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0519A - 하수처리를 위한 거대 기포 발생 분리막 세정 장치 - Google Patents

하수처리를 위한 거대 기포 발생 분리막 세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0519A
KR20170010519A KR1020150102250A KR20150102250A KR20170010519A KR 20170010519 A KR20170010519 A KR 20170010519A KR 1020150102250 A KR1020150102250 A KR 1020150102250A KR 20150102250 A KR20150102250 A KR 20150102250A KR 20170010519 A KR20170010519 A KR 201700105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bbles
partition
panel
bubble
clean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2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지현
윤태범
이한샘
유창숙
이상엽
배휘웅
이대영
진우람
Original Assignee
현대건설주식회사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건설주식회사,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건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02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10519A/ko
Publication of KR20170010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05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2Membrane cleaning or sterilisation ; Membrane regen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8Prevention of membrane fouling or of concentration polar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36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installations
    • C02F3/1268Membrane bioreactor systems
    • C02F3/1273Submerged membrane biore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cleaning, regeneration, sterilization or to the prevention of fouling
    • B01D2321/18Use of gases
    • B01D2321/185Ae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탱크의 내부에 침지된 분리막 세정장치로 거대 기포를 배출하여 분리막 세정장치의 분리막 표면을 세정하는 것으로서, 기포를 배출하는 기포 발생부, 탱크 내 슬러지가 축적되지 않도록 하부 전면이 개방되며, 하부로 기포가 유입되고 상부 및 측면은 패쇄되며 내부에 유입된 기포가 포집되는 포집공간이 형성되며, 상부 일측으로 포집공간과 연통되게 배출구가 형성된 하우징 및 포집공간 내에 설치되어 포집공간의 기포들이 포집되어 거대 기포가 형성되면 거대 기포를 배출구로 간헐적으로 배출되게 하는 안내격벽을 포함하는 하수처리를 위한 거대 기포 발생 분리막 세정 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분리막 생물반응기와 별도로 설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다양한 분리막 생물반응기에 대하여 호환설치가 가능하며, 적용범위를 확대할 수 있으며, 분리막 생물반응기와 일체로 결합되는 종래와 비교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하수처리를 위한 거대 기포 발생 분리막 세정 장치 {Membrane cleaning device with huge bubble for waste water treatment}
본 발명은 분리막 세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수처리를 위한 분리막 생물반응기의 분리막에 거대 기포를 공급하여 분리막을 세정하는 하수처리를 위한 거대 기포 발생 분리막 세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처리를 위한 공정 중 활성슬러지 공정과 분리막(Membrane) 기술의 장점을 결합하여, 기존 활성슬러지 공정의 단점을 해결하고자 중력침전에 의한 고액분리를 막분리로 치환하는 연구가 진행되어 오고 있으며, 이러한 방식들을 활성슬러지 막분리 공정 또는 막결합형 활성슬러지 공정이라고도 한다. 나아가, 활성슬러지법에 국한되지 않고 일반적인 생물반응조와 막분리 공정을 결합시킨 것을 총칭하여 분리막 생물반응기(MBR: Membrane Bioreactor)이라 한다.
한편, 상기 분리막 생물반응기에서 분리막을 세정하는 방법은 물리적 세정과 화학적 세정으로 나눌 수 있는데, 이중 물리적 세정은 물을 이용한 역세척과 공기를 이용한 폭기가 대표적이다. 여기서, 역세척 방식은 주로 생산수를 여과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가압을 하여 막을 통과시킴으로써 막표면 혹은 막세공에 쌓인 물질들을 제거하는 방법이다. 또한, 폭기 방식은 막표면에 공기를 불어 쌓인 오염물질들을 제거하는 방법이다.
그런데, 종래의 공기를 이용하여 분리막을 세정하는 세정장치는 분리막 생물반응기와 결합되어 있는 구조로, 그 구조가 복잡하고 제조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세정효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특2003-0042133호
본 발명은, 분리막 생물반응기와 별도로 설치되며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리막 세정효율이 높은 하수처리를 위한 거대 기포 발생 분리막 세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탱크의 내부에 침지된 분리막 세정장치로 거대 기포를 배출하여 상기 분리막 세정장치의 분리막 표면을 세정하는 분리막 세정용 기포발생장치에 있어서, 기포를 배출하는 기포 발생부; 상기 탱크 내 슬러지가 축적되지 않도록 하부 전면이 개방되며, 상기 하부로 상기 기포가 유입되고 상부 및 측면은 패쇄되며 내부에 유입된 상기 기포가 포집되는 포집공간이 형성되며, 상부 일측으로 상기 포집공간과 연통되게 배출구가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포집공간 내에 설치되어 상기 포집공간의 기포들이 포집되어 거대 기포가 형성되면 상기 거대 기포를 상기 배출구로 간헐적으로 배출되게 하는 안내격벽을 포함하는 하수처리를 위한 거대 기포 발생 분리막 세정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탱크의 내부에 침지된 분리막 세정장치로 거대 기포를 배출하여 상기 분리막 세정장치의 분리막 표면을 세정하는 분리막 세정용 기포발생장치에 있어서, 공기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기를 공급받아 기포공급영역에 대하여 기포를 분포시켜 배출하는 기포 발생부; 하부는 개방되고 상부는 패쇄되어 하부로 상기 기포가 유입되고, 내부에 유입된 상기 기포가 포집되는 포집공간이 형성되며 상부 일측으로 배출구가 형성된 하우징 복수개가 서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하우징모듈; 및 상기 하우징 각각의 상기 포집공간 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포집공간의 기포들이 포집되어 거대 기포가 형성되면 상기 거대 기포를 상기 배출구로 간헐적으로 배출되게 하는 안내격벽을 포함하는 하수처리를 위한 거대 기포 발생 분리막 세정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수처리를 위한 거대 기포 발생 분리막 세정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분리막 생물반응기와 별도로 설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다양한 분리막 생물반응기에 대하여 호환설치가 가능하며, 적용범위를 확대할 수 있다.
둘째, 분리막 생물반응기와 별도로 설치되기 때문에 분리막 생물반응기와 일체로 결합되는 종래와 비교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셋째,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가 용이하며 경제적이다.
넷째, 간헐적 거대기포를 이용하여 분리막을 세정하기 때문에 분리막 세정효과를 증가시킴은 물론, 에너지 소비를 절감 및 세정효율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섯째, 슬러지가 축적되지 않도록 하우징의 하부가 개방된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슬러지 축적으로 인한 성능저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여섯째, 단독 또는 복수개를 연결 배치하여 다양한 용량 및 설계에 대응할 수 있다.
일곱째, 기포발생하는 배출구가 하방으로 위치하기 때문에 축적되는 슬러지로 인한 배출구 막힘을 방지하여 기포가 발생되지 않는 현상을 없앨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하수처리를 위한 거대 기포 발생 분리막 세정 장치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하수처리를 위한 거대 기포 발생 분리막 세정 장치의 거대기포 생성원리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하수처리를 위한 거대 기포 발생 분리막 세정 장치의 하우징의 구조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하수처리를 위한 거대 기포 발생 분리막 세정 장치에서 하우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하우징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배출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a시예에 따른 하수처리를 위한 거대 기포 발생 분리막 세정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하수처리를 위한 거대 기포 발생 분리막 세정 장치에서 공급라인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수처리를 위한 거대 기포 발생 분리막 세정 장치(400; 이하 '분리막 세정 장치'라 한다)는 탱크의 내부에 침지된 분리막 세정장치(10)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분리막 세정장치(10)로 거대 기포(2)를 배출하여 상기 분리막 세정장치(10)의 분리막 표면을 세정하는 것으로서, 기포 발생부(100)와, 하우징(200)과, 안내격벽(300)을 포함한다.
상기 기포 발생부(100)는, 기포(1)를 발생하는 것으로서, 공기공급수단(미도시)과, 공급라인(110)을 포함한다. 상기 공기공급수단은 공지의 에어펌프를 적용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공급라인(110)은, 관 형상으로 상기 공기공급수단과 연결되어 내측으로 상기 공기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기를 공급받고, 공기배출구(111)를 통하여 상기 공기를 기포(1) 형태로 배출시킨다. 한편, 상기 공기배출구(111)는 상면으로 축적되는 슬러지로 인하여 패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공급라인(110)의 하부에 형성되어 원활한 기포(1)발생을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기배출구(111)는 상기 공급라인(110)의 하부에 하나 또는 복수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포집공간(202)의 용량을 포함하는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상기 공급라인(1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관형태로 이루어진 경우를 실시예로 나타내었으나, 이는 일 실시예로 상기 공기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기를 공급받아 기포(1) 형태로 배출될 수 있는 구성이라면 모두 가능하다.
상기 하우징(200)은, 히부가 개방되어 상기 하부로 상기 기포(1)가 유입됨은 물론, 나아가 상기 탱크 내 슬러지가 축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부 전면이 개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200)은, 상부 및 측면은 패쇄 되며 내부에 유입된 상기 기포(1)가 포집되는 포집공간(202)이 형성되며, 상부 일측으로 상기 포집공간(202)과 연통되는 배출구(201)가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 상기 하우징(200)은 하부가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상기 포집공간(202)이 형성되도록 서로 대향되게 이격 배치되는 전면패널(230) 및 후면패널(240)과, 좌측패널(210) 및 우측패널(220)을 포함하고, 상기 전면패널(230)과 상기 후면패널(240)과 상기 좌측패널(210)과 상기 우측패널(220)의 상단부에 결합하여 상기 포집공간(202)을 마련하도록 상부를 패쇄하고 상기 배출구(201)가 형성된 상부패널(25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한 하우징(200)에서 상기 기포 발생부(100)는 상기 하우징(200)의 하부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기포 발생부(100)로부터 배출되는 기포(1)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내격벽(300)은, 상기 포집공간(202) 내에 설치되어 상기 포집공간(202)의 기포(1)들이 포집되어 거대 기포(2)가 형성되고, 공기의 양이 충분한 상태에 도달하면 상기 거대 기포(2)를 상기 배출구(201)로 간헐적으로 배출되게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안내격벽(300)은, 제1격벽(310)과, 제2격벽(320)을 포함한다. 상기 제1격벽(310)은 상단부가 상기 상부패널(250)의 내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배출구(201)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세워져 상기 포집공간(202)에서 포집된 상기 거대 기포(2)를 상방으로 안내하여 상기 배출구(201)로 배출되게 한다.
상기 제2격벽(320)은, 상기 제1격벽(310)과 이격되게 상기 포집공간(202) 내에 설치되되, 상단부는 상기 상부패널(250)의 내측면과 이격되게 하측 방향으로 세워져, 상기 거대 기포(2)를 하방으로 안내한 후 상기 제1격벽(310)을 따라 상방으로 유동하도록 안내한다.
도 2는 상기한 분리막 세정 장치(400)의 거대기포 발생과정을 나타낸 도면으로,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분리막 세정 장치(400)는 상기 기포 발생부(100)로부터 배출되는 기포(1)가 상기 하우징(200)의 포집공간(202)으로 유입되고, 상기 포집공간(202)으로 유입된 기포(1)들은 상기 제1격벽(310)에 대하여 충분한 양이 될 때까지 포집된다. 이렇게 상기 포집공간(202) 내의 기포량이 충분한 상태에 도달하면 거대 기포(2)가 생성되어 상기 제2격벽(320)과 상기 제1격벽(310)을 따라 상기 배출구(201)로 간헐적으로 배출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하우징(200)과 상기 제1격벽(310)과 상기 제2격벽(320)의 세부구성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우선 상기 상부패널(250)은, 상기 배출구(201)가 상기 우측패널(220)을 따라 우측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분리막 세정 장치(400)는 상기 우측패널(220)과 상기 좌측패널(210)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우측패널(220)과 상기 좌측패널(210) 사이에 상기 제1격벽(310)과 상기 제2격벽(320)이 설정 간격으로 서로 평행하게 세워져 배치되어 있다.
나아가, 상기 하우징(200)과 상기 제1격벽(310)과 상기 제2격벽(320)은 하기의 수학식1을 만족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수학식 1을 살펴보면, 상기 제1격벽(310)과 상기 제2격벽(320)과 상기 좌측패널(210)과 상기 우측패널(220)과의 이격거리는 배출구(201)에 가까울수록 그 이격 거리가 감소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이는 면적이 큰 쪽이 압력이 큰 대신 속도가 느리고, 면적이 작은 쪽은 압력이 작은 대신에 속도가 빠른 베르누이의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공기가 빠른 속도로 빠져나가면서 거대 기포(2)가 생성되기 때문이다.
[수학식 1]
L1 ≥ L2 ≥ L3
여기서, L1은 상기 제2격벽(320)과 상기 좌측패널(210)과의 수평방향 이격거리이며, L2는 상기 제1격벽(310)과 상기 제2격벽(320)과의 수평방향 이격거리이고, L3는 상기 우측패널(220)과 상기 제1격벽(310)과의 수평방향 이격거리를 의미한다.
도 4 및 도 5는 상기 하우징(200a)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3의 상기 배출구(201)가 가장자리에 형성된 것과는 달리, 상기 상부패널(250a)은 상기 배출구(201)가 가장자리로부터 내측에 형성되어 있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200a)은, 상기 우측패널(220)과 상기 좌측패널(210)과 상기 제1격벽(310b)과 상기 제2격벽(320)은 서로 평행하게 세워져 배치되고, 상기 제1격벽(310b)은 관 형상으로 상기 배출구(201)를 따라 하측 방향으로 세워져 배치되어 있다. 상기
여기서, 상기 상부패널(250a)은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배출구(201)가 유동방향에 대하여 단면형상이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상기 제1격벽(310b)은 원통관 형상으로 상기 배출구(201)를 따라 하측으로 세워져 배치되며, 베르누이 원리를 이용하기 위한 배출구(201) 외부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 수학식 2를 만족하도록 되어 있다.
[수학식 2]
L4 ≤ 0.7 L5
여기서, L4는 상기 제1격벽(310)의 수평방향 내부직경이고, L5는 상기 제2격벽(320)과 상기 우측패널(220)과의 수평방향 이격거리를 의미한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배출구(201)는 도 5의 유동방향에 대하여 원형이 아닌 사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200b)은, 상부패널(250b)에 형성된 배출구(201)가 평면상으로 사각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제1격벽(310)은 덕트형상으로 형성된다. 나아가, 상기 배출구(201)는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원형 또는 사각형인 경우를 실시예로 나타내었으나, 이는 일 실시예로 그 형상을 타원형을 비롯한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7은, 상기 기포발생장치(50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기포발생장치(500)는, 기포 발생부(100a)와, 하우징모듈(260)과, 안내격벽(300)들을 포함한다. 한편,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을 나타내며, 이하에서 차별되는 구성을 중점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기포 발생부(100a)는, 공기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기를 공급받아 기포공급영역에 대하여 기포(1)를 분포시켜 배출하도록 되어 있다. 상세하게, 상기 기포 발생부(100a)는, 공기공급수단과, 공급라인부를 포함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공급라인부는, 상기 공급라인(110a) 복수개가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기포공급영역에 대하여 상기 기포(1)가 복수개의 열과 복수개의 행을 이루며 배출되게 한다. 한편, 상기 공급라인부는, 상기 기포 발생부(100a) 하나에 대하여 병렬로 배치되고, 상기 공급라인(110a)들에 대하여 각각 상기 공기공급수단을 설치하여 기포발생량을 조절하거나,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각 공급라인(110a)에는 조절밸브를 설치하여 공기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모듈(260)은, 상기 기포공급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하우징(200) 복수개가 서로 연결되어 형성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모듈(260)은, 상기 하우징(200) 복수개가 상기 기포공급영역에 대하여 복수개의 열과 복수개의 행을 이루며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모듈(260)은, 상기 복수개의 하우징(200)을 일체로 연결하여 형성하거나, 상기 각각의 하우징(200)들을 연결수단을 통하여 선택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하우징(200)의 측면에 가이드슬롯을 형성하여 슬라이딩 결합시키는 구조, 또는 하우징(200)끼리 연결시키는 별도의 연결부재 등 상기한 하우징(200) 복수개를 서로 측면 결합시킬 수 있는 구성이라면 다양하게 적용가능하다.
상기 하우징모듈(260)은, 상기 복수개의 하우징(200)들 각각의 상기 배출구(201)들이 동일한 위치에 위치하도록 배치하여 배출되는 기포들이 골고루 분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한편, 상기 하우징모듈(26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열과 복수개의 행으로 연결된 경우를 실시예로 나타내었으나, 이는 일 실시예로 설계에 따라 복수개가 일렬로 서로 연결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100a... 기포 발생부
110,110a... 공급라인 111... 공기배출구
200,200a,200b... 하우징 201... 배출구
202... 포집공간 210... 좌측패널
220... 우측패널 230... 전면패널
240... 후면패널 250,250a,250b... 상부패널
260... 하우징모듈 300... 안내격벽
310,310b... 제1격벽 320... 제2격벽
400,500... 분리막 세정 장치

Claims (11)

  1. 탱크의 내부에 침지된 분리막 세정장치로 거대 기포를 배출하여 상기 분리막 세정장치의 분리막 표면을 세정하는 하수처리를 위한 거대 기포 발생 분리막 세정 장치에 있어서,
    기포를 배출하는 기포 발생부;
    상기 탱크 내 슬러지가 축적되지 않도록 하부 전면이 개방되며, 상기 하부로 상기 기포가 유입되고 상부 및 측면은 패쇄되며 내부에 유입된 상기 기포가 포집되는 포집공간이 형성되고, 상부 일측으로 상기 포집공간과 연통되게 배출구가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포집공간 내에 설치되어 상기 포집공간의 기포들이 포집되어 거대 기포가 형성되면 상기 거대 기포를 상기 배출구로 간헐적으로 배출시키는 안내격벽을 포함하는 하수처리를 위한 거대 기포 발생 분리막 세정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포 발생부는,
    공기공급수단과,
    상기 공기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기를 공급받고 상기 슬러지가 축적되어 패쇄되지 않도록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공기를 기포형태로 배출시키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공기배출구가 형성된 공급라인을 포함하는 하수처리를 위한 거대 기포 발생 분리막 세정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하부가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상기 포집공간이 형성되도록 서로 대향되게 이격 배치되는 전면패널 및 후면패널과, 좌측패널 및 우측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전면패널과 상기 후면패널과 상기 좌측패널과 상기 우측패널의 상단부에 결합하여 상기 포집공간을 마련하도록 상부를 패쇄하고 상기 배출구가 형성된 상부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기포 발생부는 상기 하우징의 하부 내측에 위치하는 하수처리를 위한 거대 기포 발생 분리막 세정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안내격벽은,
    상단부가 상기 상부패널의 내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배출구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세워져 상기 포집공간에서 포집된 상기 거대 기포를 상기 배출구로 안내하는 제1격벽을 포함하는 하수처리를 위한 거대 기포 발생 분리막 세정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안내격벽은,
    상기 제1격벽과 이격되게 상기 포집공간 내에 설치되고 상단부는 상기 상부패널의 내측면과 이격되도록 하측 방향으로 세워져, 상기 거대 기포가 하방으로 유동한 후 상기 제1격벽을 따라 상방으로 유동하도록 하는 제2격벽을 포함하는 하수처리를 위한 거대 기포 발생 분리막 세정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상부패널은, 상기 배출구가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하수처리를 위한 거대 기포 발생 분리막 세정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상부패널은, 상기 배출구가 상기 우측패널을 따라 우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며,
    상기 우측패널과 상기 좌측패널과 상기 제1격벽과 상기 제2격벽은 서로 평행하게 세워져 배치되되, 수학식1을 만족하도록 배치되는 하수처리를 위한 거대 기포 발생 분리막 세정 장치.
    [수학식 1]
    L1 ≥ L2 ≥ L3
    여기서, L1은 상기 제2격벽과 상기 좌측패널과의 수평방향 이격거리이며, L2는 상기 제1격벽과 상기 제2격벽과의 수평방향 이격거리이고, L3는 상기 우측패널과 상기 제1격벽과의 수평방향 이격거리를 의미한다.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상부패널은, 상기 배출구가 가장자리로부터 내측에 형성되며,
    상기 우측패널과 상기 좌측패널과 상기 제1격벽과 상기 제2격벽은 서로 평행하게 세워져 배치되고, 상기 제1격벽은 관 형상으로 상기 배출구를 따라 하측 방향으로 세워져 배치되며, 수학식2를 만족하도록 이격되는 하수처리를 위한 거대 기포 발생 분리막 세정 장치.
    [수학식 2]
    L4 ≤ 0.7L5
    여기서, L4는 상기 제1격벽의 수평방향 내부직경이고, L5는 상기 제2격벽과 상기 우측패널과의 수평방향 이격거리를 의미한다.
  9. 탱크의 내부에 침지된 분리막 세정장치로 거대 기포를 배출하여 상기 분리막 세정장치의 분리막 표면을 세정하는 하수처리를 위한 거대 기포 발생 분리막 세정 장치에 있어서,
    공기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기를 공급받아 기포공급영역에 대하여 기포를 분포시켜 배출하는 기포 발생부;
    하부는 개방되고 상부는 패쇄되어 하부로 상기 기포가 유입되고, 내부에 유입된 상기 기포가 포집되는 포집공간이 형성되며 상부 일측으로 배출구가 형성된 하우징 복수개가 서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하우징모듈; 및
    상기 하우징 각각의 상기 포집공간 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포집공간의 기포들이 포집되어 거대 기포가 형성되면 상기 거대 기포를 상기 배출구로 간헐적으로 배출되게 하는 안내격벽을 포함하는 하수처리를 위한 거대 기포 발생 분리막 세정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모듈은, 상기 하우징 복수개가 상기 기포공급영역에 대하여 복수개의 열과 복수개의 행을 이루며 연결되고,
    상기 기포 발생부는, 공기공급수단과, 상기 공기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기를 공급받고 하부에 상기 공기를 기포형태로 배출시키는 복수개의 공기배출구가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 공급라인 복수개가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기포가 복수개의 열과 복수개의 행을 이루며 배출되게 하는 공급라인부를 포함하는 하수처리를 위한 거대 기포 발생 분리막 세정 장치.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모듈은,
    상기 복수개의 하우징들 각각의 상기 배출구들이 동일한 위치에 위치하도록 배치하여 연결되는 하수처리를 위한 거대 기포 발생 분리막 세정 장치.
KR1020150102250A 2015-07-20 2015-07-20 하수처리를 위한 거대 기포 발생 분리막 세정 장치 KR201700105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2250A KR20170010519A (ko) 2015-07-20 2015-07-20 하수처리를 위한 거대 기포 발생 분리막 세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2250A KR20170010519A (ko) 2015-07-20 2015-07-20 하수처리를 위한 거대 기포 발생 분리막 세정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2286A Division KR101799373B1 (ko) 2017-04-24 2017-04-24 하수처리를 위한 거대 기포 발생 분리막 세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0519A true KR20170010519A (ko) 2017-02-01

Family

ID=58109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2250A KR20170010519A (ko) 2015-07-20 2015-07-20 하수처리를 위한 거대 기포 발생 분리막 세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1051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0976B1 (ko) 2021-10-26 2023-01-27 주식회사 에코니티 고효율의 고용량 카트리지형 산기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2133A (ko) 2001-11-21 2003-05-28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침지형 분리막의 세정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2133A (ko) 2001-11-21 2003-05-28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침지형 분리막의 세정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0976B1 (ko) 2021-10-26 2023-01-27 주식회사 에코니티 고효율의 고용량 카트리지형 산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23806C1 (ru) Мембранный блок и мембранное сепарац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CN103442789B (zh) 过滤设备和用于该过滤设备的中空纤维膜模块
KR100974912B1 (ko) 배관 일체형 분리막 프레임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분리막유니트
ES2618911T3 (es) Aparato de pretratamiento de tipo flotación por aire disuelto
US11141699B2 (en) Integral type immersed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equipment for air scouring
KR101769453B1 (ko) 슬러지배출을 위한 거대기포 발생 분리막 세정장치
CN102596374B (zh) 膜模块、膜单元和膜分离装置
CN109562331A (zh) 虹吸式散气装置、膜分离活性污泥装置、水处理方法
KR101830068B1 (ko) 산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KR101799373B1 (ko) 하수처리를 위한 거대 기포 발생 분리막 세정 장치
KR20170010519A (ko) 하수처리를 위한 거대 기포 발생 분리막 세정 장치
CN103974912A (zh) 浸没式滤网和操作方法
CN209759166U (zh) 水处理机
RU2631305C2 (ru) Открытое в нижней части многоканальное газопод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гружных мембран
US20150182919A1 (en) Aerator device and filter system including the same
KR20150062406A (ko) 용존공기부상 모듈을 이용한 침전지 개량형 정수시스템
KR102022025B1 (ko) 공기세정 일체형 침지식 중공사막 모듈 장치
CN102124984B (zh) 大型观赏鱼缸
KR101877363B1 (ko) 3중 구조 생물 여과조
JP2010234331A (ja) 浸漬型膜分離装置における膜エレメント
KR20160128093A (ko) 다중 필터형 2단 빗물 여과기
CN210751549U (zh) 一种污水处理用泥水分离装置
KR101562614B1 (ko) 중공사막 모듈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
KR20170064501A (ko) 백워싱 및 다단 복합 필터 장치
CN216458069U (zh) 一种超滤净水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