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9208A - 발열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발열장치 - Google Patents

발열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발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9208A
KR20170009208A KR1020150100879A KR20150100879A KR20170009208A KR 20170009208 A KR20170009208 A KR 20170009208A KR 1020150100879 A KR1020150100879 A KR 1020150100879A KR 20150100879 A KR20150100879 A KR 20150100879A KR 20170009208 A KR20170009208 A KR 201700092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heat
resin layer
laminated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0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기
Original Assignee
(주)루쏘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루쏘코리아 filed Critical (주)루쏘코리아
Priority to KR10201501008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9208A/ko
Publication of KR201700092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92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05B3/34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flexible, e.g. heating nets or webs
    • H05B3/36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flexible, e.g. heating nets or webs heating conductor embedded in insulating materia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05B3/12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 H05B3/14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non-metallic
    • H05B3/145Carbon only, e.g. carbon black, graphit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05B3/12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 H05B3/14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non-metallic
    • H05B3/146Conductive polymers, e.g. polyethylene, thermoplastic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54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flexible
    • H05B3/56Heating cab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36Heaters specially adapted for garment hea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13/00Aspects relating both to resistive heating and to induction heating, covered by H05B3/00 and H05B6/00
    • H05B2213/07Heating plates with temperature control means

Landscapes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전자파의 발생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보다 정확한 온도 제어를 행할 수 있는 발열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발열장치를 제시한다. 제시된 발열장치는 전원을 공급받음에 따라 발열을 행하는 발열층, 상기 발열층에서의 발열량의 일부를 축적하는 축열층, 및 상기 발열층 및 상기 축열층을 감싸는 수지층을 포함하는 발열시트; 및 PWM 제어 방식에 의해 상기 발열시트의 온도 제어를 행하되, 주파수변경을통해 온오프주기를 길게 늘리게 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발열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발열장치{Heating sheet and heating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발열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발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파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발열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발열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시중에 직류(특히 배터리 전원)를 이용하여 열을 내는 발열제품들(예를 들면, 발열조끼, 발열 매트 등)이 출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는 사용자들이 기존 겉옷 위에 착용하여 섭씨 약 34도 이상의 온도를 배터리의 용량(약 3.7V 이상 24V이하)에 따라 3시간 내지 8시간 정도 따뜻한 온도를 유지하여 차가운 날씨에서도 견딜 수 있도록 하거나 환자를 위한 체온 유지제품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발열제품들은 보통 옷감 내부에 전기가 통하는 재료로 발열패드부재(예를 들면, 탄소발열섬유, 면상발열체 또는 전열선이 연결되어 배터리를 통해 직류 또는 교류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되는 구조)가 내장되어 있다. 그리고, 전원공급원으로는 배터리 전원을 주로 사용하고 있으며, 매트와 같이 넓은 면적의 발열체에는 직류전환장치(어댑터)와 온도조절장치를 이용하고 있다.
한편, 직류(배터리) 전원은 보통 전자파가 발생하지 않지만, 온도가 계속 올라가서 열선 또는 발열체가 과열되어 손상되고 나아가 화재원인이 될 수 있고 인체에도 화상(특히 저온화상)을 입힐 수 있다. 여기서, 발열체는 여러 가닥의 탄소섬유사와 일반사로 직조한 탄소발열섬유, 탄소잉크를 도포하여 만든 면상발열체, 열선 중에서 만들어진 발열패드들을 의미할 수 있다. 발열체는 과열되면 탄소섬유사가 끊어질 수 있다. 탄소섬유사가 아닌 도선형태의 일정지름을 가진 열선의 경우에도 여러 가닥으로 이루어져 그 중 일부가 끊어지는 경우에는 과열현상이 발생된다.
또한, 제어없이 배터리를 사용할 경우 방전시간이 짧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고자 배터리의 출력을 조절하여 발열제품(또는 발열체)의 온도를 조절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현재 주로 사용하고 있는 온도조절방식으로는 전원의 온/오프의 시간 비율(DUTY RATE)을 조절하여 온도 조절을 수행하는 PWM(Pulse Width Modulation) 제어방식이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PWM방식의 특성은 전자파가 발생하는 온-오프-온의 주기가 아주 짧기 때문에 단위시간당 전자파가 많이 발생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로 인해, 측정단위시간당 전자파가 한국 기계전기전자 시험연구원(KTC)에서 유럽기준으로 시행하고 있는 EMF 인증 기준치 이상으로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기술 1 :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0-0060815호 선행기술 2 :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5-0045808호 선행기술 3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828735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전자파의 발생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보다 정확한 온도 제어를 행할 수 있는 발열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발열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른 발열시트는, 전원을 공급받음에 따라 발열을 행하는 발열층; 상기 발열층에서의 발열량의 일부를 축적하는 축열층; 및 상기 발열층 및 상기 축열층을 감싸는 수지층;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른 발열장치는, 전원을 공급받음에 따라 발열을 행하는 발열층, 상기 발열층에서의 발열량의 일부를 축적하는 축열층, 및 상기 발열층 및 상기 축열층을 감싸는 수지층을 포함하는 발열시트; 및 PWM 제어 방식에 의해 상기 발열시트의 온도 제어를할 때 단위시간당 주기(Hz)를 조절하여주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수지층은 제 1 내지 제 3 수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수지층의 상면에 상기 발열층이 적층되고, 상기 발열층의 상면에 상기 제 2 수지층이 적층되고, 상기 제 2 수지층의 상면에 상기 축열층이 적층되고, 상기 축열층의 상면에 상기 제 3 수지층이 적층될 수 있다.
상기 발열시트의 온도를 센싱하는 온도 센서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온도 센서로부터의 온도를 근거로 기 설정된 상한치에서 전원이 오프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축열층은 수용성 젤(gel), 세라믹, 보온성소재 중에서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축열층은 수용성 젤과 세라믹 및 보온성소재 중에서 2개 이상이 혼합된 혼합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발열층은 탄소발열섬유, 면상발열체, 및 열선 중에서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지층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축열층은 제 1 및 제 2 축열층을 포함하고, 상기 수지층은 제 1 내지 제 4 수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수지층의 상면에 상기 제 1 축열층이 적층되고, 상기 제 1 축열층의 상면에 상기 제 2 수지층이 적층되고, 상기 제 2 수지층의 상면에 상기 발열층이 적층되고, 상기 발열층의 상면에 상기 제 3 수지층이 적층되고, 상기 제 3 수지층의 상면에 상기 제 2 축열층이 적층되고, 상기 제 2 축열층의 상면에 상기 제 4 수지층이 적층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PWM 방식에 비해 주파수변경을통한 온오프주기를 늘림으로써 단위시간당 전자파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발열시트내의 축열층에서 열을 흡수하여 축적할 수 있으므로, 단위시간당 주기를 늘림으로 인해 단위시간당 전원 온 오프 시간이 길어지는데 이로 인한 발열체의 과도한 온도 상승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한편, 온도 센서 및 컨트롤러를 통해 보다 정확한 온도 제어를 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열시트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열시트의 변형예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열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열시트의 분해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열시트(50)는 제 1 수지층(10), 탄소발열섬유층(12), 제 2 수지층(14), 축열층(16), 및 제 3 수지층(18)을 포함한다.
제 1 수지층(10)는 최저부의 외피를 이루는 층으로서, 예를 들어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로 구성될 수 있다.
탄소발열섬유층(12)은 제 1 수지층(10)의 상부에 위치한다. 탄소발열섬유층(12)은 전류가 통과됨에 따라 발열한다. 탄소발열섬유층(12)은 주로 흑연구조를 가진 탄소로 이루어진 섬유(즉, 탄소섬유)로 구성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탄소발열섬유층(12)은 면상발열체 또는 열선으로 구성될 수 있다. 탄소발열섬유층(12)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열층의 일 예가 될 수 있다.
제 2 수지층(14)은 탄소발열섬유층(12)의 상부에 위치한다. 제 2 수지층(14)은 예를 들어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로 구성될 수 있다.
축열층(16)은 탄소발열섬유층(12)이 발열함에 따른 열의 일부를 흡수하여 축적할 수 있다. 축열층(16)은 수용성 젤(gel), 세라믹, 보온성소재 중에서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수용성 젤과 세라믹 및 보온성소재 중에서 2개 이상이 혼합된 혼합체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 3 수지층(18)은 최상부의 외피를 이루는 층으로서, 예를 들어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를 가지고 발열시트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최저부의 제 1 수지층(10)의 위에 탄소발열섬유층(12)을 적층하고, 그 위에 제 2 수지층(14)을 적층하고, 그 위에 축열층(16)을 적층하고, 그 위에 제 3 수지층(18)을 적층한다. 그리고 나서, 고주파 융착 열처리 등을 수행하게 되면 도 2와 같이 밀봉된 발열시트를 제작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발열시트는, 전류를 인가하게 되면 탄소발열섬유층(12)이 발열하여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이때, 상승되는 온도에 따른 열의 일부를 축열층(16)에서 흡수하여 축적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열시트의 변형예이다.
도 3에 도시된 발열시트(70)는 도 1에 도시된 발열시트(50)와 비교하여 그리 차이가 없다. 도 3의 수지층(24)은 도 1의 제 1 수지층(10)에 대응될 수 있고, 도 3의 탄소발열섬유층(26)은 도 1의 탄소발열섬유층(12)에 대응될 수 있고, 도 3의 수지층(28)은 도 1의 제 2 수지층(14)에 대응될 수 있고, 도 3의 축열층(30)은 도 1의 축열층(16)에 대응될 수 있고, 도 3의 수지층(32)은 도 1의 제 3 수지층(18)에 대응될 수 있다.
다만 차이나는 점은, 도 3에서는 수지층(24)의 하부에 축열층(22)을 더 적층하고, 축열층(22)의 하부에 수지층(20)을 더 적층하였다는 점이 도 1과 차이난다.
다시 말해서, 도 1에서는 하나의 탄소발열섬유층(12)과 하나의 축열층(16)을 사용하였으나, 도 3에서는 탄소발열섬유층(26)을 중앙에 두고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축열층을 서로 대응되게 배치시켰다는 점이 차이난다.
그리고, 상술한 도 3과 같이 구성된 발열시트의 제조방법은 상술한 도 1의 발열시트의 제조방법을 근거로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으리라 본다.
상술한 도 3과 같이 구성시키면 도 1의 발열시트보다 축열 효과가 더 있게 된다.
도 3의 수지층(20)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의 청구항 8 및 청구항 11에 기재된 제 1 수지층이 될 수 있다. 도 3의 축열층(22)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의 청구항 8 및 청구항 11에 기재된 제 1 축열층이 될 수 있다. 도 3의 수지층(24)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의 청구항 8 및 청구항 11에 기재된 제 2 수지층이 될 수 있다. 도 3의 탄소발열섬유층(26)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의 청구항 8 및 청구항 11에 기재된 발열층이 될 수 있다. 도 3의 수지층(28)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의 청구항 8 및 청구항 11에 기재된 제 3 수지층이 될 수 있다. 도 3의 축열층(30)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의 청구항 8 및 청구항 11에 기재된 제 2 축열층이 될 수 있다. 도 3의 수지층(32)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의 청구항 8 및 청구항 11에 기재된 제 4 수지층이 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열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열장치는 발열시트(50 또는 70) 및 컨트롤러(60)를 포함한다.
발열시트(50 또는 70)의 내부에는 발열시트(50 또는 70)의 온도를 센싱하는 온도센서(52)가 설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온도센서(52)는 탄소발열섬유층(12, 26)에서의 온도를 센싱한다고 볼 수 있다.
컨트롤러(60)는 온도센서(52)에서 센싱된 온도값을 제공받을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온도센서(52)가 컨트롤러(60)의 내부에 있는 것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열장치는 배터리의 직류전원을 이용할 것이다.
컨트롤러(60)는 PWM 방식으로 발열시트(50 또는 70)에 대한 온도 조절을 행한다. 컨트롤러(60)는 사용자가 온도 설정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온도 조절기(62), 및 온도를 표시하는 표시부(64)를 포함한다.
종래의 PWM 제어 방식에 의한 온도 조절은 전원의 온(ON)과 오프(OFF)의 시간 비율로 온도를 제어하는데, 통상적으로 전원 온/오프 주기가 매우 짧다. 여기서, 전원이 온되는 시점마다 전자파가 발생하는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위시간당 전원 온/오프 주기가 매우 짧아서 전원이 온-오프-온되는 시점이 매우 많게 된다. 그로 인해, 종래에는 국제 기준을 국내에 적용한 E.M.F인증기준(2mG/단위시간) 보다 높은 전자파를 방출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컨트롤러(60)는 종래의 PWM 제어 방식과는 다르게 온도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종래의 PWM 제어 방식에 의한 온도 조절에서는 주파수를 고정(예컨대, 60Hz)시킨 상태에서 온오프 듀티비를 가지고 온도 조절을 하였다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주파수를 변동(예컨대, 60Hz →40Hz)시켜 주기를 늘리고 필요한 경우 듀티비를 조정한다. 예를 들어, 기존의 50% 듀티비를 80%로 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주파수변경으로 인해 주기변경에 따른 온도제어를 보다 정확하게 하기 위해 온오프 듀티비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압이 5V(60Hz)이고, 온오프 듀티비가 70%(온) 30%(오프)인 배터리로 면적이 50cm이며, 저항값이 (10Ω,)인 발열체를 발열시키던 것을 5V(30Hz) 배터리로 변경해서 발열시킬 경우에는 온오프 듀티비를 적정수준으로 변경하여 온도조절을 할 수 있다. 상기 예로든 정보가 메모리(66)에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예로든 수치로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다. 이와 같이 하면 전자파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어서 국제 기준의 EMF 범위를 충족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추가적으로 듀티비를 조정하는 것 이외의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주파수변동에 따른 온오프주기도 늘어나는데, 이에 따라 온(ON) 구간일 경우 온도가 더욱 높이 올라가고 오프(OFF) 구간일 경우 온도가 더 내려가는 등과 같이 적절한 온도제어가 어려워진다. 다시 말해서, 주파수를 변경하여 주기를 늘려서 단위시간당 전자파를 줄일 수 있지만, 이에 따른 온 오프 시간이 실질적으로 늘어남에 따라 발열시트의 온도가 원하지 않는 온도까지 상승하게 되는 온도 제어의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온도 제어의 어려움을 해결하는 일 예로서, 발열시트(50 또는 70)의 축열층(16)(22, 30)을 이용하는 것이다. 발열시트(50)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강”의 온도를 설정한 경우에는 전원의 온 시간을 대략 30초로 하고, “중”의 온도를 설정한 경우에는 전원의 온 시간을 대략 20초로 하고, “약”의 온도를 설정한 경우에는 전원의 온 시간을 대략 10초로 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사용자가 발열시트(50)의 전원을 온시키면서 사용자가 “강”(예컨대, 섭씨 47도)의 온도를 설정한 경우 컨트롤러(60)는 발열시트(50)의 초기 구동에 따른 온도가 상한치(제 1 위치; 섭씨 47도)에 도달한 이후에 제 2 위치(예컨대, 섭씨 45도)에서의 온 포인트에서 제 3 위치(상한치 ; 섭씨 47도)를 거쳐 제 4위치(예컨대, 섭씨 45도)에서의 온 포인트까지의 시간을 30초로 할 것이다. 상기의 “강”의 온도가 설정된 경우, 발열시트(50)에 제공되는 전원의 공급 시간이 길게 되므로 발열시트(50)의 온도가 섭씨 47도를 초과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제 3 위치의 상한치에서 오프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계속적으로 발열시트(50)의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이를 발열시트(50)내의 축열층(16)이 해결한다. 즉, 발열시트(50)의 온도 상승에 따른 발열량의 일부를 축열층(16)이 흡수하여 저장한다. 따라서, 30초 정도의 전원 온 시간을 제공하더라도 발열시트(50)의 열의 일부분이 축열층(16)에 저장되므로 제 3 위치의 상한치에서 오프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중”, “하”의 온도를 설정한 경우에도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이 행해질 것이다. 그리고, 상술한 예에서는 제 2 위치에서 제 4 위치까지의 시간을 10초 ~ 30초로 가정하였으나, 온-오프온도 설정과 온오프 듀티비를 적절하게 재구성하게 되면 10초 ~ 180초로 조정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온도 제어의 어려움을 해결하는 다른 예로는, 온도센서(52)를 이용하는 것이다. 즉, 축열층(16)을 이용한다고 하더라도 제 3 위치의 상한치에서 정확히 오프된다는 보장이 없으므로, 컨트롤러(60)는 온도센서(52)로부터의 감지온도를 근거로 제 3 위치의 상한치에 도달하면 오프시킬 수 있도록 한다.
즉, 온도 제어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축열층을 이용하거나, 축열층 및 온도센서를 이용하거나, 축열층없이 온도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제 1 수지층 12, 26 : 탄소발열섬유층
14 : 제 2 수지층 16, 22, 30 : 축열층
18 : 제 3 수지층 20, 24, 28, 32 : 수지층

Claims (11)

  1. 전원을 공급받음에 따라 발열을 행하는 발열층, 상기 발열층에서의 발열량의 일부를 축적하는 축열층, 및 상기 발열층 및 상기 축열층을 감싸는 수지층을 포함하는 발열시트; 및
    PWM 제어 방식에 의해 상기 발열시트의 온도 제어를 행하되, 주파수변경을통해 온오프주기를 길게 늘리게 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지층은 제 1 내지 제 3 수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수지층의 상면에 상기 발열층이 적층되고, 상기 발열층의 상면에 상기 제 2 수지층이 적층되고, 상기 제 2 수지층의 상면에 상기 축열층이 적층되고, 상기 축열층의 상면에 상기 제 3 수지층이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열시트의 온도를 센싱하는 온도 센서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온도 센서로부터의 온도를 근거로 기설정된 상한치에서 전원 오프가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열층은 탄소발열섬유, 면상발열체, 및 열선 중에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축열층은 수용성 젤(gel), 세라믹, 보온성소재 중에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축열층은 수용성 젤과 세라믹 및 보온성소재 중에서 2개 이상이 혼합된 혼합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지층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축열층은 제 1 및 제 2 축열층을 포함하고,
    상기 수지층은 제 1 내지 제 4 수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수지층의 상면에 상기 제 1 축열층이 적층되고, 상기 제 1 축열층의 상면에 상기 제 2 수지층이 적층되고, 상기 제 2 수지층의 상면에 상기 발열층이 적층되고, 상기 발열층의 상면에 상기 제 3 수지층이 적층되고, 상기 제 3 수지층의 상면에 상기 제 2 축열층이 적층되고, 상기 제 2 축열층의 상면에 상기 제 4 수지층이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장치.
  9. 전원을 공급받음에 따라 발열을 행하는 발열층;
    상기 발열층에서의 발열량의 일부를 축적하는 축열층; 및
    상기 발열층 및 상기 축열층을 감싸는 수지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시트.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수지층은 제 1 내지 제 3 수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수지층의 상면에 상기 발열층이 적층되고, 상기 발열층의 상면에 상기 제 2 수지층이 적층되고, 상기 제 2 수지층의 상면에 상기 축열층이 적층되고, 상기 축열층의 상면에 상기 제 3 수지층이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시트.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축열층은 제 1 및 제 2 축열층을 포함하고,
    상기 수지층은 제 1 내지 제 4 수지층을 포함하고,
    제 1 수지층의 상면에 상기 제 1 축열층이 적층되고, 상기 제 1 축열층의 상면에 상기 제 2 수지층이 적층되고, 상기 제 2 수지층의 상면에 상기 발열층이 적층되고, 상기 발열층의 상면에 상기 제 3 수지층이 적층되고, 상기 제 3 수지층의 상면에 상기 제 2 축열층이 적층되고, 상기 제 2 축열층의 상면에 상기 제 4 수지층이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시트.
KR1020150100879A 2015-07-16 2015-07-16 발열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발열장치 KR201700092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0879A KR20170009208A (ko) 2015-07-16 2015-07-16 발열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발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0879A KR20170009208A (ko) 2015-07-16 2015-07-16 발열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발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9208A true KR20170009208A (ko) 2017-01-25

Family

ID=57991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0879A KR20170009208A (ko) 2015-07-16 2015-07-16 발열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발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920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6479B1 (ko) * 2019-10-31 2020-05-28 최재원 보행로의 결빙을 방지하기 위한 결빙방지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220026830A (ko) * 2020-08-26 2022-03-07 재단법인 한국탄소산업진흥원 충전형 손난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5808A (ko) 2004-08-13 2005-05-17 이미애 전자파 차폐 기능을 갖는 발열체
KR100828735B1 (ko) 2007-09-27 2008-05-09 주식회사 코스모센추리 유연성 발열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60815A (ko) 2008-11-28 2010-06-07 주식회사 용산 탄소섬유 발열직조체, 이를 구비한 발열조끼 및 발열침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5808A (ko) 2004-08-13 2005-05-17 이미애 전자파 차폐 기능을 갖는 발열체
KR100828735B1 (ko) 2007-09-27 2008-05-09 주식회사 코스모센추리 유연성 발열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60815A (ko) 2008-11-28 2010-06-07 주식회사 용산 탄소섬유 발열직조체, 이를 구비한 발열조끼 및 발열침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6479B1 (ko) * 2019-10-31 2020-05-28 최재원 보행로의 결빙을 방지하기 위한 결빙방지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220026830A (ko) * 2020-08-26 2022-03-07 재단법인 한국탄소산업진흥원 충전형 손난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68086B2 (en) Temperature sensor for a warming blanket
KR100925033B1 (ko) 스마트 적층형 히터면
KR102047972B1 (ko) 온도제어장치의 반응시간을 개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140197155A1 (en) Heater control apparatus
KR102328045B1 (ko) 탄소 온열매트
US20130043234A1 (en) Heating device and temperature control device
JP2008165769A (ja) 電気ヒータ用の温度調節装置
JP6498121B2 (ja) ワイヤメッシュ加熱エレメントを含む高速オーブン
KR101701931B1 (ko) 냉온기능을 갖는 매트리스의 온도제어장치
KR20170009208A (ko) 발열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발열장치
CN107003013A (zh) 水暖垫的加热器控制方法以及适用其加热器控制方法的水暖垫
CN107429474B (zh) 具有用于控制加热功率的装置的熨烫设备
KR101551382B1 (ko) 맞춤용 인솔의 온도제어기
KR101070250B1 (ko) 전기매트용 자동온도조절기
WO2011157394A1 (en) Heat therapy apparatus
CN109549447B (zh) 电烹饪器及其慢炖控制方法、控制装置
KR101658992B1 (ko) 축열물질을 이용한 전기발열매트
EP2967249B1 (en) Liquid heater including wire mesh heating segment
CN108261095A (zh) 加热控制方法、装置及电加热设备
CN202679667U (zh) 一种碳纤维发热保温制品
JP6838011B2 (ja) 無線監視及び制御を有するデジタル電力供給装置
KR101776982B1 (ko) 직류전원을 이용한 발열체에서의 전자파 발생 방지방법 및 그를 이용한 발열제품
US20090314766A1 (en) Heating Device with Plural Thermistors
KR200295932Y1 (ko) 에어 매트리스
ES2423221A2 (es) Dispositivo de aparato doméstic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