단에서 내측으로 돌출되게 절곡 형성되는 제1결합부와, 상기 제1결합부가 삽입되게 상기 좌우측 절곡판에서 내측으로 돌출되게 절곡 형성되는 제2결합부로 구성되고,
상기 이너 서포트에는 상기 제2결합부에 끼워지는 홈이 형성되는 상부 뚜껑식 냉장고용 아웃케이스 조립품.
An outer case made up of a first outer case made up of both side plates and a back plate, and a second outer case disposed on the front of the first outer case;
An engaging portion to which the first outer case and the second outer case are engaged;
And an inner support mounted on the outer case to maintain a corner angle,
Wherein the second out-case comprises a front plate and left and right bent plates bent from the left and right of the front plate toward the both side plates,
Wherein the coupling portion comprises a first coupling portion bent and protruded inward from a tip end of the both side plates and a second coupling portion bent and protruded inward from the left and right curved plates to insert the first coupling portion,
Wherein the inner support has a groove formed in the second engaging por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부는 내측을 향해 절곡되는 제2a결합편, 상기 제2a결합편에서 반환 절곡되어 상기 제2a결합편에 대응되는 제2b결합편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2a결합편과 상기 제2b결합편 사이에는 상기 제1결합부가 삽입 결합되는 제2결합홈이 형성되는 상부 뚜껑식 냉장고용 아웃케이스 조립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coupling portion includes an 2a coupling piece bent toward the inside and a 2b coupling piece bent backward from the 2a coupling piece to correspond to the 2a coupling piece,
And a second coupling groove into which the first coupling portion is inserted is formed between the 2a coupling piece and the 2b coupling piec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b결합편은 상기 제2a결합편에 대해 벌어지는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2b확산결합편과, 상기 제2b확산결합편에서 상기 제2a결합편으로 향하게 경사 절곡되는 제2b수렴결합편과, 상기 제2b수렴결합편에서 절곡되어 상기 제2a결합편과 대응되는 제2b대응결합편으로 이루어지는 상부 뚜껑식 냉장고용 아웃케이스 조립품.
The method of claim 2,
The second b coupling piece includes a second b diffusion bonding piece bent in a direction to widen toward the second coupling piece, a second b converging coupling piece bent obliquely toward the second coupling piece in the second b diffusion bonding part, And a second b corresponding engagement piece bent in the second b converging engagement piece and corresponding to the second engagement piece.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에는 일측으로 돌출되는 파형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부가 상기 제2결합홈에 결합 시 상기 파형부는 상기 제2b수렴 결합편 상에 배치되는 상부 뚜껑식 냉장고용 아웃케이스 조립품.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irst engaging portion is formed with a corrugated portion protruding to one side,
And wherein the corrugated part is disposed on the second b converging part when the first engaging part is engaged with the second engaging groove.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아웃케이스의 양 측판과 상기 제2아웃케이스의 하단에는 상기 이너 서포트가 장착되는 제1장착홈과 제2장착홈이 형성되되,
상기 제1장착홈은 상기 제1아웃케이스의 양 측판 하단에서 내측으로 절곡된 제1내측 플랜지와, 상기 제1내측 플랜지에서 위로 돌출 형성되는 제1돌기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2장착홈은 상기 제2아웃케이스의 하단에서 내측으로 절곡된 제2내측 플랜지와, 상기 제2내측 플랜지에서 위로 돌출 형성되는 제2돌기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이너 서포트는 상기 제1장착홈에 장착되는 제1이너 서포트와, 상기 제1이너 서포트의 전단에서 직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장착홈에 장착되는 제2이너 서포트로 이루어지는 상부 뚜껑식 냉장고용 아웃케이스 조립품.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A first mounting groove and a second mounting groove for mounting the inner support are formed on the both side plates of the first out case and the lower end of the second out case,
Wherein the first mounting groove is formed between a first inner flange bent inward at the lower ends of both side plates of the first outer case and a first projection protruding upward from the first inner flange,
The second mounting groove is formed between a second inner flange bent inward at a lower end of the second outcouple and a second projection protruded upward from the second inner flange,
Wherein the inner support comprises a first inner support mounted to the first mounting groove and a second inner support formed at a right angle at a front end of the first inner support and mounted in the second mounting groove, Assembly.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이너 서포트에는 상기 제1돌기에 끼워지는 제1끼움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이너 서포트에는 상기 제2돌기에 끼워지는 제2끼움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끼움부의 일측과 상기 제2끼움부의 타측에는 연결부가 형성되는 상부 뚜껑식 냉장고용 아웃케이스 조립품.
The method of claim 5,
The first inner support is provided with a first fitting portion to be fitted to the first projection,
The second inner support is provided with a second fitting portion to be fitted to the second projection,
Wherein a connection portion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first fitting portion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fitting portion.
KR1020150102280A 2015-07-20 2015-07-20 outcase assembly for upper lid type refrigerator KR10232689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2280A KR102326891B1 (en) 2015-07-20 2015-07-20 outcase assembly for upper lid type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2280A KR102326891B1 (en) 2015-07-20 2015-07-20 outcase assembly for upper lid type refriger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0529A true KR20170010529A (en) 2017-02-01
KR102326891B1 KR102326891B1 (en) 2021-11-17

Family

ID=58109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2280A KR102326891B1 (en) 2015-07-20 2015-07-20 outcase assembly for upper lid type refriger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689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36447A1 (en) * 2022-01-12 2023-07-20 삼성전자주식회사 Refrigerato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4509B1 (en) * 1997-12-27 2002-06-27 구자홍 Structure for outer case made of synthetic resin
KR200340301Y1 (en) * 1998-12-24 2004-03-3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Combination device of refrigerator cabinet and thick plate
KR20090041677A (en) 2007-10-24 2009-04-29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Front case for refrigerator and out case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4509B1 (en) * 1997-12-27 2002-06-27 구자홍 Structure for outer case made of synthetic resin
KR200340301Y1 (en) * 1998-12-24 2004-03-3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Combination device of refrigerator cabinet and thick plate
KR20090041677A (en) 2007-10-24 2009-04-29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Front case for refrigerator and out case us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36447A1 (en) * 2022-01-12 2023-07-20 삼성전자주식회사 Refrig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6891B1 (en) 2021-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8364Y1 (en) Zipper head assembly structure and an elastic member thereof
KR20170010529A (en) outcase assembly for upper lid type refrigerator
US10137846B2 (en) Connector used for connecting vehicle parts and a vehicle employing the same
KR20180022236A (en) Refrigerator
KR101976667B1 (en) Frame connecting device for knockdown furniture
KR20110125623A (en) Connectable stamp
US11457738B2 (en) Drawer side wall
KR101964906B1 (en) Interior material bonding structure using by clip
JP2013028205A (en) Assembling structure of interior trim material for vehicle
US9728893B1 (en) Plug connector and terminal applied thereto
CN205751372U (en) Display device
KR20210051253A (en) Door and home appliance having the same
JP6308973B2 (en) Storage
JP6187183B2 (en) Vehicle door trim
JP3226127U (en) Rice bowl
KR100617191B1 (en) Cabinet and back cover integrated type monitor case having concealed slide engagement structure
JP2002262993A (en) Lid set for rice cooking jar
KR100938581B1 (en) Oven and fabricating method for control panel of oven
JP6910165B2 (en) Puller
JP2573168Y2 (en) Glass door structure
JP2002039130A (en) Connection device for two members
JP2021037872A (en) Armrest with cup holder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JP2020085369A (en) Stove
JP6357868B2 (en) Belt line molding mounting member
CN106057075A (en)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